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280A - Automatic inventory management system of grain and monitoring methods - Google Patents

Automatic inventory management system of grain and monitoring metho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8280A
KR20220078280A KR1020200167650A KR20200167650A KR20220078280A KR 20220078280 A KR20220078280 A KR 20220078280A KR 1020200167650 A KR1020200167650 A KR 1020200167650A KR 20200167650 A KR20200167650 A KR 20200167650A KR 20220078280 A KR20220078280 A KR 20220078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grain
discharge
time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6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의웅
김훈
최보규
정태영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67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8280A/en
Publication of KR20220078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28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36Arrangement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46Gates or sluices, e.g. rotary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66Use of indicator or control devices, e.g. for controlling gas pressure, for controlling proportions of material and gas, for indicating or preventing jamming of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 G01G11/08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rate of feed or dischar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 G01G11/14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using totalising or integra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 투입이 가능한 투입부를 포함하는 투입 연류계부; 상기 투입 연류계부와 연결된 제1이송시설 및 n개(n은 자연수)의 투입 게이트부; n개의 투입 게이트부 각각과 연통되고 투입 게이트부와 연결된 n개(n은 자연수)의 탱크; 탱크 각각과 연통되고 탱크와 연결된 n개(n은 자연수)의 배출 게이트부; 및 곡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n개의 배출 게이트부와 연결된 제2이송시설 및 배출 연류계부;를 포함하는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linkage unit including an input unit capable of inputting grains; a first transfer facility and n input gates (n is a natural number) connected to the input chain unit; n tanks (n is a natural number)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n input gate parts and connected to the input gate part; n (n is a natural number) discharge gate portion communicating with each tank and connected to the tank; And it relates to a grain inventory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and a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including a discharge unit from which grains are discharged, and a second transfer facility and discharge linkage unit connected to n discharge gate units.

Figure P1020200167650
Figure P1020200167650

Description

곡물 자동 재고 관리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AUTOMATIC INVENTORY MANAGEMENT SYSTEM OF GRAIN AND MONITORING METHODS}AUTOMATIC INVENTORY MANAGEMENT SYSTEM OF GRAIN AND MONITORING METHODS

본 발명은 곡물 투입이 가능한 투입부를 포함하는 투입 연류계부; 상기 투입 연류계부와 연결된 제1이송시설 및 n개(n은 자연수)의 투입 게이트부; n개의 투입 게이트부 각각과 연통되고, 투입 게이트부와 연결된 n개(n은 자연수)의 탱크; 탱크 각각과 연통되고, n개의 탱크와 연결되는 n개(n은 자연수)의 배출 게이트부; 및 곡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n개의 배출 게이트부와 연결된 제2이송시설 및 배출 연류계부;를 포함하는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linkage unit including an input unit capable of inputting grains; a first transfer facility and n input gates (n is a natural number) connected to the input chain unit; n tanks in communication with each of the n input gates and connected to the input gates (n is a natural number); n (n is a natural number) discharge gate portion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tanks and connected to the n tanks; And it relates to a grain inventory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and a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including a discharge unit from which grains are discharged, and a second transfer facility and discharge linkage unit connected to n discharge gate units.

곡물의 수확후 처리시설과 이후 제품으로 가공하는 시설 (이하, 곡물종합처리시설이라 함)에 사용되는 탱크 (Tank)의 종류로는 저장탱크 (사일로, 사각빈 또는 콘크리트빈 등), 원료탱크 (초기원료 또는 중간원료) 또는 제품탱크 등이 있다. 탱크의 개수는 시설의 규모 및 운영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탱크 종류별로 각각 수 개 내지 수십 개에 달할 수 있다.The types of tanks used in post-harvest treatment facilities for grain and subsequent produc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grain processing facilities) include storage tanks (silos, square bins or concrete bins, etc.), raw material tanks ( initial raw material or intermediate raw material) or product tank. The number of tanks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facility, but may amount to several to several tens for each type of tank.

곡물종합처리시설은 운영 계획에 맞춰 품종별, 등급별, 생산방법별 또는 수확후 처리방법별로 여러 가지 브랜드 제품을 생산한다. 이에 생산 과정에서 이력, 등급 및 가공 일자, 원산지 및 품종 순도 등의 관리 부실에 따른 법적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하게 물량 관리, 품질 관리, 수율 관리 및 감모 관리 등 운영 관리를 실시해야 하며, 이를 위해 탱크내 곡물 재고량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According to the operation plan, the comprehensive grain processing facility produces various branded products by variety, grade, production method, or post-harvest treatment method. Therefore, in the production process, operation management such as quantity management, quality control, yield control and loss management should be thoroughly implemented to prevent legal problems arising from poor management such as history, grade and processing date, country of origin and variety purity.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grasp the amount of grain stock in the tank in real time.

나아가, 곡물종합처리시설에서는 운영 계획대로 출하되지 않아 탱크 내부에 재고가 남는 경우, 작업 여건상 탱크에 곡물을 여러 번에 걸쳐 충전하는 경우, 또는 연계 공정의 문제점으로 운전이 중단되는 경우 등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탱크에는 ⓐ 간헐적으로 곡물이 투입 또는 배출되거나, ⓑ 탱크내 재고가 남거나, ⓒ 탱크내에 재고가 있음에도 신규로 투입되어 혼곡이 발생하거나, ⓓ 투입, 저장 및 배출 중 감모가 발생하는 등으로 재고량이 일정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해, 곡물종합처리시설은 곡물의 재고량을 정확하게 운영 관리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Furthermore, in the case of a grain processing facility that is not shipp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plan, stock remains inside the tank, when the tank is filled with grain multiple times due to working conditions, or when the operation is stopped due to a problem in the linked process, etc. There are many different things that can happen. Due to this, ⓐ grains are intermittently introduced or discharged into each tank, ⓑ stock remains in the tank, ⓒ is newly added even though there is stock in the tank, resulting in mixing, ⓓ wear and tear during input, storage and discharge, etc.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nventory amount is not constant. For this reason,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comprehensive grain processing facility to accurately operate and manage the stock of grains.

각 탱크 내 곡물 재고량을 측정하기 위해 고려할 수 있는 방법으로, 첫째, 모든 탱크에 개별적으로 곡물의 투입량을 측정하는 투입 연류계와 배출량을 측정하는 배출 연류계를 부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설치 공간 및 비용이 크게 높아질뿐만 아니라, 투입과 배출이 개별로 발생하거나, 동시에 발생하거나, 또는 수시로 발생할 경우 정확한 곡물의 재고량 측정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As a method that can be considered to measure the grain stock in each tank, first, there is a method of attaching an input fuel meter that measures the input amount of grain to all tanks individually and a discharge fuel meter that measures the discharge amount. However, the installation space and cost are greatly increased, and when input and discharge occur individually, simultaneously, or frequently, it is not possible to accurately measure the stock amount of grain.

둘째, 각 탱크 내에 카메라 등 탱크 내에 저장된 곡물의 양을 예측할 수 있는 센서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탱크내 투입 또는 배출하는 곡물의 양이 일정하지 않고, 곡물이 저장된 형태가 균일하지 않으며, 곡물 투입시에 발생하는 먼지로 센서를 오염시키는 등으로 인해 정확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비용도 결코 저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Second, there is a method of installing a sensor device capable of predicting the amount of grain stored in the tank, such as a camera, in each tank. However, the amount of grain input or discharged in the tank is not constant, the form in which the grain is stored is not uniform, and the accuracy is lowered and the cost is not low due to contamination of the sensor with dust generated during grain input. The downside is that it isn't.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곡물종합처리시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탱크 전단에 배치된 투입 연류계 및 탱크 후단에 설치된 배출 연류계를 활용하여 시설 도입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각 탱크의 재고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탱크의 재고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reduce facility introduction costs by using an input fuel gas meter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tank and an exhaust gas fuel meter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tank, which are generally used in conventional grain processing facilities, while accurately measuring the inventory amount of each tank Efforts were made to develop an automated system for managing grain inventory that can do this and a monitoring method to monitor the amount of stock in the tank in real time using it.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in inventory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utomated monitoring of grain inventory management.

본 발명은 곡물 투입이 가능한 투입부를 포함하는 투입 연류계부; 상기 투입 연류계부와 연결된 제1이송시설 및 n개(n은 자연수)의 투입 게이트부; n개의 투입 게이트부 각각과 연통되고 투입 게이트부와 연결된 n개(n은 자연수)의 탱크; 탱크 각각과 연통되는 n개(n은 자연수)의 배출 게이트부; 및 곡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n개의 배출 게이트부와 연결된 제2이송시설 및 배출 연류계부를 포함하는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linkage unit including an input unit capable of inputting grain; a first transfer facility and n input gates (n is a natural number) connected to the input chain unit; n tanks (n is a natural number)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n input gate parts and connected to the input gate part; n (n is a natural number) discharge gate portions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tanks; And it relates to a grain inventory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and a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including a discharge unit from which the grain is discharged, and a second transfer facility connected to the n discharge gate unit and a discharge linkage unit.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일 예는 다음의 구성을 포함하는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in inventory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compris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곡물 투입이 가능한 투입부를 포함하는 투입 연류계부;Input linkage unit including an input unit capable of inputting grain;

상기 투입 연류계부와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이송시설 및 n개(n은 자연수)의 투입 게이트부;a first transfer facility and n input gates (n is a natural number) connected so that the input flow meter and the grain can move;

상기 n개의 투입 게이트부 각각과 연통되고, 투입 게이트부와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n개(n은 자연수)의 탱크;n (n is a natural number) tanks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n input gate parts and connected to the input gate part and grains to be movable;

상기 n개의 탱크 각각과 연통되고, 탱크와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n개(n은 자연수)의 배출 게이트부; 및an n discharge gate portion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n tanks and connecting the tank and the grain to be movable; and

곡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n개의 배출 게이트부와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이송시설 및 배출 연류계부.A second transport facility and an exhaust linkage unit including a discharge unit through which grains are discharged, and the n discharge gate units and the grains are connected to be movable.

