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632A -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 및 이를 위한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 - Google Patents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 및 이를 위한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632A
KR20220085632A KR1020200175852A KR20200175852A KR20220085632A KR 20220085632 A KR20220085632 A KR 20220085632A KR 1020200175852 A KR1020200175852 A KR 1020200175852A KR 20200175852 A KR20200175852 A KR 20200175852A KR 20220085632 A KR20220085632 A KR 20220085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ing material
mask
filtering
frame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5804B1 (ko
Inventor
은익수
Original Assignee
은익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익수 filed Critical 은익수
Priority to KR1020200175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804B1/ko
Priority to PCT/KR2021/017203 priority patent/WO2022131599A1/ko
Publication of KR20220085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큰 필터링 표면을 제공하므로 착용자의 호흡이 편하고, 얼굴과 필터링 소재의 틈새 사이로 공기가 출입하는 것이 억제되고, 안경에 김이 서리는 것이 방지되는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마스크는 입과 콧구멍을 둘러싸는 개방구멍을 구비하고 착용자의 얼굴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내측 필터링 표면을 제공하는 내측 필터링 소재와 상기 내측 필터링 소재와 연결되어 상기 개방구멍을 제외하고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 필터링 표면 반대편의 외측 필터링 표면을 제공하는 외측 필터링 소재를 포함하는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Description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 및 이를 위한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Mask with large filtering surface and side open encapsulation type filter for the same}
본 발명의 마스크의 개선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미세먼지나 바이러스 또는 유해 세균이 호흡기를 통해 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마스크의 개선에 관련된 것이다.
최근 들어, 미세먼지가 증가하고 코로나 바이러스 등의 전염으로 인해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일상화 되었다.
마스크는 입과 코를 덮을 수 있는 필터링 소재의 양측에 착용자의 귀에 걸기 위한 고리를 설치한 기본 구성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필터링 소재는 겉감, 필터, 안감 등의 다중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경우에 따라, 겉감과 안감 사이에 중간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필터는 외부로부터의 입자 등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필터 기능이 있는 부직포를 사용한다. 부직포는 정전기 처리를 한 것으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멜트블로운(MB) 장비로 방사한 후, 포(布)상으로 만든 것이다. 또한, 스펀본드 장비를 함께 이용하여 제조한 것 (Spunbond-Meltblown-Spunbond, SMS)도 사용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필터 부직포(에스엠에스)를 필터로 사용하면서 겉감 또는 안감의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 구성에 새로 기능을 가지도록 한 다양한 기능의 마스크가 개발되어 있다. 그 일례로 공개번호 10-2010-0055715호(발명의 명칭: 마스크, 발명자: 이성엽)의 공개특허공보에, 인체공학적으로 제작된 부직포의 경직성으로 인하여 입과 콧구멍 부분이 피부에 직접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호흡기 사이에 공간이 형성하므로 호흡이 원활하고 착용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얼굴의 눈 아래 측을 대부분 덮개 되므로 자외선 차단효과를 향상시키고 황사나 미세먼지 또는 매연 등을 효율적으로 걸러 호흡에 따른 유해물질이 인체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종래의 마스크는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일반적으로, 마스크의 필터링 소재는 바이러스나 유해 세균이 호흡 시 바이러스나 유해 세균을 걸러줄 수 있도록 치밀한 구성과 밀폐성을 가져야 함과 아울러 착용자의 호흡에 충분한 공기가 원활히 출입할 수 있어야 하는데, 종래의 마스크 구조로는 두 가지 사항이 서로 상반되므로 둘 모두를 동시에 충분히 만족시키기 어렵다.
둘째, 종래의 마스크는 안면의 많은 부분을 필터링 소재로 덮는 구조이기 때문에 날씨가 더운 계절에는 땀이 많이 나는 등 불편하고 피부 트러블을 많이 발생시킨다.
