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554A - 헬멧용 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 Google Patents

헬멧용 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554A
KR20220077554A KR1020200166602A KR20200166602A KR20220077554A KR 20220077554 A KR20220077554 A KR 20220077554A KR 1020200166602 A KR1020200166602 A KR 1020200166602A KR 20200166602 A KR20200166602 A KR 20200166602A KR 20220077554 A KR20220077554 A KR 20220077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shield
display area
area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테크니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테크니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테크니끄
Priority to KR1020200166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7554A/ko
Priority to CN202121722785.5U priority patent/CN216059391U/zh
Publication of KR20220077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2Opt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장치를 포함하는 헬멧에 결합 가능한 헬멧용 쉴드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로부터 투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시켜 착용자가 상기 영상을 시인하도록 하는 평판 형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헬멧용 쉴드의 다른 영역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헬멧용 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Helmet shield and helme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장치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헬멧용 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동차의 HUD(Head Up Display)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운전자는 전방을 주시하여 운전에 집중하는 동시에 운전에 필요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운전자가 HUD 기술을 통해 네비게이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네비게이션 정보의 확인을 위해 전방을 주시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사고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HUD 기술은 운전자에게 유용한 기술로 인정되고 있다.
HUD 기술은 일종의 증강 현실에 관련된 기술로서, 이러한 HUD 기술을 자동차가 아닌 오토바이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예컨대, 오토바이 운전자가 착용하는 헬멧 내에 쉴드와 별도로 디스플레이부를 갖추고, 해당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운전자에게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위와 같이 헬멧 내에 쉴드와 별도의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하여 운전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헬멧 내 디스플레이부의 설치를 위해 필요 이상으로 헬멧의 부피를 크게 설계하여 제작해야 하고, 가시거리 확보를 위해 높은 수준의 기술을 적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현재까지 모든 관련 회사들이 제품화, 양산화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써,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3806호 (2018.09.11)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헬멧의 착용자가 영상을 시인할 수 있는 헬멧용 쉴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헬멧용 쉴드의 다른 영역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헬멧용 쉴드, 그리고 헬멧용 쉴드를 포함하는 헬멧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쉴드는,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장치를 포함하는 헬멧에 결합 가능한 헬멧용 쉴드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로부터 투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시켜 착용자가 상기 영상을 시인하도록 하는 평판 형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헬멧용 쉴드의 다른 영역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쉴드는,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장치를 포함하는 헬멧에 결합 가능한 헬멧용 쉴드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로부터 투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시켜 착용자가 상기 영상을 시인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헬멧용 쉴드의 다른 영역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착용자가 상기 영상을 확대하여 시인하도록 굴곡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굴곡도와 상기 헬멧용 쉴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굴곡도는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굴곡도는 상기 헬멧용 쉴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굴곡도에 비해 작은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서로 마주보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면의 굴곡도와 상기 제2 면의 굴곡도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반사율과 상기 헬멧용 쉴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반사율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반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평균 두께와 상기 헬멧용 쉴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평균 두께는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헬멧용 쉴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며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쉴드는, 적어도 일부가 개구된 헬멧 본체, 상기 헬멧 본체의 개구 중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헬멧 본체에 부착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적어도 하나의 항에 기재된 헬멧용 쉴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광을 투사하는 영상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헬멧용 쉴드는, 상기 헬멧의 전면 중 상부 일부를 덮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헬멧 내에 별도의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헬멧용 쉴드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착용자가 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착용자가 선명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헬멧 내에 별도의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하지 않고 헬멧용 쉴드의 일부 영역을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헬멧의 부피를 키우지 않더라도 착용자가 선명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헬멧용 쉴드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영역이 굴곡을 가지고 있으므로, 착용자가 확대된 영상을 시인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쉴드를 포함하는 헬멧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헬멧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포함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쉴드를 포함하는 헬멧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포함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쉴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쉴드를 포함하는 헬멧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의미를 간략히 설명한다. 