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335A - 모듈형 구성요소를 갖춘 에어로졸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모듈형 구성요소를 갖춘 에어로졸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335A
KR20220081335A KR1020227011418A KR20227011418A KR20220081335A KR 20220081335 A KR20220081335 A KR 20220081335A KR 1020227011418 A KR1020227011418 A KR 1020227011418A KR 20227011418 A KR20227011418 A KR 20227011418A KR 20220081335 A KR20220081335 A KR 20220081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aerosol
generating device
generat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1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밴 랜커
발레리오 올리아나
비르지니 가르시아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220081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01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12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24F40/95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cas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Nozzl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 제1 모듈, 및 제2 모듈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제1 모듈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제2 모듈은 제1 모듈 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형 구성요소를 갖춘 에어로졸 발생 장치
본 개시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연관된 모듈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흡입을 위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사용자에게 에어로졸을 전달한다. 많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기재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일차 기능을 제공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통신, 디스플레이 또는 LED, 청각 피드백, 위치 추적 등과 같은 이차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일단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생성되면, 장치의 이차 기능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상이한 사용자는 상이한 이차 기능을 원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업체는 광범위한 소비자에게 어필하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많은 이차 특징을 포함한다. 그러나, 많은 이차 기능을 포함시키는 것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생성하는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복잡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제한된 이차 기능을 갖는 기본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사용자에 의해 추가될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한다. 모듈은 이차 기능을 제공하고, 따라서 사용자는 추가할 모듈을 선택함으로써 적절한 이차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모듈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또는 원하는 대로 이차 기능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교환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 제1 모듈, 및 제2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제1 모듈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제2 모듈은 제1 모듈 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제1 모듈 및 제2 모듈은 장치의 하우징에 별도로 커플링될 수 있다.
제2 모듈은 제1 모듈에 커플링될 수 있다. 제1 모듈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연결될 때, 제2 모듈을 제1 모듈에 커플링시키는 것은 제2 모듈의 전자장치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자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듈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전기 상호연결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전기 상호연결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모듈의 전기 상호연결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2 전기 상호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듈의 제1 및 제2 전기 상호연결은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제1 모듈은 수동형일 수 있다.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추가 모듈은 다른 추가 모듈, 제1 모듈, 제2 모듈,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하우징 중 하나 이상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추가 모듈은 각각의 추가 모듈, 제1 모듈, 제2 모듈,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하우징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이전에 이용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해 하나 이상의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설명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제조업체가 제한된 이차 기능을 갖는 단순하고 저비용의 기본 에어로졸 발생 유닛을 생산할 수 있게 한다. 본원에 설명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사용자가 기본 장치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는 모듈을 통해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본원에 설명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때때로 이차 기능을 변경할 수 있게 한다. 본원에 설명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새로운 기술이 이용 가능하게 되면 새로운 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모듈이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미래 대비를 제공한다.
