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397A - Polarizer composite and optical laminate - Google Patents

Polarizer composite and optical lamin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4397A
KR20220084397A KR1020227017172A KR20227017172A KR20220084397A KR 20220084397 A KR20220084397 A KR 20220084397A KR 1020227017172 A KR1020227017172 A KR 1020227017172A KR 20227017172 A KR20227017172 A KR 20227017172A KR 20220084397 A KR20220084397 A KR 20220084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polarizer
cell
polarization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71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도시카즈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84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39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편광자 복합체는, 편광자와, 편광자의 한쪽의 면측에 마련된 제1 보강재와, 편광자의 다른쪽의 면측에 마련된 제2 보강재를 갖는다. 편광자는, 두께가 15 ㎛ 이하인 편광 영역과, 평면에서 보아 편광 영역에 둘러싸인 비편광 영역을 갖는다. 제1 보강재는, 개구 단부면을 갖는 제1 셀을 복수 가지며 또한 각 개구 단부면이 편광자의 면에 대향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1 보강재는, 제1 셀이 존재하며 또한 편광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존재하는 셀 영역과, 제1 셀이 존재하지 않으며 또한 비편광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존재하는 비셀 영역을 갖는다. 제2 보강재는, 개구 단부면을 갖는 제2 셀을 복수 가지며 또한 각 개구 단부면이 편광자의 면에 대향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2 보강재는, 복수의 제2 셀을 가지며 또한 적어도 비편광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2 셀이 존재한다. 비편광 영역 및 비셀 영역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고, 비편광 영역에 포함되는 경화물은, 평면에서 보아 편광 영역에 둘러싸인 관통 구멍에 마련되어 있다. The polarizer composite has a polarizer, a first reinforcing material provided on one surface side of the polarizer, and a second reinforcing material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polarizer. A polarizer has a polarization area|region whose thickness is 15 micrometers or less, and a non-polarization area|region surrounded by the polarization area|region in planar view.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has a plurality of first cells each having an open end face, and is arranged so that each open end face faces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has a cell region in which the first cell is present an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olarization region, and a non-cell region in which the first cell is not present an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non-polarization region.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has a plurality of second cells each having an open end face, and is arranged so that each open end face faces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A 2nd reinforcement material has a some 2nd cell, and a 2nd cell exists at least in the area|region corresponding to a non-polarization area|region. The non-polarization region and the non-cell region contain the cured product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the cured product contained in the non-polarization region is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surrounded by the polarization region in plan view.

Description

편광자 복합체 및 광학 적층체Polarizer composite and optical laminate

본 발명은 편광자 복합체 및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er composite and an optical laminate.

편광자는,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EL)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편광의 공급 소자로서, 또한 편광의 검출 소자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편광자를 구비한 표시 장치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전화 등의 모바일 기기에도 전개되어 있고, 표시 목적의 다양화, 표시 구분의 명확화, 장식화 등에의 요구로부터, 투과율이 다른 영역을 갖는 편광자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형 단말로 대표되는 중소형의 휴대 단말에 있어서는, 장식성의 관점에서 전체면에 걸쳐 경계선이 없는 디자인으로 하기 위해, 표시면 전체면에 편광자를 접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카메라 렌즈의 영역, 화면 아래의 아이콘 또는 로고 인쇄의 영역에도 편광자가 중첩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카메라의 감도가 나빠지거나, 의장성이 뒤떨어지거나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A polarizer is widely used as a polarization|polarized-light supply element in display apparatus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 display device, and also as a polarization detection element. A display device having a polarizer is also being developed in mobile devices such as notebook personal computers and mobile phones, and polarizers having different transmittance areas are required from the demands for diversification of display purposes, clarification of display divisions, decoration, etc. is becoming In particular, in small and medium-sized portable terminals typified by smart phones and tablet-type terminals, a polarizer may be bonded to the entire display surface in order to provide a borderless design over the entire surface from the viewpoint of decorativeness. In this case, since the polarizer may also overlap the area of the camera lens and the area of the icon or logo printed below the scree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nsitivity of the camera is deteriorated or the designability is inferior.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편광판에 포함되는 편광자에 2색성 물질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2색성 물질 저농도부를 부분적으로 마련하고, 이 2색성 물질 저농도부에 대응시켜 카메라를 배치함으로써, 카메라 성능에 악영향을 부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a dichroic substance low concentration part having a relatively low dichroic substance content is partially provided in a polarizer included in a polarizing plate, and the camera is arranged in correspondence with this dichroic substance low concentration part, so that the camera performance is adversely affected. It is described not to give it.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5-215609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5-215609

특허문헌 1에서는, 2색성 물질을 포함하는 수지 필름에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킨다고 하는 화학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수지 필름을 부분적으로 탈색하여 2색성 물질 저농도부를 형성하고 있다. 탈색을 위해 이용한 염기성 용액은, 폐액으로서 처리하기 때문에 수고나 비용을 요한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2색성 물질로서의 요오드를 이용한 경우에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킴으로써, 요오드의 함유량을 저감하여 2색성 물질 저농도부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요오드 이외의 2색성 물질을 이용한 경우에 2색성 물질 저농도부를 형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개시가 없다.In patent document 1, the resin film is partially decolorized and the dichroic substance low concentration part is formed by performing the chemical process of making a basic solution contact the resin film containing a dichroic substance. Since the basic solution used for decolorization is treated as a waste liquid, labor and cost are required. Moreover, in patent document 1, when iodine as a dichroic substance is used, it is described that content of iodine can be reduced and a dichroic substance low concentration part can be formed by making a basic solution contact. However, there is no disclosure of a specific method for forming a low concentration portion of a dichroic substance when a dichroic substance other than iodine is used.

본 발명은 탈색 등의 화학 처리에 의해 2색성 물질의 함유량이 적은 영역을 형성한 편광자를 대신하는, 신규의 편광자를 구비하는 편광자 복합체 및 광학 적층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arizer composite including a novel polarizer and an optical laminate instead of a polarizer in which a region having a low content of a dichroic substance is formed by chemical treatment such as decolorization.

본 발명은 이하의 편광자 복합체 및 광학 적층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polarizer composite and optical laminate.

〔1〕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한쪽의 면측에 마련된 제1 보강재와, 상기 편광자의 다른쪽의 면측에 마련된 제2 보강재를 갖는 편광자 복합체로서,[1] A polarizer composite having a polarizer, a first reinforcing material provided on one surface side of the polarizer, and a second reinforcing material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polarizer,

상기 편광자는, 두께가 15 ㎛ 이하인 편광 영역과, 평면에서 보아 상기 편광 영역에 둘러싸인 비편광 영역을 갖고,The polarizer has a polarization region having a thickness of 15 μm or less and a non-polarization region surrounded by the polarization region in plan view,

상기 제1 보강재는,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개구 단부면을 갖는 제1 셀을 복수 가지며, 또한, 각 개구 단부면이 상기 편광자의 면에 대향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a plurality of first cells having an open end face, and each open end face is arranged to face the face of the polarizer;

상기 제1 셀이 존재하며 또한 상기 편광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존재하는 셀 영역과, 상기 제1 셀이 존재하지 않으며 또한 상기 비편광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존재하는 비셀 영역을 갖고, a cell region in which the first cell is present an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olarization region, and a non-cell region in which the first cell is not present an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non-polarization region;

상기 제2 보강재는,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개구 단부면을 갖는 제2 셀을 복수 가지며, 또한, 각 개구 단부면이 상기 편광자의 면에 대향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a plurality of second cells having an open end face, and each open end face is arranged to face the face of the polarizer;

적어도 상기 비편광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제2 셀이 존재하고, the second cell is present in at least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non-polarization region;

상기 비편광 영역 및 상기 비셀 영역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의 경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비편광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경화물은, 평면에서 보아 상기 편광 영역에 둘러싸인 관통 구멍에 마련되어 있는, 편광자 복합체.The non-polarization region and the non-cell region include a cured product of an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and the cured product contained in the non-polarization region is provided in a through hole surrounded by the polarization region in plan view, a polarizer composite .

〔2〕상기 경화물의 두께는, 상기 편광 영역의 두께 및 상기 셀 영역의 두께의 합계 두께와 동일한, 〔1〕에 기재된 편광자 복합체.[2] The polarizer composite according to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cured product is the same as the total thickness of the thickness of the polarization region and the thickness of the cell region.

〔3〕상기 경화물의 두께는, 상기 편광 영역의 두께 및 상기 셀 영역의 두께의 합계 두께보다 작은, 〔1〕에 기재된 편광자 복합체.[3] The polarizer composite according to [1], wherein a thickness of the cured product is smaller than a total thickness of a thickness of the polarization region and a thickness of the cell region.

〔4〕상기 경화물의 두께는, 상기 편광 영역의 두께 및 상기 셀 영역의 두께의 합계 두께보다 큰, 〔1〕에 기재된 편광자 복합체.[4] The polarizer composite according to [1], wherein a thickness of the cured product is larger than a total thickness of a thickness of the polarization region and a thickness of the cell region.

〔5〕상기 비편광 영역은, 투광성을 갖는,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자 복합체.[5] The polarizer composi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wherein the non-polarization region has light transmission properties.

〔6〕상기 비편광 영역의 평면에서 본 직경은, 0.5 ㎜ 이상 20 ㎜ 이하인,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자 복합체.[6] The polarizer composi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wherein the planar diameter of the non-polarization region is 0.5 mm or more and 20 mm or less.

〔7〕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는,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자 복합체.[7] The polarizer composi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wherein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ntains an epoxy compound.

〔8〕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7〕에 기재된 편광자 복합체.[8] The polarizer composite according to [7], wherein the epoxy compound contains an alicyclic epoxy compound.

〔9〕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상기 개구의 형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다각 형상, 원형상, 또는 타원 형상인,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자 복합체.[9] The polarizer composi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8], wherein the shapes of the openings of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are each independently a polygonal shape, a circular shape, or an elliptical shape.

〔10〕또한, 상기 제1 셀의 내부 공간에 투광성의 충전재가 마련되어 있는,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자 복합체.[10] The polarizer composi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9], wherein a light-transmitting filler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ell.

〔11〕또한, 상기 제2 셀의 내부 공간에 투광성의 충전재가 마련되어 있는,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자 복합체.[11] The polarizer composi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0], wherein a light-transmitting filler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cell.

〔12〕〔1〕∼〔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자 복합체의 편면측 또는 양면측에 보호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12] An optical laminate having a protective layer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composi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1].

본 발명에 따른면, 신규의 편광자를 구비하는 편광자 복합체 및 광학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larizer composite and an optical laminate having a novel polarizer.

[도 1]의 (a)는 본 발명의 편광자 복합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b)는 (a)에 나타내는 편광자 복합체의 제1 보강재측의 개략 평면도이고, (c)는 (a)에 나타내는 편광자 복합체의 제2 보강재측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편광자 복합체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편광자 복합체의 비편광 영역 및 비셀 영역 주변의 단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비편광 영역 및 비셀 영역에 마련된 경화물의 두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의 (a)∼(d)는 본 발명의 편광자 복합체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도 4에 나타내는 편광자 복합체의 제조 방법의 계속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1 (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polarizer composite of the present invention, (b)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polarizer composite shown in (a) on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side, (c) is It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2nd reinforcing material side of the polarizer composite shown to (a).
(a) and (b) of [FIG. 2] are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ypically another example of the polarizer composite of this invention.
3 (a) and (b)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cross section around the non-polarization region and the non-cell region of the polarizer composite,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thickness of the cured product provided in the non-polarization region and the non-cell region It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4(a)-(d)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which show typically an exampl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er composite_body|complex of this invention.
(a) and (b) of [FIG. 5] are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ypically the continuation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er composite_body|complex shown in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optical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편광자, 편광자 복합체 및 광학 적층체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모든 도면에 있어서는, 각 구성 요소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축척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나타내고 있으며, 도면에 나타내는 각 구성 요소의 축척과 실제의 구성 요소의 축척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drawings, preferable embodiment of the polarizer of this invention, a polarizer composite, and an optical laminated body is demonstrated. In all the drawings below, the scales are appropriately adjust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each component, and the scale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does not necessarily coincide with the scale of the actual component.

<편광자 복합체><Polarizer complex>

도 1의 (a)는 본 실시형태의 편광자 복합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1의 (b)는 도 1의 (a)에 나타내는 편광자 복합체의 제1 보강재측의 개략 평면도이고, 도 1의 (c)는 도 1의 (a)에 나타내는 편광자 복합체의 제2 보강재측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실시형태의 편광자 복합체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편광자 복합체(40)는, 편광자(10)와, 편광자(10)의 한쪽의 면측에 마련된 제1 보강재(50)와, 편광자(10)의 다른쪽의 면측에 마련된 제2 보강재(60)를 갖는다.Fig. 1 (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polarizer composite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1 (b)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polarizer composite shown in Fig. 1 (a) on the side of the first reinforcement. , Fig. 1C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polarizer composite shown in Fig. 1A on the side of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Fig.2 (a) and (b)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which show another example of the polarizer composite_body|complex of this embodiment. The polarizer composite 40 shown in FIGS. 1 and 2 includes a polarizer 10 , a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provided on one surface side of the polarizer 10 , and a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polarizer 10 . It has 2 reinforcing materials (60).

편광자 복합체(40)가 갖는 편광자(10)는,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 영역(11)과 비편광 영역(12)을 갖는다. 편광 영역(11)의 두께는, 15 ㎛ 이하이다.The polarizer 10 which the polarizer composite 40 has has the polarization area|region 11 and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as shown to Fig.1 (a). The thickness of the polarization region 11 is 15 µm or less.

