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0301A - Crusher of sea waste - Google Patents

Crusher of sea was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0301A
KR20220080301A KR1020200169264A KR20200169264A KR20220080301A KR 20220080301 A KR20220080301 A KR 20220080301A KR 1020200169264 A KR1020200169264 A KR 1020200169264A KR 20200169264 A KR20200169264 A KR 20200169264A KR 20220080301 A KR20220080301 A KR 20220080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rushing
marine debris
combustible
ma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2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성기
Original Assignee
중앙이엠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이엠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앙이엠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9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0301A/en
Publication of KR20220080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3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02C4/0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with co-operating corrugated or toothed crush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286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는 해양쓰레기를 고형연료화시키기 위해 수거된 해양쓰레기를 불연성 해양쓰레기와 가연성 해양쓰레기로 분류하는 선별장치와 상기 선별장치를 통해 분류되어 집하된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운반하는 운반장치 및 상기 운반장치를 통해 운반되는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파쇄시키는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를 구비하는 해양쓰레기 전처리시스템에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는 상기 선별장치에 인접하도록 상기 운반장치와 상기 선별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유닛; 상기 프레임유닛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운반장치를 통해 운반되는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파쇄시키는 파쇄유닛; 상기 프레임유닛의 하부에서 상기 파쇄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파쇄유닛에 의해 파쇄된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수집하여 고형연료화장치로 이송시키기는 이송유닛; 및 상기 프레임유닛의 상부에서 상기 파쇄유닛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운반장치를 통해 상기 파쇄유닛의 내부로 공급되는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가압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하는 해양쓰레기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rushing marine debris, a sorting device for classifying the collected marine debris into incombustible marine debris and combustible marine debris to convert the marine debris into solid fuel, and a transport device for transporting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sorted and collected through the sorting device and a marine debris shredding device for crushing combustible marine debris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port device, wherein the marine debris shredding device is adjacent to the sorting device and a frame disposed between the transport device and the sorting device unit; a crushing unit installed above the frame unit to crush combustible marine debris transported through the conveying device; a transfer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crushing unit at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unit to collect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crushed by the crushing unit and transport it to the solid fuel conversion device; and a pressurizing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rushing unit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unit to pressurize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rushing unit through the transport device.

Description

해양쓰레기 파쇄장치{Crusher of sea waste}Crusher of sea waste

본 발명은 해양쓰레기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양쓰레기를 불연성 해양쓰레기와 가연성 해양쓰레기로 분류하여 선별하고, 선별된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고형 연료로 성형하기 전에 해양쓰레기 전처리시스템의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로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파쇄할 때에 파쇄유닛의 파쇄부의 파쇄드럼이 단일의 1개의 축으로 형성되고, 1개의 축만으로 구동되는 파쇄드럼에 파쇄팁이 W자 패턴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출부로 유입된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파쇄드럼의 중앙으로 자동으로 이동시켜 회전축에 감기는 현상을 방지하여 공정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해양쓰레기 파쇄장치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고, 원스탑 서비스를 통해 해양쓰레기 전처리시스템의 운영효율을 증대시키고, 관리비용을 감소할 수 있는 해양쓰레기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rushing marine debris, and more particularly, to classify and sort marine debris into non-combustible marine debris and combustible marine debris, and to form the selected combustible marine debris into solid fuel. When crushing combustible marine debris with a crushing device, the crushing drum of the crushing unit of the crushing unit is formed with a single shaft, and the crushing tip is formed in a W-shaped pattern on the crushing drum driven only by one shaft, Maximizes process efficiency by automatically moving combustible marine debris to the center of the shredding drum and preventing it from being wound on the rotating shaft, maintaining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the marine debris shredding device, and operating efficiency of the marine debris pretreatment system through one-stop service It relates to a marine debris shredding device that can increase and reduce management costs.

일반적으로 해양 쓰레기는 그 성분에 따라 바다 속으로 퇴적되거나 해수 표면에 떠 있기도 한다. 즉, 구체적으로 해양 쓰레기는 그 성분에 따라 바다 속으로 퇴적되거나 해수 표면에 떠 있기도 한다. In general, marine debris is deposited into the sea or floats on the surface of seawater depending on its composition. That is, specifically, marine debris may be deposited into the sea or float on the surface of seawater depending on its composition.

특히나 대부분의 해양쓰레기들은 떠다니면서 여기저기로 이동하기도 하고 분해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In particular, most of the marine debris is floating, moving from place to place, and taking a long time to decompose, continuously affecting the marine ecosystem.

이러한 해양쓰레기는 육상에서 발생하는 육상기인 해양쓰레기, 해상에서 발생하는 해상기인 해상쓰레기 등이 있다.Such marine debris includes, for example, land-based marine debris generated on land, and marine debris generated at sea.

육상기인, 해상기인 및 어업활동기인으로 발생되는 국내 연근해 해양쓰레기는 연안환경파괴, 해양생태계 피해 및 해상안전 등의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연안해역의 임해공업단지의 확대와 도시화, 그리고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염원의 배출증가로 인한 해상 부유쓰레기, 해저면의 침적쓰레기, 오염퇴적물 등으로 해양자체의 정화능력을 넘어서는 심각한 상태에 도달하게 되었다.Domestic offshore marine debris generated by land-based, maritime-based, and fishing activity causes problems such as destruction of the coastal environment, damage to marine ecosystems, and maritime safety. Due to the expansion and urbanization of coastal industrial complexes in the coastal waters, and the increase in the emission of aspirations due to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marine floating garbage, sedimentary garbage on the seabed, and polluted sediments have reached a serious state beyond the purification capacity of the ocean itself. .

구체적으로 육상기인 해양쓰레기는 육상, 해안이나 해양레저시설에서 발생한 폐기물 또는 쓰레기로서, 폭우나 홍수 시에 대량으로 강, 하천 또는 도시 하수시설을 통해 바다로 유입된다.Specifically, land-based marine waste is waste or garbage generated on land, the coast, or marine leisure facilities, and flows into the sea in large quantities through rivers, rivers, or urban sewage facilities during heavy rains or floods.

또한, 해상기인 해상쓰레기는 가두리양식장 또는 선박의 운항이나 어업행위 도중에 바다로 투기되는 쓰레기로서, 플라스틱 로프, 어망, 플라스틱 부자 등이 많은 양을 차지한다.In addition, marine garbage, which is a marine aircraft, is garbage dumped into the sea during the operation or fishing of a cage farm or a ship, and plastic ropes, fishing nets, plastic floats, and the like account for a large amount.

이러한 해양쓰레기는 플라스틱, 비닐, 금속, 나무, 고무 종이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해양쓰레기 가운데 해양생태계에 가장 큰 악영향을 미치는 플라스틱의 경우, 연간 생산량(1억 9천만톤)의 30%에 해당 하는 5700만톤이 해양에 유입되거나 투기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유해물질 대항 쓰레기는 해양배출이 전면 금지되고 있으며, 선박내 쓰레기는 보관후 양륙하여 처리하도록 하고 있다.Such marine debris is very diverse, such as plastic, vinyl, metal, wood, rubber paper, and the like. Among these marine debris, it is estimated that 57 million tons, or 30% of the annual production (190 million tons) of plastic, which has the greatest adverse impact on the marine ecosystem, flows into the ocean or is dumped. However, the discharge of waste against hazardous substances to the sea is completely prohibited, and waste in ships is stored and disembarked to be disposed of.

최근에는 해양오염 발생원을 중심으로 한 실태조사 및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되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various studies on the actual condition of marine pollution sources and their effects on the marine ecosystem are being conducted.

이에 대한 연구와 노력은 해양폐기물의 조사, 예방, 수거, 처리 및 재활용에 대한 실용화 장비의 개발과 도입의 다각적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민원과 관련하여 수거와 처리가 골치덩어리로 치부되고 있으며, 한편 에너지의 재활용의 인식의 보편적 보급으로 인해, 해양쓰레기의 재활용에 대하여도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Research and efforts on this are multifaceted efforts to develop and introduce practical equipment for investigation, prevention, collection, treatment and recycling of marine waste.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universal spread of the awareness of recycling of energy, many efforts are being made for recycling of marine debris.

해양쓰레기는 육상쓰레기에 비하여 쓰레기의 조성이 간단하고, 자원화 가능한 물질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발열량이 높고, 부패하거나 악취의 가능성이 낮아 조속한 처리를 요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Compared to land waste, marine waste has advantages in that it is simple in composition, contains a large amount of recyclable materials, has a high calorific value, and does not require prompt treatment due to its low possibility of decay or odor.

반면, 쓰레기간의 함수율 변동이 심하며, 염분에 의한 처리설비의 부식위험성이 높고 절단과 파쇄를 요하는 폐기물이 많으며 발생위치가 분산되어 수집이나 집하체계의 구성이 용이하지 않다.On the other hand, the moisture content between wastes fluctuates greatly, the risk of corrosion of treatment facilities due to salt is high, and there are many wastes that require cutting and crushing, and the location of generation is dispersed, making it difficult to collect or organize the collection system.

