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665A - Cat sand containing bentoni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Cat sand containing bentoni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665A
KR20220081665A KR1020200171410A KR20200171410A KR20220081665A KR 20220081665 A KR20220081665 A KR 20220081665A KR 1020200171410 A KR1020200171410 A KR 1020200171410A KR 20200171410 A KR20200171410 A KR 20200171410A KR 20220081665 A KR20220081665 A KR 20220081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a gel
bentonite
fibrous particles
pellets
b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4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재호
Original Assignee
(주)에스피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피엠씨 filed Critical (주)에스피엠씨
Priority to KR1020200171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1665A/en
Publication of KR20220081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6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01K1/0154Litter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양이 천연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천연벤토나이트에 고양이 대소변에서 나오는 악취를 제거위해 천연향을 0.3%, 활성탄 0.3% 혼합하여 악취제거 및 탈취효과를 극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모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at litter containing natural bentonite for cats, and more specifically, to natural bentonite with 0.3% of natural fragrance and 0.3% of activated carbon mixed with natural bentonite to remove odors from cat feces, maximizing the odor removal and deodorization effects It relates to cat litt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scription

천연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및 그 제조방법{Cat sand containing bentoni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Cat sand containing bentoni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고양이 천연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천연벤토나이트에 고양이 대소변에서 나오는 악취를 제거위해 천연향을 0.3%, 활성탄 0.3% 혼합하여 악취제거 및 탈취효과를 극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모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at litter containing natural bentonite for cats, and more specifically, to natural bentonite with 0.3% of natural fragrance and 0.3% of activated carbon mixed with natural bentonite to remove odors from cat feces, maximizing the odor removal and deodorization effects It relates to cat litt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고양이 모래는 반려 고양이의 대?소변을 처리하기 위한 반려동물 용품으로서 최근 반려동물 인구가 급증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고양이 모래가 개발되고 있다.Cat litter is a companion animal product for treating feces and urine of companion cats, and various types of cat litter are being developed as the population of companion animals has recently increased rapidly.

고양이 모래의 원료로는 종이, 벤토나이트 등 다양한 소재가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Various materials such as paper and bentonite are used as raw materials for cat litter.

특히, 벤토나이트의 경우 비용이 저렴하고 탈취성능이 뛰어나서 고양이 모래의 원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bentonite is widely used as a raw material for cat litter because of its low cost and excellent deodorizing performance.

그런데, 종래의 벤토나이트 고양이 모래는 응고시 큰 덩어리로 뭉쳐질 뿐 아니라 물에 녹지 않아 변기에 넣어서 처리할 수 없으며, 반드시 종량제 쓰레기 봉투에 넣어 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entonite cat sand not only aggregates into large lumps upon coagulation, but also does not dissolve in water, so it cannot be disposed of by putting it in the toilet, and there is a hassle of having to put it in a volume-rate waste bag to be disposed of.

게다가 종량제 봉투에 투입한 즉시 버릴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통상적으로는 종량제 봉투가 가득 찰 때까지 기다렸다가 폐기하기 때문에 그 기간 동안 악취가 발생하는 등 위생상 문제를 초래하기도 한다.In addition, it is not possible to throw it away immediately after putting it in the volume-based system, but it usually waits until the volume-rate bag is full and then discards it, which causes sanitary problems such as odor generation during that time.

(특허번호 0001) 특허출원번호 제10-1994-0010773호(Patent No. 0001) Patent Application No. 10-1994-001077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벤토나이트를 주원료로 하되, 천연향 및 활성탄을 포함하여 악취제거 및 탈취 효과를 극대화하고, 물에 잘 녹는 고양이 모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cat litter that has bentonite as a main raw material, but contains natural fragrance and activated carbon to maximize odor removal and deodorization effects, and dissolves well in water. .

