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875A - Program for english teaching - Google Patents

Program for english teac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8875A
KR20220078875A KR1020200168101A KR20200168101A KR20220078875A KR 20220078875 A KR20220078875 A KR 20220078875A KR 1020200168101 A KR1020200168101 A KR 1020200168101A KR 20200168101 A KR20200168101 A KR 20200168101A KR 20220078875 A KR20220078875 A KR 20220078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lish
function
word
words
vo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1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수형
이수현
김유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에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에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에듀
Priority to KR1020200168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8875A/en
Publication of KR20220078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8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음 현상'이라고 하는 규칙을 바탕으로 모든 영어 문장을 구간 단위로 자를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고, 학습자들은 이렇게 짧은 구간으로 편집된 영어 문장들을 반복해서 듣고 다시 전체 문장을 듣는 것 만으로 자막이나 해석 없이 처음에 못 들었던 영어 문장을 정확하게 들을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게 되는 영어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구간 단위로 편집된 영어 문장을 제공하는 영어 교육 프로그램은, 영어 문장이 1회 내지 2회 이상 음성정보로 출력되는 첫번째 음성정보 출력 기능;과, 동화 및 탈락 현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발생되는 단어와 그 앞쪽 단어를 구분하는 기능; 두 단어에 걸쳐 동화 및 탈락 현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발생되는 단어들과 그 앞쪽 및 뒤쪽 단어를 각각 구분하는 기능; 두 단어에 걸쳐 연음 현상이 발생 시 연음 현상이 발생되는 두 단어를 구분하는 기능; 및 축약 현상이 발생되는 단어와 그 앞쪽 및 뒤쪽 단어를 각각 구분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발음 현상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구간 구분 규칙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는 기능; 및 영어 문장의 음성 정보가 1회 내지 2회 이상 출력되는 두번째 음성정보 출력 기능;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ndard that can cut all English sentences in sections based on a rule called 'pronunciation phenomenon', and learners can read the English sentences edited into such short sections over and over again and simply listen to the entire sentence again. It relates to an English education program that can develop the ability to accurately listen to English sentences that were not initially heard without interpretation or interpretation. A first voice information output function that is output as voice information twice or more times; and a function of distinguishing between a word in which either or both of assimilation and drop-out phenomena and a word preceding the same; a function of distinguishing between words in which either or both of assimilation and dropout phenomena occur across two words and words preceding and following the same; a function of distinguishing two words in which a linking phenomenon occurs when a linking phenomenon occurs across two words; and a function of distinguishing a word in which abbreviation occurs and a word before and after the word, respectively; a function of dividing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ection division rule based on a pronunciation phenomenon including; and a second voice information output function in which voice information of an English sentence is outputted once or twice or more.

Description

영어 교육 프로그램{Program for english teaching}English education program {Program for english teaching}

본 발명은 '발음 현상'이라고 하는 규칙을 바탕으로 모든 영어 문장을 구간 단위로 자를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고, 학습자들은 이렇게 짧은 구간으로 편집된 영어 문장들을 반복해서 듣고 다시 전체 문장을 듣는 것 만으로 자막이나 해석 없이 처음에 못 들었던 영어 문장을 정확하게 들을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게 되는 영어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ndard that can cut all English sentences in sections based on a rule called 'pronunciation phenomenon', and learners can read the English sentences edited into such short sections over and over again and simply listen to the entire sentence again. It is about an English education program that can develop the ability to accurately listen to English sentences that were not initially heard without interpretation or interpretation.

현대 사회의 국제화 추세에 따라 과거보다 외국어에 대한 관심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 흐름에 대응하여 외국어 학습과 관련된 다양한 어학용 응용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다.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ization trend of modern society, interest in foreign languages is gradually increasing than in the past. In response to such a trend of the times, various language applications related to foreign language learning are being developed.

그러나 기존의 영어 회화 교수법들은 대부분 단어의 조합을 통해 일방적으로 말하기를 가르치거나, 영어를 문법, 어휘, 독해 그리고 듣기 등의 여러개의 과목으로 나눠서 가르치는 방식이 었다.However, most of the existing English conversation teaching methods were either to teach speaking unilaterally through word combinations or to teach English by dividing it into several subjects such as grammar, vocabulary, reading comprehension, and listening.

그리고 이는 결과적으로 머리 속에서 분단된 지식들을 조합해 회화에 적용하는 것이 고스란히 학습자의 역할로 남겨졌기 때문에 큰 효과를 내지 못했다.And as a result, it did not have much effect because it was left as the learner's role to combine the divided knowledge in the head and apply it to conversation.

한국 등록특허 제10-1990023호(2019.06.18.공고), “외국어학습을 위한 청크단위 분리 규칙과 핵심어 자동 강세 표시 구현 방법 및 시스템”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90023 (2019.06.18. Announcement), “Chunk Unit Separation Rule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and Implementatio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Stress Display of Key Words” 한국 등록특허 제10-1835127호(2018.03.06.공고), “영어단어의 발음 학습 방법”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35127 (2018.03.06. Announcement), “Method of learning pronunciation of English words”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115041호(2016.10.06.공개), “음성인식 기반의 발음 학습 장치 및 학습 방법”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15041 (published on October 6, 2016), “Speech recognition-based pronunciation learning device and learning method”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발음 현상'이라고 하는 규칙을 바탕으로 모든 영어 문장을 구간 단위로 자를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고, 학습자들은 이렇게 짧은 구간으로 편집된 영어 문장들을 반복해서 듣고 다시 전체 문장을 듣는 것 만으로 자막이나 해석 없이 처음에 못 들었던 영어 문장을 정확하게 들을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게 되는 영어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iterion for cutting all English sentences into sections based on a rule called 'pronunciation phenomenon', and learners repeatedly listen to English sentences edited into such short sections and listen to the entire sentence again. We provide an English education program that allows you to develop your ability to accurately listen to English sentences that you did not hear at first without subtitles or interpret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영어 문장의 정확한 해석이 아니라 한국어와 어순이 다른 영어의 어순을 보여주고, 해당 동사를 포함한 다른 영어 문장을 많이 만들도록 하여 자연스럽게 문장을 듣고 이해하는 청해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영어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e word order of English, which has a different word order from that of Korean, rather than an accurate interpretation of the English sentence, and makes many other English sentences including the corresponding verb to naturally improve listening comprehension to hear and understand the sentence. Offers English education program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간 단위로 편집된 영어 문장을 제공하는 영어 교육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영어 문장이 1회 내지 2회 이상 음성정보로 출력되는 첫번째 음성정보 출력 기능;과, 동화 및 탈락 현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발생되는 단어와 그 앞쪽 단어를 구분하는 기능; 두 단어에 걸쳐 동화 및 탈락 현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발생되는 단어들과 그 앞쪽 및 뒤쪽 단어를 각각 구분하는 기능; 두 단어에 걸쳐 연음 현상이 발생 시 연음 현상이 발생되는 두 단어를 구분하는 기능; 및 축약 현상이 발생되는 단어와 그 앞쪽 및 뒤쪽 단어를 각각 구분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발음 현상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구간 구분 규칙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는 기능; 및 영어 문장의 음성 정보가 1회 내지 2회 이상 출력되는 두번째 음성정보 출력 기능;을 포함한다.In the English education program for providing English sentences edited in section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gram includes: a first voice information output function in which English sentences are output as voice information one or two times or more; and a function of discriminating between a word in which either or both of the dropout phenomenon occurs and a word preceding the word; a function of distinguishing between words in which either or both of assimilation and dropout phenomena occur across two words and words preceding and following the same; a function of distinguishing two words in which a linking phenomenon occurs when a linking phenomenon occurs across two words; and a function of distinguishing a word in which abbreviation occurs and a word before and after the word, respectively; a function of dividing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ection division rule based on a pronunciation phenomenon including; and a second voice information output function in which voice information of an English sentence is outputted once or twice or mo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발음 현상'이라고 하는 규칙을 바탕으로 모든 영어 문장을 구간 단위로 자를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고, 학습자들이 이렇게 짧은 구간으로 편집된 영어 문장들을 반복해서 듣고 다시 전체 문장을 듣는 것 만으로 자막이나 해석 없이 처음에 못 들었던 영어 문장을 정확하게 들을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iterion for cutting all English sentences into sections is provided based on a rule called 'pronunciation phenomenon', and learners repeatedly listen to the English sentences edited into such short sections and then return the entire sentence again. Just by listening to , you will be able to develop the ability to accurately listen to English sentences that you did not hear at first without subtitles or interpretation.

