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525B1 - 스크러빙 헤드가 전후진되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러빙 헤드가 전후진되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525B1
KR102573525B1 KR1020190056725A KR20190056725A KR102573525B1 KR 102573525 B1 KR102573525 B1 KR 102573525B1 KR 1020190056725 A KR1020190056725 A KR 1020190056725A KR 20190056725 A KR20190056725 A KR 20190056725A KR 102573525 B1 KR102573525 B1 KR 102573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wax
hole
head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1992A (ko
Inventor
김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로지랩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로지랩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로지랩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190056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525B1/ko
Publication of KR20200131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06Ear cleaners, e.g. curet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3/00Insufflators for therapeutic or disinfectant purposes, i.e. devices for blowing a gas, powder or vapour into the body
    • A61M13/003Blowing gases other than for carrying powders, e.g. for inflating, dilating or rin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powered movement mechanisms
    • A61M2205/10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powered movement mechanisms recipro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6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62Ea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거홀 및 배출홀을 포함하는 포켓부; 수거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하나 이상의 공기 분사홀을 갖는 헤드부; 및 공기 분사홀을 통해 외부로 공기를 유출시키도록 마련된 펌프; 를 포함하는 귀지 제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스크러빙 헤드가 전후진되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A device for automatically removing the wax by moving the scrubbing head forward and backward}
본 발명은 자동 귀지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성귀지, 지성귀지 및 동물의 귀지를 자동으로 안전하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스크러빙 헤드가 전후진되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귀지는 생리학적으로 귀를 통해 침입할 수 있는 외부 박테리아와 세균의 침입을 억제하여 감염을 최소화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귀지는 인위적으로 제거하지 않아도 사람이 말을 하거나 음식을 씹을때 자연스럽게 턱관절 및 주변 근육들을 움직이기 때문에 이로 인해 귓속(외이도, ear canal) 피부의 움직임이 발생하고 귓속 피부로부터 쉽게 떨어져 나와 피부의 지속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서서히 귓속에서 바깥으로 밀려 나오게 되어있다. 따라서, 의학적으로는 귀지를 인위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고 있다.
이는 귀지를 제거할 경우 귓속 깊은 곳 까지 제거 도구를 삽입하여 제거하려는 경향이 있어 최소한으로 필요한 양의 귀지마저도 제거할 수 있으며, 면봉과 같이 도구의 끝이 귓구멍을 모두 막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도구의 경우 도구를 귓속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귀지를 귓속 깊은 곳으로 밀어 넣어 그에 대한 부작용을 일으킬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학적인 이해와 권고에도 불구하고, 귀지 제거는 개인위생과 관련된 개인적인 선택의 문제에 가까우며 특히, 의학적인 설명과는 다소 다르게 인위적인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매우 오랫동안 귓속에 머물기 때문에 답답함과 이물감 내지 움직일 경우 피부자극 등을 줄 수 있어 귓속의 귀지 양이 어느 정도 누적되면 제거하고 싶은 욕구가 매우 커지는 게 일반적이다.
이러한 이유로, 세계적으로 대부분의 문화권 사람들은 오랜 시간 동안 귀지를 제거 해 왔으며 현재에도 세계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주기적으로 귀지를 제거하고 있다.
이러한 귀지제거에 대한 일반적인 욕구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시장에 판매되고 있는 귀지제거에 사용되는 전통적인 형태의 귀이개 및 면봉 또는 그와 유사한 귀지제거 도구들은 사용자 본인이 귓속을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에 감각에 의존하여 귀지를 제거하기 때문에 자신의 귀지를 스스로 효과적이며 안전하게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세밀한 힘 조절 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고령자 및 어린 아이들의 경우, 도구의 조작 실수로 인해 귓속 피부 표면에 무리한 힘을 가해 피부의 상처나 염증이 발생될 수 있으며 도구를 필요 이상 깊이 삽입할 경우 귀 고막의 손상이나 천공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귓속 내부를 스스로 볼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USB형 소형 카메라를 내장한 귀지제거 도구가 개발되었으나, 스스로 볼 수 있다는 점이 오히려 귀지를 완전히 제거하고자 하는 동기가 증폭될 수 있어 필요 이상의 귀지를 제거하려는 심리가 작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으며 더욱이, 수동조작으로 귀지를 제거하므로 조작의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아 고령자 및 어린이의 사용에 대한 안전성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귀지의 수동제거의 불편함을 진공흡입 방법을 통해 자동제거의 형태로 상시키며 동시에 제거도구의 끝이 귓속 깊은 곳을 들어갈 수 없도록 안전하게 설계된 진공흡입방식의 귀지 제거기의 경우 진공 흡입력을 충분히 만들어 주어야 하므로 흡입 진공압력을 충분히 높이거나 흡입구의 면적을 충분히 작게 할 수 밖에 없다. 진공압력을 올리는 것은 고막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험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최소한의 압력 수준만을 사용할 수 있어 흡입구의 면적을 작게 하여 흡입력을 상대적으로 높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귓속 내부의 귀지 위치에 정확이 흡입구를 맞추지 못 할 경우 흡입압력이 매우 작기 때문에 제거 효율이 매우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통적인 형태의 귀이개는 그 끝단이 수 mm의 직경을 갖는 숟가락(spoon)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건성 및 지성의 귀지를 떼어내기에 용이한 구조로 되어있으며 끝단과 연결된 손잡이 부분 또한 수 mm 내외로 매우 얇고 긴 구조로 되어 귓속으로 삽입하는데 매우 용이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재질은 주로 금속과 나무, 플라스틱 등의 대체로 단단한 재질을 가지고 있어 도구의 끝단을 귓속 피부표면에 접촉시켜 피부표면에 충분한 힘을 가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끝단구조와 재질은 피부표면에 상당히 높은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끝단구조의 피부표면과의 접촉부분은 주로 숟가락 구조의 모서리(edge) 부분이 되며 이때 접촉부분에 가해지는 힘은 수 백 g 내지 수 kg 의 범위에 있기 때문에 순간 수에서 수십 MPa 수준의 높은 압력이 피부 표면에 가해 질 수 있다.