편광자(10)에 있어서의 편광 영역(11) 및 비편광 영역(12)의 배치는, 편광 영역(11)이 비편광 영역(12)을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편광자(10)의 평면에서 보아, 편광 영역(11)이 점유하는 총면적은, 비편광 영역(12)이 점유하는 총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10)는, 비편광 영역(12)을 1개 갖고 있으면 좋고, 비편광 영역(12)을 2개 이상 갖고 있어도 좋다. 비편광 영역(12)을 2개 이상 갖는 경우, 각각의 비편광 영역(12)의 형상은 서로 동일하여도 좋고, 서로 달라도 좋다.Arrangement of the polarization area|region 11 in the polarizer 10 and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will not be specifically limited if the polarization area|region 11 is provided so that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may be enclo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total area occupied by the polarization area|region 11 in planar view of the polarizer 10 is larger than the total area which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occupies. The polarizer 10 should just have on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and may have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two or more. When having two or more non-polarization regions 12, the shapes of each non-polarization region 12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편광자 복합체(40)가 갖는 제1 보강재(50)는, 도 1의 (b)에 일례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 단부면을 갖는 제1 셀(51)을 복수 가지며, 또한, 각 개구 단부면이 편광자(10)의 면에 대향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1 보강재(50)는, 제1 셀(51)이 존재하는 셀 영역(55)과, 제1 셀(51)이 존재하지 않는 비셀 영역(56)을 갖는다. 제1 셀(51)은, 제1 셀(51)을 구획하는 셀 격벽(53)에 둘러싸인 중공 기둥형(통형)의 구조를 가지며, 기둥형의 구조의 축방향 양단이 개구한 개구 단부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제1 셀(51)이 존재하지 않는 비셀 영역(56)이란, 제1 셀(51)을 구성하는 셀 격벽(53) 및 셀 격벽(53)에 둘러싸인 중공 기둥형(통형)의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다.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included in the polarizer composite 40 has a plurality of first cells 51 each having an open end surface, as shown in Fig. 1(b) as an example, and each of the open end surfaces They are arranged to face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10 .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has a cell region 55 in which the first cell 51 exists and a non-cell region 56 in which the first cell 51 does not exist. The first cell 51 has a hollow columnar (tubular) structure surrounded by cell partition walls 53 that partition the first cell 51, and the axially opposite ends of the columnar structure are open end faces. it has been In the non-cell region 56 in which the first cell 51 does not exist, a hollow columnar (tubular) space surrounded by the cell partition walls 53 and the cell partition walls 53 constituting the first cell 51 does not exist. It is an area that does not

제1 보강재(50)에 있어서, 셀 영역(55)은, 편광자(10)에 존재하는 편광 영역(11)에 대응하는 영역에 존재하고, 비셀 영역(56)은, 편광자(10)의 비편광 영역(12)에 대응하는 영역에 존재한다. 여기서, 셀 영역(55)이 편광 영역(11)에 대응하는 영역에 존재한다는 것은, 평면에서 본 방향에서, 셀 영역(55) 및 편광 영역(11)이 서로 대략 동형상, 대략 동치수인 것을 말하며, 마찬가지로, 비셀 영역(56)이 비편광 영역(12)에 대응하는 영역에 있다는 것은, 평면에서 본 방향에서, 비셀 영역(56) 및 비편광 영역(12)이 대략 동일한 위치에, 대략 동형상, 대략 동치수(직경)인 것을 말한다. 바꾸어 말하면, 비셀 영역(56)을, 평면에서 본 방향에서, 편광자(10)에 투영하였을 때, 비셀 영역(56)의 투영 영역과, 상기 편광자(10)에 있는 비편광 영역(12)이 대략 동일한 것을 말한다. 후술하는 편광자 복합체의 제조 수단에 따르면, 셀 영역(55)이 편광 영역(11)에 대응하는 영역에 존재하는 편광자 복합체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편광자 복합체(40)에 포함되는 편광자(10)가 2개 이상의 비편광 영역(12)을 갖는 경우, 적어도 1개의 비편광 영역(12)에 대응하는 영역에 비셀 영역(56)이 존재하고 있으면, 다른 비편광 영역(12)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셀 영역(55)이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In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 the cell region 55 exists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olarization region 11 present in the polarizer 10 , and the non-cell region 56 is a non-polarization region of the polarizer 10 . It is present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region 12 . Here, the presence of the cell region 55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olarization region 11 means that the cell region 55 and the polarization region 11 are substantially identical to each other and have substantially the same dimensions in a planar view. Likewise, that the non-cell region 56 is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non-polarization region 12 means that, in the plan view direction, the non-cell region 56 and the non-polarization region 12 are at approximately the same position and approximately the same. It means that the shape is approximately the same size (diameter). In other words, when the non-cell region 56 is projected onto the polarizer 10 in a planar view, the projected region of the non-cell region 56 and the non-polarization region 12 in the polarizer 10 are approximately say the same thing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ans of the polarizer composite mentioned later, the polarizer composite which exists in the area|region where the cell area|region 55 corresponds to the polarization area|region 11 can be manufactured efficiently. When the polarizer 10 included in the polarizer composite 40 has two or more non-polarization regions 12, if the non-cell region 56 is present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non-polarization region 12, The cell region 55 may exist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non-polarization region 12 .

편광자 복합체(40)가 갖는 제2 보강재(60)는, 도 1의 (c)에 일례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 단부면을 갖는 제2 셀(61)을 복수 가지며, 또한, 각 개구 단부면이 편광자(10)의 면에 대향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2 보강재(60)는, 제1 셀(51)과 마찬가지로, 제2 셀(61)을 구획하는 셀 격벽(63)에 둘러싸인 중공 기둥형(통형)의 구조를 가지며, 기둥형의 구조의 축방향 양단이 개구한 개구 단부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제2 보강재(60)에서는, 제1 보강재(50)와는 다르게, 비편광 영역(12)(도 1의 (c) 중, 파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에도 제2 셀(61)이 존재한다. 제2 보강재(60)는, 편광 영역(11) 및 비편광 영역(12)의 양방에 제2 셀(61)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편광자(10)의 전체면에 제2 셀(61)이 존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included in the polarizer composite 40 has a plurality of second cells 61 each having an open end surface, as shown in Fig. 1(c), and each of the open end surfaces is They are arranged to face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10 . Like the first cell 51 ,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60 has a hollow columnar (tubular) structure surrounded by the cell partition walls 63 that partition the second cell 61, and is the axis of the columnar structure. Both ends in the direction are open end faces. In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unlike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the second cell 61 is also present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non-polarization area 12 (a portion indicated by a broken line in Fig. 1C). do. As for the 2nd reinforcement material 60, it is preferable that the 2nd cell 61 exists in both the polarization area|region 11 and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and the 2nd cell 61 is present in the whole surface of the polarizer 10.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is exists.

편광자(10)의 비편광 영역(12) 및 제1 보강재(50)의 비셀 영역(56)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이하, 「경화성 수지(X)」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의 경화물을 포함한다. 비편광 영역(12)은, 평면에서 보아 편광 영역(11)에 둘러싸인 관통 구멍(22)에, 경화성 수지(X)의 경화물이 마련된 영역이다. 비셀 영역(56)은, 복수의 제1 셀(51)의 전체 또는 일부를 절결하도록 마련되며, 또한 상기한 관통 구멍(22)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된 관통 구멍(52)에, 경화성 수지(X)의 경화물이 마련된 영역이다. 편광자(10)의 관통 구멍(22)과 제1 보강재(50)의 관통 구멍(52)은, 평면에서 보아 동형상으로 할 수 있다. 관통 구멍(22)과 관통 구멍(52)은, 편광 영역(11)의 두께 방향으로 연통한 것으로 할 수 있고, 연통하는 상기 관통 구멍(22, 52)에 걸쳐 경화성 수지(X)의 경화물을 마련할 수 있다.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of the polarizer 10 and the non-cell area|region 56 of the 1st reinforcing material 50 are hardened|cured material of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henceforth "curable resin (X)" may be called). includes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is the area|region in which the hardened|cured material of curable resin (X) was provided in the through-hole 22 surrounded by the polarization area|region 11 in planar view. The non-cell region 56 is provided so as to cut out all or a part of the plurality of first cells 51 , and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52 provided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22 described above with a curable resin (X). ) is the area where the cured product is provided. The through-hole 22 of the polarizer 10 and the through-hole 52 of the 1st reinforcing material 50 can be made into the same shape in planar view. The through hole 22 and the through hole 52 may communicat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olarization region 11, and the cured product of the curable resin (X) is passed through the communicating through holes 22 and 52. can be provided

편광자 복합체(40)가 갖는 편광자(10)는,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편광 영역(12)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형 단말 등에 전개되는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에, 편광자 복합체(40)를 적용할 때에, 비편광 영역(12)에 대응시켜, 카메라 렌즈, 아이콘 또는 로고 등의 인쇄부를 배치함으로써, 카메라의 감도의 저하 및 의장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The polarizer 10 which the polarizer composite 40 has has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as shown to Fig.1 (a). Therefore, when applying the polarizer composite 40 to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deployed on a smart phone or tablet type terminal, etc., it is made to correspond to the non-polarization region 12, a camera lens, an icon Alternatively, by arranging a printing portion such as a logo,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decrease in the sensitivity of the camera and a decrease in the designability.

편광자 복합체(40)에서는, 편광자(10)가 비편광 영역(12)을 갖기 때문에, 표시 장치에 적용한 경우 등에 받는 온도 변화에 따른 편광자(10)의 수축에 의해 비편광 영역(12)의 주변에 크랙이 발생하기 쉽다고 생각된다. 또한, 편광자(10)는, 편광 영역(11)의 두께가 15 ㎛ 이하로 얇기 때문에, 충격을 받은 경우에 크랙이 발생하기 쉽다고 생각된다. 편광자 복합체(40)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편광자(10)의 양면에 각각 제1 보강재(50) 및 제2 보강재(60)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 변화나 충격을 받은 경우의 크랙의 발생이나, 미세한 크랙이 큰 크랙으로 진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In the polarizer composite 40, since the polarizer 10 has a non-polarization region 12, when applied to a display device, due to the contraction of the polarizer 10 according to a temperature change received, the periphery of the non-polarization region 12 It is thought that cracks are easy to generate|occur|produce. Moreover, since the thickness of the polarization area|region 11 of the polarizer 10 is as thin as 15 micrometers or less, when it receives an impact, it is thought that it is easy to generate|occur|produce a crack. In the polarizer composite 40, since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and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are provided on both surfaces of the polarizer 10,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the occurrence of cracks when subjected to temperature change or impact, It is thought that it can suppress that a fine crack advances into a large crack.

편광자 복합체(40)에서는, 비편광 영역(12) 및 비셀 영역(56)이 경화성 수지(X)의 경화물을 포함함으로써, 편광자(10)의 관통 구멍(22) 및 제1 보강재(50)의 관통 구멍(52)을 중실로 할 수 있다. 편광자 복합체(40)가 갖는 편광자(10)에 두께는 15 ㎛ 이하로 얇기 때문에, 비편광 영역(12)에 경화성 수지(X)의 경화물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관통 구멍(22)이 중공의 상태이면, 표시 장치에 적용하였을 때 등에 노출되는 온도 변화에 따른 편광자의 수축에 의해 관통 구멍(22)의 주변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편광자 복합체(40)가 갖는 편광자(10)와 같이, 관통 구멍(22) 및 관통 구멍(52)에 경화성 수지(X)의 경화물이 마련됨으로써 비편광 영역(12) 및 비셀 영역(56)을 중실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polarizer composite 40 , the non-polarization region 12 and the non-cell region 56 contain a cured product of the curable resin (X), so that the through hole 22 of the polarizer 10 and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The through hole 52 can be made solid. Since the polarizer 10 of the polarizer composite 40 has a thickness of 15 µm or less, the cured product of the curable resin (X) is not provided in the non-polarization region 12 and the through hole 22 is hollow. , when applied to a display device, etc., there is a risk of causing problems such as cracks in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22 due to the shrinkage of the polariz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exposed. On the other hand, like the polarizer 10 of the polarizer composite 40, a cured product of the curable resin (X) is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22 and the through hole 52, so that the non-polarization region 12 and the non-cell region ( 56) can be made solid, so that the occurrence of the above problem can be suppressed.

편광자 복합체(40)에 마련되는 경화성 수지(X)의 경화물의 두께는, 편광 영역(11)의 두께 및 셀 영역(55)의 두께의 합계 두께와 동일하여도 좋고(도 1의 (a)), 상기 합계 두께보다 작아도 좋고(도 2의 (a)), 상기 합계 두께보다 커도 좋다(도 2의 (b)). 편광자 복합체(40)에 마련된 경화성 수지(X)의 경화물은, 편광자(10)의 관통 구멍(22)의 적어도 일부 및 제1 보강재(50)의 관통 구멍(52)의 적어도 일부를 메우도록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경화성 수지(X)의 경화물은, 편광자(10)의 관통 구멍(22) 전체를 메우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편광자(10)의 관통 구멍(22) 전체 및 제1 보강재(50)의 관통 구멍(52) 전체를 메우도록 마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cured product of the curable resin (X) provided in the polarizer composite 40 may be the same as the total thickness of the thickness of the polarization region 11 and the thickness of the cell region 55 (FIG. 1(a)) , may be smaller than the total thickness (FIG. 2(a)), or may be larger than the total thickness (FIG. 2(b)). The cured product of the curable resin (X) provided in the polarizer composite 40 is provided to fill at least a part of the through hole 22 of the polarizer 10 and at least a part of the through hole 52 of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 good to have The cured product of the curable resin (X) is preferably provided so as to fill the entire through hole 22 of the polarizer 10 , and penetrates the entire through hole 22 of the polarizer 10 and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 More preferably, it is provided so as to fill the entire hole 52 .

편광자 복합체(40)에 마련된 경화물의 두께는, 다음과 같이 하여 결정한다. 먼저, 편광자 복합체(40)에 있어서, 편광자(10)의 편광 영역(11)의 표면(제1 보강재(50)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을 포함하는 제1 평면과, 제1 보강재(50)의 셀 영역(55)의 개구 단부면(편광자(10)측과는 반대측의 개구 단부면)을 포함하는 제2 평면을 가정한다. 다음에, 비편광 영역(12)에 있어서, 편광자(10)측에 있어서의 경화물의 표면과 제1 평면이 이루는 최단 거리가 최대가 되는 위치인 제1 위치 및 제1 보강재(50)측에 있어서의 경화물의 표면과 제2 평면이 이루는 최단 거리가 최대가 되는 제2 위치를 결정한다. 그리고, 제1 위치에 있어서의 최단 거리(dm), 제2 위치에 있어서의 최단 거리(dn) 및 제1 평면과 제2 평면의 거리(D)를 합계한 값(dm+dn+D)을, 편광자 복합체(40)에 마련된 경화물의 두께로 한다.The thickness of the hardened|cured material provided in the polarizer composite 40 is determined as follows. First, in the polarizer composite 40 , a first plane including the surface of the polarization region 11 of the polarizer 10 (the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side) and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A second plane including an open end face (an open end 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polarizer 10 side) of the cell region 55 is assumed. Next, in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in the 1st position and the 1st reinforcing material 50 side which are the positions where the shortest distance which the surface of the hardened|cured material and the 1st plane in the polarizer 10 side make is the largest. The second position where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cured product and the second plane is the largest is determined. Then, the sum of the shortest distance (dm) at the first position, the shortest distance (dn) at the second position, and the distance (D) between the first plane and the second plane (dm+dn+D) , the thickness of the cured product provided in the polarizer composite 40 .

