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9373A - Computer case with air washing - Google Patents

Computer case with air was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9373A
KR20220079373A KR1020210021290A KR20210021290A KR20220079373A KR 20220079373 A KR20220079373 A KR 20220079373A KR 1020210021290 A KR1020210021290 A KR 1020210021290A KR 20210021290 A KR20210021290 A KR 20210021290A KR 20220079373 A KR20220079373 A KR 20220079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case
area
air
cool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2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93389B1 (en
Inventor
박동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고뭉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고뭉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고뭉치
Publication of KR20220079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3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3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ultra-fine filter sheets or diaphrag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케이스에 대한 것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영역을 커버하는 제1 쿨러부와, 상기 제2 영역을 커버하며 상기 제2 영역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블라인드를 구비하는 제1 레이어와, 상기 제1 레이어에 중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쿨러부에 오버랩(overlap)되며 공기 정화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와, 상기 블라인드에 오버랩되는 제2 쿨러부를 구비하는 제2 레이어 및, 상기 제1 쿨러부와 상기 제2 쿨러부 및, 상기 블라인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쿨러부의 구동에 따른 흡입력으로 상기 제1 쿨러부에 오버랩된 상기 필터부를 통해 여과된 공기가 상기 컴퓨터 케이스 내부로 흡입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블라인드를 제어 및 상기 제2 쿨러부가 구동을 정지하도록 상기 제2 쿨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 case, which is formed to cover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of a suction por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 first cooler part covering the first area, and a first cooler part covering the second area and covering the second area A first layer having a blind for opening or closing two areas, a filter unit formed to overlap the first layer, the filter unit overlapping the first cooler unit, and including an air purification filter; a second layer having an overlapping second cooler par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irst cooler part, the second cooler part, and the blind. When the air filtered through the filter unit overlapping the first cooler unit is sucked into the computer case, the second cooler is controlled to close the second area and the second cooler unit stops driving. It is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wealth.

Description

공기 청정 기능을 가지는 컴퓨터 케이스{COMPUTER CASE WITH AIR WASHING}Computer case with air cleaning function {COMPUTER CASE WITH AIR WASHING}

본 발명은 컴퓨터 케이스에 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공기 청정 기능을 가지는 컴퓨터 케이스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 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uter case having an air cleaning function.

요즈음에는 황사와 같은 미세먼지 및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이, 공기를 매개로 하는 전염될 수 있는 바이러스성 질병의 위협으로 인하여 깨끗한 공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오염된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나 바이러스 등을 걸러내어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청정기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These days, the need for clean air is emerging due to the threat of airborne contagious viral diseases, such as fine dust such as yellow dust and corona virus. Accordingly, the demand for an air purifier that purifies the air by filtering fine dust or viruses from the polluted air is increasing significantly.

공기 청정기는 일반적으로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로부터 미세먼지와 바이러스를 걸러낸 후 깨끗한 공기를 배출하는 여과 또는 정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주변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공기 청정기는 일정 시간 동안에 흡입되는 공기의 양과 여과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그 공기 청정기로 사용 가능한 사용 면적이 결정될 수 있으며, 고가의 공기 청정기일 수록 사용 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Air purifiers generally inhale polluted air, filter fine dust and viruses from the inhaled air, and then repeat the filtration or purification process to discharge clean air to purify the surrounding air. Accordingly, the usable area of the air purifier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that is sucked in and the amount of air that is filtered and discharg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more expensive the air purifier is, the larger the use area may be.

한편 사용 면적이 적은 공기 청정기의 경우 사용 면적이 넓은 공기 청정기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저렴한 공기 청정기의 경우 좁은 사용 면적을 가지며, 이로 인해 사무실, PC방 등 일반 가정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공간에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공기 청정기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air purifier having a small use area,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ice is lower than that of an air purifier having a large use area. However, inexpensive air purifiers have a narrow usage area, so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number of air purifiers must be used to purify air in a space having a larger area than a general home, such as an office or a PC room.

이 경우 다수의 공기 청정기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요구되며, 비록 개개의 가격은 저렴하지만, 이를 다수 구매하기 위한 높은 비용이 요구된다는 문제가 있다. In this case, a space for arranging a plurality of air purifiers is required, and although individual prices are low,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high cost is required to purchase a plurality of them.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사용하는 컴퓨터를 통해 공기 청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and other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uter case that can provide an air cleaning function through a computer used by a user.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구동시, 컴퓨터의 각 구성요소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킴과 동시에, 공기 청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uter case capable of effectively cooling the heat generated by each component of the computer while driving the computer and providing an air cleaning function.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내부의 발열을 억제하는 냉각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공기 청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uter case capable of providing an air cleaning function while maintaining the cooling performance of suppressing heat inside the computer as it is.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컴퓨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영역을 커버하는 제1 쿨러부와, 상기 제2 영역을 커버하며 상기 제2 영역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블라인드를 구비하는 제1 레이어와, 상기 제1 레이어에 중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쿨러부에 오버랩(overlap)되며 공기 정화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와, 상기 블라인드에 오버랩되는 제2 쿨러부를 구비하는 제2 레이어 및, 상기 제1 쿨러부와 상기 제2 쿨러부 및, 상기 블라인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쿨러부의 구동에 따른 흡입력으로 상기 제1 쿨러부에 오버랩된 상기 필터부를 통해 여과된 공기가 상기 컴퓨터 케이스 내부로 흡입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블라인드를 제어 및 상기 제2 쿨러부가 구동을 정지하도록 상기 제2 쿨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uter case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is formed to cover the first and second areas of the inlet, and the first A first layer having a first cooler part covering an area, a blind covering the second area and opening or closing the second area, is formed to overlap the first layer, and the first cooler part A second layer having a filter unit overlapping with and including an air purification filter and a second cooler unit overlapping the blind, the first cooler unit and the second cooler unit, and controlling the blind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loses the second area when the air filtered through the filter unit overlapping the first cooler unit is sucked into the computer case by a suction forc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irst cooler unit. to control the blind and to control the second cooler unit to stop driving of the second cooler uni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컴퓨터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온도가 기 설정된 제1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을 개방하도록 상기 블라인드를 제어 및, 상기 개방된 제2 영역을 통해 상기 컴퓨터 케이스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제2 쿨러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detects a temperature inside the computer case, and controls the blind to open the second area when the detected temperature exceeds a preset first temperature, and The second cooler is driven so that air from outside the computer case is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area.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이 개방 및 상기 제2 쿨러부가 구동된 경우, 상기 컴퓨터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재검출하고, 재검출된 온도가 기 설정된 제2 온도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블라인드를 제어 및 상기 제2 쿨러부가 구동을 정지하도록 상기 제2 쿨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re-detects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mputer case when the second region is opened and the second cooler is driven, and when the re-detected temperatur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second temperature,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lind is controlled to close the second region and the second cooler unit is controlled to stop the driving of the second cooler uni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와 제2 온도는, 서로 다른 온도이며, 상기 제2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온도임을 특징으로 한다. In an embodiment, the first temperature and the second temperature are different temperatures, and the second temperature is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내부의 온도는, 상기 컴퓨터 케이스에 탑재되는 CPU 또는 메인보드로부터 검출되는 온도임을 특징으로 한다. In an embodiment,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mput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temperature detected from a CPU or a main board mounted on the computer cas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 필터는, 기 설정된 등급 이상의 헤파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이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컴퓨터 케이스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 embodiment, the air purification filter is a high-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of a predetermined grade or higher, and the filter unit is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computer cas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폐쇄 여부에 따라, 공기 정화 기능이 동작 중인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dicator unit for displaying whether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is in oper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second area is closed.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컴퓨터 케이스에 탑재되는 CPU, 또는 상기 컴퓨터 케이스에 탑재되는 메인보드의 제어부임을 특징으로 한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is a CPU mounted on the computer case, or a control unit of the main board mounted on the computer cas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 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을 커버하는 상기 제1 쿨러부는, 상기 제2 영역을 커버하는 블라인드에 오버랩되는 상기 제2 쿨러부보다 더 많은 쿨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 embodiment, the suction port includes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the first area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second area, and the first cooler part covering the first area may inclu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more coolers than the second cooler part overlapping the blind covering the second area.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컴퓨터 케이스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uction por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computer cas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컴퓨터 케이스의 상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uction por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omputer cas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케이스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 외에는 공기가 유통되지 않도록 상기 컴퓨터 케이스 내부가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 embodiment, the computer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of the computer case is sealed so that air does not flow except for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컴퓨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영역을 커버하는 제1 쿨러부와, 상기 제2 영역을 커버하는 제2 쿨러부를 구비하는 제1 레이어와, 상기 제1 레이어에 중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쿨러부에 오버랩(overlap)되며 공기 정화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와, 상기 제2 쿨러부에 오버랩되며 상기 제2 영역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블라인드를 구비하는 제2 레이어 및, 상기 제1 쿨러부와 상기 제2 쿨러부 및, 상기 블라인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쿨러부의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공기 압력으로 상기 제1 쿨러부에 오버랩된 상기 필터부를 통해 여과된 공기가 상기 컴퓨터 케이스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블라인드를 제어 및 상기 제2 쿨러부가 구동을 정지하도록 상기 제2 쿨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uter case having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nd is formed to cover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of the outlet, A first layer having a first cooler unit covering the first area and a second cooler unit covering the second area, the first layer being overlapped with the first layer, and overlapping the first cooler unit; a second layer having a filter unit including an air purification filter, a blind overlapping the second cooler unit and opening or closing the second region, the first cooler unit and the second cooler unit;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lind,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allow air filtered through the filter unit overlapping the first cooler unit with air pressu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irst cooler unit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mputer case. , controlling the blind to close the second region and controlling the second cooler unit to stop driving of the second cooler uni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컴퓨터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온도가 기 설정된 제1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을 개방하도록 상기 블라인드를 제어 및, 상기 개방된 제2 영역을 통해 상기 컴퓨터 케이스 외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제2 쿨러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detects a temperature inside the computer case, and controls the blind to open the second area when the detected temperature exceeds a preset first temperature, and The second cooler is driven so that air outside the computer case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area.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이 개방 및 상기 제2 쿨러부가 구동된 경우, 상기 컴퓨터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재검출하고, 재검출된 온도가 기 설정된 제2 온도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블라인드를 제어 및 상기 제2 쿨러부가 구동을 정지하도록 상기 제2 쿨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re-detects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mputer case when the second region is opened and the second cooler is driven, and when the re-detected temperatur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second temperature,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lind is controlled to close the second region and the second cooler unit is controlled to stop the driving of the second cooler uni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컴퓨터 케이스의 후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computer cas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컴퓨터 케이스의 저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mputer case.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comput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별도의 공기 청정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컴퓨터 구동에 따라 컴퓨터 주변의 공기를 정화하므로,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자 주변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urifies the air around the comput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mputer without using a separate air purifier, so that the air around the user can be purified at a lower cost. It works.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가 컴퓨터의 기능을 사용함과 동시에, 공기 청정기의 기능을 겸용하도록 함으로써, 컴퓨터가 배치되는 영역에 따라 공기 청정 영역이 확대될 수 있다. 더욱이 컴퓨터가 많을수록 공기 청정 효과는 더욱 증대되므로, 컴퓨터가 다수 배치되는 사무실이나 PC방 등에서 보다 공기 정화 기능이 증대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uter uses the function of the computer and the function of the air purifier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air cleaning area can be expanded according to the area where the computer is arranged. Moreover, the more computers there are, the more the air cleaning effect increases, so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can be increased more than in an office or a PC room where a lot of computers are placed.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의 기능을 겸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가 다수 배치되는 경우, IOT(Internet Of Things) 기능을 이용하여 오염도가 높은 영역을 중심으로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다수의 컴퓨터를 제어함으로써, 공기 청정 효과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compu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ombine the function of an air purifier are disposed, the plurality of computers may be circulated around an area with a high degree of pollution by using an Internet Of Things (IOT) function. By controlling the comput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ir cleaning effect can be further increased.

