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0283A -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0283A
KR20220080283A KR1020200169222A KR20200169222A KR20220080283A KR 20220080283 A KR20220080283 A KR 20220080283A KR 1020200169222 A KR1020200169222 A KR 1020200169222A KR 20200169222 A KR20200169222 A KR 20200169222A KR 20220080283 A KR20220080283 A KR 20220080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tor
time password
door lock
terminal
res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0205B1 (ko
Inventor
김영자
Original Assignee
김영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자 filed Critical 김영자
Priority to KR1020200169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205B1/ko
Publication of KR20220080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by means of a passwo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8With time considerations, e.g. temporary activation, valid time window or time limit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문자 단말과 거주자 단말 간 연락처 등록에 기초하여 방문자 인증을 수행하는 방문자 인증부, 상기 방문자의 인증이 완료되면 도어락 비밀번호로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에 제공하는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부, 및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 도어의 오픈을 결정하고 상기 방문자의 방문정보를 상기 거주자 단말에 제공하는 도어 개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DOOR-LOCK APPARATUS BASED ON ONE TIME PASSWORD}
본 발명은 도어락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주자 단말과 방문자 단말 간 연락처 등록에 따라 방문자 인증을 수행하고 방문자 단말에 일회용 비밀번호를 발급하여 출입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댁내나 사무실 등에 위치하는 출입 장치는 사용자의 지문이나 비밀번호, 키와 같은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잠금 상태가 제어된다.
한편, 물리적인 키를 이용하여 출입 장치의 잠금을 제어하는 방식은 사용자가 반드시 키를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출입 장치의 잠금을 제어하는 방식은 물리적인 키를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반면 비밀번호 유출시 범죄에 노출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7797호(2017.05.08)는 도어락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은 방문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 키를 상기 도어락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이미지 키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를 기초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도어의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08347호(2020.04.29)는 일회용 비밀번호를 이용한 도어락 잠금해제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그 일회용 비밀번호를 이용한 도어락 잠금해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도어락 장치에 등록 및 저장하는 단계; 도어락 장치가 생성된 일회용 비밀번호를 도어락 장치에 등록된 휴대통신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휴대통신장치가 일회용 비밀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면 수신확인 신호를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휴대통신장치가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일회용 비밀번호를 읽어 내어 휴대통신장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된 일회용 비밀번호가 지인의 휴대통신장치로 전송되거나 지인에게 전달되면 일회용 비밀번호를 도어락 장치에 입력하는 단계; 입력된 일회용 비밀번호가 등록된 일회용 비밀번호와 동일한지 검사하여 인증하는 단계; 및 일회용 비밀번호가 인증되면 도어락 장치는 잠금 해제를 하고 인증된 일회용 비밀번호를 도어락 장치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7797호(2017.05.08) 한국등록특허 제10-2108347호(2020.04.29)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거주자 단말과 방문자 단말 간 연락처 등록에 따라 방문자 인증을 수행하고 방문자 단말에 일회용 비밀번호를 발급하여 출입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락처에 등록되지 않은 방문자인 경우에 통화 연결을 통해 방문자 인증을 수행한 후 일회용 비밀번호를 발급하여 출입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문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체온을 포함한 방문정보를 거주자 단말에 제공하여 방문자의 