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882A - 치매환자를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치매환자를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4882A
KR20220084882A KR1020200174818A KR20200174818A KR20220084882A KR 20220084882 A KR20220084882 A KR 20220084882A KR 1020200174818 A KR1020200174818 A KR 1020200174818A KR 20200174818 A KR20200174818 A KR 20200174818A KR 20220084882 A KR20220084882 A KR 20220084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mentia patient
smart mat
dementia
hom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0638B1 (ko
Inventor
윤여동
Original Assignee
폴스타헬스케어(주)
삼일씨티에스(주)
(주)아이티위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스타헬스케어(주), 삼일씨티에스(주), (주)아이티위너 filed Critical 폴스타헬스케어(주)
Priority to KR1020200174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638B1/ko
Publication of KR20220084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치매환자의 일상활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지에서도 케어가 가능한 치매환자의 일상활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치매환자의 장시간에 걸친 일상활동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수집하여 수집된 일상활동 데이터 또는 병력 등의 개인 데이터를 기초로 치매환자 관리센터에서 조기에 치매환자의 일상활동의 이상을 찾아내어 정밀한 케어를 할 수 있는 치매환자의 일상활동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매환자를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Smart Mat System for Monitoring Behavior of Dementia Patien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치매환자의 일상활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지에서도 케어가 가능한 치매환자의 일상활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치매는 정상적으로 생활해오던 사람이 후천적으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기억, 언어, 판단력 등의 여러 영역의 인지기능이 떨어져서 일상생활에 상당한 지장이 나타나는 상태로, 치매는 어떤 하나의 질병 명이 아니라, 특정한 조건에서 여러 증상들이 함께 나타나는 증상들의 묶음인 증후군이다.
치매의 대표적인 초기 증상은 기억력 장애이다. 나이가 들면서 젊었을 때에 비해 기억력은 저하 되지만, 치매는 이러한 정상적인 변화와는 다르다. 즉, 치매는 질병이며 나이가 들어서 생기는 자연스러운 결과가 아니다.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기억력 저하는 대개 사소한 일들에 국한되어 있으며, 개인의 일상생활을 심각하게 저해하지 않는다.
과거에는 치매를 망령, 노망이라고 부르면서 노인이면 당연히 겪게 되는 노화 현상이라고 생각했으나, 최근의 많은 연구를 통해 분명한 뇌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다. 두통이나 만성 기침, 피로감 등의 여러 증상들도 그 원인에 따라 치료법이 다르듯, 치매도 그 원인을 밝혀 적절한 치료법을 찾아내는 것이 원칙이므로, 치매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전 세계적으로 치매는 65세 이상 노인에서 약 5-10%의 유병률을 보이고 있고, 새로운 치매 환자가 연간 460만 명, 7초당 한 명씩 발생한다. 2008년 전국치매역학조사 결과, 65세 이상의 노인의 치매 유병률은 8.40% 이었고, 치매 환자수는 421,387명 (남성 163,450명, 여성 257,936명)으로 추정되었다. 치매의 유병률은 65세를 기준으로 5세가 증가할 때 마다 거의 2배씩 증가하였다. 급속한 고령화로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치매 유병률은 계속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환자수도 2050년까지 20년 마다 2배씩 증가하여 2010년 약 47만 명, 2030년 약 114만 명, 2050년에는 213만 명으로 추정된다.
알쯔하이머 치매 유병률이 5.94%로 전체 치매의 70.7%를 차지하였고, 혈관성 치매가 2.05%로 전체 치매의 24.4%를 차지한다. 치매 유병률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높으며, 최경도 치매, 경도 치매, 중등도 치매, 중증 치매는 각각 전체 치매의 28.8%, 39.2%, 18.5%, 13.5%로 최경도 및 경도 치매가 전체의 68%를 차지할 정도로 흔한 질병이다.
우리나라에서는 70 세 이상의 고령자 인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고, 고령화에 비례하고 케어를 필요로 하는 고령자 인구도 2025년에는 520만명에 도달하는 것이라고 예측되어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가족의 케어를 받지 못하는 독거노인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이들 독거노인이 질병에 걸리지 않고 건강을 유지하는 웰빙 생활이 될 수 있도록 사회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급선무가 되고 있다.
그렇지만 공적인 케어 서비스나 인근한 이웃사촌에게 의존하는 것은 케어 비용이나 인적자원의 면에서 한계가 있으므로, 고령자의 프라이버시를 지키면서, 원격 모니터링, 정보 처리 기술 등의 기술을 활용하고 치매환자의 일상생활을 집중 관리, 원격 진단함으로써, 케어 서비스의 고도화를 기하려는 시도가 생겨나고 있다.
