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660A - 헤드 청소를 위한 브러시를 구비한 자동 귀지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 청소를 위한 브러시를 구비한 자동 귀지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660A
KR20220077660A KR1020200166812A KR20200166812A KR20220077660A KR 20220077660 A KR20220077660 A KR 20220077660A KR 1020200166812 A KR1020200166812 A KR 1020200166812A KR 20200166812 A KR20200166812 A KR 20200166812A KR 20220077660 A KR20220077660 A KR 20220077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wax
head
external auditory
auditory meatus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로지랩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로지랩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로지랩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200166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7660A/ko
Publication of KR20220077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6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06Ear cleaners, e.g. curett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51Brushes fitted with ventilation means, e.g. with air buffers, air v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57Brushes fitted with a device for cleaning the e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6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62E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자동으로 귀지를 제거할 수 있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를 제시한다. 스크러빙 헤드를 포함하는 헤드부를 전후진 및 회전 제어하여 귀지를 제거하는 자동 귀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외이도 입구 부분에 밀착 삽입되는 선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헤드부가 자유롭게 통과됨과 아울러 귀지를 통과시키는 수거홀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를 여유롭게 감싸고서 수거홀을 통과한 귀지를 일시 보관하도록 이루어져 후단부가 자동 귀지 제거장치의 몸체부에 결합되는 포켓부와; 상기 포켓부의 후단부 내부에 수납 설치되어 헤드부를 자유롭게 통과시키고, 후진된 상기 스크러빙 헤드의 회전에 의해 이물질을 털어내도록 구성되는 브러시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헤드 청소를 위한 브러시를 구비한 자동 귀지 제거 장치{An Apparatus for automatic earwax removal with brush for head cleaning}
본 발명은 자동 귀지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러빙 헤드를 이용해 외이도 귀지를 긁어내고 후진된 스크레빙 헤드를 회전시켜 브러시로 청소 할 수 있도록 한 헤드 청소를 위한 브러시를 구비한 자동 귀지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귀지는 생리학적으로 귀를 통해 침입할 수 있는 외부 박테리아와 세균의 침입을 억제하여 감염을 최소화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귀지는 인위적으로 제거하지 않아도 사람이 말을 하거나 음식을 씹을 때 자연스럽게 턱관절 및 주변 근육들을 움직이기 때문에 이로 인해 귓속(외이도, ear canal) 피부의 움직임이 발생하고 귓속 피부로부터 쉽게 떨어져 나와 피부의 지속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서서히 귓속에서 바깥으로 밀려 나오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의학적으로는 귀지를 인위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고 있다.
이는 귀지를 제거할 경우 귓속 깊은 곳까지 제거 도구를 삽입하여 제거하려는 경향이 있어 최소한으로 필요한 양의 귀지마저도 제거할 수 있으며, 면봉과 같이 도구의 끝이 귓구멍을 모두 막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도구의 경우 도구를 귓속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귀지를 귓속 깊은 곳으로 밀어 넣어 그에 대한 부작용을 일으킬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학적인 이해와 권고에도 불구하고, 귀지 제거는 개인위생과 관련된 개인적인 선택의 문제에 가까우며 특히, 의학적인 설명과는 다소 다르게 인위적인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매우 오랫동안 귓속에 머물기 때문에 답답함과 이물감 내지 움직일 경우 피부자극 등을 줄 수 있어 귓속의 귀지 양이 어느 정도 누적되면 제거하고 싶은 욕구가 매우 커지는 게 일반적이다.
이러한 이유로, 세계적으로 대부분의 문화권 사람들은 오랜 시간 동안 귀지를 제거해 왔으며 현재에도 세계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주기적으로 귀지를 제거하고 있다.
이러한 귀지제거에 대한 일반적인 욕구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시장에 판매되고 있는 귀지제거에 사용되는 전통적인 형태의 귀이개 및 면봉 또는 그와 유사한 귀지제거 도구들은 사용자 본인이 귓속을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에 감각에 의존하여 귀지를 제거하기 때문에 자신의 귀지를 스스로 효과적이며 안전하게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세밀한 힘 조절 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고령자 및 어린 아이들의 경우, 도구의 조작 실수로 인해 귓속 피부 표면에 무리한 힘을 가해 피부의 상처나 염증이 발생될 수 있으며 도구를 필요 이상 깊이 삽입할 경우 귀 고막의 손상이나 천공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귓속 내부를 스스로 볼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USB형 소형 카메라를 내장한 귀지제거 도구가 개발되었으나, 스스로 볼 수 있다는 점이 오히려 귀지를 완전히 제거하고자 하는 동기가 증폭될 수 있어 필요 이상의 귀지를 제거하려는 심리가 작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수동조작으로 귀지를 제거하므로 조작의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아 고령자 및 어린이의 사용에 대한 안전성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귀지의 수동제거의 불편함을 진공흡입 방법을 통해 자동제거의 형태로 향상시키며 동시에 제거도구의 끝이 귓속 깊은 곳을 들어갈 수 없도록 안전하게 설계된 진공흡입방식의 귀지 제거기의 경우 진공 흡입력을 충분히 만들어 주어야 하므로 흡입 진공압력을 충분히 높이거나 흡입구의 면적을 충분히 작게 할 수 밖에 없다.
진공압력을 올리는 것은 고막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험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최소한의 압력 수준만을 사용할 수 있어 흡입구의 면적을 작게 하여 흡입력을 상대적으로 높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귓속 내부의 귀지 위치에 정확이 흡입구를 맞추지 못 할 경우 흡입압력이 매우 작기 때문에 제거 효율이 매우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통적인 형태의 귀이개는 그 끝단이 수 mm의 직경을 갖는 숟가락 (spoon)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건성 및 지성의 귀지를 떼어내기에 용이한 구조로 되어있으며 끝단과 연결된 손잡이 부분 또한 수 mm 내외로 매우 얇고 긴 구조로 되어 귓속으로 삽입하는데 매우 용이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재질은 주로 금속과 나무, 플라스틱 등의 대체로 단단한 재질을 가지고 있어 도구의 끝단을 귓속 피부표면에 접촉시켜 피부표면에 충분한 힘을 가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끝단구조와 재질은 피부표면에 상당히 높은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끝단구조의 피부표면과의 접촉부분은 주로 숟가락 구조의 모서리(edge) 부분이 되며, 이때 접촉부분에 가해지는 힘은 수 백 g 내지 수 kg의 범위에 있기 때문에 순간 수에서 수십 MPa 수준의 높은 압력이 피부 표면에 가해 질 수 있다.
따라서, 피부표면에 가해지는 힘 조절을 세밀하게 하지 못할 경우 큰 통증과 함께 피부 표면의 손상으로 인한 염증이 발생될 수 있다. 더욱이 귓속을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에 대체로 감각에 의존하여 귀지를 제거하며 다른 사람이 제거해 준다고 해도 시야에 한계가 커 사실상 대체로 감각에 의존하거나 귓구멍 바깥쪽에서 보이는 부분의 귀지만 제거할 수밖에 없다. 특히, 피부의 상태가 좋지 않아 외부 자극에 매우 예민해져 있는 사람의 경우나, 자극에 더 민감한 고령자나 어린이의 경우 매우 큰 자극으로 느껴질 수 있기 때문에 피부에 자극을 거의 주지 않으면서 자동으로 귀지를 제거할 수 있는 매우 안락한 귀지제거 도구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서양인들 중 백인(caucasian)의 92.4% 와 흑인(negroid)의 96.9%, 유럽인구의 98% 는 동양인과 달리 왁스 형태의 지성 귀지(wet earwax)를 가지고 있으며 65세 노인의 약 50%는 수개월에 한 번씩 주기적으로 귀지에 의해 귀가 완전히 막히는 이구전색(cerumen impaction)의 증상을 호소하고 있다(J. Am Acad Audiol 1997 8(6) 391-400).
