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0753A -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0753A
KR20220080753A KR1020200169153A KR20200169153A KR20220080753A KR 20220080753 A KR20220080753 A KR 20220080753A KR 1020200169153 A KR1020200169153 A KR 1020200169153A KR 20200169153 A KR20200169153 A KR 20200169153A KR 20220080753 A KR20220080753 A KR 20220080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battery module
vehicle
power supply
supply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0369B1 (ko
Inventor
권오갑
백남석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200169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369B1/ko
Publication of KR20220080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60L53/24Using the vehicle's propulsion converter for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8Constructional arrangements comprising digital calculation means, e.g. for performing an algorith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1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with remote indication, e.g. on external char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02M3/33584Bidirectional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9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6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i.e. power aggregation of EV or HEV, vehicle to grid arrangements [V2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테스트 챔버; 온도/압력 조절부; 제1 충방전기; 제2 충방전기; 연산 처리부;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 처리부는, (A) (a) 제i 테스트 온도와 자동차의 주행 데이터와 제i 테스트 패턴 정보와 제i 기준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처리; (b) 테스트 챔버 내의 온도를 제i 테스트 온도로 조절하고 테스트 챔버 내의 압력을 미리 지정된 테스트 압력으로 조절하도록 온도/압력 조절부를 제어하는 처리; (c) 상기 제i 테스트 패턴 정보를 기초로 제i 테스트 패턴을 생성하고, 제1 제어 신호를 제1 충방전기로 전송하고 제2 제어 신호를 제2 충방전기로 전송하는 처리; (d) 제i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처리; 및 (e) 상기 제i 상태 정보와 상기 제i 기준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제i 테스트 온도 및 테스트 압력 하에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를 i를 1부터 n(단, n은 2이상의 자연수)까지 증가시키면서 수행하는 처리; 및 (B) 테스트 압력 하에서 제1 테스트 온도 내지 제n 테스트 온도에서 모두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정상으로 판단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APPARATUS OF TESTING DUAL POWER SYSTEM FOR AUTOMOBILE}
본 개시(開示)는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장착되는 편의 시설 및 안전 시설의 개수가 증가하고 자동차의 연비 향상을 위해서 자동차 부품이 전장화하는 것에 따라서, 자동차에서 요구되는 전력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무인 자율 주행 기술이 개발되고 또한 전기 자동차, 수소 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새로운 유형의 자동차가 보급되는 것에 따라서, 자동차에서 요구되는 전력 수요는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서, 예컨대 이중 배터리(dual battery)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채용하는 자동차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예컨대,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은 제1 전압의 전력을 공급하는 제1 배터리 모듈과, 제2 전압의 전력을 공급하는 제2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압은 예컨대 기존의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12V이며, 제2 전압은 제1 전압 이상의 전압이며, 예컨대 48V이다.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은 예컨대 제2 전압이 제1 전압보다 높은 경우, 제2 전압을 제1 전압으로 변환하거나 또는 제1 전압을 제2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는 DC/DC 변환기(conve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C/DC 변환기를 통하여, 예컨대 제1 배터리 모듈을 이용하여 제2 배터리 모듈을 충전하거나 제2 배터리 모듈을 이용하여 제1 배터리 모듈을 충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배터리 모듈은 자동차 내에 배치된 제1 전압 부하에 예컨대 12V의 구동 전력을 공급하고, 제2 배터리 모듈은 예컨대 자동차 내에 배치된 제2 전압 부하에 예컨대 48V의 구동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은 DC/DC 변환기를 통하여 예컨대 제1 배터리 모듈을 이용하여 제2 전압 부하에 48V의 구동 전력을 공급하거나 또는 제2 배터리 모듈을 이용하여 제1 전압 부하에 12V의 구동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전압 부하는 예컨대 자동차 내에 배치되는 전장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압 부하는 예컨대 자동차 내에 배치되는 모터와 같은 동력 전달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에는 예컨대 시동 발전기가 연결될 수 있다. 시동 발전기는 예컨대 MHSG(Mild Hybrid Starter and Generator)이며, 자동차의 모터 및 발전기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시동 발전기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예컨대 제2 배터리 모듈에 제공될 수 있고, 제2 배터리 모듈로부터 제2 전압의 전력이 시동 발전기에 공급될 수도 있다.
제1 전압 부하 또는 제2 전압 부하가 고출력 부하인 경우, 제1 배터리 모듈 또는 제2 배터리 모듈의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에 과도한 리플 성분이 발생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전원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전압 부하 또는 제2 전압 부하 중 적어도 하나가 오동작하거나 제1 배터리 모듈 또는 제2 배터리 모듈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이 자동차의 성능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의 테스트 조건이 실제 자동차의 운행 조건과 다르기 때문에,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의 성능을 정확히 테스트하기 어렵다. 또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자동차에 실제로 장착한 후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경우에는, 테스트가 복잡해지고 테스트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동일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서로 다른 자동차에 적용하는 경우,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각 자동차에 실제로 장착한 후 테스트를 수행해야 한다는 단점도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예컨대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의해서 출원되고 2020년 6월 3일자로 공개된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56519호(특허문헌1)는 HILS(Hardware In the Loop Simulation)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000)을 테스트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즉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56519호에 따르면, 자동차의 구성 부품 중에서 제1 배터리 모듈과 제2 배터리 모듈은 실제 하드웨어를 이용하고 자동차의 다른 구성 부품들은 시뮬레이션 모델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서, 제1 배터리 모듈과 제2 배터리 모듈의 테스트를 수행하는 구성이 개시된다.
