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892A -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4892A
KR20220084892A KR1020200174836A KR20200174836A KR20220084892A KR 20220084892 A KR20220084892 A KR 20220084892A KR 1020200174836 A KR1020200174836 A KR 1020200174836A KR 20200174836 A KR20200174836 A KR 20200174836A KR 20220084892 A KR20220084892 A KR 20220084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transmitting
coupling coefficient
wireless power
co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8936B1 (ko
Inventor
안승영
이범선
김종욱
박범진
박동렬
허성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174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936B1/ko
Priority to US17/643,919 priority patent/US11750039B2/en
Publication of KR20220084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송신 코일을 포함하는 송신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복수의 송신 코일 상에 수신 코일이 위치할 경우 복수의 송신 코일 각각과 송신 코일 사이의 결합 계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결합 계수에 기반하여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을 포함하는 송신부,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로부터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을 포함하는 수신부 및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 각각과 상기 수신 코일 사이의 결합 계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결합 계수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SLECTIVELY OPERATING AT LEAST ONE OF TRANSMITTING COILS AMONG TRANSMITTING COILS}
본 발명은 복수의 송신 코일을 포함하는 송신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복수의 송신 코일 상에 수신 코일이 위치할 경우 복수의 송신 코일 각각과 송신 코일 사이의 결합 계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결합 계수에 기반하여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WPT) 기술은 충전 구조의 단순화로 인하여 편의성과 안정성이 증가하여 휴대용 전자 기기, 의료 기기, 전기 자동차,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발 및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플랜트, 자동차, 기차 산업 등에서 사용되는 무인 운반 차(automated guided vehicles, AGVs) 등의 전기 자동차에서는 전력 전달 효율이 높은 수 kW 내지 수십 kW의 대 출력을 전달하는 무선 전력 전송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자기 공명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코일 크기를 늘리거나 에어 갭을 줄여 송신부(Tx)의 코일과 수신부(Rx)의 코일 간의 결합 계수(coupling coefficient)를 높여야 한다.
자기 결합을 이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송신부의 코일과 수신부의 코일 간의 결합 계수가 클 수록 시스템의 효율이 향상된다.
일반적으로,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부가 송신부 영역에서 벗어나게 되면 효율이 급격하게 저감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송신부의 코일을 여러 개를 사용하고 수신부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시킴으로서 높은 효율을 가질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송신 코일 중 최적의 송신 코일을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종래 기술은 수신부 위치에 상관없이 모든 코일을 동작시키거나, 특정 코일 하나만을 선택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는데, 최적 송신 코일을 하나만 선택함으로서 더 높은 효율은 보장하나, 인체에 안좋은 영향을 미치는 누설 자기장의 크기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기존 무선충전기는 수신부와 1대1 구조로 하나의 송신부 당 하나의 수신부로 전력 전달이 가능했었다.
최근 여러개의 제품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패드가 출시되고 있지만, 실제는 단지 여러개의 충전패드를 하나의 케이스로 묶어 놓은 것이다.
더 넓은 충전 범위를 수용할 수 있고, 여러개의 수신부를 동시에 충전하기 위해서는 큰 송신 코일 혹은 작은 여러개의 송신 코일을 사용해야한다.
큰 하나의 코일을 사용하게 되면 자기장 분포가 고르지 않아 모든 영역에서 높은 효율로 전력을 전송할 수 없고, 여러개의 코일을 사용할 경우 수신 코일의 위치에 따라 송신 코일의 동작을 다르게 해야 높은 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수신 코일의 위치에 따라 가장 영향력이 큰 송신 코일 하나만을 선택하여 전력 전송을 하면 하나의 코일에 높은 전류를 흘려줘야 하고, 그에 따라 손실의 크기가 제곱으로 커지고, 도선의 전류 한계 때문에 많은 양의 전력을 전송할 수 없다.
