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9228A - Storage device for vehicle and storage system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Storage device for vehicle and storage system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9228A
KR20220079228A KR1020200168783A KR20200168783A KR20220079228A KR 20220079228 A KR20220079228 A KR 20220079228A KR 1020200168783 A KR1020200168783 A KR 1020200168783A KR 20200168783 A KR20200168783 A KR 20200168783A KR 20220079228 A KR20220079228 A KR 20220079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light
vehicl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7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보환
김종길
임제엽
권다혜
이선호
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이치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이치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이치비
Priority to KR1020200168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9228A/en
Publication of KR20220079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22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2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fron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3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compartments other than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e.g. luggage or 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수납 장치 및 이를 위한 수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로 하여금 수납량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수납 장치 및 이를 위한 수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수납 장치는, 차량의 보닛 내부에 설치되고, 수납 대상물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의 수납량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주변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torage device and a storage system theref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storage device and a storage system for the same, allowing a user to easily recognize the storage amount.
A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accommodating unit installed inside a bonnet of a vehicle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on one surface to accommodate an object to be accommodated; and a light emit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light from one side of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toward the other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amount of storage in the receiving unit.

Description

차량용 수납 장치 및 이를 위한 수납 시스템{Storage device for vehicle and storage system for the same}Storage device for vehicle and storage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수납 장치 및 이를 위한 수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로 하여금 수납량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수납 장치 및 이를 위한 수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torage device and a storage system theref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storage device and a storage system for the same, allowing a user to easily recognize a storage amount.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미에는 각종 물건, 공구 등과 같은 수납 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트렁크가 구비되어 있으며, 트렁크의 상부에는 트렁크를 개폐시키는 트렁크 리드가 구비되어 있다.In general, a trunk is provided at the rear of a vehicle to accommodate storage objects such as various objects and tools, and a trunk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runk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runk.

최근에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한 모터의 구동을 통해 동력을 얻는 전기 차량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차량의 보닛 내부에 위치하는 엔진룸에 대응하는 공간을 트렁크와 같이 수납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Recently, the demand for electric vehicles that obtain power by driving a motor using battery power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result,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engine room located inside the bonnet of the vehicle is converted into a space for storage such as a trunk. Research is ongoing to use it.

이와 같이, 차량의 보닛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 수납 대상물의 수납량에 따라 차량의 보닛과의 간섭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차량의 보닛 내부에 수납 대상물을 수납하는 경우 적절한 수납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In this way, when the storage space is formed inside the bonnet of the vehicl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nterference with the bonnet of the vehicle may occur depending on the storage amount of the storage object. There is a need for a way to make it happen.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05899호(2020.09.09. 공개)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05899 (published on September 9, 2020)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 보닛 내부의 엔진룸에 대응되는 공간을 수납 공간으로 활용하는 경우 수납 대상물의 수납량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수납 장치 및 이를 위한 수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storage amount of a storage object when using a space corresponding to an engine room inside a vehicle bonnet as a storage spa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storage device and a storage system therefo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수납 장치는, 차량의 보닛 내부에 설치되고, 수납 대상물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의 수납량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주변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includes: a storage unit installed inside a bonnet of a vehicle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on one surface to accommodate an object to be accommodated; and a light emit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light from one side of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toward the other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amount of storage in the receiving unit.

상기 발광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인지가 가능한 가이드 라인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may form a guide line recognizable by the user.

상기 가이드 라인은, 상기 개구부를 가로 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line may be formed to cross the opening.

상기 발광부는, 이동 및 회전 운동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광의 진행 경로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may change the path of the light by at least one of a movement and a rotation movement.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광부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가로 질러 진행되는 광이 도달되는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The light-rece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light-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emitting unit, and the light-receiving unit may be installed at a point where the light traveling from the light-emitting unit across the opening reaches.

상기 수광부의 감지 결과는,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 통지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통지될 수 있다.The detection result of the light receiving unit may be notified through at least one of visual, auditory and tactile notification means.

상기 개구부가 차폐되도록 상기 수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개구부가 차폐 또는 개방되도록 회전되는 상기 커버부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질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accommodating portion to shield the opening, and the light emitting portion may have different position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cover portion rotated to shield or open the opening.

상기 수납부 및 상기 커버부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 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 및 상기 결합 홈은, 상기 수납부에 형성되는 결합 홀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A rotation shaft is formed in any one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cover part, and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rotation shaft is inserted and coupled is formed in the other, and the rotation shaft and the coupling groove are formed through a coupling hole formed in the accommodating part.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수납 시스템은, 차량의 보닛 내에 설치되어 수납 대상물의 수납을 가능하게 하는 수납 장치; 상기 수납 장치의 수납량을 감지하는 수납량 감지부; 및 상기 수납량 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통지하는 통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 장치는, 상기 수납 대상물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의 수납량에 감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주변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device installed in a bonnet of a vehicle to enable storage of an object to be accommodated; a storage amount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storage amount of the storage device; and a notification unit notify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torage amount detection unit, wherein the storage device includes: a storage unit having an opening formed on one surface to accommodate the storage object; and a light emit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light from one side of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toward the other so as to detect the amount stored in the receiving unit.

