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654A -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654A
KR20220077654A KR1020200166801A KR20200166801A KR20220077654A KR 20220077654 A KR20220077654 A KR 20220077654A KR 1020200166801 A KR1020200166801 A KR 1020200166801A KR 20200166801 A KR20200166801 A KR 20200166801A KR 20220077654 A KR20220077654 A KR 20220077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hange
goods
module
deposit
ser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리
Original Assignee
이광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리 filed Critical 이광리
Priority to KR1020200166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7654A/ko
Publication of KR20220077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6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Abstract

본 발명은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화와 용역을 교환하거나 거래하는 과정에서 재화 및 용역의 가치를 정확하게 결정하고, 재화 및 용역의 교환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교환에 따른 부정거래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위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은 재화 또는 용역을 포함하는 교환대상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재화 또는 용역을 포함하는 교환대상을 등록하고, 등록된 상기 교환대상을 인증하여 평가하며, 평가된 상기 교환대상에 대하여 교환대상 단말기의 사용자를 매칭하고, 매칭된 사용자를 그룹핑하여 교환대상을 교환하도록 중계하는 중계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EXCHANGING SYSTEM USING CLOUD FUNDING IN INTERNATIONAL EXCHANGE PLATFORM}
본 발명은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화와 용역을 교환하거나 거래하는 과정에서 재화 및 용역의 가치를 정확하게 결정하고, 재화 및 용역의 교환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교환에 따른 부정거래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화 또는 용역의 거래를 수반하는 행위인 상거래는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재화 또는 용역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는 해당 상품이나 재화 또는 용역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를 직접 접촉하거나 구매자를 연결해 주는 중간거래업체를 접촉하여 해당 상품이나 재화 또는 용역의 거래에 대한 제반적인 의견을 충분하게 토론한 다음 판매자와 구매자간의 계약과 신용장의 개설 및 해당 상품이나 재화 또는 용역의 배송을 통해 상거래가 완료된다.
국가 내에서 이루어지는 상거래 또는 국가간 상거래의 경우 모든 상거래의 행위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구매자의 경우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다수의 판매자나 중간상인을 접촉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품질, 가격, 납기일자 등을 비교한 다음 해당 거래를 수행하여야 하며, 판매자의 경우 자신이 판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를 찾기 위해서 다수의 구매자나 중간거래업체를 접촉하여 자신들의 상품에 대한 홍보를 통해 상거래가 성사되도록 많은 노력을 수반하여야 한다.
즉, 판매자나 구매자는 원하는 상품의 판매나 구매를 위해서는 당사자 간에 실질적인 접촉이 이루어져야 하고, 판매자의 경우 자신의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해당 상품을 필요로 하는 구매자를 직접적으로 찾아야 하며, 구매자의 경우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서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를 자신들이 직접적으로 찾아야 하므로 많은 인력과 시간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온라인을 이용하여 재화와 용역을 거래 또는 교환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재화와 용역을 교환하기 위한 기술 중의 하나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09074호에 물물 교환형 전자 상거래 시스템이 개시되었다.
상기 기술은 당사자가 원하는 재화를 구입하거나 원하는 용역을 이용하고자 할 때 그 대가를 유가성 재산(대표적 예를 들어 현금)으로 결재하는 것이 아닌 당사자가 제시한 재화나 용역을 상호 교환하는 물물 교환 방식으로 상거래를 실시할 수 있는 물물 교환형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편, 물물교환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물물 교환에 대한 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4444호에 모바일 네트워크를 이용한 물물교환 시스템 및 방법,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41876호에 물물 교환 중개 방법 등 다양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온라인을 통해 재화 및 용역의 거래 또는 교환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이유 중 가장 큰 장벽은 재화와 용역에 대한 가치를 판단하는 기준이 주관적 성향이 높고, 허위 재화 또는 허위 용역을 이용한 부정거래에 대한 우려이다.
