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2417A -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2417A
KR20220082417A KR1020200172309A KR20200172309A KR20220082417A KR 20220082417 A KR20220082417 A KR 20220082417A KR 1020200172309 A KR1020200172309 A KR 1020200172309A KR 20200172309 A KR20200172309 A KR 20200172309A KR 20220082417 A KR20220082417 A KR 20220082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module
information
data
mm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춘
김우현
신동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00172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2417A/ko
Publication of KR20220082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4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H02J3/1821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 H02J3/1835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with stepless control
    • H02J3/1842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with stepless control wherein at least one reactive element is actively controlled by a bridge converter, e.g. active fil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83Converters with outputs that each can have more than two voltages lev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10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s [FA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30Reactive power compen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은 서브 모듈, 서브 모듈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서브 모듈을 스위칭 제어하는 밸브 제어부 및 서브 모듈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하고, 밸브 제어부로부터 제2 정보를 수신하면,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시간 축에서 매칭시켜 저장하는 데이터 분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MULTI=LEVEL CONVERTER TYPE STATCOM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본 개시는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연 송전 시스템 또는 신전력 송전 시스템(FACTS, 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은 교류 전력 계통에 전력 전자 제어 기술을 도입하여, 전력 계통의 유연성을 증대시키는 운영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유연 송전 시스템은 전력용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송전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유연 송전 시스템은 송전 선로의 설비 이용률을 극대화하고, 송전 용량을 증대시키며, 전압 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FACTS기기 중 STATCOM(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은 선로에 병렬로 연계되어 무효전력을 보상함으로서 전압안정도를 개선하고 전력전송용량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갖는 설비이다.
초기 STATCOM의 컨버터는 2-레벨이나 3-레벨 컨버터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나, 대용량 전력 전송의 한계와 높은 스위칭 손실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후 대용량 IGBT 소자의 개발과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Modular Multi-level Converter: MMC)의 도입으로 대용량 송전이 가능하게 되었다.
MMC는 모듈화된 하프 브리지(Half-Bridge) 또는 풀 브리지(Full-Bridge) 인버터를 직렬로 연결하여 계단 형태의 정현파 전압을 형성한다. 따라서, 직렬 연결된 서브 모듈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대용량 송전이 가능하다.
한편, 종래 MMC는 각 서브 모듈의 커패시터 전압, IGBT 스위칭 정보 등 제어에 필요한 요약된 정보들만을 수집한다. 이는, 서브 모듈 개수가 시스템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에 이를 제어하는 상위제어기의 데이터 취합 및 관리의 물리적인 한계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 계통 사고나 내부 서브 모듈의 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정확한 고장 원인에 대해서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개시는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에서, 서브 모듈의 고장 발생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은 서브 모듈, 서브 모듈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서브 모듈을 스위칭 제어하는 밸브 제어부 및 서브 모듈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하고, 밸브 제어부로부터 제2 정보를 수신하면,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를 시간 축에서 매칭시켜 저장하는 데이터 분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는 서브 모듈의 로 데이터를 포함하고, 로 데이터는 서브 모듈 내부 전류 및 전압의 순시 값과 서브 모듈의 게이트 드라이브 전류 및 전압의 순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는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와 연결된 계통의 전류 및 전압의 순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 장치는 서브 모듈과 통신하는 통신부, 밸브 제어부가 서브 모듈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인 제2 주파수로 서브 모듈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해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수신하는 서브 모듈 데이터 수신부,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 모듈의 고장 원인을 분석하는 서브 모듈 고장 판단부 및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 모듈의 예상 잔여 수명을 판단하는 서브 모듈 수명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서브 모듈의 고장 원인을 분석한 분석 데이터 또는 서브 모듈의 예상 잔여 수명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서브 모듈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서브 모듈을 스위칭 제어하는 단계, 서브 모듈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브 모듈을 스위칭 제어하는 밸브 제어부로부터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는 서브 모듈의 로 데이터를 포함하고, 로 데이터는 서브 모듈 내부 전류 및 전압의 순시 값과 서브 모듈의 게이트 드라이브 전류 및 전압의 순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와 연결된 계통의 전류 및 전압의 순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모듈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밸브 