본 발명에 있어서 투입부는 곡물이 투입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나, 곡물을 투입받을 수 있는 구조라면 당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채용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든 무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is open so that grain can be input, but as long as it has a structure that can receive grain, it may have any structure generally employable in the industry.

곡물의 종류는 현미, 백미, 찹쌀, 보리, 밀, 호밀, 콩, 옥수수, 귀리, 수수, 조, 기장, 피, 메밀 및 율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백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ype of grain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rown rice, white rice, glutinous rice, barley, wheat, rye, soybean, corn, oats, sorghum, millet, millet, blood, buckwheat and barley, for example, It may be white r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있어서 투입 연류계부는 일측에 투입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투입 연류계부는 투입부와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flow meter may include an input unit on one sid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put flow meter may be connected to the input unit and the grain to be movable.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투입 연류계부는 1개 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only one input concatenation unit.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투입 연류계부는 투입중량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flow meter may include an input weight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투입중량 측정 장치는 투입부로 투입되는 곡물의 투입중량을 측정하여, 투입중량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weight measuring device may measure the input weight of the grain input to the input unit to generate input weight inform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투입 연류계부는 투입시간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flow meter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time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투입시간 측정 장치는 투입중량 측정 장치가 곡물의 투입중량을 측정하기 시작한 시간을 측정하여 투입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time measuring device may be to measure the time the input weight measuring device starts to measure the input weight of the grain to generate the input time inform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투입 연류계부는 투입함수율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flow meter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moisture content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투입함수율 측정 장치는 투입되는 곡물의 함수율을 측정하여 투입함수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moisture content measuring apparatus may measur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input grain to generate input moisture content inform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있어서 투입 연류계부는 측정한 투입중량 정보, 투입시간 정보 및 투입함수율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linkage meter may transmit the measured input weight information, input time information, and input moisture conten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있어서 투입 게이트부는 투입 연류계부 및 제1이송시설과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gate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input flow meter and the first transfer facility so that the grain can mo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있어서 투입 게이트부는 n개(n은 자연수)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n input gate units (n is a natural number).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n개의 투입 게이트부는 1개의 투입 연류계부 및 제1이송시설과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 input gate unit may be connected to one input current relay unit and the first transfer facility.

본 발명에 있어서 이송시설은 파이프, 컨베이어 또는 엘리베이트 등과 같이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ort facility may be configured to allow grain to be moved, such as a pipe, a conveyor, or an eleva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있어서 투입 게이트부는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gate unit may have either an open state or a closed state.

본 발명에 있어서 탱크는 n개의 투입 게이트부 각각과 연통되고, n개의 투입 게이트부와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ank communicates with each of the n input gates,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n input gates and grains to be movable.

본 발명에 있어서 탱크는 n개(n은 자연수)일 수 있으며, 탱크의 개수는 투입 게이트부의 개수와 동일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anks may be n (n is a natural number), and the number of tanks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input gate par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탱크는 사일로, 사각빈, 콘크리트빈, 원료탱크 및 제품탱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ank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os, square bins, concrete bins, raw material tanks and product tank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있어서 배출 게이트부는 n개의 탱크 각각과 연통되고, n개의 탱크와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gate unit communicates with each of the n tanks,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n tanks and grains to be movab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있어서 배출 게이트부는 n개(n은 자연수)일 수 있으며, 배출 게이트부의 개수는 투입 게이트부의 개수와 동일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n discharge gate portions (n is a natural number), and the number of discharge gate portions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input gate portion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있어서 배출 연류계부는 곡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제2이송시설 및 n개의 배출 게이트부와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linkage unit may include a discharge unit through which grains are discharged,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fer facility and n discharge gate units so that the grains are movable.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배출 연류계부는 배출시간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haust current meter may include a device for measuring a discharge time.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배출시간 측정 장치는 n개(n은 자연수)의 배출 게이트부 중 하나가 열린 상태로 되는 시간, 및 동일한 상기 n개의 배출 게이트부 중 하나가 닫힌 상태로 전환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배출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time measuring device determines the time at which one of the n discharge gate portions (n is a natural number) is opened, and the time at which one of the same n discharge gate portions is switched to the closed state. may be to generate emission time information by measur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배출 연류계부는 배출함수율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haust gas flow meter may further include an exhaust moisture content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배출함수율 측정 장치는 배출 게이트부에서 배출되는 곡물의 함수율을 측정하여 배출함수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moisture content measuring device may be to measur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grain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gate unit to generate the discharged moisture content information.

본 발명에 있어서 배출 연류계부는 측정한 배출시간 정보 및 배출함수율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mission flow meter may transmit the measured emission time information and emission moisture conten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및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in inventory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user terminal and a data storage unit.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투입부로 투입되는 곡물의 품종, 브랜드, 생산지, 생산일자, 생산시간, 투입일자 및 생산자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정보를 입력받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may be to receive one or more types of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type, brand, production location, production date, production time, input date and producer of the grain input to the input unit, but this It is not limited.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입력받은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may store the received information in the data storage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은 투입중량 정보, 투입시간 정보 및 투입함수율 정보를 이용하여 곡물 투입 정보를 연산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may calculate grain input information using input weight information, input time information, and input moisture content inform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은 배출 게이트부의 단위시간당 곡물 배출중량, 배출시간 정보 및 배출함수율 정보를 이용하여 곡물 배출 정보를 연산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may calculate the grain discharge information by using the grain discharge weight per unit time of the discharge gate unit, discharge time information, and discharge moisture content inform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입력받은 정보 중 투입함수율 정보 및 배출함수율 정보를 하기 수학식 1에 적용하여 재고량 변화율을 연산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may calculate the stock quantity change rate by applying the input moisture content information and the discharged moisture content information among the received information to Equation 1 below, but is not limited thereto.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재고량 변화율을 곡물 투입 정보에 적용하여 곡물 투입 정보의 증감을 연산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may be to calculate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grain input information by applying the stock quantity change rate to the grain input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곡물 투입 정보, 곡물 배출 정보 및 재고량 변화율을 이용하여 곡물 재고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may be to generate grain inventory information by using the grain input information, grain discharge information, and stock quantity change rate.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곡물 투입 정보, 곡물 배출 정보, 곡물 재고 정보 및 재고량 변화율을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may be to store grain input information, grain discharge information, grain stock information, and stock change rate in the data storage uni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송신받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may be to receiv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송신받은 정보를 곡물의 재고 정보로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ata storage unit as stock information of the grain.

본 발명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 디스플레이 (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및 전자잉크 디스플레이 (e-ink display)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is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rganic) It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ght Emitting Diode: OLED,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and e-ink display, for example, it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but is limited thereto it is not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는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하고,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onitoring automated grain inventory management using a grain inventory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a) 투입 연류계부가 투입부를 통해 곡물을 투입받은 후, 열린 상태의 n번째(n은 자연수) 투입 게이트부로 곡물을 이동시키고, 상기 n번째 투입 게이트부 n번째(n은 자연수) 탱크에 곡물을 저장하는 투입 단계; 및(a) After the input flow meter receives grain through the input unit, the grain is moved to the n-th (n is a natural number) input gate in an open state, and the grain is placed in the n-th (n is a natural number) tank of the n-th input gate part. input step to store; and

(b) i번째(i는 자연수) 탱크와 연통되는 i번째(i는 자연수) 배출 게이트부를 열린 상태로 전환한 후, 상기 i번째 배출 게이트부와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배출 연류계부를 통해 곡물을 배출하는 배출 단계.(b) After switching the i-th (i is natural water) discharge gate in communication with the i-th (i is natural water) tank to an open state, the grain through the i-th discharge gate and the discharge flow meter connected so that the grain can move A discharge step that discharges

