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881A -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 Google Patents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4881A
KR20220084881A KR1020200174817A KR20200174817A KR20220084881A KR 20220084881 A KR20220084881 A KR 20220084881A KR 1020200174817 A KR1020200174817 A KR 1020200174817A KR 20200174817 A KR20200174817 A KR 20200174817A KR 20220084881 A KR20220084881 A KR 20220084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intervertebral
expansion
guide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부락
Original Assignee
(주) 서한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서한케어 filed Critical (주) 서한케어
Priority to KR1020200174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4881A/ko
Publication of KR20220084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8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5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the fusion of spinal bodies, e.g. intervertebral fusion of adjacent spinal bodies, e.g. fusion c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61L27/04Metals or alloys
    • A61L27/06Titanium or titanium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7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7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 A61F2002/30538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for adjusting angular ori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7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 A61F2002/305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for adjusting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6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spr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79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chanically expandable devices, e.g. fix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93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ol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617Visible markings for adjusting, locating or 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61F2/30771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 A61F2002/30878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with non-sharp protrusions, for instance contacting the bone for anchoring, e.g. keels, pegs, pins, posts, shanks, stems, stru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서로 마주하는 제1척추 및 제2척추 사이에 삽입되는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는 서로 마주하는 제1척추 및 제2척추 사이에 삽입되고, 척추와 나란한 방향으로 위치하고 이와 교차선 상에 연결공이 형성되는 연결부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것으로, 소정 높이로 이격 형성되고 상호 대향되게 위치하는 제1본체부 및 제2본체부를 구비하고 그 각각의 중앙에 제1채움공이 형성된 케이지 본체; 및 케이지 본체 내에 위치하고 외력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면서, 제1본체부와 제2본체부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제1본체부 및 제2본체부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이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내부 공간이 확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며, 케이지 본체는 가이드부에 의하여 높이 가변시, 제1본체부와 제2본체부는 초기 사잇각을 유지하면서 상대 이동하여 소정 높이로 이격된 내부 공간이 확장하도록 될 수 있다.

Description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EXPANDABLE CAGE FOR INTERVERTEBRAL BODY}
본 발명은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눌려진 척추 사이의 간격을 상하부에서 잡아주고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확장함으로써 외과적 시술하는 동안 인접 척추의 공간적 관계를 조정, 정렬 및 유지하게 할 수 있고, 이식 후 식립 안정성을 유지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척추는 신체 뒷부분에서 몸을 지지하는 기다란 척추 구조물로서, 경추(목척추) 7개, 흉추(등척추) 12개, 요추(허리척추) 5개, 엉치척추 1개 및 꼬리척추 1개로 총 26개의 척추척추들로 이루어져 있다. 엉치척추 및 꼬리척추를 제외하고 나머지 척추들 사이엔 척추와 서로 마주하는 척추 사이를 이어주는 강한 연결조직인 디스크(추간판)이 있다. 이때 디스크는 체중부하 시 척추척추 사이의 쿠션 역할 즉, 충격 흡수 기능을 할 수 있다.
한편, 인간의 척추 및 관련 연결 요소는 통증과 장애를 유발하는 다양한 질병 및 상태에 노출된다. 이러한 질병 및 상태 중에는 척추증, 척추 전방 전위증, 척추 불안정성, 척추 협착증 및 퇴행성, 탈장 또는 퇴행성 및 탈장 추간판이 있다. 또한 척추 및 관련 연결 요소는 골절 및 찢어진 인대를 포함하여 부상을 입을 수 있으며 후궁 절제술을 포함한 외과적 조작이 가능하다.
질병 및 상태와 관련된 통증 및 장애는 종종 척추의 나머지 부분에서 척추의 전체 또는 일부가 변위되어 발생한다. 지난 20년 동안 변위된 척추를 정상 위치로 복원하고 척추 주 내에 고정하기위한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었다. 척추 융합은 그러한 방법 중 하나이다. 척추 융합에서는 척추의 하나 이상의 척추가 서로 결합(융합)되어 더 이상 그들 사이에서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척추 유합은 손상된 디스크를 교체하고 척추 사이의 간격을 복원하여 불안정성을 제거하고 통증을 유발하는 신경 요소에 대한 압력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척추 유합은 인접한 척추 사이의 자연적인 척추체간 간격을 재현하기 위해 인접한 척추 사이에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 될 수 있다. 임플란트가 척추들 사이 공간에 삽입되면 자가 골 이식 또는 골 동종 이식과 같은 골 형성 물질 즉, 골시멘트를 임플란트에 인접하게 전략적으로 이식하여 척추들 사이 공간에서 골 성장을 촉진 할 수 있다. 뼈 내 성장은 인접한 척추의 장기적인 고정을 촉진한다. 융합 과정 동안 추가적인 안정화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후방 고정 장치 (예를 들어, 고정 봉, 나사 등)도 사용될 수 있다.
통상의 척추융합술은 손상된 디스크가 신경을 압박하지 않도록 신경을 압박하는 디스크의 부분을 제거하고, 척추체에 나사못을 설치하여 서로 인접한 척추체가 손상된 디스크를 압박하지 않도록 척추체를 고정하는 시술방법의 하나이다.
그러나 나사못을 이용한 척추융합술은 나사못을 서로 인접한 척추에 설치하기 때문에 신체를 크게 절개해야 하며, 무리한 동작으로 인해 설치된 나사못이 체결이 해제된 경우 재 시술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 1의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가 개시된 바가 있다. 선행문헌 1의 척추체간 융합술용 케이지는 상부지지부와 하부지지부의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부지지부, 하부지지부 및 연결부를 포함하는 케이지본체;와 상부지지부와 하부지지부의 사이 간격을 넓히거나 좁히는 슬라이딩부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척추체간에 케이지가 설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부재를 이용하여 케이지의 크기를 확장시킴으로써, 척추체간에 케이지를 용이하게 삽입하여 시술할 수 있다.
또한, 선행문헌 2의 “척추융합 시술용 이식구”가 개시된 바가 있다. 여기서의 척추융합 시술용 이식구는 이식구본체의 확장 폭을 극대화시키고, 내부공간을 최대한 확보하여 척추융합 시술 후 뼈와의 융합을 촉진하도록 하는 것이다.
