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721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721A
KR20220053721A KR1020200137418A KR20200137418A KR20220053721A KR 20220053721 A KR20220053721 A KR 20220053721A KR 1020200137418 A KR1020200137418 A KR 1020200137418A KR 20200137418 A KR20200137418 A KR 20200137418A KR 20220053721 A KR20220053721 A KR 20220053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air
filter
uni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진
오용주
김민석
이정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로
Priority to KR1020200137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3721A/ko
Priority to PCT/KR2021/001733 priority patent/WO2022085871A1/ko
Publication of KR20220053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7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 게시되는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써, 외기를 흡입하여 정화 및 살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필터의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게시되는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필터용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써, 사용자는 각각 필터가 구비되고, 흡입부가 형성된 독립적인 하우징을 적층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킴으로써 필터의 용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게시되는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의 하부에서 상기 제1 바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가 형성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에서 상기 제2 바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선이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베이스와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부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를 게시한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능 및 공기살균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외기를 흡입하여 외기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걸러낸 후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상기 공기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 장치 및 외부의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나 세균 등을 걸러낼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에는 공기의 유입 및 토출을 위한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청정기의 내부에는 공기의 순환을 위한 송풍 장치,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거르기 위한 필터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의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상기 공기청정기는 송풍 장치가 구동하면서 발생되는 기류를 통해 상기 흡입구로 외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들은 공기청정기 내부에 구비되는 다양한 소재의 필터를 거치며 걸러지고, 오염물질들이 걸러진 공기는 상기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공기정화기는 외기를 흡입하여 외기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을 살균한 후, 배출시키는 장치로써 이해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정화기는 외기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을 살균한다는 점에 있어서 외기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들을 필터를 통해 걸러내는 공기청정기와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기는 일반적으로 오존, 이온, 자외선, 광촉매 등을 통해 외부에서 흡입한 공기를 살균한다.
근래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고자 각종 필터를 이용한 필터방식이나 이온을 이용한 플라즈마 방식을 통해 공기를 정화시키는 등의 공기정화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기청정 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공기의 살균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유효성 있는 시간동안 공기의 살균이 지속되어야 하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이 천천히 이루어져야 하고, 반대로 공기의 흐름이 빨라질수록 살균효과는 떨어지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거르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순환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공기의 흐름이 빨라질수록 필터링 효과는 증가하고, 공기의 흐름이 느릴수록 필터링 효과는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근래 제시되는 공기청정 장치의 경우 공기 중에 함유된 오염물질이나 유해물질의 일부를 제거하고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일정 부분 살균할 수는 있으나, 공기 중에 함유된 세균을 완전히 살균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공기의 살균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광촉매 물질과 자외선 발생장치가 결합된 공기를 살균하는 장치가 개발되었으며, 그 예로 선행문헌 제10-0660138호(2006.12.14 등록), 선행문헌 제10-0943328호(2010.02.11. 등록) 등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문헌들과 근래 제시된 공기 살균장치는 유입된 공기를 살균 및 탈취하여 배출하는 살균장치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부품의 교환, 수리 및 청소가 어려워 사후관리가 불편하다. 그리고, 선행문헌의 구조에 있어서 공기의 정화성능이 떨어지고 공기의 정화를 위한 필터의 살균은 수행할 수 없어 공기의 살균 효과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흡입된 공기의 살균능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필터의 살균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공기청정기 내부에 구비되어 흡입된 공기의 살균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조의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공기청정기 내부에 구비된 살균 모듈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는 구조의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공기청정기 내부에 구비된 살균 모듈의 살균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는 구조의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사용자가 독립적인 필터 모듈의 탈부착을 통해 공기청정기의 공청면적에 따라 필터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의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는, 내부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의 하부에서 상기 제1 바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가 형성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에서 상기 제2 바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선이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베이스와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부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상기 흡입부는 상기 제2 바디의 외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흡입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는, 외둘레를 따라 상기 흡입부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독립적인 하우징이 상기 제2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2 바디 및 상기 베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광원부는,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부재 및 상기 광원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부재에서 발생하는 광을 차단하는 제1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광원부재 사이에 위치되고,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광원부재에서 발생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제2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바디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는, 상기 광원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를 향해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에 의해 함몰된 공간의 측면에 구비되는 광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의 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광원부재에서 발생되는 광은 상기 필터부의 내측면을 향해 조사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바디를 향해 돌출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광원부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를 향해 경사지는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재는 상기 