이구전색의 증상은 기본적으로 귀가 매우 답답함을 느끼며 이비인후과적인 보고에 의하면 약 20 dB 의 청각손실이 발생돼 의사소통에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노인들의 일상생활의 큰 장애로 작용하여 주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하여 귀지를 제거하는 서비스를 받기 때문에 경제적인 손실도 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구전색 증상을 보이는 고령층에 대한 이구전색의 예방을 위해 일정 기간 내의 사용자의 귀지제거 횟수 등을 모니터링하여 귀지제거에 대한 개인위생 관리가 가능한 지능형 귀지 제거장치에 대한 기술적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개와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의 경우는 사람과 달리 주기적인 귀지제거가 권고되고 있다. 애완동물의 귀지제거에는 크게 면봉형태의 기계적인 도구와 액체 형태의 귀지 용해제가 사용되고 있다. 사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액체형태의 귀지 용해제가 권고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역시 사용의 불편함이 적지 않아 주로 면봉형태의 기계적인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나 면봉형태의 도구를 사용할 경우 도구의 삽입 시 귀지를 귓속으로 밀어 넣을 수 있는 부작용이 있으며 사용자가 느낌과 감각에 의존해 안전한 깊이만큼 삽입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크기에 따라 안전한 깊이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안전성과 편리성, 애완동물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형태의 귀지제거 도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 1 : KR 공개 10-2017-0138318 (2017.12.15)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자동으로 귀지를 제거할 수 있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러빙 헤드를 이용해 외이도 귀지를 긁어내고 후진된 스크레빙 헤드를 회전시켜 브러시로 청소 할 수 있도록 한 헤드 청소를 위한 브러시를 구비한 자동 귀지 제거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는, 수거홀을 갖는 포켓부, 및 상기 수거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외이도의 벽면과 접촉하도록 구부러지게 형성되되 공기 분사홀을 갖는 스크러빙 헤드를 포함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러빙 헤드의 구부러진 끝부에는 귀 바깥쪽을 바라보는 곡면을 갖는 팁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는 다수의 트랙으로 구획되는 외이도의 벽면에 대해 상기 다수의 트랙중에서 어느 한 트랙을 통해 기설정된 단위 깊이만큼 진입하여 일정 각도 회전에 의해 인접한 트랙으로 이동한 후에 해당 인접한 트랙을 통해 외이도의 바깥으로 후퇴하는 귀지 제거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헤드부는 상기 귀지 제거 동작을, 진입된 현재의 깊이에서의 모든 트랙 및 상기 단위 깊이만큼씩의 후속적인 진입에 따른 후속의 깊이에서의 모든 트랙에서 반복수행한다.
본 발명의 브러시를 구비한 자동 귀지 제거장치는, 스크러빙 헤드를 포함하는 헤드부를 전후진 및 회전 제어하여 귀지를 제거하는 자동 귀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외이도 입구 부분에 밀착 삽입되는 선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헤드부가 자유롭게 통과됨과 아울러 귀지를 통과시키는 수거홀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를 여유롭게 감싸고서 수거홀을 통과한 귀지를 일시 보관하도록 이루어져 후단부가 자동 귀지 제거장치의 몸체부에 결합되는 포켓부와; 상기 포켓부의 후단부 내부에 수납 설치되어 헤드부를 자유롭게 통과시키고, 후진된 상기 스크러빙 헤드의 회전에 의해 이물질을 털어내도록 구성되는 브러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는, 상기 귀지 제거 동작시 첫번째 진입에서는 상기 다수의 트랙중에서 어느 한 트랙을 통해 기설정된 단위 깊이만큼 진입하여 인접한 트랙으로 회전한 후에 해당 인접한 트랙을 통해 외이도의 바깥으로 후퇴하고, 두번째 진입에서 마지막 진입까지는 선행에 후퇴하였던 트랙으로 동일 깊이만큼 진입하여 인접한 트랙으로 회전한 후에 해당 인접한 트랙을 통해 외이도의 바깥으로 후퇴할 수 있다.
상기 팁은 스푼 형태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팁의 곡면의 너비는 상기 공기 분사홀이 형성된 부위의 단면 폭과 대비하여 13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상기 스크러빙 헤드의 구부러진 끝부에 형성된 팁의 형성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날개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상기 스크러빙 헤드에 붙어 있는 귀지를 닦아내는 브러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는, 상기 포켓부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의 일면에 설치되되, 상기 포켓부와 상기 결합부가 상호 결합되었을 경우 상기 결합부의 일면에서 상기 포켓부의 수거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포켓부와 상기 결합부는 자기력에 의한 결합방식으로 상호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는, 귀지 제거 이후에는 드라이 전용 헤드로 교체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 전용 헤드는, 몸통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장홀 형태의 공기 분사 개구부; 상기 몸통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공기 분사 개구부와 연결된 공기 주입구; 및 상기 몸통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분사 개구부를 통해 분사된 공기가 귀 고막 쪽을 향하지 않고 외이도 벽면과 귀 바깥쪽을 향하도록 공기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귀 고막쪽을 향하는 부위는 볼록하고 상기 귀 바깥쪽을 향하는 부위는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외이도의 평균 크기에 준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공기펌프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드라이 전용 헤드에게로 보내는 마이크로 히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상기 공기펌프와 상기 마이크로 히터 사이에는 마이크로 소음기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포켓부의 일측부에는 연질의 접촉부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스크러빙 헤드는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포켓부 및 상기 스크러빙 헤드는 일회용일 수 있다.
상기 포켓부와 상기 스크러빙 헤드는 각각 종이로 압축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러빙 헤드의 팁은 왁스 형태의 지성(물성) 귀지를 떠내는데 적합하도록 귀바깥쪽을 바라보는 곡면을 포함하므로, 외이도 벽면을 긁을 수도 있고 동시에 왁스 형태의 지성 귀지를 파내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공기가 탭에 부딪혀 귓구멍 바깥 방향(수거홀 측)으로 토출됨으로써, 고막으로 직접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막에 가해질 수 있는 공기압력에 의해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불편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공기를 토출시킴으로써, 세안 및 목욕시 사용자의 귓속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귓속 바깥으로 제거하고 증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탭이 형성된 헤드부가 스크러빙 동작 및 공기 분사를 동시에 함으로써, 건성 귀지 및 지성 귀지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연령 등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구동부를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로 선택할 수 있어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다양한 정보를 장치 내부 및 온라인 네트워크 상에 저장하고, 이를 애플리케이션과 연계하여 저장된 자신의 사용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해 음성 및 문자 등의 방법으로 적당한 경고나 제안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헤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헤드부의 변형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에 의한 건성 귀지를 제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에 의한 지성 귀지를 제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의 중요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를 외이도용 드라이어로 전환시킨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채용되는 드라이 전용 헤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드라이 전용 헤드에서의 공기 방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마이크로 소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의 중요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스크러빙 헤드를 갖춘 헤드부를 세정할 수 있는 세정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자동 귀지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시적인 본 발명의 자동 귀지 제거 장치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귀지를 자동으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의 내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10)는 포켓부(100), 헤드부(200) 및 펌프(30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켓부(100)는 수거홀(111) 및 배출홀(1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켓부(100)는 사용자의 귓구멍에 접촉 지지되는 수거홀(111)을 갖는 접촉부재(110) 및 배출홀(121)을 갖는 귀지수용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포켓부(100)는, 접촉부재(110)와 본체부(400)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촉부재(110)는 수거홀(111) 및 수거홀(111)의 반대방향에 형성된 장착홀(112)을 갖을 수 있다.