실제로 안전거래를 통해서도 사기(협잡)행각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고, 각종 피싱을 통해 많은 부정거래가 발생되기도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09074호(2002. 02. 01.)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4444호(2013. 12. 10.)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41876호(2019. 12. 2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재화와 용역을 교환하거나 거래하는 과정에서 재화 및 용역의 가치를 정확하게 결정하고, 재화 및 용역의 교환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교환에 따른 부정거래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은 재화 또는 용역을 포함하는 교환대상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재화 또는 용역을 포함하는 교환대상을 등록하고, 등록된 상기 교환대상을 인증하여 평가하며, 평가된 상기 교환대상에 대하여 교환대상 단말기의 사용자를 매칭하고, 매칭된 사용자를 그룹핑하여 교환대상을 교환하도록 중계하는 중계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중계서버는 재화와 용역을 포함하는 교환대상을 등록하는 교환대상 등록부; 상기 교환대상 등록부에 등록된 교환대상에 대하여 인증하고 평가하는 교환대상 인증평가부; 상기 교환대상 인증평가부에서 인증되어 평가된 교환대상에 대해 단말기의 사용자를 매칭시키는 교환대상 매칭부; 및 상기 교환대상 매칭부를 통해 매칭된 사용자의 단말기로 교환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여 매칭된 상기 교환대상이 유통되도록 유통정보를 제공하는 유통교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교환대상 등록부는 상기 교환대상이 재화인 경우 재화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재화등록모듈; 및 상기 교환대상이 용역이 경우 용역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용역등록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환대상 인증평가부는 상기 교환대상이 재화인 경우 물품 분류, 물품명, 구매시기, 사용기간, 제품 상태, 결함 유무, 희망 가격 및 중고가시세에 근거하여 재화의 가치를 평가하는 재화인증평가모듈; 및 상기 교환대상이 용역인 경우 자격증 유무, 경력을 포함하는 용역인증정보에 근거하여 용역지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상기 용역지수를 용역단가표에 적용하여 용역의 가치를 평가하는 용역인증평가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교환대상을 제공한 사용자에 대해 부정거래 경력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부정거래 확인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환대상 매칭부는 상기 교환대상의 재화 또는 용역에 대해 구매를 요청한 사용자가 있는지를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구매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알림모듈; 상기 교환대상의 재화 또는 용역에 대해 판매 및 구매를 요청한 사용자들을 그룹핑하는 그룹핑모듈; 및 상기 그룹핑모듈을 통해 그룹핑된 사용자의 단말기로 교환요청하고, 상기 교환요청에 대해 승인을 수신하여 상기 교환대상을 매칭시키는 교환승인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통교환부는 상기 교환대상에 대응하는 예치금을 지정된 계좌로 입금하도록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고, 제공된 상기 계좌에 예치금이 입금되었는 확인하는 예치금 확인모듈; 상기 예치금 확인모듈의 확인 결과 예치금이 입금된 경우, 상기 단말기로 교환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교환대상이 유통되도록 유통정보를 제공하는 교환제공모듈; 상기 교환제공모듈에서 제공된 유통정보에 대해 교환완료에 대한 수신정보를 검출하는 교환완료검출모듈; 및 상기 교환완료검출모듈의 검출결과, 교환이 완료된 경우 상기 계좌에 입금된 예치금을 상기 예치금을 입금한 사용자의 계좌로 입금하여 반환하는 예치금반환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예치금 확인모듈의 예치금은 상기 교환대상 인증평가부에서 인증평가된 가치와 동일한 금액이고, 상기 예치금반환모듈에서 반환되는 예치금은 중계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화 및 용역을 교환 또는 거래하는 과정에서 재화 및 영역의 가치를 정확하게 평가하여 재화 및 용역을 교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예치금의 입금과 반환을 통해 부정거래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재화 및 용역이 안전한 상태에서 교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재화 및 용역의 중계에 따른 안정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딩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에 적용된 중계서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딩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에 적용된 교환대상 등록부에서 제공되는 재화정보를 입력하는 일 실시 예의 재화정보입력 인터페이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딩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에 적용된 교환대상 등록부에서 제공되는 용역정보를 입력하는 일 실시 예의 용역정보입력 인터페이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에 적용된 교환대상 매칭부의 매칭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화와 용역을 교환하거나 거래하는 과정에서 재화 및 용역의 가치를 정확하게 결정하고, 재화 및 용역의 교환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교환에 따른 부정거래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1의 단말기(100)는 재화 또는 용역을 포함하는 교환대상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중계서버(200)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된 재화 또는 용역을 포함하는 교환대상을 등록하고, 등록된 상기 교환대상을 인증하여 평가하며, 평가된 상기 교환대상에 대하여 교환대상 단말기의 사용자를 매칭하고, 매칭된 사용자를 그룹핑하여 교환대상을 교환하도록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단말기(100)는 통신망을 통해 중계서버(200)에 접속하고, 요청에 따라 중계서버(200)에서 제공되는 각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결제를 진행하는 기기면 충분하다. 이러한 기기로서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데스크탑 PC, 노트북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중계서버(200)는 교환대상의 물품(재화 및 용역)을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딩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에 적용된 중계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중계서버(200)는 교환대상 등록부(210), 교환대상 인증평가부(220), 교환대상 매칭부(230) 및 유통교환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들이 단말기를 통해 유통되는 교환대상의 물품은 재화와 용역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교환은 재화와 재화, 재화와 용역, 용역과 용역의 거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재화는 물건, 상품, 제품 등 실물경제의 가치를 지닌 것을 의미하고, 용역은 지식, 기술, 능력 등 가치를 지닌 서비스를 의미한다.