비편광 영역(12) 및 비셀 영역(56)에 마련된 경화물의 두께와 편광 영역(11) 및 셀 영역(55)의 합계 두께가 다른 경우의 두께의 결정 방법에 대해서, 도 3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의 (a) 및 (b)는 편광자 복합체의 비편광 영역 및 비셀 영역 주변의 단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비편광 영역 및 비셀 영역에 마련된 경화물의 두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A method of determining the thickness when the thickness of the cured product provided in the non-polarization region 12 and the non-cell region 56 and the total thickness of the polarization region 11 and the cell region 55 is different is concretely based on FIG. 3 . Explain. 3 (a) and (b)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cross section around the non-polarization region and the non-cell region of the polarizer composite, and a method of determining the thickness of the cured product provided in the non-polarization region and the non-cell region is explained It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편광 영역(12) 및 비셀 영역(56)에 경화물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 제1 보강재(50)의 편광자(10)측은 반대측의 표면측을 따라 비셀 영역(56)에 있는 직선을 제1 평면(11m)으로 가정한다. 이 제1 평면(11m) 상의 임의의 점과, 비셀 영역(56)에 마련된 경화물의 표면 상의 임의의 점을 연결하는 직선이 최단 거리가 되는 직선 중, 그 직선의 길이(도 3의 (a) 중 「dm」)가 최대가 될 때의 위치를 제1 위치로 한다. 다음에,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자(10)의 제1 보강재(50)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측을 따라 비편광 영역(12)에 있는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직선을 제2 평면(11n)으로 가정한다. 이 제2 평면(11n) 상의 임의의 점과, 비편광 영역(12)에 마련된 경화물의 표면 상의 임의의 점을 연결하는 직선이 최단 거리가 되는 직선 중, 그 직선의 길이(도 3의 (a) 중 「dn」)가 최대가 될 때의 위치를 제2 위치로 한다. 여기서,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편광 영역(12) 및 비셀 영역(56)에 마련되어 있는 경화물의 표면이, 편광자 복합체(4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제1 평면(11m) 및 제2 평면(11n)보다 내면측(편광자(10) 및 제1 보강재(50)측)에 존재하는 경우, dm 및 dn은 부의 값으로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1 평면(11m)과 제2 평면(11n) 사이의 거리를 D로 한다. 그렇게 하면, 도 3의 (a)에 나타내는 비편광 영역(12) 및 비셀 영역(56)에 마련되어 있는 경화물의 두께는, D+dm+dn(dm 및 dn은 부의 값)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As shown to Fig.3 (a), when hardened|cured material is provided in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and the non-cell area|region 56, the polarizer 10 side of the 1st reinforcement material 50 is a non-cell area|region along the surface side of the opposite side. The straight line at (56) is assumed to be the first plane (11m). Among the straight lines in which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any point on the first plane 11m and any point on the surface of the cured product provided in the non-cell region 56 is the shortest distance, the length of the straight line (FIG. 3(a)) The position at which "dm") becomes the maximum is made into a 1st position. Next, as shown to Fig.3 (a), the straight line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along the surface sid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1st reinforcing material 50 side of the polarizer 10 is a 2nd Assume a plane 11n. Among the straight lines connecting any point on the second plane 11n and any point on the surface of the cured product provided in the non-polarization region 12 to the shortest distance, the length of the straight line (Fig. 3(a)) ), the position at which "dn") becomes the maximum is set as the second position. Here, as shown to Fig.3 (a), the surface of the hardened|cured material provided in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and the non-cell area|region 56 is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olarizer composite 40. WHEREIN: 1st plane 11m And when it exists on the inner surface side (polarizer 10 and 1st reinforcing material 50 side) rather than the 2nd plane 11n, dm and dn shall represent as negative values. In addition, let D be the distance between the 1st plane 11m and the 2nd plane 11n. Then, the thickness of the hardened|cured material provided in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and the non-cell area|region 56 shown to Fig.3 (a) can be determined as D+dm+dn (dm and dn are negative values).

또한,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편광 영역(12) 및 비셀 영역(56)에 경화물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1 평면(11m) 및 제2 평면(11n)을 가정함으로써, 비편광 영역(12) 및 비셀 영역(56)에 마련되어 있는 경화물의 두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제1 평면(11m) 상의 임의의 점과, 제1 보강재(50)에 마련된 경화물의 표면 상의 임의의 점을 연결하는 직선이 최단 거리가 되는 직선 중, 그 직선의 길이(도 3의 (b) 중「dm」)가 최대가 될 때의 위치를 제1 위치로 한다. 다음에, 제2 평면(11n) 상의 임의의 점과, 비편광 영역(12)에 마련된 경화물의 표면 상의 임의의 점을 연결하는 직선이 최단 거리가 되는 직선 중, 그 직선의 길이(도 3의 (b) 중 「dn」)가 최대가 될 때의 위치를 제2 위치로 한다. 여기서,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편광 영역(12) 및 비셀 영역(56)에 마련되어 있는 경화물의 표면이, 편광자 복합체(4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제1 평면(11m) 및 제2 평면(11n)보다 외면측(편광자(10) 및 제1 보강재(50)과는 반대측)에 존재하는 경우, dm 및 dn은 정의 값으로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렇게 하면, 도 3의 (b)에 나타내는 비편광 영역(12) 및 비셀 영역(56)에 마련되어 있는 경화물의 두께는, D+dm+dn(dm 및 dn은 정의 값)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Moreover, as shown to FIG.3(b), also when the hardened|cured material is provided in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and the non-cell area|region 56 similarly to the above, the 1st plane 11m and the 2nd plane 11n By , the thickness of the cured product provided in the non-polarization region 12 and the non-cell region 56 can be determined. Specifically, first, among the straight lines connecting any point on the first plane 11m and any point on the surface of the cured product provided on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to the shortest distance, the length of the straight line ( The position when "dm") in FIG.3(b) becomes the maximum is made into a 1st position. Next, among the straight lines connecting any point on the second plane 11n and any point on the surface of the cured product provided in the non-polarization region 12 to the shortest distance, the length of the straight line (in FIG. 3 ) In (b), the position when "dn") becomes the maximum is made into a 2nd position. Here, as shown in FIG.3(b), the surface of the hardened|cured material provided in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and the non-cell area|region 56 is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olarizer composite 40. WHEREIN: 1st plane 11m And when it exists on the outer surface side (the side opposite to the polarizer 10 and the 1st reinforcing material 50) rather than the 2nd plane 11n, dm and dn shall represent as positive values. Then, the thickness of the hardened|cured material provided in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and the non-cell area|region 56 shown to FIG.3(b) can be determined as D+dm+dn (dm and dn are positive values).

도 2의 (a)에 나타내는 편광자 복합체(40)에서는, 제2 보강재(60)는, 편광자(10)의 관통 구멍(22) 내에 들어가, 관통 구멍(22) 내의 경화성 수지(X)의 경화물 상에 마련할 수 있다. 도 2의 (b)에 나타내는 편광자 복합체(40)에서는, 편광자(10)의 관통 구멍(22)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마련된 경화성 수지(X)의 경화물의 표면 상에 제2 보강재(60)를 마련할 수 있다.In the polarizer composite 40 shown in FIG. 2A ,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enters the through hole 22 of the polarizer 10 and is a cured product of the curable resin (X) in the through hole 22 . can be provided on the table. In the polarizer composite 40 shown in FIG. 2B ,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cured product of the curable resin X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through hole 22 of the polarizer 10 . have.

편광자 복합체(40)가 갖는 제1 보강재(50)와 제2 보강재(60)는, 각각이 갖는 제1 셀(51)과 제2 셀(61)이 서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여도 좋고, 형상 및 크기 중 적어도 한쪽이 서로 달라도 좋다. 편광자(10)에 마련되는 제1 보강재(50)의 제1 셀(51)의 개구와, 제2 보강재(60)의 제2 셀(61)의 개구는, 평면에서 보아,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지만,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and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included in the polarizer composite 40 may have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first cell 51 and the second cell 61, respectively, and may have the same shape and size. At least one of them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opening of the first cell 51 of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provided in the polarizer 10 and the opening of the second cell 61 of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are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in a plan view, Although there may be, it is preferable to arrange|position so that it may shift|deviate from each other.

편광자 복합체(40)는, 편광자(10), 제1 보강재(50) 및 제2 보강재(60)를 구비한 상태로 표시 장치 등에 적용된다. 제1 보강재(50)의 제1 셀(51) 및 제2 보강재(60)의 제2 셀(61)의 내부 공간이 공동이면, 셀 격벽(53)과 제1 셀(51)의 내부 공간의 굴절률의 차이 및 셀 격벽(63)과 제2 셀(61)의 내부 공간의 굴절률의 차이 등에 의해 표시 장치의 시인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편광자 복합체(40)에 있어서의 제1 보강재(50)의 제1 셀(51)의 내부 공간 및 제2 보강재(60)의 제2 셀(61)의 내부 공간에는, 투광성의 충전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 복합체(40)의 제1 보강재(50) 및 제2 보강재(60)에 있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셀(51) 사이 또는 복수의 제2 셀(61) 사이에 간극이 마려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간극에도 투광성의 충전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larizer composite 40 is applied to a display device or the like in a state in which the polarizer 10,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and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are provided. If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ell 51 of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and the second cell 61 of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are common, the cell partition wall 53 and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ell 51 are Visibility of the display device may decrease due to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and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ices of the inner space of the cell partition wall 63 and the second cell 61 . Therefore,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ell 51 of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in the polarizer composite 40 and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cell 61 of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the translucent filler is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In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and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of the polarizer composite 40, a gap i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cells 51 or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cells 61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re is, it is preferable that a light-transmitting filler is also provided in this gap|interval.

본 명세서에 있어서, 투광성이란 파장 400 ㎚∼700 ㎚의 범위의 가시광이 80% 이상 투과하는 성질(투과율)을 말하며, 85% 이상 투과하는 것 바람직하고, 90% 이상 투과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2% 이상 투과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에 있어서의 「투광성」의 정의 및 가시광에 대한 투과율의 바람직한 범위도 상기와 동일하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light transmittance refers to a property (transmittance) that transmits 80% or more of visible light in a wavelength range of 400 nm to 700 nm, preferably transmits 85% or more, more preferably transmits 90% or more, 92 % or more is more preferable. The definition of "transmittance" below and the preferable range of the transmittance|permeability with respect to visible light are also the same as the above.

편광자 복합체(40)는, 매엽체여도 좋고, 보관 시나 수송 시 등에 권취되어 롤 형상이 되는 길이를 갖는 장척체여도 좋다. 편광자 복합체(40)의 평면 형상 및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polarizer composite 40 may be a sheet body, or an elongate body having a length to be wound into a roll shape at the time of storage or transport, etc. may be sufficient as it. The planar shape and size of the polarizer composite 4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편광 영역)(polarization area)

편광자(10)의 편광 영역(11)은, 바람직하게는 파장 380 ㎚∼780 ㎚의 범위의 파장에 있어서 흡수 2색성을 나타낸다. 편광자(10)는, 그 흡수축에 평행인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흡수하며, 흡수축에 직교하는(투과축과 평행인)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투과하는 성질을 갖는데, 이 성질은 주로 편광 영역(11)에 의해 얻을 수 있다.The polarization region 11 of the polarizer 10 preferably exhibits absorption dichroism in the wavelength range of 380 nm to 780 nm. The polarizer 10 has a property of absorbing linearly polarized light having an oscillation plane parallel to its absorption axis and transmitting linearly polarized light having an oscillation plane perpendicular to the absorption axis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It can be obtained by area (11).

편광 영역(11)은,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2색성 염료 등의 2색성 물질이 흡착·배향된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이나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킨 것에 2색성 물질이 흡착·배향된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광학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고, 일축 연신하여 얻어진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larization region 11 is, for example, in a hydrophilic polymer film such as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a partially formalized polyvinyl alcohol-based film, or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based partially saponified film, and a dichroic substance such as iodine or a dichroic dye. This adsorption/orientation; What the dichroic substance adsorbed and orientated to the thing which orientated the polyene-type oriented film or liquid crystal compound, such as a dehydration-treated product of polyvinyl alcohol and a dehydrochloric acid-treated product of polyvinyl chloride; etc. can be used. Especially, it is preferable to use the thing obtained by dyeing a polyvinyl alcohol-type film with iodine and uniaxially stretching as a thing excellent in an optical characteristic.

먼저, 바람직한 편광 영역(11)이 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여 일축 연신하여 얻어진 것에 대해서, 간단히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Firs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hing obtained by dyeing|staining the polyvinyl alcohol-type film used as the preferable polarization area|region 11 with iodine and uniaxially stretching is demonstrated briefly.

요오드에 의한 염색은,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행해진다. 일축 연신의 연신 배율은, 3∼7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은, 염색 처리 후에 행하여도 좋고, 염색하면서 행하여도 좋다. 또한, 연신하고 나서 염색하여도 좋다.Dyeing with iodine is performed by, for example, immersing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 an aqueous iodine solu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w ratio of uniaxial stretching is 3 to 7 times. Extending|stretching may be performed after a dyeing process, and may be performed, dyeing|staining. Moreover, you may dye|dye after extending|stretching.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는, 필요에 따라, 팽윤 처리, 가교 처리, 세정 처리, 건조 처리 등이 실시된다. 예컨대, 염색 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하여 수세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표면의 오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는 것뿐만 아니라,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팽윤시켜 염색 얼룩 등을 방지할 수 있다.A swelling process, a crosslinking process, a washing process, a drying process, etc. are given to a polyvinyl alcohol-type film as needed. For example, by immers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 water and washing with water before dyeing, it is possible to not only wash dirt and anti-blocking agents on the surfac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but also swell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to prevent staining, etc. can do.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연신 처리, 염색 처리, 가교 처리(붕산 처리), 수세 처리, 건조 처리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5977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준하여 행하여도 좋다. 이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기재 필름에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코팅에 의해, 편광 영역(11)이 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형성한다. 이때, 이용한 기재 필름은, 후술하는 제1 지지층(25)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Stretching treatment, dyeing treatment, crosslinking treatment (boric acid treatment), water washing treatment, and drying treatment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for example, the method described in JP 2012-159778 A . In the method described in this document, the polyvinyl alcohol-type resin layer used as the polarization area|region 11 is formed by coating of the polyvinyl alcohol-type resin to a base film. At this time, the used base film can also be used as the 1st support layer 25 mentioned later.

이어서,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킨 것에 2색성 색소가 흡착·배향하여 이루어지는 편광 영역(11)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이 경우의 편광 영역(11)으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13-3735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3324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6-17036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7-83843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액정 화합물이 중합한 경화막 중에, 2색성 색소가 배향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2색성 색소로서는, 파장 380∼800 ㎚의 범위 내에 흡수를 갖는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유기 염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색성 색소로서, 예컨대, 아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액정 화합물은, 배향한 채로 중합할 수 있는 액정 화합물이며, 분자 내에 중합성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액정 화합물이 중합한 경화막은,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그 경우는, 상기 기재 필름은, 후술하는 제1 지지층(25)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Next, the polarization region 11 formed by adsorbing and aligning a dichroic dye to a liquid crystal compound is briefly described. As the polarization region 11 in this cas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3-3735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3-33249,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6-170368,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7-83843 As described, in the cured film in which the liquid crystal compound is superposed, a dichroic dye may be oriented. As a dichroic dye, what has absorption within the range of wavelength 380-800 nm can be used, It is preferable to use organic dye. As a dichroic dye, an azo compound is mentioned,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compound is a liquid crystal compound which can superpose|polymerize with orientation, and may have a polymeric group in a molecule|numerator. The cured film in which such a liquid crystal compound superposed|polymerized may be formed on the base film, and in that case, the said base film can also be used as the 1st support layer 25 mentioned later.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편광 영역(11)에 이용되는 편광 필름을 제작한 후에, 천공 가공에 의해 비편광 영역(12)을 형성하여 편광자(10)를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편광 영역(11)만으로 형성된 편광 필름을 원료 편광자(20)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After making it above and producing the polarizing film used for the polarization area|region 11, it is also preferable to form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by a drilling process, and to form the polarizer 10. In this specification, the polarizing film formed only with such a polarization area|region 11 may be called the raw material polarizer 20.