또한, 영어 문장의 정확한 해석이 아니라 한국어와 어순이 다른 영어의 어순을 보여주고, 해당 동사를 포함한 다른 영어 문장을 많이 만들도록 하여 자연스럽게 문장을 듣고 이해하는 청해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to listen and understand the sentence naturally by showing the word order of English, which has a different word order from that of Korean, rather than an accurate interpretation of the English sentence, and making many other English sentences including the corresponding verb.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에 따라 영어 문장의 음성정보가 출력되는 일 예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에서 추가적인 교수 과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어 교수장치를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nglish teaching method using a teach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visually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voice information of an English sentence is output according to an English teaching method using a teach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dditional teaching process in an English teaching method using a teach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nglish te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and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n by way of example of the embodiment.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lation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in each describ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n the whole, this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he “… wealth", "… The term “module” means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An English teaching method using a teach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pparatus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First, an English teaching method using a teach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nglish teaching method using a teach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10)에서, 교수 매체를 통해 영어 문장이 1회 내지 2회 이상 음성정보로 출력된다. As shown, in step S110, the English sentence is output as voice information one or two times or more through the teaching medium.

단계(S120)에서,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영어 문장이 동화, 탈락, 연음, 축약의 발음 현상 중 적어도 하나의 발음 현상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구간 구분 규칙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어 상기 구간별 음성정보가 다른 구간의 음성정보와 동시 출력되지 않는 조건 하에 1회 내지 2회 이상 출력된다.In step S120, through the teaching medium, the English sentenc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ection division rule based on at least one pronunciation phenomenon among assimilation, dropout, linking, and abbreviation. Each voice information is output once or twice or more under the condition that it is not output simultaneously with the voice information of other sections.

여기서, 상기 구간 구분 규칙에는, 동화 및 탈락 현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발생되는 단어와 그 앞쪽 단어를 구분하는 방식, 두 단어에 걸쳐 동화 및 탈락 현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발생되는 단어들과 그 앞쪽 및 뒤쪽 단어를 각각 구분하는 방식, 두 단어에 걸쳐 연음 현상이 발생 시 연음 현상이 발생되는 두 단어를 구분하는 방식, 축약 현상이 발생되는 단어와 그 앞쪽 및 뒤쪽 단어를 각각 구분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Here, in the section division rule, a method of distinguishing a word in which either or both of assimilation and dropout phenomena and a word preceding the same, and words in which either or both of assimilation and dropout phenomena occur across two words A method of distinguishing between a word and its front and rear words, a method of distinguishing two words in which a linking phenomenon occurs when a linking phenomenon occurs across two words, a method of distinguishing a shortened word and a word before and after it, respectively Any one or two or more may be included.

상기 발음 현상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발음 현상은 영어를 모국어로 구사하는 원어민들이 편의를 위해 단어를 철자 그대로 발음하는 대신 일부 자음을 뭉개거나, 탈락시키거나 연결해서 발음하는 경향을 정리한 자료를 말한다.To elaborate on the above-mentioned pronunciation phenomenon, the pronunciation phenomenon refers to data that summarizes the tendency of native speakers of English speaking English as their mother tongue to pronounce words by crushing, omitting, or connecting some consonants instead of pronouncing words as they are spelled for convenience. .

상기 구간 구분 규칙에 포함되는 동화, 탈락, 연음, 축약 현상의 구체적인 예들 및 이를 기준으로 영어 문장이 구간 분리되는 예들을 아래에 설명하였다.Specific examples of assimilation, dropout, liaison, and abbreviation included in the section division rule, and examples in which English sentences are divided into sections based on this, are described below.

동화현상fairy tale phenomenon

1. 동화 현상 d, t1. Assimilation phenomena d, t

단어 속 강세를 받는 강모음과 그렇지 않은 약모음 사이에 위치한 [d]와 [t]는 동화되어 마치 우리말 [ㄹ]과 비슷하게 발음된다.[d] and [t], which are located between the stressed strong vowel and the non-stressed vowel in the word, are assimilated and pronounced similarly to Korean [d].

(1)la t er[래이털] (X) → [래이러r](1)la t er[Lateral] (X) → [Lateral]

(2)co d er[코덜] (X) → [코러r](2)co d er[Choror] (X) → [Choror]

2. 동화 현상 rd, rt2. Assimilation phenomenon rd, rt

단어 속 강세를 받는 강모음과 그렇지 않은 약모음 사이에 위치한 [rd]와 [rt]는 동화되어 마치 우리말 [ㄹ]와 비슷하게 발음된다.[rd] and [rt], which are located between the stressed strong vowel and the non-stressed vowel in the word, are assimilated and pronounced similarly to the Korean [ㄹ].

(1)o rd er[올덜] (X) → [오러r](1)o rd er[Older] (X) → [Auror]

(2)so rt er[솔털] (X) → [소러r](2)so rt er[solar] (X) → [soreor]

3. 동화 현상 dd, tt3. Assimilation phenomena dd, tt

단어 속 강세를 받는 강모음과 그렇지 않은 약모음 사이에 위치한 [dd]와 [tt]는 동화되어 마치 우리말 [ㄹ]와 비슷하게 발음된다.[dd] and [tt], which are located between the stressed strong vowel and the non-stressed vowel in the word, are assimilated and pronounced similarly to the Korean [ㄹ].

(1)ki dd ing [키딩] (X) → [키링] (O)(1)ki dd ing [kidding] (X) → [key ring] (O)

(2)be tt er [베털] (X) → [베러r] (O)(2)be tt er [Better] (X) → [Bett er] (O)

4. 동화 현상 ddl, ttl4. Assimilation phenomena ddl, ttl

단어 속 강세를 받는 강모음과 그렇지 않은 약모음 사이에 위치한 [ddl]과 [ttl]은 동화되어 마치 우리말 [ㄹ]와 비슷하게 발음된다.[ddl] and [ttl], which are located between the stressed strong vowel and the non-stressed vowel in the word, are assimilated and pronounced similarly to Korean [ㄹ].

(1)mi ddl e [미들] (X) → [미를] (O)(1)mi ddl e [Middle] (X) → [Mireul] (O)

(2)li ttl e [리틀] (X) → [리를] (O)(2)li ttl e [Little] (X) → [Little] (O)

5. 동화 현상 단어 끝 d, t 연음5. Assimilation phenomenon word ending d, t linking

[d], [t]로 끝난 단어가 뒤따르는 단어와 연음이 될 경우 동화되어 마치 우리말 [ㄹ]와 비슷하게 발음된다. When a word ending in [d] or [t] becomes a liaison with the following word, it is assimilated and pronounced similarly to Korean [ㄹ].

(1)ha d it a ll [해드 이트 얼] (X) → [해리럴] (O)(1)ha d it a ll [Head Eat Earl] (X) → [Harrill] (O)

(2)no t at a ll [낫 애트 얼] (X) → [나래럴] (O)(2)no t at a ll [Not at Ear] (X) → [Nararall] (O)

6. 동화 현상 s + p, t, k, ch6. Assimilation s + p, t, k, ch

단어가 [s]로 시작될 경우 뒤따르는 자음 [p], [t], [k(ch)]는 강세를 받아 된소리로 발음된다. When a word begins with [s], the following consonants [p], [t], and [k(ch)] are stressed and pronounced as a single sound.