특히, 충분히 흡수할 수 있을 정도의 소량의 수분이 가해지면, 인접한 벤토나이트 모래 펠렛이 서로 엉겨붙지만, 다량의 물에 투입하면 단시간에 쪼개져서 분리되는 성질을 갖는 벤토나이트 고양이 모래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In particular, when a small amount of moisture sufficient for absorption is applied, adjacent bentonite sand pellets agglomerate with each other, but when a large amount of water is added, it is split and separated in a short time It is an object to provide bentonite cat sand. .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은 건조 목재를 파쇄하여 비정형 섬유질 입자를 생성하는 단계, 교반기에 실리카겔 및 상기 비정형 섬유질 입자를 투입한 후 바인더를 분무한 후 교반하는 단계, 소정의 입자 크기로 분쇄된 입상 벤토나이트를 투입하여 교반함으로써 상기 실리카겔과 비정형 섬유질 입자의 사이 공간에 입상 벤토나이트를 충진시키는 단계 및 압출기로 이송하여 펠렛 형태로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producing cat sand containing benton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rushing dry wood to produce amorphous fibrous particles, silica gel and the amorphous fibrous particles in a stirrer, and then a binder A step of stirring after spraying,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silica gel and the amorphous fibrous particle by stirring by adding and stirring granular bentonite pulverized to a predetermined particle size, and transferring it to an extruder and extruding it in the form of pellets may include

여기서, 상기 압출하는 단계 이후, 상기 압출물에 바인더를 분무한 다음 분쇄된 활성탄 입자위로 굴리는 단계 및 건조로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after the step of extruding, spraying a binder on the extrudate and then rolling it over the pulverized activated carbon particles and drying in a drying furnace may be further included.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는 소정의 입자 크기로 파쇄된 입상 벤토나이트, 목재를 파쇄하여 획득된 비정형 섬유질 입자 및 실리카겔이 소정비율로 혼합되고 바인더에 의해 결합된 혼합층 및 상기 혼합층 외주면을 따라 부착된 다수의 활성탄 입자를 구비하되, 상기 비정형 섬유질 입자의 적어도 일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비정형 섬유질 입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혼합층 외부와 상기 실리카겔에 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at sand containing benton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xed layer in which granular bentonite crushed to a predetermined particle size, amorphous fibrous particles obtained by crushing wood, and silica gel are mixed in a predetermined ratio and bonded by a binder,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ixed lay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ctivated carbon particles attached along the, at least a portion of the amorphous fibrous particles have a shape extending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amorphous fibrous particles can be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mixed layer and the silica gel.

여기서, 상기 혼합층의 내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중공이 형성되되, 상기 비정형 섬유질 입자의 적어도 일부는 중공 내벽과 상기 실리카겔에 접할 수 있다.Here, one or more hollows are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mixed lay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amorphous fibrous particles may be in contact with the hollow inner wall and the silica gel.

또한, 상기 혼합층으로 수분이 공급됨에 따라, 공급된 수분은 상기 입상 벤토나이트와 상기 섬유질 입자를 따라 상기 실리카겔로 전달되며, 수분을 흡수한 상기 실리카겔이 팽창하여 외주면이 터짐에 따라 상기 혼합층이 상기 비정형 섬유질 입자를 따라 쪼개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moisture is supplied to the mixed layer, the supplied moisture is transferred to the silica gel along the granular bentonite and the fibrous particles, and as the silica gel absorbing moisture expands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bursts, the mixed layer contains the amorphous fibers It may be configured to cleave along the particle.

