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0262A - 애완동물용 안전패드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안전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0262A
KR20220080262A KR1020200169179A KR20200169179A KR20220080262A KR 20220080262 A KR20220080262 A KR 20220080262A KR 1020200169179 A KR1020200169179 A KR 1020200169179A KR 20200169179 A KR20200169179 A KR 20200169179A KR 20220080262 A KR20220080262 A KR 20220080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s
pet
unit
pad
safety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8692B1 (ko
Inventor
김수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69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692B1/ko
Publication of KR20220080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7Mats;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02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only mechanical transmiss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애완동물용 안전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애완동물에게 위험할 수 있는 장소로 애완동물이 진입함을 주인에게 알려주고, 애완동물의 진입을 방지하는 애완동물용 안전패드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공기를 수용하는 본체부;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본체부 내부에 공기가 흡입, 배출되는 출입부; 및 출입부에 고정 설치되어, 출입부에 공기가 흡입, 배출될 때 소리를 발생시켜주는 알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안전패드{Safety pad for pets}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애완동물용 안전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애완동물에게 위험할 수 있는 장소로 애완동물이 진입함을 주인에게 알려주고, 애완동물의 진입을 방지하는 애완동물용 안전패드에 관한 것이다.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의 발달로 사회에 핵가족화가 진행되고, 1인 가구가 늘어남에 따라, 외로움과 공허감을 채우기 위해서 개와 고양이 같은 애완동물을 가족처럼 키우는 가정이 급증하고 있다. 공원을 가지는 전원주택이 아닌 공원이 없는 빌라나 아파트 등의 건물에 사는 도시민들은 애완동물을 집에서 기르게 되는데, 이때 사람이 사는 공간에서 애완동물의 습성이나 생활패턴이나 방식이 맞지 않아 주인과 애완동물이 서로 스트레스가 쌓이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품들도 다양하게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애완동물용 패드는, 애완동물의 배변활동과 휴식공간 등의 공간으로 인식하게 하여, 애완동물이 아무데서나 용변을 보지 않고, 패드에서 용변을 볼 수 있게 하고, 개별적인 휴식이나 잠을 안락하게 청할 수 있는 패드를 제공함으로써, 애완동물과 주인 사이에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보다 주인이 애완동물을 기르기 용이하고, 애완동물도 주인과 같이 집안에서 살 수 있게 도와주는 애완동물용 패드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특허 출원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07739호(2020.04.28. 등록)는 애완동물용 배변패드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베이스패드; 베이스패드의 상부에 배치되는 극세사 재질의 극세사패드; 극세사패드를 베이스패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을 포함하되, 극세사패드의 상면에는 수분을 흡수하는 복수의 흡수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흡수돌기는, 심지; 심지의 외주면에 방사형태로 돌출된 복수의 흡수모; 심지의 상단에 사방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건조모; 를 포함하되, 건조모의 길이가 흡수모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이웃한 건조모들은 상호 교차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흡수돌기는 상단 면적이 넓어져 건조 속도가 빨라지며, 상단이 건조된 후 애완동물이 흡수돌기를 밟고 지나가더라도, 극세사패드에 침투된 수분이 흡수돌기의 상단에 막혀 위로 올라오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와 흡수돌기에 실 형태의 흡수모와 건조모가 구비됨으로써, 흡수돌기의 면적을 최대화하여 건조 속도를 증가시키고, 건조모의 길이가 흡수모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흡수모 보다 신속히 건조되도록 하는 효과와 건조모가 상호 교차되게 형성되어 흡수모의 하단이나 극세사패드에 흡수된 수분이 건조모의 위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여 애완동물이 상기 극세사패드를 밟더라도 발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68777호(2015.11.06. 등록)는 애완동물이 깔고 앉는 방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은 보온하는 애완동물용 방석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깔고 앉을 수 있는 패드부; 패드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중을 검출하여 정보를 생성하는 다수의 감지부; 패드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발열수단; 및 감지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발열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는, 애완동물이 패드부에 앉을 경우 설정시간이 지난 후에 발열수단을 작동하며, 발열수단이 작동한 후에 감지부에서 아무것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설정시간 동안 발열수단의 작동을 유지한 후에 발열수단의 작동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애완동물의 배변이나 휴식 및 수면을 위한 패드를 제공하고 있으나, 베란다, 작업공간, 날카롭거나 무거운 물건이 적재된 창고 등의 위험한 장소로 진입하는 애완동물이 입구에 설치된 패드를 밟으면, 애완동물에게 경고함과 동시에 주인이 인지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며, 경고를 무시하고 애완동물이 계속 진입 시, 애완동물의 진입을 방지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07739호 한국등록특허 제10-156877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애완동물에게 위험할 수 있는 장소로 애완동물이 진입함을 주인에게 알려주고, 애완동물의 진입을 방지하는 애완동물용 안전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공기를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 내부에 공기가 흡입, 배출되는 출입부; 및 상기 출입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출입부에 공기가 흡입, 배출될 때 소리를 발생시켜주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안전패드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실리콘, 천연고무, 폴리우레탄 중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알림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 입구에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리부재는, ‘+’형태나 ‘*’형태로 형성되어, 공기의 흡입이나 배출시 공기의 마찰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애완동물용 안전패드는,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바닥에 부착 고정되는 