셋째, 종래의 마스크는 외부 기온이 많이 내려갈 때에는 마스크의 구조상 내쉬는 숨이 얼굴과 필터링 소재 틈사이로 직상방으로 위로 올라가 안경에 김이 서리어 시각적으로 불편함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마스크에 비해 필터링 표면적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필터를 통해 출입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켜 충분한 밀폐성을 유지하면서도 호흡 시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도록 해주는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스크에 의해 덮이는 얼굴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피부 트러블을 줄일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날숨이 얼굴과 필터링 소재 틈사이를 통해 직상방으로 위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 기온이 낮은 경우에도 안경에 김이 서리지 않도록 해주는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는 입과 콧구멍을 둘러싸는 경로로 형성되고 내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되게 접촉되는 접촉부재; 상기 개구부와 통하는 개방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면 쪽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얼굴과 이격되는 내측 필터링 표면을 제공하는 내측 필터링 소재와 상기 내측 필터링 소재와 연결되어 상기 개방구멍을 제외하고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 필터링 표면 반대편의 외측 필터링 표면을 제공하는 외측 필터링 소재를 포함하는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착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된 고리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상기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는 상기 내측 필터링 소재와 상기 외측 필터링 소재를 연결하여 측면 필터링 표면을 제공하는 측면 필터링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외면을 따라 홈 또는 돌기 형태의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는 돌기 또는 홈형태의 제2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개방구멍에 인접한 상기 내측 필터링 소재의 가장자리를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내측 필터링 소재에 일체로 부착되어 상기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를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때에 따라, 상기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를 상기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개방구멍에 인접한 상기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결합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이고 나머지 하나는 자석 또는 자성체로 구성되어 상기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를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석은 플라스틱 자석일 수 있다.
때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는 입과 콧구멍을 둘러싸는 개방구멍을 구비하고 착용자의 얼굴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내측 필터링 표면을 제공하는 내측 필터링 소재와 상기 내측 필터링 소재와 연결되어 상기 개방구멍을 제외하고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 필터링 표면 반대편의 외측 필터링 표면을 제공하는 외측 필터링 소재를 포함하는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 및 상기 내측 필터링 소재의 바깥쪽 가장자리보다는 상기 개방구멍에 더 가까운 위치의 상기 내측 필터링 소재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된 한 쌍의 고리를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고리와 함께 보강 시트가 상기 개방구멍에 인접한 상기 내측 필터링 소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보강 시트의 표면에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되게 접촉되는 접촉부재가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는 입과 콧구멍을 둘러싸는 개방구멍을 구비하고 착용자의 얼굴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내측 필터링 표면을 제공하는 내측 필터링 소재와 상기 내측 필터링 소재와 연결되어 상기 개방구멍을 제외하고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 필터링 표면 반대편의 외측 필터링 표면을 제공하는 외측 필터링 소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상기 개방구멍 둘레의 상기 내측 필터링 소재를 따라 소정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마스크에 비해 1.5배 내지 2.5배 정도의 필터링 표면을 제공하므로 착용자의 호흡이 편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자의 얼굴과 필터링 소재의 틈새 사이로 공기가 출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가 착용자의 얼굴을 덮는 면적이 적어서 피부 트러블이 거의 생기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날숨이 얼굴과 필터링 소재 사이의 틈새를 통해 안경 쪽으로 올라가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안경에 김이 서리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만 교체하여 프레임을 재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의 사시도,
도 2는 도 1 마스크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에 따른 마스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를 만드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를 프레임에서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도 4와 도 5에 나타낸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마스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에 따른 마스크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100)는 프레임(110)을 구비한다. 프레임(110)은 마스크(100) 착용자의 입과 콧구멍을 둘러싸는 경로로 형성되며 내부에 형성된 개구부(112)를 가진다. 이러한 프레임(110)의 얼굴과 마주하는 표면을 따라, 바람직하게, 홈(114)이 형성되고, 홈(114)에는 스펀지 등으로 구성되고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되게 접촉되는 접촉부재(120)가 결합된다.