종래기술에 의한 치매환자의 원격 일상활동 모니터링 장치는 비상 버튼이 부착된 게이트웨이와 유무선으로 접속하는 펜던트 타입의 긴급 버튼을 치매환자의 자택에 설치하고, 긴급 버튼의 구조 신호가 통신 회선을 통해 원격지에서 케어를 하는 치매환자 관리센터의 관리서버에 전송되는 방식이다. 즉, 치매환자가 비상시에 비상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긴급 신호가 관리서버에 전송되는 방식이다.
이 기술에서 치매환자 관리센터는 긴급 통보 정보를 수신하면, 치매환자의 자택에 전화를 걸어 상황을 듣거나 긴급상황의 경우 의료 기관이나 소방서가 구급차를 보내도록 정보를 전달을 함으로써, 치매환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케어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비상 버튼 통보 시스템과 같은 긴급 통보형 시스템에서는 치매환자의 사고를 확인하는 시점에서 이미 때늦은 결과가 될 가능성이 커서 문제가 된다. 따라서 미연에 치매환자의 이상증상을 예측하여 사고를 예방하려는 케어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하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치매환자의 장시간에 걸친 일상활동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수집하여 수집된 일상활동 데이터 또는 병력 등의 개인 데이터를 기초로 치매환자 관리센터에서 조기에 치매환자의 일상활동의 이상을 찾아내어 정밀한 케어를 할 수 있는 치매환자의 일상활동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치매환자가 거주하는 자택의 구획된 복수의 생활공간 각각에 분산 배치되고, 상기 치매환자가 통과하거나 머물고 있는지를 압력의 정도 또는 변화량으로 감지하는 압력 센서부와, 상기 압력 센서부가 작동시의 시간 정보를 감지하는 시간정보 감시부와, 상기 압력 센서부가 측정한 압력정보와 상기 시간정보 감시부가 감시한 시간정보를 외부로 전송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통신모듈을 가지는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
상기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의 상기 통신모듈과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압력정보와 상기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치매환자의 일상생활 정보를 생성하는 일상생활정보 생성부;
상기 치매환자가 거주하는 상기 자택에 설치되고, 상기 일상생활정보 생성부에 접속되어 외부의 네트워크로 상기 치매환자의 상기 일상생활 정보를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원격지의 치매환자 관리센터에 설치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치매환자의 일상활동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일상생활정보 생성부는 상기 압력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치매환자의 기상시각, 취침시각, 보행 거리를 포함하는 상기 치매환자의 일상 생활과 관련된 활동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활동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치매환자의 일상생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상생활정보 생성부는 상기 치매환자의 일상생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활동 패턴과 다른 이상 패턴을 인지한 경우, 상기 치매환자의 건강 이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관리서버로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의 상면은 자율적으로 변형되어 다양한 매트 형상을 구현함으로써 치매환자가 밟고 지나갈 때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자세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치매환자의 자택에 비치되어 상기 치매환자의 출입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치매환자가 거주하는 상기 자택에 설치되고, 상기 치매환자가 상기 자택을 나가거나 상기 자택에 머물고 있는지를 압력의 정도 또는 변화량으로 감지하는 압력 센서부와, 상기 압력 센서부가 작동시의 시간 정보를 감지하는 시간정보 감시부와, 상기 압력 센서부가 측정한 압력정보와 상기 시간정보 감시부가 감지한 시간정보를 외부로 전송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통신모듈을 가지는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
상기 치매환자가 거주하는 상기 자택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외부의 네트워크로 상기 치매환자의 일상생활 정보를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원격지의 치매환자 관리센터에 설치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는 상기 치매환자가 거주하는 자택의 구획된 복수의 생활공간 각각에 분산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 각각의 상기 통신모듈과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상기 압력정보와 상기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치매환자의 일상생활 정보를 생성하는 일상생활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압력 센서부는 복수의 로드셀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로드셀 센서는 상기 치매환자가 상기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를 밟았을 때 압력분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치매환자의 단말기와 연결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압력분포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치매환자의 자세가 올바른지 여부를 판단하고, 자세가 올바르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치매환자의 상기 단말기로 자세 교정 알람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압력 센서부로부터 생성된 상기 압력분포 정보를 분석해서 상기 치매환자가 외출할 것인지 아니면 자택에 머무를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게이트웨이와 상기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는 상기 자택의 현관문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치매환자의 아이디를 전송하는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를 착용한 상기 치매환자가 상기 자택의 현관문에 인접하여 설치된 상기 게이트웨이에 근접한 경우에 상기 관리서버는 제1 단계로 상기 치매환자가 외출할 것으로 예측하고, 상기 밴드를 착용한 상기 치매환자가 상기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까지 밟은 경우 제2 단계로서 상기 