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착부는, 바닥에 흡착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흡착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애완동물용 안전패드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압력을 감지해서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는 압력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애완동물용 안전패드는, 상기 압력센서부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인가받으면, 발광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애완동물용 안전패드는, 상기 압력센서부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인가받으면, 정보통신기기에 알려주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애완동물용 안전패드는, 상기 신호생성부에서 생성된 신호를 정보통신기기에 전송해주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정보통신기기는, 휴대폰, 블루투스 스피커, 블루투스 이어폰, tv, 컴퓨터, 스마트위치 중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애완동물용 안전패드는, 상기 압력센서부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인가받으면, 향을 발산하는 스프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프레이부는, 오랜지향, 후추향, 매운고추향 중 하나의 향을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애완동물에게 위험할 수 있는 장소로 애완동물이 진입함을 주인에게 알려주고, 애완동물의 진입을 방지하는 애완동물용 안전패드를 제공함으로써, 베란다, 작업공간, 날카롭거나 무거운 물건이 적재된 창고 등의 위험한 장소로 진입하는 애완동물이 입구에 설치된 패드를 밟으면, 애완동물에게 경고함과 동시에 주인이 인지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경고를 무시하고 계속 진입 시, 애완동물의 진입을 방지한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안전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애완동물용 안전패드의 단면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애완동물용 안전패드의 작동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애완동물용 안전패드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안전패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안전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있는 애완동물용 안전패드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애완동물용 안전패드(10)는, 본체부(100), 출입부(200), 알림부(3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공기를 수용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실리콘, 천연고무, 폴리우레탄 중 하나의 탄성과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애완동물이 밟으면 수축하며 출입부(200)를 통해 내부에 있는 공기가 배출되고, 애완동물이 발을 떼면 팽창하며 출입부(20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흡입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400×500(mm)의 크기의 직사각형 형태나, 원형, 삼격형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기 설정된 넓이(예를 들어 100×100(mm))만큼 파트를 나누어 형성된 복수개의 파트부재(110)를 포함하여, 애완동물이 밟을 시 하중이 본체부(100) 전체에 퍼지지 않고, 파트부재(110)에 집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테두리에 연결 형성되어, 외부의 날카로운 물체나 애완동물의 발톱에 의해 본체부(100)가 뜯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보호하는 쿠션을 가지는 쿠션테두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쿠션테두리(120)는, 내부에 공기를 포함하는 에어쿠션으로 형성되어, 쿠션을 가지며 본체부(100)의 테두리를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상면에 위치되어, 애완동물의 발톱에 의해 뜯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커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표지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커버는, 상면에 다수의 극세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져, 애완동물의 발톱에 쉽게 뜯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애완동물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본체부(100)를 받쳐주는 받침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부재(130)는, 고분자 플라스틱, 천연고무와 같은 내수성과 경도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부재(130)는, 본체부(100)에 출입부(200)가 형성되는 위치에 출입 관통홀(130a)이 형성되어, 출입부(200)의 공기 흡입, 배출을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출입부(200)는, 본체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본체부(100) 내부에 공기가 흡입, 배출된다.
일 실시 예에서, 출입부(200)는, 본체부(100)(즉, 파트부재(110)의 저면에 형성되어, 애완동물이 출입부(200)를 밟아서 막아 본체부(100) 내부의 공기의 배출을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입부(200)는, 상술한 본체부(100) 저면이 아닌 상면 측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입부(200)는, 알림부(30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알림부(300)가 삽입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알림부(300)는, 출입부(200)에 고정 설치되어, 출입부(200)에서 공기가 흡입, 배출될 때 소리를 발생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부(300)는, 출입부(200)에 삽입 후 테두리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부(3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홀(310a)이 구비되어, 관통홀(310a)의 입구(311)에서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통홀(310a)은, 입구(311)가 ‘+’형태나 ‘*’형태로 형성되어, 공기의 흡입이나 배출시 공기의 마찰로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소리부재(310)는, 상부에 형성되어, 출입부(200)에서 빠지지 않도록 상부걸림턱(312)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소리부재(310)는, 하부에서 중앙부까지 지름이 굻어지게 형성되어, 출입부(200)에 삽입이 용이하고, 빠지지 않도록 하부걸림턱(313)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에에서, 소리부재(310)는, 관통홀(310a) 내부에 설치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수직으로 관통되는 증폭관통홀(314a)이 구비되어, 흡입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빠르게 하여(유입되는 단면적이 작아지면 유동속도가 높아짐) 입구(311)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증폭시키는 증폭수단(3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애완동물용 안전패드(10)는, 부착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착부(400)는, 본체부(100)(즉, 받침부재(13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바닥에 부착 고정된다.