제어부가 서브 모듈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인 제2 주파수로 서브 모듈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 모듈의 고장 원인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 모듈의 예상 수명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모듈의 상태 데이터를 고속 샘플링 주파수로 수신하며, 계통 데이터와 시간에 따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서브 모듈의 고장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유지 보수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MMC 방식의 STATCOM의 구성을 간단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 MMC 방식의 STATCOM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에 포함되는 서브 모듈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 MMC 방식의 STATCOM에서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석 장치를 포함하는 STATCOM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석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석 장치의 블록도 및 데이터 분석 장치를 포함하는 STATCOM에서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석 장치를 포함하는 STATCOM에서 데이터의 흐름을 시간 축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의 데이터 분석 장치가 동작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의 데이터 분석 장치가 동작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MMC 방식의 STATCOM의 구성을 간단하게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종래 MMC 방식의 STATCOM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MMC 방식의 STATCOM(100)은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Modular Multi-level Converter: MMC)를 사용하여 전류를 변환하는 무효 전력 보상 장치일 수 있다. MMC 방식의 STATCOM(100)은 다수(수십개~수백개)의 서브 모듈로 구성되어, 짧은 제어 주기(예를 들어, 100us~200us) 내에 서브 모듈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다음 제어 주기에 온/오프 되어야 할 서브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MC 방식의 STATCOM(100)은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110)와 상위 제어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110)는 복수개의 서브 모듈(115)을 스위칭 함으로써,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거나 교류를 직류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110)는 서브 모듈(115)의 턴 온(turn-on) 및 턴 오프(turn-off)의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종래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110)는 복수개의 서브 모듈(115)과 SMI(Sub-Module Interface, 114) 및 Valve Base Electronics(VBE, 1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서브 모듈(115)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3상(3-phase)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상에 연결된 복수개의 서브 모듈(115)은 하나의 클러스터(Cluster)를 구성할 수 있다. 클러스터(Cluster)는 실시 예에 따라, 밸브(Valve)로 명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110)는 3상 MMC로서, 3개의 클러스터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상, B상 및 C상의 3상 각각에 대해 A상 클러스터, B상 클러스터, C상 클러스터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서브 모듈(115)로 구성되는 클러스터는 전력 계통의 3상, 즉 A 상과 B 상 및 C상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SMI(114)는 복수개의 서브 모듈(115)과 연결되어, 서브 모듈로부터 서브 모듈의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SMI(114)는 각각의 서브 모듈(115)과 연결되어, 서브 모듈 각각으로부터 서브 모듈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종래 SMI(114)는 서브 모듈(115)로부터 제한된 데이터를 수신하였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VBE(113)는 상위 제어기(120)로부터 서브 모듈(115)을 제어하는 명령을 수신하여 서브 모듈(115) 또는 SMI(114)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VBE(113)는 밸브 제어부(113)로 명명될 수 있다.
상위 제어기(120)는 MMC 방식의 STATCOM(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위 제어기(120)는 STATCOM의 제어 및 보호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C&P(Control and Protection)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VBE(113)와 상위 제어기(120)를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 상위 제어기(120)는 VBE(113)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상위 제어기(120) 및 VBE(113)의 서브 모듈 제어 방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에 포함되는 서브 모듈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에 포함되는 서브 모듈(115)은, 전력 에너지를 저장하는 캐패시터, 전력 반도체 소자, 스위칭 소자 및 보호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캐패시터의 크기는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110)의 크기에 비례하여 설정될 수 있다. 캐패시터의 용량은 전압의 제곱에 비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서브 모듈(115)의 적정한 동작 전압이 설정될 수 있다.
보호 스위치는 서브 모듈(115)을 보호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보호 스위치는 바이 패스(By-Pass)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110)는 하나의 서브 모듈(115)에 발생한 고장으로 인해 시스템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분한 여분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따라서, 바이 패스 스위치는 고장난 서브 모듈(115)은 바이 패스시키고, 여분의 서브 모듈(115)을 동작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n번째 서브 모듈(Module n)은 n-1번째 서브 모듈(Module n-1) 및 n+1번째 서브 모듈(Module n+1)과 직렬로 연결된다. 이 경우, n-1번째 서브 모듈(Module n-1)로부터 입력된 전류는 n번째 서브 모듈(Module n)을 통해 n+1번째 서브 모듈(Module n+1)로 흐르게 된다. 이 경우, n번째 서브 모듈(Module n)은 두 개의 IGBT(T1, T2)와 캐패시터(C0) 및 보호 스위치(K1, K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서브 모듈(115)의 예시로 두 개의 IGBT(T1, T2)를 포함하는 하프 브리지 타입으로 도시하였지만, 서브 모듈(115)은 도 2와 같이 네 개의 IGBT(T1, T2, T3, T4)를 포함하는 풀 브리지 타입일 수 있다.