편광 영역(11)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Py)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이다. 편광 영역(11)의 단체 투과율(Ts)은, 통상 50% 미만이며, 46% 이하여도 좋다. 편광 영역(11)의 단체 투과율(Ts)은, 바람직하게는 39%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9.5%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40.5% 이상이다.The visibility correction polarization degree Py of the polarization region 11 is preferably 80% or more, more preferably 90%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95%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99% or more. The single transmittance Ts of the polarization region 11 is usually less than 50%, and may be 46% or less. The single transmittance (Ts) of the polarization region 11 is preferably 39% or more, more preferably 39.5%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40%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40.5% or more.

단체 투과율(Ts)은, JIS Z8701의 2도 시야(C 광원)에 준거하여 측정하여 시감도 보정을 행한 Y값이다. 시감도 보정 편광도(Py)는, 예컨대, 자외 가시 분광 광도계(니혼분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제품명: V7100)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고, 시감도 보정을 행한 평행 투과율(Tp) 및 직교 투과율(Tc)에 기초하여, 하기 식에 의해 구해진다.The single transmittance (Ts) is the Y value which measured based on the 2 degree field of view (C light source) of JIS Z8701, and performed the visibility correction|amendment. The visibility corrected polarization degree (Py) can be measured using, for example, an ultraviolet visible spectrophotometer (manufactured by Nippon Bunko Co., Ltd., product name: V7100), and the parallel transmittance (Tp) and orthogonal transmittance (Tc) to which the visibility correction was performed. Based on , it is calculated|required by the following formula.

Py[%]={(Tp-Tc)/(Tp+Tc)}1/2×100Py[%]={(Tp-Tc)/(Tp+Tc)} 1/2 × 100

편광 영역(11)의 두께는, 15 ㎛ 이하이며, 13 ㎛ 이하여도 좋고, 10 ㎛ 이하여도 좋고, 8 ㎛ 이하여도 좋고, 5 ㎛ 이하여도 좋고, 통상 1 ㎛ 이상이다. 편광 영역(11)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넘으면, 비편광 영역(12)에, 후술하는 경화성 수지(X)를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X)의 경화물을 마련하기 위한 작업성이 저하하기 쉽다. 또한, 편광 영역(11)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원하는 광학 특성을 얻는 것이 어려워진다. 편광 영역(11)의 두께는, 예컨대 접촉식 막두께 측정 장치(MS-5C,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polarization region 11 is 15 µm or less, and may be 13 µm or less, may be 10 µm or less, may be 8 µm or less, may be 5 µm or less, and is usually 1 µm or more. When the thickness of the polarization area|region 11 exceeds the said range, workability|operativity for providing the hardened|cured material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X) containing curable resin (X) mentioned later in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will fall. easy to do. Further, when the polarization region 11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it becomes difficult to obtain desired optical properties. The thickness of the polarization region 11 can be measured using, for example, a contact-type film thickness measuring device (MS-5C, manufactured by Nikon Corporation).

(비편광 영역)(non-polarization area)

일반적으로 「비편광」이란, 전계 성분에 관측할 수 있는 규칙성이 없는 광을 가리킨다. 바꾸어 말하면, 비편광이란, 우수한 특정 편광 상태가 관측되지 않는 랜덤인 광이다. 또한, 「부분 편광」이란, 편광과 비편광의 중간의 상태에 있는 광을 가리키며, 직선 편광, 원편광 및 타원 편광 중 적어도 하나와 비편광이 서로 섞인 광을 의미한다. 편광자(10)에 있어서의 비편광 영역(12)이란, 상기 비편광 영역(12)을 투과하는 광(투과광)이, 비편광 또는 부분 편광이 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특히, 투과광이 비편광인 비편광 영역이 바람직하다.Generally, "non-polarization" refers to light having no observable regularity in an electric field component. In other words, unpolarized light is random light in which an excellent specific polarization state is not observed. In addition, "partially polarized light" refers to light in an intermediate state between polarized light and non-polarized light, and refers to light in which at least one of linearly polarized l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and elliptically polarized light and non-polarized light are mixed.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in the polarizer 10 means that the light (transmission light) which permeate|transmits the said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becomes non-polarization|polarized-light or partially polarized light. In particular, a non-polarization region in which transmitted light is non-polarization is preferable.

편광자(10)의 비편광 영역(12)은, 평면에서 보아 편광 영역(11)에 둘러싸인 영역이다. 비편광 영역(12)은, 경화성 수지(X)의 경화물을 포함한다. 비편광 영역(12)은, 편광 영역(11)만으로 형성된 편광자(원료 편광자(20))에 마련된 관통 구멍에, 후술하는 경화성 수지(X)를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마련한 것이 바람직하다. 비편광 영역(12)은 투광성을 갖는다.The non-polarization region 12 of the polarizer 10 is a region surrounded by the polarization region 11 in plan view.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contains the hardened|cured material of curable resin (X). The non-polarization region 12 is a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polarizer (raw material polarizer 20) formed only in the polarization region 11. A cured product of an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curable resin (X) described later is provided. it is preferable The non-polarization region 12 has light-transmitting properties.

편광자(10)의 비편광 영역(12)이 투광성을 가짐으로써, 비편광 영역(12)에 있어서 광학적인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편광자 복합체(40)를 표시 장치에 적용할 때에, 비편광 영역(12)에 대응시켜, 카메라 렌즈, 아이콘 또는 로고 등의 인쇄부를 배치함으로써, 카메라의 감도의 저하나 의장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When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of the polarizer 10 has translucency, optical transparency can be ensured in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Thereby, when applying the polarizer composite 40 to a display device, by making it correspond to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and arranging printing parts, such as a camera lens, an icon, or a logo, the fall of the sensitivity of a camera and the fall of designability are suppressed. can do.

비편광 영역(12)의 평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원형; 타원형; 장원형;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의 다각형; 다각형의 적어도 하나의 각이 각환(角丸)(R을 갖는 형상)으로 된 각환 다각형 등으로 할 수 있다.Although the planar shape of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is not specifically limited, Circle; oval; Jang Won-Hyeong; polygons such as triangles or squares; It can be set as a polygonal ring polygon etc. in which at least one angle of a polygon became a square ring (shape having R).

비편광 영역(12)의 직경은, 0.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이상이어도 좋고, 2 ㎜ 이상이어도 좋고, 3 ㎜ 이상이어도 좋다. 비편광 영역(12)의 직경은, 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 이하여도 좋고, 10 ㎜ 이하여도 좋고, 7 ㎜ 이하여도 좋다. 비편광 영역(12)의 직경이란, 상기 비편광 영역(12)의 외주의 임의의 2점을 연결하는 직선 중 가장 길이가 긴 직선에 있어서의 길이를 말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of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is 0.5 mm or more, 1 mm or more may be sufficient as it, 2 mm or more may be sufficient, and 3 mm or more may be sufficient as it.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of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is 20 mm or less, 15 mm or less may be sufficient, 10 mm or less may be sufficient, and 7 mm or less may be sufficient as it. The diameter of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means the length in the longest straight line among the straight lines which connect arbitrary two points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said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비편광 영역(12)에 마련된 경화성 수지(X)의 경화물의 두께는, 편광 영역(11)의 두께와 동일하여도 좋고, 편광 영역(11)의 두께보다 작아도 좋고, 편광 영역(11)의 두께보다 커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비편광 영역(12)에 마련된 경화성 수지(X)의 경화물은, 관통 구멍(22) 전체를 메우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hardened|cured material of curable resin (X) provided in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may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polarization area|region 11, and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olarization area|region 11, The thickness of the polarization area|region 11 may be bigger than As mentioned abov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so that the hardened|cured material of curable resin (X) provided in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may fill the through hole 22 whole.

비편광 영역(12)에 마련된 경화물의 두께는, 상기에서 설명한 편광자 복합체(40)에 마련된 경화물의 두께의 측정 방법에 따라 행하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측정 방법에 있어서, 제1 평면을, 편광자(10)의 편광 영역(11)의 표면(제1 보강재(50)측의 표면)으로 하여, 경화성 수지(X)의 경화물의 두께를 결정하면 좋다.What is necessary is just to perform the thickness of the hardened|cured material provided in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according to the measuring method of the thickness of the hardened|cured material provided in the polarizer composite 40 demonstrated above. Specifically, in the measurement method, the first plane is the surface of the polarization region 11 of the polarizer 10 (the surface on the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 and the thickness of the cured product of the curable resin (X) It is good to decide

(제1 보강재의 셀 영역)(cell region of the first stiffener)

셀 영역(55)은, 제1 보강재(50)의 제1 셀(51)이 존재하는 영역이다. 제1 셀(51)은,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셀(51)을 구획하는 셀 격벽(53)에 둘러싸인 중공 기둥형(통형)의 구조를 가지며, 기둥형의 구조의 축방향 양단이 개구한 개구 단부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제1 셀(51)은, 개구 단부면으로서, 편광자 복합체(40)의 편광자(10)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측에 배치되는 제1 개구 단부면과, 상대적으로 먼 측에 배치되는 제2 개구 단부면을 갖는다. 셀 영역(55)은, 제1 개구 단부면 및 제2 개구 단부면 중 적어도 한쪽이, 편광자(10)에 대향하도록 배열되어 있으면 좋고, 제1 개구 단부면 및 제2 개구 단부면의 양방이, 편광자(10)에 대향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ell region 55 is a region in which the first cells 51 of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exist. As shown in FIG. 1B , the first cell 51 has a hollow columnar (tubular) structure surrounded by cell partition walls 53 that partition the first cell 51, and has a columnar structure. Both ends in the axial direction are open end faces. The first cell 51 has an open end face, a first open end face disposed on a side relatively close to the polarizer 10 of the polarizer complex 40, and a second aperture disposed on a relatively far side. has an end face. In the cell region 55, at least one of the first open end face and the second open end face may be arranged to face the polarizer 10, and both the first open end face and the second open end face are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arranged so as to face the polarizer 10 .

셀 영역(55)이 갖는 제1 셀(51)의 개구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다각 형상, 원형상, 또는 타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개구 단부면의 개구의 형상과, 제2 개구 단부면의 개구의 형상은, 동일한 크기의 동일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형상이어도 좋고, 동일한 형상으로서 크기가 달라도 좋다. 또한, 셀 영역(55)이 갖는 복수의 제1 셀(51)의 개구의 형상은, 서로 동일하여도 좋고, 서로 달라도 좋다.The shape of the opening of the first cell 51 of the cell region 5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a polygonal shape, a circular shape, or an elliptical shape. The shape of the opening of the first open end face and the shape of the opening of the second open end face are preferably the same shape of the same size, but may have different shapes or may have different sizes as the same shape. In addition, the shapes of the openings of the plurality of first cells 51 in the cell region 55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셀 영역(55)이 갖는 복수의 제1 셀(51)은, 개구 단부면의 평면에서 보아, 각 제1 셀(51)의 개구가 서로 인접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제1 셀(51)은, 개구 단부면의 평면에서 보아, 예컨대 도 1의 (b)에 나타내는 제1 셀(51)의 개구의 형상이 육각형 등인 경우와 같이, 제1 셀(51)이 서로 간극없이 배치되도록 배열되어 있어도 좋다. 혹은, 복수의 제1 셀(51)은, 개구 단부면의 평면에서 보아, 제1 셀(51)의 개구의 형상이 원형 등인 경우와 같이, 복수의 제1 셀(51)의 셀 격벽(53)의 일부가 접하고 있으며, 복수의 제1 셀(51) 사이에 간극을 가지고 배치되도록 배열되어 있어도 좋다.The plurality of first cells 51 included in the cell region 55 are preferably arranged so that the openings of the first cells 51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a plan view of the end face of the opening. The plurality of first cells 51 have a first cell 51 in plan view of an end surface of the opening, for example, as in the case where the opening of the first cell 51 shown in FIG. 1B has a hexagonal shape or the like. These may be arranged so that they are mutually arranged without a gap.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first cells 51 have cell partition walls 53 of the plurality of first cells 51 as in the case where the opening of the first cells 51 has a circular shape or the like when viewed in plan view of the end face of the opening. )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may be arranged so as to have a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cells 51 .

제1 보강재(50)의 셀 영역(55)은, 예컨대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개구 단부면 및 제2 개구 단부면 중 어디에 있어서도 개구의 형상이 육각형이며, 편광자 복합체(40)의 면방향에 있어서, 개구가 서로 이웃하며 간극없이 배치되도록 복수의 제1 셀(51)이 배열된 허니컴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ell region 55 of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has, for example, a hexagonal shape of an opening in either of the first open end face and the second open end face, as shown in Fig. 1B, and the polarizer composite ( 40), it is preferable to have a honeycomb structure in which the plurality of first cells 51 are arranged so that the opening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arranged without gaps.

제1 셀(51)의 개구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비편광 영역(1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셀(51)의 직경은, 3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이하여도 좋고, 1 ㎜ 이하여도 좋고, 통상, 0.1 ㎜ 이상이고, 0.5 ㎜ 이상이어도 좋다. 이 제1 셀(51)의 개구의 직경은, 개구의 외주의 임의의 2점을 연결하는 직선 중 가장 길이가 긴 직선에 있어서의 길이를 말한다.Although the size of the opening of the first cell 5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is preferable to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non-polarization region 12 . The diameter of the first cell 51 is preferably 3 mm or less, may be 2 mm or less, may be 1 mm or less, and is usually 0.1 mm or more, and may be 0.5 mm or more. The diameter of the opening of the first cell 51 refers to the length of the longest straight line connecting two arbitrary points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pening.

제1 셀(51)의 높이(제1 셀(51)의 개구 단부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는, 통상 0.1 ㎛ 이상이고, 0.5 ㎛ 이상이어도 좋고, 1 ㎛ 이상이어도 좋고, 3 ㎛ 이상이어도 좋고, 또한, 통상 15 ㎛ 이하이고, 13 ㎛ 이하여도 좋고, 10 ㎛ 이하여도 좋다.The height of the first cell 51 (the length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ening end face of the first cell 51) is usually 0.1 µm or more, may be 0.5 µm or more, may be 1 µm or more, or may be 3 µm or more. Also, usually 15 µm or less, 13 µm or less may be sufficient, and 10 µm or less may be sufficient.