도 1은 컴퓨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공기가 유입되는 전면부 흡입구에 공기 청정 필터와 블라인드 및 복수의 쿨러가 배치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흡입구의 제1 영역에 형성된 제1 쿨러부와, 상기 흡입구의 제2 영역에 형성된 블라인드의 외관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블라인드가 클로즈 또는 오픈되어 상기 통풍구의 제2 영역을 폐쇄하거나 또는 개방하는 동작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쿨러부에 오버랩되는 공기 청정 필터와, 블라인드에 오버랩되는 제2 쿨러부의 외관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의 제어부가, 제1 쿨러부와 제2 쿨러부를 제어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에서, 흡입구의 제1 영역이 제2 영역보다 넓게 형성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에서, 제1 쿨러부에 오버랩되도록 부착된 필터부가 분리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에서, 공기 청정 기능과 관련된 정보들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부를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도 9는 공기 유입을 위한 흡입구가 상면부에 형성된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컴퓨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공기가 배출되는 후면부 배출구에 공기 청정 필터와 블라인드 및 복수의 쿨러가 배치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배출구가 저면부에 형성된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가 탑재된 컴퓨터들이 다수 배치된 공간에서 공기 청정 기능에 따른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가 탑재된 컴퓨터들이 배치된 공간이 사무실인 경우, 출입구를 중심으로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air cleaning filter, a blind, and a plurality of coolers are disposed at a front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to purify air flowing into the computer.
2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exterior of a first cooler unit formed in a first area of the suction port and a blind formed in a second area of the suction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closing or opening the second area of the ventilation hole by closing or opening the blind shown in FIG. 3 .
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air cleaning filter overlapping a first cooler unit and an external appearance of a second cooler unit overlapping a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in which the controller of the computer case controls the first cooler unit and the second cool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area of the suction port is formed wider than the second area in the computer c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filter unit attached to overlap a first cooler unit is separated in a comput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indicator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air cleaning function in a comput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mput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inlet for introducing air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portion.
1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er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air cleaning filter, a blind, and a plurality of coolers are disposed at the rear outlet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in order to purify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mputer.
11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mput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utlet is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1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ir circulation according to an air cleaning function in a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computers equipped with a comput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osed.
1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ir circulation is centered around an entrance when a space in which computers equipped with a comput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s an offic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lso, 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a meaning or rol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consisting of." or "includes." The term such as etc.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components or some steps may not be included, or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may not be included.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include more.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실시 예들의 조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로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해당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 addition, each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s well as combinations of embodiments, are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correspond to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통상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팬과 흡입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흡입 모터, 그리고 오염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팬, 그리고 배출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배출 모터를 포함하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가진다. In general, an air purifier includes a suction fan for sucking air, a suction motor for driving the suction fan, a filter for filtering polluted air, an exhaust fan for discharging purified air, and an exhaust motor for driving the exhaust fan It has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including

한편 요즈음의 컴퓨터의 경우, 처리 속도의 고속화로 인해 탑재된 CPU와 그래픽 카드 등 내부 부품들로부터 발열이 발생한다. 이에 컴퓨터 내부의 온도를 냉각하기 위한 별도의 냉각 수단이 요구되었으며, 이러한 요구의 일환으로 공랭 방식의 냉각을 위한 복수의 쿨러를 포함하는 컴퓨터 케이스가 등장하게 되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oday's computers, heat is generated from internal components such as the CPU and graphics card installed due to the high processing speed. Accordingly, a separate cooling means for cool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mputer was required, and as a part of this demand, a computer case including a plurality of coolers for air-cooling cooling has appeared.

한편 컴퓨터 케이스에 구비되는 복수의 쿨러는, 컴퓨터 외부로부터 차가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쿨러(cooler)(이하 흡입 쿨러)들 및, 컴퓨터 내부의 더워진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쿨러(이하 배출 쿨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컴퓨터 케이스에 구비되는 흡입 쿨러들과 배출 쿨러들을 각각 흡입 팬 및 흡입 모터 및 배출 팬 및 배출 모터로 이용하여, 컴퓨터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컴퓨터 내부로 흡입하고, 정화된 공기를 컴퓨터 케이스가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컴퓨터 케이스가 내부의 온도를 낮춤과 동시에, 컴퓨터 주변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coolers provided in the computer case include coolers for sucking in cold air from outside the compu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take coolers) and coolers for discharging heated air from inside the compu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exhaust coolers). can do.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urifies the air outside the computer and sucks it into the computer by using the suction coolers and the exhaust coolers provided in the computer case as the suction fan and the suction motor and the exhaust fan and the exhaust motor, respectively, and the purified air is supplied to the computer. By letting the case vent, the computer case cools the inside temperature while simultaneously purifying the air around the computer.

도 1 내지 도 4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10)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to 4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the computer c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은 컴퓨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풍구(이하 흡입구)가 전면에 형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10)의 예를 보이고 있다. First, FIG. 1 shows an example of a computer c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v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computer is formed on the front side.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10)는 공기가 유통되는 통풍구가 서로 다른 영역(제1 영역(131) 및 제2 영역(132))으로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영역(131) 및 제2 영역(132)을 각각 커버하며, 서로 중첩되는 2개의 레이어(layer)(11, 12)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in the computer c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ilation holes through which air is circulated may be divided into different regions (a first region 131 and a second region 132 ). In addition, two layers 11 and 12 each covering the first region 131 and the second region 132 and overlapping each other may be provided.

한편 도 1에서 보이고 있는 컴퓨터 케이스(10)의 경우, 공기가 흡입되는 통풍구(이하 흡입구)가 전면에 형성되므로, 상기 서로 중첩되는 2개의 레이어 중, 컴퓨터 케이스 내부를 기준으로, 내측에 장착되는 레이어를 제1 전면부(11)라고 하기로 하고, 상기 제1 전면부(11)에 오버랩(overlap)되며, 상기 제1 전면부(11)보다 외측에 장착되는 레이어를 제2 전면부(12)라고 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mputer case 10 shown in FIG. 1 , since a ventilation ho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take port)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s formed on the front side, among the two overlapping layers, a layer mounted inside the computer case based on the inside of the computer case will be referred to as the first front part 11, the layer overlapping the first front part 11 and mounted outside the first front part 11 is the second front part 12 to say

그리고 상기 제1 전면부(11)는 흡입구의 제1 영역(131)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제1 쿨러부(101)와, 상기 흡입구의 제2 영역(132)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블라인드(1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면부(12)는 상기 흡입구의 제1 영역(131)을 커버하는 필터부(201) 및 상기 흡입구의 제2 영역(132)을 커버하며 적어도 하나의 쿨러들로 이루어지는 제2 쿨러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front part 11 includes a first cooler part 101 formed to cover the first area 131 of the suction port, and a blind 102 formed to cover the second area 132 of the suction port. and the second front part 12 covers the filter part 201 covering the first area 131 of the suction port and the second area 132 of the suction port and includes at least one cooler A second cooler unit 202 may be included.

도 1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제1 전면부(11)의 제1 쿨러부(101) 상에 제2 전면부(12)의 필터부(201)가 오버랩되고, 제1 전면부(11)의 블라인드(102) 상에 제2 전면부(12)의 제2 쿨러부(202)가 오버랩되도록, 제1 전면부(11) 상에 제2 전면부(12)가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 케이스 내측을 기준으로, 흡입구의 제1 영역(131)은 제1 쿨러부(101)와 상기 제1 쿨러부(101) 상에 적층된 필터부(201)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흡입구의 제2 영역(132)은 블라인드(102)와 상기 블라인드(102) 상에 적층된 제2 쿨러부(202)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 the filter part 201 of the second front part 12 is overlapped on the first cooler part 101 of the first front part 11 , and the The second front part 12 may be stacked on the first front part 11 so that the second cooler part 202 of the second front part 12 overlaps on the blind 102 . Therefore, based on the inside of the computer case, the first area 131 of the suction port is covered by the first cooler unit 101 and the filter unit 201 stacked on the first cooler unit 101, and The second region 132 may be covered by the blind 102 and the second cooler unit 202 stacked on the blind 102 .

여기서 제1 쿨러부(101)와 제2 쿨러부(202)는, 공기 흡입을 위한 쿨러이다. 따라서 컴퓨터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는 방향으로 팬이 회전되도록 형성된 쿨러일 수 있다. 그러므로 공기가 흡입되는 방향을 지향하는 쿨러의 특정 면을 쿨러부의 전면이라고 하고,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지향하는 쿨러의 특정 면을 쿨러부의 후면이라고 하기로 한다. 이 경우 제1 쿨러부(101)와 제2 쿨러부(202)는 전면이 컴퓨터의 외부를 지향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1 쿨러부(101)와 제2 쿨러부(202)의 후면은 컴퓨터의 내부를 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cooler unit 101 and the second cooler unit 202 are coolers for air intake. Therefore, it may be a cooler formed so that the fan rotates in a direction that sucks air from the outside of the computer to the inside. Therefore, a specific surface of the cooler oriented in a direction in which air is sucked is referred to as a front surface of the cooler unit, and a specific surface of the cooler oriented in a direction in which air is discharged is referred to as a rear surface of the cooler unit. In this case, the front surfaces of the first cooler unit 101 and the second cooler unit 202 face the outside of the computer, and the rear surfaces of the first cooler unit 101 and the second cooler unit 202 are inside the computer. It can be arranged to face the

여기서 상기 제1 쿨러부(101)와 제2 쿨러부(202), 그리고 블라인드(10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10)에 구비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컴퓨터 하드웨어의 형태로 별도로 탑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는 컴퓨터 케이스(10)에 형성된 베이(bay)에 별도로 탑재될 수 있도록 형성된 카드 형상의 하드웨어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10)에 탑재되는 메인보드(Main board)의 제어부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10)에 탑재되는 CPU일 수도 있다. Here, the first cooler unit 101, the second cooler unit 202, and the blind 102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computer c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control unit may be formed to be separately mounted in the form of computer hardwar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be a card-shaped hardware formed to be separately mounted in a bay formed in the computer case 10 .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may be a control unit of a main board mounted on the computer c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may be a CPU mounted on the computer c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쿨러부(101)와 상기 블라인드를 포함하는 제1 전면부(11)의 외관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exterior of the first front part 11 including the first cooler part 101 and the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여 제1 전면부(11)를 살펴보면, 제1 전면부(11)는 흡입구의 제1 영역(131)을 커버하며 적어도 하나의 쿨러들로 이루어지는 제1 쿨러부(101) 및, 상기 흡입구의 제2 영역(132)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블라인드(blind)(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라인드(102)는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슬랫(slat)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슬랫의 회전에 따라, 블라인드(102)에 의해 커버되는 상기 흡입구의 제2 영역(132)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Looking at the first front part 11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first front part 11 covers the first area 131 of the inlet and includes a first cooler part 101 comprising at least one cooler, and; It may include a blind 102 formed to cover the second region 132 of the inlet. The blind 102 has a plurality of slats formed to be rotatable, an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slats, the second area 132 of the inlet covered by the blind 102 is opened or It may be configured to close.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블라인드(102)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blind 102 shown in FIG. 2 .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102)는 복수의 슬랫(30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슬랫(300)은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슬랫 각각의 회전축을 소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복수의 슬랫을 소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는 액추에이터 또는 소형의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blind 10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lats (300). And each slat 300 may be formed to be able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rotation shaft 310 . In addition, by rotating the rotation shaf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lats by a predetermined angle, an actuator or a small motor (not shown) capable of rotating the plurality of slats by a predetermined angle may be included.

