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209A - Full 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 Google Patents

Full 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8209A
KR20220078209A KR1020200167509A KR20200167509A KR20220078209A KR 20220078209 A KR20220078209 A KR 20220078209A KR 1020200167509 A KR1020200167509 A KR 1020200167509A KR 20200167509 A KR20200167509 A KR 20200167509A KR 20220078209 A KR20220078209 A KR 20220078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crop
disposed
loading
cro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5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7644B1 (en
Inventor
박아론
임준기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7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644B1/en
Publication of KR20220078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2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6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A47B53/02Cabinet systems, e.g. consisting of cabinets arranged in a row with means to open or close passages between adjacent cabin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방에서 작물 투입 및 작물 수확이 가능하도록 전, 후, 좌, 우 사방이 개방되고 내부에 적재공간을 가지는 적재부, 제1 방향을 따라 적재부를 이동시키는 제1 이동모듈, 적재부 사면 중 어느 일측에 배치되어 작물의 재배, 투입 및 수확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소정의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대, 작업대 일측에 배치되어 제2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 이동모듈, 적재부 내부에 배치되어 식물 또는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재배기 및 재배기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재되어 작물을 재배하는 재배용기를 포함하는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ing part having a loading space therein with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pen to enable crop input and crop harvesting from all directions, a first moving module for moving the loading part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lope of the loading part A workbench tha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orkbench to provide a predetermined work space to the user so that crops can be cultivated, inputted, and harvested, a second moving modul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orkbench and movable along the second direction, is disposed inside the loading unit It provides a full-scale crop cultivation apparatus including a cultivation machine that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plants or crops can be grown, and a cultivation container sequentially loaded inside the cultivation machine to grow crops.

Description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 {Full 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Full 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Full 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본 발명은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방향을 따라 적재부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모듈 및 적재부 사면 중 어느 일측에 배치되어 작물의 재배, 투입 및 수확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소정의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대, 작업대 일측에 배치되어 제2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이동모듈을 포함하는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nt harvesting type crop cultiv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disposed on either side of a first moving module for moving a loading part along a first direction and a loading part slope so that crops can be cultivated, put in, and harvested. It relates to a front harvesting type crop cultivation apparatus comprising a work bench providing a predetermined work space to a user, and a second moving modul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ork bench and movable in a second direction.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일반적으로 식물재배는 토양에 심은 종자에 비료와 물을 주고, 태양광에 의해 식물 내에서 일어나는 광합성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plant cultivation is done in a way that fertilizer and water are supplied to seeds planted in the soil, and photosynthesis that occurs in plants by sunlight is used.

그런데 이러한 재배 방법은 기후의 변화가 생산량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비료나 농약의 사용으로 인한 비용 문제와 환경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식물을 재배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소비자의 수요에 비해 생산량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However, in this cultivation method, changes in climate not only affect production, but also cost problems and environmental problems due to the use of fertilizers or pesticides. In addition, because it takes a long time to grow plants, production is not keeping up with consumer demand.

최근에는 광합성에 필요한 파장을 인위적으로 공급해 줌으로써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뿐 아니라 기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실내 넓은 공간에 작물을 재배하는 대량 식물재배 방식이 각광받고 있다.Recently, a mass plant cultivation method that not only promotes plant growth by artificially supplying the wavelengths necessary for photosynthesis, but also cultivates crops in a large indoor space so as not to be affected by the climate is in the spotlight.

그러나 현재 개발되거나 출시된 다단식 식물재배장치의 경우, 인공 광원을 조사하는 LED 및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양액공급장치 등을 구비하고 있으나, 종래 다층형 작물 재배 장치는 재배부 간 밀접하게 연결되고 사이 사이에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없어 작물 재배 및 수확에 불편함이 따랐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urrently developed or released multi-stage plant cultivation device, an LED irradiating an artificial light source and a nutrient solution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 nutrient solution are provided. Inconvenience in crop cultivation and harvesting followed because it was not possible to secure a working space in the garden.

나아가, 종래 다층형 작물 재배 장치는 넓은 공간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생장 상태를 확인하고, 생장 속도가 더딘 식물을 관리하거나 병해충 관리를 통한 전반적인 작물 확인 시스템 및 유지 보수에 있어 제약이 따랐다. Furthermore, the conventional multi-layered crop cultivation apparatus confirms the growth state of plants grown in a wide space, and has limitations in the overall crop identification system and maintenance through management of slow-growing plants or pest management.

