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2965A -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 서버 및 이의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 서버 및 이의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2965A
KR20220082965A KR1020200171957A KR20200171957A KR20220082965A KR 20220082965 A KR20220082965 A KR 20220082965A KR 1020200171957 A KR1020200171957 A KR 1020200171957A KR 20200171957 A KR20200171957 A KR 20200171957A KR 20220082965 A KR20220082965 A KR 20220082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personal
information
data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0758B1 (ko
Inventor
김영주
이준영
오주현
동근탁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1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758B1/ko
Publication of KR20220082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 서버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사용자 중심의 상호 호혜 및 확장을 할 수 있고, 플랫폼 기반의 커뮤니티 의료 서비스, 소비자인 환자뿐 만이 아닌 의료 공급자인 의료진을 포함한 의료사업 확장을 위한 사용자 중심 플랫폼기반 커뮤니티 서비스를 지향하는 보건소 방문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 서버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 서버 및 이의 제공 방법{DIGITAL CARE SUPPORTING SYSTEM FOR PERSONAL HEALTH MANAGEMENT, SERVER AND PROVID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 서버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사용자 중심의 상호 호혜 및 확장을 할 수 있고, 플랫폼 기반의 커뮤니티 의료 서비스, 소비자인 환자뿐 만이 아닌 의료 공급자인 의료진을 포함한 의료사업 확장을 위한 사용자 중심 플랫폼기반 커뮤니티 서비스를 지향하는 보건소 방문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 서버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사회, 기대수명 연장 등의 사회적 변화와 건강 수명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짐과 동시에 1인당 부담해야 할 의료비 부담 증가가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질병의 정밀 진단 및 조기 발견으로 의료의 질적 수준 향상과 의료비 절감 등에 대한 니즈 증가되고 있고, 고령화 시대 진입에 따른 유병기간 증가로 의료비 부담이 가중됨에 따라 질병진단 및 치료와 함께 사전 관리와 모니터링을 통한 사후 관리를 포괄하는 진단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예방 및 질병관리를 위해 의료데이터 및 생활패턴 데이터 등의 확보는 매우 중요하며, 방대하게 수집된 개인의 의료데이터를 토대로 건강진단, 질병예측 등을 위해서는 보다 지능화된 시스템이 필요하며 그 대안으로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예방 및 치료를 위해서는 환자의 식습관 및 운동 등과 같은 생활 습관 개선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의료 정보화는 환자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편익 향상에 이바지하고 있으나, 개인의 의료정보가 대량으로 저장되고 처리됨으로써 민감한 정보인 의료정보가 오남용 및 유출될 가능성도 높아져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도 증가되어 정보 공유가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개인 또는 응급 환자가 적절한 조치를 받을 수 있는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 1: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7-0032705 선행기술 2: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4-0003163 선행기술 3: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3-0070954 선행기술 4: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2-0108543 선행기술 5: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9-0085649
선행기술 4: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7권제4호 (2009.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개인의 개인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를 구비하고 있는 개인 의료 정보 가방에서 수집된 정보 데이터를 건강 관리자인 방문 관리자가 구비하는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돌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시스템에서 분석한 결과의 피드백을 실시간 채팅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마치 실시간으로 의료진이나 대사증후군 전문가와 상담하는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의학적 지식 획득뿐만 아니라 심리적 지지감을 제공하고, 지속적으로 대사증후군 관리에 대한 동기 부여를 할 수 있는 대사증후군의 자가관리가 지원되는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환자의 응급 상황에서 환자의 보호자와 연락을 하지 않아도 바로 환자의 상태를 응급 구조자와 의료인이 확인할 수 있는 개방형 PHR (Personal Health Record) 기반의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은, 개인의 개인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를 구비하고 있는 개인 의료 정보 가방; 상기 개인 의료 정보 가방으로부터 수집된 개인의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를 수신 및 송신하는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 실내에서 개인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개인의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 및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된 개인 활동 모니터링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개인의 생체 정보, 개인 의료 정보 및 개인 활동 모니터링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며 관리하는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은, 개인용 의료기기로부터 수집된 개인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개인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를 송수신하고, 대사증후군 관련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피드백 내용을 선정하는 사용자용 관리 서버; 상기 선정된 피드백 내용을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에 채팅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며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채팅 서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용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개인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입력 관리부; 상기 저장된 개인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사증후군 위험도를 분석하고, 사용자에게 운동의 종류, 맞춤형 식이요법, 및 운동 관리 서비스를 추천하는 통합 스마트 관리 모듈; 상기 맞춤형 식이요법에 기반한 식단의 종류 및 상기 운동 관리 서비스에 따른 운동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부; 상기 맞춤형 식이요법, 운동 관리 서비스, 상기 맞춤형 식이요법에 기초한 식단을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팅 서버는, 상기 사용자용 관리 서버의 상기 서비스 관리부에 대응되는 채팅 내용을 채팅 데이터로 변환하는 채팅 데이터 변환부; 상기 채팅 데이터 변환부에 의하여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채팅 통신부; 상기 채팅 통신부에 의하여 송수신된 채팅 데이터를 채팅 시각과 채팅 내용으로 저장되는 채팅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스마트 관리 모듈은 분석된 대사 증후군 위험도를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 알림 기능 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개인 의료 정보 가방은 식별코드, 진단서, 약처방전, 약봉지, 진료 CD, 처방 메모리 카드, 병원 진료 카드, 처방약을 구비하며, 상기 식별코드는 QR 코드 또는 AR 코드이며, 상기 개인 의료 정보 가방을 개인에게 제공할 때 상기 식별코드는 개인 의료 정보 제3자 동의를 거쳐 생성되어 등록되며, 상기 개인의 개인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는, 개인이 승인한 보호자, 간병인 또는 요양보호사가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개인을 대리하여, 진단서, 약처방전, 또는 약봉지를 사진으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개인이 응급 환자일 때, 상기 응급 환자의 조치자인 응급 대원은 상기 식별 코드를 통하여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로부터 송신된 상기 응급 환자의 상기 개인의 개인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응급조치자용 휴대 단말기; 상기 응급조치자용 휴대 단말기에 수신된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승인 처리 여부를 판단하는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에 구비된 승인 처리부; 상기 승인 처리부에서 승인된 경우, 상기 응급조치자용 휴대 단말기에 상기 응급조치자에 의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에 구비된 긴급 연락망 구동부; 상기 긴급 연락망 구동부로부터 전송된 긴급 정보를 수신하는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는 응급 환자의 개인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와 연계된 보호자가 사용되도록 승인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화재 센서, 활동 감지 센서, 개인의 몸에 부착되어 맥박, 체온을 감지하는 센서, 출입문 개폐 감지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는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에 센서 정보를 송신하며, 또한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에는 동작 상태 확인부, 응급 상황 119 신고 