일 예로, 상기 회전축(310)들은 웜 기어(worm gear) 방식으로 슬랫(310)들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축(310)들은 적어도 하나의 톱니를 포함하는 웜 휠(worm wheal)로서, 상기 회전축(310)들과 직교하는 웜 기어(worm gear) 축의 나사 홈에 각 회전축(310)의 톱니들 중 일부가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추에이터 또는 소형의 모터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웜 기어 축을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각 회전축(310)이 소정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rotation shafts 310 may rotate the slats 310 in a worm gear method. In this case, the rotation shafts 310 are worm wheels including at least one tooth, and the teeth of each rotation shaft 310 are in the screw grooves of the worm gear shaft orthogonal to the rotation shafts 310 . Some of them may be formed to engage. In addition, the actuator or the small motor rotates the worm gear shaft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so that each rotation shaft 310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한편 도 3의 (a)는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102)가 클로즈(close)된 상태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도 3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각 슬랫(300)의 상태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인 경우 제2 영역(132)은 각 슬랫(300)에 의하여 폐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역(132)을 통한 공기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of Figure 3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blind 10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closed. As shown in (a) of FIG. 3 , when the state of each slat 300 is a state in which they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second region 132 may be closed by each slat 300 . In this case, the inflow of air through the second region 132 may be blocked.

이러한 상태에서, 각 슬랫(300)이 소정 각도 회전되면, 즉 도 3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각 슬랫(300)이 서로 맞물리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슬랫과 슬랫 사이의 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슬랫과 슬랫 사이의 틈들로 인하여 컴퓨터 내부와 외부가 통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제2 영역(132)을 통해 컴퓨터 내부와 외부가 통기되는 경우 제2 영역(132)을 통해 컴퓨터 외부의 공기가 컴퓨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즉 블라인드(102)의 오픈(open)으로 제2 영역(132)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132)을 통해 컴퓨터 내부와 외부가 통기될 수 있다. In this state, when each slat 30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that is, as shown in FIG. 3 ( b ), each slat 300 may not engage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a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slats and the slats, and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omputer may be ventilated due to the gaps between the slats and the slats. Also, wh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mputer are ventilated through the second area 132 , air outside the compu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computer through the second area 132 . That is, when the second area 132 is opened by opening the blind 102 ,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omputer may be ventilated through the second area 132 .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블라인드(102)의 구조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일 예로 상기 블라인드(102)는 복수의 슬릿(slit)이 형성된 2개의 슬릿 레이어가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슬릿 레이어와 제2 슬릿 레이어는 서로 중첩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슬릿 레이어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the blind 102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blind 10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wo slit layers in which a plurality of slits are formed cross each other. In this case, the first slit layer and the second slit layer may have a structure overlapping each other, and any one of the slit layers may be formed to be movable up and dow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한편 제1 슬릿 레이어와 제2 슬릿 레이어는 동일한 위치에 복수의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슬릿 레이어와 제2 슬릿 레이어가 완전히 중첩된 상태인 경우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슬릿으로 인하여 컴퓨터 케이스(10) 내부와 외부가 통기될 수 있다(제2 영역(132) 개방). Meanwhile, a plurality of slits may b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first slit layer and the second slit layer. Accordingly, when the first slit layer and the second slit layer are completely overlapped,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omputer case 10 may be ventilated due to the plurality of slits formed at the same position (the second region 132 is opened).

그러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슬릿 레이어가 소정 거리만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면, 제1 슬릿 레이어와 제2 슬릿 레이어의 슬릿들이 형성된 위치들이 서로 어긋나게 된다. 따라서 제1 슬릿 레이어의 슬릿들은, 제2 슬릿 레이어에서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의하여 폐쇄되고, 제2 슬릿 레이어의 슬릿들은, 제1 슬릿 레이어에서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의하여 폐쇄될 수 있다. 즉, 슬릿이 형성된 부분들이 서로 엇갈리면서 블라인드(102)에 의해 제2 영역(132)이 폐쇄될 수 있다. However, when any one slit layer is moved upward or down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positions where the slits of the first slit layer and the second slit layer are formed are shifted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slits of the first slit layer may be closed by a non-slit portion in the second slit layer, and the slits in the second slit layer may be closed by a non-slit portion in the first slit layer. . That is, the second region 132 may be closed by the blind 102 while the portions in which the slits are formed cross each other.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필터부(201)와 제2 쿨러부(202)를 포함하는 제2 전면부(12)의 외관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Meanwhile, 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exterior of the second front part 12 including the filter part 201 and the second cooler part 2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2 전면부(12)는, 상기 흡입구의 제1 영역(131)을 커버하는 필터부(201) 및 상기 흡입구의 제2 영역(132)을 커버하는 제2 쿨러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second front part 12 includes a filter part 201 that covers the first region 131 of the inlet and a second cooler part that covers the second region 132 of the inlet. (202).

상기 필터부(201)는 일정 등급 이상의 헤파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와 같은 공기 정화 필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정화 필터는 상기 필터부(201)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lter unit 201 may include at least one air purification filter such as a high-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of a certain grade or higher. Here, the at least one air purification filter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lter unit 201 .

일 예로 상기 필터부(201)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의 홈을 따라 외력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정화 필터가 필터부(201)에 탑재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lter unit 201 may include a guide unit having a groove formed therein so that at least one filter can be inserted, and the at least one air purification filter is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201 by an external force along the groove of the guide unit. can be mounted on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홈을 따라 외력에 의해 필터부(201) 외부로 당겨지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정화 필터가 분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정화 필터는, 사용자가 임의로 필터부(201)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lso, the at least one air purification filter may be separated while being pulled out of the filter unit 201 by an external force along the groove of the guide unit. That is, the air purifica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so that a user can arbitrarily detach it from the filter unit 201 .

또한 상기 제2 쿨러부(202)는, 흡입구의 제2 영역(132)을 커버하며 적어도 하나의 쿨러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cooler unit 202 covers the second area 132 of the suction port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cooler.

이 경우 상기 제2 쿨러부(202)는 상기 제1 전면부(11)의 블라인드(102)와 연동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블라인드(102)에 의하여 제2 영역(132)이 개방되는 경우 팬을 회전시키도록 제2 쿨러부(202)를 제어하고, 블라인드(102)에 의하여 제2 영역(132)이 폐쇄되는 경우 팬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제2 쿨러부(202)를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cooler part 202 may be linked with the blind 102 of the first front part 11 . That is,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econd cooler unit 202 to rotate the fan when the second region 132 is opened by the blind 102 , and the second region 132 is closed by the blind 102 . When closed, the second cooler unit 202 may be controlled to stop the rotation of the fan.

한편, 상술한 도 1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제1 전면부(11) 상에 제2 전면부(12)가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면부(11)의 제1 쿨러부(101) 상에 제2 전면부(12)의 필터부(201)가 오버랩되고, 제1 전면부(11)의 블라인드(102) 상에 제2 전면부(12)의 제2 쿨러부(202)가 오버랩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 , the second front part 12 may be stacked on the first front part 11 . Accordingly, the filter part 201 of the second front part 12 is overlapped on the first cooler part 101 of the first front part 11, and the filter part 201 of the first front part 11 is disposed on the blind 102 of the first front part 11. The second cooler parts 202 of the two front parts 12 may overlap.

따라서 제1 쿨러부(101)가 구동되는 경우, 제1 쿨러부(101)의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제1 쿨러부(101) 상에 오버랩된 필터부(201)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부(201)의 공기 정화 필터에 의해 정화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201)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상기 제1 쿨러부(101)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어 컴퓨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first cooler unit 101 is driven, air is drawn into the filter unit 201 overlapped on the first cooler unit 101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irst cooler unit 101 . can be inhaled. And the sucked air may be purified by the air purification filter of the filter unit 201 . In addition, the air purified by the filter unit 201 may be suck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first cooler unit 101 and introduced into the computer.

그런데 상기 흡입구의 제2 영역(132)이 개방된 상태인 경우 정화되지 않은 공기가 컴퓨터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기 정화 기능이 약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10)의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132)을 폐쇄하여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second region 132 of the suction port is in an open state, unpurified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mputer, which may weaken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Therefore, the control unit of the computer c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lose the second area 132 to prevent air from entering.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는 블라인드(102)의 슬랫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슬랫들을 통해 상기 제2 영역(132)을 폐쇄하여, 상기 제2 영역(132)을 통해 컴퓨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쿨러부(202)는 구동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slats of the blind 102, and close the second area 132 through the slats to block the inflow of air outside the computer through the second area 132. can In this case, the second cooler unit 202 may maintain a stopped driving state.

이처럼 제2 영역(132)이 폐쇄됨에 따라, 공기 정화 필터(필터부(201))가 배치된 제1 영역(131)을 통해서만 컴퓨터 외부로부터 컴퓨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정화 필터(필터부(201))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컴퓨터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통풍구(이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컴퓨터 주변의 공기가 정화될 수 있다. As the second region 132 is closed in this way,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mputer from the outside of the computer only through the first region 131 in which the air purification filter (filter unit 201) is disposed. In addition, the air purified by the air purification filter (filter unit 201) may be discharged through a ventilation ho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xhaust port)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mputer. This can purify the air around the computer.

한편 공기 정화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10)는 지정된 통풍구(흡입구 및 배출구) 외에는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컴퓨터 케이스(10)는 흡입 쿨러와 배출 쿨러가 형성되는 통풍구 외에는 환기구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통풍구(흡입구, 배출구)외에는, 개스킷(gasket) 또는 패킹(packing) 등의 실(seal) 밀봉 요소로 컴퓨터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가 유통되지 않도록 상기 컴퓨터 케이스(10) 내부가 밀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air purification effect, the computer c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so that no air is introduced except for designated ventilation holes (inlet and outlet). For example, the computer case 10 may have no ventilation holes except for the ventilation holes in which the intake cooler and the exhaust cooler are formed. ) As a sealing element, the inside of the computer case 10 may be sealed so that the air inside the computer and the air outside do not flow.

그런데, 이처럼 흡입구에 공기 정화 필터가 배치되는 경우, 여과 작용으로 인해 컴퓨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10)는, 컴퓨터 내부 또는 CPU의 온도에 따라 결정되는 쿨러의 팬 회전 속도(RPM)보다 기 설정된 수준이상 상기 제1 쿨러부(101)의 팬 회전 속도를 더 빠르게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감소한 공기량을 보충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는 컴퓨터 내부 또는 CPU의 온도에 따라 결정되는 쿨러의 팬 회전 속도(RPM)보다 20% 증가된 속도로 팬이 회전되도록 상기 제1 쿨러부(101)를 제어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air purifying filter is disposed at the inlet 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into the computer may be reduced due to the filtration action. Accordingly, in the computer c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n rotation speed of the first cooler unit 101 is higher than a preset level than the fan rotation speed (RPM) of the cooler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computer or the CPU. The reduced air volume can be compensated for by rotating the . For example,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first cooler unit 101 to rotate the fan at a speed that is increased by 20% from a fan rotation speed (RPM) of a cooler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computer or CPU.

그런데 CPU가 일정 수준 이상의 높은 연산량을 요구하는 작업을 처리하는 경우, 또는 일정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구동되는 경우 컴퓨터 내부 또는 CPU의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발열 문제는, 컴퓨터가 공기 청정기와 유사한 쿨러들을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컴퓨터를 공기 청정기로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문제점이 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CPU processes a task that requires a high amount of computation over a certain level, or when the CPU is continuously driven for a certain time or mo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mputer or the CPU may increase to a certain level or more. In addition, the heat problem may be a problem that prevents the computer from being used as an air purifier even though the computer has coolers similar to those of the air purifier.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10)의 제어부는, 컴퓨터 내부 또는 CPU의 온도에 근거하여, 추가적인 냉각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적인 냉각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블라인드를 오픈(open)하여 흡입구의 제2 영역(132)을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쿨러부(202)를 구동하여 상기 개방된 제2 영역(132)을 통해 더 많은 공기가 컴퓨터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troller of the computer c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whether additional cooling is required based on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computer or the CPU.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dditional cooling is required, the blind may be opened to open the second region 132 of the inlet. In addition, by driving the second cooler unit 202 , more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mputer through the open second region 132 .

