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403A - Location-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Location-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403A
KR20220077403A KR1020200166315A KR20200166315A KR20220077403A KR 20220077403 A KR20220077403 A KR 20220077403A KR 1020200166315 A KR1020200166315 A KR 1020200166315A KR 20200166315 A KR20200166315 A KR 20200166315A KR 20220077403 A KR20220077403 A KR 20220077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board
symbol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3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5629B1 (en
KR102435629B9 (en
Inventor
홍기형
조희
Original Assignee
성신여자대학교 연구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신여자대학교 연구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신여자대학교 연구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66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629B1/en
Publication of KR20220077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4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629B1/en
Publication of KR10243562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629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장애인 사용자가 구비하는 단말 또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동시 지원이 가능한 서버를 포함하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상징(symbol)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드(board) 또는 보드 목록을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추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사소통 장애인의 현재 위치에서 사용할 의사소통 보드를 자동으로 추천하여, 중재자의 도움을 최소화하며, 보드를 직접 선택해야 하는 어려움과 시간 소요의 문제를 해결한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terminal provided by a disabled user or a server capable of simultaneously supporting a plurality of users, and a plurality of symbols ( symbol) is recommend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automatically recommending a communication board to be used 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impaired person, minimizing the help of the mediator, and solving the problem of difficulty and time required to select the board directly.

Description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 {Location-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Location-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보완 대체 의사소통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앱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app-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보완대체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이하 AAC)은 말 운동장애, 심한 조음장애 등 말이나 글을 사용한 의사소통에 심각한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보완하거나 대신하기 위하여 그림, 소리와 같은 말 이외의 대체적인 방법을 사용한 비구어적 의사소통 방법을 말한다.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is a form of speech such as pictures and sounds to supplement or replac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people who have serious impairments in verbal or written communication, such as speech movement disorders or severe articulation disorders. It refers to a method of non-verbal communication using an alternative method.

최근 다양한 디바이스와 소프트웨어의 발전으로 다양한 AAC 시스템들이 존재하지만, 기존 AAC 시스템들은 의사소통이 필요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직접 상황에 맞는 의사소통 보드를 선택하여 사용해야만 한다. 따라서, 뇌 병변 장애, 운동장애와 같은 중복장애가 있는 사용자는 특정 장소와 상황에서 사용할 의사소통 보드를 직접 선택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껴, 필요한 보드를 선택하는 데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지적장애가 심한 경우, 중재자의 도움을 받아서 의사소통 보드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Recently, various AAC systems exist du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devices and software. However, in the existing AAC systems, the user must select and use a communication board suitable for the situation in a situation where communication is required. Therefore, users with overlapping disorders such as brain lesion disorders and movement disorders feel it difficult to directly select a communication board to use in a specific place and situation, and it takes time to select a necessary board. In addition, if the intellectual disability is seve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no choice but to select a communication board with the help of a mediator.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92293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05-009229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의사소통에 장애가 있는 장애인이 특정 장소에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직접 선택해야하는 어려움을 해결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장애인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현재 장소와 상황을 파악하고,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자동으로 추천하는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so that a person with a disability in communication can strengthen communication ability by solving the difficulty of directly selecting a communication board suitable for a specific place, location information of a disabled user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that uses to identify the current location and situation and automatically recommends an appropriate communication board.

또한, 본 발명은 자동화된 의사소통 보드의 추천을 통해 중재자의 도움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that can minimize the assistance of a moderator through the recommendation of an automated communication board.

또한, 본 발명은 기본으로 제공하는 의사소통 보드와 상징 이외에 사용자 개인의 특성에 따라 위치와 장소에 적합한 맞춤형 위치기반 의사소통 보드와 상징을 제작하도록 지원하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that supports the production of customized location-based communication boards and symbols suitable for locations and places according to the us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boards and symbols provided by default. There is this.

또한, 본 발명은 한국 사회에 맞는 한국형 AAC 상징 약 1만여 개를 사용하여 다양한 어휘를 사용한 의사소통을 하도록 하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that allows communication using various vocabulary using about 10,000 Korean AAC symbols suitable for Korean society.

또한, 본 발명은 장애인 사용자의 지적 능력과 신체적 능력에 따라, 시스템 실행 시(처음 화면에서) 가장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 또는 보드 목록을 우선으로 제공받는 설정을 통해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이도록 하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tellectual and physical abilities of the disabled us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thod to increase the user's convenience through the setting in which the most suitable communication board or board list is provided first when the system is run (on the first screen) It has another purpose to provide 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Location-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위치기반 보완대체의사소통 상징 및 위치기반 보완대체의사소통 보드를 제작 관리하는 제작부, 위치기반 보완대체의사소통 상징 및 보드를 저장 관리하는 DB관리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위치확인부,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적합한 보완대체의사소통 보드를 장애인 장애 정도에 따라 최선의 의사소통 보드 하나 또는 추천 보드 목록으로 자동 추천하는 추천부, 장애인 사용자의 장애 정도 및 자동 추천을 위한 기타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lates to a location-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Location-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Production department,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DB management section that stores and manages symbols and boards, location check section that grasps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upplemental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board suitable for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best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sability It includes a recommendation unit for automatically recommending one board or a list of recommended boards, and a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degree of disability of the disabled user and other information for automatic recommendation.

상기 제작부, DB관리부, 위치확인부, 추천부, 설정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모든 기능이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고, 모든 기능이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제작부, DB관리부, 위치확인부, 추천부, 설정부 중에서 일부만 서버에서 수행되고 나머지는 단말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작부와 DB관리부는 서버에서 수행하고 위치확인부, 추천부, 설정부는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에 모든 부가 실행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사용자 단말과 서버 사이에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여야 한다.All functions of the production unit, DB management unit, location check unit, recommendation unit, and setting unit may be performed in the server except for the user interface, and all functions may be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In addition, among the production unit, DB management unit, location check unit, recommendation unit, and setting unit, only a part of the server may be implemented and the rest may be implemented in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production unit and the DB management unit may be performed in the server, and the location check unit, the recommendation unit, and the setting unit may be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Accordingly, network communication should be possible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rver, except for the case in which all parts are executed in the terminal.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다음과 같이 세가지로 구분한다. 먼저, 상기 단말에서 획득할 수 있는 위도, 경도 정보와 해당 위도, 경도 상에 위치한 상호 또는 기관 및 건물 이름, 해당 상호 또는 기관 및 건물의 장소 유형 정보이다. 장소 유형은 '은행', ' 병원' 등과 같은 정보이며 상호 또는 기관명은 '00 은행 XX 지점', 'ㅁㅁ 병원' 등이며, 장소 유형은 구글 장소 유형(place type)과 같은 예가 있으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등록할 수 있다.The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divides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into three categories as follows. First,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btainable from the terminal, name of a business or institution and building located on the corresponding latitude and longitude, and place typ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rade name or institution and building. The place type is information such as 'bank', 'hospital', etc., and the trade name or institution name is '00 Bank XX Branch', 'ㅁㅁ Hospital', etc. can register.

위치확인부는 단말에서 획득한 현재 위도, 경도 정보로부터 해당 위치의 상호 또는 기관명, 그리고 장소 유형을 파악한다.The positioning unit identifies the name of the location or organization, and the type of place from the current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terminal.

위치기반 보완대체의사소통 시스템은 위치기반 보완대체의사소통 상징과 위치기반 보완대체의사소통 보드를 기반으로 한다. 위치기반 보완대체의사소통 상징과 위치기반 보완대체의사소통 보드는 기존 보완대체의사소통 상징과 보드에 위도, 경도 정보, 상호 또는 기관명, 그리고 장소 유형 정보가 결합된 것이다.The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is based on the location-based sup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mbol and the location-based supplemental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board.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mbol and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board is a combination of latitude, longitude information, trade name or organization name, and place type information to the exist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mbol and board.

제작부는 장애인 당사자가 이닌 중재자(언어치료사, 특수교사, 부모 및 지인, 사회복지사 등)이 장애인을 위하여 위치기반 보완대체의사소통 상징과 보드를 제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The production department provides a function that allows mediators (speech therapists,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ents and acquaintances, social workers, etc.) who are not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produce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mbols and boards for the disabled.

