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037A - Toys for infants and toddlers that can control the playback speed and repeat learning - Google Patents

Toys for infants and toddlers that can control the playback speed and repeat lear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037A
KR20220085037A KR1020220007086A KR20220007086A KR20220085037A KR 20220085037 A KR20220085037 A KR 20220085037A KR 1020220007086 A KR1020220007086 A KR 1020220007086A KR 20220007086 A KR20220007086 A KR 20220007086A KR 20220085037 A KR20220085037 A KR 20220085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voice
alarm
infants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0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3413B1 (en
Inventor
조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니코에듀
조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니코에듀, 조희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니코에듀
Publication of KR20220085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0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4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G10L13/033Voice editing, e.g. manipulating the voice of the synthesis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속도 조절 및 반복학습이 가능한 영유아용 장난감에 관한 것으로서, 장난감에 음성을 저장 및 이를 재상하는데 있어 자유롭게 음성변조가 가능하여 쉽게 실증을 느끼는 영유아나 어린이들의 집중력을 지속시킬 수 있으며, 녹음된 음성을 대상으로 자유롭게 소리정보의 재생속도를 조절이 가능하여 반복적인 음성학습 및 다양한 경험이 가능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y for infants and toddlers capable of controlling the playback speed and repeating learning, and it is possible to freely change the voice in storing and replaying the voice in the toy,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infants and children who feel easily verified can be sustained, and recording It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repeated voice learning and various experiences by freely controlling the playback speed of sound information for the voices that have been used.

Description

재생속도 조절 및 반복학습이 가능한 영유아용 장난감{TOYS FOR INFANTS AND TODDLERS THAT CAN CONTROL THE PLAYBACK SPEED AND REPEAT LEARNING}Toys for infants and toddlers that can control playback speed and learn repeatedly

본 발명은 재생속도 조절 및 반복학습이 가능한 영유아용 장난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정에서 부모가 영유아를 학습 대상자로 하여, 장난감에 저장된 음성을 재생하거나, 저장된 음성을 특정 음성으로 변조하여 재생함으로써, 영유아를 학습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재생속도 조절 및 반복학습이 가능한 영유아용 장난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y for infants and toddlers capable of controlling the playback speed and repeating learning. In particular, at home, by using an infant as a learning target, a parent plays a voice stored in the toy, or modulates the stored voice into a specific voice and reproduces it. It relates to a toy for infants and toddlers capable of controlling the playback speed and repeating learning configured to learn

일반적으로, 완구라 함은 놀이문화로서 영유아나 어린이들에게 제공된다. 이러한 완구는 다양한 형태로서 제공된다. 즉, 인형은 물론 놀이용품 등이 완구에 포함되는데, 완구에는 전자산업의 발달로 음성 칩을 내장하는 경우도 있다.In general, toys are provided to infants and children as a play culture. These toys are provided in various forms. That is, toys include toys as well as toys, and in some cases, a voice chip is embedded in toys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electronics industry.

그러나, 이와 같이 음성 칩을 내장한 완구의 경우에는 제조사가 획일적인 음성정보만을 저장한 후 제공하는 관계로, 이를 오래 사용할 경우 영유아나 어린이가 그 음성정보에 대한 실증을 쉽게 느끼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내용의 책을 읽어 주거나 동요를 듣거나 또는 원하는 대로 움직이는 기능이 없는 관계로 완구에 대한 친밀도가 극히 낮았다. However, in the case of toys with a built-in voice chip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anufacturer stores and provides only uniform voice information, when used for a long time, infants and children easily feel the verification of the voice information. , the familiarity with toys was extremely low because there was no ability to read new books, listen to nursery rhymes, or move as desired.

