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861A -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시스템 및 개인건강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시스템 및 개인건강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861A
KR20220085861A KR1020200175105A KR20200175105A KR20220085861A KR 20220085861 A KR20220085861 A KR 20220085861A KR 1020200175105 A KR1020200175105 A KR 1020200175105A KR 20200175105 A KR20200175105 A KR 20200175105A KR 20220085861 A KR20220085861 A KR 20220085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personal health
user
terminal devic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4148B1 (ko
Inventor
황경숙
Original Assignee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5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148B1/ko
Publication of KR20220085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Evaluation by breath analysis, e.g.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xhaled bre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91Measuring volume of inspired or expired gases, e.g. to determine lung capa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건강확인시스템 및 개인건강확인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시스템은 마스크와 관련해 기발급된 고유코드를 근거로 온라인상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및 건강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및 사용자 단말장치로 고유코드를 발급하고, 마스크를 배송하는 병원 또는 검사소로 마스크의 배송을 요청하며, 제공한 건강상태 정보 및 배송한 마스크의 착용에 따른 검사 결과를 관리하는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시스템 및 개인건강관리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Checking Health of Person by Using Mask}
본 발명은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건강확인시스템 및 개인건강확인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마스크의 특성을 활용하여 개인 건강을 확인할 수 있는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건강확인시스템 및 개인건강확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도화되는 사회에 있어서 환경 오염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일반인들이 생활하는 환경대기에는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대거 포함되어 있어 이러한 미세먼지와 황사가 사람의 호흡기로 유입됨으로써, 각종 질병을 야기하는 등 사람에게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코로나 등으로 인해 마스크 착용이 일상이 되어왔다. 이러한 마스크는 사용 후 폐기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그 이유는 각종 마스크를 착용한 사람의 바이러스 및 세균에 노출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반대 측면에서 보면 마스크를 착용한 사람이 가지고 있는 건강 문제를 파악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이를 적극 활용하기 위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6721호(2020.01.2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3596호(2017.12.06)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마스크의 특성을 활용하여 개인 건강을 확인할 수 있는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건강확인시스템 및 개인건강확인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시스템은 마스크(mask)와 관련해 기발급된 고유코드를 근거로 온라인상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및 건강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고유코드를 발급하고, 상기 마스크를 배송하는 병원 또는 검사소로 상기 마스크의 배송을 요청하며, 상기 제공한 건강상태 정보 및 상기 배송한 마스크의 착용에 따른 검사 결과를 관리하는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개인건강관리시스템은 상기 병원 또는 상기 검사소에서 운영하며, 상기 검사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거나 상기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에 등록시키는 서드파티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는 각종 세균에 반응하는 반응패치를 포함하며, 폐활량 및 착용시간을 감지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상기 사용자의 구취를 감지하는 구취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구취가 있는 경우 식사 전후, 공복시를 포함하는 구취 관련 정보를 상기 건강상태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근거로 배송할 마스크의 사용방법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방법은, 사용자 단말장치가, 마스크와 관련해 기발급된 고유코드를 근거로 온라인상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및 건강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고유코드를 발급하고, 상기 마스크를 배송하는 병원 또는 검사소로 상기 마스크의 배송을 요청하며, 상기 제공한 건강 상태 정보 및 상기 배송한 마스크의 착용에 따른 검사 결과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가 일상 생활화되면서 마스크를 이용해 사용자들의 건강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개인 건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마스크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1의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마스크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시스템(이하, 건강관리시스템)(90)은 사용자 단말장치(100), 마스크(105), 통신망(110),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120) 및 서드파티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서드파티장치(1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건강관리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12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1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가령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120) 등에서 마스크(105)를 구매한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을 포함한다. 물론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스마트폰 이외에도 태블릿PC나 국내S사의 갤럭시기어와 같은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마스크별로 발급된 고유코드, 가령 QR 코드 등을 인식하여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의 단말이어도 무관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고유코드를 통해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하여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물론 인적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구매하고자 하는 마스크(105)를 배송할 병원 또는 검사소를 지정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병원이나 검사소를 지정하는 것으로 예시하지만, 마스크를 구매하는 곳과 별도로 자신의 개인건강을 관리해 줄 병원이나 검사소를 지정하는 것으로 이해해도 좋을 것이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는 자신이 구매한 마스크(105)를 수거하여 검사를 진행할 병원이나 검사소를 지정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자신의 기저질환 및 현재의 건강상태 정보를 더 입력할 수 있다. 물론 입력한 정보는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120)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하여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자신의 개인정보나 건강상태 등과 관련한 건강상태 정보 등을 제공하고 나면, 자신이 구매하는 또는 정부에서 범용으로 제공하는 마스크(105)의 사용방법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텍스트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지만, 동영상을 제공하거나 기제작된 동영상에 링크하기 위한 링크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마스크 사용방법은 각 기저질환 등에 따른 구체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간에 기침 및 가래가 있는 경우 해당 시간에 착용을 알려주고, 수면 무호흡 증상이 있는 경우 수면 시간에 착용을 알려주고, 구취가 있는 경우 식사 전후 또는 공복시 등으로 지정하여 알려주게 된다.