입력부, 멀티 미디어 콘텐츠 재생부, 치매 예방 뇌 운동 연습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는 AI 알고리즘 서버, 건강 관리 서버, 및 모바일 헬스케어 플랫폼을 포함하며, 상기 AI 알고리즘 서버는 개인의 상병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는 상병 상태 수집부, 거주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는 거주 상태 수집부, 건강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는 건강 상태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병 상태 데이터, 거주 상태 데이터, 건강 상태 데이터로부터 학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 가능한 개인 건강 정보를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건강관리 서버는 방문건강 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문건강 관리 정보 수집부, 건강 컨텐츠 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건강 컨텐츠 관리 정보 수집부, 건강 관리 서비스를 운영하는 웹을 포함하고,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에 방문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헬스케어 플랫폼은 헬스케어 디바이스에서 연동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서비스 이용자인 개인, 서비스 이용기관인 정부, 지자체 및 병원에 송수신하고,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는 혈당계로부터 측정된 혈당 데이터, 혈압계로부터 측정된 혈압 데이터, 체성분계로부터 측정된 체성분 데이터, 활동량계로부터 측정된 활동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데이터는 라이프로그 수집 앱을 통하여 수동 또는 능동적 데이터 입력방식으로 입력되어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는 음식 인식 AI 서버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음식 인식 AI 서버는 음식 이미지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음식 이미지 수집부, 음식의 종류 및 식사량을 음성으로 입력하여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는 음식 음성 데이터 수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로부터 학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 가능한 영양 정보 및 질병 위험 정보를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수집된 데이터는 라이프로그 수집 앱을 통하여 수동 또는 능동적 데이터 입력방식으로 입력되어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헬스케어 플랫폼은 대민 모바일 헬스케어 모듈, 헬스 케어 서비스 관리 모듈,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대민 모바일 헬스케어 모듈은 사용자 검진 예약부, 비만 관리 정보 관리부, 식단, 건강교육, 건강 상태의 맞춤서비스 관리부, 건강 우선 순위 관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헬스 케어 서비스 관리 모듈은 의사, 간호사, 영양사, 운동전무가, 코디네이터, 교사의 무선 단말기와 연동하는 디바이스 연동지원 웹, 헬스 케어 서비스 운영자, 컨텐츠 관리자, 콜센터의 무선 단말기와 연동되는 사업 관리지원 웹, 지역보건 의료 정보시스템과 연계된 보건소 관리자 웹을 구비하고, 상기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모듈은 사용자 인증부, 동영상 스트리밍부, 비만관리부, 음식 인식 AI 엔진, 운동/식이프로그램 관리부, 질환예측 모델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용 서버는,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개인의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 및 센서로부터 개인 활동 모니터링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개인의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 및 센서로부터 전송 받은 개인 활동 모니터링 데이터를 저장하며 관리하는 건강 관리자용 관리부;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개인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를 전송받아 대사증후군 관련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피드백 내용을 선정하는 사용자용 관리부; 상기 선정된 피드백 내용을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에 채팅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며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채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 제공 방법은, 개인 의료 정보 가방으로부터 수집된 개인의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를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실내에서 센서를 사용하여 개인 활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에서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개인의 생체 정보, 개인 의료 정보의 데이터 및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개인 활동 모니터링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개인의 생체 정보, 개인 의료 정보 데이터 및 센서로부터 전송 받은 개인 활동 모니터링 데이터를 저장하며 관리하는 단계; 개인용 의료기기로부터 수집된 개인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를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용 관리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개인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대사증후군 관련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피드백 내용을 선정하는 단계; 채팅 서버에서 상기 선정된 피드백 내용을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에 채팅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며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통합 관리 플랫폼에서 상기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 및 사용자용 관리 서버와 연계되어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에 진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에 의하면, 개인의 개인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를 구비하고 있는 개인 의료 정보 가방에서 수집된 정보 데이터를 건강 관리자인 방문 관리자가 개인의 건강 및 의료를 확인하고, 업데이트하여 개인에게 적합한 돌봄이 가능하며, 병원, 지자체 등에 인공 지능에 의하여 건강 및 의료에 대한 데이터가 관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환자의 보호자, 간병인 또는 요양보호사가 직접 서버에 올리는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환자가 응급한 경우 바로 개인 의료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에 의하면, 개인이 대사증후군을 가지고 있는 경우, 개인용 의료기기로부터 측정된 생체정보와 식사, 운동, 스트레스 등 생활습관정보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적절한 대응방법이나 격려, 경고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대사증후군 환자가 자신의 건강상태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개인 의료 정보 가방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용자용 관리 서버의 개요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용자용 채팅 서버의 개요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AI 추천 알고리즘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음식 이미지, 음성 인식 인공지능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방문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에 나타내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의 전체적인 기능을 수행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 내지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방문자에 의한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사용자에 의한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의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러한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 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1 및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은 개인의 개인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를 구비하고 있는 개인 의료 정보 가방(10); 상기 개인 의료 정보 가방으로부터 수집된 개인의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를 수신 및 송신하는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20A); 실내에서 개인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미도시);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개인의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 및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된 개인 활동 모니터링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개인의 생체 정보, 개인 의료 정보 및 개인 활동 모니터링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며 관리하는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30A); 및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개인의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 및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된 개인 활동 모니터링 정보 데이터를 표시하는 통합 모니터링(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개인 의료 정보 가방은 식별코드, 진단서, 약처방전, 약봉지, 진료 CD, 처방 메모리 카드, 병원 진료 카드, 처방약을 구비할 수 있다. 개인 의료 정보 가방은 건강 통장이라고도 칭하며,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질환별 또는 개인별 맞춤형 데이터 베이스로 관리될 수 있다.
