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0418A - Multipurpose vehicle capable of driving on the ground and walls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vehicle capable of driving on the ground and wal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0418A
KR20220080418A KR1020200169501A KR20200169501A KR20220080418A KR 20220080418 A KR20220080418 A KR 20220080418A KR 1020200169501 A KR1020200169501 A KR 1020200169501A KR 20200169501 A KR20200169501 A KR 20200169501A KR 20220080418 A KR20220080418 A KR 20220080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wheel
link
coupled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5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6418B1 (en
Inventor
장동영
김승호
김언기
조준혁
이다희
박성재
류지현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69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418B1/en
Publication of KR20220080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4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4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18Electric motor acting on road wheel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K2016/006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wind power driv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과 벽을 주행할 수 있는 다목적 차량에 관한 것으로, 차체 프레임; 상기 차체 프레임에 결합되어 차체 프레임이 주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바퀴부 및 상기 차체 프레임에 결합되며 풍력의 방향과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바퀴부의 주행 동력을 발생시키고 주행 위치에 따른 차체 프레임의 자세를 유지하는 풍력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on the ground and on a wall, comprising: a body frame; A plurality of wheel parts coupled to the body frame to allow the body frame to travel, and a plurality of wheel parts coupled to the body frame to control the direction and intensity of wind power to generate driving power of the wheel parts and to position the body frame according to the driving pos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wind control unit to maintain the.

Description

지면과 벽을 주행할 수 있는 다목적 차량{Multipurpose vehicle capable of driving on the ground and walls}Multipurpose vehicle capable of driving on the ground and walls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풍력의 방향과 세기를 조절할 수 있어 풍력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평평하거나 굴곡진 지면 또는 벽을 주행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다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지면과 벽을 주행할 수 있는 다목적 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irection and strength of wind power, so that it is formed to travel on a flat or curved ground or wall using the repulsive force of the wind power, so that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It is about a multipurpose vehicle.

최근, 사람이 들어갈 수 없거나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벽면이나 파이프 등에 소형 차량이나 로봇을 활용하여 주행하면서 점검이나 촬영을 하는 일이 많아졌으며, 이들에 활용되는 소형 차량이나 로봇은 주로, 한국등록특허 제10-1358384호 '벽면주행로봇'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패드를 활용하여 벽면이나 굴곡진 지면을 주행하도록 제작되고 있다.Recently, there have been a lot of inspections and shootings while driving using small vehicles or robots on high walls or pipes that people cannot enter or reach. As shown in Patent No. 10-1358384, 'Wall-Wall Running Robot', it is manufactured to run on a wall or a curved surface using a suction pad.

그러나, 상기와 같이 흡착패드를 활용한 소형 차량 또는 로봇은 주행의 속도가 느리며, 많은 동력을 필요로 하기에 주로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작됨으로써 활용의 제약이 많았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a small vehicle or robot using the suction pad has a slow running speed and requires a lot of power, so it is mainly connected by wire and has many limitations in utilization.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풍력을 이용하여 평평하거나 굴곡진 지면 또는 벽을 주행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주행의 속도가 빠르고, 많은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아 내장 배터리만으로도 주행이 가능하여 활용의 제약이 거의 없는 지면과 벽을 주행할 수 있는 다목적 차량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formed to travel on a flat or curved ground or wall using wind power, so that the speed of driving is fast and it does not require a lot of power, so it can be driven only with a built-in battery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vehicle that can drive on the ground and walls with almost no restrictions on utiliza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면과 벽을 주행할 수 있는 다목적 차량은, 차체 프레임; 상기 차체 프레임에 결합되어 차체 프레임이 주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바퀴부 및 상기 차체 프레임에 결합되며 풍력의 방향과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바퀴부의 주행 동력을 발생시키고 주행 위치에 따른 차체 프레임의 자세를 유지하는 풍력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multipurpose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on the ground and a wall includes: a body frame; A plurality of wheel parts coupled to the body frame to allow the body frame to travel, and a plurality of wheel parts coupled to the body frame to control the direction and intensity of wind power to generate driving power of the wheel parts and to position the body frame according to the driving position It may include a wind control unit to maintain the.

여기서, 상기 바퀴부는, 바퀴; 상기 바퀴의 진동을 완화하는 현가부 및 일부 바퀴부에만 마련되되, 상기 바퀴의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wheel part, a wheel; It is provided only in the suspension portion and some wheel portions for alleviating vibration of the wheel, and may include a steer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wheel.

또한, 상기 현가부는, 상기 차체프레임에 마련된 수직편의 소정의 높이에 결합되며, 외측부에 링크결합홈을 형성하는 상측 지지편; 상기 상측 지지편의 하측에서 상측 지지편과 대향되도록 상기 수직편에 결합되며, 외측부에 링크결합돌출편을 형성하는 하측 지지편; 일단부가 상기 링크결합홈의 내측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링크; 일단부가 상기 링크결합돌출편 양측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2 링크;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에 각각 결합되며 수직으로 길이를 형성하는 제1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제1 충격흡수유닛; 상기 제1 링크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바퀴의 연결프레임과 연결되도록 수직으로 길이를 형성하는 제2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제2 충격흡수유닛 및 상기 제2 링크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바퀴의 연결프레임과 연결되도록 수직으로 길이를 형성하는 제3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제3 충격흡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spension portion may include: an upper support piece coupl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a vertical piece provided on the vehicle body frame and forming a link coupling groove in an outer portion; a lower support piece coupled to the vertical piece to face the upper support piece from a lower side of the upper support piece, and forming a link-engaging protrusion piece on an outer side; a first link having one end coupled to both inner ends of the link coupling groove, respectively; a second link having one end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ink coupling protrusion piece; a first shock absorbing unit coupled to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respectively, and having a first buffer member vertically forming a length; A second shock absorbing uni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and having a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vertically forming a length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frame of the wheel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the connecting frame of the wheel It may include a third shock absorbing unit having a third buffer member vertically forming a length to be connected to.

또한, 상기 조향부는,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장착되며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조향모터; 상기 조향모터에 결합되어 조향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 양단에 결합되며, 상기 바퀴의 연결프레임과 연결되는 연결바를 형성하는 조향편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ering unit may include: a steering motor mounted on the body frame and provided to enable bidirectional rotation; It may include a rotating member coupled to the steering motor to rotat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teering motor, and a steering piec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otating member and forming a connecting bar connected to the connecting frame of the wheel.