그러나,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56519호에서는, 예컨대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이 장착되는 자동차 내의 실제 환경을 반영하여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은 개시하지 못하고 있다. 예컨대,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이 장착되는 자동차 내의 온도와 같은 실제 환경이 테스트에 큰 영향을 주지만,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56519호에서는 자동차 내의 온도와 같은 실제 환경을 고려한 테스트에 대해서는 개시하지 못하고 있다. 예컨대,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 및 자동차의 다른 구성 부품들은 자동차에 장착되므로 자동차 내의 온도에 따른 영향을 받지만,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56519호에서는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 및 자동차의 다른 구성 부품들이 자동차 내의 온도에 따라서 영향을 받고 따라서 테스트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고압 조건의 경우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이 열화되기 쉽다. 따라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이 장착되는 자동차의 내부 압력은 대기압이지만, 고압에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테스트하는 경우,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보다 실용적으로 또한 신속하게 테스트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56519호에서는 고압 조건에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테스트하는 것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1.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56519호.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목적은 자동차 내의 온도를 고려하여 고압 조건에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일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제1 배터리 모듈 및 제2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수납하는 테스트 챔버; 히터와 쿨러와 압력 조절 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테스트 챔버 내의 온도 및 압력을 조절하는 온도/압력 조절부; 제1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 배터리 모듈을 충전하거나 방전하는 제1 충방전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을 충전하거나 방전하는 제2 충방전기; 연산 처리부; 및 상기 연산 처리부와 상기 온도/압력 조절부, 상기 제1 충방전기 및 상기 제2 충방전기를 각각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 처리부는, (A) (a) 제i 테스트 온도; 자동차의 주행 데이터; 상기 제i 테스트 온도에서의 상기 주행 데이터에 따른 상기 제1 충방전기의 동작 데이터 및 상기 제2 충방전기의 동작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i 테스트 패턴 정보; 및 상기 제i 테스트 온도에서의 상기 제i 테스트 패턴 정보에 따른 상기 제1 배터리 모듈 및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의 기준 상태를 나타내는 제i 기준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처리; (b) 상기 테스트 챔버 내의 온도를 상기 제i 테스트 온도로 조절하고 상기 테스트 챔버 내의 압력을 미리 지정된 테스트 압력으로 조절하도록 상기 온도/압력 조절부를 제어하는 처리; (c) 상기 제i 테스트 패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제i 테스트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충방전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충방전기로 전송하는 처리; (d) 상기 제1 배터리 모듈 및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i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처리; 및 (e) 상기 제i 상태 정보와 상기 제i 기준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i 테스트 온도 및 상기 테스트 압력 하에서 상기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를 i를 1부터 n(단, n은 2이상의 자연수)까지 증가시키면서 수행하는 처리; 및 (B) 상기 테스트 압력 하에서 제1 테스트 온도 내지 제n 테스트 온도에서 모두 상기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테스트 압력 하에서 상기 제1 테스트 온도 내지 상기 제n 테스트 온도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불량으로 판단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가 제공된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에 따르면,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이 장착되는 자동차 내의 온도를 고려하여 고압 조건에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테스트할 수 있다. 고압 조건의 경우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이 열화되기 쉬우므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이 장착되는 자동차 내의 온도를 고려하여 고압 조건에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테스트하는 것에 의해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보다 더 실용적으로 그리고 신속하게 테스트할 수 있다. 특히 저온, 실온 및 고온 환경 및 고압 조건에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제1 부하 및 하나 이상의 제2 부하가 자동차 내의 온도에 따라서 동작하는 것을 고려하여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테스트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구성 부품들이 자동차 내의 온도에 따라서 영향을 받고 따라서 테스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2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에서 테스트되는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3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의 온도/압력 조절부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4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의 연산 처리부가 수행하는 처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의 연산 처리부가 수행하는 처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의 연산 처리부가 수행하는 처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의 연산 처리부가 수행하는 처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실제 구성 중 일부만을 도시하거나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하거나 변형하여 도시하거나 또는 축척이 다르게 도시될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이하 "테스트 장치"라고 간단히 지칭됨)(100)는 테스트 챔버(110)와, 온도/압력 조절부(120)와, 제1 충방전기(130)와, 제2 충방전기(140)와, 연산 처리부(150)와,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테스트 장치(100)는 테스트 패턴 저장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테스트 챔버(110)는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도 2의 180)을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즉,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이 테스트 챔버(110) 내에 장착되고,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통해서 제1 충방전기(130) 및 제2 충방전기(140)와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테스트 장치(100)는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의 테스트를 수행한다.
도 2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에서 테스트되는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은, 제1 배터리 모듈(181)과 제2 배터리 모듈(183)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은 DC/DC 변환기(1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터리 모듈(181)은 자동차 내에 배치되는 제1 전압 부하에 제1 전압의 전력을 공급한다. 제1 전압 부하는 예컨대 자동차 내에 배치되는 전장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압은 예컨대 12V이다.
제1 배터리 모듈(181)은 제1 충방전기(130)와 연결된다. 예컨대 제1 배터리 모듈(181)은 제1 충방전기(130)와 CAN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배터리 모듈(181)은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통하여 연산 처리부(150)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제2 배터리 모듈(183)은 자동차 내에 배치되는 제2 전압 부하에 제1 전압의 전력을 공급한다. 제2 전압 부하는 예컨대 자동차 내에 배치되는 모터와 같은 동력 전달 부품을 포함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압은 제1 전압 이상이며, 예컨대 12V 또는 48V이다.
