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751B1 - Watch type device for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it - Google Patents

Watch type device for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751B1
KR102175751B1 KR1020190172616A KR20190172616A KR102175751B1 KR 102175751 B1 KR102175751 B1 KR 102175751B1 KR 1020190172616 A KR1020190172616 A KR 1020190172616A KR 20190172616 A KR20190172616 A KR 20190172616A KR 102175751 B1 KR102175751 B1 KR 102175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ch
user
type terminal
symbol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6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하승완
황기택
Original Assignee
하승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승완 filed Critical 하승완
Priority to KR1020190172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75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7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6Dials
    • G04B19/10Ornamental shape of the graduations or the surface of the dial; Attachment of the graduations to the dial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7/00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 G04B47/06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with attached measuring instruments, e.g. pedometer, barometer, thermometer or compass
    • G04B47/063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with attached measuring instruments, e.g. pedometer, barometer, thermometer or compass measuring physiological quantities, e.g. pedometers, heart-rate sensors, blood pressure gauges and the li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Abstract

Disclosed are a clock-type terminal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nd a method for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The method for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the clock-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displaying a plurality of symbol icons on a screen of the clock-type terminal; and outputting a preset voice corresponding to a selected symbol icon by receiving a user input which selects one of the symbol icons.

Description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위한 시계형 단말 및 그를 이용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방법{WATCH TYPE DEVICE FOR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IT}A watch-type terminal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nd a method of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본원은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위한 시계형 단말 및 그를 이용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watch-type terminal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nd a method of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보완 대체 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은 의사 표현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의 문제를 감소시키고 언어능력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하는 말(구어) 이외의 여러 형태의 의사소통 방법을 말하며, 구어 사용을 보완하는 경우와 완전히 대신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달리 말해, 보완 대체 의사소통은 말을 하거나 글을 쓰는 방식을 통해 의사소통을 하기 어려운 사람들이 몸짓과 사진, 그림 등을 이용해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통칭한다.In general,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refers to a variety of forms of communication other than spoken (colloquial) used to reduce problems and promote language skills for people with difficulty in expressing. This includes both complementary and complete replacements for spoken language. In other word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collectively refers to allowing people who have difficulty communicating through the way of speaking or writing to communicate what they want to say to others using gestures, photographs, and drawings.

이러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에서는 그림, 몸짓과 같은 상징(Symbol)을 활용하며, 주로 의사소통판, 음성이 나오는 의사소통도구와 같은 보조도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간단한 그림을 판이나 공책에 붙여서 말을 못하는 아동이 필요한 그림을 지적하여 의사소통을 하도록 하는 의사소통판이나 의사소통책을 들 수 있다.In thi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mbols such as pictures and gestures are used, and auxiliary tools such as communication boards and communication tools with voices are often used. For example, a communication board or a communication book that allows a child who cannot speak by attaching a simple picture to a board or notebook to point out the necessary pictures to communicate.

그러나, 종래의 의사소통판은 상징이 탈부착되는 소통판을 체결고리에 철해 놓은 바인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징을 자주 분실하게 되고, 상징이 분실됨으로 인하여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수 없게 되며, 분실된 상징을 다시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ommunication board consists of a binder structure in which the communication board to which the symbol is attached is attached to the fastening ring, so that the symbol is often lost, and communication cannot be smoothly due to the loss of the symbol. There is a hassle of having to re-create it.

또한, 사용자가 상황에 맞는 상징을 빠르게 선택할 수 있어야 하는데, 매번 체결 고리를 열어 소통판을 인출시켜야하는 작업은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주로 활용하게 되는 발달 장애, 지적 장애 등의 장애인에게는 번거롭고 어려우며, 상대적으로 인출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 사용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의사소통판은 일반적으로 딱딱하고 무거운 재질이 사용되어 휴대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user must be able to quickly select a symbol that suits the situation, and the task of opening the engagement ring and drawing out the communication board each time is cumbersome and difficult for the disabled, such as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which mainly utiliz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There were inconveniences in use, such as taking a long withdrawal time. In addition, since such a communication board is generally hard and heavy material is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carry.