그렇지만 용어의 설명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명시적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사항으로 기재하지 않은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100)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쉴드(120)를 포함하는 헬멧(100)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헬멧(100)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포함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100)은 헬멧 본체(110), 헬멧용 쉴드(120), 영상장치(130), 제어모듈(140), 후방 센서(150) 및 조작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헬멧(100)은 전술한 구성요소보다 상대적으로 많거나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착용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100)을 착용한 상태에서 영상장치(130)를 통해 광이 헬멧용 쉴드(120)에 투사되고 착용자는 헬멧용 쉴드(120)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시인하게 됨으로써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헬멧 본체(110)는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어 있어서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다. 헬멧 본체(110)에 헬멧용 쉴드(120), 영상장치(130), 제어모듈(140), 후방 센서(150) 및 조작모듈(160)이 장착되거나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헬멧 본체(110)는 헬멧 이외에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다양한 형상의 웨어러블 장치로 대체될 수 있으며, 예컨대 웨어러블 장치로서 헬멧 본체(110) 대신 헤어 밴드 등이 이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헬멧용 쉴드(120)는 헬멧(100)에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헬멧 본체(110)의 개구 중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헬멧 본체(110)에 부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헬멧용 쉴드(120)는 헬멧(100)과의 결합을 위해 결합영역(124)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결합영역(124)은 예컨대 적어도 일부가 개구된 형상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착용자가 헬멧(100)을 착용한 경우 헬멧용 쉴드(120)는 착용자의 얼굴 정면에 위치한다. 헬멧용 쉴드(120)는 착용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쉴드(120)는 제1 쉴드영역(121), 제2 쉴드영역(122) 및 제3 쉴드영역(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쉴드영역(121)은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정의되고, 제2 쉴드영역(122)은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포함하지 않으며 헬멧용 쉴드(120)에서 상대적으로 제1 쉴드영역(121) 위에 형성된 영역으로 정의되고, 제3 쉴드영역(123)은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포함하지 않으며 헬멧용 쉴드(120)에서 상대적으로 제1 쉴드영역(121) 아래에 형성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헬멧용 쉴드(120)는 제2 쉴드영역(122)과 제3 쉴드영역(123) 사이에 제1 쉴드영역(121)이 위치하여 형성된다. 착용자가 헬멧용 쉴드(120)가 포함된 헬멧(100)을 착용한 경우, 제2 쉴드영역(122)은 착용자의 눈과 코 주변에 위치하여 착용자는 제2 쉴드영역(122)을 통해 외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쉴드영역(121)은 착용자의 코와 입 주변에 위치하여 착용자는 외부 시야 확보에 방해를 받지 않고 제1 쉴드영역(121)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통해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 쉴드영역(121)은 헬멧용 쉴드(120)를 헬멧(100)에 착용한 경우 소정거리 아래 지점에서부터 하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착용자의 코 높이 주변과 대응되는 지점에서부터 하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쉴드영역(121)은 일반적인 헬멧(100) 쉴드와 다른 각도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도 2와 같이 착용자가 헬멧(100)을 착용하고 전방을 주시한 상태에서 시선을 전방 또는 하측으로 향하였을 때 시선과 수직에 가깝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쉴드영역(123)은 착용자의 입과 턱 주변에 위치하여 착용자의 코 또는 입에서 나오는 습기가 제3 쉴드영역(123)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로, 제1 쉴드영역(121)과 제2 쉴드영역(122)은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영역(121a)은 헬멧용 쉴드(120) 중 영상장치(130)로부터 광이 투사되는 영역이다. 디스플레이 영역(121a)은 헬멧용 쉴드(120)의 일부 영역으로서 헬멧용 쉴드(120)의 다른 영역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이 포함되는 제1 쉴드영역(121)은 제2 쉴드영역(122) 및 제3 쉴드영역(123)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영역(121a)은 제1 쉴드 영역(121) 내에서도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제외한 다른 영역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영역(121a)은 영상장치(130)로부터 투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시켜 착용자가 영상을 시인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효과적인 반사를 위해 디스플레이 영역(121a)은 반사부재(미도시)를 포함하거나, 상대적으로 반사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내측 또는 외측이 반사필름과 같은 반사부재(미도시)로 코팅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반사율(reflectivity)은 예컨대 10%에서 90% 사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반사율이 10% 이하의 경우 착용자가 디스플레이 영역(121a)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통해 이미지를 명확하게 인식하기 어려우며,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반사율이 90% 이상의 경우 반사된 화면이 착용자의 전면 시야를 가림으로써 안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반사율과 헬멧용 쉴드(120)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반사율은 상이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반사율이 