위치기반 의사소통 보드(상징)은 기본형 장소 유형, 맞춤형 장소 유형,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상징)으로 구분한다.The location-based communication board (symbol) is divided into a basic place type, a customized place type, and a customized specific location board (symbol).

기본형 장소 유형 보드(상징)은 본 시스템이 기본으로 제공하는 장소유형 별 의사소통 보드(상징)을 뜻한다. 맞춤형 장소 유형 보드(상징)은 특정 장소유형에 대하여 지원하는 기본형 장소 유형 의사소통 보드(상징)을 특정 장애 사용자에 적합하게 수정 또는 대체한 것이다.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상징)은 장애인 사용자가 자주 출입하는 특정한 장소에서의 의사소통에 특화된 것으로 일 예로 'ㅁㅁ 카페'에서만 존재하는 사용자가 좋아하는 특정 메뉴로 구성된 상징과 보드를 들 수 있다.The basic place type board (symbol) means the communication board (symbol) for each place type provided by this system as a standard. The customized place type board (symbol) is a modified or replaced basic place type communication board (symbol) supported for a specific place type suitable for users with specific disabilities. The customized specific location board (symbol) is specialized for communication in a specific place frequented by users with disabilities. For example, a symbol and a board composed of a user's favorite menu existing only in the 'ㅁㅁ Café' can be mentioned.

DB 관리부는 상기 기본형 장소 유형, 맞춤형 장소 유형,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상징)을 DB에 저장 관리한다. 특히, 서버 기반의 위치기반 보완대체의사소통 시스템에서는 모든 사용자를 위한 기본형 장소 유형 의사소통 보드(상징)과 각 사용자에 맞춤형으로 제작한 맞춤형 장소 유형 및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상징)을 저장관리한다.The DB management unit stores and manages the basic type place type, the customized place type, and the customized specific location board (symbol) in the DB. In particular, the server-based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stores and manages a basic place type communication board (symbol) for all users, a customized place type customized for each user, and a customized specific location board (symbol).

추천부는 DB에 저장된 위치기반 보완대체의사소통 보드를 사용하여 장애인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한 현재 위치에서 가장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하나 또는 목록으로 추천한다. 상기 단말이 위치한 특정 장소 또는 설정된 장소 검색 반경 내에 존재하는 장소들에 대하여 마련된 위치기반 의사소통보드들을 검색하여 상기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 상기 맞춤형 장소 유형 보드, 상기 기본형 장소 유형 보드의 순서로 상기 단말에 추천할 수 있다. The recommendation unit uses the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board stored in the DB to recommend one or a list of the most appropriate communication boards at the current location obtained from the disabled user terminal. By searching for location-based communication boards prepared for a specific place where the terminal is located or places existing within a set location search radius, the customized specific location board, the customized location type board, and the basic type location type board are sent to the terminal in the order of can recommend

설정부는 장애인 사용자의 장애 정도, 위치기반의사소통 보드 추천 시에 현재 위치에서 추천부가 추천 후보로 검색할 장소의 반경 또는 거리, 음성 산출 사용 여부 등의 정보를 입력 저장한다. 추천부에서는 설정부에서 제공하는 장애 정도 정보를 사용하여 지적 장애가 심한 경우에는 최적으로 판단되는 의사소통 보드 하나만 추천하거나 사용자가 추천 목록에서 선택할 능력이 있다면 추천 보드 목록을 추천하는 등의 판단을 한다. The setting unit inputs and stores information such as the degree of disability of the disabled user, the radius or distance of a place to be searched by the recommendation unit as a recommendation candidate from the current location when the location-based communication board is recommended, and whether or not to use voice calculation. The recommendation unit uses the level of disability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tting unit to make a judgment such as recommending only one communication board that is judged to be optimal when the intellectual disability is severe, or recommending a list of recommended boards if the user has the ability to select from the recommendation list.

본 발명에 의하면 의사소통 장애인의 현재 위치에서 사용할 의사소통 보드를 자동으로 추천하여, 중재자의 도움을 최소화하며, 보드를 직접 선택해야 하는 어려움과 시간 소요의 문제를 해결한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automatically recommending a communication board to be used 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disabled person, minimizing the help of the moderator, and solving the problem of difficulty and time required to select the board directl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한국 사회에 맞는 한국형 AAC 상징 약 1만여 개를 사용하여 다양한 어휘를 사용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by using various vocabulary using about 10,000 Korean-type AAC symbols suitable for Korean societ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사소통 장애인의 특성에 따라 특정 장소에 대한 의사소통 보드와 상징을 필요에 따라 제작할 수 있어 의사소통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ion boards and symbols for a specific place can be produced as nee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cation-impaired, so that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사소통 장애인 사용자의 지적, 신체적 능력에 따라 시스템 실행 시(처음 화면), 의사소통 보드 또는 보드 목록을 우선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설정을 통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through the setting in which the communication board or the board list can be provided preferentially when the system is executed (first screen) according to the intellectual and physical ability of the communication impaired user. It work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의 (가)는 단말(200)에서 위치기반 보완대체의사소통 시스템의 설정부(110), 위치확인부(120), 추천부(130), DB관리부(140), DB(10), 제작부(150)이 모두 포함된 예이고, 도2의 (나)는 서버(100)에 DB관리부(140), DB(10), 제작부(150)가 단말에는 설정부(110), 위치확인부(120), 추천부(130)가 구축된 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상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보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적합한 위치기반 보드를 추천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위치기반 상징과 위치기반 보드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검색된 각 장소에 대한 위치기반 보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서 오차범위 이내의 장소 유형과 해당 장소 유형에 대한 추천 대상 보드 리스트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9는 도 7의 실시예에서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보드 목록을 나타낸 도표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예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setting unit 110, a location check unit 120, a recommendation unit 130, a DB management unit 140, a DB 10 of the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in the terminal 200, The production unit 150 is an example in which all are included, and in Fig. 2 (B), the server 100 has the DB management unit 140, the DB 10, and the production unit 150, and the terminal has a setting unit 110 and a location check unit. It is a block diagram of an example in which 120 and the recommendation unit 130 are constructed.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cation-based symb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cation-based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ommending a location-based board suitable for a user's current location in the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 location-based symbol and a location-based board.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location-based board for each place searched based on a user's current 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table showing a place type within an error range and a list of recommended boards for the corresponding place type in the embodiment of FIG. 7 .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ist of boards that are finally recommended to a user in the embodiment of FIG. 7 .
8 to 11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user interface screens provided by the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 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실시 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실시 예들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to be propo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only provided to be a complete indication of the category.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 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disclos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개시된 실시 예들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part of the corresponding specifica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contents of the entire specification, rather than the simple name of the term.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References in the singular herei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the singular.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lso, as used herein, the term “unit” refers to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FPGA, or ASIC, and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part"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 “uni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refresh one or more processors. Thus, by way of example, “part” include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ality provided within components and “par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or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장애인 사용자가 구비하는 하나의 단말에 지원하거나 또는 다수의 장애인 사용자가 각각 구비하는 다수의 단말에 동시에 지원 가능한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supporting one terminal provided by a disabled user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or simultaneously supporting a plurality of terminals each provided by a plurality of disabled us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은 설정부(110), 위치확인부(120), 추천부(130), DB관리부(140), 제작부(1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tting unit 110 , a location check unit 120 , a recommendation unit 130 , a DB management unit 140 , and a production unit 150 .

설정부(110)는 장애인 사용자의 지적, 신체적 능력 정보를 입력받아 추천부(130)로 전달한다. The setting unit 110 receives the intellectual and physical ability information of the disabled user and transmits it to the recommendation unit 130 .

위치확인부(120)는 사용자의 단말(200)이 GPS, 데이터 네트워크 또는 무선 엑세스 포인트(WiFi 등)에 연결되었는지 확인하고, 이를 통해 단말(200)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며, 위치정보를 추천부(130)와 DB관리부(140)에 전달한다.The location check unit 120 checks whether the user's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a GPS, a data network or a wireless access point (WiFi, etc.) 130 and the DB management unit 140 .