출입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는 방문자 단말과 거주자 단말 간 연락처 등록에 기초하여 방문자 인증을 수행하는 방문자 인증부, 상기 방문자의 인증이 완료되면 도어락 비밀번호로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에 제공하는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부, 및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 도어의 오픈을 결정하고 상기 방문자의 방문정보를 상기 거주자 단말에 제공하는 도어 개폐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문자 인증부는 상기 방문자 단말의 본인 인증을 위한 QR 코드를 스캔하고 스캔한 QR 코드를 통해 상기 방문자의 본인 인증을 수행하고, 본인 인증 후 상기 방문자 단말의 연락처가 상기 거주자 단말의 연락처에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통해 방문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방문자 인증부는 방문자 인증 과정에서 상기 방문자의 연락처가 상기 거주자 단말의 연락처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거주자와 상기 방문자 간의 통화를 통해 방문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방문자 인증부는 상기 방문자의 본인 인증 과정에서 범죄자 알림 앱과 연동하여 상기 방문자의 범죄 이력을 조회하고 범죄 이력 조회 결과를 상기 거주자 단말에 알림 제공하여 상기 거주자로 하여금 상기 방문자의 인증 여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방문자 인증부는 상기 방문자 인증 과정에서 상기 거주자 단말이 도어락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벗어나 있는 경우 상기 거주자 단말에 통화 연결하여 상기 거주자와 상기 방문자 간 대화를 통해 방문자 인증 여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부는 기 저장된 난수발생 알고리즘에 상기 거주자에 의해 지정된 비밀번호와 도어락 고유 SN(serial number) 식별자를 입력 시드로 적용하여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폐부는 도어의 손잡이 부분에 온도 센서를 장착하고 상기 도어 손잡이를 파지한 상기 방문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상기 방문자의 체온, 방문시간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방문정보를 상기 거주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는 상기 방문자가 특정번호를 입력하거나 또는 특정버튼을 누르면 위급 상황 발생으로 인지하고 상기 거주자 단말 및 지정된 연락처로 위급 상황 알림을 제공하는 위급 상황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는 거주자 단말과 방문자 단말 간 연락처 등록에 따라 방문자 인증을 수행하고 방문자 단말에 일회용 비밀번호를 발급하여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는 연락처에 등록되지 않은 방문자인 경우에 통화 연결을 통해 방문자 인증을 수행한 후 일회용 비밀번호를 발급하여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는 방문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체온을 포함한 방문정보를 거주자 단말에 제공하여 방문자의 출입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을 운용하는 일 실시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00)은 방문자 단말(110), 거주자 단말(130),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 및 데이터베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고, 상호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방문자 단말(110) 및 거주자 단말(13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나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는 방문자 단말(110)과 거주자 단말(130) 간 연락처 등록을 기반으로 방문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는 인증된 방문자가 도어락을 해제하고 출입하도록 방문자 단말(110)에 일회용 비밀번호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는 방문자가 도어 손잡이를 잡고 도어를 여는 과정에서 방문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는 방문기록을 거주자 단말(130)에 알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는 데이터베이스(170)와 연동하여 방문자 인증 및 일회용 비밀번호 발급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는 도 1과 달리, 데이터베이스(170)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70)는 도어락 운용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70)는 거주자 단말(130)에 등록된 연락처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일회용 비밀번호 발생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가 도어락 개폐를 제어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의 각 단계들을 처리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메모리(230)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고, 만일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면 하이퍼링크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5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마우스, 