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0680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80680A KR20220080680A KR1020210098574A KR20210098574A KR20220080680A KR 20220080680 A KR20220080680 A KR 20220080680A KR 1020210098574 A KR1020210098574 A KR 1020210098574A KR 20210098574 A KR20210098574 A KR 20210098574A KR 20220080680 A KR20220080680 A KR 202200806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
- connector
- module
- coupling member
- insulating par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서브커넥터, 및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1서브커넥터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2서브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서브커넥터는 복수개의 제1컨택트들을 지지하는 제1서브절연부, 및 상기 제2서브커넥터와 모듈화되기 위해 상기 제1서브절연부에 형성된 제1모듈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서브커넥터는 복수개의 제2컨택트들을 지지하는 제2서브절연부, 및 상기 제1서브커넥터와 모듈화되기 위해 상기 제2서브절연부에 형성된 제2모듈홈을 포함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대 커넥터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는 이에 대응되는 상대 커넥터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되는 것이다. 예컨대, 커넥터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마련된 기판에 설치되어서 전자기기 내에 설치된 각종 부품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최근에는 전자 제품들이 고성능화가 되어가면서 커넥터가 다수의 서브커넥터로 구성되고, 전자 제품들이 소형화가 되어가면서 이러한 서브커넥터들이 한정된 공간에서 다수의 부품들과 함께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100)는 제1서브커넥터(110), 및 제2서브커넥터(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서브커넥터(1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120)는 상대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서브커넥터(1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120)는 전자기기에 마련된 기판 등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대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자기기 내에 설치된 각종 부품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100)는 작업자가 서브커넥터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설치해야 하므로, 서브커넥터들을 설치하는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서브커넥터를 설치함에 있어서 서브커넥터들 사이에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며 실장시키는 것은 중요하다. 외부의 진동 내지 충격 등으로 인해 상기 제1서브커넥터(1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120)가 정위치에서 이탈되고, 이로 인해 서브커넥터들을 전자기기의 기판 등에 실장시키기 위한 열처리 과정에서 상기 제1서브커넥터(1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120) 간에 상이한 열팽창이 수반되는 등으로 인해 서브커넥터들 사이에 이격된 거리가 유지되지 못한다면, 도 1에서 해칭(hatching)된 영역과 같이 서브커넥터들 간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100)는 서브커넥터들을 기판에 정렬하는 작업의 정확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커넥터가 손상 내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전자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서브커넥터들 사이에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는 경우 이러한 제품의 소형화에 저하되므로 별도의 부재 없이 서브커넥터들 사이에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작업자가 손쉽게 복수개의 서브커넥터들을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별도의 부재 없이 서브커넥터들 사이에 이격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서브커넥터들의 모듈화 구조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서브커넥터들이 모듈화되어서 전자기기의 기판 등에 설치되고, 별도의 부재 없이도 서브커넥터들 사이에 이격된 거리가 유지되어 실장 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제1서브커넥터, 및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1서브커넥터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2서브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커넥터는 복수개의 제1컨택트들을 지지하는 제1서브절연부, 및 상기 제2서브커넥터와 모듈화되기 위해 상기 제1서브절연부에 형성된 제1모듈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커넥터는 복수개의 제2컨택트들을 지지하는 제2서브절연부, 및 상기 제1서브커넥터와 모듈화되기 위해 상기 제2서브절연부에 형성된 제2모듈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제1서브커넥터, 및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제1서브커넥터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2서브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커넥터는 복수개의 제1컨택트들을 지지하는 제1서브절연부, 상기 제1서브절연부가 설치된 제1서브쉘, 및 상기 제2서브커넥터와 모듈화되어서 기판에 실장되도록 상기 제1서브쉘에 형성된 제1모듈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커넥터는 복수개의 제2컨택트를 지지하는 제2서브절연부, 상기 제2서브절연부가 설치된 제2서브쉘, 및 상기 제1서브커넥터와 모듈화되어서 기판에 실장되도록 상기 제2서브쉘에 형성된 제2모듈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듈홈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서브커넥터들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모듈화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복수개의 서브커넥터들이 정위치를 이탈함에 따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복수개의 서브커넥터들을 전자기기의 기판 등에 실장시키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서브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6은 도 5의 III-III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7은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캡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도 4의 I-I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9는 도 4의 II-II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0은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제1컨택트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1은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서브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12는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3은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14는 도 14의 II'-II'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5는 제2실시예에 따른 모듈캡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6은 도 13의 I'-I'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서브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6은 도 5의 III-III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7은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캡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도 4의 I-I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9는 도 4의 II-II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0은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제1컨택트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1은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서브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12는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3은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14는 도 14의 II'-II'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5는 제2실시예에 따른 모듈캡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6은 도 13의 I'-I'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복수개의 기판(미도시)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판들은 인쇄회로기판(PCB, Pri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예컨대,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된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 및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가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 및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된 플러그 커넥터가 서로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가 복수개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로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전자기기 내에 부품들간에 전기적인 연결을 수행하는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기판과 케이블을 연결하는 B2C커넥터(Board-To-Cable Connector), 또는 케이블과 상대 케이블을 연결하는 C2C커넥터(Cable-To-Cable Connecto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 모두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 구현된 실시예를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로 규정하고,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구현된 실시예를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로 규정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가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되고,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가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 모두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출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