상기 수납량 감지부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량 감지부는, 상기 수광부의 수광 여부에 따라 상기 수납량을 감지할 수 있다.The storage amount sensing unit may include a light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torage amount sensing unit may sense the storage amount according to whether the light receiving unit receives light.

상기 수납량 감지부는, 상기 수광부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지부에 의해 상기 수납량에 대한 경고가 통지되도록 할 수 있다.The storage amount sens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notify a warning about the storage amount by the notification unit when the light is no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상기 통지부는,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 통지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납량에 대한 경고가 통지되도록 할 수 있다. The notification unit may notify a warning about the amount of storage through at least one of a visual, audio, and tactile notification means.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수납 장치 및 이를 위한 수납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storage device and the storage system for the sam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수납 공간에 대한 적절한 수납량을 나타내는 가이드 라인을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납량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a guide line indicating an appropriate storage amount for the storage space is form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storage amount.

또한, 수납 공간에 대한 적절한 수납량을 초과하여 수납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통지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과도한 수납으로 인하여 수납 대상물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if the storage space exceeds the appropriate storage amount, the user can be notified and dealt with, so that the storage objec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due to excessive storag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수납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수납 장치가 설치된 차량이 도시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수납 장치가 도시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수납 장치가 도시된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 라인이 도시된 개략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대상물에 의해 차단된 가이드 라인이 도시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수납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의 동작이 도시된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수납 시스템이 도시된 블럭도.
1 to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in which a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guide lines formed by a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guide line blocked by a storag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5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ov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loc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stor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Accordingly,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process steps, well-known structures, and well-known techniques have not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includes and/or comprising means not excluding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nd/or actions other than the stated components, steps and/or actions. use it a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ite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Fur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erspective views, cross-sectional views, side views, and/or schematic views that are ideal illustrative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illustrative drawing may be modified due to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form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in each of the drawing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enlarged or reduced to some extent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수납 장치 및 이를 위한 차량용 수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vehicle storage device and a vehicle storage system therefo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수납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로서, 도 4는 수납부(100)에 수납 대상물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커버부(300)가 열린 경우의 일 예이다.1 to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수납 장치(10)는 수납부(100), 발광부(200) 및 커버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 the vehicle storage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orage unit 100 , a light emitting unit 200 , and a cover unit 300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수납 장치(10)는 배터리의 전원에 의한 모터의 구동을 통해 동력을 얻는 전기 차량과 같이 엔진룸에 대응되는 공간에 대한 일부 또는 전체의 활용이 가능한 차량의 보닛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storage device 10 is located inside the bonnet of a vehicle that can utilize part or all of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engine room, such as an electric vehicle that obtains power through driving of a motor by power of a battery. The installation cas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즉, 본 발명의 차량용 수납 장치(10)는 도 5와 같이 차량의 보닛(11) 내부의 엔진룸에 대응되는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차량용 수납 장치(10)의 형상은 차량의 보닛(11)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at is, the vehicle storag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a part of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engine room inside the bonnet 11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5 , and thereby the vehicle storag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onnet 11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보닛(11)이 공기 저항 등을 고려하여 전단부에 비하여 후단부가 상측에 위치하는 곡면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 경우 도 6의 점선과 같은 차량의 보닛(11) 형상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용 수납 장치(10)의 상단부 형상도 전단부에 비하여 후단부가 상측에 위치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which the bonnet 11 of the vehicle has a curved shape in which the rear end is located above the front end compared to the front end in consideration of air resistance, and in this case, the dotted line in FIG.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onnet 11 of the same vehicle, the shape of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device 10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formed to have a shape in which the rear end is located above the front end as compared to the front end.

본 발명의 차량용 수납 장치(10)의 형상은 전술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차량용 수납 장치(10)의 크기나 설치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hape of the vehicle storag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may have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size or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vehicle storag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수납부(100)는 수납 공간에 수납 대상물의 수납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부(100a)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납부(100)가 격벽(110)를 통해 구획되는 복수의 수납 공간(120, 130)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납부(100)의 수납 공간은 수납 대상물의 종류나 크기 등에 따라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ccommodating part 100 may have an opening 100a that enables the accommodating of the accommodating object to be form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A case including the spaces 120 and 13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unit 100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according to the type or size of the storage objec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납부(100)가 제1 수납 공간(120) 및 제2 수납 공간(130)을 포함하고, 제1 수납 공간(120)은 수납 대상물의 살균 및 탈취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제2 수납 공간(130)은 수납 대상물의 냉장 보관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납부(100)의 수납 공간의 개수나 수납 대상물의 종류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Hereinaft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modating part 100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space 120 and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130 , and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20 is used for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of an object to be accommodated. A case in which the second storage space 130 is used for refrigerated storage of storage object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Instead, the number of storage spaces in the storage unit 100 or the type of storage object may be variously changed as needed.