또한,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에 보완 대체 의사소통과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해당 휴대용 단말을 활용하여 의사소통을 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으나, 휴대용 단말의 도난 및 파손 문제,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지속적인 업데이트 관리 능력 부재 등으로 관리에 어려움이 존재하는 한계가 있었다. 더욱이,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은 사용자가 착용하거나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되는 등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항시 주의를 기울여 소지 및 휴대해야 하므로 분실 문제에 취약한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보완 대체 의사소통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상징을 사용자의 특성에 부합하도록 최적화하거나 사용자 개인이 상징을 커스터마이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데에는 이르지 못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sider a method of communicating using the portable terminal by installing an application linked to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on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but the theft and da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user's application download and continuous There was a limitation in that there were difficulties in management due to lack of update management ability. Moreover,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are not fixedly disposed, such as worn by the user or attached to a part of the user's body, but have a limit that is vulnerable to loss because the user must always carry and carry with care. In addition, conventional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related applications have not been able to optimize symbols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applications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or provide a function for individual users to customize symbols.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69249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behind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169249.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의 시계형 단말을 통해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지원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하고, 분실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특성을 반영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위한 복수의 상징을 표시할 수 있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위한 시계형 단말 및 그를 이용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by support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through a watch-type terminal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wrist, it is easy to carry, there is no fear of los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ch-type terminal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that can reflect or display a plurality of symbols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and a method of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thereof.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계형 단말을 이용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방법은, 상기 시계형 단말의 화면에 복수의 상징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상징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선택된 상기 상징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method for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a watch-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the steps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symbol icons on the screen of the watch-type terminal, and the symbol It may include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icons, and outputting a preset voi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ymbol icon.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시계형 단말의 베젤 영역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인가되는 베젤 회전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user input may include a bezel rotation input applied in a manner of rotating a bezel area of the watch-type terminal.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계형 단말을 이용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내역을 누적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a watch-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received details of the user input.

또한, 상기 상징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는, 누적된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내역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상기 상징 아이콘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ing of the symbol icon may include determining a type of the symbol icon displayed based on the accumulated user input received details.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계형 단말을 이용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방법은, 누적된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내역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간대 별 상징 선택 패턴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a watch-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deriving a symbol selection pattern for each time zone of the user based on the accumulated reception details of the user input.

또한, 상기 상징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대 별 상징 선택 패턴 및 현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상기 상징 아이콘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ing of the symbol icon may include determining a type of the symbol icon displayed based on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and the symbol selection pattern for each time zon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계형 단말을 이용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방법은, 상기 시계형 단말에 구비되는 생체 신호 획득 센서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가 비정상 상황으로 판단되면, 경고 알람을 출력하고 상기 시계형 단말과 기 연동된 사용자 단말에 경고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a watch-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n abnormal body state of the user based on the user's bio-signal measured from a bio-signal acquisition sensor provided in the watch-type terminal. If it is determined as a situation, it may include outputting a warning alarm and transmitting a warning notification signal to a user terminal previously linked with the watch-type terminal.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계형 단말을 이용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방법은, 상기 시계형 단말에 구비되는 GPS 센서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된 위치 범위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시계형 단말과 기 연동된 사용자 단말에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경고 알람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ethod for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a watch-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user deviates from a preset location rang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obtained from a GPS sensor provided in the watch-type termin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one,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previously linked with the clock-type terminal to output a warning alarm through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상징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된 위치 범위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위치 범위 이탈과 연계된 기 설정된 상징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isplaying of the symbol ic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deviated from a preset location range, a preset symbol icon associated with the location range departure may be displayed.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계형 단말을 이용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방법은, 복수의 상기 상징 아이콘을 포괄하는 카테고리 아이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a watch-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setting a category icon including a plurality of the symbol icons.

또한, 상기 상징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 아이콘을 상기 시계형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카테고리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카테고리 아이콘에 포함된 복수의 상기 상징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ing of the symbol icon may include displaying the category icon on the screen of the watch-type terminal and when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category icon is received, a plurality of symbol icons included in the category icon are displayed. It may include the step of displaying.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계형 단말을 이용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방법은, 상기 시계형 단말과 기 연동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학습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a watch-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receiving learning information data from a user terminal previously linked with the watch-type terminal.