또한, 이 실시 예의 프레임(110)은 외면을 따라 돌기 형태의 제1결합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프레임(110)의 좌우 양측에 착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된 고리(13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100)는 개구부(112)와 통하는 개방구멍(142)을 구비하여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140)를 가진다.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140)는 프레임(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프레임(110)의 외면 쪽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얼굴과 이격되는 내측 필터링 표면을 제공하는 내측 필터링 소재(144)와 내측 필터링 소재(144)에 직, 간접으로 연결되어 내측 필터링 소재(144)와 함께 개방구멍(142)을 제외하고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내측 필터링 표면 반대편의 외측 필터링 표면을 제공하는 외측 필터링 소재(146)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이 실시 예의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140)는 내측 필터링 소재(144)와 외측 필터링 소재(146)를 연결하여 측면 필터링 표면을 제공하는 측면 필터링 소재(148)를 구비하여 육면체 형상을 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140)는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 및 측면 표면에서 각각 외기와 접하므로 종래의 마스크에 비해 1.5배 이상, 약 2.5배 정도까지의 매우 큰 필터링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100)는 돌기 형태의 제1결합부(116)에 결합되는 홈형태의 제2결합부(152)를 가지는 결합부재(150)를 구비한다. 이 결합부재(150)는 개방구멍(142)에 인접한 내측 필터링 소재(144)의 가장자리를 프레임(110)의 외면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 실시 예의 결합부재(150)는 개방구멍(142)을 통해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140)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내측 필터링 소재(144)를 사이에 두고 제2결합부(152)를 통해 제1결합부(116)에 결합되어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140)를 프레임(110)에 고정한다. 이러한 제1결합부(116)와 제2결합부(152)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홈 형태와 돌기 형태가 서로 위치를 바꾸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100)는 접촉부재(120)를 통해 입과 콧구멍 주위를 따라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되어 얼굴의 최소한의 부분만 가리고, 날숨이 얼굴과 필터링 소재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위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 또는 최대한 억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를 만드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때에 따라, 개방구멍(142) 주위를 따라 결합부재(150)의 제2결합부(152)로서 판상의 자성체(152a)를 부착한 "ㄷ"자 단면모양의 내측 필터링 소재(144)와 "ㄷ"자 단면모양의 외측 필터링 소재(146)를 상하 양측 가장자리를 안쪽으로 접어서 또는 바깥으로 접어서 서로 접착하여 좌우의 양쪽 측면이 개방된 판상의 관 형태로 만들고, 내측 필터링 소재(144)와 외측 필터링 소재(146)의 좌우의 양측 가장자리를 서로 접착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의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140)를 만들 수 있다. 판상의 자성체(152a)로는 판상의 철판이나 고무 자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140)는 종래의 마스크에 비해 약 1.5배 내지 2배 정도의 필터링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10)의 외면에는 제1결합부(117)로서 자석(117a)이 설치되고, 얼굴과 마주하는 표면에는 스펀지 등으로 된 접촉부재(120)가 부착된다. 자석(117a)으로는 고무로 된 자석이 사용될 수 있다. 때에 따라,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140)의 자성체(152a)가 자석인 경우, 프레임(110)의 외면에 철판 등의 자석이 아닌 자성체가 부착될 수 있다.
즉, 프레임(110)과 결합부재(150)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이고 나머지 하나는 자석 또는 자석이 아닌 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100)를 구성하는 경우,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140)를 매우 쉽게 교체할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를 프레임에서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때에 따라, 접촉부재(120)는 접착제를 통해 또는 열융착을 통해 프레임(110)의 얼굴과 마주하는 표면을 따라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10)의 외면에는 홈형태의 제1결합부(116)가 형성되고,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140)에는 돌기형태의 제2결합부(152)가 형성된 결합부재(150)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100) 역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장점을 모두 가지며, 필요 시 제1결합부(116)와 제2결합부(152)를 통해 쉽게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140)를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다.