이들 및 다른 장점은 본 개시 및 첨부 도면을 읽을 때에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임의의 적합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형성하기 위해 기재의 하나 이상의 성분을 휘발시키는 장치, 기재를 가열하지 않고 오히려 기류를 사용하여 기류에 입자를 비말동반시켜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장치, 및 휘발성 화합물의 형성을 유발하여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화학 반응을 사용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기재의 하나 이상의 성분을 휘발시키기 위해 기재를 충분히 가열할 수 있지만, 기재를 태우지는 않는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니코틴-함유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같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소모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재는 임의의 적합한 형태일 수 있다. 기재는 담배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는 니코틴 염과 같은 니코틴을 함유하는 건조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전자-담배 또는 액체를 포함하는 소모품을 사용하는 다른 베이핑-유형의 장치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담배와 같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로드를 포함하는 소모품을 수용하고 기재를 태우지 않고 기재의 하나 이상의 성분을 휘발시키기 위해 기재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장치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건조 분말과 같은 건조 분말을 포함하는 소모품으로부터 방출된 기류 입자에 비말동반하도록 구성된 흡입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에어로졸"은 휘발성 향미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는, 공기와 같은 기체 내의 미세 고체 입자 또는 액체 액적의 현탁액을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전자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전자 구성요소는 하우징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전자 구성요소는 장치가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일차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일부 이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일차 기능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구성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장치와 함께 이용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배터리와 같은 전원, 전원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된 컨트롤러, 컨트롤러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된 버튼 스위치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컨트롤러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된 에어로졸 발생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기재를 기계적으로 진동시킴으로써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경우, 에어로졸 발생 요소는 진동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요소는 초음파 진동 또는 표면 탄성파(SAW) 에어로졸 발생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메커니즘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초음파 진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장치 또는 소모품의 구성요소에는 압전 변환기가 제공될 수 있다. SAW 에어로졸 발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소모품의 장치 또는 구성요소에는 압전 기재 및 하나 이상의 인터디지털 변환기(IDT)를 포함하는 압전 SAW 칩이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기재를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경우, 에어로졸 발생 요소는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임의의 적합한 메커니즘, 예컨대 저항 가열 또는 유도에 의해 열을 발생할 수 있다. 유도 가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소모품의 장치 또는 구성요소에는 서셉터가 제공될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서셉터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서셉터 재료의 일 예는 알루미늄이다. 장치는 서셉터를 유도 가열하기 위한 적합한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가열 요소는 전류가 저항성 요소에 인가될 때 가열될 수 있는 저항 와이어, 저항 메시, 또는 다른 저항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가열되는 온도를 제어하거나 가열되는 온도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가열 요소의 전기 저항을 모니터링하고 가열 요소의 전기 저항에 따라서 가열 요소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컨트롤러는 저항성 요소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서셉터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코일에 인가된 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원하는 범위의 최대 유도 가열 온도를 갖는 서셉터가 이용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열전대와 같은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에어로졸의 양을 제어하거나 조정하기 위해 컨트롤러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장치가 기재를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경우 가열 요소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컨트롤러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임의의 적합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는 가열 또는 진동될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온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한 소모품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온도 센서는 가열 요소와 접촉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온도 센서는 장치의 에어로졸 배출구 또는 그의 일부분에서 온도를 검출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센서는 감지된 온도에 관한 신호를 컨트롤러에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신호에 응답하여 가열 요소의 가열을 조정하여 센서에서 적합한 온도를 달성할 수 있다.
장치의 일차 기능이 컨트롤러 또는 전력 공급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 일부 경우에, 예컨대 장치가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해 열 또는 진동을 필요로 하지 않을 때, 에어로졸 발생 장치(예를 들어, 니코틴 또는 니코틴 염을 함유하는 건조 분말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기)는 여전히 전력 공급부,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는 모듈에 전력 및 일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일차 기능과 연관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이차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 수준 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기는 배터리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는 컨트롤러와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많은 또는 대부분의 이차 기능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함께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기능은 이용된 모듈 또는 모듈들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적어도 2개의 모듈과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2개 이상의 모듈은 동시에 사용되거나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모듈 각각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커플링된 다른 모듈을 통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모듈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내측에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연결될 수 있거나, 이들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외측에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듈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외부에 부착된다.
모듈은 임의의 적합한 위치에서 에어로졸 발생 유닛의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측면, 전방, 후방, 바닥 또는 상단, 또는 모든 주위에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모듈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다른 모듈 또는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 또는 다른 모듈에 물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리적 연결은 가역적이다.
모듈과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 또는 다른 모듈 사이의 임의의 적합한 연결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은 기계적 연결, 또는 자기 연결, 예컨대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을 이용하는 연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용될 수 있는 기계적 연결의 예는 슬라이드 커넥터, 스냅 커넥터 등을 포함한다. 이용될 수 있는 연결 메커니즘의 추가 예는 박리형 접착제, 접착 테이프, 탄성 밴드, 정전기 에너지, 흡입 테이프, 후크 및 루프 커넥터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더욱 안정한 기계식 커넥터 또는 자기 커넥터가 바람직하다.
