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529A - 온라인 상의 부동산 정보시장 교란 차단 및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상의 부동산 정보시장 교란 차단 및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529A
KR20220077529A KR1020200166549A KR20200166549A KR20220077529A KR 20220077529 A KR20220077529 A KR 20220077529A KR 1020200166549 A KR1020200166549 A KR 1020200166549A KR 20200166549 A KR20200166549 A KR 20200166549A KR 20220077529 A KR20220077529 A KR 20220077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rty
real estate
information
sale
mar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민
Original Assignee
김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민 filed Critical 김동민
Priority to KR1020200166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7529A/ko
Publication of KR20220077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5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의 부동산 정보시장 교란 차단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은 부동상 중개거래 플랫폼을 이용하여 임대관리를 위해 매물 등록시, 해당 매물에 대한 소유권자 확인 후, 등록한 매물에 대한 상세주소정보 노출차단을 요청하는 임대인 단말; 및 상기 임대인 단말로부터 주소정보 노출차단이 요청되면, 해당 매물의 상세주소정보와 동일한 상세주소정보로 매물등록을 시도하는 외부단말로 매물등록 불허 경고메시지를 상기 외부단말로 제공하는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세주소정보는 상기 매물의 지번, 동, 층, 호를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라인 상의 부동산 정보시장 교란 차단 및 정보 제공 시스템{system that blocks disturbance in the real estate information market and provides information}
본 발명은 온라인 상의 부동산 정보시장 교란 차단 및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부동산 거래는 인터넷 기술의 발달과 함께 종래 오프라인 방식에 의존하던 부동산 중개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부동산 중개 매물 정보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변화되고 있다. 온라인으로 매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전문적으로 운영되는 사이트에 매물을 등록하여 홍보하는 방법, 개인 웹 페이지 또는 카페, 블로그 등을 통하여 매물을 홍보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공급자 혹은 중개에 의해 조작된 매물 정보가 매물 정보로 표현되는 '허위 매물'이 온라인 상에 등록되는 바와 같이 온라인 부동산 정보가 효과적으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투명한 시세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시세정보 반영과정에서 중개업자에 의한 잘못 혹은 조작된 정보로 인해 온라인에서의 시세 정보와 실제 시세가 많은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이와 같이, 기존의 부동산 웹 페이지나 부동산 관련 앱은 명확한 해당 부동산의 주소지가 기재되어있지 않으므로 현재 부동산 웹 페이지나 앱으로는 부동산 허위매물을 식별하기 어려운 실정이며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10259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상의 부동산 정보시장 교란 차단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의 부동산 정보시장 교란 차단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은 부동상 중개거래 플랫폼을 이용하여 임대관리를 위해 매물 등록시, 해당 매물에 대한 소유권자 확인 후, 등록한 매물에 대한 상세주소정보 노출차단을 요청하는 임대인 단말; 및 상기 임대인 단말로부터 주소정보 노출차단이 요청되면, 해당 매물의 상세주소정보와 동일한 상세주소정보로 매물등록을 시도하는 외부단말로 매물등록 불허 경고메시지를 상기 외부단말로 제공하는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세주소정보는 상기 매물의 지번, 동, 층, 호를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의 부동산 정보시장 교란 차단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면, 임대인이 매물등록시 해당 매물에 대한 소유권자 인증확인 및 매물의 주소를 필수요건으로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간편 주소입력만으로 매물을 등록하던 시스템들의 부작용을 자정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허위매물을 근절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를 통해 매물 소유권자가 직접 부동산 시장에 참여할 수 있으며 외부의 시장교란 및 왜곡을 견제할 수 있는 자정작용 효과를 제공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의 부동산 정보시장 교란 차단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중 임대인 UI의 실행화면을 나타낸 도로서, 도 2는 주소지 중폭 필터링 인터페이스의 일 에시도이고, 도 3은 주소지 지정신청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주소지 지정 매물등록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도이다.