또한, 상기 풍력조절부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방에서 지면과 수직을 이룬 상태로 설치되되, 풍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가 좌/우측으로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마련되어 차체 프레임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차체 자세 유지 풍력조절기 및 상기 차체 프레임의 후방에서 지면에 대해 후측이 상향되는 경사를 이룬 상태로 설치되되, 풍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가 좌/우측으로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마련되어 차체 프레임의 주행 동력을 발생시키면서 자세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차체 구동 풍력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nd power control unit is installed 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frame, and the fan motor that generates the wind power is provided to adjust the inclination to the left/right to maintain the posture of the vehicle body frame. The maintenance wind controller and the rear side of the body frame are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rear side is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the fan motor generating the wind power is provided to adjust the inclination to the left/right, and the posture while generating the driving power of the body frame It may include a vehicle-driven wind regulator formed to maintain the.

또한, 상기 차체 자세 유지 풍력조절기 및 차체 구동 풍력조절기는 각각, 설정된 지면과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양측부가 상기 차체 프레임에 결합되며, 전단과 후단에 축결합체를 마련하는 팬 가드; 전단과 후단이 상기 팬 가드의 축결합체와 결합되어 전/후방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중심에는 상기 팬모터를 장착할 수 있는 제1 모터 장착구가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모터를 장착할 수 있는 제2 모터 장착구가 형성되는 모터장착부재 및 상기 제2 모터 장착구에 들어맞도록 장착되되 축결합체와 연결되어 구동 시 상기 모터장착부재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는 기울기 조절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vehicle body posture maintaining wind power controller and the vehicle body driving wind power controller may include: a fan guard having both sides coupled to the body frame to maintain a set angle with the ground, and providing shaft coupling bodies at front and rear ends; The front and rear ends are coupled to the shaft coupling body of the fan guard and installed to cross the front/rear, a first motor mounting hole capable of mounting the fan motor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motor is mount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motor mounting member in which a second motor mounting hole is formed, and a tilt control motor mounted to fit the second motor mounting port and connected to a shaft assembly to rotate the motor mounting member to the left or right when driving can

또한, 상기 팬 가드는, 링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an guard may have a ring shap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면과 벽을 주행할 수 있는 다목적 차량은, 지면과 벽을 주행할 수 있어, 하수구 혹은 고층빌딩의 파이프 내부 검사 등 작업자나 드론이 진입하기 힘든 곳에서 다목적으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multi-purpose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on the ground and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vel on the ground and wall, so it can be used for multi-purpose easily in places where it is difficult for workers or drones to enter, such as inspection of sewers or inside pipes of high-rise buildings. can be used

또한, 주행의 속도가 빠르고, 많은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아 내장 배터리만으로도 주행이 가능하여 활용의 제약이 거의 없다.In addition, since the driving speed is fast and does not require a lot of power, driving is possible only with the built-in battery, so there are almost no restrictions on utilization.

또한,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모든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content, and may further include all effects predictable from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면과 벽을 주행할 수 있는 다목적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목적 차량의 각 단위 구성을 분해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다목적 차량의 일 구성인 차체 프레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차체 프레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의 다목적 차량의 일 구성인 바퀴부의 차체 프레임 결합 형태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바퀴부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바퀴부를 단위 구성으로 분해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바퀴부의 일 구성인 현가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보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다목적 차량의 일 구성인 풍력조절부 중 차체 자세 유지 풍력조절기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차체 자세 유지 풍력조절기 중 팬모터를 분리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다목적 차량의 일 구성인 풍력조절부 중 차체 구동 풍력조절기의 고정각도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on the ground and wa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each unit configuration of the multipurpose vehicle of FIG. 1 .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ody frame that is a configuration of the multi-purpose vehicle of FIG. 1 .
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vehicle body frame of FIG. 3 .
FIG. 5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body frame coupling form of a wheel part,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multi-purpose vehicle of FIG. 1 .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wheel part of FIG. 5 .
FIG. 7 is a view showing the wheel part of FIG. 6 by disassembling it into a unit configuration;
8 is a view showing in detail a suspension part,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wheel part of FIG. 7, as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FIG.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body posture maintenance wind power controller among the wind power controllers that are one configuration of the multi-purpose vehicle of FIG. 1 .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fan motor separated from the wind power controller for maintaining the vehicle body posture of FIG. 9 .
11 is a view illustrating a fixed angle of a vehicle body-driven wind power controller among the wind power controllers that are one configuration of the multi-purpose vehicle of FIG. 1 .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1st, 2nd, etc. are terms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meanings are not limited thereto,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numbers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not precluding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면과 벽을 주행할 수 있는 다목적 차량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ultipurpose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on the ground and wa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면과 벽을 주행할 수 있는 다목적 차량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다목적 차량의 각 단위 구성을 분해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on the ground and a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each unit configuration of the multi-purpose vehicle of FIG. 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면과 벽을 주행할 수 있는 다목적 차량은, 차체 프레임(100), 바퀴부(200) 및 풍력조절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d 2 , a multipurpose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on the ground and wa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frame 100 , a wheel unit 200 , and a wind power control unit 300 . can be

여기서, 본 발명의 다목적 차량은 소형의 형태로서, 바퀴부(200)를 통한 주행을 하는 차체 프레임(100)은 풍력을 발생시키는 풍력조절부(300)를 통해 주행 동력이 발생되고, 주행 위치에 따라 풍력의 발생 방향과 세기를 조절하면서 풍력에 대한 반발력을 통해 차체 프레임(100)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평평한 지면이나 굴곡진 지면은 물론, 평평한 벽이나 굴곡진 벽 등을 주행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닐 수 있고, 다양한 장소에서 다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Here, the multi-purpos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mpact form, and the vehicle body frame 100 that travels through the wheel 200 generates driving power through the wind power control unit 300 that generates wind power, and is positioned at the driving posi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posture of the vehicle body frame 100 through the repulsive force against the wind force while controlling the generation direction and strength of the wind power. and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various places.

도 3은 도 1의 다목적 차량의 일 구성인 차체 프레임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차체 프레임의 세부 구성도이다.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ody frame that is one configuration of the multi-purpose vehicle of FIG. 1 , and FIG. 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body frame of FIG. 3 .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차체 프레임(100)은 본 발명의 차량의 베이스를 구성하는 프레임으로서, 복수의 봉 프레임(110)과, 봉 프레임간을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프레임 연결체(120)와, 차체 프레임(100)의 좌측부와 우측부를 연결하며 목적에 따른 구성을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연결 플레이트(130)와, 바퀴부(200)를 장착하기 위한 수직편(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3 and 4 , the body frame 100 is a frame constituting the base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rod frames 110 and a plurality of frame connecting bodies 120 for connecting the rod frames. ), a connecting plate 130 that connect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body frame 100 and provides a space for mount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a vertical piece 140 for mounting the wheel 200 . may be included.