셀 영역(55)의 제1 셀(51)을 구획하는 셀 격벽(53)은, 투광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ell partition walls 53 dividing the first cells 51 of the cell region 55 have light-transmitting properties.

셀 영역(55)의 셀 격벽(53)의 선폭은, 예컨대 0.05 ㎜ 이상이고, 0.1 ㎜ 이상이어도 좋고, 0.5 ㎜ 이상이어도 좋고, 1 ㎜ 이상이어도 좋고, 또한, 통상 5 ㎜ 이하이고, 3 ㎜ 이하여도 좋다.The line width of the cell partition walls 53 of the cell region 55 is, for example, 0.05 mm or more, 0.1 mm or more, 0.5 mm or more, 1 mm or more, and is usually 5 mm or less, and 3 mm or less. it's good too

셀 영역(55)의 셀 격벽(53)은, 예컨대 수지 재료 또는 무기 산화물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재료로서는,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등의 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수지 재료로서는, 예컨대, 상기한 경화성 수지(X); 상기 충전재에 이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예시한 열가소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산화물로서는, 산화규소(SiO2), 산화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The cell partition walls 53 of the cell region 55 can be formed of, for example, a resin material or an inorganic oxide, and are preferably formed of a resin material. Curable resins, such as a thermoplastic resin, a thermosetting resin, and an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etc. are mentioned as a resin material. As a resin material, For example, said curable resin (X); The thermoplastic resin etc. illustrated as a thermoplastic resin used for the said filler are mentioned. Silicon oxide (SiO2), aluminum oxide , etc. are mentioned as an inorganic oxide.

(제1 보강재의 비셀 영역)(non-cell region of the first stiffener)

비셀 영역(56)은, 제1 보강재(50)의 제1 셀(51)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며,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셀(51)을 구성하는 셀 격벽(53) 및 셀 격벽(53)에 둘러싸인 중공 기둥형(통형)의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다. 비셀 영역(56)은, 복수의 제1 셀(51)의 전체 또는 일부를 절결하도록 마련되며, 편광자(10)의 관통 구멍(22)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된 관통 구멍(52)을 갖는다. 비셀 영역(56)은, 이 관통 구멍(52)에 경화성 수지(X)의 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non-cell region 56 is a region in which the first cells 51 of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do not exist, and as described above, the cell partition walls 53 and the cell partition walls ( 53) is an area in which there is no hollow columnar (tubular) space surrounded by. The non-cell region 56 is provided so as to cut out all or a part of the plurality of first cells 51 , and has a through hole 52 provid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22 of the polarizer 10 . The non-cell region 56 may include a cured product of the curable resin (X) in the through hole 52 .

비셀 영역(56)의 평면 형상 및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비편광 영역(12)의 평면 형상으로서 예시한 형상 및 직경을 들 수 있다. 비셀 영역(56)의 평면 형상 및 직경은, 비편광 영역(12)의 평면 형상 및 직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planar shape and diameter of the non-cell area|region 56 are not specifically limited, The shape and diameter illustrated as a planar shape of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are mentio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nar shape and diameter of the non-cell area|region 56 are the same as the planar shape and diameter of the non-polarization area|region 12.

(제2 보강재)(Second reinforcing material)

제2 보강재(60)가 갖는 제2 셀(61)은, 도 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셀(61)을 구획하는 셀 격벽(63)에 둘러싸인 중공 기둥형(통형)의 구조를 가지며, 기둥형의 구조의 축방향 양단이 개구한 개구 단부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제2 셀(61)은, 개구 단부면으로서, 편광자 복합체(40)의 편광자(10)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측에 배치되는 제1' 개구 단부면과, 상대적으로 먼 측에 배치되는 제2' 개구 단부면을 갖는다. 제2 보강재(60)는, 제1' 개구 단부면 및 제2' 개구 단부면 중 적어도 한쪽이, 편광자(10)에 대향하도록 배열되어 있으면 좋고, 제1' 개구 단부면 및 제2' 개구 단부면의 양방이, 편광자(10)에 대향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cell 61 included in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has a hollow columnar shape (cylindrical shape) surrounded by cell partition walls 63 that partition the second cell 61 as shown in FIG. 1C . It has a structure, and the axial direction both ends of the columnar structure have an open end surface. The second cell 61 has an open end face, a first 'open end face disposed on a side having a relatively close distance from the polarizer 10 of the polarizer complex 40, and a second open end face disposed on a relatively far side. ' has an open end face. As for the 2nd reinforcing material 60, at least one of a 1st' open end surface and a 2nd' open end surface should just be arranged so that it may oppose the polarizer 10, The 1st' open end surface and the 2nd' open end It is preferable that both of the negative surfaces are arranged so as to face the polarizer 10 .

제2 보강재(60)가 갖는 제2 셀(61)의 개구의 형상으로서는, 제1 셀(51)의 개구의 형상으로 예시한 것을 들 수 있다. 제1' 개구 단부면의 개구의 형상과, 제2' 개구 단부면의 개구의 형상은, 동일한 크기의 동일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형상이어도 좋고, 동일한 형상으로서 크기가 달라도 좋다. 또한, 복수의 제2 셀(61)의 개구의 형상은, 서로 동일하여도 좋고, 서로 달라도 좋다.Examples of the shape of the opening of the second cell 61 included in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include those exemplified as the shape of the opening of the first cell 51 . The shape of the opening of the first 'opening end face and the shape of the opening of the second 'opening end face are preferably the same shape of the same size, but may have different shapes or may have different sizes as the same shape. In addition, the shapes of the openings of the plurality of second cells 61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2 보강재(60)가 갖는 복수의 제2 셀(61)은, 개구 단부면의 평면에서 보아, 각 제2 셀(61)의 개구가 서로 인접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제2 셀(61)은, 개구 단부면의 평면에서 보아, 예컨대 도 1의 (c)에 나타내는 제2 셀(61)의 개구의 형상이 육각형 등인 경우와 같이, 제2 셀(61)이 서로 간극없이 배치되도록 배열되어 있어도 좋다. 혹은, 복수의 제2 셀(61)은, 개구 단부면의 평면에서 보아, 제2 셀(61)의 개구의 형상이 원형 등인 경우와 같이, 복수의 제2 셀(61)의 셀 격벽(63)의 일부가 접하고 있어, 복수의 제2 셀(61) 사이에 간극을 갖고 배치되도록 배열되어 있어도 좋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second cells 61 included in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be arranged so that the openings of the respective second cells 61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a plan view of the opening end face. The plurality of second cells 61 have a shape of the opening of the second cell 61 shown in Fig. 1(c) in a plan view of the end surface of the opening, such as a hexagon. These may be arranged so that they are mutually arranged without a gap.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second cells 61 has cell partition walls 63 of the plurality of second cells 61 as in the case where the opening of the second cell 61 has a circular shape or the like when viewed from the end face of the opening in plan view. )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may be arranged so as to have a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cells 61 .

제2 보강재(60)는, 예컨대 도 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개구 단부면 및 제2' 개구 단부면 중 어디에 있어서도 개구의 형상이 육각형이며, 편광자 복합체(40)의 면방향에 있어서, 개구가 서로 이웃하며 간극없이 배치되도록 복수의 제2 셀(62)이 배열된 허니컴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s for the 2nd reinforcing material 60, the shape of the opening is hexagonal in either of the 1st 'opening end surface and the 2nd' opening end surface, for example, as shown in FIG.1(c),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composite 40 In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a honeycomb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cells 62 are arranged so that the opening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arranged without gaps.

제2 셀(62)의 개구의 크기 및 높이는, 예컨대, 제1 셀(51)의 개구에 대해서 예시한 크기 및 높이로 할 수 있다. 제2 보강재(60)의 제2 셀(61)을 구획하는 셀 격벽(63)의 투광성, 선폭 및 재료는, 예컨대, 제1 셀(51)을 구획하는 셀 격벽(53)에 대해서 예시한 투광성, 선폭 및 재료로 할 수 있다.The size and height of the opening of the second cell 62 may be, for example, the size and height exemplified for the opening of the first cell 51 . The light transmittance, line width, and material of the cell barrier ribs 63 delimiting the second cells 61 of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are, for example, the light transmittance exemplified for the cell barrier ribs 53 delimiting the first cells 51 . , line width and material.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경화성 수지 조성물))(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curable resin composition))

편광자 복합체(40)에 있어서의 비편광 영역(12) 및 비셀 영역(56)은 상기한 바와 같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경화성 수지(X))의 경화물이 마련된 영역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화성 수지(X)를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하,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에 의해 형성된다.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화성 수지(X)는, 자외선, 가시광, 전자선, X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것이다. 경화성 수지(X)는,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성 수지(X)를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접착제여도 좋고, 이 경우, 자외선 경화형의 접착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non-polarization region 12 and the non-cell region 56 in the polarizer composite 40 are regions in which a cured product of an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urable resin (X)) is provided, preferably the above It is formed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henceforth "curable resin composition" may be called) containing curable resin (X). Curable resin (X) contained in curable resin composition hardens|cures by irradiation of active energy rays, such as an ultraviolet-ray, a visible light, an electron beam, and X-ray. It is preferable that curable resin (X) is ultraviolet curable resin hardened|cured by irradiation of an ultraviolet-ray. An active energy ray hardening-type adhesive agent may be sufficient as curabl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curable resin (X), and in this case,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agent.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무용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용제형이란, 적극적으로는 용제를 첨가하지 않는 것을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무용제형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란, 상기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화성 수지(X) 100 중량%에 대하여 용제의 함유량이 5 중량% 이하인 것을 말한다.It is preferable that curable resin composition is a solvent-free type. The solvent-free type means that a solvent is not actively added, and specifically, the solvent-free type curable resin composition has a solvent content of 5 weight percent with respect to 100 weight % of the curable resin (X) contained in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 or less.

경화성 수지(X)는,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폭시 화합물이란, 분자 내에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 수소화 에폭시 화합물(지환식 고리를 갖는 폴리올의 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경화성 수지(X)에 포함되는 에폭시 화합물은, 1종이어도 좋고, 2종 이상이어도 좋다.It is preferable that curable resin (X) contains an epoxy compound. An epoxy compound is one or more in a molecule|numerator, Preferably it is a compound which has two or more epoxy groups. As an epoxy compound, an alicyclic epoxy compound, an aliphatic epoxy compound, a hydrogenated epoxy compound (glycidyl ether of the polyol which has an alicyclic ring), etc. are mentioned. One type may be sufficient as the epoxy compound contained in curable resin (X), and 2 or more types may be sufficient as it.

에폭시 화합물의 함유량은, 경화성 수지(X) 100 중량%에 대하여, 4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에폭시 화합물의 함유량은, 경화성 수지(X) 100 중량%에 대하여, 100 중량% 이하이면 좋고, 90 중량% 이하여도 좋고, 또한 80 중량% 이하여도 좋고, 75 중량% 이하여도 좋다.It is preferable that content of an epoxy compound is 40 weight% or more with respect to 100 weight% of curable resin (X),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50 weight% or more,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hat it is 60 weight% or more. Content of an epoxy compound may just be 100 weight% or less with respect to 100 weight% of curable resin (X), 90 weight% or less may be sufficient, and 80 weight% or less may be sufficient and 75 weight% or less may be sufficient.

에폭시 화합물의 에폭시 당량은 통상, 40∼3000 g/당량, 바람직하게는 50∼1500 g/당량의 범위 내이다. 에폭시 당량이 3000 g/당량을 넘으면, 경화성 수지(X)에 함유되는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이 저하할 가능성이 있다.The epoxy equivalent of an epoxy compound is 40-3000 g/equivalent normally, Preferably it exists in the range of 50-1500 g/equivalent. When an epoxy equivalent exceeds 3000 g/equivalent, compatibility with the other component contained in curable resin (X) may fall.

경화성 수지(X)에 포함되는 에폭시 화합물은,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은, 지환에 결합한 에폭시기를 분자 내에 1개 이상 갖는 에폭시 화합물이다. 「지환에 결합한 에폭시기」란,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구조에 있어서의 가교의 산소 원자 -O-를 의미한다. 하기 식 중, m은 2∼5의 정수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epoxy compound contained in curable resin (X) contains an alicyclic epoxy compound. An alicyclic epoxy compound is an epoxy compound which has one or more epoxy groups couple|bonded with the alicyclic in a molecule|numerator. "The epoxy group couple|bonded with the alicyclic" means the oxygen atom -O- of bridge|crosslinking in the structure shown by the following formula. In the following formula, m is an integer of 2 to 5.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 있어서의 (CH2)m 중의 1개 또는 복수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한 형태의 기가 다른 화학 구조에 결합하고 있는 화합물이,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이 될 수 있다. (CH2)m 중의 1개 또는 복수개의 수소 원자는, 메틸기나 에틸기 등의 직쇄상 알킬기로 적절하게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중에서도, 옥사비시클로헥산 고리(상기 식에 있어서 m=3인 것)나, 옥사비시클로헵탄 고리(상기 식에 있어서 m=4인 것)를 갖는 에폭시 화합물은, 편광자(10)의 편광 영역(11) 및 제1 보강재(50)의 셀 영역(55)과, 비편광 영역(12) 및 비셀 영역(56)을 형성하는 경화성 수지(X)의 경화물 사이에 우수한 밀착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하에,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을 구체적으로 예시하지만, 이들 화합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mpound in which the group of the form in which one or several hydrogen atoms were removed in (CH2) m in the said formula couple |bonded with the other chemical structure can become an alicyclic epoxy compound. (CH 2 ) One or more hydrogen atoms in m may be suitably substituted with a linear alkyl group such as a methyl group or an ethyl group. Among the alicyclic epoxy compounds, the epoxy compound which has an oxabicyclohexane ring (the thing of m=3 in the said formula) and the oxabicycloheptane ring (the thing of m=4 in the said formula) is a polarizer (10) Provides excellent adhesion between the polarization region 11 and the cell region 55 of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and the cured product of the curable resin (X) forming the non-polarization region 12 and the non-cell region 56 Therefore, it is preferably used. Although the alicyclic epoxy compound used preferably is specifically illustrated below, it is not limited to these compounds.

[a] 하기 식 (IV)로 나타내는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류:[a] Epoxycyclohexylmethyl epoxycyclohexanecarboxylate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IV):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식 (IV) 중, R8 및 R9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낸다.][In formula (IV), R 8 and R 9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 linear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b] 하기 식 (V)로 나타내는 알칸디올의 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류:[b] Epoxycyclohexanecarboxylates of alkanediol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V):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식 (V) 중, R10 및 R11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내고, n은 2∼20의 정수를 나타낸다.][In formula (V), R 10 and R 11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 linear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and n represents an integer of 2 to 20.]

[c] 하기 식 (VI)으로 나타내는 디카르복시산의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에스테르류:[c] Epoxycyclohexylmethyl esters of dicarboxylic acid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VI):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식 (VI) 중, R12 및 R1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내고, p는 2∼20의 정수를 나타낸다.][In formula (VI), R 12 and R 1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 linear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and p represents an integer of 2 to 20.]