따라서, 피부표면에 가해지는 힘 조절을 세밀하게 하지 못할 경우 큰 통증과 함께 피부 표면의 손상으로 인한 염증이 발생될 수 있다. 더욱이 귓속을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에 대체로 감각에 의존하여 귀지를 제거하며 다른 사람이 제거해 준다고 해도 시야에 한계가 커 사실상 대체로 감각에 의존하거나 귓구멍 바깥쪽에서 보이는 부분의 귀지만 제거할 수밖에 없다. 특히, 피부의 상태가 좋지 않아 외부 자극에 매우 예민해져 있는 사람의 경우나, 자극에 더 민감한 고령자나 어린이의 경우 매우 큰 자극으로 느껴질 수 있기 때문에 피부에 자극을 거의 주지 않으면서 자동으로 귀지를 제거할 수 있는 매우 안락한 귀지제거 도구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서양인들 중 백인 (caucasian) 의 924% 와 흑인 (negroid)의 969%, 유럽인구의 98% 는 동양인과 달리 왁스 형태의 지성귀지 (wet earwax)를 가지고 있으며 65세 노인의 약 50%는 수개월에 한 번씩 주기적으로 귀지에 의해 귀가 완전히 막히는 이구전색 (cerumen impaction)의 증상을 호소하고 있다 (J Am Acad Audiol 1997 8(6) 391-400)
이구전색의 증상은 기본적으로 귀가 매우 답답함을 느끼며 이비인후과적인 보고에 의하면 약 20 dB 의 청각손실이 발생돼 의사소통에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노인들의 일상생활의 큰 장애로 작용하여 주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하여 귀지를 제거하는 서비스를 받기 때문에 경제적인 손실도 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구전색 증상을 보이는 고령층에 대한 이구전색의 예방을 위해 일정 기간 내의 사용자의 귀지제거 횟수 등을 모니터링하여 귀지제거에 대한 개인위생 관리가 가능한 지능형 귀지 제거장치에 대한 기술적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개와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의 경우는 사람과 달리 주기적인 귀지제거가 권고되고 있다. 애완동물의 귀지제거에는 크게 면봉형태의 기계적인 도구와 액체 형태의 귀지 용해제가 사용되고 있다. 사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액체형태의 귀지 용해제가 권고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역시 사용의 불편함이 적지 않아 주로 면봉형태의 기계적인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나 면봉형태의 도구를 사용할 경우 도구의 삽입 시 귀지를 귓속으로 밀어 넣을 수 있는 부작용이 있으며 사용자가 느낌과 감각에 의존해 안전한 깊이만큼 삽입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크기에 따라 안전한 깊이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안전성과 편리성, 애완동물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형태의 귀지제거 도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11-008769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동으로 귀지를 제거할 수 있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거홀 및 배출홀을 포함하는 포켓부; 수거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하나 이상의 공기 분사홀을 갖는 헤드부; 및 공기 분사홀을 통해 외부로 공기를 유출시키도록 마련된 펌프; 를 포함하는 귀지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공기 분사홀은 유출되는 공기가 수거홀 측으로 유동하도록 형성되고, 수거홀이 사용자의 귀 부분에 접촉되면, 공기 분사홀로 유출된 공기가 사용자의 외이도 내벽을 유동하며 수거홀 및 배출홀을 따라 차례로 통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공기 분사홀은, 가상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중심축선과 45도 내지 90도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는 소정 길이를 갖고, 공기 분사홀과 연결된 공기 통로를 갖는 유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이도 벽면과 접촉하도록, 외이도 벽면측으로 구부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는 공기 분사홀을 갖고, 외이도 벽면과 접촉하는 스크러빙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터는 스텝모터일 수 있다.