(1) sp oil [스포일] (X) → [스뽀일] (O)(1) sp oil [spoil] (X) → [spoil] (O)

(2) st ool [스툴] (X) → [스뚤] (O)(2) st ool [Stool] (X) → [Stool] (O)

(3) sk ip [스킵] (X) → [스낍] (O)(3) sk ip [skip] (X) → [skip] (O)

(4) sch edule [스케쥴] (X) → [스께쥴] (O)(4) sch edule [schedule] (X) → [schedule] (O)

7. 동화 현상 단어 끝 p, k 연음7. Assimilation Phenomenon End of word p, k linking

[p], [k(ch)]로 끝난 단어가 뒤따르는 단어와 연음이 될 경우 강세를 받아 된소리로 발음된다. When a word ending in [p] or [k(ch)] becomes a liaison with the following word, it is pronounced as a single sound with stress.

(1)kee p a ll [키프 올] (O) → [키뻘](1)kee p a ll [keep all] (O) → [kee p a ll]

(2)thin k a bout [띵크 어바웃] (O) → [띵꺼바웃] (2)thin k a bout [Think About] (O) → [Think About]

8. 동화 현상 dr8. Assimilation phenomenon dr

단어가 [dr]로 시작되거나 단어 중간에 [dr]이 나올 경우 발음이 동화되어 마치 [쥬르]와 비슷하게 발음된다. If a word starts with [dr] or [dr] appears in the middle of a word, the pronunciation is assimilated and pronounced like [Jour].

(1) dr aw [드러어] (X) → [쥬뤄어] (O)(1) dr aw [dr aw] (X) → [juluo] (O)

9. 동화 현상 tr9. Assimilation phenomenon tr

단어가 [tr]로 시작되거나 단어 중간에 [tr]이 나올 경우 발음이 동화되어 마치 [츄르]와 비슷하게 발음된다. If a word starts with [tr] or [tr] appears in the middle of a word, the pronunciation is assimilated and pronounced like [Chur].

(1) tr ain [트레인] (X) → [츄뤠인] (O)(1) tra ain [Train] (X) → [Train] (O)

10. 동화 현상 d, t, s + y10. Assimilation phenomena d, t, s + y

[d], [t], [s]로 끝난 단어 뒤에 [y]로 시작하는 단어가 나올 경우 각각 [쥬], [츄], [슈]로 발음된다. ([s]에 경우 단어 끝에서 [ㅅ]와 [ㅈ]의 발음을 모두 가지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쥬]로 발음될 수도 있다.)If a word starting with [y] appears after a word ending in [d], [t], or [s], it is pronounced as [Ju], [Chu], and [Shu], respectively. (In the case of [s], it may be pronounced as [ju] in some cases because it has both [ㅅ] and [j] at the end of the word.)

(1)misse d y ou [미스드 유] (X) → [미스쥬] (O)(1)misse d y ou [Miss You] (X) → [Miss Ju] (O)

*(2)wha t y ou [와트 유] (X) → [와츄] (O)*(2)what y ou [Wat You] (X) → [Wa Chu] (O)

(3)thi s y ear [디스 이얼] (X) → [디셔r] (O)(3)thi s y ear [This Ear] (X) → [Disher] (O)

11. 동화 현상 ds, ts11. Assimilation phenomena ds, ts

단어 끝이 [ds]혹은 [ts]로 끝날 때 이 둘은 동화되어 각각 [ㅈ]와 [ㅊ]로 발음된다.When a word ends in [ds] or [ts], the two are assimilated and pronounced [c] and [c], respectively.

(1)frien ds [프렌드스] (X) → [프렌즈] (O)(1)frien ds [Friends] (X) → [Friends] (O)

(2)ge ts [게트스] (X) → [게츠] (O)(2) gets [gets] (X) → [gets] (O)

탈락현상(deletion)Deletion

탈락 현상이란 특정 환경에서 영어의 소리(주로 자음)가 탈락되어 발음되지 않는 것을 말함. The dropout phenomenon refers to the dropout of English sounds (mainly consonants) in a specific environment and not being pronounced.

1.One. 탈락 현상 d - d, t - tdropout phenomenon d - d, t - t

앞 단어가 [d]나 [t]로 발음으로 끝나고 뒤따르는 단어 역시 [d]나 [t]일 경우 앞에 [d]와 [t]는 탈락되어 발음이 되지 않는다. If the preceding word ends in [d] or [t] and the following word is also [d] or [t], the preceding [d] and [t] are dropped and cannot be pronounced.

(1)foo d d rive [푸드 드라이브] (X) → [푸쥬롸이브] (O)(1)foo d d rive [Food Drive] (X) → [Food Drive] (O)

(2)wha t t ime [와트 타임] (X) → [와타임] (O)(2)what t ime [Watt time] (X) → [Watt time] (O)

2.2. 탈락 현상 조음점이 같은 단어dropout phenomenon words with the same articulation

앞 단어의 끝 발음과 뒤따르는 단어의 첫 발음의 *조음점이 같을 경우 앞에 발음이 탈락되어 발음되지 않는다. If the *articulation point of the last pronunciation of the preceding word and the first pronunciation of the following word are the same, the preceding pronunciation is dropped and is not pronounced.

(1)convenien ce s tore [컨비니언스 스토어] (X) → [컨비니언스토어] (O)(1)convenien ce s tore [Convenience Store] (X) → [Convenience Store] (O)

3. 탈락 현상 nd, nt3. Dropout phenomenon nd, nt

단어 끝에 철자가 [nd] 혹은 [nt]로 끝날 경우 [d]와 [t]는 탈락되어 발음되지 않는다. If a word ends in [nd] or [nt], [d] and [t] are dropped and not pronounced.

(1)se nd [센드] (X) → [센] (O)(1)se nd [send] (X) → [sen] (O)

(2)appointme nt [어포인트먼트] (X) → [어포인먼] (O)(2) appointment [appointment] (X) → [appointment] (O)

4. 탈락 현상 단어 가운데 nd, nt4. nd, nt among dropout words

단어 가운데 철자 [nd] 혹은 [nt]가 나올 경우 [d]와 [t]는 탈락되어 발음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이화현상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If the letters [nd] or [nt] appear in the middle of a word, [d] and [t] are dropped and are not pronounced. In some cases, it may be defined as a catabolic phenomenon.

(1)rese nt ment [리젠트먼트] (X) → [리센먼] (O)(1)rese nt ment [regent ment] (X) → [resenman] (O)

5. 탈락 현상 2 단어 사이 3연속 자음 중간 d, t 탈락5. Dropout phenomenon 3 consecutive consonants between 2 words d, t dropout

2 단어 사이에 자음이 3개 이상 몰려있을 때 가운데 위치한 [d]와 [t]는 탈락되어 발음되지 않는다. When 3 or more consonants are clustered between 2 words, [d] and [t] located in the middle are dropped and not pronounced.

(1)o ld m an [올드 맨] (X) → [올맨] (O)(1)o ld m an [Old Man] (X) → [All Man] (O)

(2)ke pt b ack [켑트 백] (X) → [켑백] (O)(2)ke pt b ack [Kept bag] (X) → [Kept bag] (O)

6. 탈락 현상 단어 중 3연속 중간 자음 p, b, t, d, k 탈락6. Dropout phenomenon 3 consecutive middle consonants p, b, t, d, k dropout

한 단어 안에 3개 이상의 자음이 몰려있을 때 가운에 위치한 [b], [d], [k]. [p], [t]는 탈락되어 발음되지 않는다. [b], [d], [k] located in the center when three or more consonants are clustered in a word. [p] and [t] are omitted and not pronounced.

