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993A - 고온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온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85993A KR20220085993A KR1020200176051A KR20200176051A KR20220085993A KR 20220085993 A KR20220085993 A KR 20220085993A KR 1020200176051 A KR1020200176051 A KR 1020200176051A KR 20200176051 A KR20200176051 A KR 20200176051A KR 20220085993 A KR20220085993 A KR 202200859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sheet
- weight
- heat treatment
- pwht
- high temperature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46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4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29910000734 martens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29910001563 bai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3303 rehe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098 hot ro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9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150000001247 metal acetyl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1566 auste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953 re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96 temp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12868 Overgrowt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UCKMPCXJQFINFW-UHFFFAOYSA-N Sulphide Chemical compound [S-2] UCKMPCXJQFINF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37 ann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567 cement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65 homogen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63 impact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KSOKAHYVTMZFBJ-UHFFFAOYSA-N iron;methane Chemical compound C.[Fe].[Fe].[Fe] KSOKAHYVTMZFB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8 niob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1 que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71 quenc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3 rh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04 se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04 soli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628 steelm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19 thick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0 van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59 α-F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26—Methods of anneal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84—Controlled slow cool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2—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8—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Si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elded joi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vanad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0.10 내지 0.16중량%, Si:0.20 내지 0.35중량%, Mn:0.4 내지 0.6중량%, Cr:7.5 내지 8.5중량%, Mo:0.7 내지 1.0중량%, Al: 0.005 내지 0.05중량%, P: 0.015중량%이하, S:0.002중량%이하, Nb: 0.001 내지 0.025중량%, V: 0.25 내지 0.35중량% 포함하고,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고온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온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바람직하게는 750 내지 850℃의 고온에서 PWHT를 수행하여도 인장강도 및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강판을 용접하는 경우, 부분적인 열팽창 및 수축이 발생되어 강판 내부에잔류응력이 형성된다. 상기 잔류응력은 추후 변형에 원인이 되며 모재의 일부가 파단 시 크랙 성장에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용접 후 구조물의 치수를 안정화하고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잔류응력을 제거하는 공정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강판 내부의 잔류응력을 제거하기 위해 용접후열처리(Post Weld Heat Treatment; PWHT)를 수행할 있다. 하지만, 상기 PWHT는 장시간의 열처리 과정에서 강판 내 결정립계의 연화, 성장, 탄화물의 조대화가 발생하여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PWHT가 700℃ 이상인 경우, 상기 기계적 특성 저하가 더욱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PWHT 이후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특허문헌 1에는 C:0.05 내지 0.25%, Mn:0.1 내지 1.0%, Si:0.1 내지 0.8%, Cr:1 내지 3%, Cu:0.05 내지 0.3%, Mo:0.5 내지 1.5%, Ni:0.05 내지 0.5%, Al:0.005 내지 0.1%을 포함하고, Ir:0.005 내지 0.10%와 Rh: 0.005 내지 0.10% 중 1종 이상,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중고온용 강판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PWHT가 700℃인 상태에서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하 다른 특허문헌에도 본 상황에 적합한 기술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강재의 후물화 및 용접부 조건의 가혹화에 동반되어, 고온의 PWHT 후에도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강판을 제조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온에서의 용접 후 열처리(Post Weld Heat Treatment, PWHT) 공정 후에도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지 않는 고온 용접후열처리(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C:0.10 내지 0.16중량%, Si:0.20 내지 0.35중량%, Mn:0.4 내지 0.6중량%, Cr:7.5 내지 8.5중량%, Mo:0.7 내지 1.0중량%, Al: 0.005 내지 0.05중량%, P: 0.015중량%이하, S:0.002중량%이하, Nb: 0.001 내지 0.025중량%, V: 0.25 내지 0.35중량% 포함하고,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고온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강판 조직이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와 템퍼드 베이나이트의 혼합조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는 면적분율이 50 내지 80%이며, 나머지는 템퍼드 베이나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750 내지 850℃에서 10 내지 50시간 용접후 열처리(Post Weld Heat Treatment, PWHT)에도 인장강도가 650MPa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압력용기용 강판은 샤르피 충격 에너지(CVN @ -30℃) 값이 100J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있어서, 중량%로, C:0.10 내지 0.16중량%, Si:0.20 내지 0.35중량%, Mn:0.4 내지 0.6중량%, Cr:7.5 내지 8.5중량%, Mo:0.7 내지 1.0중량%, Al: 0.005 내지 0.05중량%, P:0 내지 0.015중량% S:0.002중량%이하, Nb: 0.001 내지 0.025중량%, V: 0.25 내지 0.35중량% 포함하고,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1,070 내지 1,250℃에서 재가열하는 공정, 상기 재가열된 슬라브를 압연 패스당 2.5 내지 35%의 압하율로 열간 압연하는 공정, 상기 열간 압연된 강판을 1,020 내지 1,070℃으로 유지하는 1차 열처리 공정, 상기 1차 열처리된 강판을 1 내지 30℃/sec로 냉각하는 냉각 공정, 및 상기 냉각된 강판을 820 내지 845℃로 유지하는 2차 열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1차 열처리 시간(T1)은 하기 관계식 1로 정의될 수 있다.