이때, 차체 프레임(100)은 좌측부와 우측부가 대칭되는 형태로서, 좌측부와 우측부 각각 복수의 봉 프레임(110)으로 길이를 형성 후, 봉 프레임(110)간에는 프레임 연결체(120)로 연결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차체 프레임(100)의 좌측부 중단과 우측부 중단을 평평한 연결 플레이트(130)로 연결할 수 있고, 차체 프레임(100)의 좌측부 전단과 후단, 우측부 전단과 후단에 수직편(140)을 결합하여 바퀴부(200)를 장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dy frame 100 has a symmetrical shape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and after forming a length with a plurality of rod frames 11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the rod frames 110 are connected by a frame connector 120 to It can be formed, and the left middle part and the right part middle part of the vehicle body frame 100 as described above can be connected with a flat connection plate 130 , and are perpendicular to the left front and rear ends and the right front and rear ends of the body frame 100 . It may be configured to mount the wheel part 200 by coupling the piece 140 .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봉 프레임(110)은 총 8개가 마련되어 좌측부에 4개, 우측부에 4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각 봉 프레임(110)은 길이가 모두 동일할 수도 있으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좌측부와 우측부는 대칭되는 형태이므로, 좌측부와 우측부에서 서로 대향되는 봉 프레임(110)간의 길이는 동일한 길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a total of eight rod frames 110 may be provided, and four may be used on the left and four may be used on the right, and each rod frame 110 may have the same length, but are formed with different lengths. it might be However, since the left portion and the right portion are symmetrical, the length between the rod frames 110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left portion and the right portion is preferably the same.

좌측부를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4개의 봉 프레임(110)이 연속되어 길이를 형성할 수 있고, 각 봉 프레임(110)간의 연결되는 단부에는 프레임 연결체(120)가 감싸도록 형성되어 봉 프레임(110)간을 연결시킬 수가 있다. 다시 말해, 프레임 연결체(120)의 양단부로 봉 프레임(110)이 삽입되는 구조이다.Referring to the left part, the four rod frames 110 may be continuous to form a length, and the frame connecting body 120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ends connected between each rod frame 110 so as to surround the rod frame 110 . ) can be linked. In other words,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od frame 110 is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frame connecting body 120 .

이때, 프레임 연결체(120)는 'ㅗ'자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단부와 후단부의 연결 시에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프레임 연결체(121)로 연결할 수 있으며, 중단부의 연결 시에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프레임 연결체(122)로 연결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rame connector 120 may be configured in a 'ㅗ' shape, and whe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are connected, the frame connector 121 may be conn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when the middle part is connected, the frame connector 120 may be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can be connected by a frame connector 122 arranged as

즉, 전단 방향으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제1 내지 제4 봉 프레임(111 내지 114)으로 지칭하면, 제1 및 제2 봉 프레임(111, 112)과 제3 및 제4 봉 프레임(113, 114)은 수직으로 배치되는 프레임 연결체(121)로 연결되는 것이며, 제2 및 제3 봉 프레임(112, 113)은 수평으로 배치되는 프레임 연결체(122)로 연결되는 것이다.That is, referring to the first to fourth bar frames 111 to 114 from the front end direction to the rear end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bar frames 111 and 112 and the third and fourth bar frames 113 and 114 are It is connected by the frame connector 121 arranged vertically, and the second and third rod frames 112 and 113 are connected by the frame connector 122 arranged horizontally.

이는, 전단부와 후단부의 경우, 후술할 풍력조절부(300)의 각 풍력조절기(310, 320)를 결합하고, 중단부의 경우 평평한 연결 플레이트(130)를 체결하기 위함으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is is to couple the respective wind power controllers 310 and 320 of the wind power controller 30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case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and to fasten the flat connection plate 130 in the case of the middle part,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later. decide to do

한편, 봉 프레임(110)과 프레임 연결체(120) 사이에는 고무 패킹 등의 고 마찰 소재가 함께 삽입되어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Meanwhile, a high friction material such as rubber packing may be inserted between the rod frame 110 and the frame connecting body 120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상기와 같이 복수의 봉 프레임(110)을 통해 일자로 구성된 차체 프레임(100) 좌측부의 전단과 후단에는 바퀴부(200)를 장착하기 위해 수직편(140)이 결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piece 14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left part of the vehicle body frame 100 configured in a straight line through the plurality of rod frames 110 to mount the wheel part 200 .

수직편(140)은 요홈(凹)형의 바퀴부(200) 지지체로서 2개가 한 쌍(140a, 140b)을 이루어 차체 프레임(100)의 각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을 이루는 2개의 수직편(140a, 140b)간의 간격은 모두 동일할 수 있으며, 각 수직편(140)은 하단부가 봉 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직편(140)과 봉 프레임(110)간 결합부에도 고무 패킹 등의 고 마찰 소재가 삽입되어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The vertical piece 140 may be provided at each end of the vehicle body frame 100 by forming a pair of supports 140a and 140b as a support body for the wheel part 200 having a concave shape.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vertical pieces 140a and 140b constituting a pair may be the same, and the lower end of each vertical piece 140 may be coupled to the rod frame 110 to form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 In addition, a high friction material such as rubber packing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vertical piece 140 and the rod frame 110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차체 프레임(100)의 우측부는 상술한 좌측부와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어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좌측부와 우측부의 각 중단부에 구비된 프레임 연결체(122)의 상단에 연결 플레이트(130)의 양단을 결속부재(135)로 결속하여 좌측부와 우측부를 연결시킬 수 있고, 차체 프레임(100)을 완성할 수 있다.Since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100 may be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the above-described left sid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by binding the both ends with the binding member 135 to connect the left part and the right part, and the vehicle body frame 100 can be completed.

이때, 결속부재(135)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나 나사 등의 체결부재일 수도 있으나 한편으론, 프레임 연결체(120)와 봉 프레임(110)에 각 단이 끼워 맞춤되어 연결시키는 'ㄷ'자 형의 끼움부재일 수도 있고, 결속부재(135) 없이 연결 플레이트(130)를 프레임 연결체(120) 또는 봉 프레임(110)에 용접하거나 삽입하는 형태 등의 다양한 결합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inding member 135 may be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or a screw as shown in the drawing, but on the other hand, each end is fitted to the frame connecting body 120 and the rod frame 110 to connect the 'c' It may be a 'shaped fitting member, and various coupling forms such as welding or inserting the connecting plate 130 to the frame connecting body 120 or the rod frame 110 without the binding member 135 may be formed. .