치매환자가 외출할 것으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의 일상활동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는 상기 제시된 수단과 같이 구성되어 치매환자의 생활상태 및 건강 상태의 변화를 치매환자 관리센터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치매환자가 회복 불능 상태에 이르기 전에 미리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여 조치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범용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인 치매환자의 일상활동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반발슬리브 및 제1 쿠션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기 분사부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인 치매환자의 일상활동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반발슬리브 및 제1 쿠션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의 일상활동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10)는, 치매환자가 거주하는 자택(11)의 구획된 복수의 생활공간 각각에 분산 배치되고, 상기 치매환자가 통과하거나 머물고 있는지를 압력의 정도 또는 변화량으로 감지하는 압력 센서부와, 상기 압력 센서부가 작동시의 시간 정보를 감지하는 시간정보 감시부(21)와, 상기 압력 센서부가 측정한 압력정보와 상기 시간정보 감시부(21)가 감시한 시간정보를 외부로 전송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통신모듈(22)을 가지는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
상기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의 상기 통신모듈(22)과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를 제어하고 상기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로부터 상기 압력정보와 상기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치매환자의 일상생활 정보를 생성하는 일상생활정보 생성부(30);
상기 치매환자가 거주하는 상기 자택(11)에 설치되고, 상기 일상생활정보 생성부(30)에 접속되어 외부의 네트워크(50)로 상기 치매환자의 상기 일상생활 정보를 전송하는 게이트웨이(40); 및 상기 게이트웨이(40)와 네트워크(50)로 연결되고, 원격지의 치매환자 관리센터에 설치되는 관리서버(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치매환자의 자택(11)은 치매환자의 일상활동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10)에 의해 케어될 수 있다.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는 치매환자의 자택(11) 내에 설치되는 매트형상으로 구성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는 예컨대 치매환자의 자택(11)의 안방(a) 출입구, 건너방(b) 출입구, 거실(c) 출입구, 주방(d) 출입구, 화장실(e) 출입구, 현관(f) 출입구 등의 주변에 각각 분산되어 설치될 수 있고, 일상생활정보 생성부(30)와 게이트웨이(40)는 예컨대 치매환자의 자택(11)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는 치매환자가 밟고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압력 센서부는 치매환자가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를 밟고 통과했을 때의 하중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압력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예컨대 사람이 아닌 물건 등이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 위에 놓여졌는지, 치매환자가 출입구를 통과 시에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를 밟았는지 등의 식별이 가능하다.
압력 센서부는 실시예에 따라서 로드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실시예에서 제1 센서(3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시간정보 감시부(21)는 압력 센서부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시계 또는/및 타이머 기능을 하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일상생활정보 생성부(30)는 치매환자가 통과하고 있는지나 머물고 있는지를 변화량으로서 검지하는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의 신호를 수신하여 치매환자의 일상생활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게이트웨이(40)를 경유해 외부의 네트워크(50)를 통하여 원격의 치매환자 관리서버(60)로 송신할 수 있다.
치매환자 관리서버(60)는 수신한 치매환자의 일상생할 정보를 통하여 치매환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치매환자의 건강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치매환자가 자택(11) 내부에서 일상 활동을 하면서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를 밟음으로써 얻어지는 정보는 기본적으로 시간 정보, 장소 정보 등을 포함하며,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 별 이력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 별 이력정보는 밟은 횟수 정보, 밟은 시각 정보, 밟고 있는데 걸리는 시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상생활정보 생성부(30)는 상기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를 밟음으로써 얻어지는 정보를 통하여 치매환자의 기상시각, 취침시각, 보행 거리 등 치매환자의 일상 생활과 관련된 활동 패턴을 분석할 수 있으며, 분석된 치매환자의 활동 패턴에 기초하여 치매환자의 일상생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상생활정보 생성부(30)는 생성된 일상생활 정보를 게이트웨이(40)를 통하여 관리서버(60)가 설치된 치매환자 관리센터로 전송할 수 있다. 치매환자 관리센터의 관리서버(60)는 수신한 일상생활 정보를 기초로 치매환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일상 생활정보는 실시예에 따라서 치매환자가 자택에서 외출을 하거나 자택에 머물러 있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나가서 예를 들면 치매환자의 일상의 취침 시간이나 기상 시간의 변화, 화장실의 사용 유무, 사용 횟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하여 치매환자의 건강 상태가 나빠지기 전에 전조 증상을 미리 체크할 수 있으며, 이 정보를 기초로 치매환자의 건강 변화를 치매환자 관리센터에서 사전에 포착해서 헬스 케어 기관이나 의료 기관으로 정보 제공하는 등의 적절한 조치가 가능하다.