수신 코일의 위치에 따라 각 송신 코일의 전류를 조절해주면 높은 효율을 기대할 수 있지만, 각 코일마다 전류를 조절하기 위해서 전력변환시스템을 각각 구축해야함에 따라 시스템 가격, 복잡성 및 부피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228556호,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전력 전송 코일 선택 제어 방법, 이를 적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한국공개특허 제2019-0084127호, "전달되는 무선 전력을 최대화하기 위한 근접장 충전 패드의 안테나존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방법" 미국등록특허 제9231411호, "SELECTABLE COIL ARRAY" 한국공개특허 제2018-0001783호,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제어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복수의 송신 코일이 배치되어 있는 송신부 상에 수신 코일을 포함하는 수신부가 위치할 경우, 복수의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사이의 결합 계수를 기준으로 최적의 송신 코일을 선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송신 코일이 배치되어 있는 송신부에서 수신부로 전력을 전달했을 시, 효율 및 전력전달효율을 수식적으로 분석하여 최적의 송신 코일을 선택하는 기준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및 임피던스 분석 방법 등을 이용하여 각 코일 간의 결합 계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결합 계수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든 송신 코일을 동작 시켰을 때 영향이 작은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력 손실 및 누설 자기장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송신 코일만을 선택하여 동작 시켰을 경우에 대비하여 최대 전력 용량을 증가시키고, 같은 전력을 송신하기 위해 코일 당 유입되는 전류를 분배하여 전력 손실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간의 결합 계수 상대적 비율만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코일의 개수, 송신 코일의 크기, 수신 코일의 크기, 부하저항, 동작주파수 등에 상관하지 않고, 선택적으로 송신 코일을 동작시킴에 따라 무선전력 전송의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신부의 위치에 따라 각 송신 코일에 공급하는 전류값을 조절하여 전류 값을 조절함에 따른 시스템 가격, 부피 및 복잡성 증가와 관련된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을 포함하는 송신부,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로부터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을 포함하는 수신부 및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 각각과 상기 수신 코일 사이의 결합 계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결합 계수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결합 계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리하고, 상기 내림차순으로 정리된 결합 계수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의 구동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결합 계수와 다음 수학식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제어부는 상기 m에 상기 결정된 구동 순위에 따른 송신 코일의 순번을 대입함에 따라 상기 km의 결합 계수를 결정하면서 상기 ki의 결합 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km의 결합 계수와 상기 ki의 결합 계수의 결합 계수 비율이 다음 수학식에 의해 산출된 값보다 클 경우, 상기 m에 해당하는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 상에서 상기 수신 코일의 중심 위치 변화에 따라서 결합 계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결합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의 구동 순위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구동 순위에 기반한 송신 코일의 순번을 다음 수학식에 대입하여 상기 다음 수학식에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송신 코일을 포함하는 송신부,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로부터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을 포함하는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 및 상기 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 각각과 상기 수신 코일 사이의 결합 계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확인된 결합 계수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확인된 결합 계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리하고, 상기 내림차순으로 정리된 결합 계수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의 구동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인된 결합 계수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결합 계수와 다음 수학식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상기 확인된 결합 계수와 다음 수학식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m에 상기 결정된 구동 순위에 따른 송신 코일의 순번을 대입함에 따라 상기 km의 결합 계수를 결정하면서 상기 ki의 결합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km의 결합 계수와 상기 ki의 결합 계수의 결합 계수 비율이 다음 수학식에 의해 산출된 값보다 클 경우, 상기 m에 해당하는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본 발명은 복수의 송신 코일이 배치되어 있는 송신부 상에 수신 코일을 포함하는 수신부가 위치할 경우, 복수의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사이의 결합 계수를 기준으로 최적의 송신 코일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송신 코일이 배치되어 있는 송신부에서 수신부로 전력을 전달했을 시, 효율 및 전력전달효율을 수식적으로 분석하여 최적의 송신 코일을 선택하는 기준을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및 임피던스 분석 방법 등을 이용하여 각 코일 간의 결합 계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결합 계수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든 송신 코일을 동작시켰을 때 영향이 작은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력 손실 및 누설 자기장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송신 코일만을 선택하여 동작시켰을 경우에 대비하여 최대 전력 용량을 증가시키고, 같은 전력을 송신하기 위해 코일 당 유입되는 전류를 분배하여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간의 결합 계수 상대적 비율만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코일의 개수, 송신 코일의 크기, 수신 코일의 크기, 부하저항, 동작주파수 등에 상관하지 않고, 선택적으로 송신 코일을 동작시킴에 따라 무선전력 전송의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신부의 위치에 따라 각 송신 코일에 공급하는 전류값을 조절하여 전류 값을 조절함에 따른 시스템 가격, 부피 및 복잡성 증가와 관련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적용된 무선충전 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설명 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등가 회로를 설명 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이용한 최대 효율을 나타내는 송신 코일의 조합을 선택하는 시뮬레이션을 설명 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이용한 최대 효율을 나타내는 송신 코일의 조합을 선택하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설명 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적용된 무선충전 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무선충전 패드가 복수의 송신 코일을 포함하고, 복수의 송신 코일 상에 수신 코일을 포함하는 충전 대상이 위치할 경우,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100)은 무선충전 패드(110)가 복수의 송신 코일을 포함한다.