접촉부재(110)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수거홀(111)에서 장착홀(112) 측을 향하여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접촉부재(110)는 원뿔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수거홀(111)은 귓구멍에 삽입되어 귓구멍 측 내부 벽면과 밀접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이어폰이 귓구멍에 삽입되는 정도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접촉부재(11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무재질은 예를 들어 일반고무, 합성고무, 연질고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의 귓구멍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수거홀(111)을 갖는 접촉부재(110)를 고무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귓구멍에 보다 밀착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귓구멍에 밀착된 수거홀(111)에 의해 외이도 벽면으로부터 제거된 귀지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장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귀지수용부재(120)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마련된 배출홀(121) 및 일단부가 개구된 개구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귀지수용부재(120)는 일단부가 개구된 개구부(122)를 갖고, 개구부(122)의 반대방향에는 배출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홀(121)은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배출홀(121)에는 메쉬 형태의 메쉬 부재(미도시)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출홀(121) 각각에 메쉬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귀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출홀(121)은 일 예로, 슬롯 형태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구조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개구부(122)는 접촉부재(110)의 장착홀(112)과 연결 장착되어, 사용자의 외이도 내벽에서 제거된 귀지가 수거홀(111)을 통과하여 귀지수용부재(12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귀지와 함께 유입된 공기는 배출홀(121)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장착홀(112)은 귀지수용부재(120)의 개구부(122)와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귀지수용부재(120)의 중앙 영역에는 삽입홀(도시 생략)이 형성될 수 있다.
귀지수용부재(120)의 중앙의 삽입홀(도시 생략)은 후술할 제 2 연결부재(220)에 삽입 장착되어, 귀지수용부재(120)가 제 2 연결부재(2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배출홀(121)은 귀지수용부재(120)의 중앙의 삽입홀(도시 생략)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떨어져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더하여, 제 1 연결부재(130)는 귀지수용부재(12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마련되며, 장착홀(112) 측과 연결되는 제 1 연결홀(131) 및 개구홀(401)과 연결 장착되는 제 2 연결홀(132)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헤드부(200)는 수거홀(1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하나 이상의 공기 분사홀(201)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헤드부(20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펌프(300)는 공기 분사홀(201)을 통해 외부로 공기를 유출시키도록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펌프(300)는 에어 펌프(Air Pump) 또는 에어 팬(Air Fan)일 수 있다.
펌프(300)는 본체부(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펌프의 일부 영역은 포켓부(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헤드부(200)는 연질 또는 경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10)는 포켓부(100)와 연결 장착되는 본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400)는 일측에 마련된 개구홀(401) 및 개구홀(401)과 연결된 소정 공간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10)는 헤드부(200)를 회전시키기 위해 마련된 모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500)는 일 예로, 스텝모터(스테핑모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터(500)는 헤드부(200)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다. 그에 따라, 헤드부(200)는 모터(50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즉, 모터(500)가 작동되면 헤드부(200)는 외이도 벽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회전하며 외이도 벽면과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헤드부(200)는 외이도 벽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360도 회전할 수 있으며, 스크러빙 헤드(210)에 의해 외이도 내부 벽면 전체에 부착된 귀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모터(500)는 기 설정된 기준 각도 간격으로 헤드부(20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500)는 본체부(400) 내부에 배치되어 펌프(30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모터(500)는 펌프(300)와 모터(500)를 연결하도록 마련된 커넥터(5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커넥터(510)의 일측은 펌프(300)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결합 장착되는 제 1 결합부 및 타측은 모터(500)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결합 장착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귀지 제거 장치(10)는 헤드부(200)를 전진 및 후진시키도록 마련된 구동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600)는 리니어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리니어 가이드는 전동식 이송 장치로써, 구동부(600)를 구동시키면 기 설정된 속도로 전진 및 후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전진 또는 후진은 반복하여 진행될 수 있다.
구동부(600)는 헤드부(200)와 연결되어, 헤드부(200)를 사용자의 외이도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부(600)는 모터(500)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즉, 구동부(600)의 구동에 의해 기 설정된 속도로 모터(5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부(200)는 펌프(300)와 연결되고, 펌프(300)는 커넥터(510)에 의해 모터(500)와 연결되며, 모터(500)는 구동부(600)와 연결되어 구동부(600)의 구동에 의해 모터(500), 펌프(300) 및 헤드부(200)가 전진 또는 후진하며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510)에 의해 모터(500), 펌프(300) 및 헤드부(200)가 일체화되어 구동부(600) 즉, 리니어 가이드에 의해 기 설정된 속도로 동시에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모터(50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은 커넥터(510)에 의해 펌프(300)를 회전시키며, 이에 의해 펌프(300)와 연결된 헤드부(20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동부(600)에 의해 헤드부(200)는 사용자의 외이도 내부로 이동할 수 있는데, 이 때 외이도 내부로 이동되는 깊이는 대략 15 내지 20mm 정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헤드부(200)는 설정된 속도에 따라 일정하게 사용자의 외이도 내부로 진입하며, 스크러빙 동작은 귀구멍의 입구에서부터 시작되어 외이도 내부 일정 깊이 사이를 왕복하며 지속적으로 귀지 제거가 수행될 수 있다.