또한, 헤드부를 전진 및 후진 시키도록 마련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리니어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와 연결되며, 헤드부를 전진 및 후진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된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장치 사용 정보를 저장 및 인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사용자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외이도 벽면을 이동하는 유닛 섹터 (Unit sector) 각도가 5°내지 20°가 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지 제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외이도 벽면을 스크러빙 하는 스크러빙 속도가 5 mm/s 내지 50 mm/s 가 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지 제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에 구비되어 외이도 벽면을 스크러빙 하는 라운드접촉면의 폭은 05 mm 내지 2 mm 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지 제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에 구비되어 외이도 벽면을 스크러빙 하는 라운드접촉면에 마이크로 패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지 제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귓구멍 바깥 방향(수거홀 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킴으로써, 고막으로 직접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막에 가해질 수 있는 공기압력에 의해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불편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공기를 토출 시킴으로써, 세안 및 목욕 시, 사용자의 귓속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귓속 바깥으로 제거하고, 증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부가 스크러빙 동작 및 공기 분사를 동시에 함으로써, 건성 귀지 및 지성 귀지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연령 등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구동부를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다양한 정보를 장치 내부 및 온라인 네트워크 상에 저장하고, 이를 애플리케이션과 연계하여 저장된 자신의 사용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해 음성 및 문자 등의 방법으로 적당한 경고나 제안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의 내부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수용부재의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의 부분 단면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헤드부를 나타낸 모식도 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의 내부 사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의 모션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자동 귀지 제거 장치(10)에 관한 것으로, 예시적인 본 발명의 자동 귀지 제거 장치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귀지를 자동으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10)의 내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10)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10)는 포켓부(100), 헤드부(200) 및 펌프(300)를 포함한다.
상기 포켓부(100)는 수거홀(111) 및 배출홀(1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200)는 수거홀(1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하나 이상의 공기 분사홀(201)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300)는 공기 분사홀(201)을 통해 외부로 공기를 유출시키도록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펌프(300)는 에어 펌프(Air Pump) 또는 에어 팬(Air Fan)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10)는, 포켓부(100)와 연결 장착되는 본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400)는 일측에 마련된 개구홀(401) 및 개구홀(401)과 연결된 소정 공간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켓부(100)는 사용자의 귓구멍에 접촉 지지되는 수거홀(111)을 갖는 접촉부재(110) 및 배출홀(121)을 갖는 귀지수용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포켓부(100)는, 접촉부재(110)와 본체부(400)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부재(110)는 수거홀(111) 및 수거홀(111)의 반대방향에 형성된 장착홀(112)을 갖을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110)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수거홀(111)에서 장착홀(112) 측을 향하여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110)는 일 예로, 원뿔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상기 수거홀(111)은 귓구멍에 삽입되어 귓구멍 측 내부 벽면과 밀접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이어폰이 귓구멍에 삽입되는 정도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재(11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고무재질은 예를 들어, 일반고무, 합성고무, 연질고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의 귓구멍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수거홀(111)을 갖는 접촉부재(110)를 고무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귓구멍에 보다 밀착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귓구멍에 밀착된 수거홀(111)에 의해 외이도 벽면으로부터 제거된 귀지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장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귀지수용부재(120)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마련된 배출홀(121) 및 일단부가 개구된 개구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수용부재(120)의 사시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써, 상기 귀지수용부재(120)는 일단부가 개구된 개구부(122)를 갖고, 개구부의 반대방향에 배출홀(121)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홀(121)은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배출홀(121)에는 메쉬 형태의 메쉬 부재(미도시)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출홀 각각에 메쉬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귀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출홀(121)은 일 예로, 슬롯 형태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구조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10)의 부분 단면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122)는 접촉부재(110)의 장착홀(112)과 연결 장착되어 사용자의 외이도 내벽에서 제거된 귀지가 수거홀(111)을 통과하여 귀지수용부재(12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귀지와 함께 유입된 공기는 배출홀(121)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홀(112)은 귀지수용부재(120)의 개구부(122)와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귀지수용부재(120)의 중앙 영역에는 삽입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홀(123)은, 후술할 제2 연결부재(220)에 삽입 장착되어 귀지수용부재(120)가 제2 연결부재(2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배출홀(121)은 삽입홀(123)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떨어져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연결부재(130)는 귀지수용부재(12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마련되며, 장착홀(112) 측과 연결되는 제1 연결홀(131) 및 개구홀(401)과 연결 장착되는 제2 연결홀(132)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200)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헤드부(200)는 공기 분사홀(201)을 갖고, 외이도 벽면과 접촉하는 스크러빙 