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295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295A
KR20220085295A KR1020200175238A KR20200175238A KR20220085295A KR 20220085295 A KR20220085295 A KR 20220085295A KR 1020200175238 A KR1020200175238 A KR 1020200175238A KR 20200175238 A KR20200175238 A KR 20200175238A KR 20220085295 A KR20220085295 A KR 20220085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disposed
protrusion
cov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5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5295A/ko
Publication of KR20220085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5Mounting arrangements for bearing-shields or end plat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2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1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로터; 상기 로터와 결합하는 샤프트; 및 상기 개구를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부가 배치되도록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부, 상기 홀과 이격되게 상기 플레이트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 홈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의 상면은 열전도부재가 도포되는 도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은 상기 도포 영역과 이격되게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모터를 개시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는 차단 수단을 이용하여 베어링에 열전도부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MOTOR}
실시예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서 회전력을 얻는 장치로서, 차량, 가정용 전자제품, 산업용 기기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특히, 상기 모터는 자동차의 조향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모터는 전동식 조향장치(EPS; Electronic Power Steering System) 등 차량용 모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에 배치되는 커버, 샤프트(shaft),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스테이터(stator),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로터(rotor), 상기 스테이터의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와 외부의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파워 터미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로터와의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하여 상기 로터의 회전을 유도한다.
상기 커버의 외부면 중 일측에 이씨유(Electronic Contorl Unit, ECU)가 실장된 기판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기판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 사이에는 열전도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전도부재는 소정의 점도를 갖는 써멀 그리스(Thermal Grease)일 수 있다.
상기 기판이 상기 열전도부재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열전도부재는 상기 샤프트 측으로 흘러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베어링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측으로 유입된 열전도부재는 상기 모터의 불량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내부로 상기 열전도부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시예는 차단 수단을 이용하여 내부로 열전도부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모터를 제공한다.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는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로터; 상기 로터와 결합하는 샤프트; 및 상기 개구를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부가 배치되도록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부, 상기 홀과 이격되게 상기 플레이트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 홈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의 상면은 열전도부재가 도포되는 도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은 상기 도포 영역과 이격되게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모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홈은 상기 상면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길이(L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홈의 길이(L1)는 상기 홀의 직경(D)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된 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벽체는 상기 제1 홈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벽체의 접선 방향으로의 길이(L2)는 상기 제1 홈의 접선 방향으로의 길이(L1)보다 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홈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제2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홈은 상기 도포 영역을 가로지르게 형성되며, 상기 제2 홈의 타측은 상기 돌출부의 외측 모서리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홈의 외측 모서리에 챔퍼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는 상기 도포 영역에 배치되는 열전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전도부재의 소정의 점도를 갖는 써멀 그리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 및 상기 커버에 의해 지지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의 일부는 상기 홀과 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실시예는 차단 수단을 이용하여 베어링에 열전도부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실시예는 홈 또는 벽체와 같은 배리어 등을 커버에 구현하여 소정의 점도를 갖는 열전도부재가 베어링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커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x 방향은 반경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y 방향은 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 방향과 상기 반경 방향은 서로 수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축 방향이라 함은 샤프트(500)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도면 부호 C는 샤프트(500)의 회전 중심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100), 개구를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2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테이터(300), 상기 스테이터(300)와 대응되게 상기 스테이터(300)의 내측에 배치되는 로터(400), 상기 로터(400)와 결합하는 샤프트(500), 상기 스테이터(3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테이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바(600), 및 상기 버스바(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파워 터미널 조립체(7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는 상기 샤프트(500)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베어링(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이라 함은 상기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모터의 회전 중심(C)을 향하여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외측이라 함은 상기 내측과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는 상기 커버(200)의 돌출부(230)에 배치되는 열전도부재(8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시되는 상기 모터는 상기 열전도부재(800)가 베어링(B)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열전도부재(800)에 의한 베어링(B) 등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과 커버(200)는 상기 모터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측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수용 공간에는 스테이터(300), 로터(400), 샤프트(500), 및 버스바(60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형상이나 재질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하우징(100)은 고온에서도 잘 견딜 수 있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베어링(B)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지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B)의 외륜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0)는 상기 하우징(1050)의 저면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110)가 베어링(B)이 배치되는 포켓을 형성하여 상기 베어링(B)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10)는 하우징 포켓부, 제1 지지부 또는 돌출부라 불릴 수 있다.