특히, 헤드부(200)의 진입 깊이는 대략 15 내지 20mm로 한정 함으로써, 외이도 바깥 부분으로 밀려나온 귀지만을 제거하므로 외이도 안쪽에 형성된 귀지의 생리학적 순기능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작은 힘과 동작의 조절이 어려운 고령자 및 장애인 등 또는 피부자극에 민감한 사용자의 경우, 헤드부(200)가 피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빠르게 움직일 경우 큰 통증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600)에 의해 자동으로 헤드부(200)가 외이도 내부에서 전진 및 후진 속도를 느리면서 일정하게 조절하므로 사용자가 큰 불편을 느끼지 않으며 자동으로 사용자의 귀지가 제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부(400)의 내부에는 펌프(300), 모터(500) 및 구동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7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10)는 사용자의 장치 사용 정보를 저장 및 인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사용자 인식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식부(800)는 지문인식 장치(지문인식 센서)일 수 있으며, 본체부(400)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인식부(800)는 사용자가 장치(10)를 파지하는 경우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닿는 위치에 배치하여 미리 등록된 사용자, 또는 사용시 사용자 자동 등록 등을 통해 사용자의 장치 사용횟수, 사용 시간 등 사용자의 다양한 정보를 장치 내부에 저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는 와이파이 등의 무선 전송장치를 통해 온라인 네트워크 상에 저장되도록 마련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온라인 네트워크 상에 저장된 자신의 사용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해 음성 및 문자 등의 방법으로 적당한 경고나 제안을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내부에 별도의 저장장치와 정보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음성정보로 사용자에게 경고나 권고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장치 사용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 대한 경고 및 권고 방법은 이구전색이 자주 발생되는 사용자에 대해 이구전색 방지를 목적으로 한 관리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이구전색 발생이 잦은 사용자의 경우, 주기적으로 장치 사용을 독려하기 위한 알림 기능을 갖는 알림부가 장치에 추가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식부(800)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및 자동 귀지 제거 장치(10) 내에 구비된 복수의 장치를 통해 음성정보 및 문자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적당한 알람과 권고를 주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체부(400)의 외측면에는 장치(10)를 작동하기 위한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되어, 스위치의 온/오프 조작에 따라 장치(10)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장치(10)의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부(미도시)가 본체부(400)의 외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헤드부(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헤드부(200)는 공기 분사홀(201)을 갖고, 외이도 벽면과 접촉하도록 구부러지게 형성된 스크러빙 헤드(21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러빙 헤드(210)는 헤드부(200)의 일측 끝부에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외이도 벽면을 접촉 및 스크러빙(Scrubbing)하여 사용자의 귀지를 외이도 벽면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헤드부(200)는 공기 분사홀(201)과 연결된 공기 통로를 갖는 유로부재(203)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부재(203)는 스크러빙 헤드(210)가 외이도 내부에 소정 깊이만큼 삽입되어 귀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로부재(203)의 일측은 펌프(300)와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에 따라, 펌프(30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유로부재(203)의 공기 통로를 통과하여 공기 분사홀(201)을 통해 외이도 내부로 유출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부(200)는 펌프(300)와 유로부재(203)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재(22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 2 연결부재(220)는 소정 길이를 갖고, 펌프(300)에서 공급된 공기가 유로부재(203)로 유동되도록 내부에 유동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크러빙 헤드(210)의 구부러진 끝부(즉,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분사홀(201)이 형성된 부분)에는 외이도 벽면을 긁을 수도 있고 왁스 형태의 귀지를 파내는데 적합한 스푼(spoon) 형태의 팁(tip)(250)이 돌출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200)는 건성 귀지 및 지성 귀지를 모두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데, 특히 스크러빙 헤드(210)의 팁(250)은 왁스 형태의 지성 귀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파내거나 떠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귀 바깥쪽을 바라보는 곡면(curved surface)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팁(250)은 다수의 모서리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200)가 외이도 내부로 진입할 때 스크러빙 헤드(210)의 팁(250)이 귀지를 밀어 넣지 않도록 하기 위해 팁(250)의 단면적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팁(250)의 곡면의 너비(D)는 팁(250)의 단면 폭(d) 대비 필요 이상 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팁(250)의 곡면의 너비(D)는 공기 분사홀(201)이 형성된 부위의 단면 폭(d)과 대비하여 대략 130% 내외가 바람직하다(D/d = 130% 정도).
도 3에서, 미설명 부호 250a는 스크러빙 헤드(210)의 끝부에 돌출형성된 팁(250)의 형성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날개이다.
스크러빙 헤드(210)가 외이도 내부로 진입하고 나서 소정 각도로 왼쪽(또는 오른쪽)으로 회전한 후에 외이도의 바깥으로 빠져나올때 팁(250)이 귀지를 파내거나 떠 내어 나오는데, 날개(250a)도 추가적으로 주변의 귀지를 파내거나 떠 내어 나올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헤드부(200)의 변형예이다.
도 4의 헤드부(200)는 도 3의 헤드부(200)와 비교하여 날개(250a)가 없을 뿐만 아니라 팁(250)의 형상에서 다소 차이나다. 여기서, 형상의 경우, 도 3의 헤드부(200)의 팁(250)의 끝부는 꼭지점을 갖도록 각이 진 형상인데 반해, 도 4의 헤드부(200)의 팁(250)의 끝부는 라운드가 진 형상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도 4의 헤드부(200)에는 날개(250a)가 없는 것으로 하였지만, 도 4의 헤드부(200)의 팁(250)에도 도 3에서와 같은 날개(250a)가 형성된 것으로 하여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 3 및 도 4의 헤드부(200)는 수거홀(1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접촉부재(110)와 제1 연결부재(120)를 관통하도록 포켓부(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수거홀(111)의 단면적은 헤드부(200)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헤드부(200)는 수거홀(111)의 가장자리와 소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됨으로써, 소정 간격에 의해 형성된 소정 영역을 통해 귀지가 수거홀(111)을 통과하여 귀지수용부재(120)로 유입될 수 있다.
특히, 스크러빙 헤드(210)와 유로부재(203)는 연질 또는 경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질 및 경질의 소재는 대략 경도 Shore A 30 내지 90 정도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헤드부(200)는 외이도 내벽, 즉 피부표면과의 접촉력을 일정하게 소정의 크기로 제어하도록, 대략 경도 Shore A 30 내지 90 정도를 갖는 연질 또는 경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외이도 벽면 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된 유로부재(203)는 탄성 복원력이 있는 연질 또는 경질의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유로부재(203)와 연결된 스크러빙 헤드(210)가 외이도 벽면과 접촉 시, 사용자의 외이도 크기에 따라 유로부재(320)가 펴지게 되고 이 때 유로부재(203)의 굽힘 강성(bending stiffness)에 의해 탄성 에너지가 축적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에너지는 외이도 벽면과 접촉하는 스크러빙 헤드(210)를 통해 탄성 접촉력의 형태로 외이도 벽면에 가해지게 된다.
즉, 유로부재(203)는 소정의 강성(stiffness)을 갖는 연질 또는 경질의 소재를 이용하여, 외이도 벽면 측으로 소정 각도 휘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스크러빙 헤드(210)가 외이도 벽면에 쉽게 접촉할 수 있게 되며, 유로부재(203)가 사용자의 힘에 의해 완전히 펴졌을 때에도 외이도 벽면에 가해지는 탄성 접촉력을 소정 값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유로부재(203)가 사용자의 힘과 외이도 벽면에 의해 완전히 펴지는 경우, 외이도 벽면에 가해지는 탄성 접촉력은 최대값이 되므로, 탄성 접촉력의 최대 값은 소정 값 이하로 제한되기 때문에, 외이도 벽면의 스크러빙(Scrubbing)에 의한 물리적인 자극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연질 및 경질의 소재는 일 예로,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 열가소성 고무(Thermoplastic Rubber,TPR),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PVC)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PU)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헤드부(200)는 모터(500)에 의해 기 설정된 기준 각도 간격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할 수 있는데, 기설정된 기준 각도 각각은 하나의 스텝이 되고, 하나의 스텝 회전 내에서 복수 번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며 회전할 수 있다.
즉, 헤드부(200)는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하나의 스텝 회전 내에서 복수 번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며 360도 정회전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하나의 스텝 회전 내에서 복수 번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며 360도 역회전을 완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된 기준 각도가 5°(도)인 경우, 5°(도) 회전을 1스텝(Step)으로 하여, 360°(도)를 72스텝으로 나누어 회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스텝 회전 내에서 복수 번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며 회전할 수 있다.