또한, 연결 플레이트(130) 하측에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프레임 연결체(122)에 양단부가 삽입되어 연결 플레이트(130)를 지지하는 지지봉(137)이 마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support rod 137 for supporting the connection plate 130 by inserting both ends into the frame connection body 122 arranged horizontally may be provided below the connection plate 130 .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체 프레임(100)은 이해를 돕기 위한 일례일 뿐, 차체 프레임(100)의 형태나, 봉 프레임(110), 프레임 연결체(120) 등의 개수는 그 목적이나 기능을 달리하지 않는 선에서 변형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body frame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only an example for helping understanding, and the shape of the vehicle body frame 100 and the number of rod frames 110 , frame connectors 120, etc. It may be deformed in a line that does not change the

도 5는 도 1의 다목적 차량의 일 구성인 바퀴부의 차체 프레임 결합 형태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바퀴부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의 바퀴부를 단위 구성으로 분해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바퀴부의 일 구성인 현가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보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in detail a body frame coupling form of a wheel part of the multipurpose vehicle of FIG. 1 , FIG.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wheel part of FIG. 5 , and FIG. 7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wheel part of FIG. 6 as a unit configuration It is a drawing, and FIG. 8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suspension part,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wheel part of FIG. 7, as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바퀴부(200)는 차체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차체 프레임(100)이 주행할 수 있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바퀴(210), 바퀴(210)의 진동을 완화하는 현가부(220), 바퀴(210)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되 일부의 바퀴부(200)에만 마련되는 조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5 to 8 , a plurality of wheel parts 20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vehicle body frame 100 can travel by being coupled to the vehicle body frame 100 . Suspension part 220 for alleviating vibration, the steering part 230 formed to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wheel 210, provided only in some of the wheel part 200 may be configured to be included.

이때, 바퀴부(200)는 상술한 차체 프레임(100)의 한 쌍의 수직편(140)이 구비된 위치마다 마련될 수 있으며, 일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편(140)이 차체 프레임(100)의 각 단부 즉, 좌측부와 우측부 각각의 전단과 후단에 마련되는 경우에 있어, 이에 상응하여 바퀴부(200)도 4개가 마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heel part 200 may be provided at each position where the pair of vertical pieces 140 of the above-described body frame 100 are provided. ), that is, in the case of being provid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portions, four wheel portions 200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ly.

그러나, 바퀴부(200)의 개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작자의 설정에 따라 수직편(140)과 바퀴부(200)의 개수와 위치는 달리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만,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에서는 바퀴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측 전단과 후단에 총 4개가 마련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기로 한다.However, the number of the wheel parts 200 is not limited, and it is of course that the number and positions of the vertical piece 140 and the wheel parts 200 may be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manufacturer. However,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 case in which a total of four wheel units 200 are provided at the left/right front and rear ends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바퀴(210)는 바퀴부(200)의 가장 최외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통상적인 바퀴처럼 원형의 휠과 같이 마련될 수 있으며, 휠은 스포크와 스포크 중심에 마련되는 허브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허브의 내측부에는 현가부(220)와 조향부(230)를 바퀴(210)와 연결할 연결프레임(215)이 마련될 수 있다.The wheel 210 is form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wheel unit 200 and may be provided like a circular wheel like a conventional wheel, and the wheel may be composed of a spoke and a hub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poke. In this case, a connection frame 215 for connecting the suspension 220 and the steering unit 230 to the wheel 21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hub.

현가부(220)는 바퀴의 진동을 완화하기 위해 바퀴(210)와 차체 프레임(100) 사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측 지지편(221), 하측 지지편(222), 제1 링크(223), 제2 링크(224), 제1 충격흡수유닛(225), 제2 충격흡수유닛(226) 및 제3 충격흡수유닛(22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uspension part 22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wheels 210 and the vehicle body frame 100 in order to reduce vibration of the wheels, and may include an upper support piece 221 , a lower support piece 222 , and a first link 223 . , the second link 224 , the first shock absorbing unit 225 , the second shock absorbing unit 226 and the third shock absorbing unit 227 may be included.

구체적으로, 상측 지지편(221)과 하측 지지편(222)은 평면 방향에서 바라볼 때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각 단부가 모두 차체 프레임(100)에 마련된 한 쌍의 수직편(140)에 결합될 수 있고, 서로 상/하 방향에서 대향되는 구조를 지닐 수 있다. 즉, 상측 지지편(221)은 수직편(140)의 소정의 높이에 결합되며, 하측 지지편(222)은 상측 지지편(221)의 하측에서 상측 지지편(221)과 대향되도록 수직편(140)에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pper support piece 221 and the lower support piece 222 are formed in a 'C' shape when viewed from a planar direction, so that each end of the pair of vertical pieces 140 is provided on the vehicle body frame 100 . and may have structures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upper/lower direction. That is, the upper support piece 221 is coupl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vertical piece 140, and the lower support piece 222 is a vertical piece ( 140) can be combined.

이때, 후술하는 제1 및 제2 링크(223, 224)를 결합하기 위해 상측 지지편(221)은 외측부에 링크결합홈(221a)을 형성할 수 있고, 하측 지지편(222)은 외측부에 링크결합돌출편(222a)을 형성할 수 있으나,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반대로 상측 지지편에 링크결합돌출편이 마련되고, 하측 지지편에 링크결함홈이 마련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couple the first and second links 223 and 224 to be described later, the upper support piece 221 may form a link coupling groove 221a on the outer side, and the lower support piece 222 is a link on the outer side. The coupling protrusion piece 222a may be form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Conversely, a link coupling protrusion piece is provided on the upper support piece, and a link defect groove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pport piece.

또한, 상측 지지편(221)과 하측 지지편(222) 사이에는 서로를 연결하는 연결리브(CR)가 마련되어 서로간의 간격을 유지하며 서로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connecting ribs CR for connecting to each oth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pport piece 221 and the lower support piece 222 to support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a distance therebetween.

제1 링크(223)는 2개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일단부가 링크결합홈(221a)의 내측 양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1 링크(223)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 이격공간에 제1 충격흡수유닛(225)이 결합되어 장착될 수 있다.Two first links 223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one end may be coupled to both inner ends of the link coupling groove 221a, respectively. In this case, a separation spac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first links 223 , and the first shock absorbing unit 225 may be coupled to and mounted in the separation space.

제2 링크(224) 또한 2개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일단부가 링크결합돌출편(222a) 양측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224) 사이의 이격공간에 제1 충격흡수유닛(225)이 결합되어 장착될 수 있다. The second link 224 is also provided as a pair and one end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ink coupling protrusion piece 222a,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irst shock absorbing unit 225 may be coupled to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second links 224 to be mounted.

즉, 제1 충격흡수유닛(225)은 제1 링크(223)간의 이격공간과 제2 링크(224)간의 이격공간 사이로 길이를 형성하며, 한 쌍의 제1 링크(223) 및 한 쌍의 제2 링크(224)와 결속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shock absorbing unit 225 forms a length between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first link 223 and the second link 224, the pair of first links 223 and the second link 224. 2 may be coupled to the link 224 .

