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644B1 - Full 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 Google Patents

Full 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644B1
KR102627644B1 KR1020200167509A KR20200167509A KR102627644B1 KR 102627644 B1 KR102627644 B1 KR 102627644B1 KR 1020200167509 A KR1020200167509 A KR 1020200167509A KR 20200167509 A KR20200167509 A KR 20200167509A KR 102627644 B1 KR102627644 B1 KR 102627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unit
cultivation
crops
cultivation device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5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78209A (en
Inventor
박아론
임준기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7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644B1/en
Publication of KR20220078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2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644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A47B53/02Cabinet systems, e.g. consisting of cabinets arranged in a row with means to open or close passages between adjacent cabin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방에서 작물 투입 및 작물 수확이 가능하도록 전, 후, 좌, 우 사방이 개방되고 내부에 적재공간을 가지는 적재부, 제1 방향을 따라 적재부를 이동시키는 제1 이동모듈, 적재부 사면 중 어느 일측에 배치되어 작물의 재배, 투입 및 수확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소정의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대, 작업대 일측에 배치되어 제2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 이동모듈, 적재부 내부에 배치되어 식물 또는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재배기 및 재배기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재되어 작물을 재배하는 재배용기를 포함하는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ading unit that is open 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and has a loading space inside to enable crop input and crop harvesting from all directions, a first moving module that moves the loading unit along a first direction, and a slope of the loading unit. a workbench placed on one side of the workbench to provide a predetermined work space to the user for growing, inputting, and harvesting crops; a second mobile module placed on one side of the workbench and capable of moving along a second direction; and a second moving module placed inside the loading unit. Provided is a full-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that includes a cultivator that provides an environment for growing plants or crops, and a cultivation container that is sequentially loaded inside the cultivator to grow crops.

Description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 {Full 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Full 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본 발명은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방향을 따라 적재부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모듈 및 적재부 사면 중 어느 일측에 배치되어 작물의 재배, 투입 및 수확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소정의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대, 작업대 일측에 배치되어 제2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이동모듈을 포함하는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ll-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first moving module that moves the loading unit along a first direction and is disposed on one of the slopes of the loading unit to enable cultivation, input, and harvesting of crops. It relates to a full-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that includes a workbench that provides a predetermined work space to a user, and a second mobile modul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orkbench and capable of moving along a second direction.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simp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constitute prior art.

일반적으로 식물재배는 토양에 심은 종자에 비료와 물을 주고, 태양광에 의해 식물 내에서 일어나는 광합성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plant cultivation is done by applying fertilizer and water to seeds planted in the soil and using photosynthesis that occurs within the plant by sunlight.

그런데 이러한 재배 방법은 기후의 변화가 생산량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비료나 농약의 사용으로 인한 비용 문제와 환경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식물을 재배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소비자의 수요에 비해 생산량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However, this method of cultivation not only affects production due to climate change, but also causes cost and environmental problems due to the use of fertilizers and pesticides. Additionally, because it takes a long time to grow plants, production does not keep up with consumer demand.

최근에는 광합성에 필요한 파장을 인위적으로 공급해 줌으로써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뿐 아니라 기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실내 넓은 공간에 작물을 재배하는 대량 식물재배 방식이 각광받고 있다.Recently, a mass plant cultivation method that not only promotes plant growth by artificially supplying the wavelengths necessary for photosynthesis, but also grows crops in a large indoor space so that they are not affected by the climate,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그러나 현재 개발되거나 출시된 다단식 식물재배장치의 경우, 인공 광원을 조사하는 LED 및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양액공급장치 등을 구비하고 있으나, 종래 다층형 작물 재배 장치는 재배부 간 밀접하게 연결되고 사이 사이에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없어 작물 재배 및 수확에 불편함이 따랐다. However, currently developed or released multi-layer plant cultivation devices are equipped with LEDs for irradiating artificial light sources and nutrient solution supply devices for supplying nutrient solution, but conventional multi-layer crop cultivation devices are closely connected between cultivation units and between them. There was inconvenience in growing and harvesting crops as work space could not be secured.