헬멧용 쉴드(120)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반사율보다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영역(121a)이 포함된 제1 쉴드영역(121)의 반사율이 제2 쉴드영역(122) 및 제3 쉴드영역(123)의 반사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쉴드영역(121) 내에서도 디스플레이 영역(121a)과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반사율이 상이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반사율이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반사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쉴드(120)에 따르면, 영상장치(130)로부터 투사되는 광이 디스플레이 영역(121a) 외에는 반사가 잘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착용자가 선명한 영상을 집중해서 볼 수 있고 반사된 영상에 방해받지 않고 외부를 잘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121a)은 광의 반사를 위해 헬멧용 쉴드(120)의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헬멧용 쉴드(120) 중 디스플레이 영역(121a)은 반사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평균 두께와 헬멧용 쉴드(120)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평균 두께는 상이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포함하는 제1 쉴드영역(121)의 두께가 반사부재(미도시)로 인하여 제2 쉴드영역(122)의 두께에 비해 두꺼울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제외한 다른 영역, 즉 제2 쉴드영역(122) 및 제3 쉴드영역(123)에 반사방지부재(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제2 쉴드영역(122) 및 제3 쉴드영역(123)의 내측 또는 외측이 반사방지필름과 같은 반사방지부재(미도시)로 코팅되거나 제1 쉴드 영역(121) 중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내측 또는 외측이 반사방지필름과 같은 반사방지부재(미도시)로 코팅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쉴드(120)에 따르면, 영상장치(130)로부터 투사되는 광이 디스플레이 영역(121a) 외에는 반사가 잘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착용자가 선명한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영역(121a)은 평판 형상일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은 실질적으로 평면일 수도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서로 수직한 단면이 모두 평편할 수 있으며,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제1 방향의 단면과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의 단면이 모두 평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121a)이 평판 형상이기 때문에, 영상장치(130)로부터 투사되는 광의 굴절을 최소화함으로써 착용자가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통해 선명한 영상을 보면서 반사된 영상에 방해받지 않고 제2 쉴드영역(122)을 통해서는 외부 또한 잘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영역(121a)은 착용자가 영상장치(130)의 영상을 확대하여 시인할 수 있도록 굴곡을 가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영역(121a)이 굴곡을 가짐으로써 영상의 확대를 위한 렌즈 기능(예컨대, 오목 렌즈)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쉴드(120)에 따르면 영상장치(130)에 영상의 확대를 위한 별도의 구성이 포함되지 않더라도 착용자가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통해 확대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가시성이 높아질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은 제1 방향(도 3 참조) 또는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도 3 참조)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에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영역(121a)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서 서로 수직한 제1 방향과 제2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따라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영역(121a)에 형성되는 굴곡은 헬멧용 쉴드(120)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 형성되는 굴곡과는 굴곡의 형성 목적과 굴곡의 정도가 다르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헬멧용 쉴드(120)는 예컨대 구 형상의 헬멧 본체(110)의 개구 중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굴곡을 가지는 경우가 많고, 또한 주행 과정에서 헬멧용 쉴드(120)가 바람의 저항을 덜 받도록 하기 위해 굴곡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이에 비해, 디스플레이 영역(121a)에 형성되는 굴곡은 헬멧 본체(110)의 형상이나 바람의 저항으로부터 기인한 형상이 아니며, 영상의 확대 목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쉴드(120)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굴곡도와 헬멧용 쉴드(120)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굴곡도는 상이하며,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굴곡도는 헬멧용 쉴드(120)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굴곡도에 비해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굴곡도는 제2 쉴드영역(122) 및 제3 쉴드영역(123)의 굴곡도와 상이하며,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굴곡도는 제2 쉴드영역(122) 및 제3 쉴드영역(123)의 굴곡도에 비해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굴곡도는 제1 쉴드영역(121) 중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굴곡도에 비해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쉴드(120)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굴곡도와 헬멧용 쉴드(120)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굴곡도가 상이하다는 것은,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제1 방향(도 3 참조)의 굴곡도와 헬멧용 쉴드(120)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제1 방향의 굴곡도가 상이하거나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제2 방향(도 3 참조)의 굴곡도와 헬멧용 쉴드(120)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제2 방향의 굴곡도가 상이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제1 방향의 굴곡도가 헬멧용 쉴드(120)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제1 방향의 굴곡도보다 작거나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제2 방향의 굴곡도가 헬멧용 쉴드(120)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제2 방향의 굴곡도보다 작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영역(121a)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상황에서 굴곡을 가질 수 있지만, 몇몇 실시예에서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영역(121a)에서 두께가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은 서로 마주보는 