일 실시 예에서, 부착부(400)는, 천연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연성과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우산형으로 형성되어, 바닥에 부착될 시 부착부(400) 내부의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가며 바닥에 흡착되어, 사람이나 애완동물이 본체부(100)를 밟고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애완동물용 안전패드(10)는, 압력센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센서부(500)는,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애완동물이 본체부(100)를 밟으며 생기는 압력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일 실시 예에서, 압력센서부(500)는, 본체부(10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압력센서부(500)는, 본체부(100)의 내부 저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압력센서부(500)는,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애완동물이 본체부(100)(즉, 파트부재(110))를 밟을 때 생기는 압력을 전달해주는 용수철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애완동물용 안전패드(10)는, 애완동물에게 위험할 수 있는 장소(예를 들어, 베란다, 주인의 작업공간, 창고 등)에 배치하여, 애완동물이 진입하면서 애완동물용 안전패드(10)를 밟으면, 본체부(100)가 수축하며, 본체부(100) 내부의 공기가 출입부(200)에 설치된 알림부(300)를 통해 배출되며, 알림부(300)의 소리부재(310)(즉, 입구(311)에서 공기마찰로 소리가 발생하여 주인에게 애완동물의 위함한 장소에 진입함을 알릴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애완동물용 안전패드의 작동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있는 애완동물용 안전패드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애완동물용 안전패드(10)는, 본체부(100), 압력센서부(500), 발광부(600), 신호생성부(700), 무선통신부(800), 스프레이부(9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00)와 압력센서부(500)는 도 1과 도 2의 구성요소과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발광부(600)는, 본체부(100)에 연결 설치되어, 압력센서부(500)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인가받으면, 전원을 인가받아 발광하여 주인에게 알려준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부(600)는, 건전지나 배터리가 구비되어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부(600)는, 어두운 파란색이나 보라색 빛을 비춰서, 주인에게 애완동물의 위험지역 진입을 알리고, 애완동물에게 진입하지 못하게 경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개는 빨간색과 초록색을 구별하지 못하며, 고양이는 빨간색을 구분하지 못한다. 그리고, 고양이는 검은색이나 회색, 광택의 어두운 색상을 싫어한다고 알려져 있다.
신호생성부(700)는, 압력센서부(500)에 연결 설치되어, 압력센서부(500)에서 생성한 신호를 인가받으면, 주인의 정보통신기기에 알려주기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정보통신기기는, 휴대폰, 블루투스 스피커, 블루투스 이어폰, tv, 컴퓨터, 스마트워치로 구비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800)는, 신호생성부(700)에서 생성된 신호를 주인의 정보통신기기에 전송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무선통신부(800)는, 와이파이나 블루투스를 통해 주인의 정보통신기기에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프레이부(900)는, 본체부(100)에 연결 설치되어, 압력센서부(500)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5초 내지 4초)동안 인가받으면, 애완동물이 싫어하는 향을 발산하여, 애완동물이 계속 진입하는 것을 막아주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에에서, 스프레이부(900)는, 오랜지향, 후추향, 매운고추향 중 하나의 향을 발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후추와 매운고추는 후각이 발달한 개나 고양이가 싫어하는 냄새이며, 특히 개에게 후추향과 매운고추는 기침을 유발하며, 치명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오랜지향은 개와 고양이가 싫어하지만 유해하지 않으며, 사람이 좋아하는 향이기 때문에 오랜지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스프레이부(900)는, 스프레이 본체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음), 스프레이(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음), 스위치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레이 본채부재는, 본체부(100)에 연결 설치되어, 내부에 스프레이를 보관한다.
스프레이는, 스프레이 본채부재의 내부에 체결되어, 스위치부재의 상하운동에 의해 스프레이상에 위치되는 스프레이 발사수단(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음)에 의해 내부에 보관된 향을 분사한다.