각각의 모듈은 둘 이상의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어서, 모듈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 및 다른 모듈에 연결될 수 있거나 동시에 2개의 다른 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듈 각각은 동일한 연결 메커니즘을 이용한다.
모듈은 균일한 크기 및 형상일 수 있거나 상이한 크기 및 형상일 수 있다. 모듈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일차 기능과 관련되거나 관련되지 않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이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모듈은 능동형 또는 수동형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을 위해, "활성" 모듈은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일차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모듈이고, "수동 모듈"은 모듈의 일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전자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 모듈이다.
수동 모듈이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는 히트 스틱과 같은 소모된 소모품용 용기; 아날로그 시계; USB 커넥터가 있는 케이블과 같은 충전 케이블; 캐시 머니 용기; 지불 카드 용기; 명함 리테이너; 병따개; 키 용기; 하나 이상의 기능을 형성하는 스위스 아미 나이프; 펜 또는 펜슬; 이어버드 홀더; 키체인 링; 및 일반 용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능동 모듈이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는, 보조 배터리; 무선 통신 구성요소; 일방향 또는 양방향일 수 있는 무선 충전기 구성요소; 장거리 무선 충전 구성요소, 예컨대 무선 주파수(RF) 기반 충전 구성요소, 초음파 기반 충전 구성요소, 광 기반 충전 구성요소; 태양광 구동 충전기 구성요소; 종래의 궐련을 위한 플라즈마 라이터 또는 저항 라이터와 같은 라이터; 전자 키, 코드 로크 등과 같은 추가 보안 요소; 벽 출구용 핀을 갖는 AC 충전기; 일차 가열 엔진으로서 상이한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이차 가열 엔진; 무선 이어 포드용 충전 케이스; 팬; 디스플레이; 스피커;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손전등; 무선 리모컨; 피코 프로젝터; 카메라; 햅틱 피드백 모듈; 기압계, 온도계, 마이크로폰, 광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미립자 센서와 같은 에어로졸 센서, 바람 센서, 컬러 센서, 액체 센서, 습도 센서, 활성 센서, 생체인식 센서, 압력 센서, 공기 유량 센서, 및 화학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 팩; 근거리 통신(NFC) 판독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 버튼 스위치와 같은 전기 스위치; 범용 직렬 버스(USB) 허브; 및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능동 모듈은 다른 모듈 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전기적으로 커플링하기 위한 전기 상호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상호연결은 모듈이 다른 모듈 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에 부착될 때 다른 모듈 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대응 상호연결과 접촉할 수 있다. 수동 모듈은 수동 모듈이 능동 모듈 사이에 물리적으로 있을 때 수동 모듈에 또는 수동 모듈이 능동 모듈과 에어로졸 발생 장치 사이에 물리적으로 있을 때 능동 모듈 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능동 모듈 사이에 통과 전기 연결을 제공하도록 전기 상호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상호연결은 하나 이상의 접촉 지점을 갖는 물리적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상호연결은 독점 커넥터, 기존의 커넥터, 예컨대 USB 커넥터 또는 라이트닝 커넥터,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상호연결은 전력, 데이터, 또는 전력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전력, 데이터, 또는 전력과 데이터 흐름은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모듈까지 또는 모듈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까지) 일-방향 또는 양-방향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데이터 인터페이스, 전력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 인터페이스와 전력 인터페이스는 무선 연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무선 전송은 모듈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 둘 모두에서 적합한 구성요소를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능동 모듈은 무선 데이터 전송, 무선 전력 전송, 또는 무선 데이터 및 다른 능동 모듈, 에어로졸 발생 장치, 또는 다른 능동 모듈과 에어로졸 발생 장치 둘 모두 사이의 전력 전송을 허용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 능동 모듈, 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과 능동 모듈 둘 모두는 스마트폰, 웨어러블 장치, 컴퓨터, 서버 등과 같은 이차 장치와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무선 연결이 이용될 수 있다. 적합한 무선 연결의 예는 RF 기반 무선 연결; 광 기반 연결, 사운드 기반 연결, 및 자기 유도 기반 연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적합한 RF 기반 연결의 예는 NFC;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에너지; 무선 USB; Wi-Fi; 백색-Fi; Wi-Fi 할로우; Wi-FAR; 무선 지역 네트워크(WRAN);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저전력 무선 지역 네트워크(LPWAN), 예컨대 Sigfox, LoRa, INGenu, Waviot, NB-Iot, LTE-M, Telensa, CYANconnode, Weightless, 등;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와 같은 전화 데이터 연결, 롱 텀 에볼루션(LTE), 3세대 LTE(3G), 4세대 LTE 4G, 5세대 LTE 5G, 등; 지그비(zigbee); z-wave; RuBee, TransferJet 등을 포함한다. 광 기반 연결의 예는 적외선, Li-Fi, 광학, 예컨대 카메라 및 QR코드 또는 바코드 등을 포함한다. 사운드 기반 연결의 예는 음파 통신이다. 자기 유도-기반 연결의 예는 근거리 자기장 자기 유도(NFMI) 통신이다.