(1)la stl y [라스틀리] (X)

Figure pat00001
[라슬리] (O)(1)la stl y [Rastley] (X)
Figure pat00001
[Lasley] (O)

(2)sta mps [스탬프스] (X)

Figure pat00002
[스탬스] (O)(2)sta mps [stamps] (X)
Figure pat00002
[Stamp] (O)

7. 탈락 현상 인칭대명사 h 탈락7. Dropout phenomenon Personal pronoun h Dropout

철자 [h]로 시작하는 인칭대명사(he, his, him, her)에 [h]는 탈락되어 발음되지 않는다. In personal pronouns that start with the letter [h] (he, his, him, her), [h] is omitted and is not pronounced.

(1)di d h e [디드 히] (X) → [디리] (O)(1)di d h e [di d h e] (X) → [di li] (O)

(2)whe n h is [원 히즈] (X) → [웬니즈] (O)(2)whe n h is [One Hiss] (X) → [Wennis] (O)

(3)wa s h im [워즈 힘] (X) → [워짐] (O)(3)wa s h im [was force] (X) → [was h im] (O)

(4)gi ve h er [기브 헐] (X) → [기버r] (O)(4)gi ve h er [Give Hull] (X) → [Give r] (O)

연음 현상(connected speech)connected speech

영어에서 앞 단어의 자음 소리가 뒤따르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의 첫 음절과 연결되어 마치 두 단어가 하나가 연결된 것처럼 들리는 것을 가리킴. 연음 현상에 경우 연음이 되는 과정에서 동화 현상과 탈락 현상이 함께 적용되는 경우가 많음. In English, the consonant sound of the preceding word is connected with the first syllable of a word that begins with a vowel that follows, so that two words sound as if they were connected as one. In the case of the linking phenomenon, the assimilation phenomenon and the dropout phenomenon are often applied together in the process of linking.

1. 연음 현상 부정관사 a, an1. The indefinite article a, an

부정관사 [a]와 [an]은 앞 단어와 연결되어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The indefinite articles [a] and [an] tend to be pronounced in connection with the preceding word.

(1)ge t a [게트 어] (X) → [게러] (O)(1)ge t a [get] (X) → [gerer] (O)

(2)ha d a n [해드 언] (X) → [해런] (O)(2)ha d a n [Head Un] (X) → [Haran] (O)

2.2. 연음 현상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Words that start with vowels

모음 [a], [e], [i], [o], [u]로 시작하는 단어는 앞 단어와 연결되어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Words beginning with vowels [a], [e], [i], [o], and [u] tend to be pronounced in conjunction with the preceding word.

(1)ha ve a ny [해브 애니] (X) → [해배니] (O)(1)ha ve a ny [Have ANY] (X) → [Have ANY] (O)

축약 현상 (reduction)reduction

영어에는 내용 해석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내용어(content word)'와 문장을 구성하는 기능을 하지만 내용 해석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기능어(function word)'가 있다. 내용어는 주로 주어(명사), 동사 등을 포함하며 기능어는 조동사, 전치사, 접속사 등을 포함한다. 이때 기능어에 속한 원래 강세를 받아 또박또박하게 발음 되어야 할 음절들이 애매 모음(약모음)인 // (schwa, 슈와)로 대체되어 약하게 발음된다. 축약 현상은 이 과정에서 기능어가 통째로 발음이 잘 안 되는 현상을 말한다.In English, there are 'content word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for content interpretation, and 'function words', which function to construct sentences but do not significantly affect content interpretation. Content words mainly include subjects (nouns) and verbs, and function words include auxiliary verbs, prepositions, and conjunctions. At this time, the syllables that should be pronounced clearly with the original stress belonging to the function word are replaced with an ambiguous vowel (weak vowel) // (schwa, shuwa) to be pronounced weakly. The abbreviation phenomenon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whole function word is not pronounced well in this process.

1. 축약 현상 do1. abbreviation do

기능어(조동사)에 속하는 단어는 통째로 발음이 간소화 될 수 있는데 [do]는 자음 소리만 남아 [ㄷ]로 발음되고, 말하는 속도가 빨라지면 [ㄹ]로도 발음될 수 있다.Words belonging to function words (modal verbs) can be simplified in pronunciation. [do] is pronounced as [c], with only consonant sounds remaining.

2. 축약 현상 can / could2. abbreviation can / could

기능어(조동사)에 속하는 단어는 통째로 발음이 간소화 될 수 있는데 [can]과 [could]는 자음 소리만 남아 [ㅋ] 혹은 [큰]으로 발음될 수 있다. Words belonging to function words (modal verbs) can be simplified in pronunciation, but [can] and [could] remain only consonant sounds and can be pronounced as [ㅋ] or [Large].

3. 축약 현상 have3. have abbreviations

기능어(조동사)에 속하는 단어는 통째로 발음이 간소화 될 수 있는데 [have]는 [헤]나 [브(v)]로 발음될 수 있다. Words belonging to function words (auxiliary verbs) can be simplified in pronunciation as a whole, and [have] can be pronounced as [he] or [v (v)].

4. 축약 현상 of4. abbreviation of

기능어(전치사)에 속하는 단어는 통째로 발음이 간소화 될 수 있는데 [of]는 [오]로 발음될 수 있다. Words belonging to function words (prepositions) can be simplified in pronunciation as a whole, and [of] can be pronounced as [o].

5. 축약 현상 to5. abbreviation to

기능어(전치사)에 속하는 단어는 통째로 발음이 간소화 될 수 있는데 [to]는 자음 소리만 남아 [ㄷ]로 발음되고, 말하는 속도가 빨라지면 [ㄹ]로도 발음될 수 있다. Words belonging to function words (prepositions) can be simplified in pronunciation. [to] is pronounced as [c] with only consonant sounds, and when speaking speed increases, it can also be pronounced as [ㄹ].

6. 축약 현상 will6. abbreviation will

기능어(조동사)에 속하는 단어는 통째로 발음이 간소화 될 수 있는데 [will[은 [을]로 발음될 수 있다. *애매 모음을 참고할 것Words belonging to function words (modal verbs) can be simplified in pronunciation as a whole, and [will[] can be pronounced as [e]. *Please refer to the ambiguous collection

7. 축약 현상 going to gonna 7. abbreviation going togonna

기능어(조동사) will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조동사구 'be going to'에 경우 축약되어 [gonna]로 발음된다. (격식을 갖춘 문어체에서는 'gonna'로 표기하는 것을 금하지만 친구들과의 문자 메시지 와 같은 비격식 구어체에서는 'gonna'로 표기하기도 한다.)In the case of the auxiliary verb phrase 'be going to', which has the same role as the function word (auxiliary verb) will, it is abbreviated and pronounced as [gonna]. (It is forbidden to write 'gonna' in formal written language, but it is sometimes written as 'gonna' in informal colloquial words such as text messages with friends.)

8. 축약 현상 want to wanna 8. abbreviation want towanna

'want + to 부정사'의 경우 [to]가 축약된 형태로 자주 사용됨에 따라 전체가 축약되어 [wanna]로 발음된다. (격식을 갖춘 문어체에서는 'wanna'로 표기하는 것을 금하지만 비격식 구어체에서는 'wanna'로 표기하기도 한다.)In the case of 'want + to infinitive', [to] is often used as an abbreviated form, so the whole is shortened and pronounced as [wanna]. (It is forbidden to write 'wanna' in formal written language, but it is sometimes written as 'wanna' in informal colloquialism.)