트랙볼, 터치 패드, 그래픽 태블릿, 스캐너, 터치 스크린,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은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방문자 단말(110) 및 거주자 단말(130)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는 방문자 인증부(310),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부(330), 도어 개폐부(350), 위급 상황 알림부(370) 및 제어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문자 인증부(310)는 방문자와 거주자 간 연락처 등록에 기초하여 방문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문자 인증부(310)는 QR 코드를 통해 본인 인증을 수행하고 본인 인증 완료후 방문자 단말(110)의 연락처가 거주자 단말(130)에 등록되었는 지 여부를 통해 방문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방문자 인증부(310)는 방문자 단말(110)의 접근이 감지되면 카메라나 QR앱을 통해 방문자 단말(110)의 화면에 표시된 QR 코드를 스캔하여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방문자 인증부(310)는 스캔한 QR코드와 방문자 인증정보(예를 들면, 연락처)를 통해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방문자 인증부(310)는 방문자가 방문벨을 누르거나 도어락 패널의 접촉을 통해 방문자 단말(110)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방문자 인증부(310)는 QR 코드를 통한 본인 인증 후 거주자 단말(130)의 연락처에 방문자 연락처의 등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문자 인증부(310)는 본인인증 과정에서 수집한 방문자 단말(110)의 전화번호와 거주자 단말(130)의 연락처에 등록된 전화번호를 대조 처리하여 연락처 등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방문자 인증부(310)는 거주자 단말(130)의 연락처 앱과 연동하여 방문자 단말(110)과 거주자 단말(130) 간 연락처 등록을 대조 처리할 수 있다. 방문자 인증부(310)는 거주자 단말(130)에 방문자 연락처를 문자나 카카오톡 등으로 전송하여 거주자를 통해 방문자 연락처 등록을 확인받을 수도 있다. 방문자 인증부(310)는 방문자 연락처가 거주자 단말(130)의 연락처에 등록된 경우에 방문자 인증을 하고, 방문자 연락처가 거주자 단말(130)의 연락처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 거주자 단말(130)에 방문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문자 인증부(310)는 거주자 단말(130)의 연락처에 등록되지 않은 방문자인 경우 거주자 단말(130)과 통화연결을 수행하여 거주자와 방문자 간의 통화를 통해 방문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방문자 인증부(310)는 방문자의 본인 인증 과정에서 주변 또는 인근 지역 범죄자 리스트를 조회하여 사전에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문자 인증부(310)는 범죄자 알림 앱과 연동하여 방문자의 본인 인증 과정에서 범죄 이력을 조회할 수 있고 이를 거주자 단말(130)에 알림 제공하여 거주자로 하여금 방문자 인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방문자 인증부(310)는 아이가 혼자 있는 아이 혼자 모드로 설정된 경우 또는 도어락으로부터 거주자 단말(130)이 일정거리를 벗어난 경우에 방문자 본인 인증 후 방문자의 연락처가 거주자 단말(130)의 연락처에 등록된 경우라도 거주자 단말(130)에 통화 연결하여 거주자(부모)와 방문자 간에 대화를 통해 방문자 인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부(330)는 방문자의 인증이 완료되면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부(330)는 방문자의 인증이 완료되면 난수 발생 알고리즘을 통해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 방식은 다양하게 이뤄질 수 있다. 예컨대,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부(330)는 기 저장된 난수발생 알고리즘에 거주자에 의해 지정된 비밀번호 또는 직전의 생성한 일회용 비밀번호와 장치 고유 SN(serial number) 식별자를 입력 시드로 적용하여 신규의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부(330)는 메모리에 기 저장된 난수발생 알고리즘을 가져와 도어락 소유자에 의해 비밀 유지될 수 있는 비밀번호를 제1 비밀 변수로 입력하고, 도어락 제조사와 도어락 소유자에 의해 비밀 유지될 수 있는 장치 고유 SN 식별자를 제2 비밀 변수로 입력하여 난수를 발생시킬 수 있고, 발생된 난수를 신규의 일회용 비밀번호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난수발생 알고리즘은 의사난수 발생 알고리즘에 해당하고, 예를 들어, 노이만의 중앙제곱법이나 선형합동법과 같은 의사난수 생성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의사난수 생성 방식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에서,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부(330)는 하기의 수학식 1을 기초로 신규의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이 제1 비트 수로 표현되는 초기 비밀번호의 바이너리 데이터와 이전의 비밀번호의 바이너리 데이터를 배타적 논리합(exclusive OR)한 후에 제2 비트 수로 표현되는 장치 고유 SN 식별자의 바이너리 데이터와 접합(concatenation)하여 제3 비트 수로 표현되는 바이너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바이너리 데이터의 십진 값을 비밀번호 최대 설정 값으로 나머지(%) 연산하여 제1 비트 수로 표현되고 해당 비밀번호 최대 설정 값보다 작은 다음의 비밀번호를 의사 난수로 발생시킬 수 있다.