본 발명에 있어서 (a) 투입 단계는 투입 연류계부가 투입부를 통해 곡물을 투입받는 단계; 열린 상태의 n번째(n은 자연수) 투입 게이트부로 상기 곡물을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n번째 투입 게이트부와 연통되어, 투입 게이트부와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탱크에 곡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the input step is a step of receiving the input flow meter input grain through the input unit; moving the grain to an n-th (n is a natural number) input gate in an open state;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n-th input gate portion, may include the step of storing the grain in a tank connected to the input gate portion and the grain to be movable.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a) 투입 단계는 투입받은 곡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투입중량 측정 단계; 투입받은 곡물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투입함수율 측정 단계; 투입중량 측정 단계가 수행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제1투입시간 측정 단계; 및 곡물이 투입 연류계부로부터 열린 상태의 n번째(n은 자연수) 투입 게이트부까지 이동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제2투입시간 측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e input step is an input weight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input grain; Input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input grain; A first input time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the time during which the input weight measurement step is performed; and a second input time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the time the grain moves from the input flow meter to the n-th (n is a natural number) input gate in an open state.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투입함수율 측정 단계는 투입받은 곡물의 함수율이 낱알마다 다르기 때문에, 하나 이상의 곡물 함수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평균 함수율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step may be to calculate the average moisture content by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of one or more grains in real time becaus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input grain is different for each gra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제1투입시간 측정 단계는 투입중량 측정 단계가 수행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nput time measuring step may be to measure the time during which the input weight measuring step is perform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제2투입시간 측정 단계는 구체적으로 3가지 경우의 수에 따라 실시 방법이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measuring the second input time, the implementation method may be specifical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ree cas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투입시간 측정 단계는 곡물이 n번째(n은 자연수) 투입 게이트부까지 이동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도중에 다른 투입 게이트부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지 않는 경우, 곡물이 투입 연류계부로부터 열린 상태의 n번째(n은 자연수) 투입 게이트부까지 이동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모니터링 방법은 투입 연류계부가 측정한 곡물의 투입중량, 투입함수율, 제1투입시간 및 제2투입시간을 이용하여 n번째 탱크에 대한 곡물 투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input time measuring step, if the other input gate part does not switch to an open state while measuring the time for which the grain moves to the nth (n is a natural number) input gate part, the grain is input It may be a step of measuring the moving time from the current meter to the n-th (n is a natural number) input gate in an open state. In this case, the moni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generating grain input information for the nth tank using the input weight of the grain, the input moisture content, the first input time, and the second input time measured by the input flow meter. may be doing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투입시간 측정 단계는 곡물이 n번째(n은 자연수) 투입 게이트부까지 이동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도중에 n+a번째(a는 자연수) 투입 게이트부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n번째 투입 게이트부를 닫힌 상태로 전환하는 투입 게이트부 전환 단계; 및 투입 게이트부 전환 단계가 수행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제1투입 게이트부 전환시간 측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모니터링 방법은 투입 연류계부가 측정한 곡물의 투입중량, 투입함수율, 제1투입시간, 제2투입시간 및 제1투입 게이트부 전환시간을 이용하여 n번째 탱크에 대한 곡물 투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input time measurement step, the n + a-th (a is a natural number) input gate part is open while measuring the time that the grain moves to the n-th (n is a natural number) input gate part when switched to, the input gate part switching step of switching the n-th input gate part to a closed state; and a first input gate part switching time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a time during which the input gate part switching step is performed. In this case, the moni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input weight of the grain, the input moisture content, the first input time, the second input time, and the first input gate part switching time measured by the input flow meter to input the grain to the nth tank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generat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투입시간 측정 단계는 n이 2 이상의 자연수이고, 곡물이 열린 상태의 n번째 투입 게이트부까지 이동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도중에 n-b번째(b는 n보다 작은 자연수) 투입 게이트부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n-b번째 투입 게이트부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제2투입 게이트부 전환시간 측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제2투입시간 측정 단계는 투입 연류계부가 측정한 투입중량, 투입함수율, 제1투입시간 및 제2투입 게이트부 전환시간을 이용하여 n번째 탱크에 대한 곡물 투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input time measuring step, n is a natural number equal to or greater than 2, and while measuring the moving time to the n-th input gate part of the open state, the n-b-th (b is smaller than n) natural number) when the input gate part is switched to the open state, the second input gate part switching time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time when the n-b-th input gate part is switched to the open state may be included. In this case, the second input time measurement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grain input information for the nth tank using the input weight, input moisture content, first input time, and second input gate switching time measured by the input flow meter.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본 발명에 있어서 제2투입시간 측정 단계를 통해, 본 발명의 모니터링 방법은 다수의 탱크에 곡물이 투입되는 것을 제어하거나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econd input time measurement step, the moni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or monitor the input of grain into a plurality of tanks in real time.

본 발명에 있어서 (b) 배출 단계는 i번째(i는 자연수) 탱크와 연통되는 i번째(i는 자연수) 배출 게이트부를 열린 상태로 전환한 후, 배출 게이트부로부터 i번째 배출 게이트부와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배출 연류계부를 통해 곡물을 배출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 discharging step is after switching the i-th (i is a natural number) discharge gate in communication with the i-th (i is a natural number) tank to an open state, and the i-th discharge gate and grains from the discharge gate It may be discharging the grain through a discharging entrainment unit movably connected.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b) 배출 단계는 i번째(i는 자연수) 배출 게이트부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배출함수율 측정 단계; 및 곡물이 i번째 배출 게이트부로부터 배출 연류계부까지 이동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배출시간 측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 the discharging step is a discharging moisture content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grain discharged from the ith (i is a natural number) discharge gate portion; and a discharge time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time the grain moves from the i-th discharge gate unit to the discharge flow meter unit.

본 발명의 배출시간 측정 단계는 구체적으로 2가지 경우의 수에 따라 실시 방법이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In the step of measuring the discharge tim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lementation method may be specifical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wo cas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배출시간 측정 단계는 곡물이 i번째(i는 자연수) 배출 게이트부로부터 배출 연류계부까지 이동하는 도중에 다른 배출 게이트부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지 않는 경우, 곡물이 상기 i번째 배출 게이트부로부터 배출 연류계부까지 이동하는 시간 (배출시간)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모니터링 방법은 배출 게이트부의 단위시간당 곡물 배출중량, 배출시간 및 배출함수율을 이용하여 곡물 배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measuring the discharge time, if the other discharge gate does not switch to an open state while the grain is moving from the i-th (i is a natural number) discharge gate to the discharge flow meter, the grain is the i-th It may be to measure the moving time (discharge time) from the discharge gate part to the exhaust gas flow meter. In this case, the moni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grain discharge information using the grain discharge weight per unit time of the discharge gate unit, discharge time, and discharge moisture content.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배출시간 측정 단계는, i는 2 이상의 자연수이고, 곡물이 i번째 배출 게이트부로부터 배출 연류계부까지 이동하는 도중에 i-c번째(b는 n보다 작은 자연수) 배출 게이트부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i번째 배출 게이트부를 닫힌 상태로 전환하는 배출 게이트부 전환 단계; 및 배출 게이트부 전환 단계가 수행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배출 게이트부 전환시간 측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모니터링 방법은 배출 게이트부의 단위시간당 곡물 배출중량, 배출시간, 배출함수율 및 배출 게이트부 전환시간을 이용하여 곡물 배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measuring the discharge time, i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and the i-c-th (b is a natural number less than n) discharge gate part while the grain is moving from the i-th discharge gate part to the discharge flow meter part an exhaust gate part switching step of switching the i-th exhaust gate part to a closed state when it is switched to an open state; and an exhaust gate part switching time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the time during which the exhaust gate part switching step is performed. In this case, the moni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generating grain discharge information by using the grain discharge weight per unit time of the discharge gate part, the discharge time, the discharge moisture content, and the discharge gate part switching time.

본 발명에 있어서 2가지 경우의 수에 따라 실시 방법이 결정되는 배출시간 측정 단계를 통해 본 발명의 모니터링 방법은 다수의 탱크로부터 곡물이 배출되는 것을 제어하거나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discharge time measurement step in which the implementation metho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wo cases, the moni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or monitor the discharge of grains from a plurality of tanks in real time.

본 발명에 있어서 모니터링 방법은 (b) 단계 후, 투입받은 곡물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투입함수율 측정 단계; i번째(i는 자연수) 배출 게이트부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배출함수율 측정 단계; 및 측정한 투입함수율 및 배출함수율을 하기 수학식 1에 적용하여 재고량 변화율을 연산하는 제1연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itoring method includes: (b), an input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input grain; a discharge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grain discharged from the i-th (i is a natural number) discharge gate; and a first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stock quantity change rate by applying the measured input moisture content and discharge moisture content to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 있어서 모니터링 방법은 곡물 투입 정보 및 곡물 배출 정보를 재고 관리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 저장부)에 송신하여 저장하거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곡물 투입 정보 및 곡물 배출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itor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tting/receiving step of transmitting and storing grain input information and grain discharge information to an inventory management database (data storage unit), or receiving grain input information and grain discharg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can

본 발명에 있어서 모니터링 방법은 곡물 투입 정보에 재고량 변화율을 적용하여 곡물의 재고 변화를 연산하는 제2연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itor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the stock change of the grain by applying the stock amount change rate to the grain input information.

본 발명은 투입부를 포함하는 투입 연류계부; 투입 연류계부와 연결된 제1이송시설 및 n개(n은 자연수)의 투입 게이트부; 투입 게이트부와 연결된 n개(n은 자연수)의 탱크; 탱크와 연결된 n개(n은 자연수)의 배출 게이트부; 및 곡물 배출부를 포함하는 제2이송시설 및 배출 연류계부;를 포함하는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1개의 투입 연류계부만을 포함하고도 n개(n은 자연수)의 탱크에 저장된 곡물 재고량을 관리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효율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linkage unit including an input unit; a first transfer facility and n input gates (n is a natural number) connected to the input flow system; n tanks (n is a natural number) connected to the input gate; n discharge gates connected to the tank (n is a natural number); And it relates to a grain inventory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and a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including; and a second transfer facility including a grain discharge unit and a discharge linkage unit. It is economical and efficient because it can manage the amount of grain stock stored in n tanks (n is a natural number).