능동 모듈의 전기 구성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력 공급부에 의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듈은 핫 스왑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입력은 모듈을 설정할 필요가 없다. 모듈은 플러그-앤-플레이 모듈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모듈이 제조업체에 의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제조업체는 다양한 이차 기능을 갖는 다수의 모듈을 생산할 수 있고, 사용자는 맞춤형 주문을 할 수 있고, 제조업체는 주문 제작 장치를 생산하여 고객에게 배송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모든 과학 기술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제공된 정의는 본원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특정 용어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a", "an", 및 "the")는, 달리 그 내용이 명확하게 기술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 대상을 갖는 구현예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갖다", "갖는", "포함하다(include)", "포함하는(including)", "포함하다(comprise)", "포함하는(comprising)" 등은 개방형의 의미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로 이루어지는" 등은 "포함하는(comprising)"등에 포함되는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단어 "바람직한" 및 "바람직하게는"는 특정한 상황 하에서 특정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구현예를 지칭한다. 그러나, 다른 구현예 또한 동일하거나 다른 상태 하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구현예의 인용은 다른 구현예가 유용하지 않음을 암시하는 것이 아니며, 청구항을 포함하는 본 개시 내용의 범위로부터 다른 구현예를 배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컨트롤러"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본원애 설명된 예시적인 방법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처리 프로그램 또는 루틴 및 하나 이상의 유형의 데이터에 액세스하기 위한, 연관된 데이터 저장소, 또는 메모리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소 내에 저장된 처리 프로그램 또는 루틴은 행렬 수학, 압축 알고리즘(예를 들어, 데이터 압축 알고리즘), 표준화 알고리즘, 비교 알고리즘, 또는 본원에서 기술된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방법 및 단계를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처리 프로그램 또는 루틴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또는 중간 장치와 자동판매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 및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처리 능력(예를 들어, 마이크로컨트롤러,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장치 등), 데이터 저장소(예를 들어,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저장 요소),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프로그램 코드 또는 로직은 입력 데이터에 적용되어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성을 수행하고 원하는 출력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출력 정보는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또는 알려진 방식으로 적용되듯이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 또는 프로세스에 입력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프로세스를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시스템과의 통신에 적합한 임의의 프로그램 언어(programmable language), 예를 들어 고급 절차 또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임의의 이러한 프로그램 제품은 적합한 장치가 본원에 기술된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판독될 때 컴퓨터를 구성하고 작동시키기 위한 컨트롤러 장치 또는 일반 또는 특수 목적 프로그램에 의해 판독 가능한 임의의 적합한 장치(예를 들어,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컨트롤러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구현할 수 있으며, 저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본원에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특이적이고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작동하게 한다.