[관계식 1]
1.3×t +10 ≤ T1 ≤ 1.3×t + 30
(상기 관계식 1에서 T1은 1차 열처리를 수행하는 시간(min)을 의미하며, t는 상기 열간 압연된 강판의 두께를 의미한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2차 열처리 시간(T2)은 하기 관계식 2으로 정의될 수 있다.
[관계식 2]
1.6×t +10 ≤ T2 ≤ 1.6×t + 30
(상기 관계식 2에서 T2는 2차 열처리를 수행하는 시간(min)을 의미하며, t는 상기 열간 압연된 강판의 두께를 의미한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2차 열처리된 강판을 750 내지 850℃에서 10 내지 50시간 동안 유지하는 용접 후 열처리(PWHT)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750 내지 850℃에서 장시간 PWHT 공정을 수행하여도 기계적 특성이 유지되는 고온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Cr을 7.5 내지 8.5 중량% 포함하는 압력용기용 강판에 있어서, 700℃ 이상의 고온에서 수행되는 용접후열처리(Post Weld Heat Treatment; PWHT)의 저항성이 강한 압력용기용 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PWHT는 용접 또는 압연 과정중에 모재 내부에 생성된 잔류응력을 제거하기 위한 열처리 공정으로, 고온에서 장시간 수행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PWHT는 강판 내 잔류응력을 제거하나, 모재 내 결정립계의 연화, 성장 및 탄화물의 조대화를 유발하여 강판의 기계적 특성이 저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강판의 합금조성과 제조조건을 적절히 제어하여 강판의 미세조직을 템퍼드 마르텐사이트를 주상으로 하는 혼합조직으로 제공함으로써, 고온 및 장시간의 PWHT에도 기계적 특성이 감소하지 않는 압력용기용 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온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은, C:0.10 내지 0.16중량%, Si:0.20 내지 0.35중량%, Mn:0.4 내지 0.6중량%, Cr:7.5 내지 8.5중량%, Mo:0.7 내지 1.0중량%, Al: 0.005 내지 0.05중량%, P:0 내지 0.015중량% S:0.002중량%이하, Nb: 0.001 내지 0.025중량% 포함하고,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조성범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단위는 중량%이다.
C는 0.1 내지 0.16중량% 첨가된다.
상기 C는 강도를 향상시키는 원소로서, 그 함량이 0.1중량% 미만에서는 기지 상의 자체적인 강도가 저하되고, 0.16%를 초과하면 강도가 과도하게 증가하여 인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 C는 0.1 내지 0.16중량%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0.12 내지 0.15중량% 첨가될 수 있다.
Si는 0.2 내지 0.35중량% 첨가된다.
상기 Si는 탈산 및 고용강화에 효과적인 원소이며, 충격 천이온도 상승을 동반하는 원소이다. Si가 0.2중량% 미만이면, 상기 압력용기용 강판의 강도가 부족하여 충분한 기계적 특성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상기 Si가 0.35%를 초과하면 상기 압력용기용 강판의 용접성이 저하되어 가공성이 감소하고, 충격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 Si는 0.2 내지 0.35중량%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0.32중량% 첨가될 수 있다.
Mn은 0.4 내지 0.6중량% 첨가된다.
상기 Mn은 후술할 S와 함께 비금속 개재물인 MnS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비금속 개재물 MnS는 결정립 내부에서 전위의 이동을 방해하여 모재의 강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으나, 상온 연신율 및 저온인성이 감소되는 원인이 된다. 예를 들어, 상기 Mn의 함량이 0.6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MnS가 과도하게 형성되어 연신율 및 저온인성이 두드러지게 감소되며, 상기 Mn이 0.4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MnS의 생성량이 부족하여 적절한 강도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Mn은 0.4 내지 0.6중량%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58중량% 첨가될 수 있다.
Cr은 7.5 내지 8.5중량% 첨가된다.
상기 Cr은 소입성을 증대시켜 저온변태조직을 형성함으로써 항복 및 인장강도를 증대시키며 ??칭 이후의 템퍼링이나 PWHT 동안 시멘타이트의 분해 속도를 늦춤으로써 강도 하락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강판 중심부에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형성되어 저온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Cr은 7.5 중량% 이상 첨가하는게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Cr의 함량이 8.5중량%를 초과하면, 크기가 조대한 Cr-Rich M23C6 -type의 탄화물이 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조직 내부에 석출될 수 있다. 이는 강판의 충격 인성을 크게 감소시켜 취성 파괴에 원인이 된다. 아울러, 상기 Cr의 함량이 증가하면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용접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Cr은 7.5 내지 8.5중량%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7.8 내지 8.3중량% 첨가될 수 있다.
Mo은 0.7 내지 1.0중량% 첨가된다.
상기 Mo은 상기 Cr과 마찬가지로, 모재의 고온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황화물로 인하여 상기 압력용기용 강판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Mo가 0.7중량% 이상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Mo은 다른 첨가원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가가 높으므로 상기 Mo이 1.0중량%를 초과하면 생산비가 과도하게 증가하여 상품성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상기 Mo는 0.7 내지 1.0중량%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0중량% 첨가될 수 있다.
Al은 0.005 내지 0.05중량% 첨가된다.