도 6은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의 관리자 UI의 일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의 부동산 정보시장 교란 차단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의 부동산 정보시장 교란 차단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중 임대인 UI의 실행화면을 나타낸 도로서, 도 2는 주소지 중폭 필터링 인터페이스의 일 에시도이고, 도 3은 주소지 지정신청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주소지 지정 매물등록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도이다. 도 6은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의 관리자 UI의 일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의 부동산 정보시장 교란 차단 및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매물 소유주 또는 매물 소유주가 지정한 대리인만이 해당 매물에 대한 매물등록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라인 부동산 시장 내에 발생하는 허위 매물 정보가 근절 되도록 하기 위한 발명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의 부동산 정보시장 교란 차단 및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임대인 단말(200) 및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버서(300)를 포함한다.
상기 임대인 단말(200) 및 상기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임대인 단말(200)은 부동상 중개거래 플랫폼(10)을 이용하여 임대관리를 위해 매물등록시, 해당 매물에 대한 소유권자 확인절차 후, 등록한 매물에 대한 상세주소정보(지번, 동, 층, 호)를 제공하고, 등록한 매물에 대한 상세주소정보 노출차단을 요청하는 임대인의 단말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임대인 단말(200)은 소유매물에 대한 매물등록권한을 제3 자에게 위임할 수 있고, 이때, 매물등록권한을 위임받을 제3 자의 신상정보를 상기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자의 신상정보는 이름, 연락처, 아이디 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임대인 단말(200)은 매물의 소유자로부터 매물등록권한을 위임받은 제3자의 단말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임대인 단말(200)은 상기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의 회원가입조건으로 개인일 경우, 이름, 이메일, 비밀번호, 휴대번호, 소유매물의 종류, 소유매물의 주소(지번, 동, 층, 호)를 필수정보로 제공하고, 법인일 경우, 법인명, 이메일, 비밀번호, 휴대번호, 소유매물의 종류, 소유매물의 주소(지번, 동, 층, 호), 사업자등록증을 필수정보로 제공한다.
여기서, 임대인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임차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임차인 단말(2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10)은 후술하는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서버(300)에서 제공하는 부동산 중개거래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일 수 있다.
본원에서 언급하는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10)은 10-20162982호(발명의 명칭: 부동산 허위/중복 매물 방지 및 안심 거래 서비스 시스템)에 개시된 플랫폼과 동일한 플랫폼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도자의 매물등록 시에 허위매물 여부를 필터링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추가한 플랫폼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10-20162982호(발명의 명칭: 부동산 허위/중복 매물 방지 및 안심 거래 서비스 시스템)에 추가된 서비스 기능만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원의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10)은 주소지 중복 필터링 인터페이스(11), 주소지 지정신청 인터페이스(12), 주소지 지정 매물 등록 인터페이스(13)를 포함한다.
한편, 본원의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10)은 회원가입조건으로 개인일 경우, 이름, 이메일, 비밀번호, 휴대번호, 소유매물의 종류, 소유매물의 주소(지번, 동, 층, 호)의 입력을 요청하고, 법인일 경우, 법인명, 이메일, 비밀번호, 휴대번호, 소유매물의 종류, 소유매물의 주소(지번, 동, 층, 호), 사업자등록증의 입력을 요청하는 소유주 회원가입 인터페이스(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유주 회원가입 인터페이스(1)는 상술한 주소지 중복 필터링 인터페이스(11)를 포함한다.
상기 주소지 중복 필터링 인터페이스(11)는 상기 매물의 종류 및 주소를 검색 및 입력하기 위한 입력인터페이스로서, 상기 매물이 단독, 다가구 주택일 경우, 지번 입력란을 제공하고, 상기 매물이 연립 및 다세대 주택일 경우, 지번, 층, 호 입력란을 제공하고, 상기 매물이 아파트일 경우, 지번, 동, 층, 호 입력란을 제공한다.