복수의 송신 코일은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100)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된 송신 코일(111)과 비활성화된 송신 코일(112)을 포함한다.
활성화된 송신 코일(111)과 비활성화된 송신 코일(112)은 충전 대상(120)의 수신 코일의 중심점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100)은 무선충전 패드(110) 상에 충전 대상(120)이 위치할 경우, 무선충전 패드(110)에 포함된 송신 코일들과 충전 대상(120)의 수신 코일 간의 결합 계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결합 계수에 기반하여 복수의 송신 코일들 중에서 활성화시킬 송신 코일을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100)은 무선충전 패드(110) 상에 충전 대상(120)이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고, 무선충전 패드(110)의 송신 코일들 각각과 충전 대상(120)의 수신 코일 간의 결합 계수를 확인하는데, 통신기술 및 임피던스 분석 기술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100)은 각 결합 계수를 선택 기준에 대입하여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선택적으로 구동되어야하는 활성화된 송신 코일(111)을 결정하고,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100)은 최대 효율을 가질 수 있는 송신 코일 만을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100)이 복수의 송신 코일에서 일부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충전 대상(120)에 대한 충전 및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을 최대화하는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보충 설명한다.
일례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100)은 충전 대상(120)의 움직임 변화에도 무선충전 패드(110)가 넓게 제작될 경우, 충전 대상(120)이 정확한 위치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최적의 무선 충전 효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충전 패드(110)는 송신부에 포함되고, 추정 대상(120)은 수신부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충전 대상(120)이 복수로 존재할 경우, 각 충전 대상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송신 코일을 구동함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는 복수의 충전 대상에 대하여 동일한 충전 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100)은 모바일 디바이스, 전기자동차 충전, 인체 삽입형 의료기기의 무선 충전을 지원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100)은 무선충전 패드(110)가 책상, 카페테이블 전체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더라도, 부분적으로만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함에 따라 전력 충전 효율은 보장하면서 전력 소모율은 낮은 무선 충전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설명 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200)은 송신부(210), 수신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일례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200)은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송신부(210)는 복수의 송신 코일을 포함하고, 복수의 송신 코일 각각은 무선충전패드 상에서 각각이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며, 서로 다른 위치에 따라 수신 코일의 중심점과 접촉될 수 있다.
일례로, 수신부(220)는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로부터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코일은 수신부(220)의 위치에 따라 중심점의 위치가 이동되고, 중심점의 위치에 따라 송신부(210)의 송신 코일들과 각각 다른 결합 계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송신부(210) 및 수신부(2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230)는 복수의 송신 코일 각각과 수신 코일 사이의 결합 계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결합 계수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확인된 결합 계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리하고, 내림차순으로 정리된 결합 계수에 기반하여 복수의 송신 코일의 구동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확인된 결합 계수의 값이 큰 순서에 따라서 복수의 송신 코일의 구동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복수의 송신 코일이 제1 송신 코일 내지 제5 송신 코일을 포함하고, 제1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결합 계수가 제1 정수이고, 제2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결합 계수가 제2 정수일 경우에 제1 정수가 제2 정수보다 크다고 가정되면 제1 정수에 해당하는 제1 송신 코일의 구동 순위를 제2 송신 코일의 구동 순위보다 우선 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하기 수학식 1에 기반하여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6
수학식 1에서, km은 m번째 송신 코일의 결합 계수를 나타낼 수 있고, m은 복수의 송신 코일에 대하여 결정된 구동 순위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m에 결정된 구동 순위에 따른 송신 코일의 순번을 대입함에 따라 km의 결합 계수를 결정하면서 ki의 결합 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n개의 송신 코일이 송신부(210)에 포함된 상태에서 m은 2부터 n까지의 숫자 중 임의의 숫자로 결정하고, 1은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간의 결합 계수가 가장 큰 코일에 배정한다.