상기 Al은 상기 Si와 더불어 제강 공정에서 강력한 탈산제(Deoxidizer) 중 하나이다. 상기 탈산제(Deoxidizer)는 모재 내부의 산소를 취입하여 CO의 형태로 배출되는 것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Al의 함량이 0.005중량% 미만이면, 모재 내 산소가 증가하여 강판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Al이 0.05중량%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의 탈산효과가 구현되며, 오히려 제조원가가 상승하여 상품성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상기 Al은 0.005 내지 0.05중량%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04중량% 첨가될 수 있다.
P은 0.015중량% 이하로 첨가된다.
상기 P은 상기 압력용기용 강판의 저온인성을 저하시키며, 입계에 편석되어 템퍼 취성(Temper brittleness)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론상 상기 P의 함량은 0중량%에 가깝도록 함량을 낮게 제어하는 것이 유리하나, 상기 P은 제조공정 상 필연적으로 함유될 수 밖에 없으며, 상기 P의 함량을 줄이기 위한 공정이 까다롭고 추가공정으로 인한 생산비용이 증가되므로 그 상한을 정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P은 0.015중량% 이하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은 0.002중량% 이하로 첨가된다.
상기 S은 상기 P과 같이 저온인성을 감소시키는 원소이며 상기 압력용기용 강판의 MnS 개재물을 형성하여 상기 압력용기용 강판의 인성이 감소되는 원인이 된다. 상기 S은 상기 P와 마찬가지로 함량은 0중량%에 가깝도록 함량을 낮게 제어하는 것이 유리하나, 이를 위해 소모되는 비용 및 시간을 고려하면 그 상한을 정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S은 0.002중량% 이하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b은 0.001 내지 0.025중량% 첨가된다.
상기 Nb은 상기 압력용기용 강판 내에서 미세한 탄화물 또는 질화물을 형성하여 강판을 형성하고 있는 기지조직(Matrix)의 연화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인 원소이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Nb는 0.001중량% 이상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Nb이 0.025중량%를 초과하면 강판의 원가가 높아지고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상기 Nb은 0.001 내지 0.025중량%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23중량% 첨가될 수 있다
V은 0.25 내지 0.35중량% 첨가된다.
상기 V은 상기 Nb와 마찬가지로 미세한 탄화물 및 질화물을 쉽게 형성할 수 있으며, 기지조직(Matrix)의 연화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인 원소이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V는 0. 25중량% 이상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V이 0.35중량%를 초과하면, 강판의 원가가 높아지고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상기 V은 0.25 내지 0.35중량%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0.28 내지 0.32중량% 첨가될 수 있다
상술한 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은 Fe로 제공된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통상의 제조과정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특별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지는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일 특징인 조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미세조직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온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은, 상기 강판의 중심부 미세조직이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와 템퍼드 베이나이트의 혼합조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이 50% 이상 포함되며, 나머지 부분은 템퍼드 베이나이트인 혼합조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조직(Tempered martensite)은 후술한 2차 열처리 과정을 통해 마르텐사이트에 잔류응력을 완화한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마르텐사이트 조직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취성을 보완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650MPa 급 강판의 제조를 위해서는 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조직의 면적분율이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강판 내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조직의 면적분율이 80%를 초과하면, 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조직은 결정립계에 조대한 Cr-Rich M23C6 -type의 탄화물이 석출되어 인성이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조직은 면적분율이 5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템퍼드 베이나이트(Tempered bainite)는 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조직에 비해 강도는 낮으나, 상대적으로 인성이 우수하며, 충격흡수 에너지가 높다. 이를 통해 상기 템퍼드 베이나이트는 상기 압력용기용 강판의 인성을 보완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압력용기용 강판은 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조직과 상기 템퍼드 베이나이트의 혼합조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이 50 내지 80%, 상기 템퍼드 베이나이트의 면적분율이 2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성분조성과 미세조직을 갖는 강판을 추가로, 용접을 수행한 후에 추가적으로 750 내지 850℃의 높은 온도 범위에서 최대 50시간 동안 열처리를 수행하여도 인장강도를 650MPa 이상으로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조성성분과 미세조직을 갖는 강판은 상기 PWHT 이후에도 우수한 저온인성을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30℃에서 샤르피 충격 에너지 값이 100J이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압력용기용 강판은 고온에서 PWHT를 수행하여도 우수한 인장강도 및 저온인성을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고온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에 대한 것과 더불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고온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온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은 앞서 설명한 성분조성을 갖는 슬라브를 1,070 내지 1,250℃에서 재가열하는 공정; 상기 재가열된 슬라브를 압연 패스당 2.5 내지 35%의 압하율로 열간 압연하는 공정; 상기 열간 압연된 강판을 1,020 내지 1,070℃로 유지하는 1차 열처리 공정; 상기 1차 열처리된 강판을 1 내지 30℃로 냉각하는 냉각 공정 및 상기 냉각된 강판을 820 내지 845℃로 유지하는 2차 열처리 공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성성분을 갖는 슬라브를 재가열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재가열은 1,070 내지 1,250℃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재가열 온도가 1,070℃ 미만이면, 용질원자들이 의도한 만큼 고용되지 않아 강도의 확보가 어렵고, 재가열 온도가 1,250℃를 초과하면 강재 내 오스테나이트상이 과성장되어 강판의 기계적 특성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재가열 온도는 1,070 내지 1,250℃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1,100 내지 1,170℃일 수 있다.
