KR20220086730A - 스프레드시트 기반의 스마트 수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프레드시트 기반의 스마트 수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730A
KR20220086730A KR1020200176038A KR20200176038A KR20220086730A KR 20220086730 A KR20220086730 A KR 20220086730A KR 1020200176038 A KR1020200176038 A KR 1020200176038A KR 20200176038 A KR20200176038 A KR 20200176038A KR 20220086730 A KR20220086730 A KR 20220086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eadsheet
data
filter
water pump
treat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4771B1 (ko
Inventor
유승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엔
Priority to KR1020200176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771B1/ko
Publication of KR20220086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07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 B01D24/4815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for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34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ing material and its pervious support mo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53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clearness or turbidity meas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electr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77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of tables; using ruled lines
    • G06F40/18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of tables; using ruled lines of spreadshe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8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telecommunication features, e.g. modems or antenna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5Conductivity or salin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0Solids, e.g. total solids [TS], total suspended solids [TSS] or volatile solids [V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xic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레드시트 기반의 스마트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는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펌프;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펌프;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콤프레셔; 다수개의 층으로 분리된 필터를 통해 원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 제거하며, 필터 사용 후 재생이 필요한 경우, 역세척 수단을 이용하여 필터를 재생하는 역세형 다층여과 필터; 살균 동작을 수행하는 살균 장치; 저수조 물의 ph, 전기 전도도, 탁도, 센서, 부유물질 및 악취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 및 통보하는 센싱 장치; 및 상기 센싱 장치의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시스템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스프레드시트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별 데이터를 통합 저장 및 관리하며, 디바이스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프레드시트 기반의 스마트 수처리 시스템{Spreadsheet-based smart water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스프레드시트 기술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정보 관리 동작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레드시트 기반의 스마트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유원지, 고궁 또는 골프장 등에 조성되는 연못들은 자연미를 창출하기 위하여 인공적으로 조성되는 것으로, 물이 저수되고 여기에 수생식물이나 어류 등이 생존할 수 있는 생태연못 형태로 조성된다. 생태연못의 경우, 물이 고여 있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용존산소 농도가 낮아지고 녹조발생의 우려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생태연못은 유지용수로 상수, 지하수 및 하천수를 이용하는데 상수의 경우 지속적인 공급을 위해 비용적인 부담이 증가하고, 지하수 및 하천수의 경우 여건에 따라 공급의 어려움이 있다. 한편, 근래에는 빗물을 이용하여 생태연못의 유지용수를 공급하는 방법이 이용되는 경우가 있으나, 초기오염 우수 등에 의한 생태연못의 수질 악화를 초래할 수 있어 전 처리장치 등의 추가적인 설비 적용으로 비용적인 부담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태연못의 다양한 정화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그 일예가 생태연못의 물을 주기적으로 교체해 주는 방법이다. 그러나 생태연못의 물을 주기적으로 교체하는 경우에 소비되는 물의 양이 너무 많기 때문에 수자원을 낭비하게 되며, 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생태연못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실시하고 있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생태연못에 화학약품을 투입하는 화학적인 처리방법이 있다. 이러한 화학적인 처리방법은 고분자응집제, 광합성억제제, 살조제 등의 화학약품을 연못에 투입하여 오염원을 제거하는 방법이나, 이는 화학약품을 지속적으로 투여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이 번거로우며, 화학적인 약품에 의해 오히려 연못의 수질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센싱 장치와 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기술의 등장으로 인해 최적의 수처리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와 연계한 스마트 수처리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IoT는 여러 사업을 통해 구축해온 방대한 USN 인프라와 개인이 휴대ㅇ착용 또는 주변에 설치된 다양한 IoT 장치를 스마트 단말(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을 통해 연결한 후, 각 IoT 장치의 데이터를 수집ㅇ처리ㅇ가공하고 기존의 여러 데이터와 결합하여 고부가 가치의 맞춤형 지식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지능화된 의미 정보 기반의 서비스'관련 기술이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센싱 장치네트워크 등 이와 같은 IoT는 그 기술적 맥이 과거부터 이어져 있고, 때문에 사물인터넷 또는 사물 통신이라는 개념을 실현하기 위한 요소기술은 대체로 구현되어 있거나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IoT 시장에서 대부분의 상품 및 서비스는 모듈디바이스 업체에 의해 제공되고 있을 뿐이며, 아직까지 IoT의 효용을 인식할만한 충분한 사용자 경험과 학습이 미미한 수준이다. 시장이 확대되려면 수직화의 장점인 고품질과 신뢰성을 갖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하다.