또한, 치매환자의 건강 상태는 단지 육체적인 것 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변화도 취침시간, 기상시간 등 일상 생확과 관련된 활동 패턴에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치매환자 관리센터는 치매환자의 일상생활 정보를 기초로 치매환자의 정신 상태, 마음 상태의 치유도 가능하다. 이 부분은 후술할 실시예에서 향기 분사부 구성에 의하여 능동적으로 치유가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서 일상생활정보 생성부(30)는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한 치매환자가 밟은 압력 정보 및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치매환자의 기상시각, 취침시각, 보행 거리를 포함하는 치매환자의 일상 생활과 관련된 활동 패턴을 분석할 수 있고, 분석된 활동 패턴에 기초하여 치매환자의 일상생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활동 패턴은 치매환자의 일상 생활과 관련하여 집안 곳곳을 걸어 이동하는 생활 패턴과 걸음걸이나 보폭 바닥을 밟는 습관 등을 포함하는 개인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상생활정보 생성부(30)는 치매환자의 일상생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활동 패턴과 다른 이상 패턴을 인지한 경우, 치매환자의 건강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고, 치매환자 관리서버(60)로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치매환자의 건강 상태가 나빠지거나 낙상 등 사고로 인하여 걸음걸이가 비정상적으로 되는 경우, 걷는 자세가 나쁜자세인 경우, 일상생활정보 생성부(30)는 치매환자의 걸음 걸이를 이상 패턴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후술할 제어부(400)는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를 능동적으로 변화시켜 치매환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는 쿠션소재로 이루어져 치매환자의 발바닥(F)이 안착되는 제1 쿠션부재(100);
상기 제1 쿠션부재(100)의 상면(100a)을 소정의 크기를 갖는 복수의 화소 형태로 구획하여 화소 별로 각각 상하이동 시키면서 상기 제1 쿠션부재(100)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격자형 상하이동수단(200);
상기 제1 쿠션부재(100)에 구비되어 상기 상면(100a)의 상태를 화소 별로 감지하여 제공하는 감지수단(300); 및
상기 감지수단(300)의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격자형 상하이동수단(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감지수단(300)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고, 일상생활정보 생성부(30)로부터 일상생활 정보를 전송받을 수도 있다. 감지수단(300)은 일상생활정보 생성부(30)로 감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제어부(400)로 직접 감지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수단(300)은, 상기 격자형 상하이동수단(200)에 의해 구획된 상기 상면(100a)의 화소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화소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400)에 제공하는 제1 센서(320); 및
상기 제1 센서(320)와 함께 상기 상면(100a)의 화소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화소의 높이 및 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400)에 제공하는 제2 센서(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센서(320)는 전술한 압력 센서부를 의미할 수 있으며,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 상에 분포 배치된 복수의 로드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센서(320)는 치매환자의 일상생활 정보를 수집하는 데 제공되는 것일 수 있고, 제2 압력센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가 능동적으로 치매환자의 자세를 교정하는데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는 치매환자가 밟았을 때 하중 등의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부의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는 치매환자에 맞는 높이 및 각도를 갖도록 변형됨으로써 밟고 넘어갈 때 안정성과 교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매트이다. 이는 지금 기술하고 있는 제2 센서(310)가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는 치매환자의 발바닥(F)이 안착되는 상면(100a)을 복수의 화소(P) 형태로 구획하여 변형시킴으로써 다양한 매트 형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매트다. 이는 치매환자가 넘어지거나 몸이 불편하거나 건강 상태가 나빠진 경우 걸음걸이가 절뚝거리거나 걷는 자세가 몸에 나쁜 자세인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는 능동적이고 자율적으로 변형되어 다양한 매트 형상을 구현함으로써 치매환자가 밟고 지나갈 때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자세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치매환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를 밟고 지나갈 때 일상생활정보 생성부(30)에 의하여 기 저장된 발의 움직임 패턴(이는 기 분석된 활동 패턴에 포함됨)과 비교하여 이상 패턴으로 인지된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 능동적으로 자세 교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치매환자가 다음번에 매트를 밟을 때에는 능동적으로 표면이 형상을 변화하여 치매환자가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는 제1 쿠션부재(100), 격자형 상하이동수단(200), 감지수단(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쿠션부재(100)는 치매환자의 발바닥(F)이 안착되면서 쿠션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제1 쿠션부재(100)는 쿠션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컨대 라텍스나 스펀지, 메모리폼 등과 같이 쿠션을 갖는 모든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대략 직육면체 형태로 제작되면서 상면(100a)에 치매환자의 