이 후, 상기 재가열된 슬라브를 열간 압연하여 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열간 압연은 재결정 종료 온도보다 높은 온도구간인 재결정 영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간 압연은 각 압연 패스당 압하율 2.5 내지 35%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하율이 2.5% 미만이면 압하량이 부족해 후술할 냉각 공정으로 형성되는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및 템퍼드 베이나이트 조직이 조대해지며, 강판의 강도가 감소할 수 있다. 반면 압하율이 35%를 초과하면 압연기의 부하가 심해져 생산성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상기 각 압연 패스당 압하율은 2.5 내지 35%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열간 압연된 강판은 1차 열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1차 열처리 공정은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시간(T1) 동안 1,020 내지 1,070℃에서 강판을 유지시키는 열처리를 의미한다.
[관계식 1]
1.3×t +10 ≤ T1 ≤ 1.3×t + 30
(상기 관계식 1에서 T1은 1차 열처리를 수행하는 시간(min)을 의미하며, t은 상기 열간 압연된 강판의 두께를 의미한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1차 열처리의 온도가 1,020℃미만이거나 상기 T1이 1.3Хt1 + 10분 미만이면, 상기 강판 내 조직의 균질화가 충분히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강판 내 편석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아울러, 상기 강판에 고용되었던 용질 원소들이 재고용이 어려워 상기 강판의 기계적 특성이 감소하는 원인이 된다.
반대로, 상기 1차 열처리 온도가 1,070℃를 초과하거나 상기 T1이 1.3Хt1 + 30분을 초과하면, 상기 강판 내 결정립이 성장하여 강판의 강도가 감소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1차 열처리된 강판을 냉각하는 냉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 공정은 상기 1차 열처리된 강판을 1 내지 30℃의 속도로 20 내지 40℃까지 냉각될 수 있으며, 수냉 처리(DQ 처리)를 통해 냉각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속도가 1℃ 미만이면, 강판 내 페라이트가 마르텐사이트로 변태되지 못하여 강판 내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조직의 면적분율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및 템퍼드 베이나이트 조직이 조대해질 수 있다. 이는 강판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냉각 속도가 30℃을 초과하면, 냉각 속도 향상을 위해 부과적인 설비가 필요하며 냉각수가 다량 필요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강판의 제조원가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냉각 속도는 1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일 수 있다.
상기 1차 열처리 및 냉각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된 강판은 인장강도 650MPa 이상이며, 동시에 -30℃에서 샤르피 충격 에너지 값이 100J 이상을 확보해야 할 것이 요구되는바, 이러한 조건을 달성하기 위해 2차 열처리 및 PWHT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2차 열처리 공정은 하기 관계식 2을 만족하는 시간(T2) 동안 820 내지 845℃에서 강판을 유지시키는 열처리를 의미하며, 다른 말로 템퍼링(Tempering) 열처리로 정의할 수 있다.
[관계식 2]
1.6×t +10 ≤ T2 ≤ 1.6×t + 30
(상기 관계식 2에서 T2는 2차 열처리를 수행하는 시간(min)을 의미하며, t는 상기 열간 압연된 강판의 두께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2차 열처리 공정은 820 내지 845℃에서 1.6Хt + 10 내지 1.6Хt + 30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2차 열처리 공정이 820℃ 미만 또는 1.6Хt + 10 미만 동안 수행되면, 전위 회복 효과가 감소하여 강판의 인성이 감소하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얻기 어렵기 때문이다. 반면, 상기 2차 열처리 공정이 845℃를 초과하거나 열처리 시간이 1.6Хt + 30분을 초과하면 석출물이 과성장하여 과시효(overaging) 현상이 발생하여 강도가 감소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2차 열처리 공정 후, PWHT 공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PWHT 공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강판 내부의 잔류응력을 제거하는 고온 환경에서 장시간에 걸쳐서 열처리하는 공정이며, 구체적으로 상기 2차 열처리된 강판을 750 내지 850℃에서 10 내지 50시간 유지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상기 PWHT 공정 온도가 750℃ 미만 또는 PHWT 공정 시간이 10시간 미만인 경우, 풀림이 충분하지 않아 잔류응력이 강판 내 남아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강판의 변형, 수명 감소의 원인이 된다. 반대로 상기 PWHT 공정 온도가 850℃을 초과하거나, 상기 PWHT 공정이 50시간을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 강판에 과도한 열 에너지가 주입될 수 있다. 이는 강판의 재결정화를 촉진하여 인장강도가 650MPa 미만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PWHT 공정은 750 내지 850℃에서 10 내지 50시간 이하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780 내지 820℃에서 20 내지 50분간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가지는 합금 슬라브를 준비한다. 상기 합금 슬라브를 1,120℃에서 300분 재가열한 뒤, 압연 패스당 15%의 압하율로 재결정영역에서 열간 압연하여 강판을 제조하였다.