또한, 본 발명의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투입함수율 및 배출함수율을 측정함으로써, 호흡 또는 수분 증발 (건조) 등으로 인해 곡물 재고가 증감되는 것과 같은 변화가 있더라도 곡물의 재고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ain inventory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easuring the input moisture content and the output moisture content, even if there is a change such as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grain stock due to respiration or moisture evaporation (drying),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calculate the stock of grain.

또한, 저장 탱크 내부에 카메라 등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 비산 먼지 등으로 인하여 탱크에 저장된 곡물의 재고량을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곡물 재고량을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stock amount of grain stored in the tank due to scattered dust or the like because a device such as a camera is not provided inside the storage tank, the grain stock amount can be managed accurately.

나아가, 곡물 재고 관리 현장에서 곡물 투입 또는 배출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경우의 수를 대비한 모니터링 방법을 통해 변화하는 곡물 투입 또는 배출 과정을 곡물 재고량에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hanging grain input or discharge process can be accurately reflected in the grain inventory in real time through the monitoring method for the number of various cases occurring during the grain input or discharge process at the grain inventory management site.

도 1은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 정보를 송수신하는 관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모니터링 방법의 전체적인 과정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모니터링 방법의 (a) 투입 단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모니터링 방법의 (b) 배출 단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grain inventory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2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diagra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formation with a user terminal.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process of the grain inventory management automated monitoring method.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 input step of the monitoring method.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b) discharge step of the monitoring method.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These examples are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according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 및 2를 참조하면,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곡물 투입이 가능한 투입부 (100)를 포함하는 투입 연류계부 (200); 상기 투입 연류계부와 연결된 n개(n은 자연수)의 투입 게이트부 (300); n개의 투입 게이트부 각각과 연통되고, 투입 게이트부와 연결된 n개(n은 자연수)의 탱크 (400); 탱크 각각과 연통되고, 탱크와 연결된 n개(n은 자연수)의 배출 게이트부 (500); 및 곡물이 배출되는 배출부 (660)를 포함하고, n개의 배출 게이트부와 연결된 배출 연류계부 (60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grain inventory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includes an input linkage unit 200 including an input unit 100 capable of inputting grain; n input gate units 300 (n is a natural number) connected to the input current relay unit; a tank 400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n input gate parts and connected to the input gate part (n is a natural number); In communication with each of the tanks, n (n is a natural number) discharge gate portion 500 connected to the tank; and a discharge unit 660 through which grains are discharged, and a discharge linkage unit 600 connected to n discharge gate units; may include.

투입부 (100)는 곡물이 투입 가능하도록 구조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투입 가능한 곡물은 현미, 백미, 찹쌀, 보리, 밀, 호밀, 콩, 옥수수, 귀리, 수수, 조, 기장, 피, 메밀 및 율무 등이 해당할 수 있으나, 특별히 그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투입부 (100)에 투입할 수 있는 크기의 곡물이라면 어떤 곡물이든 무방하다.The input unit 100 may have a structure so that grains can be inputted. Grains that can be added include brown rice, white rice, glutinous rice, barley, wheat, rye, soybean, corn, oats, sorghum, millet, millet, blood, buckwheat and barley radish, but the ty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y grain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a grain of a size that can be put into the portion 100.

투입 연류계부 (200)는 투입부 (1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투입부 (100)를 통해 투입된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투입부 (100)와 연결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이란 파이프, 컨베이어 또는 엘리베이트 등과 같이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송시설을 이용하여 곡물을 이동 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 input linkage meter 200 may include the input unit 100 , and may be connected to the input unit 100 so that grain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00 are movable. Specifically, "so that the grain is movable" may mean moving the grain using a transfer facility configured to allow the grain to move, such as a pipe, a conveyor, or an elevator.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투입 연류계부 (200)를 1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grain inventory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may include one input linkage unit 200 .

투입 연류계부 (200)는 고가의 전자 장치로서, 본 발명의 자동화 시스템은 투입 연류계부 (200)를 1개 포함하면서도, 다수개의 탱크 (400)에 저장된 곡물 재고량을 관리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효율적일 수 있다.The input concatenation unit 200 is an expensive electronic device, and the autom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input consolidation unit 200, and can manage the grain inventory stored in a plurality of tanks 400, so it can be economical and efficient have.

투입 연류계부 (200)는 투입중량 측정 장치 (22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input flow meter 200 may include an input weight measuring device 220 .

투입중량 측정 장치 (220)는 계량기 등의 장치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투입부 (100)로 투입되는 곡물의 중량을 측정하여 투입중량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투입중량 정보는 사용자 단말 (800)로 송신되는 것일 수 있다.The input weight measuring device 220 may use a device such as a weighing machine, and may be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grain input to the input unit 100 to generate input weight information. The input weight information generated in this way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800 .

또한, 투입 연류계부 (200)는 투입시간 측정 장치 (24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linkage meter 2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time measuring device 240 .

투입시간 측정 장치 (240)는 투입중량 측정 장치 (220)가 곡물의 중량을 측정하기 시작한 시간부터 종료한 시간까지 측정하여 투입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투입시간 정보는 사용자 단말 (800)로 송신되는 것일 수 있다.The input time measuring device 240 may generate input time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input weight measuring device 220 from the start time to the end time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grain. The input time information generated in this way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800 .

또한, 투입 연류계부 (200)는 투입함수율 측정 장치 (26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flow meter 2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moisture content measuring device 260 .

투입함수율 측정 장치 (260)는 투입되는 곡물의 함수율을 측정하여 투입함수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곡물의 함수율은 곡물의 낱알마다 다르기 때문에, 투입함수율 정보는 하나 이상의 곡물 함수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평균을 산출한 것일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투입함수율 정보는 사용자 단말 (800)로 송신되는 것일 수 있다.The input moisture content measuring device 260 may measur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input grain to generate input moisture content information. Since the moisture content of grains is different for each grain, the input moisture content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of one or more grains in real time and calculating an average. The generated input moisture conten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800 .

즉, 투입 연류계부 (200)는 투입되는 곡물의 투입중량, 투입시간 및 투입함수율 정보를 사용자 단말 (800)로 송신하는 것일 수 있다.That is, the input linkage meter 200 may transmit the input weight, input time, and input moisture content information of the input grain to the user terminal 800 .

투입 게이트부 (300)는 투입 연류계부 (200)와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입 게이트부 (300)는 n개(n은 자연수)일 수 있으며, 곡물종합처리시설의 운영 계획 및 사용 목적에 따라 그 수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input gate unit 300 may be connected to the input flow meter 200 so that the grain can move. The input gate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n (n is a natural number), and may be to determine the numb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plan and purpose of use of the integrated grain processing facility.

n개의 투입 게이트부 (300)는 1개의 투입 연류계부와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The n input gate units 300 may be connected to one input current flow meter and grain to be movable.

투입 게이트부 (300)는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투입 게이트부 (300)의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는 사용자 단말 (800)을 통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고, 탱크 (400) 내에 구비된 하이레벨게이지 (420)가 탱크 (400) 내의 곡물 재고량을 감지하여 열린 상태의 투입 게이트부 (300)를 닫힌 상태로 전환하는 것일 수 있다.The input gate unit 300 may have either an open state or a closed state. The open or closed state of the input gate unit 300 may be determined by a user arbitrarily designa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800 , and the high level gauge 420 provided in the tank 400 is installed in the tank 400 . It may be to convert the input gate unit 300 in an open state to a closed state by sensing the amount of grain stock.

예를 들어, n번째 투입 게이트부 (300)가 열린 상태인 경우, 곡물은 n번째 투입 게이트부 (300)의와 연통되는 n번째 탱크로 이동하는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n-th input gate part 300 is in an open state, the grain may be moved to the n-th tank communicating with the n-th input gate part 300 .

예를 들어, n번째 투입 게이트부 (300)가 닫힌 상태인 경우, 투입된 곡물은 n+1번째 투입 게이트부 (300)의와 연통되는 n+1번째 탱크로 이동하는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n-th input gate part 300 is in a closed state, the input grain may be moved to the n+1-th tank communicating with the n+1-th input gate part 300 .

투입 게이트부 (300)는 물체가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input gate unit 30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object.

탱크 (400)는 투입받은 곡물을 저장 (적재)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온도 및 습도 조절장치와 같이 일반적인 곡물저장시설에서 곡물의 저장을 위해 구비되는 여러가지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탱크의 크기와 개수 (n)는 저장될 곡물의 종류 및/또는 양을 고려하여, 곡물종합처리시설에서 적절하게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tank 400 may be to store (load) the input grain, and various devices provided for storage of grain in a general grain storage facility, such as a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device, may be installed. In addition, the size and number of tanks (n)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by the grain processing facility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and/or amount of grain to be stored.

탱크 (400)의 형태, 재질, 직경, 높이 또는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투입된 곡물이 저장 가능하도록 적절한 내구성, 직경 및 높이 등을 고려하여, 곡물종합처리시설에서 적절하게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shape, material, diameter, height or thickness of the tank 4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by the grain processing facility in consideration of appropriate durability, diameter and height, etc. so that the input grains can be stored.