상기 식별코드는 QR 코드 또는 AR 코드이며, 상기 개인 의료 정보 가방을 개인에게 제공할 때 상기 식별코드는 개인 의료 정보 제3자 동의를 거쳐 생성되어 등록될 수 있다.
상기 개인의 개인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는, 개인이 승인한 보호자, 간병인 또는 요양보호사가 구비하는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20A)의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개인을 대리하여, 진단서, 약처방전, 또는 약봉지를 사진으로 입력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건강 관리자인 보호자, 간병인 또는 요양보호사는 방문을 중심으로 환자 기록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요소 도출하고, 방문 건강 관리사의 환자 기록 입력 및 재가 환경에서의 업무 프로세스 관찰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개인 의료 정보 가방에는 주치의 병원 연락처, 병원카드, 건강보험증, 처방전, 복약정보, 유전/가족력, 수술 등의 이력, 영상의학(X-ray, CT, MRI, 초음파) 자료 등 원본 및 건강 관리 카드 보관과 본인 및 보호자 비상연락망(유/무)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응급 상황 발생할 때, 주치의 병원 연락처로 바로 연락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은, 상기 개인이 응급 환자일 때, 상기 응급 환자의 조치자인 응급 대원은 상기 식별 코드를 통하여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로부터 송신된 상기 응급 환자의 상기 개인의 개인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응급조치자용 휴대 단말기; 상기 응급조치자용 휴대 단말기에 수신된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승인 처리 여부를 판단하는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에 구비된 승인 처리부; 상기 승인 처리부에서 승인된 경우, 상기 응급조치자용 휴대 단말기에 상기 응급조치자에 의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에 구비된 긴급 연락망 구동부; 상기 긴급 연락망 구동부로부터 전송된 긴급 정보를 수신하는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는 응급 환자의 개인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와 연계된 보호자가 사용되도록 승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30A)는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보관하며,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는, 응급 환자의 건강 상태, 병력, 검사 결과, 처방 결과, 약물 반응, 입원 및 퇴원 기록, 또는 인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30A)는 병원 서버 및 지방자치단체의 서버에도 연계되어 상기 병원 서버 및 지방자치단체의 서버의 요청에 따라 응급 환자의 건강 상태, 병력, 검사 결과, 처방 결과, 약물 반응, 입원 및 퇴원 기록, 또는 인적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환자의 대리자가 환자를 대리하여, 진단서, 약처방전, 또는 약봉지를 사진으로 입력하여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방자치단체의 서버에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보관함으로써, 만성질환자가 응급 상황 발생할 때 그에 대한 처리를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환자의 대리자는 환자의 보호자, 간병인 또는 요양보호사일 수 있다. 이들 환자의 보호자, 간병인 또는 요양보호사는 환자에게 미리 승인을 얻은 상태에서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개인 의료 정보의 입력 방법으로서는 문서 형식으로 입력해도 되지만,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사진으로 입력할 수 있다. 사진으로 입력된 개인 의료 정보는 사진 파일로 저장될 수도 있고, 문서 파일로 변환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30A)는 식별 코드 분류부 및 식별 코드 분류 승인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식별 코드의 접근은 개인의 승인에 따라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30A)로부터 건강 관리자가 개인의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의 접근 권한을 갖게 된다. 이때, 식별 코드 분류부에서 개인은 중요도에 따라 그레이드를 나눌 수 있고, 예를 들어 병원 진료 카드 정보, 주치의 등은 제1 그레이드에 설정되고, 진단서, 처방전 등은 제2 그레이드에 설정하여, 정보의 접근 권한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고, 식별 코드 분류 승인부에서 개인의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에 승인된 정보의 접근 권한을 그레이드 별로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병원 진료 카드 정보, 주치의 등은 제1 그레이드의 접근은 허용하고, 진단서, 처방전 등은 제2 그레이드의 접근은 허용하지 않게 설정할 수 있다.
도 4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4 및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은 개인용 의료기기로부터 수집된 개인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20B);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개인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를 송수신하고, 대사증후군 관련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피드백 내용을 선정하는 사용자용 관리 서버(30B); 상기 선정된 피드백 내용을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에 채팅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며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채팅 서버(30C);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20A)는 환자의 보호자, 간병인 또는 요양보호사가 사용하는 단말기이나,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20B)는 개인의 환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30A) 및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20B)는 서로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20A) 및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20B)는 서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용 관리 서버(30B)는,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개인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입력 관리부(31); 상기 저장된 개인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사증후군 위험도를 분석하고, 사용자에게 운동의 종류, 맞춤형 식이요법, 및 운동 관리 서비스를 추천하는 통합 스마트 관리 모듈(32); 상기 맞춤형 식이요법에 기반한 식단의 종류 및 상기 운동 관리 서비스에 따른 운동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부(33); 상기 맞춤형 식이요법, 운동 관리 서비스, 상기 맞춤형 식이요법에 기초한 식단을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채팅 서버(30C)는, 상기 사용자용 관리 서버(30B)의 상기 서비스 관리부에 대응되는 채팅 내용을 채팅 데이터로 변환하는 채팅 데이터 변환부(35); 상기 채팅 데이터 변환부에 의하여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채팅 통신부(36); 상기 채팅 통신부에 의하여 송수신된 채팅 데이터를 채팅 시각과 채팅 내용으로 저장되는 채팅 데이터 베이스(37);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스마트 관리 모듈은 분석된 대사 증후군 위험도를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 알림 기능 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환자의 신체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개인용 의료기기는,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혈압계,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혈당계,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근육량 등을 측정하는 체성분계, 헤모글로빈에서 일어나는 가스교환을 측정함으로써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산소포화도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생활습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개인용 의료기기로는 만보기, 스마트 밴드와 같이 활동량을 측정하는 활동량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개인용 의료기기는 네트워크에 의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은 가능하며,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20B)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는 환자의 신체정보, 생활습관 정보 외에도 단말기에 탑재된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된 음식, 경구약, 주사제, 처방전 등 이미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용 관리 서버(30B)는,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환자의 신체정보 및 생활습관 정보를 전송받아 대사증후군 관련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따른 피드백 내용을 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사용자용 관리 서버(30B)는, 분석결과에 따른 피드백 내용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선정하게 된다.
