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3530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3530A
KR20220083530A KR1020210000532A KR20210000532A KR20220083530A KR 20220083530 A KR20220083530 A KR 20220083530A KR 1020210000532 A KR1020210000532 A KR 1020210000532A KR 20210000532 A KR20210000532 A KR 20210000532A KR 20220083530 A KR20220083530 A KR 20220083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unit
sterilization case
protrus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진
곽두영
박내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TW110145052A priority Critical patent/TWI796857B/zh
Priority to EP21213168.4A priority patent/EP4012279A1/en
Priority to JP2021199061A priority patent/JP7345537B2/ja
Priority to US17/547,781 priority patent/US20220184540A1/en
Priority to CN202111515754.7A priority patent/CN114623548B/zh
Publication of KR20220083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5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02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 F21V29/50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6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흡입된 공기를 살균하는 살균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살균부는 살균광을 발생시키는 살균광원, 상기 살균광원을 수용하는 제1살균 케이스 및 상기 제1살균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살균 케이스와 상기 살균광원을 지지하는 제2살균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살균 케이스와 상기 제2살균 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살균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열 방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 방출부는 상기 흡입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여 필터링한 후 상기 필터링된 공기를 토출하는 장치로 이해되며,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을 정화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고 토출하도록 마련된 송풍장치 및 상기 송풍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 중의 먼지나 세균 등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도록 마련된 유동 전환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근래에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이 넓은 공간에 사용되는 실내용 공기청정기를 넘어서, 원룸이나 차량 내부와 같이 좁은 공간을 정화하기 위해 휴대가 용이하도록 작고 가벼운 형태로 제공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형 공기청정기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한 장소에서 오래 머물기보다는 외출이 잦거나 여러 장소를 이동하는 생활 패턴을 갖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기기로 이해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쉽게 휴대하면서 원하는 장소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휴대용 공기청정기에는 먼지 등의 물리적 입자에 대응하는 필터, 가스 등의 화학물질에 대응하는 필터, 및 세균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에 대응하는 필터 등이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상기 필터를 살균하기 위한 UVC 살균부가 더 사용될 수 있다.
이때, UVC 살균부는 UVC LED를 사용하여 UVC 광을 조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UCV 광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UCV 광이 공기청정기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필요가 있다. 또한, UVC 광의 조사 시 상기 UVC LED로부터 열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UVC LED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해 상기 공기청정기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상기 공기청정기의 고장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상기 UVC LED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복수 개의 방출부를 가지는 살균부를 포함하여 살균광을 조사할 때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 가능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편평하지 않은 상부면을 가지는 살균 케이스를 통해 살균광이 외부로 누출되는 빛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흡입된 공기를 살균하는 살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살균부는 살균광을 발생시키는 살균광원, 상기 살균광원을 수용하는 제1살균 케이스 및 상기 제1살균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살균 케이스와 상기 살균광원을 지지하는 제2살균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살균 케이스와 상기 제2살균 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살균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열 방출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열 방출부는 상기 흡입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흡입된 공기를 살균하는 살균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며 공기의 유동을 전환시키는 유동전환부; 및 상기 유동전환부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부는, 살균광을 발생시키는 살균광원; 상기 살균광원을 수용하는 제1살균 케이스; 및 상기 제1살균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살균 케이스와 상기 살균광원을 지지하는 제2살균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살균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살균 케이스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살균광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상기 이격된 공간을 통해 방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부는, 상기 제1살균 케이스 상부면의 가운데 부분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살균광원으로 발생된 살균광이 조사되는 메인 방출부; 상기 제1살균 케이스의 상부면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살균광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시키는 제1방출부; 및 상기 제1살균 케이스의 측벽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살균광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시키는 제2방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방출부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측벽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흡입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된 공기유입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흡입부, 상기 공기유입부 및 상기 제2방출부는 서로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살균 케이스는 상기 제1살균 케이스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제2살균 케이스와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살균 케이스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살균 케이스와 상기 제2살균 케이스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결합홈의 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 및 상기 결합홈은 각각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와 상기 복수 개의 결합홈은 서로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는 서로 다른 연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의 연장 길이는 상기 제2돌출부의 연장 길이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1돌출부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살균 케이스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제2살균 케이스와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된 제3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살균 케이스와 상기 살균광원은 상기 제3돌출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결합홈을 관통하여 서로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결합홈을 관통하지 않고 상기 제2살균 케이스 상부면의 상기 결합홈에 인접한 부분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부는,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서 상기 제2살균 케이스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살균광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시키는 제3방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살균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살균광원과 상기 배터리부는 하네스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결합홈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결합홈들에 비해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네스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에 대응되는 돌출부는 다른 돌출부들보다 상기 제1살균 케이스의 원주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살균 케이스의 상부면은 상기 가운데 부분이 상기 제1살균 케이스 상부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비해 오목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살균 케이스의 상부면은 상기 제1살균 케이스 상부면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상기 가운데 부분까지 상기 제2살균 케이스의 상부면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방출부는 상기 제1살균 케이스 상부면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길이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방출부는 제1관통홀, 제2관통홀 및 제3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관통홀, 상기 제2관통홀 및 상기 제3관통홀 각각의 상기 제1살균 케이스 상부면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길이는 이 순서대로 점차 커질 수 있다.