[수학식 1]
key_next = ((key_ini XOR key_pre) || id_sn) % key_max
여기에서, key_next는 다음의 비밀번호를 의미하고, key_ini는 초기 비밀번호를 의미하며, key_pre는 이전의 비밀번호를 의미하고, id_sn은 장치 고유 SN 식별자를 의미하며, key_max는 비밀번호 최대 설정 값을 의미하고, XOR은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의미하며, ||는 접합 연산을 의미하고, %는 나머지 연산을 의미한다. 비밀번호 최대 설정 값은 해당 비밀번호 속성(예를 들어, 4자리 길이의 숫자) 각각에 대해 설계자나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부(330)는 생성한 일회용 비밀번호를 방문자 단말(110)에 전송하거나 또는 도어락 패널 상에 표시하는 형태로 방문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방문자는 제공받은 일회용 비밀번호를 통해 도어락을 오픈하고 출입할 수 있다.
도어 개폐부(350)는 신규의 일회용 비밀번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도어의 오픈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 개폐부(350)는 도어에 설치된 전기 잠금기의 가동을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도어의 개폐를 물리적으로 제한할 수 있고, 키 패드(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방문자 입력 비밀번호와 현재 설정된 신규의 비밀번호가 상호 일치하면 도어의 오픈을 결정하여 전기 잠금기 가동을 통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도어 개폐부(350)는 도어 손잡이를 잡고 도어를 오픈하는 방문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 개폐부(350)는 도어 손잡이에 온도 센서를 부착하고 온도 센서를 통해 도어를 열고 출입하는 방문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도어 개폐부(350)는 온도 센서를 통해 도어 주변의 화재 발생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도어 개폐부(350)는 도어의 개폐를 기초로 방문정보를 거주자 단말(13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방문정보에는 방문자 입실 시간, 퇴실 시간, 체온, 방문자 연락처가 적어도 포함될 수 있다.
위급 상황 알림부(370)는 방문자가 특정 비밀번호를 입력할 경우 위급 상황 발생으로 인지하고 거주자 단말(130)에 알림음을 제공하여 경찰 등에 연락을 취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비밀번호는 거주자들간에 위급 상황을 알리기 위해 미리 약정한 번호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급 상황 알림부(370)는 거주자가 외출 후 들어오는 과정에서 도둑이나 강도 등 위험한 사람이 ?i아오거나 주변에 서성이는 등 위험을 느낄 때 특정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알람을 발생시켜 주변의 위험한 사람이 도망가도록 유도함과 함께 경찰서 등의 지정한 연락처에 연락을 하여 위급 상황을 알림으로써 신속한 조취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위급 상황시 특정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알림 제공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락 주변에 특정 버튼을 마련하여 특정 버튼의 누름이 감지되면 위급 상황으로 인지하고 알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어부(390)는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방문자 인증부부(310),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부(330), 도어 개폐부(350) 및 위급 상황 알림부(3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70)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는 현관문이나 방문과 같은 개인 또는 공유 공간의 출입구에 설치될 수 있고, 공유 모빌리티의 개폐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그 밖에 일회용 비밀번호를 통해 잠금을 제어하는 다양한 구성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스마트 도어락 장치의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을 운용하는 일 실시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에서,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는 QR 코드를 통해 방문자 본인 인증을 수행하고 방문자 단말(110)과 거주자 단말(130) 간 연락처 등록에 따라 방문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410).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는 방문자 인증부(310)를 통해 방문자 단말(110)에서 생성한 QR 코드를 스캔하여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방문자 인증부(310)는 QR 코드 스캔을 위해 카메라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는 방문자 인증부(310)를 통해 방문자 단말(110)과 거주자 단말(130) 간 연락처 앱을 연동시켜 상호 연락처가 등록된 경우 방문자 인증을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방문자 인증부(310)는 거주자 단말(130)의 연락처에 방문자 단말(110)의 연락처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 방문자 단말(110)과 거주자 단말(130) 간 통화 기능을 수행하여 거주자가 방문자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방문자 인증을 할 수 있다.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는 방문자 인증 후에 도어락 비밀번호로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방문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30).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는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부(330)를 통해 난수발생 알고리즘을 실행시켜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일회용 비밀번호를 방문자에게 알려주어 해당 방문자가 도어락을 오픈하도록 할 수 있다.