즉, 제어부는 컴퓨터가 정상적으로 동작, 또는 통상적으로 구동되는 상태에서는 블라인드(102)를 통해 제2 영역(132)을 차단함으로써, 필터부(201)가 구비된 제1 영역(131)을 통해서만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컴퓨터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거나, 컴퓨터 내부가 과열되는 경우 일시적으로 블라인드를 개방 및, 제2 쿨러부(202)를 구동하여 공기를 더 흡입함으로써, 컴퓨터 내부의 온도를 빠르게 냉각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10)는 컴퓨터를 공기 청정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냉각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컴퓨터를 공기 청정기로서 사용함에 있어 발생할 수 있는 발열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the control unit blocks the second region 132 through the blind 102 in a state in which the computer operates normally or is normally driven, thereby supplying air only through the first region 131 provided with the filter unit 201 . Inhale so that purified air can be expelled. However, when the computer operates abnormally or the inside of the computer is overheated, the blind is temporarily opened and the second cooler unit 202 is driven to suck more air, so th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mputer can be quickly cooled. Therefore, the computer c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the computer as an air purifier and, at the same time, strengthen the cooling function as necessary, thereby solving the heat problem that may occur when using the computer as an air purifier. make it possible

도 5는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10)의 제어부가, 제1 쿨러부(101)와 제2 쿨러부(202)를 제어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in which the controller of the computer case 10 controls the first cooler unit 101 and the second cooler unit 2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10)의 제어부는 컴퓨터가 구동되는 경우, 정상 동작 상태, 즉 제1 쿨러부(101)만 구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블라인드(102)는 클로즈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쿨러부(202)는 구동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즉, 컴퓨터가 구동되는 경우 제어부는 제1 쿨러부(101)를 구동함으로써, 흡기구의 제1 영역(131)을 통해 필터부(201)가 정화한 공기만 컴퓨터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컴퓨터 외부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컴퓨터 주변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First, the controller of the computer c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rive only the first cooler unit 101 in a normal operating state, that is, when the computer is driven. In this case, the blind 102 may remain closed, and the second cooler unit 202 may not be driven. That is, when the computer is driven, the control unit drives the first cooler unit 101 so that only the air purified by the filter unit 201 flows into the computer through the first area 131 of the intake por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urify the air around the computer by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to the outside of the computer.

이처럼 정상 동작 하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10)의 제어부는 컴퓨터 내부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S500). 여기서 상기 컴퓨터 내부의 온도는, 컴퓨터 케이스(10) 내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컴퓨터 부품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내부의 온도는, CPU의 온도이거나, 메인 보드의 온도, 또는 그래픽 카드의 온도일 수 있다. 또는 상기 CPU, 메인 보드 또는 그래픽 카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부품의 온도들로부터 산출되는 통계적 수치(예를 들어 온도 평균)일 수도 있다. In this normal operating state, the control unit of the computer cas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ct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mputer (S500). Her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mputer may mean the temperature of at least one specific computer component mounted in the computer case 10 . For example,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mputer may be the temperature of the CPU, the temperature of the main board, or the temperature of the graphics card. Alternatively, it may be a statistical value (eg, average temperature) calculated from temperatures of at least one computer component including the CPU, main board, or graphic card.

한편 상기 컴퓨터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10)는 온도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온도계는 메인보드에 장착되는 CPU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CPU 또는 메인보드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컴퓨터 케이스 내부의 공기 온도를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detect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mputer, the computer c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hermometer. The thermometer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CPU mounted on the main boar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CPU or the main board. Alternatively, it may be configured to measure the air temperature inside the computer case.

또는 상기 컴퓨터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10)는, 내부에 장착된 메인보드 또는 CPU에서 제공되는 온도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온도계를 구비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이다. 또는 컴퓨터 케이스(10) 제어부가 상기 메인보드의 제어부 또는 CPU인 경우에는, 스스로가 검출한 CPU나 메인보드의 온도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Alternatively, in order to detec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mputer, the computer c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temperature information provided by a motherboard or CPU mounted therein. In this case, of course,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thermometer. Alternatively, when the control unit of the computer case 10 is the control unit or CPU of the main board,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CPU or main board detected by itself may be used.

그리고 제어부는 상기 S500 단계에서 검출된 컴퓨터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02). 그리고 검출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정상 동작 상태, 즉 제1 쿨러부(101)만 구동 및, 블라인드(102)는 클로즈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쿨러부(202)는 구동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S500 단계로 진행하여 컴퓨터 내부의 온도를 다시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온도는, 본 발명과 관련된 복수의 실험에서 얻어질 수 있는 온도로서, 특정 컴퓨터 부품의 손상 가능성 및, 쿨러의 팬 회전속도 가속으로 인해 증가되는 소음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온도일 수 있다. 즉, 부품의 손상이 발생하지는 않는 온도에서, 온도 증가에 따라 가속하는 쿨러의 팬 회전속도로 인한 소음이, 일정 수준 이하로 발생하는 온도로 상기 기 설정된 온도가 결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mputer detected in step S500 exceeds a preset temperature (S502). And when the detected temperature does not exceed the preset temperature, in a normal operating state, that is, only the first cooler unit 101 is driven, the blind 102 is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and the second cooler unit 202 is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can remain in a non-driven state. Then, it proceeds to step S500 again to detec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mputer again. Here, the preset temperature is a temperature that can be obtained in a plurality of exper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a temperatur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of damage to specific computer components and noise increased due to the acceleration of the fan rotation speed of the cooler . That is, at a temperature at which damage to parts does not occur, the preset temperature may be determined as a temperature at which noise due to a rotation speed of a fan of a cooler accelerating according to an increase in temperature is generated below a certain level.

또는 상기 기 설정된 온도는 사용자가 설정한 임의의 온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내부의 온도가 CPU 온도인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60도가 상기 기 설정된 온도가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컴퓨터 내부의 온도가 상기 컴퓨터 내부의 공기 온도인 경우라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40도가 상기 기 설정된 온도가 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preset temperature may be an arbitrary temperature set by a user. For example,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mputer is the CPU temperature, 60 degrees selected by the user may be the preset temperature. Alternatively, if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mputer is the air temperature inside the computer, 40 degrees selected by the user may be the preset temperature.

반면 상기 S502 단계의 판단 결과, 컴퓨터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라면, 제어부는 컴퓨터 내부에 대한 추가적인 냉각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컴퓨터 내부의 냉각을 위한 비상 동작 상태로 전환하고, 블라인드(102)를 오픈하여 제2 영역(132)을 개방 및, 제2 쿨러부(202)가 구동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쿨러부(101) 및 제2 쿨러부(202) 모두를 통해 컴퓨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S504).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02 th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mputer exceeds a preset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additional cooling of the inside of the computer is required. Therefore, the control unit switches to an emergency operation state for cooling the inside of the computer, opens the blind 102 to open the second area 132 , and controls the second cooler unit 202 to be driven, so that the first cooler Air outside the computer may be sucked through both the unit 101 and the second cooler unit 202 (S504).

이처럼 비상 동작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1 쿨러부(101) 뿐만 아니라 제2 쿨러부(202)가 구동되므로, 제1 영역(131) 뿐만 아니라 제2 영역(132)에서도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이 많아지면서 컴퓨터 내부의 공기 순환이 촉진되어 보다 빠른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emergency operation state is switched as described above, not only the first cooler unit 101 but also the second cooler unit 202 is driven, so that air may be introduced from the first region 131 as well as from the second region 132 . . Therefore, as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computer increases, the air circulation inside the computer is promoted, so that faster cooling can be achieved.

이처럼 비상 동작 상태로 전환되면, 제어부는 컴퓨터 내부의 온도를 재검출할 수 있다(S506). 그리고 재검출된 컴퓨터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블라인드 클로즈 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08). As such, when the emergency operation state is switched, the control unit may re-detect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mputer (S506). In addition,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re-detected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mputer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blind closing temperature (S508).

상기 S508 단계의 판단 결과, 재검출된 컴퓨터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블라인드 클로즈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라면, 제어부는 블라인드가 오픈 및 제1 쿨러부(101)와 제2 쿨러부(202)가 모두 구동되는 비상 동작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S506 단계로 진행하여 컴퓨터 내부의 온도를 재검출 및 재검출된 온도를 상기 블라인드 클로즈 온도와 비교하는 S508 단계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508, if the re-detected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mputer exceeds the preset blind closing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blind is opened and that the first cooler unit 101 and the second cooler unit 202 are both driven. The emergency operation state can be maintained as it is. The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506 again, and step S508 of re-detec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mputer and comparing the re-detected temperature with the blind closing temperature may be performed again.

그러나 상기 S506 단계의 판단 결과, 재검출된 컴퓨터 내부 온도가 상기 블라인드 클로즈 온도 이하인 경우라면, 블라인드(102)를 다시 클로즈하고, 상기 제2 쿨러부(202)의 구동을 다시 정지시킬 수 있다(S510). 따라서 다시 제1 쿨러부(101)만 구동되는 정상 동작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는 다시 S500 단계로 진행하여 컴퓨터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고, S502 단계로 진행하여, 검출된 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Howev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506, if the re-detected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mput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blind closing temperature, the blind 102 may be closed again, and the driving of the second cooler unit 202 may be stopped again (S510). ). Therefore, it can be switched back to a normal operating state in which only the first cooler unit 101 is driven. Then, the controller may proceed to step S500 again to detect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mputer, and proceed to step S502 to determine whether the detected temperature exceeds the preset temperature.

여기서 상기 블라인드 클로즈 온도는 상기 기 설정된 온도와 같은 온도일 수 있다. Here, the blind closing temperature may be the same temperature as the preset temperature.

그러나 제1 쿨러부(101) 및 제2 쿨러부(202) 모두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비상 동작 상태)에서, 제1 쿨러부(101)만 동작하는 상태(정상 동작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컴퓨터 내부의 온도가 일정 시간 동안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온도의 증가 상태로 인해 정상 동작 상태에서 비상 동작 상태로 다시 전환될 수 있다. However, in a state in which air is introduced through both the first cooler unit 101 and the second cooler unit 202 (emergency operation state), only the first cooler unit 101 is operated (normal operation state). Accordingly,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mputer may increas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is case, the normal operating state may be switched back to the emergency operating state due to the increase in temperature.

이처럼 정상 동작 상태에서 비상 동작 상태로 불필요하게 재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상 동작 상태에서 정상 동작 상태로 복원되기 위해서는 더 낮은 컴퓨터 내부 온도(블라인드 클로즈 온도)가 요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블라인드 클로즈 온도는 상기 기 설정된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In order to prevent unnecessary re-transition from the normal operating state to the emergency operating state, a lower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mputer (blind close temperature) may be required to restore the normal operating state from the emergency operating state. Accordingly, the blind closing temperature may be set to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preset temperature.