제1 면(121_1) 및 제2 면(121_2)을 포함하며, 제1 면(122a)의 굴곡도와 제2 면의 굴곡도(122b)가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영역(121a)은 제1 면(121_1) 및 제2 면(121_2) 중 어느 하나의 면에 대해서만 추가 가공을 하여 제1 면(121_1) 및 제2 면(121_2)이 상이한 굴곡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제1 면(121_1) 및 제2 면(121_2) 중 어느 하나의 면은 제2 쉴드영역(122) 및 제3 쉴드영역(123)과 동일하거나 연속적인 굴곡도를 가질 수 있고,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제1 면(121_1) 및 제2 면(121_2) 중 다른 하나의 면은 제2 쉴드영역(122) 및 제3 쉴드영역(123)과 상이한 굴곡도를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제1 면(121_1) 및 제2 면(121_2) 중 어느 하나의 면은 제1 쉴드영역(121) 중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제외한 다른 영역과 동일하거나 연속적인 굴곡도를 가질 수 있고,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제1 면(121_1) 및 제2 면(121_2) 중 다른 하나의 면은 제1 쉴드영역(121) 중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제외한 다른 영역과 상이한 굴곡도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제1 면(121_1) 및 제2 면(121_2)이 상이한 굴곡도를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평균 두께와 헬멧용 쉴드(120)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평균 두께는 상이할 수 있으며, 즉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포함하는 제1 쉴드영역(121)의 두께와 제2 쉴드영역(122)의 두께는 상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의 두께와 제1 쉴드영역(121) 중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제외한 영역의 두께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헬멧용 쉴드(120)의 수직 방향 단면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제외한 다른 영역 중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영역(121a)과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며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제외한 다른 영역 중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영역(121a)과 둔각을 이룰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자세하게, 헬멧용 쉴드(120)의 수직 방향 단면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은 제2 쉴드영역(122)과도 둔각을 이루고 제3 쉴드영역(123)과도 둔각을 이룰 수 있으며, 제2 쉴드영역(122), 디스플레이 영역(121a) 및 제3 쉴드영역(123)은 연속적으로 이어져 요철 또는 S자 커브를 형성할 수 있다.
영상 장치(130)가 착용자의 이마 부근에 위치하는 상황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제외한 다른 영역 중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영역(121a)과 둔각을 이루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영역(121a)은 영상장치(130)로부터 수직 광에 가까운 광을 받을 수 있으며, 이마 또는 눈 부위에 위치하는 영상장치(130)로부터 투사되는 광을 손실을 최소화하여 디스플레이 영역(121a)으로부터 착용자의 눈을 향해 광을 반사 시킬 수 있다.
이 밖에, 제3 쉴드영역(123)이 착용자로부터 멀어지도록 디스플레이 영역(121a)과 제3 쉴드영역(123)이 둔각을 이루며, 이를 통해 헬멧용 쉴드(120)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입과 코에 의해 발생하는 습기가 디스플레이 영역(121a)에 맺히지 않고 헬멧용 쉴드(120)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영상장치(130)는 헬멧 본체(1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와 같이 헬멧 본체(110) 내부 전면의 상측 즉, 착용자의 이마 근처와 대응되는 위치에 영상장치(130)가 마련될 수 있다.
영상장치(130)는 도 2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121a)를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장치(130)로부터 조사된 광이 디스플레이 영역(121a)로 바로 투영될 수도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반사판(미도시)을 통해 반사된 광이 투영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는 영상장치(130)에서 조사된 광이 디스플레이 영역(121a)로 직접 투영되고 있지만, 헬멧(100)의 구조상 직접 투영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어렵다면 헬멧(100) 내부에 반사판(미도시)을 마련하고 영상장치(130)에서 조사된 광이 반사판을 경유하여 디스플레이 영역(121a)로 투영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100a)을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100)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쉴드(120a)를 포함하는 헬멧(100a)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포함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쉴드(120a)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쉴드(120a)는 제2 쉴드영역(122)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착용자가 헬멧(100a)을 착용하더라도 착용자의 눈 부위가 헬멧용 쉴드(120a)에 의해 보호되지 않지만, 착용자는 디스플레이 영역(121a)을 통해 문제없이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100b)을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100)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쉴드(120b)를 포함하는 헬멧(100b)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100b)은 자전거용 헬멧 본체(110)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쉴드(120b)는 제1 쉴드영역(121)을 포함하지만, 제2 쉴드영역(122) 및 제3 쉴드영역(123)은 포함하지 않는다. 영상 장치(130)는 헬멧(100b)에 외장 설치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 쉴드영역(121)의 디스플레이 영역(121a)를 통해 영상장치(130)의 투영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헬멧(100) 착용자의 전방 시선을 전혀 방해하지 않으며 각종 정보들을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며, 이를 통해 헬멧(100)의 크기를 과도하게 늘리지 않으면서도 부가적인 디스플레이부 도입없이 기존 구성을 이용하여 제작의 편이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다른 헬멧에 비해 현저하게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 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100a, 100b: 헬멧
110: 헬멧 본체
120: 헬멧용 쉴드
121: 제1 쉴드영역
121a: 디스플레이 영역
122: 제2 쉴드영역
123: 제3 쉴드영역
124: 결합영역
130: 영상장치
140: 제어모듈
150: 후방 센서
160: 조작모듈

Claims (11)

  1.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장치를 포함하는 헬멧에 결합 가능한 헬멧용 쉴드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로부터 투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시켜 착용자가 상기 영상을 시인하도록 하는 평판 형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헬멧용 쉴드의 다른 영역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인, 헬멧용 쉴드.