즉, 종래 음성 칩을 내장한 완구의 경우, 완구를 만지거나 완구의 특정 부위를 누를 때 미리 정해진 음성정보가 출력되도록 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제조사가 사전에 음성 칩에 저장시킨 음성 메시지만이 반복 출력되도록 할 뿐이어서 영유아나 어린이에게 학습효과의 능률이 낮은 단점이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a toy with a built-in voice chip, predetermined voice information is output when the toy is touched or a specific part of the toy is pressed, but only the voice message stored in the voice chip by the manufacturer in advance is repeatedly outpu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efficiency of the learning effect is low for infants and children because it is only possible to do it.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 10-1685626 호 “블루투스 인형”에서는 인형에 블루투스 모듈과 스피커를 장착시키고,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블루투스 모듈로 음성 또는 노래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영유아가 인형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점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블루투스 모듈로 수신된 데이터를 재생하여, 영유아가 인형에 관심을 가지도록 구성된 것으로, 영유아가 보육교사나 부모에게서 교감이나 케어를 받지 못해 친밀감을 쌓기 어려운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하였다.In this regar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85626 “Bluetooth Doll”, the doll is equipped with a Bluetooth module and a speaker, and the user transmits voice or song data to the Bluetooth module through the terminal so that infants and toddlers will be interested in the doll. Although it is described that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data received by the Bluetooth module is reproduced, it is configured so that infants and young children are interested in dolls. still existed.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method to solve these problems.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85626호 (2016.12.12)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685626 (2016.12.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유아나 어린이의 마음을 읽어 교감할 수 있도록 도와 정서발달을 함양시킬 수 있는 재생속도 조절 및 반복학습이 가능한 영유아용 장난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more particularly, it helps infants and young children to read and sympathize with the mind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layback speed and repeat learning that can foster emotional development. Its purpose is to provide toys for dragons.

또한, 본 발명은 영유아나 어린이에게 부모 또는 보육교사와의 친밀도를 높여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재생속도 조절 및 반복학습이 가능한 영유아용 장난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y for infants and toddlers capable of controlling the playback speed and repeating learning that can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by increasing intimacy with parents or childcare teachers for infants and childre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학습내용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저장된 설정 음성 데이터를 특정 음성 데이터로 변조하는 음성 데이터 변조모듈;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받아, 상기 저장된 설정 음성 데이터를 상기 특정 음성 데이터로 변조하기 위해 특정 음성을 갖는 음성 대상자를 선택하는 음성 대상자 선택모듈; 변조된 특정 음성 데이터를 소리정보로 출력하는 소리재생모듈; 및 상기 소리재생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소리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at least one set voice data having a specific learning content; a voice data modulation module for modulating the stored set voice data into specific voice data; a voice subject selection module for receiving a user's selection input and selecting a voice subject having a specific voice to modulate the stored set voice data into the specific voice data; a sound reproduction module for outputting the modulated specific audio data as sound information;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ound reproduction module.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정 학습내용은 동화책 읽기이고, 상기 설정 음성 데이터는 성우의 음성 데이터이고, 상기 특정 음성을 갖는 음성 대상자는 부모, 교사 또는 만화 캐릭터이고, 상기 부모, 교사 또는 만화 캐릭터 중의 어느 하나는 상기 동화책 읽기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learning content is reading a children's book, the set voice data is voice data of a voice actor, the voice target having the specific voice is a parent, a teacher, or a cartoon character, and the parent, the teacher Or any one of the cartoon character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ding of the children's book.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볼륨조절입력을 받아, 상기 소리재생모듈에서 출력되는 소리정보의 볼륨을 설정범위 내에서 조절하는 볼륨조절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volume control module that receives a user's volume control input and adjusts the volume of the sound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ound reproduction module within a setting range.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재생속도 조절입력을 받아, 상기 소리재생모듈에서 출력되는 소리정보의 재생속도를 조절하는 재생속도 조절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layback speed control module for receiving a user's playback speed control input and adjusting the playback speed of the sound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ound playback modul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리재생모듈에서 출력되는 소리정보를 저장하는 외부 메모리를 장착하는 메모리 장착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emory mounting module for mounting an external memory for storing the sound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ound reproduction modul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시간설정입력을 받아,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및 상기 타이머가 설정입력을 받은 시간에 카운트가 완료되면 학습시간을 알리는 제1 알람 음성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imer for counting the time by receiving a user's time setting input; and an alarm module for generating a first alarm voice signal notifying a learning time when the count is completed at the time when the timer receives a setting input.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알람 음성신호의 발생 후 사용자의 알람해제입력을 받아 제1 알람음성신호를 해제하는 알람해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알람모듈은 상기 제1 알람 음성신호가 발생한 후 설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알람해제입력이 없을 때, 제2 알람 음성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n alarm canceling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an alarm canceling input from a user after the generation of the first alarm voice signal to cancel the first alarm voice signal, wherein the alarm module includes the first The second alarm voice signal is generated when there is no alarm release input until a set time has elapsed after the alarm voice signal is gener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을 시작하기 위해 사용자의 학습시작 입력을 받아 상기 음성 데이터 변조모듈이 상기 설정 음성 데이터를 상기 특정 음성 데이터로 음성변조를 시작하도록 하는 학습시작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알람 음성신호가 발생한 후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학습시작모듈에 사용자의 학습시작입력이 있을 때, 상기 학습시작모듈은 상기 타이머의 시간 카운트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arning start module that receives a user's learning start input to start learning and causes the voice data modulation module to start voice modulation of the set voice data into the specific voice data is further provided. Including, when there is a user's learning start input to the learning start module before the set time elapses after the first alarm voice signal is generated, the learning start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me counting of the timer is stopped .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알람모듈은 상기 제1 알람 음성신호와 상기 제2 알람 음성신호를 설정시간간격으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arm module generates the first alarm voice signal and the second alarm voice signal at a set time interval.