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는 방문자 입력 비밀번호를 기초로 도어의 오픈을 결정하고 방문자의 방문정보를 거주자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50).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는 도어 개폐부(350)를 통해 방문자에 의해 입력되는 방문자 입력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문자 입력 비밀번호가 설정된 도어락 일회용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도어의 오픈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어 개폐부(350)는 도어 손잡이에 온도 센서를 장착하고 온도 센서를 통해 도어 손잡이를 파지한 방문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도어 개폐부(350)는 방문자의 방문시간, 체온, 연락처를 포함하는 방문정보를 거주자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는 방문자의 특정 번호 입력에 따라 거주자 단말(130) 및 지정된 연락처에 위급 상황을 알림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70).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는 위급 상황 알림부(370)를 통해 방문자 입력 번호가 거주자들 간에 미리 약정한 위급 상황 알림 번호와 일치하면 거주자 단말(130) 및 경찰서 등의 지정된 연락처로 알림음을 전송하여 위급 상황을 알릴 수 있다. 여기에서, 위급 상황 알림부(370)는 특정 번호 입력 대신 도어락 손잡이 부분 등에 위급 상황 알림버튼을 마련하여 버튼 누름을 통해 위급 상황 발생을 인식하고 알림 제공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150)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방문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도어락 비밀번호를 일회용 비밀번호로 생성하여 도어락 개폐를 제어할 수 있어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방문자 출입의 관리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110: 방문자 단말 130: 거주자 단말
150: 스마트 도어락 장치 170: 데이터베이스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방문자 인증부 330: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부
350: 도어 개폐부 370: 위급 상황 알림부
390: 제어부

Claims (8)

  1. 방문자 단말과 거주자 단말 간 연락처 등록에 기초하여 방문자 인증을 수행하는 방문자 인증부;
    상기 방문자의 인증이 완료되면 도어락 비밀번호로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에 제공하는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부; 및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 도어의 오픈을 결정하고 상기 방문자의 방문정보를 상기 거주자 단말에 제공하는 도어 개폐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 인증부는
    상기 방문자 단말의 본인 인증을 위한 QR 코드를 스캔하고 스캔한 QR 코드를 통해 상기 방문자의 본인 인증을 수행하고, 본인 인증 후 상기 방문자 단말의 연락처가 상기 거주자 단말의 연락처에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통해 방문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 인증부는
    방문자 인증 과정에서 상기 방문자의 연락처가 상기 거주자 단말의 연락처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거주자와 상기 방문자 간의 통화를 통해 방문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 인증부는
    상기 방문자의 본인 인증 과정에서 범죄자 알림 앱과 연동하여 상기 방문자의 범죄 이력을 조회하고 범죄 이력 조회 결과를 상기 거주자 단말에 알림 제공하여 상기 거주자로 하여금 상기 방문자의 인증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 인증부는
    상기 방문자 인증 과정에서 상기 거주자 단말이 도어락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벗어나 있는 경우 상기 거주자 단말에 통화 연결하여 상기 거주자와 상기 방문자 간 대화를 통해 방문자 인증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부는
    기 저장된 난수발생 알고리즘에 상기 거주자에 의해 지정된 비밀번호와 도어락 고유 SN(serial number) 식별자를 입력 시드로 적용하여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부는
    도어의 손잡이 부분에 온도 센서를 장착하고 상기 도어 손잡이를 파지한 상기 방문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상기 방문자의 체온, 방문시간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방문정보를 상기 거주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가 특정번호를 입력하거나 또는 특정버튼을 누르면 위급 상황 발생으로 인지하고 상기 거주자 단말 및 지정된 연락처로 위급 상황 알림을 제공하는 위급 상황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
KR1020200169222A 2020-12-07 2020-12-07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 KR102470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222A KR102470205B1 (ko) 2020-12-07 2020-12-07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222A KR102470205B1 (ko) 2020-12-07 2020-12-07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283A true KR20220080283A (ko) 2022-06-14
KR102470205B1 KR102470205B1 (ko) 2022-11-23

Family

ID=81980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222A KR102470205B1 (ko) 2020-12-07 2020-12-07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20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3811A (ko) * 2010-08-06 2012-02-15 김한종 디지털 도어락