탱크 (400)는 n개의 투입 게이트부 (300) 각각과 연통되고, n개의 투입 게이트부 (300)와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즉, 탱크 (400)의 개수는 투입 게이트부 (300)와 동일할 수 있다.The tank 400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f the n input gate parts 300 ,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n input gate parts 300 and grains to be movable. That is, the number of tanks 400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input gate part 300 .

탱크 (400)는 사일로, 사각빈, 콘크리트빈, 원료탱크 및 제품탱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저장 탱크의 용도, 사용 목적 등을 고려하여 곡물종합처리시설에서 적절한 탱크를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The tank 400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os, square bins, concrete bins, raw material tanks and product tanks, and consider the purpose of the storage tank, the purpose of use, etc. may be a choice.

탱크 (400) 내부에는 하이레벨게이지 (420) 및/또는 로우레벨게이지 (440)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A high level gauge 420 and/or a low level gauge 440 may be provided inside the tank 400 .

하이레벨게이지 (420)는 탱크 (400) 내부의 곡물 재고량을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탱크 (400)가 저장 가능한 곡물 재고량이 상한선에 이른 경우에 하이레벨게이지 (420)는 해당 탱크 (400)의 상단에 배치된 투입 게이트부 (300)를 닫힌 상태로 전환하는 것일 수 있다.The high level gauge 420 may be to detect the amount of grain stock inside the tank 400 . When the amount of grain stock that can be stored in the tank 400 has reached the upper limit, the high level gauge 420 may be to convert the input gate unit 300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tank 400 to a closed state.

로우레벨게이지 (440)는 탱크 내부에 저장된 곡물 재고량의 하한선을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로우레벨게이지 (440)는 탱크 내부의 곡물 저장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 (800)로 곡물 저장 여부 신호를 송신하는 것일 수 있다.The low level gauge 440 may be to detect the lower limit of the grain stock amount stored in the tank. That is, the low level gauge 440 may detect whether or not the grain is stored in the tank and transmit a grain storage or no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800 .

배출 게이트부 (500)는 탱크 (400)와 연통되어,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탱크와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The discharge gate unit 500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tank 40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tank so that the grain discharged from the tank is movable.

배출 게이트부 (500)의 수는 n개의 투입 게이트부 (300) 및 n개의 탱크 (400)와 동일하게 n개(n은 자연수)일 수 있다.The number of the discharge gate parts 500 may be n (n is a natural number), like the n input gate parts 300 and n tanks 400 .

배출 게이트부 (500)는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배출 게이트부 (500)의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는 사용자 단말 (800)을 통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The discharge gate part 500 may have either an open state or a closed state. The open or closed state of the discharge gate unit 500 may be determined by a user arbitrarily designating through the user terminal 800 .

예를 들어, 사용자가 1번째 배출 게이트부를 열린 상태로 지정한 경우 2번째부터 n번째 배출 게이트부는 닫힌 상태인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designates the first discharge gate unit as an open state, the second to n-th discharge gate units may be in a closed state.

배출 게이트부 (500)는 물체가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The discharge gate unit 500 may be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object.

배출 연류계부 (600)는 곡물이 배출되는 배출부 (660)를 포함하고, n개의 배출 게이트부 (500)와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The discharge linkage unit 600 may include a discharge unit 660 through which grains are discharged, and may be connected to n discharge gate units 500 and grains to be movable.

배출 연류계부 (600)는 배출함수율 측정 장치 (64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exhaust gas flow meter 600 may include an exhaust moisture content measuring device 640 .

배출함수율 측정 장치 (640)는 배출 게이트부 (500)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의 함수율을 측정하여 배출함수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배출함수율 정보는 사용자 단말 (800)로 송신되는 것일 수 있다.The discharge moisture content measuring device 640 may measur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grain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gate unit 500 to generate the discharged moisture content information. The generated discharged moisture conten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800 .

배출 연류계부 (600)는 배출시간 측정 장치 (62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exhaust flow meter 600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time measuring device 620 .

배출시간 측정 장치 (620)는 n개(n은 자연수)의 배출 게이트부 (500) 중 하나가 열린 상태로 되는 시간, 및 동일한 상기 배출 게이트부 (500) 중 하나가 닫힌 상태로 전환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배출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배출시간 정보는 사용자 단말 (800)로 송신되는 것일 수 있다.The discharge time measuring device 620 measures the time when one of the n discharge gate units 500 (n is a natural number) is in an open state, and the time when one of the same discharge gate units 500 is switched to a closed state. It may be to measure and generate emission time information. The generated discharge tim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800 .

사용자 단말 (800)은 투입부로 투입되는 곡물의 품종, 브랜드, 생산지, 생산일자, 생산시간, 투입일자 및 생산자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본정보를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800 may be to receive one or more kinds of basic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type, brand, production location, production date, production time, input date, and producer of grains input to the input unit.

사용자 단말 (800)은 입력받은 기본정보를 데이터 저장부 (900)에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800 may store the received basic information in the data storage unit 900 .

사용자 단말 (800)은 기본정보, 투입중량, 투입함수율 및 투입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n번째 탱크 (400)에 저장되는 곡물의 곡물 투입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800 may generate grain input information of grains stored in the nth tank 400 using basic information, input weight, input moisture content, and input time information.

사용자 단말 (800)은 기본정보, 배출 게이트부의 단위시간당 곡물 배출중량 배출함수율 및 배출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n번째 탱크 (400)에서 배출되는 곡물의 배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800 may generate information on the discharge of grains discharged from the n-th tank 400 by using the basic information, the discharge moisture content of the grain discharged per unit time of the discharge gate unit, and the discharge time information.

사용자 단말 (800)은 생성한 곡물 투입 정보 및 배출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 (900)에 송신하여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800 may transmit and store the generated grain input information and discharge information to the data storage unit 900 .

탱크 (400)에 저장된 곡물의 재고량은 예를 들어, 탱크 (400) 내에 구비된 카메라 등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더라도, 비산 먼지 등으로 인하여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본 발명의 자동화 시스템은 곡물 투입 정보 및 배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곡물 재고량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 stock amount of grain stored in the tank 400 is not easy to grasp due to scattering dust, for example, even if a device such as a camera provided in the tank 400 is used. The autom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nd accurately grasp the amount of grain stock by using grain input information and discharge information.

또한, 사용자 단말 (800)은 투입함수율 정보 및 배출함수율 정보를 하기 수학식 1에 적용하여 재고량 변화율을 연산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800 may be to calculate the stock quantity change rate by applying the input moisture content information and the discharge moisture content information to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재고량 변화율은 곡물 투입 정보에 적용되어 곡물 투입 정보가 증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입 함수율이 15%이고 배출 함수율이 14%인 경우, 재고량 변화율은 98%이고, 곡물 투입 정보에 적용되면 -2 %의 재고가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분 증발로 인하여 변화하는 곡물의 중량을 보정하여 곡물 재고 관리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inventory quantity change rate may be applied to grain input information to increase or decrease grain input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input moisture content is 15% and the exhaust moisture content is 14%, the inventory change rate is 98%, and when applied to the grain input inform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tock is reduced by -2%.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grain inventory management by correcting the weight of grains that change due to evaporation of moisture.

또한, 탱크 (400) 내 곡물은 일반적으로 호흡 또는 수분증발 (건조) 등으로 인하여 중량이 변화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재고량 변화율을 이용하면 수분 증발로 인하여 변화하는 중량을 보정하여 곡물 재고 관리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grain in the tank 400 may generally change in weight due to respiration or moisture evaporation (drying). In this case, by using the change rate of the inventory amoun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grain inventory management by correcting the weight that is changed due to moisture evaporation.

나아가, 사용자 단말 (800)은 디스플레이부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는 곡물 투입 정보 및 배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곡물의 재고 정보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Furthermore, the user terminal 800 may include a display unit (not shown), and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stock information of grains generated using grain input information and discharge information.

디스플레이부 (미도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 디스플레이 (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및 전자잉크 디스플레이 (e-ink display)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는 것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not shown) includes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n e-ink display (e-ink display).

도 3 및 4를 참조하면,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모니터링 방법은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하고, (a) 투입 연류계부 (200)가 투입부 (100)를 통해 곡물을 투입받은 후, 열린 상태의 n번째(n은 자연수) 투입 게이트부 (300)로 곡물을 이동시키고, 상기 n번째 투입 게이트부와 연통되는 n번째(n은 자연수) 탱크 (400)에 곡물을 저장하는 투입 단계 (S100); 및 (b) i번째(i는 자연수) 탱크와 연통되는 i번째(i는 자연수) 배출 게이트부 (500)를 열린 상태로 전환한 후, 상기 i번째 배출 게이트부와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배출 연류계부 (600)를 통해 곡물을 배출하는 배출 단계 (S2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automated grain inventory management monitoring method uses an automated grain inventory management system, and (a) the input linkage unit 200 receives grain through the input unit 100, An n-th (n is a natural number) input step of moving the grain to the input gate unit 300, and storing the grain in the n-th (n is a natural number) tank 400 communicating with the n-th input gate unit (S100); And (b) after switching the i-th (i is a natural number) discharge gate part 500 in communication with the i-th (i is a natural number) tank to an open state, the discharge connected to the i-th discharge gate part and the grain to be movable It may include a discharging step (S200) of discharging the grains through the conduit unit 600 .

