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220A -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 - Google Patents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220A
KR20220081220A KR1020200170875A KR20200170875A KR20220081220A KR 20220081220 A KR20220081220 A KR 20220081220A KR 1020200170875 A KR1020200170875 A KR 1020200170875A KR 20200170875 A KR20200170875 A KR 20200170875A KR 20220081220 A KR20220081220 A KR 20220081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mage
image information
broadcas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1901B1 (ko
Inventor
구자현
정진주
김형욱
Original Assignee
구자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현 filed Critical 구자현
Priority to KR1020200170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901B1/ko
Publication of KR20220081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5Channel allocation; Bandwid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2Monitoring of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bandwidth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Addressing
    • H04N21/6405Multic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1)에 있어서,
단독 채널을 보유한 콘텐츠가 하나 이상 방송되는 단독채널방송레이어층(100);과, 상기 단독채널방송레이어층(100)에서 방송되는 각각의 채널이 입력되어, 블랙매직모니터레이어층(300)으로 출력시키는 다중채널입출력레이어층(200);과, 상기 다중채널입출력레이어층(200)으로부터 입력되는 다수 개의 채널 영상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입력되는 각각의 채널 수(數)에 맞게 분할된 영상 그대로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400)으로 출력시키는 블랙매직모니터레이어층(300); 및 상기 블랙매직모니터레이어층(30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정보와, 메인 송출 영상 정보 및 보조 영상 정보를 외부 동영상 공유 서비스 서버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400);으로 구성되되,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400)은,
다수 개의 영상을 스트리밍하고, 블랙매직모니터레이어층(300)에 의해 출력되는 단독채널방송레이어층(100)의 영상 정보를 편집, 각각의 단독 채널로 전환하거나, 병합, 분리하여, 이더넷을 통해 외부 동영상 공유 서비스 서버에 직접 스트리밍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스위처모듈(410);과, 상기 제 1스위처모듈(410)에 연결되어, 현재 실시간 스트리밍되고 있는 영상 정보 상태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모니터링확인모듈(420);과, 스트리밍되는 영상 정보의 메인 화면을 형성하고, 외부 동영상 공유 서비스 서버로 영상 정보를 송출할 수 있는 제 1영상처리입력모듈(430); 및 방송되고 있는 영상 정보와 관련된 자료를 형성, 송출하여, 영상 정보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로써, 방송되고 있는 영상 정보를 보조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영상처리입력모듈(440);로 구성되어,
영상 정보를 송출, 제어하는 관리자와, 이를, 외부 동영상 공유 서비스 서버 및 단독채널방송레이어층(100)에서 시청하고 있는 소비자(참여자) 간, 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관리자가 송출되고 있는 영상 정보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진행자영상촬영레이어층(600)으로부터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 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영상 정보를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400)으로 실시간 전달하는 제 2영상믹서레이어층(500);과, 진행자스테이지레이어층(700)을 실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진행자영상촬영레이어층(600); 및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400)으로 입력되는 단독채널방송레이어층(100)의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진행자가 전체 방송 시스템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진행자스테이지레이어층(700);을 더 포함, 구성하여,
진행자가 방송되고 있는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방송을 진행, 방송되는 콘텐츠의 성격에 따라, 보다 방송 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채널을 수집하여, 이를, 편집, 전환하거나, 채널을 병합, 분리하여 관리자가 방송 시스템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관리자와 방송에 참여하고 있는 소비자(참여자) 간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송 운용 플랫폼을 제공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Broadcast operating platform for contents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 plurality of channel}
본 발명은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 다른 주제의 콘텐츠 또는, 동일한 콘텐츠에 대해 단독으로 방송되고 있는 다수 개의 채널을 수집,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로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해당 방송에 맞는 메인 화면 및 자료 화면, 방송을 진행하는 진행자를 형성하여, 이를, 외부 동영상 공유 서비스 서버로 송출, 소비자(참여자)와 진행자 및 관리자와의 양방향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방송 송출을 제어하는 관리자가 다양한 상황에 맞게 용이하게 방송 시스템을 관리, 진행시킬 수 있도록 도모하는,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달로 IP(internet protocol) 기반 서비스 요구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멀티캐스트 기반 IP(internet protocol)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점점 언택트(untact) 시대로 가속화됨에 따라, 산업 분야 전반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 교환 업무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방송 시스템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을 단순히, 외부 동영상 공유 서비스 서버로 송출하는 플랫폼 형식으로 구축되어,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 교환 업무 시, 참여할 수 있는 일부 정해진 수(數)에 한에서 방송이 진행되며, 이를 용이하게 병합, 분리하기 어려워, 다양한 주제 및 팀별로 단독적인 정보 교환 업무는 불가능하였다.