한편, 현재 출시되는 전자 디바이스들은 통신 기능을 부가적으로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디바이스의 센싱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감성을 감지하고, 그에 적합한 디바이스를 주변에서 검색해 필요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할 디바이스 및 센싱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디바이스와 부합되는 프로토콜(Protocol)에 맞춰 통신을 시도하는 것이 쉽지만은 않다.
수많은 제조사마다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만들거나 타사의 프로토콜을 모방한 변형된 프로토콜을 자사의 디바이스에 적용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제조사의 디바이스를 사용하게 되면, 제조사마다 배포하는 소프트웨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소프트웨어를 따로 공급받아 설치한 후 디바이스의 연결을 진행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한 제조업체들은 각 제조사에서 생성한 물품들의 기술성을 보호받기 위해서 프로토콜의 공유를 꺼려하고 있다. 이에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기술로서, 스프레드시트 기반으로 디바이스의 정보를 조회/제어함으로서 주기적으로 주변의 디바이스를 동기화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사물인터넷의 추세에 따라서 수많은 통신 프로토콜을 한 곳으로 집약 시킬 수 있는 표준화 및 관리 기술과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감성을 기반으로 한 디바이스의 프로토콜을 사용자가 간편하게 편집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 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88385호(등록일자: 2011.11.24)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스프레드 기반으로 다양한 디바이스 정보 관리 동작과 제어 동작을 일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레드시트 기반의 스마트 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무선상으로 연결된 디바이스의 프로토콜 정보를 스프레드시트에서 계측 및 조회를 하고, 통합된 자료 일부분을 사용자가 컨트롤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능동적으로 원하는 기능을 편집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팜용 스프레드시트 기반 IoT 계측/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펌프;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펌프;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콤프레셔; 다수개의 층으로 분리된 필터를 통해 원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 제거하며, 필터 사용 후 재생이 필요한 경우, 역세척 수단을 이용하여 필터를 재생하는 역세형 다층여과 필터; 살균 동작을 수행하는 살균 장치; 저수조 물의 ph, 전기 전도도, 탁도, 센서, 부유물질 및 악취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 및 통보하는 센싱 장치; 및 상기 센싱 장치의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시스템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스프레드시트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별 데이터를 통합 저장 및 관리하며, 디바이스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드시트 기반의 스마트 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 장치는 다수의 프로토콜 정보를 수신 및 처리하여, 상기 원수 펌프, 상기 세척수 펌프, 상기 공기 콤프레셔, 상기 역세형 다층여과 필터, 상기 살균 장치, 상기 센싱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각각 형성 및 운영하는 통신부; 프로토콜 스크립트가 선택 및 등록 요청되면, 디바이스, 프로토콜 스크립트, 및 대상 통신 모듈을 하나의 데이터 셋트로 하여 스프레드시트에 등록하는 프로토콜 스크립트 등록부; 상기 스프레드시트를 통해 프로토콜 스크립트를 선택 및 파싱 요청되면, 상기 프로토콜 스크립트를 파싱하여 프로토콜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통신 장치에 제공하는 프로토콜 스크립트 연동부; 및 상기 원수 펌프, 상기 세척수 펌프, 상기 공기 콤프레셔, 상기 역세형 다층여과 필터, 상기 살균 장치, 상기 센싱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프레드시트가 인식 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일괄 변환한 후 상기 스프레드시트에 업로드하고, 상기 스프레드시트를 이용한 데이터 검색 및 열람을 지원하는 데이터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연동부는 상기 원수 펌프, 상기 세척수 펌프, 상기 공기 콤프레셔, 상기 역세형 다층여과 필터, 상기 살균 장치, 상기 센싱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 및 제공하는 데이터에 대한 중복 데이터 제거 동작, 데이터 융합 동작, 데이터 필터링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연동부는 상기 원수 펌프, 상기 세척수 펌프, 상기 공기 콤프레셔, 상기 역세형 다층여과 필터, 상기 살균 장치, 상기 센싱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 및 제공하는 데이터를 디바이스 종류, 데이터 타입, 업로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따라 카테고리화하여 상기 스프레드시트에 업로드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원수 펌프, 상기 세척수 펌프, 상기 공기 콤프레셔, 상기 역세형 다층여과 필터, 상기 살균 장치, 상기 센싱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를 생성하여 스프레드시트에 링크시킨 후, 상기 스프레드시트를 통해 검색 및 선택된 명령어를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관련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디바이스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제어 장치는 관련 데이터와 이벤트 검출 기준이 사전 정의된 관심 이벤트를 등록한 후, 상기 스프레드시트에 업로드된 데이터 중에서 관련 데이터만 선별한 후 이벤트 검출 기준에 따라 데이터 분석함으로써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 및 통보하는 이벤트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세형 다층여과 필터는 필터 및 필터 홀더가 내장되는 중공형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부에 위치하며, 