이러한 해양쓰레기의 특성을 고려하고, 해양쓰레기의 안정적인 처리를 위해 해양쓰레기가 담고 있는 염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해양쓰레기 전처리시스템의 개발이 선행되었다.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of marine debris, the development of a marine debris pretreatment system that removes salt and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marine debris was preceded for stable treatment of marine debris.

수거된 해양쓰레기의 처리에 대한 기술적 접근은 해수가 첨가된 해양쓰레기의 안정화에서 시작하여 해양쓰레기의 특성상 자원화에까지 이어질 수 있어야 한다.A technical approach to the treatment of the collected marine debris should start with the stabilization of the marine debris added with seawater and lead to the recycling of the marine debri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ine debris.

현재, 염분에 의한 처리설비의 부식을 방지하고, 조대성폐기물(그물, 로프 등)의 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해양폐기물의 자원화를 극대화하여 처리설비에 의한 공해 물질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세정기, 선별기, 절단기, 파쇄기, 탈수기, 건조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처리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으나, 보통은 연안에 적체된 해양쓰레기가 수집되는 장소와 거리가 있어, 육로를 통해 2중의 운반과정을 거쳐 처리되기에 여전히 에너지의 효율화의 문제점이 잔존한다.Currently, scrubbers, sorters, and cutters are used to prevent corrosion of treatment facilities due to salt, to enable the treatment of coarse wastes (nets, ropes, etc.) Although a pre-treatment system consisting of , shredder, dehydrator, and dryer is used, in general, there is a distance from the place where marine debris accumulated on the coast is collected. The problem remains.

한편, 해양쓰레기의 이송차량에 의한 생활환경 파괴와 같은 각종 환경문제의 유발은 주민들로 하여금 환경시설의 설치를 반대하게 만들었으며, 그 영향이 해양폐기물의 처리에까지 미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ccurrence of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destruction of the living environment due to the transport of marine debris has made the residents object to the installation of environmental facilities, and the effect is even affecting the disposal of marine waste.

이에 따라, 종래 해양쓰레기는 가연성 해양쓰레기와 불연성 해양쓰레기로 분류 및 선별하고, 분류하여 선별된 불연성 해양쓰레기는 그 종류별로 선별-파쇄 등의 과정을 통해 법률 조치 의거 별도로 환경 친화적으로 처리한다. 이러한, 불연성 매립 쓰레기는 자원화 처리에서 다루지 않고, 대신 친환경 처리 시설로 보내어지게 된다. Accordingly, conventional marine waste is classified and sorted into combustible marine waste and non-combustible marine waste, and the classified and sorted non-combustible marine waste is separately treated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nner in accordance with legal measures through a process such as sorting and shredding for each type. Such non-combustible landfill waste is not treated in the recycling process, but instead sent to an eco-friendly treatment facility.

즉, 주로 해양환경 오염의 주원인이 되고 있는 플라스틱 중심의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연료화 가능토록하기 위해 해양쓰레기 전처리시설에서 해양쓰레기를 가연성 해양쓰레기와 불연성 해양쓰레기로 선별하고, 선별된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고형연료화장치로 이송시켜 고형연료화를 통해 자원으로 재활용한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make it possible to convert combustible marine waste centered on plastics, which is the main cause of marine environmental pollution, into fuel, the marine waste pretreatment facility separates marine waste into combustible marine waste and non-combustible marine waste, and converts the selected combustible marine waste into solid fuel. It is transported to the device and recycled as a resource through solid fuel conversion.

일반적으로 해양쓰레기 전처리시스템은 해양쓰레기를 고형연료화시키기 위해 수거된 해양쓰레기(5)를 불연성 해양쓰레기와 가연성 해양쓰레기로 분류하는 선별장치와 선별장치를 통해 분류되어 적층 및 집하된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운반하는 운반장치 및 운반장치를 통해 운반되는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파쇄시키는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를 구비하고, 해양쓰레기 전처리시스템에 인접하게 고형연료화장치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해양쓰레기 파쇄장치, 선별장치, 운반장치를 최적화로 배치하여 해양쓰레기 전처리시스템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원스탑(One-stop) 시스템 운영을 통해 공정간소화로 해양쓰레기 전처리 비용과 시간을 감소하여 전체적인 관리비용을 감소하며,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하여 설치시간과 비용을 감소하고, 해양쓰레기의 재활용 효율을 극대화하여 자원 재활용을 통해 환경을 보호하고, 고형화연료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운반장치는 크레인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선별장치를 통해 분류 및 선별되어 적재된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로 운반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를 통해 파쇄된 가연성 해양쓰레기는 건조장치 등을 거쳐 고형연료화장치로 이송되어 고형연료로 성형되어 자원이 재활용된다.In general, the marine debris pretreatment system transports the stacked and collected combustible marine debris through a sorting device and a sorting device that classifies the collected marine debris (5) into incombustible marine debris and combustible marine debris to convert marine debris into solid fuel. and a marine debris crushing device for crushing combustible marine debris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port device, and a solid fuel conversion devic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marine debris pretreatment system. Accordingly, the marine debris pretreatment system is miniaturized by optimally arranging the marine debris crusher, sorting device, and transport device, and overall management by reducing the cost and time for the pretreatment of marine debris through process simplification through the operation of a one-stop system It is possible to reduce costs and maximize space utilization to reduce installation time and costs, to maximize the recycling efficiency of marine debris to protect the environment through resource recycling, and to improve solidified fuel productivity. In addition, the transport device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a crane, and transports the loaded combustible marine debris by sorting and sorting through the sorting device to the marine debris shredding device.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crushed by the marine debris crusher is transported to the solid fuel conversion device through a drying device, etc., and is molded into solid fuel, and resources are recycled.

일반적으로, 해양쓰레기는 해양쓰레기 전처리시스템에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선별장치(2)를 통해 가연성 해양쓰레기와 불연성 해양쓰레기로 분류 및 선별되고, 선별된 가연성 해양쓰레기(5)는 도 2와 같은 해양쓰레기 파쇄장치(3)를 통해 파쇄되고, 불연성 해양쓰레기는 별도로 수거되어 환경 친화적으로 처리된다. In general, marine debris is classified and sorted into combustible marine debris and non-combustible marine debris through a sorting device 2 as shown in FIG. 1 in the marine debris pretreatment system, and the sorted combustible marine debris 5 is It is crushed through the same marine debris shredding device 3, and non-combustible marine debris is separately collected and treated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nner.

종래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는 공기흡입식 선별장치를 통해 선별공정에서 먼지 및 불연물이 혼합되어 2차 오염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고형연료화를 위해 추가 공정이 요구됨에 따라 공정효율이 감소하고, 자원화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며, 작업자의 불편을 초래하고, 유지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marine debris crusher, secondary pollution is generated by mixing dust and incombustibles in the sorting process through an air suction sorting devic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ime and time was consumed,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operator, and increasing the maintenance cost.

또한, 종래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는 도 3과 같이 2축 롤러(4) 형식으로 구성되어 그물 등 해양쓰레기가 양쪽으로 밀려나가 롤러(4)의 작동부에 감겨서 파쇄장치가 멈추거나 정지하여 파쇄효율이 감소하여 해양쓰레기 전처리 공정효율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arine debris shredding device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wo-axis roller 4 as shown in FIG. 3 , and the marine debris such as a net is pushed out on both sides and wound around the operating part of the roller 4 to stop or stop the crushing efficiency. Due to this decreas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of the pretreatment process for marine debris was reduced.

더욱이, 종래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는 2축 드럼 형식으로 구성되어 해양쓰레기가 양쪽으로 밀려나감에 따라 장비의 손상이나 파손이 증가하여 유지보수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고, 작업자의 불편을 초래하며,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며, 고형화 연료 생산 효율이 감소하고, 장비의 신뢰성과 안전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Moreover, the conventional marine debris shredding device is configured in a two-axis drum type, and as the marine debris is pushed out on both sides, damage or damage to the equipment increases, increasing maintenance time and cost, causing inconvenience to workers, and safety accidents. There were problems in that the solidified fuel production efficiency was reduced, and the reliability and safety of the equipment was reduced.

