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602A - 경혈 자극 및 림프순환에 의한 부종 및 통증 완화 밴드 - Google Patents

경혈 자극 및 림프순환에 의한 부종 및 통증 완화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602A
KR20220081602A KR1020200171265A KR20200171265A KR20220081602A KR 20220081602 A KR20220081602 A KR 20220081602A KR 1020200171265 A KR1020200171265 A KR 1020200171265A KR 20200171265 A KR20200171265 A KR 20200171265A KR 20220081602 A KR20220081602 A KR 20220081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relief band
fixing part
relief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유
Original Assignee
김진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유 filed Critical 김진유
Priority to KR1020200171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1602A/ko
Publication of KR20220081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6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61F2007/0228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with belt or strap, e.g. with buc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61F2007/0228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with belt or strap, e.g. with buckle
    • A61F2007/02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with belt or strap, e.g. with buckle with pockets for receiving packs or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57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a heat accumulator, e.g. a sand or liquid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7Breathability of th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부종 및 통증 완화를 위한 완화 밴드에 있어서, 상기 완화 밴드는, 제1고정부; 제2고정부;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한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는 서로 연결되어 사용자를 고정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 부위에 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경혈을 자극하는 하나 이상의 패치가 부착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패치는 상기 사용자의 림프절과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혈 자극 및 림프순환에 의한 부종 및 통증 완화 밴드{Swelling and pain relief band due to acupuncture stimulation and lymph circulation}
본 발명은 경혈 자극 및 림프순환에 의한 부종 및 통증 완화 밴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직장과 일상에서 스마트폰과 컴퓨터의 장시간 이용, 좋지 않은 생활 습관의 고착화 등으로 손목과 발목을 비롯한 신체의 여러 부위에 피로의 누적으로 인한 부종과 통증을 느끼며 생활하고 있다. 그러나 벗어나기 힘든 업무
와 바쁜 생활 환경으로 때문에 병원을 방문하여 그 부종과 통증을 치료하기 어렵다. 현대인들이 업무와 일상에서 겪게 되는 부종과 통증으로부터 해방되어 즐겁고 활기찬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손목과 발목을 비롯한 몸의 각 부위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부종과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도구들이 필요하다.
현대인들이 부종과 통증 치료를 위해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시간과 경비를 절약하고 본인 스스로 부종과 통증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고 관리할 수 있는 밴드가 필요함은 당연하다 하겠다.
본 발명은 손목과 발목을 비롯한 신체 각 부위의 부종과 통증을 경혈 자극을 통해 완화시키고 이러한 기능을 사용자가 보다 쉽게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밴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경혈 자극 및 림프순환에 의한 부종 및 통증 완화 밴드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경혈 자극 및 림프순환에 의한 부종 및 통증 완화 밴드는, 부종 및 통증 완화를 위한 완화 밴드에 있어서, 상기 완화 밴드는, 제1고정부; 제2고정부;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한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는 서로 연결되어 사용자를 고정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 부위에 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경혈을 자극하는 하나 이상의 패치가 부착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패치는 상기 사용자의 림프절과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제1벨크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1고정부와 결합되는 제2벨크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벨크로 및 상기 제2벨크로는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목받침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손목받침부는, 실리콘패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패치는 서로 다른 크기의 패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냉패드 또는 온패드를 부착할 수 있는 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 또는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공기 주입이 가능한 공기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공기 주입부를 통한 공기 주입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완화 밴드는 통기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밀착되도록 반 절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혈 자극을 통하여 신체 각 부위의 부종과 통증을 경혈 자극을 통해 완화시키고 경감시키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화 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화 밴드에 냉/온 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이 가능한 완화 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화 밴드를 사용자가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완화 밴드에 경혈 자극을 위한 패치가 부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혈 자극을 위한 패치를 사용자가 부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혈 자극을 위한 패치는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혈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구성 및 공지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화 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완화 밴드의 내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완화 밴드는, 제1고정부(110a, 110b), 본체부(120), 제2고정부(130a, 130b)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완화 밴드는 통기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질은 샌드위치 메쉬 원단일 수 있다. 이때, 샌드위치 메쉬 원단은 사용자가 완화 밴드를 착용하였을 때 불편한 느낌이 들지 않는 두께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샌드위치 메쉬 원단의 두께는 3.5mm일 수 있다. 물론 메쉬 원단의 두께는 3.5mm가 아닌 다른 두께로 제작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구체적으로, 완화 밴드의 제1고정부(110a, 110b)는 완화 밴드를 사용자의 사용 부위에 고정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본체부(120)의 한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고정부(110a, 110b)는 본체부(120)가 사용자의 사용 부위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제2고정부(130a, 130b)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고정부(110a, 110b)와 제2고정부(130a, 130b)는 벨크로 소재로 구성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고정부(110a, 110b)와 제2 고정부(130a, 130b) 각각에 서로 점착성 있는 재질이 추가 부착되어 상기 점착성 있는 재질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완화 밴드를 사용 부위에 부착하였을 때 제1고정부(110a, 110b)와 제2고정부(130a, 130b)를 조절하여 압박 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완화 밴드의 본체부(120)는 사용자의 사용 부위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완화 밴드는 사용자의 팔, 다리, 무릎, 손목 등 관절을 포함한 신체 일부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데, 이때 본체부는 신체 관절을 포함한 신체 일부에 직접 밀착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도 