한편 상기 제S502 단계는 제1 쿨러부(101)의 팬 회전 속도를 일정 수준 가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제1 쿨러부(101)의 팬 회전 속도가 가속하였음에도 불구하고, S500 단계에서 검출된 컴퓨터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비상 동작 상태로 전환하여, 제2 쿨러부(202)를 구동 및 블라인드를 오픈하는 상기 S504 단계로 진입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step S502 may include accelerating the fan rotation speed of the first cooler unit 101 to a certain level. In this case, even though the fan rotation speed of the first cooler unit 101 is accelerated,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mputer detected in step S500 exceeds a preset temperature, the controller switches to an emergency operation state, It is also possible to enter the step S504 of driving the unit 202 and opening the blin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쿨러부(101) 및 제2 쿨러부(202)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쿨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쿨러부(101)와 제2 쿨러부(202)에 구비되는 쿨러의 수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일 예로 정상 동작 상태에서의 냉각 효과를 보다 증대시키기 위해, 제1 쿨러부(101)가 제2 쿨러부(202)보다 더 많은 쿨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흡입구의 제1 영역은 제2 영역보다 더 넓은 영역일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first cooler unit 101 and the second cooler unit 202 may include at least one cooler. Also, the number of coolers provided in the first cooler unit 101 and the second cooler unit 20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cooling effect in a normal operating state, the first cooler unit 101 may include more coolers than the second cooler unit 202 . In this case, the first area of the inlet may be wider than the second area.

도 6은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에서, 흡입구의 제1 영역(131)이 제2 영역(132)보다 넓게 형성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area 131 of the suction port is formed wider than the second area 132 in the computer c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10)의 흡입구는, 제1 쿨러부(101)와 제1 쿨러부(101) 위에 오버랩되는 필터부(201)에 의해 커버되는 제1 영역(131)이, 블라인드(102)와 블라인드(102) 위에 오버랩되는 제2 쿨러부(202)에 의해 커버되는 제2 영역(132)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uction port of the computer c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cooler unit 101 and a first area 131 covered by a filter unit 201 overlapping the first cooler unit 101 . , the blind 102 and the second area 132 covered by the second cooler 202 overlapping the blind 102 may be formed wider than the second area 132 .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1 영역(131)이 제2 영역(132)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제2 영역(132)이 제1 영역(131)의 상단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제1 영역(131) 및 제2 영역(132)의 구분은, 필터부(201)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제1 영역(131))인지, 블라인드(102)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제2 영역(132))인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Also,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irst region 131 is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egion 132 as an example. Of course it could be. Accordingly, the division of the first region 131 and the second region 132 is whether the region covered by the filter unit 201 (the first region 131 ) or the region covered by the blind 102 (the second region). region 132) will have to be determined.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6은 커버(13)와, 상기 커버(13)에 의해 커버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10)의 제2 전면부(12)의 예를 보이고 있다. Referring to FIG. 6 , FIG. 6 shows an example of the cover 13 and the second front part 12 of the computer c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vered by the cover 13 . .

도 6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10)는 외부로의 충격으로부터 제2 전면부(12)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1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3)는, 상기 커버(13)를 통해 공기의 유통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타공망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체결부를 통해 컴퓨터 케이스(10)의 본체 부분과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 the computer c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ver 13 for protecting the second front part 12 from external impact. The cover 13 may be formed in a perforated network structure so that air can freely flow through the cover 13 .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astening parts, and may be coupled to and fixed to the main body of the computer case 10 through the plurality of fastening parts.

한편 컴퓨터 케이스(10)의 흡입구는 도 6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총 3개의 쿨러에 의해 커버될 수 있는 크기의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201)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이, 그렇지 않은 영역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부(201)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영역은, 블라인드(102)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도 6에서 필터부(201)에 의해 커버되는 흡입구의 일부 영역은 제1 영역(131)일 수 있으며, 필터부(201)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나머지 영역은 제2 영역(132)일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6 , the intake port of the computer case 10 may be formed in an area of a size that can be covered by a total of three coolers. In addition, the area covered by the filter unit 201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area not covered by the filter unit 201 . In this case, the area not covered by the filter unit 201 may be an area covered by the blind 102 . That is, in FIG. 6 , a partial area of the inlet covered by the filter unit 201 may be the first area 131 , and the remaining area not covered by the filter unit 201 may be the second area 132 . have.

이 경우 도 6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제1 영역(131)이 제2 영역(132)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역(131)은 2개의 쿨러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제2 영역(132)은 1개의 쿨러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제1 영역(131)이 제2 영역(132)보다 더 넓게 형성됨에 따라, 제1 쿨러부(101)에 구비되는 쿨러의 개수가, 제2 쿨러부(202)에 구비되는 쿨러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 the first region 131 may be formed to be wider than the second region 132 . In addition, the first area 131 may be an area covered by two coolers, and the second area 132 may be an area covered by one cooler. That is, as the first area 131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second area 132 , the number of coolers provided in the first cooler unit 101 is the number of coolers provided in the second cooler unit 202 . can be more

한편 도 6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공기 정화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201)가, 제1 쿨러부(101) 상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201)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6 , the filter unit 201 including at least one air purification filter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first cooler unit 101 . And the filter unit 201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e.

도 7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10)에서, 제1 쿨러부(101)에 오버랩되도록 부착된 필터부(201)가 분리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7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filter unit 201 attached to overlap the first cooler unit 101 is separated from the computer cas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필터부(201)는 제1 쿨러부(101)의 외곽을 따라 형성된 장착홈에 삽입되는 상태로 제1 쿨러부(101)에 오버랩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장착홈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상기 필터부(201)에 외력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필터부(201)는 상기 장착홈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필터부(201)에 구비된 공기 정화 필터를 교체하거나 또는 공기 정화 필터를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교체 또는 세척된 공기 정화 필터를 필터부(201)에 탑재하고, 상기 필터부(201)를 다시 장착홈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필터부(201)가 다시 장착될 수 있다. The filter unit 201 may be mounted to overlap the first cooler unit 101 while being inserted into a mounting groov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cooler unit 101 . Accordingly, as shown in FIG. 7 , when a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filter unit 201 in a direction to depart from the mounting groove, the filter unit 201 may b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groove. Then, the user may replace the air purification filter provided in the filter unit 201 or wash the air purification filter. Then, by mounting the replaced or cleaned air purification filter on the filter unit 201 and inserting the filter unit 201 into the mounting groove again, the filter unit 201 can be mounted again.

한편 상기 필터부(201)는 상기 공기 정화 필터 그 자체일 수 있다. 즉, 상기 장착홈은, 기 설정된 크기의 헤파 필터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이 경우 필터부(201)는 헤파 필터 자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제1 쿨러부(101)에 오버랩되도록 장착된 기 설정된 크기의 헤파 필터를 교체함으로서, 필터부(201)를 교체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filter unit 201 may be the air purification filter itself. That is, the mounting groove may be a groove formed so that a HEPA filter of a preset size can be mounted. In this case, the filter unit 201 may be a HEPA filter itself. In addition, the user may replace the filter unit 201 by replacing the HEPA filter of a preset size mounted to overlap the first cooler unit 101 .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10)의 제어부는 현재 공기 정화 기능의 동작 여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of the computer c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dicator unit 14 for displaying to the user whether or not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is currently operating.

도 8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10)에서, 공기 청정 기능과 관련된 정보들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부(14)를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indicator unit 14 that displays information related to an air cleaning function in the computer c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예로 이러한 인디케이터부(14)는 컴퓨터 케이스(10)의 전면부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LED와 같은 광 출력부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공기 정화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indicator unit 14 may be formed on the top of the front side of the computer case 10 . In addition, a light output unit such as an LED or a display unit may be provided to visually display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to the user.

먼저 도 8의 (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8의 (a)는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부(14)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일 예로 상기 인디케이터부(14)는 컴퓨터 케이스(10)의 동작 상태가 정상 동작 상태일 때와 비상 동작 상태일 때에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도록 형성된 LED(810)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상기 LED(810)에서 발광되는 빛에 근거하여, 현재 컴퓨터 케이스(10)의 동작 상태가 공기 정화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정상 동작 상태인지, 또는 공기 정화 기능 보다 컴퓨터 내부의 냉각을 우선적으로 수행하는 비상 동작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8(a), FIG. 8(a) shows an example of the indicator unit 14 including at least one LED. For example, the indicator unit 14 may include at least one LED 810 formed to emit light of different colors when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mputer case 10 is a normal operating state and an emergency operating state. Therefore, based o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810, the user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computer case 10 is a normal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air purifying function operates normally, or preferentially preferentially cooling the inside of the computer over the air purifying function. It can be identified whether it is in an emergency operation state to be performed.

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10)의 인디케이터부(14)는, 도 8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소정의 디스플레이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현재 컴퓨터 케이스(1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컴퓨터 내부의 온도 등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8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제1 쿨러부(101) 및/또는 제2 쿨러부(202)의 동작 상태, 예를 들어 구동 여부, 팬 회전 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8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indicator unit 14 of the computer c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edetermined display unit 820 as shown in FIG. 8B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computer case 10 and information abou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mputer through the display unit 820 .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cooler unit 101 and/or the second cooler unit 202 , for example, whether it is driven, or the fan rotation speed, through the display unit 820 .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공기가 유입되는 통풍구, 즉 흡입구가 컴퓨터 케이스(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예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일 예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풍구는 컴퓨터 케이스의 전면이 아니라, 컴퓨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an example in which a ventilation hole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that is, an intake hol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mputer case 10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an exampl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ventilation hole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mputer case instead of the front of the computer case.

도 9는 이처럼 공기 유입을 위한 통풍구가 상면부에 형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컴퓨터 케이스(20)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other computer cas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ventilation hole for introducing air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portion as described above.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컴퓨터 케이스(20)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컴퓨터 케이스(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에 형성된 흡입구는 제1 영역(931) 및 제2 영역(932)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영역(931)과 제2 영역(932)을 각각 커버하며, 서로 중첩되는 2개의 레이어(21,22)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in another computer cas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mputer case 20 . In addition, the suction por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may be divided into a first area 931 and a second area 932 , and cover the first area 931 and the second area 932 , respectively. Layers 21 and 22 may be provided.

이하 2개의 레이어 중, 컴퓨터 케이스 내부를 기준으로, 내측에 장착되는 레이어를 제1 상면부(21)라고 하기로 하고, 상기 제1 상면부(21)에 오버랩되며, 상기 제1 상면부(21)보다 외측에 장착되는 레이어를 제2 상면부(22)라고 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mong the two layers, a layer mounted inside the computer case based on the inside of the computer case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upper surface portion 21 , and overlapping the first upper surface portion 21 , the first upper surface portion 21 ), the layer mounted on the outside will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upper surface portion 22 .

상기 제1 상면부(21)는 흡입구의 제1 영역(931)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제1 쿨러부(911)와, 상기 흡입구의 제2 영역(932)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블라인드(9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상면부(22)는 상기 흡입구의 제1 영역(931)을 커버하는 필터부(921) 및 상기 흡입구의 제2 영역(932)을 커버하며 적어도 하나의 쿨러들로 이루어지는 제2 쿨러부(9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upper surface part 21 may include a first cooler part 911 formed to cover the first area 931 of the inlet, and a blind 912 formed to cover the second area 932 of the inlet. can In addition, the second upper surface part 22 includes a filter part 921 covering the first area 931 of the inlet and a second cooler comprising at least one cooler covering the second area 932 of the inlet. portion 922 .

도 9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제1 상면부(21)의 제1 쿨러부(911) 상에 제2 상면부(22)의 필터부(921)가 오버랩되고, 제1 상면부(21)의 블라인드(912) 상에 제2 상면부(22)의 제2 쿨러부(922)가 오버랩되도록, 제1 상면부(21) 상에 제2 상면부(22)가 적층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 the filter part 921 of the second upper surface part 22 is overlapped on the first cooler part 911 of the first upper surface part 21 , and the The second upper surface part 22 may be stacked on the first upper surface part 21 so that the second cooler part 922 of the second upper surface part 22 overlaps on the blind 912 .

따라서 컴퓨터 케이스 내측을 기준으로, 흡입구의 제1 영역(931)은 제1 쿨러부(911)와 상기 제1 쿨러부(911) 상에 적층된 필터부(921)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흡입구의 제2 영역(932)은 블라인드(912)와 상기 블라인드(912) 상에 적층된 제2 쿨러부(922)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Therefore, based on the inside of the computer case, the first area 931 of the suction port is covered by the first cooler unit 911 and the filter unit 921 stacked on the first cooler unit 911, and the The second region 932 may be covered by a blind 912 and a second cooler 922 stacked on the blind 912 .