제1 수납 공간(120)은 수납 대상물의 살균 및 탈취를 위하여 환기 가능하도록 제1 수납 공간(120) 내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덕트부(121)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20 may be provided with a duct part 121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20 to be ventilated for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of the storage object.

덕트부(121)는 수납부(100)의 외부로부터 공기 유입구(121a)로 유입되는 공기가 제1 수납 공간(120) 내부에 위치하는 공기 토출구(121b)를 통해 토출되도록 하며, 공기 유입구(121a)에 비하여 공기 토출구(121b)가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공기 토출구(121b)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강하게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살균 및 탈취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duct part 121 allows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inlet 121a from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121b located inside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20, and the air inlet 121a ), the air outlet 121b is formed to have a smaller area, so that the flow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121b is relatively strong, so that more efficient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can be achieved.

제2 수납 공간(130)은 수납 대상물의 냉장 보관을 위하여 제2 수납 공간(130)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펠티어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온도 조절기(131)가 구비될 수 있고, 도 7과 같이 제2 수납 공간(130)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습기가 수납부(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관(133)과 연결되는 배수구(132)가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torage space 130 may be provided with a temperature controller 131 made of a Peltier element that allows the second storage space 130 to maintain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for refrigerated storage of an object to be stored, as shown in FIG. As shown, a drain 132 connected to the drain pipe 133 through which moisture generated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second storage space 13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unit 100 may be formed.

수납부(100)가 제1 수납 공간(120) 및 제2 수납 공간(130)을 포함하고, 제1 수납 공간(120)이 살균 및 탈취의 용도로 사용되며, 제2 수납 공간(130)이 냉장 보관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납부(100)는 수납 대상물의 종류나 크기 등에 따라 수납 공간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고, 온도나 습도 등과 같은 수납 공간의 환경도 달라질 수 있다.The accommodating part 100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space 120 and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130 ,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20 is used for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130 is The use of refrigeration storage is merely an example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of storage spaces in the storage unit 100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r size of the storage object, and the temperature may vary. The environment of the storage space, such as humidity or humidity, may also be different.

발광부(200)는 수납부(100)의 수납량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광이 발생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적절한 수납량이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200 may serve to generate light that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the amount of storage in the storage unit 100 so that the user can maintain an appropriate amount of storage.

즉, 본 발명의 차량용 수납 장치(10)가 차량의 보닛(11)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수납량에 따라 차량의 보닛(11)이나 커버부(300)와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적절한 수납량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보닛(11)이나 커버부(300)가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vehicle storag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the bonnet 11 of the vehicl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nterference with the bonnet 11 or the cover part 300 of the vehicle may occur depending on the storage amount,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appropriate This is to prevent the bonnet 11 or the cover part 300 from interfering with the vehicle so that the amount of storage can be recognized.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수납부(100)에 수납 대상물을 수납한 이후 차량의 보닛(11)이나 커버부(300)를 닫을 때 수납 대상물이 과도하게 수납된 것을 인지하는 경우에는 수납 대상물이 파손될 가능성이 있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차량의 보닛(11)이나 커버부(300)를 닫기 이전에 수납량을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f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storage object is excessively accommodated when the user closes the bonnet 11 or the cover part 300 of the vehicle after storing the storage object in the storage unit 100,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torage object will be damaged.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recognize the amount of storage in advance before closing the bonnet 11 or the cover part 300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발광부(200)로서 상대적으로 집광도가 높아 직진성이 우수하고 사용자의 육안에 의한 인지가 가능한 레이저 광이 발생되는 광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모듈이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광부(200)로부터 발생되는 광에 의한 수납량의 판단이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light emitting unit 200, at least one light emitting module including a light source that generates a laser light that has a relatively high degree of condensing, excellent straightness and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s naked eye is used as an example. Although it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types of light sources capable of determining the amount of storage by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00 may be used.

발광부(200)는 개구부(100a)의 주변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발광부(200)는 수납부(100)의 개구부(100a) 주변 일측에 구비되는 복수의 발광 모듈(210, 220, 230, 240)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At least one light emitting unit 200 may be installed around the opening 100a,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unit 200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20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100a of the receiving unit 100 . A cas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modules 210 , 220 , 230 , and 240 are includ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 라인이 도시된 개략도로서, 도 8 및 도 9는 발광부(200)로부터 레이저가 발생되는 경우의 일 예이다.8 and 9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guide lines formed by light emitted from a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and 9 are a case in which a laser is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00 Yes.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수납부(100)의 개구부(100a) 주변 일측에 구비되는 복수의 발광 모듈(210, 220, 230, 240)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은 수납부(100)의 개구부(100a) 주변 타측을 향하도록 개구부(100a)를 가로 지르는 진행 경로를 따라 진행되어 가이드 라인(L)을 형성하게 된다.8 and 9 , the light genera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odules 210 , 220 , 230 , and 24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100a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is the opening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 (100a) proceeds along a traveling path that crosses the opening 100a so as to face the other side of the periphery to form a guide line (L).