헤드(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러빙 헤드(210)는 헤드부(200)의 종단부에 라운드지게 마련된 라운드접촉면(202)을 통해 외이도 벽면을 접촉 및 스크러빙(Scrubbing)하여 사용자의 귀지를 외이도 벽면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헤드부(200)는 소정 길이를 갖고, 공기 분사홀(201)과 연결된 공기 통로를 갖는 유로부재(2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부재(203)는 스크러빙 헤드(210)가 외이도 내부에 소정 깊이만큼 삽입되어 귀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부재(203)의 일측은 펌프(300)와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펌프(30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유로부재(203)의 공기 통로를 통과하여 공기 분사홀(201)을 통해 외이도 내부로 공기를 유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200)는 펌프(300)와 유로부재(203)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220)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재(220)는 소정 길이를 갖고, 펌프(300)에서 공급된 공기가 유로부재(203)로 유동되도록, 내부에 유동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제거장치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헤드부(20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이도 벽면과 접촉하도록, 외이도 벽면 측으로 구부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부(200)의 스크러빙 헤드(210)가 외이도 벽면과 접촉하도록 유로부재(203)가 외이도 벽면 측으로 구부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분사홀(201)은 유출되는 공기가 수거홀(111) 측으로 유동하도록 형성되고, 수거홀(111)이 사용자의 귀 부분에 접촉되면, 공기 분사홀(201)로 유출된 공기가 사용자의 외이도 내벽을 유동하며 수거홀(111) 및 배출홀(121)을 따라 차례로 통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 분사홀(201)에서 토출된 공기는 사용자의 귀지와 함께 수거홀(111)을 통과하여 장착홀(112)에 연결된 귀지수용부재의 개구부(122)로 유입되고, 귀지는 귀지수용부재(120)에 저장되며 공기는 배출홀(121)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특히, 상기 공기 분사홀(201)은, 가상의 중심축선(G)을 기준으로, 중심축선(G)과 45도 내지 90도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공기 분사홀(201)을 형성함으로써, 공기 분사홀(201)을 통해 유출되는 공기가 수거홀(111) 측으로 유동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외이도 벽면에 붙어있는 귀지는, 공기 분사홀(201)을 통해 토출된 공기압력을 이용하여 귓구멍 바깥 방향(수거홀 측)으로 밀어냄으로써, 귀지를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생성되는 공기압력은 7 내지 14kPa 또는 9 내지 11kPa 또는 10kPa 이하 일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귓구멍 바깥 방향(수거홀 측)으로 공기를 토출함으로써, 고막으로 직접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막에 가해질 수 있는 공기압력에 의해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불편감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공기를 토출 시킴으로써, 세안 및 목욕 시, 사용자의 귓속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귓속 바깥으로 제거하고, 증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헤드부(200)는 수거홀(1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접촉부재(110)와 제1 연결부재(120)를 관통하도록 포켓부(100) 내에 배치될 수있다. 특히, 상기 수거홀(111)의 단면적은, 헤드부(200)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헤드부(200)는 수거홀(111)의 가장자리와 소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소정 간격에 의해 형성된 소정 영역을 통해 귀지가 수거홀(111)을 통과하여 귀지수용부재(120)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펌프(300)는 본체부(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펌프의 일부 영역은 포켓부(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헤드부(200)는 연질 또는 경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크러빙 헤드(210)와 유로부재(203)는 연질 또는 경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질 및 경질의 소재는, 경도 Shore A 30 내지 90을 갖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부(200)는 외이도 내벽, 즉 피부표면과의 접촉력을 일정하게 소정의 크기로 제어하도록, 경도 Shore A 30 내지 90을 갖는 연질 또는 경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외이도 벽면 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된 유로부재(203)는 탄성 복원력이 있는 연질 또는 경질의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유로부재(203)와 연결된 스크러빙 헤드(210)가 외이도 벽면과 접촉 시, 사용자의 외이도 크기에 따라 유로부재(320)가 펴지게 되고 이 때 유로부재(203)의 굽힘 강성(bending stiffness)에 의해 탄성 에너지가 축적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에너지는 외이도 벽면과 접촉하는 스크러빙 헤드(210)를 통해 탄성 접촉력의 형태로 외이도 벽면에 가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유로부재(203)는 소정의 강성(stiffness)을 갖는 경도 Shore A 30 내지 90을 갖는 연질 또는 경질의 소재를 이용하여, 외이도 벽면 측으로 소정 각도 휘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스크러빙 헤드(210)가 외이도 벽면에 쉽게 접촉할 수 있게 되며, 유로부재(203)가 사용자의 힘에 의해 완전히 펴졌을 때에도 외이도 벽면에 가해지는 탄성 접촉력을 소정 값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유로부재(203)가 사용자의 힘과 외이도 벽면에 의해 완전히 펴지는 경우, 외이도 벽면에 가해지는 탄성 접촉력은 최대값이 되므로, 탄성 접촉력의 최대 값은 소정 값 이하로 제한되기 때문에, 외이도 벽면의 스크러빙(Scrubbing)에 의한 물리적인 자극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연질 및 경질의 소재는 일 예로,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 열가소성 고무(Thermoplastic Rubber,TPR),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PVC)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PU)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귀지 제거 장치(10)는 헤드부(100)를 회전시키기 위해 마련된 모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500)는 일 예로, 스텝모터(스테핑모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부(200)의 일측은 모터(500)와 연결되어 모터(50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헤드부(200)가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헤드부(200)는 외이도 벽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회전하며 외이도 벽면과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200)는 외이도 벽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360도 회전할 수 있으며, 스크러빙 헤드(210)에 의해 외이도 내부 벽면 전체에 부착된 귀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헤드부(200)는 모터(500)에 의해 기 설정된 기준 각도 간격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기준 각도 각각은 하나의 스텝으로써, 하나의 스텝 회전 내에서 복수 번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며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헤드부(200)는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 할 때, 하나의 스텝 회전 내에서 복수 번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며 360도 정회전을 완료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 할 때, 하나의 스텝 회전 내에서 복수 번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며 360도 역회전을 완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된 기준 각도가 5°(도)인 경우, 5°(도) 회전을 1스텝(Step)으로 하여, 360°(도)를 72스텝으로 나누어 회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스텝 회전 내에서 복수 번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며 회전할 수 있다.