C | Mn | Si | P | S | Al | Cr | Mo | Cu | Ni | Nb | V | |
발명강 A | 0.14 | 0.54 | 0.26 | 0.006 | 0.0010 | 0.029 | 7.85 | 0.90 | - | - | 0.016 | 0.29 |
발명강 B | 0.15 | 0.53 | 0.29 | 0.008 | 0.0014 | 0.030 | 7.95 | 0.95 | - | - | 0.015 | 0.31 |
발명강 C | 0.13 | 0.56 | 0.30 | 0.007 | 0.0013 | 0.032 | 8.15 | 0.96 | - | - | 0.021 | 0.30 |
비교강 A | 0.13 | 0.56 | 0.31 | 0.008 | 0.0011 | 0.031 | 2.29 | 0.91 | 0.14 | 0.18 | - | - |
비교강 B | 0.14 | 0.53 | 0.25 | 0.008 | 0.0011 | 0.029 | 5.21 | 0.92 | - | - | 0.018 | 0.28 |
비교강 C | 0.14 | 0.54 | 0.30 | 0.005 | 0.0010 | 0.032 | 9.54 | 0.94 | - | - | 0.020 | 0.30 |
상기 강판을 상온의 25℃가 될 때까지 공냉으로 냉각한 후, 1,050℃로 가열하여 각 강판의 두께에 따라 시간을 조절하여 1차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였다. 이 후, 강재 중심부의 온도를 기준으로 25℃가 될 때 까지 수냉하였다. 상기 각 강판의 두께, 1차 열처리 유지 시간 및 냉각 시간은 하기 표 2에 개시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 1 열처리 및 냉각 공정을 수행한 강판을 하기 표 2의 조건으로 2차 열처리를 한 후 추가로 PWHT 공정을 수행하였다.
구분 | 강종 | 강판두께 (mm) |
1차 열처리 | 2차 열처리 | PWHT 공정 | |||
온도 (℃) |
시간 (min) |
온도 (℃) |
시간 (min) |
온도 (℃) |
시간 (h) |
|||
실시예 1 | 발명강 A | 101 | 1,050 | 177 | 830 | 180 | 800 | 20 |
실시예 2 | 150 | 1,050 | 255 | 830 | 260 | 800 | 35 | |
실시예 3 | 201 | 1,050 | 337 | 830 | 340 | 800 | 50 | |
실시예 4 | 발명강 B | 101 | 1,050 | 177 | 830 | 180 | 800 | 20 |
실시예 5 | 150 | 1,050 | 255 | 830 | 260 | 800 | 35 | |
실시예 6 | 201 | 1,050 | 337 | 830 | 340 | 800 | 50 | |
실시예 7 | 발명강 C | 101 | 1,050 | 177 | 830 | 180 | 800 | 20 |
실시예 8 | 150 | 1,050 | 255 | 830 | 260 | 800 | 35 | |
실시예 9 | 201 | 1,050 | 337 | 830 | 340 | 800 | 50 | |
비교예 1 | 비교강 A | 101 | 1,050 | 177 | 830 | 180 | 800 | 20 |
비교예 2 | 150 | 1,050 | 255 | 830 | 260 | 800 | 35 | |
비교예 3 | 201 | 1,050 | 337 | 830 | 340 | 800 | 50 | |
비교예 4 | 비교강 B | 101 | 1,050 | 177 | 830 | 180 | 800 | 20 |
비교예 5 | 150 | 1,050 | 255 | 830 | 260 | 800 | 35 | |
비교예 6 | 201 | 1,050 | 337 | 830 | 340 | 800 | 50 | |
비교예 7 | 비교강 C | 101 | 1,050 | 177 | 830 | 180 | 800 | 20 |
비교예 8 | 150 | 1,050 | 255 | 830 | 260 | 800 | 35 | |
비교예 9 | 201 | 1,050 | 337 | 830 | 340 | 800 | 50 | |
비교예 10 | 발명강 A | 101 | 1,050 | 127 | 830 | 180 | 800 | 20 |
비교예 11 | 201 | 1,050 | 257 | 830 | 340 | 800 | 50 | |
비교예 12 | 101 | 1,050 | 227 | 830 | 180 | 800 | 20 | |
비교예 13 | 201 | 1,050 | 387 | 830 | 340 | 800 | 50 | |
비교예 14 | 101 | 1,050 | 117 | 830 | 130 | 800 | 20 | |
비교예 15 | 201 | 1,050 | 117 | 830 | 290 | 800 | 50 | |
비교예 16 | 101 | 1,050 | 117 | 830 | 230 | 800 | 20 | |
비교예 17 | 201 | 1,050 | 117 | 830 | 390 | 800 | 50 |
상기 표 2에 따라 제조한 강판에 대하여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분율(%) 및 기계적 특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개시하였다. 상기 기계적 특성으로는 항복강도(YS), 인장강도(TS), 연신율(EL) 및 저온인성(J)을 측정하였다. 상기 저온인성은 -30℃에서 V노치를 갖는 시편을 샤르피 충격 시험을 행하여 얻은 샤르피 충격 에너지(CVN @ -30℃)값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구 분 | 강종 | 강판두께 (mm) |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분율 (%) |
기계적 특성 평가 | |||
YS (MPa) |
TS (MPa) |
EL (%) |
CVN @ -30℃ (J) |
||||
실시예 1 | 발명강 A | 101 | 65 | 535 | 665 | 30 | 232 |
실시예 2 | 150 | 60 | 524 | 662 | 33 | 241 | |
실시예 3 | 201 | 58 | 521 | 656 | 34 | 224 | |
실시예 4 | 발명강 B | 101 | 66 | 533 | 685 | 31 | 228 |
실시예 5 | 150 | 62 | 529 | 669 | 32 | 239 | |
실시예 6 | 201 | 59 | 522 | 657 | 33 | 233 | |
실시예 7 | 발명강 C | 101 | 68 | 533 | 674 | 35 | 215 |
실시예 8 | 150 | 63 | 529 | 668 | 32 | 234 | |
실시예 9 | 201 | 60 | 528 | 659 | 31 | 228 | |
비교예 1 | 비교강 A | 101 | 11 | 323 | 451 | 31 | 55 |
비교예 2 | 150 | 8 | 312 | 432 | 32 | 25 | |
비교예 3 | 201 | 3 | 299 | 402 | 30 | 28 | |
비교예 4 | 비교강 B | 101 | 24 | 416 | 561 | 33 | 52 |
비교예 5 | 150 | 22 | 407 | 558 | 34 | 31 | |
비교예 6 | 201 | 18 | 401 | 551 | 36 | 36 | |
비교예 7 | 비교강 C | 101 | 87 | 696 | 721 | 13 | 40 |
비교예 8 | 150 | 82 | 682 | 717 | 15 | 45 | |
비교예 9 | 201 | 81 | 669 | 708 | 18 | 47 | |
비교예 10 | 발명강 A | 101 | 42 | 438 | 522 | 25 | 148 |
비교예 11 | 201 | 36 | 417 | 502 | 27 | 135 | |
비교예 12 | 101 | 48 | 405 | 537 | 32 | 189 | |
비교예 13 | 201 | 39 | 396 | 521 | 34 | 176 | |
비교예 14 | 101 | 42 | 425 | 465 | 28 | 168 | |