반면, 상기한 선행문헌들의 경우, 케이지 본체가 확장될 때 전방에서부터 양분되면서 앞부분이 확장되는 것으로써 케이지 본체 간의 간격이 앞단이 후단 보다 높게 확장되어 초기의 각도 보다 확장된 후의 각도가 더 크게 변화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장기간 이식될 경우 케이지 본체의 후단이 상대적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척추체간의 신경이 압박되어 통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척추체간의 일부가 편향되어 신경을 압박하지 않도록 케이지 본체의 앞단과 후단이 확장시 양분될 때 동일한 각도를 가지고 높이가 확장될 수 있는 척추체 확장 케이지가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52820호(2014.01.09.)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64501호(2005.06.29.)
본 발명은 상기한 점들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눌려진 척추 사이의 간격을 일정한 각도를 유지시키며 확장하여 외과적 시술하는 동안 인접 척추의 공간적 관계를 조정, 정렬 및 유지하게 하고, 이식 후 식립 안정성을 유지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는 서로 마주하는 제1척추 및 제2척추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서로 마주하는 제1척추 및 제2척추 사이에 삽입되는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척추와 나란한 방향으로 위치하고 이와 교차선 상에 연결공이 형성되는 연결부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것으로, 소정 높이로 이격 형성되고 상호 대향되게 위치하는 제1본체부 및 제2본체부를 구비하고 그 각각의 중앙에 제1채움공이 형성된 케이지 본체; 및 상기 케이지 본체 내에 위치하고 외력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면서,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이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내부 공간이 확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지 본체는 상기 가이드부에 의하여 높이 가변시,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는 초기 사잇각을 유지하면서 상대 이동하여 상기 소정 높이로 이격된 상기 내부 공간이 확장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공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설치공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 사이의 대칭선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외부 가압력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가압가동부; 및 상기 제1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가압가동부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가동부에 의하여 상기 케이지 본체의 높이를 가변시켜 상기 공간이 확장되도록 하는 제1확장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확장조절부는 외측면이 상기 경사부와 대응되게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가압가동부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경사부를 가압하여 높이를 확장하도록 사선으로 형성된 경사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본체부 각각은 외부 단부가 상기 제1척추 및 상기 제2척추에 접할 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 방향으로 경사진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와 상기 제1채움공 사이에 위치하고 안착 또는 거치가 가능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 이동시 다른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본체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본체부 각각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하부가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본체부 각각은 상기 표시공에 설치되어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의 위치 및 삽입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표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이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상기 공간이 확장되는 적어도 두개의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 외측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지지하는 제1경사부 및 제2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경사부의 끝단부와 상기 제2경사부의 처음단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 내측 사이가 좁아져 상기 가이드부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이동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연결공에 체결되어 위치하고 외주면이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가 서로 마주하는 대칭선을 기준으로 제자리에서 회전운동하는 회전가동부; 및 상기 회전가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가동부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케이지 본체의 높이를 가변시켜 상기 공간이 확장되도록 하는 제2확장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확장조절부는 상기 경사부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전단 경사 단부와 후단 경사 단부 사이에 단차 홈이 형성된 단차홈부와; 상기 단차홈부를 기준으로 전단에 위치하고 후단부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경사부를 가압하여 높이를 확장시키는 확장가이드부; 및 상기 확장가이드부와 연결되고 상기 단차홈부의 후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경사면에 대응되어 상기 제1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지지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가동부는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2확장조절부와 체결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고 외주면에 상기 회전가동부가 외부 이탈되지 않고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핀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2확장조절부로부터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헤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 각각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외측 후단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가이드부가 이동하여 높이를 조절한 후 상하부가 관통되고 고정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지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 각각은 상기 고정지지공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케이지 본체로부터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중 체결하는 것으로,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의 위치 및 삽입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표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마커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와 접하는 적어도 일 외측 단부에 상기 제1채움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채움공; 및 상기 제2채움공과 교차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일 측면에 형성된 측면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채움공 및 상기 측면공 각각에 척추의 성장 및 융합을 촉진하는 물질을 채우도록 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채움공 및 상기 측면공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부가 방향이 이탈되지 않도록 이동을 가이드하는 체결되도록 이동가이드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 이동시 상기 케이지 본체고 나사체결되고 상기 제1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높이를 조절하거나 이동을 제한하도록 고정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조절공에 위치하고 외주면이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와 연결되어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제1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도록 되는 거치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의하여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의 서로 마주하는 간격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높이 가변시, 탄성을 가지고 확장되는 높이에 따라 유연하게 같이 확장되도록 보조하는 확장보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수술시 도구에 의해 취급이 용이하도록 외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외주면 소정 위치에 네크부가 형성된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를 기준으로 양측 단부에 외부에서 집기가 용이하도록 형성된 집기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지 본체 내측과 상기 가이드부 외측의 서로 마주하여 접하는 일 면이 외부 진동 또는 마찰운동시 상호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는 마찰요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지 본체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부는 티타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체 확장 케이지는 케이지 본체가 가이드부에 의하여 높이 가변시 제1본체부 및 제2본체부가 초기 사잇각을 유지하면서 상대 이동하여 상기정 높이로 이격된 내부 공간이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척추체간의 일부가 편향되어 신경을 압박하지 않고 외과적 시술하는 동안 인접 척추의 공간적 관계를 조정 및 정렬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척추체 확장 케이지는 구성이 단순하여 부품 손실 및 교체의 필요성이 없다. 또한, 구성 간의 체결이 용이하고 제1 및 제2척추 사이에 삽입시 설치 방향만 맞추면 상하 간의 구조가 대칭됨에 따라 상하를 바꿔서 체결한다고 해도 재수술할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시술자의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척추체 확장 케이지는 척추의 성장을 촉진하는 골시멘트를 채울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최대한 확보함으로써, 척추가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융합될 수 있게 하고, 시술 후 장기간 이식되어도 부작용 없이 환자의 일상 생활 복귀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a) 및 (b) 각각은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가 확장되기 전과 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가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b는 도 3a에서 가이드부재가 제2방향으로 이동한 후의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의 가이드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가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6b는 도 6a에서 가이드부재가 제2방향으로 이동한 후의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5의 연결부의 일부분 절단시 앞단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절단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의 후방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후면도.