즉, 외이도 내부 원주를 72구역으로 나누어 각각 5°(도)각도를 갖는 부채꼴 원주 내에서 정회전과 역회전이 반복 수행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정회전과 역회전은 5회 내외로 반복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정회전과 역회전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72개의 부채꼴 원주에 대한 정회전이 완료되면, 역회전 방향으로 72개의 부채꼴 원주 내에서 정회전과 역회전이 5회내외로 반복 수행하여 역회전이 완료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러빙 헤드(210)는 외이도 벽면 둘레방향을 따라 360도 정회전 및 역회전하며 외이도 벽면을 스크러빙 함으로써, 외이도 내벽에 단단히 부착된 지성귀지의 점착력(Adhesion)과 건성귀지의 고착력(Interlocking)을 약화시킨다.
이 때, 공기 분사홀(201)을 통해 외이도 벽면으로 공기를 유출시킴으로써, 귀지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공기 분사홀(201)을 통해 공기압을 가하여 외이도 벽면에 부착된 귀지를 제거하는 경우, 외이도 피부 표면에 물리적인 자극을 최소화 하면서 귀지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외이도 피부 표면에 단단히 붙어있는 귀지의 경우, 공기압만을 가하여 귀지를 완전히 제거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스크러빙 헤드(210)를 이용하여
외이도 내부 벽면 전체 면적을 촘촘히 스크러빙 함과 동시에 공기 분사홀(201)을
통해 공기압을 가하여 줌으로써, 귀지를 보다 쉽고 빠르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건성 귀지는, 기계적 압력에 대해 쉽게 부서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스크러빙 동작만으로도 쉽게 외이도 표면에서 떨어질 수 있고, 공기분사압력에 의해 쉽게 포켓부(10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지성 귀지는, 본 발명의 공기 분사홀(201)을 통해 토출된 공기에 의해 지성귀지의 속건조를 유발시켜 피부에 붙어있는 귀지의 경계선을 따라 표면장력을 발생시켜 귀지가 피부로부터 쉽게 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지성귀지는 분사된 공기에 의해 피부로부터 쉽게 분리되며 동시에 건조과정을 통해 건성 귀지와 유사한 성질로 바뀌면서 스크러빙 동작에 의해 쉽게 부스러질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부(200)가 스크러빙 동작 및 공기 분사를 동시에 함으로써, 건성 귀지 및 지성 귀지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부(200)의 스크러빙 동작은, 제한된 접촉력에 의한 최소한의 물리력을 이용하여 귀지를 외이도 피부 표면에서 분리하여 외이도 외부로 배출시켜 포켓부(100)에 포집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귀지 제거 장치(10)는, 외이도 벽면 측으로 수분을 미량 분사하여 수분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수분공급장치(미도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분공급장치에 의해 수분이 공급되면, 건성 귀지의 경우 공급된 수분에 의해 귀지의 고착력을 약화시켜 귀지 제거 시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스크러빙 헤드(210)의 스크러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분은 생리 식염수, 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모터(500)는, 본체부(400) 내부에 배치되어 펌프(30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모터(500)는 펌프(300)와 모터(500)를 연결하도록 마련된 커넥터(5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커넥터(510)의 일측은 펌프(300)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결합장착되는 제1 결합부 및 타측은 모터(500)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결합 장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귀지 제거 장치(10)는, 헤드부(200)를 전진 및 후진 시키도록 마련된 구동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00)는 리니어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니어 가이드는 전동식 이송 장치로써, 구동부를 구동 시키면, 기 설정된 속도로 전진 및 후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진 또는 후진은 반복하여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00)는 헤드부(200)와 연결되어, 헤드부(200)를 사용자의 외이도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 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600)는 모터(500)의 일측과 연결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600)의 구동에 의해 기 설정된 속도로 모터(5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드부(200)는 펌프(300)와 연결되고, 상기 펌프(300)는 커넥터(510)에 의해 모터(500)와 연결되며, 모터(500)는 구동부(600)와 연결되어 구동부(600)의 구동에 의해 모터(500), 펌프(300) 및 헤드부(200)가 전진 또는 후진하며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510)에 의해 모터(500), 펌프(300) 및 헤드부(200)가 일체화 되어 구동부 즉, 리니어 가이드에 의해 기 설정된 속도로 동시에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모터(50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은 커넥터(510)에 의해 펌프(300)를 회전시키며, 펌프(300)와 연결된 헤드부(20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동부(600)에 의해 헤드부(200)는 사용자의 외이도 내부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 때, 외이도 내부로 이동되는 깊이는 15 내지 20mm 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헤드부는 설정된 속도에 따라 일정하게 사용자의 외이도 내부로 진입하며, 스크러빙 동작은 귀구멍의 입구에서부터 시작되어 외이도 내부 일정 깊이 