상기 커버(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200)에는 열전도부재(800)를 매개로 기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기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해 상기 커버(200)는 알루미늄 또는 철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200)는 베어링(B)을 지지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베어링 플레이트라 명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B)이 결합된 상기 커버(200)는 커버 조립체라 불릴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커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200)는 상기 샤프트(500)의 일측 단부가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되도록 홀(220)이 형성된 플레이트부(210), 및 상기 홀(220)과 이격되게 상기 플레이트부(210)에 배치되는 돌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부(210)와 돌출부(2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200)는 상기 돌출부(230)의 상면(231)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 홈(240) 및 상기 상면(231)에 돌출되게 형성된 벽체(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홈(240)과 벽체(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차단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모터는 상기 제1 홈(240)과 벽체(250)를 이용하여 열전도부재(800)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210)는 홀(220)이 형성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220)은 상기 플레이트부(210)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220)에는 샤프트(500)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샤프트(500)의 단부는 상기 홀(220)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게 상기 플레이트부(2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200)에 지지되게 배치되는 베어링(B)은 상기 홀(220)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홀(220)은 소정의 직경(D)을 갖는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210)에 상기 홀(220)이 형성됨에 따라 형성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부(210)는 내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30)는 상기 플레이트부(210)의 상면에서 소정의 축방향 높이(H)를 갖도록 축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230)는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홀(220)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230)는 제1 돌출부, 방열판 또는 방열부라 불릴 수 있다.
상기 돌출부(230)의 축방향 높이(H)는 열전도부재(800)의 이동 거리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상기 베어링(B)으로 상기 열전도부재(800)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 수단 중 하나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23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기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230)의 축방향 높이(H)는 방열 면적, 즉 방열 성능을 좌우하는 인자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30)는 평면상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돌출부(230)의 상면(231)은 기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게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30)의 상면(231)은 열전도부재(800)가 도포되는 도포 영역(A)과 도포되지 않는 비도포 영역(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면(231)은 평면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도포 영역(A)의 상부에는 상기 기판이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240)은 상기 돌출부(230)의 상면(231)에 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홈(240)은 상기 도포 영역(A)과 이격되게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기판에 소정의 하중이 인가되어 상기 기판이 상기 열전도부재(800)에 밀착되면, 상기 열전도부재(800)는 상기 하중에 의해 상기 도포 영역(A)에서 이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전도부재(800) 중 일부는 상기 홀(220) 측으로 흐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홈(240)에 상기 열전도부재(800)가 충진되기 때문에, 상기 제1 홈(240) 베어링(B)으로 상기 열전도부재(800)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홈(240)은 상기 상면(231)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길이(L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홈(240)은 상기 홀(220)의 접선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선 방향은 상기 홀(220)의 외경과 접하게 배치되는 가상의 접선(TL)의 방향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선 방향을 따라 배치됨은 상기 접선(TL)과 평행한 방향뿐만 아니라 상기 접선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홈(240)의 길이(L1)는 상기 홀의 직경(D)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홈(240)은 효과적으로 상기 열전도부재(800)가 베어링(B)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홈(240)의 길이는 제1 길이라 불릴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홈(240)의 외측 모서리에는 소정의 경사를 갖는 챔퍼(241)가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챔퍼(241)는 상기 도포 영역(A)을 벗어나서 내측으로 흐르는 열전도부재(800)를 상기 제1 홈(240)으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벽체(250)는 상기 상면(231)의 내측 모서리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벽체(250)는 상기 상면(231)의 내측 모서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벽체(250)는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홀(220)과 제1 홈(2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250)는 상기 제1 홈(240)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벽체(250)는 소정의 길이(L2)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벽체(250)는 상기 접선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벽체(250)의 접선 방향으로의 길이(L2)는 상기 제1 홈(240)의 접선 방향으로의 길이(L1)보다 길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홈(240)에서 넘치는 열전도부재(800)는 상기 벽체(25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200)는 제1 홈(240)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제2 홈(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홈(260)의 일측은 상기 제1 홈(240)에 연결되게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돌출부(230)의 외측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2 홈(260)은 상기 제1 