도 2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제1서브커넥터(210), 및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2서브커넥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는 복수개의 제1컨택트(211)들을 지지하는 제1서브절연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는 복수개의 제2컨택트(221)를 지지하는 제2서브절연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11)들과 상기 제2컨택트(221)들은 데이터 신호 또는 전원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211)들과 상기 제2컨택트(221)들은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대커넥터의 컨택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데이터 신호 또는 전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가 플러그 커넥터인 경우, 상기 상대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일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가 리셉터클 커넥터인 경우, 상기 상대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는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가 2개의 서브커넥터, 즉 제1서브커넥터(210)와 제2서브커넥터(220)로 구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로부터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가 3개 이상의 서브커넥터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출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는 상기 커넥터(200)를 이루는 것이다.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는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와 모듈화되기 위해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에 형성된 제1모듈홈(2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는 상기 커넥터(200)를 이루는 것이다.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모듈화되기 위해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에 형성된 제2모듈홈(2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제1모듈홈(213)과 상기 제2모듈홈(223)을 이용하여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와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가 모듈화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화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가 결합되어서 전자기기의 기판 등에 설치되도록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를 하나의 단위로 재조립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작업자가 결합부재를 상기 제1모듈홈(213)과 상기 제2모듈홈(223) 모두에 삽입하면,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와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가 결합되어서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가 모듈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결합부재를 상기 제1모듈홈(213)과 상기 제2모듈홈(223) 중 어느 하나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와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는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모듈화가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제1모듈홈(213)과 상기 제2모듈홈(223)을 이용하여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와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가 결합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가 모듈화되어서 전자기기의 기판등에 실장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를 개별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비교예와 대비하여 작업공수를 줄임으로써 제작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의 모듈화를 통해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 사이에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별도의 부재 없이도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 사이에 이격된 거리가 유지된 상태로 기판 등에 실장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예컨대, 일단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가 모듈화 된 상태에서 기판 등에 실장되면, 그 이후에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의 모듈화가 해제되더라도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 사이에 이격된 거리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별도의 부재가 없더라도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 사이에 이격된 거리가 유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 사이에 이격된 거리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가 외부의 진동 내지 충격 등으로 인해 정위치에서 이탈되고, 이로 인해 상이한 열팽창이 수반되는 등에 따라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 간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를 기판 등에 실장시키는 작업의 정확성을 증대시키면서도,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 사이에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를 요구하지 않음에 따라, 제조비용을 낮추고 제품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셋째,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가 선택적으로 모듈화가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예컨대,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기판에 실장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가 모듈화되면서도, 기판에 실장된 이후에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가 모듈화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예시와 달리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는 기판 등에 배치될 때 까지만 모듈화가 되고, 모듈화가 해제된 이후에 기판 등에 실장 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가 실장되는 과정에서 모듈화됨으로써 수반되는 장점을 활용하면서도,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가 사용되는 과정에서 모듈화로 인해 수반되는 단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넷째,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복수개의 서브커넥터들을 모듈화시킴으로써 서브커넥터들이 포함하는 컨택트들의 총개수를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 예컨대, 공정상 단일의 서브커넥터가 가진 컨택트의 개수보다 더 많은 컨택트가 요구되는 경우, 해당 서브커넥터를 다른 종류의 서브커넥터로 교체하는 대신 동일한 종류의 서브커넥터를 추가함으로써 컨택트들의 총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동일한 종류의 서브커넥터를 이용하여 컨택트의 개수를 용이하게 확장이 가능시킬 수 있다.
다섯째,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와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 각각에 상기 제1모듈홈(213) 상기 제2모듈홈(223)이 형성되는 구조이므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의 모듈화를 구현할 뿐만 아니라, 모듈화 구현으로 인해 제품이 비대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에 설치되는 모듈캡(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캡(230)은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를 모듈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는 상기 모듈캡(230)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모듈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모듈캡(230)은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를 결합시키기 위한 제1결합부재(232), 및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를 결합시키기 위한 제2결합부재(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는 상기 제1결합부재(232)가 상기 제1모듈홈(213)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제2결합부재(233)가 상기 제2모듈홈(223)에 삽입됨에 따라 모듈화될 수 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는 상기 제1결합부재(232)가 상기 제1모듈홈(213)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모듈캡(230)과 결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는 상기 제2결합부재(233)가 상기 제2모듈홈(223)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모듈캡(23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는 상기 모듈캡(230)을 매개로 서로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가 상기 모듈캡(230)을 매개로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부재(232)와 상기 제1모듈홈(213)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상기 제2결합부재(233)가 상기 제2모듈홈(223)으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의 모듈화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232) 및 상기 제2결합부재(233)는 각각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결합부재(232)들과 상기 제2결합부재(233)들 각각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232)들과 상기 제2결합부재(233)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한 중심선에 대해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모듈홈(213)은 상기 제1결합부재(232)들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고,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232)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모듈홈(223)은 상기 제2결합부재(233)들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재(233)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 및 상기 모듈캡(2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는 상대커넥터의 서로 다른 서브커넥터들에 각각 결합되어서 전원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기위한 것이다.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는 제1컨택트(211), 제1서브절연부(212), 제1모듈홈(213), 제1서브삽입부(214), 및 제1쉴드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11)는 상대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데이터신호 또는 전원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211)들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11)들은 서로 이격되어서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는 상기 제1컨택트(211)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는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11)들은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11)들은 몰딩(molding)방식으로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컨택트(211)들을 지지할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삽입부(214)는 상기 제1컨택트(211)들이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211)들은 상기 제1서브삽입부(214)의 서로 다른 면(面)에 각각 이격되어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삽입부(214)는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삽입부(214)는 상기 상대커넥터에 형성된 수용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11)들은 상기 제1서브삽입부(214)가 상기 상대커넥터의 수용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상대커넥터의 커넥터들과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삽입부(214)는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삽입부(214)와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11)들은 