여기서 상기 제1 쿨러부(911)와 제2 쿨러부(922) 및 블라인드(912)는 상술한 제1 쿨러부(101), 제2 쿨러부(202), 및 블라인드(102)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 케이스(20)의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상술한 컴퓨터 케이스(10)의 경우와 유사하게 제어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cooler part 911, the second cooler part 922, and the blind 912 have a structure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first cooler part 101, the second cooler part 202, and the blind 102. can have And by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computer case 20, it can be controlled similarly to the case of the computer case 10 described above.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컴퓨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에 필터부가 형성되어, 컴퓨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고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an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in which a filter unit is formed in a path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computer to purify the air flowing into the computer and to discharge the purified air.

그러나 이처럼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가 아니라, 공기가 배출되는 경로에 필터부를 구비하여, 컴퓨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However,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purify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mputer by providing a filter in the path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not the path through which the air is introduced.

도 10은 이처럼 컴퓨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공기가 배출되는 후면부 통풍구에 공기 청정 필터와 블라인드 및 복수의 쿨러가 배치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30)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10 shows a computer case 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air cleaning filter, a blind, and a plurality of coolers are disposed in the rear vent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in order to purify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mputer. It is a conceptual diagram.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30)는 후면에 공기가 배출되는 통풍구, 즉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는 서로 다른 영역(제1 영역(1031) 및 제2 영역(1032))으로 구획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the computer case 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en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hat is, an outlet at the rear side. In addition, the outlet may be divided into different regions (the first region 1031 and the second region 1032 ).

그리고 상기 제1 영역(1031) 및 제2 영역(1032)을 각각 커버하며, 서로 중첩되는 2개의 레이어(31, 32)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2개의 레이어 중, 컴퓨터 케이스 내부를 기준으로, 내측에 장착되는 레이어를 제1 후면부(31)라고 하기로 하고, 상기 제1 후면부(31)에 오버랩(overlap)되며, 상기 제1 후면부(31)보다 외측에 장착되는 레이어를 제2 후면부(32)라고 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wo layers 31 and 32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first region 1031 and the second region 1032 , respectively, and overlap each other. Hereinafter, among the two layers, based on the inside of the computer case, a layer mounted on the inside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rear portion 31 , and overlapping the first rear portion 31 , the first rear portion 31 ), the layer mounted on the outside will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rear part 32 .

그리고 상기 제1 후면부(31)는 배출구의 제1 영역(1031)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제1 쿨러부(1011)와, 상기 배출구의 제2 영역(1032)을 커버하며 적어도 하나의 쿨러들로 이루어지는 제2 쿨러부(10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후면부(32)는 상기 배출구의 제1 영역(1031)을 커버하는 필터부(1021) 및 상기 배출구의 제2 영역(1032)을 커버하는 블라인드(1022)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rear part 31 includes a first cooler part 1011 formed to cover the first area 1031 of the outlet, and a first cooler part 1011 formed to cover the second area 1032 of the outlet and made of at least one cooler. 2 may include a cooler unit 1012 . In addition, the second rear part 32 may include a filter part 1021 that covers the first area 1031 of the outlet and a blind 1022 that covers the second area 1032 of the outlet.

도 10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제1 후면부(31)의 제1 쿨러부(1011) 상에 제2 후면부(32)의 필터부(1021)가 오버랩되고, 제1 후면부(31)의 제2 쿨러부(1012) 상에 제2 후면부(32)의 블라인드(1022)가 오버랩되도록, 제1 후면부(31) 상에 제2 후면부(32)가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 케이스 내측을 기준으로, 흡입구의 제1 영역(1031)은 제1 쿨러부(1011)와 상기 제1 쿨러부(1011) 상에 적층된 필터부(1021)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흡입구의 제2 영역(1032)은 제2 쿨러부(1012)와 상기 제2 쿨러부(1012) 상에 적층된 블라인드(1022)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 , the filter part 1021 of the second rear part 32 is overlapped on the first cooler part 1011 of the first rear part 31 , and the second cooler of the first rear part 31 is overlapped. The second rear surface portion 32 may be stacked on the first rear surface portion 31 so that the blind 1022 of the second rear surface portion 32 overlaps the portion 1012 . Therefore, based on the inside of the computer case, the first area 1031 of the suction port is covered by the first cooler unit 1011 and the filter unit 1021 stacked on the first cooler unit 1011, and The second region 1032 may be covered by the second cooler unit 1012 and the blind 1022 stacked on the second cooler unit 1012 .

여기서 제1 쿨러부(1011)와 제2 쿨러부(1012)는, 공기 배출을 위한 쿨러이다. 따라서 컴퓨터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팬이 회전되도록 형성된 쿨러일 수 있다. 그러므로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지향하는 쿨러의 특정 면을 쿨러부의 전면이라고 하고, 공기가 흡입되는 방향을 지향하는 쿨러의 특정 면을 쿨러부의 후면이라고 하기로 한다. 이 경우 제1 쿨러부(1011)와 제2 쿨러부(1012)는 전면이 컴퓨터의 외부를 지향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1 쿨러부(1011)와 제2 쿨러부(1012)의 후면은 컴퓨터의 내부를 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쿨러부(1011)와 제2 쿨러부(1012), 그리고 블라인드(10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30)에 구비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cooler unit 1011 and the second cooler unit 1012 are coolers for discharging air. Therefore, it may be a cooler formed so that the fan rotates in a direction that exhausts air from the inside of the computer to the outside. Therefore, a specific surface of the cooler oriented in a direction in which air is discharged is referred to as a front surface of the cooler unit, and a specific surface of the cooler oriented in a direction in which air is drawn in is referred to as a rear surface of the cooler unit. In this case, the front surfaces of the first cooler unit 1011 and the second cooler unit 1012 face the outside of the computer, and the rear surfaces of the first cooler unit 1011 and the second cooler unit 1012 are inside the computer. It can be arranged to face the Here, the first cooler unit 1011 , the second cooler unit 1012 , and the blind 1022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ler (not shown) provided in the computer cas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도 10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제1 후면부(31) 상에 제2 후면부(32)가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후면부(31)의 제1 쿨러부(1011) 상에 제2 후면부(32)의 필터부(1021)가 오버랩되고, 제1 후면부(31)의 제2 쿨러부(1012) 상에 제2 후면부(32)의 블라인드(1022)가 오버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 , the second rear surface portion 32 may be stacked on the first rear surface portion 31 . Accordingly, the filter part 1021 of the second rear part 32 is overlapped on the first cooler part 1011 of the first rear part 31 , and the filter part 1021 of the first rear part 31 is disposed on the second cooler part 1012 of the first rear part 31 . 2 The blinds 1022 of the rear portion 32 may overlap.

따라서 제1 쿨러부(1011)가 구동되는 경우, 제1 쿨러부(1011)의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공기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쿨러부(1011) 상에 오버랩된 필터부(1021)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부(1021)의 공기 정화 필터에 의해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가 컴퓨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first cooler unit 1011 is driven, the air pressu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irst cooler unit 1011 causes air to flow into the filter unit 1021 overlapped on the first cooler unit 1011 . can be introduced. Accordingly, the air purified by the air purification filter of the filter unit 1021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mputer.

그런데 상기 배출구의 제2 영역(1032)이 개방된 상태인 경우 정화되지 않은 공기가 컴퓨터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기 정화 기능이 약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30)의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1032)을 폐쇄하여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second area 1032 of the exhaust port is in an open state, unpurified ai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mputer, which may weaken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Therefore, the control unit of the computer cas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lose the second area 1032 to prevent air from entering.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는 블라인드(1022)의 슬랫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슬랫들을 통해 상기 제2 영역(1032)을 폐쇄하여, 상기 제2 영역(1032)을 통해 컴퓨터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쿨러부(1012)는 구동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slats of the blind 1022, and close the second area 1032 through the slats to block the air inside the computer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area 1032. can In this case, the second cooler unit 1012 may maintain a stopped driving state.

이처럼 제2 영역(1032)이 폐쇄됨에 따라, 공기 정화 필터(필터부(1021))가 배치된 제1 영역(1031)을 통해서만 컴퓨터 내부로부터 컴퓨터 외부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1031)에 배치된 공기 정화 필터(필터부(1021))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컴퓨터 외부로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컴퓨터 주변의 공기가 정화될 수 있다. As the second area 1032 is closed in this way, air may be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computer to the outside of the computer only through the first area 1031 in which the air purification filter (filter unit 1021) is disposed. Accordingly, the air purified by the air purification filter (filter unit 1021 ) disposed in the first region 1031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mputer. This can purify the air around the computer.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공기가 배출되는 통풍구, 즉 배출구가 컴퓨터 케이스(30)의 후면에 형성되는 예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일 예로 공기가 배출되는 통풍구는 컴퓨터 케이스의 후면이 아니라, 컴퓨터 케이스의 저면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vent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that is, the outlet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mputer case 30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an exampl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ventilation hole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mputer case rather than the rear of the computer case.

도 11은 이처럼 공기 배출을 위한 통풍구가 저면부에 형성된 경우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40)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11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computer case 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vent for air exhaust is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as described above.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40)는 저면에 공기가 배출되는 통풍구, 즉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는 서로 다른 영역(제1 영역(1131) 및 제2 영역(1132))으로 구획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the computer case 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en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hat is, an outlet at the bottom. In addition, the outlet may be divided into different regions (a first region 1131 and a second region 1132 ).

그리고 상기 제1 영역(1131) 및 제2 영역(1132)을 각각 커버하며, 서로 중첩되는 2개의 레이어(41, 42)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2개의 레이어 중, 컴퓨터 케이스 내부를 기준으로, 내측에 장착되는 레이어를 제1 저면부(41)라고 하기로 하고, 상기 제1 저면부(41)에 오버랩되며, 상기 제1 저면부(41)보다 외측에 장착되는 레이어를 제2 저면부(42)라고 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wo layers 41 and 42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first region 1131 and the second region 1132 , respectively, and overlap each other. Hereinafter, among the two layers, a layer mounted inside the computer case based on the inside of the computer case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bottom part 41, overlapping the first bottom part 41, and the first bottom part 41 ), the layer mounted on the outside will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bottom portion 42 .

그리고 상기 제1 저면부(41)는 배출구의 제1 영역(1131)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제1 쿨러부(1111)와, 상기 배출구의 제2 영역(1132)을 커버하며 적어도 하나의 쿨러들로 이루어지는 제2 쿨러부(11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저면부(42)는 상기 배출구의 제1 영역(1131)을 커버하는 필터부(1121) 및 상기 배출구의 제2 영역(1132)을 커버하는 블라인드(1122)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bottom part 41 includes a first cooler part 1111 formed to cover the first area 1131 of the outlet, and at least one cooler that covers the second area 1132 of the outlet. A second cooler unit 1112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second bottom portion 42 may include a filter unit 1121 covering the first area 1131 of the outlet and a blind 1122 covering the second area 1132 of the outlet.

도 11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제1 저면부(41)의 제1 쿨러부(1111)에 제2 저면부(42)의 필터부(1121)가 오버랩되고, 제1 저면부(41)의 제2 쿨러부(1112)가 제2 저면부(42)의 블라인드(1122)에 오버랩되도록, 제2 저면부(41) 상에 제1 저면부(41)가 적층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1 , the filter part 1121 of the second bottom part 42 overlaps the first cooler part 1111 of the first bottom part 41 , and the first part of the first bottom part 41 is The first bottom part 41 may be stacked on the second bottom part 41 so that the second cooler part 1112 overlaps the blind 1122 of the second bottom part 42 .