상술한 종래 다층형 작물 재배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부 국내 및 해외의 관련 업체에서는 이동모듈이 형성된 다층형 작물 재배 장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사례가 있으나, 실제 제품화하기에는 이동모듈 구조를 구비하기 위해서 소모되는 비용이 과도하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해당 장치의 제조 단가 대비 작물 재배 효과가 크지 않아 종래 다층형 작물 재배 장치와 비교할 때 시장 경쟁력이 떨어져 본격 상용화된 사례는 찾아볼 수 없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ulti-layered crop cultivation device described above, some domestic and foreign related companies have conducted research on a multi-layered crop cultivation device in which a mobile module is form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ulti-layered crop cultivation system, the market competitiveness was low, and there was no case of commercialization in earnest because the cost consumed for this purpose was excessive or, even if not, the effect of crop cultivation compared to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device was not large.

따라서, 상술한 것과 같이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치 개발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device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lement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작물 재배기 사이에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재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모듈 및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하로 이동 가능한 작업대를 포함하는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First,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front harvesting type crop cultivation apparatus including a moving module for moving a loading part to secure a working space between crop growing machines, and a worktable that can move up and down to secure a working space.

둘째, 영역별 작물의 생장 상태를 체크 및 파악할 수 있도록 식생에 민감한 파장대의 광과 민감하지 않은 파장대의 광을 촬영하고 지수를 산출함으로써 생장이 더딘 작물의 유지 보수가 용이한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Second, a full-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that makes it easy to maintain and maintain slow-growing crops by photographing the light in the wavelength bands sensitive to vegetation and the light in the insensitive wavelength band to check and understand the growth status of crops by area and calculate the index would like to provid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사방에서 작물 투입 및 작물 수확이 가능하도록 전, 후, 좌, 우 사방이 개방되고 내부에 적재공간을 가지는 적재부, 제1방향을 따라 적재부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모듈, 적재부 사면 중 어느 일측에 배치되어 작물의 재배, 투입 및 수확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소정의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대, 작업대 일측에 배치되어 제2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이동모듈, 적재부 내부에 배치되어 식물 또는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재배기 및 재배기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재되어 작물을 재배하는 재배용기를 포함하는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ading part having a loading space inside and having a loading space therein is opened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to enable crop input and crop harvesting from all directions, a first moving module for moving the loading part along the first direction, loading A workbench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ub-slope to provide a predetermined work space to the user so that crops can be cultivated, put in, and harvested. It is disposed and provides an environment for cultivating plants or crops, and provides a full-scale crop cultivation apparatus including a cultivation container which is sequentially loaded inside the cultivation machine to grow crops.

이 때, 재배용기는 그 일측에 배치되는 자성체 및 그 타측에 배치되는 자성대응체를 포함하며, 하나의 재배용기와 다른 재배용기가 자성에 의해 결합되어 재배기로부터 재배용기가 일체로 회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ultivation vessel includes a magnetic material disposed on one side thereof and a magnetic counterpart disposed on the other side thereof, and one cultivation vessel and the other cultivation vessel a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ultivation vessel can be integrally recovered from the cultivation machine.

또한, 재배기는 그 하면에 소정의 경사가 형성됨으로써 재배용기가 자중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predetermined slop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ultivation machine, the cultivation container can be recovered by its own weight.

나아가, 적재부는 작물을 촬영한 이미지를 확인함으로써 재배 중인 작물의 배양 및 성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일정 영역마다 배치되는 촬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loading unit may include a photographing unit disposed in each predetermined area to check the culture and growth state of the crop under cultivation by checking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crop.