마스크(105)는 일반 마스크 판매소에서 구매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국민의 건강을 관리한다는 측면에서 매번 혹은 주기적으로 병원이나 검사소에서 제공하는 형태로 판매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해당 마스크(105)를 통해 가령 기저질환이 있는 사용자들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저질환이 있는 사용자들을 상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도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마스크(10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00), 제어부(210), 센싱부(220), 메모리부(230) 및 반응패치부(2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물론 QR 코드와 같은 고유코드가 인쇄 또는 태그(tag)의 형태로 부착될 수도 있다. 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모듈로 마스크(105)의 내부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주변의 사용자 단말장치(100) 또는 도 1의 통신망(110)을 통해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120)로 전송하기 위해 동작할 수 있다. 메모리부(230)는 램(RAM)이나 롬(ROM) 등의 메모리칩을 포함하며 데이터를 저장한다. 반응패치부(240)는 각종 세균에 따른 반응을 보이는 패치(patch)를 포함한다. 또한 센싱부(220)는 폐활량을 확인할 수 있는 압력센서(혹은 제1 센서), 착용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착용센서(혹은 제2 센서), 구취감지센서(혹은 제3 센서)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각종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데이터를 메모리부(230)에 저장한 후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120)로 제공하거나, 마스크(105)의 사용이 완료되어 해당 마스크(105)를 보급한 병원이나 검사소에서 검사가 이루어질 때 해당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1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1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1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120)는 각 판매되는 마스크별로 QR 코드 등의 고유코드를 발급한다. 여기서, 고유코드의 발급은 직간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직접 판매가 이루어지는 경우 구매와 함께 고유코드가 발급될 수 있다. 마스크(105)의 배송이 이루어지기 전이지만,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120)는 발급한 고유코드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접속이 있으면 사용자의 인적사항 등과 같은 사용자 정보를 제공받고, 또 마스크(105)를 배송하여 개인의 건강을 관리해 줄 병원이나 검사소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기저질환 및 현재의 건강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DB(120a)에 저장한 후 관리할 수 있으며, 구매하는 마스크와 관련한 사용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대로 사용방법과 관련해서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표적으로 특정 시간에 기침이나 가래가 있는 경우 해당 시간에 착용을 알려주는 것이다.
또한,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120)는 병원이나 검사소에서 운영하는 컴퓨터, 서버 등의 서드파티장치(13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들의 검사결과를 등록시키고,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통지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검사 결과의 통지가 서드파티장치(130)에서 개별적으로 통지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지만, 마스크(105)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별 검사결과는 통합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저질환이 있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더 빈번하게 마스크(105)를 통한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검사 주기를 결정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서드파티장치(130)는 병원이나 검사소에서 운영하는 컴퓨터나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구매한 마스크(105)를 배송하는 배송업체의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드파티장치(130)는 보급한 마스크(105)의 사용 기한이 경과되면 바로 마스크(105)를 수거하는 수거업체의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서드파티장치(130)는 해당 직원들의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드파티(3rd party)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이외에 부수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모든 업체와 그 업체의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서드파티장치(130)는 병원이나 검사소의 경우 수거한 마스크(105)를 수거하여 검사하고 해당 마스크(105)의 착용자에 대한 검사 결과를 취득할 수 있으며, 취득한 검사결과는 내부 서버나 컴퓨터에 저장하거나,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120)에 등록한 후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검사 결과를 통지하거나 통지하도록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120)에 요청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개인건강관리부(320) 및 저장부(3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3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개인건강관리부(3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3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도 1의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 및 서드파티장치(130)와 각각 통신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접속하여 마스크(105) 구매시 고유코드를 발급할 수 있으며, 물론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구매한 마스크(105)의 고유코드 가령 QR 코드를 인식시켜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기발급된 고유코드를 근거로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인적사항 등의 사용자 정보, 지정 병원이나 검사소와 관련한 정보, 그리고 기저질환 및 현재의 건강상태 등과 관련한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3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제어부(31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마스크(105)의 사용방법과 관련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이 완료된 마스크(105)를 통해 자신의 건강과 관련한 검사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들이 구매하여 사용한 마스크(105)는 일종의 진단기로서 활용된다고 볼 수 있다.