제2 배터리 모듈(183)은 제2 충방전기(140)와 연결된다. 예컨대 제2 배터리 모듈(183)은 제2 충방전기(140)와 CAN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배터리 모듈(183)은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통하여 연산 처리부(150)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DC/DC 변환기(185)는 제1 배터리 모듈(181)과 제2 배터리 모듈(183)에 연결된다. DC/DC 변환기(185)는 제1 배터리 모듈(181)을 이용하여 제2 배터리 모듈(183)을 충전하거나 제2 배터리 모듈(183)을 이용하여 제1 배터리 모듈(181)을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DC/DC 변환기(185)는 제1 배터리 모듈(181)로부터의 제1 전압의 전력을 제2 전압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제2 배터리 모듈(183)로 제공하거나 제2 배터리 모듈(183)로부터의 제2 전압의 전력을 제1 전압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제1 배터리 모듈(181)로 제공한다. DC/DC 변환기(185)는 후술하는 제3 제어 신호에 따라서 동작한다. DC/DC 변환기(185)는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통하여 연산 처리부(150)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온도/압력 조절부(120)는 테스트 챔버(110) 내의 온도 및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의 온도/압력 조절부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온도/압력 조절부(120)는 히터(121)와 쿨러(123)와 압력 조절 펌프(125)를 포함한다. 히터(121)와 쿨러(123)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온도/압력 조절부(120)는 실제 자동차 내의 온도와 동일하게 테스트 챔버(110) 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조절 펌프(125)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온도/압력 조절부(120)는 테스트 챔버(110) 내의 압력을 고압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온도/압력 조절부(120)는 테스트 챔버(110) 내의 온도를 -40℃ 이상 150℃ 이하의 범위 내의 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단, 상기 온도 범위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다. 예컨대, 온도/압력 조절부(120)는 테스트 챔버(110) 내의 온도를 -30℃ 이상 100℃ 이하의 범위 내의 온도로 조절할 수도 있다.
예컨대, 온도/압력 조절부(120)는 테스트 챔버(110) 내의 압력을 1 atm (대기압) 초과 10 atm 이하의 범위 내의 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단, 상기 압력 범위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다. 예컨대, 온도/압력 조절부(120)는 테스트 챔버(110) 내의 압력을 2 atm 이상 5 atm 이하의 범위 내의 온도로 조절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1 충방전기(130)는 제1 배터리 모듈(181)을 충전하거나 방전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충방전기(130)는 후술하는 제1 제어 신호에 따라서 제1 배터리 모듈(181)을 충전하거나 방전하도록 구성된다. 제1 충방전기(130)는 예컨대 자동차 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전압 부하(미도시)를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의 테스트를 위해서 전기적으로 등가로 대체한 것이다. 또한 자동차 내에 제1 배터리 모듈(181)을 충전하는 제1 전원 공급부(미도시)가 배치되는 경우, 제1 충방전기(130)는 예컨대 자동차 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전압 부하 및 제1 전압 공급부를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의 테스트를 위해서 전기적으로 등가로 대체한 것이다.
제2 충방전기(140)는 제2 배터리 모듈(183)을 충전하거나 방전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충방전기(140)는 후술하는 제2 제어 신호에 따라서 제2 배터리 모듈(183)을 충전하거나 방전하도록 구성된다. 제2 충방전기(140)는 예컨대 자동차 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전압 부하(미도시)를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의 테스트를 위해서 전기적으로 등가로 대체한 것이다. 또한 자동차 내에 제2 배터리 모듈(183)을 충전하는 제2 전원 공급부(미도시)가 배치되는 경우, 제2 충방전기(140)는 예컨대 자동차 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전압 부하 및 제2 전압 공급부를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의 테스트를 위해서 전기적으로 등가로 대체한 것이다.
연산 처리부(150)는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의 테스트를 수행한다. 연산 처리부(150)는 예컨대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예컨대 실시간 운영체제(RTOS)를 이용하여 온도/압력 조절부(120), 제1 충방전기(130) 및 제2 충방전기(140)에 실시간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온도/압력 조절부(120), 제1 충방전기(130) 및 제2 충방전기(140)로부터 실시간으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예컨대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같은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연산 처리부(150)를 적어도 온도/압력 조절부(120), 제1 충방전기(130) 및 제2 충방전기(140) 각각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예컨대 CAN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연산 처리부(150)를 제1 배터리 모듈(181) 및 제2 배터리 모듈(183)을 각각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연산 처리부(150)를 DC/DC 변환기(185)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연산 처리부(150)를 테스트 패턴 저장부(170)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연산 처리부(150)와 테스트 패턴 저장부(170)를 연결하는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CAN 통신 인터페이스 이외의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연산 처리부(150)가 수행하는 처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의 연산 처리부가 수행하는 처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연산 처리부(150)는 우선, i를 1부터 n(단, n은 2이상의 자연수)까지 증가시키면서, 제i 테스트 온도 및 테스트 압력 하에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P100)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연산 처리부(150)는 테스트 압력 하에서 제1 테스트 온도 내지 제n 테스트 온도에서 모두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을 정상으로 판단하고, 테스트 압력 하에서 제1 테스트 온도 내지 제n 테스트 온도 중 어느 하나에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을 불량으로 판단하는 처리(P200)를 수행한다.
도 5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의 연산 처리부가 수행하는 처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처리 P100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연산 처리부(150)는 제i 테스트 온도, 자동차의 주행 데이터, 제i 테스트 패턴 정보 및 제i 기준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처리 P110).
제i 테스트 온도는 예컨대 -40℃ 이상 150℃ 이하의 범위 내의 온도이다.