또한, 상기 상징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상기 상징 아이콘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displaying the symbol icon may include determining a type of the symbol icon to be displayed based on the learning information data.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을 위한 시계형 단말은, 복수의 상징 아이콘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상징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선택된 상기 상징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음성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의 양측과 연결된 스트랩부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tch-type terminal for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receives a user input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display module and the symbol icon to display a plurality of symbol icons, and A body portion including a sound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a corresponding preset voice, and a strap portion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to fix the body portion to the user's body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내역을 누적하여 저장하는 스토리지 모듈 및 누적된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표시되는 상기 상징 아이콘의 유형을 결정하거나 누적된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내역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간대 별 상징 선택 패턴을 도출하여 상기 시간대 별 상징 선택 패턴 및 현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표시되는 상기 상징 아이콘의 유형을 결정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unit may determine the type of the symbol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based on a storage module that accumulates and stores the received details of the user input and the accumulated user input, or the accumulated user input A control module for determining the type of the symbol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based on the symbol selection pattern for each time zone and current time information by deriving a symbol selection pattern for each time zone of the user based on the reception details of .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 신호 획득 센서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include a sensor module including a biosignal acquisi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user's biosignal and a GPS sensor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된 위치 범위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표시되는 상기 상징 아이콘이 위치 범위 이탈과 연계된 기 설정된 상징 아이콘을 포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deviated from a preset location rang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control module may cause the symbol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to include a preset symbol icon linked to the location range departure. Can be controlled.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시계형 단말과 기 연동된 사용자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watch-type terminal and a user terminal previously linked.

또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비정상 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경고 알림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기 설정된 위치 범위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transmit a warning notifica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abnormal situation, and may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out of the preset location range.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학습 정보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학습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표시되는 상기 상징 아이콘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learning information data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control module may determine a type of the symbol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based on the learning information data.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applica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additional embodiments may exist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의 시계형 단말을 통해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지원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하고, 분실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특성을 반영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위한 복수의 상징을 표시할 수 있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위한 시계형 단말 및 그를 이용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by support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through a watch-type terminal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wrist, it is easy to carry, there is no fear of loss, and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or A watch-type terminal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capable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symbols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based on the selection of and a method of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can be provided.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생체 신호 획득 센서, GPS 센서 등을 탑재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태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가 소정의 위치 범위를 이탈한 경우 등 예기치 못하게 발생 가능한 긴급 상황 발생시 연동된 사용자 단말에 이를 즉각적으로 알릴 수 있어 발달 장애 아동 등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 bio-signal acquisition sensor, a GPS sensor, etc. are mounted, when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when an emergency situation that may occur unexpectedly, such as when the user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location range This can be immediately notified to the linked user terminal, thereby promoting the safety of users such as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effect obtainable in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ffects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may exist.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계형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카테고리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계형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상징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을 위한 시계형 단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을 위한 시계형 단말의 본체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계형 단말을 이용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ategory icon displayed on a screen of a watch-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ymbol icon displayed on a screen of a watch-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watch-type terminal for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main body of a watch-type terminal for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a watch-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application.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applica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the case.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positioned "on", "upper", "upper", "under", "lower", and "lower" of another member, this means that a member is located on another member.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y are in contact but also the case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he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원은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위한 시계형 단말 및 그를 이용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watch-type terminal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nd a method of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시스템(10)은,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을 위한 시계형 단말(100)(이하, '시계형 단말(100)'이라 한다.), 사용자 단말(200) 및 통합 관리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watch-type terminal 100 for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clock-type terminal 100'). .), may include a user terminal 200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300.

시계형 단말(100), 사용자 단말(200) 및 통합 관리 서버(300) 상호간은 네트워크(2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watch type terminal 100,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30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network 20. The network 20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information exchange is possible between respective nodes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and examples of such a network 20 include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nd a Long Term Evolution) network, 5G network,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network,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a wifi network, a Bluetooth network, a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 analog broadcasting network, and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사용자 단말(20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is, for example, a smart phone (Smartphone), a smart pad (SmartPad), a tablet PC, etc. and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It can be any kind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특히, 사용자 단말(200)은 시계형 단말(100)을 통해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보호자(부모, 보모, 후견인 등)가 보유한 보호자 단말(2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속한 특수 학교 등에서 해당 사용자의 교육 담당자(담임 선생님, 특정 수업 담당 선생님 등)가 보유한 교수자 단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하는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자 단말(200)이라는 용어는 보호자 단말(210) 및 교수자 단말(2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사용자 단말(200)과 연계하여 수행되는 본원의 실시예의 각 단계는 보호자 단말(210) 또는 교수자 단말(220)이 주체가 되어 수행되는 것이거나 보호자 단말(210) 및 교수자 단말(220) 모두가 주체가 되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In particular, the user terminal 200 may include a guardian terminal 210 held by a guardian (parent, nanny, guardian, etc.) of a user who perform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through the watch-type terminal 100.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include an instructor terminal 220 held by a person in charge of education (a homeroom teacher, a teacher in charge of a specific class, etc.) of the user in a special school to which the user belongs. In this regar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later, the term user terminal 200 may be understood to include at least one of the guardian terminal 210 and the instructor terminal 220. In other words, each step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er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0 is performed by the guardian terminal 210 or the instructor terminal 220 as a subject, or the guardian terminal 210 and the instructor terminal 220 It may be that everyone is the subject and is performed.