한편, 촬영부는 재배중인 작물의 식생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630nm ~ 680nm 파장대의 광을 촬영할 수 있는 제1촬영부 및 0.75~3㎛의 파장대의 광을 촬영할 수 있는 제2촬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hotographing unit may include a first photographing unit capable of photographing light in a wavelength band of 630 nm to 680 nm and a second photographing unit capable of photographing light in a wavelength band of 0.75 to 3 μm so as to grasp vegetation information of a crop under cultivation.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적재부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재배용기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순환팬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이동모듈은 사용자가 작업을 하지 않는 휴면 모드 시, 적재부 내부에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있는 기체 유로를 형성, 확보할 수 있도록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ing unit may include a circulation fan to supply air to the cultivation vessel disposed therein, and the first moving module is installed inside the loading unit in the dormant mode when the user does not work. In order to form and secure a gas flow path through which air can be circulated, a plurality of guiders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이 때, 제1방향 축을 따라 상기 적재부에 물 또는 배양액을 공급하는 제1유로; 및 제1유로로부터 제1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분기되어 적재부의 내부에 물 또는 배양액을 재배 작물에 공급하는 제2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a first flow path for supplying water or culture solution to the loading portion along the first direction axis; and a second flow passage branched from the first flow passag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o supply water or a culture solution to the cultivated crops in the loading part.

또한, 제1유로는 적재부가 제1이동모듈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제1방향축을 따라 그 길이가 증가 또는 축소 가능한 가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low path may include a variable part whose length can be increased or reduced along the first direction axis when the loading part moves along the first moving module.

나아가, 제2유로는 소정의 슬로프를 가질 수 있다.Furthermore, the second flow passage may have a predetermined slope.

본 발명의 추가적인 해결수단은 아래에서 이어지는 설명에서 일부 설명될 것이고, 그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지득될 수 있다.Additional solu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et forth in part in the description that follows, and in part will be readily ascertained from the description, or may be learned by practice of the invention.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only and do not limit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첫째, 적재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작물 재배기 사이에 작업 공간을 확보하고, 작업대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First, it is possible to secure a work space between the crop growing machines by moving the loading unit, and secure the work space by moving the work table up and down.

둘째, 식생에 민감한 파장대의 광과 민감하지 않은 파장대의 광을 촬영하고 지수를 산출함으로써 영역별 작물의 생장 상태를 체크 및 파악하여 생장이 더딘 작물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Second, it is easy to maintain and maintain slow-growing crops by photographing the light in the wavelength bands sensitive to vegetation and the light in the insensitive wavelength band and calculating the index to check and understand the growth status of crops by area.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재배용기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적재부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촬영부의 배치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작업모드 및 휴면모드 시 적재부의 배치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제1유로 및 제2유로의 상세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rop cultivation apparatus for a full-scale harv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view of a cultivation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view of a load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ayout view of a photograp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layout view of the loading unit in the working mode and the dorman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etailed view of a first flow path and a second flow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owever, in describ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 들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The above-mention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various changes and may includ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exemplifi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below.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number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an identification symbol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단지 명세서를 용이하게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나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uffix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used or used only to facilitate the prepara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does not have a meaning or rol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itsel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과 제2 방향이 정의된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rop cultivation apparatus for a full-scale harv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are defined.

본 발명에 따르는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는 적재부(100), 제1 이동모듈(150), 작업대(200), 제2 이동모듈(250), 재배기 및 재배용기(3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ont harvesting crop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oading unit 100 , a first moving module 150 , a workbench 200 , a second moving module 250 , a cultivator and a cultivation container 350 . .

적재부(100)는 사방에서 작물 투입 및 작물 수확이 가능하도록 전, 후, 좌, 우 사방이 개방되고 내부에 적재공간을 가질 수 있다.The loading unit 100 may have a loading space therein with open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enable crop input and crop harvesting from all directions.

제1 이동모듈(150)은 제1 방향을 따라 적재부(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first moving module 150 may move the loading unit 100 in a first direction.

제1 이동모듈(150)은 실내 바닥에 레일을 형성하고, 적재부(100) 일측에 형성된 수동 핸들을 이용하여 적재부(100)를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이동모듈(150)의 동작 방식은 모빌 랙(Mobile-Rack) 또는 전동 시스템을 이용한 구동방식일 수 있다.The first moving module 150 may form a rail on the indoor floor and operate the loading unit 100 using a manual handle formed on one side of the loading unit 1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first moving module 150 may be a driving method using a mobile rack (Mobile-Rack) or an electric system.

작업대(200)는 적재부(100) 사면 중 어느 일측에 배치되어 작물의 재배, 투입 및 수확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소정의 작업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The work table 200 may be disposed on any one side of the slope of the loading unit 100 to provide a predetermined work space to the user so that crops can be cultivated, put in, and harvested.