[d] 하기 식 (VII)로 나타내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에테르류:[d] Epoxycyclohexylmethyl ethers of polyethylene glycol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VII):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5

[식 (VII) 중, R14 및 R1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내고, q는 2∼10의 정수를 나타낸다.][In formula (VII), R 14 and R 15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 linear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and q represents an integer of 2 to 10.]

[e] 하기 식 (VIII)로 나타내는 알칸디올의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에테르류:[e] Epoxycyclohexylmethyl ethers of alkanediol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VIII):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6

[식 (VIII) 중, R16 및 R17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내고, r은 2∼20의 정수를 나타낸다.][In formula (VIII), R 16 and R 17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 linear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and r represents an integer of 2 to 20.]

[f] 하기 식 (IX)로 나타내는 디에폭시트리스피로 화합물: [f] a diepoxytrispiro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IX):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7

[식 (IX) 중, R18 및 R19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낸다.][In formula (IX), R 18 and R 19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 linear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g] 하기 식 (X)으로 나타내는 디에폭시모노스피로 화합물:[g] a diepoxy monospiro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X):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8

[식 (X) 중, R20 및 R21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낸다.][In formula (X), R 20 and R 21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 linear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h] 하기 식 (XI)로 나타내는 비닐시클로헥센디에폭시드류:[h] Vinylcyclohexene diepoxide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XI):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09

[식 (XI) 중, R22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낸다.][In formula (XI), R 22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 linear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i] 하기 식 (XII)로 나타내는 에폭시시클로펜틸에테르류:[i] Epoxycyclopentyl ether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XII):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0

[식 (XII) 중, R23 및 R2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낸다.][In formula (XII), R 23 and R 24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 linear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j] 하기 식 (XIII)으로 나타내는 디에폭시트리시클로데칸류:[j] diepoxytricyclodecane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XIII):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1

[식 (XIII) 중, R25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낸다.][In formula (XIII), R 25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 linear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지방족 다가 알코올 또는 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4-부탄디올의 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의 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의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의 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 등의 지방족 다가 알코올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에틸렌옥사이드나 프로필렌옥사이드)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As an aliphatic epoxy compound, the polyglycidyl ether of an aliphatic polyhydric alcohol or its alkylene oxide adduct is mentioned. More specifically, diglycidyl ether of 1,4-butanediol; diglycidyl ether of 1,6-hexanediol; triglycidyl ether of glycerin; triglycidyl ether of trimethylolpropane; diglycidyl ether of 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of propylene glycol; and polyglycidyl ethers of polyether polyols obtained by adding one or more alkylene oxides (ethylene oxide or propylene oxide) to an aliphatic polyhydric alcohol such as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or glycerin.

수소화 에폭시 화합물은, 방향족 폴리올의 방향 고리에 수소화 반응을 행하여 얻어지는 지환식 폴리올에,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방향족 폴리올로서는,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비스페놀 S 등의 비스페놀형 화합물; 페놀노볼락 수지, 크레졸노볼락 수지, 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페놀노볼락 수지 등의 노볼락형 수지; 테트라히드록시디페닐메탄,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폴리비닐페놀 등의 다작용형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수소화 에폭시 화합물 중에서도 바람직한 것으로서, 수소화된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에테르를 들 수 있다.A hydrogenated epoxy compound is obtained by making epichlorohydrin react with the alicyclic polyol obtained by performing a hydrogenation reaction on the aromatic ring of an aromatic polyol. As an aromatic polyol, Bisphenol type compounds, such as bisphenol A, bisphenol F, and bisphenol S; novolak resins such as phenol novolak resin, cresol novolak resin, and hydroxybenzaldehyde phenol novolak resin; and polyfunctional compounds such as tetrahydroxydiphenylmethane, tetrahydroxybenzophenone and polyvinylphenol. As a preferable thing among a hydrogenation epoxy compound, the diglycidyl ether of hydrogenated bisphenol A is mentioned.

경화성 수지(X)는, 에폭시 화합물 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과 함께 (메트)아크릴계 화합물 등을 함유하여도 좋다.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을 병용함으로써, 편광자(10)의 편광 영역(11) 및 제1 보강재(50)의 셀 영역(55)과, 비편광 영역(12) 및 비셀 영역(56)을 형성하는 경화성 수지(X)의 경화물 사이의 밀착성, 경화성 수지(X)의 경화물의 경도 및 기계적 강도를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경화성 수지(X)의 점도나 경화 속도 등의 조정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 메타크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쪽을 의미한다.Curable resin (X) may contain a (meth)acrylic-type compound etc. with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s, such as an epoxy compound. Sclerosis which forms the polarization region 11 of the polarizer 10, the cell region 55 of the 1st reinforcing material 50, the non-polarization region 12, and the non-cell region 56 by using a (meth)acrylic-type compound together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adhesiveness between the cured products of the resin (X), the hardness and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cured product of the curable resin (X) can be expected, and the adjustment of the viscosity and the curing rate of the curable resin (X) can be made more easily be able to do "(meth)acryl" mean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which consists of acryl and methacryl.

경화성 수지(X)를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광 양이온계 중합제 등의 양이온계 중합 개시제나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들 수 있다. 광 양이온계 중합 개시제는, 가시광선, 자외선, X선,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양이온종 또는 루이스산을 발생하여, 에폭시기의 중합 반응을 개시시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경화성 수지(X)는,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경화성 수지(X)는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이 경우의 중합 개시제는,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양이온종 또는 루이스산을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curabl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curable resin (X) contains a polymerization initiator.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s, such as a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agent, and a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are mentioned. The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generates cationic species or Lewis acid by irradiation with active energy rays such as visible rays, ultraviolet rays, X-rays, and electron beams, and initiates the polymerization reaction of the epoxy group. As described above, the curable resin (X) is preferably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that is cured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and the curable resin (X) preferably contains an alicyclic epoxy compound. Therefore,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n this case is ,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a cationic species or a Lewis acid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또한, 광 증감제, 중합 촉진제, 이온 트랩제, 산화 방지제, 연쇄 이동제, 점착 부여제, 열가소성 수지, 충전제, 유동 조정제, 가소제, 소포제, 대전 방지제, 레벨링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further contains additives such as a photosensitizer, a polymerization accelerator, an ion trapping agent, an antioxidant, a chain transfer agent, a tackifier, a thermoplastic resin, a filler, a flow regulator, a plasticizer, an antifoaming agent, an antistatic agent, and a leveling agent can do.

(충전재)(filling)

제1 보강재(50) 및 제2 보강재(60)에 마련하여도 좋은 충전재는 투광성을 가지며, 제1 보강재(50)의 제1 셀(51)의 내부 공간 및 제2 보강재(60)의 제2 셀(61)의 내부 공간을 메울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충전재는, 제1 보강재(50)의 셀 격벽(53) 및 제2 보강재(60)의 셀 격벽(63)을 구성하는 재료와는 다른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재료로서는,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등의 경화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고, 점착제 또는 접착제여도 좋다.The fillers that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and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have light-transmitting properties, and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ell 51 of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and the second of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fill the inner space of the cell 61 . The filler is preferably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cell partition walls 53 of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and the cell partition walls 63 of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and preferably contains a resin material. As said resin material, 1 or more types chosen from the group which consists of curable resins, such as a thermoplastic resin, a thermosetting resin, and an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An adhesive or an adhesive agent may be sufficient.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쇄형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넨계 수지 등)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clude polyolefin-based resins such as chain polyolefin-based resins (polypropylene-based resins, etc.) and cyclic polyolefin-based resins (norbornene-based resins, etc.); Cellulose ester-type resin, such as a triacetyl cellulose and a diacetyl cellulose; polyester-based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carbonate-based resin; (meth)acrylic resin; polystyrene-based resin; polyether-based resin; polyurethane-based resin; polyamide-based resin; polyimide-based resin; A fluorine-type resin etc. are mentioned.

경화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상기한 경화성 수지(X)를 들 수 있다.As curable resin, said curable resin (X) is mentioned, for example.

점착제는, 그 자체를 피착체에 접착함으로써 접착성을 발현하는 것이며, 소위 감압형 접착제라고 칭해지는 것이다. 점착제로서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폴리우레탄계 폴리머, 폴리에테르계 폴리머, 또는 고무계 폴리머 등의 폴리머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주성분이란, 점착제의 전체 고형분 중 50 질량% 이상을 포함하는 성분을 말한다. 점착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열경화형이어도 좋고, 활성 에너지선 조사나 가열에 의해, 가교도나 접착력을 조정하여도 좋다.An adhesive expresses adhesiveness by adhering itself to a to-be-adhered body, and what is called a so-call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Exampl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nclude those containing, as a main component, a polymer such as a (meth)acrylic polymer, a silicone polymer, a polyester polymer, a polyurethane polymer, a polyether polymer, or a rubber polymer. In this specification, a main component means the component containing 50 mass % or more in the total solid of an adhesive. An active energy ray hardening type or a thermosetting type may be sufficient as an adhesive, and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or heating may adjust a crosslinking degree and adhesive force.

접착제는, 경화성의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감압형 접착제(점착제) 이외의 접착제이다. 접착제로서는, 경화성의 수지 성분을 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수계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 열경화성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The adhesive contains a curable resin component, and is an adhesive other tha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adhesive). Examples of the adhesive include a water-based adhesive in which a curable resin component is dissolved or dispersed in water,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ntaining an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and a thermosetting adhesive.

접착제로서, 편광판의 기술분야에서 범용되고 있는 수계 접착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수계 접착제에 함유되는 수지 성분으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나 우레탄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로서는, 자외선, 가시광, 전자선, X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조성물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로서는, 상기한 경화성 수지(X)를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도 좋다. 열경화성 접착제로서는,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페놀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등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As the adhesive, a water-based adhesive common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of polarizing plates may be used. Examples of the resin component contained in the water-based adhesive includ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and urethane-based resins. As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agent, the composition hardened|cured by irradiation of active energy rays, such as an ultraviolet-ray, a visible light, an electron beam, and X-rays, is mentioned. As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agent, you may use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said curable resin (X). Examples of the thermosetting adhesive include those containing, as a main component, an epoxy resin, a silicone resin, a phenol resin, a melamine resin, and the like.

(편광자 복합체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polarizer complex)

도 4 및 도 5는 편광자 복합체(40)(도 1의 (a))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는, 도 1의 (a)에 나타내는 편광자 복합체(40)를 얻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 2의 (a) 및 (b)에 나타내는 편광자 복합체(40)도, 하기에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편광자 복합체(40)는, 예컨대, 전체가 동일한 시감도 보정 편광도(Py)를 가지며, 비편광 영역(12)을 갖지 않는 원료 편광자(20)의 편면측에, 셀 영역(55)만을 포함하며 비셀 영역(56)을 갖지 않는 보강재 형성용 구조체(58)(이하, 「구조체(58)」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를 형성한 것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원료 편광자(20)는 상기한 편광자(10)의 편광 영역(11)만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료 편광자(20)의 두께는, 편광자(10)의 편광 영역(11)과 동일한 두께인 1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체(58)는 상기한 제1 보강재(50)의 셀 영역(55)이 되기 때문에, 제1 보강재(50)의 셀 영역(55)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4 and 5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er composite 40 (FIG. 1A). In Figs. 4 and 5, the case of obtaining the polarizer composite 40 shown in Fig. 1 (a) is shown, but the polarizer composite 40 shown in Figs. 2 (a) and (b) is also described below. It can be manufactured by a method. The polarizer composite 40 has, for example, the same visibility corrected polarization degree Py as a whole, and includes only the cell region 55 on one side of the raw polarizer 20 that does not have the non-polarization region 12, and includes only the cell region 55. It can manufacture using what formed the structure 58 for reinforcing material formation (Hereinafter, it may be called "structure 58") which does not have the area|region 56. Since the raw polarizer 20 is formed only in the polarization region 11 of the polarizer 10 described above, the thickness of the raw polarizer 20 is 15 μm or less, which is the same thickness as the polarization region 11 of the polarizer 10. it is preferable Since the structure 58 becomes the cell region 55 of the first reinforcement member 50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same thickness as the cell region 55 of the first reinforcement member 50 .

편광자 복합체(40)는, 예컨대 다음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먼저,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 편광자(20)의 한쪽의 면에, 원료 편광자(20)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게 제1 지지층(25)을 마련한 후, 원료 편광자(20)의 다른쪽의 면에 구조체(58)를 형성하여, 제1 적층체(31)를 준비한다. 구조체(58)는, 예컨대, 수지 재료 또는 무기 산화물을 이용하여, 원료 편광자(20)의 표면에 제1 셀(51)을 구획하는 셀 격벽(53)을 형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The polarizer composite 40 may be manufactured, for example, by the following process. First, as shown in FIG. 4( a ), on one surface of the raw material polarizer 20 , after providing the first support layer 25 so as to be peelable with respect to the raw material polarizer 20 , the raw material polarizer 20 The structure 58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and the 1st laminated body 31 is prepared. The structure 58 can be obtained by, for example, forming the cell partition walls 53 dividing the first cell 51 on the surface of the raw material polarizer 20 using a resin material or an inorganic oxide.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셀 격벽(53)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잉크젯 인쇄, 스크린 인쇄, 그라비아 인쇄 등의 인쇄법; 포토리소그래피법; 노즐이나 다이 등을 이용한 도포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는, 수지 재료를, 용매, 첨가제 등과 혼합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도 좋다. 첨가제로서는, 레벨링제, 산화 방지제, 가소제, 점착 부여제, 유기 또는 무기의 충전제, 안료, 노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셀 격벽(53)은, 인쇄 또는 도포된 수지 조성물에, 필요에 따라 고화 또는 경화를 위한 처리를 행하여 형성하여도 좋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 method of forming the cell partition 53 using a resin material, For example, Printing methods, such as inkjet printing, screen printing, gravure printing; photolithography; The coating method using a nozzle, a die|dye, etc. are mentioned. In the above method, a resin composition in which a resin material is mixed with a solvent, an additive, or the like may be used. As an additive, a leveling agent, antioxidant, a plasticizer, a tackifier, organic or inorganic filler, a pigment, antioxidant, a ultraviolet absorber, antioxidant, etc. are mentioned. The cell partition walls 53 may be formed by subjecting the printed or applied resin composition to a treatment for solidification or curing, if necessary.

무기 산화물을 이용하여 셀 격벽(53)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무기 산화물을 증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 method of forming the cell partition 53 using an inorganic oxide, For example, it can form by vapor-depositing an inorganic oxide.