상기 제1서브삽입부(214)에 몰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는 제2컨택트(221), 제2서브절연부(222), 제2모듈홈(223), 제2서브삽입부(224), 및 제2쉴드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221)는 상대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데이터신호 또는 전원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컨택트(221)들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221)들은 서로 이격되어서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는 상기 제2컨택트(221)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는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221)들은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221)들은 몰딩(molding)방식으로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컨택트(221)들을 지지할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삽입부(224)는 상기 제2컨택트(221)들이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2컨택트(221)들은 상기 제2서브삽입부(224)의 서로 다른 면(面)에 각각 이격되어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삽입부(224)는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삽입부(224)는 상기 상대커넥터에 형성된 수용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221)들은 상기 제2서브삽입부(224)가 상기 상대커넥터의 수용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상대커넥터의 커넥터들과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삽입부(224)는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삽입부(224)와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221)들은 상기 제2서브삽입부(224)에 몰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1컨택트(211)는 제1접속부재(2111), 제1실장부재(2112), 제1매칭부재(2113), 제1탄성부재(2114), 제1탄성공(2115), 및 제1가이드부재(2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2111)는 상대커넥터의 커넥터와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접속부재(2111)는 상기 제1서브삽입부(21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2111)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서브삽입부(21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2111)는 상기 제1서브삽입부(21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2111)는 몰딩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제1서브삽입부(214)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실장부재(2112)는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실장부재(2112)는 일측이 상기 제1접속부재(2111)와 결합되고, 타측이 기판에 실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컨택트(211)는 상기 제1실장부재(2112)를 통해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실장부재(2112)는 상기 제1서브삽입부(214)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매칭부재(2113)는 상기 제1접속부재(2111)와 상기 제1실장부재(2112) 사이의 임피던스매칭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매칭부재(2113)는 상기 제1접속부재(2111)보다 더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매칭부재(2113)는 상기 제1접속부재(2111)보다 더 작은 면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접속부재(2111)의 넓은 면적으로 인해 감소한 임피던스를 증대시키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제1매칭부재(2113)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접속부재(2111)의 넓은 면적으로 인해 감소한 임피던스를 증대시킴으로써 임피던스를 매칭시키도록 구현된다.
상기 제1매칭부재(2113)는 상기 제1접속부재(2111)와 상기 제1실장부재(2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매칭부재(2113)는 일측이 상기 제1접속부재(2111)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실장부재(2112)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매칭부재(2113)는 상기 제1접속부재(2111)와 상기 제1실장부재(2112) 모두에 비해 더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2114)는 상기 제1컨택트(211)들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것이다. 상기 제1탄성부재(2114)는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2114)는 탄성적으로 변형됨으로써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가 기판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외력을 받으면,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제1접속부재(2111)에 상기 외력이 전달된다.
다음, 상기 제1접속부재(2111)로부터 전달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탄성부재(2114)가 탄성적으로 변형하게 된다.
다음, 상기 제1탄성부재(2114)가 탄성적으로 변형됨에 따라, 상기 제1접속부재(2111)는 상기 제1실장부재(2112)가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도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와 함께 상기 기판에 대해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제1탄성부재(2114)를 이용하여 상기 모듈캡(230)이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서브삽입홈(237)과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가 오정렬되더라도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서브삽입홈(237)에 정렬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모듈캡(230)을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에 설치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2114)는 상기 제1실장부재(2112)와 상기 제1접속부재(21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탄성부재(2114)는 일측에 상기 제1실장부재(2112)가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제1접속부재(211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실장부재(2112)가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1탄성부재(2114)가 탄성변형됨에 따라, 상기 제1접속부재(2111)는 상기 기판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공(2115)은 상기 제1탄성부재(2114)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탄성부재(2114)가 탄성변형되는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탄성공(2115)에 의해 상기 제1탄성부재(2114)의 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제1탄성부재(2114)의 강도가 경감되므로 동일한 외력에 의해서도 탄성변형량이 증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모듈캡(230)을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에 설치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재(2116)는 상대커넥터의 컨택트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가이드부재(2116)는 상기 제1접속컨택트(2111)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재(2116)는 상기 제1접속컨택트(2111)로부터 연장될수록 상기 제1서브삽입부(214) 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대커넥터의 컨택트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2116)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접속컨택트(2111)에 접속되도록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2116)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접속컨택트(2111)를 상대커넥터의 컨택트에 접속시키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11)는 도전성(Electrical Conductiv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컨택트(211)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11)는 상기 상대커넥터가 갖는 컨택트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221)는 제2접속부재(미도시), 제2실장부재(미도시), 및 제2매칭부재(미도시), 제2탄성부재(미도시), 제2탄성공(미도시), 및 제2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221)의 상기 제2접속부재, 상기 제2실장부재, 상기 제2매칭부재, 상기 제2탄성부재, 상기 제2탄성공, 및 상기 제2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컨택트(211)의 상기 제1접속부재(2111), 상기 제1실장부재(2112), 상기 제1매칭부재(2113), 상기 제1탄성부재(2114), 상기 제1탄성공(2115), 및 상기 제1가이드부재(2116)와 대략 일치되도록 구현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1모듈홈(213)은 상기 제1결합부재(232)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모듈홈(213)은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모듈홈(213)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모듈홈(213)들은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의 서로 다른 면(面)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모듈홈(21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된 면과 타측에 배치된 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결합부재(232)는 상기 제1모듈홈(213)들과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232)는 상기 제1모듈홈(213)들 각각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를 상기 모듈캡(230)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모듈홈(213)은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모듈홈(213)의 상측면은 상측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모듈홈(213)의 상측면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수직한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된 면일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232)의 상측면은 상기 제1모듈홈(213)의 상측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232)는 상기 제1모듈홈(2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도록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모듈홈(223)은 상기 제2결합부재(233)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모듈홈(223)은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모듈홈(223)은 상기 제1모듈홈(213)과 대략적으로 일치되도록 구현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쉴드부(215)는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와 상기 제1서브삽입부(214)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1쉴드부(215)는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와 상기 제1서브삽입부(214)의 내부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와 상기 제1서브삽입부(214)의 