따라서 컴퓨터 케이스 내측을 기준으로, 흡입구의 제1 영역(1131)은 제1 쿨러부(1111)와 상기 제1 쿨러부(1111)에 적층된 필터부(1121)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흡입구의 제2 영역(1132)은 제2 쿨러부(1112)와 상기 제2 쿨러부(1112)에 적층된 블라인드(1122)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Therefore, based on the inside of the computer case, the first area 1131 of the suction port is covered by the first cooler unit 1111 and the filter unit 1121 stacked on the first cooler unit 1111, Region 2 1132 may be covered by the second cooler unit 1112 and the blind 1122 stacked on the second cooler unit 1112 .

여기서 상기 제1 쿨러부(1111)와 제2 쿨러부(1112) 및 블라인드(1122)는 상술한 제1 쿨러부(1011), 제2 쿨러부(1012), 및 블라인드(1022)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 케이스(40)의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상술한 컴퓨터 케이스(30)의 경우와 유사하게 제어될 수 있다.Here, the first cooler unit 1111, the second cooler unit 1112, and the blind 1122 have a structure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first cooler unit 1011, the second cooler unit 1012, and the blind 1022. can have And by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computer case 40, it can be controlled similarly to the case of the computer case 30 described above.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공기 청정 기능을 가지는 컴퓨터 케이스에 의하여 컴퓨터 주변의 공기가 정화되는 구성을 설명하였다.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air around the computer is purified by the computer case having an air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그러나 사무실이나 PC방과 같이, 다수의 컴퓨터가 배치되는 장소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공기 청정 기능을 가지는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한 컴퓨터가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컴퓨터가 복수개 배치되는 경우 각 컴퓨터의 컴퓨터 케이스에 대한 개별적인 제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However, in the case of a place where a plurality of computers are disposed, such as an office or a PC room, a plurality of computers having a computer case having an air cleaning function may be disp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uch, when a plurality of computers having a comput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osed, more efficient air circulation may be achieved through individual control of the computer case of each computer.

이러한 경우 상기 복수의 컴퓨터 케이스는 서로 간에 블루투스나 적외선 통신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서로 간에 연결되어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컴퓨터 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컴퓨터 케이스의 공기 청정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다른 컴퓨터 케이스의 공기 청정 기능을 제어하는 컴퓨터 케이스를 마스터(Master) 케이스, 다른 컴퓨터 케이스에 의해 공기 정화 기능이 제어될 수 있는 컴퓨터 케이스를 슬레이브(Slave) 케이스라고 하기로 한다.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computer case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or infrared communication to establish an Internet of Things (IOT) environment.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mputer cases may be formed to control the air cleaning function of the other computer case. Hereinafter, a computer case that controls the air cleaning function of another computer case is referred to as a master case, and a computer case in which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can be controlled by another computer case is referred to as a slave case.

한편 보다 효과적으로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서는, 정화된 공기, 즉 여과된 공기가 정화되지 않은 공기, 즉 오염된 공기를,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 케이스 쪽으로 밀어주어 실내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마스터 케이스는, 오염도가 높은 지역에 위치한 슬레이브 케이스들이 보다 빠르게 보다 많은 양의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실내 영역 전체에 대하여 보다 효과적인 공기 순환을 유도할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purify indoor air, purified air, that is, filtered air, unpurified air, that is, polluted air, should be pushed toward a computer case performing an air cleaning function to circulate indoor air. Accordingly, the master case may induce more effective air circulation for the entire indoor area by allowing the slave cases located in the high-pollution rate area to more quickly inhale and discharge a larger amount of air.

도 12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가 탑재된 컴퓨터들이 다수 배치된 공간에서 공기 청정 기능에 따른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1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ir circulation according to an air cleaning function is performed in a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computers equipped with a comput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osed.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를 구비하는 16대의 컴퓨터가 실내에 배치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16대의 컴퓨터 중 어느 하나의 컴퓨터 케이스는 마스터 케이스로 동작할 수 있으며, 다른 15대의 컴퓨터 케이스는 슬레이브 케이스로 동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 FIG. 12 shows an example in which 16 computers having a comput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osed indoors. In this case, one computer case among the 16 computers may operate as a master case, and the other 15 computer cases may operate as a slave case.

이러한 경우 마스터 케이스는, 중앙 영역(1220)에 배치된 컴퓨터 케이스들을, 외곽 영역(1210)에 배치된 컴퓨터 케이스들 보다 빠르게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도록 제어(공기 순환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터 케이스는 외곽 영역(1210)에 배치된 컴퓨터의 케이스이거나 또는 중앙 영역(1220)에 배치된 컴퓨터의 케이스일 수 있다. 그리고 마스터 케이스는 자신이 배치된 위치(중앙 영역(1210) 또는 외곽 영역(122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공기 순환 제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다른 컴퓨터 케이스(슬레이브 케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aster case may control (air circulation control) the computer cases disposed in the central area 1220 to suck in and discharge air faster than the computer cases disposed in the outer area 1210 . In this case, the master case may be a computer case disposed in the outer region 1210 or a computer case disposed in the central region 1220 . In addition, the master case can control other computer cases (slave cases) while perform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ir circulation control according to the location where it is placed (either the central area 1210 or the outer area 1220). .

한편 상기 공기 순환 제어는 상기 외곽 영역(1210)에 배치된 컴퓨터 케이스들에 구비된 제1 쿨러부 및 제2 쿨러부의 팬 회전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팬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중앙 영역(1220)에 배치된 컴퓨터 케이스들에 구비된 제1 쿨러부 및 제2 쿨러부의 팬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Meanwhile, in the air circulation control, the central region 1220 rotates the fan at a higher speed than the fan rotation speed of the first and second cooler units provided in the computer cases disposed in the outer region 1210 . It may be to control the fan rotation speed of the first cooler unit and the second cooler unit provided in the computer cases disposed in the .

그러면 도 12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중앙 영역(122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많아져서 외곽 영역(1210)으로 더 많은 공기를 밀어내게 되고, 중앙 영역(1220)에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많아져서 외곽 영역(1210)으로부터 더 많은 공기를 빨아들이게 된다. 따라서 도 12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중앙 영역(1210)에서 공기를 밀어내고 외곽 영역(1210)을 통한 순환이 이루어지는 공기 순환(1250)이 유도될 수 있다. Then, as shown in FIG. 12 ,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central region 1220 is increased to push more air into the outer region 1210 , and the amount of air sucked from the central region 1220 is large. This causes more air to be sucked from the outer region 1210 . Therefore, as shown in FIG. 12 , the air circulation 1250 in which the air is pushed out from the central region 1210 and circulated through the outer region 1210 may be induced.

또는 마스터 케이스는 상기 외곽 영역(1210)에 배치된 컴퓨터 케이스들보다, 상기 중앙 영역(1220)에 배치된 컴퓨터 케이스들이 더 많은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도록, 상기 외곽 영역(1210)에 배치된 컴퓨터 케이스들과, 상기 중앙 영역(1220)에 배치된 컴퓨터 케이스들의 동작 상태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master case is a computer case disposed in the outer region 1210 such that the computer cases disposed in the central region 1220 inhale and discharge more air than the computer cases disposed in the outer region 1210 . and the operating states of the computer cases disposed in the central region 1220 may be controlled differently.

일 예로 마스터 케이스는, 중앙 영역(1210)에 배치된 컴퓨터 케이스들의 경우 CPU나 메인보드 등 컴퓨터 내부의 온도와 상관없이 블라인드를 오픈하고 제2 쿨러를 구동하는 동작 상태(제2 동작 상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외곽 영역(1220)에 배치된 컴퓨터 케이스들의 경우 블라인드를 클로즈하고 제2 쿨러의 동작이 정지되는 동작 상태(제1 동작 상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computer cases disposed in the central area 1210 , the master case operates in an operation state (second operation state) in which the blind is opened and the second cooler is driven regardless of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mputer such as the CPU or the main board. can be controlled to do so. On the other hand, computer cases disposed in the outer region 1220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in an operation state (a first operation state) in which the blind is closed and the operation of the second cooler is stopped.

이 경우 상기 외곽 영역(1220)에 배치된 컴퓨터 케이스들은 컴퓨터 내부의 온도가 특정 온도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상기 제1 동작 상태를 유지하다가, 컴퓨터 내부의 온도가 상기 특정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한하여 블라인드를 오픈하고 제2 쿨러를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특정 온도는, 발열로 인하여 컴퓨터 부품이 손상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기 설정된 온도보다 더 높게 설정된 온도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mputer cases disposed in the outer region 1220 maintain the first operating state until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mputer reaches a specific temperature, and is blind only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mputer exceeds the specific temperature. may be opened and the second cooler may be driven. In this case, the specific temperature may be a temperature set higher than the preset temperatu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s long as the computer parts are not damaged due to heat generation.

이 경우 상기 중앙 영역(1210)에 배치된 컴퓨터 케이스들은 외곽 영역(1220)에 배치된 컴퓨터 케이스들 보다 많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 영역(121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많아지고, 따라서 외곽 영역(1220)에서 중앙 영역(1210)으로의 공기 순환(1250)이 유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mputer cases disposed in the central region 1210 may absorb more air than the computer cases disposed in the outer region 1220 . In this case, the amount of air sucked into the central region 1210 is increased, and accordingly, air circulation 1250 from the outer region 1220 to the central region 1210 may be induc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하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중앙 영역(1210)에 배치된 컴퓨터 케이스들은 외곽 영역(1220)에 배치된 컴퓨터 케이스들 보다 많은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 영역(12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많아지고, 많아진 공기는 외곽 영역(1220)으로 공기를 밀어냄으로, 외곽 영역(1220)에서 중앙 영역(1210)으로의 공기 순환(1250)이 유도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comput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purify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computer cases disposed in the central area 1210 discharge more air than the computer cases disposed in the outer area 1220 . can do. In this case,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central region 1210 increases, and the increased air pushes the air into the outer region 1220, so that air circulation 1250 from the outer region 1220 to the central region 1210. This can be induced.

한편 상술한 도 12에서는 중앙 영역을 중심으로 공기 순환이 유도되는 구성을 개시하였으나, 실내 영역 중 오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영역을 중심으로 공기 순환이 유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although the configuration in which air circulation is induced around the central area is disclosed in FIG. 12 described abov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ir circulation may be induced around an area where contamination is highly likely to occur in the indoor area.

일 예로 상기 도 12에서 도시된 실내 영역은 흡연 영역을 포함하는 PC 방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영역(1210)은 흡연 영역일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터 케이스는 중앙 영역(1210) 즉 흡연 영역에 배치된 컴퓨터 케이스들에 대하여, 쿨러들이 팬의 회전 속도를 가속하도록 하거나 또는 블라인드 오픈 및 제2 쿨러부를 구동하여 공기 순환을 가속화함으로써 흡연 영역을 중심으로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흡연 영역은 공기 순환이 가속화됨으로써, 보다 빠른 공기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door area shown in FIG. 12 may be a PC room including a smoking area. And the central area 1210 may be a smoking area. In this case, with respect to the computer cases disposed in the central area 1210, that is, the smoking area, the master case opens the smoking area by allowing the coolers to accelerate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or by driving the blind open and second cooler units to accelerate air circulation. It can also be made to circulate air around the center. In this case, the air circulation in the smoking area is accelerated, and thus, faster air purification can be achieved.

한편 통상적인 사무실과 같은 실내 영역의 경우, 사람들의 출입이 잦은 출입문 근처의 공기가 쉽게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터 케이스는 출입문 근처에 배치된 컴퓨터 케이스들을 중심으로 공기 순환을 가속화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indoor area such as a typical office, the air near the door, where people frequently enter and exit, may be easily polluted. Thus, the master case may accelerate air circulation around the computer cases placed near the door.