게다가, 종래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는 파쇄장치와 선별장치가 일원화되지 못하고, 각각 분리되어 있으며, 해양쓰레기 전처리시스템에서 선별장치, 운반장치, 파쇄장치의 배치와 구조가 최적화가 되지 못함에 따라 소형화를 도모할 수 없어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이 감소하고, 공간활용도가 감소하여 설치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고, 관리비용이 증가하고, 원스탑(One-stop) 서비스를 도모할 수 없어 운영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marine debris shredding device, the crushing device and the sorting device are not unified, the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arrangement and structure of the sorting device, the transporting device, and the crushing device in the marine debris pretreatment system are not optimized. It is not possible to do this, which reduces manufacturing cost and manufacturing time, reduces space utilization, consumes a lot of money and time for installation, increases management cost, and reduces operational efficiency because one-stop service cannot be achieved. There was a problem.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826971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1826971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303610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1303610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826972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1826972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4-004728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47286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0-2067636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206763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양쓰레기를 불연성 해양쓰레기와 가연성 해양쓰레기로 분류하여 선별하고, 선별된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고형 연료로 성형하기 전에 해양쓰레기 전처리시스템의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로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파쇄할 때에 파쇄유닛의 파쇄부의 파쇄드럼이 단일의 1개의 축으로 형성되고, 1개의 축만으로 구동되는 파쇄드럼에 파쇄팁이 W자 패턴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출부로 유입된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파쇄드럼의 중앙으로 자동으로 이동시켜 회전축에 감기는 현상을 방지하여 해양쓰레기의 전처리시스템의 전체 공정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장비의 손상이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여 유지비용과 시간을 감소하며, 작업자의 안전과 편의를 도모하고, 파쇄장치, 선별장치, 운반장치를 최적화로 배치하여 해양쓰레기 전처리시스템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원스탑 시스템 운영을 통해 공정간소화로 해양쓰레기 전처리 비용과 시간을 감소하여 전체적인 관리비용을 감소하며,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하여 설치시간과 비용을 감소하고, 하며, 해양쓰레기 파쇄장치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고, 해양쓰레기의 재활용 효율을 극대화하여 자원 재활용을 통해 환경을 보호하고, 고형화연료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lassify and sort marine debris into non-combustible marine debris and combustible marine debris, and a marine debris pretreatment system before forming the selected combustible marine debris into solid fuel When shredding combustible marine debris with the marine debris shredding device of Maximizes the overall process efficiency of the marine debris pretreatment system by automatically moving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introduced into the section to the center of the crushing drum to prevent it from being wound around the rotating shaft. Reduces time, promotes safety and convenience for workers, optimizes shredding, sorting, and transport devices to reduce the size of the marine debris pretreatment system, and simplifies the process through one-stop system operation. Reduces overall management cost by reducing It is to provide a marine debris shredding device that can protect and improve the productivity of solidified fuel.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는 해양쓰레기를 고형연료화시키기 위해 수거된 해양쓰레기를 불연성 해양쓰레기와 가연성 해양쓰레기로 분류하는 선별장치와 상기 선별장치를 통해 분류되어 적층된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운반하는 운반장치 및 상기 운반장치를 통해 운반되는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파쇄시키는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를 구비하는 해양쓰레기 전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는 상기 선별장치에 인접하도록 상기 운반장치와 상기 선별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유닛; 상기 프레임유닛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운반장치를 통해 운반되는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파쇄시키는 파쇄유닛; 상기 프레임유닛의 하부에서 상기 파쇄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파쇄유닛에 의해 파쇄된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수집하여 고형연료화장치로 이송시키기는 이송유닛; 및 상기 프레임유닛의 상부에서 상기 파쇄유닛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운반장치를 통해 상기 파쇄유닛의 내부로 공급되는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가압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crushing marine debr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rting device for classifying marine debris collected to convert marine debris into non-combustible marine debris and combustible marine debris and sorting and stacking through the sorting device. A marine debris pretreatment system comprising: a transport device for transporting combustible marine debris; and a marine waste shredding device for crushing combustible marine debris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port device, wherein the marine debris shredding device is configured to be adjacent to the sorting device a frame unit disposed between the conveying device and the sorting device; a crushing unit installed above the frame unit to crush combustible marine debris transported through the conveying device; a transfer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crushing unit at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unit to collect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crushed by the crushing unit and transport it to the solid fuel conversion device; and a pressurizing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rushing unit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unit to pressurize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rushing unit through the transport devic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는 상기 파쇄유닛, 상기 이송유닛, 및 상기 가압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유닛은 일단이 지면 또는 베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이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상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crushing marine debr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crushing marine debris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rushing unit, the transfer unit, and the pressurization unit;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having one end fixed to the ground or the base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base frames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의 상기 파쇄유닛은 상기 프레임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배치되는 파쇄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가연성 해양쓰레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개방 형성되는 유입부; 상기 파쇄부를 통해 파쇄된 가연성 해양쓰레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에 상기 유입부와 마주하면서 대응하도록 개방 형성되는 배출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유입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쇄부는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의 높이방향 일부에 회전가능하도록 폭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삽입 설치되는 파쇄드럼; 상기 파쇄드럼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파쇄팁; 및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제어유닛의 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쇄팁은 상기 파쇄드럼의 수평방향을 따라 W자 패턴 형상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되게 배열될 수 있다.Further,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rine debris cru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rushing unit of the marine debris crushing apparatus includes a housing part disposed on the frame unit and a crushing part disposed in the housing part, wherein the housing The unit may include: an inlet that is openly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so that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is introduced; a discharge unit that is openly formed to face the inlet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so that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crushed through the crushing unit is discharged; and a cover part pivotably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part and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part so as to be adjacent to the inlet part in order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inlet part, wherein the crushing part is between the inlet part and the outlet part. a rotating shaft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be rotatable in a part of the height direction; a crushing drum inserted and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shaft; a crushing tip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rushing drum; and a driving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rotation shaft and driven by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wherein the crushing tip is a W-shaped pattern shape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rushing drum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can be arranged repeatedly.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의 상기 이송유닛은 일단이 지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부보다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배출부에 인접하도록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상에서 상기 파쇄유닛의 일측의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수평프레임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어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파쇄된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수집하여 상기 고형연료화장치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를 통해 작동하는 컨베이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crushing marine debr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transfer unit of the apparatus for crushing marine debris is fixed to the ground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below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 parts and is adjacent to the discharge part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to do so;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crushing unit on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nd a conveyor unit arranged to extend horizontally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and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o collect crushed combustible marine debr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and transport it to the solid fuel converter; may includ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의 상기 가압유닛은 일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서포트프레임; 상기 복수의 서포트프레임상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액츄에이터부; 및 상기 액츄에이터부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부의 내부로 반복적으로 인입 및 인출하면서 상기 유입부로 유입되는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상기 파쇄부로 가압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rine debris cru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izing unit of the marine debris crushing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having one e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a guide frame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n actuator unit installed on the guide frame and reciprocat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a pressing unit coupled to the tip of the actuator unit to pressurize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flowing into the inlet to the crushing unit while repeatedly drawing in and withdrawing from the inside of the inlet unit.

본 발명에 의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는 해양쓰레기를 불연성 해양쓰레기와 가연성 해양쓰레기로 분류하여 선별하고, 선별된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고형 연료로 성형하기 전에 해양쓰레기 전처리시스템의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로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파쇄할 때에 파쇄유닛의 파쇄부의 파쇄드럼이 단일의 1개의 축으로 형성되고, 1개의 축만으로 구동되는 파쇄드럼에 파쇄팁이 W자 패턴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출부로 유입된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파쇄드럼의 중앙으로 자동으로 이동시켜 회전축에 감기는 현상을 방지하여 해양쓰레기의 전처리시스템의 전체 공정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arine debris shred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and sorts marine debris into non-combustible marine debris and combustible marine debris, and uses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as a marine debris crusher of the marine debris pretreatment system before forming the selected combustible marine debris into solid fuel. When crushing, the crushing drum of the crushing unit of the crushing unit is formed with a single shaft, and the crushing tip is formed in a W-shaped pattern on the crushing drum driven only by one axis, and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flowing into the discharge part is removed from the crushing drum. It is automatically moved to the center of the to prevent winding on the rotating shaft, which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overall process efficiency of the marine debris pretreatment system.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는 1개의 축만으로 구동되는 파쇄드럼에 파쇄팁이 W자 패턴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연성 해양쓰레기가 회전축에 감기는 현상을 방지하여 장비의 손상이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여 유지비용과 시간을 감소하며, 해양쓰레기 파쇄장치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arine debris shred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rushing tip formed in a W-shaped pattern on the crushing drum driven by only one shaft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combustible marine debris being wound on the rotating shaft, thereby preventing damage or damage to the equipment in advance.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maintenance cost and time by preventing it, and maintaining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the marine debris shredding device.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는 1개의 축만으로 구동되는 파쇄드럼에 파쇄팁이 W자 패턴 형상으로 형성되고 최적화된 전처리 시스템의 배치를 통해 작업자의 동선을 최소화하여 안전사고로부터 작업자의 안전하게 보호하고, 고장이나 수리 및 작업시에 작업자의 불필요한 작업을 사전에 차단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the marine debris cru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rushing tip formed in a W-shaped pattern shape on a crushing drum driven only by one axis, and minimizes the movement of the operator through the arrangement of an optimized pre-treatment system to ensure the safety of the operator from safety accidents It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by blocking the unnecessary work of the operator in advance in case of malfunction or repair or work.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는 해양쓰레기 파쇄장치, 선별장치, 운반장치를 최적화로 배치하여 해양쓰레기 전처리시스템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원스탑(One-stop) 시스템 운영을 통해 공정간소화로 해양쓰레기 전처리 비용과 시간을 감소하여 전체적인 관리비용을 감소하며,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하여 설치시간과 비용을 감소하고, 해양쓰레기의 재활용 효율을 극대화하여 자원 재활용을 통해 환경을 보호하고, 고형화연료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arine debris shred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timizes the marine debris crushing device, sorting device, and transport device to promote miniaturization of the marine debris pretreatment system, and to simplify the process through one-stop system operation. By reducing pre-treatment cost and time, overall management cost is reduced, installation time and cost are reduced by maximizing space utilization, can have an effect.