제3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의 각각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대상공간의 공기청정 및 공기의 살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필터의 전면에 걸쳐 살균모듈에서 발생하는 광을 직접 조사함으로써 공기의 살균 시 공기의 청정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흡입된 공기의 살균능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필터의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공기청정기 내부에 구비된 살균 모듈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공기청정기 내부에 구비된 살균 모듈의 살균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일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베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베이스에 제1 흡입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광원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제1 바디와 제3 흡입부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제1 바디 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제1 바디와 제3 흡입부의 결합을 위한 구성 및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제1 바디 상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토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a),(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일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1)는 제1 바디(10), 제2 바디(20), 베이스(30), 필터부 및 광원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10)는 내부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 모듈이 구비되고 공기청정기(1)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10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10)는 공기청정기(1)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바디(10)의 상면에는 상기 토출부(10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 팬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20)는 공기청정기(1)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바디(20)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10)는 상기 제2 바디(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는 상기 제2 바디(20)의 외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10) 및 상기 제2 바디(20)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단면이 직사각형 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제1 바디(10) 및 제2 바디(20)는 모서리 부분이 굴곡진 사각형태의 기둥에 가까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30)는 공기청정기(1)의 하단에 구비되어 공기청정기(1)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20)는 상기 베이스(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1)의 토출부(1030)는 공기청정기(1)의 상면에 형성되고 흡입부는 공기청정기(1)의 하측에 형성된다. 즉, 상기 토출부(1030)는 제1 바디(1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제2 바디(20)에 형성된다.
상술한 구조와 같이 사용자의 실생활 공간에 정화된 공기를 토출함과 동시에 토출되는 공기의 확산 면적을 넓히기 위해서는 공기청정기의 상부 측에 토출구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토출구는 공기청정기의 상면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1)는 하부에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청정기(1)의 내부에서 정화한 뒤, 공기청정기(1)의 상부에서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상부 토출 구조의 공기청정기이다.
상기 제1 바디(10)는 공기청정기(1)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제1 바디(10)는 제2 바디(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바디(10)의 하단은 상기 제2 바디(20)의 상단에 접촉하며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가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의 결합은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20)는 외둘레를 따라 흡입부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독립적인 하우징이 상기 제2 바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바디(20)는 서로 독립적인 하우징으로써 각각의 하우징 둘레를 따라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하우징 내부에 필터가 구비되는 제1 흡입부(21), 제2 흡입부(23) 및 제3 흡입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흡입부(21)는 제2 바디(20)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흡입부(21)는 제1 하우징(210), 제1 결합부재(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210)은 상기 제1 흡입부(2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210)은 바람직하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바디(10)의 외관에 대응되도록 모서리 부분이 굴곡진 사각형태의 기둥에 가까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210)의 둘레면을 따라 복수개의 통공(21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2100)을 통해 상기 제1 하우징(210)은 외부와 연통되어 외기는 상기 통공(2100)을 통해 상기 제1 하우징(2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 결합부재(211)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제1 하우징(210)을 상기 베이스(30)에 결합시키거나, 상기 제1 하우징(210)을 상기 베이스(3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일 예로써, 상기 제1 결합부재(211)는 버튼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제1 결합부재(211)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210)을 상기 베이스(3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흡입부(23)는 상기 제1 흡입부(21)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흡입부(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흡입부(23)는 제2 하우징(230), 제2 결합부재(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230)은 상기 제2 흡입부(23)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230)은 바람직하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바디(10)의 외관에 대응되도록 모서리 부분이 굴곡진 사각형태의 기둥에 가까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230)의 둘레면을 따라 복수개의 통공(23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2300)을 통해 상기 제2 하우징(230)은 외부와 연통되어 외기는 상기 통공(2300)을 통해 상기 제2 하우징(2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2 결합부재(231)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제2 하우징(230)을 상기 제1 하우징(210)에 결합시키거나, 상기 제2 하우징(230)을 상기 제1 하우징(2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일 예로써, 상기 제2 결합부재(231)는 버튼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제2 결합부재(231)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제2 하우징(230)을 상기 제1 하우징(2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흡입부(25)는 상기 제2 흡입부(23)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흡입부(2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 흡입부(25)는 제3 하우징(250), 제3 결합부재(2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하우징(250)은 상기 제3 흡입부(25)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하우징(250)은 바람직하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바디(10)의 외관에 대응되도록 모서리 부분이 굴곡진 사각형태의 기둥에 가까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하우징(250)의 둘레면을 따라 복수개의 통공(25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2500)을 통해 상기 제3 하우징(250)은 외부와 연통되어 외기는 상기 통공(2500)을 통해 상기 제3 하우징(2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3 결합부재(251)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제3 하우징(250)을 상기 제2 하우징(230)에 결합시키거나, 상기 제3 하우징(250)을 상기 제2 하우징(23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일 예로써, 상기 제3 결합부재(251)는 버튼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제3 결합부재(251)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제3 하우징(250)을 상기 제2 하우징(23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부(21)는 제2 바디(20)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3 흡입부(25)는 제2 바디(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2 흡입부(23)는 제1 흡입부(21)와 제3 흡입부(25) 사이에 위치된다.