본 발명에 의한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및 그 제조방법은 수분이 소량 가해지면 바인더가 녹아서 인접한 벤토나이트 펠렛들끼리 용이하게 엉겨 붙음에 따라, 고양이의 분변을 쉽게 골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Cat litter containing benton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have the effect of easily selecting and processing cat feces as the binder melts and the adjacent bentonite pellets easily agglomerate when a small amount of moisture is added.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를 물에 투입했을 때 실리카겔이 터지면서 섬유질 입자를 따라 쪼개져서 분리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분변을 제외한 펠렛 부분이 산산히 분해되기 때문에, 간단히 변기에 넣어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cat litter containing benton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ut into water, silica gel bursts and splits along fibrous particle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고양이 모래는 천연벤토나이트에 천연향 및 활성탄 코팅을 하여 악취를 제거하고 항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dditionally, the cat san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moving odors and antibacterial by coating natural bentonite with natural fragrance and activated carb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한 플로우차트,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양이 모래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는 참고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고양이 모래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펠렛화 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고양이 모래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양이 모래 펠렛을 물에 투입했을 때 쪼개지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중공이 형성된 본 발명에 의한 고양이 모래 펠렛을 물에 투입했을 때 쪼개지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ducing cat litter containing benton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time-series manner;
Figure 2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cat litter shown in Figure 1,
3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cat l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cat litter pelletized and hollow formed therei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5 is a view showing the splitting process when the cat sand pell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ut into water;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splitting process when the cat sand pell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with a hollow is put into wat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on the premise that they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en it is said that any one component "includes" another component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invention, it is not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nly the component, unless otherwise stated,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ore may be included.

이하에서는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및 그 제조방법이 구현된 일 예를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cat litter containing bentonit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implemented will be described through specific example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벤토나이트(140)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한 플로우 차트로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1단계는 건조 목재를 파쇄하여 비정형 섬유질 입자(110)를 생성하는 단계(S1100)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ducing cat litter containing bentonite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time-series manner.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the first step is to crush dry wood to produce amorphous fibrous particles 110 . It is a step (S1100).

건조된 목재를 목재파쇄기에 투입하여 파쇄하는 것에 의해 비정형 섬유질 입자(110)를 생성한다.Amorphous fibrous particles 110 are generated by crushing the dried wood into a wood crusher.

여기서, 비정형이란 특별한 형상을 가지지 않는다는 의미로, 특히 입상이 아니라는 의미이다.Here, atypical means that it does not have a special shape, in particular that it is not granular.

우드칩이어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지도록 결을 따라 갈라지도록 충격하여 파쇄한다.Wood chips may be used, but preferably, they are crushed by impact so as to be split along the grain so as to have a shap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길이는 대략 3mm 내지 10mm 가량의 크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ength is preferably to have a size of about 3mm to 10mm.

2단계는 교반기에 실리카겔(120) 및 상기 비정형 섬유질 입자(110)를 투입한 후 바인더를 분무한 후 교반하는 단계(S120)이다.Step 2 is a step (S120) of adding silica gel 120 and the amorphous fibrous particles 110 to the stirrer, spraying the binder, and then stirring (S120).

상기 단계(S120)에서 실리카겔(120)과 섬유질 입자(110)가 성기게 듬성듬성하게 엉겨 붙게 되면서, 대부분의 실리카겔(120)은 다수의 섬유질 입자(110)와 접하게 된다.As the silica gel 120 and the fibrous particles 110 are sparsely agglomerated in the step S120 , most of the silica gel 1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fibrous particles 110 .

도 2의 (b)를 참조하면, 교반단계(S120)를 거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섬유질 입자(110) 사이사이에 둥근 형태의 실리카겔(120)이 결합하고, 섬유질 입자(110)가 비정형으로서 서로 일치하는 모양이 아닌데다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바, 사이사이에 공간부(130)가 많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ure 2 (b), the silica gel 120 in a round shape is combined between the fibrous particles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ing through the stirring step (S120), and the fibrous particles 110 are It is irregular and does not match each other and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arge amount of space 130 is formed between the bars.

3단계는 소정의 입자 크기로 분쇄된 입상 벤토나이트(140)를 투입하여 교반함으로써 상기 실리카겔(120)과 비정형 섬유질 입자(110)의 사이 공간에 입상 벤토나이트(140)를 충진시키는 단계이다.Step 3 is a step of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silica gel 120 and the amorphous fibrous particles 110 by adding the granular bentonite 140 pulverized to a predetermined particle size and stirring the granular bentonite 140 .