즉, 다자간 소통을 할 수 없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각각의 채널에서 방송되고 있는 영상을 하나로 수집할 수 있는 방송 시스템 플랫폼을 구축하여,
다자간 정보 교환 업무는 물론, 그룹별로 별도의 정보 교환 업무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다자간 소통이 원활하게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송 시스템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2685호의 "방송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방송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은,
특히, 방송 화면과 방송에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켜 원활한 방송을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방송을 위한 화면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방송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방송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9978호의 "UHD 4K 멀티 뷰어장치"(이하, '선행기술 2'라 함.)로,
UHD 4K 12G-SDI 및 3G-SDI 신호를 동시에 입력받아 입력 신호의 12G-SDI 혹은 3G-SDI 등의 입력 신호 포맷 종류와 관계없이 입력 신호의 오디오 스트림을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그룹으로 설정하며, 신호 내의 오디오 스트림을 분석하여 각각의 그룹을 영상 화면의 어느 한 사이드에 오디오 레벨 미터로 표출하여 오디오 스트림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신호 내의 Loudness를 분석하여 영상 화면의 다른 사이드에 Loudness 레벨 미터를 표출하여 Loudness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UHD 4K 멀티 뷰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는, 입력되는 오디오 및 영상 정보를 가공하여, 간편하게 방송 화면과 방송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으로 원활한 방송을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과 기술분야는 유사하나, 다자간 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대(大), 중(中), 소(小)그룹으로 방송 화면을 용이하게 전환, 병합, 분산하여, 다양한 방송 형식에 맞추어, 방송 시스템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와는,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발명의 목적) 및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구성요소), 이로 인해 발휘되는 발명의 효과에 있어 차이가 있으므로, 기술적 특징이 상이하다 할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2685호 (2011.10.1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9978호 (2017.04.19.)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각 다른 주제의 콘텐츠 또는, 동일 주제의 콘텐츠로 방송되는 채널을 하나의 채널로 수집, 이를, 방송 시스템을 제어하는 관리자가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관리자를 포함, 다자간의 양방향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운용 플랫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 다른 주제의 콘텐츠 또는, 동일 주제의 콘텐츠로 방송되는 채널을 하나의 채널로 수집, 이를, 방송 시스템을 제어하는 관리자가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되, 관리자가 각각의 채널을 용이하게 병합, 분리하여, 대(大), 중(中), 소(小)분류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방송되는 콘텐츠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방송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운용 플랫폼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에 있어서,
단독 채널을 보유한 콘텐츠가 하나 이상 방송되는 단독채널방송레이어층;
상기 단독채널방송레이어층에서 방송되는 각각의 채널이 입력되어, 블랙매직모니터레이어층으로 출력시키는 다중채널입출력레이어층;
상기 다중채널입출력레이어층으로부터 입력되는 다수 개의 채널 영상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입력되는 각각의 채널 수(數)에 맞게 분할된 영상 그대로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으로 출력시키는 블랙매직모니터레이어층;
상기 블랙매직모니터레이어층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정보와, 메인 송출 영상 정보 및 보조 영상 정보를 외부 동영상 공유 서비스 서버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으로 구성되되,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은,
다수 개의 영상을 스트리밍하고, 블랙매직모니터레이어층에 의해 출력되는 단독채널방송레이어층의 영상 정보를 편집, 각각의 단독 채널로 전환하거나, 병합, 분리하여, 이더넷을 통해 외부 동영상 공유 서비스 서버에 직접 스트리밍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스위처모듈;
상기 제 1스위처모듈에 연결되어, 현재 실시간 스트리밍되고 있는 영상 정보 상태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모니터링확인모듈;
스트리밍되는 영상 정보의 메인 화면을 형성하고, 외부 동영상 공유 서비스 서버로 영상 정보를 송출할 수 있는 제 1영상처리입력모듈;
방송되고 있는 영상 정보와 관련된 자료를 형성, 송출하여, 영상 정보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로써, 방송되고 있는 영상 정보를 보조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영상처리입력모듈;로 구성되어,