자동차의 주행 데이터는 자동차의 주행 상태를 시뮬레이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는 자동차의 주행 데이터는 자동차의 실제 주행 데이터를 편집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즉 자동차가 실제 주행하는 경우 생성되는 주행 데이터를 대량으로 획득한 후, 예컨대 1시간 이내로 편집하여 자동차의 주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동차의 주행 데이터는 자동차가 정지 상태로부터 출발하여 가속, 정속 주행, 감속 및 정지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나타낸다. 또한,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경우, 자동차의 주행 데이터는 내연 기관이 아닌 전기 모터 등을 이용하여 자동차가 구동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자동차의 주행 데이터는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이 실제로 장착되는 각각의 자동차 별로 상이할 수 있다. 처리 P110에서는,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이 실제로 장착될 자동차에 대해서 자동차의 주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i 테스트 패턴 정보는 제i 테스트 온도에서의 자동차의 주행 데이터에 따른 제1 충방전기(130)의 동작 데이터 및 제i 테스트 온도에서의 자동차의 주행 데이터에 따른 제2 충방전기(140)의 동작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충방전기(130)의 동작 데이터는, 자동차가 주행하는 것에 따라서, 제i 테스트 온도에서 자동차 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전압 부하 및/또는 제1 전압 공급부의 동작을 전기적으로 등가로 대체한 데이터이다. 예컨대, 자동차가 정지 상태로부터 출발하여 가속, 정속 주행, 감속 및 정지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때, 하나 이상의 제1 전압 부하 및/또는 제1 전압 공급부의 동작을 전기적으로 등가로 대체한 데이터이다.
전술한 제2 충방전기(140)의 동작 데이터는, 자동차가 주행하는 것에 따라서, 제i 테스트 온도에서 자동차 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전압 부하 및/또는 제2 전압 공급부의 동작을 전기적으로 등가로 대체한 데이터이다. 예컨대, 자동차가 정지 상태로부터 출발하여 가속, 정속 주행, 감속 및 정지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때, 하나 이상의 제2 전압 부하 및/또는 제2 전압 공급부의 동작을 전기적으로 등가로 대체한 데이터이다.
자동차의 주행 데이터가 자동차의 주행 상태를 시뮬레이션하여 생성되는 경우, 제1 충방전기(130)의 동작 데이터는 전술한 하나 이상의 제1 전압 부하 및/또는 제1 전압 공급부가 제i 테스트 온도에서 주행 데이터에 따라서 동작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여 생성될 수 있고, 제2 충방전기(140)의 동작 데이터는 전술한 하나 이상의 제2 전압 부하 및/또는 제2 전압 공급부가 제i 테스트 온도에서 주행 데이터에 따라서 동작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자동차의 주행 데이터가 자동차의 실제 주행 데이터를 편집하여 생성되는 경우, 제1 충방전기(130)의 동작 데이터는 전술한 하나 이상의 제1 전압 부하 및/또는 제1 전압 공급부가 제i 테스트 온도에서 자동차의 실제 주행 데이터에 따라서 동작하는 경우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전압 부하 및/또는 제1 전압 공급부의 동작 데이터를 측정하고 편집하여 생성될 수 있고, 제2 충방전기(140)의 동작 데이터는 전술한 하나 이상의 제2 전압 부하 및/또는 제2 전압 공급부가 제i 테스트 온도에서 자동차의 실제 주행 데이터에 따라서 동작하는 경우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전압 부하 및/또는 제2 전압 공급부의 동작 데이터를 측정하고 편집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제i 기준 상태 정보는 제i 테스트 온도에서 제i 테스트 패턴 정보에 따른 제1 배터리 모듈(181) 및 제2 배터리 모듈(183)의 기준 상태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i 기준 상태 정보는 제1 배터리 모듈(181)의 기준 출력 전압 범위 및 기준 출력 전류 범위와 제2 배터리 모듈(183)의 기준 출력 전압 범위 및 기준 출력 전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압이 12V인 경우, 제1 배터리 모듈(181)의 기준 출력 전압 범위는 12V에서 5% 내외의 범위, 즉, 11.4V 내지 12.6V일 수 있다. 제1 배터리 모듈(181)의 기준 출력 전류 범위와 제2 배터리 모듈(183)의 기준 출력 전압 범위 및 기준 출력 전류 범위도 마찬가지로 설정될 수 있다.
제i 기준 상태 정보는 제1 배터리 모듈(181)의 기준 충전률 범위 및 제2 배터리 모듈(183)의 기준 충전률 범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배터리 모듈(181)의 기준 충전률 범위 및 제2 배터리 모듈(183)의 기준 충전률 범위는 자동차 및 제1 배터리 모듈(181)과 제2 배터리 모듈(183)의 특성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배터리 모듈(181)의 기준 충전률 범위는 제1 배터리 모듈(181)의 충전 용량의 60% 내지 100%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배터리 모듈(183)의 기준 충전률 범위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연산 처리부(150)는 테스트 챔버(110) 내의 온도를 제i 테스트 온도로 조절하고 테스트 챔버(110) 내의 압력을 미리 지정된 테스트 압력으로 조절하도록 온도/압력 조절부(120)를 제어한다(처리 P120).