강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쉴드부(215)는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와 상기 제1서브삽입부(214)보다 더 강한 강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쉴드부(215)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9를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제1컨택트(211)들이 실장되는 제1기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11)들은 상기 제1기판(400)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대커넥터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400)과 상기 상대커넥터에 실장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쉴드부(225)는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와 상기 제2서브삽입부(224)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2쉴드부(225)는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와 상기 제2서브삽입부(224)의 내부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와 상기 제2서브삽입부(224)의 강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쉴드부(225)는 상기 제1쉴드부(215)와 대략적으로 일치되도록 구현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기판(400)에는 상기 제2컨택트(221)들이 실장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컨택트(221)들은 상기 제1기판(400)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대커넥터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상대커넥터에 실장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는 이격된 거리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각각에 대응되는 상대커넥터의 서브커넥터들 사이의 이격된 거리에 비해 더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가 상기 상대커넥터의 서브커넥터들에 대해 정렬되기 위해 이동 가능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모듈캡(230)은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를 모듈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모듈캡(230)은 캡본체(231), 제1결합부재(232), 제2결합부재(233), 회전부재(234), 및 외력부재(235), 및 좌우제한부재(2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본체(231, 도 5에 도시됨)는 상기 모듈캡(23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것이다. 상기 캡본체(231)는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와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캡본체(231)는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와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232)와 상기 제2결합부재(233)는 상기 캡본체(2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캡본체(231)는 상기 제1결합부재(232)와 상기 제2결합부재(233)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캡본체(23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기판(400)은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232)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결합부재(232)는 상기 제1모듈홈(213)에 삽입되어서 상기 모듈캡(230)과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232)는 상기 회전부재(234)로부터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를 향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232)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면(23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2321)은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지지면(2321)은 상기 제1결합부재(232)가 상기 제1모듈홈(2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가 상기 모듈캡(230)에 대해 하측 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지지면(2321)은 상기 제1결합부재(232)가 상기 제1모듈홈(2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모듈캡(230)이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에 대해 상측 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가 상기 모듈캡(230)에 결합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하방향은 Z축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제1지지면(2321)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제1지지면(2321)이 평면인 비교예와 대비하여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접촉하는 면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비교예의 경우 상기 제1지지면(2321)이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또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정위치를 벗어나게 되면, 상기 제1지지면(2321)과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가 면접촉을 함에 따라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도 상기 제1지지면(2321)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또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정위치를 벗어날 수 있다. 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제1지지면(2321)이 곡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선접촉을 함으로써 비교예와 대비하여 상기 제1지지면(2321)과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가 접촉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비교예와 대비하여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가 상기 제1지지면(2321)으로부터 받는 영향이 줄어드므로, 상기 제1지지면(2321)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또는 상기 제2축 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정위치를 벗어나더라도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또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정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결합부재(232)는 상기 회전부재(234)에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회전부재(234)는 상기 캡본체(231)로부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회전부재(234)가 휘는 등으로 인해 상기 제1결합부재(232)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또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되기 쉬운 구조이다. 이와 관련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제1결합부재(232)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정위치를 벗어남에 따라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정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가 정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2321)은 상기 제1결합부재(232)의 상면(上面)일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233)는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결합부재(233)는 상기 제2모듈홈(223)에 삽입되어서 상기 모듈캡(230)과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233)는 상기 회전부재(234)로부터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를 향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233)는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면(23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면(2331)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지지면(2331)이 정위치를 벗어남에 따라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가 정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지지면(2331)은 상기 제1지지면(2321)과 대략적으로 일치하는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전부재(234, 도 8에 도시됨)은 상기 제1결합부재(232)와 상기 제2결합부재(233)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전부재(234)는 상기 캡본체(2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력부재(235, 도 8에 도시됨)은 상기 회전부재(234)를 상기 캡본체(231)에 대해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외력부재(235)는 상기 회전부재(234)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본체(231)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회전부재(234)는 상기 캡본체(231)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력부재(235)는 상기 회전부재(234)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본체(231), 상기 회전부재(234), 및 상기 외력부재(235)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본체(231)와 상기 회전부재(234) 사이에는 결합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일측이 상기 회전부재(234)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캡본체(2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34)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부재를 회전축으로 하여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방향은 시계방향을 의미하고, 타방향은 시계 반대방향일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34)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232)와 상기 제2결합부재(233)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232)와 상기 제2결합부재(233)는 상기 회전부재(234)가 회전됨에 따라 이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외력부재(235)는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재(232)와 상기 제2결합부재(233)가 상기 제1모듈홈(213)과 상기 제2모듈홈(223) 각각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부재(23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재(232)가 상기 제1모듈홈(213)에 삽입되고, 상기 제2결합부재(233)가 상기 제2모듈홈(2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외력부재(235)에 힘을 가하면, 상기 회전부재(234)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재(232)와 상기 제2결합부재(233)가 상기 제1모듈홈(213)과 상기 제2모듈홈(223) 각각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회전부재(234)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결합부재(232)와 상기 제2결합부재(233)를 모두 상기 제1모듈홈(213)과 상기 제2모듈홈(223)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모듈캡(230)을 이용하여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를 모듈화시키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234)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부재(234)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캡본체(231)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캡본체(231)의 