제어부(310)는 도 3의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120)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개인건강관리부(320) 및 저장부(3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대표적으로, 마스크(105)의 구매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의 과정에서 구매한 마스크(105)를 수거하여 검진을 수행할 수 있는 병원이나 검사소를 지정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병원이나 검사소에서 사용자의 마스크(105)를 수거하여 개인 건강의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3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를 제어하여 도 1의 서드파티장치(1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사용자가 마스크(105)를 구매할 때 발급되는 고유코드를 근거로 사용자들을 관리하고, 해당 고유코드에 매칭되어서는 마스크(105)를 구매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기저질환 등의 건강상태 정보 등이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5)는 대량 구매보다는 소량의 한정 판매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인의 건강을 확인하기 위한 진단기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10)는 개인건강관리부(320)를 제어하여 내부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개인의 건강 관리를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개인건강관리부(320)는 마스크(105)를 통해 개인의 건강을 관리한다. 또한 마스크(105)를 구매한 사용자들이 기저질환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이의 정보와 마스크(105)를 통한 검사결과를 근거로 새로운 질병 등을 예측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폐활량 등을 관리하고, 어떠한 세균에 노출되어 있는지를 관리할 수 있으며, 구취 상태를 관리할 수도 있다. 가령, 사용자가 수면 무호흡 증상이 있는 경우라면 수면 시간에 마스크(105)를 착용하도록 권고하고, 구취가 있는 경우에는 식사 전후 또는 공복시 등을 지정하여 사용방법 안내시 통지하여 정확한 개인 건강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개인건강관리부(320)는 이외에도 사용자들마다 건강 데이터를 저장하여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인공지능(AI) 프로그램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예상되는 질병을 예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를 사용한 사용자의 주소정보를 근거로 동태를 파악하고, 다른 사용자와 동선이 겹치면서 해당 사용자가 기저질환자인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에게 코로나 등과 같은 감염질환에 감염될 수 있는 위험발생율이 높다는 것을 인지시켜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105)는 코로나 등의 바이러스뿐 아니라 미세먼지나 황사와 같은 환경 오염에 의해서도 각종 질병을 야기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마스크(105)를 활용하여 사용자들의 건강을 효율적으로, 그리고 국가나 정부 차원에서는 국민의 건강관리의 의무를 다할 수 있게 된다.
저장부(330)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330)는 사용자가 구매하는 마스크(105)와 관련한 사용방법에 대한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10)는 저장부(330)로부터 해당 동영상의 불러내어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12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마스크별 고유코드를 발급할 수 있다(S400). 물론 이는 마스크(105)의 구매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QR 코드와 같은 고유코드를 통해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하여 사용자 정보 및 마스크 송달 병원 또는 검사소를 지정할 수 있다(S410). 지정 병원이나 검사소는 자신이 착용한 마스크(105)에 대한 검사를 진행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의 기저질환이나 현재의 건강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120)로 제공한다(S420).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12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통한 마스크(105)의 구매 요청에 따라 병원이나 검사소 등이 운영하는 서드파티장치(130)로 마스크 배송을 요청할 수 있다(S430).
또한, 서드파티장치(130)를 운영하는 업체 또는 기관에서는 배송한 마스크(105)의 사용기한이 완료되면 해당 마스크(105)를 수거하고, 수거한 마스크(105)를 검사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검진할 수 있다(S440).
그리고, 서드파티장치(130)는 마스크(105)의 검사결과를 직간접적으로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S450). 여기서, 직접이란 서드파티장치(130)에서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SMS 메시지나 이메일 등을 통해 건강 상태를 통지하거나, 간접이란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120)에 검사 결과를 등록하여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120)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통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 도 6의 개인건강관리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120)는 사용자의 마스크 구매에 따라 발급되는 고유코드를 근거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건강상태 정보 및 마스크(105)의 검사를 위한 병원 또는 검사소의 지정 정보를 수신한다(S500).