정보 분석시에 대사증후군 증상별로 혈압, 혈당, 체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독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으며, 이들의 조합으로 된 통합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정보 분석시에 운동, 식이정보도 단독 또는 조합된 통합정보를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채팅서버(30C)는, 선정된 피드백 내용을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20B)로 채팅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며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20B)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대사증후군 환자가 가지고 있는 개인용 의료기기로부터 측정된 생체정보와 식사, 운동, 스트레스 등 생활습관정보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대사증후군 환자가 자신의 건강상태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용자용 관리 서버(30B)는, 데이터 입력 관리부(31)와, 통합 스마트 관리 모듈(32), 콘텐츠 관리부(33) 및 서비스 관리부(34)로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 입력 관리부(31)는,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20B)로부터 전송된 개인용 의료기기로부터 수집된 환자의 신체 정보 및 개인용 의료기기로부터 수집된 생활습관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통합 스마트 관리 모듈(32)은, 상기 저장된 정보 데이터를 토대로 대사증후군 위험도를 분석하고,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과 맞춤형 식이요법 및 운동 관리 서비스를 추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통합 스마트 관리 모듈(32)은, 데이터 입력 관리부(31)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심혈관 질환 위험도와 뇌졸중 질환 위험도를 분석하고, 위험도에 따라 알림을 결정한다. 또한, 사용자의 식이 및 사용자의 서비스 수행도와 건강결과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식이 및 운동 관리 서비스를 추천하고, 사용자에게 추천된 맞춤형 식이 및 운동 관리 서비스에 따라 섭취한 음식 정보 및 추천한 상기 운동 정보에 대한 정보일지 기록을 전송받아 서비스 수행도와 건강상태를 분석한다.
상기 콘텐츠 관리부(33)는, 상기 맞춤형 식이 요법에 적합한 식단 및 상기 운동 관리 서비스에 따른 운동 콘텐츠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서비스 관리부(34)는, 상기 통합 스마트 관리 모듈(32)로부터 상기 맞춤형 식이 요법, 상기 운동 관리 서비스 정보, 상기 맞춤형 식이 요법에 적합한 식단 및 상기 운동 관리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20B)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채팅서버(30C)는, 채팅 데이터 변환부(35), 채팅 통신부(36) 및 채팅 데이터 베이스(37)로 이루어진다.
상기 채팅 데이터 변환부(35)는, 상기 사용자용 관리 서버(30B)의 상기 서비스 관리부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응되는 채팅의 내용을 나타내는 채팅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채팅 통신부(36)는, 상기 채팅 데이터 변환부(35)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20B)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37)는, 상기 채팅 통신부(32)에 의해 송수신된 채팅 데이터를 채팅 시각과 채팅 데이터에 대해서 행해진 처리 시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저장된 채팅 데이터는 검색을 통해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자가관리상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데이터 입력 관리부(31)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부(31a)와, 정보일지 데이터베이스부(31b)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부(31a)는, 개인용 의료기기로부터 수집된 환자의 생체 정보 및 개인용 의료기기로부터 수집된 생활습관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보일지 데이터베이스부(31b)는, 상기 서비스 관리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맞춤형 식이 요법, 상기 운동 관리 서비스 정보, 상기 맞춤형 식이 요법에 의하여 추천된 식단 및 상기 운동 관리 서비스에 따라 섭취한 음식 정보 및 수행한 운동 정보에 대한 정보일지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용 관리 서버(30B)는, 환자의 신체정보 및 생활습관 정보를 전송받아 대사증후군 관련 정보를 분석할 뿐만 아니라, 전송된 정보가 상기 정보일지 데이터베이스부(31b)에 저장된 정보와 유사한 패턴 정보로 판단되면 이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한 전송된 정보를 분석하며, 기계 학습, 신경망 또는 딥러닝 알고리즘에 의한 유사판단을 수행한다. 즉, 빠른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송된 정보를 분석하는 경우에는 기계 학습, 신경망 또는 딥러닝 알고리즘 등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스마트 관리 모듈(32)은 분석된 대사증후군 위험도를 점수별로 분석하여, 상기 점수 영역에 따라 격려, 경고 등을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20B)에 알림기능 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모바일 채팅용 메신저 서비스 제공사에서 제공하는 연동도구(SDK)를 사용해 채팅 서비스용 소프트웨어를 통해서도 제공될 수 있도록 하거나, 인공지능 스피커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음성 채팅 연동도구(SDK)를 사용하여 인공지능스피커를 통해서도 분석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분석된 대사증후군 위험도를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20B)에 알림기능 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자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채팅서버(30C)는, 자체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채팅서버로 구현될 수 있으며, 외부의 자연어 처리부를 연동하여 채팅서버를 구현할 수 있다.