나아가, 종래 다층형 작물 재배 장치는 넓은 공간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생장 상태를 확인하고, 생장 속도가 더딘 식물을 관리하거나 병해충 관리를 통한 전반적인 작물 확인 시스템 및 유지 보수에 있어 제약이 따랐다. Furthermore, conventional multi-layer crop cultivation devices had limitations in checking the growth status of plants grown in a large space, managing slow-growing plants, and overall crop identification system and maintenance through disease and pest management.

상술한 종래 다층형 작물 재배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부 국내 및 해외의 관련 업체에서는 이동모듈이 형성된 다층형 작물 재배 장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사례가 있으나, 실제 제품화하기에는 이동모듈 구조를 구비하기 위해서 소모되는 비용이 과도하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해당 장치의 제조 단가 대비 작물 재배 효과가 크지 않아 종래 다층형 작물 재배 장치와 비교할 때 시장 경쟁력이 떨어져 본격 상용화된 사례는 찾아볼 수 없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ulti-layered crop cultivation device described above, some domestic and foreign related companies have conducted research on a multi-layered crop cultivation device with moving modules, but it is necessary to have a moving module structure for actual commercialization. The costs incurred for this are either excessive or, even if not, the crop cultivation effect is not large compared to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device, making it less competitive in the market compared to conventional multi-layer crop cultivation devices, so no cases of full-scale commercialization have been found.

따라서, 상술한 것과 같이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치 개발이 요구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device that can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Prior art literature]
[Patent Document]

(특허문헌 1) KR 20-0481257 Y1 (Patent Document 1) KR 20-0481257 Y1

삭제delete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plement the shortcomings of the prior art mention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작물 재배기 사이에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재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모듈 및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하로 이동 가능한 작업대를 포함하는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First, we aim to provide a full-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that includes a mobile module that moves the loading unit to secure work space between crop cultivation periods and a workbench that can move up and down to secure work space.

둘째, 영역별 작물의 생장 상태를 체크 및 파악할 수 있도록 식생에 민감한 파장대의 광과 민감하지 않은 파장대의 광을 촬영하고 지수를 산출함으로써 생장이 더딘 작물의 유지 보수가 용이한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Second, a full-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that facilitates maintenance of slow-growing crops by filming light in the wavelength band that is sensitive to vegetation and light in the wavelength band that is not sensitive to vegetation and calculating the index to check and understand the growth status of crops in each area. We would like to provid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따르면, 사방에서 작물 투입 및 작물 수확이 가능하도록 전, 후, 좌, 우 사방이 개방되고 내부에 적재공간을 가지는 적재부, 제1방향을 따라 적재부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모듈, 적재부 사면 중 어느 일측에 배치되어 작물의 재배, 투입 및 수확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소정의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대, 작업대 일측에 배치되어 제2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이동모듈, 적재부 내부에 배치되어 식물 또는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재배기 및 재배기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재되어 작물을 재배하는 재배용기를 포함하는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ading unit that is open 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and has a loading space inside to enable crop input and crop harvesting from all directions, a first moving module that moves the loading unit along a first direction, and loading. A workbench placed on one side of the side of the unit to provide a predetermined work space for the user to cultivate, input, and harvest crops, a second mobile module placed on one side of the workbench and capable of moving along a second direction, and inside the loading unit. Provided is a full-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that includes a cultivation device that is arranged to provide an environment for growing plants or crops, and a cultivation container that is sequentially loaded inside the cultivation device to grow crops.

이 때, 재배용기는 그 일측에 배치되는 자성체 및 그 타측에 배치되는 자성대응체를 포함하며, 하나의 재배용기와 다른 재배용기가 자성에 의해 결합되어 재배기로부터 재배용기가 일체로 회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ultivation container includes a magnetic material disposed on one side and a magnetic counterpart disposed on the other side, and one cultivation container and the other cultivation container are combined by magnetism, so that the cultivation container can be recovered as a whole from the cultivation container.