따라서, 결합 계수의 크기는 k1가 가장 크고, k2가 다음으로 크며, k3가 그 다음으로 크고, kn이 가장 작은 결합 계수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수학식 1에 만족하는 송신 코일은 구동하고, 수학식 1에 만족하지 않는 송신 코일은 구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수학식 1을 송신 코일의 선택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230)는 km의 결합 계수와 ki의 결합 계수의 결합 계수 비율이 다음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된 값보다 클 경우, m에 해당하는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수학식 2는 수학식 1에 포함된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7
수학식 2에서, m은 복수의 송신 코일에 대하여 결정된 구동 순위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학식 1에서 m이 2일 경우에는 하기 수학식 3으로 도출 가능하고, 수학식 1에서 m이 3일 경우 하기 수학식 4가 도출 가능하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8
수학식 3에서 k2는 2번째로 큰 결합 계수를 나타낼 수 있고, k1은 1번째로 큰 결합 계수를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3의 경우는 k1에 대한 k2의 비율이 0.414보다 클 경우, 2번째로 큰 결합 계수에 해당하는 송신 코일이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수학식 4]
Figure pat00009
수학식 4에서 k3는 3번째로 큰 결합 계수를 나타낼 수 있고, k2는 2번째로 큰 결합 계수를 나타낼 수 있으며, k1은 1번째로 큰 결합 계수를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4의 경우는 k1과 k2의 합에 대한 k3의 비율이 0.225보다 클 경우, 2번째로 큰 결합 계수에 해당하는 송신 코일이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4와 관련하여 결합 계수 비율과 기준 값의 변화는 하기 표 1로 정리할 수 있다.
m 결합 계수 비율 기준 값
2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3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4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5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n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즉, 제어부(230)는 표 1에서 개시하는 결합 계수 비율과 기준 값을 비교하여 해당 송신 코일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복수의 송신 코일 상에서 수신 코일의 중심 위치 변화에 따라서 결합 계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결합 계수를 이용하여 복수의 송신 코일의 구동 순위를 결정하며, 결정된 구동 순위에 기반한 송신 코일의 순번을 상기 수학식 1에 대입하여 상기 수학식 1에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230)는 수신부(220)의 위치 변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송신부(210)의 송신 코일들을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송신 코일이 배치되어 있는 송신부 상에 수신 코일을 포함하는 수신부가 위치할 경우, 복수의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사이의 결합 계수를 기준으로 최적의 송신 코일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송신 코일이 배치되어 있는 송신부에서 수신부로 전력을 전달했을 시, 효율 및 전력전달효율을 수식적으로 분석하여 최적의 송신 코일을 선택하는 기준을 도출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및 임피던스 분석 방법 등을 이용하여 각 코일 간의 결합 계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결합 계수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등가 회로를 설명 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등가 회로에 기반하여 결합 계수를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송신부(300)와 수신부(31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신부(300)는 복수의 송신 코일을 포함하고, 복수의 송신 코일은 수신부(310)의 수신 코일로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송신부(300)의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제1 송신 코일(tx1) 내지 제n 송신 코일(txn)로 구성된다. 즉, 송신 코일의 개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일례로, 수신부(310)는 하나의 수신 코일(rx)를 포함한다.
송신부(300)는 직류 교류 변환 시스템을 포함하고, 수신부(310)는 교류 직류 정류기를 포함한다.
제1 송신 코일(tx1) 내지 제n 송신 코일(txn) 각각과 수신 코일(rx)은 결합 계수를 이룬다.
예를 들어, 결합 계수를 확인하기 위한 파라미터는 아래와 같다.
Ltxm는 m번째 송신 코일의 인덕턴스를 나타낼 수 있고, m은 1부터 n까지를 나타낼 수 있다.
Lrx는 수신 코일의 인덕턴스를 나타낼 수 있다.
Crx는 동작주파수에서 큰 전력을 보내기 위한 보상 커패시터를 나타낼 수 있다.
Rsm, Rtxm 및 Rrx는 각 코일에 있는 기생저항을 나타낼 수 있다.
Lsm, Cpm 및 Csm는 m번째 송신부의 보상회로를 나타낼 수 있고, 동작주파수에서 송신 코일에 일정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일 수 있다.
km는 m번째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간의 결합 계수를 나타낼 수 있고, kij는 i번째 송신 코일과 j번째 송신 코일간의 결합 계수를 나타낼 수 있다.