영상 정보를 송출, 제어하는 관리자와, 이를, 외부 동영상 공유 서비스 서버 및 단독채널방송레이어층에서 시청하고 있는 소비자(참여자) 간, 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관리자가 송출되고 있는 영상 정보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진행자영상촬영레이어층으로부터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 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영상 정보를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으로 실시간 전달하는 제 2영상믹서레이어층;
진행자스테이지레이어층을 실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진행자영상촬영레이어층;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으로 입력되는 단독채널방송레이어층의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진행자가 전체 방송 시스템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진행자스테이지레이어층;을 더 포함, 구성하여,
진행자가 방송되고 있는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방송을 진행, 방송되는 콘텐츠의 성격에 따라, 보다 방송 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1. 각각의 채널에서 진행, 방송되고 있는 콘텐츠를 하나의 채널로 병합하여, 각각의 채널에서 진행, 방송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다자간 원활하게 확인, 교환할 수 있다.
2. 방송 진행 상황에 맞게 관리자가 각각의 채널을 병합, 분리하여, 대(大), 중(中), 소(小)분류로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방송 형태로 방송이 진행되도록 방송 시스템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3. 또한, 방송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와, 시청, 참여하고 있는 소비자(참여자) 간, 양방향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4. 화상 회의, 채팅, 온라인 교육, 쇼핑 등, 각각의 채널에서 방송될 수 있는 콘텐츠의 성격에 따라, 관리자가 방송 시스템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5. 또한, 화상 회의 시스템 및 외부 동영상 공유 서비스 서버를 용이하게 활용하여, 다양한 방식의 방송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다자간의 콘텐츠 정보 확인 및 교환이 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방송 시스템을 제어하는 관리자와, 소비자(참여자) 간, 양방향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방송 시스템의 진행 용이성을 극대화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인,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의 구성요소 중, 영상모니터링확인모듈로 출력되는 영상 정보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에 대한 선행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1)에 대한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에 대한 개념도를, 도 3은 본 발명인,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의 구성요소 중, 영상모니터링확인모듈로 출력되는 영상 정보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1)에 있어서,
단독 채널을 보유한 콘텐츠가 하나 이상 방송되는 단독채널방송레이어층(100);
상기 단독채널방송레이어층(100)에서 방송되는 각각의 채널이 입력되어, 블랙매직모니터레이어층(300)으로 출력시키는 다중채널입출력레이어층(200);
상기 다중채널입출력레이어층(200)으로부터 입력되는 다수 개의 채널 영상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입력되는 각각의 채널 수(數)에 맞게 분할된 영상 그대로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400)으로 출력시키는 블랙매직모니터레이어층(300);
상기 블랙매직모니터레이어층(30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정보와, 메인 송출 영상 정보 및 보조 영상 정보를 외부 동영상 공유 서비스 서버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400);으로 구성되되,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400)은,
다수 개의 영상을 스트리밍하고, 블랙매직모니터레이어층(300)에 의해 출력되는 단독채널방송레이어층(100)의 영상 정보를 편집, 각각의 단독 채널로 전환하거나, 병합, 분리하여, 이더넷을 통해 외부 동영상 공유 서비스 서버에 직접 스트리밍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스위처모듈(410);
상기 제 1스위처모듈(410)에 연결되어, 현재 실시간 스트리밍되고 있는 영상 정보 상태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모니터링확인모듈(420);
스트리밍되는 영상 정보의 메인 화면을 형성하고, 외부 동영상 공유 서비스 서버로 영상 정보를 송출할 수 있는 제 1영상처리입력모듈(430);
방송되고 있는 영상 정보와 관련된 자료를 형성, 송출하여, 영상 정보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로써, 방송되고 있는 영상 정보를 보조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영상처리입력모듈(440);로 구성되어,
영상 정보를 송출, 제어하는 관리자와, 이를, 외부 동영상 공유 서비스 서버 및 단독채널방송레이어층(100)에서 시청하고 있는 소비자(참여자) 간, 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관리자가 송출되고 있는 영상 정보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방송 시, 다자간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방송 운용 플랫폼으로, 관리자가 방송 시에, 방송의 진행 상황에 맞게 대(大), 중(中), 소(小)분류로 그룹을 용이하게 병합, 분리하여, 매끄럽고 전문적인 방송이 송출되도록 함으로서, 관리자와 참여자 간의 양방향 소통은 물론, 관리자의 방송 시스템 운용의 용이성을 극대화하는,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1)에 대한 것이다.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독채널방송레이어층(100)에는,
1[개]의 채널을 보유, 콘텐츠를 방송할 수 있는 제 N영상처리입력모듈(110);이 다수 개 구성되어,
각각의 채널에서 동일한 주제의 콘텐츠 또는 각각의 다른 콘텐츠를 이용하여 방송할 수 있다.