제2 이동모듈(250)은 작업대(200) 일측에 배치되어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 이동모듈(250)은 고소작업차가 채택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상하로 이동 가능한 공지의 다른 수단이 채택될 수 있다.The second moving module 25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orkbench 200 to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As the second moving module 250, a high-place work vehicle may be employed, and other known means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may be employed in addition to this.

재배기는 적재부(100) 내부에 배치되어 식물 또는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e cultivator may be disposed inside the loading unit 100 to provide an environment for cultivating plants or crops.

재배용기(350)는 재배기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재되어 사용자가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The cultivation vessel 350 is sequentially loaded inside the cultivation machine so that a user can grow crop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재배용기(350)의 상세도이다.2 is a detailed view of the cultivation vessel 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적재부(100)의 상세도이다.3 is a detailed view of the loading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적재부(100)로부터 재배용기(350)를 회수하는 수단으로서, 재배기 내부에 물을 저장하고, 물의 흐름에 따라 재배용기(350)가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회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재배용기(350)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를 조작함으로써 재배용기(350)를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피스톤 또는 롤러 등을 이용하여 재배용기(350)를 재배기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As a means for recovering the cultivation vessel 350 from the loading unit 100 , water may be stored in the cultivation unit, and the cultivation vessel 350 may be sequentially moved and recovered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 may recover the cultivation vessel 350 by manipulating a wi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ultivation vessel 350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 may recover the cultivation vessel 350 from the cultivation machine using a piston or a roller.

재배용기(3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에 배치되는 자성체(351) 및 그 타측에 배치되는 자성대응체(352)를 포함하며, 하나의 재배용기(350)와 다른 재배용기(350)가 자성에 의해 결합되어 재배기로부터 재배용기(350)가 일체로 회수될 수 있다. The cultivation vessel 350 includes a magnetic body 351 disposed on one side thereof and a magnetic counterpart 352 disposed on the other side thereof, as shown in FIG. 2 , and one cultivation vessel 350 and the other cultivation vessel 350 ) is magnetically coupled, so that the cultivation vessel 350 can be integrally recovered from the cultivation machine.

재배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면에 소정의 경사가 형성됨으로써 재배용기(350)가 자중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cultivation vessel 350 may be recovered by its own weight by forming a predetermined slope on its lower surface.

재배기 하면에 형성된 소정의 경사에 의해 재배용기(350)가 재배장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재배기는 고정블록(110) 및 고정핀(111)을 포함할 수 있다.The cultivation machine may include a fixing block 110 and a fixing pin 111 to prevent the cultivation vessel 350 from leaving the cultivation apparatus by a predetermined inclinatio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ultivation apparatus.

고정핀(111)이 삽입되는 경우, 고정블럭(110)은 적재부(100) 내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적재부(100) 내부에 수납된 재배용기(350)는 자중에 의해 이동하지 않고 적재부(100) 내부에 고정 및 수납될 수 있다.When the fixing pin 111 is inserted, the fixing block 110 may rotate in the inside direction of the loading unit 100 . That is, the cultivation vessel 350 accommodated in the loading unit 100 may be fixed and accommodated in the loading unit 100 without moving due to its own weight.

고정핀(111)이 제거되는 경우, 고정블럭(110)은 적재부(100) 외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적재부(100) 내부에 수납된 재배용기(350)는 자중에 의해 이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회수할 수 있다. When the fixing pin 111 is removed, the fixing block 110 may rotate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loading unit 100 . That is, the cultivation vessel 350 accommodated in the loading unit 100 can be moved by its own weight, and the user can collect i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촬영부(130)의 배치도이다.4 is a layout view of the photographing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적재부(100)는 촬영부(130) 및 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ading unit 100 may include a photographing unit 130 and an irradiation unit.

조사부는 630nm ~ 680nm 파장대 및 0.75~3㎛의 파장대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조사부는 모든 영역대의 광을 조사하되, 특정 영역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를 설치하여 630nm ~ 680nm 파장대 및 0.75~3㎛의 파장대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The irradiator may irradiate light in a wavelength band of 630 nm to 680 nm and a wavelength band of 0.75 to 3 μm. On the other hand, the irradiator irradiates light in all regions, but by installing a filter capable of removing light having a wavelength in a specific region, it is possible to irradiate light in a wavelength band of 630 nm to 680 nm and a wavelength band of 0.75 to 3 μm.