사이를 왕복하며 지속적으로 귀지 제거가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헤드부(200)의 진입 깊이는 15 내지 20mm로 한정 함으로써, 외이도 바깥 부분으로 밀려나온 귀지만을 제거하므로 외이도 안쪽에 형성된 귀지의 생리학적 순기능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작은 힘과 동작의 조절이 어려운 고령자 및 장애인 등 또는 피부자극에 민감한 사용자의 경우, 헤드부(200)가 피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빠르게 움직일 경우 큰 통증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에 의해 자동으로 헤드부가 외이도 내부에서 전진 및 후진 속도를 느리면서 일정하게 조절하므로 사용자가 큰 불편을 느끼지 않으며 전자동으로 사용자의 귀지가 제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11)를 나타낸 내부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전술한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11)의 구동부(6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게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00)는, 헤드부(200)와 연결되며, 헤드부를 전진 및 후진시키도록 외부로 노출된 조작부(601)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부(600)는 조작부(601), 리턴 스프링(603) 및 슬라이드링(60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작부(601)는 모터(500)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400) 일측에는 조작부(60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된 조작홀(60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500)는 본체부(400) 내부에 배치되고, 모터(50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조작부(601)는 조작홀(602)을 통과하여 본체부(4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조작홀(602)은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조작부(601)의 전진 및 후진을 안내할 할 수 있다. 즉, 조작부(601)는 조작홀(6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진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작홀(6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조작부(601)를 이동시키면, 조작부(601)와 연결된 헤드부(200)가 외이도 내부에서 전진 또는 후진 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드부(200)는 펌프(300)와 연결되고, 상기 펌프(300)는 커넥터(510)에 의해 모터(500)와 연결되며, 모터(500)는 조작부(601)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조작부(601)를 이동시킴에 따라 모터(500), 펌프(300) 및 헤드부(200)가 전진 또는 후진하며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510)에 의해 모터(500), 펌프(300) 및 헤드부(200)가 일체화 되어 조작부(601)의 수동 조작에 의해 동시에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조작부(601)는 조작부(601)를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된 슬라이드 링(60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링(605)은 본체부(400)의 내주면과 접촉하며, 내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롤러(60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607)는 슬라이드 링(605)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링(605)은 모터(500)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며, 조작부(601)를 이동시키면, 슬라이드 링의 복수 개의 롤러(607)가 회전하며, 본체부(40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조작부(601)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리턴 스프링(603)은 사용자가 조작부(601)를 조작하여 헤드부(200)를 전진시킬 때, 사용자가 손가락에 힘을 빼면 자동으로 헤드부(200)를 원위치 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리턴 스프링(603)은 본체부(400)의 내주면 일측과 모터(500)의 일측을 연결함으로써, 조작부(601)에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리턴 스프링(603)과 연결된 모터가 리턴 스프링(603)에 의해 본체부(400) 내부 측(후진 방향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피부자극에 민감하지 않은 일반 사용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로 전진 및 후진 속도를 스스로 조절하며 즉각적인 헤드부(200)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헤드부(200)가 외이도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 및 삽입 횟수 등을 임의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구동부(600)를 리니어 가이드, 조작부(601), 리턴 스프링(603) 및 슬라이드 링(605)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사용자에 따라 수동 모드 또는 자동 모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400)는 사용자가 수동 또는 자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된 모드 선택부(미도가)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자동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전술한 리니어 가이드가 구동하여 기 설정된 속도에 따라 헤드부를 사용자의 외이도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 시키고, 헤드부는 설정된 속도로 외이도 내부로 진입하며 외이도 벽면에 부착된 귀지를 스크러빙과 공기토출압력을 이용해 제거하게 된다.