여과과정에서는 원수가 유입되며, 역세과정에서는 세척수가 배출되는 유입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1필터여재와 제2 필터여재를 분리하며, 여과과정 또는 역세과정에서 유체의 흐름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하로 이동하는 유동형 필터 홀더; 상기 필터홀더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필터여재; 상기 필터홀더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필터여재;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며, 여과과정에서는 처리수가 배출되며, 역세과정에서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처리수 배출구; 및 상기 처리수 배출구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역세과정에서 세척용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인들에게 널리 알려진 스프레드시트를 이용하여 수 처리 시스템에 구비된 다수의 디바이스 각각의 데이터를 통합 저장 및 관리하며, 이와 동시에 디바이스 각각의 제어 동작까지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전문가가 아닌 사용자도 손쉽게 시스템에 접근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디바이스 다수개의 프로토콜 정보를 스프레드시트에 연결하여 통합 관리함으로써, 정보 분석에 따른 디바이스 연결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처리 시스템 내에서 발생 가능한 이벤트도 통합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관리 효율이 더욱 증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드시트 기반의 스마트 수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형 다층여과 필터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드시트의 활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드시트 기반의 스마트 수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수처리 시스템(10)은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펌프(110),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펌프(120),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콤프레셔(130), 다수개의 층으로 분리된 필터를 통해 원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 제거하며, 필터 사용 후 재생이 필요한 경우, 역세척 수단을 이용하여 필터를 재생하는 역세형 다층여과 필터(140), 전자파, 음이온, UV 등을 이용한 살균 동작을 수행하는 살균 장치(150), 저수조에 위치하는 ph 센서, 전기 전도도 센서, 탁도 센서, 녹조 센서, 악취 센서 등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수처리 상황을 실시간 센싱 및 통보하는 센싱 장치(160), 시스템 내 디바이스(즉, 원수 펌프(110), 세척수 펌프(120), 공기 콤프레셔(130), 역세형 다층여과 필터(140), 살균 장치(150), 및 센싱 장치(160))과 IoT 방식으로 통신하며, 센싱 장치(160)의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수처리 상황을 유추한 후, 수처리 상황에 따라 시스템내 디바이스 각각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170)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은 도 2와 구성되는 역세형 다층여과 필터(140)를 이용하는 데, 이는 필터 및 필터 홀더가 내장되는 중공형의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 상부에 위치하며, 여과과정에서는 원수(30)가 유입되며, 역세과정에서는 세척수(35)가 배출되는 유입구(4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1필터여재(20)와 제2 필터여재(21)를 분리하며, 여과과정 또는 역세과정에서 유체의 흐름(31, 34)에 따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상하로 이동하는 유동형 필터 홀더(11); (d) 상기 유동형 필터홀더(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필터여재(20); 상기 유동형 필터홀더(11)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필터여재(21);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여과과정에서는 처리수(32)가 배출되며, 역세과정에서는 세척수(33)가 유입되는 처리수 배출구(41); 및 상기 처리수 배출구(41)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역세과정에서 세척용 공기(44)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역세형 다층여과 필터(140)의 사용 후 재생이 필요한 경우, 역세척 수단을 이용하여 필터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여과 효율을 높이며 필터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여, 필터를 보다 오랫동안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스프레드시트 기반으로 디바이스 정보 수집과 통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스프레드시트는 일상 업무에 많이 발생되는 여러 가지 도표 형태의 양식으로 계산하는 사무업무를 자동으로 할 수 있는 표 계산 프로그램으로, 이는 경리, 회계업무에 사용하던 계산용지를 컴퓨터로 옮긴 것으로 최근에는 데이터베이스, 그래프 기능 까지 제공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제어 장치(170)은 스프레드시트를 이용하여 다수의 디바이스 각각의 데이터를 수집 및 통계 분석하며, 이와 동시에 디바이스 각각의 제어 동작까지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방적인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리한 디바이스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더하여 제어 장치(170)은 시스템내 디바이스 모두의 프로토콜 정보를 스프레드시트에 연결하여 일괄 관리함으로써, 디바이스 연결 다양성 또한 보다 손쉽고 편리하게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어 장치(170)은 통신부(171), 프로토콜 스크립트 등록부(172), 프로토콜 스크립트 연동부(173), 데이터 연동부(174), 디바이스 제어부(175) 및 이벤트 모니터링부(176)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71)는 PLC 통신 모듈, 광 통신 모듈 등과 같은 서로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고, 이들 각각이 스프레드시트에 의해 통합 관리 및 제공하는 프로토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디바이스 각각과의 통신 채널을 형성 및 운영한다.
