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049A - 방향전환이 가능한 러닝머신 - Google Patents

방향전환이 가능한 러닝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049A
KR20220081049A KR1020200170485A KR20200170485A KR20220081049A KR 20220081049 A KR20220081049 A KR 20220081049A KR 1020200170485 A KR1020200170485 A KR 1020200170485A KR 20200170485 A KR20200170485 A KR 20200170485A KR 20220081049 A KR20220081049 A KR 20220081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ser
handle
treadmill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9323B1 (ko
Inventor
양미정
Original Assignee
양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미정 filed Critical 양미정
Priority to KR1020200170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323B1/ko
Publication of KR20220081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022/027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omnidirection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022/027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with reversible direction of the running sur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해 회전방향이 전환되는 런닝벨트가 설치된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서 돌출되며 계기판이 구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부착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안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이 가능한 러닝머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향전환이 가능한 러닝머신{Reversible treadmill}
본 발명은 방향전환이 가능하며, 미끄러짐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러닝머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실내 운동기구로서의 런닝머신은 널리 보급되어 있다. 런닝머신은 계속적으로 앞으로 전진하는 러닝벨트위에서 운동자가 걷거나 혹은 가볍게 달리도록 고안되어 있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도 손쉽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줄 뿐만 아니라, 운동의 효과가 전신에 미치기 때문에, 런닝머신을 이용하여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사람들이 앞으로 걸을 때에는 발뒤꿈치가 발가락보다 먼저 지면에 닿기 때문에, 하체의 근육은 종아리, 대퇴부, 정강이, 대퇴후부, 엉덩이의 순서로 하체의 근육이 작용하게 되며, 또한 상체의 어깨와 팔도 마찬가지로 전방향에서 후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상체의 각 근육의 움직임순서 및 주로 사용하게 되는 근육이 일정한 패턴으로 정하여지게 된다.
반대로, 뒤로 걷거나 뛸 경우에는 발가락부분이 발뒤꿈치보다 먼저 지면에 닿게 되고, 따라서 하체근육의 작용순서는 정강이, 대퇴부, 대퇴후부, 종아리, 엉덩이의 순서로 되고, 이와 같이 뒤로 걷거나 뛸 때에는 앞으로 걷거나 뛰는 경우에 비하여 반대의 운동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사람들이 앞으로 걷기(뛰기)와 뒤로 걷기(뛰기)를 반복한다면 균형적인 근육의 발달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체의 평형감각의 향상을 통해 신체를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43630호에서는 워킹벨트가 전방향(前方向)과 후방향(後方향)의 양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닝머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기술은 뒤로 걷기 등에서 사용자가 균형을 잃는 경우 낙상에 의한 안전사고에 대해 어떠한 대비책이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43630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향의 전환이 자유로운 것은 물론 사용자가 균형을 잃은 경우 등에 안전사고를 제어할 수 있는 런닝머신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의한 방향전환이 가능한 러닝머신은 모터에 의해 회전방향이 전환되는 런닝벨트가 설치된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서 돌출되며 계기판이 구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부착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안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안전구는, 손잡이에 착탈이 되는 연결줄과, 상기 연결줄에 구성되어 사용자의 등, 허리 또는 엉덩이를 포함하는 백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지지대에는 사용자에 체결되는 체결줄이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지지대는 사용자의 허리부분을 지지하는 상단지지대와, 상기 상단지지대의 하단에서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주름판과, 상기 주름판의 하단에서 사용자의 허벅지 뒷부분을 지지하는 하단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지지대는 상기 손잡이와 탄성줄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방향 운동이 가능하며, 특히 뒤로 걷기 및 러닝은 발의 앞쪽이 먼저 닿으면서 무릎에 가는 충격이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뒤로 걷기 및 러닝에 있어 속도 조절이 적절하지 않아 넘어질 경우 워킹머신으로 낙상 위험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1)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터에 