사용자가 수동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술한 조작부(601)를 직접 손으로 조작하여 외이도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 시켜 외이도 벽면에 부착된 귀지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400) 내부에는 펌프(300), 모터(500) 및 구동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7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귀지 제거 장치(10 또는 11)는 사용자의 장치 사용정보를 저장 및 인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사용자 인식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식부(800)는 지문인식 장치(지문인식 센서)일 수 있으며, 본체부(400)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인식부(800)는 사용자가 장치(10 또는 11)를 파지하는 경우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닿는 위치에 배치하여 미리 등록된 사용자, 또는 사용 시 사용자 자동 등록 등을 통해 사용자의 장치 사용 횟수, 사용 시간 등 사용자의 다양한 정보를 장치 내부에 저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는 와이파이 등의 무선 전송장치를 통해 온라인 네트워크 상에 저장되도록 마련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온라인 네트워크 상에 저장된 자신의 사용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해 음성 및 문자 등의 방법으로 적당한 경고나 제안을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내부에 별도의 저장장치와 정보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음성정보로 사용자에게 경고나 권고를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장치 사용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 대한 경고 및 권고 방법은 이구전색이 자주 발생되는 사용자에 대해 이구전색 방지를 목적으로 한 관리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이구전색 발생이 잦은 사용자의 경우, 주기적으로 장치 사용을 독려하기 위한 알림 기능을 갖는 알림부가 장치에 추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사용자 인식부(800)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및 귀지 제거장치(10 또는 11) 내에 구비된 복수의 장치를 통해 음성정보 및 문자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적당한 알람과 권고를 주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본체부(400) 외주면에는 장치(10 또는 11)를 작동하기 위한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되어, 스위치의 온/오프 조작에 따라 장치(10 또는 11)를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10 또는 11)의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부(미도시)가 본체부(400)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모드 선택에 따라, 자동 모드인 경우, 구동부(600)가 구동될 수 있으며, 수동 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조작부(601)를 조작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귀지 제거 장치(10 또는 11)는 일 실시예로써, 상기 모터(500)의 상부에 조작부(601)가 구비될 수 있고, 모터의 하부에 리니어 가이드가 연결 구비되며, 모터의 전방(포켓부 측)에 펌프(300)가 연결 구비될 수 있고, 모터의 후방에 리턴 스프링이 연결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600)가 구동되면, 구동부(600)와 연결된 모터(500)가 전진하게 되고, 모터(500)와 연결된 펌프(300)는 장치 내부에서 전진하며, 펌프와 연결된 헤드부(200)는 수거홀(111)을 통해 외부로 전진하며 외이도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조작부(601)를 통해 조작 시, 조작부(601)와 연결된 모터가 전진하게 되고, 모터(500)와 연결된 펌프(300)는 장치 내부에서 전진하며, 펌프와 연결된 헤드부(200)는 수거홀(111)을 통해 외부로 전진하며 외이도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조작부(601)에 가해진 힘이 해제되면 리턴 스프링(603)에 의해 장치 내부로 후진하여 헤드부(200)가 원위치 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의 모션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의 모션은 크기 두 가지의 파라미터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첫 번째 파라미터는 유닛 섹터 (Unit sector) 의 각도이고, 두 번째 파라미터는 유닛 섹터 (Unit sector) 의 각도에 따라 상기 스크러빙 헤드(210) 가 외이도 벽면을 스크러빙 하는 스크러빙 속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는 유닛 섹터(Unit sector) 각도는 5°내지 20°가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닛 섹터의 각도가 5°보다 작게 되면 외이도 벽면을 스크러빙 하는데 소요시간이 증가되어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귀지를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유닛 섹터의 각도가 20°보다 크게 되면 외이도 벽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커져 사용자의 외이도 벽면에 예상치 못한 피부자극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스크러빙 속도는 5 mm/s 내지 50 mm/s 가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크러빙 속도가 5 mm/s 보다 작게 되면 외이도 벽면을 스크러빙 하는데 소요시간이 증가되어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귀지를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유닛 섹터의 각도가 50 mm/s 보다 크게 되면 외이도 벽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커져 사용자의 외이도 벽면에 예상치 못한 피부자극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 예를 든 것이고, 이 둘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한 스크러빙 헤드 (210) 의 물리적인 조건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 (210) 는 라운드접촉면(202) 에 다양한 마이크로 패턴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라운드접촉면 (202) 는 제1 폭 (W) 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폭 (W) 은 05 mm 내지 2 mm 로 구비될 수 있다. 만약, 제 1 폭 (W) 이 05 mm 보다 작게 구비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라운드접촉면 (202) 에 구비되는 다양한 마이크로 패턴이 구비되는 공간이 작아지게 되어 귀지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마이크로 패턴의 효과가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제 1 폭 (W) 이 2 mm 보다 크게 구비되는 경우에는 라운드 접촉면 (202) 외이도 벽면에 가해지는 접촉압력이 감소되어 귀지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라운드접촉면 (202) 의 폭은 상기 제 1 폭 (W) 은 05 mm 내지 2 mm 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귀지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한편, 라운드접촉면 (202) 에는 다양한 마이크로 패턴이 구비될 수 있는데, 도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운드 접촉면은 No-pattern, Box-pattern, Parallel line-pattern, Pyramid-pattern, Perpendicular line-pattern, bottle-pattern 등으로 다양한 패턴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라운드접촉면 (202) 에 다양한 마이크로 패턴이 구비됨으로 인하여, 앞서 설명한 두 가지 파라미터인 유닛 섹터(Unit sector) 및 스크러빙 속도가 한정되어 있어도, 사용자의 외이도 벽면에 피부자극을 주지 않고, 보다 효율적으로 귀지를 제거하는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명자는 라운드접촉면(202)에 Parallel line-pettern 을 형성한 경우, 2mN 의 하중에서 1 이상의 마찰계수가 발생되며, 10 mN 의 접촉력에서 점막층이 쉽게 떨어져 나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이 라운드접촉면 (202) 에 형성되는 다양한 마이크로패턴은 PDMS 몰드를 이용한 다양한 UV-curable polymer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고, EDM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다라 다양한 방식으로 라운드접촉면 (202) 에 마이크로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귀지 제거를 위한 자동 귀지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헬스케어 마켓 및 애완동물의 관리 마켓에 있어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