또한, 재배기는 그 하면에 소정의 경사가 형성됨으로써 재배용기가 자중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ultivation container can be recovered by its own weight by forming a predetermined slope on its lower surface.

나아가, 적재부는 작물을 촬영한 이미지를 확인함으로써 재배 중인 작물의 배양 및 성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일정 영역마다 배치되는 촬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loading unit may include a photographing unit disposed in a certain area so that the cultivation and growth state of the crop being grown can be confirmed by checking the captured image of the crop.

한편, 촬영부는 재배중인 작물의 식생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630nm ~ 680nm 파장대의 광을 촬영할 수 있는 제1촬영부 및 0.75~3㎛의 파장대의 광을 촬영할 수 있는 제2촬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hotographing unit may include a first photographing unit capable of photographing light in a wavelength range of 630 nm to 680 nm to identify vegetation information of crops being cultivated, and a second photographing unit capable of photographing light in a wavelength range of 0.75 to 3 μm.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적재부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재배용기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순환팬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이동모듈은 사용자가 작업을 하지 않는 휴면 모드 시, 적재부 내부에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있는 기체 유로를 형성, 확보할 수 있도록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ing unit may include a circulation fan to supply air to the cultivation container placed therein, and the first moving module is located inside the loading unit when the user is in a dormant mode without working.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guiders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nd secure a gas flow path through which air can circulate.

이 때, 제1방향 축을 따라 상기 적재부에 물 또는 배양액을 공급하는 제1유로; 및 제1유로로부터 제1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분기되어 적재부의 내부에 물 또는 배양액을 재배 작물에 공급하는 제2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a first passage supplying water or culture medium to the loading unit along a first direction axis; And it may include a second flow path branched from the first flow pa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o supply water or culture medium to the cultivated crops inside the loading unit.

또한, 제1유로는 적재부가 제1이동모듈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제1방향축을 따라 그 길이가 증가 또는 축소 가능한 가변부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flow path may include a variable portion whose length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long the first direction axis when the loading portion moves along the first moving module.

나아가, 제2유로는 소정의 슬로프를 가질 수 있다.Furthermore, the second flow path may have a predetermined slope.

본 발명의 추가적인 해결수단은 아래에서 이어지는 설명에서 일부 설명될 것이고, 그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지득될 수 있다.Additional solu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artially explained in the description that follows below, and may be partially easily identified from the description or learned by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only and do not limit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above will be explained as follows.

첫째, 적재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작물 재배기 사이에 작업 공간을 확보하고, 작업대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First, by moving the loading unit, work space can be secured between crop cultivation units, and by moving the workbench up and down, work space can be secured.

둘째, 식생에 민감한 파장대의 광과 민감하지 않은 파장대의 광을 촬영하고 지수를 산출함으로써 영역별 작물의 생장 상태를 체크 및 파악하여 생장이 더딘 작물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Second, by photographing light in the wavelength band that is sensitive to vegetation and light in the wavelength band that is not sensitive to vegetation and calculating the index, the growth status of crops in each area can be checked and identified, making it easy to maintain slow-growing crop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재배용기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적재부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촬영부의 배치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작업모드 및 휴면모드 시 적재부의 배치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제1유로 및 제2유로의 상세도이다.
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ull-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etailed view of a culti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etailed view of a load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layout diagram of a photograp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layout diagram of the loading unit in work mode and sleep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etailed view of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owever, when describ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 들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includ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below.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dditionally, numbers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identifiers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단지 명세서를 용이하게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나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uffix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merely used or used interchangeably to facilitate the prepara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does not have a distinct meaning or role in itsel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과 제2 방향이 정의된다. 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ull-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are defined.