도 4는 종래 MMC 방식의 STATCOM에서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MMC방식의 STATCOM은 서브 모듈(115)에서 SMI(114)로 가공된 데이터만을 수신하였다. 가공 데이터는 서브 모듈(115) 내에서 1차적으로 필터링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종래에는 서브 모듈(115) 제어에 필요한 서브 모듈(115) 내 캐패시터 전압 정보와 서브 모듈(115)의 오류를 감지하는 오류 감지 데이터와 같은 가공 데이터만을 수신하였다. 이때, 오류 감지 데이터는 서브 모듈(115) 내부 또는 서브 모듈(115) 게이트 드라이브의 전류 값 또는 전압 값이 기준 값을 초과한 시간 및 횟수를 카운트하여 카운트된 값이 임계 값을 초과할 때에만 활성화되는 오류 비트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모듈(115) 내 과전류 감지 데이터는 서브 모듈(115) 내 과전류가 기준 값을 초과하고, 기준 값을 초과한 시간 및 횟수가 임계 값을 초과할 때에만 1로 활성화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DiDt(1/2/3/4)는 IGBT(게이트 드라이브) 단락 이벤트 감지 데이터이고, Desat4(1/2/3/4)는 IGBT GD(게이트 드라이브) 과전류 이벤트 감지 데이터이고, GateUV(1/2/3/4)는 IGBT GD(게이트 드라이브) 저 전압 이벤트 감지 데이터이고, Ack(1/2/3/4)는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 데이터이고, BPS는 서브 모듈 BPS의 저항 상태 데이터이고, SPS는 서브 모듈 파워장치 상태 정보 데이터이다.
이때, 서브 모듈(115)의 이상 전류 또는 이상 전압과 관련된 데이터인 DiDt(1/2/3/4), Desat4(1/2/3/4), GateUV(1/2/3/4) 및 AC(1/2/3/4)는 서브 모듈(115) 내부에서 일정 시간 내에 일정 횟수 이상 발생하는 경우에만 활성화된 비트 신호(예를 들어, 0 또는 1)로, SMI(114)를 통해 수신될 수 있었다.
따라서, 종래 SMI(114)는 이러한 서브 모듈(115) 내에서 1차 필터링 된 가공 데이터를 통해 서브 모듈(115)의 고장을 판단(15, Fault Mode Analysis)하고, 고장으로 판단된 경우 서브 모듈(115)의 고장을 알리는 2차 필터링(16, Data filtering & Merge)을 통해 상위 제어기(120)로 전송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데이터를 수신한 상위 제어기(120) 또는 상위 제어기(120)를 통해 서브 모듈(115)의 고장을 확인한 사용자가 서브 모듈(115)의 고장을 인식한 시점에는 2차 가공된 비트 데이터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서브 모듈(115)의 고장 원인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MMC 방식의 STATCOM의 구성을 도시한 제어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MMC 방식의 STATCOM(100)에 포함되는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110)는 서브 모듈(115)과 밸브 제어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서브 모듈(115)은 하나의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110) 내에 복수개가 포함될 수 있다.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110)의 밸브 제어부(113)는 상위 제어기(120)를 통해 수신한 서브 모듈(115)의 스위칭 제어 신호를 서브 모듈(115)로 전송하고, 복수개의 서브 모듈(115)을 스위칭시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거나,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밸브 제어부(113)는 데이터 분석 장치(200)를 통해 서브 모듈(115)로, 또는 서브 모듈(115)로 직접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밸브 제어부(113)는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110)에 연결된 전력 계통의 3상 각각에 대한 전류 및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서브 모듈(115)은 온 오프 되어, 전류를 충전 또는 방전 및 바이패스 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 장치(200)는 서브 모듈(115)로부터 복수개의 서브 모듈(115) 각각의 로 데이터(raw data)를 고속 샘플링 주파수로 수신할 수 있다. 로 데이터는, 서브 모듈(115)의 제어 및 관리에 필요한 서브 모듈(115) 관련 데이터를 가공하지 않은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석 장치(200)가 서브 모듈(115)로부터 수신하는 로 데이터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8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서브 모듈(115)은 상위 제어기(120), 밸브 제어부(113) 및 데이터 분석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되는 온 오프 명령에 따라 구동되고, 상기 온 오프 명령에 대응하여 로 데이터를 데이터 분석 장치(200)에 고속 샘플링 주파수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 장치(200)는 밸브 제어부(113)로부터 수신한 온 오프 명령을 대응되는 서브 모듈(115)에 전송하고, 대응되는 서브 모듈(115)로부터 수신한 로 데이터를 밸브 제어부(113) 또는 상위 제어기(120)에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 장치(200)가 밸브 제어부(113)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복수개의 서브 모듈(115)에 송신하는 경우, 데이터 분석 장치(200)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복수개의 서브 모듈(115) 각각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각각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설계에 따라, 서브 모듈(115)은 로 데이터를 데이터 분석 장치(200)에 직접 전송하지 않고, 상위 제어기(120)를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데이터 분석 장치(200)는 상위 제어기(120)로부터 서브 모듈(115)의 로 데이터를 고속 샘플링 주파수로 수신할 수도 있다.