수납부(100)의 수납량이 가이드 라인(L)에 대응되는 높이를 초과하는 경우, 도 10 및 도 11과 같이 복수의 발광 모듈(210, 220, 230, 2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수납 대상물(A)에 의해 더 이상 진행되지 않아 가이드 라인(L)이 끊기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현재 수납량을 용이하게 인지하고 적절한 수납량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storage amount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exceeds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guide line L, light generated from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odules 210 , 220 , 230 , 240 as shown in FIGS. 10 and 11 is The guide line L is cut off because it is not progressed further by the storage object A, thereby making it possible for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the current storage amount and maintain an appropriate storage amount.

이때, 사용자가 적절한 수납량이 유지되도록 한다는 것은 수납 대상물(A)이 가이드 라인(L)을 초과하지 않도록 수납하는 것 뿐만 아니라, 수납 대상물(A)의 종류나 커버부(300)의 재질 등에 따라 가이드 라인(L)을 초과하여 일정한 마진을 가지도록 수납하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for the user to maintain an appropriate amount of storage, it is not only accommodated so that the storage object (A) does not exceed the guide line (L), but also guides according to the type of storage object (A) or the material of the cover part (300). Exceeding the line (L) may be accommodated to have a constant margin.

예를 들어, 사용자는 수납 대상물이 유리나 계란 등과 같이 외부 압력에 의해 파손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수납 대상물이 가이드 라인(L)을 초과하지 않도록 수납하고, 수납 대상물이 의류나 야채 등과 같이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도 파손 가능성이 적은 경우에는 가이드 라인(L)을 초과하여 일정한 마진을 가지도록 수납하며, 수납 대상물이 가이드 라인(L)을 초과하는 경우라도 커버부(300)가 탄성 변형이 가능한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가이드 라인(L)을 초과하여 일정한 마진을 가지도록 수납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storage object is highly likely to be damaged by external pressure, such as glass or eggs, the user stores the storage object so as not to exceed the guide line L, and the storage object is damaged by external pressure such as clothes or vegetables. When the possibility of damage is small even if deformed, it is accommodated to have a certain margin exceeding the guide line (L), and even when the object to be accommodated exceeds the guide line (L), the cover part 300 is elastically deformable plastic or metal. When it is made of a material, it can be accommodated to have a certain margin in excess of the guide line L.

전술한 도 8 및 도 9에서는 발광부(200)로서 복수의 발광 모듈(210, 220, 230, 240)이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광부(200)로서 단일의 발광 모듈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도 12와 같이 발광부(200)의 위치가 변경되면서 수납부(100)이 개구부(100a) 전체적으로 가이드 라인(L)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FIGS. 8 and 9 ,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odules 210 , 220 , 230 , and 240 are used as the light emitting unit 200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 single light emitting module may be used, and in this case, as the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200 is changed as shown in FIG. 12 , the guide line L may be formed in the accommodating unit 100 throughout the opening 100a.

이때, 도 12는 발광부(200)가 회전되면서 수납부(100)이 개구부(100a) 전체적으로 가이드 라인(L)이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의 일 예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광부(200)는 직선 이동, 회전 운동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At this time, FIG. 12 is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the accommodating part 100 forms the guide line L as a whole in the opening 100a while the light emitting part 200 is rotat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osition may be changed by linear movement, rotational movement, or a combination thereof.

한편, 도 8 및 도 9는 커버부(300)가 열린 경우의 일 예로서, 수납부(100)의 개구부(100a)가 차폐되도록 커버부(300)가 닫히는 경우에는 발광부(200)와 구조적인 간섭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커버부(300)의 개폐와 연동하여 발광부(200)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Meanwhile, FIGS. 8 and 9 show an example of the case in which the cover unit 300 is opened, and the structure and the light emitting unit 200 when the cover unit 300 is closed so that the opening 100a of the receiving unit 100 is shielded. Since a negative interference may occur, the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200 may be adjust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unit 300 .