제1 바디(10)는 상기 제3 흡입부(25)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3 흡입부(2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10)는 제4 결합부재(27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4 결합부재(271)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제1 바디(10)를 상기 제3 하우징(250)에 결합시키거나, 상기 제1 바디(10)를 상기 제3 하우징(25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일 예로써, 상기 제4 결합부재(271)는 버튼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제4 결합부재(271)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디(10)를 상기 제3 하우징(25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외기가 유입되는 흡입부를 형성하는 제2 바디는 독립적인 3개의 하우징이 적층 결합된다. 다만, 이러한 구조에 한정할 것은 아니며 사용자는 공기청정 대상지역의 면적, 필터의 용량 등을 고려하여 제2 바디를 단수 또는 복수개의 독립적인 하우징으로 구성함으로써, 공청용량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바디(10)의 상면에는 토출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본 실시예의 상기 토출부(15)는 제1 바디(10)의 상면 중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바디(10)의 상면 중 나머지 일부는 디스플레이(14)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토출부(15)는 제1 바디(10)의 상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4)는 현재 공기청정기(1)가 구비되어 있는 실내 공간의 공기질을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14)는 현재 시간, 공간의 온습도, 공기청정기에 입력된 공기청정모드, 공기청정기의 운행시간 등 다양한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14)를 통해 사용자는 상술한 요소들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바디(10)의 상면 중 일부에 디스플레이(14)가 구비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4)는 상기 제1 바디(10)의 상면 중앙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부(15)는 상기 디스플레이(14)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바디(10)의 상면 중 나머지 면적에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토출부(15)의 면적을 최대한 넓게 해야 공기청정기(1)를 통해 정화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청정기의 상면 전부가 토출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디스플레이는 공기청정기의 측면 중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도 1의 베이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베이스에 제1 흡입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베이스(30)에는 전선(L)이 연결되어 상기 전선(L)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1 바디(10), 제2 바디(20) 및 베이스(30)는 물리적인 결합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30)로 공급된 전력은 상기 제2 바디(20)를 통해 제1 바디(10)로 전달될 수 있다.
베이스(3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3116) 및 제1 결합홈(31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3116)은 베이스(30)와 베이스(3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하우징(210)의 결합 시, 제1 하우징(210)의 결합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하우징(21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가이드돌기 및 제1 결합돌기(21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돌기 및 제1 결합돌기(2113)는 상기 베이스(3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3116) 및 제1 결합홈(3117)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 하우징(210)이 베이스(30)와 결합될 시 상기 가이드홈(3116)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제1 결합돌기(2113)는 상기 제1 하우징(210)이 베이스(30)와 결합될 시 상기 결합홈(3117)에 삽입된다.