교환대상 등록부(210)는 재화와 용역을 포함하는 교환대상을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재화와 용역은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된 재화정보와 용역정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딩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에 적용된 교환대상 등록부에서 제공되는 재화정보를 입력하는 일 실시 예의 재화정보입력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재화정보입력 인터페이스에는 재화정보에 대한 물품분류, 물품명, 제조업체, 제품명, 사진(또는 동영상), 구매시기, 사용기간, 제품상태, 사용횟수, 결합부위 및 중고가격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재화에 대한 예상되는 희망가격, 희망대상의 물품(또는 용역), 교환형태 및 교환가능기간 등을 더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중고가시세는 입력된 물품분류, 물품명, 제조업체, 제품명, 사진(또는 동영상), 구매시기 및 사용기간 등에 입력된 정보를 통해 웹페이지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희망대상의 물품(또는 용역)은 재화 또는 용역 중에서 순위별로 복수 개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교환대상이 재화인 경우라도 재화 또는 용역 중에서 교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설명하지 않았으나, 재화는 다양한 형태의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재화에 대한 교환가능기간을 입력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입력된 교환가능기간이 경과된 경우, 등록된 재화정보는 삭제하거나 검색에서 제외되도록 구성하여 등록된 재화가 소정 기간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평가된 재화의 가치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딩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에 적용된 교환대상 등록부에서 제공되는 용역정보를 입력하는 일 실시 예의 용역정보입력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용역정보입력 인터페이스에는 용역분류, 용역명, 자격증, 경력, 경력세부, 제공형태 및 희망대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용역의 제공형태는 용역분류 및 용역명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공할 수 있는 용역이 페인트칠, 도배, 인테리어 등의 건축 등과 관련된 용역인 경우에는 현장방문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문서 등의 작성 등은 온라인(메일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작된 제품(예, 수제품) 등은 배송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문장비를 이용해야 하는 용역(예, 치과, 자동차 수리 등)은 내방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하지 않았으나 용역은 다양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며, 용역에 따른 재화의 소비는 제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용역은 지식, 기술, 능력 등 가치를 지닌 모든 서비스로서, 예를 들면, 상업, 운수업, 교통업, 보안업, 관광업, 가사노동, 의료, 교육, 법률, 방송, 문화, 예술, 음악, 레저 등 다양한 형태의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나, 교통, 행정, 경찰, 소방 등의 정부 기관이나 정부 투자기관이 공급하는 서비스는 제외될 수 있고, 또한 용역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재화도 제외될 수 있다.
교환대상 인증평가부(220)는 상기 교환대상 등록부에 등록된 교환대상에 대하여 인증하고 평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재화인증평가모듈(221), 용역인증평가모듈(222) 및 부정거래 확인모듈(223)을 포함한다.
상기 재화인증평가모듈(221)은 상기 교환대상이 재화인 경우 물품 분류, 물품명, 구매시기, 사용기간, 제품 상태, 결함 유무, 희망가격 및 중고가시세 등에 근거하여 재화의 가치를 평가한다.
이때, 상기 재화인증평가모듈(221)을 통해 평가된 재화의 가치(가격)는 사용자가 입력한 희만가격보다 상대적으로 높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용역인증평가모듈(222)은 상기 교환대상이 용역인 경우 자격증 유무, 경력을 포함하는 용역인증정보에 근거하여 용역지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상기 용역지수를 용역단가표에 적용하여 용역의 가치를 평가한다.
여기서, 상기 용역인증평가모듈(222)에는 미리 저장된 용역 종류별 용역단가표에 의해서 용역의 가치를 평가한다.