즉, 외이도 내부 원주를 72구역으로 나누어 각각 5°(도)각도를 갖는 부채꼴 원주 내에서 정회전과 역회전이 반복 수행될 수 있으며, 특히 정회전과 역회전은 5회 내외로 반복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정회전과 역회전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72개의 부채꼴 원주에 대한 정회전이 완료되면, 역회전 방향으로 72개의 부채꼴 원주 내에서 정회전과 역회전이 5회내외로 반복 수행하여 역회전이 완료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러빙 헤드(210)는 외이도 벽면 둘레방향을 따라 360도 정회전 및 역회전하며 외이도 벽면을 스크러빙(scrubbing)함으로써, 외이도 내벽에 단단히 부착된 지성 귀지의 점착력(Adhesion)과 건성 귀지의 고착력(Interlocking)을 약화시킨다.
이 때, 공기 분사홀(201)을 통해 외이도 벽면으로 공기를 유출시킴으로써, 귀지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공기 분사홀(201)을 통해 공기압을 가하여 외이도 벽면에 부착된 귀지를 제거하는 경우, 외이도 피부 표면에 물리적인 자극을 최소화 하면서 귀지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외이도 피부 표면에 단단히 붙어있는 귀지의 경우, 공기압만을 가하여 귀지를 완전히 제거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래서, 탭(250)이 돌출형성된 스크러빙 헤드(210)를 이용하여 외이도 내부 벽면 전체 면적을 촘촘히 스크러빙함과 동시에 공기 분사홀(201)을 통해 공기압을 가하여 줌으로써, 귀지를 보다 쉽고 빠르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건성 귀지는, 기계적 압력에 대해 쉽게 부서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스크러빙 동작만으로도 쉽게 외이도 표면에서 떨어질 수 있고, 공기분사압력에 의해 쉽게 포켓부(100)로 배출될 수 있다.
상술한 지성 귀지는, 본 발명의 공기 분사홀(201)을 통해 토출된 공기에 의해 지성 귀지의 속건조를 유발시켜 피부에 붙어있는 귀지의 경계선을 따라 표면장력을 발생시켜 귀지가 피부로부터 쉽게 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지성 귀지는 분사된 공기에 의해 피부로부터 쉽게 분리되며 동시에 건조과정을 통해 건성 귀지와 유사한 성질로 바뀌면서 스크러빙 동작에 의해 쉽게 부스러질 수 있게 된다.
즉, 헤드부(200)가 스크러빙 동작 및 공기 분사를 동시에 함으로써, 건성 귀지 및 지성 귀지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부(200)의 스크러빙 동작은, 제한된 접촉력에 의한 최소한의 물리력을 이용하여 귀지를 외이도 피부 표면에서 분리하여 외이도 외부로 배출시켜 포켓부(100)에 포집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3 및 도 4의 헤드부(20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이도 벽면과 접촉하도록 외이도 벽면 측으로 구부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헤드부(200)의 스크러빙 헤드(210)가 외이도 벽면과 접촉하도록 유로부재(203)가 외이도 벽면 측으로 구부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수거홀(111)측이 사용자의 귀 부분에 접촉되면 공기 분사홀(201)로부터 유출된 공기는 탭(250)에 부딪혀(막혀) 사용자의 외이도 내벽을 유동하며 수거홀(111)을 통과하여 배출홀(121)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기 분사홀(201)에서 토출된 공기는 사용자의 귀지와 함께 수거홀(111)을 통과하여 장착홀(112)에 연결된 귀지수용부재(120)의 개구부(122)에게로 유입되고, 귀지는 귀지수용부재(120)에 저장되며 공기는 배출홀(121)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특히, 공기 분사홀(201)은 헤드부(200)의 길이방향으로의 가상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중심축선과 대략 45도 내지 90도 범위내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러빙 헤드의 팁은, 상기 공기 분사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상의 중심 축선을 기준으로 중심 축선과 90도 내지 150도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 분사홀(201)을 형성하고, 공기분사홀의 외측으로 팁을 돌출 형성함으로써, 공기 분사홀(201)을 통해 유출되는 공기가 팁에 부딪혀 외이도 내벽을 유동하여 수거홀(111) 측으로 유동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외이도 벽면에 붙어있는 귀지는, 공기 분사홀(201)을 통해 토출된 공기압력을 이용하여 귓구멍 바깥 방향(수거홀 측)으로 밀어냄으로써, 귀지를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생성되는 공기압력은 대략 7 내지 14kPa 또는 9 내지 11kPa 또는 10kPa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스푼 형태의 탭(250)을 스크러빙 헤드(210)의 끝부에 형성시킴으로써 귓구멍 바깥 방향(수거홀 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어서, 고막으로 직접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막에 가해질 수 있는 공기압력에 의해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불편감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공기를 토출시킴으로써, 세안 및 목욕시 사용자의 귓속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귓속 바깥으로 제거하고, 증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10)에는 외이도 벽면 측으로 수분을 미량 분사하여 수분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수분공급장치(미도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분공급장치에 의해 수분이 공급되면, 건성 귀지의 경우 공급된 수분에 의해 귀지의 고착력을 약화시켜 귀지 제거 시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스크러빙 헤드(210)의 스크러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분은 생리 식염수, 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에 의한 건성 귀지를 제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건성 귀지는 외이도 피부 표면에 붙어 있거나, 피부에서 떨어져 나온 경우 외이도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피부 표면에 붙어 있는 건성 귀지의 경우 물리적으로 문질러(scrubbing) 외이도 표면에서 떨어뜨려야 하며, 외이도 표면에서 떨어져 나온 경우는 저압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귀 바깥쪽으로 불어서(blowing) 제거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는 스크러빙 헤드(210)를 소정의 내각(δ)을 갖는 유닛 섹터(unit sector; 단위 호)내에서 정회전 및 역회전을 수 차례 반복시키는 방법으로 물리적인 문지르기를 통해 건성 귀지를 외이도 벽면에서 떨어트린다. 이와 함께 블로윙(blowing)을 동시에 수행하여 외이도 표면에서 떨어져 나온 귀지를 외이도와 연결된 장치 내부로 불어서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이때, 스크러빙 헤드(210)는 건성 귀지가 형성되어 있는 외이도의 가장 바깥쪽(귀 바깥쪽) 원주(circumference)부터 진입하여 제거를 하게 된다.
외이도의 원주(circumference)는 소정의 내각(δ) 단위로 분할될 수 있으므로, 모든 유닛 섹터에 대해 스크러빙 헤드(210)가 순차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하여 외이도내의 건성 귀지를 제거한다.
하나의 원주(circumference) 전체의 귀지(예컨대, 건성 귀지)가 제거되면 스크러빙 헤드(210)를 외이도 안쪽으로 단위 깊이(unit depth)만큼 진입시켜 팁(250)을 이용하여 또 다른 원주의 건성 귀지를 동일한 방법으로 제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외이도 전체 원주에 적용하였을 경우, 대략 15 mm 내외 깊이의 외이도 전체(원통으로 가정하여 도시: ear canal cylinder) 표면의 건성 귀지를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건성 귀지 제거 동작에 대해 다시 한번 부연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의 모션은 크게 두 가지의 파라미터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첫 번째 파라미터는 유닛 섹터(Unit sector)의 각도(δ)이고, 두 번째 파라미터는 유닛 섹터(Unit sector)의 각도에 따라 스크러빙 헤드(210)가 외이도 벽면을 스크러빙하는 스크러빙 속도이다.
여기서, 유닛 섹터(Unit sector)의 각도(δ)는 대략 5°~ 20°범위일 수 있다.