상기 베이스(30)에는 광원부(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00)는 베이스(30)의 중앙부분에 구비된다. 상기 광원부(100)는 광원부재(110), 제1 커버(101) 및 제2 커버(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재(110)는 상기 베이스(3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재(110)는 램프, 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필터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하우징(2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형성하며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거르는 필터와 상기 필터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의 형상을 고정하는 제1 필터프레임(221) 및 상기 제1 필터프레임(221)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2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흡입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바디(20)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흡입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부는 제2 바디(200)의 형상에 대응되어 모서리 부분이 굴곡진 단면이 사각형에 가까운 기둥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하우징(210)의 상면에는 접촉면(2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220)은 제2 하우징(230)이 제1 하우징(210)에 결합될 시 상기 제2 하우징(230)의 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접촉면(220)은 상기 제1 하우징(210)의 상단 둘레에서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220)의 내둘레는 상기 제1 필터프레임(221)의 외둘레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부가 상기 제1 하우징(210)에 삽입되면 상기 제1 하우징(210)의 내부 밀폐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210) 내부 밀폐율이 증가됨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공기청정 면적을 확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접촉면(220)에는 복수개의 가이드홈(2116) 및 제2 결합홈(21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2116)은 제1 하우징(210)과 제1 하우징(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230)의 결합 시, 제2 하우징(230)의 결합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하우징(23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가이드돌기 및 제2 결합돌기(23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돌기 및 제2 결합돌기(2313)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접촉면(22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2116) 및 제1 결합홈(2117)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2 하우징(230)이 상기 제1 하우징(210)과 결합될 시 상기 가이드홈(2116)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제2 결합돌기(2313)는 상기 제2 하우징(230)이 제1 하우징(210)과 결합될 시 상기 결합홈(2117)에 삽입된다.
상기 제1 필터프레임(221)에는 돌출부(22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211)는 제1 필터프레임(221)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어 필터부가 제1 하우징(210)에 삽입되어 결합될 경우 상기 필터부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하우징(210)의 상면(접촉면)에는 상기 돌출부(2211)에 맞물리는 함몰부(2201)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가 상기 제1 하우징(210)에 삽입되면 상기 돌출부(2211)는 상기 함몰부(2201)에 끼워진다.
한편, 사용자는 제1 하우징(210)로부터 필터부를 들어올려 분리시킬 수 이도록 상기 제1 필터프레임(221)의 상부 둘레에는 라벨형태의 분리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리부재의 일측은 제1 하우징(210)의 개방된 상부 둘레에 결합되고, 상기 분리부재의 타측은 제1 바디(210)의 상부로부터 개방된 방향을 향해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분리부재의 일부는 필터부가 제1 하우징(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를 들어올릴 경우 힘이 일측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분리부재는 제1 하우징(210)의 개방된 상부 둘레에 복수 개의 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1 하우징(210)의 빈 공간에 삽입된 필터를 교체 또는 세척 상의 이유로 제1 바디(21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된 분리부재를 잡아 들어올림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유입된 외기를 효과적으로 거르기 위한 다양한 소재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제1 하우징(210)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필터부재가 겹겹이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부재 중 상기 광원부(100)에 의해 빛이 조사되는 면(2113)에는 광촉매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광촉매는 상기 광원부(100)에서 조사하는 빛에 반응하는 다양한 물질로 정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촉매는 광에너지를 받아들여 화학반응을 촉진시키는 물질로써 산화티타늄(TiO3) 등이 채택될 수 있다.
상기 광촉매는 광원부(100)가 조사하는 빛에 의해 화학반응을 일으켜 상기 필터를 거친 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분해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재(110)는 일반 광촉매인 경우 자외선 램프 또는 자외선 LED로 구성되고, 가시 광촉매인 경우 자외선 램프, 자외선LED, 고휘도 램프, 고휘도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부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광촉매 필터층은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저항으로 작용되는 부분을 최소화하기 위해, 우레탄폼과 같은 메쉬 구조의 지지체 위에 광촉매를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여러 번의 순환 과정에서 먼지를 제거하며, 공기살균은 유효성 있는 시간동안 공기의 살균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때문에 공기청정능력 확보를 위해 공기가 빠른 기류를 형성하는 경우 살균 능력이 크게 떨어진다.