돌기 형태의 제2결합부(152)의 단면 모양은 원형이 아닌 사각형 등의 여타의 단면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110)의 외면에 형성되는 홈형태의 제1결합부(116)의 단면 모양도 제2결합부(152)의 단면모양에 맞추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8은 도 4와 도 5에 나타낸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때에 따라,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140)는 내측 필터링 소재(144)와 외측 필터링 소재(146)의 상하의 양측 가장자리가 바깥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서로 접착된 상태에서 좌우의 양측 가장자리가 서로 접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10)은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140)에 직접 부착되어 구성되거나, 도 1 내지 도 7을 통해서 설명한 것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때에 따라,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140)는 프레임(110)의 외면에 일체로 부착된 형태로 본 발명에 따른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1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 실시 예는 프레임(110)에서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140)를 교체하여 장착할 수는 없다.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때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100)는 프레임과 결합부재 없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착용자의 귀나 다른 신체부위에 걸기 위한 고리(130)를 내측 필터링 소재(144)에 직접 연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1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고리(130)는 내측 필터링 소재(144)의 바깥쪽 가장자리보다는 개방구멍(142)에 가까운 위치에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한 쌍의 고리(130)와 함께 폴리프로필렌 시트 등의 플라스틱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보강 시트(144a), 바람직하게, 필터와 같은 소재로 된 보강 시트(144a)가 개방구멍(142)에 인접한 내측 필터링 소재(144)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착용자의 얼굴과 마주하는 보강 시트의 표면에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되게 접촉되는 스펀지 등의 접촉부재(120)를 부착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구성하는 경우, 앞 실시 예에서 설명한 플라스틱 등으로 된 프레임을 필요치 않다. 본 발명에 따른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100)가 이렇게 구성되더라도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대부분의 효과를 그대로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먼지나 바이러스 등이 호흡기를 통해 인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마스크를 만드는데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100: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 110: 프레임
112: 개구부 116, 117: 제1결합부
117a: 자석 120: 접촉부재
130: 고리 140: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
142: 개방구멍 144: 내측 필터링 소재
146: 외측 필터링 소재 148: 측면 필터링 소재
150: 결합부재 152: 제2결합부
152: 제2결합부 152a: 판상의 자성체

Claims (8)

  1. 입과 콧구멍을 둘러싸는 경로로 형성되고 내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표면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되게 접촉되는 접촉부재;
    상기 개구부와 통하는 개방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면 쪽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얼굴과 이격되는 내측 필터링 표면을 제공하는 내측 필터링 소재와 상기 내측 필터링 소재와 연결되어 상기 개방구멍을 제외하고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 필터링 표면 반대편의 외측 필터링 표면을 제공하는 외측 필터링 소재를 포함하는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착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된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
  2. 제1항에서, 상기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는 상기 내측 필터링 소재와 상기 외측 필터링 소재를 연결하여 측면 필터링 표면을 제공하는 측면 필터링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프레임의 외면을 따라 홈 또는 돌기 형태의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는 돌기 또는 홈형태의 제2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개방구멍에 인접한 상기 내측 필터링 소재의 가장자리를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
  4. 제3항에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내측 필터링 소재에 일체로 부착되어 상기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를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
  5. 입과 콧구멍을 둘러싸는 개방구멍을 구비하고 착용자의 얼굴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내측 필터링 표면을 제공하는 내측 필터링 소재와 상기 내측 필터링 소재와 연결되어 상기 개방구멍을 제외하고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 필터링 표면 반대편의 외측 필터링 표면을 제공하는 외측 필터링 소재를 포함하는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 및