도 10은 도 5의 제1경사부 및 제2경사부를 나타낸 측면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 설명을 위하여 방향을 규정하기로 한다.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가 환자의 척추에 삽입된 상태에서 척추를 기준으로 미골에서부터 두개골로 이어지는 방향을 설명 편의상 '제1방향'이라 한다. 상기 1방향과 가로로 직교하면서 시술 환자의 앞(전방)을 향하는 방향을 설명의 편의상 '제2방향'이라고 한다. 여기서, 척추는 신체 뒷부분에서 몸을 지지하는 기다란 척추 구조물로, 상세하게 경추, 흉추 및 요추로 구성된 척추들로 이루어진 것을 말한다. 따라서, 도면에서 말하는 척추는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척추 중 어느 한 척추는 하부에 위치한 척추(하추체)를 '제1척추'라고 하고, 척추 중 다른 한 척추는 상기 1척추와 대응하는 상부에 위치한 척추(상추체)를 '제2척추'라고 한다. 본 발명의 종래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는 척추 중 어느 한 척추 및 다른 한 척추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의사 또는 시술자가 설치할 때 '후방'(시술 환자의 후면)에서 '전방'(시술 환자의 정면)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a) 및 (b) 각각은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가 확장되기 전과 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는 하부의 척추를 지지하는 제1본체부(1)와 상부의 척추를 지지하는 제2본체부(2) 및 연결부(3)로 구성된다. 또한, 제1본체부(1)와 제2본체부(2) 사이 간격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는 슬라이딩 부재(5)로 구성된다. 여기서 슬라이딩 부재(5)는 연결부재(9)로 인하여 가동부재(7)와 상호 연결된다.
도 (a)의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가 설치된 상태에서 도 (b)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5)가 가동부재(7)에 의하여 제2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본체부(1) 와 제2본체부(2) 각각의 앞단에 돌출 형성된 제1본체돌기(1a) 및 제2본체돌기(2a) 에 의하여 그 사이 간격이 확장된다. 따라서, 도 (b)의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확장 상태일 때의 각도인 Ab는 도 (a)의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설치 상태일 때의 각도인 Aa 보다 커질 수 있다. 그러나 도 (b)의 상태로 척추 사이에 장기간 설치되어 유지될 경우 제1본체부(1) 및 제2본체부(2) 후단부에 압력이 가해져 제1본체부(1) 및 제2본체부(2)와 슬라이딩 부재(5) 사이의 공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장기간 이식시 종래의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의 형상이 변형되는 문제점으로 교체가 필요함에 따라 환자들의 비용 부담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가동부재(7)에 의하여 제2방향으로 이동될 때 연결부(3)에 전체가 수용되지 않고 일부가 외부 노출됨에 따라 다른 조직들과의 접촉으로 염증이 발생하여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본 발명의 일 및 다른 실시예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가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10)는 서로 마주하는 제1척추 및 제2척추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10)는 연결부(130), 제1본체부(110) 및 제2본체부(120)로 구성된 케이지 본체(100)와 가이드부(15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하게, 제1본체부(110) 및 제2본체부(120) 각각은 척추들와 나란한 방향인 제1방향으로 위치하고 이와 교차선 상에 연결공(130a)이 형성되는 연결부(13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결부(130)에 의하여 소정 높이로 이격 형성되고 상호 대향되게 위치하는 제1본체부(110) 및 제2본체부(120)를 구비하는 케이지 본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10)는 케이지 본체(100) 내에 위치하고 외력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면서, 제1본체부(110) 및 제2본체부(120)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가이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지 본체(100)는 가로 길이가 10 내지 25mm 범위를 가질 수 있고 높이가 9 내지 15mm 범위로 환자별 척추의 단면적에 따라 맞춤으로 제작될 수 있다. 만일, 가로의 최소값을 벗어나는 경우 척추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가로의 최대값을 벗어나는 경우 척추를 둘러싼 조직 또는 신경을 건드려 염증을 유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높이의 최소값을 벗어나는 경우 척추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없고, 높이의 최대값을 벗어나는 경우 척추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로 길이가 10 내지 25mm 범위 및 높이가 9 내지 15mm 범위일 때 다양한 환자들의 체격에 맞게 맞춤 제작이 가능하고 손상되지 않은 디스크 처럼 척추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하는 역할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10)는 케이지 본체(100)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가이드부(150)는 티타늄, 세라믹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생체 이식 안정성 및 적합성을 가진 소재이면 다양하게 적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제1 및 제2본체부(110)(120) 각각은 외부 단부가 제1척추 및 제2척추에 접할 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 방향으로 경사진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이탈방지부(111)(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이탈방지부(111)(121)는 전면부는 경사가 완만하고 후면부는 경사가 급하게 형성됨으로써 제1척추 및 제2척추 사이에 삽입될 때 삽입은 용이하고 후방으로 제거할 때는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1 및 제2본체부(110)(120) 앞단부는 삽입시 용이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본체부(110) 및 제2본체부(120)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이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내부 공간(100b)이 확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15)(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본체부(110)(120) 각각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하부가 관통되고 전단부의 위치가 표시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공(113a)(123a)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 표시공(113a)(123a)에 설치되어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10)의 위치 및 삽입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표시가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재(1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표시부재(160)는 X-ray 및 MRI 등의 수술 영상 장비 내에 선명하게 표시 가능하고 티타늄, 세라믹 등의 생체이식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어느 방향으로 촬영하여도 제1 및 제2본체부(110)(120) 전단부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가이드부(150)에 의하여 제1 및 제2본체(110)(120)의 서로 마주하는 간격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높이 가변시 탄성을 가지고 확장되는 높이에 따라 유연하게 같이 확장을 보조하도록 형성된 확장보조홈(130b)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드부(150)는 가압가동부(151)와 제1확장조절부(155)로 구비될 수 있다. 가압가동부(151)는 내부 공간(100b)에 위치하고 연결공(130a)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설치공(153a)이 형성되는 것으로,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 사이의 대칭선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외부 가압력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확장조절부(155)는 제1본체부(110)와 제2본체부(120) 사이에 위치하고 가압가동부(151)와 연결되는 것으로, 가압가동부(151)에 의하여 케이지 본체(100)의 높이를 가변시켜 공간이 확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확장조절부(155)는 외측면이 경사부(115)(125)와 대응되게 위치하는 것으로, 가압가동부(151)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경사부(115)(125)를 가압하여 높이를 확장하도록 사선으로 형성된 경사가압부(15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50)는 측면에 전단부와 후단부에 측면공(155b)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측면공(155b)은 제1 및 제2척추에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10)가 설치된 후 척추의 성장 및 융합을 도와주는 물질 예를 들어, 성장촉진제, 골시멘트 등을 내부 공간(100b)에 충분히 채워질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형성되는 위치가 상기한 위치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50)는 제1본체부(110) 및 제2본체부(12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2채움공(155c) 및 측면공(155b) 사이에 위치하여 가이드부(150)가 이탈되지 않게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공(155d)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이동가이드공(155d)는 케이지 본체(100)의 제1채움공(100a)과 연통될 수 있다.