촬영부(130)는 작물을 촬영한 이미지를 확인함으로써 재배 중인 작물의 배양 및 성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적재부(100)의 일정 영역마다 배치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130 may be arranged in each predetermined area of the loading unit 100 so as to check the culture and growth state of the crop under cultivation by checking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crop.

촬영부(130)는 제1 촬영부및 제2 촬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130 may include a first photographing unit and a second photographing unit.

제1 촬영부는 630nm ~ 680nm 파장대의 광을 촬영할 수 있다.The first photographing unit may photograph light in a wavelength range of 630 nm to 680 nm.

제2 촬영부는 0.75~3㎛의 파장대의 광을 촬영할 수 있다.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may photograph light in a wavelength band of 0.75 to 3 μm.

보다 상세하게는, 건강한 식생은 가시광선을 대부분 흡수하고, 근적외선을 상대적으로 많이 반사할 수 있다. 하지만, 건강하지 않거나 식생이 더딘 작물은 가시광선을 비교적 많이 반사해내고, 근적외선은 비교적 적게 반사할 수 있다. 즉, 조사부는 재배 작물을 향해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을 조사하고, 촬영부(130)는 재배 작물의 근적외선대 파장의 광의 반사율을 측정하여 작물의 생장 상태를 파악하고, 생장이 더딘 작물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healthy vegetation can absorb most of the visible light and reflect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near-infrared rays. However, unhealthy or poorly vegetated crops can reflect relatively high visible light and relatively low near-infrared light. That is, the irradiation unit irradiates visible light and near-infrared rays toward the cultivated crop, and the photographing unit 130 measures the reflectance of the light of the near-infrared wavelength of the cultivated crop to determine the growth state of the crop, and to easily identify the slow-growing crop. have.

결과적으로, 촬영부(130)는 식생에 민감한 파장대의 광과 민감하지 않은 파장대의 광을 촬영하고, 지수를 산출함으로써 사용자는 적재부(100)의 영역별 재배 중인 작물의 생장 상태를 체크 및 파악하고 생장이 더딘 작물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photographing unit 130 captures the light of the wavelength band sensitive to vegetation and the light of the insensitive wavelength band, and by calculating the index, the user checks and grasps the growth state of the crops being cultivated for each area of the loading unit 100 . and slow-growing crops can be easily manag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작업모드 및 휴면모드 시 적재부(100)의 배치도이다.5 is a layout view of the loading unit 100 in a working mode and a dorman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적재부(100)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재배용기(35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순환팬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ading unit 100 may include a circulation fan to supply air to the cultivation vessel 350 disposed therein.

제1 이동모듈(150)은 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oving module 150 may include a guider.

가이더는 사용자가 작업을 하지 않는 휴면 모드 시, 적재부(100) 내부에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있는 기체 유로를 형성, 확보할 수 있도록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guiders may b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nd secure a gas flow path through which air can circulate inside the loading unit 100 when the user does not work in the dormant mode.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재배장치는 휴면 모드 시, 공기 순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부의 영역별 대기 온도, 습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nsor unit capable of measuring the atmospheric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each area of the loading unit so as to determine whether air is circulated in the dormant m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는 두 가지 모드로 이용될 수 있다. A full-scale crop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wo modes.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모드 시, 사용자는 제1 이동모듈(150)을 통해 하나의 적재부(100)를 이동시킴으로써 적재부(100) 유닛 간에 생성되는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통로에 의해 적재부(100) 내부에 위치한 작물의 재배, 투입 및 수확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5 , in the working mode, the user moves one loading unit 100 through the first moving module 150 so that the user can move between the loading units 100 . passage can be secured. The user can easily proceed with cultivation, input, and harvesting of crops located inside the loading unit 100 by the corresponding passage.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면 모드 시, 제1방향 상 제1 이동모듈(150)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가이더에 의해 적재부(100)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해당 공간을 통해 적재부(100) 내부에 배치되는 작물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며, 적재부(100) 간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함으로써 적재부(100) 내부에 공기가 순환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b) of FIG. 5, in the sleep mode, the loading unit 10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guider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one side of the first moving module 150 in the first direction. can be Fresh air can be supplied to the crops disposed inside the loading unit 100 through the corresponding space, 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can circulate inside the loading unit 100 is formed by arranging the loading units 100 at a certain distance apart. can do.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제1 유로(400) 및 제2 유로(410)의 상세도이다.6 is a detailed view of the first flow path 400 and the second flow path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는 제1 유로(400) 및 제2 유로(41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harvesting type crop cultivation apparatus may include a first flow path 400 and a second flow path 410 .