상기 주소지 중복 필터링 인터페이스(11)는 입력된 매물의 주소, 즉, 매도자가 소유한 매물의 소유주소가 기 등록되었는지를 필터링하는 중복 필터링 기능을 제공한다.
상술한 중복 필터링 기능을 통해 무분별한 부동산 업자들의 광고성 허위매물의 등록을 차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매도자가 회원가입 후, 로그인하면, 임대인 UI가 실행되며, 상기 주소지 지정신청 인터페이스(12) 및 주소지 지정 매물등록 인터페이스(13)는 임대인 UI에 포함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상기 주소지 지정신청 인터페이스(12)는 매도자가 지정한 매물등록을 위해 해당 매물의 주소정보, 소유주 이름, 휴대폰, 기타 내용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또한, 등록신청한 날짜, 상태(등록 or 미등록)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다음으로, 주소지 지정 매물 등록 인터페이스(13)는 주소지 지정신청 인터페이스(12)를 통해 주소지 신청이 완료되면, 실행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주소지 지정 매물 등록 인터페이스(13)는 매도자가 매도할 매물의 주소정보를 텍스트로 입력 및 해당 매물을 지도정보로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매물이 단독, 다가구 주택일 경우, 지번 입력란을 제공하고, 상기 매물이 연립 및 다세대 주택일 경우, 지번, 층, 호 입력란을 제공하고, 상기 매물이 아파트일 경우, 지번, 동, 층, 호 입력란을 제공한다.
한편, 매도자가 주소지 지정 매물 등록 인터페이스(13)는 매도자가 등록한 매물에 대한 매물등록 유무에 대한 등록 메시지 또는 경고 메시지를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해당 매물의 상세 주소지를 기초로 기 등록된 매물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등록 메시지를 제공하고, 만약, 해당 매물이 기 등록된 매물의 주소지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경고 메시지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원에 개시하는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10)은 매물의 상세주소 및 소유주 본인 인증확인을 통해서만 매물등록을 할 수 있어, 홍보성 허위매물을 근절할 수 있다.
참고로, 현재 통용되는 허위매물은 간략주소만을 기재할 뿐 해당 매물이 허위매물인지를 알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현재 부동산법의 경우, 매물등록시에 매물의 상세주소를 의무적으로 기입하는 제도가 없다는 허점을 이용하여 일부 부동산 중개업자들이 이를 악용하여 매물의 허위정보(주소)를 남발하고 있다.
한편, 본원의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10)은 매도자를 대신하여 상기 매물등록에 대한 등록권한을 제3자에게 위임하기 위임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자는 가족, 지인 및 공인중개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원의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10)의 임대인 UI는 매물요청관리 인터페이스, 인근매물현황을 관리하기 위한 매물요청관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매물요청관리 인터페이스는 등록한 매물의 매물번호, 매물정보, 권리분석관리, 권리분석등록상태, 매물취소/계약완료 표시기능을 포함한다.
여기서, 매물취소는 홈n런 서비스의 관리자에게 취소요청을 한 후, 관리자의 취소승인 후 진행될 수 있다.
인근매물현황 인터페이스는 등록한 매물의 주변 인근매물 현황을 검색 및 검색결과의 통계치를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검색결과는 매물구분, 종류, 지역, 보증금, 월세, 기간 등의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로서, 매물건수, 검색수, 방문수, 계약건수를 포함하며, 통계치는 막대, 원형 등의 그래프로 표시된다.