컨트롤러의 정확한 구성은 한정적이지 않으며 본질적으로 본원에 설명된 예시적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적합한 컴퓨팅 능력 및 제어 능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 또는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위의 관점에서,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기능이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은 임의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쉽게 자명해질 것이다. 이와 같이, 본원에서 기술된 프로세스를 구현하는 데 사용될 컴퓨터 언어, 컨트롤러 또는 임의의 다른 소프트웨어/하드웨어는, 본원에서 기술된 시스템, 프로세스 또는 프로그램(예를 들어, 이러한 프로세스 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시스템에 기인하는 것 또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본 개시에 기술된 방법 및 프로세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술의 다양한 양태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ASIC(주문형 반도체), FPGA(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 CPLD(복합 프로그램 가능 로직 장치),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임의의 다른 등가 집적 또는 이산 논리 회로뿐만 아니라, 그러한 구성요소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본 개시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따른 기능은 RAM, ROM, NVRAM(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 EEPROM(전기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데이터 저장 매체, 광학 데이터 저장 매체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의 명령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본 개시에서 기술된 기능의 하나 이상의 양태를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이 이제 참조될 것이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양태가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의 범위 안에 속하는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도면에서 사용되는 유사한 번호는 유사한 부품, 단계 등을 지칭한다. 그러나, 주어진 도면 내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번호를 사용하는 것이 동일한 번호로 라벨링된 다른 도면 내의 구성요소를 정의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상이한 도면에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상이한 번호를 사용하는 것은 상이한 번호의 구성요소가 다른 번호의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없음을 표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 1a 내지 도 1d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모듈과 에어로졸 발생 장치 사이의 일부 가능한 연결 체계를 예시하는 2개의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a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대한 모듈의 대향 측면을 도시하는 도 2a에 도시된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a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b는 연결된 장치 및 모듈을 도시하는, 도 3a에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모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a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b는 연결된 장치 및 모듈을 도시하는, 도 4a에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모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a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모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b는 연결된 장치 및 모듈을 도시하는, 도 5a에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모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c는 연결된 장치 및 모듈을 도시하는, 도 5a에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모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a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b는 연결된 장치 및 모듈을 도시하는, 도 6a에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모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2개의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장치에 연결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대안적인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개략도는 실척으로 할 필요가 없으며, 제한이 아닌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어 있다.
이제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 제1 모듈(201), 및 제2 모듈(202)을 포함하는 시스템이 도시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는 전력 공급부(190)를 포함하고 전력 공급부(190)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10)의 하우징(110)에 모듈(201, 202)을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10)의 하우징(110)에 연결될 때, 모듈(201, 202), 또는 그의 구성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전력 공급부(190), 컨트롤러, 또는 전력 공급부(190)와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도 1a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는 제1 모듈(201)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제1 모듈(201)은 하나 이상의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에 대한 작동 가능한 연결을 제공한다.