(a) 단계는 투입 연류계부 (200)가 투입부 (100)를 통해 곡물을 투입받은 후, 열린 상태의 n번째(n은 자연수) 투입 게이트부 (300)로 곡물을 이동시키고, n번째 투입 게이트부와 연통되어, 투입 게이트부와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탱크 (400)에 곡물을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In step (a), after the input chain unit 200 receives grain through the input unit 100, the grain is moved to the n-th (n is a natural number) input gate unit 300 in an open state, and the n-th input In communication with the gate portion, it may be to store the grain in the tank 400 connected to the input gate portion and the grain is movable.

또한, (a) 단계는 투입중량 측정 단계 (S120), 투입함수율 측정 단계 (S140), 제1투입시간 측정 단계 (S160), 및 제2투입시간 측정 단계 (S18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step (a) may include an input weight measurement step (S120), an input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step (S140), a first input time measurement step (S160), and a second input time measurement step (S180).

투입중량 측정 단계 (S120)는 계량기, 저울 등과 같은 투입중량 측정 장치 (220)를 이용하여, 투입받은 곡물의 투입중량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input weight measurement step ( S120 ) may be to measure the input weight of the input grain by using the input weight measuring device 220 such as a meter or a scale.

투입함수율 측정 단계 (S140)는 투입함수율 측정 장치 (260)를 이용하여 투입받은 곡물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곡물의 함수율은 낱알마다 다르기 때문에, 다수개의 곡물 낱알의 함수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평균 함수율을 산출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 input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step ( S140 ) may be to measur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input grains using the input moisture content measuring device 260 . Since the moisture content of grains is different for each grain, it may mean that the average moisture content i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of a plurality of grain grains in real time.

제1투입시간 측정 단계 (S160)는 투입시간 측정 장치 (240)를 이용하여 투입중량 측정 단계가 수행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입 연류계부 (200)가 곡물 중량 계량을 시작한 시간을 기록하고, 모든 곡물 중량 계량을 완료한 시간까지의 총 소요시간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input time measuring step ( S160 ) may be to measure the time for which the input weight measuring step is performed using the input time measuring device 240 . For example, it may be to record the time when the input flow meter 200 starts weighing the grains, and measure the total time required until the time when all grains are weighed.

제2투입시간 측정 단계 (S180)는 투입시간 측정 장치 (240)를 이용하여 곡물이 투입 연류계부 (200)로부터 열린 상태의 n번째(n은 자연수) 투입 게이트부 (300)까지 이동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second input time measurement step (S180), the time taken for the grain to move from the input flow meter 200 to the n-th (n is a natural number) input gate part 300 in an open state using the input time measurement device 240 is measured It could be to measure.

제2투입시간 측정 단계 (S180)는 곡물종합처리시설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경우의 수를 고려하여, 구체적으로 3가지의 실시 방법을 갖도록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The second input time measurement step (S180) may be specifically determined to have three implementation methods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various cases that may occur in the field of the integrated grain processing facility.

첫 번째 경우는, 곡물이 n번째(n은 자연수) 투입 게이트부 (300)까지 이동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도중에 다른 투입 게이트부 (300)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지 않는 경우로서, 제2투입시간 측정 단계 (S180)는 곡물이 투입 연류계부 (200)로부터 열린 상태의 n번째(n은 자연수) 투입 게이트부 (300)까지 이동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case is a case in which the other input gate part 300 is not switched to an open state while measuring the time for the grain to move to the n-th (n is a natural number) input gate part 300, and the second input time is measured. Step S180 may be to measure the time the grain moves from the input flow meter 200 to the n-th (n is a natural number) input gate part 300 in an open state.

첫 번째 경우에서, 본 발명의 모니터링 방법은 투입 연류계부 (200)가 측정한 곡물의 투입중량, 투입함수율, 제1투입시간 및 제2투입시간을 이용하여 n번째 탱크에 대한 곡물 투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S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first case, the moni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grain input information for the nth tank using the input weight of the grain, the input moisture content, the first input time and the second input time measured by the input flow meter 200 . 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S300) of doing.

두 번째 경우는, 곡물이 n번째(n은 자연수) 투입 게이트부 (300)까지 이동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도중에 n+a번째(a는 자연수) 투입 게이트부 (300)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로서, 제2투입시간 측정 단계는 투입 게이트부 전환 단계 (S182); 및 제1투입 게이트부 전환시간 측정 단계 (S184);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second case, when the n+a-th (a is a natural number) input gate part 300 is switched to an open state while measuring the time for the grain to move to the n-th (n is a natural number) input gate part 300 As a result, the second input time measurement step includes the input gate part switching step (S182); and measuring the switching time of the first input gate unit (S184).

투입 게이트부 전환 단계 (S182)는 n번째 투입 게이트부 (300)를 닫힌 상태로 전환하는 것일 수 있다.The input gate part switching step ( S182 ) may be switching the nth input gate part 300 to a closed state.

제1투입 게이트부 전환시간 측정 단계 (S184)는 투입 게이트부 전환 단계 (S182)가 수행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input gate part switching time measurement step ( S184 ) may be to measure the time during which the input gate part switching step ( S182 ) is performed.

두 번째 경우에서, 본 발명의 모니터링 방법은 투입 연류계부 (200)가 측정한 곡물의 투입중량, 투입함수율, 제1투입시간 및 제1투입 게이트부 전환시간을 이용하여 n번째 탱크 (400)에 대한 곡물 투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S30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second case, the moni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input weight of the grain, the input moisture content, the first input time, and the first input gate part switching time measured by the input flow meter 200 to the nth tank 400 . 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S300) of generating grain input information.

세 번째 경우는, 곡물이 열린 상태의 n번째(n은 자연수) 투입 게이트부까지 이동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도중에 n-b번째(b는 n보다 작은 자연수) 투입 게이트부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n-b번째 투입 게이트부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제2투입 게이트부 전환시간 측정 단계 (S186)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third case, when the n-b-th (b is a natural number less than n) input gate part is switched to an open state while measuring the time taken for the grain to move to the n-th (n is a natural number) input gate part in an open state, the n-b The second input gate part switching time measurement step (S186) of measuring the time at which the second input gate part is switched to the open state may be included.

세 번째 경우에서, 본 발명의 모니터링 방법은 투입 연류계부가 측정한 투입중량, 투입함수율, 제1투입시간 및 제2투입 게이트부 전환시간을 이용하여 n번째 탱크에 대한 곡물 투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S30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third case, the moni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grain input information for the nth tank using the input weight, the input moisture content, the first input time, and the second input gate part switching time measured by the input flow meter. (S300)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와 같이 곡물종합처리시설 현장에서는 투입 단계 (S100)에서 3가지 경우의 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3가지 실시 방법 중 하나로 결정되는 제2투입시간 측정 단계 (S180)를 통해 본 발명의 모니터링 방법은 다수의 탱크에 곡물이 투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ree cases may occur in the input step (S100) at the site of the comprehensive grain processing facility, and the moni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the second input time measurement step (S180), which is determined as one of the three implementation method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ntrol the feeding of grain into the tank of

(b) 배출 단계 (S200)는 i번째(i는 자연수) 탱크와 연통되는 i번째(i는 자연수) 배출 게이트부 (500)를 열린 상태로 전환한 후, 배출 게이트부로부터 i번째 배출 게이트부와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배출 연류계부를 통해 곡물을 배출하는 것일 수 있다.(b) the discharging step (S200) is after switching the i-th (i is a natural number) discharge gate part 500 in communication with the i-th (i is a natural number) tank to an open state, the i-th discharge gate part from the discharge gate part and the grain may be discharged through a discharge conduit connected so that the grain can move.

도 5를 참조하면, (b) 배출 단계는 배출함수율 측정 단계 (S220) 및 배출시간 측정 단계 (S24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discharging step (b) may include a discharging moisture content measuring step (S220) and a discharging time measuring step (S240).

배출함수율 측정 단계 (S220)는 i번째(i는 자연수) 배출 게이트부 (500)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곡물의 함수율은 곡물의 낱알마다 다르기 때문에, 배출함수율 정보는 하나 이상의 배출되는 곡물 함수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평균을 산출한 것일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배출함수율 정보는 사용자 단말 (800)로 송신되는 것일 수 있다.The discharge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step ( S220 ) may be to measur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grain discharged from the i-th (i is a natural number) discharge gate unit 500 . Since the moisture content of grains is different for each grain of grain, the discharged moisture content information may be an average calculated by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of one or more discharged grains in real time. The generated discharged moisture conten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800 .

곡물이 i번째 배출 게이트부 (500)로부터 배출 연류계부 (600)까지 이동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배출시간 측정 단계 (S24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t may include; a discharge time measurement step (S240) of measuring the time the grain moves from the i-th discharge gate unit 500 to the discharge flow meter 600

배출시간 측정 단계 (S240)는 곡물종합처리시설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2가지 경우의 수를 고려하여, 실시 방법이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In the discharge time measurement step (S240), the implementation method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two cases that may occur in the field of the integrated grain processing facility.