한편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provid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by allowing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은 영유아나 어린이의 마음을 읽어 교감할 수 있도록 도와 정서발달을 함양시킬 수 있는 음성재생 및 변조 기능이 포함된 영유아용 장난감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toy for infants and toddlers including voice reproduction and modulation functions that can help infants and children to read their minds and sympathize with them and foster emotional development.

또한, 영유아나 어린이에게 부모 또는 보육교사와의 친밀도를 높여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음성재생 및 변조 기능이 포함된 영유아용 장난감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oys for infants and toddlers including voice reproduction and modulation functions that can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by increasing intimacy with parents or childcare teachers to infants and young childre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속도 조절 및 반복학습이 가능한 영유아용 장난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설정입력 후의 제1 알람 음성신호 발생까지의 시간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알람 음성신호 발생 후의 제1 알람 음성신호 해제까지의 시간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알람 음성신호 발생 후의 제2 알람 음성신호 발생까지의 시간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알람 음성신호 발생 후의 시간 카운트 정지까지의 시간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속도 조절 및 반복학습이 가능한 영유아용 장난감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생속도 조절 및 반복학습이 가능한 영유아용 헤드폰을 도시한 도면.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y for infants and toddlers capable of controlling a playback speed and repeating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graph showing a time relationship from the time setting input until the first alarm voice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graph illustrating a time relationship from generation of a first alarm voice signal to cancellation of a first alarm voic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illustrating a time relationship from generation of a first alarm voice signal to generation of a second alarm voic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illustrating a time relationship from generation of a first alarm voice signal to stop time cou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toy for infants and toddlers capable of controlling the playback speed and repeating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headphone for infants and toddlers capable of adjusting the playback speed and repeating learn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on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영유아용 장난감(1000)은 토이, 장난감, 인형 등의 완구를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영유아용 장난감(1000)은 리모컨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간단한 리모컨 조작만으로 영유아용 장난감(1000)을 동작시킬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y 1000 for infants and toddlers refers to toys, such as toys, toys, and dolls inclusively. The toy 1000 for infants and toddlers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toy 1000 for infants and toddlers by simply operating the remote contro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속도 조절 및 반복학습이 가능한 영유아용 장난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설정입력 후의 제1 알람 음성신호 발생까지의 시간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알람 음성신호 발생 후의 제1 알람 음성신호 해제까지의 시간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알람 음성신호 발생 후의 제2 알람 음성신호 발생까지의 시간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알람 음성신호 발생 후의 시간 카운트 정지까지의 시간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y for infants and toddlers capable of controlling a playback speed and repeating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graph showing a time relationship from the time setting input until the first alarm voice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graph illustrating a time relationship from generation of a first alarm voice signal to cancellation of a first alarm voic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illustrating a time relationship from generation of a first alarm voice signal to generation of a second alarm voic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illustrating a time relationship from generation of a first alarm voice signal to stop time cou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재생속도 조절 및 반복학습이 가능한 영유아용 장난감(1000)은, 저장모듈(10), 음성 데이터 변조모듈(20), 음성 대상자 선택모듈(30), 소리재생모듈(40), 스피커(speaker, 50), 볼륨조절모듈(60), 재생속도 조절모듈(70), 메모리 장착모듈 (80), 타이머(90), 알람모듈(100), 알람해제모듈(110) 및 학습시작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toy 1000 for infants and toddlers capable of controlling the playback speed and repeating learning includes a storage module 10 , a voice data modulation module 20 , a voice target selection module 30 , and a sound playback module 40 . , speaker (speaker, 50), volume control module (60), playback speed control module (70), memory installation module (80), timer (90), alarm module (100), alarm release module (110) and start learning It may include a module 120 .