예를 들어, 커버부(300)가 닫히는 경우에는 발광부(200)가 커버부(3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치가 조정될 수 있고, 커버부(300)가 열리는 경우에는 수납부(100)의 개구부(100a) 상측을 따라 광이 진행될 수 있도록 위치가 조정되어 수납부(110)의 수납량에 대한 인지가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라인(L)을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cover part 300 is closed, the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part 200 may be adjus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ver part 300 , and when the cover part 300 is opened, the opening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 (100a) The position is adjusted so that light can proceed along the upper side to form a guide line L that enables recognition of the amount of storage in the storage unit 110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커버부(300)가 닫히는 경우와 열리는 경우에 발광부(200)와 커버부(300) 사이에 구조적인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발광부(200)가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어 위치가 조정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커버부(300)가 닫히는 경우와 열리는 경우에 발광부(200)는 직선 이동, 회전 운동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위치가 조정되어 커버부(300)와 간섭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unit 200 is linear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structural interference does not occur between the light emitting unit 200 and the cover unit 300 when the cover unit 300 is closed and opened. A case in which the position is adjust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the cover unit 300 is closed and opened, the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200 is adjusted by linear movement, rotational movement,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interference with the cover part 300 can be prevented.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발광 모듈이 점광원의 형태로서 발광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발광 모듈으로부터 직선 방향으로 진행되어 발광 모듈과 마주보는 일 지점에 조사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라이트 가이드나 렌즈 등의 광학 부재를 통해 발광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도달되는 지점이 리니어한 선의 형태를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광 모듈이 광학 부재에 의해 선광원의 형태로 변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in the form of a point light source, and the case where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module proceeds in a straight direction from the light emitting module and is irradiated to a point facing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stead, the point at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odule arrives through an optical member such as a light guide or lens may have a linear shape, and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converted into the form of a linear light source by the optical member. can be understood as

다시 말해서, 수납부(100)의 개구부(100a) 전체적으로 가이드 라인(L)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발광부(200)로서 복수의 발광 모듈(210, 220, 230, 240)을 사용하거나, 발광부(200)로서 단일의 발광 모듈을 사용하되 발광부(200)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발광부(200)로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모듈을 사용하되 적어도 하나의 발광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도달되는 지점이 리니어한 선의 형태를 가지도록 광학 부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form the guide line L as a whole in the opening 100a of the receiving unit 100,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odules 210, 220, 230, 240 are used as the light emitting unit 200, or the light emitting unit ( 200) using a single light emitting module but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200, or using at least one light emitting module as the light emitting unit 200, the point at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module arrives is linear It is possible to use the optical member so as to have a single line shape.

커버부(300)는 수납부(100)의 개구부(100a)가 개폐되도록 수납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cover unit 30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receiving unit 200 such that the opening 100a of the receiving unit 100 is opened and closed.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수납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수납부(100)의 일측면에는 커버부(300)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141)이 형성되어 커버부(3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40)가 구비되고, 커버부(300)에는 회전축(141)이 삽입되는 결합 홈(311)이 형성되는 결합부(3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지지부(140) 및 결합부(310)는 수납부(100)에 형성되는 결합 홀(142)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a rotation shaft 141 serving as a rotation center of the cover part 3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part 100 , and a support part 140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cover part 300 is provided. , the cover part 300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part 310 in which a coupling groove 311 into which the rotation shaft 141 is inserted is formed, and the support part 140 and the coupling part 310 are in the receiving part 100 . They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ormed coupling holes 142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40)가 수납부(100)에 구비되고, 결합부(310)가 커버부(300)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in which the support unit 140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unit 100 and the coupling unit 310 is provided in the cover unit 300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ice versa. case is also possible.

또한, 커버부(300)가 닫힌 상태에서 외부 힘이 가해지지 전까지 커버부(300)가 열리지 않도록 하여 수납부(100)에 수납된 수납 대상물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300 is closed, the cover part 300 may not be opened until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prevent the storage objec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part 100 from being separated to the outside.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14 and 15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ve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300)는 수납부(100)의 개구부(100a)가 차폐되도록 닫힌 경우 커버부(300)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잠금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14 and 15 , the cover par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cking part 320 that prevents the cover part 300 from being opened when the opening 100a of the receiving part 100 is closed to be shielded. ) may be included.

잠금부(320)는 일단부에 수납부(100)에 형성되는 걸림 홈(150)에 형성된 걸리도록 위치되는 걸림 돌기(321a)가 형성되고, 타단부가 샤프트(32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321), 및 걸림부(321)가 커버부(300)에 장착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착 브라켓(3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part 320 has a locking protrusion 321a positioned to be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150 formed in the receiving part 100 at one end is formed,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rotatable about the shaft 322 . It may include a mounting bracket 323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engaging portion 321 to be coupled, and the engaging portion 321 to be mounted on the cover portion 300 .

걸림부(321)는 사용자가 걸림부(321)에 힘을 가하여 잠금부(320)가 잠금 해제되도록 하는 레버(32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커버부(300)를 닫거나 열 때 레버(321b)에 힘을 가하여 걸림부(321)가 잠금 해제되는 위치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The locking part 321 may include a lever 321b that allows the user to apply force to the locking part 321 to unlock the locking part 320, and when the user closes or opens the cover part 300, the lever ( 321b) may be rotated to a position where the locking part 321 is unlocked by applying a force.