제 N영상처리입력모듈(110)은, 예를 들어, 노트북이 될 수 있다.
상기 단독채널방송레이어층(100)에 구성되는 다수 개의 제 N영상처리입력모듈(110)을 하나의 출력 화면으로 수집하기 위한 다중채널입출력레이어층(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독채널방송레이어층(100)에 구성되는 다수 개의 제 N영상처리입력모듈(110)이 연결, 입력되고, 이를, 블랙매직모니터레이어층(300)으로 출력시켜, 블랙매직모니터레이어층(300) 및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400)에 하나의 출력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매개체인 화면분할기모듈(210);이 구성된다.
화면분할기모듈(210)은,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분할기가 될 수 있다.
블랙매직모니터레이어층(300)은,
다중채널입출력레이어층(20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정보가 그대로 수신되도록 하고, 입력된 분할된 영상 그대로를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400)으로 전달하는 블랙매직모니터모듈(310);이 구성되어,
각 채널의 영상이 그대로 입력되고, 또 이가, 그대로 출력되도록 한다.
즉, 블랙매직모니터모듈(310)은, 다중채널입출력레이어층(200)과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400)을 연결하는 매개체이다.
본격적으로 관리자가 전체 방송 시스템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4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스위처모듈(410), 영상모니터링확인모듈(420), 제 1영상처리입력모듈(430), 제 2영상처리입력모듈(440)로 구성된다.
제 1스위처모듈(410)은,
3[개] 이상의 입력 단자와, 2[개] 이상의 출력 단자가 형성되어야 하며,
그 중, 하나의 입력 단자에는, 블랙매직모니터레이어층(300)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정보가 입력되도록 연결되고,
또 다른 하나의 입력 단자에는, 방송되는 콘텐츠와 관련한 자료가 출력될 수 있는 제 2영상처리입력모듈(440)이 연결되고,
또 다른 하나의 입력 단자에는, 제 2영상믹서레이어층(500)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정보가 입력되도록 연결되고,
하나의 출력 단자에는,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400)으로 입력되는 실시간 영상 정보와,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400)으로부터 출력되는 실시간 영상 정보를 한 번에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영상모니터링확인모듈(420)이 연결되고,
또 다른 하나의 출력 단자에는,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400)에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담을 수 있는 메인 화면을 형성하고, 외부 동영상 공유 서비스 서버로 송출하는 제 1영상처리입력모듈(430)이 연결되어,
관리자가 방송 시스템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인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1)에는,
진행자영상촬영레이어층(600)으로부터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 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영상 정보를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400)으로 실시간 전달하는 제 2영상믹서레이어층(500);
진행자스테이지레이어층(700)을 실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진행자영상촬영레이어층(600);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400)으로 입력되는 단독채널방송레이어층(100)의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진행자가 전체 방송 시스템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진행자스테이지레이어층(700);을 더 포함, 구성하여,
진행자가 방송되고 있는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방송을 진행, 방송되는 콘텐츠의 성격에 따라, 보다 방송 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 2영상믹서레이어층(500)에는,
진행자영상촬영레이어층(600)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정보가 입력되고, 이를,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400)으로 출력시키는 제 2스위처모듈(510);이 구성된다.(제 2스위처모듈(510)은 제 1스위처모듈(410)과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진행자영상촬영레이어층(600)으로부터 획득되는 실시간 영상 정보를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400)으로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또한, 진행자스테이지레이어층(700)을 실시간 촬영하여 실시간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진행자영상촬영레이어층(600)은,
진행자스테이지레이어층(700)의 정면을 촬영하여, 정면의 실시간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제 1촬영획득모듈(610);
상기 제 1촬영획득모듈(610)을 기준으로 진행자스테이지레이어층(700)의 좌측 사선 방향을 촬영하여, 좌측 사선 방향의 실시간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제 2촬영획득모듈(620);
상기 제 1촬영획득모듈(610)을 기준으로 진행자스테이지레이어층(700)의 우측 사선 방향을 촬영하여, 우측 사선 방향의 실시간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제 3촬영획득모듈(630);로 구성되어,
진행자스테이지레이어층(700)으로부터 다방향 영상 정보를 실시간 촬영, 획득한다.