9. 축약 현상 have got to / have to gotta 9. abbreviation have got to / have togotta

기능어(조동사) have to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조동사구 'have got to/have to'에 경우 축약되어 [gotta]로 발음된다. (격식을 갖춘 문어체에서는 'gotta'로 표기하는 것을 금하지만 비격식 구어체에서는 'gotta'로 표기하기도 한다.)Function word (auxiliary verb) In the case of the auxiliary verb phrase 'have got to/have to', which has the same role as have to, it is abbreviated and pronounced as [gotta]. (It is forbidden to write 'gotta' in formal written language, but it is sometimes written as 'gotta' in informal colloquialism.)

10. 축약 현상 out of outta 10. Contraction out ofoutta

'out + of'에 경우 전치사 [of]가 축약된 형태로 자주 사용됨에 따라 전체가 축약되어 [outta]로 발음된다. (격식을 갖춘 문어체에서는 'outta'로 표기하는 것을 금하지만 비격식 구어체에서는 'outta'로 표기하기도 한다.)In the case of 'out + of', the preposition [of] is often used in an abbreviated form, so the whole is abbreviated and pronounced as [outta]. (It is forbidden to write 'outta' in formal written language, but it is sometimes written as 'outta' in informal colloquialism.)

<영여 문장이 구간 구분 규칙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는 예들><Examples in which English sentences are divided into multiple sections according to the section division rule>

1. 동화/탈락 현상이 적용된 단어 앞을 끊는다. 1. Stop before the word to which the assimilation/dropout phenomenon is applied.

(1)You'd / be tt er see a doctor. *동화 현상 단어 앞을 끊음(1)You'd / be tt er see a doctor. *Cut off before a fairy tale word

(2)I have an / appoi nt me nt at 6. *탈락 현상 단어 앞을 끊음(2)I have an / appoi nt me nt at 6.

2. 두 단어에 걸쳐 생겨나는 동화/탈락 현상에 경우 단어 앞 뒤를 끊는다. 2. In case of assimilation/dropout that occurs across two words, cut off the front and back of the word.

(1)I / wante d t o / show you something. * 탈락 현상 앞 뒤를 끊음(1)I / wante d t o / show you something. * Cut off the front and back of the dropout phenomenon

(2)I don't / wan t t o / thin k a bout / it. *탈락/동화 현상 앞 뒤를 끊음(2)I don't / wan t t o / thin k a bout / it. *Cut off front and back of dropout/assimilation phenomenon

3. 두 단어에 걸쳐 생겨나는 연음 현상에 경우 두 단어 사이를 끊는다. 3. In case of linking between two words, break between the two words.

(1)He really doesn't ge t / o u t / o f his house very often. *연음이 된 단어들의 사이를 끊음(1)He really doesn't ge t / o u t / o f his house very often. * Break between words that have been consonant

4. 축약 현상이 적용된 단어 앞 뒤를 끊는다. 4. Break before and after the word to which the contraction is applied.

(1)I ordered two cups / of / coffee. *축약 현상이 적용되는 of 앞 뒤를 끊음(1)I ordered two cups / of / coffee. *Break before and after of which abbreviations are applied

(2)I / wanna / order two cups / of / coffee. *축약 현상으로 want to = wanna 앞 뒤를 끊음(2)I / wanna / order two cups / of / coffee. * As an abbreviation, want to = wanna cut off the front and back

5. 한 문장에 발음 현상이 1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위 모든 지침을 따라 문장의 모든 구간을 분리한다. 5. Since there is not only one pronunciation phenomenon in a sentence, follow all the guidelines above to separate all sections of the sentence.

(1)I ha ve / a n / appoi nt me nt at 6. *연음 현상과 탈락 현상 반영(1)I ha ve / a n / appoi nt me nt at 6. *Reflects linking and dropout phenomena

(2)I / do n't / wan t t o / thin k a bout / it. *탈락/동화 현상 모두 반영(2)I / do n't / wan t t o / thin k a bout / it. * All dropout/assimilation phenomena are reflected

(3)He really / does n't ge t / o u t / o f his house very often. *탈락/연음 현상 모두 반영(3)He really / does n't ge t / o u t / o f his house very often. *Reflects all dropout/connection phenomena

(4)I / o rd ered two cups / of / coffee. *동화/축약 현상 모두 반영(4)I / o rd ered two cups / of / coffee. *All assimilation/abbreviation phenomena are reflected

(5)I / wanna // o rd er two cups / of / coffee. *축약/동화 현상 모두 반영(5)I / wanna // o rd er two cups / of / coffee. *Reflects both abbreviation/assimilation phenomena

위의 마지막 문장을 보면 축약 현상 때문에 'wanna'의 뒤를 자른 것이 동화 현상 때문에 'order'의 앞을 자른 것과 겹쳐진다. 이와 같이 두 발음 현상 사이에 충돌이나 중복이 있을 경우 자르는 위치가 겹치거나 추가적인 장소를 자르기만 해도 되기 때문에 모든 영어 문장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하다.If you look at the last sentence above, truncating the back of 'wanna' because of abbreviation overlaps with truncating the front of 'order' because of assimila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re is a collision or overlap between the two pronunciation phenomena, the cutting position overlaps or it is only necessary to cut an additional place, so it is commonly applicable to all English sentences.

도 1을 참조하여 계속 설명하면, 단계(S130)에서,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단계(S110)의 영어 문장의 음성 정보가 1회 내지 2회 이상 출력된다.1, in step S130,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English sentence of step S110 is outputted once or twice or more through the teaching medium.

그리고 상기 단계(S110) 및 단계(S120)에서는 상기 영어 문장의 음성정보 또는 상기 구간별 음성정보가 3회 출력되고, 상기 단계(S130)에서는 상기 영어 문장의 음성정보가 2회 출력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단계(S120)에서는 상기 영어 문장의 상기 구간마다 그 음성정보가 2회 이상 반복 출력되면서 각 구간이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것일 수 있다.And in the steps S110 and S120,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English sentence or the voice information for each section is output three times, and in the step S130,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English sentence is output twice. . In addition, in step S120 , the voice information is repeatedly output for each section of the English sentence two or more times, and each section may be sequentially output.

도 2는 이를 “I wanna order two cups of coffee.”의 영어 문장을 기준으로 그 음성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교수 매체를 통해서 “I wanna order two cups of coffee.”의 전체 문장에 대한 음성정보가 3회 반복해서 출력된다. 이어서 “I wanna order two cups of coffee.”의 전체 문장이 상술한 구간 구분 규칙에 따라 “I”, “wanna”, “order two cups”, “of”, “coffee”의 5개 구간으로 구분되어 각 구간마다 그 음성정보가 3회씩 출력되면서 모든 구간에 걸쳐 순차적인 출력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I wanna order two cups of coffee.”의 전체 문장에 대한 음성정보가 2회 반복해서 출력된다.2 is a visual representation of an example in which the voice information is output based on the English sentence of “I wanna order two cups of coffee.” The voice information for the entire sentence of “of coffee.” is repeatedly output 3 times. Subsequently, the entire sentence of “I wanna order two cups of coffee.” is divided into 5 sections: “I”, “wanna”, “order two cups”, “of”, and “coffee” according to the section division rule described above. The voice information is output three times for each section, and sequential output is made over all sections. Then, the voice information for the entire sentence of “I wanna order two cups of coffee.” is repeatedly output twice.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단계(S140)에서,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영어 문장이 영상정보로 표시된다.Returning to FIG. 1 again, in step S140 , the English sentence is displayed as image information through the teaching medium.

단계(S150)에서,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영어 문장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발음 현상들에 대한 설명이 학습자에게 제공된다. 이때, 상기 발음 현상들에 대한 설명은 교수 매체를 통해 음성정보 또는 영상정보로 출력되거나 멀티미디어 영상으로 출력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step S150, a description of the pronunciation phenomena included in the English sentence is provided to the learner through the teaching medium. In this case, the description of the pronunciation phenomena can be made in various ways, such as being output as audio information or image information through a teaching medium, or output as a multimedia image.