Csm는 교류성분을 없애주기 위한 스너버 커패시터일 수 있고, RL는 부하저항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송신부(300)의 제1 송신 코일(tx1)은 수신부(310)의 수신 코일(rx)과 제1 결합 계수(k1)를 이루고, 제2 송신 코일(tx2)은 수신 코일(rx)과 제2 결합 계수(k2)를 이루며, 제n 송신 코일(txn)은 수신 코일(rx)과 제n 결합 계수(kn)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 계수(k1) 내지 제n 결합 계수(kn)는 제어부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이용한 최대 효율을 나타내는 송신 코일의 조합을 선택하는 시뮬레이션을 설명 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7개의 송신 코일을 포함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7개의 송신 코일을 포함하는 송신부 상에 수신부가 위치할 경우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설명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400)은 제1 내지 제7 송신 코일을 포함하는 송신부 상에 하나의 코일을 포함하는 수신부가 X축과 Y축을 따라서 이동하는 경우에 제1 내지 제7 송신 코일 중에서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송신 코일을 예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송신부는 제1 송신 코일(410), 제2 송신 코일(411), 제3 송신 코일(412), 제4 송신 코일(413), 제5 송신 코일(414), 제6 송신 코일(415) 및 제7 송신 코일(416)을 포함한다.
일례로, 수신부는 수신 코일(420)을 포함한다.
수신 코일(420)의 중심점의 이동에 따라서 제1 송신 코일(410) 내지 제7 송신 코일(416)과 수신 코일(420) 사이의 결합 계수는 변동되고, 제1 송신 코일(410) 내지 제7 송신 코일(416) 중에서 구동되는 송신 코일은 선택적으로 변경 구동된다.
일례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400)은 수신 코일(420)이 X축과 Y축 좌표 상에서 (-90, 60)에 중심점이 위치할 경우에 제1 송신 코일(410), 제2 송신 코일(411) 및 제3 송신 코일(412)을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한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400)은 수신 코일(420)이 X축과 Y축 좌표 상에서 (60, 0)에 중심점이 위치할 경우에 제1 송신 코일(410) 및 제5 송신 코일(414)을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모든 송신 코일을 동작시켰을 때 영향이 작은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력 손실 및 누설 자기장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송신 코일 만을 선택하여 동작시켰을 경우에 대비하여 최대 전력 용량을 증가시키고, 같은 전력을 송신하기 위해 코일 당 유입되는 전류를 분배하여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X축과 Y축의 좌표 상에서 수신 코일의 중심점의 위치에 따라 7개의 송신 코일 중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송신 코일의 개수를 설명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좌표(500) 상에서 수신 코일이 X축과 Y축 좌표 상에서 (-90, 60)에 중심점이 위치할 경우에 제1 송신 코일(TX1), 제2 송신 코일(TX2) 및 제3 송신 코일(TX3)을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즉,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좌표(500) 상에서 수신 코일의 중심점 위치가 (-90, 60)일 경우에 3개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수신 코일의 중심점 위치가 X축과 Y축 좌표 상에서 (60, 0)에 중심점이 위치할 경우에 제1 송신 코일(TX1) 및 제5 송신 코일(TX5)을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즉,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좌표(500) 상에서 수신 코일의 중심점 위치가 (60, 0)일 경우에 2개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이용한 최대 효율을 나타내는 송신 코일의 조합을 선택하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설명 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겹침(overlap)에 따른 결합 계수를 예시한다.
도 6a의 그래프(600)를 참고하면,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은 약 40mm의 겹침(overlap)이 존재하고,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사이의 3개의 경로에 따른 기울기에 따라 각각 이동되면서 결합 계수가 확인될 수 있다.
여기서, 그래프(600)의 각 지표는 결합 계수 비율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고, 수신 지점은 수신 코일의 중심 지점을 나타낼 수 있다.
그래프(600)는 결합 계수가 가장 큰 제1 송신 코일만이 활성화된 상태(
Figure pat00020
)를 나타내고, 제1 송신 코일과 제2 송신 코일 만을 활성화한 상태(
Figure pat00021
)를 나타내며, 모든 송신 코일을 활성화한 상태(
Figure pat00022
)를 함께 예시한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겹침(overlap)에 따른 송신 코일의 선택에 대한 전력 효율성을 예시한다.
도 6b의 그래프(610)를 참고하면,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은 약 40mm의 겹침(overlap)이 존재하고, 제1 슬로프(611), 제2 슬로프(612) 및 제3 슬로프(613)를 예시하며, 결합 계수가 가장 큰 제1 송신 코일만이 활성화된 상태(
Figure pat00023
)를 나타내고, 제1 송신 코일과 제2 송신 코일 만을 활성화한 상태(
Figure pat00024
)를 나타내며, 모든 송신 코일을 활성화한 상태(
Figure pat00025
)를 함께 예시한다.