예컨대, 연산 처리부(150)는 제i 테스트 온도 및 테스트 압력을 온도/압력 조절부(120)로 전송하며, 온도/압력 조절부(120)는 테스트 챔버(110) 내의 온도를 제i 테스트 온도로 조절하고 테스트 챔버(110) 내의 압력을 미리 지정된 테스트 압력으로 조절하도록 히터(121)와 쿨러(123)와 압력 조절 펌프(125)를 조절한다. 테스트 챔버(110) 내의 온도를 제i 테스트 온도로 조절하고 테스트 챔버(110) 내의 압력을 테스트 압력으로 조절한 후, 온도/압력 조절부(120)는 테스트 챔버(110) 내의 온도가 제i 테스트 온도로 조절되고 테스트 챔버(110) 내의 압력이 테스트 압력으로 조절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연산 처리부(150)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테스트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테스트 압력은 2 atm으로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연산 처리부(150)는 제i 테스트 패턴을 생성하고, 제1 제어 신호를 제1 충방전기(130)로 전송하고 제2 제어 신호를 제2 충방전기(140)로 전송한다(처리 P130). 제i 테스트 패턴은 제i 테스트 패턴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다. 구체적으로, 제i 테스트 패턴은 제1 충방전기(130)를 제어하는 제1 제어 신호와 제2 충방전기(140)를 제어하는 제2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처리 P130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서, 연산 처리부(150)는 자동차의 주행 데이터에 따라서 제1 충방전기(130)와 제2 충방전기(140)가 각각 제1 배터리 모듈(181) 및 제2 배터리 모듈(183)을 충전하거나 방전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연산 처리부(150)는 제1 배터리 모듈(181) 및 제2 배터리 모듈(183)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i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처리 P140).
처리 P140은 예컨대 자동차의 주행 데이터에 따라서 제1 충방전기(130)와 제2 충방전기(140)가 소정 시간 동안 각각 제1 배터리 모듈(181) 및 제2 배터리 모듈(183)을 충전하거나 방전한 후 수행된다.
제i 상태 정보는 제1 배터리 모듈(181)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와 제2 배터리 모듈(183)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i 상태 정보는 제1 배터리 모듈(181)의 충전률 및 출력 전류와 제2 배터리 모듈(183)의 충전률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i 상태 정보는 제1 충방전기(130) 및 제2 충방전기(14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처리 P140은 제1 충방전기(130)로부터 제1 배터리 모듈(181)의 상태를 수신하고 제2 충방전기(140)로부터 제2 배터리 모듈(183)의 상태를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통하여 수신하여 제i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충방전기(130) 및 제2 충방전기(140)는 제1 배터리 모듈(181) 및 제2 배터리 모듈(183) 각각에 포함된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로부터 제1 배터리 모듈(181)의 상태 및 제2 배터리 모듈(183)의 상태를 각각 수신한 후,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통하여 각각 연산 처리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예컨대 제1 충방전기(130) 및 제2 충방전기(140)는 제1 배터리 모듈(181)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및 제2 배터리 모듈(183)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각각 모니터링하여 제1 배터리 모듈(181)의 상태 및 제2 배터리 모듈(183)의 상태를 각각 생성한 후, 제1 배터리 모듈(181)의 상태 및 제2 배터리 모듈(183)의 상태를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통하여 연산 처리부(150)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60)가 연산 처리부(150)를 제1 배터리 모듈(181) 및 제2 배터리 모듈(183)을 각각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경우, 제i 상태 정보는 제1 배터리 모듈(181) 및 제2 배터리 모듈(183)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처리 P140은 제1 배터리 모듈(181)로부터 제1 배터리 모듈의 상태를 수신하고 제2 배터리 모듈(183)로부터 제2 배터리 모듈의 상태를 수신하는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배터리 모듈(181) 및 제2 배터리 모듈(183)은 제1 배터리 모듈(181) 및 제2 배터리 모듈(183) 각각에 포함된 BMS로부터 제1 배터리 모듈(181)의 상태 및 제2 배터리 모듈(183)의 상태를 각각 수신한 후,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통하여 각각 연산 처리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연산 처리부(150)는 처리 P140을 통하여 획득한 제i 상태 정보와 처리 P110을 통하여 획득한 제i 기준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제i 테스트 온도 및 테스트 압력 하에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처리 P150).
특히 고압인 테스트 압력 하에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대기압에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보다 실용적으로 신속하게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하듯이 고압 조건의 경우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이 열화되기 쉽기 때문에, 고압인 테스트 압력 하에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이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면, 대기압에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이 정상적으로 동작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도 6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의 연산 처리부가 수행하는 처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처리 P150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i 상태 정보는 제1 배터리 모듈(181)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와 제2 배터리 모듈(183)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포함하고, 제i 기준 상태 정보는 제1 배터리 모듈(181)의 기준 출력 전압 범위 및 기준 출력 전류 범위와 제2 배터리 모듈(183)의 기준 출력 전압 범위 및 기준 출력 전류 범위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처리 P150은 제i 상태 정보의 제1 배터리 모듈(181)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가 각각 제i 기준 상태 정보의 제1 배터리 모듈(181)의 기준 출력 전압 범위 및 기준 출력 전류 범위 내이고 제i 상태 정보의 제2 배터리 모듈(183)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가 각각 제i 기준 상태 정보의 제2 배터리 모듈(183)의 기준 출력 전압 범위 및 기준 출력 전류 범위 내인 경우에만,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을 정상으로 판단하는 처리(P15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연산 처리부(150)는, 제i 테스트 온도 및 테스트 압력 하에서 제1 배터리 모듈(181)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가 각각 제1 배터리 모듈(181)의 기준 출력 전압 범위 및 기준 출력 전류 범위 내인 조건과 제i 테스트 온도 및 테스트 압력 하에서 제2 배터리 모듈(183)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가 각각 제2 배터리 모듈(182)의 기준 출력 전압 범위 및 기준 출력 전류 범위 내인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만, 제i 테스트 온도 및 테스트 압력 하에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을 정상으로 판단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제i 테스트 온도 및 테스트 압력 하에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을 불량으로 판단한다.