데이터 분석 장치(200)는 서브 모듈(115), 다른 데이터 분석 장치(200), 밸브 제어부(113) 및 상위 제어기(120)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 분석 장치(200)는 서브 모듈(115), 밸브 제어부(113) 및 상위 제어기(120)와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 장치(200)는 밸브 제어부(113)로부터 밸브의 전류 및 전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분석 장치(200)는 밸브 제어부(113)로부터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110)에 연결된 전력 계통의 3상 각각에 대한 전류 및 전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 장치(200)가 수신하는 전력 계통 3상 각각에 대한 전류 및 전압 데이터를 계통 데이터로 명명한다. 계통 데이터는 전력 계통 3상 각각에 대한 전류 및 전압의 순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의 데이터 분석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의 데이터 분석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40), 메모리(250), 통신부(260), 프로세서(270), 디스플레이(280)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의 데이터 분석 장치(200)는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 외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4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프로세서(270)로 전달하거나, 프로세서(2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40)는, 전원키, 설정키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프로세서(270)에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데이터 분석 명령 또는 데이터 표시 명령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4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의 데이터 분석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40)를 통하여 선택한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28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250)는 서브 모듈(115)의 가공 데이터, 로 데이터, 밸브의 전류 데이터, 밸브의 전압 데이터, 계통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26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브 모듈(115)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60)는 서브 모듈(115) 외에 외부 기기의 통신부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260)는 외부 기기의 통신부로부터 소프트웨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서브 모듈(115)의 최신 소프트웨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의 데이터 분석 장치(2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석 장치의 블록도 및 데이터 분석 장치를 포함하는 STATCOM에서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석 장치를 포함하는 STATCOM에서 데이터의 흐름을 시간 축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석 장치(200)의 프로세서(270)는 서브 모듈 데이터 수신부(272), 서브 모듈 고장 판단부(274), 서브 모듈 수명 판단부(276), 딥러닝 추론부(27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한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브 모듈 데이터 수신부(272)는 통신부(260)를 통해 서브 모듈(115)의 가공 데이터와 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서브 모듈 데이터 수신부(272)는 서브 모듈(115)의 로 데이터만을 수신할 수도 있다.
로 데이터는 제어 및 관리에 필요한 서브 모듈(115) 관련 데이터를 가공하지 않은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데이터 분석 장치(200)는 종래 서브 모듈(115)에서 수신하는 가공 데이터(Filtered Data)에 더하여, 서브 모듈(115)에서 가공되지 않은 로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 데이터는 서브 모듈(115) 내부, 또는 서브 모듈(115)의 게이트 드라이브(GD)의 전류 및 전압 데이터의 순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 데이터는 IGBT Switching Data, IGBT Event Real Data, Analog Real Data, Digital Real Data, Module Product & Operating Data, Cluster Cur. Real Dat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IGBT Switching Data는 서브 모듈(115) 내 IGBT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IGBT Event Real Data는 서브 모듈(115) 내 IGBT 스위치의 전류 및 전압의 순시 값을 의미할 수 있고, Analog Real Data는 서브 모듈(115) 내부 전류 및 전압의 순시 값을 연속적인 형태로 나타낸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고, Digital Real Data는 서브 모듈(115) 내부 전류 및 전압의 순시 값을 디지털화 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고, Module Product & Operating Data는 서브 모듈(115)의 제조 일자 데이터, 서브 모듈(115)의 펌 웨어 버전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고, Cluster Cur. Real Data는 클러스터의 전류 순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데이터 분석 장치(200)는 이외에 서브 모듈(115)로부터 가공되지 않은 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로 데이터 수신과 관련하여, 도 8을 참조하면, MIRx는 상위 제어기(120), 밸브 제어부(113) 또는 데이터 분석 장치(200)로부터 서브 모듈(115)로 전송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나타내고, EnMITx는 서브 모듈(115)로부터 데이터 분석 장치(200)로 수신되는 수신 신호를 나타낸다.