시계형 단말(100)은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에 복수의 상징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11)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watch-type terminal 100 may display a plurality of symbolic icons on the scree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Here, the screen of the watch type terminal 100 may be understood to mean the display module 111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계형 단말(100)은 복수의 상징 아이콘을 포괄하는 카테고리 아이콘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테고리 아이콘은 복수의 단계로 계층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계형 단말(100)은 각각이 복수의 상징 아이콘을 포괄하는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을 포괄하는 상위 카테고리 아이콘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계형 단말(100)은 카테고리 아이콘 설정을 위한 커스터마이징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커스터마이징 입력을 기초로 소정의 카테고리 아이콘에 포함되는 복수의 상징 아이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을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watch-type terminal 100 may set a category icon including a plurality of symbol icons.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ategory icons may be layered in a plurality of stages. For example, the watch type terminal 100 may set a higher category icon including a plurality of category icons, each including a plurality of symbol icons. For example, the watch type terminal 100 may receive a customizing input for setting a category icon, and may determine a plurality of symbol icons or a plurality of category icon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category icon based on the received customizing input.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스터마이징 입력은 복수의 상징 아이콘을 포괄하는 카테고리 아이콘을 설정하기 위하여 인가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상징 아이콘 및/또는 카테고리 아이콘 간의 표시 순서를 결정(정렬)하거나,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의 초기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상징 아이콘 및/또는 카테고리 아이콘을 결정하기 위하여 시계형 단말(100) 또는 시계형 단말(100)과 연동된 사용자 단말(200)에 인가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not only when a customizing input is applied to set a category icon including a plurality of symbol icons, but also a symbol ic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and/or a display between the category icons A user interlocked with the watch-type terminal 100 or the watch-type terminal 100 in order to determine the order (sort) or determine a symbol icon and/or a category icon displayed on the initial interface of the scree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It may be applied to the terminal 200.

달리 말해, 시계형 단말(100)은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시계형 단말(100)은 카테고리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선택된 카테고리 아이콘에 포함된 복수의 상징 아이콘(또는 복수의 하위 카테고리 아이콘)을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watch-type terminal 100 may display at least one category icon on the scree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In addition, when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category icon is received, the watch-type terminal 100 displays a plurality of symbol icons (or a plurality of sub-category icons) included in the selected category icon on the scree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It can work.

여기서, 상징 아이콘과 카테고리 아이콘은 사용자가 해당 상징 아이콘 또는 카테고리 아이콘을 통해 전달할 수 있는 내용을 시계형 단말(100)의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해당 상징 아이콘 또는 카테고리 아이콘과 연계된 내용을 함축적으로 나타낸 텍스트, 그림, 픽토그램 등의 형태로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Here, the symbol icon and the category icon implicitly include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symbol icon or category icon so that the user of the watch type terminal 100 can intuitively understand the content that the user can deliver through the symbol icon or category icon. I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in the form of an indicated text, picture, or pictogram.