유닛 섹터의 각도가 5°보다 작게 되면 외이도 벽면을 스크러빙하는데 소요시간이 증가되어 효율적으로 귀지를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유닛 섹터의 각도가 20°보다 크게 되면 외이도 벽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커져 외이도 벽면에 예상치 못한 피부자극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스크러빙 속도는 대략 5 mm/s 내지 50 mm/s 정도일 수 있다. 스크러빙 속도가 5 mm/s 보다 작게 되면 외이도 벽면을 스크러빙하는데 소요시간이 증가되어 효율적으로 귀지를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스크러빙 속도가 50 mm/s 보다 크게 되면 외이도 벽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커져 외이도 벽면에 예상치 못한 피부자극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 예를 든 것이고, 이 둘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한 스크러빙 헤드(210)의 물리적인 조건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에 의한 지성 귀지를 제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동작 방법은, 구동부와 회전 제어 모터 및 공기 펌프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크러빙 헤드(210)의 전진, 회전 및 후진이 제어되고, 외이도 내부로 진입한 후 회전 및 후진시켜 외이도 벽면을 긁어서 왁스 형태의 귀지를 파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러빙 헤드를, 상기 구동부의 전후진, 상기 회전제어 모터의 회전 제어에 의거하여, 미리 설정된 1단계 깊이로 외이도 내부로 진입시키는 전진 단계; 상기 1단계 깊이로 전진후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팁의 선단부가 가상의 제1트랙의 외이도 내벽에 접촉시키는 회전단계; 상기 회전에 의해 팁의 선단부가 외이도 내벽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포켓부 내부까지 후진시켜 가상의 제1트랙의 내벽 귀지를 긁어서 제거하는 후진단계; 상기 귀지가 제거된 가상의 트랙을 통해 진입, 회전 및 후진을 반복 수행하여 1단계 깊이의 외이도 내벽의 360도에 대응 가상의 트랙에 대한 귀지를 제거하는 제1깊이 귀지 제거단계; 상기 제1깊이 귀지 제거가 완료되면, 미리 설정된 제2깊이까지 진입후 상기 전진, 회전, 후진을 반복하여 제2깊이 까지의 귀지를 제거하고, 미리 설정된 깊이까지 상기 단계를 반복하여 귀지를 제거하는 단계;로 귀지 제거 동작을 자동 제어함으로서 지성 귀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지성(물성) 귀지는 외이도 벽면의 귀지샘으로부터의 분비량이 상대적으로 많아 그것이 마르기 전에 누적되어 물성의 성질을 띄며 외이도 공간에 넓고 두껍게 쌓여 형성된다.
따라서, 물리적인 문지르기보다는 쌓여 있는 귀지를 외이도 바깥쪽부터 조금씩 파내거나 떠내는 방법으로 제거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지성 귀지는 건성 귀지와는 다르게 외이도 구멍 전체를 막는 형태로 쌓이기 때문에 스크러빙 헤드(210)를 외이도로 진입시킬 때 스크러빙 헤드(210)의 팁(250)이 귀지를 안 쪽으로 밀어 넣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첫 번째(처음)에 스크러빙 헤드(210)를 외이도 내로 진입시킬 경우 도 7에서와 같이 "0(zero)번째 트랙"(0st track)을 통해 외이도 외부로부터 단위 깊이(예컨대, 대략 5 mm 정도) 만큼만 진입시킨 후 내각(δ)만큼 오른쪽(또는 왼쪽)으로 회전을 하도록 하여 "1번째 트랙"(1st track)으로 이동한 후 1번째 트랙을 통해 외이도 바깥으로 스크러빙 헤드(210)를 이동시킴으로써 팁(250)을 통해 1번째 트랙의 귀지를 제거한다. 실제로 자동 귀지 제거 장치를 사용할 때마다 항상 "0(zero)번째 트랙"(0st track)으로 스크러빙 헤드(210)를 진입시킬 수 없으므로, 제일 처음으로 진입된 트랙이 "0(zero)번째 트랙"인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즉, "0(zero)번째 트랙"의 위치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가변적인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이어, 두 번째에 스크러빙 헤드(210)를 외이도로 진입시킬 때에는 이미 한 번 제거를 했던 1번째 트랙으로 동일한 깊이만큼 진입하여 그 다음 트랙인 2번째 트랙으로 회전하여 진입한다. 2번째 트랙으로 진입 후에는 스크러빙 헤드(210)를 외이도 바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팁(250)을 통해 2번째 트랙의 귀지를 제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2번째 트랙을 진입할 때에는 기존에 1회 제거로 귀지가 상당부분 제거된 1번째 트랙을 통해 동일한 깊이만큼만 진입하므로 2번째 트랙의 귀지를 안쪽으로 밀지 않고 진입할 수 있는 큰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반복하게 되면 하나의 원주(circumference)(즉, 소정의 단위 깊이만큼 진입한 위치의 원주)의 모든 트랙의 지성 귀지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장 바깥쪽 첫 번째 외이도 원주의 모든 트랙의 지성 귀지를 제거한 후에는 단위 깊이만큼 진입 깊이를 증가시켜 두 번째 원주의 모든 트랙의 지성 귀지를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외이도 원통 전체에 순차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지성 귀지의 안쪽 방향 밀림을 최소화하면서 지성 귀지를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도 7의 설명에서 언급한 5mm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헤드부(특히, 스크러빙 헤드(210))는 다수의 트랙으로 구획되는 외이도의 벽면에 대해 다수의 트랙중에서 어느 한 트랙을 통해 기설정된 단위 깊이만큼 진입하여 일정 각도(δ) 회전에 의해 인접한 트랙으로 이동한 후에 해당 인접한 트랙을 통해 외이도의 바깥으로 후퇴하는 귀지 제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귀지 제거 동작시, 헤드부(특히, 스크러빙 헤드(210))는 첫번째 진입에서는 다수의 트랙중에서 어느 한 트랙을 통해 기설정된 단위 깊이만큼 진입하여 인접한 트랙으로 회전한 후에 해당 인접한 트랙을 통해 외이도의 바깥으로 후퇴하고, 두번째 진입에서 마지막 진입까지는 선행에 후퇴하였던 트랙으로 동일 깊이만큼 진입하여 인접한 트랙으로 회전한 후에 해당 인접한 트랙을 통해 외이도의 바깥으로 후퇴할 수 있다.
한편, 헤드부(특히, 스크러빙 헤드(210))는 상술한 귀지 제거 동작을, 진입된 현재의 깊이에서의 모든 트랙 및 단위 깊이만큼씩의 후속적인 진입에 따른 후속의 깊이에서의 모든 트랙에서 반복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의 중요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자동 귀지 제거 장치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 귀지 제거 장치와 비교하여 볼 때, 브러시(brush)(252)를 추가로 채용하였다는 점에서 차이날 뿐 여타의 구성요소는 대동소이하다.
브러시(252)는 스크러빙 헤드(210)(특히, 팁(250))에 붙어 있는 지성 귀지를 닦아낼 때 사용될 수 있다.
도 8에 따르면, 원반 형태의 결합부(251)가 포켓부(100)와의 결합을 위해 제 2 연결부재(220)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 연결부재(220)는 결합부(251)의 중앙을 관통한다.