각 수신 지점의 위치에 따라서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해야함을 제1 슬로프(611) 내지 제3 슬로프(613)가 예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복수의 송신 코일을 포함하는 송신부,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로부터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을 포함하는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 및 상기 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에 따라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을 참고하면, 단계(701)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간의 결합 계수를 확인한다.
즉,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송신 코일 상에 수신 코일이 위치하는 경우, 복수의 송신 코일 각각과 수신 코일 간의 결합 계수를 확인한다.
단계(702)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결합 계수를 복수의 송신 코일에 대한 선택 기준에 적용한다.
즉,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단계(701)에서 확인된 결합 계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리하고, 내림차순으로 정리된 결합 계수에 기반하여 복수의 송신 코일의 구동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구동 순위에 따라 확인된 결합 계수를 상기 수학식 1에 대입하여 복수의 송신 코일에 대한 선택 기준을 적용한다.
단계(703)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송신 코일의 결합 계수가 선택 기준에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무선 전력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단계(702)에서 결정된 구동 순위에 따른 송신 코일의 순번을 수학식 1에 대입하여 km의 결합 계수를 결정하면서 ki의 결합 계수를 결정하되, km의 결합 계수와 ki의 결합 계수의 결합 계수 비율이 수학식 2에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선택 기준에 만족하면 단계(704)를 진행하고, 선택 기준에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절차를 종료한다.
단계(704)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선택된 송신 코일만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즉, 무선 전력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선택 기준에 해당하는 수학식 1에 만족하는 송신 코일만을 선택적으로 동작시켜서 수신 코일에 대한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간의 결합 계수 상대적 비율 만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코일의 개수, 송신 코일의 크기, 수신 코일의 크기, 부하저항, 동작주파수 등에 상관하지 않고, 선택적으로 송신 코일을 동작시킴에 따라 무선전력 전송의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부의 위치에 따라 각 송신 코일에 공급하는 전류값을 조절하여 전류 값을 조절함에 따른 시스템 가격, 부피 및 복잡성 증가와 관련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00: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210: 송신부 220: 수신부
230: 제어부

Claims (10)

  1.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을 포함하는 송신부;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로부터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을 포함하는 수신부; 및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 각각과 상기 수신 코일 사이의 결합 계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결합 계수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결합 계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리하고, 상기 내림차순으로 정리된 결합 계수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의 구동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결합 계수와 다음 수학식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Figure pat00026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m에 상기 결정된 구동 순위에 따른 송신 코일의 순번을 대입함에 따라 상기 km의 결합 계수를 결정하면서 상기 ki의 결합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km의 결합 계수와 상기 ki의 결합 계수의 결합 계수 비율이 다음 수학식에 의해 산출된 값보다 클 경우, 상기 m에 해당하는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Figure pat00027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 상에서 상기 수신 코일의 중심 위치 변화에 따라서 결합 계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결합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의 구동 순위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구동 순위에 기반한 송신 코일의 순번을 다음 수학식에 대입하여 상기 다음 수학식에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Figure pat00028
  7. 복수의 송신 코일을 포함하는 송신부,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로부터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을 포함하는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 및 상기 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 각각과 상기 수신 코일 사이의 결합 계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확인된 결합 계수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확인된 결합 계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리하고, 상기 내림차순으로 정리된 결합 계수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의 구동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결합 계수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결합 계수와 다음 수학식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
    Figure pat00029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결합 계수와 다음 수학식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m에 상기 결정된 구동 순위에 따른 송신 코일의 순번을 대입함에 따라 상기 km의 결합 계수를 결정하면서 상기 ki의 결합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km의 결합 계수와 상기 ki의 결합 계수의 결합 계수 비율이 다음 수학식에 의해 산출된 값보다 클 경우, 상기 m에 해당하는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
    Figure pat00030
KR1020200174836A 2020-12-14 2020-12-14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468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836A KR102468936B1 (ko) 2020-12-14 2020-12-14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17/643,919 US11750039B2 (en) 2020-12-14 2021-12-13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for selectively driving at least one transmitting coil among transmitting coil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836A KR102468936B1 (ko) 2020-12-14 2020-12-14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892A true KR20220084892A (ko) 2022-06-21