도 13은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가 탑재된 컴퓨터들이 배치된 공간이 사무실인 경우, 출입구(1300)를 중심으로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1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ir circulation is centered around the entrance 1300 when the space in which the computers on which the computer case is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osed is an office in this case.

도 1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마스터 케이스는 실내 영역에서 출입문(1300) 근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케이스를 공기 순환을 가속화할 영역에 배치된 컴퓨터 케이스로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지정은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또는 미리 지정된 컴퓨터들의 배치 위치와 출입문 등 실내 공간의 지형적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 the master case may designate at least one computer case disposed near the door 1300 in the indoor area as the computer case disposed in the area to accelerate air circulation. This designation may be made by the user or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door space, such as the location of the computers designated in advance and the entrance door.

이에 따라 공기 순환을 가속화할 영역(1310)에 배치된 컴퓨터 케이스들은 마스터 케이스에 의하여 공기 순환(1350)이 가속화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마스터 케이스는 상기 공기 순환을 가속화할 영역(1310)에 배치된 컴퓨터 케이스들에 대하여, 쿨러들이 팬의 회전 속도를 가속하도록 하거나, 또는 블라인드 오픈 및 제2 쿨러부를 구동하여 공기 순환(1350)을 가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입문 근처의 공기가, 가속화된 공기 순환(1350)에 따라 보다 빠르게 정화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mputer cases disposed in the area 1310 to accelerate the air circulation may be controlled to accelerate the air circulation 1350 by the master case. That is, the master case allows the coolers to accelerate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for the computer cases disposed in the area 1310 to accelerate the air circulation, or to open the blind and drive the second cooler to circulate the air 1350. can accelerate Accordingly, the air near the door can be purified more quickly according to the accelerated air circulation 1350 .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컴퓨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 또는 컴퓨터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 중 어느 하나에만 필터부가 배치되어 공기가 여과되는 구성을 개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흡입구나 배출구 중 어느 하나 뿐만 아니라 상기 흡입구의 제1 영역 및 배출구의 제1 영역에 모두 필터부와 제1 쿨러부가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의 제2 영역 및 배출구의 제2 영역에 모두 제2 쿨러부와 블라인드가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ilter unit is disposed only on either one of the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computer and the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mputer to disclose a configuration in which air is filtered, but this is only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it is not limited. That is, the filter unit and the first cooler unit are disposed in both the first area of the inlet and the first area of the outlet, as well as any one of the inlet and outlet, and the second area is disposed in both the second area of the inlet and the second area of the outle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 cooler unit and a blind may be disposed.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isk (SSD), Silicon Disk Drive (SDD),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There is also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that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but as exempl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컴퓨터 케이스 13 : 커버
11 : 제1 전면부 12 : 제2 전면부
131 : 제1 영역 132 : 제2 영역
101 : 제1 쿨러부 102 : 블라인드
201 : 필터부 202 : 제2 쿨러부
10: computer case 13: cover
11: first front part 12: second front part
131: first area 132: second area
101: first cooler 102: blind
201: filter unit 202: second cooler unit

Claims (17)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컴퓨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영역을 커버하는 제1 쿨러부와, 상기 제2 영역을 커버하며 상기 제2 영역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블라인드를 구비하는 제1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 중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쿨러부에 오버랩(overlap)되며 공기 정화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와, 상기 블라인드에 오버랩되는 제2 쿨러부를 구비하는 제2 레이어; 및,
상기 제1 쿨러부와 상기 제2 쿨러부 및, 상기 블라인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쿨러부의 구동에 따른 흡입력으로 상기 제1 쿨러부에 오버랩된 상기 필터부를 통해 여과된 공기가 상기 컴퓨터 케이스 내부로 흡입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블라인드를 제어 및 상기 제2 쿨러부가 구동을 정지하도록 상기 제2 쿨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In the computer case in which the air intake is formed,
a first cooler formed to cover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of the suction port, the first cooler unit covering the first region; and a blind covering the second region and opening or closing the second region. 1 layer;
a second layer formed to overlap the first layer and having a filter unit overlapping the first cooler unit and including an air purification filter, and a second cooler unit overlapping the bli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cooler unit, the second cooler unit, and the blind;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air filtered through the filter unit overlapped with the first cooler unit is sucked into the computer case by suction forc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irst cooler unit, the blind is controlled to close the second area and the second A comput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oler unit is controlled to stop driving of the coole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컴퓨터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온도가 기 설정된 제1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을 개방하도록 상기 블라인드를 제어 및, 상기 개방된 제2 영역을 통해 상기 컴퓨터 케이스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제2 쿨러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ct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mputer case,
When the detected temperature exceeds the first preset temperature, the blind is controlled to open the second area, and the second cooler is driven so that air from outside the computer case is introduced through the open second area. A comput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이 개방 및 상기 제2 쿨러부가 구동된 경우, 상기 컴퓨터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재검출하고, 재검출된 온도가 기 설정된 제2 온도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블라인드를 제어 및 상기 제2 쿨러부가 구동을 정지하도록 상기 제2 쿨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the second area is opened and the second cooler unit is driv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mputer case is re-detected, and when the re-detected temperatur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second temperature, the blind is controlled to close the second area and controlling the second cooler unit to stop driving of the second cooler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와 제2 온도는,
서로 다른 온도이며, 상기 제2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온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irst temperature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mput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second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내부의 온도는,
상기 컴퓨터 케이스에 탑재되는 CPU 또는 메인보드로부터 검출되는 온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mputer is
Comput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detected from the CPU or main board mounted on the computer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 필터는,
기 설정된 등급 이상의 헤파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이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컴퓨터 케이스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purification filter,
It is a HEPA filter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of a predetermined grade or higher,
The filter unit,
A comput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computer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폐쇄 여부에 따라, 공기 정화 기능이 동작 중인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uter case further comprising an indicator unit for displaying whether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is operating according to whether the second area is cl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컴퓨터 케이스에 탑재되는 CPU, 또는 상기 컴퓨터 케이스에 탑재되는 메인보드의 제어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A comput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control unit of a CPU mounted on the computer case, or a main board mounted on the computer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 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을 커버하는 상기 제1 쿨러부는, 상기 제2 영역을 커버하는 블라인드에 오버랩되는 상기 제2 쿨러부보다 더 많은 쿨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suction port consists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The first area is formed wider than the second area,
The first cooler unit covering the first area comprises more coolers than the second cooler unit overlapping the blind covering the second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컴퓨터 케이스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ction port,
Comput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front part of the computer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컴퓨터 케이스의 상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ction port,
Comput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mputer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케이스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 외에는 공기가 유통되지 않도록 상기 컴퓨터 케이스 내부가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puter case is a comput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of the computer case is sealed so that air does not flow except for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컴퓨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영역을 커버하는 제1 쿨러부와, 상기 제2 영역을 커버하는 제2 쿨러부를 구비하는 제1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 중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쿨러부에 오버랩(overlap)되며 공기 정화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와, 상기 제2 쿨러부에 오버랩되며 상기 제2 영역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블라인드를 구비하는 제2 레이어; 및,
상기 제1 쿨러부와 상기 제2 쿨러부 및, 상기 블라인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쿨러부의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공기 압력으로 상기 제1 쿨러부에 오버랩된 상기 필터부를 통해 여과된 공기가 상기 컴퓨터 케이스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블라인드를 제어 및 상기 제2 쿨러부가 구동을 정지하도록 상기 제2 쿨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In the computer case having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 first layer formed to cover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of the outlet, the first layer having a first cooler unit covering the first area and a second cooler unit covering the second area;
a filter unit formed to overlap the first layer and overlapping the first cooler unit and including an air purification filter; and a blind overlapping the second cooler unit to open or close the second area; a second layer havin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cooler unit, the second cooler unit, and the blind;
The control unit is
Controlling the blind to close the second area when the air filtered through the filter unit overlapping the first cooler unit with the air pressu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irst cooler un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mputer case; Comput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second cooler unit to stop driving the second cooler uni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컴퓨터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온도가 기 설정된 제1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을 개방하도록 상기 블라인드를 제어 및, 상기 개방된 제2 영역을 통해 상기 컴퓨터 케이스 외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제2 쿨러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ct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mputer case,
When the detected temperature exceeds the first preset temperature, the blind is controlled to open the second area, and the second cooler is driven so that air outside the computer case is discharged through the open second area. A comput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이 개방 및 상기 제2 쿨러부가 구동된 경우, 상기 컴퓨터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재검출하고, 재검출된 온도가 기 설정된 제2 온도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블라인드를 제어 및 상기 제2 쿨러부가 구동을 정지하도록 상기 제2 쿨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the second area is opened and the second cooler unit is driv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mputer case is re-detected, and when the re-detected temperatur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second temperature, the blind is controlled to close the second area and controlling the second cooler unit to stop driving of the second cooler uni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컴퓨터 케이스의 후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outlet,
Comput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computer cas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컴퓨터 케이스의 저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outlet,
Comput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mputer case.
KR1020210021290A 2020-12-04 2021-02-17 Computer case with air washing KR10259338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68288 2020-12-04
KR20200168289 2020-12-04
KR1020200168288 2020-12-04
KR1020200168289 2020-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373A true KR20220079373A (en) 2022-06-13
KR102593389B1 KR102593389B1 (en) 2023-10-26

Family

ID=81984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290A KR102593389B1 (en) 2020-12-04 2021-02-17 Computer case with air was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38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122Y1 (en) * 2002-05-17 2002-07-31 김용성 Air Cleaner for Computer using Cooler
KR20030071683A (en) * 2003-08-01 2003-09-06 안순균 Computer combined with air cleaner
JP2005128995A (en) * 2003-10-23 2005-05-19 Tatung Co Backflow prevention fan module
JP2014146085A (en) * 2013-01-28 2014-08-14 Fujitsu Ltd Cooler
KR102147606B1 (en) * 2019-09-10 2020-08-25 (주)대우루컴즈 Personal Computer Having Air Cleaning Uni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122Y1 (en) * 2002-05-17 2002-07-31 김용성 Air Cleaner for Computer using Cooler
KR20030071683A (en) * 2003-08-01 2003-09-06 안순균 Computer combined with air cleaner
JP2005128995A (en) * 2003-10-23 2005-05-19 Tatung Co Backflow prevention fan module
JP2014146085A (en) * 2013-01-28 2014-08-14 Fujitsu Ltd Cooler
KR102147606B1 (en) * 2019-09-10 2020-08-25 (주)대우루컴즈 Personal Computer Having Air Clean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389B1 (en) 202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3411B1 (en) Air filtration and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11684883B2 (en) Air purifier including bi-directional fans having different discharge directions
EP3330624B1 (en) Slim-type air processing device
KR101149815B1 (en) Ventilating unit having total heat exchanger
US8252097B2 (en) Distributed air cleaner system for enclosed electronic devices
KR20180064276A (en) System for filtering the air of a room using a dust sen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012225A (en) Cooling system
JP4588350B2 (en) Blower
KR20170057028A (en) Air blower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JP2006329626A (en) Air conditioner
JP2014067761A (en) Electronic device
KR20150136692A (en) Dehumidification type air cleaner
JP6167297B2 (en) Ventilation equipment
KR102593389B1 (en) Computer case with air washing
KR102593388B1 (en) Computer case with air washing
KR101990836B1 (en) Air purification apparatus and air purification method
KR100819732B1 (en) Transferring heat exchanger
JPH11201511A (en) Air cleaning system
JP2006286778A (en) Cooling device of electronic equipment
KR20190004684A (en) Ventilation apparatus and ventilation system having the same
JP2016070528A (en) Air supply device
CN2580334Y (en) Air conditioner
KR20060100793A (en) Energy recovery ventilation
JP2010107150A (en) Air conditioner
JP2008111568A (en)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