저장모듈(10)은 특정 학습내용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특정 학습내용은 동화책 읽기, 동요 노래하기 등 영유아를 학습자 대상으로 하는 학습내용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설정 음성 데이터는 성우의 음성 데이터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storage module 10 stores at least one set voice data having specific learning contents. Here, the specific learning content may be learning content aimed at young children, such as reading a children's book or singing a nursery rhy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tting voice data may be voice data of a voice ac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음성 데이터 변조모듈(20)은 저장된 설정 음성 데이터를 특정 음성 데이터로 변조한다. 특정 음성을 갖는 음성 대상자는 부모, 교사 또는 만화 캐릭터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특정 음성을 갖는 음성 대상자인 부모, 교사 또는 만화 캐릭터가 동화책 읽기를 진행한다. 이는 영유아에게 친근하고 학습시키기에 편한 사람의 음성을 들려주어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이다.The voice data modulation module 20 modulates the stored set voice data into specific voice data. The voice subject having a specific voice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parent, a teacher, or a cartoon character. A parent, teacher, or cartoon character who is a voice target having a specific voice proceeds to read a children's book. This is to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by listening to the voice of a person who is friendly and easy to learn.

음성 대상자 선택모듈(30)은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받아, 저장된 설정 음성 데이터를 특정 음성 데이터로 변조하기 위해 특정 음성을 갖는 음성 대상자를 선택한다. 사용자의 선택입력은 영유아용 장난감(1000)과 무선으로 연결된 리모컨에서 특정 음성을 갖는 음성 대상자를 선택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간단한 리모컨 조작만으로 특정 음성을 갖는 음성 대상자를 선택할 수 있다.The voice subject selection module 30 receives a user's selection input and selects a voice subject having a specific voice in order to modulate the stored set voice data into specific voice data. The user's selection inpu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o select a voice subject having a specific voice from the remote control wirelessly connected to the toy 1000 for infants and toddl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is case, the user can select a voice target having a specific voice by simply operating the remote control.

소리재생모듈(40)은 변조된 특정 음성 데이터를 소리정보로 출력한다.The sound reproduction module 40 outputs the modulated specific voice data as sound information.

스피커(50)는 소리재생모듈(40)로부터 전달받은 소리정보를 출력한다. 스피커(50)는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한다.The speaker 50 outputs soun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ound reproduction module 40 . The speaker 50 converts an electric signal into vibration of the diaphragm to generate a small wave in the air to radiate the sound wave.

볼륨조절모듈(60)은 사용자의 볼륨조절입력을 받아, 소리재생모듈(40)에서 출력되는 소리정보의 볼륨을 설정범위 내에서 조절한다. 사용자의 볼륨조절입력은 영유아용 장난감(1000)과 무선으로 연결된 리모컨에서 소리정보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간단한 리모컨 조작만으로 소리정보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설정범위는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주파수(20~20,000Hz)의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The volume control module 60 receives a user's volume control input and adjusts the volume of sound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ound reproduction module 40 within a setting range. The user's volume control inpu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capable of adjusting the volume of sound information in a remote control wirelessly connected to the toy 1000 for infants and toddl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is case, the user can adjust the volume of the sound information with a simple remote control operation. The setting range may be set within the range of human audible frequencies (20 to 20,000 Hz).

재생속도 조절모듈(70)은 사용자의 재생속도 조절입력을 받아, 소리재생모듈 (40)에서 출력되는 소리정보의 재생속도를 조절한다. 사용자의 재생속도 조절입력은 영유아용 장난감(1000)과 무선으로 연결된 리모컨에서 재생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간단한 리모컨 조작만으로 재생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reproduction speed control module 70 receives a user's reproduction speed control input and adjusts the reproduction speed of sound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ound reproduction module 40 . The user's playback speed control inpu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capable of adjusting the playback speed in a remote control wirelessly connected to the toy 1000 for infants and toddl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is case, the user can adjust the playback speed with a simple remote control operation.