벤토나이트(140)는 운모와 같은 결정구조를 하는 단사정계에 속하는 광물인 몬모릴로나이트가 주로 들어있는 점토를 말하며, 상기 벤토나이트는 곱게 분쇄하여 입상으로 준비한다.Bentonite 140 refers to clay mainly containing montmorillonite, a mineral belonging to a monoclinic system having a crystal structure like mica, and the bentonite is finely pulverized to prepare granules.

분쇄된 벤토나이트(140)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함께 교반을 실시하는데, 교반과정에서 실리카겔(120)과 섬유질 입자(110) 사이의 공간에 입상의 벤토나이트(140)가 채워진다.The pulverized bentonite 140 is put into the stirrer and stirred together. In the stirring process, the granular bentonite 140 is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silica gel 120 and the fibrous particles 110 .

도2의 (c)는 섬유질 입자(110)들이 형성한 공간부(130)에 분쇄된 입상 벤토니이트들이 채워진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2 (c) shows a shape in which the pulverized granular bentonite is filled in the space portion 130 formed by the fibrous particles 110 .

상기 벤토나이트(140)의 비율은 총 중량에서 50~70 중량%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of the bentonite 140 is 50 to 7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나머지 30~50 중량%는 섬유질 입자(110)와 실리카겔(120)이 차지하는데, 대략 7:3 내지 8:2 중량비의 비율로 투입함이 바람직하다.The remaining 30-50% by weight is occupied by the fibrous particles 110 and the silica gel 120, and is preferably added in a ratio of approximately 7:3 to 8:2 by weight.

4단계는 내부에 입상 벤토나이트(140)가 충분히 채워지면 압출기로 이송하여 펠렛 형태로 압출하는 단계이다.Step 4 is a step of extruding into pellet form by transferring it to an extruder when the granular bentonite 140 is sufficiently filled therein.

3단계에서 각 재료들을 충분히 교반하면, 바인더의 점성에 의해 반죽 형태를 띄게 된다.If each material is sufficiently stirred in step 3, it will take on a dough form due to the viscosity of the binder.

상기 반죽 형태의 혼합물을 압출기에 투입하여 펠렛 형태로 압출한다.The mixture in the form of dough is put into an extruder and extruded in the form of pellets.

도 2의 (d)는 상기 반죽 형태의 혼합물이 압출기에 투입되어 압출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2 (d) is a view showing that the mixture in the form of dough is introduced into the extruder and extruded.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섬유질 입자(110) 주변으로 실리카겔(120)이 붙어있고, 섬유질 입자(110)가 형성하는 공간부(130)에 벤토나이트(140)가 채워져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silica gel 120 is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the fibrous particles 110 , and the bentonite 140 is filled in the space 130 formed by the fibrous particles 110 .

이 때, 압출된 팰릿의 중앙부 내부에 중공(150)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데, 도 4는 펠렛화 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중공(150)이 형성된 고양이 모래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At this time, the hollow 150 part can be formed inside the central part of the extruded pallet, and FIG. 4 shows the shape of the cat litter pelletized and the hollow 150 formed therei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중공(150)부 물과 접촉면적을 넓게 하여 수분흡수를 빠르게 하기 위함도 있으나 이는 이미 동종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인 반면, 펠렛 내부에 박혀있는 실리카겔(120)과 물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물에 투입했을 때 펠렛이 쪼개지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함도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고유한 특징으로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hollow 150 part is also intended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water to speed up moisture absorption, but this is a technique commonly used in the same industry, whereas silica gel embedded in the pellet (120) There is also to minimize the distance between the water and the pellets to shorten the splitting time when put in water, which can be seen as a uniqu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압출하는 단계(S140) 이후, 상기 압출물에 바인더를 분무한 다음 분쇄된 활성탄 입자위로 굴리는 단계(S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extruding step (S140), 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S15) of spraying a binder on the extrudate and then rolling it over the pulverized activated carbon particles.