추천부(130)는 위치정보 확인부(120)로부터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데이터베이스(10) 및 DB관리부(140)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적합한 보드를 읽어들이며, 설정부(110)로부터 사용자의 장애 능력을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위치기반 보드 또는 보드목록을 제공한다.The recommendation unit 130 determin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terminal 200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check unit 120, and reads a board suitable for the user's current location from the database 10 and the DB management unit 140, By identifying the user's disability capability from the setting unit 110, the most suitable location-based board or board list is provided to the user.

DB관리부(140)는 제작부(150)으로부터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제작한 상징과 보드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10)로 전달하고 관리한다..The DB management unit 140 receives the symbols and board information produc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from the production unit 150 , and transmits it to the database 10 and manages it.

데이터베이스(10)는 미리 등록된 상징과 보드 정보를 저장하고, DB관리부(140)로부터 사용자가 제작한 맞춤형 상징과 보드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The database 10 stores pre-registered symbols and board information, and receives and stores customized symbols and board information produced by the user from the DB management unit 140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을 구성한 예 2가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의 (가)는 단말(200)에서 위치기반 보완대체의사소통 시스템의 설정부(110), 위치확인부(120), 추천부(130), DB관리부(140), DB(10), 제작부(150)이 모두 포함된 예이고, 도2의 (나)는 서버(100)에 DB관리부(140), DB(10), 제작부(150)가 구비되고, 단말(200)에는 설정부(110), 위치확인부(120), 추천부(130)가 구축된 예의 블록도이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wo examples of configuring the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setting unit 110, a location check unit 120, a recommendation unit 130, a DB management unit 140, a DB 10, of the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in the terminal 200; The production unit 150 is an example in which all are included, and in (B) of FIG. 2 , the server 100 includes a DB management unit 140 , DB 10 , and a production unit 150 , and the terminal 200 includes a setting unit ( 110), the positioning unit 120, and the recommendation unit 130 is a block diagram of an example in which the construction.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며, 장애인 사용자가 구비하는 단말이다. 본 발명에서 단말(200)은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네트워크 통신으로 지원 받아 사용자에게 위치기반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지원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단말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The terminal 200 can communicate through a network, and is a terminal provided by a disabled us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200 is a network communication capable terminal that can install and execute a dedicated application that supports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to the user by receiving the function provided by the server 100 through network communication. As such, it is a concept including a smartphone, a tablet PC, and the like.

도 2의 (나)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은 서버(100), 데이터베이스(database)(10), 단말(200)을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0)는 기 등록된 상징과 보드를 저장하고 있다. Referring to (B) of FIG. 2 , the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er 100 , a database 10 , and a terminal 200 . The database 10 stores pre-registered symbols and boards.

단말(200)은 맞춤형 위치기반 의사소통 상징 및 보드를 제작하여, 서버(100)에 전달하고 서버(100)는 전용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단말(200)에 의해 제작된 상징 또는 단말을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할 수 있다. The terminal 200 produces a customized location-based communication symbol and board, and delivers it to the server 100 and the server 100 stores the symbol or terminal produced by the terminal 200 on a dedicated application in the database 10 can

서버(100)는 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데이터베이스(10)로부터 현재 위치에 추천 대상 보드를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가 제공한 추천대상 보드 중에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상징(symbol)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최적의 위치기반 보드 또는 추천 보드 목록을 단말(20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The server 100 may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200 , and provide a recommendation target board to the terminal 200 at the current location from the database 10 . From among the recommendation target boards provided by the server 100, an optimal location-based board or a list of recommended boards configured including a plurality of symbols for performing sup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through the terminal 200 provided to the user.

단말(200)로부터 장애인 사용자의 지적, 신체적 장애 능력 정보를 전달받고, 사용자의 장애 능력을 고려하여 위치 기반 보드 또는 보드 목록을 단말에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 정도가 상대적으로 심한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에 보드를 추천하고, 장애 정도가 상대적으로 심하지 않은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에 모드 목록을 추천하는 식이다. The terminal 20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intellectual and physical disability capability of the disabled user, and a location-based board or board list may be recommended to the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disability capability. For example, a board is recommended to a terminal owned by a user with a relatively severe degree of disability, and a mode list is recommended to a terminal owned by a user with a relatively mild degree of disability.

본 발명에서는 장소 유형 정보, 특정 위치 정보의 2가지 위치 정보를 사용하며, 위치확인부(12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wo types of location information of place type information and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are used, and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location check unit 120 .

장소 유형 정보는 사용자가 주로 방문하는 주요 시설물, 공공기관, 식당, 영화관, 은행 등의 이미 등록되어 있는 장소의 유형 정보이다.The place type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the type of places that the user mainly visits, such as major facilities, public institutions, restaurants, movie theaters, and banks, which are already registered.

특정 위치 정보는 사용자 개개인이 자주 방문하는 특정한 장소의 위치 정보로서, 해당 장소의 위도와 경도 정보, 그리고 장소 명칭(상호, 기관 명 등)이다.Th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is location information of a specific place frequently visited by individual users, and includes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lace, and the name of the place (name of the company, organization, et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보드의 종류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일정 횟수 이상 방문하는 장소 유형에 대해 필요한 상징으로 구성된 위치기반 보드인 기본형 장소 유형 보드, 장소 유형 별로 각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특화된 맞춤형 장소 유형 보드 및 특정한 각 사용자가 일정 횟수 이상 방문하는 특정한 장소에 대해 해당 장소의 특성과 사용자에 필요에 맞게 특화된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로 분류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of board is a basic place type board, which is a location-based board composed of symbols necessary for a type of place visited by a plurality of users a certain number of times or more, and a customized place type specialized for each user's needs for each place type For a board and a specific place that each specific user visits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it can be classified into a customized specific location board that is specializ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and the needs of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단말(200)이 위치한 특정 장소에 대하여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 맞춤형 장소 유형 보드, 기본형 장소 유형 보드의 순서로 단말(200)에 추천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100 may recommend to the terminal 200 in the order of a custom specific location board, a custom location type board, and a basic location type board with respect to a specific location where the terminal 200 is located.

도 2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이 단말(200)에 단독으로 구현되는 실시예(가)와, 서버(100)와 단말(200)에 구현되는 실시예(나)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Figure 2, the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lone in the terminal 200 (A), and the server 100 and the embodiment (B) implemented in the terminal 200 ), the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즉, 본 발명의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은 기 등록된 상징(symbol)과 보드(board)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10)를 포함하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상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드 또는 보드 목록을 데이터베이스(10)로부터 읽어들여서, 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추천할 수 있다. That is, the location-based sup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10 storing pre-registered symbols and boards, and a plurality of sup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s for performing sup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A board or a list of boards including the symbol of may be read from the database 10 , and recommendations may be mad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2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본형 장소 유형 상징, 맞춤형 장소 유형 상징, 맞춤형 특정 위치 상징을 포함하는 위치정보가 결합된 보완대체의사소통 상징 체계와, 기본형 장소 유형 보드, 맞춤형 장소 유형 보드,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가 결합된 보완대체의사소통 보드 체계를 제공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mbol system combined with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basic place type symbol, a customized place type symbol, and a customized specific location symbol, a basic place type board, a customized place type board, a customized specific lo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board system in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board is combin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mb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위치기반 상징(symbol)(300)은 위치 정보를 추가한 상징으로 장소 유형 상징과 특정 위치 상징이 있다.Referring to FIG. 3 , a location-based symbol 300 is a symbol to which location information is added, and includes a place type symbol and a specific location symbol.

장소 유형 상징은 상징 이미지(310), 상징 이름(320), 상징 카테고리(330), 장소 유형 정보(340)를 포함한다. The place type symbol includes a symbol image 310 , a symbol name 320 , a symbol category 330 , and place type information 340 .

장소 유형 상징은 해당 상징과 동일한 장소 유형 정보를 가진 위치기반 보드를 제작할 때 우선적으로 제공되는 상징이다. A place type symbol is a symbol that is preferentially provided when making a location-based board having the same place type information as the corresponding symbol.