일측에 결합된 회전부재(234)와 상기 캡본체(231)의 타측에 결합된 회전부재(234)는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결합부재(232)와 상기 제2결합부재(233)가 상기 제1모듈홈(213)과 상기 제2모듈홈(223) 각각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좌우제한부재(236, 도 5에 도시됨)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와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가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좌우제한부재(236)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캡본체(231)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좌우제한부재(236)는 상기 회전부재(234)에서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와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를 향하는 면(面)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좌우제한부재(236)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와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가리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와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는 상기 좌우제한부재(236)를 넘어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절연부(212)와 상기 제2서브절연부(222)를 정렬하는 작업의 정확성 및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모듈캡(230)은 제1서브삽입홈(237, 도 9에 도시됨), 및 제2서브삽입홈(238, 도 9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삽입홈(237)은 상기 제1서브삽입부(214)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캡본체(231)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는 상기 제1서브삽입부(214)가 상기 제1서브삽입홈(237)에 수용되면, 상기 제1결합부재(232)가 상기 제1모듈홈(213)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모듈캡(23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삽입홈(238)은 상기 제2서브삽입부(224)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캡본체(231)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는 상기 제2서브삽입부(224)가 상기 제2서브삽입홈(238)에 수용되면, 상기 제2결합부재(233)가 상기 제2모듈홈(223)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모듈캡(23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캡본체(231)는 제1전후제한부재(2311) 및 제2전후제한부재(2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후제한부재(2311)는 상기 제1서브삽입부(214)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전후제한부재(231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삽입홈(237)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서브삽입부(214)는 상기 제1서브삽입홈(237)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전후제한부재(2311)를 넘어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2전후제한부재(2312)는 상기 제2서브삽입부(224)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전후제한부재(23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서브삽입홈(238)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서브삽입부(224)는 상기 제2서브삽입홈(238)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전후제한부재(2312)를 넘어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제1전후제한부재(2311)와 상기 제2전후제한부재(2312)를 이용하여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를 정렬하는 작업의 용이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 및 상기 모듈캡(230)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 및 상기 모듈캡(230)이 대칭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수반되는 구성은 앞서 상술한 내용과 대략적으로 일치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
도 2 및 도 11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제1서브커넥터(310), 및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2서브커넥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는 복수개의 제1컨택트(311)들을 지지하는 제1서브절연부(312), 및 상기 제1서브절연부(312)가 설치된 제1서브쉘(3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는 복수개의 제2컨택트(321)들을 지지하는 제2서브절연부(322), 및 상기 제2서브절연부(322)가 설치된 제2서브쉘(3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는 복수개의 제1컨택트(311)들을 지지하는 제1서브절연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는 복수개의 제2컨택트(321)를 지지하는 제2서브절연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11)들과 상기 제2컨택트(321)들은 데이터 신호 또는 전원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311)들과 상기 제2컨택트(321)들은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대커넥터의 컨택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데이터 신호 또는 전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가 플러그 커넥터인 경우, 상기 상대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일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가 리셉터클 커넥터인 경우, 상기 상대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는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가 2개의 서브커넥터, 즉 제1서브커넥터(310)와 제2서브커넥터(320)로 구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로부터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가 3개 이상의 서브커넥터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출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는 상기 커넥터(300)를 이루는 것이다.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는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와 모듈화되기 위해 상기 제1서브쉘(313)에 형성된 제1모듈홈(3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는 상기 커넥터(300)를 이루는 것이다.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모듈화되기 위해 상기 제2서브쉘(323)에 형성된 제2모듈홈(3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상기 제1모듈홈(314)과 상기 제2모듈홈(324)을 이용하여 상기 제1서브쉘(313)과 상기 제2서브쉘(323)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가 모듈화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화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가 결합되어서 전자기기의 기판등에 설치되도록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를 하나의 단위로 재조립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작업자가 결합부재를 상기 제1모듈홈(314)과 상기 제2모듈홈(324) 모두에 삽입하면, 상기 제1서브쉘(313)과 상기 제2서브쉘(323)이 결합되어서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가 모듈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결합부재를 상기 제1모듈홈(314)과 상기 제2모듈홈(324) 중 어느 하나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제1서브쉘(313)과 상기 제2서브쉘(323)은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상기 제1모듈홈(314)과 상기 제2모듈홈(324)을 이용하여 상기 제1서브쉘(313)과 상기 제2서브쉘(323)이 결합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가 모듈화되어서 전자기기의 기판등에 실장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를 개별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비교예와 대비하여 작업공수를 줄임으로써 제작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를 모듈화시킴으로써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 사이에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별도의 부재 없이도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 사이에 이격된 거리가 유지된 상태로 기판 등에 실장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예컨대, 일단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가 모듈화 된 상태에서 기판 등에 실장되면, 그 이후에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의 모듈화를 해제하더라도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 사이에 이격된 거리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별도의 부재가 없더라도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 사이에 이격된 거리가 유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 사이에 이격된 거리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가 외부의 진동 내지 충격 등으로 인해 정위치에서 이탈되고, 이로 인해 상이한 열팽창이 수반되는 등에 따라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 간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를 기판 등에 실장시키는 작업의 정확성을 증대시키면서도,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 사이에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를 요구하지 않음에 따라, 제조비용을 낮추고 제품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셋째,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가 선택적으로 모듈화가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예컨대,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기판에 실장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가 모듈화되면서도, 기판에 실장된 이후에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가 모듈화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예시와 달리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는 기판 등에 배치될 때 까지만 모듈화가 되고, 모듈화가 해제된 이후에 기판 등에 실장 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가 실장되는 과정에서 모듈화됨으로써 수반되는 장점을 활용하면서도,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가 사용되는 과정에서 모듈화로 인해 수반되는 단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넷째,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복수개의 서브커넥터들을 모듈화시킴으로써 서브커넥터들이 포함하는 컨택트들의 총개수를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 예컨대, 공정상 단일의 서브커넥터가 가진 컨택트의 개수보다 더 많은 컨택트가 요구되는 경우, 해당 서브커넥터를 다른 종류의 서브커넥터로 교체하는 대신 동일한 종류의 서브커넥터를 추가함으로써 컨택트들의 총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동일한 종류의 서브커넥터를 이용하여 컨택트의 개수를 용이하게 확장이 가능시킬 수 있다.