KR101689121B1 (ko) * 2015-12-14 2017-01-02 김준영 출입권한 관리시스템 및 그 출입 인증방법
KR20170033534A (ko) * 2015-09-17 2017-03-27 이근장 얼굴 인식 디지털 도어록
KR20170047797A (ko) 2015-10-23 2017-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락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170104084A (ko) * 2016-03-04 2017-09-14 최기찬 스마트 폰을 이용한 자동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108347B1 (ko) 2018-01-09 2020-05-29 (주)링크일렉트로닉스 일회용 비밀번호를 이용한 도어락 잠금해제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KR20200092608A (ko) * 2019-01-25 2020-08-04 정성현 공동현관 및 지하 주차장 출입문의 출입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
KR20200093790A (ko) * 2019-01-29 2020-08-06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락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3811A (ko) * 2010-08-06 2012-02-15 김한종 디지털 도어락
KR20170033534A (ko) * 2015-09-17 2017-03-27 이근장 얼굴 인식 디지털 도어록
KR20170047797A (ko) 2015-10-23 2017-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락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101689121B1 (ko) * 2015-12-14 2017-01-02 김준영 출입권한 관리시스템 및 그 출입 인증방법
KR20170104084A (ko) * 2016-03-04 2017-09-14 최기찬 스마트 폰을 이용한 자동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108347B1 (ko) 2018-01-09 2020-05-29 (주)링크일렉트로닉스 일회용 비밀번호를 이용한 도어락 잠금해제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KR20200092608A (ko) * 2019-01-25 2020-08-04 정성현 공동현관 및 지하 주차장 출입문의 출입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
KR20200093790A (ko) * 2019-01-29 2020-08-06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락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205B1 (ko) 202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2674B2 (en) Man-machine interface for controlling access to electronic devices
US10171444B1 (en) Securitization of temporal digital communications via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for wireless user and access devices
US20170264608A1 (en) Visual biometric authentication supplemented with a time-based secondary authentication factor
US119007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redential activation layered security
KR101668958B1 (ko) 휴대용 스마트 단말기 및 안면인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
KR101270941B1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인증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1165325B1 (ko) 일회용 바코드를 이용한 도어락 개폐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도어락 장치
CN103021045A (zh) 移动终端用户验证智能门禁系统
US11496471B2 (en) Mobile enrollment using a known biometric
US10742410B2 (en) Updating biometric template protection keys
JP6961555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JP2009150192A (ja) 入場制限装置及び入場制限システム
Shafique et al. Modern authentication techniques in smart phones: Security and usability perspective
CN104820805A (zh) 一种用户身份识别卡信息防盗的方法及装置
JP2018136886A (ja) 可搬型機器および認証方法
JP6707702B1 (ja) ユーザ認証装置及びプログラム
Govindraj et al. Smart door using biometric NFC band and OTP based methods
EP3622429B1 (en) Methods and devices of enabling authentication of a user of a client device over a secure communication channel based on biometric data
Bodepudi et al. Cloud-Based Biometric Authentication Techniques for Secure Financial Transactions: A Review
US11165772B2 (en) Methods and devices of enabling authentication of a user of a client device over a secure communication channel based on biometric data
JP2005036523A (ja) 電子ロック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携帯情報端末及び認証装置
KR102470205B1 (ko)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장치
US10645070B2 (en) Securitization of temporal digital communications via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for wireless user and access devices
KR101988365B1 (ko) 얼굴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Islam et al. Multi Level Bank Locker Security System with Digital Signature Authentication and Internet of Th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