특정 위치 상징은 상징 이미지(310), 상징 이름(320), 상징 카테고리(330), 장소 유형 정보(340), 특정 위치 정보(350)를 포함한다. The specific location symbol includes a symbol image 310 , a symbol name 320 , a symbol category 330 , place type information 340 , and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350 .

특정 위치 상징은 동일한 특정 위치 정보를 가진 위치기반 보드를 제작할 때 우선적으로 제공되는 상징이다. A specific location symbol is a symbol that is preferentially provided when manufacturing a location-based board with the sam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맞춤형 위치기반 상징을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DB관리부(140)를 통해 사용자의 필요와 특성에 맞게 직접 위치기반 상징을 개인 맞춤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user-customized location-based symbol can be produced and used. That is, the location-based symbol can be personally customized to suit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user through the DB management unit 140 .

DB관리부(140)를 통해 제작된 사용자 맞춤형 위치기반 상징은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다.The user-customized location-based symbol produced through the DB management unit 140 is stored in the database 10 .

상징 이미지(310), 상징 이름(320), 상징 카테고리(330), 장소 유형 정보(340)는 맞춤형 위치기반 상징을 구성하는 필수 정보이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특정 위치 정보(350)를 포함할 수 있다. Symbol image 310, symbol name 320, symbol category 330, and place type information 340 are essential information constituting a customized location-based symbol, and may includ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350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can

상징 이미지(310)에서 이미지는 한국형 AAC 상징의 이미지, 또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의 사진첩에 저장된 사진, 기타 해당 장소를 특정할 수 있는 이미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symbolic image 310, an image of a Korean-style AAC symbol, a photo stored in a photo album of a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or other images capable of specifying a corresponding place may be used.

장소 유형 정보(340)에는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주요 시설물들의 장소의 유형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The place type information 340 may use pre-registered place type information of major facilities.

특정 위치 정보(350)에는 위도/경도 정보와 장소의 명칭을 지정할 수 있다.In th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350 , latitude/longitude information and a name of a place may be designated.

맞춤형 위치기반 상징은 동일한 위치 정보를 가진 사용자 맞춤형 위치기반 보드를 제작할 때 우선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The customized location-based symbol may be preferentially provided when manufacturing a user-customized location-based board having the same location inform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위치기반 보드(400)에는 장소 유형 보드와 특정 위치 보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의사소통 보드로 위치기반 보드를 사용한다.Referring to FIG. 4 , the location-based board 400 includes a location type board and a specific location board. In the present invention, a location-based board is used as a communication board recommended to a user.

위치기반 보드(400)는 보드 이미지(410), 보드 이름(420), 장소 유형 정보(430), 특정 위치 정보(440), 상징들(450)을 포함한다. The location-based board 400 includes a board image 410 , a board name 420 , location type information 430 ,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440 , and symbols 450 .

장소 유형 보드는 기존의 의사소통 보드 정보에 장소 유형 정보(430)를 추가한 보드이다.The place type board is a board in which place type information 430 is added to the existing communication board information.

특정 위치 보드는 기존의 의사소통 보드 정보에 장소 유형 정보(430)와 해당 장소의 특정 위치 정보(440)를 추가한 보드이다.The specific location board is a board in which place type information 430 and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440 of a corresponding place are added to the existing communication board information.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맞춤형 위치기반 보드를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제작부(150)와 DB관리부(140)를 통해 사용자의 필요와 특성에 맞게 직접 위치기반 보드를 개인 맞춤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user-customized location-based board can be manufactured and used. That is, through the production unit 150 and the DB management unit 140 , the location-based board can be personally customized according to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user.

제작부(150)와 DB관리부(140)를 통해 제작된 맞춤형 위치기반 보드는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다.The customized location-based board manufactured through the production unit 150 and the DB management unit 140 is stored in the database 10 .

보드 이미지(410)는 한국형 AAC 상징의 이미지, 또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의 사진첩에 저장된 사진, 기타 해당 장소를 특정할 수 있는 이미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해당 위치 또는 장소에서 사용할 보드임을 시각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위치기반 보드를 선택할 때 도움을 주기 위한 이미지이다.The board image 410 may use an image of a Korean-style AAC symbol, a photo stored in a photo album of the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or other images that can specify the corresponding place, and provides a visual indication to the user that the board to be use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or place. It is an image to help when selecting a location-based board by showing it as

장소 유형 정보(430)에는 사전에 등록되어있는 주요 시설물들의 장소의 유형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The place type information 430 may use pre-registered place type information of major facilities.

특정 위치 정보(440)에는 위도/경도 정보와 장소의 명칭을 지정할 수 있다. Latitude/longitude information and a name of a place may be designated in th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440 .

보드를 구성하는 상징들(450)은 보드 제작 시 더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추가할 수 있으며, 각 상징은 위치기반 상징(300)이다.Symbols 450 constituting the board can be added by clicking the plus button (+) when manufacturing the board, and each symbol is a location-based symbol 300 .

상징을 추가하기 위해 더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보드의 위치 정보(장소 유형 정보 또는 특정 위치 정보)와 동일한 위치 정보를 가진 위치기반 상징이 먼저 추천된다. 만약 다른 상징이 필요할 경우 검색하여 사용할 수 있다. If the plus button (+) is clicked to add a symbol, a location-based symbol with the same location information as the board's location information (place type information or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is recommended first. If you need other symbols, you can search and use th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3가지 유형의 위치기반 보드를 사용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ee types of location-based boards are used.

기본형 장소 유형 보드는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자주 방문하는 장소 유형에 대해 필요한 상징으로 구성된 위치기반 보드이다. The basic place type board is a location-based board composed of symbols needed for the type of place that users frequently visit.

맞춤형 장소 유형 보드는 장소 유형 중 특정한 장소 유형에 대해 사용자에게 맞게 제작한 위치기반 보드이다.The customized place type board is a location-based board made for a user for a specific place type among place types.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는 사용자가 자주 방문하는 특정한 장소에 대해서 장소의 특성과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제작한 위치기반 보드이다.The customized specific location board is a location-based board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and the user's needs for a specific place frequently visited by the us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적합한 위치기반 보드를 추천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ommending a location-based board suitable for a user's current location in the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추천부(130)를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의 현재 위치에 적합한 위치기반 보드를 추천한다.Referring to FIG. 5 , a location-based board suitable fo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is recommended through the recommendation unit 130 .

먼저, 위치정보 확인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검색한다(S501). First,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searched for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check unit 120 (S501).

그리고,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가까운 거리순으로 주변 장소를 검색한다(S503).Then,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 nearby place is searched in the order of the nearest distance (S503).

그리고, 추천부(130)는 데이터베이스(10)에서 검색된 특정 장소의 위치기반 보드를 검색한다(S505). 이때, 검색된 개별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위치기반 보드는 최대 3개(기본형 장소 유형 보드, 맞춤형 장소 유형 보드,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까지 존재하며, 추천부(130)는 특정 장소에서 사용자를 위한 위치기반 보드는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 맞춤형 장소 유형 보드, 기본형 장소 유형 보드의 순서로 결정한다.Then, the recommendation unit 130 searches for a location-based board of a specific place found in the database 10 (S505). At this time, up to three location-based boards that can be used in the searched individual location exist (basic location type board, customized location type board, and customized specific location board), and the recommendation unit 130 provides location-based boards for users in specific locations. The board is determined in the following order: a custom specific location board, a custom venue type board, and a basic venue type board.

다음, 추천부(130)는 추천에 필요한 보드의 수만큼 위치기반 보드가 검색되었는지 확인한다(S507).Next, the recommendation unit 130 checks whether as many location-based boards as the number of boards required for recommendation are searched (S507).

만약, 추천에 필요한 보드의 수만큼 위치기반 보드가 검색되지 않았으면, 검색 반경을 늘려 주변 장소를 추가로 검색한다(S509).If a location-based board is not searched for as many as the number of boards required for recommendation, the search radius is increased to additionally search for nearby places (S509).