발바닥(F)이 안착되는 상면(100a)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쿠션부재(100)는 쿠션을 가지면서 형태 변형이 자유로운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상면(100a)이 후술되는 반발슬리브(210)에 의해 형태가 변형하면서 치매환자의 발바닥(F)에 부합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쿠션부재(100)의 상면(100a)에 제2 쿠션부재(120)가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제2 쿠션부재(120)도 제1 쿠션부재(100)의 상면(100a)과 함께 변형되도록 유연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쿠션부재(100)의 하면에는 베이스(210a)가 적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치매환자의 발바닥(F)이 제1 쿠션부재(100)의 상면(100a)에 안착된다고 표현하였지만 제2 쿠션부재(120)가 적층되는 구조에서 제2 쿠션부재(120)가 압축되면서 제1 쿠션부재(100)의 상면(100a)에 안착된다는 표현이 포함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매트커버는 내부에 제1 쿠션부재(100) 및 제2 쿠션부재(120)가 수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세탁이나 세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쿠션부재(100)의 저면에는 후술되는 반발슬리브(210)들을 각각 수용하는 수용홀더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격자형 상하이동수단(200)은 제1 쿠션부재(100)의 형태를 치매환자에 맞게 변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특히 격자형 상하이동수단(200)은 제1 쿠션부재(100)의 상면(100a)을 복수의 화소(P)로 구획하여 화소(P)별로 각각 상하이동 시킴으로써 제1 쿠션부재(100)의 다양한 형태를 구현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격자형 상하이동수단(200)은 반발슬리브(210) 및 압력공급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반발슬리브(210)는 후술되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한 압력공급부(220)의 작동에 의해 길이가 신축하면서 제1 쿠션부재(100)의 일부분을 상하이동시켜 제1 쿠션부재(100)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실시예에 따라서, 반발슬리브(210)는 압력공급부(220)에서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로드(211)가 인출되면서 길이가 신장하거나 공기압의 배출에 의해 로드(211)가 인입되면서 길이가 축소되는 공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반발슬리브(210)는 압력공급부(220)에서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길이가 신장하거나 유압의 배출에 의해 길이가 축소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반발슬리브(210)는 복수로 구성되어 베이스(210a)에 소정간격을 이루면서 격자형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쿠션부재(100)에 형성된 관통홀(212)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제1 쿠션부재(100)를 각각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쿠션부재(120)에도 로드(211)가 위치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반발슬리브(21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상태로 각각의 로드(211)를 통해 제1 쿠션부재(100)를 지지함으로써 제1 쿠션부재(100)를 복수의 화소(P) 형태로 구획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반발슬리브(210) 각각은 제1 쿠션부재(100)의 지지된 화소(P)을 각각 상하이동 시킴으로써 제1 쿠션부재(100)의 형태를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시키면서 치매환자의 발바닥(F)형태에 부합하는 형태로 제1 쿠션부재(100)를 변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반발슬리브(210)는 미도시된 단속밸브가 각각 구비되어 단속밸브의 개폐에 의해 압력공급부(220)에서 공급되는 압력을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압력공급부(220)는 복수의 반발슬리브(210)를 신축시키기 위한 압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베이스(210a)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공급부(220)는 반발슬리브(210)가 공압실린더로 구성될 경우에는 에어펌프로 구성되어 후술되는 제어부(400)에 의해 작동하면서 반발슬리브(210)에 압축공기에 의한 공기압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압력공급부(220)는 반발슬리브(210)가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경우에는 유압펌프로 구성되어 후술되는 제어부(400)에 의해 작동하면서 반발슬리브(210)에 유압에 의한 압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압력공급부(220)는 베이스(210a)에 설치되는 베터리(221)의 전원에 의해 작동할 수 있으며, 미도시된 외부단자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전원에 의해 작동할 수도 있다.
상기 감지수단(300)은 제1 쿠션부재(100)에 설치되어 제1 쿠션부재(100)의 상면(100a)의 상태정보를 전술한 화소(P)별로 각각 감지하여 후술되는 제어부(400)에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감지수단(300)은 복수의 반발슬리브(21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한 상면(100a)의 각 화소(P)의 높이 및 각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감지하여 제어부(400)로 인가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수단(300)은 제2 센서(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센서(310)는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로드(211)의 상하이동이나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제2 센서(310)는 복수의 반발슬리브(210)에 의해 지지되어 구획된 제1 쿠션부재(100)의 화소(P)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반발슬리브(210)의 신축에 의해 변형된 화소(P)의 높이 및 각도를 감지하여 후술되는 제어부(400)로 인가할 수 있다.