단계(S160)에서,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a) 내지 (e)단계의 상기 발음 현상들과 동일한 발음 현상들을 포함한 다른 영어 문장이 음성정보로 출력된다.In step S160, another English sentence including the same pronunciation phenomena as the pronunciation phenomena of steps (a) to (e) is output as voice information through the teaching medium.

상술한 바와 같이, 영어 회화가 상대방의 말을 듣는 것에서 시작되듯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영어 교수 방법 역시 영어 문장을 듣는 것에서부터 시작되며, 이때 영어 문장을 보여주거나 해석해주는 기존의 학습법과는 달리 오로지 전체 문장과 발음 현상을 토대로 편집된 구간을 반복해서 듣는 것 만으로 학습자가 스스로 문장을 들을 수 있게 만들어준다.As described above, just as English conversation starts from listening to the other person, the English teaching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lso starts from listening to an English sentence, and in this case, unlike the existing learning method that shows or interprets an English sentence, only It makes it possible for learners to listen to the sentences on their own just by repeating the edited section based on the entire sentence and pronunciation phenomenon.

부연 설명하면, 미 국방부 언어교육원에서 세계 제 2차대전때 활용했다고 알려져 유명해진 '듣는 언어 기술(Audio-lingual Technique)'과 같은 방법들은 외국어 회화 공부의 핵심이 말하기가 아니라 듣기이며 정확하게 듣고 말할 수 있을 때까지 반복해서 듣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정확한 반복 청취 횟수 등의 세부 지침을 제공하지 않으며 한국어가 모국어인 이들이 전혀 다른 알파벳 체계와 발성을 가진 영어에 접근함으로써 겪는 어려움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To elaborate, methods such as the 'Audio-lingual Technique', which became famous for being used during World War II by the Language Education Center of the US Department of Defense, is that the core of learning foreign language conversation is listening, not speaking, and you can hear and speak accurately. Whil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listening repeatedly until there is, it does not provide detailed guidelines such as the exact number of repetitions, and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native speakers of Korean accessing English, which has a completely different alphabet system and pronunciation.

따라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발음 현상'이라고 하는 규칙을 바탕으로 모든 영어 문장을 구간 단위로 자를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며, 학습자들은 이렇게 짧은 구간으로 편집된 영어 문장들을 반복해서 듣고 다시 전체 문장을 듣는 것 만으로 자막이나 해석 없이 처음에 못 들었던 영어 문장을 정확하게 들을 수 있는 능력을 키우게 된다. 다시 말해 영어를 모국어로 구사하는 원어민들의 무의식적으로 튀어나오는 발음 현상들 때문에 학습자의 기대치와 실제로 들리는 발음 사이에 괴리가 생기면서 영어 문장이 잘 들리지 않게 되므로, 영어 문장을 구간으로 자르고 반복 청취를 함에 따라 발음 현상의 영향이 최소화되면서 듣는 훈련이 진행되도록 한 다음, 전체 문장을 다시 들음으로써 자연스럽게 발음 현상이 적용되는 부분을 느끼고 습득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criterion for cutting all English sentences into sections is provided based on a rule called 'pronunciation phenomenon', and learners listen to the English sentences edited into such short sections repeatedly and listen to the entire sentence again. You will develop the ability to accurately listen to English sentences that you did not hear at first without subtitles or interpretation. In other words, due to the unconscious pronunciation phenomena of native speakers of English as their mother tongue, there is a gap between the learner's expectations and the actual pronunciation, making it difficult to hear English sentences. Listening training proceeds with the effect of the pronunciation phenomenon being minimized, and then by listening to the entire sentence again, you will naturally feel and learn the part to which the pronunciation phenomenon is applied.

부연 설명하면, 구간 반복의 이유는 전체 문장을 반복해서 들음으로써 발음 현상의 영향으로 문장이 잘 들리지 않는 다는 사실을 깨닫게 한 뒤, 발음 현상을 바탕으로 나눠진 구간을 반복해서 들음으로써 문장에 포함된 발음 정보를 조각조각 파악하고, 마지막으로 다시 전체 문장을 들려줌으로써 해당 단어들이 문장에 들어가 발음 현상에 받는 영향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To elaborate, the reason for section repetition is to make people realize that the sentence is difficult to hear due to the influence of the pronunciation phenomenon by listening to the entire sentence repeatedly, and then listen to the divided section based on the pronunciation phenomenon repeatedly to hear the pronunciation included in the sentence. By grasping the information piece by piece and finally hearing the whole sentence again, the words enter the sentence and feel the influence of the pronunciation phenomenon.

다음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에서 추가적인 교수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Next, an additional teaching process in the English teaching method using the teach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에서 추가적인 교수 과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dditional teaching process in an English teaching method using a teach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실시 예의 단계(S110) 내지 단계(S160)의 영어 문장들이 활용되는 단계들로써 단계(S170) 내지 단계(S200)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As shown, the steps (S170) to (S200) are sequentially performed as steps in which the English sentences of steps (S110) to (S160) of the embodiment of FIG. 1 are utilized.

단계(S170)에서,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단계(S110) 내지 단계(ㄴ160)에서의 영어 문장들 중 선택된 한 영어 문장(이하 “학습 문장”이라 함)이 미리 정해진 어순의 원리에 따라 상기 어순의 원리 중 어느 것에 해당되는지 판단된다. In step S170, through the teaching medium, one selected English senten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learning sentence”) among the English sentences in steps S110 to (b160)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a predetermined word order It is determined which of the principles of the word order is applicable.

이때, 상기 어순의 원리는 영어 단어가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를 포함하는 내용어 및 관사, 대명사,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조동사를 포함하는 기능어로 분류되는 것 및 영어 문장의 5형식을 기준으로 하되, 상기 학습 문장에서 기능어는 모두 배제하는 동시에 내용어들의 나열 순서를 기준으로 제1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주격보어(SC)”, 제2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목적어(O) or 주어(S)+동사(V)+간접목적어(IO)+직접목적어(DO)”, 제3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목적어(O)+목적격보어(OC)”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principle of the word order is that English words are classified as content words including nouns, verbs, adjectives, and adverbs, and function words including articles, pronouns, prepositions, conjunctions, relatives, auxiliary verbs, and 5 types of English sentences. However, all function words are excluded from the learning sentences,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word order principle is “Subject (S) + Verb (V) + Nominal complement (SC)”, and the second word order principle is “ Subject (S) + Verb (V) + Object (O) or Subject (S) + Verb (V) + Indirect Object (IO) + Direct Object (DO)”, the third word order principle, “Subject (S) + Verb (V) + object (O) + objective case complement (OC)”.

단계(S180)에서,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학습 문장의 한국어 해석이 영상정보로 표시된다.In step S180, the Korean interpretation of the learning sentence is displayed as image information through the teaching medium.

*단계(S190)에서,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학습 문장의 한국어 해석이 학습자를 통해 영어 단어들로 바뀐다.* In step S190, through the teaching medium, the Korean interpretation of the learning sentence is changed to English words through the learner.

단계(S200)에서, 상기 교수 매체를 통해서, 상기 단계(S190)을 통해 바뀐 영어 단어들이 상기 학습 문장이 되기 위해 제자리를 찾아가는 과정이 영상정보로 표시된다.In step S200, through the teaching medium, the process in which the English words changed through the step S190 find their place to become the learning sentences is displayed as image information.