도 1은 종래 해양쓰레기가 선별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종래 해양쓰레기 파쇄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종래 해양쓰레기 파쇄장치에 설치된 파쇄롤러의 형상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의 파쇄유닛의 파쇄부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파쇄드럼의 파쇄팀의 W자 형상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1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ventional marine debris sorting device.
2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ventional marine debris crusher.
3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a shape of a crushing roller installed in a conventional marine debris crushing apparatus.
4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pparatus for crushing marine debri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rushing unit of a crushing unit of an apparatus for crushing marine debri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the W-shape of the crushing team of the crushing drum of FIG. 5 .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the marine debris cru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nd,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evic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izes and relativ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thu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의 파쇄유닛의 파쇄부의 개념도를 나타내고, 도 6은 도 5의 파쇄드럼의 파쇄팀의 W자 형상의 모식도를 나타낸다.4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pparatus for crushing marine debri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rushing unit of a crushing unit of a marine debris cru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W-shape of the crushing team of the crushing drum of FIG.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수평방향"이란 동일부재에서 가로방향, 즉 도 4에서 X축 방향을 의미하고, "폭방향"이란 수평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동일부재에서 세로방향, 즉 도 4에서 Y축 방향을 의미하며, "높이방향"이란 수평방향과 폭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동일부재에서 상하방향, 즉 도 4에서 Z축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방(상부)이란 "높이방향"에서 위쪽 방향, 즉 도 4에서 Z축의 위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방(하부)이란 "높이방향"에서 아래쪽 방향, 즉 도 4에서 Z축 아래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내측(내부)"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 가까운 쪽 즉, 도 4에서 해당 구성부재의 안쪽을 의미하고 "외측(외부)"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서 먼쪽 즉 도 4에서 해당 구성부재의 바깥쪽을 의미한다. "일측"과 "타측"이란 동일부재에서 수평방향으로 양쪽의 어느 한쪽 선단을 의미한다. 즉, "일측"이란 도 4에서 수평방향 오른쪽을 선단을 의미하고, "타측"이란 수평방향 왼쪽 선단을 의미한다. "일단"과 "타단"이란 동일부재에서 높이방향으로 양쪽의 어느 한쪽 선단을 의미한다. 즉, "일단"이란 도 4에서 높이방향 위쪽 선단을 의미하고, "타단"이란 높이방향 아래쪽 선단을 의미한다. 외주면이란 원통 형상의 외측 표면을 의미한다. "원주방향"이란 단면이 원형상으로 형성된 부재에서 원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한다.Definitions of terms used below are as follows. "Horizontal direction" means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ame member, that is, the X-axis direction in FIG. 4, and "width direction" means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ame member while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Y-axis direction in FIG. 4, "Height direction" means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ame member while being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that is, the Z-axis direction in FIG. 4 . In addition, upper (upper) means an upward direction in "height direction", that is, a direction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Z-axis in FIG. means the direction it is going. In addition, "inside (inside)" means the side relatively close to the center of the same member, that is, the inside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n FIG. It means the outside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fer to either end of either side of the same memb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one side" means the front end of the right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FIG. 4, and "the other side" means the left end of the horizontal direction. “One end” and “the other end” refer to either end of the same member in the height direction. That is, "one end" means the upper end in the height direction in FIG. 4, and "the other end" means the lower end in the height direc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means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shape. "Circumferential direction" means a direction in which a member rotates along a circumferential surface in a member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10)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10)는 프레임유닛(100), 파쇄유닛(200), 이송유닛(300), 가압유닛(400), 및/또는 제어유닛(500)을 포함한다.A marine debris crush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 As shown in FIG. 4 , the marine debris crush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unit 100 , a crushing unit 200 , a transport unit 300 , a pressurization unit 400 , and/or a control unit 500 . ) is included.

프레임유닛(100)은 선별장치에 인접하도록 운반장치와 선별장치 사이에 배치된다. 즉, 프레임유닛(100)은 운반장치와 선별장치 사이에서 선별장치에 더욱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선별장치를 통해 분류 및 선별되어 적재된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운반장치를 통해 후술하는 파쇄유닛으로 투입이 용이하여 작업효율과 작업시간을 감소하고, 해양쓰레기 전처리시스템의 소형화를 도모하여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유닛(100)은 해양쓰레기 파쇄장치의 외형을 형성하고, 파쇄유닛, 이송유닛, 가압유닛, 및 제어유닛이 설치되고 가연성 해양쓰레기가 파쇄되는 작업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이들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frame unit 100 is disposed between the conveying device and the sorting device so as to be adjacent to the sorting device. That is, the frame unit 100 is installed between the transport device and the sorting device so as to be closer to the sorting device, and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that is sorted and sorted through the sorting device and loaded into the shredding unit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transport device is easy.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by reducing the working efficiency and working time, and by promoting the miniaturization of the marine debris pretreatment system. In addition, the frame unit 100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marine debris crusher, and provides a working space in which the crushing unit, the transfer unit, the pressuriz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are installed, and in which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is crushed, and at the same time supporting them. carry out

파쇄유닛(200)은 프레임유닛의 상부에 설치되어 운반장치를 통해 운반되는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파쇄시킨다.The crushing unit 20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unit to crush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transported through the transport device.

이송유닛(300)은 프레임유닛의 하부에서 파쇄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파쇄유닛에 의해 파쇄된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수집하여 고형연료화장치로 이송시키기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ransfer unit 3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rushing unit at the lower part of the frame unit to collect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crushed by the crushing unit and transfer it to the solid fuel converter.

가압유닛(400)은 프레임유닛의 상부에서 파쇄유닛의 일측에 배치되어 운반장치를 통해 파쇄유닛의 내부로 공급되는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가압하여 가연성 해양쓰레기가 파쇄드럼의 중앙으로 이동하도록 1차적으로 보조하여 가연성 해양쓰레기의 밀림을 방지하여 장비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pressurizing unit 40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rushing unit at the top of the frame unit and pressurizes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rushing unit through a transport device to primarily assist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to move to the center of the crushing drum.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ushing of combustible marine debris to prevent damage or damage to equipment and maximize efficiency.

제어유닛(500)은 파쇄유닛, 이송유닛, 및 가압유닛의 작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500)은 파쇄유닛(200), 이송유닛(300), 및 가압유닛(400)의 작동시간, 작동순서를 설정하고 이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rushing unit, the transfer unit, and the pressurization unit.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500 sets the operation time and operation sequence of the crushing unit 200 , the transfer unit 300 , and the pressurization unit 400 , and controls their operations.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10)의 프레임유닛(100)은 복수의 지지프레임(110)과 복수의 베이스프레임(12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 the frame unit 100 of the marine debris crush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110 and a plurality of base frames 120 .

복수의 지지프레임(110)은 일단이 지면 또는 베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이 높이방향(Z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복수개가 설치된다. 즉, 복수의 지지프레임은 운반장치와 선별장치 사이에서 선별장치에 더욱 인접하도록 수평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격하여 총 4개 이상이 지면 또는 해양쓰레기 전처리시스템의 베이스면의 상부에서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110 are installed so that one end is fixed to the ground or the base and the other end is formed to extend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That is,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r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and width directions between the transport device and the sorting device to be more adjacent to the sorting device, so that a total of four or more extend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ground or the top of the base surface of the marine debris pretreatment system. do.

복수의 베이스프레임(120)이 복수의 지지프레임상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복수의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파쇄유닛의 하우징부와 가압유닛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고 이들을 지지하기 위해 복수의 베이스프레임이 복수의 지지프레임상에 수평방향과 폭방향으로 연는 복수의 베이스프레임이 연장 형성된다.A plurality of base frames 120 are forme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That is, in order to secure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housing part of the crushing unit and the pressing unit on the upper part of the plurality of base frames, and to support them, a plurality of base frames are opened on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in the horizontal and width directions. extension is formed.

이러한 지지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은 각각 H형 파이프, 또는 사각 금속파이프 또는 금속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Each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base frame is formed in the form of an H-shaped pipe, a square metal pipe, or a metal round pipe.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10)의 이송유닛(300)은 복수의 수직프레임(310), 복수의 수평프레임(320), 및 컨베이어부(3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 the transport unit 300 of the marine debris crush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310 ,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320 , and a conveyor unit 330 . .

복수의 수직프레임(310)은 일단이 지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복수의 지지프레임부보다 하부에 위치하면서 배출부에 인접하도록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복수의 수직프레임은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파쇄된 가연성 해양쓰레기가 컨베이어부의 상부로 낙하할 수 있도록 복수의 수직프레임부의 타측이 배출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도 4에서 고형연료화장치로 수평방향으로 이격하여 총 4개 이상이 지면 또는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310 are formed to extend in the height direction so that one end is fixed to the ground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below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 parts and adjacent to the discharge part. That is, in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 units is disposed adjacent to the discharge unit so that the crushed combustible marine debr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can fall to the upper part of the conveyor unit. A total of four or more are spaced apart and formed to extend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ground or the upper part of the base part.