프로토콜 스크립트 등록부(172)는 특정 디바이스의 프로토콜 스크립트가 등록 요청되면, 디바이스, 프로토콜 스크립트, 및 대상 통신 모듈을 하나의 데이터 셋트로 하여 스프레드시트에 등록한다.
프로토콜 스크립트 연동부(173)는 사용자가 스프레드시트를 등록된 프로토콜 스크립트를 검색하여, 파싱하고자 하는 프로토콜 스트립트를 선택하면, 이에 응답하여 해당 프로토콜 스트립트를 파싱하여 프로토콜 정보를 확인한 후 통신부(171)에 제공하도록 한다. 이에 통신부(171)가 수신한 프로토콜 정보에 따라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유선 또는 무선 채널을 형성 및 운영함으로써,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도록 한다.
데이터 연동부(174)는 디바이스 각각이 획득 및 제공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스프레드시트가 인식 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일괄 변환한 후 스프레드시트에 업로드함으로써, 차후 스프레드시트를 통해 필요 데이터를 손쉽게 검색 및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디바이스 각각이 획득 및 제공하는 데이터 모두를 수신 및 업로드하는 경우, 데이터 저장 효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데이터 연동부(174)는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통해 중복 데이터 제거 동작, 데이터 융합 동작, 데이터 필터링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처리 완료된 데이터를 디바이스 종류, 데이터 타입, 업로드 시간 등의 항목에 따라 카테고리화하여 스프레드시트에 업로드함으로써, 데이터 검색 효율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카테고리화된 데이터들에 관련된 표나 그래프를 추가 생성 및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데이터 분석 효율도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디바이스 제어부(175)는 디바이스 적어도 하나를 동작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를 생성하여 스프레드시트에 등록한 후, 사용자가 스프레드시트를 통해 특정 명령어를 검색 및 선택하면, 해당 명령어를 통신 장치를 통해 관련 디바이스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스프레드시트내 명령어를 검색 및 선택하는 단순 동작만을 수행하여 관련 제어 동작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벤트 모니터링부(176)는 적어도 하나의 관심 이벤트를 등록하고, 관심 이벤트 검출에 이용할 관련 데이터와 이벤트 검출 기준을 사전 설정한다. 그러고 나서, 스프레드시트에 업로드된 데이터 중에서 관련 데이터만 선별한 후 이벤트 검출 기준에 따라 데이터 분석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 및 통보한다.