또한, 감지수단(300)은 제1 센서(3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센서(320)은 하중을 감지하여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실시예에 따라서 로드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제2 센서(310)와 함께 각각의 화소(P)에 설치되어 치매환자에 의해 화소(P)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여 제어부(400)로 인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센서(310)와 제1 센서(320)는 제1 쿠션부재(100)에서 반발슬리브(210)가 설치되는 관통홀(212)의 내주면 안쪽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센서(320)은 치매환자 발바닥(F)의 하중이 가해지는 화소(P)을 감지함으로써 치매환자의 발바닥(F)의 위치나 자세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서(320)는 치매환자의 발바닥(F)의 위치나 자세 등을 감지함으로써 치매환자의 자세가 올바르거나 올바르지 않은 경우를 확인할 수 있고, 만일 치매환자의 자세가 올바르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치매환자의 단말기와 통신하여 자세를 바로 잡을 것을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전술한 감지수단(300)의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격자형 상하이동수단(200)을 구성하는 반발슬리브(21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제1 쿠션부재(100)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제어부(400)는 베이스(210a)에 설치되는 PC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각 화소(P)에 설치된 감지수단(300)의 감지신호를 인가받으면서 각각의 반발슬리브(2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400)는 미도시된 제어패널이 구비되어 치매환자의 기 설정된 행동 패턴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어되면서 반발슬리브(210)들의 작동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스마트폰이나 테블릿컴퓨터, 서버컴퓨터 등과 같은 보호자 또는 관리센터의 단말기(5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되면서 반발슬리브(210)들의 작동을 허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통신부(410)를 통해 단말기(70)와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모듈(22)는 블루투스 모듈이나 와이파이 모듈 및 무선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로 단말기(70)와 통신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은 WiFi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며, 무선통신 모듈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LTE-A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제어부(400)는 전술한 제2 센서(310)를 통해 각 화소(P)의 높이를 감지하면서 반발슬리브(210)들을 신축시킴으로써 각각의 반발슬리브(210)들의 정확한 높이로 신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감지수단(300)에 제1 센서(320)가 구비된 경우, 제1 센서(320)에 가해지는 하중을 통해 치매환자의 발바닥(F)위치를 감지하면서 해당 위치의 반발슬리브(210)들을 제어하여 제1 쿠션부재(100)의 형태를 치매환자의 발바닥(F)에 맞게 변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400)는 각각의 제2 센서(310)를 통해 반발슬리브(210)들의 높이를 감지함으로써 전체의 반발슬리브(210)들이 이루는 제1 쿠션부재(100)의 모양을 형태별로 수치적 데이터로 저장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400)는 치매환자가 건강 상태가 나빠져서 절뚝거리거나 비틀 거리며 걷는 경우의 반발슬리브(210)들에 대한 수치적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치매환자의 발바닥(F)의 각도, 위치, 하중 등에 따라 저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쿠션부재(100)의 형태를 설정된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반발슬리브(210)들이 이루는 제1 쿠션부재(100)의 모양을 형태 별은 물론, 치매환자 별로 수치적 데이터로 저장함으로써 치매환자에 부합하는 저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쿠션부재(100)의 형태를 치매환자에 맞게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제1 쿠션부재(100)의 형태별 데이터나 치매환자별 데이터를 축적하면서 딥러닝이나 머신 러닝 등의 기법을 통해 가공하면서 치매환자별로 최적의 형태를 도출하여 제1 쿠션부재(100)를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압력공급부(220) 및 반발슬리브(210) 등을 기 설정된 안마프로그램으로 작동시키면서 치매환자의 발바닥(F) 부위를 안마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400)는 각각의 반발슬리브(210)들을 설정된 패턴으로 반복적으로 상하이동시킴으로써 치매환자의 발바닥(F)부위 또는 목부위를 안마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00)는 치매환자의 발바닥(F) 또는 목의 양쪽에 배치된 반발슬리브(210)들을 반복적으로 상하이동시키면서 안마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치매환자가 제1 쿠션부재(100)를 밟게 되면, 제어부(400)는 저장된 치매환자별 제1 쿠션부재(100)의 데이터를 통해 치매환자에 부합하는 형태로 제1 쿠션부재(100)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압력공급부(220)를 작동시켜서 반발슬리브(210)들의 로드(211)를 각각 인출 또는 인입시키면서 제1 쿠션부재(100)의 화소(P)들을 각각 상하이동시켜 제1 쿠션부재(100)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제2 센서(310)를 통해 반발슬리브(210)의 로드(211)에 의한 화소(P)의 높이를 감지하면서 반발슬리브(210)를 작동시킴으로써 저장된 치매환자 별 데이터에 부합하는 형태로 정확하게 제1 쿠션부재(100)를 변형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기 분사부의 구성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의 반발슬리브(210)는 압력공급부(220)로부터 압력을 공급받으면서 치매환자가 밟을 때 기능성 향기를 분출하는 향기 분사부(500)가 설치될 수 있다. 일상생활정보 생성부(30)를 통하여 수집한 일상생활 정보를 기초로 제어부(400)는 치매환자의 정신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제어부(400)가 치매환자의 정신상태가 나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부(400)는 향기 분사부(500)를 제어하여 정신 상태를 개선하는 기능을 가지는 향기를 선별하여 분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치매환자가 정신적으로 우울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우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kd로마 향기를 선정하여 분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향기 분사부(500)는, 일측은 반발슬리브(210)과 연통하고, 타측은 로드(211)와 연통하여, 향기 성분을 함침한 약제를 이동시키는 유체이동튜브(510), 로드(211)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체전달유로(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유체전달유로(520)의 끝단부에는 유체전달 유로노즐가지(520a)가 형성될 수 있다. 유로노즐가지(520a) 구성에 의하여 향기의 분사가 방사형으로 퍼질 수 있다.