한편, 제1 링크(223)와 제2 링크(224) 중 적어도 하나의 한 쌍의 링크에는 무게를 절감하기 위한 무게절감홀(223a)이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pair of links among the first link 223 and the second link 224 may be provided with a weight reduction hole 223a for reducing weight.

제1 충격흡수유닛(225)은 제1 링크(223)와 결합되는 상측 완충부재 지지편(2251), 제2 링크(224)와 결합되는 하측 완충부재 지지편(2252), 상기 상측 완충부재 지지편(2251)과 하측 완충부재 지지편(2252)을 관통하며 각 단부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접시볼트(2254)가 체결되는 완충부재 지지핀(2253) 및 상기 상측 완충부재 지지편(2251)과 하측 완충부재 지지편(2252) 사이에서 완충부재 지지핀(2253) 외측부에 구비되는 제1 완충부재(22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shock absorption unit 225 includes an upper buffer member support piece 2251 coupled to the first link 223 , a lower buffer member support piece 2252 coupled to the second link 224 , and support the upper buffer member A buffer member support pin 2253 that passes through the piece 2251 and the lower buffer member support piece 2252, and a plate bolt 2254 for preventing separation is fastened to each end, and the upper buffer member support piece 2251,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buffer member 2255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buffer member support pin 2253 between the lower buffer member support piece 2252.

또한, 제2 충격흡수유닛(226)은 상측 완충부재 장착편(2261), 상측 완충부재 가이드핀(2262), 제2 완충부재(2264)를 포함하여, 제1 링크(223)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바퀴(210)의 연결프레임(215)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hock absorption unit 226 includes an upper buffer member mounting piece 2261 , an upper buffer member guide pin 2262 , and a second buffer member 2264 ,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223 . It is coupled and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frame 215 of the wheel 210 .

이때, 상측 완충부재 장착편(2261)은 한 쌍의 제1 링크(223) 사이로 결합되어 바퀴(210) 방향을 향해 연결프레임(215)까지의 길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측 완충부재 가이드핀(2262)은 상측 완충부재 장착편(2261)을 관통하여 연결프레임(215)까지 삽입되며 돌출된 상단에는 접시볼트(2263)가 체결되고, 제2 완충부재(2264)는 상측 완충부재 장착편(2261)과 연결프레임(215) 사이에서 상측 완충부재 가이드핀(2262) 외측에 위치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buffer member mounting piece 2261 may be coupled between the pair of first links 223 to form a length up to the connection frame 215 in the direction of the wheel 210, and the upper buffer member guide pin ( 2262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buffer member mounting piece 2261 to the connection frame 215, a plate bolt 2263 is fastened to the protruding upper end, and the second buffer member 2264 is the upper buffer member mounting piece 2261 ) and the connection frame 215 may be mounted to be positioned outside the upper buffer member guide pin 2262.

또한, 제3 충격흡수유닛(227)은 하측 완충부재 장착편(2271), 하측 완충부재 가이드핀(2272), 제3 완충부재(2274)를 포함하여, 제2 링크(224)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바퀴(210)의 연결프레임(215)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shock absorbing unit 227 includes a lower buffer member mounting piece 2271 , a lower buffer member guide pin 2272 , and a third buffer member 2274 ,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224 . It is coupled and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frame 215 of the wheel 210 .

이때, 하측 완충부재 장착편(2271)은 한 쌍의 제2 링크(224) 사이로 결합되어 바퀴(210) 방향을 향해 연결프레임(215)까지의 길이를 형성할 수 있으며, 하측 완충부재 가이드핀(2272)은 하측 완충부재 장착편(2271)을 관통하여 연결프레임(215)까지 삽입되며 돌출된 하단에는 접시볼트(2273)가 체결되고, 제3 완충부재(2274)는 하측 완충부재 장착편(2271)과 연결프레임(215) 사이에서 하측 완충부재 가이드핀(2272) 외측에 위치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buffer member mounting piece 2271 may be coupled between a pair of second links 224 to form a length up to the connection frame 215 in the direction of the wheel 210, and the lower buffer member guide pin ( 2272) penetrates the lower buffer member mounting piece 2271 and is inserted to the connection frame 215, a plate bolt 2273 is fastened to the protruding lower end, and the third buffer member 2274 is the lower buffer member mounting piece 2271 ) and the connection frame 215 may be mounted to be positioned outside the lower buffer member guide pin 2272.

상기와 같은 현가부(220)는 제1 내지 제3 완충부재(2255, 2264, 2274)를 통해 본 발명의 다목적 차량은 어느 지형을 주행하던지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The suspension 220 as described above can easily absorb the shock no matter what terrain the multipurpos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ravels through the first to third buffer members 2255, 2264, and 2274.

한편, 상기에서는 상측 완충부재 가이드핀(2262)과 하측 완충부재 가이드핀(2272)이 따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두 가이드핀(2262, 2272)은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in the above that the upper buffer member guide pin 2262 and the lower buffer member guide pin 2272 are separately provided, the two guide pins 2262 and 2272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조향부(230)는 일부의 바퀴부(200)에만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차체 프레임(100) 전방 양측에 장착되는 2개의 바퀴부(200a)에만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조향부(230)의 일 구성이면서 무게를 형성하는 조향모터(231)가 전방에 위치하여 차체 프레임(100)이 주행의 안정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향부(230)는 모든 바퀴부(200a, 200b)에 마련될 수도 있고 후방 양측에 장착되는 2개의 바퀴부(200b)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The steering unit 230 may be provided only on some of the wheel units 200 , and preferably only on the two wheel units 200a mounted on both front sides of the vehicle body frame 100 . This is to ensure that the vehicle body frame 100 has driving stability because the steering motor 231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steering unit 230 and forms a weight is located in the fro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steering unit 230 may be provided on all of the wheel units 200a and 200b or only on the two wheel units 200b mounted on both rear sides.

조향부(230)는 조향모터(231), 회전부재(232) 및 조향편(2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teering unit 230 may include a steering motor 231 , a rotating member 232 , and a steering piece 233 .

구체적으로, 조향모터(231)는 차체 프레임(100)의 봉 프레임(110) 또는 프레임 연결체(120)에 장착되는 모터 장착함(231a)에 마련된 장착공간에 수직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모터 장착함(231a)에 장착된 조향모터(231) 상단에는 회전부재(232)가 결합되어 조향모터(231)의 구동에 따라 양단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eering motor 231 may be vertically mounted in a mounting space provided in the motor mounting box 231a mounted on the rod frame 110 or the frame connection body 120 of the vehicle body frame 100 . In addition, a rotating member 232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teering motor 231 mounted on the motor mounting box 231a so that both ends rotat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teering motor 231 .

