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548A - 양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양초 - Google Patents

양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양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548A
KR20220085548A KR1020200175704A KR20200175704A KR20220085548A KR 20220085548 A KR20220085548 A KR 20220085548A KR 1020200175704 A KR1020200175704 A KR 1020200175704A KR 20200175704 A KR20200175704 A KR 20200175704A KR 20220085548 A KR20220085548 A KR 20220085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barrel
present
manufacturing
can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희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최승희
김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희, 김동현 filed Critical 최승희
Priority to KR1020200175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5548A/ko
Publication of KR20220085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5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2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2Apparatus for preparation thereof
    • C11C5/023Apparatus for preparation thereof by casting or melting in a moul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천연재인 팜유나 대두유인 소이유를 사용하는 천연 양초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양초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양초는 상부가 개방된 통에 액체의 초 본체 물질을 넣으며 심지를 박아서 일반 초 형태대로 경화시킨 다음, 상기 초 형태의 직경보다 큰 직경르 갖는 통에 안착시킨 후, 상기 초 형태와 통간의 유격부로 유체의 외부막 재료를 투입하여 경화시켜 제조된다.

Description

양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양초{CANDLE MANUFACTURING METHOD, AND CANDLES MANUFACTURED THEREFROM}
본 발명은 양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양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재인 팜유나 대두유인 소이유를 사용하는 천연 양초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양초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는 전기의 발전으로 일반 가정 등에서 일반조명용으로 양초를 사용하는 빈도는 매우 낮다.
그러나, 정전시의 필요나 업소 등에서의 조명용 또는 종교적 의식이나 무속인등의 사용 등 양초의 사용은 계속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계속적인 사용처가 있게 되는 양초 분야에는 따라서, 꾸준한 연구와 개발이 있어왔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 제10-0733008호에서는 천연 식물성유지 또는 동물성유지를 원료로 한 양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친환경 양초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특허에서는 원료유지의 준비, 유지의 수소경화, 유지의 요오드값 측정, 이물질 제거, 여과, 안정화, 심지 적용, 상기 수소경화는 가열 및 금속니켈 촉매투입, 수소투입 및 수소차단, 그리고 열공급 차단이라는 복잡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13-0141066호에서는 99% 팜원유를 이용한 식물성 친환경 양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팜원유 양초 및 그 제조방법을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팜원유를 99% 사용하여 양초를 만들면 팜원유 자체는 점도가 거의 없으므로 심지의 불꽃으로 양초 자체가 녹아흐르게 되어 양초로서의 기능이 없어질 뿐 아니라 주변 환경도 깨끗하지 못하게 되어 일반적으로는 병 등의 용기 내에 넣어 양초로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공개특허는 양초 본연의 기능을 할 수 없는 발명이다.
한편, 최근 공개된 공개특허 제10-2020-0014257호에서는, 천연식물인 팜유는 불포화성향으로 인하여 열을 가하면 물러지는 관계로 촛농이 흘러 기둥처럼 서 있지 못하고 뭉개지기 때문에 외피를 입혀야 한다는 과제에서, 플라스틱 제품의 개발로 인해 열에 강하여 촛불에 타지 않고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버텨주는 새로운 수지제품의 출현으로 이를 외피로 입혀 제조하여 양초처럼 가능하게 조제하는, 천연재료로 제조되는 기능성 팜유 초와 이의 제조방법을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는 그 발명의 구성이 불명료하여 그 실시가 의심되는 발명이다.
상기와 같이 팜유를 이용하여 양초를 제조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시도되었는데, 그 과정이 복잡하거나 또는 구성이 불명확하여 실시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환경친화적이며 냄새나 그을음을 줄일 수 있고, 제조가 간편한, 팜유나 소이유를 이용한 양초의 개발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보다 친환경적이며, 냄새나 그을음을 줄일 수 있고 제조가 간편한, 팜유나 소이유를 이용한 양초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되는 양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 직경의 통에 분말을 녹여 액체화된 팜유 또는 소이유를 넣으며 심지를 박아서 일반 초 형태로 경화시킨 다음, 상기 경화된 초 형태에 대하여 초 형태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통형 통에 안착시킨 다음, 초 형태의 외면으로 파라핀 또는 밀랍을 녹인 것을 투입하여 외부막을 만들면서 경화시키는 양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일반 초 형태의 직경 : 외부막의 크기는, 일반 초 형태의 직경 3~6cm에 대하여, 외부막의 두께는 0.3~0.7cm로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편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친환경적인 팜유 양초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초 본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초 본체 외면을 제조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양초 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밤령의 실시예에 의한 양초의 사시 및 평면사진.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와 실시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수정 또는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양초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들을 살펴본다.
먼저, 팜유는 야자열매의 과육을 쪄서 압축 채유되는 식물성 유지이지만,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이 약 1:1 비율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온에서 반고체 형태를 유지하나, 위 기술한 바와 같이 열을 가하면 물러지는 관계로 양초재료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면이 있기에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외면에 또 다른 재료를 덧붙임하려는 시도가 있어 왔던 것이다.
또한, 대두유는 다양한 음식재료나 디젤연료 등에 사용되며, 캔들(양키캔들 등)이 국내에서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웰빙 제품의 하나로 양초에 대두유를 사용하는 것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파라핀은 원유를 정제할 때 생기는 희고 냄새가 없는 반투명 고체로 양초, 연고, 화장품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되고 있으나, 양초로 사용 시 불로 인해 냄새가 많이 나고 그을음이 많다는 특징이 있다.
마지막으로 밀랍은 벌집에서 꿀을 완전히 수거하고 난 후 벌집을 녹이고 여과시켜 불순물을 제거해내고 그 나머지를 압착하여 남아 있는 것으로 양초, 인조과일, 모형이나 왁스, 가죽옷 등에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밀랍으로만 양초를 만들기에는 그 가격이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의 양초제조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초를 만드는데 초 본체(10)는 일반적인 초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 대두유나 팜유 또는 대두유와 팜유를 혼합하여 만든다.
도 1에서의 초 본체(10)를 만들 EO는 만들고자 하는 초 본체(10)의 직경보다 조금 큰 직경이나 동일한 직경의 원통형 용기에 심지(11)를 끼워지게 하고 액체 상태의 대두유나 팜유를 부어서 경화시킨다.
상기와 같이 하여 초 본체(10)가 경화되면, 초 본체(10)보다 직경이 큰 용기, 바람직하게는 하부가 막힌 금속제 용기(20; 도 2)에 넣고 용기(20)와 초 본체(10) 사이의 공간으로 녹인 파라핀이나 밀랍,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투입하여 외부막(30)을 만든 후 경화시킨다.
상기에서의 용기(20)는 플라스틱제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빈 공간(21)으로 투입되어 외부막(210)을 만드는 액상의 파라핀이나 밀랍 또는 그 혼합물은 분말을 녹여서 사용, 특히 경화되기 전의 뜨거운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용기(20)가 플라스틱제라면 플라스틱 자체가 용융접착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양초제조 방법으로 양초를 제조하면 도 3과 같이, 외면은 파라핀이나 밀랍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외부막(30)이 감싸고 있으며 그 내면 쪽에는 심지(11)가 박힌 초 본체(10)가 있는 양초(200)가 완성된다.
상기에서, 초 본체(10)의 직경(R) 3~6cm에 대하여 외부막(30)의 두께(T)는 0.3~0.7cm로 함이 바람직한데, 양초의 직경이 통상 3~6cm 정도이고, 이 경우 외부막(30)을 형성하는 파라핀이나 밀랍의 두께가 너무 작게 되면 점도를 갖고 있는 파라핀 등이 촛불의 열로 인하여 외부막(30)에 균열이 생겨 터질 수가 있게 되므로 상기 범위로 함이 바람직하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실물 사진이고, 도 4a는 전체 사시사진이며, 도 4b는 상부에서 바라본 사진이다.
도 4a 및 4b에서, 초 본체(10)의 직경은 약 3.5cm였고, 외부막(30)의 두께는 0.3cm였다. 사용된 초 본체(10)의 재료는 팜유로 하였고, 외부막(30)은 파라핀유를 사용하였다.
상기 도 4a 및 4b에 도시된 양초에 대하여 장시간 사용하였으나 터짐이나 다른 이상 없이 정상적으로 촛불이 유지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일실시예로서 원통형을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방법으로 다각형 통을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천연재료를 주원료로 한 간단한 양초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양초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서 통상적인 향을 가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초 본체. 11 : 심지.
20 : 용기. 21 : 공간.
30 : 외부막. 200 : 양초.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된 통에 액체의 초 본체 물질을 넣으며 심지를 박아서 일반 초 형태대로 경화시킨 다음, 상기 초 형태의 직경보다 큰 직경르 갖는 통에 안착시킨 후, 상기 초 형태와 통간의 유격부로 유체의 외부막 재료를 투입하여 경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 본체 물질은 팜유, 대두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막 재료는 파라핀, 밀랍 또는 이들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막은 두께가 0.3~0.7cm임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으로 제조되는 양초.
KR1020200175704A 2020-12-15 2020-12-15 양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양초 KR202200855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704A KR20220085548A (ko) 2020-12-15 2020-12-15 양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양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704A KR20220085548A (ko) 2020-12-15 2020-12-15 양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양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548A true KR20220085548A (ko) 2022-06-22