진행자스테이지레이어층(700)은,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400)으로부터 입, 출력되는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방송을 원활하게 유도, 진행하는 진행자모듈(710);
필요에 따라 상기 진행자모듈(710)에 의한 방송 진행을 보조할 수 있는 자료가 출력되는 자료출력스크린모듈(720);로 구성되어,
방송의 성격에 따라, 방송을 매끄럽게 이끌어 갈 진행자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송 운용 플랫폼을 적용하면,
관리자와 소비자(참여자), 진행자의 소통이 양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져 방송의 진행 및 관리의 용이성이 극대화된다.
쉽게 적용하여 설명하면,
비디오 회의, 웹 회의, 웨비나, 화면 공유 등, 온라인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온라인 회의 프로그램인 'ZOOM'을 이용할 경우,
제 N영상처리입력모듈(430)에서 ZOOM을 실행하게 되면,
제 N영상처리입력모듈(430)의 수(數)만큼 각각 하나의 소그룹 모임이 형성되고,
다중채널입출력레이어층(200), 블랙매직모니터레이어층(300),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400)에 의해 영상모니터링확인모듈(420)을 통하여 각각 하나의 소그룹이 한 화면에 출력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제 1영상처리입력모듈(430)을 이용하여, ZOOM을 실행, 다수 개가 조합된 소그룹이 포함된 또 다른 채널을 생성시키거나, 다수 개가 조합된 소그룹이 포함되지 않는 별도의 채널을 생성하여, 외부 동영상 공유 서비스, 즉, 유튜브로 방송이 송출되도록 한다.
이때, 제 2영상처리입력모듈(440)을 통해서는 유튜브로 송출되는 영상 정보와 관련된 자료 화면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 2영상믹서레이어층(500), 진행자영상촬영레이어층(600), 진행자스테이지레이어층(700)을 통해, 유튜브로 송출되는 영상 정보를 진행할 수 있는 진행자를 형성하여, 방송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제 N영상처리입력모듈(110)에서 각각의 하나의 소그룹이 형성되고, 이를 그룹별로 전환, 병합, 분리하여, 중그룹, 대그룹을 생성, 상황에 맞게, 소(小), 중(中), 대(大)그룹으로 효율적인 미팅, 토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온라인 프로그램을 이용한 방송 장비를 본 발명의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에 적용하여, 관리자는 방송 진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관리자와 소비자(참여자), 진행자와의 소통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특히, 100[명] 내지 200[명] 간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방송 콘텐츠의 성격에 따라 대회의, 중회의, 소회의로 각각 미팅, 토론할 수 있는 그룹을 용이하게 전환, 병합, 분리,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즉, ZOOM과 같은 온라인 프로그램의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진행자스테이지레이어층(700)에 구성된 자료출력스크린모듈(720)에서 출력되는 화면은, 상기 제 2영상처리입력모듈(440)을 통해 출력되는 자료 화면이 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외부영상처리입력모듈(PC);을 직접 연결하여 자료 화면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외부영상처리입력모듈(PC)은, 제 1영상처리입력모듈(430), 제 2영상처리입력모듈(440), 제 N영상처리입력모듈(110)과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인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1)은,
관리자, 소비자(참여자), 진행자를 포함한 다자간 양방향 소통의 용이성 및 이를 가능하게 하는 방송 시스템의 관리의 용이성을 극대화함으로서,
특히, 온라인 화상 회의 서비스 및 외부 동영상 공유 서비스를 활용하여 교육 및 쇼핑 관련 방송을 원활하게 진행,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하여, 본 발명에 구성된 제 1스위처모듈(410) 및 제 2스위처모듈(510)은, 여러 개의 다른 비디오 대상을 선택하는 데에 쓰이는 장치로서, 어떠한 경우에는 영상을 합성하고 특수 효과를 넣을 수도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ATEM Mini 및 ATEM Mini Pro 스위처를 적용, 유튜브 라이브 스트리밍이나 스카이프 또는 ZOOM을 통한 혁신적인 비즈니스 프레젠테이션에 필요한 전문 멀티 카메라 프로덕션 워크플로를 손쉽게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제 1영상처리입력모듈(430) 및 제 2영상처리입력모듈(440)은, 제 N영상처리입력모듈(110)과 동일하게 노트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를 통해 기재된 문자는 해당 숫자의 단위를 의미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콘텐츠를 방송하는 방송 시스템 관련 산업분야, 특히, 다자간 양방향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화상 회의 및 채팅 시스템, 특정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방송을 촬영하여 이를 외부 동영상 공유 서비스 서버로 스트리밍하는 온라인 방송 시스템 산업분야 증진에 기여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플랫폼을 제작, 구축하여, 안정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관련 기술 산업분야 및 방송을 통해 소비자(참여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서비스 산업분야 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다.