조향편(233)은 'ㄱ'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프레임(215)의 높이까지 상응하는 높이를 형성하고, 전방에는 연결프레임(215)까지 길이를 형성하여 연결프레임(215)에 삽입되는 연결바(234)를 구비할 수 있다.The steering piece 233 is formed in a 'L' shape to form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connection frame 215, and a connecting bar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frame 215 by forming a length up to the connection frame 215 in front. (234) may be provided.

이를 통해, 조향모터(231)의 구동 시 회전부재(232)는 회전하고, 회전 동력이 연결된 조향편(233)을 통해 연결바(234)로 전달되어 연결바(234)가 바퀴(210)를 조향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steering motor 231 is driven, the rotating member 232 rotates, and the rotational power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ing bar 234 through the connected steering piece 233 so that the connecting bar 234 connects the wheel 210 . can be steered

도 9는 도 1의 다목적 차량의 일 구성인 풍력조절부 중 차체 자세 유지 풍력조절기의 구성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차체 자세 유지 풍력조절기 중 팬모터를 분리하여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1의 다목적 차량의 일 구성인 풍력조절부 중 차체 구동 풍력조절기의 고정각도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wind power controller for maintaining the vehicle body posture among the wind power controllers of FIG. 1,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fan motor of the wind power controller for maintaining the vehicle body posture of FIG. 9 separately, FIG. 11 is It is a view for showing a fixed angle of the vehicle body-driven wind power controller among the wind power controller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multi-purpose vehicle of FIG. 1 .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풍력조절부(3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차량이 지면과 벽을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풍력을 발생시키고, 풍력을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적어도 2개의 풍력조절기(310, 320)가 마련되어 하나의 풍력조절기(310)는 차체 프레임(100)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사용하고, 다른 하나의 풍력조절기(320)는 차체 프레임(100)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차체 프레임(100)의 주행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9 to 11 , the wind power control unit 300 generates wind power so that the multipurpos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vel on the ground and walls, and controls the wind power, and includes at least two Wind controllers 310 and 320 are provided so that one wind controller 310 is used to maintain the posture of the vehicle body frame 100 , and the other wind controller 320 maintains the posture of the vehicle body frame 100 while maintaining the posture of the vehicle body. It is possible to generate driving power of the frame 100 .

구체적으로, 풍력조절부(300)는 차체 자세 유지 풍력조절기(310)와 차체 구동 풍력조절기(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차체 자세 유지 풍력조절기(310)는 차체 프레임(100)의 전방에 마련되어 차체 프레임(100)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사용되고, 차체 구동 풍력조절기(320)는 차체 프레임(100)의 후방에 마련되어 차체 프레임(100) 주행 동력 발생과 함께 차체 프레임(100)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wind power control unit 300 may include a vehicle body posture maintaining wind power controller 310 and a vehicle body driving wind power controller 320 , and the vehicle body posture maintaining wind power controller 31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vehicle body frame 100 .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frame 100 and used to maintain the posture of the vehicle body frame 100 , and the vehicle body driving wind power regulator 32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frame 100 to maintain the posture of the vehicle body frame 100 while generating driving power for the vehicle body frame 100 . can be used to

보다 구체적으로, 차체 자세 유지 풍력조절기(310)는 차체 프레임(100)의 전방에서 지면과 수직을 이룬 상태로 설치되되, 풍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FMT)가 좌/우측으로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마련되어 차체 프레임(100)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vehicle body posture maintenance wind power regulator 310 is installed 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frame 100, and a fan motor (FMT) that generates wind power is provided to adjust the inclination to the left/right. It may be formed to maintain the posture of the vehicle body frame 100 .

이를 위해, 차체 자세 유지 풍력조절기(310)는 팬 가드(311), 모터장착부재(312) 및 기울기 조절 모터(3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vehicle body posture maintenance wind power controller 310 may include a fan guard 311 , a motor mounting member 312 , and a tilt control motor 313 .

여기서, 팬 가드(311)는 링 형태로서 양측부가 차체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지면과 수직을 이룬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Here, the fan guard 311 may have a ring shape, and both sides may be coupled to the vehicle body frame 100 , and may be fixed 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이때, 팬 가드(311)는 차체 프레임(100)에 직결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주행면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차체 프레임(100)의 프레임 연결체(120) 상단으로 가드 연결체(3111)를 장착하고, 팬 가드(311)에는 핀 삽입편(3112)을 형성 후, 고정핀(3113)이 핀 삽입편(3112)을 관통하여 가드 연결체(3111)에 삽입되도록 하여 팬 가드(311)를 차체 프레임(100)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가드 연결체(3111)의 장착부위 고정핀(3113)의 삽입부위에는 고 마찰 소재가 마련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an guard 311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frame 100 , but preferably,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driving surface, the guard connection body 3111 is placed at the upper end of the frame connection body 120 of the vehicle body frame 100 . After mounting the fan guard 311, after forming the pin insertion piece 3112, the fixing pin 3113 penetrates the pin insertion piece 3112 to be inserted into the guard connection body 3111, the fan guard 311) can be fixed to the vehicle body frame 100 , and a high friction material may be provided at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fixing pin 3113 of the guard connecting body 3111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또한, 팬 가드(311)의 전방과 후방에는 후술할 모터장착부재(312)를 결합시키기 위한 축결합체(3114)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 shaft coupling body 3114 for coupling a motor mounting member 312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fan guard 311 .

모터장착부재(312)는 전단과 후단이 상기 팬 가드(311)에 마련된 축결합체(3114)에 각각 결합되어 팬 가드(311)의 전/후방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motor mounting member 312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shaft coupling body 3114 provided on the fan guard 311 to cross the front/rear side of the fan guard 311 .

이때, 모터장착부재(312)의 중심에는 상술한 팬모터(FMT)를 장착할 수 있는 제1 모터 장착구(312a)가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모터를 장착할 수 있는 제2 모터 장착구(312b)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first motor mounting hole 312a capable of mounting the above-described fan motor FMT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motor mounting member 312 , and one end of the second motor capable of mounting the mot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 mounting hole 312b may be formed.

기울기 조절 모터(313)는 모터장착부재(312)에 마련된 제2 모터 장착구(312b)에 들어맞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기울기 조절 모터(313)는 고정된 축결합체(3114)와 연결되어 구동 시에 모터장착부재(312)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The tilt control motor 313 may be mounted to fit the second motor mounting hole 312b provided on the motor mounting member 312 . In addition, the tilt control motor 313 may be connected to the fixed shaft coupling body 3114 so that the motor mounting member 312 rotates left or right when driven.