또한, 인근매물현황 인터페이스는 본인등록요청매물에 대한 매물건수, 검색수, 방문수, 계약건수에 대한 통계치를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상기 임대인 단말(200)로부터 임대인이 등록한 등록매물의 상세주소정보 노출차단을 요청받으면, 해당 등록매물의 상세주소정보와 동일한 상세주소정보로 매물등록을 시도하는 외부단말로 매물등록 불허 경고메시지를 상기 외부단말로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임대인 단말(200)에서 상기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10)을 통해 등록한 매물의 상세주소정보에 상기 임대인 단말에서 제공한 아이디, 휴대번호를 링크시켜 상기 매물의 등록상태를 관리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부동산 데이터, 부가 데이터, 회원정보, 내부 데이터, 오픈 데이터, 매물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부동산 데이터는 매물 위치, 매물 구분, 매물 가격과 관련된 데이터이고, 내부 데이터는 매물의 지번, 매물의 호수, 매물의 거래내역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고, 부가 데이터는 매물의 등기부등본, 채무정보, 보존가치정보의 데이터이고, 오픈 데이터는 매물이 위치한 지역의 통계 데이터, 지역 통계 지수 데이터, 일반 통계 데이터를 포함하고, 회원정보는 임차인, 임대인, 공인중개사, 매물의 시세정보, 권리가치분석 정보를 포함하고, 매물 데이터는 매물구분, 매물종류, 매물지역, 연계사이트, 매물상세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부동산 데이터, 내부 데이터, 부가 데이터, 오픈 데이터 및 매물 데이터를 활용하여 매물 중복 및 권리가치분석을 분산병렬처리한 매물 통계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매물 분석 처리 엔진을 포함함으로써, 매물의 허위매물 및 중복여부를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부동산 중개거래 관리서버(500)는 관리모듈을 포함하고, 관리모듈은 홈n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임대인, 임차인, 부동산 중개업자의 매물, 매입, 임대차 거래에 따른 고객등급관리, 매물등록관리, 매물통계관리, 지리정보관리를 수행한다.
또한, 관리모듈은 부동산 중개거래 서비스를 이용한 임차인, 임대인, 부동산 중개업자의 서비스 이용 결제를 처리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관리모듈은 임대인 UI, 임차인 UI 및 공인중개사 UI로 구분된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을 제공 및 관리하며, 임대인 UI, 임차인 UI 및 공인중개사 UI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10-20162982호(발명의 명칭: 부동산 허위/중복 매물 방지 및 안심 거래 서비스 시스템)의 내용으로 대체하도록 한다.
부가적인 설명으로, 상기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매물의 위치, 구분 및 가격을 포함하는 부동산 데이터와, 지번 및 호수를 포함하는 내부 데이터와, 등기부 등본, 채무 정보 및 보존 가치를 포함하는 부가 데이터와, 지역 통계 및 지수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픈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채무 정보는 등록된 임대물의 등기부등본상 근저당권, 경매여부 및 채권최고액이 기재된 정보이고, 보존 가치는, 임대인의 신용등급을 가중치로 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빅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하여,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 한 전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분석된 데이터를 시각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마이닝은, 전처리된 데이터 간의 내재된 관계를 탐색하여 클래스가 알려진 훈련 데이터 셋을 학습시켜 새로운 데이터의 클래스를 예측하는 분류(Classification) 또는 클래스 정보 없이 유사성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짓는 군집화(Clustering)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마이닝 방법이 존재할 수 있으며, 수집 및 저장되는 빅데이터의 종류나 이후에 요청될 질의(Query)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마이닝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축된 빅데이터는, 인공신경망 딥러닝이나 기계학습 등으로 검증과정을 거칠수도 있다.