상기 어순의 원리 및 그에 기반하는 단계(S170) 그리고 이와 연계되는 단계(S180) 내지 단계(S200)의 구체적인 예들을 아래에 설명한다.Specific examples of the principle of the word order, the step S170 based thereon, and the related steps S180 to S200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상기 어순의 원리의 제1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주격보어(SC)”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first word order principle of the word order principle, “subject (S) + verb (V) + nominative complement (SC)”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1. ['~이다'의 어순 (2형식)]1. [The word order of 'is' (form 2)]

_______ 는 ~이다 정체/상태/장소_______ is a stagnant/state/place

I am ____________________.I am ____________________.

You are ____________________.You are __________.

He is ____________________.He is __________.

She is ____________________.She is __________.

It is ____________________.It is __________.

We are ____________________.We are __________.

They are ____________________.They are ____________________.

그리고 상기 어순의 원리의 제2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목적어(O) or 주어(S)+동사(V)+간접목적어(IO)+직접목적어(DO)”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d in the second word order principle of the word order principle, “subject (S) + verb (V) + object (O) or subject (S) + verb (V) + indirect object (IO) + direct object (DO)” It is explained as follows.

2. ['~하다/~주다'의 어순 (1/3/4형식)]2. [The word order of 'to do/to give' (1/3/4 format)]

_______는 ~한다/준다 (~에게) _____________를_______ does/gives (to) _____________

I go.I go.

You disappear.You disappear.

He eats food.He eats food.

She plays games. She plays games.

It shows (us) progress. It shows (us) progress.

We tell them lies. We tell them lies.

They give us clues. They give us clues.

그리고 상기 어순의 원리의 제3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목적어(O)+목적격보어(OC)”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d the third word order principle of the word order principle, “subject (S) + verb (V) + object (O) + object case complement (OC)”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3. ['~게 만들다/~하게 하다'의 어순 (5형식)]3. [The word order of 'make something/make something' (form 5)]

_______는 ~게 만들다/하다 __________가 __________________ makes/makes __________ ___________

I make her angry.I make her angry.

You make me happy. You make me happy.

He makes her cry.He makes her cry.

She wants me to leave.She wants me to leave.

It makes you think. It makes you think.

We help him move. We help him move.

They see me run. They see me run.

그리고 상기 어순의 원리를 영어 문장 “I have an appointment at 6”을 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d the principle of the word order is as follows when the English sentence “I have an appointment at 6” is explained as an example.

I ha ve / a n / appoi nt me nt at 6. *연음 현상과 탈락 현상 반영I ha ve / a n / appoi nt me nt at 6. *Reflects linking and dropout phenomena

난 6시에 약속이 있다. I have an appointment at 6 o'clock.

교육자는 위 문장의 한국어 풀이를 학습자에게 보여준다.The educator shows the Korean solution of the above sentence to the learner.

나는 / 약속을 / (갖고)있다.I / Promise / (have).

이 과정에서 전치사를 포함한 전치사 구 등은 먼저 배제한다.In this process, prepositional phrases including prepositions are excluded first.

*핵심 내용어의 나열을 다루는 상기 어순의 원리에서 전치사, 관사 및 접속사와 같은 개념들은 학습자가 핵심 어순에 익숙해진 뒤 스스로를 더 많은 영어 문장에 노출시키면서 직접 습득하고 그 쓰임을 정확하게 다듬어 나가도록 한다. 그런 뒤 한국어로 표기된 각 단어를 영어로 아는지 학습자에게 묻고 매칭시킨다.* In the principle of word order that deals with the arrangement of key content words, concepts such as prepositions, articles, and conjunctions allow learners to learn and refine their usage accurately while exposing themselves to more English sentences after becoming familiar with the key word order . Then, ask the learner whether they know each word written in Korean in English and match them.

나는 / 약속을 / (갖고)있다.I / Promise / (have).

I appointment haveI have an appointment

이어서 교수 매체를 통해서 영어 단어가 어순과 의미의 맞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보여준다.Then, through the teaching medium, it is shown that English words move to the correct position of word order and meaning.

나는 / (갖고)있다 / 약속을I / (have) / make an appointment

I have appointmentI have appointment

마지막으로 어순의 원리 표에서 위 해당 어순을 찾은 뒤 어순에 맞춰 다양한 단어를 넣고 문장을 만드는 것을 연습한다.Finally, find the above word order in the word order principle table and practice making sentences by inserting various words according to the word order.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 교육법의 대부분은 영어 문장을 눈으로 보여준 뒤 문법으로 문장을 해석하여 독해 능력을 키워주면 영어를 듣고 이해하는 청해(listening comprehension) 능력이 향상된다고 착각하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정확한 해석이 아니라 한국어와 어순이 다른 영어의 어순을 보여주고, 해당 동사를 포함한 다른 영어 문장을 많이 만들도록 하여 자연스럽게 문장을 듣고 이해하는 청해력이 향상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most of the existing educational methods mistakenly show that English sentences are visually displayed and then interpret the sentences with grammar to increas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to improve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to hear and understand English, but in this embodiment, accurate It shows the word order of English, which has a different word order from that of Korean, rather than interpretation, and makes many other English sentences including the corresponding verb to naturally improve listening comprehension.

다음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어 교수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Next, an English te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어 교수장치를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nglish te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어 교수 장치는 저장부(10), 제어부(20), 스피커(30) 및 디스플레이 패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English te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orage unit 10 , a control unit 20 , a speaker 30 , and a display panel 40 .

저장부(10)는 영어 문장들이 저장된다.The storage unit 10 stores English sentences.

제어부(20)는 저장부(10)로부터 검출되는 영어 문장을 동화, 탈락, 연음, 축약의 발음 현상 중 적어도 하나의 발음 현상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구간 구분 규칙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상기 구간별 음성정보가 다른 구간의 음성정보와 동시 출력되지 않는 조건 하에 1회 내지 2회 이상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구간 구분 및 출력 소프트웨어(21)가 탑재된다.The control unit 20 divides the English sentence detected from the storage unit 10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ection division rule based on at least one pronunciation phenomenon among assimilation, dropout, linking, and abbreviation. Section division and output software 21 for outputting each voice information once or twice or more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voice information of each section is not output simultaneously with the voice information of other sections is mounted.

그리고 구간 구분 및 출력 소프트웨어(21)의 상기 구간 구분 규칙에는, 동화 및 탈락 현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발생되는 단어와 그 앞쪽 단어를 구분하는 방식, 두 단어에 걸쳐 동화 및 탈락 현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발생되는 단어들과 그 앞쪽 및 뒤쪽 단어를 각각 구분하는 방식, 두 단어에 걸쳐 연음 현상이 발생 시 연음 현상이 발생되는 두 단어를 구분하는 방식, 축약 현상이 발생되는 단어와 그 앞쪽 및 뒤쪽 단어를 각각 구분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된다.And, in the section division rule of the section division and output software 21, a method of classifying a word in which either or both of assimilation and drop-out phenomena and a word preceding the same, and any one of assimilation and drop-out phenomena over two words Alternatively, the method of distinguishing the words in which both occur and the words before and after it, the method of distinguishing the two words in which the linking phenomenon occurs when the linking phenomenon occurs between two words, the method of distinguishing the word in which the contraction phenomenon occurs and its front and any one or two or more of the methods of distinguishing each of the following words.