다섯째,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상기 제1서브쉘(313)과 상기 제2서브쉘(323) 각각에 상기 제1모듈홈(314) 상기 제2모듈홈(324)이 형성되는 구조이므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의 모듈화를 구현할 뿐만 아니라, 모듈화 구현으로 인해 제품이 비대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에 설치되는 모듈캡(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캡(330)은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를 모듈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는 상기 모듈캡(330)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모듈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모듈캡(330)은 상기 제1서브쉘(313)을 결합시키기 위한 제1결합부재(332), 및 상기 제2서브쉘(323)을 결합시키기 위한 제2결합부재(3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는 상기 제1결합부재(332)가 상기 제1모듈홈(314)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제2결합부재(333)가 상기 제2모듈홈(324)에 삽입됨에 따라 모듈화될 수 있다. 이는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의 모듈캡(230)이 상기 제1서브커넥터(2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220)를 모듈화하는 구조와 대략적으로 일치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결합부재(332) 및 상기 제2결합부재(333)는 각각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결합부재(332)들과 상기 제2결합부재(333)들 각각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332)들과 상기 제2결합부재(333)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한 중심선에 대해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모듈홈(314)은 상기 제1결합부재(332)들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고, 상기 제1서브쉘(313)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332)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모듈홈(324)은 상기 제2결합부재(333)들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고, 상기 제2서브쉘(323)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재(333)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 및 상기 모듈캡(3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여기서,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와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대략적으로 일치하므로, 서로 공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각 구성별 차이점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도 11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는 상대커넥터의 서로 다른 서브커넥터들에 각각 결합되어서 전원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기위한 것이다.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는 제1컨택트(311), 제1서브절연부(312), 제1서브쉘(313), 제1모듈홈(314), 및 제1서브수용홈(3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11)는 상대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데이터신호 또는 전원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311)들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절연부(312)는 상기 제1컨택트(311)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1서브쉘(313)은 상기 제1서브절연부(312)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1서브쉘(313)의 내부에는 상기 제1서브절연부(312)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쉘(313)은 상기 제1서브절연부(312)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제1서브절연부(312)가 전자기기의 기판 등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1서브절연부(31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쉘(313)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모듈홈(314)은 상기 제1결합부재(332)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모듈홈(314)은 상기 제1서브쉘(313)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모듈홈(314)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모듈홈(314)들은 상기 제1서브쉘(313)의 서로 다른 면(面)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모듈홈(314)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된 면과 타측에 배치된 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결합부재(332)는 상기 제1모듈홈(314)들과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332)는 상기 제1모듈홈(314)들 각각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서브쉘(313)을 상기 모듈캡(330)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수용홈(315)은 상대커넥터의 삽입부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서브수용홈(315)은 상기 제1서브절연부(31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수용홈(315)에 상대커넥터의 삽입부가 수용됨에 따라, 상기 제1서브절연부(312)에 배치된 제1컨택트(311)들은 상대커넥터의 컨택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는 제2컨택트(321), 제2서브절연부(322), 제2서브쉘(323), 제2모듈홈(324), 및 제2서브수용홈(3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321), 상기 제2서브절연부(322), 상기 제2서브쉘(323), 상기 제2모듈홈(324), 및 상기 제2서브수용홈(325)은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의 상기 제1컨택트(311), 상기 제1서브절연부(312), 상기 제1서브쉘(313), 상기 제1모듈홈(314), 및 상기 제1서브수용홈(315)과 대략적으로 일치되도록 구현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모듈캡(330)은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를 모듈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모듈캡(330)은 캡본체(331), 제1결합부재(332), 제2결합부재(333), 회전부재(334), 및 외력부재(335), 및 좌우제한부재(3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본체(331)는 상기 모듈캡(33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것이다. 상기 캡본체(331)는 상기 제1서브절연부(312)와 상기 제2서브절연부(3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캡본체(331)는 상기 제1서브절연부(312)와 상기 제2서브절연부(322)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332)와 상기 제2결합부재(333)는 상기 캡본체(3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캡본체(331)는 상기 제1결합부재(332)와 상기 제2결합부재(333)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332)는 상기 제1서브절연부(312)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결합부재(332)는 상기 제1모듈홈(314)에 삽입되어서 상기 모듈캡(330)과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332)는 상기 회전부재(334)로부터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를 향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재(332)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면(33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3321)은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지지면(3321)은 상기 제1결합부재(332)가 상기 제1모듈홈(3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가 상기 모듈캡(330)에 대해 하측 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지지면(3321)은 상기 제1결합부재(332)가 상기 제1모듈홈(3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모듈캡(330)이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에 대해 상측 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가 상기 모듈캡(330)에 결합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하방향은 Z축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제1지지면(3321)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상기 제1지지면(3321)이 평면인 비교예와 대비하여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접촉하는 면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비교예의 경우 상기 제1지지면(3321)이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또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정위치를 벗어나게 되면, 상기 제1지지면(3321)과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가 면접촉을 함에 따라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도 상기 제1지지면(3321)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또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정위치를 벗어날 수 있다. 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상기 제1지지면(3321)이 곡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선접촉을 함으로써 비교예와 대비하여 상기 제1지지면(3321)과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가 접촉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비교예와 대비하여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가 상기 제1지지면(3321)으로부터 받는 영향이 줄어드므로, 상기 제1지지면(3321)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또는 상기 제2축 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정위치를 벗어나더라도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또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정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결합부재(332)는 상기 회전부재(334)에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회전부재(334)는 상기 캡본체(331)로부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회전부재(334)가 휘는 등으로 인해 상기 제1결합부재(332)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또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되기 쉬운 구조이다. 