장착 브라켓(323)은 샤프트(322)의 양단이 삽입되어 위치하는 삽입 홈(323a), 및 걸림부(321)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하는 장착 홀(323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장착 홀(323b)에 삽입된 걸림부(321)의 타단부를 샤프트(322)가 관통하여 걸림부(321)가 장착 브라켓(323)에 장착될 수 있다.The mounting bracket 323 may include an insertion groove 323a into which both ends of the shaft 322 are inserted, and a mounting hole 323b through which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part 321 is inserted and mounted. The shaft 322 may pass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part 321 inserted into the hole 323b so that the locking part 321 may be mounted on the mounting bracket 323 .

장착 브라켓(323)은 커버부(300)에 형성되는 체결 홈(330)에 체결되는 나사 등의 체결 부재(324)가 통과되는 통과 홀(323c)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 부재(324)가 체결 홈(330)에 체결되는 경우 장착 브라켓(323)에 커버부(30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The mounting bracket 323 may have a through hole 323c through which a fastening member 324 such as a screw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330 formed in the cover part 300 passes, and the fastening member 324 may be When it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330 , it can be coupled to the cover part 300 by the mounting bracket 323 .

또한, 샤프트(322)에는 걸림 돌기(321a)가 걸림 홈(150)에 삽입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탄성 부재(325)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ft 322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325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321a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50 .

따라서, 사용자가 레버(321b)에 힘을 가하기 전에는 탄성 부재(325)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 돌기(321a)가 걸림 홈(15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커버부(300)가 열리지 않게 되고, 사용자가 걸림 돌기(321a)가 걸림 홈(150)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레버(321b)에 힘을 가하는 경우 도 16의 점선과 같이 탄성 부재(325)가 탄성 변형되면서 걸림 돌기(321a)가 걸림 홈(150)으로부터 이탈되어 커버부(300)가 열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before the user applies a force to the lever 321b, the locking protrusion 321a remain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5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25, and the cover part 300 is not opened. , when the user applies a force to the lever 321b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321a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150, the elastic member 325 is elastically deformed as shown in the dotted line of FIG. 16 and the locking protrusion 321a is caught It is separated from the groove 150 so that the cover part 300 can be opened.

이때, 걸림부(321)의 타단부에는 걸림부(321)의 회전 시 장착 브라켓(323) 등과 충돌하여 소음이나 마모가 발생되지 않도록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완충 부재(326)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a buffer member 326 such as rubber or silicone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part 321 to prevent noise or abrasion from colliding with the mounting bracket 323 or the like when the locking part 321 is rotated.

전술한 차량용 수납 장치(100)에 수납 대상물을 수납시키는 과정에서 수납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즉 수납부(100)에 수납되는 수납 대상물이 가이드 라인(L)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위치되는 경우, 커버부(300)가 제대로 닫히지 않거나 차량의 보닛(11)을 닫을 경우 가해지는 힘으로 인하여 수납 대상물의 파손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적절한 수납량을 인지할 수 있도록 음성, 진동 등을 통해 통지할 필요가 있다.When the amount of storag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in the process of accommodating the storage object in the vehicle storage device 100, that is, the storage object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100 is positioned to protrude above the guide line L, When the cover part 300 is not properly closed or the bonnet 11 of the vehicle is closed, there is a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storage object due to the applied for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notify the user through voice or vibration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appropriate storage amount. have.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차량용 수납 시스템이 도시된 블럭도이다.1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stor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수납 시스템(1)는 수납 장치(10), 수납량 감지부(20) 및 통지부(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납 장치(10)는 전술한 실시예의 차량용 수납 장치(100)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7 , the accommodating system 1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accommodating device 10 , an accommodating amount detecting unit 20 and a notification unit 30 , and the accommodating device 10 may include As meaning the vehicle storage device 10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수납량 감지부(20)는 발광부(2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도달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광 센서를 포함하는 수광부(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수광 센서로는 발광부(2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종류에 따라 포토 센서, 라이다 센서, 적외선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The storage amount sensing unit 20 may include a light receiving unit 21 including at least one light receiving sensor positioned at a point wher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00 arrives, and the at least one light receiving sensor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Various types of sensors, such as a photo sensor, a lidar sensor, an infrared sensor, etc.,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type of light generated from 200 .

통지부(30)는 수납량 감지부(20)의 수광부(21)의 수광 결과에 따라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 통신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납량에 대한 경고를 통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수납량을 신속하게 인지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The notification unit 30 notifies a warning about the amount of storage through at least one of visual, audio, and tactile communication means according to the light reception result of the light receiving unit 21 of the storage amount detecting unit 20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check the current storage amount. be aware of it and be able to deal with it.

예를 들어, 발광부(200)가 복수의 발광 모듈(210, 220, 230, 240)을 포함하는 경우, 수광부(21)도 복수의 발광 모듈(210, 220, 230, 240)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수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납량 감지부(20)는 복수의 수광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는 경우 수납 대상물이 기준치를 초과하여 수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200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odules 210 , 220 , 230 , and 240 , the light receiving unit 21 also corresponds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odules 210 , 220 , 230 and 240 .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receiving sensors, and when the light is not received by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ight-receiving sensors, the storage amount detecting unit 20 may determine that the object to be accommodated exceeds a reference value.