스위치부재는, 스프레이 본채부재 내부에 설치되고 스프레이 상에 위치되어, 압력센서부(500)에서 생성된 신호가 인가되면, 스프레이의 스프레이 발사수단을 눌러 스프레이가 향을 분사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애완동물용 안전패드
100: 본체부
110: 파트부재
120: 쿠션테두리
130: 받침부재
130a: 출입 관통홀
200: 출입부
300: 알림부
310: 소리부재
310a: 관통홀
311: 입구
312: 상부걸림턱
313: 하부걸림턱
314: 증폭수단
314a: 증폭관통홀
400: 부착부
500: 압력센서부
510: 용수철부재
600: 발광부
700: 신호생성부
800: 무선통신부
900: 스프레이부

Claims (5)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공기를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 내부에 공기가 흡입, 배출되는 출입부; 및
    상기 출입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출입부에 공기가 흡입, 배출될 때 소리를 발생시켜주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안전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 입구에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안전패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부재는,
    ‘+’형태나 ‘*’형태로 형성되어, 공기의 흡입이나 배출시 공기의 마찰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안전패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바닥에 부착 고정되는 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안전패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바닥에 흡착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흡착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안전패드.
KR1020200169179A 2020-12-07 2020-12-07 애완동물용 안전패드 KR102508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179A KR102508692B1 (ko) 2020-12-07 2020-12-07 애완동물용 안전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179A KR102508692B1 (ko) 2020-12-07 2020-12-07 애완동물용 안전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262A true KR20220080262A (ko) 2022-06-14
KR102508692B1 KR102508692B1 (ko) 2023-03-13

Family

ID=8198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179A KR102508692B1 (ko) 2020-12-07 2020-12-07 애완동물용 안전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69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2373A (ja) * 1992-02-27 1993-09-21 Daifuku Co Ltd 警報マット
JPH05266370A (ja) * 1992-03-18 1993-10-15 Daifuku Co Ltd 警報装置
JP3066550U (ja) * 1999-08-11 2000-02-25 竜雄 佐藤 ペットのトイレ出入報知器
US20040216694A1 (en) * 2003-04-30 2004-11-04 Radio Systems Corporation Pet repelling mat
KR101568777B1 (ko) 2014-01-08 2015-11-1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용 방석
US20170238506A1 (en) * 2016-02-18 2017-08-24 JSW Pet Products, LLC E-dog training mat
US20190164391A1 (en) * 2017-11-30 2019-05-30 Ricky Philippi Proximity alert system
KR102107739B1 (ko) 2019-11-29 2020-05-07 김기윤 애완동물용 배변패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6550B2 (ja) 1991-08-16 2000-07-17 三菱電機ホーム機器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床ブラシ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2373A (ja) * 1992-02-27 1993-09-21 Daifuku Co Ltd 警報マット
JPH05266370A (ja) * 1992-03-18 1993-10-15 Daifuku Co Ltd 警報装置
JP3066550U (ja) * 1999-08-11 2000-02-25 竜雄 佐藤 ペットのトイレ出入報知器
US20040216694A1 (en) * 2003-04-30 2004-11-04 Radio Systems Corporation Pet repelling mat
KR101568777B1 (ko) 2014-01-08 2015-11-1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용 방석
US20170238506A1 (en) * 2016-02-18 2017-08-24 JSW Pet Products, LLC E-dog training mat
US20190164391A1 (en) * 2017-11-30 2019-05-30 Ricky Philippi Proximity alert system
KR102107739B1 (ko) 2019-11-29 2020-05-07 김기윤 애완동물용 배변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8692B1 (ko) 202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7045B1 (en) Pet waste station and training device
US4980940A (en) Core material for bed and bed made therefrom
US20150114301A1 (en) Scent training device
KR101568777B1 (ko) 애완동물용 방석
KR101874517B1 (ko) 건조기능을 구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애완동물용 하우스
US20060260551A1 (en) Multiple function animal furniture system
KR20180046455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애완동물 케어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1783846B1 (ko)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KR101388921B1 (ko) 향기 발산 기능을 갖는 애완동물용 방석 및 그 제어방법
US20160278588A1 (en) Bathing aid travel and drying device
KR101510209B1 (ko) 애완동물용 방석
US6318291B1 (en) Pet bowl with means to notify a pet owner that the bowl is empty
KR20220080262A (ko) 애완동물용 안전패드
KR20140104082A (ko) 애완 동물용 하우스
US20210316024A1 (en) Uvc sanitation device and system for footwear and apparel and related methods
KR20210062995A (ko) 애완동물 놀이 및 훈련 시스템
US20060260549A1 (en) Multiple function animal bed
CN209931318U (zh) 一种驱赶装置
KR101523529B1 (ko) 자외선 광원을 포함한 진드기 제거장치
US20090188435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ecuring pet doors
KR100704844B1 (ko) 발건조기
KR20120042620A (ko) 애완견용 먹이 공급 및 운동장치
US20220155482A1 (en) Remote insect detector
KR20200111603A (ko) 애완 동물용 통풍매트
US20190380301A1 (en) Pet lounging m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