비교예 15 | 201 | 26 | 410 | 510 | 30 | 155 | |
비교예 16 | 101 | 41 | 419 | 557 | 31 | 178 | |
비교예 17 | 201 | 45 | 389 | 530 | 33 | 167 |
상기 표 1 내지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합금조성 및 제조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실시예 1 내지 9는 템퍼드 마르텐사이트가 면적분율이 50% 이상으로 구성되므로써, PWHT 공정을 50시간 동안 수행하여도 항복강도가 650MPa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656MPa 이상의 높은 강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시에 -30℃에서 샤르피 충격에너지 값이 100J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15J이상을 가지며 이를 통해 우수한 저온인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PWHT의 공정이 20 시간에서 50시간으로 증가시켜도 항복강도(YS)의 감소량이 0.5 내지 3%이며, 인장강도(TS)의 감소량이 약 1 내지 4.5%이다. 이는 상술한대로 강판 내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면적분율을 기준으로 50% 이상 형성되어 PWHT 이후의 결정립계의 연화, 탄화물 조대화로 인한 강도 저하를 보완해주기 때문이다.
반면에, 상기 비교예 1 내지 6은 상기 PWHT 공정이 20시간에서 50시간으로 증가하면 기계적 특성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Cr을 2.29중량% 포함하는 비교강 A를 가지고 실시예와 동일하게 열처리한 비교예 1 내지 3은 상기 PWHT의 공정 시간이 20시간에서 50시간으로 30시간 증가하면 항복강도(YS)와 인장강도(TS) 모두 7 내지 10%로 감소하며, 샤르피 충격 에너지는 45 내지 55% 감소한다. 상기 Cr이 5.21중량% 포함된 비교강 B로 제조된 비교예 4 내지 6은 항복강도가 15 내지 20%, 인장강도는 10 내지 15% 감소하였으며, 샤르피 충격 에너지는 45 내지 55% 감소한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9와 달리, 상기 비교예 1 내지 6에서 기계적 특성이 급속하게 감소하는 이유는 강판 내 Cr의 함량이 7.5중량% 미만이면 상기 오스테나이트 영역이 증가하여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생성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및 상기 템퍼드 베이나이트 조직의 분율이 감소되었기 때문이다.
반대로, 상기 Cr이 7.5중량% 이상이면 상기 오스테나이트 영역이 감소하여 냉각 공정 이후에도 불필요한 오스테나이트 조직이 잔류하지 않으며 상기 마르텐사이트 또는 베이나이트로 전부 변태된다. 그 결과, 상기 Cr을 7.5중량%이상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9는 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가 50% 이상이며, 상기 Cr이 7.5중량%미만 포함하는 비교예 1 내지 6은 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가 25% 미만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잔류된 오스테나이트 조직은 결정립 크기가 조대화되고 안정성이 낮아 강판의 취성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런 이유로, 상기 비교예 1 내지 6은 저온인성 또한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9는 800℃에서 50시간 동안 PWHT 공정을 수행하여도 인장강도가 650MPa 이상, 저온인성이 200J이상 유지되는 반면에, 비교예 1 내지 6은 강판 내부에 형성된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조직의 면적분율이 20% 미만이기 때문에 모재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이는 상기 실시예 1 다시 9는 상대적으로 강도가 뛰어난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면적분율 기준 50% 이상으로 형성되어 열처리 이후에도 강도가 유지되었으나, 상기 비교예 1 내지 6은 상기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부족하여 고온 PWHT 이후의 결정립계의 연화, 탄화물 조대화로 인해 발생되는 강도 저하를 보완해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상기 Cr이 9.54중량% 포함된 비교예 7 내지 9는 항복강도가 평균715MPa로 우수하였으나, 연신율이 평균 15.3%로 매우 낮으며, 저온인성이 평균 44J로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템퍼드 베이나이트 조직이 지나치게 적게 형성되어 강판의 인성을 보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입계에 크기가 조대한 Cr-Rich M23C6 -type의 탄화물이 석출 내어 되어 강판의 취성이 크게 증가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강판의 강도와 인성을 모두 고려할 때, 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조직은 면적분율 기준 50 내지 80%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비교예 10 내지 1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합금조성을 만족하는 발명강 A를 가지고 열처리 시간을 변경하여 제조하였다. 그 결과 상기 제조예 1 내지 3에 비해 기계적 특성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1차 열처리가 상기 T1보다 50분 미만 수행된 비교예 10 내지 11은 상기 항복강도(YS)가 평균 427MPa, 상기 인장강도(TS)가 512MPa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3보다 15 내지 25%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샤르피 충격 에너지 또한 실시예 1 내지 3보다 35 내지 45%감소하였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1차 열처리 시간이 부족하여 강재 내부의 응력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았으며, 이에 불안정한 마르텐사이트 및 베이나이트 조직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1차 열처리가 상기 T1보다 50분 초과하여 수행된 비교예 12 내지 13은 상기 항복강도(YS)가 평균 400.5MPa, 상기 인장강도(TS)가 529MPa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3보다 15 내지 25% 감소하였다. 아울러 상기 샤르피 충격 에너지도 평균 141.5J로 상기 실시에 1 내지 3에 비해 15 내지 25% 감소하였다. 이는 강판 내 결정립이 성장하여 강판의 강도가 감소하였다는 것을 증명한다.