첫 번째 경우는, 곡물이 i번째(i는 자연수) 배출 게이트부로부터 배출 연류계부까지 이동하는 도중에 다른 배출 게이트부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지 않는 경우로서, 배출시간 측정 단계 (S240)는 곡물이 i번째 배출 게이트부로부터 배출 연류계부까지 이동하는 시간 (배출시간)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In the first case, the other discharge gate does not switch to an open state while the grain is moving from the i-th (i is a natural number) discharge gate to the discharge flow meter. It may be to measure the moving time (discharge time) from the discharge gate part to the exhaust gas flow meter.

첫 번째 경우에서, 본 발명의 모니터링 방법은 배출 게이트부의 단위시간당 곡물 배출중량, 배출시간 및 배출함수율을 이용하여 n번째 탱크의 곡물 배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first case, the moni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S400) of generating grain discharge information of the nth tank by using the grain discharge weight, discharge time, and discharge moisture content per unit time of the discharge gate part.

두 번째 경우는, 곡물이 i번째 배출 게이트부로부터 배출 연류계부까지 이동하는 도중에 i-c번째(c는 n보다 작은 자연수) 배출 게이트부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로서, 배출시간 측정 단계 (S240)는 배출 게이트부 전환 단계 (S242); 및 배출 게이트부 전환시간 측정 단계 (S244);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The second case is a case in which the i-c-th (c is a natural number less than n) discharge gate is switched to an open state while the grain is moving from the i-th discharge gate to the discharge stream, and the discharge time measurement step (S240) is discharged gate part switching step (S242); and measuring the discharge gate switching time (S244).

배출 게이트부 전환 단계 (S242)는 i번째 배출 게이트부를 닫힌 상태로 전환하는 것일 수 있다.The discharge gate unit switching step ( S242 ) may be switching the i-th discharge gate unit into a closed state.

배출 게이트부 전환시간 측정 단계 (S244)는 배출 게이트부 전환 단계 (S242)가 수행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discharge gate part switching time measurement step ( S244 ) may be to measure the time during which the exhaust gate part switching step ( S242 ) is performed.

두 번째 경우에서, 본 발명의 모니터링 방법은 배출 게이트부의 단위시간당 곡물 배출중량, 배출시간, 배출함수율 및 배출 게이트부 전환시간을 이용하여 곡물 배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S40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second case, the moni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S400) of generating grain emission information using the grain discharge weight per unit time of the discharge gate part, the discharge time, the discharge moisture content, and the discharge gate part switching time (S400) have.

상기와 같이 곡물종합처리시설 현장에서는 배출 단계 (S200)에서 2가지 경우의 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2가지 실시 방법 중 하나로 결정되는 배출시간 측정 단계 (S240)를 통해 본 발명의 모니터링 방법은 다수의 탱크로부터 곡물이 배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wo cases may occur in the discharge step (S200) at the site of the integrated grain processing facility, and the moni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discharge time measurement step (S240) determined by one of the two implementation methods is a plurality of tank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ntrol grain emissions from the plant and also monitor it in real time.

또한, 모니터링 방법은 (b) 배출 단계 후, 투입함수율 측정 단계 (S120); 배출함수율 측정 단계 (S220); 및 제1연산 단계 (S50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method includes (b) after the discharge step, the input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step (S120); Exhaust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step (S220); and a first operation step (S500).

투입함수율 측정 단계 (S120)는 투입받은 곡물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input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step (S120) may be to measur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input grain.

배출함수율 측정 단계 (S220)는 i번째(i는 자연수) 배출 게이트부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discharge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step (S220) may be to measur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grain discharged from the i-th (i is a natural number) discharge gate unit.

제1연산 단계 (S500)는 측정한 투입함수율 및 배출함수율을 하기 수학식 1에 적용하여 재고량 변화율을 연산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calculation step ( S500 ) may be to calculate a stock quantity change rate by applying the measured input moisture content and discharge moisture content to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모니터링 방법은 곡물 투입 정보에 재고량 변화율을 적용하여 곡물의 재고 변화를 연산하는 제2연산 단계 (S55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monitor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alculation step ( S550 ) of calculating the stock change of grain by applying the stock amount change rate to the grain input information.

또한, 모니터링 방법은 곡물 투입 정보 및 곡물 배출 정보를 재고 관리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 저장부)에 송신하여 저장하거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곡물 투입 정보 및 곡물 배출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 단계 (S60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method transmits and stores the grain input information and grain discharge information to the inventory management database (data storage unit), or receives the grain input information and grain discharg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ep (S600) further may include.

또한, 모니터링 방법은 곡물 재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S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grain inventory information (S700).

곡물 재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S700)는 곡물 투입 정보, 곡물 배출 정보 및 재고량 변화율을 이용함으로써, 곡물 재고 정보를 생성하여 재고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 송신하여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The step of generating the grain inventory information (S700) may be to generate grain inventory information by using the grain input information, grain discharge information, and the stock quantity change rate, and transmit and store the grain stock information to the inventory management database.

본 발명의 모니터링 방법은 곡물 재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S700)를 통해, 투입되는 곡물 및 배출되는 곡물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재고의 증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재고 관리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the moni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tep (S700) of generating grain inventory information, by monitoring input grains and discharged grains in real time,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inventory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so the accuracy of inventory management can be improved.

100: 투입부 200: 투입 연류계부
220: 투입중량 측정 장치 240: 투입시간 측정 장치
260: 투입함수율 측정 장치
300: 투입 게이트부 400: 탱크
420: 하이레벨게이지 (high level gauge)
440: 로우레벨게이지 (low level gauge)
500: 배출 게이트부 600: 배출 연류계부
620: 배출시간 측정 장치 640: 배출함수율 측정 장치
660: 배출부
800: 사용자 단말
900: 데이터 저장부
S100: 투입 단계
S120: 투입중량 측정 단계 S140: 투입함수율 측정 단계
S160: 제1투입시간 측정 단계 S180: 제2투입시간 측정 단계
S182: 투입 게이트부 전환 단계
S184: 제1투입 게이트부 전환시간 측정 단계
S186: 제2투입 게이트부 전환시간 측정 단계
S200: 배출 단계
S220: 배출함수율 측정 단계
S240: 배출시간 측정 단계
S242: 배출 게이트부 전환 단계
S244: 배출 게이트부 전환시간 측정 단계
S300: 곡물 투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S400: 곡물 배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S500: 제1연산 단계 S550: 제2연산 단계
S600: 송수신 단계
S700: 곡물 재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100: input unit 200: input connection unit
220: input weight measuring device 240: input time measuring device
260: input moisture content measuring device
300: input gate 400: tank
420: high level gauge (high level gauge)
440: low level gauge (low level gauge)
500: discharge gate unit 600: discharge flow meter unit
620: discharge time measurement device 640: discharge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device
660: discharge unit
800: user terminal
900: data storage unit
S100: input phase
S120: input weight measurement step S140: input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step
S160: first input time measurement step S180: second input time measurement step
S182: input gate part switching step
S184: first input gate part switching time measurement step
S186: second input gate part switching time measurement step
S200: discharge phase
S220: Exhaust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step
S240: Emission time measurement step
S242: Exhaust gate part switching step
S244: Exhaust gate part switching time measurement step
S300: Step of generating grain input information
S400: generating grain emission information
S500: first operation step S550: second operation step
S600: transmit/receive phase
S700: Steps to Create Grain Inventory Information

Claims (16)