1: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
100: 단독채널방송레이어층 110: 제 N영상처리입력모듈
200: 다중채널입출력레이어층 210: 화면분할기모듈
300: 블랙매직모니터레이어층 310: 블랙매직모니터모듈
400: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 410: 제 1스위처모듈
420: 영상모니터링확인모듈 430: 제 1영상처리입력모듈
440: 제 2영상처리입력모듈 500: 제 2영상믹서레이어층
510: 제 2스위처모듈 600: 진행자영상촬영레이어층
610: 제 1촬영획득모듈 620: 제 2촬영획득모듈
630: 제 3촬영획득모듈 700: 진행자스테이지레이어층
710: 진행자모듈 720: 자료출력스크린모듈
PC: 외부영상처리입력모듈

Claims (2)

  1.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1)에 있어서,
    단독 채널을 보유한 콘텐츠가 하나 이상 방송되는 단독채널방송레이어층(100);
    상기 단독채널방송레이어층(100)에서 방송되는 각각의 채널이 입력되어, 블랙매직모니터레이어층(300)으로 출력시키는 다중채널입출력레이어층(200);
    상기 다중채널입출력레이어층(200)으로부터 입력되는 다수 개의 채널 영상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입력되는 각각의 채널 수(數)에 맞게 분할된 영상 그대로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400)으로 출력시키는 블랙매직모니터레이어층(300);
    상기 블랙매직모니터레이어층(30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정보와, 메인 송출 영상 정보 및 보조 영상 정보를 외부 동영상 공유 서비스 서버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400);으로 구성되되,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400)은,
    다수 개의 영상을 스트리밍하고, 블랙매직모니터레이어층(300)에 의해 출력되는 단독채널방송레이어층(100)의 영상 정보를 편집, 각각의 단독 채널로 전환하거나, 병합, 분리하여, 이더넷을 통해 외부 동영상 공유 서비스 서버에 직접 스트리밍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스위처모듈(410);
    상기 제 1스위처모듈(410)에 연결되어, 현재 실시간 스트리밍되고 있는 영상 정보 상태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모니터링확인모듈(420);
    스트리밍되는 영상 정보의 메인 화면을 형성하고, 외부 동영상 공유 서비스 서버로 영상 정보를 송출할 수 있는 제 1영상처리입력모듈(430);
    방송되고 있는 영상 정보와 관련된 자료를 형성, 송출하여, 영상 정보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로써, 방송되고 있는 영상 정보를 보조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영상처리입력모듈(440);로 구성되어,
    영상 정보를 송출, 제어하는 관리자와, 이를, 외부 동영상 공유 서비스 서버 및 단독채널방송레이어층(100)에서 시청하고 있는 소비자(참여자) 간, 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관리자가 송출되고 있는 영상 정보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
  2. 제 1항에 있어서,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1)에는,
    진행자영상촬영레이어층(600)으로부터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 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영상 정보를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400)으로 실시간 전달하는 제 2영상믹서레이어층(500);
    진행자스테이지레이어층(700)을 실시간 촬영,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진행자영상촬영레이어층(600);
    제 1영상믹서레이어층(400)으로 입력되는 단독채널방송레이어층(100)의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진행자가 전체 방송 시스템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진행자스테이지레이어층(700);을 더 포함, 구성하여,
    진행자가 방송되고 있는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방송을 진행, 방송되는 콘텐츠의 성격에 따라, 보다 방송 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
KR1020200170875A 2020-12-08 2020-12-08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 KR102521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875A KR102521901B1 (ko) 2020-12-08 2020-12-08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875A KR102521901B1 (ko) 2020-12-08 2020-12-08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220A true KR20220081220A (ko) 2022-06-15
KR102521901B1 KR102521901B1 (ko) 2023-04-17

Family