예를 들어, 여과 수행 조건과 여과 정지 조건이 정의된 여과 이벤트를 등록함으로써, 여과 실시 조건을 만족시키는 탁도 센싱값이 획득된 경우에는 역세형 다층여과 필터(140)를 자동 구동시키고, 여과 정지 조건을 만족시키는 탁도 센싱값이 획득된 경우에는 역세형 다층여과 필터(140)를 구동 중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살균 수행 조건과 살균 중지 조건이 정의된 살균 이벤트를 등록함으로써, 살균 실시 조건을 만족시키는 악취 센싱값이 획득된 경우에는 살균 장치(150)를 자동 구동시키고, 살균 중지 조건을 만족시키는 악취 센싱값이 획득된 경우에는 살균 장치(150)의 구동을 중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일정 수질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이벤트를 설정하고, 이벤트 검출 기준을 센싱값 또는 디바이스 동작값과 연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별도 개입없이도 수질 유지를 위한 각종 제어 동작이 자동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벤트 발생 이력을 기 설정된 표 또는 시트를 통해 리스트화하여 일괄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검색 및 관리의 편이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드시트의 활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스프레드시트는 구글 스프레드시트, MS 오피스 온라인 스프레드시트 등과 같이 온라인 상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공통으로 접근 및 이용할 수 있는 웹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스프레드시트는 다수의 시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시트 상에서 표, 그래프, 명령어 버튼 등을 생성한 후, 이들 각각에 데이터 업로드 경로 또는 명령어를 링크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은 사용자가 프로토콜 스크립트 통합 관리 동작, 데이터 연동 동작, 디바이스 제어 동작 등을 스프레드시트를 통해 일괄적으로, 또한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7)

  1.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펌프;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펌프;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콤프레셔;
    다수개의 층으로 분리된 필터를 통해 원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 제거하며, 필터 사용 후 재생이 필요한 경우, 역세척 수단을 이용하여 필터를 재생하는 역세형 다층여과 필터;
    살균 동작을 수행하는 살균 장치;
    저수조 물의 ph, 전기 전도도, 탁도, 센서, 부유물질 및 악취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 및 통보하는 센싱 장치; 및
    상기 센싱 장치의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시스템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스프레드시트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별 데이터를 통합 저장 및 관리하며, 디바이스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드시트 기반의 스마트 수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다수의 프로토콜 정보를 수신 및 처리하여, 상기 원수 펌프, 상기 세척수 펌프, 상기 공기 콤프레셔, 상기 역세형 다층여과 필터, 상기 살균 장치, 상기 센싱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각각 형성 및 운영하는 통신부;
    프로토콜 스크립트가 선택 및 등록 요청되면, 디바이스, 프로토콜 스크립트, 및 대상 통신 모듈을 하나의 데이터 셋트로 하여 스프레드시트에 등록하는 프로토콜 스크립트 등록부;
    상기 스프레드시트를 통해 프로토콜 스크립트를 선택 및 파싱 요청되면, 상기 프로토콜 스크립트를 파싱하여 프로토콜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통신 장치에 제공하는 프로토콜 스크립트 연동부; 및
    적어도 하나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프레드시트가 인식 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일괄 변환한 후 상기 스프레드시트에 업로드하고, 상기 스프레드시트를 이용한 데이터 검색 및 열람을 지원하는 데이터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드시트 기반의 스마트 수처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연동부는
    상기 원수 펌프, 상기 세척수 펌프, 상기 공기 콤프레셔, 상기 역세형 다층여과 필터, 상기 살균 장치, 상기 센싱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 및 제공하는 데이터에 대한 중복 데이터 제거 동작, 데이터 융합 동작, 데이터 필터링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드시트 기반의 스마트 수처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연동부는
    상기 원수 펌프, 상기 세척수 펌프, 상기 공기 콤프레셔, 상기 역세형 다층여과 필터, 상기 살균 장치, 상기 센싱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 및 제공하는 데이터를 디바이스 종류, 데이터 타입, 업로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따라 카테고리화하여 상기 스프레드시트에 업로드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드시트 기반의 스마트 수처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원수 펌프, 상기 세척수 펌프, 상기 공기 콤프레셔, 상기 역세형 다층여과 필터, 상기 살균 장치, 상기 센싱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를 생성하여 스프레드시트에 링크시킨 후, 상기 스프레드시트를 통해 검색 및 선택된 명령어를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관련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디바이스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드시트 기반의 스마트 수처리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관련 데이터와 이벤트 검출 기준이 사전 정의된 관심 이벤트를 등록한 후, 상기 스프레드시트에 업로드된 데이터 중에서 관련 데이터만 선별한 후 이벤트 검출 기준에 따라 데이터 분석함으로써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 및 통보하는 이벤트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드시트 기반의 스마트 수처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형 다층여과 필터는
    필터 및 필터 홀더가 내장되는 중공형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부에 위치하며, 여과과정에서는 원수가 유입되며, 역세과정에서는 세척수가 배출되는 유입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1필터여재와 제2 필터여재를 분리하며, 여과과정 또는 역세과정에서 유체의 흐름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하로 이동하는 유동형 필터 홀더;
    상기 필터홀더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필터여재;
    상기 필터홀더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필터여재;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며, 여과과정에서는 처리수가 배출되며, 역세과정에서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처리수 배출구; 및
    상기 처리수 배출구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역세과정에서 세척용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드시트 기반의 스마트 수처리 시스템.