도 7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의 연산 처리부가 수행하는 처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처리 P150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i 상태 정보는 제1 배터리 모듈(181)의 출력 전압, 출력 전류 및 충전률과 제2 배터리 모듈(183)의 출력 전압, 출력 전류 및 충전률을 포함하고, 제i 기준 상태 정보는 제1 배터리 모듈(181)의 기준 출력 전압 범위, 기준 출력 전류 범위 및 기준 충전률 범위와 제2 배터리 모듈(183)의 기준 출력 전압 범위, 기준 출력 전류 범위 및 기준 충전률 범위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처리 P150은 제i 상태 정보의 제1 배터리 모듈(181)의 출력 전압, 출력 전류 및 충전률이 각각 제i 기준 상태 정보의 제1 배터리 모듈(181)의 기준 출력 전압 범위, 기준 출력 전류 범위 및 기준 충전률 범위 내이고 제i 상태 정보의 제2 배터리 모듈(183)의 출력 전압, 출력 전류 및 충전률이 각각 제i 기준 상태 정보의 제2 배터리 모듈(183)의 기준 출력 전압 범위, 기준 출력 전류 범위 및 기준 충전률 범위 내인 경우에만,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을 정상으로 판단하는 처리(P15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연산 처리부(150)는, 제i 테스트 온도 및 테스트 압력 하에서 제1 배터리 모듈(181)의 출력 전압, 출력 전류 및 충전률이 각각 제1 배터리 모듈(181)의 기준 출력 전압 범위, 기준 출력 전류 범위 및 기준 충전률 범위 내인 조건과 제i 테스트 온도 및 테스트 압력 하에서 제2 배터리 모듈(183)의 출력 전압, 출력 전류 및 충전률이 각각 제2 배터리 모듈(182)의 기준 출력 전압 범위, 기준 출력 전류 범위 및 기준 충전률 범위 내인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만, 제i 테스트 온도 및 테스트 압력 하에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을 정상으로 판단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제i 테스트 온도 및 테스트 압력 하에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을 불량으로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 P100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i를 1부터 n까지 증가시키면서 처리 P110 내지 처리 P150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서, 제1 테스트 온도 내지 제n 테스트 온도 각각에서 그리고 테스트 압력 하에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이 정상인지 또는 불량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n이 3인 경우, 제1 테스트 온도는 -20℃와 같은 저온으로, 제2 테스트 온도는 실온으로, 제3 테스트 온도는 100℃와 같은 고온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처리 P100을 통하여, 연산 처리부(150)는 저온, 실온 및 고온 각각에서 그리고 고압인 테스트 압력 하에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이 정상인지 또는 불량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후, 연산 처리부(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 P200을 통하여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180)을 정상 또는 불량으로 판단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테스트 장치(100)는 테스트 패턴 저장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테스트 패턴 저장부(170)는 자동차의 주행 데이터, 제i 테스트 패턴 정보 및 제i 기준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테스트 패턴 저장부(170)는 예컨대 하드 디스크 및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테스트 장치(100)는 테스트 패턴 저장부(170)를 더 포함하는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연산 처리부(150)를 테스트 패턴 저장부(170)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처리 P110은 자동차의 주행 데이터, 제i 테스트 패턴 정보 및 제i 기준 상태 정보를 테스트 패턴 저장부(170)로부터 판독하는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이 장착되는 자동차 내의 온도를 고려하여 고압 조건에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테스트할 수 있다. 고압 조건의 경우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이 열화되기 쉬우므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이 장착되는 자동차 내의 온도를 고려하여 고압 조건에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테스트하는 것에 의해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보다 더 실용적으로 그리고 신속하게 테스트할 수 있다. 특히 저온, 실온 및 고온 환경 및 고압 조건에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제1 부하 및 하나 이상의 제2 부하가 자동차 내의 온도에 따라서 동작하는 것을 고려하여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테스트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구성 부품들이 자동차 내의 온도에 따라서 영향을 받고 따라서 테스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비록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실시예가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권리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에 따르면,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이 장착되는 자동차 내의 온도를 고려하여 고압 조건에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테스트할 수 있다. 고압 조건의 경우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이 열화되기 쉬우므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이 장착되는 자동차 내의 온도를 고려하여 고압 조건에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테스트하는 것에 의해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보다 더 실용적으로 그리고 신속하게 테스트할 수 있다. 특히 저온, 실온 및 고온 환경 및 고압 조건에서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제1 부하 및 하나 이상의 제2 부하가 자동차 내의 온도에 따라서 동작하는 것을 고려하여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테스트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구성 부품들이 자동차 내의 온도에 따라서 영향을 받고 따라서 테스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100: 테스트 장치 110: 테스트 챔버
120: 온도/압력 조절부 130: 제1 충방전기
140: 제2 충방전기 150: 연산 처리부
160: 통신 인터페이스 170: 테스트 패턴 저장부
180: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

Claims (18)

  1. 적어도 제1 배터리 모듈 및 제2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수납하는 테스트 챔버;
    히터와 쿨러와 압력 조절 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테스트 챔버 내의 온도 및 압력을 조절하는 온도/압력 조절부;
    제1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 배터리 모듈을 충전하거나 방전하는 제1 충방전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을 충전하거나 방전하는 제2 충방전기;
    연산 처리부; 및
    상기 연산 처리부와 상기 온도/압력 조절부, 상기 제1 충방전기 및 상기 제2 충방전기를 각각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 처리부는,