ID=81987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875A KR102521901B1 (ko) 2020-12-08 2020-12-08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9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2685A (ko) 2010-04-07 2011-10-13 (주)조아영상기술 방송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방송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20130015766A (ko) * 2011-08-05 2013-02-14 (주)유니파인테크 영상회의를 이용한 방송출연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14785A (ko) * 2013-07-30 2015-02-09 (주)유니파인테크 다자간 통신 방송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29978B1 (ko) 2017-02-21 2017-04-25 (주) 케이투이 Uhd 4k 멀티 뷰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2685A (ko) 2010-04-07 2011-10-13 (주)조아영상기술 방송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방송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20130015766A (ko) * 2011-08-05 2013-02-14 (주)유니파인테크 영상회의를 이용한 방송출연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14785A (ko) * 2013-07-30 2015-02-09 (주)유니파인테크 다자간 통신 방송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29978B1 (ko) 2017-02-21 2017-04-25 (주) 케이투이 Uhd 4k 멀티 뷰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901B1 (ko) 202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2758B1 (en) Multimedia conferencing system having a central processing hub for processing video and audio data for remote users
US7558221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videoconference data
RU2662731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ерверного узла и способ
EP2487903B1 (en) Automatic video layouts for multi-stream multi-site telepresence conferencing system
US10880519B2 (en) Panoramic streaming of video with user selected audio
US20070285501A1 (en) Videoconference System Clustering
WO2013089423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utilizing a multimedia service
JP2007082182A (ja) 対話型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製作方法
WO2021200304A1 (ja) ライブ映像制作システム、ライブ映像制作方法及びクラウドサーバ
CN113194278A (zh) 一种会议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107301A (zh) 一种视频会议平台及基于视频会议平台的通讯方法
Nguyen et al. ITEM: Immersive telepresence for entertainment and meetings—A practical approach
KR102521901B1 (ko) 다중 채널 입출력 방송 송출 운용 플랫폼
US201403474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content in videoconferencing
Stickland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a scalable real-time online digital audio workstation collaboration framework
CN103905777A (zh) 会议记录获取方法、提供方法、设备及系统
CN111131751A (zh) 一种视联网会议的信息展示方法和系统
Brightwell et al. The IP studio
EP4002389A1 (en) Operating room control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150014785A (ko) 다자간 통신 방송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Mughal et al. Context-dependent software solutions to handle video synchronization and delay in collaborative live mobile video production
US9319719B2 (en) Method for processing video and/or audio signals
EP3832570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of performing a real-time onlin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session, a communication system, and an on-screen presentation tool
US9426415B2 (en) System, method and architecture for in-built media enabled personal collaboration on endpoints capable of IP voice video communication
Nguyen et al. Teleimmersive audio-visual communication using commodity hardware [applications cor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