추천에 필요한 보드의 수만큼 위치기반 보드가 검색되었다면, 검색된 장소들의 위치기반 보드를 추천하기 위한 보드 목록을 구성한다(S511). 이때, 위치기반 보드의 우선순위에 따라 구성한다.If location-based boards are searched for as many as the number of boards required for recommendation, a list of boards for recommending location-based boards of the searched places is constructed (S511). At this time, it i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the location-based board.

그리고, 추천부(130)는 설정부(110)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지적, 신체적 능력을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위치기반 보드 목록 또는 가장 적합한 위치기반 보드 둘 중 무엇을 제공할 것인지 결정한다(S513). Then, the recommendation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o provide either the location-based board list or the most suitable location-based board to the user based on the user's intellectual and physical abilities input from the setting unit 110 (S513).

S513 단계에서의 결정에 따라, 사용자에게 위치기반 보드 목록 또는 가장 적합한 위치기반 보드를 추천한다(S515, S517).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in step S513, a list of location-based boards or the most suitable location-based board is recommended to the user (S515, S517).

본 발명에서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위치 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 장소 유형 정보, 특정 위치 정보의 3가지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ired in the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is three types of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place type information, and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보드를 선별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 등의 단말을 통해 사용자 의 현재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essential to select a board suitable for use in the user's current lo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grasp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 terminal such as the user's mobile device.

장소 유형 정보(Place Type)는 사용자가 주로 방문하는 주요 시설물, 공공기관, 식당, 영화관, 은행 등의 이미 등록되어있는 장소 유형 정보이다. 예를 들어, 구글에서 제공하는 Google Place Types(Google Developers, n.d.)가 한 예이다. 예를 들어 특정 장소인 A 카페, B 카페, C 카페의 장소 유형 정보는 '카페'이다. The place type information (Place Type) is already registered place type information such as major facilities, public institutions, restaurants, movie theaters, banks, etc. that the user mainly visits. For example, Google Place Types (Google Developers, n.d.) provided by Google is one example. For example, place type information of cafe A, cafe B, and cafe C, which are specific places, is 'cafe'.

특정 위치 정보(Specific Location)는 사용자 개개인이 자주 방문하는 특정한 장소의 위치 정보로 해당 장소의 위도와 경도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특정 A 카페의 특정 위치 정보는 위도(37.589)와 경도(127.027) 정보와 '카페'라는 장소 유형 정보를 포함한다.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is location information of a specific place frequently visited by individual users, and includes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lace. For example, th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of a specific cafe A includes latitude (37.589) and longitude (127.027) information and place type information called 'cafe'.

도 6은 위치기반 상징과 위치기반 보드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 location-based symbol and a location-based board.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에서는 위치 정보를 가진 상징과 보드를 기본으로 사용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징과 보드를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 in the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mbol and a board having location information are used as a basis, and a symbol and a board can be manufactured and us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위치기반 상징(Location based symbol)은 기존의 상징에 위치 정보를 추가한 상징으로 장소 유형 상징과 특정 위치 상징이 있다.A location based symbol is a symbol in which location information is added to an existing symbol, and there are a place type symbol and a specific location symbol.

장소 유형 상징은 위치 정보 중 장소 유형 정보만 가지고 있는 상징이다. 예를 들어 모든 카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커피' 상징이 있다. 장소 유형 상징은 해당 상징과 동일한 장소 유형 정보를 가진 위치기반 보드를 제작할 때 제공된다.The place type symbol is a symbol having only the place type information among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re is a 'coffee' symbol that can be used in all cafes. A place type symbol is provided when making a location-based board with the same place type information as the corresponding symbol.

특정 위치 상징은 장소 유형 정보와 특정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는 상징이다. 예를 들어, 특정 A 카페에서만 판매하는 메뉴를 나타내는 상징이 해당한다. 특정 위치 상징은 동일한 특정 위치 정보를 가진 위치기반 보드를 제작할 때 우선순위로 제공된다.A specific location symbol is a symbol having place type information and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 symbol representing a menu sold only in a specific cafe A corresponds to the symbol. A specific location symbol is provided as a priority when making a location-based board with the sam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위치기반 보드(Location based board)는 기존의 의사소통 보드에 위치 정보를 추가한 보드로서, 장소 유형 보드와 특정 위치 보드가 있다.The location based board is a board in which location information is added to the existing communication board, and there are a location type board and a specific location board.

장소 유형 보드는 장소 유형 정보만 가지고 있는 보드이다. 예를 들어 모든 카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카페 보드, 모든 우체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우체국 보드가 있다.A place type board is a board having only place type information. For example, there is a cafe board that can be used in all cafes, and a post office board that can be used in all post offices.

특정 위치 보드는 특정한 장소를 위한 보드이며 해당 장소의 특정 위치 정보와 장소 유형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위치기반 상징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A 카페에서만 판매하는 메뉴를 나타내는 상징, A 카페의 종사자 상징 등을 포함한 A 카페 전용 보드가 있을 수 있다.A specific location board is a board for a specific place, has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type information of the location, and is composed of location-based symbols. For example, there may be a board dedicated to cafe A including a symbol representing a menu sold only in cafe A, a symbol of a worker in cafe A, and the like.

본 발명에서는 위치기반 보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보드를 바로 추천받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음 3가지 유형의 위치기반 보드가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location-based board, the user can immediately receive a board suitable for use in the current loca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three types of location-based boards are possible.

기본형 장소 유형 보드(Built-in place type location board)는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자주 방문하는 장소 유형에 대해 필요한 상징으로 구성된 위치기반 보드이다. 이 보드는 사용자가 제작하지 않아도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에서 기본으로 제공할 수 있다. A built-in place type location board is generally a location-based board composed of symbols needed for a type of place frequently visited by users. This board can be provided by default in a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without the user having to create it.

맞춤형 장소 유형 보드(Custom place type location board)는 장소 유형 중 특정한 장소 유형에 대해 사용자에게 맞게 제작한 위치기반 보드이다.A custom place type location board is a location-based board made for a user for a specific place type among place types.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Custom specific location board)는 사용자가 자주 방문하는 특정한 장소에 대해서 장소의 특성과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제작한 위치기반 보드이다.The custom specific location board is a location-based board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and the needs of the user for a specific place frequently visited by the user.

본 발명에서는 모든 사용자를 위하여 제공하는 기본형 장소 유형 상징과 보드 이외에 사용자의 필요와 특성에 맞게 직접 위치기반 상징과 보드를 개인 맞춤형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basic type of place type symbols and boards provided for all users, it is supported to personally create location-based symbols and boards according to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users.

맞춤형 장소 유형 보드는 버스 정류장과 같이 공통된 상징을 주로 사용하는 장소 유형에 대해서 사용자의 필요에 맞는 보드를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다. 즉, 버스 정류장의 맞춤형 장소 유형 보드를 제작하면 모든 버스 정류장에서 해당 보드를 사용할 수 있다.Custom place type boards are made to fit the user's needs for place types that mostly use common symbols, such as bus stops. This means that if you create a custom place-type board for a bus stop, you can use that board at any bus stop.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는 사용자가 자주 방문하는 병원과 같이 특정 장소에서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주 가는 병원의 담당 의사 선생님 사진으로 '○○○ 의사 선생님'상징을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해당 병원의 위치 정보를 가진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를 제작하여 해당 병원에 방문했을 때 제작한 보드를 우선으로 추천받도록 한다.Custom specific location boards are made for use in specific locations, such as hospitals frequently visited by users. For example, a '○○○ doctor' symbol can be created and used with a picture of a doctor in charge of a hospital that the user frequently visits. In addition, a customized specific location board ha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hospital is produced so that the board is preferentially recommended when visiting the hospital.

본 발명에서는 장애가 심한 장애인을 위하여, 중재자의 도움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functions so that the user can use it more conveniently while minimizing the assistance of the mediator for the handicapped with severe disabilities.

지적장애나 운동장애가 심한 사용자들을 위해 바로 사용자의 위치에 적합한 위치기반 보드를 추천받을 수 있다. For users with severe intellectual or movement disabilities, a location-based board suitable for the user's location can be recommended.