활성탄은 탄소를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는 물질, 예를 들면 석탄, 코코넛, 견과류의 껍질, 이탄 또는 토탄, 나무, 갈탄 등을 800~1100 ℃ 의 온도범위에서 일어나는 탄소의 산화반응으로 탄화물의 표면을 침식시켜 탄화물의 미세공 구조를 발달시키는 공정으로 제조한다.Activated carbon erodes the surface of carbides by oxidation reaction of carbon in materials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carbon, such as coal, coconut, nut shells, peat or peat, wood, and lignite in the temperature range of 800 to 1100 ° C. It is manufactured by a process that develops the micropore structure of the carbide.

활성탄의 용도는 일반적으로 액체와 가스의 정화에 있다. 실례로, 냉장고의 탈취제나 공기청정기의 흡수제, 정수기 등의 필터, 여과지와 같이 공기 속이나 물 속에서의 악취 물질, 착색 물질을 제거하는 데에 활용된다.The use of activated carbon is generally in the purification of liquids and gases. For example, it is used to remove odorous substances and coloring substances in air or water, such as a deodorant in a refrigerator, an absorbent in an air purifier, a filter in a water purifier, and filter paper.

본 발명에서 활성탄은 본 발명에 의한 고양이 모래로 반려 고양이의 배설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배설물의 악취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ivated carbon serves to remove the odor of excrement in the process of treating the excrement of a companion cat with cat l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후, 상기 압출물을 건조로에서 건조시키는 단계(S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reafter, the step of drying the extrudate in a drying furnace (S160)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압출물을 충분히 건조시켜, 내부에 충분한 공극이 생기도록 한 후, 유통 과정에서 부스러지지 않도록 압축 포장해서 출하한다.After the extrudate is sufficiently dried so that sufficient voids are formed therein, it is compressed and packaged so as not to be crushed in the distribution process and shipped.

한편, 상기에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벤토나이트(140)를 포함하는 고양이 모래는 공정의 특성상 모든 실리카겔(120)은 섬유질 입자(110)에 접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cat sand containing bentonite 140 produced by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n contact with the fibrous particles 110 due to the nature of the process.

즉, 다수의 섬유질 입자(110)들이 서로 겹쳐져서 실리카겔(120)까지 연결되어 있는 구조가 되는데, 이는 도 3에 펠렛 형태로 압출된 고양이 모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에 잘 나타나 있다.That is, a plurality of fibrous particles 11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o form a structure in which the silica gel 120 is connected, which is well illustrated in FIG.

섬유질 입자(110)과 실리카겔(120) 사이에 입상 벤토나이트(140) 를 채운 다음 압출하기 때문에 물에 집어넣으면 섬유질 입자(110)를 따라서 물이 흡수되어 실리카겔(120)까지 전달되는 구조가 된다.Since the granular bentonite 140 is filled and then extruded between the fibrous particles 110 and the silica gel 120, when it is put in water, the water is absorbed along the fibrous particles 110 and delivered to the silica gel 120.

여기서, 실리카겔(120)은 수분을 흡수하면 수분을 흡수한 바깥쪽 부분부터 터져서 균열이 생기게 되는데, 이에 의해 펠렛 내부에서 작은 균열이 생기면서, 섬유질 입자(110)를 따라서 쪼개지게 되면서 고양이 모래가 분해되는 것이다.Here, when the silica gel 120 absorbs moisture, cracks are generated from the outer part that absorbs moisture, whereby small cracks are generated inside the pellet, and the cat sand is decomposed as it is split along the fibrous particles 110 will become

수분을 흡수하는 과정은 1) 고양이 소변을 흡수 경우와 2) 변기에 넣었을 경우로 나눠서 설명 가능하다.The process of absorbing water can be explained by 1) absorbing cat urine and 2) putting it into the toilet.