상기 제1방출부는 상기 제1관통홀보다 더 작은 연장길이를 가지는 제4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홀, 상기 제2관통홀, 상기 제3관통홀 및 상기 제4관통홀은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의하면, 살균부에 포함된 복수 개의 방출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방출부는 하우징에 포함된 흡입부에 연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살균광을 조사할 때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부에 포함된 살균 케이스는 편평하지 않은 상부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살균부로부터 조사되는 살균광이 외부로 누출되는 빛샘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프레임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부의 내부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전환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과 살균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 먼지센서부 및 배터리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내부에 형성된 기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300)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3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살균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살균 케이스와 제2살균 케이스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 필터부 및 제2프레임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의 전반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2는 상기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의 분해 사시도이다.
공기청정기(1)는 하우징(10, 20), 상기 하우징(10, 20)의 내부에서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부(120), 하우징(10, 2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250) 및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유동전환부(5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하우징(10, 2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 등을 제거하거나 상기 필터부(250)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300),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감지하는 먼지센서부(330) 및 하우징(10, 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PCB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구성 별로 상세히 후술한다.
하우징(10, 20)은 내부구성들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공기청정기(1)의 외관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하우징(10, 20)의 형상에 관해서는 전술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형상이면 족하며 큰 제한은 없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10, 20)은 상부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10)과 하부를 구성하는 제2하우징(2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하우징(10) 및 제2하우징(20)은 함께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0, 20)의 내부에는 송풍부(120), 필터부(250), 유동전환부(50), 살균부(300), 먼지센서부(330) 및 배터리부(340)가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10, 20)은 하우징(10, 20)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키는 흡입부(30)를 포함한다. 흡입부(30)는 하우징(10, 20)에 관통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10, 20)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각각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흡입부(30)는 제2하우징(20)에만 구비되고 제1하우징(10)에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때 흡입부(30)는 제2하우징(20)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각각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 20)은 하우징(10, 20)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키는 토출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상기 토출부는 하우징(10, 20)에 관통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10, 2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제1하우징(10)에만 구비되고 제2하우징(20)에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토출부는 제1하우징(10)의 상단 예를 들어, 상기 제1하우징(10)과 후술되는 유동전환부(5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흡입부(30)는 제2하우징(20)의 측벽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하는 그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토출부는 제1하우징(10)의 상부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하는 개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동전환부(50)는 제1하우징(10)의 상부에서 상기 토출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제1하우징(10)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유동전환부(50)는 하우징(10, 20)의 내부에 위치한 공기를 하우징(10, 20)의 외부로 안내하는 토출그릴(53)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전환부(50)는 흡입부(30)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송풍부(120)가 기류를 형성하면, 하우징(10, 20)의 외부에 위치한 공기는 흡입부(30)를 통해 하우징(10, 2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토출부 및 토출그릴(53)를 통해 하우징(10, 2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하우징(10, 20)의 내부에는, 유동전환부(50)의 하부에 배치되며 송풍부(120), 필터부(250), 살균부(300), 먼지센서부(330) 및 배터리부(340)를 수용하는 프레임(100, 2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00, 200)은 상부를 구성하며 송풍부(120)를 수용하는 제1프레임(100)과 하부를 구성하며 필터부(250), 살균부(300), 먼지센서부(330) 및 배터리부(340)를 수용하는 제2프레임(20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은 함께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의 상부에는 가이드부 지지프레임(110)이 결합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 지지프레임(110)의 상부면 중 일부에는 유동전환부(50)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5)가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필터부(250)와 살균부(300)는 제2프레임(200)의 내부에서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250)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는 제거 대상이 되는 이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필터는 공기 중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필터, 공기 중 진드기 등과 같은 생물체를 제거하는 생화학필터 및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예컨대,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트리메틸아민 등)을 제거하는 탈취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필터부(250)는 하우징(10, 2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필터부(250)는 흡입부(30)보다 상부에 위치하되, 유동전환부(50)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로써, 흡입부(30)에서 토출그릴(53)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는 필터부(250)에 의해 정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필터부(250)는 흡입부(30)의 상부에 위치하되, 송풍부(1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필터부(250)가 송풍부(120)의 상부에 위치할 경우, 송풍부(120)이 형성하는 기류가 필터부(250)에 의해 약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살균부(300)은 공기 중에 포함된 미생물 또는 필터부(250)에 잔류하는 균류 등을 사멸시키는 구성으로, 필터부(250)의 하부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공기 중에 포함된 미생물이 필터부(250)로 유동하기 전에 사멸될 뿐만 아니라, 살균부(300)에 의해 필터부(250)에 위치한 미생물들이 사멸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살균부(300)은 흡입부(30)와 중첩되는 높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흡입부(30)를 통해 하우징(10, 20)의 내부로 유동한 공기에 포함된 미생물은 가장 먼저 살균될 수 있다.