준비한 제1 적층체(31)에 대하여, 펀칭, 클리핑, 절삭, 또는 레이저 컷트 등에 의해 적층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32)을 형성한다(도 4의 (b)). 이에 의해, 관통 구멍이 형성된 제1 지지층(25) 상에, 원료 편광자(20)에 관통 구멍(22)이 형성된 천공 편광자(21) 및 구조체(58)에 관통 구멍(52)이 형성된 천공 구조체(59)가 형성된다. 이어서, 관통 구멍(32)이 형성된 제1 적층체(31)의 천공 구조체(59)측에 제2 지지층(26)을 박리 가능하게 마련한 후(도 4의 (c)), 제1 지지층(25)을 박리한다(도 4의 (d)). 이에 의해, 제2 지지층(26), 천공 구조체(59) 및 천공 편광자(21)가 이 순서로 적층된 제2 적층체(33)를 얻는다(도 4의 (d)). 제2 지지층(26)은, 천공 구조체(59)의 관통 구멍(52)의 한쪽측을 막도록 마련한다.With respect to the prepared first laminate 31, a through hole 32 penetrating in the lamination direction is formed by punching, clipping, cutting, or laser cutting (FIG. 4(b)). Thereby, on the first support layer 25 in which the through-holes are formed, the punched polarizer 21 in which the through-holes 22 are formed in the raw material polarizer 20 and the punched structure in which the through-holes 52 are formed in the structure 58 ( 59) is formed. Next, after providing the second support layer 26 so as to be peelable on the side of the perforated structure 59 of the first laminate 31 in which the through hole 32 is formed (FIG. 4(c)), the first support layer 25 ) is peeled off (FIG. 4(d)). Thereby, the 2nd laminated body 33 in which the 2nd support layer 26, the perforation structure 59, and the perforation polarizer 21 were laminated|stacked in this order is obtained (FIG.4(d)). The second support layer 26 is provided so as to block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52 of the perforated structure 59 .

다음에, 제2 적층체(33)의 천공 편광자(21)의 관통 구멍(22) 및 천공 구조체(59)의 관통 구멍(52)에 경화성 수지(X)를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충전하고,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관통 구멍(22, 52) 내의 경화성 수지(X)를 경화시킨다. 이에 의해, 천공 편광자(21)의 관통 구멍(22) 및 천공 구조체(59)의 관통 구멍(52)에 경화성 수지(X)의 경화물을 형성하고, 제2 지지층(26) 상에, 제1 보강재(50) 및 편광자(10)를 형성한다(도 5의 (a)). 도 5의 (a)에 나타내는 편광자(10)는, 천공 편광자(21)의 관통 구멍(22) 이외의 영역이 편광 영역(11)이 되고, 경화물이 마련된 관통 구멍(22)의 영역이 비편광 영역(12)이 된 것이다. 도 5의 (a)에 나타내는 제1 보강재(50)는, 편광자(10)의 한쪽의 면측에 마련되며, 천공 구조체(59)의 관통 구멍(52) 이외의 영역이 셀 영역(55)이 되고, 경화물이 마련된 관통 구멍(52)의 영역이 비셀 영역(56)이 된 것이다.Next, the through hole 22 of the perforated polarizer 21 of the second laminate 33 and the through hole 52 of the perforated structure 59 are filled with a curabl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curable resin (X), By irradiating an active energy ray, the curable resin (X) in the through-holes 22 and 52 is hardened. Thereby, the hardened|cured material of curable resin (X) is formed in the through-hole 22 of the drilling polarizer 21, and the through-hole 52 of the drilling structure 59, and on the 2nd support layer 26, the 1st The reinforcement 50 and the polarizer 10 are formed (FIG. 5(a)). In the polarizer 10 shown in Fig. 5(a), the region other than the through hole 22 of the drilling polarizer 21 becomes the polarization region 11, and the region of the through hole 22 in which the cured product is provided is not It becomes the polarization region 12 .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shown in FIG. 5A is provided on one surface side of the polarizer 10, and a region other than the through hole 52 of the perforated structure 59 becomes the cell region 55, , the region of the through hole 52 provided with the cured product becomes the non-cell region 56 .

이어서, 편광자(10)의 제1 보강재(50)측과는 반대측에, 제2 보강재(60)를 형성하고, 제2 지지층(26) 상에 편광자 복합체(40)를 형성한다(도 5의 (b)). 제2 보강재(60)는, 예컨대, 상기한 구조체(58)의 셀 격벽(53)을 형성하는 방법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셀 격벽(63)을 형성하면 좋다. 제2 보강재(60)를 형성한 후에, 제2 지지층(26)은 박리하여도 좋다.Next,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side of the polarizer 10, a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is formed, and a polarizer composite 40 is formed on the second supporting layer 26 (( in FIG. 5 ) b)). For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 the cell partition walls 63 may be formed by, for example, the method described in the method for forming the cell partition walls 53 of the structure 58 . After forming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 the second supporting layer 26 may be peeled off.

천공 편광자(21)의 관통 구멍(22) 및 천공 구조체(59)의 관통 구멍(52)에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충전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분주기 또는 디스펜서 등을 이용하여 제2 적층체(33)의 관통 구멍(22, 52)에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주입하여도 좋고, 제2 적층체(33)의 천공 편광자(21)의 표면 상에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코팅하면서, 관통 구멍(22, 52)에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충전하여도 좋다. 천공 편광자(21)의 표면 상에 코팅된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층은, 후술하는 보호층으로 할 수 있다.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코팅하는 경우는, 코팅에 의해 형성된 도포층 표면을 덮도록 기재 필름을 마련하여도 좋다. 기재 필름은, 경화성 수지(X)의 경화 후에 박리하여도 좋다.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 method of filling the through hole 22 of the perforated polarizer 21 and the through hole 52 of the perforated structure 59 with 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example,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may be injected into the through holes 22 and 52 of the second laminate 33 using a dispenser or dispenser, or the surface of the perforated polarizer 21 of the second laminate 33 . The through holes 22 and 52 may be filled with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while coating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thereon. The cured product layer of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perforated polarizer 21 can be a protective layer to be described later. When coating curable resin composition, you may provide a base film so that the coating layer surface formed by coating may be covered. You may peel a base film after hardening of curable resin (X).

제1 지지층(25)은, 후술하는 원료 편광자(20)의 제조 시에 이용되는 지지층이어도 좋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코팅할 때에 이용한 상기 기재 필름을 이용하여도 좋다. 혹은, 원료 편광자(20)에, 물 등의 휘발성 액체에 의해 접합된 박리 가능한 지지층이어도 좋고, 원료 편광자(20)에 대하여 박리 가능한 점착 시트여도 좋다. 제2 지지층(26)은, 천공 편광자(21)에 물접착 등의 휘발성 액체에 의해 접합된 박리 가능한 지지층이어도 좋고, 천공 편광자(21)에 대하여 박리 가능한 점착 시트여도 좋다.The support layer used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the raw material polarizer 20 mentioned later may be sufficient as the 1st support layer 25, and the said base film used when coating curable resin composition may be used for it. Alternatively, a peelable support layer bonded to the raw material polarizer 20 with a volatile liquid such as water may be sufficient, or a peelable adhesive sheet may be used with respect to the raw material polarizer 20 . The peelable support layer bonded to the perforated polarizer 21 with volatile liquids, such as water adhesion, may be sufficient as the 2nd support layer 26, and the adhesive sheet which can peel with respect to the perforated polarizer 21 may be sufficient as it.

상기한 바와 같이, 편광자 복합체(40)에서는, 원료 편광자(20)의 두께가 15 ㎛ 이하임으로써, 천공 편광자(21)에 마련되는 관통 구멍(22)의 깊이도 15 ㎛ 이하로 할 수 있다. 천공 구조체(59)의 제1 셀(51)의 높이도 통상 15 ㎛ 이하이기 때문에, 천공 구조체(59)에 마련되는 관통 구멍(52)의 깊이도 15 ㎛ 이하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천공 편광자(21)의 관통 구멍(22) 및 천공 구조체(59)의 관통 구멍(52)에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충전이나, 관통 구멍(22, 52)에 충전된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화성 수지(X)의 경화 처리를 단시간에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olarizer composite 40 , since the thickness of the raw polarizer 20 is 15 µm or less, the depth of the through hole 22 provided in the perforated polarizer 21 can also be 15 µm or less. Since the height of the 1st cell 51 of the perforation structure 59 is also normally 15 micrometers or less, the depth of the through-hole 52 provided in the perforation structure 59 can also be made into 15 micrometers or less. Thereby,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is filled in the through-holes 22 of the perforated polarizer 21 and the through-holes 52 of the perforated structure 59, and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filled in the through-holes 22 and 52 is contained in Since the hardening process of curable resin (X) can be performed in a short time, the fall of workability|operativity can be suppressed.

편광자 복합체(40)의 제조 방법에서는, 구조체(58), 원료 편광자(20) 및 제1 지지층(25)을 이 순서로 갖는 제1 적층체(31)에, 관통 구멍(32)을 형성하고 있다. 원료 편광자(20)는, 편광자(10)의 비편광 영역(12)이 되는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며, 그 두께는 15 ㎛ 이하로 얇기 때문에, 원료 편광자(20)에 관통 구멍(22)을 형성할 때에 관통 구멍(22)의 주변에 크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편광자 복합체(40)의 제조 방법에서는, 원료 편광자(20)에 구조체(58)를 마련하여, 원료 편광자(20)를 구조체(58)에 의해 보강한 상태에서 관통 구멍(22)을 형성하기 때문에, 천공 편광자(21)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며, 크랙의 발생이 억제된 편광자(10)를 얻을 수 있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er composite 40, the through hole 32 is formed in the 1st laminated body 31 which has the structure 58, the raw material polarizer 20, and the 1st support layer 25 in this order. . The raw material polarizer 20 forms a region to be the non-polarization region 12 of the polarizer 10, and since the thickness is as thin as 15 µm or less, the through hole 22 is formed in the raw material polarizer 20. At this tim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problem such as cracks occurring in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22 may occur.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larizer composite 40, the structure 58 is provided in the raw material polarizer 20, and the raw material polarizer 20 is reinforced with the structure 58 to form the through hole 22, It is suppressed that cracks generate|occur|produce in the hole polarizer 21, and the polarizer 10 by which generation|occurrence|production of the crack was suppressed can be obtained.

(원료 편광자)(raw polarizer)

원료 편광자(20)는, 관통 구멍(22)에 충전된 경화성 수지 조성물 중의 경화성 수지(X)를 경화시키기 위해 조사하는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현저히 변질되기 어려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원료 편광자(20)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2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킨 필름이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층 중에서 2색성 색소가 배향하고 있는 것이며, 이들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편광 영역(11)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aw material polarizer 20 does not significantly change in quality by the active energy ray irradiated in order to harden the curable resin (X) in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filled in the through hole 22. The raw material polarizer 20 is, for example, a film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aligned on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or a dichroic dye is oriented in a cured layer of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t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polarization area|region 11.

(보강재 형성용 구조체(구조체))(Structure (Structure) for Reinforcement Formation)

구조체(58)는, 셀 영역(55)만을 포함하며 비셀 영역(56)을 갖지 않는 구조체이다. 구조체(58)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지 재료 또는 무기 산화물을 이용하여, 제1 셀(51)을 구획하는 셀 격벽(53)을 형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수지 재료 및 무기 산화물로서 이용할 수 있는 재료 및 이들을 이용하여 셀 격벽(53)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에서 예시한 재료 및 방법을 들 수 있다.The structure 58 is a structure that includes only the cell area 55 and does not have the non-cell area 56 . The structure 58 can be obtained by forming the cell partition walls 53 dividing the first cell 51 using a resin material or an inorganic oxide as described above. As a material usable as a resin material and an inorganic oxide, and a method for forming the cell partition wall 53 using these materials, the materials and methods exemplified above can be given.

<광학 적층체><Optical laminated body>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광학 적층체(45)는, 도 1의 (a)에 나타내는 편광자 복합체(40)의 양면측에 보호층(17, 18)을 갖는다. 광학 적층체(45)는, 편광자 복합체(40)의 편면측에만 보호층(17)(또는 18)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광학 적층체(45)에 포함되는 편광자 복합체(40)는, 도 2의 (a) 또는 (b)에 나타내는 편광자 복합체(40)여도 좋다. 보호층(17, 18)은,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 등의 접합층을 개재시켜 편광자 복합체(40) 상에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접합층을 개재시켜, 편광자 복합체(40)에 필름형의 보호층을 적층하면 좋다. 보호층(17, 18)은, 접합층을 개재시키지 않고 편광자 복합체(40)에 직접 접하도록 마련하여도 좋다. 이 경우, 예컨대, 보호층(17, 18)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편광자 복합체(40) 상에 도포하고, 이 도포층을 고화 또는 경화함으로써 보호층(17, 18)을 형성할 수 있다.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ypically an example of the optical laminated body of this embodiment. The optical laminate 45 shown in FIG. 6 has protective layers 17 and 18 on both surfaces of the polarizer composite 40 shown in FIG. 1(a). The optical laminate 45 may have the protective layer 17 (or 18) only on the single side|surface side of the polarizer composite 40. As shown in FIG. The polarizer composite 40 included in the optical laminate 45 may be the polarizer composite 40 shown in FIG. 2(a) or (b). The protective layers 17 and 18 can be provided on the polarizer composite 40 with a bonding layer such as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is case, for example, a film-type protective layer may be laminated on the polarizer composite 40 via a bonding layer. The protective layers 17 and 18 may be provided so as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polarizer composite 40 without interposing a bonding layer. In this case, for example, a composition containing a resin material constituting the protective layers 17 and 18 is applied on the polarizer composite 40, and the protective layers 17 and 18 are formed by solidifying or curing the applied layer. can do.

광학 적층체(45)가, 편광자 복합체(40)의 제1 보강재(50) 및 제2 보강재(60) 상에 각각, 접합층을 개재시켜 보호층(18, 17)을 마련한 것인 경우, 제1 보강재(50)의 제1 셀(51)의 내부 공간, 복수의 제1 셀(51) 사이의 간극, 제2 보강재(60)의 제2 셀(61)의 내부 공간 및 복수의 제2 셀(61) 사이의 간극 등을 메우도록 접합층을 마련하여, 보호층(18, 17)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optical laminate 45 is one in which the protective layers 18 and 17 are provided on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and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of the polarizer composite 40 with a bonding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irst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ell 51 of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cells 51 ,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cell 61 of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ells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bonding layer so as to fill the gap between the (61) and the like to form the protective layers (18, 17).

광학 적층체(45)가, 편광자 복합체(40)의 제1 보강재(50) 및 제2 보강재(60) 상에 각각 직접 접하도록 보호층(18, 17)을 마련한 것인 경우는, 제1 보강재(50)의 제1 셀(51)의 내부 공간, 복수의 제1 셀(51) 사이의 간극, 제2 보강재(60)의 제2 셀(61)의 내부 공간 및 복수의 제2 셀(61) 사이의 간극 등을 메우도록, 보호층(18, 17)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마련하여, 보호층(18, 17)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optical laminate 45 is a thing in which the protective layers 18 and 17 are provided so that the 1st reinforcing material 50 and the 2nd reinforcing material 60 of the polarizer composite 40 may directly contact each other, respectively, it is a 1st reinforcing material (50)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ell 51,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cells 51,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cell 61 of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ells 61 ),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protective layers 18 and 17 by provid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resin material constituting the protective layers 18 and 17 so as to fill the gaps between the two.