  2.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장치를 포함하는 헬멧에 결합 가능한 헬멧용 쉴드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로부터 투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시켜 착용자가 상기 영상을 시인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헬멧용 쉴드의 다른 영역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착용자가 상기 영상을 확대하여 시인하도록 굴곡을 갖는 것인, 헬멧용 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굴곡도와 상기 헬멧용 쉴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굴곡도는 상이한 것인, 헬멧용 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굴곡도는 상기 헬멧용 쉴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굴곡도에 비해 작은 값을 갖는 것인, 헬멧용 쉴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서로 마주보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면의 굴곡도와 상기 제2 면의 굴곡도가 상이한 것인, 헬멧용 쉴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반사율과 상기 헬멧용 쉴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반사율은 상이한 것인, 헬멧용 쉴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헬멧용 쉴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평균 두께와 상기 헬멧용 쉴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평균 두께는 상이한 것인, 헬멧용 쉴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용 쉴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미리 정해진 각도를 이루며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인, 헬멧용 쉴드.
  10. 적어도 일부가 개구된 헬멧 본체;
    상기 헬멧 본체의 개구 중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헬멧 본체에 부착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적어도 하나의 항에 기재된 헬멧용 쉴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광을 투사하는 영상장치를 포함하는, 헬멧.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용 쉴드는, 상기 헬멧의 전면 중 상부 일부를 덮지 않는 것인, 헬멧.
KR1020200166602A 2020-12-02 2020-12-02 헬멧용 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KR20220077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602A KR20220077554A (ko) 2020-12-02 2020-12-02 헬멧용 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CN202121722785.5U CN216059391U (zh) 2020-12-02 2021-07-27 头盔用防护罩及包括该防护罩的头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602A KR20220077554A (ko) 2020-12-02 2020-12-02 헬멧용 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554A true KR20220077554A (ko) 2022-06-09

Family

ID=80666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602A KR20220077554A (ko) 2020-12-02 2020-12-02 헬멧용 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77554A (ko)
CN (1) CN216059391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3806A (ko) 2014-10-14 2016-04-2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다기능 헬멧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3806A (ko) 2014-10-14 2016-04-2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다기능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6059391U (zh) 2022-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1727B2 (en) Virtual image display device
US5000544A (en) Helmet system with optical display projection system including a cylindrical refractive surface
US10162180B2 (en) Efficient thin curved eyepiece for see-through head wearable display
US9046687B2 (en) Virtual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277557B1 (ko) 낮은 관성 모멘트와 낮은 무게 중심을 가진 저가, 저중량 헤드장착 허상 투영 디스플레이
US11513354B2 (en) Light guide for an HMD, HMD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 image in an HMD
US9465217B2 (en) Virtual image display apparatus
WO2018092720A1 (ja) 情報表示装置
US20020186179A1 (en) Optical display device
JP6163791B2 (ja) 虚像表示装置
CN107272184A (zh) 具有图案化光学合路器的透视弯曲目镜
US20170276946A1 (en) Image display device
JP2018054977A (ja) 虚像表示装置
KR102289469B1 (ko) 헬멧용 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KR20220077554A (ko) 헬멧용 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TWM531151U (zh) 投射式顯示裝置之安全帽
TWI645220B (zh) 使用全像元件之車用抬頭顯示器
US20230144296A1 (en) Fresnel lenses with reduced optical artifacts
WO2021197060A1 (zh) 头戴显示设备
KR20100016520A (ko) 차량 대쉬보드의 유리
KR102441005B1 (ko) 헬멧 탈부착식 ar 디바이스
JP6380620B2 (ja) 虚像表示装置
JP2022025897A (ja) 虚像表示装置及び光学ユニット
JP2020160275A (ja) 虚像表示装置
US20220163805A1 (en) Display module, virtual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light-guiding optical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