배터리부(340)은 송풍부(120), 필터부(250), 유동전환부(50) 및 살균부(300) 보다 하부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달리 말해, 배터리부(340)은 하우징(10, 20)의 내부 중 하단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일반적으로 배터리부(340)이 동일 부피 대비 형성하는 무게가 크기 때문에(밀도가 크기 때문에) 비롯된 것으로, 공기청정기(1)를 이동시킨 후 특정 장소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더하여, 배터리부(340)은 흡입부(30)보다 하부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흡입부(30)를 통해 유동한 공기는 유동전환부(50)을 향해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배터리부(340)을 거치지 않을 수 있다. 공기청정기(1)가 휴대 가능한 경우, 송풍부(120)이 형성하는 기류의 세기는 제한적이라고 볼 수 있는데, 배터리부(340)이 흡입부(30)보다 하부에 위치됨에 따라 송풍부(120)이 컨트롤하는 공간의 부피가 작아질 수 있다.
이로써, 흡입부(30)를 통해 하우징(10, 20)의 내부로 유동한 공기는 살균부(300)에 의해 살균된 후, 필터부(250)로 유동할 수 있다. 필터부(250)를 거쳐 정화된 공기는 송풍부(120)을 지나 토출그릴(53)를 통해 하우징(10, 20)의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 그리고 도 8을 참조하여, 하우징(10, 2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 20)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00, 200)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200)과 살균부(300)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하우징(10, 20)은 외관을 형성하며 상부 및 하부를 각각 구성하는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레임(100, 200)은 제1하우징(10)에 의해 커버되는 제1프레임(100)과 제2하우징(20)에 의해 커버되는 제2프레임(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프레임(200)은 상부를 구성하는 제2상부 프레임(210)과 하부를 구성하는 제2하부 프레임(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상부 프레임(210)과 제2하부 프레임(220)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제2프레임(200)을 구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2상부 프레임(210)과 제2하부 프레임(220)은 별개로 형성된 후 제2상부 프레임(210)의 하부와 제2하부 프레임(220)의 상부가 서로 결합되어 제2프레임(200)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상부 프레임(210)의 내부에는 필터부(250)와 살균부(300)가 수용될 수 있고, 제2하부 프레임(220)의 내부에는 먼지센서부(330)와 배터리부(340)가 수용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의 내부에는 송풍부(120)와 유동전환부(5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고, 제2프레임(200)의 내부에는 먼지센서부(330), 배터리부(340), 살균부(300) 및 필터부(250)가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제1프레임(100)의 내부에는 송풍부(120)와 유동전환부(50) 사이에 구비되어 유동전환부(50)의 상태변화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5)와 가이드부(55)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부 지지프레임(110)이 더 수용될 수 있다.
제1하우징(10)은 제2하우징(20)를 기준으로 이동하거나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필터부(250)를 주기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이 분리될 때, 필터부(250)는 사용자에게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하우징(20)은 속이 빈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흡입부(30)는 제2하우징(20)의 하단에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공기청정기(1)가 차 안에 배치되는 경우를 상정한 것으로, 컵 홀더와 같은 구성에 공기청정기(1)가 직립할 때 보다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야기할 수 있다.
달리 말해, 흡입부(30)는 제2하우징(20)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제2하우징(20)의 측벽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는 그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30)는 제2하우징(20)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키는 형상이면 족하나, 도면들은 흡입부(30)가 복수 개의 관통홀로 구비된 일 예를 도시한다. 이 때, 복수 개의 관통홀 각각은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하우징(10)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동전환부(50)를 수용하므로, 유동전환부(50)의 이동에 따라 간섭되지 않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하우징(10)은 제2하우징(20)의 상단과 연결되며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동전환부(50)의 적어도 일부는 제1하우징(10)의 상부에 수용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송풍부(120)의 적어도 일부는 제1하우징(10)의 하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로써, 송풍부(120)을 통과한 공기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토출그릴(53)를 통해 하우징(10, 2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은 제1하우징(10)보다 작은 높이로 구비될 수 있고, 제2프레임(200)은 제2하우징(20)과 대응되는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제2프레임(200)의 내부에는 배터리부(340), 먼지센서부(330), 살균부(300) 및 필터부(250)가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제2프레임(200)의 상면에는 송풍부(120)를 수용하는 제1프레임(100)이 체결될 수 있다.
제2프레임(200)은 제2프레임(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먼지센서부(330)와 배터리부(340)를 각각 수용하는 먼지센서 수용부(도시되지 않음)와 배터리 수용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프레임(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필터부(250)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필터착탈부(215) 및 필터착탈부(215)와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살균부(300)를 수용하는 살균체결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프레임(200)은 제2프레임(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1프레임(100)을 제2프레임(200)에 고정시키는 프레임체결부(2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용한다는 의미는 수용 대상이 되는 구성과 중첩되는 높이에 형성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수용부는 제2프레임(2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체결부(205)는 제2프레임(20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필터착탈부(215)는 상기 배터리 수용부와 프레임체결부(205)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 20)은 제2하우징(20)를 기준으로 제2프레임(200)를 이동시키는 이너하우징(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하우징(230)은 제2하우징(20)의 내주면에 고정되되, 제2프레임(200)의 외주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너하우징(230)은 제2하우징(20)의 내주면에 고정되되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외주면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제2프레임(200)은 제2하우징(20)을 기준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터부(250)를 교체하기 위해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을 분리시킨 후, 제2프레임(200)을 제2하우징(20)을 기준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프레임(200)은 제2하우징(20)을 기준으로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하우징(10)은 제2프레임(200)을 기준으로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이 서로 분리될 때, 필터부(250)는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프레임(200)은 흡입부(30)에 연통되는 공기유입부(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유입부(213)는 제2프레임(200)의 측벽 일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흡입부(3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공기유입부(213)를 통과한 후 살균부(300)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유입부(213)는 흡입부(30)와 적어도 일부 높이에서 중첩될 수 있다. 흡입부(30)가 형성하는 소정의 높이는 공기유입부(213)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흡입부(30)를 유동한 공기는 공기유입부(213)를 유동할 수 있고, 공기유입부(213)를 통과한 공기는 살균부(300)에 의해 살균될 수 있다.