종래에는 서브 모듈(115)로 스위칭 제어 신호(0)를 전송할 때에만 서브 모듈(115)로부터 1차 필터링 된 데이터(1, 가공 데이터)를 수신하였다. 이때, 서브 모듈(115)로 스위칭 제어 신호(0)를 전송하는 제어 주기는 약 100us임에도 불구하고, 서브 모듈(115)이 데이터(1, 가공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간은 약 10us에 불과했다. 또한, 서브 모듈(115)은 스위칭 제어 신호(0)를 수신할 때에만 가공 데이터(1)를 전송하였기 때문에, 종래 서브 모듈(115)은 스위칭 제어 주기인 제1 주기(예를 들어, 100us)로 데이터를 전송했다.
반면에, 본 개시의 데이터 분석 장치(200)는 서브 모듈(115)로 스위칭 제어 신호(0)를 전송할 때에만 서브 모듈(115)로부터 1차 필터링 된 데이터(1, 가공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아닌, 제어 주기 내에 서브 모듈(115)로부터 가공 데이터와 로 데이터(1, 2, 3, 4, 5, 6, 7, 8, 9, 10)를 모두 수신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서브 모듈(115)은 스위칭 제어 주기인 제1 주기(예를 들어, 100us)보다 빠른 제2 주기(예를 들어, 10us)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도 7로 돌아가서, 서브 모듈 고장 판단부(274)는 서브 모듈의 가공 데이터 및/또는 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브 모듈(115)에 고장이 발생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모듈 고장 판단부(274)는 서브 모듈의 가공 데이터 및/또는 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브 모듈(115)의 고장 발생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모듈 고장 판단부(274)는 가공 데이터, 로 데이터, 밸브 데이터, 계통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브 모듈(115)의 고장 발생 원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브 모듈 고장 판단부(274)는 수신한 가공 데이터, 로 데이터, 밸브 데이터, 계통 데이터를 시간 축에 매칭(Data synchronizer)시킬 수 있고, 클러스터 전류의 기울기 변화(Cluster Cur. Slope Calc)를 분석하여 서브 모듈(115)에 고장이 발생했는지 판단할 수 있고, 밸브 실패 모드 카운트(Valve Fault Mode Count)를 통해 서브 모듈(115)에 고장이 발생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모듈 고장 판단부(274)는 상술한 데이터와 서브 모듈 생산 데이터(Module Product Data)를 조합하여 서브 모듈(115)의 고장 원인을 분석할 수도 있다.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서브 모듈 고장 판단부(274)는 이외에도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해 서브 모듈(115)의 고장 판단 및 고장 원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서브 모듈 수명 판단부(276)는 서브 모듈의 가공 데이터 및/또는 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브 모듈(115)의 예상 잔여 수명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모듈 수명 판단부(276)는 가공 데이터, 로 데이터, 밸브 데이터, 계통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브 모듈(115)의 예상 잔여 수명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브 모듈 수명 판단부(276)는 서브 모듈(115)이 스위칭 주파수를 계산(IGBT Switching Freq Calc)하여, 서브 모듈(115)의 수명을 판단할 수 있고, 서브 모듈 수명 판단부(276)는 서브 모듈(115)이 스위칭 된 빈도수를 계산하여 서브 모듈(115)의 수명을 판단할 수 있고, 서브 모듈(115) 캐패시터의 전압 리플을 계산(VCAP Voltage Ripple Calc)하여, 서브 모듈(115)의 수명을 판단할 수 있고, IGBT 전력 손실을 게산(IGBT Power Loss Calc)하여, 서브 모듈(115)의 수명을 판단할 수 있고, 서브 모듈(115)의 작동 시간을 게산(Operation Use-Time Calc)하여, 서브 모듈(115)의 수명을 판단할 수 있고, 밸브 실패 모드 카운트(Valve Fault Mode Count)를 통해 서브 모듈(115)의 수명을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서브 모듈 수명 판단부(276)는 이외에도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해 서브 모듈(115)의 예상 수명을 판단 및 분석할 수 있다.