의해 회전방향이 전환되는 런닝벨트(21)가 설치된 하부프레임(2); 상기 하부프레임(2)에서 돌출되며 계기판(31)이 구성되는 지지프레임(3); 상기 지지프레임(3)에 부착된 손잡이(4); 상기 손잡이(4)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안전구(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프레임(2)에서는 런닝벨트(21)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두개의 회전축에 권회되어 무한궤도 운동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 중의 어느 하나는 모터에 벨트 등으로 연결되며, 상기 런닝벨트(21), 회전축, 모터 등은 외부 케이싱의 역할을 하는 하부프레임(2)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프레임(2) 일측에는 지지프레임(3)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지지프레임(3) 상부에는 런닝속력, 런닝타임, 칼로리 소모량 등이 표시되는 계기판(31)이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손잡이(4)는 지지프레이(3)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운동중 상기 손잡이(4)를 잡고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1)은 특히 상기 런닝벨트(21)의 방향전환을 통해 뒤로 걷기 및 러닝이 가능하다.
뒤로 걸으면 발의 앞쪽이 먼저 닿으면서 무릎에 가는 충격이 보다 덜하게 되고 평소 잘 쓰지 않는 부위의 근육과 인대를 사용하게 되면서 관절염의 진행을 막는 데도 도움을 준다. 뒤로 걷기를 꾸준히 하면 신체의 브레이크 역할을 도맡아 하는 허벅지 뒷부분의 근육이 많이 사용되므로 대퇴사두근 뿐만 아니라 대퇴이두근을 발달시켜 주어 하지근육과 건(힘줄)을 강화시켜 주어 무릎부상을 감소시키고 운동능력의 향상으로 몸의 중심을 잡아주는 하체의 발달로 척추의 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뒤로 걸을 때는 몸의 평형을 유지하고자 뼈와 근육 등에 신경을 쓰기 때문에 균형감각의 개선 효과가 있다.
그로 인해 유연성과 순발력, 통제력 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운동에 필요한 여러 가지 능력들을 길러주고 에너지 소모량이 많아지므로 심폐기능의 향상과 다이어트에 도움을 준다.
그런데 이렇게 뒤로 걷기(런닝)에 있어 속도조절을 잘못하거나 발을 헛디디는 경우 런닝벨트(21) 상으로 낙상의 위험이 있다. 이에 본 발명(1)에서는 안전구(5)가 더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안전구(5)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4)에 착탈이 되는 연결줄(51)과, 상기 연결줄(51)에 구성되어 사용자의 등, 허리 또는 엉덩이를 포함하는 백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대(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사용자가 뒤로 걷기 등의 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안전구(5)가 사용자의 백부분을 지지해줌으로써 균형을 잡는 것을 보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줄(51)은 상기 손잡이(4)에 착탈하는 구조로서 체결되는 바, 여기서 연결줄(51)이 손잡이(4)에 착탈구조는 다양한 공지구조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지대(52)는 사용자의 백부분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그 재질을 한정하지 않으나 연성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52)에는 사용자에 체결되는 체결줄(53)이 더 구성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체결줄(53)은 상기 지지대(52)에 구성되어 사용자에 체결되는 구성으로 체결줄(53)이 사용자에 체결되도록 하는 구조는 다양한 공지의 구조가 차용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체결줄(53)이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52)가 사용자에 고정이 되는데 사용자가 지지대(52)에 고정이 됨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중 균형을 잃는 경우 등에 사용자가 런닝벨트(21)에서 낙상되는 것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런닝벨트(21)에서 미끄러지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지지대(52)에 고정이 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직접 런닝벨트(21) 위로 낙상이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1)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낙상방지를 위한 실시예가 더 제시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52)는 사용자의 허리부분을 지지하는 상단지지대(521)와, 상기 상단지지대(521)의 하단에서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주름판(522)과, 상기 주름판(522)의 하단에서 사용자의 허벅지 뒷부분을 지지하는 하단지지대(523)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지지대(523)는 상기 손잡이(4)와 탄성줄(54)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름판(522)은 상단지지대(521) 및 하단지지대(523)와 대비 더욱 플렉시블하게 연동을 함에 따라 상기 손잡이(4)와 연결된 탄성줄(54)의 탄성복원력에 연동하여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등에 안쪽으로 복원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운동시에는 사용자의 허벅지 뒷부분이 하단지지대(523)를 가압하면서 운동을 하여 운동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고, 사용자가 운동중 균형을 잃은 경우 전체 지지대(52)가 하강하면서 사용자의 엉덩이가 주름판(522)을 누름에 의해 주름판(522)이 접혀 사용자의 몸무게를 받아주게 되는 바,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직접적으로 런닝벨트(21)로 낙상이 되어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본 발명 2 : 하부프레임
3 : 지지프레임 4 : 손잡이
5 : 안전구