사용자에 따라 최우선의 위치기반 보드보다 추천 보드 목록이 더 필요할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가장 적합한 순서대로 위치기반 보드 목록을 바로 추천받을 수 있다. Depending on the user, a list of recommended boards may be needed more than the top-priority location-based board, so the list of location-based boards can be immediately recommended in the most appropriate order based 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손 떨림 등의 운동장애가 있는 사용자들은 작은 크기의 보드와 상징을 선택하는데 불편함을 느낄 수 있어 사용자 편의에 맞게 보드와 상징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Users with movement disorders such as hand tremors may feel uncomfortable in selecting a small board and symbol, so the size of the board and symbol can be set to suit the user's convenience.

본 발명에서 사용자 맞춤형 위치기반 상징 및 보드 제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user-customized location-based symbol and a board manufactur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사용자 맞춤형 위치기반 상징을 제작하기 위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상징의 이미지를 선택한다. 사용할 이미지는 기본형 상징 이미지 또는 사용 중인 모바일 기기의 사진첩, 인터넷 상의 이미지 등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order to create a user-customized location-based symbol, an image of the symbol to be used is selected. The image to be used can be selected from a basic symbol image, a photo album of a mobile device being used, or an image on the Internet.

다음, 상징의 위치 정보를 입력한다. 장소 유형 정보는 필수로 선택해야 하며 추가로 특정 위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상징의 위치 정보 입력시 지도와 함께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제공하며 필요에 따라 주소 검색을 사용하여 지정할 수도 있다. Next, inpu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ymbol. The location type information must be selected, and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can be entered additionally.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when inpu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ymbol,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along with the map, and if necessary, it can be specified using an address search.

사용자가 방문하는 장소에 따라 기본형 장소 유형 보드 이외에도 사용자 맞춤형 보드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제작하여 사용하는 맞춤형 장소 유형 보드와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를 제공한다.Depending on the place the user is visiting, a custom board may be required in addition to the basic place type board. Therefore, we provide custom place type boards and custom specific location boards that are manufactured and us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맞춤형 장소 유형 보드는 장소 유형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제작된 맞춤형 보드이다. 동일한 유형을 가진 장소들에서 공용으로 사용된다.The custom place type board is a custom board made to fit the user's needs, including place type information. Commonly used in places of the same type.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는 특정한 장소에서 사용하기 위해 장소 유형 정보와 특정 위치 정보(위도,경도)를 포함하여 제작된 맞춤형 보드이다.A custom specific location board is a custom board manufactured by including location type information and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latitude, longitude) for use in a specific location.

맞춤형 위치기반 보드 제작 과정은, 맞춤형 위치기반 보드의 정보(이름, 보드 대표 이미지, 위치 정보)를 입력하고, 그다음 보드에 사용할 상징의 개수에 따라 적합한 보드의 크기를 설정한다. 보드에 추가할 상징을 선택할 때 보드의 위치 정보와 동일한 위치 정보를 가진 위치기반 상징을 우선순위로 제공하며 필요에 따라 검색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the custom location-based board production process, information (name, board representative imag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stom location-based board is input, and then the size of the appropriate board is set according to the number of symbols to be used on the board. When selecting a symbol to add to the board, a location-based symbol with the same location information as the board lo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as a priority, and you can search and use it as need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검색된 각 장소에 대한 위치기반 보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location-based board for each location searched based on a user's current 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u)를 기준으로 주변 장소를 검색한 결과이다.7 is a result of searching for nearby places based 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u).

도 7에서 A, B, ... , M은 검색된 특정 장소의 상호명을 나타낸다. In FIG. 7, A, B, ..., M indicate the business name of a specific searched place.

aacs는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이고, 위 첨자는 특정 장소(상호명)을 나타내고, 아래 첨자는 장소 유형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E 상점의

Figure pat00001
, J 학교의
Figure pat00002
등이다. aacs is a custom specific location board, superscripts indicate specific places (business name), and subscripts indicate type of places. For example, in store E
Figure pat00001
, J of the school
Figure pat00002
etc.

aacc는 맞춤형 장소 유형 보드이고, 아래 첨자는 장소 유형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병원의

Figure pat00003
, I 버스 정류장의
Figure pat00004
등이다. aacc is the custom place type board, the subscripts indicate the place type. For example, in hospital A
Figure pat00003
, I of the bus stop
Figure pat00004
etc.

aacb는 기본형 장소 유형 보드이고, 아래 첨자는 장소 유형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H 식당의

Figure pat00005
등이다. aacb is the default place type board, and the subscripts indicate the place type. For example, in restaurant H
Figure pat00005
etc.

도 7을 참조하면, 만약 B 카페에는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가 없고, F 카페는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가 있는 경우, 사용자가 B 카페보다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가 있는 F 카페를 더 자주 방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기본형 장소 유형 보드가 아닌 F 카페의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를 추천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if cafe B does not have a custom specific location board and cafe F has a custom specific location board, it can be seen that the user visits cafe F having a custom specific location board more frequently than cafe B.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t is more appropriate to recommend a customized specific location board for F Cafe rather than a basic location type board.

도 7의 실시예에서 검색된 개별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위치기반 보드는 최대 3개(기본형 장소 유형 보드, 맞춤형 장소 유형 보드,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까지 존재한다. 특정 장소에서 사용자를 위한 위치기반 보드는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 맞춤형 장소 유형 보드, 기본형 장소 유형 보드의 순서로 결정한다. 다음은 도 7에서 검색된 개별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위치기반 보드를 결정하는 예이다.In the embodiment of FIG. 7 , a maximum of three location-based boards (a basic location type board, a customized location type board, and a custom specific location board) exist for each location searched for. A location-based board for a user in a specific location is determined in the order of a custom specific location board, a custom location type board, and a basic location type board. The following is an example of determining a location-based board that can be used in the individual places found in FIG. 7 .

E 상점의 경우,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기본형 장소 유형 보드인

Figure pat00006
이 존재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맞춤형 장소 유형 보드인
Figure pat00007
과,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인
Figure pat00008
이 제작되었다. 이처럼, E 상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위치기반 보드는 3개가 존재하지만, 그중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위치기반 보드는
Figure pat00009
이다.For E-stores, the system-provided basic place-type board
Figure pat00006
There is a place type board that is customized according to your needs.
Figure pat00007
and custom specific location boards
Figure pat00008
this was made As such, there are three location-based boards that can be used in the E store, but the most suitable location-based board for users is
Figure pat00009
to be.

A 병원의 경우, 사용자가 A 병원의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를 제작하지 않고 장소 유형 '병원'에 대한 맞춤형 장소 유형 보드인

Figure pat00010
만 제작한 경우, A 병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위치기반 보드는 기본형 장소 유형 보드인
Figure pat00011
를 포함한 2개가 존재한다. 그중 A 병원에서 사용자를 위한 위치기반 보드는
Figure pat00012
이다.For hospital A, the user does not create a custom specific location board for hospital A, but rather a custom place type board for place type 'Hospital'.
Figure pat00010
only, the location-based board that can be used in hospital A is a basic place type board.
Figure pat00011
There are two including Among them, the location-based board for users in hospital A is
Figure pat00012
to be.

C 식당의 경우, 사용자가 장소 유형 '식당'에서 사용하기 위한 맞춤형 위치기반 보드를 제작하지 않은 경우, C 식당에서 사용자를 위한 위치기반 보드는 기본형 장소 유형 보드인

Figure pat00013
이다.For Restaurant C, if the user has not created a custom location-based board for use in place type 'Restaurant', the location-based board for the user in Restaurant C is a basic place-type board.
Figure pat00013
to be.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예를 도시한 것이다. 8 to 11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user interface screens provided by the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메인화면의 화면예이다. 8 is a screen example of the main scree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인화면은 4가지 메뉴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의 필요와 목적에 따라 4가지 메뉴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한다. 각 메뉴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8 , the main screen of the user interface provided by the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four menus. Select from 4 menus according to the user's need and purpose. The description of each menu is as follows.

지도와 보드(Map and boards) 메뉴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표시된 지도 화면과 함께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사용할 위치기반 보드 목록이 추천되는 메뉴이다.The Map and boards menu is a menu in which a list of location-based boards to be used in the user's current location is recommended together with a map screen displaying the user's current location.