Family

ID=82216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704A KR20220085548A (ko) 2020-12-15 2020-12-15 양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양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55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8766B2 (en) Triacylglycerol based wax compositions
US6645261B2 (en) Triacylglycerol-based alternative to paraffin wax
US6773469B2 (en) Triacylglycerol based wax for use in candles
US6824572B2 (en) Vegetable oil based wax compositions
RU2008113374A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диолеил пальмитоил глицерида
US20170218300A1 (en) Layered candle assembly and methods of forming thereof
US1958462A (en) Candle
KR20160087314A (ko) 기본향초 둘레에 기포밀랍을 채워 제조되는 기포향초
KR20220085548A (ko) 양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양초
KR100750205B1 (ko) 자연성분이 함유된 자연향 밀납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032382B1 (ko) 고연소 밀납양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015513A (zh) 一种香薰蜡烛及其制作方法
KR100372503B1 (ko) 천연 허브향기를 발산하는 양초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양초
CN208635077U (zh) 一种可循环使用的蜡烛装置
US9982219B2 (en) Sustainably sourced, non-hydrogenated, plant based candle compositions
KR20200126603A (ko) 천연 왁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RU2363725C2 (ru) Свечи, сырье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вечей, термоаккумулирующий материал,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ырь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вечей и термоаккумулирующих материалов
JP2003206494A (ja) 植物性ロウソク組成物
KR101136272B1 (ko) 천연 비누 소지를 이용한 과메기 비누의 제조 방법
KR102558129B1 (ko) 향초 및 양초의 냉각방법
KR100733008B1 (ko) 친환경 양초 및 그 제조방법
US20220195333A1 (en) Natural wax composition
US20130249141A1 (en) Manufacturing of a cast block candle - gelpressing method
KR20130000547U (ko) 제주 천연 감귤향 양초 제조 방법
KR0122357B1 (ko) 천연쑥의 색상과 향기를 갖는 양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