1(a)에서는 본체부(120)가 직사각형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체부(120)는 직사각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완화 밴드의 본체부(120)가 반 절개 형식으로 제작된 것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와 같이 완화 밴드의 본체부(120)는 관절을 포함한 신체 일부에 밀착되고, 완화 밴드가 부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행동(움직임)이 용이하도록 반 절개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완화 밴드를 제작함에 있어 봉재 부분은 사용자의 신체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는 아니하나, 완화 밴드가 사용자의 손목에 부착되는 경우, 사용자의 손목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하는 손목받침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완화 밴드를 사용자의 손목에 밀착하여 고정하는 경우, 손목받침부에 사용자의 손목을 위치하여 안정적으로 밀착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손목받침부는 실리콘패드일 수 있고, 손목 경혈(내관혈 등)을 자극하도록 제작될 수 있고, 이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오심, 소화불량, 구토 등의 증세를 완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완화 밴드는 냉/온 패드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제작된 탈부착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탈부착부(210)는 본체부(120)의 일부분에 위치할 수 있고, 냉/온 패드가 탈부착될 수 있도록 주머니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탈부착부는, 냉/온 패드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탈부착부(210)는 사용자가 냉/온패드의 탈부착 여부에 대한 확인이 용이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완화 밴드에 냉/온패드를 부착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종과 통증이 완화되고, 냉/보온으로 인하여 혈액, 림프액 등 체액의 흐름이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때 탈부착부(210)는 완화 밴드의 외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냉/온패드를 완화 밴드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 사용자가 냉패드를 부착할 것인지 온패드를 부착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으므로 통증 완화에 보다 효율적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이 가능한 완화 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완화 밴드는 공기 주입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기 주입부(310)는 본체부(120)의 한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완화 밴드를 사용 부위에 부착하고, 공기 주입부(310)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원하는 신체 부분에 압박감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는 부위에 탈부착부(210)에 삽입되는 냉/온 패드가 위치하게 조절하고, 공기 주입부(310)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는 부위에 압력이 가게끔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20)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별도의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공기 주입부는 복수일 수 있다. 이 경우 각 공기 주입부마다 공기가 주입되어 사용자가 느끼는 압박의 부위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증을 느끼는 부위를 압박할 수 있는 공기 주입부를 선택하여 특정 부위만 압박할 수 있다. 이로써 완화 밴드가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보다 정확히 밀착될 수 있고 압박 강도에 따른 통증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통증 부위만을 정확히 압박함에 따라 통증 완화에 보다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완화 밴드가 사용자의 통증 부위에만 정확히 부착됨에 따라 사용자의 활동성이 보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화 밴드를 사용자가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완화 밴드가 사용자의 팔목에 부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완화 밴드가 사용자의 발목에 부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완화 밴드는 사용자가 부착하고자 하는 신체부위 위치에 따라 크기 및 구성을 달리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화 밴드는 사용자의 손목, 팔, 발목, 종아리 등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완화 밴드는 손목과 발목에 부착하는 용도와 팔과 종아리에 부착하는 용도로 구분되어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완화 밴드는 손목과 발목 겸용 및 팔과 종아리 겸용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완화 밴드에 경혈 자극을 위한 패치가 부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경혈 자극을 위한 패치(510)는 완화 밴드의 본체부(12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패치(510)는 사용자의 경혈선(림프절)을 따라 부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경혈 자극을 위한 패치(510)를 자신의 신체부위 맞게, 경혈을 자극할 수 있도록 위치를 조절하여 본체부(120)에 부착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20)에는 사람들의 평균치에 따른 경혈을 자극할 수 있는 위치가 별도로 표시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표시에 따라 패치(510)를 부착하여 완화 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패치(510)는 사용자의 경혈을 자극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때 별도로 표시되는 경혈의 위치는, 경혈 자극으로 목표하는 효과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즉, 별도로 표시되는 경혈의 위치는 하나의 세트만이 아닌 복수의 세트가 있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림프절 순환을 위한 패치를 사용자가 부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림프절 순환을 위한 패치(510)를 사용자가 얼굴에 부착한 모습을 나타내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패치(510)는 림프절이 지나는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치(510)는 사용자의 귀밑, 목 주변부 등에 부착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얼굴 윤곽을 잡아주고, 부기를 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림프절 순환을 위한 패치(510)를 사용자 신체의 다수 부위에 부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패치(510)는 림프절이 집약된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림프절이 많이 집약된 부분은 귀밑 부분, 팔꿈치 부분, 쇄골 부분, 겨드랑이 부분, 복부 부분, 서혜부 부분, 무릎 뒤 부분 등이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부분 이외에도 사용자의 림프절이 위치하는 곳이나, 그 외 사용자가 원하는 신체 부위에 패치(510)가 부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패치(510)는 사용자의 경혈, 림프절 순환을 용이하도록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치(510)는 완화 밴드에 부착될 수도 있고 별도로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혈 자극을 위한 패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패치(510)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즉, 사용자의 림프절 부위마다 서로 다른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사용자의 귀밑에 부착되는 용도의 패치(510)이고, 도 7(b)는 사용자의 사타구니에 부착되는 용도의 패치(510)이고, 도 7(c)는 사용자의 종아리에 부착되는 용도의 패치(510)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귀밑에 부착되는 패치(510)는 사용자의 종아리에 부착되는 패치(510)보다 큰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사타구니에 부착되는 패치(510)는 원형이 아닌 타원형의 패치(510)로 제작될 수 있다. 더하여, 복수의 돌기들이 패치(510)에 부착될 수 있는데, 이때 하나의 패치(510)에 부착되는 복수의 돌기들의 크기도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치(510) 외곽에 부착되는 돌기크기는 길고 크게 제작될 수 있고, 패치 중심부에 부착되는 돌기크기는 패치(510)외곽에 부착되는 돌기크기보다 작게 제작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림프 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혈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도 8과 같은 경혈도를 참조하여, 신체의 경혈이 위치하는 곳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림프순환에 의한 부종 및 통증 완화를 위해 경혈도를 참조하여 부종 및 통증 완화와 관련된 경혈(림프절)을 보다 정확하게 자극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경혈에 자극을 줄 수 있도록 완화 밴드 또는 패치(510)를 부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110a, 110b: 제1고정부
120: 본체부
130a, 130b: 제2고정부