KR102468936B1 KR102468936B1 (ko) 2022-11-23

Family

ID=81941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836A KR102468936B1 (ko) 2020-12-14 2020-12-14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750039B2 (ko)
KR (1) KR10246893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556B1 (ko) 2010-11-04 2013-02-07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전력 전송 코일 선택 제어 방법, 이를 적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20170022420A (ko) * 2015-08-20 2017-03-02 (주)창성 송신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용 패드
KR20180001783A (ko) 2016-06-28 2018-01-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80046018A (ko) * 2016-10-27 2018-05-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무선 충전 코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90084127A (ko) 2016-12-12 2019-07-15 에너저스 코포레이션 전달되는 무선 전력을 최대화하기 위한 근접장 충전 패드의 안테나 존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방법
KR20200058808A (ko) * 2018-11-20 2020-05-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KR20200071514A (ko) * 2018-12-11 2020-06-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이의 무선 전력 송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04096B (zh) 2009-04-08 2015-10-11 Access Business Group Int Llc 可選擇性線圈陣列及其系統與方法
US9601930B2 (en) * 2012-09-28 2017-03-21 Broadcom Corporation Power transmitting device having device discovery and power transfer capabilities
US10404075B2 (en) * 2012-09-28 2019-09-03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Power receiving device having device discovery and power transfer capabilities
KR101983173B1 (ko) * 2014-09-11 2019-09-10 주식회사 위츠 비접촉 방식 전력 수전 장치 및 비접촉 방식 배터리 장치
KR102409276B1 (ko) * 2016-02-15 2022-06-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마우스 패드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US10734847B2 (en) * 2017-08-23 2020-08-04 Apple Inc. Wireless power system with coupling-coefficient-based coil select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556B1 (ko) 2010-11-04 2013-02-07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전력 전송 코일 선택 제어 방법, 이를 적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20170022420A (ko) * 2015-08-20 2017-03-02 (주)창성 송신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용 패드
KR20180001783A (ko) 2016-06-28 2018-01-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80046018A (ko) * 2016-10-27 2018-05-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의 무선 충전 코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90084127A (ko) 2016-12-12 2019-07-15 에너저스 코포레이션 전달되는 무선 전력을 최대화하기 위한 근접장 충전 패드의 안테나 존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방법
KR20200058808A (ko) * 2018-11-20 2020-05-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KR20200071514A (ko) * 2018-12-11 2020-06-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이의 무선 전력 송신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등록특허 제9231411호, "SELECTABLE COIL AR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8936B1 (ko) 2022-11-23
US20220190648A1 (en) 2022-06-16
US11750039B2 (en) 202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0479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based on cell division
KR102488951B1 (ko) 스마트 무선 전력 송신을 위해 자기장을 조향하기 위한 방법들
KR101916636B1 (ko) 수신기 위치를 확인하여 무선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462990B1 (ko) 인체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KR102423176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방법
KR20170128055A (ko)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5177860A1 (ja) 無線電力伝送制御方法および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KR102042121B1 (ko) 전력 수신 장치의 수신 전력을 모니터링하여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EP3661012B1 (en) Determination method of magnetic resonant condition for multi-devic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KR102468936B1 (ko) 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069097B1 (ko)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마그네틱 필드 생성용 코일 장치
KR102657215B1 (ko) 자성체 포화현상을 이용하여 누설 자기장의 고조파 성분을 상쇄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042120B1 (ko) 가변 캐패시턴스를 이용한 위상 변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시스템
KR101958595B1 (ko) 무선전력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배열안테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947923B1 (ko) 패치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20180075412A (ko) 빔 조향이 가능한 메타구조 전송선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Huh et al. Optimal transmitter selection method for maximum power efficiency for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ing multi-transmitter
KR20190084388A (ko) 자기 공진 무선 전력 전송 다중 코일 시스템에서 최적의 송신단 코일 전류와 수신단 코일 그룹 선택 방법 및 시스템
KR102051270B1 (ko) 수신기 자유도 개선을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2042116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5025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101967580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수신기 자유도 개선을 위한 입력 전류의 크기 및 위상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1448630A (zh) 用于无线电力传送的线圈设计
CN104578445A (zh) 提高频谱效率和空间效率的无线电力发送方法及装置
US20210376667A1 (en) Universal Wireless Charging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