외부의 자연어 처리부를 연동하는 채팅서버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자연어를 입력받는 입력부, 외부의 복수의 채팅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자연어에 대한 특징 및 사용자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여 복수의 채팅 서버 중에서 자연어에 대응하는 채팅 서버를 결정하며, 자연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기 위해 결정된 채팅 서버로 자연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채팅 서버는 규칙 기반 또는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자연어를 분석하여 응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센서는 화재 센서, 활동 감지 센서, 개인의 몸에 부착되어 맥박, 체온을 감지하는 센서, 출입문 개폐 감지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에 센서 정보를 송신하며, 또한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에는 실내에서 개인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동작 상태 확인부, 실내에서 개인에게 이상 여부 발생시에 응급요청을 할 수 있는 응급 상황 119 신고 입력부, 활동 감지 센서에 의하여 개인의 활동양이 평균 이하라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에 개인에게 맞는 멀티 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고 전송하는 멀티 미디어 콘텐츠 재생부, 사용자에게 맞는 치매 예방 운동에 관한 콘텐츠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치매 예방 뇌 운동 연습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내 센서를 통하여 얻어진 개인 정보를 통하여 응급 상황 및 응급 상황은 아니어도 적절한 운동이 필요할 때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개인인 환자의 보호자, 간병인 또는 요양보호사는 원격으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개인 의료 정보 가방의 손잡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체온 센서, 개인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 감지 센서가 개인 의료 정보 가방의 손잡이에 부착되어 개인 의료 정보 가방에 구비된 개인 의료 송수신부에 의하여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에 센서 측정 정보를 송신하여, 건강 관리자는 관리하고 있는 개인 또는 환자의 온도 및 맥박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개인 또는 환자는 별도의 측정용 동작을 하지 않아도 처방약을 복용하기 위해서 개인 의료 정보 가방에서 약을 꺼낼 주기마다 온도 및 맥박의 정보가 측정되고 이에 대한 데이터는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 및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에 보관되고 관리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AI 추천 알고리즘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음식 이미지, 음성 인식 인공지능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방문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에 나타내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의 전체적인 기능을 수행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는 AI 알고리즘 서버, 건강 관리 서버, 및 모바일 헬스케어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I 알고리즘 서버는 개인의 상병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는 상병 상태 수집부, 거주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는 거주 상태 수집부, 건강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는 건강 상태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병 상태 데이터, 거주 상태 데이터, 건강 상태 데이터로부터 학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딥러닝에 의한 예측 가능한 개인 건강 정보를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는 상기 상병 상태 데이터, 건강 상태 데이터를 기준으로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방문의 우선 순위를 분류하는 방문 검사 분류 모듈 및 환자의 승인 확인 모듈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병 상태 데이터, 건강 상태 데이터를 자기 역량 지원군, 정기 관리군, 집중 관리군으로 분류하여 환자의 보호자, 간병인 또는 요양보호사의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에는 상기 환자를 자기 역량 지원군, 정기 관리군, 집중 관리군으로 색을 달리하여 나타내고, 방문 우선 순위, 방문 간격 및 1회 방문 시간인 방문 정보를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나타낸다. 상기 방문 정보를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에 송신하여 환자가 방문 스케쥴을 승인하게 되면, 승인된 데이터를 환자의 승인 확인 모듈에서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여 최종 방문 결정 여부가 결정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에 방문 스케쥴은 적절하게 조정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건강관리 서버는 방문건강 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문건강 관리 정보 수집부, 건강 컨텐츠 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건강 컨텐츠 관리 정보 수집부, 건강 관리 서비스를 운영하는 웹을 포함하고,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에 방문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헬스케어 플랫폼은 헬스케어 디바이스에서 연동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서비스 이용자인 개인, 서비스 이용기관인 정부, 지자체 및 병원에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는 혈당계로부터 측정된 혈당 데이터, 혈압계로부터 측정된 혈압 데이터, 체성분계로부터 측정된 체성분 데이터, 활동량계로부터 측정된 활동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데이터는 라이프로그 수집 앱을 통하여 수동 또는 능동적 데이터 입력방식으로 입력되어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는 음식(food) 인식 AI 서버, 즉 이미지 및 음성으로 음식을 인식하는 AI 서버를 더욱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음식 인식 AI 서버는 음식 이미지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음식 이미지 수집부, 음식의 종류 및 식사량을 음성으로 입력하여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는 음식 음성 데이터 수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로부터 학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 가능한 영양 정보 및 질병 위험 정보를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음식 인식 AI 서버는 개인 기호 음식 분류부를 더욱 구비하여, 영양 정보 및 질병 위험 정보에 맞는 음식을 추천하되, 개인에 의하여 기 설정된 기피 음식은 영양 정보 및 질병 위험 정보에 분류되지 않은 음식도 제외되도록 제어하는 기호 음식 분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자에게 맞는 음식이라도 피하고 싶은 음식을 설정하여 두면 인공 지능에 의하여 동일한 환자라고 해도 기호 식품 여부에 따라 추천 음식은 상이해 질 수 있고, 환자의 기호에 맞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헬스케어 플랫폼은 대민 모바일 헬스케어 모듈, 헬스 케어 서비스 관리 모듈,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대민 모바일 헬스케어 모듈은 사용자 검진 예약부, 비만 관리 정보 관리부, 식단, 건강교육, 건강 상태의 맞춤서비스 관리부, 건강 우선 순위 관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건강 우선 순위 관리부는,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에서 전송된 개인의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 및 상기 센서로에서 전송된 개인 활동 모니터링 정보 데이터를 환자의 보호자, 간병인 또는 요양보호사가 수동으로 입력하되, 상기 수동으로 입력된 데이터는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 및 사용자용 관리 서버를 통하여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