브러시(252)는 결합부(251)의 일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브러시(252)는 포켓부(100)와 결합부(251)가 상호 결합되었다고 가정하였을 경우 결합부(251)의 일면에서 포켓부(100)의 수거홀(111)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만약, 제 2 연결부재(220)와 결합부(251)가 압입방식으로 서로 결합된 형태라면 제 2 연결부재(220)의 회전과 함께 결합부(251)가 회전되어 브러시(252)도 회전하게 될 것이다. 한편, 제 2 연결부재(220)가 회전하더라도 결합부(251)는 회전하지 않도록 제 2 연결부재(220)와 결합부(251)가 결합된 형태라면 제 2 연결부재(220)가 회전하더라도 브러시(252)는 회전하지 않을 것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결합부(251)가 본체부(40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포켓부(100)가 결합부(251)에 결합되면 브러시(252)는 포켓부(100)에 수납되어 있는 것처럼 보여진다.
그리고, 포켓부(100)와 결합부(251)는 끼움결합 방식 또는 자기력에 의한 결합 방식을 통해 상호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력에 의한 결합 방식의 경우, 예를 들어 포켓부(100)의 일측(즉, 결합부(251)와 결합될 수 있는 측) 끝단의 내주면에는 소정 폭의 금속이 설치되고, 결합부(251)의 일측(즉, 포켓부(100)와 결합될 수 있는 측) 끝단의 외주면에는 소정 폭의 자석띠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금속 및 자석띠의 설치 위치는 바뀌어도 무방하다.
스크러빙 헤드(210)를 외이도의 내부로 진입시키면 스크러빙 헤드(210)의 팁(250)이 지성(물성) 귀지를 뜬 채로 포켓부(100)의 내부로 돌아온다.
이때, 팁(250)에 붙어 있는 지성 귀지를 포켓부(100)의 내부에서 닦아서 제거하고 외이도의 내부로 다시 진입하는 것을 수 차례 반복하여 외이도 내부의 지성 귀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브러시(252)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경우에는 지성 귀지가 팁(250)의 면을 브러시(252)의 끝 단에 접촉시켜 팁(250)의 회전운동 (rotation motion)을 만들어 팁(250)의 지성 귀지를 매우 효과적이면서도 신속하게 닦아 낼 수 있다.
이에 의해,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팁(250)에 붙어 있는 지성 귀지를 포켓부(100)의 내부에서 브러시(252)를 통해 효과적으로 닦아서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끈적끈적한 점착력이 비교적 큰 지성 귀지를 매우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디바이스의 성능, 특히 제거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를 외이도용 드라이어로 전환시킨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채용되는 드라이 전용 헤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드라이 전용 헤드에서의 공기 방향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마이크로 소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를 이용하면 도 9의 외이도용 드라이어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를 통해 외이도 내부의 귀지를 제거한 이후에는 사용하였던 스크러빙 헤드(210)를 탈거한 후에 드라이 전용 헤드(260)를 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드라이 전용 헤드(260)는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보다 빠르게 외이도 표면 전체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몸통부(254)에는 가로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장홀 형태의 다수의 공기 분사 개구부(261)가 형성된다.
또한, 드라이 전용 헤드(260)에는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 주입구(263)가 형성되어, 공기 주입구(263)에게로 주입된 공기는 공기 분사 개구부(261)에게로 보내진다. 예를 들어, 드라이 전용 헤드(260)의 몸통부(264)의 일측에는 공기 주입구(263)가 형성되는데, 공기 주입구(263)는 다수의 공기 분사 개구부(261)와 연결된다.
이러한 다수의 공기 분사 개구부(261)에 의해, 단위 시간 당 공기가 분사되는 면적이 귀지 제거용 스크러빙 헤드(210) 보다 넓기 때문에 건조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드라이 전용 헤드(260)의 앞단(예컨대, 몸통부(264)의 타측)에는 유선형의 가이드(262)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262)의 길이는 대략 7mm 정도로서, 외이도의 평균 크기에 준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262)는 도 11에서와 같이 공기 분사 개구부(261)를 통해 분사된 공기가 귀 고막 쪽을 향하지 않고 외이도 벽면과 귀 바깥쪽을 향하도록 공기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262)는 귀 고막쪽을 향하는 부위는 볼록하고 귀 바깥쪽을 향하는 부위는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불편감을 크게 낮추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더해 따뜻한 공기를 분사할 경우 드라이 시간을 더욱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국내의 경우 매년 약 200만 명 정도의 외이도염 환자가 발생하고, 모든 연령대에서 골고루 발병하며 매달 거의 유사한 환자수가 발생하나 특히 여름철에 다소 증가한다(국민건강보험공단).
미국의 경우도 매년 모든 인구의 약 10% 정도가 외이도염에 감염되며, 발병 원인은 수영 및 샤워 이후 외이도 내 물기와 수분 방치가 원인이다. 또한, 금속 귀이개 등의 사용으로 외이도 피부에 경미한 손상 및 염증이 발생한다. 여름철 높은 습도로 인해 세균 증식이 발생된 면봉 사용 등은 감염률을 높인다.
미국 및 국내 이비인후과에서는 수영 및 샤워 후 헤어드라이어 등을 사용하여 귓속을 충분히 말려줄 것을 권장하고 있으나, 현재는 헤어드라이어 등을 따로 구비하여 말려야 하며, 헤어드라이어가 클 경우 휴대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외이도용 드라이어는 공기펌프(253)의 저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외이도를 직접 드라이할 수 있는 마이크로 드라이어 기능을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 히터(255)를 내장하여 겨울철에 따뜻한 공기를 불어 사용하기 편안하도록 한다.
도 9에 도시된 스크러빙 헤드(210)가 드라이 전용 헤드(260)로 교체된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면, 공기펌프(253)에서의 공기는 마이크로 소음기(254) 및 마이크로 히터(255)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따뜻한 공기로 되어 드라이 전용 헤드(260)에게로 가해질 수 있다.
열손실을 최소화 하기 위해, 마이크로 소음기(254)의 출구 유로에 마이크로 히터(255)를 위치하여 드라이 전용 헤드(260)의 공기 분사 개구부(261)에게로 따뜻한 공기가 바로 가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마이크로 히터(255)에 가해지는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하여 공기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공기펌프(253)의 작동 전압 및 전류를 제어하므로 공기 압력과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공기펌프(253)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공기펌프(253) 대신에 펌프(300)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초소형 공기펌프의 경우 압력 형성의 효율성 측면에서 다이어프레임 방식의 공기펌프(253)를 사용하는데, 이 경우 압축공기에 의한 공력 소음이 발생한다. 이러한 소음의 수준은 약 50 dB 내외로 조용한 사무실 소음 정도이다.
그러나, 이러한 소리도 귀 가까이 가져가면 그 크기가 현저히 크게 느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외이도용 드라이어는 마이크로 소음기(muffler)(254)를 포함하여, 공력 소음을 약 10% 정도 감소시킴으로써 45 dB 수준으로 크게 거슬리지 않을 정도로 소음의 강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즉, 공기펌프(253)와 마이크로 히터(255) 사이에는 마이크로 소음기(254)가 설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 소음기(254)는 도 1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다공성 파이프(254b)를 소음기(254)의 본체(254a) 내부에 구비한다.