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10)는 이동가이드공(155d)에 삽입되어 제1본체부(110) 및 제2본체부(120)와 연결되는 높이조절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높이조절부(140)는 가이드부(150) 이동시 케이지 본체(100)와 나사체결되고 제1본체부(110) 및 제2본체부(120)에 대하여 가이드부(150)의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높이를 조절하거나 이동을 제한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140)는 나사산으로 형성된 체결부(141) 및 거치부(145)로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141)는 이동가이드공(155d)에 위치하여 나사체결할 수 있다. 거치부(145)는 체결부(141)와 연결되어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 체결부(141)가 제1 및 제2본체부(110)(1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체결부(141)는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고정되어 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가이드부(150)가 이동시 제2방향으로 케이지 본체(200)의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동가이드공(155d)에 높이조절부(140)을 삽입하여 제1채움공(100a) 내부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141)는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핀 고정 등의 다양한 고정 방식으로 체결가능하게 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서 가이드부재가 제2방향으로 이동한 후의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10)는 가압가동부(151)와 제1확장조절부(155)가 결합된 후 케이지 본체(100)의 내부 공간(100b)에 삽입 개재할 수 있다. 삽입시 체결 기구(미도시) 예를 들어, 육각렌치, 삼각렌치 등을 이용하여 설치공(153a)에 설치한 후 가압가동부(151)를 회전시켜 제2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가압가동부(151)와 제1확장조절부(155)를 상호 결합하기 위하여 가압가동부(151)에 링체결공(155e)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링체결공(155e)에 결합링, 베어링 등의 외주면을 가진 체결구(미도시)가 설치되어 가압가동부(151)와 제1확장조절부(155)가 상호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 케이지 본체(100)의 제1채움공(100a)과 연통되는 이동가이드공(155d)에 적어도 두개의 높이조절부(140)가 상하부에 대향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기구(미도시)를 이용하여 기구수용공(145a)에 삽입하여 높이조절부(140)를 설치할 수 있다. 제1 및 제2본체부(110)(120)에 형성된 표시공(113a)(123a)에 표시부재(160)를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10)는 초기 각도 A1을 유지할 수 있다. 그 각도는 0°~ 8°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만약 각도의 최소값을 벗어나는 경우,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10)는 척추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기 어렵고 환자에게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각도의 최대값을 벗어나는 경우, 척추의 후단부로 변향되어 압력이 가해지면서 환자에게 통증이 유발될 수 있고, 이식 후 환자의 일상 활동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본체부(110) 및 제2본체부(120)의 사잇각이 0°~ 8°의 범위를 유지할 때 손상되지 않은 디스크 처럼 제1척추 및 제2척추 사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에 가장 안정적일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케이지 본체(100)는 가이드부(150)에 의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높이 가변시, 제1본체부(110) 및 제2본체부(120)가 초기 사잇각(A1)을 유지하면서 상대 이동하여 상기 정 높이로 이격된 내부 공간이 확장될 수 있다. 여기서 확장되는 높이는 대략 1.5 내지 2.5mm일 수 있고 2mm 높이를 가질 때 가장 최적의 높이일 수 있다.
제1본체부(110) 및 제2본체부(120)가 초기 사잇각(A1)은 제1본체부(110) 및 제2본체부(120)의 높이가 확장된 상태에서의 사잇각(A2)이 동일할 수 있다. 사잇각(A1) 및 사잇각(A2) 각각은 0°~ 8°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세하게, 체결기구(미도시)를 이용하여 가이드부(150)를 가압하면서 나사체결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가동부(153)가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압가동부(153)와 연결되어 있는 제1확장조절부(155)도 함께 내부 공간(100b)의 앞단으로 가압가동부(153)에 의하여 슬라이딩하면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141)는 가이드부(150)와 제1 및 제2본체부(110)(120)를 연결하면서 가압력이 작용하는 제2방향으로 케이지 본체(100)의 휨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이동가이드공(155d)을 따라 가이드부(150)가 이동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체결부(141)와 연결되는 거치부(145)도 이동가이드부(117)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제1확장조절부(155)를 제2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30)는 확장보조홈(130b)이 형성됨으로써 탄성력을 가지고 확장되는 높이에 따라 연결부(130)의 높이도 늘어나면서 스프링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도 3a의 제1 및 제2본체(110)(120)가 초기 위치에서 도 3b와 같이 확장될 때 연결부(130)가 탄성을 가지고 늘어남에 따라 확장보조홈(130b)의 면적도 넓어질 수 있다.
가압가동부(151)는 연결공(130a)에 수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도 3b와 같이 확장시, 일부가 외부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척추와 연계된 다른 조직들과의 접촉이 발생하지 않고 염증으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10)를 장기간 이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본체부(110) 및 제2본체부(120) 각각의 경사부(115)(125)와 제1확장조절부(155)의 경사가압부(1551)가 서로 면접촉하면서 슬라이딩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제1본체부(110) 및 제2본체부(120)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본체부(110) 및 제2본체부(120)가 확장된 상태로 장기간 이식되어도 케이지 본체(100)의 변형 없이 안정적으로 척추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시킬 수 있고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교체의 필요성이 낮아져 비용 부담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의 가이드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부(150)는 후단에 가압가동부(151)와 연결되는 결합공(155a)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50) 중앙에는 제2채움공(155c)들 사이에 위치한 높이조절부(140)가 설치되는 이동가이드공(155d)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50) 외측 평면상에 적어도 두개의 제2채움공(155c)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50) 측면에는 제2채움공(155c)과 교차선 상에 위치하여 연통되는 측면공(155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150)에 형성된 제2채움공(155c) 및 측면공(155b)은 뼈의 성장 및 융합을 촉진하는 물질인 골 시멘트 등이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10)의 내부 공간(100b)에 충분히 채워지도록 공간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즉, 가이드부(150)는 골 시멘트를 채울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확보함으로써, 척추가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융합될 수 있고, 시술 후 장기간 이식되어도 부작용 없이 환자의 일상 생활 복귀가 가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가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20)는 서로 마주하는 제1척추 및 제2척추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20)는 