예를 들어, 사용자는 느리게, 약간 느리게, 보통, 약간 빠르게, 빠르게 등으로 소리정보의 재생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상황에 따라 영유아의 학습에 도움이 되도록 소리정보의 재생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해당 영유아가 처음 학습할 경우에는 느리게 재생속도를 조절하고, 그 이후에는 약간 느리게, 보통, 약간 빠르게, 빠르게의 순서로 재생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반복학습을 하면서도 점차 난이도 있는 학습을 경험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may adjust the reproduction speed of sound information to be slow, slightly slow, normal, slightly fast, fast, or the like.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reproduction speed of sound information to help young children learn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at is, when the child is learning for the first time, the playback speed is adjusted slowly, and after that, the playback speed is adjusted in the order of slightly slow, normal, slightly fast, and fast, so that the child can experience learning that is difficult while repeating learning. can

메모리 장착모듈(80)은 소리재생모듈(40)에서 출력되는 소리정보를 저장하는 외부 메모리를 장착한다. 메모리 장착모듈(80)은 외부 메모리가 장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영유아용 장난감(1000)의 소정의 위치에 홈이 형성된 형태로 형성되어 홈에는 외부 메모리가 삽입될 수 있다. 홈의 형태는 특정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부 메모리가 장착될 수 있기만 하면 무방하다.The memory mounting module 80 is equipped with an external memory for storing sound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ound reproduction module 40 . Since the memory mounting module 80 has to be equipped with an external memory, it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groov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oy for infants and toddlers 1000, and an external memory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The shape of the groove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and may be used as long as an external memory can be mounted thereon.

타이머(90)는 사용자의 시간설정입력을 받아, 시간을 카운트한다. 시간설정입력은 사용자가 특정 시간에 학습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알람을 받기 위해 필요하다. 사용자의 시간설정입력은 영유아용 장난감(1000)과 무선으로 연결된 리모컨에서 시간설정을 입력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2020년 12월23일 오후 3시에 동화책의 한 종류인 어린왕자 읽기를 아이에게 학습시키고자 한다면, 리모컨에 2020년 12월23일 오후 3시를 입력한다.The timer 90 receives the user's time setting input and counts the time. The time setting input is necessary to receive an alarm so that the user can learn the learning content at a specific time. The user's time setting inpu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capable of inputting time setting from a remote control wirelessly connected to the toy 1000 for infants and toddl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f a user wants to teach a child to read the Little Prince, a kind of children's book, at 3 pm on December 23, 2020, input December 23, 2020 3 pm to the remote control.

알람모듈(100)은 타이머(90)가 설정입력을 받은 시간에 카운트가 완료되면 학습시간을 알리는 제1 알람 음성신호를 발생시킨다(도 2 참조). 예를 들면, 2020년 12월23일 오후 3시에 카운트가 완료되면, 알람모듈(100)이 "학습시간입니다. 음성 대상자를 선택해 주세요."라고 음성 메시지를 발생시킨다. 제1 알람 음성신호는 음성 메시지에 한정되지 않고 경고음과 같은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The alarm module 100 generates a first alarm voice signal notifying the learning time when the count is completed at the time when the timer 90 receives the setting input (see FIG. 2 ). For example, when the count is completed at 3 pm on December 23, 2020, the alarm module 100 generates a voice message saying "It is learning time. Please select a voice target." The first alarm voice signal is not limited to a voice message and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such as a warning sound.

알람해제모듈(110)은 제1 알람 음성신호의 발생 후 사용자의 알람해제입력을 받아 제1 알람 음성신호를 해제한다(도 3 참조). 사용자의 알람해제입력은 영유아용 장난감과 무선으로 연결된 리모컨에서 알람해제를 입력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alarm canceling module 110 receives the user's alarm canceling input after the first alarm voice signal is generated and releases the first alarm voice signal (refer to FIG. 3 ). The user's alarm release inpu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capable of inputting alarm release from a remote control wirelessly connected to a toy for infants and toddl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알람모듈(100)은 제1 알람 음성신호가 발생한 후 설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알람해제입력이 없을 때, 제2 알람 음성신호를 발생시킨다(도 4 참조). 제2 알람 음성신호는 제1 알람 음성신호와 동일한 "학습시간입니다. 음성 대상자를 선택해 주세요."라는 음성 메시지일 수 있지만, "학습시간입니다. 음성 대상자를 어서 선택해 주세요."와 같이 다를 수도 있다. The alarm module 100 generates a second alarm voice signal when there is no alarm release input until a set time elapses after the first alarm voice signal is generated (refer to FIG. 4 ). The second alarm voice signal may be the same voice message as the first alarm voice signal “This is the learning time. Please select a voice target.” However, it may be different, such as “It is learning time. Please select a voice target.” .