도 10은 방문 건강 관리자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난다. 예를 들어, 헬스 케어 서비스 관리 모듈은 의사, 간호사, 영양사, 운동전무가, 코디네이터, 교사의 무선 단말기와 연동하는 디바이스 연동지원 웹, 헬스 케어 서비스 운영자, 컨텐츠 관리자, 콜센터의 무선 단말기와 연동되는 사업 관리지원 웹, 지역보건 의료 정보시스템과 연계된 보건소 관리자 웹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모듈은 사용자 인증부, 동영상 스트리밍부, 비만관리부, 음식 인식 AI 엔진, 운동/식이프로그램 관리부, 질환예측 모델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용 서버는,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개인의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 및 센서로부터 개인 활동 모니터링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개인의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 및 센서로부터 전송 받은 개인 활동 모니터링 데이터를 저장하며 관리하는 건강 관리자용 관리부;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개인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를 전송받아 대사증후군 관련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피드백 내용을 선정하는 사용자용 관리부; 상기 선정된 피드백 내용을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에 채팅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며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채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 제공 방법을 도 12 내지 20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 제공 방법은, 개인 의료 정보 가방으로부터 수집된 개인의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를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실내에서 센서를 사용하여 개인 활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에서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개인의 생체 정보, 개인 의료 정보의 데이터 및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개인 활동 모니터링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개인의 생체 정보, 개인 의료 정보 데이터 및 센서로부터 전송 받은 개인 활동 모니터링 데이터를 저장하며 관리하는 단계; 개인용 의료기기로부터 수집된 개인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를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용 관리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개인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대사증후군 관련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피드백 내용을 선정하는 단계; 채팅 서버에서 상기 선정된 피드백 내용을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에 채팅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며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통합 관리 플랫폼은 상기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 및 사용자용 관리 서버와 연계되어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에 진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개인 의료 정보 가방으로부터 수집된 개인의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를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10) 및 실내에서 센서를 사용하여 개인 활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S20);를 통하여 개인의 진료 및 실내에서 활동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에서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개인의 생체 정보, 개인 의료 정보의 데이터 및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개인 활동 모니터링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개인의 생체 정보, 개인 의료 정보 데이터 및 센서로부터 전송 받은 개인 활동 모니터링 데이터를 저장하며 관리하는 단계(S30)을 통하여 데이터를 적절하게 저장하고 관리하게 된다.
상기 개인 의료 정보 가방은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 시스템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개인용 의료기기로부터 수집된 개인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를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R10), 사용자용 관리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개인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대사증후군 관련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피드백 내용을 선정하는 단계(R20)에서 개인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를 얻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에서 대사증후군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채팅 서버에서 상기 선정된 피드백 내용을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에 채팅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며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R30)을 통하여 채팅 형식으로 인공 지능에 의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합 관리 플랫폼은 상기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 및 사용자용 관리 서버와 연계되어 서로 유기적으로 건강 관리자와 사용자의 정보의 공유가 가능하고, 이는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에 진료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통합 관리 플랫폼은 의료 기관 서버, 보건소 서버, 정부 및 지자체 서버에 연계되어 개인의 평상시 상황, 응급 상황 등 다양한 상황에 개인의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5 내지 도 19는 건강 관리자가 개인 의료 정보 가방에 부착되어 있는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개인 의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40),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에서 개인 의료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S50)을 더 포함하는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 제공 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건강 관리자는 요양사, 간병인, 구급대원 또는 의료인일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식별 코드는 개인 의료 정보 가방을 개인에게 제공할 때 개인 의료 정보 제3자 동의를 거쳐 생성될 수 있으며,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간병인, 구급대원 또는 의료인은 미리 승인을 얻고 개인 의료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도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개인의 건강 상태, 병력, 검사 결과, 처방 결과, 약물 반응, 입원 및 퇴원 기록, 또는 인적 정보의 개인 의료 정보를 식별 코드에 따라서 얻을 수 있다. 도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응급 상황인 경우, 응급 환자의 개인 의료 정보와 연계된 보호자에게 긴급 상황을 전달할 수 있다.
도 20은 사용자인 환자가 개인용 의료기기로부터 수집된 개인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에서 취득하고, 통합 스마트 관리 모듈에서 대사 증후군 위험도 분석, 운동 및 맞춤형 식이 요법, 운동 관리 서비스, 서비스 수행도, 건강 상태 분석하고, 콘텐츠 관리부에서 식단 제공 및 운동 콘텐츠를 제공하고 맞춤형 식이요법, 운동 관리 서비스, 상기 맞춤형 식이요법에 기초한 식단을 서비스 관리부에서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인은 자기 주도적으로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건강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 : 개인 의료 정보 가방
11 : 식별 코드
12 : 병원 진료 카드
13 : 진료 CD
14 : 건강보험증
15 : 약처방전
16 : 처방약
20A :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
20B :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
30A :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
30B : 사용자용 관리 서버
40 : 통합 관제 모니터

Claims (12)

  1. 개인의 개인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를 구비하고 있는 개인 의료 정보 가방;
    상기 개인 의료 정보 가방으로부터 수집된 개인의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를 수신 및 송신하는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
    실내에서 개인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개인의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 및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된 개인 활동 모니터링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개인의 생체 정보, 개인 의료 정보 및 개인 활동 모니터링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며 관리하는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개인용 의료기기로부터 수집된 개인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개인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를 송수신하고, 대사증후군 관련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피드백 내용을 선정하는 사용자용 관리 서버;
    상기 선정된 피드백 내용을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에 채팅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며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채팅 서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용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개인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입력 관리부;