위치와 보드(Locaton and boards) 메뉴는 지도 화면이 제공되지 않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위치기반 보드 목록이 추천되는 메뉴이다.The location and boards menu is a menu in which a map screen is not provided and a list of location-based boards suitable for use in the user's current location is recommended.

나의 보드(My boards) 메뉴는 사용자가 보유한 모든 위치기반 보드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이다.The My boards menu is a menu where you can check all the location-based boards you have.

설정(Settings) 메뉴는 사용자의 특성과 필요에 맞게 다양한 설정을 할 수 있는 메뉴이다. 예를 들어 설정 메뉴에서 다음과 같은 설정을 할 수 있다. The Settings menu is a menu that allows you to set various setting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user. For example, you can set the following settings in the settings menu.

보드와 상징의 크기 설정에서 한 행에 제공되는 상징의 수를 최소 2개에서 최대 6개까지 설정할 수 있다. 보드의 크기는 '보통'과 '크게'로 설정할 수 있다.In the board and symbol size settings, you can set the number of symbols provided in a row from a minimum of 2 to a maximum of 6. The size of the board can be set to 'Normal' and 'Large'.

상징 설정에서 위치기반 상징 제작, 삭제, 수정 및 검색 등 상징과 관련된 관리를 할 수 있다.In the symbol setting, you can manage symbols related to location-based symbol creation, deletion, modification, and search.

보드 설정에서 해당 설정 내에서 사용자가 앱 실행 시 가장 적합한 위치기반 보드 또는 보드 목록을 바로 추천받을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가장 적합한 위치기반 보드를 바로 추천받는 설정을 한 경우, 사용자는 도 9의 ②와 같이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적합한 위치기반 보드를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메뉴에서 보드와 관련된 관리(제작, 삭제, 수정)를 할 수 있다.In the board setting, within the setting, the user can set the most suitable location-based board or board list to be recommended immediately when the app is launched. If the most suitable location-based board is directly recommended, the user can immediately use the most suitable location-based board at the user's current location as shown in ② of FIG. 9 . Also, in the menu, you can manage (create, delete, edit) related to the board.

TTS 음성 설정에서 단말에서 제공하는 TTS(Text to Speech)를 사용자의 선호에 맞게 변경할 수 있다.In the TTS voice setting, TTS (Text to Speech) provided by the terminal may be changed to suit the user's preference.

도 9에서 위치기반 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예시되어 있다. A user interface for a user using the location-based board is illustrated in FIG. 9 .

도 9를 참조하면, ①은 사용자가 자주 가는 카페의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인'학교 앞 카페'보드, 식당의 맞춤형 장소 유형 보드인 '레스토랑'보드와 상점의 맞춤형 장소 유형 보드인 '마트'보드가 추천된 위치기반 보드 목록이다. 사용자가 이전에 앱 실행 시 위치기반 보드 목록을 바로 추천받도록 설정했을 경우, ①와 같이 위치기반 보드 목록을 바로 추천받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① is a 'school in front cafe' board, which is a customized specific location board for a cafe frequented by users, a 'restaurant' board for a customized place type board for a restaurant, and a 'mart' board for a customized place type board for a store. This is a list of recommended location-based boards. If the user has previously set the location-based board list to be recommended immediately when running the app, the location-based board list can be directly recommended as shown in ①.

②는 추천된 위치기반 보드 목록에서 가장 적합한 보드인 '학교 앞 카페'보드이다. 사용자가 앱 실행 시 가장 적합한 위치기반 보드를 바로 추천받는 것으로 설정했을 경우, ②와 같이 보드가 바로 추천된다.② is the 'Café in front of school' board, which is the most suitable board from the list of recommended location-based boards. If the user sets the most suitable location-based board to be recommended immediately when running the app, the board is immediately recommended as shown in ②.

③은 '학교 앞 카페'보드에서 '마실래요'상징을 사용하는 예이다. 사용자가 해당 상징을 선택하면 상징 이미지의 크기가 커지면서 동시에 TTS를 통해 상징의 표현('마실래요')이 음성으로 출력된다. 커진 상징은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3초) 후에 원래 크기로 돌아간다.③ is an example of using the 'Would you like to drink' symbol on the 'Café in front of school' board. When the user selects the corresponding symbol, the size of the symbol image increases, and at the same time, the symbol's expression ('Would you like to drink') is output as a voice through TTS. The enlarged symbol returns to its original size after a set period of time (eg 3 second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정 메뉴의 상징 설정에서 맞춤형 위치기반 상징을 제작할 수 있으며, 그 제작 과정은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ustomized location-based symbol can be manufactured in the symbol setting of the setting menu,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as shown in FIG. 10 .

도 10을 참조하면, ①에서 제작하고자 하는 맞춤형 위치기반 상징의 이름, 카테고리를 입력한다. 상징의 이미지는 기본으로 제공하는 상징 이미지, 사용자의 단말의 내부(또는 외부) 저장소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즉석에서 찍은 사진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의 실시예에서 제작하는 상징은 음식 카테고리의 '따뜻한 차'상징이다. 해당 상징의 이미지는 사용자의 사진첩에 저장되어있는 컵 사진을 사용하였다(② 참조).Referring to FIG. 10 , the name and category of the customized location-based symbol to be produced in ① is input. As the image of the symbol, a symbol image provided by default, an image stored in the internal (or external) storage of the user's terminal, or a picture taken instantly using a camera may be used. The symbol produced in the embodiment of FIG. 10 is a symbol of 'warm tea' in the food category. For the image of the symbol, a photo of a cup stored in the user's photo album was used (see ②).

그리고, 맞춤형 위치기반 상징에 특정 위치 정보를 지정하기 위해 '특정 위치 정보' 버튼을 선택하면 지도 화면으로 전환된다. 특정 위치 정보는 지도에 있는 특정 장소를 직접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고, 또는 특정 장소의 주소를 검색하여 지정할 수도 있다.And, when th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button is selected to designat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ustomized location-based symbol, it is converted to a map screen.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may be specified by directly selecting a specific place on the map, or may be specified by searching for an address of a specific place.

③에서는 지도에 있는 특정 장소를 직접 선택하여 '따뜻한 차'상징에 특정 위치 정보(37.590, 127.020)를 지정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③ shows an example of designating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37.590, 127.020) to the 'warm tea' symbol by directly selecting a specific place on the map.

④에서 맞춤형 위치기반 상징에 특정 위치 정보를 지정하였으면, 장소 유형 정보를 선택한다. 도 10의 '따뜻한 차'상징은 특정 위치 정보를 지정하였기 때문에 장소 유형 정보인 '카페'를 선택한 실시예이다. If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is specified for the customized location-based symbol in ④, select the location type information. The symbol of 'warm tea' in FIG. 10 is an embodiment in which 'cafe', which is place type information, is selected becaus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is designated.

도 10의 실시예에서 제작한 맞춤형 위치기반 상징 '따뜻한 차'는 동일한 위치 정보를 가진 보드를 제작할 때 우선으로 제공된다.The customized location-based symbol 'warm tea' produced in the embodiment of FIG. 10 is provided preferentially when manufacturing a board having the same location information.

도 11은 설정 메뉴의 보드 설정에서 맞춤형 위치기반 보드를 제작하는 과정을 예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예이다. 11 is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screen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customized location-based board in the board setting of the setting menu.

도 11을 참조하면, 맞춤형 위치기반 상징 제작 과정과 같이, 먼저 제작하고자 하는 맞춤형 위치기반 보드의 정보(보드 이름, 장소 유형 정보, 특정 위치 정보)를 입력한다(① 참조). Referring to FIG. 11 , as in the custom location-based symbol production process, information (board name, place type information,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stom location-based board to be produced is first input (refer to ①).

도 11의 실시예에서 제작하는 보드는 '학교 앞 카페'보드이며 특정 위치 정보(37.590, 127.020)와 장소 유형 정보(카페)를 지정한다(②, ③ 참조).The board manufactured in the embodiment of FIG. 11 is a 'cafe in front of school' board and specifies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37.590, 127.020) and place type information (cafe) (refer to ② and ③).