딥 러닝 추론부(278)는 서브 모듈 고장 판단부(274)와 서브 모듈 수명 판단부(276)에서 분석한 데이터를 기초로 딥 러닝을 수행하여 상술한 서브 모듈(115)의 고장 분석 및 예상 수명 분석을 강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는 본 개시의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의 데이터 분석 장치가 동작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프로세서(270)는 서브 모듈 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601).
프로세서(270)는 통신부(260)를 통해 서브 모듈(115)의 로 데이터를 고속 샘플링 주파수로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수신한 상기 로 데이터를 메모리(250)에 저장할 수 있다.
고속 샘플링 주파수란, 상위 제어기(120)에서 서브 모듈(115)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제어기(120)에서 서브 모듈(115)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주파수가 제1 주파수(예를 들어, 10^4hz)인 경우, 고속 샘플링 주파수는 제1 주파수보다 큰 제2 주파수(예를 들어, 10^5hz)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70)는 서브 모듈(115)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전송할 때에만 가공 데이터를 수신하는 종래 방식에 비해 더 많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로 데이터는, 전술하였던, 서브 모듈(115)의 제어 및 관리에 필요한 서브 모듈(115) 관련 데이터를 가공하지 않은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통신부(260)를 통해 로 데이터만을 수신할 수도 있고, 가공 데이터, 로 데이터, 밸브 데이터, 계통 데이터를 모두 수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70)는 통신부(260)를 통해 수신한 로 데이터, 가공 데이터, 밸브 데이터, 계통 데이터를 시간 축에서 매칭시켜 메모리(25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서브 모듈(115)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03).
전술한 것처럼, 프로세서(270)의 서브 모듈 고장 판단부(274)는 서브 모듈(115)의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서브 모듈(115)의 고장 발생 원인을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서브 모듈(115)의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서브 모듈(115)의 로 데이터와 계통 데이터를 시간 축에서 매칭시킨 분석 데이터를 메모리(250)에 저장할 수 있다(S605). 또한, 프로세서(270)는 서브 모듈(115)의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서브 모듈(115)의 로 데이터, 가공 데이터, 밸브 데이터 및 계통 데이터를 시간 축에서 매칭시킨 분석 데이터를 메모리(25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70)는 서브 모듈(115)의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시간의 소정 시간 전후의 서브 모듈(115)의 로 데이터와 계통 데이터를 메모리(25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0)는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서브 모듈(115)과 마지막으로 통신한 시점부터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시점까지 수신한 서브 모듈(115)의 로 데이터와 계통 데이터를 메모리(250)에 저장할 수 있다.
서브 모듈의 고장을 판단하는 단계 S603은 실시 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데이터 분석 장치(200)는 서브 모듈(115)의 고장 판단 없이, 상술한 로 데이터, 가공 데이터, 밸브 데이터, 계통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시간 축에서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으며, 서브 모듈(115)이 고장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데이터를 시간 축에서 매칭시켜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70)는 분석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는 표시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메모리(250)에 저장된 분석 데이터를 디스플레이(280)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분석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는 표시 명령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가 디스플레이(280)를 통해 상기 분석 데이터를 표시하면, 사용자는 분석된 서브 모듈(115)의 고장 원인을 수월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10은 본 개시의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의 데이터 분석 장치가 동작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프로세서(270)는 서브 모듈 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701).
프로세서(270)는 통신부(260)를 통해 로 데이터만을 수신할 수도 있고, 가공 데이터, 로 데이터, 밸브 데이터, 계통 데이터를 모두 수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70)는 서브 모듈(115)의 수명을 판단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703). 프로세서(270)는 서브 모듈(115)의 수명을 판단하도록 하는 명령을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저장된 서브 모듈 로 데이터를 통해 서브 모듈(115)의 잔여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S705).