이를 통해, 차체 자세 유지 풍력조절기(310)는 차체 프레임(100)의 주행 시 풍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FMT)가 좌/우측으로 기울기를 조절하면서 풍력을 이용하여 주행 환경에 맞추어 차체 프레임(100)의 자세를 유지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the vehicle body posture maintenance wind power controller 310 adjusts the inclination of the fan motor (FMT) that generates wind power when the vehicle body frame 100 is driven to the left/right and adjusts the inclination of the vehicle body frame 100 to the vehicle frame 100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using the wind power. ) can be maintained.

한편, 차체 프레임(100) 후방에 마련되는 차체 구동 풍력조절기(320)는 차체 자세 유지 풍력조절기(310)와 비교할 때 팬 가드(321)의 고정 각도만을 달리하고 그 사용용도만 일부 상이할 뿐, 실질적인 구조와 작동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하며, 팬 가드(321)의 고정 각도와 그 사용용도 일부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body-driven wind power controller 32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frame 100 differs only in the fixed angle of the fan guard 321 compared to the vehicle body posture maintenance wind power controller 310, and only the use thereof is partially different, The actual structure and operation may be the same. Therefore,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and only a portion of the fixed angle of the fan guard 321 and its intended use will be described.

차체 구동 풍력조절기(320)는 팬 가드(321)가 차체 프레임(100)의 후방에 설치되며, 지면에 대해 후측이 상향되는 경사를 이룬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는, 풍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FMT)가 지면에 대해 반발력을 형성하면서 차체 프레임(100)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주행 동력을 만들어 내기 위함으로, 후측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다.The vehicle body-driven wind power regulator 320 may be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fan guard 321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frame 100 , and the rear side is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is is to generate driving power for the vehicle body frame 100 to move forward while the fan motor (FMT) generating wind power forms a repulsive force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the rear side is installed to be inclined upward.

이때, 차체 구동 풍력조절기(320)에 구비되는 팬모터(FMT) 또한 좌/우측으로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어, 차체 프레임(100)이 전진하는 주행동력을 만들어내면서도 주행 환경에 맞추어 차체 프레임(100)의 자세도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an motor (FMT)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driving wind power controller 320 may also be formed to adjust the inclination to the left/right, so that the vehicle body frame 100 creates driving power to move forward while adapt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to the vehicle body. The posture of the frame 100 may also be maintained.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면과 벽을 주행할 수 있는 다목적 차량은 무선으로 원격제어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 무선통신모듈이나 내장 배터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multi-purpose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on the ground and wa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motely controlled wirelessly, and for this purpose, it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built-in batter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차량은 지면과 벽을 주행할 수 있어, 하수구 혹은 고층빌딩의 파이프 내부 검사 등 작업자나 드론이 진입하기 힘든 곳에서 다목적으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multi-purpos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run on the ground and walls, so it can be easily used for multi-purposes in places where it is difficult for workers or drones to enter, such as a sewer or pipe internal inspection of a high-rise building.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 차체 프레임 110 : 봉 프레임
120 : 프레임 연결체 130 : 연결 플레이트
135 : 결속부재 140 : 수직편
200 : 바퀴부 210 : 바퀴
215 : 연결프레임 220 : 현가부
221 : 상측 지지편 221a : 링크결합홈
222 : 하측 지지편 222a : 링크결합돌출편
223 : 제1 링크 223a : 무게절감홀
224 : 제2 링크 225 : 제1 충격흡수유닛
2251 : 상측 완충부재 지지편 2252 : 하측 완충부재 지지편
2253 : 지지핀 2254 : 접시볼트
2255 : 제1 완충부재 226 : 제2 충격흡수유닛
2261 : 상측 완충부재 장착편 2262 : 상측 완충부재 가이드핀
2263 : 접시볼트 2264 : 제2 완충부재
227 : 제3 충격흡수유닛 2271 : 하측 완충부재 장착편
2272 : 하측 완충부재 가이드핀 2273 : 접시볼트
2274 : 제3 완충부재 230 : 조향부
231 : 조향모터 231a : 모터 장착함
232 : 회전부재 233 : 조향편
234 : 연결바 300 : 풍력조절부
310 : 차체 자세 유지 풍력조절기 311 : 팬 가드
3111 : 가드 연결체 3112 : 핀 삽입편
3113 : 고정핀 3114 : 축결합체
312 : 모터장착부재 312a : 제1 모터 장착구
312b : 제2 모터 장착구 313 : 기울기 조절 모터
320 : 차체 구동 풍력조절기 CR : 연결리브
FMT : 팬모터
100: body frame 110: rod frame
120: frame connecting body 130: connecting plate
135: binding member 140: vertical piece
200: wheel 210: wheel
215: connection frame 220: suspension part
221: upper support piece 221a: link coupling groove
222: lower support piece 222a: link coupling protruding piece
223: first link 223a: weight reduction hole
224: second link 225: first shock absorption unit
2251: upper buffer member support piece 2252: lower buffer member support piece
2253: support pin 2254: plate bolt
2255: first buffer member 226: second shock absorption unit
2261: upper buffer member mounting piece 2262: upper buffer member guide pin
2263: plate bolt 2264: second buffer member
227: third shock absorbing unit 2271: lower buffer member mounting piece
2272: lower buffer member guide pin 2273: plate bolt
2274: third buffer member 230: steering unit
231: steering motor 231a: motor mounted
232: rotating member 233: steering side
234: connection bar 300: wind control unit
310: body posture maintenance wind controller 311: fan guard
3111: guard connection body 3112: pin insertion piece
3113: fixing pin 3114: shaft coupling body
312: motor mounting member 312a: first motor mounting port
312b: second motor mounting hole 313: tilt adjustment motor
320: body drive wind power regulator CR: connecting rib
FMT : fan motor

Claims (5)