본 발명에 따르는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는 적재부(100), 제1 이동모듈(150), 작업대(200), 제2 이동모듈(250), 재배기 및 재배용기(3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ull 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oading unit 100, a first moving module 150, a work table 200, a second moving module 250, a cultivation device, and a cultivation container 350. .

적재부(100)는 사방에서 작물 투입 및 작물 수확이 가능하도록 전, 후, 좌, 우 사방이 개방되고 내부에 적재공간을 가질 수 있다.The loading unit 100 may be open on all sides, front, rear, left, and right to enable crop input and crop harvesting from all directions, and may have a loading space inside.

제1 이동모듈(150)은 제1 방향을 따라 적재부(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first movement module 150 may move the loading unit 100 along a first direction.

제1 이동모듈(150)은 실내 바닥에 레일을 형성하고, 적재부(100) 일측에 형성된 수동 핸들을 이용하여 적재부(100)를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이동모듈(150)의 동작 방식은 모빌 랙(Mobile-Rack) 또는 전동 시스템을 이용한 구동방식일 수 있다.The first moving module 150 forms a rail on the indoor floor, and the loading unit 100 can be operated using a manual handle formed on one side of the loading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first movement module 150 may be a driving method using a mobile rack (Mobile-Rack) or an electric system.

작업대(200)는 적재부(100) 사면 중 어느 일측에 배치되어 작물의 재배, 투입 및 수확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소정의 작업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The workbench 200 may be placed on one of the slopes of the loading unit 100 to provide a predetermined work space to the user for growing, inserting, and harvesting crops.

제2 이동모듈(250)은 작업대(200) 일측에 배치되어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 이동모듈(250)은 고소작업차가 채택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상하로 이동 가능한 공지의 다른 수단이 채택될 수 있다.The second movement module 25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ork table 200 and can move along the second direction. The second moving module 250 may be an aerial work vehicle, or other known means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may be used.

재배기는 적재부(100) 내부에 배치되어 식물 또는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e cultivator may be placed inside the loading unit 100 to provide an environment for growing plants or crops.

재배용기(350)는 재배기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재되어 사용자가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The cultivation containers 350 are sequentially loaded inside the cultivation container so that the user can grow crop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재배용기(350)의 상세도이다.Figure 2 is a detailed view of a cultivation vessel 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적재부(100)의 상세도이다.Figure 3 is a detailed view of the loading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적재부(100)로부터 재배용기(350)를 회수하는 수단으로서, 재배기 내부에 물을 저장하고, 물의 흐름에 따라 재배용기(350)가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회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재배용기(350)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를 조작함으로써 재배용기(350)를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피스톤 또는 롤러 등을 이용하여 재배용기(350)를 재배기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As a means of recovering the cultivation vessel 350 from the loading unit 100, water is stored inside the cultivation vessel, and the cultivation vessel 350 can be sequentially moved and recovered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retrieve the cultivation container 350 by manipulating a wi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ultivation container 35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recover the cultivation container 350 from the cultivation device using a piston or roller.

재배용기(3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에 배치되는 자성체(351) 및 그 타측에 배치되는 자성대응체(352)를 포함하며, 하나의 재배용기(350)와 다른 재배용기(350)가 자성에 의해 결합되어 재배기로부터 재배용기(350)가 일체로 회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cultivation container 350 includes a magnetic material 351 disposed on one side and a magnetic counterpart 352 disposed on the other side, and includes one cultivation container 350 and another cultivation container 350. ) are combined by magnetism, so that the cultivation container 350 can be recovered as a whole from the cultivation device.

재배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면에 소정의 경사가 형성됨으로써 재배용기(350)가 자중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cultivation container 350 can be recovered by its own weight by forming a predetermined slope on its lower surface.

재배기 하면에 형성된 소정의 경사에 의해 재배용기(350)가 재배장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재배기는 고정블록(110) 및 고정핀(111)을 포함할 수 있다.The cultivator may include a fixing block 110 and a fixing pin 111 to prevent the cultivation container 350 from leaving the cultivation device due to a predetermined slop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ultivator.