이와 관련하여, 본원의 발명자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시계형 단말(100)의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가 스마트폰 등의 디바이스에 비해 한정적인 것이 일반적이므로,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지원하기 위한 상징 아이콘의 모든 유형을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하기 어려운 점에 착안하여, 복수의 상징 아이콘을 포괄하고, 해당 복수의 상징 아이콘의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내용을 반영할 수 있는 카테고리 아이콘을 설정하여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소정의 카테고리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인가하는 경우, 해당 카테고리 아이콘에 포함되는 복수의 상징 아이콘이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한정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서도 다양한 내용의 의사소통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한 것이다.In this regard, in the case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such as a smart watch,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generally have a limited display screen size compared to a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so that the symbol icon for support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Focusing on the difficulty of displaying all types on the scree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a plurality of symbol icons are included, and a category icon that can reflect commonly applied contents of the plurality of symbol icons is set to When displaying on the screen of the type terminal 100 and apply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category icon by the user, a plurality of symbol icons included in the category icon are displayed so that various contents can be displayed through a limited display screen. It is designed to provide communication.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계형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카테고리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ategory icon displayed on a screen of a watch-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2를 참조하면, 시계형 단말(100)은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을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시계형 단말(100)은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A1)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시계형 단말(100)은 소정의 카테고리 아이콘이 선택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카테고리 아이콘의 대표 명칭('물')이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 중심부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2, the watch type terminal 100 may display a plurality of category icons on the screen of the watch type terminal 100. Also, the watch-type terminal 100 may receive a user input A1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category icons. In addition, when a predetermined category icon is selected, the watch-type terminal 100 may display the representative name ('water') of the selected category icon in the center of the scree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as shown in FIG. 2.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A1)은 시계형 단말(100)의 베젤 영역(130)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인가되는 베젤 회전 입력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계형 단말(100)은 페이징(Paging)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한 베젤 영역(130)의 회전 정도(예를 들면, 회전 각도 변위, 회전 각속도 등)가 기 설정된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현재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 중 적어도 일부가 갱신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 input A1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category icons may be a bezel rotation input applied in a manner of rotating the bezel area 130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watch-type terminal 100 has a paging function so that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bezel region 130 by the user (eg, rotation angle displacement, rotation angular velocity, etc.) When it exceeds a preset level, it may operate to update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ategory icons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계형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상징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ymbol icon displayed on a screen of a watch-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3을 참조하면, 시계형 단말(100)은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A1)이 수신되면, 선택된 카테고리 아이콘에 포함된 복수의 상징 아이콘('주세요', '싫어요', '좋아요' 등)을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시계형 단말(100)은 복수의 상징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A2)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소정의 카테고리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에도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에는 선택되지 않은 다른 카테고리 아이콘이 함께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A1)에 기초하여 선택된 카테고리 아이콘에 포함된 상징 아이콘의 수가 소정 수준 이하로 적은 경우,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에 남은 공간에 선택되지 않은 다른 카테고리 아이콘(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선생님', '화장실' 등)이 함께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when a user input A1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category icons is received, the watch-type terminal 100 receives a plurality of symbol icons included in the selected category icon ('please','dislike'). ,'Like', etc.)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In addition, the watch-type terminal 100 may receive a user input A2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symbol icon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even when a predetermined category icon is selected, another category icon that is not selected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together. For example, if the number of symbol icons included in the category icon selected based on the user input (A1)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level, other category icons that are not selected in the remaining space on the screen of the watch type terminal 100 (for example,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teacher','toilet', etc.) may be displayed together.