곡물 투입이 가능한 투입부를 포함하는 투입 연류계부;
상기 투입 연류계부와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이송시설 및 n개(n은 자연수)의 투입 게이트부;
상기 n개의 투입 게이트부 각각과 연통되고, 상기 n개의 투입 게이트부와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되는 n개(n은 자연수)의 탱크;
상기 n개의 탱크 각각과 연통되고, 상기 n개의 탱크와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되는 n개(n은 자연수)의 배출 게이트부; 및
곡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n개의 배출 게이트부와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이송시설 및 배출 연류계부를 포함하는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
Input linkage unit including an input unit capable of inputting grain;
a first transfer facility and n input gates (n is a natural number) connected so that the input flow meter and the grain can move;
n (n is a natural number) tanks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n input gates and connected to each of the n input gates and grains to be movable;
n discharge gate portions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n tanks and each connected to the n tanks and grains to be movable; and
A grain inventory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comprising a discharge unit through which grains are discharged, and a second transfer facility and discharge linkage unit connected to the n discharge gate units to move gra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연류계부는 투입중량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입중량 측정 장치는 투입부로 투입되는 곡물의 투입중량을 측정하는 것인,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put flow meter further comprises an input weight measuring device,
The input weight measuring device is to measure the input weight of the grain input to the input unit, grain inventory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연류계부는 투입시간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입시간 측정 장치는 투입중량 측정 장치가 곡물의 투입중량을 측정하기 시작한 시간을 측정하여 투입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input linkage meter further comprises an input time measuring device,
The input time measuring device is to generate input time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time the input weight measuring device starts to measure the input weight of the grain, grain inventory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연류계부는 투입함수율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입함수율 측정 장치는 투입부로 투입되는 곡물의 투입함수율을 측정하는 것인,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put flow meter further comprises an input moisture content measuring device,
The input moisture content measuring device is to measure the input moisture content of the grain input to the input, grain inventory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연류계부는 배출시간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시간 측정 장치는,
상기 n개의 배출 게이트부 중 하나가 열린 상태로 되는 시간, 및
동일한 상기 n개의 배출 게이트부 중 하나가 닫힌 상태로 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배출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haust flow meter further comprises a device for measuring a discharge time,
The discharge time measuring device,
the time at which one of the n exit gates is in an open state, and
To generate discharge time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time when one of the same n discharge gate parts is in a closed state, the grain inventory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연류계부는 배출함수율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함수율 측정 장치는 배출 게이트부에서 배출되는 곡물의 배출함수율을 측정하는 것인,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haust gas flow meter further comprises an exhaust moisture content measuring device,
The discharge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device is to measure the discharge moisture content of the grain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gate, grain inventory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투입부로 투입되는 곡물의 품종, 브랜드, 생산지, 생산일자, 생산시간, 투입일자 및 생산자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정보를 입력받는 것인,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ain inventory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further comprises a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is to receive one or more types of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arieties, brands, production locations, production dates, production times, input dates and producers of grains input to the input unit, the grain inventory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입 연류계부는 투입중량 측정 장치, 투입시간 측정 장치 및 투입함수율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 연류계부는 배출시간 측정 장치 및 배출함수율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측정한 곡물의 투입중량, 투입시간 및 투입함수율 정보를 이용하여 곡물 투입 재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측정한 곡물의 배출시간 및 배출함수율 정보를 이용하여 곡물 재고 배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ain inventory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further comprises a user terminal,
The input flow meter further includes an input weight measurement device, an input time measurement device, and an input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device,
The exhaust gas flow meter further includes a discharge time measurement device and a discharge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device,
The user terminal generates grain input stock information using the measured grain input weight, input time, and input moisture content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is to generate grain inventory discharge information by using the measured discharge time and discharge moisture content information of the grain, grain inventory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투입함수율 및 배출함수율 정보를 하기 수학식 1에 적용하여 재고량 변화율을 연산하는 것인,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
[수학식 1]
Figure pat00005
The system of claim 8, wherein the user terminal calculates the stock quantity change rate by applying the input moisture content and discharge moisture content information to Equation 1 below.
[Equation 1]
Figure pat00005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하고,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모니터링 방법:
(a) 투입 연류계부가 투입부를 통해 곡물을 투입받은 후, 열린 상태의 n번째(n은 자연수) 투입 게이트부로 상기 곡물을 이동시키고, 상기 n번째 투입 게이트부 와 연통되는 n번째(n은 자연수) 탱크에 곡물을 저장하는 투입 단계; 및
(b) i번째(i는 자연수) 탱크 와 연통되는 i번째(i는 자연수) 배출 게이트부를 열린 상태로 전환한 후, 상기 i번째 배출 게이트부와 곡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배출 연류계부를 통해 곡물을 배출하는 배출 단계.
A method of monitoring automated grain inventory management using the grain inventory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a) After the input flow meter receives grain through the input unit, the grain is moved to the n-th (n is a natural number) input gate in an open state, and the n-th (n is a natural number) that communicates with the n-th input gate unit ) input stage to store the grain in the tank; and
(b) After switching the i-th (i is natural water) discharge gate in communication with the i-th (i is a natural water) tank to an open state, the grain through the i-th discharge gate and the discharge flow meter connected so that the grain can move A discharge step that discharg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투입받은 곡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투입중량 측정 단계;
상기 투입받은 곡물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투입함수율 측정 단계;
상기 투입중량 측정 단계가 수행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제1투입시간 측정 단계; 및
상기 곡물이 투입 연류계부로부터 열린 상태의 n번째(n은 자연수) 투입 게이트부까지 이동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제2투입시간 측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모니터링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 step,
Input weight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input grain;
Input moisture content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input grain;
a first input time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the time for which the input weight measurement step is performed; and
A second input time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the time the grain moves from the input flow meter to the n-th (n is a natural number) input gate in an open sta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투입시간 측정 단계는,
곡물이 상기 n번째(n은 자연수) 투입 게이트부까지 이동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도중에 n+a번째(a는 자연수) 투입 게이트부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n번째 투입 게이트부를 닫힌 상태로 전환하는 투입 게이트부 전환 단계; 및
상기 투입 게이트부 전환 단계가 수행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제1투입 게이트부 전환시간 측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measuring the second input time comprises:
When the n + a (a is a natural number) input gate part is switched to an open state while measuring the time for the grain to move to the n-th (n is a natural number) input gate part,
an input gate part switching step of switching the n-th input gate part into a closed state; and
The first input gate part switching time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time for which the input gate part switching step is performed; will include, a grain inventory management automation monitoring metho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투입시간 측정 단계는,
n이 2 이상의 자연수이고, 상기 곡물이 열린 상태의 n번째 투입 게이트부까지 이동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도중에 n-b번째(b는 n보다 작은 자연수) 투입 게이트부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n-b번째 투입 게이트부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제2전환시간 측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measuring the second input time comprises:
When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and the nb-th (b is a natural number less than n) input gate part is switched to an open state while measuring the time for the grain to move to the n-th input gate part in an open state,
The nb-th input gate unit will include a second switching time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time to be switched to the open state, grain inventory management automation monitoring metho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i번째(i는 자연수) 배출 게이트부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배출함수율 측정 단계; 및
상기 곡물이 상기 i번째 배출 게이트부로부터 배출 연류계부까지 이동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배출시간 측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모니터링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ep (b),
a discharge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grain discharged from the i-th (i is a natural number) discharge gate; and
A discharge time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time the grain moves from the i-th discharge gate unit to the discharge conduit uni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시간 측정 단계는,
i는 2 이상의 자연수이고, 상기 곡물이 i번째 배출 게이트부로부터 배출 연류계부까지 이동하는 도중에 i-c번째(c는 n보다 작은 자연수) 배출 게이트부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i번째 배출 게이트부를 닫힌 상태로 전환하는 배출 게이트부 전환 단계; 및
상기 배출 게이트부 전환 단계가 수행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배출 게이트부 전환시간 측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모니터링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tep of measuring the discharge time,
i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and when the ic-th (c is a natural number less than n) discharge gate part is switched to an open state while the grain is moving from the i-th discharge gate part to the discharge flow stream part,
an exhaust gate part switching step of switching the i-th exhaust gate part into a closed state; and
A method for monitoring automatic monitoring of grain inventory management that includes; the discharge gate unit switching time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time that the discharge gate unit switching step is perform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투입받은 곡물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투입함수율 측정 단계;
상기 i번째(i는 자연수) 배출 게이트부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의 함수율을 측정하는 배출함수율 측정 단계; 및
측정한 투입함수율 및 배출함수율을 하기 수학식 1에 적용하여 재고량 변화율을 연산하는 제연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곡물 재고 관리 자동화 모니터링 방법.
[수학식 1]
Figure pat00006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ep (b),
Input moisture content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input grain;
a discharge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grain discharged from the i-th (i is a natural number) discharge gate; and
The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the stock quantity change rate by applying the measured input moisture content and the output moisture content to the following Equation 1; which will further include, a grain inventory management automation monitoring method.
[Equation 1]
Figure pat00006



KR1020200167650A 2020-12-03 2020-12-03 Automatic inventory management system of grain and monitoring methods KR2022007828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650A KR20220078280A (en) 2020-12-03 2020-12-03 Automatic inventory management system of grain and monitoring metho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650A KR20220078280A (en) 2020-12-03 2020-12-03 Automatic inventory management system of grain and monitoring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280A true KR20220078280A (en) 2022-06-10

Family

ID=81986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650A KR20220078280A (en) 2020-12-03 2020-12-03 Automatic inventory management system of grain and monitoring metho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828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352C (en) Conveyor scale
JP3373515B2 (en) Device integration system
KR1007207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tering catalyst in a fluid catalytic cracking catalyst injection system
CN201413188Y (en) Multiple-conveyer connection material circulating type multifunctional belt scale automatic check system
CN101476931B (en) Dynamic full performance test system for multifunctional belt balance
JP5566012B2 (en) Weight sorter
JPS61284615A (en) Device for distributing fluidized product by weight
CN104114983A (en) Device for providing consumable material
US6608491B2 (en) Container level monitoring system
US4957176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consumption of a raw material in a processing machine
KR20220078280A (en) Automatic inventory management system of grain and monitoring methods
JP2010086487A (en) Weighing line system
CN107021247A (en) Automatic weighing system for the tablet raw material that brakes
JP5162362B2 (en) Combination scale
CN108238455B (en) Control method for feeding of special-shaped hopper
JP2007316029A (en) Multiple type weight-sorting machine
CN112345056B (en) Method for calibrating and verifying precision of decrement scale by substitute
CN2480815Y (en) Electronic measuring central controller
US736923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articulate flow rate
JP4904554B2 (en) Material inventory confirm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atcher plant storage tank
JP2007111641A (en) Apparatus for checking weight
JPH06259139A (en) Silo stock control device
CN215495099U (en) Stock ground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improving throughput and capacity utilization rate
JPH06241872A (en) Balance with display device or printer
CN107121180A (en) A kind of improved quantitative weight-measu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