공기유입부(213)는 제2프레임(2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형상이면 족하며, 도면들은 공기유입부(213)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원주 방향으로 각각 이격된 일례를 도시한다.
필터착탈부(215)는 공기유입부(213)의 상부에서 관통되거나 절개되어 필터부(250)가 이동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필터개구부(217)와, 필터개구부(217)를 통해 필터착탈부(215)의 내부에 위치한 필터부(250)를 고정시키는 필터고정리브(219)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개구부(217)는 필터부(25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 또는 절개 형성될 수 있다.
필터고정리브(219)는 제2프레임(200)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2프레임(200)의 내부에 삽입된 필터부(25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고정리브(219)는 필터개구부(217)의 하단에서 제2프레임(200)의 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체결부(205)는 제2프레임(2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송풍부(120)를 수용하는 제1프레임(100)을 제2프레임(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프레임(200)은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부(120)를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100)과 가이드부 지지프레임(110)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부(120)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부(120)의 내부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송풍부(120)는 팬하우징 및 상기 팬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팬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은 전체적인 뼈대를 구성하는 메인 팬하우징(122), 및 메인 팬하우징(122)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팬하우징 베이스(1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팬하우징은 메인 팬하우징(122)의 하부에 구비되어 메인 팬하우징(122)과 제1하우징(100)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하부 팬하우징 결합부(124)와, 메인 팬하우징(122)의 상부에 구비되어 메인 팬하우징(122)과 가이드부 지지프레임(110)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상부 팬하우징 결합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어셈블리는 중공이 형성된 허브(127), 허브(127)와 이격되는 슈라우드(129), 허브(127)와 슈라우드(129)를 연결하는 블레이드(125)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127), 블레이드(125) 및 슈라우드(129)는 일체로 형성되어 같이 회전할 수 있다. 슈라우드(129)는 허브(127)의 하측에서 허브(127)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달리 말해, 허브(127)가 형성하는 직경은 슈라우드(129)가 형성하는 직경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블레이드(125)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허브(127)의 외주면에서 슈라우드(129)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블레이드는 각각 허브(127)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이격 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블레이드는 허브(127)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슈라우드(129)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블레이드(125)는 상하 방향, 좌우방향, 전후방향 각각으로 위치가 변경되면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팬어셈블리는 허브(127), 블레이드(125) 및 슈라우드(217)를 회전시키는 구동부(123)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123)가 모터로 구비되는 경우, 구동부(123)는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가 형성한 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샤프트(121)는 상기 로터에 결합될 수 있다.
메인 팬하우징(122)은 상기 팬어셈블리를 일측에서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팬하우징 베이스(128)는 상기 팬어셈블리를 타측에서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팬하우징 베이스(128)은 메인 팬하우징(122)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팬어셈블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샤프트(121)와 구동부(123)는 상기 팬하우징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샤프트(121)와 구동부(123)는 메인 팬하우징(122) 및 팬하우징 베이스(12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팬어셈블리는 상기 팬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팬하우징이 제2프레임(200)에 직결될 경우, 상기 팬어셈블리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이 외부로 노출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상기 팬어셈블리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줄이기 위해, 상기 팬하우징은 별도의 구성에 의해 제2프레임(200)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송풍부(120)는 제1프레임(100)에 수용되어 제2프레임(20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프레임(100)은 내부에 상기 팬하우징을 고정하고, 제2프레임(20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프레임(100)은 제2프레임(200)의 프레임체결부(205)에 고정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은 상기 팬하우징이 형성하는 상하방향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팬하우징이 고정되더라도 상기 팬하우징의 하부에 여유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여유공간에는 USB(80)와 연결 가능한 USB PCB(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팬어셈블리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은 제2프레임(200)에 바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결국, 상기 팬어셈블리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 중 외부로 누설되는 양이 적어질 수 있다.
제1프레임(100)의 상부에는 상기 팬하우징을 고정시키면서 유동전환부(50)의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5)가 안착되는 가이드부 지지프레임(110)이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프레임(100)과 가이드부 지지프레임(110)은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전환부(50)를 설명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전환부(50)의 사시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하우징(51, 52)이 투명하게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부(55)는 가이드부 지지프레임(110)의 지지프레임바디(115)에 고정될 수 있으며, 유동전환부(50)는 가이드부(5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동전환부(50)는 토출하우징(51, 52), 토출하우징(51, 52)의 상부면(501) 가운데 부분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50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와 상기 토출하우징(51, 52) 사이에 구비되는 토출그릴(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500)는 버튼의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으므로 버튼부(500)로 지칭될 수도 있다.