이때, 인공 신경망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구조가 이용될 수 있는데, CNN은 컨볼루션 층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조로 이미지 처리에 적합하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이미지 내의 특징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은 비/반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자연어처리 기술에 기반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 가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다.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통해 방대한 텍스트 뭉치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해 내고, 다른 정보와의 연계성을 파악하며, 텍스트가 가진 카테고리를 찾아내거나 단순한 정보 검색 그 이상의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홈n런 중개 서비스에서는, 질의로 입력되는 식별자나 자연어를 분석하고, 그 안에 숨겨진 정보를 발굴해 내기 위해 대용량 언어자원과 통계적, 규칙적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지번 및 호수에 따라 서로 다른 시세를 구분하여 저장하고, 구분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된 시세와, 시세에 영향을 주는 적어도 하나의 경제지표를 이용하여 지번 및 호수에 따른 예측시세를 제공하거나 또는 특정매물의 권리가치를 분석할 경우, 특정매물의 인근지역에 매물정보를 토대로 위치, 가격, 지리적 요건 등을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와 해당 매물의 건축년도, 입지여견, 매물의 위치, 및 교통 접근성을 토대로 현재 가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현재가치를 시점별 분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경제지표의 예는 한국은행에서 발표하는 기준금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수집한 빅데이터인 로우 데이터(Raw Data)를 병렬 및 분산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하고,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하여, 분석된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매수인이나 임차인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사람이 사용하는 부동산 검색조건을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시맨틱 검색기반의 검색엔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맨틱 웹(Semantic web) 기술을 활용하여 매물이나 임대물을 검색할 수 있도록, 매물 온톨로지(Ontology) 구축을 할 수 있고, 검색 조건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일반인과 공인중개사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결과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설문결과를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계층화 분석법)기법으로 분석할 수 있고, 다음으로 시맨틱 부동산 지식정보시스템의 아키텍처를 설계할 수 있으며, 구축된 아파트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사용자 질의검색을 통해 최적의 매물 후보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출한 검색결과를 다요소 의사결정(Multi-AttributeDecision Making, MADM) 방법론으로 분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아파트를 예로 들면, 아파트 검색조건은 곧 부동산 가치를 평가하는 요인이 된다. 실질적으로 부동산 가치 평가요인은 부동산 가격형성에 중요한 요인이고, 부동산 가치의 판단 요인을 명확하고 세부적으로 정의하기 위해 기존의 부동산 가격형성요인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부동산의 가격형성 원리는 먼저 지역요인에 의해 가격수준이 형성되면,다음으로 개별요인에 의해서 구체적인 가격이 형성된다. 이는 지역요인이 지역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에 따른 표준적 이용에 부응하고 지가수준을 형성하는 반면,개별요인은 부동산의 개별적 특성을 반영하여 가격을 개별화 구체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예를 들어 지역요인은 학군,대중교통, 문화시설,일상용품구매, 통근거리 등일 수 있고, 개별요인은 면적,층수,향,방의 개수,조망권, 세대수,건설업체 등급,건축연도,아파트 편의시설 등일 수 있다. 이때, 부동산의 매물을 검색하는 사용자들의 검색어를 수집하여 요인을 분석하거나 업데이트시킬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검색을 자주하는 사람이 아닌 이상, 자연어, 예를 들어 “전망이 좋다”,“지하철역에서 가까운 거리이다”,“매우 깨끗하다” 등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는 자연어이면서 주관적 인지 용어가 된다. 