KR1020200176038A 2020-12-16 2020-12-16 스프레드시트 기반의 스마트 수처리 시스템 KR102504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038A KR102504771B1 (ko) 2020-12-16 2020-12-16 스프레드시트 기반의 스마트 수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038A KR102504771B1 (ko) 2020-12-16 2020-12-16 스프레드시트 기반의 스마트 수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730A true KR20220086730A (ko) 2022-06-24
KR102504771B1 KR102504771B1 (ko) 2023-03-03

Family

ID=82215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038A KR102504771B1 (ko) 2020-12-16 2020-12-16 스프레드시트 기반의 스마트 수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7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64536A (zh) * 2022-09-14 2022-11-22 北控水务(中国)投资有限公司 一种滤池反冲洗系统、滤池系统以及反冲洗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385B1 (ko) 2009-06-29 2011-12-01 대림산업 주식회사 자연형 연못 정수 시스템
KR20170089119A (ko) * 2016-01-26 2017-08-03 (주)심플랫폼 클라우드 기반 사물인터넷 미들웨어 시스템
KR101906287B1 (ko) * 2018-07-16 2018-12-05 (주) 워텍 자동관리 기능을 갖는 정수장치
KR20190025327A (ko) * 2017-09-01 2019-03-11 유승철 역세형 다층여과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385B1 (ko) 2009-06-29 2011-12-01 대림산업 주식회사 자연형 연못 정수 시스템
KR20170089119A (ko) * 2016-01-26 2017-08-03 (주)심플랫폼 클라우드 기반 사물인터넷 미들웨어 시스템
KR20190025327A (ko) * 2017-09-01 2019-03-11 유승철 역세형 다층여과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KR101906287B1 (ko) * 2018-07-16 2018-12-05 (주) 워텍 자동관리 기능을 갖는 정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64536A (zh) * 2022-09-14 2022-11-22 北控水务(中国)投资有限公司 一种滤池反冲洗系统、滤池系统以及反冲洗方法
CN115364536B (zh) * 2022-09-14 2023-11-17 北控水务(中国)投资有限公司 一种滤池反冲洗系统、滤池系统以及反冲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771B1 (ko)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81507B (zh) 污水处理控制方法及系统
CN105198013A (zh) 净水器、净水器控制端、云平台及控制系统
CN107047446B (zh) 一种自动清洗的智能景观鱼池系统
CN104396850A (zh) 一种工厂化水产养殖系统及其智能控制系统
KR20220086730A (ko) 스프레드시트 기반의 스마트 수처리 시스템
CN204215218U (zh) 一种基于智能监控的污水处理系统
CN110697845A (zh) 净水机滤芯寿命提醒方法、装置、系统及净水机
CN114870490A (zh) 一种净水机远程预警方法和系统
KR101089551B1 (ko) 수족관
KR20150114026A (ko) 어패류 복합양식빌딩을 위한 통합 제어 및 관리 시스템
US20190047889A1 (en) Compact water purification unit
CN211185501U (zh) 水产批发养殖供水及废水收集循环系统
CN210604602U (zh) 一种水质在线监测装置
CN105621762B (zh) 一种ZigBee技术和EOS系统模块控制的净水设备
CN110723789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净水装置管理系统
CN209481383U (zh) 水质在线监测废液处理系统
US2021006398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N213275483U (zh) 一种空气在线实时监测净化系统及装置
KR200191691Y1 (ko) 공기방울 자동 역세척 정수 시스템
CN207182050U (zh) 工厂化循环水养虾智能管理系统
CN107736313B (zh) 蚕宝监控方法及系统
CN110683629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净水机控制系统
CN117735641A (zh) 净水系统的净水处理方法、装置和处理器
US202203254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home appliance water use
CN112520866A (zh) 一种自动控制净水器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