차체 프레임;
상기 차체 프레임에 결합되어 차체 프레임이 주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바퀴부 및
상기 차체 프레임에 결합되며 풍력의 방향과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바퀴부의 주행 동력을 발생시키고 주행 위치에 따른 차체 프레임의 자세를 유지하는 풍력조절부를 포함하는 지면과 벽을 주행할 수 있는 다목적 차량.
body frame;
a plurality of wheel part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frame and provided to allow the vehicle body frame to travel; and
and a wind power control unit coupled to the body frame to generate driving power of the wheel part by controlling the direction and strength of the wind power and to maintain the posture of the body frame according to a driving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는,
바퀴;
상기 바퀴의 진동을 완화하는 현가부 및
일부 바퀴부에만 마련되되, 상기 바퀴의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부를 포함하는 지면과 벽을 주행할 수 있는 다목적 차량.
The method of claim 1,
The wheel part,
wheel;
Suspension for alleviating the vibration of the wheel, and
A multi-purpose vehicle that is provided only on some wheel parts, and can run on the ground and walls, including a steering part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wheel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부는,
상기 차체 프레임에 마련된 수직편의 소정의 높이에 결합되며, 외측부에 링크결합홈을 형성하는 상측 지지편;
상기 상측 지지편의 하측에서 상측 지지편과 대향되도록 상기 수직편에 결합되며, 외측부에 링크결합돌출편을 형성하는 하측 지지편;
일단부가 상기 링크결합홈의 내측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링크;
일단부가 상기 링크결합돌출편 양측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2 링크;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에 각각 결합되며 수직으로 길이를 형성하는 제1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제1 충격흡수유닛;
상기 제1 링크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바퀴의 연결프레임과 연결되도록 수직으로 길이를 형성하는 제2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제2 충격흡수유닛 및
상기 제2 링크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바퀴의 연결프레임과 연결되도록 수직으로 길이를 형성하는 제3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제3 충격흡수유닛을 포함하는 지면과 벽을 주행할 수 있는 다목적 차량.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uspension part,
an upper support piece coupl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a vertical piece provided on the vehicle body frame and forming a link coupling groove in an outer portion;
a lower support piece coupled to the vertical piece to face the upper support piece from a lower side of the upper support piece, and forming a link-engaging protrusion piece on an outer side;
a first link having one end coupled to both inner ends of the link coupling groove, respectively;
a second link having one end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ink coupling protrusion piece;
a first shock absorbing unit coupled to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respectively, and having a first buffer member vertically forming a length;
a second shock absorbing uni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and having a second buffer member vertically forming a length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frame of the wheel; and
and a third shock absorbing uni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and having a third shock absorbing member vertically forming a length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frame of the whee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부는,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장착되며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조향모터;
상기 조향모터에 결합되어 조향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 양단에 결합되며, 상기 바퀴의 연결프레임과 연결되는 연결바를 형성하는 조향편을 포함하는 지면과 벽을 주행할 수 있는 다목적 차량.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eering unit,
a steering motor mounted on the body frame and provided to enable bidirectional rotation;
a rotating member coupled to the steering motor and rotating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teering motor; and
A multi-purpose vehicle that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otating member and includes a steering piece that forms a connecting bar connected to the connecting frame of the wheel and capable of running on the ground and wa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조절부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방에서 지면과 수직을 이룬 상태로 설치되되, 풍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가 좌/우측으로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마련되어 차체 프레임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차체 자세 유지 풍력조절기 및
상기 차체 프레임의 후방에서 지면에 대해 후측이 상향되는 경사를 이룬 상태로 설치되되, 풍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가 좌/우측으로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마련되어 차체 프레임의 주행 동력을 발생시키면서 자세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차체 구동 풍력조절기를 포함하는 지면과 벽을 주행할 수 있는 다목적 차량.
The method of claim 1,
The wind control unit,
a vehicle body posture maintenance wind power controller installed 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t the front of the body frame, the fan motor generating wind power is provided to adjust the inclination left/right to maintain the body frame posture;
It is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rear side is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ground at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frame, and a fan motor generating wind power is provided to adjust the inclination to the left/right, and is formed to maintain the posture while generating driving power of the vehicle body frame A ground- and wall-travelable multi-purpose vehicle that includes a body-driven wind regulator.
KR1020200169501A 2020-12-07 2020-12-07 Multipurpose vehicle capable of driving on the ground and walls KR1024864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501A KR102486418B1 (en) 2020-12-07 2020-12-07 Multipurpose vehicle capable of driving on the ground and wal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501A KR102486418B1 (en) 2020-12-07 2020-12-07 Multipurpose vehicle capable of driving on the ground and wal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418A true KR20220080418A (en) 2022-06-14
KR102486418B1 KR102486418B1 (en) 2023-01-06

Family

ID=81980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501A KR102486418B1 (en) 2020-12-07 2020-12-07 Multipurpose vehicle capable of driving on the ground and wal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418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2642U (en) * 1992-03-10 1993-10-05 株式会社大林組 Wall moving device
JP2017061298A (en) * 2015-09-25 2017-03-30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Flight device
KR101795677B1 (en) * 2016-06-20 2017-11-08 주식회사 케이엠씨로보틱스 Hybrid drone having common frame
KR20180012136A (en) * 2016-07-26 2018-02-05 김양수 Unmanned aerial vehicle for facilities examination
JP2020006808A (en) * 2018-07-09 2020-01-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Flight work body
KR20200043991A (en) * 2017-08-28 2020-04-28 사우디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 Thruster-based movement for seated drones
JP2020079069A (en) * 2018-11-14 2020-05-28 オリエンタル白石株式会社 Wall surface mobile robo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2642U (en) * 1992-03-10 1993-10-05 株式会社大林組 Wall moving device
JP2017061298A (en) * 2015-09-25 2017-03-30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Flight device
KR101795677B1 (en) * 2016-06-20 2017-11-08 주식회사 케이엠씨로보틱스 Hybrid drone having common frame
KR20180012136A (en) * 2016-07-26 2018-02-05 김양수 Unmanned aerial vehicle for facilities examination
KR20200043991A (en) * 2017-08-28 2020-04-28 사우디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 Thruster-based movement for seated drones
JP2020006808A (en) * 2018-07-09 2020-01-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Flight work body
JP2020079069A (en) * 2018-11-14 2020-05-28 オリエンタル白石株式会社 Wall surface mobile rob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418B1 (en)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0065B2 (en) Mobile robot
WO2021093498A1 (en) Omnidirectional movement chassis
FI125426B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enabling rotation of a vehicle bogie or roller axle and chassis
WO2020124592A1 (en) Vehicle and lifting and lowering device thereof
WO2018054006A1 (en) Traction mechanism, bogie assembly, and straddle-type monorail vehicle
WO2018054004A1 (en) Traction mechanism, bogie assembly, and straddle-type monorail vehicle
KR20220080418A (en) Multipurpose vehicle capable of driving on the ground and walls
CN108515508B (en) Two-wheeled robot
JP7252371B2 (en) Differential drive and automatic guided vehicle
CN112572088B (en) Wheel tread adjustable all-wheel steering robot chassis
CN212828674U (en) Chassis device
CN210591277U (en) Linkage, motion chassis and robot
CN210083382U (en) Tracked vehicle chassis and tracked vehicle with same
JP6427709B1 (en) Omnidirectional mobile trolley
CN207156870U (en) A kind of multi link independent suspension chassis for heavily loaded AGV
CN219773557U (en) Locking driving structure and building structure
CN215622363U (en) Installation base and robot device
CN211592138U (en) Suspension mechanism for chassis of unmanned test trolley
JP2003291668A (en) Work vehicle
JP5694403B2 (en) Rice transplanter
CN220242956U (en) Mobile chassis and robot
CN220332443U (en) Mobile chassis
US11731473B2 (en) Suspension device and traveling device
JP7437522B2 (en) robot vehicle
JP7161754B2 (en) mobile run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