아울러, 상기 2차 열처리가 상기 T2보다 50분 미만 수행된 비교예 14 내지 15는 항복강도(YS)가 평균 417.5MPa, 상기 인장강도(TS)가 평균 487.5MPa 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3보다 15 내지 25% 감소하였다. 아울러 상기 샤르피 충격 에너지도 평균 161J로 상기 실시에 1 내지 3에 비해 25 내지 35%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2차 열처리가 상기 T2보다 50분 초과하여 수행된 비교예 16 내지 17은 항복강도(YS)가 평균 404MPa, 상기 인장강도(TS)가 평균 543.5MPa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3보다 20 내지 30% 감소하였다. 아울러 상기 샤르피 충격 에너지도 평균 172.5J로 상기 실시에 1 내지 3에 비해 25 내지 35%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2차 열처리의 시간이 부족 또는 초과되면 항복강도, 인장강도, 연신율 및 저온인성의 기계적 특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 C:0.10 내지 0.16중량%, Si:0.20 내지 0.35중량%, Mn:0.4 내지 0.6중량%, Cr:7.5 내지 8.5중량%, Mo:0.7 내지 1.0중량%, Al: 0.005 내지 0.05중량%, P: 0.015중량%이하, S:0.002중량%이하, Nb: 0.001 내지 0.025중량%, V: 0.25 내지 0.35중량% 포함하고,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 조직이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와 템퍼드 베이나이트의 혼합조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템퍼드 마르텐사이트는 면적분율이 50 내지 80%이며, 나머지는 템퍼드 베이나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750 내지 850℃에서 10 내지 50시간 용접후 열처리(Post Weld Heat Treatment, PWHT)에도 인장강도가 650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샤르피 충격 에너지(CVN @ -30℃) 값이 100J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 중량%로, C:0.10 내지 0.16중량%, Si:0.20 내지 0.35중량%, Mn:0.4 내지 0.6중량%, Cr:7.5 내지 8.5중량%, Mo:0.7 내지 1.0중량%, Al: 0.005 내지 0.05중량%, P:0 내지 0.015중량% S:0.002중량%이하, Nb: 0.001 내지 0.025중량%, V: 0.25 내지 0.35중량% 포함하고,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1,020 내지 1,250℃에서 재가열하는 공정;
상기 재가열된 슬라브를 압연 패스당 2.5 내지 35%의 압하율로 열간 압연하는 공정;
상기 열간 압연된 강판을 1,020 내지 1,070℃로 유지하는 1차 열처리 공정;
상기 1차 열처리된 강판을 1 내지 30℃/sec로 냉각하는 냉각 공정; 및
상기 냉각된 강판을 820 내지 845℃로 유지하는 2차 열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의 제조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열처리 시간(T1)은 하기 관계식 1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의 제조방법.
[관계식 1]
1.3×t +10 ≤ T1 ≤ 1.3×t + 30
(상기 관계식 1에서 T1은 1차 열처리를 수행하는 시간(min)을 의미하며, t는 상기 열간 압연된 강판의 두께를 의미한다.)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열처리 시간(T2)은 하기 관계식 2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의 제조방법.