상술한 이유로 공기 청정기에서 공기 살균을 하기 위해서는 공기청정 능력을 줄여주더라도 공기가 천천히 흘러가게 하거나, 살균력이 매우 센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상술한 구조에 의하면 광원부재(110)가 필터 내부 공간의 중심하단에 위치되어 필터부의 내측면에 직접 빛을 조사함으로써 살균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팬 모터의 출력을 유지하면서 살균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광원부(100)는 베이스(30)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광원부(100)의 유지보수 시 제2 바디(20)를 베이스(30)로부터 들어올려 분리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광원부(100)에 접촉하지 않고서도 광원부(100)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제1 커버(101)는 상기 광원부재(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부재(110)에서 발생하는 광을 차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광원부재(110)는 베이스(30)의 중앙부분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커버(101)는 상기 광원부재(110)의 상부를 가림으로써 상기 광원부재(110)에서 발생되는 빛이 세어 나오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1 커버(110)에 의해 형성되는 면은 상기 베이스(30)의 상면과 단차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커버(103)는 상기 제1 커버(101)와 상기 광원부재(110) 사이에 위치되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광원부재(110)에서 발생되는 광을 투과시킨다. 상기 제1 커버(101)와 제2 커버(103)에 의해 사용자는 광원부재(110)의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광원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베이스(50)는 광원부(53) 및 필터 지지면(51)을 형성한다. 상기 필터 지지면(51)은 필터부의 하부에 접촉하며 필터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지지면(321)은 필터부의 하부 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광원부(53)는 베이스(50)에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50)는 광원부(53)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부(53)는 상기 베이스(32)에서 제1 바디(10)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광원부(53)는 상기 베이스(50)에서 돌출되어 소정 높이를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50)와 상기 제2 바디(20)가 결합될 시, 상기 광원부(53)는 필터부의 내측 공간에 위치된다. 상기 광원부(53)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광원부(53)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광원부(53)는 상기 필터부의 하단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부가 모서리가 굴곡진 사각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광원부(53)는 상기 필터부의 내둘레면에 대응되는 둘레를 형성하며 베이스(50)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광원부(50)의 구조에 의해 상기 제2 바디(20)가 상기 베이스(50)에 결합될 시 상기 필터부 및 제2 바디(20)의 축방향 이동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53)는 상면에 함몰부(53s)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53s)는 상기 광원부(53)의 상면에서 상기 베이스(50)를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53)는 상기 함몰부(53s)를 형성하는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53s)의 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는 광원부(53)의 상면에서 광원부(53)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원부(53)는 제1 면(531), 제2 면(532), 제3 면(533) 및 제4 면(5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531)은 상기 베이스(50)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면(531)이 형성하는 높이는 상기 광원부(53)가 베이스(50)로부터 돌출된 높이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2 면(532)은 상기 제1 면(531)으로부터 상기 광원부(53)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면(532)은 상기 광원부(53)의 선단면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3 면(533)은 상기 제2 면(532)으로부터 베이스(50)를 향해 경사지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면(533)이 형성하는 경사는 상기 제2 면(532)으로부터 광원부(53)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제4 면(534)은 상기 광원부(53)의 함몰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면(533)은 제4 면(534)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광원부재(710)는 상기 제3 면(533)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제3 면(533)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3 면(533)에 광원부재(710)가 구비될 경우 필터부의 내측면을 향해 직접적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부의 내측면을 향해 직접적으로 빛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광원부재(710)가 경사면에 배치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와 같이 광원부재(710)가 제3 면(533)에 구비될 경우 빛이 차단되는 구조적 요인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광원부재(710)는 상기 제3 면(533)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광원부재(710)는 제1 광원부재(701), 제2 광원부재(702), 제3 광원부재(703) 및 제4 광원부재(7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광원부재는 90도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광원부재의 배치에 의해 제1 광원부재(701)는 필터의 내부면 중 25%의 면적을 커버하고, 제2 광원부재(702)는 필터의 내부면 중 25%의 면적을 커버하고, 제3 광원부재(703)는 필터의 내부면 중 25%의 면적을 커버하고 제4 광원부재(704)는 필터의 내부면 중 25%의 면적을 커버하여 결과적으로 필터부 내측면에 고르게 빛을 조사함과 동시에 직접적으로 빛을 조사하여 광원부에 의한 살균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광원부재에 의해 조사되는 영역 중 중첩되는 영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중첩되는 영역이 넓어질수록 광원부에 의한 살균효과가 증가하는 것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광원부(53)가 상기 베이스(50)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50)와 연결되는 전선(L)으로부터 외부전력을 직접 공급받아 광원부(53)의 효율이 증가한다.
또한, 광원부(53)의 관리 시 위해 제2 바디를 상기 베이스(50)로부터 분리시킨 후 베이스(50)가 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광원부(53)를 조작할 수 있어 광원부(53)의 관리가 용이하다.