이는 제1 알람 음성신호를 발생시켰는데도 불구하고 학습을 시작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다시 알리기 위해 제2 알람 음성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제1 알람 음성신호와 마찬가지로, 제2 알람 음성신호는 음성 메시지에 한정되지 않고 경고음과 같은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This is to generate a second alarm voice signal to notify the user again because learning does not start despite the generation of the first alarm voice signal. Like the first alarm voice signal, the second alarm voice signal is not limited to a voice messag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warning sound.

학습시작모듈(120)은 학습을 시작하기 위해 사용자의 학습시작 입력을 받아 음성 데이터 변조모듈이 설정 음성 데이터를 특정 음성 데이터로 음성변조를 시작하도록 한다. 사용자의 학습시작입력은 영유아용 장난감과 무선으로 연결된 리모컨에서 학습시작을 입력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learning start module 120 receives the user's learning start input in order to start learning so that the voice data modulation module starts voice modulation of the set voice data into specific voice data. The user's learning start inpu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capable of inputting learning start from a remote control wirelessly connected to a toy for infants and toddl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알람 음성신호가 발생한 후 설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학습시작모듈 (120)에 사용자의 학습시작입력이 있을 때, 학습시작모듈(120)은 타이머(90)의 시간 카운트를 정지시킨다(도 5 참조). 설정시간은 1분, 2분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타이머(90)의 시간 카운트를 정지시키는 이유는, 사용자의 학습시작입력이 있기 때문에 제2 알람 음성신호를 발생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When there is a user's learning start input to the learning start module 120 before the set time elapses after the first alarm voice signal is generated, the learning start module 120 stops the time count of the timer 90 (FIG. 5) Reference). The set time may be 1 minute, 2 minutes,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reason for stopping the time counting of the timer 90 is that there is no need to generate a second alarm voice signal because there is a user's learning start input.

알람모듈(100)은 제1 알람 음성신호와 제2 알람 음성신호를 설정시간간격으로 발생시킨다. 설정시간간격은 3분, 5분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 알람 음성신호는 사용자가 제1 알람 음성신호의 발생에도 불구하고 학습하지 않을 때 사용자에게 다시 알리기 위해 필요하다.The alarm module 100 generates a first alarm voice signal and a second alarm voice signal at set time intervals. The set time interval may be 3 minutes, 5 minutes,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alarm voice signal is needed to notify the user again when the user does not learn despite the generation of the first alarm voice signal.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재생 및 변조 기능이 포함된 영유아용 헤드폰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음성재생 및 변조 기능이 포함된 영유아용 장난감에 대해 구현되었지만, 음성변조가 가능한 헤드폰(2000)에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eadphone for infants and toddlers including voice reproduction and modulation functi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implemented for toys for infants and toddlers including voice reproduction and modulation functions, it is of course possible to implement in headphones 2000 capable of voice modulation.

헤드폰은 머리에 걸치고 귀에 압착하는 방식의 수화기이다. 음성변조가 가능한 헤드폰도 음성재생 및 변조 기능이 포함된 영유아용 장난감과 마찬가지로, 저장모듈, 음성 데이터 변조모듈, 음성 대상자 선택모듈, 소리재생모듈, 스피커, 볼륨조절모듈, 재생속도 조절모듈, 메모리 장착모듈, 타이머, 알람모듈, 알람해제모듈 및 학습시작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영유아용 장난감 및 헤드폰뿐만 아니라 그 외 음성을 청취하는 대상자를 상대로 하여 음성을 변조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라면, 전술한 구성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adphones are receivers that are worn over the head and pressed against the ears. Headphones capable of voice modulation are also equipped with storage module, voice data modulation module, voice target selection module, sound playback module, speaker, volume control module, playback speed control module, and memory, just like toys for infants and toddlers with voice reproduction and modulation functions. It may include a module, a timer, an alarm module, an alarm release module, and a learning start module. Of course, all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may be applied as long as the device has a function of modulating and transmitting a voice to a target who listens to other voices as well as toys and headphones for infants and toddlers.