도 1b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는 제2 모듈(202)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제2 모듈(202)은 하나 이상의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며,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에 대한 작동 가능한 연결을 제공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201, 202)은 교환될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 개별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도 1c 및 도 1d에서, 제1 모듈(201) 및 제2 모듈(202) 둘 모두는 동시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제1 모듈(201) 및 제2 모듈(202) 각각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전력 공급부(190), 컨트롤러, 또는 전력 공급부(190)와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도 1c에서, 제1 모듈(210) 및 제2 모듈(202)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대향 측면에 연결된다. 따라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는 제1 모듈(201)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커넥터(도시되지 않음) 및 제2 모듈(202)을 연결하기 위한 제2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도 1d에서, 제1 모듈(201)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하우징(110)에 연결되고, 제2 모듈(202)은 제1 모듈(201)에 연결된다. 제2 모듈(202)은 제1 모듈(201)을 통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전력 공급부(190), 컨트롤러, 또는 전력 공급부(190)와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제1 모듈(201)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전력 공급부(190), 컨트롤러, 또는 전력 공급부(190)와 컨트롤러에 그리고 제2 모듈(201)에 전기적으로 커플링하기 위한 전기 상호연결(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제1 모듈(201)은 수동 모듈일 수 있고, 전기 상호연결(도시되지 않음)은 통과 상호 연결일 수 있다. 따라서, 개재 수동 모듈(201)은 능동 모듈(202)과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전력 공급부(190), 컨트롤러, 또는 전력 공급부(190)와 컨트롤러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방지하지 않고 오히려 용이하게 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특정 순서로 연결되지 않는 한 모듈이 적절히 기능을 하지 않을 수 있다는 두려움 없이 능동 및 수동 모듈을 시스템에 무차별적으로 교환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이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 및 모듈(201)을 포함하는 시스템이 도시된다. 장치(100) 및 모듈(201)은 도 1a 내지 도 1d에 관해 전술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를 모듈(201)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연결 메커니즘에 관한 일부 추가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는 장치(100)의 하우징(110)의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한 커넥터(120)를 포함한다. 커넥터(120)는 전기적 상호연결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커넥터(120)는 USB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120)는 암형 USB 커넥터일 수 있다. 모듈(201)은 모듈(201)의 하우징(211)의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한 커넥터(220)를 포함한다. 커넥터(220)는 전기 상호연결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커넥터(220)는 USB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220)은 암형 USB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추가 모듈의 연결을 허용하는 다른 모듈(도시되지 않음)의 암형 USB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다.
도 2b에서, 제1 커넥터(220)를 포함하는 측면과 대향하는 모듈(201)의 측면이 도시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201)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커넥터(120)와 연결하도록 구성된 제2 커넥터(226)를 포함한다. 커넥터(226)는 수형 USB 커넥터일 수 있다. 모듈(201)의 제1(220) 및 제2(226) 커넥터는 커넥터(220)에 대한 추가 모듈(도시되지 않음)의 커플링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와 추가 모듈의 전기적 커플링을 초래하도록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도 3 내지 도 9는 모듈(201)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 그리고 연관된 연결의 다양한 구현예를 예시한다. 도 3a 및 도 3b에서, 모듈(201)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의 전력 공급부의 무선 충전을 허용하는 무선 충전 모듈이다. 모듈(201)은 모듈(201)의 하우징(211)에 외부로 연장하는 USB 커넥터(220)를 포함한다. 장치(100)는 장치의 하우징(110)의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고 하우징(110) 내에 함몰될 수 있는 대응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별도의 기계적 커넥터(122) 및 전기 커넥터(124)를 갖는 장치(100)를 예시한다. 전기 커넥터(124)는 모듈(201)의 하우징(211)으로부터 연장하는 핀(도시되지 않음)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핀 유형의 커넥터를 포함한다. 기계식 커넥터(122)는 장치(100)의 하우징(110)의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고 하우징(110) 내에 함몰된 스냅 유형의 커넥터를 포함한다. 기계식 커넥터(124)는 모듈(201)의 하우징(211)으로부터 연장하는 대응하는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 및 장치(100)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는 모듈(201)을 도시한다. 모듈(201)은 모듈의 하우징(211)으로부터 연장하는 USB 유형의 커넥터(220)를 포함하고, 장치(100)는 장치(100)의 하우징(110)에 함몰되어 있지만 이에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대응 USB 유형의 커넥터(120)를 포함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 랩 커넥터(245), 및 랩 커넥터(245)를 통해 장치(100)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는 모듈(201)을 도시한다. 