또한, 상기 용역지수는 용역의 종류에 따다 경력 기간을 산정을 다르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오랜 경력이 요구되는 용역과 비교적 경력기간이 짧아도 충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충분한 용역을 구분하여 각각 용역지수가 다르게 적용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미용서비스 관련 용역인 경우에는 1년 단위로 용역지수를 차등되게 구성되는 반면, 치과의료 서비스인 경우에는 3년 단위로 용역지수를 차등하여 구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용역에 대한 가치 평가는 용역의 세부항목별로 차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용역이 치술(치과의료 서비스)인 경우, 임플란트에 대한 용역의 가치와 스케일링에 대한 용역의 가치가 다르게 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용역의 가치는 용역의 종류뿐만 아니라 용역별 세부항목에 따라 상호협력을 통해 중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정거래 확인모듈(223)은 상기 교환대상을 제공한 사용자에 대해 부정거래 경력이 있는지를 검출한다.
즉, 상기 부정거래 확인모듈(223)은 과거에 부정거래에 의해 발생된 이력이 검출되는 경우 교환중계를 차단하여 부정거래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부정거래는 금융감독원 등의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정보 또는 전자금융사기 예방서비스, 원터치 리모컨 등 금융회사의 보안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연계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교환대상 매칭부(230)는 상기 교환대상 인증평가부에서 인증되어 평가된 교환대상에 대해 단말기의 사용자를 매칭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를 매칭시키기 위해 상기 교환대상 매칭부(230)는 알림모듈(231), 그룹핑모듈(232) 및 교환승인모듈(233)을 포함한다.
알림모듈(231)은 사용자와 사용자를 1:1로 매칭시키는 것으로서, 제공된 교환대상과 희망대상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와 사용자를 매칭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교환대상의 재화 또는 용역에 대해 구매를 요청한 사용자가 있는지를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구매알림 메시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제공하는 교환대상과 희망대상이 등록된 상태에서, 제2 사용자가 등록한 교환대상과 희망대상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알림모듈(231)은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를 매칭시키고 각 사용자에게 교환대상과 희망대상이 서로 일치한 결과에 대한 구매알림 메시지를 제공한다.
그룹핑모듈(232)은 교환대상의 재화 또는 용역에 대해 판매 및 구매를 요청한 사용자들을 그룹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알림모듈(231)에서 사용자와 사용자의 1:1 매칭에 대한 확률은 극히 나게 도출될 수 있다. 즉, 재화 또는 용역의 1:1 매칭은 가격의 오차범위뿐만 아니라 서로 희망하는 대상이 일치해야 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매칭을 충족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3 사용자, 제4 사용자 또는 제5 사용자를 포함하는 다자간 매칭을 통해 사용자들을 매칭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에 적용된 교환대상 매칭부의 매칭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5의 (a)는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의 1:1 매칭을 나타낸 것으로,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가 제공하는 교환대상과 희망대상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b)는 제1 사용자 내지 제3 사용자를 통해 그룹핑된 매칭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가 제공하는 교환대상은 제2 사용자가 희망하는 희망대상이고, 제2 사용자가 제공하는 교환대상은 제3 사용가가 희망하는 희망대상이며, 제3 제공자가 제공하는 교환대상은 제1 사용자가 희망하는 희망대상이다.
이에, 상기 그룹핑모듈(232)은 제1 사용자 내지 제3 사용자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사용자 모두에게 구룹핑된 결과의 메시지를 제공한다.
교환승인모듈(233)은 상기 그룹핑모듈(232)을 통해 그룹핑된 사용자의 단말기로 교환 대한 메시지를 제공하여 요청하고, 상기 교환요청에 대해 승인을 수신하여 상기 교환대상을 매칭시킨다.
이때, 교환대상의 매칭은 그룹핑된 전체 사용자의 승인에 의해 이루어지되, 한 명이라도 설정된 시간 내에 승인하지 않으면, 상기 그룹핑모듈(232)에서 그룹핑된 결과는 파기하도록 구성된다.