1) 고양이 소변을 흡수하는 경우1) Absorbing cat urine

고양이의 소변은 인접한 다수의 펠렛에 흡수되는데, 이 때 소변은 벤토나이트(140) 입자와 섬유질을 따라 흡수되게 되고, 일부는 실리카겔(120)로 흡수된다.Cat's urine is absorbed into a plurality of adjacent pellets. At this time, the urine is absorbed along the bentonite (140) particles and fibers, and a portion is absorbed into the silica gel (120).

한편, 수분을 흡수한 펠렛의 표면의 바인더, 여기서 바인더는 바람직하게는 전분일 수 있으며, 상기 전분은 점성을 회복하게 되고 점성에 의해 인접한 펠렛들끼리 뭉쳐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binder on the surface of the pellets absorbing moisture, wherein the binder may be preferably starch, and the starch recovers the viscosity and the adjacent pellets are agglomerated by the viscosity.

하지만, 내부의 충분한 공극과 실리카겔(120)에 의해 수분은 온전하게 흡수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한 채 수분을 흡수한 펠렛들끼리만 점성에 의해 뭉쳐지는 것이다.However, moisture is completely absorbed by the sufficient pores and the silica gel 120 inside, and only the pellets that have absorbed moisture while maintaining a dry state are agglomerated by viscosity.

2) 변기에 넣었을 경우2) If you put it in the toilet

그러나 변기에 넣었을 경우에는 상황이 달라지게 된다.But when you put it in the toilet, things are different.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양이 모래 펠렛을 물에 투입했을 때 쪼개지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splitting process when the cat sand pell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ut into water.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변기에 넣는 경우에는 이는 펠렛 내부의 공극에 충분히 수용할 수 없는 많은 양의 물이 공급되는 상황이 되는 것인데, 공급된 수분은 주로 섬유질 입자(110)에 의해 형성되는 경로를 따라 실리카겔(120)까지 직접 공급된다.Referring to this, when it is put into the toilet, this is a situation in which a large amount of water that cannot be sufficiently accommodated in the pores inside the pellet is supplied, and the supplied moisture is mainly formed by the fibrous particles 110. Accordingly, it is directly supplied to the silica gel 120 .

특히 섬유질 입자(110)는 섬유질 입자(110) 준비 단계(S110)에서 목재가 파쇄될 당시 결을 따라 파쇄되기 때문에 수분 이송경로로 탁월하다.In particular, since the fibrous particles 110 are crushed along the grain at the time the wood is crushed in the fibrous particle 110 preparation step (S110), it is excellent as a moisture transport path.

따라서, 물이 공급되자 마자 섬유질 입자(110)를 타고 물이 실리카겔(120) 표면으로로 전달된다.Therefore, as soon as water is supplied, the water rides on the fibrous particles 110 and is transferred to the surface of the silica gel 120 .

이 때, 순간적으로 많은 양의 수분을 흡수함에 따라 실리카겔(120)의 외부에서 균열이 생기게 된다. 실제로 ‘딱딱’하는 파열음을 내면서 실리카겔(120)의 바깥쪽 부분이 쪼개지는 현상이 발생한다.At this time, as a large amount of moisture is absorbed instantaneously, cracks are generated on the outside of the silica gel 120 . In fact, a phenomenon in which the outer part of the silica gel 120 is split occurs while making a 'tick' plosive sound.

이후, 상기 발생된 실리카겔(120) 표면의 균열은 섬유질 입자(110)로 전달되어, 섬유질 입자(110)를 중심으로 펠렛이 갈라지게 되는 것이다.Thereafter, the generated cracks on the surface of the silica gel 120 are transferred to the fibrous particles 110 , and the pellets are split around the fibrous particles 110 .