복수의 수평프레임(320)은 복수의 수직프레임상에서 파쇄유닛의 일측의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320 are form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crushing unit on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또한, 복수의 수직프레임과 복수의 수평프레임은 이송유닛의 외형을 형성하고, 컨베이어부가 설치되고 파쇄된 가연성 해양쓰레기가 고형화연료화장치로 이송되는 작업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컨베이어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nd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form the outer shape of the conveying unit, provide a working space in which a conveyor unit is installed and crushed combustible marine debris is transported to the solidification fuel conversion device, and at the same time support the conveyor unit. .

컨베이어부(330)는 복수의 수평프레임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어,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파쇄된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수집하여 고형연료화장치로 이송하기 위해 제어유닛의 제어를 통해 작동한다. 즉, 서보모터와 서보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되어 제어유닛의 제어를 통해 작동하는 서보모터에 의해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파쇄된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수집하여 고형연료화장치로 이송시킨다.The conveyor unit 330 is arrang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and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o collect the crushed combustible marine debr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and transfer it to the solid fuel conversion device. That is, it is composed of a servomotor and a conveyor belt rotating by the operation of the servomotor, and the crushed combustible marine debr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by the servomotor operating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is collected and transferred to the solid fuel converter. .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10)의 가압유닛(400)은 복수의 서포트프레임(410), 가이드프레임(420), 액츄에이터부(430), 및 가압부(4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 the pressing unit 400 of the marine debris shredd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410 , a guide frame 420 , an actuator unit 430 , and a pressing unit 440 . ) is included.

복수의 서포트프레임(410)은 일단이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410 are formed so that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and the other end extends in the height direction.

가이드프레임(420)은 복수의 서포트프레임상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guide frame 420 is forme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또한, 복수의 서포트프레임과 가이드프레임은 가압유닛의 외형을 형성하고, 액츄에이터부가 설치되고 가압부를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왕복 이동시켜 작동시키는 작업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액츄에이터부와 가압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nd guide frames form the outer shape of the pressing unit, and the actuator unit is installed and the pressing unit is moved back and for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provide a working space to operate it, and at the same time to support the actuator unit and the pressing unit. do.

액츄에이터부(430)는 가이드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어유닛의 제어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즉, 액츄에이터부(430)는 공압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어 제어유닛의 제어를 통해 수평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하도록 작동한다.The actuator unit 43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frame, and reciproc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at is, the actuator unit 430 is formed in the form of a pneumatic cylinder or a hydraulic cylinder and operates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가압부(440)는 액츄에이터부의 선단에 결합되어 유입부의 내부로 반복적으로 인입 및 인출하면서 하우징부의 유입부로 유입되는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파쇄부의 파쇄드럼의 파쇄팁으로 파쇄하기 전에 파쇄부로 이동하도록 가압한다.The pressing unit 440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actuator unit and pressurizes to move to the crushing unit before crushing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flowing into the inlet of the housing unit with the crushing tip of the crushing drum of the crushing unit while repeatedly drawing in and withdrawing from the inside of the inlet unit.

이처럼, 가압유닛에 의해 파쇄유닛의 내부로 공급되는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가압하여 가연성 해양쓰레기가 파쇄드럼의 중앙으로 이동하도록 1차적으로 보조하여 가연성 해양쓰레기가 회전축의 양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장비가 정지하거나 고장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여 유지비용과 유지시간을 감소하고, 공정효율을 향상하며, 장비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essure unit pressurizes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rushing unit and primarily assists the combustible marine litter to move to the center of the crushing drum, thereby preventing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from being pushed to both sides of the rotating shaft and stopping the equipment. It is possible to reduce maintenance cost and maintenance time, improve process efficiency, and maximize equipment safety and reliability by preventing failure or failure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는 1개의 축만으로 구동되는 파쇄드럼에 파쇄팁이 W자 패턴 형상으로 형성되고 최적화된 전처리 시스템의 배치를 통해 작업자의 동선을 최소화하여 안전사고로부터 작업자의 안전하게 보호하고, 고장이나 수리 및 작업시에 작업자의 불필요한 작업을 사전에 차단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극대화하고, 해양쓰레기 파쇄장치, 선별장치, 운반장치를 최적화로 배치하여 해양쓰레기 전처리시스템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원스탑(One-stop) 시스템 운영을 통해 공정간소화로 해양쓰레기 전처리 비용과 시간을 감소하여 전체적인 관리비용을 감소하며,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하여 설치시간과 비용을 감소하고, 해양쓰레기의 재활용 효율을 극대화하여 자원 재활용을 통해 환경을 보호하고, 고형화연료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rine debris shred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rushing tip formed in a W-shaped pattern shape on a crushing drum driven only by one axis, and minimizes the movement of the operator through the arrangement of an optimized pre-treatment system to ensure the safety of the operator from safety accidents In case of malfunction or repair or work, unnecessary work is blocked in advance to maximize operator convenience, and the marine debris shredding device, sorting device, and transport device are optimally arranged to reduce the size of the marine debris pretreatment system. Through one-stop system operation, process simplification reduces the cost and time for pre-treatment of marine debris, thereby reducing overall management costs, reducing installation time and costs by maximizing space utilization, and maximizing the recycling efficiency of marine debris.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environment and improve the productivity of solidified fuel through resource recycling.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10)의 파쇄유닛(200)은 프레임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우징부(210)와 하우징부에 배치되는 파쇄부(220)를 포함한다. 4, the crushing unit 200 of the marine debris crush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unit 210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unit and a crushing unit 220 disposed on the housing unit. do.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우징부는 파쇄장치의 외형을 형성하고 대략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ㄱ자 형태의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파쇄유닛의 하우징부(210)는 유입부(221), 배출부(222), 및 커버부(223)를 포함한다.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housing part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crushing device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hedral box having an open upper and lower portions.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 the housing 210 of the crushing unit includes an inlet 221 , an outlet 222 , and a cover 223 .

유입부(221)는 가연성 해양쓰레기가 유입되도록 하우징부의 상부에 개방 형성된다. 배출부(222)는 파쇄부를 통해 파쇄된 가연성 해양쓰레기가 배출되도록 하우징부의 하부에 유입부와 마주하면서 대응하도록 개방 형성된다. 커버부(223)는 하우징부의 상부에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해 유입부에 인접하도록 하우징부의 상부에 설치된다. 커버부에 의해 파쇄부를 통해 파쇄하거나 파쇄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파쇄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공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장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inlet 221 is ope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so that combustible marine debris flows in. The discharge unit 222 is formed open to face the inlet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so that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crushed through the crushing unit is discharged. The cover part 223 is installed rotatably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part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part so as to be adjacent to the inlet part in order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inlet part.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and prevent damage to equipment by shredding through the crushing part by the cover part or blocking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crushing part when the crushing part is not used.

파쇄부는 하우징부의 내측과 외측에 배치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파쇄유닛의 파쇄부(220)는 구동부(221), 회전축(222), 파쇄드럼(223), 및 파쇄팁(224)를 포함한다.The crushing part is disposed inside and outside the housing part.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 the crushing unit 220 of the crushing unit includes a driving unit 221 , a rotating shaft 222 , a crushing drum 223 , and a crushing tip 224 .

회전축(222)은 유입부와 배출부 사이의 높이방향 일부에 회전가능하도록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폭방향으로 연장 배치된다.The rotating shaft 222 is arrang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inside the housing unit so as to be rotatable in a height direction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파쇄드럼(223)은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회전축의 외주면에 삽입 설치된다. 즉, 파쇄드럼(223)은 회전축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교체나 유지보수를 위해 회전축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될 수 있다.The crushing drum 223 is inserted and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ng shaft. That is, the crushing drum 223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rotating shaft, and may be detachably inserted and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for replacement or maintenance.

파쇄팁(224)은 파쇄드럼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파쇄한다. The crushing tip 224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rushing drum to crush combustible marine debris.

구동부(221)는 회전축의 일측에 결합 설치되어 제어유닛의 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회전축을 회전시킨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동부(221)는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서보모터로 형성되어 그물이 감기는 경우에 자동으로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축과 파쇄드럼 및 파쇄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221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rotation shaft and is driven by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driving unit 221 is formed of a servo motor capable of rotating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and automatically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when the net is wound, so that the rotating shaft and the crushing drum and the crushing team damage can be prevented.