    (A) (a) 제i 테스트 온도; 자동차의 주행 데이터; 상기 제i 테스트 온도에서의 상기 주행 데이터에 따른 상기 제1 충방전기의 동작 데이터 및 상기 제2 충방전기의 동작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i 테스트 패턴 정보; 및 상기 제i 테스트 온도에서의 상기 제i 테스트 패턴 정보에 따른 상기 제1 배터리 모듈 및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의 기준 상태를 나타내는 제i 기준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처리; (b) 상기 테스트 챔버 내의 온도를 상기 제i 테스트 온도로 조절하고 상기 테스트 챔버 내의 압력을 미리 지정된 테스트 압력으로 조절하도록 상기 온도/압력 조절부를 제어하는 처리; (c) 상기 제i 테스트 패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제i 테스트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충방전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충방전기로 전송하는 처리; (d) 상기 제1 배터리 모듈 및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i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처리; 및 (e) 상기 제i 상태 정보와 상기 제i 기준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i 테스트 온도 및 상기 테스트 압력 하에서 상기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를 i를 1부터 n(단, n은 2이상의 자연수)까지 증가시키면서 수행하는 처리; 및
    (B) 상기 테스트 압력 하에서 제1 테스트 온도 내지 제n 테스트 온도에서 모두 상기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테스트 압력 하에서 상기 제1 테스트 온도 내지 상기 제n 테스트 온도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불량으로 판단하는 처리
    를 수행하는 것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i 테스트 온도는 -40℃ 이상 15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압력은 1 atm 초과 10 at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은,
    상기 제1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에 연결되며, 제3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 배터리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을 충전하거나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모듈을 충전하도록 상기 제1 배터리 모듈로부터의 제1 전압의 전력을 제2 전압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모듈로 제공하거나 상기 제2 배터리 모듈로부터의 상기 제2 전압의 전력을 상기 제1 전압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모듈로 제공하는 DC/DC 변환기(convert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연산 처리부와 상기 DC/DC 변환기를 더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i 테스트 패턴은 상기 제3 제어 신호를 더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처리 (c)는, (c-1) 상기 제3 제어 신호를 상기 DC/DC 변환기로 전송하는 처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i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배터리 모듈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와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i 기준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배터리 모듈의 기준 출력 전압 범위 및 기준 출력 전류 범위와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의 기준 출력 전압 범위 및 기준 출력 전류 범위를 포함하는 것이고,
    처리 (e)는, (e-1) 상기 제i 상태 정보의 상기 제1 배터리 모듈의 상기 출력 전압 및 상기 출력 전류가 각각 상기 제i 기준 상태 정보의 상기 제1 배터리 모듈의 상기 기준 출력 전압 범위 및 상기 기준 출력 전류 범위 내이고 상기 제i 상태 정보의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의 상기 출력 전압 및 상기 출력 전류가 각각 상기 제i 기준 상태 정보의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의 상기 기준 출력 전압 범위 및 상기 기준 출력 전류 범위 내인 경우에만, 상기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정상으로 판단하는 처리
    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i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배터리 모듈의 출력 전압, 출력 전류 및 충전률과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의 출력 전압, 출력 전류 및 충전률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i 기준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배터리 모듈의 기준 출력 전압 범위, 기준 출력 전류 범위 및 기준 충전률 범위와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의 기준 출력 전압 범위, 기준 출력 전류 범위 및 기준 충전률 범위를 포함하는 것이고,
    처리 (e)는, (e-2) 상기 제i 상태 정보의 상기 제1 배터리 모듈의 상기 출력 전압, 상기 출력 전류 및 상기 충전률이 각각 상기 제i 기준 상태 정보의 상기 제1 배터리 모듈의 상기 기준 출력 전압 범위, 상기 기준 출력 전류 범위 및 상기 기준 충전률 범위 내이고 상기 제i 상태 정보의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의 상기 출력 전압, 상기 출력 전류 및 상기 충전률이 각각 상기 제i 기준 상태 정보의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의 상기 기준 출력 전압 범위, 상기 기준 출력 전류 범위 및 상기 기준 충전률 범위 내인 경우에만, 상기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정상으로 판단하는 처리
    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d)는, (d-1) 상기 제1 충방전기로부터 상기 제1 배터리 모듈의 상태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충방전기로부터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의 상태를 수신하여 상기 제i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연산 처리부와 상기 제1 배터리 모듈 및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을 각각 연결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처리 (d)는, (d-2) 상기 제1 배터리 모듈로부터 상기 제1 배터리 모듈의 상태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배터리 모듈로부터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의 상태를 수신하여 상기 제i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상기 주행 데이터는 상기 자동차의 주행 상태를 시뮬레이션하여 생성되는 것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i 테스트 온도에서의 상기 주행 데이터에 따른 상기 제1 충방전기의 동작 데이터는 상기 자동차의 제1 전압에 의해서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전압 부하가 상기 제i 테스트 온도에서 상기 주행 데이터에 따라서 동작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여 생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i 테스트 온도에서의 상기 주행 데이터에 따른 상기 제2 충방전기의 동작 데이터는 상기 자동차의 제2 전압에 의해서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전압 부하가 상기 제i 테스트 온도에서 상기 주행 데이터에 따라서 동작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여 생성되는 것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i 테스트 온도에서의 상기 주행 데이터에 따른 상기 제1 충방전기의 동작 데이터는 상기 자동차의 제1 전압에 의해서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전압 부하가 상기 제i 테스트 온도에서 상기 주행 데이터에 따라서 동작하는 것 및 상기 자동차의 상기 제1 배터리 모듈을 충전하는 제1 전원 공급부가 상기 제i 테스트 온도에서 상기 주행 데이터에 따라서 동작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여 생성되는 것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i 테스트 온도에서의 상기 주행 데이터에 따른 상기 제2 충방전기의 동작 데이터는 상기 자동차의 제2 전압에 의해서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전압 부하가 상기 제i 테스트 온도에서 상기 주행 데이터에 따라서 동작하는 것 및 상기 자동차의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을 충전하는 제2 전원 공급부가 상기 제i 테스트 온도에서 상기 주행 데이터에 따라서 동작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여 생성되는 것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상기 주행 데이터는 상기 자동차의 실제 주행 데이터를 편집하여 생성되는 것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i 테스트 온도에서의 상기 주행 데이터에 따른 상기 제1 충방전기의 동작 데이터는 상기 자동차의 제1 전압에 의해서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전압 