고정핀(111)이 삽입되는 경우, 고정블럭(110)은 적재부(100) 내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적재부(100) 내부에 수납된 재배용기(350)는 자중에 의해 이동하지 않고 적재부(100) 내부에 고정 및 수납될 수 있다.When the fixing pin 111 is inserted, the fixing block 110 may rotat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loading unit 100. That is, the cultivation container 350 stored inside the loading unit 100 can be fixed and stored inside the loading unit 100 without moving due to its own weight.

고정핀(111)이 제거되는 경우, 고정블럭(110)은 적재부(100) 외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적재부(100) 내부에 수납된 재배용기(350)는 자중에 의해 이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회수할 수 있다. When the fixing pin 111 is removed, the fixing block 110 may rotate toward the outside of the loading unit 100. That is, the cultivation container 350 stored inside the loading unit 100 can move by its own weight, and the user can retrieve i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촬영부(130)의 배치도이다.Figure 4 is a layout diagram of the photographing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적재부(100)는 촬영부(130) 및 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ading unit 100 may include an imaging unit 130 and an investigation unit.

조사부는 630nm ~ 680nm 파장대 및 0.75~3㎛의 파장대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조사부는 모든 영역대의 광을 조사하되, 특정 영역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를 설치하여 630nm ~ 680nm 파장대 및 0.75~3㎛의 파장대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The irradiation unit can irradiate light in the 630nm to 680nm wavelength range and the 0.75 to 3㎛ wavelength range. In contrast, the irradiation unit irradiates light in all regions, but by installing a filter that can remove light with a wavelength in a specific region, it can irradiate light in the 630nm to 680nm wavelength range and 0.75 to 3㎛ wavelength range.

촬영부(130)는 작물을 촬영한 이미지를 확인함으로써 재배 중인 작물의 배양 및 성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적재부(100)의 일정 영역마다 배치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130 may be arranged in a certain area of the loading unit 100 so that the culture and growth state of the crop being grown can be checked by checking the captured image of the crop.

촬영부(130)는 제1 촬영부및 제2 촬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130 may include a first photographing unit and a second photographing unit.

제1 촬영부는 630nm ~ 680nm 파장대의 광을 촬영할 수 있다.The first imaging unit can photograph light in the 630nm to 680nm wavelength range.

제2 촬영부는 0.75~3㎛의 파장대의 광을 촬영할 수 있다.The second imaging unit can photograph light in the wavelength range of 0.75 to 3㎛.

보다 상세하게는, 건강한 식생은 가시광선을 대부분 흡수하고, 근적외선을 상대적으로 많이 반사할 수 있다. 하지만, 건강하지 않거나 식생이 더딘 작물은 가시광선을 비교적 많이 반사해내고, 근적외선은 비교적 적게 반사할 수 있다. 즉, 조사부는 재배 작물을 향해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을 조사하고, 촬영부(130)는 재배 작물의 근적외선대 파장의 광의 반사율을 측정하여 작물의 생장 상태를 파악하고, 생장이 더딘 작물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healthy vegetation can absorb most of the visible light and reflect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near-infrared light. However, unhealthy or slow-growing crops may reflect relatively more visible light and relatively less near-infrared light. That is, the irradiation unit irradiates visible light and near-infrared rays toward the cultivated crops, and the imaging unit 130 measures the reflectance of light in the near-infrared range of the cultivated crops to determine the growth status of the crops and can easily identify slow-growing crops. there is.