제1 유로(400)는 제1 방향 축을 따라 적재부(100) 내부에 배치되고, 적재부(100)에 물 또는 배양액을 공급할 수 있다.The first flow path 400 is disposed inside the loading part 100 along the first direction axis, and may supply water or a culture solution to the loading part 100 .

제2 유로(410)는 제1 유로(400)로부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분기되어 적재부(100)의 내부에 물 또는 배양액을 재배 작물에 공급할 수 있다.The second flow path 410 may be branched from the first flow path 4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o supply water or a culture solution to the cultivated crops in the loading unit 100 .

제1 유로(400)는 가변부(401)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flow path 400 may include a variable portion 401 .

가변부(401)는 제1 유로(400)는 적재부(100)가 제1 이동모듈(150)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제1 방향축을 따라 그 길이가 증가 또는 축소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이동모듈(150)에 의해 적재부(100)가 제1 방향 축 상 이동 시, 가변부(401)는 길이방향을 따라 그 길이가 신축될 수 있는 공지의 다른 수단이 채택될 수 있다.The variable part 401 is shown in FIG. 6 so that the length of the first flow path 400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long the first direction axis when the loading part 100 moves along the first moving module 150 . As such, wrinkles may form on the surfa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ading unit 100 is moved along the axis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first moving module 150, the variable unit 401 may use other known means that can be stretched and contracted in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제2 유로(410)는 제1 유로(400)로부터 멀어질수록 지반을 향해 소정의 슬로프를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유로(400)에 의해 적재부(100) 각 유닛에 물과 배양액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제2 유로(410)에 의해 적재부(100) 내부 곳곳에 물과 배양액을 재배 중인 작물에 공급할 수 있다. The second flow path 410 may have a predetermined slope toward the ground as it moves away from the first flow path 400 . As a result, water and culture solution can be supplied to each unit of the loading unit 100 through the first flow path 400 , and water and culture medium are grown in various places inside the loading unit 100 by the second flow path 410 . can be supplied to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is embodiment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is embodiment is intended to explain,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적재부
110 - 고정블럭
111 - 고정핀
130 - 촬영부
150 - 제1이동모듈
151 - 가이더
200 - 작업대
250 - 제2이동모듈
350 - 재배용기
351 - 자성체
352 - 자성대응체
400 - 제1유로
401 - 가변부
410 - 제2유로
100 - load
110 - fixed block
111 - fixing pin
130 - Cinematography
150 - first movement module
151 - guider
200 - workbench
250 - second movement module
350 - Cultivation vessel
351 - magnetic body
352 - Magnetic counterpart
400 - 1 Euro
401 - variable part
410 - 2nd Euro

Claims (5)

내부에 적재공간을 가지는 적재부;
제1방향 따라 상기 적재부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모듈;
상기 적재부 사면 중 어느 일측에 배치되어 작물의 재배, 투입 및 수확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소정의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 일측에 배치되어 제2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이동모듈;
상기 적재부 내부에 배치되어 식물 또는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재배기; 및
상기 재배기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재되어 작물을 재배하는 재배용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