토출하우징(51, 52)은 이의 내부에 구비되어 가이드부(5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결합부(530), 토출하우징(51, 52)의 내부에서 가이드 결합부(530)의 상측에 구비되어 후술되는 버튼PCB(71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버튼PCB 안착프레임(520), 및 버튼PCB 안착프레임(520)의 상부에 구비되어 버튼PCB(710)를 커버하며 버튼부(50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버튼부 안착프레임(51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토출하우징(51, 52)은 상부를 구성하는 제1토출하우징(51)과 하부를 구성하는 제2토출하우징(5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토출하우징(51, 52)은 가이드부(55)에 의해 가이드부 지지프레임(11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동전환부(50)와 가이드부 지지프레임(110) 사이에 토출하우징(51, 52)이 회전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하우징(51, 52)이 회전하는 경우에도 토출하우징(51, 52)이 송풍부(120)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가이드 결합부(530)는 가이드부(55)에 고정되어 토출하우징(51, 52)을 회전시킬 수 있다. 가이드 결합부(530)는 토출하우징(51, 52)을 회전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예컨대 볼과 볼조인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토출하우징(51, 52)은 가이드 결합부(530)를 기준으로 다양한 각도로 회전하거나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300), 먼지센서부(330) 및 배터리부(340)을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300), 먼지센서부(330) 및 배터리부(340)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살균부(300)는 살균광을 발생시키는 살균광원(350), 살균광원(350)을 수용하는 제1살균 케이스(310) 및 제1살균 케이스(3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1살균 케이스(310)와 살균광원(350)을 지지하는 제2살균 케이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살균 케이스(310)는 내부와 외부가 연통하도록 구비된 복수 개의 방출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흡입부(3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1살균 케이스(310)의 내부로 유동되어 살균광원(350)의 냉각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방출부들을 통해 살균광원(350)으로부터 발생하는 살균광이 방출될 수 있다.
살균광원(350)은 살균PCB 및 상기 살균PCB에 장착되는 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사부는 UVC LED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살균 케이스(320)는 제1살균 케이스(310)와 체결되는 상면프레임, 상기 상면프레임의 둘레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면프레임 및 상기 측면프레임의 하단과 연결되며 상기 상면프레임과 마주보는 하면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살균 케이스(320)의 내부에는 상기 먼지센서 수용부와 상기 배터리 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먼지센서부(330)와 배터리부(340)가 제2프레임(200)의 하부에서 제2살균 케이스(3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살균 케이스(320)의 측면프레임은 먼지센서부(330) 및 배터리부(340)를 인입 또는 인출하거나, 먼지센서부(330)를 통해 공기의 먼지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지센서부(330)는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센서(미도시) 및 제2살균 케이스(320)의 내부에서 기류를 형성하는 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살균광원(350)과 제1살균 케이스(310)는 함께 제2프레임(200)의 상부를 구성하는 제2상부 프레임(210)에 수용될 수 있으며, 제2살균 케이스(320)는 제2프레임(200)의 하부를 구성하는 제2하부 프레임(220)에 수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전반적인 기류의 방향 및 PCB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a)는 유동전환부(50)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기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b)는 유동전환부(50)가 회전한 상태에서의 기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흡입부(30)는 제2하우징(20)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 20)의 외부에 위치한 공기는 흡입부(30)를 통해 하우징(10, 20)의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흡입부(30)를 통해 하우징(10, 20)의 내부로 유동한 공기는 살균부(300)에 의해 멸균될 수 있다. 이 때, 살균부(300)을 유동하는 공기는 살균광원(350)에 포함된 상기 살균PCB를 냉각한 후 상부로 유동할 수 있다. 즉, 살균부(300)를 통해 멸균된 공기는 하우징(10, 20) 내에서 송풍부(120)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송풍부(120)을 향해 이동하는 공기는 필터부(250)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송풍부(120)를 유동한 공기는 유동전환부(50)을 향해 상부로 유동할 수 있다. 이 때, 유동전환부(50)의 이동 여부에 따라 토출그릴(53)의 위치는 변화될 수 있고, 송풍부(120)를 거친 공기는 위치가 변화된 토출그릴(53)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흡입부(30)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향 이동하여 토출그릴(53)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의 기류는 흡입부(30)를 통해 유입되어 상향 이동하기 때문에 배터리부(340)를 거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휴대용 공기청정기(1)에서 제한된 송풍부(120)의 기류 형성력에 의해서도 효율적으로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상기 살균PCB 이외에 복수 개의 PC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동전환부(50)의 상단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버튼부(50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버튼부(500)의 하부에는 버튼부(500)에 입력된 정보를 처리하는 버튼PCB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버튼부(500)에 정보를 표시하거나 조명과 같은 기능이 추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PC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USB(80)가 공기청정기(1)에 삽입 될 경우, USB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처리하는 유틸PCB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살균부(300)의 제어를 위한 살균PCB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부(340)에는 전술한 PCB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장PC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버튼PCB, 상기 디스플레이PCB, 상기 유틸PCB, 상기 살균PCB 및 상기 전장PCB는 기술한 순서대로 상부에서 하부로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부(340)는 전술한 상기 PCB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하네스를 통해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PCB, 상기 유틸PCB, 상기 살균PCB 및 상기 전장PCB의 경우 배터리부(340)와 직접 연결되어도 하네스의 단선이 문제되지 않으나, 상기 버튼PCB의 경우 배터리부(340)와 직접 연결되면 유동전환부(50)의 이동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될 수 밖에 없으므로 하네스의 단선이 문제될 수 있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터리부(34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PCB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버튼PCB가 상기 