로드(211)의 끝단부에서 향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로드(211)의 끝단부를 덮는 제2 쿠션부재(120)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반발슬리브의 내부에는 유체이동튜브와 연통하는 유체공급유로(5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유체공급유로(530)는 유체제어밸브(540)와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의 화소(P)를 구성하는 복수의 반발슬리브(210) 중에서 어느 영역에 분포된 반발슬리브(210)의 로드(211)에서 향기가 분사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치매환자가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를 밟았을때 밟힌 영역이 아닌 그 주변의 영역에서 향기가 분사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치매환자가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20)를 밟았을때 발바닥으로 가려진 로드(211)가 아닌 노출된 노즐에서 향기가 분사되도록 제어되므로 향기의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치매환자가 거주하는 자택의 구획된 복수의 생활공간 각각에 분산 배치되고, 상기 치매환자가 통과하거나 머물고 있는지를 압력의 정도 또는 변화량으로 감지하는 압력 센서부와, 상기 압력 센서부가 작동시의 시간 정보를 감지하는 시간정보 감시부와, 상기 압력 센서부가 측정한 압력정보와 상기 시간정보 감시부가 감시한 시간정보를 외부로 전송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통신모듈을 가지는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
상기 치매환자가 거주하는 상기 자택에 설치되고, 상기 통신모듈과 통신하여 외부의 네트워크로 상기 치매환자의 일상생활 정보를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상기 일상생활 정보를 수신하며, 원격지의 치매환자 관리센터에 설치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치매환자의 일상활동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일상생활 정보는 상기 치매환자가 자택에서 외출하거나 자택에 머물고 있는지를 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의 통신모듈과 접속하여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로부터 압력정보와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치매환자의 일상생활 정보를 생성하는 일상생활정보 생성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상생활정보 생성부는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가 복수인 경우에는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와 별도로 외부에 설치되어, 복수의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들 각각과 연결되어 압력정보와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일생생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를 밟는 치매환자는 자신의 아이디를 송출할 수 있는 밴드를 착용할 수 있다. 치매환자의 아이디는 밴드에서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관리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해당 밴드를 착용하고 자택의 현관문 쪽으로 이동하면 관리서버는 1차적으로 치매환자가 자택으로부터 외출할 것을 예측하고, 해당 밴드를 착용한 치매환자가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를 밟은 경우에는 2차적으로 자택으로부터 외출할 것을 확정하는 2단계를 거쳐서 정밀하게 자택에 머무를 것인지 외출할 것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의 압력 센서부는 로드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셀 센서는 치매환자가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를 밟은 경우 압력의 정도 및 변화량 등의 정보를 통하여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 상에 압력 분포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압력의 분포를 분석하여 치매환자가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를 밟고 현관문을 지나서 외출을 할 것인지 아니면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를 밟았지만 현관문으로 나가지 않고 실내의 다른 장소로 이동할 것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예컨대 압력의 분포를 분석하는 것은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의 어느 부분에 압력이 제일 강하게 표시되고, 어느 부분에 압력이 중간으로 강하게 표시되며, 어느 부분에 압력이 약하게 표시되는지 여부를 분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압력 센서부는 압력의 분포 중 가장 강한 압력점이 현관문 방향에서 나타나면 외출하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가장 강한 압력점이 현관문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에서 나타나면 외출하려는 것이 아니고 실내의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압력 센서부는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에 분포되어 배치되는 로드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치매환자가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를 밟은 경우 압력 센서부는 압력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며 관리서버는 이를 분석하여 치매환자의 외출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스마트 매트 시스템
11: 치매환자의 자택
20: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
21: 시간정보 감시부
22: 통신모듈
30: 일상생활정보 생성부
40: 게이트웨이
50: 네트워크
60: 관리서버
100: 제1 쿠션부재
120: 제2 쿠션부재
200: 상하이동수단
210: 반발슬리브
211: 로드
220: 압력공급부
221: 베터리
300: 감지수단
310: 제2 센서
320: 제1 센서
400: 제어부
P: 화소

Claims (6)

  1. 치매환자의 자택에 비치되어 상기 치매환자의 출입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치매환자가 거주하는 상기 자택에 설치되고, 상기 치매환자가 상기 자택을 나가거나 상기 자택에 머물고 있는지를 압력의 정도 또는 변화량으로 감지하는 압력 센서부와, 상기 압력 센서부가 작동시의 시간 정보를 감지하는 시간정보 감시부와, 상기 압력 센서부가 측정한 압력정보와 상기 시간정보 감시부가 감지한 시간정보를 외부로 전송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통신모듈을 가지는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