홈(240)에 충진된 열전도부재(800)를 외측으로 배출하게 유도하는 유도로 또는 채널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홈(260)에는 구배가 형성되어 상기 열전도부재(800)의 배출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홈(260)은 상기 도포 영역(A)을 가로 지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2 홈(260)의 일부 영역은 상기 도포 영역(A)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비도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200)는 베어링(B)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부(210)의 하면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돌출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270)는 제2 돌출부라 불릴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270)는 상기 베어링(B)의 외륜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270)는 상기 홀(220)을 축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70)는 상기 플레이트부(210)의 상면에서 돌출된 돌출부(230)의 내측 일부분과 축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의 내측 일부 영역과 축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테이터(300)는 스테이터 코어(310), 스테이터 코어(310)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320), 및 인슐레이터(320)에 권선되는 코일(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310)에는 회전 자계를 형성하는 코일(330)이 권선될 수 있다. 여기서, 스테이터 코어(310)는 하나의 코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 개의 분할 코어를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310)는 얇은 강판 형태의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상호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스테이터 코어(310)는 하나의 단일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310)는 원통 형상의 요크 및 상기 요크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투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투스는 상기 요크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각각의 상기 투스 사이에는 코일(330)이 권선되는 공간인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테이터(300)의 투스는 상기 로터(400)와 에어 갭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 갭은 반경 방향으로 상기 투스와 상기 로터(400)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320)는 스테이터 코어(310)와 코일(330)을 절연시킨다. 그에 따라, 인슐레이터(320)는 스테이터 코어(310)와 코일(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일(330)은 인슐레이터(320)가 배치된 스테이터 코어(310)에 권선될 수 있다.
로터(400)는 스테이터(300)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회전한다. 이때, 상기 로터(400)는 스테이터(30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로터(400)는 로터 코어(410), 및 상기 로터 코어(410)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마그넷(4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터(400)는 로터 코어(410)의 표면에 마그넷(420)이 부착되는 SPM(Surface Permanent Magnet)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그넷(420)은 중심(C)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로터 코어(41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터(400)는 상기 로터 코어(410)와 마그넷(420)을 보호하는 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캔은 상기 마그넷(420)이 결합된 로터 코어(410)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터 코어(410)는 얇은 강판 형태의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된 형상으로 실시되거나 또는 하나의 통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터 코어(4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터 코어(410)의 중심(C)에는 샤프트(500)가 결합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420)은 스테이터(300)의 코일(330)과 회전 자계를 형성한다. 그에 따라, 상기 코일(330)과 마그넷(420)의 전기적 상호 작용으로 로터(400)가 회전하고, 상기 로터(40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샤프트(500)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모터(1)의 구동력이 발생된다. 여기서, 상기 로터(400)의 마그넷(420)은 드라이브 마그넷이라 불릴 수 있다.
상기 마그넷(420)은 로터 코어(41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샤프트(500)는 베어링(B)을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500)는 로터(4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샤프트(500)는 상기 로터 코어(410)의 중앙에 형성된 홀에 압입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에 배치되는 베어링(B)은 하부 베어링 또는 하우징 베어링이라 불릴 수 있고, 상기 커버(200)에 배치되는 베어링(B)은 상부 베어링 또는 커버 베어링이라 불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200)에 배치되는 베어링(B)의 일부는 상기 홀(220)과 축 방향으로 오버랩(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버스바(600)는 스테이터(3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600)는 스테이터(300)의 코일(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600)는 파워 터미널 조립체(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버스바(600)는 스테이터(300)와 파워 터미널 조립체(7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의 전원이 스테이터(300)에 인가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버스바(600)는 버스바 바디(미도시)와 상기 버스바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바디는 사출 성형을 통해 형성된 몰드물일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버스바 바디는 레진과 같은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스바 바디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터미널은 상기 버스바 바디에 배치되며, 일부가 상기 버스바 바디에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미널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워 터미널 조립체(700)의 일측은 커넥터(미도시)와 같은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전기적으로 상기 파워 터미널 조립체(700)는 외부 전원과 버스바(600) 사이에 배치되어 스테이터(300)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게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는 두 개의 상기 파워 터미널 조립체(7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상기 파워 터미널 조립체(700) 각각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파워 터미널 조립체(700)는 바디(710), 복수 개의 파워 터미널(7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710)는 파워 터미널 조립체 바디라 불릴 수 있다.