랩 커넥터(24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201)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거나, 장치(100)(도시되지 않음)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거나, 모듈(201) 및 장치(100)(도시되지 않음)와 별개이지만 그에 커플링될 수 있다. 장치(100) 및 모듈(201)은 서로에 대해 적절하게 위치될 수 있고, 랩 커넥터(245)는 장치(100) 및 모듈(201)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대해 래핑되어 적절한 상대 위치에 장치(100) 및 모듈(201)을 유지할 수 있다. 초기 위치 설정은 가이드, 자기 커넥터(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 용이해질 수 있다. 랩(245)은 장치(100)에 부착되어 랩을 장치(100)에 고정하고 장치(100) 및 모듈(110)을 제자리치에 유지할 수 있는 자기 스트립(245)과 같은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201)은 장치(100)의 전력 공급부, 컨트롤러, 또는 전력 공급부와 컨트롤러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모듈(210)의 일부인 랩 커넥터(240)가 디스플레이(250)를 포함하는 구현예를 도시한다. 랩 커넥터(240)는 모듈(210)에 대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를 물리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모듈(201)과 장치(100) 사이의 전기 연결은 무선일 수 있다. 장치(100)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비재용 용기와 같은 수동 모듈(202)이 또한, 장치(100)에 커플링된 것으로 도시된다.
도 8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된 스피커를 포함하는 모듈(201)을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된 다중 모듈(201, 202, 203)을 도시한다. 모듈(201, 202, 203)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교환되고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모듈(210)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0)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히트 스틱과 같은 소모품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를 포함한다. 모듈(202)은 이차 배터리 및 배터리 수준 표시기를 포함한다. 모듈(203)은 이어팟용 충전 케이스를 포함한다.
따라서, 모듈형 구성요소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은 본 발명의 범주 및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이 특정 바람직한 구현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는 이러한 특정 구현예에 부당하게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제로, 기계 분야, 전기 분야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 제조 또는 관련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명된 모드에 대한 다양한 변형은 다음의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3)

  1.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으로서,
    하우징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제1 모듈;
    제2 모듈;
    제3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 상기 제2 모듈, 및 상기 제3 모듈에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1 모듈, 상기 제3 모듈, 및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모듈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 상기 제1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에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모듈, 상기 제2 모듈, 및 상기 제3 모듈의 각각은 상기 하우징을 통해 직접 또는 상기 제1 모듈, 상기 제2 모듈 또는 상기 제3 모듈 중 다른 하나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이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동안, 상기 제2 모듈을 상기 제1 모듈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2 모듈의 전자장치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자장치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게 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은 수동인,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은 상기 제1 모듈을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하기 위한 제1 연결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듈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제2 연결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제1 연결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고,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의 제2 연결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은 제1 전기 상호연결 및 제2 전기 상호연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을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과 작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전기 상호연결이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자장치와 전기적으로 커플링되게 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은 제1 전기 상호연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이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때, 상기 제2 모듈의 상기 제1 전기 상호연결이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자장치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도록 상기 제2 모듈의 제1 전기 상호연결이 상기 제1 모듈의 제2 전기 상호연결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게 