마이크로 소음기(254)의 본체(254a) 내부에는 다공성 파이프(254b)와 본체 벽면 사이의 공간이 존재하며, 이 공간에는 흡음제(도시 생략)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면, 솜 등의 다양한 직물을 재료로 하는 파이프 형상의 흡음제(도시 생략)를 다공성 파이프(254b)에 끼워 소음기 본체(254a)에 삽입하는 형태로 마이크로 소음기(254)를 제작할 수 있다.
마이크로 소음기(254)의 입구로 압축공기가 인가되면 소음기를 통과한 압축공기의 충격 음압은 흡음제로 개방된 다공성 파이프(254b)의 다수의 공기구멍을 통해 흡음제로 흡수 및 소산되므로, 소음의 감쇠가 발생되며 공기의 흐름은 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의 중요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는 헤어 살롱 등 공공 장소에 비치하여 사용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와 비교하여 볼 때, 스크러빙 헤드(280)를 일회용으로 하고, 포켓부(100)를 일회용으로 한다는 점에서 차이날 뿐 여타의 구성요소는 대동소이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는 헤어 살롱 등 공공 장소에 비치되므로, 스크러빙 헤드(280) 및 포켓부(100)는 일회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3에 따르면, 일회용의 스크러빙 헤드(280)는 헤드 착탈 로드(28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포켓부(100)의 일측부(즉, 외이도와 접촉하는 부위)에는 연질의 접촉부(270)가 형성될 수 있다.
일회용의 포켓부(100) 및 스크러빙 헤드(280)는 각각 종이를 압축 성형하여 제작될 수 있다. 종이의 압축 성형(paper mold)시 종이의 밀도 및 경도, 표면 거칠기, 흡수성 등을 조절하여 보다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다변화 하여 제품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공 장소에 비치된 제품을 개인이 위생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COVID-19 등에 대한 개인 방역이 가능하고 일회용 제품에 대한 친환경적 생산이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스크러빙 헤드를 갖춘 헤드부를 세정할 수 있는 세정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의 세정 장치(290)는 충전 크레들 내부에 헤드부(200)를 꽂아 초음파를 이용한 소독 등의 세정이 가능하다. 물론, 스크러빙 헤드가 헤드부(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면 스크러빙 헤드만을 꽂을 수도 있다.
충전 크레들 내부에는 세정액을 넣어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세정용기(공간)가 있으며, 충전 크레들에는 귀지 찌꺼기 등이 묻어 있을 수 있는 헤드부(200)의 끝 부분(예컨대, 팁(250)이 형성된 스크러빙 헤드)이 세정액 속에 잠기도록 거치할 수 있는 개구부(291)가 형성된다.
충전 크레들 내부에 초음파 진동자 등을 두어 세정용기에 연결하고, 세정액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여 헤드부(200)가 세정되도록 한다.
한편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 실시예의 자동 귀지 제거 장치에는 팁(250)이 외이도 내부로 진입할 경우 적외선 및 초음파 등으로 귀 고막과 팁(250)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너무 가까우면 더 이상 진입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부가 기능으로 체온 측정을 할 수 있도록 포켓부(100)를 제거하고 적외선 체온 측정 모듈을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자동 귀지 제거 장치 100: 포켓부
200: 헤드부 210, 280 : 스크러빙 헤드
250 : 팁 252 : 브러시
253 : 공기펌프 254 : 마이크로 소음기
255 : 마이크로 히터 260 : 드라이 전용 헤드
290 : 세정 장치 300: 펌프
400: 본체부 500: 모터
600: 구동부 700: 배터리
800: 사용자 인식부

Claims (4)

  1. 스크러빙 헤드를 포함하는 헤드부를 전후진 및 회전 제어하여 귀지를 제거하는 자동 귀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외이도 입구 부분에 밀착 삽입되는 선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헤드부가 자유롭게 통과됨과 아울러 귀지를 통과시키는 수거홀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를 여유롭게 감싸고서 수거홀을 통과한 귀지를 일시 보관하도록 이루어져 후단부가 자동 귀지 제거장치의 몸체부에 결합되는 포켓부와;
    상기 포켓부의 후단부 내부에 수납 설치되어 헤드부를 자유롭게 통과시키고, 후진된 상기 스크러빙 헤드의 회전에 의해 이물질을 털어내도록 구성되는 브러시를 더 포함하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상기 포켓부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의 일면에 설치되되, 상기 포켓부와 상기 결합부가 상호 결합되었을 경우 상기 결합부의 일면에서 상기 포켓부의 수거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자동 귀지 제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와 상기 결합부는 자기력에 의한 결합방식으로 상호 결합 및 분리되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브러시가 형성된 일면 외주면이 상기 포켓부의 후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브러쉬가 형성되지 않은 타면의 외주면이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
KR1020200166812A 2020-12-02 2020-12-02 헤드 청소를 위한 브러시를 구비한 자동 귀지 제거 장치 KR202200776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812A KR20220077660A (ko) 2020-12-02 2020-12-02 헤드 청소를 위한 브러시를 구비한 자동 귀지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812A KR20220077660A (ko) 2020-12-02 2020-12-02 헤드 청소를 위한 브러시를 구비한 자동 귀지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660A true KR20220077660A (ko) 2022-06-09

Family

ID=81985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812A KR20220077660A (ko) 2020-12-02 2020-12-02 헤드 청소를 위한 브러시를 구비한 자동 귀지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766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8318A (ko) 2016-06-07 2017-12-15 한승태 귓속 청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8318A (ko) 2016-06-07 2017-12-15 한승태 귓속 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01828A1 (en) Ear hygiene device
US11324636B2 (en) Automatic cerumen removing device
KR20220077660A (ko) 헤드 청소를 위한 브러시를 구비한 자동 귀지 제거 장치
KR20220077658A (ko) 지성 귀지를 긁어내어 제거하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20077650A (ko) 지성 귀지 제거용 스크러빙 헤드를 구비한 자동 귀지 제거 장치
KR20220077649A (ko) 자동 귀지 제거 장치
KR20220077664A (ko) 외이도 건조용으로 사용 가능한 드라이 전용 헤드를 구비한 자동 귀지 제거 장치
CN204501224U (zh) 一种用于耳科的上药治疗装置
US9526659B2 (en) H2O cilia head swab
KR20230041237A (ko) 귀지 제거 장치
US20240000613A1 (en) Earwax removal apparatus
KR20230041238A (ko) 귀지 제거 장치
KR102573525B1 (ko) 스크러빙 헤드가 전후진되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
CN115813659A (zh) 耳垢清除装置
CN105362062A (zh) 喷水冲擦联动式鼻前庭洗鼻器及其使用方法
KR20220003418A (ko) 자동 귀지 제거 장치
KR102238821B1 (ko) 브러시리스 치간 칫솔
KR20220056559A (ko) 자동 귀지 제거 장치의 제어를 위한 ai 시스템의 머신러닝 방법
KR20220056558A (ko) 자동 귀지 제거 장치의 제어를 위한 ai 시스템
KR20220003420A (ko) 마이크로 패턴을 갖는 스크러빙 헤드를 포함하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
KR20220003417A (ko) 자동 귀지 제거 장치
KR20210091531A (ko) Ai 를 이용한 궤적을 이용하여 귀지를 제거하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
KR20210091529A (ko) Ai 를 이용한 궤적을 이용하여 귀지를 제거하는 자동 귀지 제거 시스템
KR20200018012A (ko) 자동 귀지 제거 장치
KR20210034341A (ko) 자동 귀지 제거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