상기 바디(710)는 사출 성형을 통해 형성된 몰드물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710)는 레진과 같은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71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커버(200)와 재질이 다른 이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워 터미널(720)은 상기 바디(710)에 배치되며, 일부가 상기 바디(710)에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파워 터미널(720)은 인서트 사출 방식을 통해 상기 바디(710)에 세 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세 개의 상기 파워 터미널(720) 각각은 버스바 터미널(5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스바 터미널(520)은 스테이터(300)의 코일(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파워 터미널(720)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코일(330) 중 하나는 U상, V상, 및 W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을 구현할 수 있다.
열전도부재(800)는 상기 돌출부(230)의 상면(231)에 배치(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전도부재(800)는 소정의 점도를 갖는 써멀 그리스(Thermal Grease)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열전도부재(800)를 매개로 상기 돌출부(230)의 상면(231) 중 도포 영역(A)에 기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전도부재(800)의 상부에 상기 기판이 밀착되면, 상기 열전도부재(800)는 상기 도포 영역(A)에서 이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전도부재(800) 중 일부는 상기 홀(220) 측으로 흐를 수 있으나, 상기 모터는 상기 차단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하우징(100)에 배치되는 베어링(B)으로 상기 열전도부재(800)가 흐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모터
100: 하우징
200: 커버
210: 플레이트부 220: 홀
230: 돌출부 240: 제1 홈
250: 벽체 260: 제2 홈
300: 스테이터
400: 로터
500: 샤프트
600: 버스바
700: 파워 터미널 조립체
800: 열전도부재

Claims (10)

  1.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로터;
    상기 로터와 결합하는 샤프트; 및
    상기 개구를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부가 배치되도록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부, 상기 홀과 이격되게 상기 플레이트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 홈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의 상면은 열전도부재가 도포되는 도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은 상기 도포 영역과 이격되게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은 상기 상면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길이(L1)를 갖도록 형성되는 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의 길이(L1)는 상기 홀의 직경(D)보다 큰 모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된 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벽체는 상기 제1 홈을 따라 형성되는 모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접선 방향으로의 길이(L2)는 상기 제1 홈의 접선 방향으로의 길이(L1)보다 긴 모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제2 홈을 더 포함하는 모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은 상기 도포 영역을 가로지르게 형성되며,
    상기 제2 홈의 타측은 상기 돌출부의 외측 모서리까지 연장된 모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의 외측 모서리에 챔퍼가 형성되는 모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영역에 배치되는 열전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전도부재의 소정의 점도를 갖는 써멀 그리스인 모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 및 상기 커버에 의해 지지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의 일부는 상기 홀과 축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모터.
KR1020200175238A 2020-12-15 2020-12-15 모터 KR20220085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238A KR20220085295A (ko) 2020-12-15 2020-12-15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238A KR20220085295A (ko) 2020-12-15 2020-12-15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295A true KR20220085295A (ko) 2022-06-22

Family

ID=82216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238A KR20220085295A (ko) 2020-12-15 2020-12-15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52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1260B2 (en) Moto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CN108352751B (zh) 电机
EP3240158B1 (en) Motor and electric tool equipped with the same
US20090224626A1 (en) Electric machine
WO2017033917A1 (ja) モータ
US11658527B2 (en) Rotor and motor comprising same
CN109391085B (zh) 马达
JP6496794B1 (ja) 部品実装体及び電子機器
JP2010165800A (ja) リアクトル
JP7395571B2 (ja) モータ
US11942823B2 (en) Motor
KR102523835B1 (ko) 로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2010226841A (ja) 回転電機
US20210281139A1 (en) Motor
JP2010213544A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および回転電機
KR20220085295A (ko) 모터
US11329524B2 (en) Rotor and motor having same
JP2019067785A (ja) 部品実装体及び電子機器
US20200106329A1 (en) Motor unit and electric pump device
CN114530953B (zh) 旋转电机的冷却构造
KR20220072392A (ko) 모터
JP7424021B2 (ja) モータ、および電動ポンプ
KR20240028692A (ko) 모터
JP7443363B2 (ja) モータ
JP7400436B2 (ja) モータ、および電動ポン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