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하며, 각각의 추가 모듈은 다른 추가 모듈, 상기 제1 모듈, 상기 제2 모듈, 및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 중 하나 이상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조 배터리를 포함하는 모듈,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모듈, 무선 충전기를 포함하는 모듈, 유선 충전을 위한 상호연결을 포함하는 모듈, 전기 라이터를 포함하는 모듈, 전기 보안 요소를 포함하는 모듈, 히터를 포함하는 모듈, 무선 이어 포드용 충전 케이스를 포함하는 모듈, 팬(fan)을 포함하는 모듈,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모듈, 스피커를 포함하는 모듈, 손전등을 포함하는 모듈, 무선 리모컨을 포함하는 모듈,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모듈, 카메라를 포함하는 모듈, 햅틱 피드백 장치를 포함하는 모듈, 센서를 포함하는 모듈, NFC 판독기를 포함하는 모듈,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모듈, USB 허브를 포함하는 모듈, GPS 장치를 포함하는 모듈, 소모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 현금, 결제 카트, 명함, 키 중 하나 이상을 위한 용기를 포함하는 모듈, 아날로그 시계를 포함하는 모듈, 충전 케이블 또는 데이터 스틱을 포함하는 모듈, 병따개를 포함하는 모듈, 펜을 포함하는 모듈, 이어버드 홀더를 포함하는 모듈, 및 키체인 링을 포함하는 모듈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상기 제1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이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자가 흡입하기 위한 기재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담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전원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1020227011418A 2019-10-16 2020-10-14 모듈형 구성요소를 갖춘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200813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03687.9 2019-10-16
EP19203687 2019-10-16
PCT/IB2020/059656 WO2021074820A1 (en) 2019-10-16 2020-10-14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modular compon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335A true KR20220081335A (ko) 2022-06-15

Family

ID=68281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1418A KR20220081335A (ko) 2019-10-16 2020-10-14 모듈형 구성요소를 갖춘 에어로졸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413900A1 (ko)
EP (2) EP4353101A2 (ko)
JP (1) JP2023501082A (ko)
KR (1) KR20220081335A (ko)
CN (1) CN114466601A (ko)
BR (1) BR112022007262A2 (ko)
IL (1) IL292122A (ko)
WO (1) WO20210748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1591A1 (en) * 2022-07-15 2024-01-18 Philip Morris Products S.A. Modular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894U (ko) * 2009-12-31 2011-07-07 최요석 금연보조 장치
KR102546427B1 (ko) * 2014-08-13 2023-06-22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다목적 연산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CN105077594A (zh) * 2015-02-15 2015-11-25 卓尔悦(常州)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烟
WO2018215142A1 (en) * 2017-05-23 2018-11-29 Philip Morris Products S.A. Customizable devices for multiple consumables
US20190173509A1 (en) * 2017-12-01 2019-06-06 David Thyane Martin Electronic device 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413900A1 (en) 2023-12-28
WO2021074820A1 (en) 2021-04-22
EP4044837B1 (en) 2024-04-10
JP2023501082A (ja) 2023-01-18
IL292122A (en) 2022-06-01
EP4044837A1 (en) 2022-08-24
EP4353101A2 (en) 2024-04-17
CN114466601A (zh) 2022-05-10
BR112022007262A2 (pt) 2022-07-05
EP4044837C0 (en) 202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8671B1 (ko) 카트리지와 결합 가능한 제어 보디, 제어 보디와 결합 가능한 카트리지, 제어 보디의 작동 방법 및 카트리지의 작동 방법
JP2021121191A (ja) モジュールおよび電気的に動作する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を含むキット
EP3170414B1 (en) Module for powering an electronic smoking device portion
TWI661783B (zh) 電子吸煙裝置及囊包系統
CN103281920B (zh) 包括至少两个单元的电加热的发烟系统
CN109310153A (zh) 包括根据温度的电池预热的电池供电气溶胶生成装置
KR20230151046A (ko)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제어 디바이스
KR20220081335A (ko) 모듈형 구성요소를 갖춘 에어로졸 발생 장치
JP2018521684A (ja) モバイル装置用のケース
WO2022059130A1 (ja) システム、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373482A (zh) 临床研究产品分配装置
EP4329427A1 (en) Aerosol generation system
WO2024004049A1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WO2023089758A1 (ja) 吸引装置
KR20180085367A (ko) 사용 정보를 출력해주는 미세 입자 발생 장치
WO2023105614A1 (ja) 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EP4216136A1 (en) Sales system, inhaler, sales terminal, and sales method
WO2024057372A1 (ja) カバー、エアロゾル生成装置
WO2022130546A1 (ja) 吸引装置、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24004213A1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WO2020252483A1 (en) Wireless device pairing
JPWO2021074820A5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