10, 11: 귀지 제거 장치
100: 포켓부
200: 헤드부
300: 펌프
400: 본체부
500: 모터
600: 구동부
700: 배터리
800: 사용자 인식부

Claims (7)

  1. 수거홀 및 배출홀을 갖는 포켓부;
    수거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이도 벽면과 접촉하도록, 외이도 벽면 측으로 구부러지게 마련되고 하나 이상의 공기 분사홀을 갖는 스크러빙 헤드를 포함하는 헤드부;
    공기 분사홀을 통해 외부로 공기를 유출시키도록 헤드부와 연결된 펌프;
    상기 헤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텝모터;
    상기 헤드부를 전진 및 후진 시키도록 마련된 구동부;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며, 헤드부를 전진 및 후진시키도록 외부에서 상기 구동부를 조작시킬 수 있게 노출된 조작부; 및
    사용자의 장치 사용 정보를 저장 및 인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사용자 인식부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부는, 소정 길이를 갖고, 상기 공기 분사홀과 연결된 공기 통로를 갖는 유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분사홀은 유출되는 공기가 수거홀 측으로 유동하도록 형성되고, 수거홀이 사용자의 귀 부분에 접촉되면, 공기 분사홀로 유출된 공기가 사용자의 외이도 내벽을 유동하며 수거홀 및 배출홀을 따라 차례로 통과하는
    귀지 제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 분사홀은, 가상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중심축선과 45도 내지 90도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귀지 제거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외이도 벽면을 이동하는 유닛 섹터 (Unit sector) 각도가 5°내지 20°가 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지 제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외이도 벽면을 스크러빙 하는 스크러빙 속도가 5 mm/s 내지 50 mm/s 가 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지 제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 구비되어 외이도 벽면을 스크러빙 하는 라운드접촉면의 폭은 05 mm 내지 2 mm 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지 제거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 구비되어 외이도 벽면을 스크러빙 하는 라운드접촉면에 마이크로 패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지 제거 장치.
KR1020190056725A 2019-05-15 2019-05-15 스크러빙 헤드가 전후진되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 KR102573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725A KR102573525B1 (ko) 2019-05-15 2019-05-15 스크러빙 헤드가 전후진되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725A KR102573525B1 (ko) 2019-05-15 2019-05-15 스크러빙 헤드가 전후진되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992A KR20200131992A (ko) 2020-11-25
KR102573525B1 true KR102573525B1 (ko) 2023-09-04

Family

ID=73645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725A KR102573525B1 (ko) 2019-05-15 2019-05-15 스크러빙 헤드가 전후진되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5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9072A (en) 1998-02-18 1999-11-09 Collins, Ii; Hamilton P. External auditory canal drying apparatus
CN204839924U (zh) * 2015-07-10 2015-12-09 崔日华 洁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7021B1 (en) * 1999-12-23 2001-02-13 Becker Wim Ear cleaning portable rotary device
KR101123201B1 (ko) * 2009-01-22 2012-03-19 강소대 다이아프램을 이용한 흡입식 귀이개
KR20110087690A (ko) 2010-01-27 2011-08-03 안도진 전동 모터 식 흡입형 귀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9072A (en) 1998-02-18 1999-11-09 Collins, Ii; Hamilton P. External auditory canal drying apparatus
CN204839924U (zh) * 2015-07-10 2015-12-09 崔日华 洁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992A (ko)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09368A1 (en) Power ear picker
US11324636B2 (en) Automatic cerumen removing device
US108137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al of earwax and particulates
US20170319017A1 (en) Apparatus for cleaning human body orifice
KR102573525B1 (ko) 스크러빙 헤드가 전후진되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
CN204501224U (zh) 一种用于耳科的上药治疗装置
KR20220003420A (ko) 마이크로 패턴을 갖는 스크러빙 헤드를 포함하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
KR20220003418A (ko) 자동 귀지 제거 장치
KR20220003417A (ko) 자동 귀지 제거 장치
KR20220056559A (ko) 자동 귀지 제거 장치의 제어를 위한 ai 시스템의 머신러닝 방법
KR20220056558A (ko) 자동 귀지 제거 장치의 제어를 위한 ai 시스템
KR20210091531A (ko) Ai 를 이용한 궤적을 이용하여 귀지를 제거하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
KR20210091529A (ko) Ai 를 이용한 궤적을 이용하여 귀지를 제거하는 자동 귀지 제거 시스템
KR20200131998A (ko) 사용자 인식 자동 귀지 제거 장치
KR20200131994A (ko) 자동 귀지 제거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10034343A (ko) 마이크로 패턴을 갖는 스크러빙 헤드를 포함하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
KR20210034341A (ko) 자동 귀지 제거 장치
US8616214B2 (en) Earplug having a resilient core structure
KR20200131988A (ko) 자동 귀지 제거 장치장치
KR20200131993A (ko) 마이크로 패턴을 갖는 스크러빙 헤드가 구비된 자동 귀지 제거 장치
KR20200018012A (ko) 자동 귀지 제거 장치
US20240000613A1 (en) Earwax removal apparatus
KR20220077658A (ko) 지성 귀지를 긁어내어 제거하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30041238A (ko) 귀지 제거 장치
KR20220077650A (ko) 지성 귀지 제거용 스크러빙 헤드를 구비한 자동 귀지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