맞춤형 위치기반 보드에 상징을 추가하기 위해 더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상징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제공된다(① 참조).If you click the plus button (+) to add a symbol to the customized location-based board, a screen to select a symbol is provided (refer to ①).

상징을 선택하는 화면에서 제작하고자 하는 보드의 위치 정보와 동일한 위치 정보를 가진 위치기반 상징이 먼저 추천된다. 만약 다른 상징이 필요할 경우 상징 이름이나 카테고리를 통해 상징을 검색하여 사용한다. 도 10의 실시예에서 제작한 ‘따뜻한 차' 상징이 제작 중인 보드의 위치 정보와 동일한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검색하지 않아도 해당 상징이 우선으로 제공된다(④, ⑤ 참조).On the symbol selection screen, a location-based symbol with the same location information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oard to be produced is first recommended. If you need another symbol, search for the symbol through the symbol name or category and use it. Since the 'warm tea' symbol produced in the embodiment of FIG. 10 has the same position information a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oard being produced, the symbol is preferentially provided even if the user does not search (see ④ and ⑤).

도 11의 실시예에서 제작한 '학교 앞 카페'보드는 학교 앞 카페에서 사용하기 위해 제작한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맞춤형 위치기반 보드)이다.The 'cafe in front of school' board manufactured in the embodiment of FIG. 11 is a customized specific location board (customized location-based board) manufactured for use in a cafe in front of a school.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using several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s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서버 200 단말
10 데이터베이스 110 설정부
120 위치 확인부 130 추천부
140 DB관리부 150 제작부
100 servers 200 terminals
10 database 110 setting unit
120 Position Confirmation Unit 130 Recommendation Unit
140 DB Management Department 150 Production Department

Claims (7)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장애인 사용자가 구비하는 하나의 단말에 지원하거나 또는 다수의 장애인 사용자가 각각 구비하는 다수의 단말에 동시에 지원 가능한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에서,
기 등록된 상징(symbol)과 보드(board)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상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드 또는 보드 목록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들여서,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
In a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that can support one terminal provided by a disabled user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or simultaneously support a plurality of terminals each provided by a plurality of disabled users,
Includes a database storing pre-registered symbols and boards,
Location-based sup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a board or board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symbols for performing sup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through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read from the database, and recommend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단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현재 위치에 적합한 보드를 읽어들여서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ystem identifi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reads a board suitable for the current location from the database, and provides it to the terminal.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단말로부터 장애인 사용자의 지적, 신체적 장애 능력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장애 능력을 고려하여 위치 기반 보드 또는 보드 목록을 상기 단말에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ystem receives information on the intellectual and physical disability capability of the disabled user from the terminal, and based on this, considers the user's disability capability and recommends a location-based board or board list to the terminal. system.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단말을 통해 위치 기반 의사소통 상징 또는 보드를 제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단말에 의해 제작된 상징 또는 단말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ystem provides a function to produce a location-based communication symbol or board through a terminal,
A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ymbol or terminal produced by the terminal is stored in the databas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드의 종류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일정 횟수 이상 방문하는 장소 유형에 대해 필요한 상징으로 구성된 위치기반 보드인 기본형 장소 유형 보드, 장소 유형 중 각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특화된 맞춤형 장소 유형 보드 및 각 사용자가 일정 횟수 이상 방문하는 특정한 장소에 대해 해당 장소의 특성과 사용자에 필요에 맞게 특화된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ype of the board is a basic place type board, which is a location-based board composed of symbols necessary for a type of place visited by a large number of users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a customized place type board specialized to the needs of each user among place types, and a schedule for each user A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a specific place visited more than once, it is a customized specific location board that is specialized for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us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이 위치한 특정 장소에 대하여 상기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 상기 맞춤형 장소 유형 보드, 상기 기본형 장소 유형 보드의 순서로 상기 단말에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rver recommends to the terminal in the order of the customized specific location board, the customized location type board, and the basic type location type board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location where the terminal is located.
청구항 5에 있어서,
기본형 장소 유형 상징, 맞춤형 장소 유형 상징, 맞춤형 특정 위치 상징을 포함하는 위치정보가 결합된 보완대체의사소통 상징 체계와, 기본형 장소 유형 보드, 맞춤형 장소 유형 보드, 맞춤형 특정 위치 보드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가 결합된 보완대체의사소통 보드 체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A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mbol system that combines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basic place type symbol, a customized place type symbol, and a customized specific location symbol, and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basic place type board, a customized place type board, and a customized specific location board A location-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combin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board system.
KR1020200166315A 2020-12-02 2020-12-02 Location-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KR1024356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315A KR102435629B1 (en) 2020-12-02 2020-12-02 Location-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315A KR102435629B1 (en) 2020-12-02 2020-12-02 Location-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403A true KR20220077403A (en) 2022-06-09
KR102435629B1 KR102435629B1 (en) 2022-08-23
KR102435629B9 KR102435629B9 (en) 2022-09-30

Family

ID=81986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315A KR102435629B1 (en) 2020-12-02 2020-12-02 Location-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62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2293A (en) 2004-03-15 2005-09-21 고진복 Augmentatice-alternatic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for disabled person
US20140032584A1 (en) * 2012-07-27 2014-01-30 Semantic Compaction Systems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selectively editing polysemous symbol sequences in a multifunctional interactive dictionary database
KR101669202B1 (en) * 2015-08-13 2016-11-09 박정은 Communication suppor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965103B1 (en) * 2018-06-21 2019-04-02 강인학 Smart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KR102021700B1 (en) * 2018-05-30 2019-09-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rehabilitate language disorder custermized patient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2175751B1 (en) * 2019-12-23 2020-11-06 하승완 Watch type device for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i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2293A (en) 2004-03-15 2005-09-21 고진복 Augmentatice-alternatic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for disabled person
US20140032584A1 (en) * 2012-07-27 2014-01-30 Semantic Compaction Systems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selectively editing polysemous symbol sequences in a multifunctional interactive dictionary database
KR101669202B1 (en) * 2015-08-13 2016-11-09 박정은 Communication suppor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021700B1 (en) * 2018-05-30 2019-09-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rehabilitate language disorder custermized patient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1965103B1 (en) * 2018-06-21 2019-04-02 강인학 Smart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KR102175751B1 (en) * 2019-12-23 2020-11-06 하승완 Watch type device for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629B1 (en) 2022-08-23
KR102435629B9 (en) 202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2476B2 (en) Refining a search based on schedule items
KR101687927B1 (en) Obtaining event reviews
KR101712296B1 (en) Voice-based media searching
US9886727B2 (en) Automatic check-ins and status updates
US201102505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name pronunciation guide services
KR101722675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US115516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communication through predictive speech
JP4710064B2 (en) Scheduling system
BR102016014498A2 (en) IDENTIFICATION SERVICE PROVIDERS FOR ELECTRONIC RECEIVED SERVICE REQUESTS AND USE OF ACCOUNT DATA STORED TO CONNECT THE APPLICANT TO SUPPLIERS
US20160267440A1 (en) Location and activity based event planning method and system
US20210264325A1 (en) Education-based nomadic sequencing recommendations for satisfying a curriculum scope
WO2016135971A1 (en) Route search system, route search device, route search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102435629B1 (en) Location-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JP2014099146A (en) Reservation support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reservation support device, and program of reservation support device
JP6167379B2 (en) Reservation support device, reservation support device control method, and reservation support device program
US11710418B2 (en) Education-based nomadic sequencing recommendations for families
Westendorp Belonging to a global family of God in Hong Kong: the relevance of religion in facing an uncertain future
US20170076407A1 (en) Location-based data structure information retrieval and modification
JP2014099145A (en) Reservation support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reservation support device, and program of reservation support device
KR101230624B1 (en) global P2P Language one-stop service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Dobie et al. Improving patient outcomes with neighbourhood care: the Coldstream experience
Smit-Vandezande et al. A tale of two churches: The development of a congregational assistance program
JP6315744B2 (en) Conversation terminal
Nicholas The importance of aphasia community programs in supporting self-determination in PWA
JP7295561B2 (en) Life image display device, life image management device,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