연결부(230), 제1본체부(210) 및 제2본체부(220)로 구성된 케이지 본체(200)와 가이드부(25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하게, 제1본체부(210)는 제1척추에 설치되고 이와 대응되게 위치하는 제2본체부(220)는 제2척추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본체부(210) 및 제2본체부(220)는 서로 나란하게 제1방향으로 위치하고 이와 교차선 상에 연결공(230a)이 형성되는 연결부(23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부(230)에 의하여 소정 높이로 이격 형성되고 상호 대향되게 위치하는 제1본체부(210) 및 제2본체부(220)를 구비하는 케이지 본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20)는 케이지 본체(200) 내에 위치하고 외력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면서, 제1본체부(210) 및 제2본체부(220)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가이드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지 본체(200)의 가로 길이 및 높이, 그리고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20)의 케이지 본체(200) 및 가이드부(250)의 소재는 앞서 기술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 2의 내용과 일치함에 따라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및 제2본체부(210)(220) 각각은 외부 단부가 제1척추 및 제2척추에 접할 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 방향으로 경사진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이탈방지부(211)(2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이탈방지부(211)(221)는 전면부는 경사가 완만하고 후면부는 경사가 급하게 형성됨으로써 제1척추 및 제2척추 사이에 삽입될 때 삽입은 용이하고 후방으로 제거할 때는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1 및 제2본체부(210)(220) 앞단부는 삽입시 용이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본체부(210) 및 제2본체부(220)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이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내부 공간(200b)이 확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부는 제1경사부(213)(223) 및 제2경사부(215)(22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경사부(213)(223) 및 제2경사부(215)(225)는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이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공간이 확장되는 적어도 두개의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가이드부(250) 외측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경사부는 제1경사부(213)(223)의 끝단부와 제2경사부(215)(225)의 처음단부에 위치하는 이동제한부(214)(2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제한부(214)(224)는 제1본체부(210)와 제2본체부(220) 내측 사이가 좁아져 가이드부(250)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본체부(210)(220) 각각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하부가 관통되고 전단부의 위치가 표시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공(210a)(220a)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 표시공(210a)(220a)에 설치되어 표시가 가능하도록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재(2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표시부재(260)는 X-ray 및 MRI 등의 수술 영상 장비 내에 선명하게 표시 가능하고 티타늄, 세라믹 등의 생체이식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어느 방향으로 촬영하여도 제1 및 제2본체부(210)(220) 전단부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연결부(230)는 가이드부(250)에 의하여 제1 및 제2본체(210)(220)의 서로 마주하는 간격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높이 가변시 탄성을 가지고 확장되는 높이에 따라 유연하게 같이 확장을 보조하도록 형성된 확장보조홈(23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드부(250)는 회전가동부(251)와 제2확장조절부(255)로 구비될 수 있다. 회전가동부(251)는 내부 공간(200b)에 위치하고 연결공(230a) 내에 체결되는 것으로 외주면이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가동부(251)는 제1 및 제2본체부(210)(220)가 서로 마주하는 대칭선을 기준으로 제자리에서 회전운동하여 제2확장조절부(255)을 제2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확장조절부(255)는 제1본체부(210)와 제2본체부(220) 사이에 위치하고 회전가동부(251)와 연결되는 것으로, 회전가동부(251)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케이지 본체(200)의 높이를 가변시켜 내부 공간(200b)가 확장되도록 할 수 있다.
제2확장조절부(255)는 단차홈부(2554), 확장가이드부(2553) 및 지지가이드부(255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차홈부(2554)는 제1본체부(210)와 제2본체부(220) 각각의 경사부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전단 경사 단부와 후단 경사 단부 사이에 단차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단차홈부(2554)는 제1경사부(213)(223)의 끝단부와 제2경사부(215)(225)의 처음단부에 위치하는 이동제한부(214)(224)와 마주하여 결합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단차홈부(2554)를 기준으로 전단에 위치한 확장가이드부(2553)는 후단부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제1경사부(213)(223)를 가압하여 높이를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단차홈부(2554)를 기준으로 후단에 위치한 지지가이드부(2555)는 후단부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1본체부(210)와 제2본체부(220)의 후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250)는 측면에 전단부와 후단부에 측면공(255b)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측면공(255b)은 제1 및 제2척추에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20)가 설치된 후 척추의 성장 및 융합을 도와주는 물질 예를 들어, 성장촉진제, 골시멘트 등을 내부 공간(100b)에 충분히 채워질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형성되는 위치가 상기한 위치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250)는 제1본체부(210) 및 제2본체부(22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2채움공(255c) 및 측면공(255b) 사이에 위치하여 가이드부(250)가 이탈되지 않게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공(255d)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이동가이드공(255d)는 케이지 본체(200)의 제1채움공(200a)과 연통될 수 있다.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20)는 이동가이드공(255d)에 삽입되는 것으로, 제1본체부(210) 및 제2본체부(220)와 연결되는 높이조절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높이조절부(240)는 앞서 기술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 2의 높이조절부(140)과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높이조절부(240)는 일 실시예와 다르게 제1본체부(210) 및 제2본체부(220) 앞단의 제1채움공(200a)에만 설치되어 이동할 수 있다. 즉, 높이조절부(240)의 체결부(241)은 제2확장조절부(255)의 이동가이드공(255d)에 설치된 상태에서 케이지 본체(200)와 체결시 이동제한부(214)(224)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세하게, 높이조절부(240)의 체결부(241)는 이동시 제1경사부(213)(223)에만 접촉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240)의 거치부(245)는 이동시 제1채움공(200a)의 앞단에만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이동가이드부(217)에 거치되어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제1본체부(210) 및 제2본체부(220)는 외측 후단부에 위치하는 고정지지공(230c)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고정지지공(230c)은 내부에 가이드부(250)가 이동하여 높이를 조절한 후 후단을 고정 지지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20)는 고정마커핀(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마커핀(270)은 고정지지공(230c)에 설치되고 회전가동부(251)의 헤드부(253) 핀안착홈(253b)에 안착하여 지지하는 것으로, 가이드부(250)가 케이지 본체(200)로부터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중 체결하고 위치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고정마커핀(270)은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20)의 위치 및 삽입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표시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재(260)와 같이 X-ray 및 MRI 등의 수술 영상 장비 내에 선명하게 표시 가능하고 티타늄, 세라믹 등의 생체이식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어느 방향으로 촬영하여도 제1 및 제2본체부(210)(220) 후단부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종래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의 경우 X-ray 상에 대략적인 위치만이 표시되었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20)는 표시부재(260)와 고정마커핀(270)을 포함함으로써 X-ray 상에 선명하게 위치가 표시됨에 따라 이식 후 검사 또는 재시술시 정확하고 신속한 시술을 시행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에서 가이드부재가 제2방향으로 이동한 후의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20)는 회전가동부(251)와 제2확장조절부(255)가 결합된 후 케이지 본체(200)의 내부 공간(200b)에 삽입 개재할 수 있다. 