결과적으로, 촬영부(130)는 식생에 민감한 파장대의 광과 민감하지 않은 파장대의 광을 촬영하고, 지수를 산출함으로써 사용자는 적재부(100)의 영역별 재배 중인 작물의 생장 상태를 체크 및 파악하고 생장이 더딘 작물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photographing unit 130 photographs light in the wavelength range sensitive to vegetation and light in the wavelength range not sensitive to vegetation, and calculates the index, allowing the user to check and understand the growth status of crops being cultivated in each area of the loading unit 100. And slow-growing crops can be easily manag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작업모드 및 휴면모드 시 적재부(100)의 배치도이다.Figure 5 is a layout diagram of the loading unit 100 in work mode and sleep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적재부(100)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재배용기(35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순환팬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ading unit 100 may include a circulation fan to supply air to the cultivation container 350 disposed therein.

제1 이동모듈(150)은 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ovement module 150 may include a guider.

가이더는 사용자가 작업을 하지 않는 휴면 모드 시, 적재부(100) 내부에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있는 기체 유로를 형성, 확보할 수 있도록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guiders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form and secure a gas flow path through which air can circulate inside the loading unit 100 when the user is in a dormant mode without working.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재배장치는 휴면 모드 시, 공기 순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부의 영역별 대기 온도, 습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nsor unit capable of measuring the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each area of the loading unit so as to determine whether air is circulating in the dormant m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는 두 가지 모드로 이용될 수 있다. A full-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wo modes.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모드 시, 사용자는 제1 이동모듈(150)을 통해 하나의 적재부(100)를 이동시킴으로써 적재부(100) 유닛 간에 생성되는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통로에 의해 적재부(100) 내부에 위치한 작물의 재배, 투입 및 수확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ure 5, in the work mode, the user moves one loading unit 100 through the first movement module 150, thereby creating a space that the user can move between the loading unit 100 units. A passage can be secured. The user can easily carry out cultivation, input, and harvesting of crops located inside the loading unit 100 through the corresponding passage.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면 모드 시, 제1방향 상 제1 이동모듈(150)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가이더에 의해 적재부(100)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해당 공간을 통해 적재부(100) 내부에 배치되는 작물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며, 적재부(100) 간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함으로써 적재부(100) 내부에 공기가 순환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b) of Figure 5, in the dormant mode, the loading unit 100 i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by a plurality of guider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one side of the first movement module 150 in the first direction. It can be. Fresh air can be supplied to crops placed inside the loading unit 100 through the space, and by arranging the loading units 100 at a certain distance apart,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can circulate within the loading unit 100 is formed. can do.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제1 유로(400) 및 제2 유로(410)의 상세도이다.Figure 6 is a detailed view of the first flow path 400 and the second flow path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는 제1 유로(400) 및 제2 유로(41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ull 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may include a first flow path 400 and a second flow path 410.

제1 유로(400)는 제1 방향 축을 따라 적재부(100) 내부에 배치되고, 적재부(100)에 물 또는 배양액을 공급할 수 있다.The first flow path 400 is disposed inside the loading unit 100 along the first direction axis and can supply water or culture medium to the loading unit 100.

제2 유로(410)는 제1 유로(400)로부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분기되어 적재부(100)의 내부에 물 또는 배양액을 재배 작물에 공급할 수 있다.The second flow path 410 may branch from the first flow path 4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o supply water or culture medium to the inside of the loading unit 100 to the cultivated crops.

제1 유로(400)는 가변부(401)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flow path 400 may include a variable portion 401.

가변부(401)는 제1 유로(400)는 적재부(100)가 제1 이동모듈(150)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제1 방향축을 따라 그 길이가 증가 또는 축소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이동모듈(150)에 의해 적재부(100)가 제1 방향 축 상 이동 시, 가변부(401)는 길이방향을 따라 그 길이가 신축될 수 있는 공지의 다른 수단이 채택될 수 있다.The variable part 401 is shown in FIG. 6 so that the first flow path 400 can increase or decrease its length along the first direction axis when the loading part 100 moves along the first moving module 150. As mentioned above, wrinkles may form on the surface. In contrast, when the loading unit 100 is moved on the axis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first movement module 150, the variable unit 401 may adopt another known means that can expand and contract its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You can.