부하가 상기 제i 테스트 온도에서 상기 실제 주행 데이터에 따라서 동작하는 경우 생성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전압 부하의 동작 데이터를 측정하고 편집하여 생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i 테스트 온도에서의 상기 주행 데이터에 따른 상기 제2 충방전기의 동작 데이터는 상기 자동차의 제2 전압에 의해서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전압 부하가 상기 제i 테스트 온도에서 상기 실제 주행 데이터에 따라서 동작하는 경우 생성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전압 부하의 동작 데이터를 측정하고 편집하여 생성되는 것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i 테스트 온도에서의 상기 주행 데이터에 따른 상기 제1 충방전기의 동작 데이터는 상기 자동차의 제1 전압에 의해서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전압 부하가 상기 제i 테스트 온도에서 상기 실제 주행 데이터에 따라서 동작하는 경우 생성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전압 부하의 동작 데이터 및 상기 자동차의 상기 제1 배터리 모듈을 충전하는 제1 전원 공급부가 상기 제i 테스트 온도에서 상기 실제 주행 데이터에 따라서 동작하는 경우 생성되는 상기 제1 전원 공급부의 동작 데이터를 측정하고 편집하여 생성되는 것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i 테스트 온도에서의 상기 주행 데이터에 따른 상기 제2 충방전기의 동작 데이터는 상기 자동차의 제2 전압에 의해서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전압 부하가 상기 제i 테스트 온도에서 상기 실제 주행 데이터에 따라서 동작하는 경우 생성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전압 부하의 동작 데이터 및 상기 자동차의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을 충전하는 제2 전원 공급부가 상기 제i 테스트 온도에서 상기 실제 주행 데이터에 따라서 동작하는 경우 생성되는 상기 제2 전원 공급부의 동작 데이터를 측정하고 편집하여 생성되는 것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데이터, 상기 제i 테스트 패턴 정보 및 상기 제i 기준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테스트 패턴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연산 처리부와 상기 테스트 패턴 저장부를 더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처리 (a)는, (a-1) 상기 테스트 패턴 저장부로부터 상기 주행 데이터, 상기 제i 테스트 패턴 정보 및 상기 제i 기준 상태 정보를 판독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
KR1020200169153A 2020-12-07 2020-12-07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 KR102420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153A KR102420369B1 (ko) 2020-12-07 2020-12-07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153A KR102420369B1 (ko) 2020-12-07 2020-12-07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753A true KR20220080753A (ko) 2022-06-15
KR102420369B1 KR102420369B1 (ko) 2022-07-14

Family

ID=81987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153A KR102420369B1 (ko) 2020-12-07 2020-12-07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3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5825A (ko) * 2015-11-12 2017-05-2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시험 장치 및 방법
KR20170118942A (ko) * 2015-03-04 2017-10-25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배터리 테스트 리포트 시스템 및 방법
KR102029776B1 (ko) * 2018-04-27 2019-10-08 주식회사 민테크 배터리 진단 방법
KR20200056519A (ko) 2018-11-14 2020-05-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ldc 통합형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00062131A (ko) * 2020-05-25 2020-06-03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듀얼 배터리 hils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942A (ko) * 2015-03-04 2017-10-25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배터리 테스트 리포트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55825A (ko) * 2015-11-12 2017-05-2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시험 장치 및 방법
KR102029776B1 (ko) * 2018-04-27 2019-10-08 주식회사 민테크 배터리 진단 방법
KR20200056519A (ko) 2018-11-14 2020-05-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ldc 통합형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00062131A (ko) * 2020-05-25 2020-06-03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듀얼 배터리 hils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369B1 (ko) 2022-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24208B (zh) 电池管理装置和包括该电池管理装置的电池组
Chen et al. Loss-minimization-based charging strategy for lithium-ion battery
CN106160065B (zh) 维护车辆电池
KR102420368B1 (ko)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
US20120161715A1 (en) Cell balancing circuit, method of driving the same,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that includes the cell balancing circuit
CN107490766A (zh) 用于测量燃料电池车辆的绝缘电阻的系统和方法
US6765306B2 (en) Method for internally jump star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 a land-based vehicle
KR101866063B1 (ko) 보조배터리의 릴레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79684B1 (ko) 전기 자동차용 bms 시뮬레이터
KR102472234B1 (ko) 배터리의 에너지 함량 및 전력의 지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검출 시스템
US20070216358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to a rechargeable battery
KR101704135B1 (ko) 전기차의 충전계통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CN108461860A (zh) 用于电动车辆中的电池管理系统的冷却控制方法
JP2016530863A (ja) 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のバランス調整を行う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7284243B (zh) 混合动力车辆的低电压dc-dc转换器的控制方法和系统
US11719754B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high and low voltage batteries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102420369B1 (ko)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
CN104777424B (zh) 用于执行车辆中的交流发电机的诊断测试的方法、测试布置和车辆
JP6972871B2 (ja) 電池制御装置及び電源システム
KR102420367B1 (ko) 자동차용 이중 전원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장치
CN210293696U (zh) 一种燃料电池汽车用动力驱动系统测试平台
KR101749731B1 (ko)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 및 방법
KR20180008215A (ko) 배터리 셀의 온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6629A (ko) 듀얼 배터리 hils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Shah et al. Platform software development for battery management system in electric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