삽입시 체결 기구(미도시) 예를 들어, 육각렌치, 삼각렌치 등을 이용하여 설치공(253a)에 설치한 후 회전가동부(251)를 회전시켜 제2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그 다음 케이지 본체(200)의 제1채움공(200a)과 연통되는 이동가이드공(255d)에 적어도 두개의 높이조절부(240)가 상하부에 대향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기구(미도시)를 이용하여 기구수용공(245a)에 삽입하여 높이조절부(240)를 설치할 수 있다. 제1 및 제2본체부(210)(220)에 형성된 표시공(210a)(220a)에 표시부재(260)를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20)는 초기 각도 A3을 유지할 수 있다. 그 각도는 0°~ 8°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만약 각도의 최소값을 벗어나는 경우,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20)는 척추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기 어렵고 환자에게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각도의 최대값을 벗어나는 경우, 척추의 후단부로 변향되어 압력이 가해지면서 환자에게 통증이 유발될 수 있고, 이식 후 환자의 일상 활동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본체부(210) 및 제2본체부(220)의 사잇각이 0°~ 8°의 범위를 유지할 때 손상되지 않은 디스크 처럼 제1척추 및 제2척추 사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에 가장 안정적일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케이지 본체(200)는 가이드부(250)에 의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높이 가변시, 제1본체부(210) 및 제2본체부(220)가 초기 사잇각(A3)을 유지하면서 상대 이동하여 상기 정 높이로 이격된 내부 공간이 확장될 수 있다. 여기서 확장되는 높이는 초기의 높이 보다 대략 1.5 내지 2.5mm 범위로 더 높아질 수 있고 전후의 2mm 높이차가 있을 때 안정적으로 척추들 사이를 지지하고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할 수 있는 가장 최적의 높이일 수 있다. 만일 1.5mm 미만일 경우에는 척추에 있었던 디스크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없고, 2.5mm 초과할 경우에는 척추들에 가해지는 압력 부하가 심하여 환자가 통증을 유발할 유려가 있다.
제1본체부(210) 및 제2본체부(220)가 초기 사잇각(A3)은 제1본체부(210) 및 제2본체부(220)의 높이가 확장된 상태에서의 사잇각(A4)이 동일할 수 있다. 사잇각(A3) 및 사잇각(A4) 각각은 0°~ 8°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세하게, 체결기구(미도시)를 이용하여 가이드부(250)를 가압하면서 나사체결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가동부(253)가 제자리에서 회동하고 회전가동부(253)와 나사체결된 제2확장조절부(255)는 나사산을 따라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회전가동부(253)와 연결되어 있는 제2확장조절부(255)는 내부 공간(200b)의 앞단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241)는 가이드부(250)와 제1 및 제2본체부(210)(220)를 연결하면서 가압력이 작용하는 제2방향으로 케이지 본체(200)의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동가이드공(255d)에 높이조절부(240)을 삽입하여 제1채움공(200a) 내부를 이동할 수 있다. 체결부(241)와 연결되는 거치부(245)도 이동가이드부(217)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제2확장조절부(255)를 제2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이때 이동가이드부(217)는 제1채움공(200a)의 앞단에만 높이조절부(24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본체부(210)(220) 사이의 높이가 이격될 때 가압되는 힘에 의하여 벌어지는 변형이 없기 때문에 장기간 이식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연결부(230)는 확장보조홈(230b)이 형성됨으로써 탄성력을 가지고 확장되는 높이에 따라 연결부(230)의 높이도 늘어나면서 스프링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도 6a의 제1 및 제2본체(210)(220)가 초기 위치에서 도 6b와 같이 확장될 때 연결부(230)가 탄성을 가지고 늘어남에 따라 확장보조홈(230b)의 면적도 넓어질 수 있다.
회전가동부(251)는 연결공(230a)에 수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도 6b와 같이 확장시, 일부가 외부 노출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로 제자리에서 회동할 수 있다. 특히, 두 개의 고정마커핀(270)이 회전가동부(251)에 형성된 핀안착홈(253b)에 안착 설치됨으로써 회전가동부(251)는 제자리 회동하면서 케이지 본체(200)로부터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지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20)는 이식 후 척추와 연계된 다른 조직들과의 접촉이 발생하지 않고 염증으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이식의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경사부(213)(223)가 확장가이드부(2553)와 면접촉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경사부(215)(225)가 지지가이드(2555)와 면접촉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본체부(210) 및 제2본체부(220)에 대하여 회전가동부(251)가 서로 면접촉하면서 슬라이딩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제1본체부(210) 및 제2본체부(220)를 지지하면서 높이가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장기간 이식되어도 케이지 본체(200)의 일부분이 무너지는 등의 변형 없이 안정적으로 척추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시킬 수 있고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교체의 필요성이 낮아져 비용 부담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도 6b과 같은 상태일 때 제2확장조절부(255)의 단차홈부(2554)와 이동제한부(214)(224) 사이가 멀어지면서 그 사이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 공간에는 충분한 뼈 성장 촉진 물질인 골 시멘트가 채워져 척추가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융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 후 장기간 이식되어도 부작용 없이 환자의 일상 생활 복귀가 가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20)의 제2본체부(220)는 이탈방지부(221)와 제1채움공(200a) 사이에 위치한 이동가이드부(2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높이조절부(2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높이조절부(140)가 이동가이드부(117) 전체에 거쳐서 이동하는 것과는 다르게 이동제한부(224)를 기준으로 앞단에만 이동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217)는 높이조절부(240)의 거치부(245)가 안착 또는 거치 가능하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가이드부(217)는 가이드부(250)와 이와 체결된 높이조절부(240)이 제2방향으로 이동시 다른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제1 및 제2본체부(210)(220)가 벌어지지 않도록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세하게, 높이조절부(240)는 제1채움공(200a)의 앞단에 개재되고 특히 거치부(245)는 이동가이드부(217)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제2확장조절부(255)를 제2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이때 거치부(245)는 이동제한부(224)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제2본체부(220)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부(240)도 거치부(245)가 이동제한부(214)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제1채움공(200a)의 앞단에서만 이동할 수 있다.