    상기 저장된 개인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사증후군 위험도를 분석하고, 사용자에게 운동의 종류, 맞춤형 식이요법, 및 운동 관리 서비스를 추천하는 통합 스마트 관리 모듈;
    상기 맞춤형 식이요법에 기반한 식단의 종류 및 상기 운동 관리 서비스에 따른 운동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부;
    상기 맞춤형 식이요법, 운동 관리 서비스, 상기 맞춤형 식이요법에 기초한 식단을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채팅 서버는, 상기 사용자용 관리 서버의 상기 서비스 관리부에 대응되는 채팅 내용을 채팅 데이터로 변환하는 채팅 데이터 변환부;
    상기 채팅 데이터 변환부에 의하여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채팅 통신부;
    상기 채팅 통신부에 의하여 송수신된 채팅 데이터를 채팅 시각과 채팅 내용으로 저장되는 채팅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스마트 관리 모듈은 분석된 대사 증후군 위험도를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 알림 기능 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인 의료 정보 가방은 식별코드, 진단서, 약처방전, 약봉지, 진료 CD, 처방 메모리 카드, 병원 진료 카드, 처방약을 구비하며, 상기 식별코드는 QR 코드 또는 AR 코드이며, 상기 개인 의료 정보 가방을 개인에게 제공할 때 상기 식별코드는 개인 의료 정보 제3자 동의를 거쳐 생성되어 등록되며,
    상기 개인의 개인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는, 개인이 승인한 보호자, 간병인 또는 요양보호사가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개인을 대리하여, 진단서, 약처방전, 또는 약봉지를 사진으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개인이 응급 환자일 때, 상기 응급 환자의 조치자인 응급 대원은 상기 식별 코드를 통하여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로부터 송신된 상기 응급 환자의 상기 개인의 개인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응급조치자용 휴대 단말기;
    상기 응급조치자용 휴대 단말기에 수신된 상기 응급 환자의 개인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승인 처리 여부를 판단하는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에 구비된 승인 처리부;
    상기 승인 처리부에서 승인된 경우, 상기 응급조치자용 휴대 단말기에 상기 응급조치자에 의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에 구비된 긴급 연락망 구동부;
    상기 긴급 연락망 구동부로부터 전송된 긴급 정보를 수신하는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는 응급 환자의 개인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와 연계된 보호자가 사용되도록 승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화재 센서, 활동 감지 센서, 개인의 몸에 부착되어 맥박, 체온을 감지하는 센서, 출입문 개폐 감지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는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에 센서 정보를 송신하며, 또한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에는 동작 상태 확인부, 응급 상황 119 신고 입력부, 멀티 미디어 콘텐츠 재생부, 치매 예방 뇌 운동 연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는 AI 알고리즘 서버, 건강 관리 서버, 및 모바일 헬스케어 플랫폼을 포함하며,
    상기 AI 알고리즘 서버는 개인의 상병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는 상병 상태 수집부, 거주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는 거주 상태 수집부, 건강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는 건강 상태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병 상태 데이터, 거주 상태 데이터, 건강 상태 데이터로부터 학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 가능한 개인 건강 정보를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건강관리 서버는 방문건강 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문건강 관리 정보 수집부, 건강 컨텐츠 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건강 컨텐츠 관리 정보 수집부, 건강 관리 서비스를 운영하는 웹을 포함하고,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에 방문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헬스케어 플랫폼은 헬스케어 디바이스에서 연동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서비스 이용자인 개인, 서비스 이용기관인 정부, 지자체 및 병원에 송수신하고,
    상기 헬스케어 디바이스는 혈당계로부터 측정된 혈당 데이터, 혈압계로부터 측정된 혈압 데이터, 체성분계로부터 측정된 체성분 데이터, 활동량계로부터 측정된 활동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데이터는 라이프로그 수집 앱을 통하여 수동 또는 능동적 데이터 입력방식으로 입력되어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는 음식 인식 AI 서버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음식 인식 AI 서버는 음식 이미지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음식 이미지 수집부, 음식의 종류 및 식사량을 음성으로 입력하여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는 음식 음성 데이터 수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로부터 학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 가능한 영양 정보 및 질병 위험 정보를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수집된 데이터는 라이프로그 수집 앱을 통하여 수동 또는 능동적 데이터 입력방식으로 입력되어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헬스케어 플랫폼은 대민 모바일 헬스케어 모듈, 헬스 케어 서비스 관리 모듈,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대민 모바일 헬스케어 모듈은 사용자 검진 예약부, 비만 관리 정보 관리부, 식단, 건강교육, 건강 상태의 맞춤서비스 관리부, 건강 우선 순위 관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헬스 케어 서비스 관리 모듈은 의사, 간호사, 영양사, 운동전무가, 코디네이터, 교사의 무선 단말기와 연동하는 디바이스 연동지원 웹, 헬스 케어 서비스 운영자, 컨텐츠 관리자, 콜센터의 무선 단말기와 연동되는 사업 관리지원 웹, 지역보건 의료 정보시스템과 연계된 보건소 관리자 웹을 구비하고,
    상기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모듈은 사용자 인증부, 동영상 스트리밍부, 비만관리부, 음식 인식 AI 엔진, 운동/식이프로그램 관리부, 질환예측 모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
  10.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개인의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 및 센서로부터 개인 활동 모니터링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개인의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 및 센서로부터 전송 받은 개인 활동 모니터링 데이터를 저장하며 관리하는 건강 관리자용 관리부;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개인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를 전송받아 대사증후군 관련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피드백 내용을 선정하는 사용자용 관리부;
    상기 선정된 피드백 내용을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에 채팅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며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채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용 서버.
  11. 개인 의료 정보 가방으로부터 수집된 개인의 생체 정보 및 개인 의료 정보를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실내에서 센서를 사용하여 개인 활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에서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개인의 생체 정보, 개인 의료 정보의 데이터 및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개인 활동 모니터링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개인의 생체 정보, 개인 의료 정보 데이터 및 센서로부터 전송 받은 개인 활동 모니터링 데이터를 저장하며 관리하는 단계;
    개인용 의료기기로부터 수집된 개인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를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용 관리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개인의 신체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대사증후군 관련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피드백 내용을 선정하는 단계;
    채팅 서버에서 상기 선정된 피드백 내용을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에 채팅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며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 제공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통합 관리 플랫폼에서 상기 건강 관리자용 관리 서버 및 사용자용 관리 서버와 연계되어 상기 건강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용 휴대 단말기에 진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 제공 방법.