프로세서(270)의 서브 모듈 수명 판단부(276)는 저장된 로 데이터, 가공 데이터, 밸브 데이터 및 계통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브 모듈(115)의 잔여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서브 모듈(115)의 예상 수명을 디스플레이(280)에 표시할 수 있다(S707). 프로세서(270)는 서브 모듈(115)의 예상 잔여 수명을 디스플레이(2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의 데이터 분석 장치(200)는 서브 모듈(115)의 상태 데이터를 고속 샘플링 주파수로 수신하며, 계통 데이터와 시간에 따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서브 모듈(115)의 고장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유지 보수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데이터 분석 장치
250: 메모리
260: 통신부
270: 프로세서

Claims (12)

  1. 서브 모듈;
    상기 서브 모듈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서브 모듈을 스위칭 제어하는 밸브 제어부; 및
    상기 서브 모듈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밸브 제어부로부터 제2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를 시간 축에서 매칭시켜 저장하는 데이터 분석 장치를 포함하는,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서브 모듈의 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로 데이터는 서브 모듈 내부 전류 및 전압의 순시 값과 상기 서브 모듈의 게이트 드라이브 전류 및 전압의 순시 값을 포함하는,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와 연결된 계통의 전류 및 전압의 순시 값을 포함하는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 장치는
    상기 서브 모듈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밸브 제어부가 상기 서브 모듈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인 제2 주파수로 상기 서브 모듈로부터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를 수신하는 서브 모듈 데이터 수신부;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모듈의 고장 원인을 분석하는 서브 모듈 고장 판단부; 및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모듈의 예상 잔여 수명을 판단하는 서브 모듈 수명 판단부를 포함하는,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 모듈의 고장 원인을 분석한 분석 데이터 또는 상기 서브 모듈의 예상 잔여 수명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
  7.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서브 모듈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서브 모듈을 스위칭 제어하는 단계;
    상기 서브 모듈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브 모듈을 스위칭 제어하는 밸브 제어부로부터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의 동작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서브 모듈의 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로 데이터는 서브 모듈 내부 전류 및 전압의 순시 값과 상기 서브 모듈의 게이트 드라이브 전류 및 전압의 순시 값을 포함하는,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의 동작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와 연결된 계통의 전류 및 전압의 순시 값을 포함하는,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의 동작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서브 모듈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밸브 제어부가 상기 서브 모듈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주파수보다 큰 주파수인 제2 주파수로 상기 서브 모듈로부터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의 동작 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모듈의 고장 원인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의 동작 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모듈의 예상 수명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200172309A 2020-12-10 2020-12-10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082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309A KR20220082417A (ko) 2020-12-10 2020-12-10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309A KR20220082417A (ko) 2020-12-10 2020-12-10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417A true KR20220082417A (ko) 2022-06-17

Family

ID=8226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309A KR20220082417A (ko) 2020-12-10 2020-12-10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24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4109B1 (en) Valve bas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modular multi-level convertor
JP6417043B2 (ja) 電力変換装置
JP5732494B2 (ja) 電力変換装置
EP2427959B1 (en) Method and arrangement to determine the cell capacitor voltage of a cell of a multi- cell power converter
EP3544171B1 (en) Power conversion device
GB25515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ult prediction of sub-module in flexibl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converter valve
US9866137B2 (en) Deviation compensation method of potential transformer
EP3125395B1 (en) Monitoring system for detecting error of harmonic filter in 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thereof
US9853558B2 (en) 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 transmission system to compensate for voltage values output from a plurality of potential transformers
EP2955530A1 (en) Deviation compensation method of potential transformer
US9654018B2 (en) Deviation compensation method of potential transformer
KR20220082417A (ko)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2046091A (zh) 用于控制dc-ac转换器的x射线设备
WO2013111269A1 (ja) 通信システム
KR101414887B1 (ko) 멀티 레벨 인버터 및 그 구동방법
KR102532149B1 (ko) 멀티레벨 컨버터의 실시간 데이터 분석 장치, 그의 동작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11495A (ko) 이중화 시스템을 갖는 제어 장치
KR102572441B1 (ko) 서브 모듈을 스위칭 제어하기 위한 vbe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
KR102639907B1 (ko) 멀티레벨 컨버터 방식의 statcom 시스템 및 동작 방법
CN104967110A (zh) 多电源并联供电系统
CN111123797A (zh) 一种煤矿监控系统电源管理系统及方法
JPWO2013111269A1 (ja) 通信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