상세하게, 높이조절부(240)의 체결부(241)는 이동시 제1경사부(213)(223) 에만 접촉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240)의 거치부(245)는 이동시 제1채움공(200a)의 앞단에만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이동가이드부(217)에 거치되어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20)의 제2본체부(220)의 전단부에 형성된 표시공(220a)과 후단부에 형성된 고정지지공(230c) 각각에는 표시부재(260) 및 고정마커핀(27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도 5의 연결부의 일부분 절단시 앞단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절단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연결부(230)의 중앙에 연결공(23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연결공(230a)에는 회전가동부(251)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연결공(130a)에는 가압가동부(151)이 설치될 수 있다. 연결부(230)는 연결공(230a)을 기준으로 상하측면에는 확장보조홈(230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30)는 연결공(230a)을 기준으로 양 좌우측에는 집기홈(230d)가 형성될 수 있다. 집기홈(230d)은 시술시 체결기구가 잡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연결부(230)는 연결공(230a)의 양측을 일부 포함하면서 세로축으로 나란하게 관통하는 고정지지공(230c)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고정지지공(230c)에는 고정마커핀(270)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마커핀(270)은 회전가동부(251)의 헤드부(253)의 핀안착홈(253b)을 지나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마커핀(270)은 연결부(250)에 대하여 회전가동부(251)가 회동하면서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걸림부(235)를 기준으로 양측 단부에 외부에서 집기가 용이하도록 형성된 집기홈(230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의 후방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20)는 회전가동부(251)와 결합되기 전의 후방측에서 본 모습일 수 있다.
연결부(230)는 걸림부(2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걸림부(235)는 수술시 도구에 의해 취급이 용이하도록 외주면을 가지고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외주면 소정 위치에 네크부(23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네크부(237)로 인하여 수술시 도구가 걸림부(235)에 걸려서 헛돌지 않고 완전 체결될 수 있고 후방으로 빼낼 때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수술시 도구에 의해 취급이 용이하도록 연결부(230)의 양측에 집기홈(230d)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9와 같이, 마찰요철부(R)가 제1경사부(213)(223)에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찰요철부(R)는 제1경사부(213)(223) 및 제2경사부(215)(2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도 5의 제1경사부를 나타낸 측면확대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10)(20)는 케이지 본체(100)(200) 내측과 가이드부(150)(250) 외측의 서로 마주하여 접하는 일 면이 외부 진동 또는 마찰운동시 상호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는 마찰요철부(Roughness; 이하 R이라고 칭함)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마찰요철부(R)는 경사부(115)(125), 경사가압부(1551), 확장가이드부(2553) 및 지지가이드부(255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찰요철부(R)는 하기의 조건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
1.5 ≤ P/H ≤ 3
여기서, P는 상기 찰요철부의 요철 피치를 의미하고, H는 상기 찰요철부의 높이를 의미한다.
만일 조건식 1의 하한치 값을 벗어나는 경우는 가이드부 가이드부(150)(250)가 케이지 본체(100)(200) 내에 접촉 면적 간에 마찰이 심하여 슬라이딩 운동이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한치 값을 벗어나는 경우는 가이드부(150)(250)가 케이지 본체(100)(200) 내에 접촉 면적 간에 슬라이딩 운동은 가능하나 몇번의 전후방으로 상대운동시 서로 분리 이탈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조건식 1의 범위를 만족할 때 마찰요철부(R)는 케이지 본체(100)(200) 내에 위치한 가이드부(150)(250)가 서로 접촉함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면서 외부 진동 또는 마찰운동시 상호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1000번 이상의 복수회 전후방으로 상대운동시 마찰요철부(R)를 구비함에 따라 케이지 본체(100)(200) 내에 위치한 가이드부(150)(250)가 분리 이탈되거나 오결합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서로 결합되어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 확장 케이지(10)(20)는 구성이 단순하여 부품 손실 및 교체의 필요성이 없다. 또한, 구성 간의 체결이 용이하고 제1 및 제2척추 사이에 삽입시 설치 방향만 맞추면 상하 간의 구조가 대칭됨에 따라 상하를 바꿔서 체결한다고 해도 재수술할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시술자의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은 시술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 시술 방법 >
본 발명의 일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10)(20)는 적절하게 훈련된 전문가 및 의사에 의하여 사용 및 수행할 수 있다. 아래에 본 발명에 따른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10)(20)의 시술 방법을 상세하게 기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시술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멸균된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10)(20)와 체결 기구(미도시)를 트레이에 놓고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0).
전신 마취 상태의 환자를 엎드린 자세로 시술 부위를 위아래로 약 5cm 정도 피부를 절개할 수 있다. 그 다음, 가시 돌기와 박판에서 척추 주변의 근육을 분리하고 가시 돌기와 극간 인대를 보존하는 절개 및 보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20).
끌과 드릴을 사용하여 박판과 접합체를 일부 제거한 후 노란색 인대를 제거하는 인대 제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30).
견인기를 사용하여 병든 척추체의 시력을 확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40).
제거기(shaver)를 사용하여 염증이 발병된 디스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50).
이전 절차에서 올바른 크기의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10)(20)를 확인하고 감압 또는 대체 재료의 재생가능한 척추 예를 들어, 뼈 성장 촉진 물질인 골시멘트 등으로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10)(20)의 천공된 공간 예를 들어, 제1채움공(100a), 내부 공간(100b), 제2채움공(255c) 및 측면공(255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채우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60).
시스와 홀더를 사용하여 디스크를 제거한 부위에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10)(20)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70).
육각 렌치를 사용하여 제1본체부(110, 220) 및 제2본체부(120, 220) 사이의 슬라이딩 바 즉, 가이드부(150, 250)를 전진 이동시켜 삽입된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10)(20)의 제2방향 각도를 약 0 ~ 8°범위로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80).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10)(20)를 삽입하고 배치하는 데 사용된 도구를 제거하고 시술 부위를 봉합하는 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S90).