    상기 치매환자가 거주하는 상기 자택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외부의 네트워크로 상기 치매환자의 일상생활 정보를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원격지의 치매환자 관리센터에 설치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는 상기 치매환자가 거주하는 자택의 구획된 복수의 생활공간 각각에 분산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 각각의 상기 통신모듈과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상기 압력정보와 상기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치매환자의 일상생활 정보를 생성하는 일상생활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부는 복수의 로드셀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로드셀 센서는 상기 치매환자가 상기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를 밟았을 때 압력분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
  4.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치매환자의 단말기와 연결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압력분포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치매환자의 자세가 올바른지 여부를 판단하고, 자세가 올바르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치매환자의 상기 단말기로 자세 교정 알람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압력 센서부로부터 생성된 상기 압력분포 정보를 분석해서 상기 치매환자가 외출할 것인지 아니면 자택에 머무를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와 상기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는 상기 자택의 현관문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치매환자의 아이디를 전송하는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를 착용한 상기 치매환자가 상기 자택의 현관문에 인접하여 설치된 상기 게이트웨이에 근접한 경우에 상기 관리서버는 제1 단계로 상기 치매환자가 외출할 것으로 예측하고, 상기 밴드를 착용한 상기 치매환자가 상기 스마트 매트 디바이스까지 밟은 경우 제2 단계로서 상기 치매환자가 외출할 것으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
KR1020200174818A 2020-12-14 2020-12-14 치매환자를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 KR102430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818A KR102430638B1 (ko) 2020-12-14 2020-12-14 치매환자를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818A KR102430638B1 (ko) 2020-12-14 2020-12-14 치매환자를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882A true KR20220084882A (ko) 2022-06-21
KR102430638B1 KR102430638B1 (ko) 2022-08-09

Family

ID=82221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818A KR102430638B1 (ko) 2020-12-14 2020-12-14 치매환자를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6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126A (ko) * 2015-08-11 2017-02-2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인솔을 이용한 운동 자세 교정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165513B1 (ko) * 2018-11-26 2020-10-14 폴스타헬스케어(주) 생체 정보에 기반한 치매환자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126A (ko) * 2015-08-11 2017-02-2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인솔을 이용한 운동 자세 교정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165513B1 (ko) * 2018-11-26 2020-10-14 폴스타헬스케어(주) 생체 정보에 기반한 치매환자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0638B1 (ko)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3678B2 (en) Sequential compression therapy compliance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KR101901760B1 (ko) 의료 중재 레벨을 원격으로 판단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8571827B2 (en) Smart footwea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Barsocchi Position recognition to support bedsores prevention
US202300003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movement
US11317850B2 (en) Medical device, algorithm updating method, medical system and external monitoring device
US20130231596A1 (en) Sequential compression therapy compliance monitoring systems & methods
US20170230194A1 (en) A system for managing services
JP7325651B2 (ja) ウェアラブルヘルスの充電時における健康の安全を確保するためのシステム
CN107007265A (zh) 健康睡眠检测系统
JP6979134B2 (ja) 夜間頻尿軽減システム
CN105700488A (zh) 一种目标人体活动信息的处理方法及系统
US11800993B2 (en) Exit monitoring system for patient support apparatus
CN110198521A (zh) 一种基于蓝牙和rfid的室内房间定位系统及方法
KR102430638B1 (ko) 치매환자를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매트 시스템
KR200497207Y1 (ko) 치매환자를 위한 스마트 매트 장치
CN105205988A (zh) 坐便时发生意外事故能够报警的马桶盖及方法和马桶
KR102074275B1 (ko) 고령자의 건강한 생활 관리를 위한 ai 스피커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매트 플랫폼
CN110111531A (zh) 用于向人员报警的系统
Safavi et al. A remote elderly monitoring system with localizing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CN111685743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健康监控系统
CN107212855A (zh) 智能看护手环及智能看护系统
CN112954597B (zh) 一种用于养老监护的室内定位方法
KR20110085816A (ko) 건강 진단장치
KR102077292B1 (ko) 손 세정 모니터링 시스템 및 손 세정 모니터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