KR1020200171957A 2020-12-10 2020-12-10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 서버 및 이의 제공 방법 KR102430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957A KR102430758B1 (ko) 2020-12-10 2020-12-10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 서버 및 이의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957A KR102430758B1 (ko) 2020-12-10 2020-12-10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 서버 및 이의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965A true KR20220082965A (ko) 2022-06-20
KR102430758B1 KR102430758B1 (ko) 2022-08-09

Family

ID=82257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957A KR102430758B1 (ko) 2020-12-10 2020-12-10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 서버 및 이의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7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R1010527B (el) * 2022-09-26 2023-08-17 Ομοιοστασις Α.Ε., Μεθοδος εξ αποστασεως ανιχνευσης, αξιολογησης και κατευθυνση της διαχειρισης της ανθρωπινης μεταβολικης λειτουργιας, μεσω φαινοτυπικης παρεμβασης, με χρηση μεταβολικων αλγοριθμων που ακτινογραφουν εις βαθος την μεταβολικη ομοιοστασια
CN117894476A (zh) * 2024-03-12 2024-04-16 西南医科大学附属医院 一种基于云数据的生殖健康管理系统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24418A1 (en) * 2005-04-01 2006-10-05 Valery Vinarov Medical services system and method
KR20120108543A (ko) 2011-03-24 2012-10-05 가천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사증후군을 위한 맞춤형 통합 스마트 헬스 케어 서비스 시스템
KR20130062464A (ko) * 2011-11-25 2013-06-13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신호수집을 위한 usn 기반의 통합의료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70954A (ko) 2011-12-20 2013-06-28 메타빌드주식회사 긴급 구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03163A (ko) 2012-06-29 2014-01-09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의료정보 공유방법
KR20170032705A (ko) 2015-09-15 2017-03-2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구조 시의 안전한 자동권한위임 방법
KR101798818B1 (ko) * 2017-02-09 2017-11-16 노드정보기술(주) 이동식 무선보안 화상의료장치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
KR20190007609A (ko) * 2017-07-13 2019-01-23 주식회사 티플러스 사물인터넷 기반 대화형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85649A (ko) 2018-01-11 2019-07-19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대사증후군 환자별 맞춤 운동 지원 및 모니터링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24418A1 (en) * 2005-04-01 2006-10-05 Valery Vinarov Medical services system and method
KR20120108543A (ko) 2011-03-24 2012-10-05 가천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사증후군을 위한 맞춤형 통합 스마트 헬스 케어 서비스 시스템
KR20130062464A (ko) * 2011-11-25 2013-06-13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신호수집을 위한 usn 기반의 통합의료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70954A (ko) 2011-12-20 2013-06-28 메타빌드주식회사 긴급 구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03163A (ko) 2012-06-29 2014-01-09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의료정보 공유방법
KR20170032705A (ko) 2015-09-15 2017-03-2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구조 시의 안전한 자동권한위임 방법
KR101798818B1 (ko) * 2017-02-09 2017-11-16 노드정보기술(주) 이동식 무선보안 화상의료장치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
KR20190007609A (ko) * 2017-07-13 2019-01-23 주식회사 티플러스 사물인터넷 기반 대화형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85649A (ko) 2018-01-11 2019-07-19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대사증후군 환자별 맞춤 운동 지원 및 모니터링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선행기술 4: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7권제4호 (2009.08.)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R1010527B (el) * 2022-09-26 2023-08-17 Ομοιοστασις Α.Ε., Μεθοδος εξ αποστασεως ανιχνευσης, αξιολογησης και κατευθυνση της διαχειρισης της ανθρωπινης μεταβολικης λειτουργιας, μεσω φαινοτυπικης παρεμβασης, με χρηση μεταβολικων αλγοριθμων που ακτινογραφουν εις βαθος την μεταβολικη ομοιοστασια
CN117894476A (zh) * 2024-03-12 2024-04-16 西南医科大学附属医院 一种基于云数据的生殖健康管理系统
CN117894476B (zh) * 2024-03-12 2024-05-14 西南医科大学附属医院 一种基于云数据的生殖健康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0758B1 (ko)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030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and tailored care management
Narasimha et al. Designing telemedicine systems for geriatric patients: a review of the usability studies
KR102558021B1 (ko) 임상 의사결정 지원 앙상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임상 의사결정 지원 방법
Botsis et al.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in telecare for elderly people suffering from chronic diseases
US20180137247A1 (en) Preventive and predictive health platform
Gandarillas et al. Merging current health care trends: innovative perspective in aging care
Chatterjee et al. eHealth initiatives for the promotion of healthy lifestyle and allied implementation difficulties
WO2005122033A1 (ja) 医療総合情報装置及び医療総合情報システム
CN102299952A (zh) 一种远程医疗系统及智能家居医疗系统
KR102234025B1 (ko)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104076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informal observations about a care recipient by caregivers
KR102430758B1 (ko)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 서버 및 이의 제공 방법
Sivaganesan et al. Informatics for neurocritical car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Ahmed et al. Intelligent healthcare services to support health monitoring of elderly
US20150356263A1 (en) Intelligent Health Home Monitoring System Supporting Congestive Heart Failure Self-Care
US11545261B2 (en) Hospital healthcare provider monitoring and verifying device and system for patient care condition
Monteiro et al. An overview of medical Internet of Thing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loud computing employed in health care from a modern panorama
Al Hemairy et al.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elderly healthcare monitoring in smart environment
Baig Smart vital signs monitoring and novel falls prediction system for older adults
Ramachandran et al. Patient-centered mobile apps for chronic disease management
KR20230115719A (ko) 원격 협진 시스템 및 방법
Peters et al. Towards a typology for telemedical services
Krishnasamy et al. An innovative outcome of internet of thing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remote centered healthcare application schemes
Menon et al. A visual framework for an iot-based healthcare system based on cloud computing
Shen et al. Toward a Nationwide Mobile‐Based Public Healthcare Service System with Wireless Sensor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