여기서, 상기 헤드폰에는 마이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피커를 통해 변조된 음성 데이터가 출력될 때 마이크를 통해 영유아의 목소리를 녹음하고, 상기 녹음된 목소리를 외부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부모는 상기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영유아의 목소리를 들으며 영유아와 유대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Here, the headphone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In this case, when the modulated voice data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the voice of the infant may be recorded through the microphone, and the recorded voice may be stored in an external memory. Thereafter, the parent can feel the bond with the infant by listening to the voice of the infant stored in the external memory.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for better understanding,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therefrom. You will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리모컨 10 : 저장모듈
20 : 음성 데이터 변조모듈 30 : 음성 대상자 선택모듈
40 : 소리재생모듈 50 : 스피커
60 : 볼륨조절모듈 70 : 재생속도 조절모듈
80 : 메모리 장착모듈 90 : 타이머
100 : 알람모듈 110 : 알람해제모듈
120 : 학습시작모듈 1000 : 영유아용 장난감
2000 : 헤드폰
1: remote control 10: storage module
20: voice data modulation module 30: voice target selection module
40: sound reproduction module 50: speaker
60: volume control module 70: playback speed control module
80: memory installation module 90: timer
100: alarm module 110: alarm release module
120: learning start module 1000: toys for infants and toddlers
2000: Headphones

Claims (4)

특정 학습내용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모듈(10);과 저장된 설정 음성 데이터를 특정 음성 데이터로 변조하는 음성 데이터 변조모듈(20);과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받아, 상기 저장된 설정 음성 데이터를 상기 특정 음성 데이터로 변조하기 위해 특정 음성을 갖는 음성 대상자를 선택하는 음성 대상자 선택모듈(30);과 변조된 특정 음성 데이터를 소리정보로 출력하는 소리재생모듈(40);과 상기 소리재생모듈(40)로부터 전달받은 소리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50);를 포함하는 영유아용 장난감(1000)에 있어서,
상기 영유아용 장난감(1000)은 사용자의 시간설정입력을 받아,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90);와, 상기 타이머(90)가 설정입력을 받은 시간에 카운트가 완료되면 학습시간을 알리는 제1 알람 음성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모듈(100);과 상기 제1 알람 음성신호의 발생 후 사용자의 알람해제입력을 받아 제1 알람음성신호를 해제하는 알람해제모듈(1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알람모듈(100)은 상기 제1 알람 음성신호가 발생한 후 설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알람해제입력이 없을 때, 제2 알람 음성신호를 발생시키며,
사용자의 학습시작 입력을 받아 상기 음성 데이터 변조모듈이 상기 설정 음성 데이터를 상기 특정 음성 데이터로 음성변조를 시작하도록 하는 학습시작모듈(1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알람 음성신호가 발생한 후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학습시작모듈(120)에 사용자의 학습시작입력이 있을 때, 상기 학습시작모듈(120)은 상기 타이머(90)의 시간 카운트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사용자의 재생속도 조절입력을 받아, 상기 소리재생모듈(40)에서 출력되는 소리정보의 재생속도를 조절하는 재생속도 조절모듈(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속도 조절 및 반복학습이 가능한 영유아용 장난감.
A storage module 10 for storing at least one set voice data having a specific learning content; and a voice data modulation module 20 for modulating the stored set voice data into specific voice data; and receiving a user's selection input, the stored A voice subject selection module 30 for selecting a voice target having a specific voice in order to modulate the set voice data into the specific voice data; and a sound reproduction module 40 for outputting the modulated specific voice data as sound information; and the In the toy 1000 for infants and toddlers including; a speaker 50 for outputting soun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ound reproduction module 40,
The toy 1000 for infants and toddlers receives a user's time setting input, and a timer 90 to count the time; and a first alarm to notify the learning time when the count is completed at the time the timer 90 receives the setting input An alarm module 100 for generating a voice signal; and an alarm releasing module 110 for releasing the first alarm voice signal by receiving a user's alarm canceling input after the first alarm voice signal is generated;
The alarm module 100 generates a second alarm voice signal when there is no alarm release input until a set time elapses after the first alarm voice signal is generated,
Further comprising a learning start module 120 that receives a user's learning start input and causes the voice data modulation module to start voice modulation of the set voice data into the specific voice data,
When there is a user's learning start input to the learning start module 120 before the set time elapses after the first alarm voice signal is generated, the learning start module 120 counts the time of the timer 90 It is characterized by stopping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layback speed and repeat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layback speed control module 70 that receives the user's playback speed control input and adjusts the playback speed of the sound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ound playback module 40 Toys for infants and toddl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속도 조절모듈(70)은
영유아용 장난감(1000)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리모컨에 의해 재생속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속도 조절 및 반복학습이 가능한 영유아용 장난감.
The method of claim 1,
The playback speed control module 70 is
A toy for infants and toddlers capable of controlling the playback speed and repeating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yback speed is controlled by a remote control that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toy for infants and toddlers (10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재생모듈(40)에서 출력되는 소리정보를 저장하는 외부 메모리가 삽입되도록 상기 영유아용 장난감의 소정의 위치에는 홈이 형성된 형태로 구성되는 메모리 장착모듈(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속도 조절 및 반복학습이 가능한 영유아용 장난감.
The method of claim 1,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emory mounting module 80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a groov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oy for infants and toddlers so that an external memory for storing sound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ound reproduction module 40 is inserted. A toy for infants and toddlers that can control the playback speed and repeat learning.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성재생 및 변조 기능이 포함된 영유아용 장난감; 및
상기 장난감에 장착되어 영유아의 목소리를 입력시키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속도 조절 및 반복학습이 가능한 영유아용 장난감.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oys for infants and toddlers including a voice reproduction and modul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and
A toy for infants and toddlers capable of controlling the playback speed and repeating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icrophone mounted on the toy to input the voice of an infant.
KR1020220007086A 2020-12-14 2022-01-18 Toys for infants and toddlers that can control the playback speed and repeat learning KR10258341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74866 2020-12-14
KR1020200174866 2020-12-14
KR1020210018671A KR102355536B1 (en) 2020-12-14 2021-02-09 Toys for infants with voice playback and modula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671A Division KR102355536B1 (en) 2020-12-14 2021-02-09 Toys for infants with voice playback and modu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037A true KR20220085037A (en) 2022-06-21
KR102583413B1 KR102583413B1 (en) 2023-09-27