한편, 바인더가 물에 녹아서 섬유질과 벤토나이트(140), 실리카겔(120)의 결합상태가 느슨해지는데 이때 실리카겔(120) 표면 균열이 섬유질 입자(110)를 따라 전달됨으로써 도 5와 같이 쪼개짐으로서 고양이 모래 팰릿이 변기 내에서 분해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the binder is dissolved in water, the bonding state between the fibers, bentonite 140, and silica gel 120 is loosened. It will decompose in the toilet.

한편, 또 다른 변형예로, 팰릿 내부에 중공(150)을 형성할 수도 있다.Meanwhile, as another modification, the hollow 150 may be formed inside the pallet.

보다 구체적으로, 내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중공(150)이 형성되되, 섬유질 입자(110)의 적어도 일부는 중공(150) 내벽과 상기 실리카겔(120)에 접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one or more hollow 150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ins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brous particle 11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hollow 150 and the silica gel 120 .

도 6은 중공(150)이 형성된 본 발명에 의한 고양이 모래 펠렛을 물에 투입했을 때 쪼개지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6 is a view showing the process of splitting when the cat sand pe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hollow 150 is formed is put into water.

중공(150)을 형성을 해두면 중공(150) 내벽과 실리카겔(120)까지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된다.When the hollow 150 is formed,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hollow 150 and the silica gel 120 becomes closer.

즉, 물에 집어넣었은 시점으로부터 실리카겔(120) 표면의 균열이 일어나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further shorten the time from when it is put in water until the cracks on the surface of the silica gel 120 start to occur.

동시에, 물에 닿는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같은 시간 내에 실리카겔(120)에 전달되는 물의 양이 많아지기도 한다.At the same time, the amount of water transferred to the silica gel 120 within the same time may increase because the area in contact with water is increased.

이에 따라, 물에 집어넣자마자 쪼개져서 빠른 속도로 분해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as soon as it is put in water, it is split and has the effect of decomposing at a high speed.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reviewed through the above several embodiment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It is apparent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variously modify or chang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even if not explicitly shown or described,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including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lf-evident, which still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110 : 섬유질 입자
120 : 실리카겔
130 : 공간부
140 : 벤토나이트
150 : 중공
110: fibrous particles
120: silica gel
130: space part
140: bentonite
150: hollow

Claims (1)