디스플레이PC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방식을 채택한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300)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300)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3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1)에 포함된 살균부(300)는 살균광을 발생시키는 살균광원(350), 살균광원(350)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살균 케이스(310, 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살균 케이스는 살균광원(350)을 수용하는 제1살균 케이스(310) 및 제1살균 케이스(3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1살균 케이스(310)와 살균광원(350)을 지지하는 제2살균 케이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광원(350)은 살균PCB 및 상기 살균PCB에 장착되는 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사부는 UVC LED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살균 케이스(320)의 내부에는 먼지센서부(330)와 배터리부(340)가 각각 수용될 수 있다. 먼지센서부(330)와 배터리부(340)는 각각 제2살균 케이스(320)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먼지센서부(330)나 배터리부(340) 중 하나만이 제2살균 케이스(320)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먼지센서부(330)와 배터리부(340)는 각각 제2살균 케이스(320)로부터 착탈되지 않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살균 케이스(310)의 적어도 일부는 제2살균 케이스(320)로부터 이격되어, 살균광원(350)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상기 이격된 공간을 통해 방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 케이스(310, 320)는 복수 개의 방출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방출부들을 통해 살균광원(350)으로부터 발생된 살균광이 조사될 수 있고, 또한 살균광원(350)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방출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방출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살균 케이스(310)와 제2살균 케이스(320) 사이에서 하우징(10, 20)의 흡입부(30)와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살균광원(350)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열 방출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균부(300)는 제1살균 케이스(310) 상부면의 가운데 부분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살균광원(350)으로 발생된 살균광이 조사되는 메인 방출부(316), 상기 제1살균 케이스(310)의 상부면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살균광원(350)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시키는 제1방출부(312), 및 제1살균 케이스(310)의 측벽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살균광원(350)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시키는 제2방출부(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살균광원(350)으로 발생된 살균광은 메인 방출부(316) 이외에도, 제1방출부(312) 및/또는 제2방출부(314)를 통해 조사될 수도 있으나, 살균광원(350)에 포함된 상기 UVC LED를 통해 발생하는 UVC 광은 인체에 유해할 우려가 있으므로 하우징(10, 20) 외부로 직접적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될 필요가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흡입부(30)의 적어도 일부는 제2방출부(314)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흡입부(30)와 제2방출부(314)는 서로 직접적으로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흡입부(30)는 제1방출부(312)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흡입부(30)와 제1방출부(312)는 직접적으로 연통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흡입부(30)와 제1방출부(312) 사이에 격벽과 같은 별도의 차단부재가 배치되지 않으므로, 흡입부(30)와 제1방출부(312)는 간접적으로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11 및 도 12와 도 13 및 도 14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광원(350)의 살균광 및 열 방출구조를 설명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살균 케이스(310)의 상부사시도 및 하부사시도이며,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살균 케이스(310)와 제2살균 케이스(320)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측면도들이다.
도 11 및 도 12와 도 13 및 도 14를 함께 참조하면, 제1살균 케이스(310)는 상기 제1살균 케이스(310)의 측벽으로부터 제2살균 케이스(320)와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살균 케이스(320)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결합홈(323, 328)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살균 케이스(310)와 제2살균 케이스(320)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결합홈(323, 328)의 체결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상기 결합홈(323, 328)은 각각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와 상기 복수 개의 결합홈(323, 328)은 서로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는 제1돌출부(313) 및 제2돌출부(31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돌출부(313)와 제2돌출부(315)는 서로 다른 연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 길이는 수직 방향 즉, 상기 제1살균 케이스(310)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제2살균 케이스(320)의 상부면을 향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일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313)의 연장 길이는 상기 제2돌출부(315)의 연장 길이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으며, 제2돌출부(315)는 제1돌출부(313)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제2돌출부(315)가 제1살균 케이스(3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한 개의 제1돌출부(313) 양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돌출부(313)는 상기 결합홈(323, 328)을 관통하여 서로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제2돌출부(315)는 상기 결합홈(323, 328)을 관통하지 않고 상기 제2살균 케이스(320) 상부면의 상기 결합홈(323, 328)에 인접한 부분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살균 케이스(310)의 측벽과 상기 제2살균 케이스(320)의 상부면 사이에 제2방출부(3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살균광원(350)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제2방출부(314)를 통해 방출될 수 있다.
살균부(300)는 제1돌출부(313)와 제2돌출부(315) 사이에서 제2살균 케이스(320)의 상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구비되어 살균광원(350)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시키는 제3방출부(3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살균 케이스(310)의 측벽과 상기 제2살균 케이스(320)의 상부면 사이에 제3방출부(316)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살균광원(350)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제3방출부(318)를 통해 방출될 수 있다.