또한, 발광부(200)가 단일의 발광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수광부(21)는 발광부(200)의 위치 변경에 따라 광이 도달되는 지점에 각각 수광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수납량 감지부(20)는 적어도 하나의 수광 센서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는 경우 수납 대상물이 기준치를 초과하여 수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ight-emitting unit 200 includes a single light-emitting module, the light-receiving unit 21 may be provided with a light-receiving sensor at a point where light arrives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light-emitting unit 200 , and a storage amount sensing unit Reference numeral 20 indicates that when light is not received by the at least one light receiving sensor,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object to be accommodated exceeds a reference value.

이와 같이, 수납량 감지부(20)가 수납 대상물이 기준치를 초과하여 수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통지부(30)는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 통지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납량에 대한 경고가 통지되도록 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storage amount detecting unit 20 determines that the storage object is stored exceeding the reference value, the notification unit 30 notifies the storage amount warning through at least one of a visual, auditory, and tactile notification means. can make it happen

예를 들어, 통지부(30)는 수납부(10) 또는 수납부(10) 부근에 설치되는 광원,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통해 수납량에 대한 경고가 통지되도록 하거나, 차량의 AV 시스템이나 전기 차량에 구비되는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등을 통해 수납량에 대한 경고가 통지되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키에 의한 소리나 진동 등에 의해 수납량에 대한 경고가 통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notification unit 30 may notify a warning about the amount of storage through the storage unit 10 or a light source, a display, a speaker, etc. installed near the storage unit 10, or to the AV system of the vehicle or the electric vehicle. A warning about the amount of storage may be notified through a virtual engine sound system, etc. provided, or a warning about the amount of storage may be notified by sound or vibration of a smart key possessed by the user.

또한, 수납량 감지부(20)가 수광부(21)에 의한 수광 여부에 따라 수납량을 감지하는 경우 발광부(200)로서 사용자의 육안을 통해 인지 가능한 가능한 레이저 뿐만 아니라 가시광이나 적외선 등 다양한 파장의 광이 발생되는 광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수광부(21)는 레이저 광뿐만 아니라 가시광이나 적외선의 감지가 가능한 수광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torage amount sensing unit 20 detects the storage amount depending on whether the light reception unit 21 receives or not, the light emitting unit 200 emits light of various wavelengths such as visible light or infrared light as well as a laser recognizable through the user's naked eye. The generated light source may be used,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21 may be a light receiving sensor capable of detecting not only laser light but also visible light or infrared light.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납량 감지부(20)가 발광부(2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광부(200) 대신 장애물의 감지가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 수납량 감지부(20)에 포함되는 센서의 종류도 달라질 수 있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where the storage amount sensing unit 20 includes a light receiving sensor for receiving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00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ight emitting unit 200 is not limited thereto. ) instead, when a device for generating various types of signals capable of detecting an obstacle is used, the types of sensors included in the storage amount sensing unit 20 may also vary.

예를 들어, 수납 장치(10)는 발광부(200) 대신 초음파나 전자기파 등을 발생시키는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수납량 감지부(20)도 초음파나 전자기파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초음파 센서나 레이더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the storage device 10 may be a device that generates ultrasonic waves or electromagnetic waves instead of the light emitting unit 200, and in this case, the storage amount detection unit 20 is also an ultrasonic sensor or an ultrasonic sensor capable of detecting ultrasonic waves or electromagnetic waves. A radar sensor or the like may be us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수납 장치(10) 및 이를 위한 수납 시스템(1)은 사용자가 수납 대상물의 적절한 수납량을 용이하게 인지하고 수납 대상물을 재배치하거나 수납량을 조절함으로써 수납 대상물과 차량의 보닛(11)이나 커버부(300)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 수납 대상물의 파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storage device 10 and the storage system 1 for the sam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an appropriate storage amount of the storage object and rearrange the storage object or adjust the storage amount, thereby providing the storage object and the vehicle bonnet ( 11) or the cover part 300 is prevented from occurr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object to be accommodated in advanc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 수납 장치
11: 보닛
20: 수납량 감지부
21: 수광부
30: 통지부
100: 수납부
110: 격벽
120, 130: 수납 공간
121: 덕트부
131: 온도 조절기
140: 지지부
150: 걸림 홈
200: 발광부
210, 220, 230, 240: 발광 모듈
300: 커버부
310: 결합부
320: 잠금부
10: storage device
11: Bonnet
20: storage amount detection unit
21: light receiving unit
30: notice department
100: storage unit
110: bulkhead
120, 130: storage space
121: duct part
131: thermostat
140: support
150: jam groove
200: light emitting part
210, 220, 230, 240: light emitting module
300: cover part
310: coupling part
320: lock

Claims (12)