또한,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의 파쇄유닛의 파쇄부의 파쇄팁(224)은 파쇄드럼의 수평방향을 따라 W자 패턴 형상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되게 배열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5 to 6, the crushing tip 224 of the crushing unit of the crushing unit of the marine debris cru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pea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 W-shaped pattern shape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rushing drum. are arranged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는 해양쓰레기를 불연성 해양쓰레기와 가연성 해양쓰레기로 분류하여 선별하고, 선별된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고형 연료로 성형하기 전에 해양쓰레기 전처리시스템의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로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파쇄할 때에 파쇄유닛의 파쇄부의 파쇄드럼이 단일의 1개의 축으로 형성되고, 1개의 축만으로 구동되는 파쇄드럼에 파쇄팁이 W자 패턴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출부로 유입된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파쇄드럼의 중앙으로 자동으로 이동시켜 회전축에 감기는 현상을 방지하여 해양쓰레기의 전처리시스템의 전체 공정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장비의 손상이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여 유지비용과 시간을 감소하며, 해양쓰레기 파쇄장치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marine debris shred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and sorts marine debris into non-combustible marine debris and combustible marine debris, and uses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crusher of the marine debris pretreatment system before molding the selected combustible marine debris into solid fuel. When crushing marine debris, the crushing drum of the crushing unit of the crushing unit is formed with a single shaft, and the crushing tip is formed in a W-shaped pattern on the crushing drum driven only by one shaft, so that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flowing into the discharge unit is removed. It automatically moves to the center of the crushing drum and prevents it from being wound around the rotating shaft, thereby maximizing the overall process efficiency of the marine debris pretreatment system, and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and time by preventing equipment damage or damage in advance.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the crusher can be mainta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파쇄장치(10)는 해양쓰레기 전처리시스템에 설치되어 해양쓰레기 파쇄장치(10)가 운영되는 과정에서 주변에 적재되거나 수거되는 각종 해양쓰레기에 항상 직, 간접적으로 노출되고, 해양쓰레기의 수분이나 염분에 의해 내구성이 저화된다. 이처럼,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는 다양한 해양쓰레기에 계속해서 노출됨에 따라 작업자의 위생과 장비의 내구성과 안전성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The marine debris shredd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marine garbage pre-treatment system to always directly or indirectly treat various types of marine debris that are loaded or collected around the marine garbage crusher 10 in the process of operating it. It is exposed, and durability is lowered by moisture or salt of marine debris. As such, as the marine debris shredding device is continuously exposed to various marine debris, the hygiene of the worker and the durability and safety of the equipment are very important factors.

따라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10)에 항균 코팅 조성물 코팅을 진행하여 작업자에게 유해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항균성을 향상시키고, 해양쓰레기 파쇄장치(10)의 물성을 강화시켜 해양쓰레기 파쇄장치(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Therefore, by coating the antibacterial coating composition on the marine debris shredding device 10, antibacterial properties are improved to prevent workers from being exposed to harmful bacteria,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rine debris shredding device 10 are strengthened to enhance the marine debris shredding device 10 ),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urability.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쓰레기 파쇄장치(10)는 외부에 노출되는 프레임유닛(100), 파쇄유닛(200), 이송유닛(300), 및 가압유닛(400)의 내부와 외측면에 인체에 무해한 향균 코팅 조성물로 코팅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arine debris shredd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inside of the frame unit 100, the crushing unit 200, the transfer unit 300, and the pressurizing unit 400 exposed to the outside. The outer surface may be coated with an antibacterial coating composition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본 발명의 항균(Anti-bacterial)은 향균으로 기재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천식, 습진, 비염의 원인인 세균, 박테리아, 진드기 같은 미생물의 번식을 차단하고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Anti-bac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ases described as antibacterial, and means to block and inhibit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bacteria, and mites that cause asthma, eczema, and rhinit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바졸계 화합물; 바인더 수지: 유기 용매; 무기 입자 및 천연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Antibacterial coating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rbazole-based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Binder resin: organic solvent; inorganic particles and natural oils. :

[화학식 1][Formula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n은 2 내지 100의 정수이며, R1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5의 알케닐기 및 탄소수 2 내지 5의 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2는 수소, -OH, 할로겐기 및 -NH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Wherein, n is an integer of 2 to 100, R 1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an alkenyl group having 2 to 5 carbon atoms, and an alkynyl group having 2 to 5 carbon atoms, R 2 is hydrogen, - I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H, a halogen group, and -NH 2 .)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바졸계 화물은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Preferably, the carbazole-based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is specifically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or Formula 3 below:

[화학식 2][Formula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화학식 3][Formula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여기서, n 및 R1은 화학식 1과 같다.)(Here, n and R 1 are the same as in Formula 1.)

상기의 R1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5의 알케닐기 및 탄소수 2 내지 5의 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Wherein R 1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an alkenyl group having 2 to 5 carbon atoms and an alkynyl group having 2 to 5 carbon atoms, preferably,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ethylene group or a propylene group.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바졸계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수평균분자량(Mn)이 2,000 내지 5,000이지만,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The carbazole-based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preferably has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2,000 to 5,0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항균 코팅 조성물은 프레임유닛(100), 파쇄유닛(200), 이송유닛(300), 및 가압유닛(400)의 내부와 외측면에에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카바졸계 화합물 10 내지 15 중량부; 유기 용매 15 내지 40 중량부; 무기 입자 2 내지 5 중량부; 및 천연 오일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카바졸계 화합물 12 중량부; 유기 용매 24 중량부; 무기 입자 5 중량부; 및 천연 오일 2.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ntibacterial coating composition is for forming a coating layer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frame unit 100, the crushing unit 200, the transfer unit 300, and the pressurizing unit 400, and 100 weight of the binder resin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wealth; 10 to 15 parts by weight of a carbazole-based compound; 15 to 40 parts by weight of an organic solvent; 2 to 5 parts by weight of inorganic particles; and 1 to 3 parts by weight of natural oil. Preferably, 100 parts by weight of the binder resin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12 parts by weight of a carbazole-based compound; 24 parts by weight of an organic solvent; 5 parts by weight of inorganic particles; and 2.5 parts by weight of natural oil.

상기 천연 오일을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항균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3 중량부 초과하 포함할 경우에는 프레임유닛(100), 파쇄유닛(200), 이송유닛(300), 및 가압유닛(400)의 내부와 외측면과 코팅층 간에 접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When the natural oil is included in less than 1 part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ntibacterial effect is lowered, and when it is included in more than 3 parts by weight, the frame unit 100, the crushing unit 200, the transfer unit 300, And a problem occurs in that the adhesion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pressurizing unit 400 and the coating layer is lowered.

상기 카바졸계 화합물 및 유기 용매는 1:1 내지 1:4의 중량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바졸계 화합물을 상기 유기 용매와 대비하여, 1:1을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프레임유닛(100), 파쇄유닛(200), 이송유닛(300), 및 가압유닛(400)의 내부와 외측면에 코팅층을 형성할 때, 황변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카바졸계 화합물을 상기 유기 용매와 대비하여, 1:4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항균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The carbazole-based compound and the organic solvent may b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1:1 to 1:4. More specifically, in comparison with the organic solvent, when the carbazole-based compound is included in excess of 1:1, the frame unit 100, the crushing unit 200, the transfer unit 300, and the pressurization unit 400 are When the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a problem of yellowing may occur, and when the carbazole-based compound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less than 1:4 compared to the organic solv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ntibacterial effect is lowered. do.

상기 유기 용매는 알코올류 용매, 할로겐 함유 탄화수소류 용매, 케톤류 용매, 셀로솔브류 용매 및 아미이드류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세하게는, 테트라하이드로퍼류릴 알코올(Tetrahydrofurfuryl alcohol), 퍼퓨릴 알코올(Furfuryl alcohol) 및 이소프로필리덴글리세롤 (Isopropylideneglycer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The organic solv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cohol solvents, halogen-containing hydrocarbon solvents, ketone solvents, cellosolves solvents and amide solvents, and specifically, tetrahydrofurfuryl alcohol, furfuryl alcohol ( Furfuryl alcohol) and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sopropylideneglycerol (Isopropylideneglycerol).

보다 구체적으로, 유기 용매는 카바졸계 화합물을 용해시키고, 바인더 수지, 무기 입자 및 천연 오일간의 용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기 예시에 기재된 유기 용매를 모두 사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환형 알코올이며, 테트라하이드로퍼류릴 알코올(Tetrahydrofurfuryl alcohol), 퍼퓨릴 알코올(Furfuryl alcohol) 및 이소프로필리덴글리세롤 (Isopropylideneglycer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organic solvent is for dissolving the carbazole-based compound and helping to dissolve the binder resin, the inorganic particles, and the natural oil.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trahydrofurfuryl alcohol, Furfuryl alcohol, and Isopropylideneglycerol.

상기 바인더 수지는 항균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프레임유닛(100), 파쇄유닛(200), 이송유닛(300), 및 가압유닛(400)의 내부와 외측면에 코팅층을 형성할 때,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술폰 및 폴리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세하게는 폴라아크릴레이트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The binder resin uses an antibacterial coating composition to improve adhesion when forming a coating layer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frame unit 100, the crushing unit 200, the transfer unit 300, and the pressurizing unit 400. It is specifical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olefin, polystyrene, polycarbonate, polyurethane, polysulfone and polyacrylate, specifically polyacrylate,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상기 무기입자는 실리카 입자, 알루미나 입자, 산화지르코늄 입자, 산화티타늄 입자, 산화안티몬 입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세하게는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 입자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The inorganic particle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particles, alumina particles, zirconium oxide particles, titanium oxide particles, antimony oxide particles,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specifically, silica particles or alumina particles, but the examples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 무기입자는 바인더 수지와 함께 코팅함으로써 무기입자가 코팅층의 수축율을 억제하는 기능을 부여함에 따라, 프레임유닛(100), 파쇄유닛(200), 이송유닛(300), 및 가압유닛(400)의 내부와 외측면에 코팅층을 형성할 때,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물성 향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무기 입자의 평균입도 100 내지 200㎛이며, 상세하게는 130 내지 150㎛이며,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무기입자는 코팅층의 수축율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평균입도가 100㎛ 미만인 경우에는 수축율 억제 효과가 미비하며, 2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투명 코팅층의 형성을 방해할 수 있다.The inorganic particles are coated with a binder resin so that the inorganic particles have a function of suppressing the shrinkage of the coating layer, so the frame unit 100, the crushing unit 200, the transfer unit 300, and the pressurizing unit 400 When the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it can serve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Therefore,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hysical properties,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100 to 200 μm, specifically, 130 to 150 μm,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The inorganic particles are added to suppress the shrinkage of the coating layer, and when the average particle size is less than 100 μm,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shrinkage is insignificant, and when it exceeds 200 μm, the formation of the transparent coating layer may be hindered.