Claims (4)

  1. 모터에 의해 회전방향이 전환되는 런닝벨트가 설치된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서 돌출되며 계기판이 구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부착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안전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이 가능한 러닝머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구는,
    손잡이에 착탈이 되는 연결줄과, 상기 연결줄에 구성되어 사용자의 등, 허리 또는 엉덩이를 포함하는 백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이 가능한 러닝머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사용자에 체결되는 체결줄이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이 가능한 러닝머신.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사용자의 허리부분을 지지하는 상단지지대와, 상기 상단지지대의 하단에서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주름판과, 상기 주름판의 하단에서 사용자의 허벅지 뒷부분을 지지하는 하단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지지대는 상기 손잡이와 탄성줄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이 가능한 러닝머신.
KR1020200170485A 2020-12-08 2020-12-08 방향전환이 가능한 러닝머신 KR102489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485A KR102489323B1 (ko) 2020-12-08 2020-12-08 방향전환이 가능한 러닝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485A KR102489323B1 (ko) 2020-12-08 2020-12-08 방향전환이 가능한 러닝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049A true KR20220081049A (ko) 2022-06-15
KR102489323B1 KR102489323B1 (ko) 2023-01-18

Family

ID=81987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485A KR102489323B1 (ko) 2020-12-08 2020-12-08 방향전환이 가능한 러닝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3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0087A1 (fr) * 1996-06-28 1998-01-08 Hitachi, Ltd. Dispositif d'assistance au corps humain
KR100343630B1 (ko) 1999-09-21 2002-07-19 임정수 양 방향으로 구동되는 런닝머신
KR200328484Y1 (ko) * 2003-04-02 2003-09-29 최욱준 거꾸로 런닝 머신
US6821233B1 (en) * 1998-11-13 2004-11-23 Hocoma Ag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ng treadmill therapy
US20170282006A1 (en) * 2016-03-30 2017-10-05 Clark Walter Treadmill belts that enhance a users comfort and stabilit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0087A1 (fr) * 1996-06-28 1998-01-08 Hitachi, Ltd. Dispositif d'assistance au corps humain
US6821233B1 (en) * 1998-11-13 2004-11-23 Hocoma Ag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ng treadmill therapy
KR100343630B1 (ko) 1999-09-21 2002-07-19 임정수 양 방향으로 구동되는 런닝머신
KR200328484Y1 (ko) * 2003-04-02 2003-09-29 최욱준 거꾸로 런닝 머신
US20170282006A1 (en) * 2016-03-30 2017-10-05 Clark Walter Treadmill belts that enhance a users comfort and st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323B1 (ko) 202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1330B2 (en) Proprioceptive/kinesthetic apparatus and method
CA2495723C (en) Proprioceptive/kinesthetic apparatus and method
US9055788B2 (en) Proprioceptive/kinesthetic apparatus and method
US7500324B1 (en) Convertible therapeutic sandals
EP1938869B1 (en) Supplemental resistance assembly for resisting motion of an exercise device
JP2685131B2 (ja) スプリント・トレーニング・マシン
JP2001087416A (ja) 両方向に駆動するランニングマシン
KR20220081049A (ko) 방향전환이 가능한 러닝머신
KR200395879Y1 (ko)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
RU2765935C1 (ru) Тренажер для развития балетной выворотности и способ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JP2010158506A (ja) 受動式健康器具
KR100510165B1 (ko) 운동량이 향상된 자전거
CN213219080U (zh) 一种具有足底按摩功能的脚腿关节锻炼装置
KR200411261Y1 (ko)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 장치
WO2003024539A1 (en) Leg exercise apparatus
IL166971A (en) Proprioceptive/kinesthetic apparatus and method
Grant Dancing Our Feet Off Without Injuring Them, by Linking Our Warm-Ups to Kinetic Chains
KR200380521Y1 (ko) 만능 걷기 운동 장치
EP3661611A1 (en) A device for passive exercising of a human leg
Fitness Category: Technique
Tomeo ACL: The Curse of Women Athletes
MULLIN lxercises d~ tion and at
Helle et al. Running: Which Style is Right for You?
McLymont Walk of the Masa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