즉, 살균부(300)는, 상기 제1살균 케이스(310)의 상부면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살균광원(350)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시키는 제1방출부(312)에 더하여, 상기 제1살균 케이스(310)의 측벽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살균광원(350)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시키는 제2방출부(314)와 제3방출부(318)를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살균광원(350)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다방면에 걸쳐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이때, 제1방출부(312)는 메인 방출부(316)와 함께 살균광원(350)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하는 것보다 살균광원(350)으로부터 발생된 살균광을 조사하는 것에 주된 목적이 있을 수 있는 반면에, 제2방출부(314)와 제3방출부(318)는 살균광원(350)으로부터 발생된 살균광을 조사하는 것보다 살균광원(350)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하는 것에 주된 목적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방출부(316)와 제1방출부(312)는 함께 광 조사부로 지칭될 수 있고, 제2방출부(314)와 제3방출부(318)는 함께 열 방출부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살균 케이스(310)의 상부면은 가운데 부분이 가장자리 부분에 비해 오목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살균 케이스(310)의 상부면은 상기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상기 가운데 부분까지 상기 제2살균 케이스(320)의 상부면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방출부(312)는 상기 제1살균 케이스(310) 상부면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길이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관통홀(312a, 312b, 312c, 312d)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방출부(312)는 제1관통홀(312a), 제2관통홀(312b) 및 제3관통홀(312d)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관통홀(312a), 제2관통홀(312b) 및 제3관통홀(312c) 각각의 상기 제1살균 케이스 상부면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길이는 이 순서대로 점차 커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방출부(312)는 제1관통홀(312a)보다 더 작은 연장길이를 가지는 제4관통홀(312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관통홀(312a), 제2관통홀(312b), 제3관통홀(312c) 및 제4관통홀(312d)은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4관통홀(312d)이 서로 이웃하는 제3관통홀들(312c) 사이 내지 서로 이웃하는 제2관통홀들(312b) 사이에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4관통홀(312d)은 서로 이웃하는 제1관통홀들(312a)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관통홀(312a) 내지 제3관통홀(312c)이 편평하지 않은 제1살균 케이스(310)의 상부면에 형성됨에 따라, 살균광원(350)으로부터 발생된 살균광이 제1방출부(312)를 통해 방출될 때 수직하지 않고 경사진 방향 예를 들어, 살균부(300)의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살균부(300)로부터 조사된 살균광이 외부로 누출되는 빛샘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살균 케이스(31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제2살균 케이스(320)의 상부면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제3돌출부(31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살균 케이스(310)와 살균광원(350)은 제3돌출부(317)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살균 케이스(320)의 내부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340)가 수용될 수 있으며, 이때, 배터리부(340)와 살균광원(350)은 하네스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살균 케이스(320)의 내부에는 공기 중의 먼지를 감지하는 먼지센서부(330)가 더 수용될 수 있으며, 배터리부(340)와 먼지센서부(330)도 상기 하네스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먼지센서부(330)는 공기 내 먼지의 농도를 감지하는 먼지센서(도시되지 않음) 및 제2살균 케이스(320)의 내부에서 기류를 형성할 수 있는 팬(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결합홈들(323, 328)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328)은 상기 하네스부가 연장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다른 결합홈들(323)에 비해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네스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328)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328)은 제1살균 케이스(310)와 제2살균 케이스(320)의 결합을 이루어지게 하는 구성이면서도, 제1살균 케이스(310)의 내부에 수용된 살균광원(350)과 제2살균 케이스(320)의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부(34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상기 하네스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결합홈들(323, 328) 중 상기 하네스부에 의해 관통되지 않은 결합홈은 제1결합홈(323)으로 지칭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결합홈들(323, 328) 중 상기 하네스부에 의해 관통되는 결합홈은 제2결합홈(328)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들 중에서 제2결합홈(328)에 대응되는 돌출부(319)는 다른 돌출부들보다 상기 제1살균 케이스(310)의 원주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결합홈(328)에 대응되는 돌출부(319)는 상기 하네스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제4돌출부(319)로 지칭될 수 있다.
제2살균 케이스(320)는, 상기 제2살균 케이스(32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제2살균 케이스(320)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먼지센서 유입부(322)와, 상기 제2살균 케이스(32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제2살균 케이스(320) 내부의 공기를 토출시키는 먼지센서 토출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먼지센서부(330)에 포함된 상기 팬이 기류를 형성하면, 먼지센서 유입부(322)를 통해 공기가 유입된 후 유입된 공기 내 먼지의 농도가 상기 먼지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이후 먼지의 농도가 감지된 공기가 먼지센서 토출부(324)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제2살균 케이스(320)는 상기 제2살균 케이스(32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먼지센서에 축적된 먼지를 청소하기 위한 먼지센서 노출부(3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300)의 제2프레임(200) 내에서의 배치구조를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300), 필터부(250) 및 제2프레임(200)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2상부 프레임(210)은 상기 제2상부 프레임(210)의 측벽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흡입부(30)와 연통하도록 구비된 공기유입부(2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흡입부(30), 공기유입부(213) 및 제2방출부(314)는 서로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살균광원(350)으로부터 방출된 열은 제2방출부(314)를 통해 제2프레임(200)의 내부로 방출된 후, 공기유입부(213)와 흡입부(30)를 차례로 거쳐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1)에 의하면, 살균부(300)에 포함된 복수 개의 방출부들(312, 314, 316, 318) 중 적어도 하나의 방출부(314)는 하우징(10, 20)에 포함된 흡입부(30)에 연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살균광을 조사할 때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살균부(30)에 포함된 제1살균 케이스(310)는 편평하지 않은 상부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살균 케이스(310)의 내부에 수용된 살균광원(350)으로부터 발생하는 살균광이 외부로 누출되는 빛샘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공기청정기 10: 제1하우징
20: 제2하우징 30: 흡입부
40: 베이스 50: 유동전환부
55: 가이드부 80: USB
100: 제1프레임 110: 가이드부 지지프레임
200: 제2프레임 210: 제2상부 프레임
220: 제2하부 프레임 250: 필터부
300: 살균부 310: 제1살균 케이스
320: 제2살균 케이스 330: 먼지센서부
340: 배터리부 350: 살균광원