Claims (10)

  1. 부종 및 통증 완화를 위한 완화 밴드에 있어서, 상기 완화 밴드는,
    제1고정부;
    제2고정부;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한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는 서로 연결되어 사용자를 고정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 부위에 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경혈을 자극하는 하나 이상의 패치가 부착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패치는 상기 사용자의 림프절과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화 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제1벨크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1고정부와 결합되는 제2벨크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벨크로 및 상기 제2벨크로는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화 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목받침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완화 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받침부는, 실리콘패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화 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패치는 서로 다른 크기의 패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화 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냉패드 또는 온패드를 부착할 수 있는 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화 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화 밴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공기 주입이 가능한 공기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공기 주입부를 통한 공기 주입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화 밴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화 밴드는 통기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화 밴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밀착되도록 반 절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화 밴드.
KR1020200171265A 2020-12-09 2020-12-09 경혈 자극 및 림프순환에 의한 부종 및 통증 완화 밴드 KR202200816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265A KR20220081602A (ko) 2020-12-09 2020-12-09 경혈 자극 및 림프순환에 의한 부종 및 통증 완화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265A KR20220081602A (ko) 2020-12-09 2020-12-09 경혈 자극 및 림프순환에 의한 부종 및 통증 완화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602A true KR20220081602A (ko) 2022-06-16

Family

ID=82217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265A KR20220081602A (ko) 2020-12-09 2020-12-09 경혈 자극 및 림프순환에 의한 부종 및 통증 완화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16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433B1 (ko) 2022-12-12 2023-07-10 임주이 카나우바왁스를 함유하는 통증케어 팩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433B1 (ko) 2022-12-12 2023-07-10 임주이 카나우바왁스를 함유하는 통증케어 팩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9495A (en) Acupressure point stimulator device
US5338290A (en) Elastic variable tension device for the treating of pain
US20100331749A1 (en) Orthotic heel support device
US8454542B2 (en) Positive pressure chamber for extremities
JP2009511226A (ja) 損傷した軟らかい組織を治療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8602962B2 (en) Acupressure magnetic therapy glove
KR20220081602A (ko) 경혈 자극 및 림프순환에 의한 부종 및 통증 완화 밴드
US20060167493A1 (en) Therapeutic ring
CN108478360A (zh) 音乐理疗用腿部防压疮垫
KR20100008858U (ko) 두드림식 경혈 자극 안마기
TWM539337U (zh) 護腰帶結構
US20070191746A1 (en) Shoulder distraction splint
CN218870606U (zh) 一种多功能拇指腱鞘炎护具
TWI730931B (zh) 多功能抬腿枕
KR102628409B1 (ko) 허리통증 완화 밴드
RU19974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купрессуры
TWM645785U (zh) 具有遠紅外線貼片之矯正坐墊
KR102320532B1 (ko) 손 강직 완화 보조기
JP2003306814A (ja) スパッツ
CN210020291U (zh) 利用中医定向透药治疗仪治疗颈、肩部疾病时的辅助装置
KR20120025321A (ko) 찜질팩이 구비된 무릎 보호대
JP3044554U (ja) 神功膝当て
KR20090127972A (ko) 눈 안마기장치
KR200248164Y1 (ko) 요통치료용담자
KR20220073041A (ko) 환부에 착용 가능한 열소통 치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