유통교환부(240)는 상기 교환대상 매칭부를 통해 매칭된 사용자의 단말기로 교환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여 매칭된 상기 교환대상이 유통되도록 유통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에서는 재화 및 용역의 교환에 따른 부정거래를 방지하기 위해 재화 및 용역의 교환시 그에 대응하는 유가성 자산(예를 들면, 현금 등)을 미리 예치하고, 교환이 종료되면 예치된 자산을 반환하도록 하여 부정거래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유통교환부(240)는 예치금 확인모듈(241), 교환제공모듈(242), 교환완료검출모듈(243) 및 예치금반환모듈(2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치금 확인모듈(241)은 교환대상에 대응하는 예치금을 지정된 계좌로 입금하도록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고, 제공된 상기 계좌에 예치금이 입금되었는 확인 한다.
예치금은 상기 교환대상 인증평가부에서 인증평가된 가치와 동일한 금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교환거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예치금을 지정된 계좌에 입금하여야 하고, 예치금이 입금되지 않으면 교환대상을 교환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게 된다.
교환제공모듈(242)은 상기 예치금확인모듈(241)의 확인 결과 예치금이 입금된 경우, 상기 단말기로 교환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교환대상이 유통되도록 유통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교환제공모듈(242)은 매칭된 사용자 전부가 예치금이 입금된 경우에만 상기 단말기로 교환을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설정된 시간 내에 한 명이라도 예치금을 입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교환대상 매칭부에서 매칭된 정보는 삭제하게 된다. 상기에서 매칭된 정보가 삭제되는 경우, 입금된 나머지 사용자들로부터 입금된 예치금은 전액 반환되도록 구성된다.
교환완료검출모듈(243)은 상기 교환제공모듈(242)에서 제공된 유통정보에 대해 교환완료에 대한 수신정보를 검출한다.
매칭에 따른 교환대상은 직거래, 택배, 현장방문, 내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시간이 요구된다.
특히, 용역의 제공에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의 소요에 따라 소정의 시간이 경과 후, 상기 교환완료검출모듈(243)은 매칭된 단말기로 교환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전송된 상기 메시지를 통해 매칭된 단말기의 사용자 전부가 교환완료를 승인하면 교환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예치금반환모듈(244)은 상기 교환완료검출모듈(243)의 검출결과, 교환이 완료된 경우 상기 계좌에 입금된 예치금을 상기 예치금을 입금한 사용자의 계좌로 입금하여 반환한다.
여기서, 반환되는 예치금은 중계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이 반환된다.
이에, 상기 중계서버(200)는 안정된 수익을 창출할 수 있고, 사용자 사이의 부정거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화 및 용역을 교환 또는 거래하는 과정에서 재화 및 영역의 가치를 정확하게 평가하여 재화 및 용역을 교환할 수 있고, 예치금의 입금과 반환을 통해 부정거래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재화 및 용역이 안전한 상태에서 교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전체 또는 부분적 기능들은 일련의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기계어로 번역한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그러한 소프트웨어가 컴퓨터를 통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음을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외에도,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단말기
200: 중계서버
210: 교환대상 등록부
220: 교환대상 인증평가부
230: 교환대상 매칭부
240: 유통교환부

Claims (9)

  1. 재화 또는 용역을 포함하는 교환대상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재화 또는 용역을 포함하는 교환대상을 등록하고, 등록된 상기 교환대상을 인증하여 평가하며, 평가된 상기 교환대상에 대하여 교환대상 단말기의 사용자를 매칭하고, 매칭된 사용자를 그룹핑하여 교환대상을 교환하도록 중계하는 중계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계서버는,
    재화와 용역을 포함하는 교환대상을 등록하는 교환대상 등록부;
    상기 교환대상 등록부에 등록된 교환대상에 대하여 인증하고 평가하는 교환대상 인증평가부;
    상기 교환대상 인증평가부에서 인증되어 평가된 교환대상에 대해 단말기의 사용자를 매칭시키는 교환대상 매칭부; 및
    상기 교환대상 매칭부를 통해 매칭된 사용자의 단말기로 교환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여 매칭된 상기 교환대상이 유통되도록 유통정보를 제공하는 유통교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교환대상 등록부는,
    상기 교환대상이 재화인 경우 재화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재화등록모듈; 및
    상기 교환대상이 용역이 경우 용역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용역등록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교환대상 인증평가부는,
    상기 교환대상이 재화인 경우 물품 분류, 물품명, 구매시기, 사용기간, 제품 상태, 결함 유무, 희망가격 및 중고가시세에 근거하여 재화의 가치를 평가하는 재화인증평가모듈; 및
    상기 교환대상이 용역인 경우 자격증 유무, 경력을 포함하는 용역인증정보에 근거하여 용역지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상기 용역지수를 용역단가표에 적용하여 용역의 가치를 평가하는 용역인증평가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교환대상을 제공한 사용자에 대해 부정거래 경력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부정거래 확인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교환대상 매칭부는,