    상기 내측 필터링 소재의 바깥쪽 가장자리보다는 상기 개방구멍에 더 가까운 위치의 상기 내측 필터링 소재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된 한 쌍의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
  6. 제5항에서, 한 쌍의 상기 고리와 함께 보강 시트가 상기 개방구멍에 인접한 상기 내측 필터링 소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보강 시트의 표면에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되게 접촉되는 접촉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
  7. 입과 콧구멍을 둘러싸는 개방구멍을 구비하고 착용자의 얼굴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내측 필터링 표면을 제공하는 내측 필터링 소재와 상기 내측 필터링 소재와 연결되어 상기 개방구멍을 제외하고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 필터링 표면 반대편의 외측 필터링 표면을 제공하는 외측 필터링 소재를 포함하는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
  8. 제7항에서, 상기 개방구멍 둘레의 상기 내측 필터링 소재를 따라 소정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
KR1020200175852A 2020-12-15 2020-12-15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 및 이를 위한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 KR102565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852A KR102565804B1 (ko) 2020-12-15 2020-12-15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 및 이를 위한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
PCT/KR2021/017203 WO2022131599A1 (ko) 2020-12-15 2021-11-22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 및 이를 위한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852A KR102565804B1 (ko) 2020-12-15 2020-12-15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 및 이를 위한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632A true KR20220085632A (ko) 2022-06-22
KR102565804B1 KR102565804B1 (ko) 2023-08-10

Family

ID=8205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852A KR102565804B1 (ko) 2020-12-15 2020-12-15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 및 이를 위한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65804B1 (ko)
WO (1) WO202213159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9995A1 (en) * 2007-09-26 2010-08-12 Institute For Applied Science, Inc. Low profile filter respirator
KR20100010215U (ko) * 2009-04-09 2010-10-19 정정대 방진 마스크용 필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6313B2 (ja) * 1994-07-29 1999-05-31 興研株式会社 取替え式防じんマスク
KR100900755B1 (ko) * 2007-12-24 2009-06-02 노승국 마스크용 필터 및 마스크
KR100961411B1 (ko) * 2009-08-04 2010-06-09 (주)씨앤투스 안면 마스크용 필터 카트리지
CN210904723U (zh) * 2019-09-11 2020-07-03 泰安市恒昌劳动防护用品有限公司 一种双侧过滤式过滤元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9995A1 (en) * 2007-09-26 2010-08-12 Institute For Applied Science, Inc. Low profile filter respirator
KR20100010215U (ko) * 2009-04-09 2010-10-19 정정대 방진 마스크용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5804B1 (ko) 2023-08-10
WO2022131599A1 (ko)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7036B2 (en) Unpowered respiratory protective headset and body suit and additional improvements to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CN101641137B (zh) 用于面罩的过滤器及采用该过滤器的面罩
EP3661379A1 (en) Face mask having transparent plastic piece
KR101787486B1 (ko) 밀폐성이 개선된 안면부 여과식 마스크
US20140326245A1 (en) Medical Face Mask with Sealing Strip
KR101455070B1 (ko) 탈착 가능한 마스크 패드가 구비된 두건
CA2374925A1 (en) Face mask with fan attachment
CN115768297A (zh) 防传染面罩
KR101439123B1 (ko) 방진마스크
US11154102B1 (en) Self-adhesive nasal mask
CN111685413A (zh) 滤嘴拆卸式防护口罩
US20210298387A1 (en) Protective mask accessories
WO2021231369A1 (en) Facial mask with expandable rib structures
JP2015009151A (ja) 医療用フェースマスク
KR102565804B1 (ko) 큰 필터링 표면을 가지는 마스크 및 이를 위한 측면개방 봉지형 필터
KR20210060062A (ko) 미세먼지용 코 마스크
KR20190001328A (ko) 탈부착식 방재 마스크
KR200496140Y1 (ko) 마스크 커버 및 마스크 어셈블리
CN214903928U (zh) 滤布方便更换的密封式防护衣
KR102648327B1 (ko) 김서림 방지 마스크
CN215737019U (zh) 避免眼部雾气的密封式女用防护衣
KR200496245Y1 (ko) 마스크
KR20210000125U (ko) 마스크
KR200494145Y1 (ko) 코 마스크
CN212973247U (zh) 阻隔式透气并吸湿的眼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