[관계식 2]
1.6×t +10 ≤ T2 ≤ 1.6×t + 30
(상기 관계식 2에서 T2는 2차 열처리를 수행하는 시간(min)을 의미하며, t는 상기 열간 압연된 강판의 두께를 의미한다.)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열처리 공정 후, 750 내지 850℃에서 10 내지 50시간 동안 용접 후 열처리(PWHT) 공정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6051A KR102443670B1 (ko) | 2020-12-16 | 2020-12-16 | 고온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PCT/KR2021/016649 WO2022131570A1 (ko) | 2020-12-16 | 2021-11-15 | 고온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JP2023535675A JP2023553169A (ja) | 2020-12-16 | 2021-11-15 | 高温pwht抵抗性に優れた圧力容器用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
US18/038,604 US20240093326A1 (en) | 2020-12-16 | 2021-11-15 | Pressure vessel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high temperature pwht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CN202180083753.1A CN116724138A (zh) | 2020-12-16 | 2021-11-15 | 具有优异的高温pwht抗力的压力容器钢板及其制造方法 |
EP21906875.6A EP4265777A1 (en) | 2020-12-16 | 2021-11-15 | Pressure vessel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high temperature pwht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6051A KR102443670B1 (ko) | 2020-12-16 | 2020-12-16 | 고온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5993A true KR20220085993A (ko) | 2022-06-23 |
KR102443670B1 KR102443670B1 (ko) | 2022-09-20 |
Family
ID=8205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76051A KR102443670B1 (ko) | 2020-12-16 | 2020-12-16 | 고온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093326A1 (ko) |
EP (1) | EP4265777A1 (ko) |
JP (1) | JP2023553169A (ko) |
KR (1) | KR102443670B1 (ko) |
CN (1) | CN116724138A (ko) |
WO (1) | WO2022131570A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80755A (ja) * | 1982-10-27 | 1984-05-10 | Kawasaki Steel Corp | 溶接熱影響部の耐焼きもどしぜい性の優れたクロム・モリブデン鋼 |
JPH01319629A (ja) * | 1988-06-20 | 1989-12-25 | Nippon Steel Corp | 靭性の優れたCr−Mo鋼板の製造方法 |
JPH0885848A (ja) * | 1994-09-20 | 1996-04-02 | Sumitomo Metal Ind Ltd | 高Crフェライト系耐熱鋼 |
KR20150018868A (ko) | 2012-07-09 | 2015-02-24 |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 가교 실리콘 매트릭스 내에 캡슐화된 고체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
KR20200064581A (ko) | 2018-11-29 | 2020-06-08 | 주식회사 포스코 | 고온강도가 우수한 중고온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18868A (ja) | 2013-07-09 | 2015-01-29 | 佳達光子實業股▲分▼有限公司 | 発光ダイオード面光源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
KR101778398B1 (ko) * | 2015-12-17 | 2017-09-14 | 주식회사 포스코 | 용접 후 열처리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KR101917444B1 (ko) * | 2016-12-20 | 2018-11-09 | 주식회사 포스코 | 고온 템퍼링 열처리 및 용접 후 열처리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2020
- 2020-12-16 KR KR1020200176051A patent/KR10244367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11-15 CN CN202180083753.1A patent/CN116724138A/zh active Pending
- 2021-11-15 WO PCT/KR2021/016649 patent/WO202213157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11-15 US US18/038,604 patent/US20240093326A1/en active Pending
- 2021-11-15 JP JP2023535675A patent/JP2023553169A/ja active Pending
- 2021-11-15 EP EP21906875.6A patent/EP4265777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80755A (ja) * | 1982-10-27 | 1984-05-10 | Kawasaki Steel Corp | 溶接熱影響部の耐焼きもどしぜい性の優れたクロム・モリブデン鋼 |
JPH01319629A (ja) * | 1988-06-20 | 1989-12-25 | Nippon Steel Corp | 靭性の優れたCr−Mo鋼板の製造方法 |
JPH0885848A (ja) * | 1994-09-20 | 1996-04-02 | Sumitomo Metal Ind Ltd | 高Crフェライト系耐熱鋼 |
KR20150018868A (ko) | 2012-07-09 | 2015-02-24 |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 가교 실리콘 매트릭스 내에 캡슐화된 고체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
KR20200064581A (ko) | 2018-11-29 | 2020-06-08 | 주식회사 포스코 | 고온강도가 우수한 중고온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265777A1 (en) | 2023-10-25 |
CN116724138A (zh) | 2023-09-08 |
JP2023553169A (ja) | 2023-12-20 |
KR102443670B1 (ko) | 2022-09-20 |
US20240093326A1 (en) | 2024-03-21 |
WO2022131570A1 (ko) | 2022-06-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76741B1 (ko) | 구멍확장성이 높은 고강도 냉연강판,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KR100957970B1 (ko) | 후물 고강도 고인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1998991B1 (ko) | 인장강도 및 저온충격인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1977489B1 (ko) | 저온인성이 우수한 용접강관용 강재, 용접후열처리된 강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KR20110062903A (ko) | 표면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1917454B1 (ko) | 고강도 고인성 후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917444B1 (ko) | 고온 템퍼링 열처리 및 용접 후 열처리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50101734A (ko) | 압력용기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40056760A (ko) | 압력용기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70074319A (ko) | 저온인성 및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후판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1304822B1 (ko) | 피로균열 진전 억제 특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49426B1 (ko) |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43670B1 (ko) | 고온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86258B1 (ko) | 용접 열영향부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21319B1 (ko) | 연성과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899736B1 (ko) | 저온인성 및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후판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1166967B1 (ko) | 고강도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808440B1 (ko) | 인버티드 앵글용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60078772A (ko) | 용접열영향부 인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13841B1 (ko) | 우수한 용접후 열처리 강도 및 저온 인성을 가지는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75606B1 (ko) |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
KR20190049154A (ko) | 용접성이 우수한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435258B1 (ko) | 강재 제조 방법 | |
KR102280641B1 (ko) | 고온 용접후열처리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2200225B1 (ko) | 극저온 횡팽창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