a loading unit having a loading space therein;
a first moving module for moving the loading unit in a first direction;
a workbench disposed on either side of the loading part slope to provide a predetermined work space to the user so that crops can be cultivated, put in, and harvested;
a second moving modul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ork table and movable in a second direction;
a planter disposed inside the loading unit to provide an environment for cultivating plants or crops; and
Cultivation container for cultivating crops sequentially loaded inside the cultivation machine
A full-scale crop cultivation apparatus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용기는
그 일측에 배치되는 자성체 및 그 타측에 배치되는 자성대응체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의 재배용기와 상기 다른 재배용기가 자성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재배기로부터 일체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
2. The method of claim 1
The cultivation vessel is
It includes a magnetic body disposed on one side and a magnetic counterpart disposed on the other side thereof,
The single cultivation vessel and the other cultivation vessel a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to be integrally recovered from the cultiv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기는,
그 하면에 소정의 경사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재배용기가 자중에 의해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
2. The method of claim 1
The grower,
A full-scale crop cultiv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ltivation vessel is recovered by its own weight by forming a predetermined slope on its lowe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작물을 촬영한 이미지를 확인함으로써 재배 중인 작물의 배양 및 성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일정 영역마다 배치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
2. The method of claim 1
The loading unit,
A front-harvest crop cultivation apparatus comprising: a photographing unit disposed in each predetermined area to check the culture and growth state of the crop under cultivation by checking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crop.
제4항에 있어서
630nm ~ 680nm 파장대 및 0.75~3㎛의 파장대의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조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부는,
재배중인 작물의 식생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630nm ~ 680nm 파장대의 광을 촬영할 수 있는 제1촬영부; 및 0.75~3㎛의 파장대의 광을 촬영할 수 있는 제2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It includes an irradiator capable of irradiating light in a wavelength band of 630 nm to 680 nm and a wavelength band of 0.75 to 3 μm,
The photographing unit,
a first photographing unit capable of photographing light in a wavelength band of 630 nm to 680 nm so as to determine vegetation information of crops under cultivation; and a second photographing unit capable of photographing light in a wavelength range of 0.75 to 3 μm.

KR1020200167509A 2020-12-03 2020-12-03 Full 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KR1026276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509A KR102627644B1 (en) 2020-12-03 2020-12-03 Full 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509A KR102627644B1 (en) 2020-12-03 2020-12-03 Full 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209A true KR20220078209A (en) 2022-06-10
KR102627644B1 KR102627644B1 (en) 2024-01-23

Family

ID=81986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509A KR102627644B1 (en) 2020-12-03 2020-12-03 Full 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64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922B1 (en) * 2017-08-23 2019-02-26 조영재 plant factory
KR20200028123A (en) * 2018-09-06 2020-03-16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Plant Growing Plate with Magnet Holder
KR20200049369A (en) * 2018-10-31 2020-05-08 (주)카탈로닉스 Apparatus for growing plant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200091707A (en) * 2019-01-23 2020-07-31 원용대 Automation system for mushroom cultiv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922B1 (en) * 2017-08-23 2019-02-26 조영재 plant factory
KR20200028123A (en) * 2018-09-06 2020-03-16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Plant Growing Plate with Magnet Holder
KR20200049369A (en) * 2018-10-31 2020-05-08 (주)카탈로닉스 Apparatus for growing plant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200091707A (en) * 2019-01-23 2020-07-31 원용대 Automation system for mushroom cultiv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644B1 (en)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5201B2 (en) Plant cultivating apparatus
ES2908927T3 (en) Cultivation shelf for horticultural products
CN105007717B (en) Mist trains the improvement of system and method
JP5699460B2 (en) Plant growth model generation system, plant cultivation plant, and plant growth model generation method
CA3028899C (en) A system and method of growing plants in the absence of soil
WO2013114500A1 (en) Cultivation system
US20160000020A1 (en) Cultivation system, cultivation program, and cultivation method
CN202799834U (en) Conveying type plant automatic production equipment
KR102330939B1 (en) Smart aquaponics system device for urban agriculture
KR101415842B1 (en) Indoor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Shamshiri Measuring optimality degrees of microclimate parameters in protected cultivation of tomato under tropical climate condition
JP2013051939A (en) Irradiation device, robot and plant cultivation plant
CN102598982B (en) Method for testing cold resistance of tobacco in seedling stage
US20220408673A1 (en) Closed-loop, pressurized and sterile, controlled micro-environment cultivation
CN211671632U (en) Agricultural is suitable for crop of cultivating and grows seedlings constant temperature storage device
KR20220078209A (en) Full 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KR102505187B1 (en) Device for moss plant
Afandi et al. Microcontroller-based Artificial Lighting to Help Growth the Seedling Pakcoy
JP2007202471A (en) Method for producing moss
CN214902889U (en) A illumination culture apparatus for breeding of hybrid paper mulberry and induction of rooting
CN212813133U (en) Breeding device for farming
CN104303867B (en) Method for comparing hard-light resistance of plants
JP5899451B2 (en) Cultivation system
KR102224788B1 (en) Smart plant grower capable of underwater cultivation and soil cultivation
CN109511438A (en) A kind of agricultural planting device of nursing young plants in hothou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