도 7은, 도 1의 제1 바디와 제3 흡입부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제1 바디 하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1의 제1 바디와 제3 흡입부의 결합을 위한 구성 및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1의 제1 바디 상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의 토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바디(1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가이드돌기(2716) 및 제4 결합돌기(2713)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2716) 및 제4 결합돌기(2713)는 상기 제1 바디(10)가 제3 하우징(250)에 결합될 시 상기 제3 하우징의 접촉면(260)에 형성된 제4 결합홈(2517) 및 가이드홈(2516)에 삽입된다.
상기 제1 바디(10)와 상기 제3 하우징(250) 사이에는 제4 필터부(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 필터부(28)는 상기 제2 바디(20) 내부의 공간(S3) 상부를 덮으며 상기 제1 바디(10)와 상기 제3 하우징(25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 필터부(28)에 의해 상기 제2 바디(20)의 내부에 구비된 필터부를 통해 통과하여 제2 바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승하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상기 제4 필터부(28)는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되는 광이 공기청정기의 상부 토출부(103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4 필터부(28)는 상기 제4 필터부(28)의 외각을 형성하는 제4 필터프레임(281) 및 상기 제4 필터프레임(281)에 구비되는 제4 필터부재(2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필터프레임(281)은 상기 제2 바디(20) 내부의 공간(S3) 상부를 덮도록 상기 공간(S3)의 상부에 대응되어 맞물리는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1 바디(10)는 일면에 토출부(1030)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팬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1 바디(10)의 내부에는 팬 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흡입부로부터 상기 토출부(1030)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팬 모듈은 회전축을 형성하고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 상기 구동부와 상기 팬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흡입부와 토출부(10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부(1030)로 안내하는 쉬라우드(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은,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4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쉬라우드(410)의 단부(411)는 상기 제2 바디의 상부 공간(S3)에 대응되는 팬 흡입구(S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허브는 송풍모터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이동경로를 변경시키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쉬라우드(103)의 하단의 일부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부에서 유입된 외기는 공기청정기(1)의 길이방향을 따라 공기청정기(1)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팬 모듈에 의해 방사방향으로 퍼지며 토출부(1030)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일예로써 상기 팬은 사류형 팬이 채택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제1 바디(10) 내부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살펴보면, 공기는 팬 흡입구를 통해 모터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공기청정기(1)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이동경로가 모터의 측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하부가 관통된 원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의 관통된 부분으로 모터의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부의 관통된 부분은 상기 결합공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10)의 하부에는 접속부(27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2719)는 상기 제1 바디(10)가 상기 제2 바디(20)에 결합될 시, 상기 제2 바디(20)의 상부에 구비되는 단자에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부(2719)와 상기 단자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제1 바디(10)는 상기 제2 바디(20)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10)의 하부 내측에는 팬 흡입구(S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 흡입구(S5)는 제2 바디(20)의 흡입부로 유입된 외기가 제1 바디(10)로 이동하는 유로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팬 흡입구(S5)를 통해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는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바디(10)의 하부면은 상기 팬 흡입구(S5)의 둘레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접촉면(27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2714)은 제3 하우징(250)의 상부면 또는 제3 필터프레임(261)과 접촉하는 면으로써, 상기 접촉면(2714)에 의해 상기 제1 바디(10)를 제3 하우징(250)으로부터 결합 또는 분리할 시 제1 바디(10)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가 결합될 시 공기청정기(1) 내부에서 형성되는 유로 외의 불필요한 부분을 차폐함으로써 공기청정기(1) 내부의 밀폐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 바디(10)와 상기 제2 바디(20)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제2 바디(10)는 상기 제1 바디(20)에 호환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10)의 하부에는 제4 결합부재(2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 결합부재(271)는 제4 조작부(2711), 제4 결합돌기(2713) 및 제4 결합후크(27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조작부(2711)는 일예로써 버튼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 결합후크(2715)는 사용자가 상기 제4 조작부(2711)에 외력을 가할 경우 상기 제4 결합돌기(2713)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제4 조작부(2711)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디(10)를 상기 제3 하우징(25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공기청정기가 설치되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 외기를 흡입하는 양이 달리 설정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이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공기청정기의 흡입량을 제어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필터가 수용되는 제2 바디(20)가 