제2 유로(410)는 제1 유로(400)로부터 멀어질수록 지반을 향해 소정의 슬로프를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유로(400)에 의해 적재부(100) 각 유닛에 물과 배양액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제2 유로(410)에 의해 적재부(100) 내부 곳곳에 물과 배양액을 재배 중인 작물에 공급할 수 있다. The second flow path 410 may have a predetermined slope toward the ground as it moves away from the first flow path 400. As a result, water and culture medium can be supplied to each unit of the loading unit 100 through the first flow path 400, and water and culture medium can be supplied to various parts of the loading unit 100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410. can be supplied to.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is embodiment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ould be possible.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is embodimen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embodiment.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적재부
110 - 고정블럭
111 - 고정핀
130 - 촬영부
150 - 제1이동모듈
151 - 가이더
200 - 작업대
250 - 제2이동모듈
350 - 재배용기
351 - 자성체
352 - 자성대응체
400 - 제1유로
401 - 가변부
410 - 제2유로
100 - loading compartment
110 - Fixed block
111 - fixing pin
130 - Filming Department
150 - 1st mobile module
151 - Guider
200 - Workbench
250 - 2nd mobile module
350 - Cultivation container
351 - Magnetic material
352 - Magnetic counterpart
400 - 1st Euro
401 - Variable part
410 - 2nd euro

Claims (5)

내부에 적재공간을 가지는 적재부;
제1방향 따라 상기 적재부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모듈;
상기 적재부 사면 중 어느 일측에 배치되어 작물의 재배, 투입 및 수확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소정의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대;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작업대를 이동시키는 제2이동모듈;
상기 적재부 내부에 배치되어 식물 또는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그 하면에 소정의 경사가 형성됨으로써 재배용기가 자중에 의해 회수되는 재배기;
상기 재배기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재되어 작물을 재배하는 재배용기;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상기 적재부에 물 또는 배양액을 공급하는 제1 유로; 및
상기 제1유로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분기되어 상기 적재부의 내부에 물 또는 배양액을 공급하고 상기 제1 유로로부터 멀어질수록 지반을 향해 소정의 경사가 형성되는 제2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재배기는,
상기 재배기 내부에 적재된 상기 재배용기가 자중에 의해 상기 재배기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블럭; 및
상기 고정블럭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고정블럭은 상기 적재부 내측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재배용기를 자중에 의해 이동하지 않게 하고, 상기 고정블럭에서 제거되는 경우 상기 고정블럭은 상기 적재부 외측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재배용기가 자중에 의해 이동하도록 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
A loading unit having a loading space therein;
a first moving module that moves the loading unit along a first direction;
A workbench disposed on one of the slopes of the loading unit to provide a predetermined work space to the user for growing, inserting, and harvesting crops;
a second moving module that moves the workbench along a second direction;
A cultivation device disposed inside the loading unit to provide an environment for growing plants or crops, and forming a predetermined slope on the bottom thereof, so that the cultivation container is recovered by its own weight;
Cultivation containers that are sequentially loaded inside the cultivator to grow crops;
a first flow path supplying water or culture medium to the loading unit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flow path branches off from the first flow pa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o supply water or a culture medium to the inside of the loading unit and has a predetermined slope toward the ground as the distance from the first flow path increases. do,
The cultivation period,
A fixing block that prevents the cultivation container loaded inside the cultivation device from leaving the cultivation device due to its own weight; and
When inserted into the fixing block, the fixing block prevents the cultivation container from moving due to its own weight by rotating toward the inside of the loading unit, and when removed from the fixing block, the fixing block rotates toward the outside of the loading unit. A fixing pin that allows the cultivation container to move by its own weight. A full-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용기는
그 일측에 배치되는 자성체 및 그 타측에 배치되는 자성대응체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의 재배용기와 상기 다른 재배용기가 자성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재배기로부터 일체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
In paragraph 1
The cultivation container is
It includes a magnetic material disposed on one side and a magnetic counterpart disposed on the other side,
A full-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wherein the one cultivation container and the other cultivation container are magnetically coupled and recovered as a whole from the cultivation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작물을 촬영한 이미지를 확인함으로써 재배 중인 작물의 배양 및 성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일정 영역마다 배치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
In paragraph 1
The loading part,
A full-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comprising a photographing unit arranged in a certain area to check the culture and growth status of the crop being grown by checking the captured image of the crop.
제4항에 있어서
630nm ~ 680nm 파장대 및 0.75~3㎛의 파장대의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조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부는,
재배중인 작물의 식생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630nm ~ 680nm 파장대의 광을 촬영할 수 있는 제1촬영부; 및 0.75~3㎛의 파장대의 광을 촬영할 수 있는 제2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수확형 작물 재배장치.