이와 관련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상기 제1결합부재(332)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정위치를 벗어남에 따라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정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가 정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3321)은 상기 제1결합부재(332)의 상면(上面)일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333)는 상기 제2서브절연부(322)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결합부재(333)는 상기 제2모듈홈(324)에 삽입되어서 상기 모듈캡(330)과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333)는 상기 회전부재(334)로부터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를 향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재(333)는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면(33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면(3331)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지지면(3331)이 정위치를 벗어남에 따라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가 정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지지면(3331)은 상기 제1지지면(3321)과 대략적으로 일치하는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전부재(334)는 상기 제1결합부재(332)와 상기 제2결합부재(333)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전부재(334)는 상기 캡본체(3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력부재(335)는 상기 회전부재(334)를 상기 캡본체(331)에 대해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외력부재(335)는 상기 회전부재(334)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본체(331), 상기 회전부재(334), 및 상기 외력부재(335)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상기 회전부재(334)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결합부재(332)와 상기 제2결합부재(333)를 모두 상기 제1모듈홈(314)과 상기 제2모듈홈(324)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모듈캡(330)을 이용하여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를 모듈화시키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좌우제한부재(336)는 제1축방향(X축 방향)에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절연부(312)와 상기 제2서브절연부(322)가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좌우제한부재(336)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캡본체(331)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좌우제한부재(336)는 상기 회전부재(334)에서 상기 제1서브절연부(312)와 상기 제2서브절연부(322)를 향하는 면(面)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좌우제한부재(336)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절연부(312)와 상기 제2서브절연부(322)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가리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서브절연부(312)와 상기 제2서브절연부(322)는 상기 좌우제한부재(336)를 넘어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절연부(312)와 상기 제2서브절연부(322)를 정렬하는 작업의 정확성 및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모듈캡(330)은 제1이동제한부재(337) 및 제2이동제한부재(3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제한부재(337)는 상기 제1서브절연부(312)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이동제한부재(337)는 상기 제1서브절연부(312)에 형성된 제1위치결정홈(316)에 삽입되도록 상기 캡본체(331)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결정홈(316)에 상기 제1이동제한부재(337)가 삽입되면, 상기 제1이동제한부재(337)는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절연부(312)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서브절연부(312)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동제한부재(337)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절연부(312)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서브절연부(312)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위치결정홈(316)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위치결정홈(316)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절연부(31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결정홈(316)들은 상기 제1서브수용홈(315)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제한부재(337)는 상기 제1위치결정홈(316)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제한부재(337)는 상기 제1위치결정홈(316)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캡본체(33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제한부재(338)는 상기 제2서브절연부(322)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이동제한부재(338)는 상기 제2서브절연부(322)에 형성된 제2위치결정홈(326)에 삽입되도록 상기 캡본체(331)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위치결정홈(326)에 상기 제2이동제한부재(338)가 삽입되면, 상기 제2이동제한부재(338)는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서브절연부(322)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2서브절연부(322)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이동제한부재(338)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서브절연부(322)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2서브절연부(322)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위치결정홈(326)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위치결정홈(326)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서브절연부(32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위치결정홈(326)들은 상기 제2서브수용홈(325)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제한부재(338)는 상기 제2위치결정홈(326)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제한부재(338)는 상기 제2위치결정홈(326)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캡본체(331)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 및 상기 모듈캡(330)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커넥터(310), 상기 제2서브커넥터(320), 및 상기 모듈캡(330)이 대칭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수반되는 구성은 앞서 상술한 내용과 대략적으로 일치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커넥터
200 :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210 : 제1서브커넥터 211 : 제1컨택트
212 : 제1서브절연부 213 : 제1모듈홈
214 : 제1서브삽입부 215 : 제1쉴드부
220 : 제2서브커넥터 221 : 제2컨택트
222 : 제2서브절연부 223 : 제2모듈홈
230 : 모듈캡 232 : 제1결합부재
233 : 제2결합부재 234 : 회전부재
237 : 제1서브삽입홈 238 : 제2서브삽입홈
300 :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310 : 제1서브커넥터 311 : 제1컨택트
312 : 제1서브절연부 313 : 제1서브쉘
314 : 제1모듈홈 315 : 제1서브수용홈
320 : 제2서브커넥터 321 : 제2컨택트
322 : 제2서브절연부 323 : 제2서브쉘
324 : 제2모듈홈 325 : 제2서브수용홈
330 : 모듈캡 332 : 제1결합부재
333 : 제2결합부재 334 : 회전부재
400 : 제1기판 500 : 제2기판
200 :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210 : 제1서브커넥터 211 : 제1컨택트
212 : 제1서브절연부 213 : 제1모듈홈
214 : 제1서브삽입부 215 : 제1쉴드부
220 : 제2서브커넥터 221 : 제2컨택트
222 : 제2서브절연부 223 : 제2모듈홈
230 : 모듈캡 232 : 제1결합부재
233 : 제2결합부재 234 : 회전부재
237 : 제1서브삽입홈 238 : 제2서브삽입홈
300 :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310 : 제1서브커넥터 311 : 제1컨택트
312 : 제1서브절연부 313 : 제1서브쉘
314 : 제1모듈홈 315 : 제1서브수용홈
320 : 제2서브커넥터 321 : 제2컨택트
322 : 제2서브절연부 323 : 제2서브쉘
324 : 제2모듈홈 325 : 제2서브수용홈
330 : 모듈캡 332 : 제1결합부재
333 : 제2결합부재 334 : 회전부재
400 : 제1기판 500 : 제2기판
Claims (15)
- 제1서브커넥터; 및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커넥터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2서브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서브커넥터는 복수개의 제1컨택트들을 지지하는 제1서브절연부, 및 상기 제2서브커넥터와 모듈화되기 위해 상기 제1서브절연부에 형성된 제1모듈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서브커넥터는 복수개의 제2컨택트들을 지지하는 제2서브절연부, 및 상기 제1서브커넥터와 모듈화되기 위해 상기 제2서브절연부에 형성된 제2모듈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커넥터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를 모듈화하기 위해 상기 제1서브커넥터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에 설치되는 모듈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캡은 상기 제1서브절연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2서브절연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서브커넥터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는 상기 제1결합부재가 상기 제1모듈홈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제2결합부재가 상기 제2모듈홈에 삽입됨에 따라 모듈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캡은,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를 지지하는 캡본체;