한편, 뼈 성장 촉진 물질을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10)(20)의 천공된 공간에 채우는 단계(S60)는 시스와 홀더를 사용하여 디스크를 제거한 부위에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10)(20)를 삽입하는 단계(S70)의 전단계가 아닌 후단계로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20: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100, 200: 케이지 본체
100a: 제1채움공 100b: 내부 공간
110, 210: 제1본체부 110a, 120a, 210a, 220a: 표시공
111, 121, 211, 221: 이탈방지부 115, 125: 경사부
117, 217: 이동가이드부 120, 220: 제2본체부
130, 230: 연결부 130a, 230a: 연결공
130b, 230b: 확장보조홈 140, 240: 높이조절부
141, 241: 체결부 145, 245: 거치부
145a, 245a: 기구수용부 150, 250: 가이드부
151: 가압가동부 153: 가동체결부
153a, 253a: 설치공 155: 제1확장조절부
1551: 경사가압부 155a, 255a: 결합공
155b, 255b: 측면공 155c, 255c: 제2채움공
155d, 255d: 이동가이드공 155e: 링체결공
160, 260: 표시부재 213, 223: 제1경사부
214, 224: 이동제한부 215, 225: 제2경사부
230c: 고정지지공 230d: 집기홈
235: 걸림부 237: 네크부
251: 회전가동부 252: 몸체부
253: 헤드부 253a: 설치공
253b: 핀안착홈 255: 제2확장조절부
2553: 확장가이드부 2555: 지지가이드부
2554: 단차홈부 270: 고정마커핀

Claims (20)

  1. 서로 마주하는 제1척추 및 제2척추 사이에 삽입되는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척추와 나란한 방향으로 위치하고 이와 교차선 상에 연결공이 형성되는 연결부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것으로, 소정 높이로 이격 형성되고 상호 대향되게 위치하는 제1본체부 및 제2본체부를 구비하고 그 각각의 중앙에 제1채움공이 형성된 케이지 본체; 및
    상기 케이지 본체 내에 위치하고 외력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면서,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이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내부 공간이 확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지 본체는,
    상기 가이드부에 의하여 높이 가변시,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는 초기 사잇각을 유지하면서 상대 이동하여 상기 소정 높이로 이격된 상기 내부 공간이 확장하도록 되는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공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설치공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 사이의 대칭선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외부 가압력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가압가동부; 및
    상기 제1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가압가동부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가동부에 의하여 상기 케이지 본체의 높이를 가변시켜 상기 공간이 확장되도록 하는 제1확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확장조절부는,
    외측면이 상기 경사부와 대응되게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가압가동부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경사부를 가압하여 높이를 확장하도록 사선으로 형성된 경사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본체부 각각은,
    외부 단부가 상기 제1척추 및 상기 제2척추에 접할 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 방향으로 경사진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와 상기 제1채움공 사이에 위치하고 안착 또는 거치가 가능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 이동시 다른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본체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본체부 각각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하부가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본체부 각각은,
    상기 표시공에 설치되어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의 위치 및 삽입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표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이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상기 공간이 확장되는 적어도 두개의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 외측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지지하는 제1경사부 및 제2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경사부의 끝단부와 상기 제2경사부의 처음단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 내측 사이가 좁아져 상기 가이드부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이동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연결공에 체결되어 위치하고 외주면이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가 서로 마주하는 대칭선을 기준으로 제자리에서 회전운동하는 회전가동부; 및
    상기 회전가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가동부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케이지 본체의 높이를 가변시켜 상기 공간이 확장되도록 하는 제2확장조절부를 포함하는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확장조절부는,
    상기 경사부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전단 경사 단부와 후단 경사 단부 사이에 단차 홈이 형성된 단차홈부와;
    상기 단차홈부를 기준으로 전단에 위치하고 후단부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경사부를 가압하여 높이를 확장시키는 확장가이드부; 및
    상기 확장가이드부와 연결되고 상기 단차홈부의 후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경사면에 대응되어 상기 제1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지지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동부는,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2확장조절부와 체결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고 외주면에 상기 회전가동부가 외부 이탈되지 않고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핀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2확장조절부로부터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헤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 각각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외측 후단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가이드부가 이동하여 높이를 조절한 후 상하부가 관통되고 고정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지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 각각은,
    상기 고정지지공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케이지 본체로부터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중 체결하는 것으로,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의 위치 및 삽입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표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마커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와 접하는 적어도 일 외측 단부에 상기 제1채움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채움공; 및
    상기 제2채움공과 교차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일 측면에 형성된 측면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채움공 및 상기 측면공 각각에 척추의 성장 및 융합을 촉진하는 물질을 채우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채움공 및 상기 측면공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부가 방향이 이탈되지 않도록 이동을 가이드하는 체결되도록 이동가이드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 이동시 상기 케이지 본체고 나사체결되고 상기 제1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높이를 조절하거나 이동을 제한하도록 고정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조절공에 위치하고 외주면이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와 연결되어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제1본체부 및 상기 제2본체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도록 되는 거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17.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의하여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의 서로 마주하는 간격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높이 가변시, 탄성을 가지고 확장되는 높이에 따라 유연하게 같이 확장되도록 보조하는 확장보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수술시 도구에 의해 취급이 용이하도록 외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외주면 소정 위치에 네크부가 형성된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를 기준으로 양측 단부에 외부에서 집기가 용이하도록 형성된 집기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19.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본체 내측과 상기 가이드부 외측의 서로 마주하여 접하는 일 면이 외부 진동 또는 마찰운동시 상호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는 마찰요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20.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본체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부는 티타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KR1020200174817A 2020-12-14 2020-12-14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KR202200848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817A KR20220084881A (ko) 2020-12-14 2020-12-14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817A KR20220084881A (ko) 2020-12-14 2020-12-14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881A true KR20220084881A (ko) 2022-06-21

Family

ID=82221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817A KR20220084881A (ko) 2020-12-14 2020-12-14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48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04989A (zh) * 2023-11-08 2023-12-12 江苏爱护佳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锁固定功能的腰椎椎间融合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4501A (ko) 2003-12-24 2005-06-29 (주)태연메디칼 척추융합 시술용 이식구
KR101352820B1 (ko) 2012-01-11 2014-01-17 주식회사 디오메디칼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4501A (ko) 2003-12-24 2005-06-29 (주)태연메디칼 척추융합 시술용 이식구
KR101352820B1 (ko) 2012-01-11 2014-01-17 주식회사 디오메디칼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04989A (zh) * 2023-11-08 2023-12-12 江苏爱护佳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锁固定功能的腰椎椎间融合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5064B2 (en) Intervertebral fusion implant
US10575960B2 (en) Intervertebral fusion implant
US9320549B2 (en) Spinal fixation plates
US8273127B2 (en) Interbody fusion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EP2323573B1 (en) Anterior transpedicular screw-and-plate system
US7112222B2 (en) An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cage with locking plate
US9114023B2 (en) Interbody fusion device with snap on anterior plate and associated methods
JP4047937B2 (ja) 並進及び回転動作を許容する人工の椎間関節
EP2446843B1 (en) Interspinous spacer assembly
US8585761B2 (en) Expandable cage with locking device
JP2018167028A (ja) 脊椎移植システム
JP7029959B2 (ja) 脊椎安定化装置
US9839449B2 (en) Translational plate and compressor instrument
US9795413B2 (en) Spinal fixation member
KR20220084881A (ko)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US9820863B2 (en) Intervertebral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