상기 천연 오일은 항균 코팅 조성물의 항균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구체적으로 아릴 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ally isothiocyanate), 신남알데하이드(cinnamaldehyde), 갈릭오일(garlic oil), 로즈마리오일(rosemary oil), 호호바 오일(jojoba oil) 및 당근 씨앗 오일(carrot seed oi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호호바 오일(jojoba oil) 또는 당근 씨앗 오일(carrot seed oil)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The natural oil is a composition for further improving the antibacterial function of the antimicrobial coating composition, and specifically, ally isothiocyanate, cinnamaldehyde, garlic oil, rosemary oil, I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jojoba oil and carrot seed oil, preferably jojoba oil or carrot seed oil,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유닛(100), 파쇄유닛(200), 이송유닛(300), 및 가압유닛(400)의 내부와 외측면에 형성된 항균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항균 코팅층은 상기에 따른 항균 코팅 조성물을 10 내지 20mm의 두께로 형성된다.It includes an antibacterial coating layer formed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frame unit 100, the crushing unit 200, the transfer unit 300, and the pressurizing unit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antibacterial coating layer is The antimicrobial coat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above is formed to a thickness of 10 to 20mm.

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유닛(100), 파쇄유닛(200), 이송유닛(300), 및 가압유닛(400)의 내부와 외측면에 형성된 항균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항균 코팅층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바졸계 화합물; 바인더 수지; 유기 용매: 무기 입자 및 천연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 코팅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t includes an antibacterial coating layer formed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frame unit 100, the crushing unit 200, the transfer unit 300, and the pressurizing unit 400, and the antibacterial coating layer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a carbazole-based compound; binder resin; Organic solvent: can be formed into an antimicrobial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inorganic particles and a natural oil:

[화학식 1][Formula 1]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여기서, n은 2 내지 100의 정수이며, R1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5의 알케닐기 및 탄소수 2 내지 5의 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2는 수소, -OH, 할로겐기 및 -NH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Wherein, n is an integer of 2 to 100, R1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an alkenyl group having 2 to 5 carbon atoms, and an alkynyl group having 2 to 5 carbon atoms, R2 is hydrogen, -OH, I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alogen group and -NH2.)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바졸계 화합물은 상세하게는 수평균분자량(Mn)이 2,000 내지 5,000이지만,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Specifically, the carbazole-based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has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2,000 to 5,0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항균 코팅층은 항균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며, 투명 코팅층으로, 10 내지 20mm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세하게는 13 내지 15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의 두께가 10mm 미만인 경우, 항균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2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The antibacterial coating layer is formed by the antibacterial coating composition, a transparent coating layer, is formed to a thickness of 10 to 20mm, specifically, it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of 13 to 15mm. When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layer is less than 10m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ntibacterial function is lowered, and when it exceeds 20mm, there is a problem in that economical efficiency is lowered.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코팅 조성물은 프레임유닛(100), 파쇄유닛(200), 이송유닛(300), 및 가압유닛(400)의 내부와 외측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세균, 박테리아, 진드기 등과 같은 미생물의 번식을 차단하고 억제할 수 있으며, 1개월 내지 3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미생물의 번식을 차단 및 억제할 수 있다.The antibacterial coat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oating layer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frame unit 100, the crushing unit 200, the transfer unit 300, and the pressure unit 400, such as bacteria, bacteria, mites, etc. It is possible to block and inhibit the reproduction of microorganisms, and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block and inhibit the reproduction of microorganisms for 1 to 3 month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코팅 조성물은 프레임유닛(100), 파쇄유닛(200), 이송유닛(300), 및 가압유닛(400)의 내부와 외측면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ntimicrobial coat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frame unit 100 , the crushing unit 200 , the transfer unit 300 , and the pressurizing unit 400 .

[제조예 1: 항균 코팅 조성물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antibacterial coating composition]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5Example 5 카바졸계 화합물Carbazole compounds 1212 1515 1010 1212 1212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테트라하이드로퍼류릴 알코올tetrahydroperuryl alcohol 2424 1515 4040 -- 2424 퍼퓨릴 알코올furfuryl alcohol -- -- -- 2424 -- 실리카 입자silica particles 55 55 55 55 55 당근 씨앗 오일carrot seed oil 2.52.5 2.52.5 2.52.5 2.52.5 -- 호호바 오일jojoba oil -- -- -- -- 2.52.5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카바졸계 화합물Carbazole compounds 2020 1212 1212 1212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100100 100100 100100 100100 테트라하이드로퍼류릴 알코올tetrahydroperuryl alcohol 1010 -- 2424 2424 메탄올methanol -- 2424 -- -- 실리카 입자silica particles 55 55 55 -- 실리카 입자(평균 입도 50㎛)Silica particles (average particle size 50㎛) -- -- -- 55 당근 씨앗 오일carrot seed oil 2.52.5 2.52.5 -- 2.52.5 캐스터 오일castor oil -- -- 2.52.5 --

(단위: 중량부)상기 표 1 및 표 2의 카바졸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며, 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도는 135㎛이다:(Unit: parts by weight) The carbazole-based compounds of Tables 1 and 2 are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4, and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silica particles is 135 μm:

[화학식 4][Formula 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여기서, n은 2 내지 100의 정수이다.)(Here, n is an integer from 2 to 100.)

[제조예 2: 코팅층이 형성된 이중구조의 조리용기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2: Preparation of a cook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structure with a coating layer formed]

폴리에틸렌(PE) 기재의 일면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13mm의 두께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A coating layer was formed on one surface of a polyethylene (PE) substrate to a thickness of 13 mm using the coating compositions of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실험예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항균 실험][Experimental Example 1: Antibacterial experiment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코팅 조성물로 코팅층을 형성한 포장재에 대장균을 접종하고 24시간 경과 후 균의 농도를 측정하였다.E. coli was inoculated into the packaging material on which the coating layer was formed with the coating composition of Examples 1 and 1 to 3,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bacteria was measured after 24 hours.

초기 농도(CFU/mL)Initial concentration (CFU/mL) 24시간 후 농도(CFU/mL)Concentration after 24 hours (CFU/mL) 항균 활성치(log)Antibacterial activity (log) 세균 감소율(%)Bacterial reduction rate (%) 실시예 1Example 1 1.00ⅹ105 1.00× 10 5 <2<2 5.825.82 99.9999.99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1.00ⅹ105 1.00× 10 5 3.32ⅹ103 3.32×10 3 -- --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1.00ⅹ105 1.00× 10 5 8.10ⅹ102 8.10×10 2 -- --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1.00ⅹ105 1.00× 10 5 5.62ⅹ102 5.62×10 2 -- --

(CFU는 균의 수를 개념적으로 표시한 것이다)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24시간 후 대장균의 농도가 감소하여 99.99%의 세균 감소율을 나타낸 반면, 비교예 1 내지 3은 대장균의 농도가 일부 감소하였으나, 항균 효과가 실시예에 비해 떨어짐을 확인하였다.(CFU is a conceptual representation of the number of bacteria) As shown in Table 3 above, Example 1 showed a de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E. coli after 24 hours, resulting in a bacterial reduction rate of 99.99%, whereas Comparative Examples 1 to 3 were E. coli Although the concentration of was partially decrea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antibacterial effect fell compared to the Example.

[실험예 2: 실시예 및 비교예의 물성 실험][Experimental Example 2: Experiments on physical propertie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1) 연필 경도1) Pencil hardness

연필경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 표준 J IS K5400에 따라 750g의 하 중, 45도의 각도로 3회 왕복한 후 홈집이 없는 최대 경도를 확인하였다.According to the measurement standard J IS K5400 using a pencil hardness tester, the maximum hardness without grooves was confirmed after reciprocating three times at a load of 750 g at an angle of 45 degrees.

2) 투과율 및 헤이즈2) Transmittance and Haze

분광광도계 (기기명: COH-400)를 이용하여 투과율 및 헤이즈를 측정하 였다.Transmittance and haze were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device name: COH-400).

3) 굴곡 테스트3) Flexural test

코팅층이 형성된 각 내부바디부, 외부바디부 또는 보열부를 다양한 직경의 원통형 만드렐에 끼워 감은 후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최소 직경을 측정하였다.After each inner body part, outer body part or heat preservation part on which the coating layer was formed was wrapped around cylindrical mandrels of various diameters, the minimum diameter at which cracks did not occur was measured.