상기 캡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캡본체에 대해 회전시키기 위한 외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2결합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외력부재는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가 상기 제1모듈홈과 상기 제2모듈홈 각각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커넥터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는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모듈캡은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를 지지하는 캡본체, 및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캡본체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된 좌우제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커넥터는 상대커넥터의 수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서브절연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제1서브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서브커넥터는 상대커넥터의 수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서브절연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제2서브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서브삽입부에는 상기 제1컨택트들이 서로 이격되어서 배치되고,
상기 제2서브삽입부에는 상기 제2컨택트들이 서로 이격되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커넥터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를 모듈화하기 위해 상기 제1서브커넥터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에 설치되는 모듈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캡은,
상기 제1서브절연부와 상기 제2서브절연부에 결합되는 캡본체;
상기 제1서브삽입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캡본체에 형성된 제1서브삽입홈; 및
상기 제2서브삽입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캡본체에 형성된 제2서브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캡본체는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삽입홈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된 제1전후제한부재, 및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서브삽입홈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된 제2전후제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들은 상기 제1서브절연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1탄성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탄성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커넥터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의 이격된 거리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 각각에 대응되는 상대커넥터의 서브커넥터들 사이의 이격된 거리에 비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는 상대커넥터의 컨택트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접속부재,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1실장부재, 및 상기 제1접속부재와 상기 제1실장부재 사이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제1매칭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매칭부재는 상기 제1접속부재보다 더 작은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서브커넥터, 및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제1서브커넥터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2서브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서브커넥터는 복수개의 제1컨택트들을 지지하는 제1서브절연부, 상기 제1서브절연부가 설치된 제1서브쉘, 및 상기 제2서브커넥터와 모듈화되도록 상기 제1서브쉘에 형성된 제1모듈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서브커넥터는 복수개의 제2컨택트를 지지하는 제2서브절연부, 상기 제2서브절연부가 설치된 제2서브쉘, 및 상기 제1서브커넥터와 모듈화되도록 상기 제2서브쉘에 형성된 제2모듈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커넥터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를 모듈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1서브커넥터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에 설치되는 모듈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캡은 상기 제1서브절연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2서브절연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서브커넥터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는 상기 제1결합부재가 상기 제1모듈홈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제2결합부재가 상기 제2모듈홈에 삽입됨에 따라 모듈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캡은,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를 지지하는 캡본체;
상기 캡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어서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캡본체에 대해 회전시키기 위한 외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2결합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외력부재는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가 상기 제1모듈홈과 상기 제2모듈홈 각각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커넥터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는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모듈캡은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를 지지하는 캡본체, 및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캡본체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된 좌우제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커넥터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를 모듈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1서브커넥터와 상기 제2서브커넥터에 설치되는 모듈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캡은,
상기 제1서브절연부와 상기 제2서브절연부에 결합되는 캡본체;
상기 제1서브절연부에 형성된 제1위치결정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서브절연부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이동제한부재; 및
상기 제2서브절연부에 형성된 제2위치결정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2서브절연부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이동제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2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제1서브커넥터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제2서브커넥터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면과 상기 제2지지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69342 | 2020-12-07 | ||
KR1020200169342 | 2020-12-0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0680A true KR20220080680A (ko) | 2022-06-14 |
Family
ID=81980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8574A KR20220080680A (ko) | 2020-12-07 | 2021-07-27 |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80680A (ko) |
-
2021
- 2021-07-27 KR KR1020210098574A patent/KR20220080680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17942B2 (en) | Connector having metal shell with anti-displacement structure | |
CN105356163B (zh) | 插座电连接器 | |
US8002583B2 (en) | Electrical connector system hav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 and latching features | |
CN108736197A (zh) | 用于将印刷电路板相互连接的浮动连接器 | |
CN100576657C (zh) | 电转接器及其组件 | |
CN101908685B (zh) | 具有带角度端口的托架和插座组件 | |
US7686618B2 (en) |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 |
CN102255179A (zh) | 密度增大的连接器系统 | |
US11296439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TW200843215A (en) | Connector capable of absorbing an error in mounting position | |
WO2008044324A1 (en) | Connector | |
CN102570116B (zh) | 用于电连接器的接口触头 | |
JP7267186B2 (ja)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 |
US20090305563A1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compensation component | |
US5883787A (en) | Floating guided connector and method | |
JP7196028B2 (ja) | コネクタ組立体 | |
KR20210054449A (ko) | 기판 커넥터 | |
TW201810831A (zh) | 連接器 | |
KR20220080680A (ko) | 커넥터 | |
US20240136745A1 (en) | Connector | |
KR20220127724A (ko) | 커넥터 | |
CN219892467U (zh) | 电连接器及连接器组件 | |
KR20220134447A (ko) | 기판 커넥터 | |
KR102148179B1 (ko) | 커넥터 어셈블리 | |
EP4429419A1 (en) | Housing for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pcb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