이러한 용어 사용을 보면, 아파트 검색을 위해 동원되는 모든 개념들을 표준화된 언어로 변환할 필요가 있으며,일관적인 형태로 표현하는 온톨로지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즉 사람이 이해하는 주관적 인지 용어를 기계가 이해할 수 있도록 관련 용어를 체계화하고 용어간의 관계를 추론할 수 있도록 온톨로지로 구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일반 포털검색에서 자신이 입력한 키워드에 대응하는 결과만이 출력되어 검색결과가 빈약해지고 유연성이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제대로 질문하지 못했을지라도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결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지번 및 호수에 따라 서로 다른 시세를 구분하여 저장하고, 구분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된 시세와, 시세에 영향을 주는 적어도 하나의 경제지표를 이용하여 지번 및 호수에 따른 예측 시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경제지표의 예는 한국은행에서 발표하는 기준금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부동산 가격의 상승 요인은 주변 환경에 따라 굉장히 다양하며 일일이 열거하기에는 너무 현실적이지 못하지만, 해당 분야에 관한 수많은 학자들의 지속적인 연구의 결과로서 부동산 가격 변화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요인들이 선별되었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부동산 가격 변화에 영향을 주는 일반적인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우선, 부동산은 현대사회에서 경재제로서의 가치를 가지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수요와 공급의 원리에 의해 가격이 결정된다. 따라서 부동산의 수요가 증가하게 되면 그 가격 또한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즉, 부동산 수요가 증가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곧 가격 상승 요인을 알아보는 좋은 방법이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부동산 가격 변동 요인은 이하의 것일 수 있으나, 나열된 것으로 인하여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부동산 가격형성요인 일반적 요인, 지역요인, 개별요인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일반적 요인이란 특정 지역이나 특정 부동산뿐만 아니라 일반 사회·경제 전반에 걸쳐 모든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뜻하며 이는 사회적, 경제적, 행정적요인으로 나뉜다. 사회적 요인은 인구, 인구성장, 인구구조, 가구당 인구수, 생활양식 등이 있으며, 경제적 요인은 저축, 소비, 투자, 소득, 물가, 고용, 산업구조 등이 있다. 또한 행정적 요인에는 건축제한 및 규제, 토지이용계획, 부동산 정책 등이 포함된다. 지역요인이란 그 지역의 지가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적·사회적·경제적·행정적 요인을 말하는데 앞서 언급된 일반적 요인이 지역적 차원으로 축소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대표적인 지역요인으로는 지역적 차원의 인구적 특성, 지역경제 동향, 지역단위의 행정적 규제, 자연환경 등이 있고, 개별요인은 당해 토지 가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개별 부동산이 거래되는데 직접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경제적 요소는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환경요소이며 거시경제, 미시경제 등 세분화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대표적인 요인으로는 경제성장, 경기변동, 물가, 인플레이션, 통화량, 주가, 금리, 소득, 소비 등이 있다. 사회·문화적 요소로는 인구·가구·풍습·전통·가치관 등이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지역사회 내에서 지속적으로 지가의 변동에 영향을 준다. 법률·제도·정책적 요소는 정부가 현재 부동산 시장에 대해 어떠한 시각을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요소이다. 이 요소는 법률의 제·개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광범위한 지역의 지가를 순식간에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많은 요소와 요인으로 이루어지는 원인들을 고려하여 예측 알고리즘으로 시세를 예측할 수도 있지만, 주변의 시세와 오름세에 기반하여 수치의 변동으로 이후의 변화를 예측하는 방법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요인이나 요소들 외에도 열거되지 않은 이유로 배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용자 관리 등급은,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서버(300)에서, 임대차 기간 중 임차인의 동의없이 제3자에게 임대차 계약을 진행하거나 중개사고이력이 존재하는 임대인은 관리대상등급으로, 기 설정된 횟수 또는 금액에 대응하는 임차료를 미납하거나 임대인으로부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클레임이 제기된 경우는 감시대상등급으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매도자가, 기 설정된 빈도 또는 주기로 매도물을, 매수자가 계약협의 후 매도물을 철회하거나 중개사고가 발생한 경우는 특별관리대상등급으로, 매수자 단말의 매수자가 매도물의 매수협의 후 가격인하를 요구하거나 중개사고가 발생한 경우는 특별관리대상등급으로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서버(300)에서 지정할 수도 있다.