Family

ID=802525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671A KR102355536B1 (en) 2020-12-14 2021-02-09 Toys for infants with voice playback and modulation
KR1020220007086A KR102583413B1 (en) 2020-12-14 2022-01-18 Toys for infants and toddlers that can control the playback speed and repeat learning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671A KR102355536B1 (en) 2020-12-14 2021-02-09 Toys for infants with voice playback and modul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5553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626B1 (en) 2015-10-14 2016-12-12 이병도 Bluetooth doll
KR20180039312A (en) * 2016-10-10 2018-04-18 (주)아이노스 Character toy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portable terminal and childcare train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180077668A (en) * 2016-12-29 2018-07-09 김현우 a system voice changed story telling device and the mehtod thereof
KR20200093855A (en) * 2019-01-29 2020-08-0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fairy tale book storytelling system and method of smart fairy tale book storytelling ser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626B1 (en) 2015-10-14 2016-12-12 이병도 Bluetooth doll
KR20180039312A (en) * 2016-10-10 2018-04-18 (주)아이노스 Character toy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portable terminal and childcare train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180077668A (en) * 2016-12-29 2018-07-09 김현우 a system voice changed story telling device and the mehtod thereof
KR20200093855A (en) * 2019-01-29 2020-08-0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fairy tale book storytelling system and method of smart fairy tale book storytelling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413B1 (en) 2023-09-27
KR102355536B1 (en)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0844B2 (en) Interactive remote control toy
US6104292A (en) Baby bottle attachment with sound monitor/transmitter and recordable/pre-recorded sound playback
US8515092B2 (en) Interactive toy for audio output
CN201182904Y (en) Toy capable of interacting, replying and singing in antiphonal style
US20050170744A1 (en) Toy with remote media source
KR102355536B1 (en) Toys for infants with voice playback and modulation
GB2133951A (en) A talking doll
JP2010207555A (en) Toy with ultrasound image-linking system
JPH03195513A (en) Cradle
KR102197411B1 (en) Smart Speaker Attachable To Doll
JP2014000158A (en) Toy body, control method, program, and toy system
KR200379516Y1 (en) Learning device having sound revival function
KR100541423B1 (en) A juvenile tale player
JP6456513B2 (en) Experience control device
GB2029715A (en) Talking dolls
KR200281638Y1 (en) Oral narration doll for infant
KR200281637Y1 (en) Mobile for infant
KR101256843B1 (en) mobile device
TWM524970U (en) Audio playing apparatus
JPH03272710A (en) Nursing device
KR100439092B1 (en) Infant-stimulating mobile
KR200366268Y1 (en) The thing to teach the child
KR20060072871A (en) Learning device having sound revival function
JPH061190Y2 (en) Merry-go-round toys
KR200263159Y1 (en) Electrical radi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