연필 경도(750gf)Pencil hardness (750 gf) 투과율(%)Transmittance (%) 헤이즈(%)Haze (%) 굴곡 테스트(Φ, mm)Flexural test (Φ, mm) 실시예 1Example 1 3H3H 93.293.2 0.40.4 66 실시예 2Example 2 3H3H 90.290.2 0.60.6 66 실시예 3Example 3 3H3H 9191 0.70.7 66 실시예 4Example 4 3H3H 91.491.4 0.50.5 66 실시예 5Example 5 3H3H 92.392.3 0.50.5 66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HH 92.392.3 0.40.4 33

상기 표 4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5는 물성 평가 결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비교예 4의 경우에는 경도 및 굴곡 테스트에서 실시예 1 내지 5에 비해 떨어짐을 확인하였다.According to Table 4, it was confirmed that Examples 1 to 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d excellent physical property evaluation results, but in Comparative Example 4,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inferior to Examples 1 to 5 in hardness and flexural tests. di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will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 : 해양쓰레기 파쇄장치
100 : 프레임유닛
200 : 파쇄유닛
300 : 이송유닛
400 : 가압유닛
500 : 제어유닛
10: marine debris shredding device
100: frame unit
200: crushing unit
300: transfer unit
400: pressurization unit
500: control unit

Claims (5)

해양쓰레기를 고형연료화시키기 위해 수거된 해양쓰레기를 불연성 해양쓰레기와 가연성 해양쓰레기로 분류하는 선별장치와 상기 선별장치를 통해 분류되어 집하된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운반하는 운반장치 및 상기 운반장치를 통해 운반되는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파쇄시키는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를 구비하는 해양쓰레기 전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해양쓰레기 파쇄장치는,
상기 선별장치에 인접하도록 상기 운반장치와 상기 선별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유닛;
상기 프레임유닛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운반장치를 통해 운반되는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파쇄시키는 파쇄유닛;
상기 프레임유닛의 하부에서 상기 파쇄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파쇄유닛에 의해 파쇄된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수집하여 고형연료화장치로 이송시키기는 이송유닛; 및
상기 프레임유닛의 상부에서 상기 파쇄유닛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운반장치를 통해 상기 파쇄유닛의 내부로 공급되는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가압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쓰레기 파쇄장치.
A sorting device for classifying the collected marine debris into non-combustible marine debris and combustible marine debris to turn the marine debris into solid fuel, a transport device for transporting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sorted and collected through the sorting device, and the transport device A marine debris pretreatment system comprising a marine debris crusher for crushing combustible marine debris,
The marine debris shredding device,
a frame unit disposed between the conveying device and the sorting device so as to be adjacent to the sorting device;
a crushing unit installed above the frame unit to crush combustible marine debris transported through the conveying device;
a transfer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crushing unit at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unit to collect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crushed by the crushing unit and transfer it to the solid fuel converter; and
and a pressurizing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rushing unit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unit to pressurize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rushing unit through the transpor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유닛, 상기 이송유닛, 및 상기 가압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유닛은,
일단이 지면 또는 베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이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상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쓰레기 파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rushing unit, the transfer unit, and the pressurization unit;
The frame unit is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having one end fixed to the ground or the base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and
Marine debris crushing apparatus comprising a; a plurality of base frames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유닛은 상기 프레임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배치되는 파쇄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가연성 해양쓰레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개방 형성되는 유입부;
상기 파쇄부를 통해 파쇄된 가연성 해양쓰레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에 상기 유입부와 마주하면서 대응하도록 개방 형성되는 배출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유입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쇄부는,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의 높이방향 일부에 회전가능하도록 폭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삽입 설치되는 파쇄드럼;
상기 파쇄드럼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파쇄팁; 및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제어유닛의 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쇄팁은 상기 파쇄드럼의 수평방향을 따라 W자 패턴 형상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쓰레기 파쇄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rushing unit includes a housing portion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unit and a crushing portion disposed on the housing portion,
The housing part,
an inlet opening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unit so that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is introduced;
a discharge unit that is openly formed to face the inlet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so that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crushed through the crushing unit is discharged; and
and a cover part which is pivotably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part and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part so as to be adjacent to the inlet part in order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inlet part;
The crushing unit,
a rotating shaft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o be rotatable in a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a crushing drum inserted and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shaft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ry shaft;
a crushing tip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rushing drum; and
a driving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rotation shaft and driven by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and
The crushing tip is a marine debris crus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peatedly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 W-shaped pattern shape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rushing dru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일단이 지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부보다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배출부에 인접하도록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상에서 상기 파쇄유닛의 일측의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수평프레임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어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파쇄된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수집하여 상기 고형연료화장치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를 통해 작동하는 컨베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쓰레기 파쇄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transfer unit is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having one end fixed to the ground and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so as to be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ion while the other end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 portions;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crushing unit on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nd
A conveyor unit arrang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and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o collect crushed combustible marine debr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and transport it to the solid fuel conversion device; Marine debris shred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일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서포트프레임;
상기 복수의 서포트프레임상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액츄에이터부; 및
상기 액츄에이터부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부의 내부로 반복적으로 인입출하면서 상기 유입부로 유입되는 가연성 해양쓰레기를 상기 파쇄부로 가압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쓰레기 파쇄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ressurizing unit,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having one e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a guide frame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an actuator unit installed on the guide frame and reciprocat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and a pressing unit coupled to the tip of the actuator unit to pressurize the combustible marine debris flowing into the inlet to the crushing unit while repeatedly withdrawing into and out of the inlet unit.
KR1020200169264A 2020-12-07 2020-12-07 Crusher of sea waste KR2022008030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264A KR20220080301A (en) 2020-12-07 2020-12-07 Crusher of sea was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264A KR20220080301A (en) 2020-12-07 2020-12-07 Crusher of sea was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301A true KR20220080301A (en) 2022-06-14

Family

ID=81980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264A KR20220080301A (en) 2020-12-07 2020-12-07 Crusher of sea was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0301A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610B1 (en) 2013-03-07 2013-09-11 엠엔테크(주) One of the mutual contacts of waste crushing and sifting between the heterogeneous material available for drum-type high speed rotating crusher
KR20140047286A (en) 2012-10-12 2014-04-22 엠엔테크(주) Separator of plastic and film wastes
KR101826971B1 (en) 2017-08-30 2018-02-07 엠엔테크(주) Treatment systems for shore waste
KR101826972B1 (en) 2017-08-30 2018-02-07 엠엔테크(주) Cutting and shredding equipment for coastal waste treatment plants
KR102067636B1 (en) 2018-07-20 2020-01-17 주식회사 미래에스아이 Coastal waste solid fueling equippment with a forming machi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7286A (en) 2012-10-12 2014-04-22 엠엔테크(주) Separator of plastic and film wastes
KR101303610B1 (en) 2013-03-07 2013-09-11 엠엔테크(주) One of the mutual contacts of waste crushing and sifting between the heterogeneous material available for drum-type high speed rotating crusher
KR101826971B1 (en) 2017-08-30 2018-02-07 엠엔테크(주) Treatment systems for shore waste
KR101826972B1 (en) 2017-08-30 2018-02-07 엠엔테크(주) Cutting and shredding equipment for coastal waste treatment plants
KR102067636B1 (en) 2018-07-20 2020-01-17 주식회사 미래에스아이 Coastal waste solid fueling equippment with a form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7457B1 (en) The sea scrap recycling and electric power supplying ship for island community by collecting and treatment on the sea
RU2700203C2 (en) Integrated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waste
KR20200024402A (en) Marine waste cleaning and solid fuel manufacturing system ship
US20130252314A1 (en) Resource utilizing method of refuses in urban and rural
KR101024457B1 (en) The sea scrap recycling and electric power supplying ship for island community by collecting and treatment on the sea
TWM517030U (en) Integrated equipment for comprehensive treatment of kitchen waste
US20100287896A1 (en) System for final disposal of waste by compaction and bagging
KR20170098669A (en) food waste of group treatment tacilities
CN108438682B (en) Intelligent environment-friendly household garbage transfer station and working method thereof
KR20220080301A (en) Crusher of sea waste
CN101967033A (en) Decrement, resource protection and innocent treatment method for tank bottom oil sludge
KR10234425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wder regenerative fuels using petrochemical waste and combustible powder production apparatus thereof
KR20070094463A (en) Sorting apparatus for wastes
KR100710736B1 (en) A barge for treating marine waste
KR20230022521A (en) Sorting apparatus for sea waste
KR20050006094A (en) Movable Incineration Ship for Maritime Waste
KR102510534B1 (en) Ship for treatment of ocean waste
KR102035652B1 (en) Waste sorting device for solid fuel
Sinaga et al. Environmental impact study on conversion of multilayer metallized packaging to paving blocks with a Life Cycle Assessment (LCA) approach
KR100765288B1 (en) Harbor and coastal structures for using bottom ash as replacement of aggregate for concrete mixing
CN100347041C (en) Naval propulsion system feeding by garbage derived fuel and its method
CN201971686U (en) Oily sewage treatment system combining coalescence technology and organic adsorption technology
CN215755333U (en) Earth discharging machine
Nasrullah et al. Chemical Technologies to Degrade Microplastic Pollution
KR102604225B1 (en) Low-temperature pyrolysis processing system of ocean was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