제1 바디(10)에 교체, 호환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면 하드웨어적으로 공기청정기의 물리적인 흡입량의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기청정기는 상대적인 높이차이에 따른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로 구비되어 모터 및 제어모듈등이 내장된 바디와 필터가 내장된 바디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필터, 광원부가 수용되는 제2 바디(10)가 제1 바디(10)에 호환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바디(20)의 공기청정 용량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팬 회전수가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왜냐하면 제2 바디(20)의 공기정화 용량이 클수록 공기청정기의 공기 정화 범위는 넓어지기 때문에 팬 회전수가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상기 팬 회전수의 자동 설정의 일 예로써, 상기 제2 바디(20)의 용량은 각각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바디(10)에 입력되어 있는 고유의 값에 따라 접속부(2719)를 통해 상기 제1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팬 모듈을 제어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1)는 하부 둘레에서 외기를 흡입하여 상부로 토출하는 구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팬 모듈의 작동 시 형성되는 기류에 의해 외기는 흡입부를 통해 제2 바디(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제2 바디(20)의 내부로 유입된 외기는 필터부에 의해 오염물질이 걸러지고, 필터부의 내측공간(S3)에서 상기 광원부(100)에 의해 오염물질의 살균이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부 및 광원부(100)를 거친 공기는 제2 바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바디(10)측으로 상승된다. 그리고 사류형 팬 모터에 의해 모터의 축방향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쉬라우드(410)의 내면을 따라 안내되어 쉬라우드(410)와 팬 모듈의 사이 공간을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팬 모듈과 토출부(1030) 사이 공간으로 이동되어 토출부(1030)를 통해 공기청정기(1)의 외부로 토출된다.
제1 바디(10)의 상면에는 토출부(1030)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본 실시예의 상기 토출부(1030)는 제1 바디(10)의 상면 중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바디(10)의 상면 중 나머지 일부는 디스플레이(1011)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토출부(1030)는 제1 바디(10)의 상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011)는 현재 공기청정기(1)가 구비되어 있는 실내 공간의 공기질을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1011)는 현재 시간, 공간의 온습도, 공기청정기에 입력된 공기청정모드, 공기청정기의 운행시간 등 다양한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1011)를 통해 사용자는 상술한 요소들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토출부(1030)는 제2 통풍구(1033) 및 프레임(10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31)은 상기 토출부(1030)의 틀을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1030)의 내측에 그릴 형태로 상기 제2 통풍구(103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30)는 중앙부분에 디스플레이(1011)가 위치되는 공간(S6)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바디(10)의 상면 중 일부에 디스플레이(1011)가 구비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011)는 상기 제1 바디(10)의 상면 중앙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부(1030)는 상기 디스플레이(1011)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바디(10)의 상면 중 나머지 면적에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토출부(1030)의 면적을 최대한 넓게 해야 공기청정기(1)를 통해 정화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청정기의 상면 전부가 토출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디스플레이는 공기청정기의 측면 중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 바디(10)의 내부에는 제1 통풍구(10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풍구(1013)는 상기 제1 바디(10)의 내부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토출부(1030)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풍구(1013)는 상기 제2 통풍구(1033)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밀한 메쉬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토출부(1030)를 통해 오염물질이 유입될 경우 상기 제2 통풍구(1033)를 통해 상기 오염물질이 제1 바디(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토출부(1030)는 상기 제1 바디(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31)에는 제5 결합부재(10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5 결합부재(1035)는 일예로써 자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프레임(1031)을 제1 바디(10)로부터 자력보다 큰 외력을 주어 들어올리어 상기 토출부(1030)를 제1 바디(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토출부(1030)가 상기 제1 바디(10)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토출부(1030)를 통해 오염물질이 유입되어 상기 제2 통풍구(1033)의 상부에 오염물질이 축적될 경우, 사용자는 상기 토출부(1030)를 제1 바디(10)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상기 제2 통풍구(1033)에 있는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공기청정 대상지역, 공청용량 등에 따라 제2 바디의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바디는 독립적으로 분리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우징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필터가 구비되어 있어 각각의 하우징은 흡입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각각의 하우징을 적층 결합시킴으로써 필터의 용량을 용이하게 늘릴 수 있다. 물론 결합된 각각의 하우징을 분리함으로써 필터의 용량을 용이하게 줄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각각의 독립적인 하우징은 본 실시예에서 필터를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상기 독립적인 하우징 중 어느 하나는 가습을 위한 모듈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독립적인 하우징 중 가습을 위한 모듈이 적용될 경우 상기 가습 모듈은 자연기화식 모듈이 채택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습 모듈은 필터와 팬 모듈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IoT 모듈이 부착됨으로써 상기 모듈을 통해 IoT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IoT 모듈은 가정 내에 존재하는 기존 제품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이다.