또한,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12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마스크(105)의 사용방법을 전송하고, 병원 또는 검사소로 마스크(105)의 배송을 요청하며,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 및 배송한 마스크(105)의 착용에 따른 검사결과를 관리한다(S510).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5의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12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장치 105: 마스크
110: 통신망 120: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
130: 서드파티장치 200, 300: 통신부(혹은 통신 인터페이스부)
210, 310: 제어부 220: 센싱부
230: 메모리부 240: 반응패치부
320: 개인건강관리부 330: 저장부

Claims (7)

  1. 마스크(mask)와 관련해 기발급된 고유코드를 근거로 온라인상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및 건강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고유코드를 발급하고, 상기 마스크를 배송하는 병원 또는 검사소로 상기 마스크의 배송을 요청하며, 상기 제공한 건강상태 정보 및 상기 배송한 마스크의 착용에 따른 검사 결과를 관리하는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를
    포함하는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또는 상기 검사소에서 운영하며, 상기 검사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거나 상기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에 등록시키는 서드파티장치;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각종 세균에 반응하는 반응패치를 포함하며, 폐활량 및 착용시간을 감지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사용자의 구취를 감지하는 구취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구취가 있는 경우 식사 전후, 공복시를 포함하는 구취 관련 정보를 상기 건강 상태 정보로서 제공하는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근거로 배송할 마스크의 사용방법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시스템.
  7. 사용자 단말장치가, 마스크와 관련해 기발급된 고유코드를 근거로 온라인상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및 건강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개인건강확인서비스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고유코드를 발급하고, 상기 마스크를 배송하는 병원 또는 검사소로 상기 마스크의 배송을 요청하며, 상기 제공한 건강 상태 정보 및 상기 배송한 마스크의 착용에 따른 검사 결과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방법.
KR1020200175105A 2020-12-15 2020-12-15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시스템 및 개인건강관리방법 KR102504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105A KR102504148B1 (ko) 2020-12-15 2020-12-15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시스템 및 개인건강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105A KR102504148B1 (ko) 2020-12-15 2020-12-15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시스템 및 개인건강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861A true KR20220085861A (ko) 2022-06-23
KR102504148B1 KR102504148B1 (ko) 2023-02-27

Family

ID=82221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105A KR102504148B1 (ko) 2020-12-15 2020-12-15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시스템 및 개인건강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1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098B1 (ko) * 2023-06-27 2024-03-15 김천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코마개를 이용한 호흡량 측정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3596A (ko) 2016-05-26 2017-12-06 김승환 스마트 마스크 시스템
KR20200006721A (ko) 2018-07-11 2020-01-21 한아름 센서가 포함된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KR20200106666A (ko) * 2019-03-05 2020-09-15 주식회사 한진지티씨 배기정화형 공기 청정 마스크를 이용한 질병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3596A (ko) 2016-05-26 2017-12-06 김승환 스마트 마스크 시스템
KR20200006721A (ko) 2018-07-11 2020-01-21 한아름 센서가 포함된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KR20200106666A (ko) * 2019-03-05 2020-09-15 주식회사 한진지티씨 배기정화형 공기 청정 마스크를 이용한 질병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148B1 (ko) 202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rg et al. Anonymity preserving IoT-based COVID-19 and other infectious disease contact tracing model
US7941096B2 (en) Wireless tracking system and method utilizing near-field communication devices
Josseran et al. Assessment of a syndromic surveillance system based on morbidity data: results from the Oscour® Network during a heat wave
US9237243B2 (en) Emergency incident categorization and alerting
US20110068892A1 (en) Wireless Tracking System And Method Utilizing Near-Field Communication Devices
US20100256983A1 (en) Wireless Tracking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n Interaction Between Objects
CN109544268B (zh) 信息推送方法、装置、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10201898A1 (en) Wireless healthcare smart grid
KR20060103014A (ko) 애프터서비스 정보 수집, 신청, 접수 장치와 그 방법
US20160179849A1 (en) Machine to machine data aggregator
US10056159B1 (en)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resource utilization management
Gilbert et al. Public health surveillance
CN104537466A (zh) 幼儿园安全健康管理的方法及系统
CN106357480A (zh) 监测应用的网络性能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102504148B1 (ko) 마스크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시스템 및 개인건강관리방법
JP2017117394A (ja) 生成装置、生成方法及び生成プログラム
CN112562866A (zh) 检测系统、检测方法、检测装置和存储介质
JP2019028911A (ja) データ提供システム、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データ提供方法
CN104618465A (zh) 医疗物联网健康服务平台及系统
KR102512744B1 (ko) 백신 헬스케어 솔루션 제공방법
Tizzani et al. Integrating digital and field surveillance as complementary efforts to manage epidemic diseases of livestock: African swine fever as a case study
KR20130035267A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소변분석장치와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JP6560058B2 (ja) 健康管理支援システムおよび健康管理支援プログラム
TW202137085A (zh) 計算活動期間及效率的方法
Bahri Enhancing quality of data through automated SARS contact tracing method using RFID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