또한, 제어부(20)에는 영어 단어가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를 포함하는 내용어 및 관사, 대명사,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조동사를 포함하는 기능어로 분류되는 것 및 영어 문장의 5형식을 기준으로 해서, 영어 문장을 기능어는 모두 배제하는 동시에 내용어들의 나열 순서를 기준으로 제1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주격보어(SC)”, 제2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목적어(O) or 주어(S)+동사(V)+간접목적어(IO)+직접목적어(DO)”, 제3 어순 원리인 “주어(S)+동사(V)+목적어(O)+목적격보어(OC)” 중 어느 하나의 어순에 해당되는지 판별하는 어순의 원리 소프트웨어(22)가 더 탑재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rol unit 20, English words are classified as content words including nouns, verbs, adjectives, and adverbs, and function words including articles, pronouns, prepositions, conjunctions, relatives, auxiliary verbs, and five types of English sentences. Therefore, excluding all functional words from English sentences, the first word order principle is “subject (S) + verb (V) + nominative complement (SC)”, and the second word order principle is “subject” based on the order of content words. (S) + Verb (V) + Object (O) or Subject (S) + Verb (V) + Indirect Object (IO) + Direct Object (DO)”, the third word order principle, “Subject (S) + Verb ( V) + object (O) + object case complement (OC)”, the word order principle software 22 for determining whether it corresponds to any one word order may be further mounted.

스피커(30)는 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외부 송출한다.The speaker 30 transmits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20 to the outside.

디스플레이 패널(40)은 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영상정보를 화면 표시한다.The display panel 40 displays imag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20 on the screen.

그리고 상술한 구성을 갖는 영어 교수 장치의 작용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교수 매체를 이용한 영어 교수 방법의 작용과 대동소이하므로,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of the English teaching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English teaching method using the teaching medium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is embodiment.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description,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etc.,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but these are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No,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written, and not onl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all those having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o the claims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in a computer and a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10 : 저장부 20 : 제어부
21 : 구간 구분 및 출력 소프트웨어 22 : 어순의 원리 소프트웨어
30 : 스피커 40 : 디스플레이 패널
10: storage unit 20: control unit
21: section division and output software 22: word order principle software
30: speaker 40: display panel

Claims (5)

구간 단위로 편집된 영어 문장을 제공하는 영어 교육 프로그램에 있어서,
영어 문장이 1회 내지 2회 이상 음성정보로 출력되는 첫번째 음성정보 출력 기능;과
동화 및 탈락 현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발생되는 단어와 그 앞쪽 단어를 구분하는 기능;
두 단어에 걸쳐 동화 및 탈락 현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발생되는 단어들과 그 앞쪽 및 뒤쪽 단어를 각각 구분하는 기능;
두 단어에 걸쳐 연음 현상이 발생 시 연음 현상이 발생되는 두 단어를 구분하는 기능; 및
축약 현상이 발생되는 단어와 그 앞쪽 및 뒤쪽 단어를 각각 구분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발음 현상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구간 구분 규칙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는 기능; 및
영어 문장의 음성 정보가 1회 내지 2회 이상 출력되는 두번째 음성정보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영어 교육 프로그램.
In an English education program that provides edited English sentences in units of sections,
The first voice information output function in which English sentences are output as voice information one or two times or more; and
a function of discriminating between a word in which either or both of assimilation and dropout phenomena occur and a word preceding it;
a function of distinguishing between words in which either or both of assimilation and dropout phenomena occur across two words and words preceding and following the same;
a function of distinguishing two words in which a linking phenomenon occurs when a linking phenomenon occurs across two words; and
A function of dividing a word in which abbreviation occurs and a word before and after the word, respectively; a function of dividing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ection division rule based on a pronunciation phenomenon, and
An English education program comprising; a second voice information output function in which voice information of an English sentence is outputted once or twice or mo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음성정보 출력 기능에서는 상기 영어 문장의 음성정보가 3회 이상 출력되고, 상기 발음 현상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구간 구분 규칙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는 기능에서는 상기 구간별 음성정보가 3회 이상 출력되며, 상기 두번째 음성정보 출력 기능에서는 상기 영어 문장의 음성정보가 2회 이상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교육 프로그램.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first voice information output function,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English sentence is output three or more times, and in the function of dividing the voice information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ccording to a section division rule predetermined based on the pronunciation phenomenon, the voice information for each section is output 3 times or more is output, and in the second voice information output function,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English sentence is outputted twice or mo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음 현상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구간 구분 규칙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되는 기능에서 상기 영어 문장의 상기 구간마다 그 음성정보가 2회 이상 반복 출력되면서 각 구간이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교육 프로그램.
The method of claim 1,
English,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function of dividing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ccording to a section division rule predetermined based on the pronunciation phenomenon, the voice information is repeatedly outputted for each section of the English sentence two or more times, and each section is sequentially output education progra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번째 음성정보 출력 기능 이후에,
영어 문장이 영상정보로 표시되는 기능; 및
상기 영어 문장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발음 현상들에 대한 설명이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교육 프로그램.
The method of claim 1,
After the second voice information output function,
The function of displaying English sentences as image information; and
The English education progra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function of providing a description of the pronunciation phenomena included in the English sentence to the learn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어 문장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발음 현상들에 대한 설명이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기능 이후에,
상기 발음 현상들과 동일한 발음 현상들을 포함한 다른 영어 문장이 음성정보로 출력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교육 프로그램.
5. The method of claim 4,
After the function in which the explanation of the pronunciation phenomena included in the English sentence is provided to the learner,
The English education program further comprising a function of outputting other English sentences including the same pronunciation phenomena as the pronunciation phenomena as voice information.
KR1020200168101A 2020-12-04 2020-12-04 Program for english teaching KR202200788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101A KR20220078875A (en) 2020-12-04 2020-12-04 Program for english teac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101A KR20220078875A (en) 2020-12-04 2020-12-04 Program for english teach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875A true KR20220078875A (en) 2022-06-13

Family

ID=81984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101A KR20220078875A (en) 2020-12-04 2020-12-04 Program for english teac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8875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041A (en) 2015-03-25 2016-10-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nunciation
KR101835127B1 (en) 2016-11-29 2018-03-06 안준영 Studying Method for Pronunciation of English word
KR101990023B1 (en) 2017-05-26 2019-06-18 주식회사 엠글리쉬 Method for chunk-unit separation rule and display automated key word to develop foreign language studying, and system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041A (en) 2015-03-25 2016-10-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nunciation
KR101835127B1 (en) 2016-11-29 2018-03-06 안준영 Studying Method for Pronunciation of English word
KR101990023B1 (en) 2017-05-26 2019-06-18 주식회사 엠글리쉬 Method for chunk-unit separation rule and display automated key word to develop foreign language studying, and system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eld Cognitive validity
Walker-Jones Hebrew for biblical interpretation
Dragsted et al. Speaking your translation: students' first encounter with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Danks et al. An interactive analysis of oral reading
Prator Phonetics vs. phonemics in the ESL classroom: when is allophonic accuracy important?
US20120164609A1 (e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of Instruction
Fitria English Accent Variations of American English (Ame) and British English (Bre): An Implication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KR102405744B1 (en) English teach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eaching media
Merkle et al. Beginning with New Testament Greek: an introductory study of the grammar and syntax of the New Testament
Rojas et al. Assessing the bilingual (Spanish/English) population
KR20220078875A (en) Program for english teaching
KR20220078868A (en) English teaching method using teaching media
KR20220078870A (en) English teaching method to improve the hearing ability of English sentences based on phonetic phenomena
KR20220078865A (en) Record medium recording an English education program that improves the hearing ability of English sentences based on pronunciation
KR20220078873A (en) Program for providing english teaching using teaching media
KR20220078876A (en) English teaching program to improve the hearing ability of English sentences
KR20220078874A (en) Program for providing english education
KR20220078872A (en) English teaching apparatus using teaching media
KR20220078867A (en) Medium of record that records English education programs
KR20220078861A (en) Recording Medium
KR20220078862A (en) Medium of record that records English education program
Stenson et al. Understanding Irish spelling: A handbook for teachers and learners
Skrelin et al. Application of New Technologies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Izre’el Fautes de grammaire ou grammaire des fautes? Or: Should Hebrew Speakers Be Afraid of Linguists?
Wanrooij et al. Evidence for immature perception in adolescents: Adults process reduced speech better and faster than 16-year o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