IoT 시스템은, 사용자가 생활하는 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내에 상기 공간의 외기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다수의 가전기기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는 상기 외기의 상태를 변경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상기 공간 내에서 조작될 수 있는 다양한 가전제품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가전기기의 일 예로써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와 단말기간의 무선통신방식은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ooth), ZigBee, Wifi 등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고 전력선통신 및 무선 전력통신 등 다양한 규격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공기청정기
10: 제1 바디
20: 제2 바디 21: 제1 흡입부
23: 제2 흡입부 25: 제3 흡입부
30: 베이스
100,53: 광원부

Claims (10)

  1. 내부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하부에서 상기 제1 바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부가 형성되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에서 상기 제2 바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선이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베이스;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부;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제2 바디의 외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흡입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외둘레를 따라 상기 흡입부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독립적인 하우징이 상기 제2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2 바디 및 상기 베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부재; 및
    상기 광원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부재에서 발생하는 광을 차단하는 제1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광원부재 사이에 위치되고,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광원부재에서 발생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제2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바디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광원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를 향해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에 의해 함몰된 공간의 측면에 구비되는 광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광원부재에서 발생되는 광은 상기 필터부의 내측면을 향해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바디를 향해 돌출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광원부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를 향해 경사지는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재는 상기 제3 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KR1020200137418A 2020-10-22 2020-10-22 공기청정기 KR20220053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418A KR20220053721A (ko) 2020-10-22 2020-10-22 공기청정기
PCT/KR2021/001733 WO2022085871A1 (ko) 2020-10-22 2021-02-09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418A KR20220053721A (ko) 2020-10-22 2020-10-22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721A true KR20220053721A (ko) 2022-05-02

Family

ID=81290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418A KR20220053721A (ko) 2020-10-22 2020-10-22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53721A (ko)
WO (1) WO202208587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7100A1 (ja) * 2010-01-15 2011-07-21 株式会社 佐多商会 空気殺菌清浄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呼気ガス殺菌清浄装置、室内空気殺菌清浄装置、簡易隔離装置
KR101781119B1 (ko) * 2016-11-15 2017-09-22 주식회사 에이피씨테크 소형 공기청정기
KR101955571B1 (ko) * 2018-08-10 2019-05-30 주식회사 제씨콤 모듈형 공기 정화장치
KR102588815B1 (ko) * 2018-09-28 2023-10-13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KR20200112595A (ko) * 2019-03-19 2020-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5871A1 (ko)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39573A1 (en) Air cleaner
JP6730272B2 (ja) Uv led及び光触媒フィルターを使用した小型空気清浄器
KR101176565B1 (ko) Led 조명 기능이 구비된 천장 부착형 공기청정기
KR102132859B1 (ko) 필터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KR20190021826A (ko) 공기살균정화장치
KR20180065164A (ko) 복합형 공기청정기
KR20160015084A (ko) 공기 청정기
KR20140003240A (ko) 유체 정화 장치
KR20140095845A (ko) 휴대용 살균 탈취 장치
KR102219356B1 (ko) 자외선 공기 살균기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US10625207B2 (en) System for photoelectrochemical air purification
KR102446938B1 (ko) 복합살균식 공기 살균기
KR200495463Y1 (ko)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의 유로구조
KR102293117B1 (ko) 공기 청정기
KR20160001542A (ko) 공기 청정기
KR20220022038A (ko) 공기청정기
KR100543330B1 (ko) 탈취필터를 갖춘 공기청정기
KR20220053721A (ko) 공기청정기
JP7345537B2 (ja) 空気清浄器
KR20240068430A (ko) 공기청정기
JP6637090B2 (ja) 空気清浄モジュール
KR20220083530A (ko) 공기청정기
KR200330036Y1 (ko) 공기청정기
KR200353621Y1 (ko) 공기 살균수단이 구비된 공기 청정기
CN215863906U (zh) 净化杀菌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