In paragraph 4
It includes an irradiation unit capable of irradiating light in the 630nm to 680nm wavelength range and 0.75 to 3㎛ wavelength range,
The filming department,
A first photographing unit capable of photographing light in the 630nm to 680nm wavelength range to identify vegetation information of crops being cultivated; And a full-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comprising a second photographing unit capable of photographing light in the wavelength range of 0.75 to 3 μm.

KR1020200167509A 2020-12-03 2020-12-03 Full 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KR1026276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509A KR102627644B1 (en) 2020-12-03 2020-12-03 Full 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509A KR102627644B1 (en) 2020-12-03 2020-12-03 Full 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209A KR20220078209A (en) 2022-06-10
KR102627644B1 true KR102627644B1 (en) 2024-01-23

Family

ID=81986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509A KR102627644B1 (en) 2020-12-03 2020-12-03 Full 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64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922B1 (en) * 2017-08-23 2019-02-26 조영재 plant factor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931B1 (en) * 2018-09-06 2020-11-10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Plant Growing Plate with Magnet Holder
KR102301658B1 (en) * 2018-10-31 2021-09-14 (주)카탈로닉스 Apparatus for growing plant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2265054B1 (en) * 2019-01-23 2021-06-14 원용대 Automation system for mushroom cultiv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922B1 (en) * 2017-08-23 2019-02-26 조영재 plant fact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209A (en)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58334T3 (en) Automatic modular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vertical farms
CN105007717B (en) Mist trains the improvement of system and method
WO2013114500A1 (en) Cultivation system
KR102330939B1 (en) Smart aquaponics system device for urban agriculture
CN109688802A (en) Cultivation system and method
US20120324788A1 (en) Plant cultivating apparatas
US20210007300A1 (en) Soil Ecosystem Management and Intelligent Farming Arrangement
JP2012005468A (en) Plant cultivation system, plant-cultivation plant, and method for cultivating plant
Shamshiri Measuring optimality degrees of microclimate parameters in protected cultivation of tomato under tropical climate condition
KR20140003505U (en) Plant cultivation equipment
JP2019180272A (en) Plant cultivation device, plant growth monitoring device and plant growth management device
KR102627644B1 (en) Full harvest type crop cultivation device
CN103563666A (en) Rotary automatic agricultural product cultivation management equipment
KR102505187B1 (en) Device for moss plant
CN104904585B (en) A kind of outdoor planter box and its outdoor cultivation system
KR101222036B1 (en) Cultivation system of plant
KR20200093935A (en) Smart farm container system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S2368053A1 (en) Dynamic cultivation system
GB2605253A (en) A data collection and monitoring system, a controlled environment farming system, devices and related methods
CN104255337B (en) A kind of raising chamber of structure improved Oryza sativa L. selection-breeding
KR102224788B1 (en) Smart plant grower capable of underwater cultivation and soil cultivation
JP5899451B2 (en) Cultivation system
Rogachev et al. Neural Network Monitoring of Agricultural Plant Development Using Phytotronic Systems and Computer Vision
JPWO2020138243A1 (en) Heat retention system and heat retention device
KR20200129848A (en) Aquaponics Cultiv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