500: 디스플레이부

Claims (20)

  1.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흡입된 공기를 살균하는 살균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며 공기의 유동을 전환시키는 유동전환부; 및
    상기 유동전환부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부는,
    살균광을 발생시키는 살균광원;
    상기 살균광원을 수용하는 제1살균 케이스; 및
    상기 제1살균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살균 케이스와 상기 살균광원을 지지하는 제2살균 케이스;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살균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살균 케이스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살균광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상기 이격된 공간을 통해 방출되도록 구비되는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제1살균 케이스 상부면의 가운데 부분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살균광원으로 발생된 살균광이 조사되는 메인 방출부;
    상기 제1살균 케이스의 상부면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살균광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시키는 제1방출부; 및
    상기 제1살균 케이스의 측벽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살균광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시키는 제2방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방출부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측벽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흡입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된 공기유입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흡입부, 상기 공기유입부 및 상기 제2방출부는 서로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살균 케이스는 상기 제1살균 케이스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제2살균 케이스와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살균 케이스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살균 케이스와 상기 제2살균 케이스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결합홈의 체결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상기 결합홈은 각각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와 상기 복수 개의 결합홈은 서로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는 서로 다른 연장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의 연장 길이는 상기 제2돌출부의 연장 길이보다 더 크게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1돌출부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살균 케이스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제2살균 케이스와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된 제3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살균 케이스와 상기 살균광원은 상기 제3돌출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결합홈을 관통하여 서로 체결되도록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결합홈을 관통하지 않고, 상기 제2살균 케이스 상부면의 상기 결합홈에 인접한 부분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서 상기 제2살균 케이스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살균광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시키는 제3방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살균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살균광원과 상기 배터리부는 하네스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결합홈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결합홈들에 비해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네스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을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들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에 대응되는 돌출부는 다른 돌출부들보다 상기 제1살균 케이스의 원주방향으로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살균 케이스의 상부면은 상기 가운데 부분이 상기 제1살균 케이스 상부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비해 오목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살균 케이스의 상부면은 상기 제1살균 케이스 상부면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상기 가운데 부분까지 상기 제2살균 케이스의 상부면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출부는 상기 제1살균 케이스 상부면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길이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출부는 제1관통홀, 제2관통홀 및 제3관통홀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관통홀, 상기 제2관통홀 및 상기 제3관통홀 각각의 상기 제1살균 케이스 상부면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길이는 이 순서대로 점차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출부는 상기 제1관통홀보다 더 작은 연장길이를 가지는 제4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홀, 상기 제2관통홀, 상기 제3관통홀 및 상기 제4관통홀은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KR1020210000532A 2020-12-11 2021-01-04 공기청정기 KR2022008353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10145052A TWI796857B (zh) 2020-12-11 2021-12-02 空氣淨化器
EP21213168.4A EP4012279A1 (en) 2020-12-11 2021-12-08 Air cleaner
JP2021199061A JP7345537B2 (ja) 2020-12-11 2021-12-08 空気清浄器
US17/547,781 US20220184540A1 (en) 2020-12-11 2021-12-10 Air cleaner
CN202111515754.7A CN114623548B (zh) 2020-12-11 2021-12-13 空气净化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583 2020-12-11
KR20200173583 2020-1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530A true KR20220083530A (ko) 2022-06-20

Family

ID=8225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532A KR20220083530A (ko) 2020-12-11 2021-01-04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35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79262A (zh) * 2022-09-19 2022-12-16 湖南省永神科技有限公司 一种杀菌消毒净化空气的照明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79262A (zh) * 2022-09-19 2022-12-16 湖南省永神科技有限公司 一种杀菌消毒净化空气的照明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4948B1 (ja) イオン発生装置
EP3945256A1 (en) Portable air caring apparatus
KR102641967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80065164A (ko) 복합형 공기청정기
CN110114618B (zh) 带有臭氧催化氧化的照明及空气过滤单元
KR20120001784A (ko) 이온 발생 장치
US11898777B2 (en) Air cleaner
KR20220084951A (ko) 공기청정기
KR20220083530A (ko) 공기청정기
JP7345537B2 (ja) 空気清浄器
KR20220083532A (ko) 공기정화장치
JP2013155995A (ja) 加湿装置
KR102654527B1 (ko) 원통형 필터 내부 살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20220084968A (ko) 공기청정기
KR20220013879A (ko) 휴대용 공기정화기
KR20090113695A (ko) 공기 청정기
CN116490732B (zh) 空调机
KR102600644B1 (ko) 원통형 필터 자동회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KR102571328B1 (ko) 원통형 필터 자동회전 장치의 내부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JP7307356B2 (ja) 空気調和機
KR20220083531A (ko) 공기정화장치
KR20240068430A (ko) 공기청정기
JP2024046213A (ja) 遮光装置および空気処理装置
KR20220053721A (ko) 공기청정기
JP2022119220A (ja) 除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