또한,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조건으로 출력되는 임대물 리스트와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임대물의 유사도 및 임차인의 선호도에 기반하여 추천 목록을 생성하여 임차인 단말(200)로 전송하고, 임대물 리스트 상의 임대물이 집합건물에 포함된 경우, 임대물과 상하좌우 중 어느 하나의 임차인 정보를 고유식별정보를 제거한 후 임차인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는 아침 9시부터 저녁 6시까지 일하는 직장인이고, 저녁 9시부터 아침 7시까지는 잠을 자야 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등록된 임대물의 윗집에 유아가 있는 가족이 살고 있다고 하면, 시세가 마음에 들지라도 이웃과의 마찰을 피하고 편안한 휴식을 위하여 해당 임대물을 고르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를 고려하여 미리 이러한 요소들을 가진 임대물은 필터링함으로써 발품을 파는 시간과, 입주 후에 발생되는 문제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임차인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입력하여 임대물을 검색할 때,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대응하는 키워드와, 키워드의 연관 및 유사 단어 집합을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검색하고, 키워드와 동일하지 않은 연관 및 유사 단어로 임대물이 검색된 경우, 검색된 임대물과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대응하는 키워드 간의 유사도가 임차대 단말(200)에서 출력되는 임대물 목록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시맨틱 웹과 유사한 시작점에서 출발하는데, 예를 들어, 검색에 능숙하지 않은 사람이라면 검색어를 제대로 고르지 못하고, 검색엔진의 특성상 해당 키워드가 포함된 단순 검색결과만을 알려주기 때문에, 검색에 능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소위 "틀린 질문"으로 "틀린 답"만을 얻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틀린 질문과 옳은 답을 연결한 데이터베이스를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틀린질문을 계속하는 사람들의 히스토리를 로그로 수집하는 경우, 어떠한 결과에서 멈추거나 결국에는 옳은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빅데이터화함으로써, 틀린질문의 모음을 빅데이터화하고, 이에 옳은 답을 얻을 수 있는 키워드로 배치하거나 함께 검색함으로써 옳은 답을 바로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A(옳은 질문)-B(A에 대한 답)이고, 능숙하지 못한 이용자가 C-D-E-F-G를 검색하다가 B를 찾아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C,D,E,F,G를 A와 매칭시키고, C,D,E,F,G가 입력된 경우 A도 함께 넣어 검색하도록 함으로써, 틀린 질문을 했더라도 옳은 답을 바로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등록된 임대물의 주소와 동일한 주소를 가지는 임대물이 임대인 단말(200), 공인중개업자 단말로부터 중복등록되는 경우, 중복 등록된 임대물을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플랫폼 또는 웹 페이지에 업로드하지 않거나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의 부동산 정보시장 교란 차단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면, 임대인이 매물등록시 해당 매물에 대한 소유권자 인증확인 및 매물의 주소를 필수요건으로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간편 주소입력만으로 매물을 등록하던 시스템들의 부작용을 자정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허위매물을 근절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를 통해 매물 소유권자가 직접 부동산 시장에 참여할 수 있으며 외부의 시장교란 및 왜곡을 견제할 수 있는 자정작용 효과를 제공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온라인 상의 부동산 정보시장 교란 차단 및 정보 제공 시스템
200: 임대인 단말
300: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서버
10: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11: 주소지 중복 필터링 인터페이스
12: 주소지 지정신청 인터페이스
13: 주소지 지정 매물 등록 인터페이스

Claims (5)

  1. 부동상 중개거래 플랫폼을 이용하여 임대관리를 위해 매물 등록시, 해당 매물에 대한 소유권자 확인 후, 등록한 매물에 대한 상세주소정보 노출차단을 요청하는 임대인 단말; 및
    상기 임대인 단말로부터 주소정보 노출차단이 요청되면, 해당 매물의 상세주소정보와 동일한 상세주소정보로 매물등록을 시도하는 외부단말로 매물등록 불허 경고메시지를 상기 외부단말로 제공하는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세주소정보는 상기 매물의 지번, 동, 층, 호를 포함하는 정보인 온라인 상의 부동산 정보시장 교란 차단 및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은
    임대인을 대신하여 상기 매물등록에 대한 등록권한을 제3자에게 위임하기 위임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3자는 가족, 지인 및 공인중개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의 부동산 정보시장 교란 차단 및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은
    상기 매물의 종류 및 주소를 검색 및 입력하기 위한 매물주소 입력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온라인 상의 부동산 정보시장 교란 차단 및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은
    회원가입조건으로 개인일 경우, 이름, 이메일, 비밀번호, 휴대번호, 소유매물의 종류, 소유매물의 상세주소정보(지번, 동, 층, 호)의 입력을 요청하고,