(a) 건조된 목재를 파쇄하여 비정형 섬유질 입자(110)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비정형 섬유질 입자(110)와 실리카겔(120)를 교반기에 투입하고, 바인더를 분무한 후 교반하는 단계;
(c) 소정의 입자 크기로 분쇄된 입상 벤토나이트(140)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의 결과물을 압출기로 이송하여 펠렛 형태로 압출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생성된 압출물에 바인더를 분무한 후, 분쇄된 활성탄 입자위로 굴리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의 결과물을 건조로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목재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지도록 결을 따라 갈라지도록 충격하여 파쇄되며,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비정형 섬유질 입자(110)와 상기 실리카겔(120)의 투입 비율은 7:3 내지 8:2 중량비로 설정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벤토나이트(140)의 투입 비율은 총 중량의 50~70 중량% 로 설정되며,
상기 (d) 단계에서 생성된 압출물은, 상기 비정형 섬유질 입자(110) 주변으로 실리카겔(120)이 붙어 있고, 상기 비정형 섬유질 입자(110)가 형성하는 공간부(130)에 벤토나이트(140)가 채워지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d) 단계에서 생성된 압출물은,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중공(150)이 형성되며,
상기 (e) 단계에서 이용되는 활성탄은 800~1100 ℃ 의 온도범위에서 일어나는 탄소의 산화반응으로 탄화물의 표면을 침식시켜 탄화물의 미세공 구조를 생성시키는 공정으로 제조되며,
상기 (f) 단계의 결과물은, 배설물의 수분이 접촉하면 펠렛 표면의 바인더 점성에 의해 인접한 펠렛들끼리 뭉쳐지며, 수분이 상기 실리카겔(120)에까지 공급되면 상기 실리카겔(120)에 균열이 발생하고, 상기 균열이 상기 비정형 섬유질 입자(110)로 전달되어 펠렛이 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의 제조방법.
(a) generating amorphous fibrous particles 110 by crushing the dried wood;
(b) adding the amorphous fibrous particles 110 and silica gel 120 to a stirrer, spraying a binder, and then stirring;
(c) adding and stirring the granular bentonite 140 pulverized to a predetermined particle size;
(d) transferring the resultant of step (c) to an extruder and extruding it in the form of pellets;
(e) after spraying the binder on the extrudate produced in step (d), rolling over the pulverized activated carbon particles; and
(f) drying the resultant of step (e) in a drying furnace;
In step (a), the wood is crushed by impact so as to be split along the grain to have a shap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step (a), the input ratio of the amorphous fibrous particles 110 and the silica gel 120 is set to a weight ratio of 7:3 to 8:2,
In step (c), the input ratio of the bentonite 140 is set to 50 to 70%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In the extrudate produced in step (d), silica gel 120 is attached around the amorphous fibrous particle 110, and bentonite 140 is formed in the space 130 formed by the amorphous fibrous particle 110. has a filled structure,
In the extrudate produced in step (d), one or more hollows 150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ctivated carbon used in step (e) is prepared by a process of eroding the surface of the carbide by oxidation reaction of carbon that occurs in a temperature range of 800 to 1100 ° C. to create a micropore structure of the carbide,
As a result of step (f), when the moisture of the excrement comes into contact, adjacent pellets are agglomerated by the binder viscosity on the surface of the pellets, and when moisture is supplied to the silica gel 120, the silica gel 120 cracks, The method for producing cat litter containing bentonit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acks are transferred to the amorphous fibrous particles 110 and the pellets are decomposed.
KR1020200171410A 2020-12-09 2020-12-09 Cat sand containing bentoni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2200816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410A KR20220081665A (en) 2020-12-09 2020-12-09 Cat sand containing bentoni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410A KR20220081665A (en) 2020-12-09 2020-12-09 Cat sand containing bentoni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665A true KR20220081665A (en) 2022-06-16

Family

ID=82217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410A KR20220081665A (en) 2020-12-09 2020-12-09 Cat sand containing bentoni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166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773A (en) 1992-10-26 1994-05-26 다까노 야스아끼 Delay circu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773A (en) 1992-10-26 1994-05-26 다까노 야스아끼 Delay circu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4118B1 (en) Method for producing sorbents on the basis of a cellulose-containing material and clay minerals
US6029603A (en) Animal litter comprising gypsum and aluminum sulfate and processes of making same
US7527019B2 (en) Method of producing clumping animal litter composition and the composition
KR102042458B1 (en) Cat litter made of bentoni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260511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bsorbent materials
KR20190120530A (en) Cat litter made of soy bean pure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H1132608A (en) Excrement-treating material for pet and its production
AU2003239133A8 (en) Animal litter and methods of fabricating same
JP3288247B2 (en) Animal manure processing / deodorizing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632206B2 (en) Granular excrement disposal material
KR20220081665A (en) Cat sand containing bentoni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A2204657C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bsorbent materials
WO2001019177A1 (en) Process for producing a flushable, clumpable, dustless sepiolite cat litter
JP5075751B2 (en) Method for producing excrement disposal material for pet
JP2012213366A (en) Toilet sand for pet
JP2001204288A (en) Excreta treating material for animal
JP2001095410A (en) Disposal treatment material for cat and dog excreta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13244478A (en) Porous and solid water/odor adsorb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573794B2 (en) Pet toilet sand
JPH099810A (en) Material for disposing dropping of pet (dog and cat) and its production
JPH099809A (en) Material for disposing droppings of pet (dog and cat) and its production
KR102427659B1 (en) Extruded granular absorbent
RU2198729C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bsorbing material (options), absorbing material (options), and a liquid absorption method
JPH10165026A (en) Pet excreta absorptive material
JP2005040048A (en) Placing sand for anim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