    상기 교환대상의 재화 또는 용역에 대해 구매를 요청한 사용자가 있는지를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구매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알림모듈;
    상기 교환대상의 재화 또는 용역에 대해 판매 및 구매를 요청한 사용자들을 그룹핑하는 그룹핑모듈; 및
    상기 그룹핑모듈을 통해 그룹핑된 사용자의 단말기로 교환요청하고, 상기 교환요청에 대해 승인을 수신하여 상기 교환대상을 매칭시키는 교환승인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통교환부는,
    상기 교환대상에 대응하는 예치금을 지정된 계좌로 입금하도록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고, 제공된 상기 계좌에 예치금이 입금되었는 확인하는 예치금 확인모듈;
    상기 예치금 확인모듈의 확인 결과 예치금이 입금된 경우, 상기 단말기로 교환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교환대상이 유통되도록 유통정보를 제공하는 교환제공모듈;
    상기 교환제공모듈에서 제공된 유통정보에 대해 교환완료에 대한 수신정보를 검출하는 교환완료검출모듈; 및
    상기 교환완료검출모듈의 검출결과, 교환이 완료된 경우 상기 계좌에 입금된 예치금을 상기 예치금을 입금한 사용자의 계좌로 입금하여 반환하는 예치금반환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예치금 확인모듈의 예치금은 상기 교환대상 인증평가부에서 인증평가된 가치와 동일한 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예치금반환모듈에서 반환되는 예치금은 중계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
KR1020200166801A 2020-12-02 2020-12-02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 KR202200776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801A KR20220077654A (ko) 2020-12-02 2020-12-02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801A KR20220077654A (ko) 2020-12-02 2020-12-02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654A true KR20220077654A (ko) 2022-06-09

Family

ID=81985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801A KR20220077654A (ko) 2020-12-02 2020-12-02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765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074A (ko) 2000-07-24 2002-02-01 송재화 물물 교환형 전자 상거래 시스템
KR20130134444A (ko) 2012-05-31 2013-12-10 주식회사 제노웰 모바일 네트워크를 이용한 물물교환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41876A (ko) 2018-06-15 2019-12-26 최서윤 물물 교환 중개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074A (ko) 2000-07-24 2002-02-01 송재화 물물 교환형 전자 상거래 시스템
KR20130134444A (ko) 2012-05-31 2013-12-10 주식회사 제노웰 모바일 네트워크를 이용한 물물교환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41876A (ko) 2018-06-15 2019-12-26 최서윤 물물 교환 중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6631B2 (en) Credit and transaction systems
KR101379168B1 (ko) 온라인 인증 서비스 방법
US8612344B2 (en) Online processing for offshore business transactions
US20220270087A1 (en) Asset trading system enabling transparent trading history management
US20170046758A1 (en) Payment Approval Platform
US90821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action authorization and dynamic memberhips to facilitate E-commerce
KR20100112694A (ko) 인터넷 중개 사이트를 이용한 인터넷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12519342A (ja) オンラインオークションマーケットプレース環境において流動資金を提供するための装置
US201401565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xchange of gift cards
US20190392447A1 (en) Secure authentication and financial attributes services
US20170046665A1 (en) Payment Approval Platform
KR102020006B1 (ko) 리뷰 권한을 대상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US20240046229A1 (en) An operating computer for payment settlement, payment settlement system, and payment settlement method
KR102366405B1 (ko) 상품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140557A1 (en) E-commerce based payment system with authentication of electronic invoices
TW201013557A (en) Online processing for offshore business transactions
KR20150126465A (ko) 온라인을 이용한 자동차 견적정보 제공 시스템
KR20200041714A (ko) 해외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
US201500815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on of an entity
KR102252857B1 (ko) 거래내역을 이용한 동일성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77654A (ko) 국제교류 플랫폼 내 클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
Safibullaevna et al. Projecting Parametres Trade Electronic Platform
US20230394472A1 (en) Federated Currency Payment Exchange System
Safibullaevna et al. Analysis of Projecting the Electronic Trading System
CN115018644A (zh) 一种车辆线上交易信息的处理方法、装置和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