차량의 보닛 내부에 설치되고, 수납 대상물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의 수납량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주변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수납 장치.
a accommodat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bonnet of the vehicle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on one surface to accommodate an object to be accommodated; and
and a light emit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light from one side of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toward the other to enable a user to recognize the amount of storage in the storage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인지가 가능한 가이드 라인이 형성되도록 하는 차량용 수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emitting unit,
A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to form a guide lin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라인은,
상기 개구부를 가로 지르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수납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uideline is
A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that is formed to cross the open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이동 및 회전 운동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광의 진행 경로가 변경되도록 하는 차량용 수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emitting unit,
A vehicle storage device configured to change a traveling path of the light by at least one of a movement and a rotation move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광부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가로 질러 진행되는 광이 도달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차량용 수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The light receiving unit,
A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installed at a point where light traveling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cross the opening reach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의 감지 결과는,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 통지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통지되는 차량용 수납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etection result of the light receiving unit is,
A vehicular storage device notified through at least one of visual, audible and tactile notification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차폐되도록 상기 수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개구부가 차폐 또는 개방되도록 회전되는 상기 커버부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지는 차량용 수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ver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so that the opening is shielded,
The light emitting unit,
A vehicle storage device having different position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cover portion rotated to shield or open the openin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및 상기 커버부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 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 및 상기 결합 홈은,
상기 수납부에 형성되는 결합 홀을 통해 서로 결합되는 차량용 수납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 rotation shaft is formed in any one of the receiving part and the cover part, and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rotation shaft is inserted and coupled is formed in the other one,
The rotation shaft and the coupling groove,
A vehicle storage devic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coupling hole formed in the storage unit.
차량의 보닛 내에 설치되어 수납 대상물의 수납을 가능하게 하는 수납 장치;
상기 수납 장치의 수납량을 감지하는 수납량 감지부; 및
상기 수납량 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통지하는 통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 장치는,
상기 수납 대상물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의 수납량에 감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주변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수납 시스템.
a storage device installed in the bonnet of the vehicle to enable storage of a storage object;
a storage amount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storage amount of the storage device; and
and a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torage amount sensing unit,
The storage device,
a accommodating part having an opening formed on one surface to accommodate the accommodating object; and
and a light emit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light from one side of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toward the other so as to detect the amount stored in the receiving uni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량 감지부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량 감지부는,
상기 수광부의 수광 여부에 따라 상기 수납량을 감지하는 차량용 수납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orage amount sens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The storage amount sensing unit,
A vehicle storage system for detecting the amount of storage according to whether the light receiving unit receives ligh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량 감지부는,
상기 수광부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지부에 의해 상기 수납량에 대한 경고가 통지되도록 하는 차량용 수납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orage amount sensing unit,
and a warning about the amount of storage is notified by the notification unit when the light is no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 통지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납량에 대한 경고가 통지되도록 하는 차량용 수납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notification unit,
A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configured to notify a warning of a storage amount through at least one of visual, audible and tactile notification means.
KR1020200168783A 2020-12-04 2020-12-04 Storage device for vehicle and storage system for the same KR2022007922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783A KR20220079228A (en) 2020-12-04 2020-12-04 Storage device for vehicle and storage system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783A KR20220079228A (en) 2020-12-04 2020-12-04 Storage device for vehicle and storage system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228A true KR20220079228A (en) 2022-06-13

Family

ID=81984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783A KR20220079228A (en) 2020-12-04 2020-12-04 Storage device for vehicle and storage system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922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5899A (en) 2018-01-05 2020-09-09 바이톤 노스 아메리카 코포레이션 Vehicle HVAC unit layout configur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5899A (en) 2018-01-05 2020-09-09 바이톤 노스 아메리카 코포레이션 Vehicle HVAC unit layout configur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8349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opening a refrigerator door
KR102137170B1 (en) Guidance robot
EP3392582B1 (en) Refrigerator
EP1686229A1 (en) Sensor device for automatic door assembly
US20120113660A1 (en) Door mirror lamp
CN108140288A (en) Detector lens
CN110171487A (en) The mounting structure of sensor
CN108868450A (en) Depth transducer for automatically-controlled door
US11649110B2 (en) Robot
US20150322707A1 (en) Active object detection sensor
US20080143528A1 (en) Light barrier arrangement
KR20220079228A (en) Storage device for vehicle and storage system for the same
US9383446B2 (en) Motion sensor
JP6780671B2 (en) Crew monitoring device
JP2017048575A (en)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door
KR20170112735A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0520356B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wedge of clothes on door of omnibus vehicle
JP5643522B2 (en) smoke detector
KR20210147653A (en) Safety indicating apparatus for vehicle
JP7186562B2 (en) storage
JPH1136395A (en) Automatic water supply system
KR100752485B1 (en) A device for locking a load floor cover
KR102456981B1 (en) Glove box
JP2013163451A (en) Holder attached mirror for vehicle
CN217124562U (en) Tail gate switch controlling means and have its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