    법인일 경우, 법인명, 이메일, 비밀번호, 휴대번호, 소유매물의 종류, 소유매물의 상세주소정보(지번, 동, 층, 호), 사업자등록증의 입력을 요청하는 온라인 상의 부동산 정보시장 교란 차단 및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 관리서버는
    상기 임대인 단말에서 상기 부동산 중개거래 플랫폼을 통해 등록한 매물의 주소정보에 상기 임대인 단말에서 제공한 아이디, 휴대번호를 링크시켜 상기 매물의 등록상태를 관리하는 온라인 상의 부동산 정보시장 교란 차단 및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200166549A 2020-12-02 2020-12-02 온라인 상의 부동산 정보시장 교란 차단 및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200775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549A KR20220077529A (ko) 2020-12-02 2020-12-02 온라인 상의 부동산 정보시장 교란 차단 및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549A KR20220077529A (ko) 2020-12-02 2020-12-02 온라인 상의 부동산 정보시장 교란 차단 및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529A true KR20220077529A (ko) 2022-06-09

Family

ID=8198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549A KR20220077529A (ko) 2020-12-02 2020-12-02 온라인 상의 부동산 정보시장 교란 차단 및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752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590A (ko) 2000-05-01 2001-11-16 김영화 Ic 카드 및 통신망을 이용한 고객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590A (ko) 2000-05-01 2001-11-16 김영화 Ic 카드 및 통신망을 이용한 고객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u et al. Critical determinants for mobile commerce adoption in Vietnames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Han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in business-to-business marketing: a bibliometric analysis of current research status, development and future directions
Mariani et al. Online review helpfulness and firms’ financial performance: An empirical study in a service industry
US20190362397A1 (en) Transaction facilitating marketplace platform
US20180165758A1 (en) Providing Financial-Related, Blockchain-Associated Cognitive Insights Using Blockchains
US20180165598A1 (en) Method for Providing Financial-Related, Blockchain-Associated Cognitive Insights Using Blockchains
Kim et al. Trust and satisfaction, two stepping stones for successful e-commerce relationships: A longitudinal exploration
Aral et al.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social media and business transformation: a framework for research
Weber et al.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risk perception, but cross-cultural similarities in attitudes towards perceived risk
US20180165612A1 (en) Method for Providing Commerce-Related, Blockchain-Associated Cognitive Insights Using Blockchains
US20180165585A1 (en) Method for Providing Procurement Related Cognitive Insights Using Blockchains
Herrero et al. Effects of the risk sources and user involvement on e-commerce adoption: application to tourist services
Ulutas et al. A utility-driven approach to supplier evaluation and selection: empirical validation of an integrated solution framework
Alalawneh et al. The barriers to big data adoption in developing economies
KR101942540B1 (ko) 빅데이터 기반 등급분류 및 시세예측을 이용한 부동산의 안심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701034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line analysis of stakeholders
Pettit et al. A new toolkit for land value analysis and scenario planning
KR102162982B1 (ko) 부동산 허위/중복 매물 방지 및 안심 거래 서비스 시스템
CN109285092A (zh) 网上房地产信息提供系统,房地产放心交易服务提供系统
KR102121901B1 (ko) 정책자금 온라인 심사평가 시스템
Kumar et al. A computational framework for ranking prediction of cloud services under fuzzy environment
Nguyen et al. Blockchain adoption in logistics companies in Ho Chi Minh city, Vietnam
Kiani et al. A model for prioritizing outsourceable activities in universities through an integrated fuzzy-MCDM method
Ressler et al. Donations in social context
KR20210157767A (ko) 재무관리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