광학 적층체(45)에 있어서 보호층(18, 17)은, 제1 보강재(50) 및 제2 보강재(60) 상에 각각 직접 마련된 경화성 수지(X)의 경화물층이어도 좋다. 경화물층인 보호층(18, 17)을 구성하는 경화성 수지(X)로서는, 자외선, 가시광, 전자선, X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상기에서 설명한 경화성 수지(X)를 들 수 있다. 보호층(18, 17)은, 편광자(10)의 비편광 영역(12) 및 비셀 영역(56)에 포함되는 경화물을 구성하는 경화성 수지(X)와 동일한 경화성 수지(X)를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층이어도 좋다.In the optical laminate 45 , the protective layers 18 and 17 may be a cured product layer of the curable resin (X) provided directly on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and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 respectively. The curable resin (X) constituting the protective layers 18 and 17, which is the cured material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resin that is cured by irradiation with active energy rays such as ultraviolet rays, visible light, electron beams, and X-rays.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Curable resin (X) is mentioned. The protective layers 18 and 17 are curable containing the same curable resin (X) as the curable resin (X) constituting the cured product contained in the non-polarization region 12 and the non-cell region 56 of the polarizer 10 . The cured product layer of the resin composition may be used.

광학 적층체(45)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편광자 복합체(40)의 제1 보강재(50) 및 제2 보강재(60)측에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코팅하고,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성 수지(X)를 경화시킨다. 이에 의해, 제1 보강재(50) 및 제2 보강재(60) 상에 각각, 경화성 수지(X)의 경화물층인 보호층(18, 17)을 형성하여 광학 적층체(45)를 얻어도 좋다.In order to manufacture the optical laminate 45, for example, by coating the curable resin composition on the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and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of the polarizer composite 40, and irradiating the curable resin ( X) is cured. Thereby, the protective layers 18 and 17 which are hardened|cured material layers of curable resin (X) may be respectively formed on the 1st reinforcing material 50 and the 2nd reinforcing material 60, and the optical laminated body 45 may be obtained. .

도 6에 나타내는 광학 적층체(45)에 있어서, 보호층(17, 18)은, 한쪽을 접합층을 개재시켜 마련한 보호층으로 하고, 다른쪽을 접합층을 개재시키지 않고 마련한 보호층으로 하여도 좋다. 광학 적층체(45)에 포함되는 보호층(17, 18)은, 서로 동일하여도 좋고, 서로 달라도 좋다.In the optical laminate 45 shown in FIG. 6 , the protective layers 17 and 18 may be one protective layer provided with a bonding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other protective layer provided without the bonding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good night. The protective layers 17 and 18 included in the optical laminate 45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코팅하는 경우는, 코팅에 의해 형성된 도포층 표면을 덮도록 기재 필름을 마련하여도 좋다. 이 경우, 기재 필름을 보호층(17, 18)으로 하고, 경화성 수지(X)의 경화물층을 보호층(17, 18)을 접합하기 위한 접합층으로 하여도 좋다. 기재 필름은, 경화성 수지(X)의 경화 후에 박리하여도 좋다.When coating curable resin composition, you may provide a base film so that the coating layer surface formed by coating may be covered. In this case, the base film may be used as the protective layers 17 and 18 , and the cured material layer of the curable resin (X) may be used as a bonding layer for bonding the protective layers 17 and 18 together. You may peel a base film after hardening of curable resin (X).

(보호층)(protective layer)

보호층(17, 18)은, 광을 투과 가능한 수지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지 필름이어도 좋고,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한 도포층이어도 좋다. 수지층에 이용되는 수지로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단성, 등방성, 연신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상기한 원료 편광자(20)의 제조에 이용하여도 좋은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광학 적층체(45)가 양면에 보호층(17, 18)을 갖는 경우, 보호층(17, 18)의 수지 조성은, 서로 동일하여도 좋고, 서로 달라도 좋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ective layers 17 and 18 are a resin layer which can transmit light, and a resin film may be sufficient as it, and the coating layer formed by apply|coating the composition containing a resin material may be sufficient as it. The resin used for the resin layer is preferably a thermoplastic resin excellent in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thermal stability, moisture barrier properties, isotropy, stretchability, and the like. As a thermoplastic resin, the thermoplastic resin which comprises the base film which may be used for manufacture of the above-mentioned raw material polarizer 20 is mentioned. When the optical laminate 45 has the protective layers 17 and 18 on both surfaces, the resin composition of the protective layers 17 and 18 may be mutually the same, and may be mutually different.

보호층(17, 18)의 두께는, 박형화의 관점에서, 통상 200 ㎛ 이하이고, 1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 이하여도 좋고, 60 ㎛ 이하여도 좋다. 보호층(17, 18)의 두께는, 통상 5 ㎛ 이상이고, 10 ㎛ 이상이어도 좋고, 20 ㎛ 이상이어도 좋다. 보호층(17, 18)은 위상차를 갖고 있어도, 갖지 않아도 좋다. 광학 적층체(45)가 양면에 보호층(17, 18)을 갖는 경우, 보호층(17, 18)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여도 좋고, 서로 달라도 좋다.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s 17 and 18 is usually 200 µm or less, preferably 150 µm or less, more preferably 100 µm or less, 80 µm or less, or 60 µm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thickness.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s 17 and 18 may be usually 5 µm or more, 10 µm or more, or 20 µm or more. The protective layers 17 and 18 may or may not have a phase difference. When the optical laminate 45 has the protective layers 17 and 18 on both surfaces,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s 17 and 18 may be mutually the same, and may be mutually different.

(접합층)(bonding layer)

접합층은,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이다.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및 접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상기한 충전재를 구성하기 위해 이용하는 점착제 및 접착제를 들 수 있다.A bonding layer is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bond layer. Exampl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adhesive for forming the adhesive layer includ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adhesive used for constituting the above-described filler.

<광학 표시 소자용 접합층을 갖는 적층체><Laminate body having bonding layer for optical display element>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편광자 복합체(40), 도 6에 나타내는 광학 적층체(45)는, 또한,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의 광학 표시 소자(액정 패널, 유기 EL 소자)에 접합하기 위한 광학 표시 소자용 접합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The polarizer composite 40 shown in FIGS. 1 and 2 and the optical laminate 45 shown in FIG. 6 are further optical display elements (liquid crystal panel, organic EL element) of display apparatus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You may have a bonding layer for optical display elements for bonding to ).

편광자 복합체(40) 및 광학 적층체(45)에 있어서, 제1 보강재(50) 또는 제2 보강재(60)의 표면에 광학 표시 소자용 접합층을 마련하는 경우는, 제1 보강재(50) 또는 제2 보강재(60)에 마련되는 충전재로서 광학 표시 소자용 접합층을 구성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제1 보강재(50)의 제1 셀(51)의 내부 공간 또는 제2 보강재(60)의 제2 셀(61)의 내부 공간 등에의 충전재의 충전과, 광학 표시 소자용 접합층의 형성을, 동시에 행하여도 좋다.In the polarizer composite 40 and the optical laminate 45 , when the bonding layer for an optical display element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or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or As a filler provided in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 a material constituting the bonding layer for an optical display element is used to form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ell 51 of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50 or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60 . You may perform the filling of the filler into the internal space of 2 cells 61 etc., and formation of the bonding layer for optical display elements simultaneously.

10 편광자, 11 편광 영역, 11m 제1 평면, 11n 제2 평면, 12 비편광 영역, 17, 18 보호층, 20 원료 편광자, 21 천공 편광자, 22 관통 구멍, 25 제1 지지층, 26 제2 지지층, 27 제3 지지층, 28 제4 지지층, 31 제1 적층체, 32 관통 구멍, 33 제2 적층체, 34 제3 적층체, 35 제4 적층체, 36 관통 구멍, 40, 41 편광자 복합체, 45 광학 적층체, 50 제1 보강재, 51 제1 셀, 52 관통 구멍, 53 셀 격벽, 55 셀 영역, 56 비셀 영역, 58 보강재 형성용 구조체, 59 천공 구조체, 60 제2 보강재, 61 제2 셀, 63 셀 격벽.10 polarizer, 11 polarization region, 11m first plane, 11n second plane, 12 non-polarization region, 17, 18 protective layer, 20 raw polarizer, 21 perforated polarizer, 22 through hole, 25 first support layer, 26 second support layer, 27 third support layer, 28 fourth support layer, 31 first laminate, 32 through hole, 33 second laminate, 34 third laminate, 35 fourth laminate, 36 through hole, 40, 41 polarizer composite, 45 optical laminate, 50 first reinforcement, 51 first cell, 52 through hole, 53 cell partition wall, 55 cell area, 56 non-cell area, 58 structure for forming reinforcement material, 59 perforated structure, 60 second reinforcement material, 61 second cell, 63 cell bulkhead.

Claims (12)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한쪽의 면측에 마련된 제1 보강재와, 상기 편광자의 다른쪽의 면측에 마련된 제2 보강재를 갖는, 편광자 복합체로서,
상기 편광자는, 두께가 15 ㎛ 이하인 편광 영역과, 평면에서 보아 상기 편광 영역에 둘러싸인 비편광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보강재는,
개구 단부면을 갖는 제1 셀을 복수 가지며, 또한, 각 개구 단부면이 상기 편광자의 면에 대향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1 셀이 존재하며 또한 상기 편광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존재하는 셀 영역과, 상기 제1 셀이 존재하지 않으며 또한 상기 비편광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존재하는 비셀 영역을 갖고,
상기 제2 보강재는,
개구 단부면을 갖는 제2 셀을 복수 가지며, 또한, 각 개구 단부면이 상기 편광자의 면에 대향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비편광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제2 셀이 존재하고,
상기 비편광 영역 및 상기 비셀 영역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의 경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비편광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경화물은, 평면에서 보아 상기 편광 영역에 둘러싸인 관통 구멍에 마련되어 있는, 편광자 복합체.
A polarizer composite comprising: a polarizer; a first reinforcing material provided on one surface side of the polarizer; and a second reinforcing material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polarizer;
The polarizer has a polarization region having a thickness of 15 μm or less and a non-polarization region surrounded by the polarization region in plan view,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a plurality of first cells having an open end face, and each open end face is arranged to face the face of the polarizer;
a cell region in which the first cell is present an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olarization region; and a non-cell region in which the first cell is not present an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non-polarization region;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a plurality of second cells each having an open end face, and each open end face is arranged to face the face of the polarizer;
the second cell is present in at least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non-polarization region;
The non-polarization region and the non-cell region include a cured product of an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and the cured product contained in the non-polarization region is provided in a through hole surrounded by the polarization region in plan view, a polarizer composit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물의 두께는, 상기 편광 영역의 두께 및 상기 셀 영역의 두께의 합계 두께와 동일한, 편광자 복합체.The polarizer composi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hickness of the cured product is equal to a total thickness of a thickness of the polarization region and a thickness of the cell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물의 두께는, 상기 편광 영역의 두께 및 상기 셀 영역의 두께의 합계 두께보다 작은, 편광자 복합체.The polarizer composi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hickness of the cured product is smaller than a total thickness of a thickness of the polarization region and a thickness of the cell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물의 두께는, 상기 편광 영역의 두께 및 상기 셀 영역의 두께의 합계 두께보다 큰, 편광자 복합체.The polarizer composi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hickness of the cured product is greater than a total thickness of a thickness of the polarization region and a thickness of the cell region.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편광 영역은, 투광성을 갖는, 편광자 복합체.The polarizer composi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non-polarization region has light transmitting properties.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편광 영역의 평면에서 본 직경은, 0.5 ㎜ 이상 20 ㎜ 이하인, 편광자 복합체.The polarizer composite in any one of Claims 1-5 whose planar diameter diameter of the said non-polarization area|region is 0.5 mm or more and 20 mm or less.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는,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편광자 복합체.The polarizer composi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ntains an epoxy compoun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편광자 복합체.The polarizer composit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epoxy compound includes an alicyclic epoxy compound.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상기 개구의 형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다각 형상, 원형상, 또는 타원 형상인, 편광자 복합체.The polarizer composi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the shapes of the openings of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are each independently a polygonal shape, a circular shape, or an elliptical shape.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1 셀의 내부 공간에 투광성의 충전재가 마련되어 있는, 편광자 복합체.The polarizer composi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a light-transmitting filler is further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ell.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2 셀의 내부 공간에 투광성의 충전재가 마련되어 있는, 편광자 복합체.The light-transmitting filler is further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aid 2nd cell, The polarizer composite in any one of Claims 1-10.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자 복합체의 편면측 또는 양면측에 보호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The optical laminated body which has a protective layer on the single side|surface side or both surfaces side of the polarizer composite in any one of Claims 1-11.
KR1020227017172A 2019-10-25 2020-08-27 Polarizer composite and optical laminate KR2022008439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94277A JP2021067868A (en) 2019-10-25 2019-10-25 Polarizer complex and optical laminate
JPJP-P-2019-194277 2019-10-25
PCT/JP2020/032327 WO2021079614A1 (en) 2019-10-25 2020-08-27 Polarizer complex and optical lamin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397A true KR20220084397A (en) 2022-06-21

Family

ID=75620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7172A KR20220084397A (en) 2019-10-25 2020-08-27 Polarizer composite and optical laminat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1067868A (en)
KR (1) KR20220084397A (en)
CN (1) CN114631044A (en)
TW (1) TW202117369A (en)
WO (1) WO2021079614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15609A (en) 2014-04-25 2015-12-03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8669B2 (en) * 2013-11-08 2017-04-1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display with polarizer windows
JP6668310B2 (en) * 2017-02-10 2020-03-18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JP6952779B2 (en) * 2017-07-21 2021-10-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CN110208891A (en) * 2019-05-21 2019-09-06 华为技术有限公司 A kind of polaroid, display screen and mobile terminal
JP7404029B2 (en) * 2019-10-25 2023-12-25 住友化学株式会社 optical lamina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15609A (en) 2014-04-25 2015-12-03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79614A1 (en) 2021-04-29
CN114631044A (en) 2022-06-14
TW202117369A (en) 2021-05-01
JP2021067868A (en)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320B1 (en) Module for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1945164B1 (en)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ER
KR20220084372A (en) Polarizer composite and optical laminate
KR20220084397A (en) Polarizer composite and optical laminate
KR20220084307A (en) Polarizer composite and optical laminate
KR20220086575A (en) Polarizers, polarizer composites and optical laminates
KR102443829B1 (en) Optical laminate
KR20220084383A (en) A polarizer having a retardation layer, a polarizer composite, and an optical laminate
KR20220084370A (en) Polarizer composite and optical laminate
KR101781308B1 (en) Polarizing plate set and liquid crystal panel
CN114910989A (en) Polarizing plate
KR20210095623A (en) Polarizer
JP5083810B2 (en)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48531B1 (en) Polarizing plate set and liquid crystal panel
TW201732326A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pan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