즉, 시계형 단말(100)은 상징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시계형 단말(100)은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징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시계형 단말(100)의 사용자가 '물'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A1)을 인가하고, '주세요'에 대응하는 상징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A2)을 인가한 경우, 시계형 단말(100)의 음향 출력 모듈(112)을 통해 '물 주세요'와 같은 상징 아이콘에 대응하는 내용의 음성이 출력될 수 있다.That is, the watch type terminal 10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symbolic icons. In this case, the watch-type terminal 100 may output a preset voi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ymbol icon based on the received user input.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user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applies a user input (A1) for selecting a category icon corresponding to'water', and a symbol icon corresponding to'please' When the user input (A2) for selecting is applied, a voice of content corresponding to a symbolic icon such as'please water' may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module 112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다만, 도 2 및 도 3을 통해 상술한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각각의 상징 아이콘과 각각의 카테고리 아이콘에 대한 배열, 배치 등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배열, 배치 등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이 적용되는 시계형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모듈(111)의 형상, 면적 등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상징 아이콘 또는 카테고리 아이콘의 개수, 상징 아이콘 또는 카테고리 아이콘 각각의 모양 및 크기 등이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각각의 상징 아이콘과 각각의 카테고리 아이콘에 대한 배열, 배치 방식 등은 사용자 또는 해당 사용자의 보호자의 선택에 결정되는 방식(달리 말해, 커스터마이징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However,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arrangement, arrangement, etc. of each symbol icon and each category ic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described above through FIGS. 2 and 3 are exemplary, and such an arrangement, The arrangement and the like may be various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For example, the number of symbol icons or category icons displayed based on the shape and area of the display module 111 of the watch type terminal 100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ed, and the shape and size of each symbol icon or category icon are required. It may be set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and as another example, the arrangement and arrangement method of each symbol icon and each category ic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can be determined by the selection of the user or the guardian of the user. It can also be implemented in a determined way (in other words, a customized way).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상징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A2)은 시계형 단말(100)의 베젤 영역(130)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인가되는 베젤 회전 입력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계형 단말(100)은 페이징(Paging)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한 베젤 영역(130)의 회전 정도(예를 들면, 회전 각도 변위, 회전 각속도 등)가 기 설정된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현재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상징 아이콘 중 적어도 일부가 갱신되도록 동작하거나 현재 표시되고 있는 카테고리 아이콘 외의 카테고리 아이콘을 사용자가 재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을 표시하는 화면으로 되돌아가도록 동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 input A2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symbol icons may be a bezel rotation input applied in a manner of rotating the bezel area 130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watch-type terminal 100 has a paging function so that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bezel region 130 by the user (eg, rotation angle displacement, rotation angular velocity, etc.) When it exceeds a preset level,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ymbol icon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urrent watch-type terminal 100 are operated to be updated, or the user can select a category icon other than the currently displayed category icon. It can operate to return to the screen displaying the category icon.

다만, 사용자가 선택한 상징 아이콘에 대응하는 내용이 시계형 단말(100)을 통해 출력되는 것은 상술한 음성 출력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시계형 단말(100)은 사용자에 의해 상징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A1)이 인가되면,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11)에 상징 아이콘에 대응하는 내용의 텍스트가 다른 사람이 이를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비교적 큰 글씨로 출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텍스트 출력 방식은, 음성을 통하여 의사소통을 하기 어려운 장소(예를 들면, 도서관, 지하철 등 정숙이 요구되는 장소)에서도 본원의 시계형 단말(100)을 통해 주변 사람과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계형 단말(100)은 상징 아이콘의 내용에 대한 출력 방식을 선택하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출력 방식을 음성 출력, 텍스트 출력 등으로 결정하여 상징 아이콘에 대한 내용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However, outputt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ymbol icon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watch-type terminal 10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audio output method. As another example, when a user input (A1) for selecting one of the symbolic icons is applied by the user, the watch-type terminal 100 displays text corresponding to the symbolic icon in the display module 111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implemented to be output in relatively large letters to make it easier to check. This text output method is provided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surrounding people through the watch-typ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application even in places where it is difficult to communicate through voice (for example, places where quietness is required, such as a library or subway). Can 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watch-type terminal 100 receives a separate user input for selecting an output method for the contents of the symbolic icon, and outputs an output method based on the received user input by voice output, text output, etc. It may be determined to provide the contents of the symbol icon.

또한,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에 복수의 상징 아이콘을 포괄하는 카테고리 아이콘이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되는 경우에도 카테고리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및 상징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항상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것은 아니며, 시계형 단말(100)의 초기 화면에 소정의 상징 아이콘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징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만이 인가되어 해당 상징 아이콘에 대응하는 음성 또는 텍스트가 출력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at least one category icon including a plurality of symbol icons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category icon and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symbol icon are always sequentially applied. In addition, when a predetermined symbol icon is included in the initial scree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only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symbol icon is applied and a voice or text corresponding to the symbol icon may be output.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계형 단말(100)에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은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 및 시계형 단말(100)의 베젤 영역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인가되는 베젤 회전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user input applied to the watch type terminal 100 is applied by a touch input applied to the screen of the watch type terminal 100 and a method of rotating the bezel area of the watch type terminal 100.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bezel rotation input.

여기서, 베젤 회전 입력이란, 시계형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모듈(111)의 외측을 둘러싸는 구조로 마련된 베젤부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인가되는 물리적 입력 방식(하드웨어 입력 방식)과 디스플레이 모듈(111) 내에 형성되어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베젤 형상의 화상을 회전시키는 터치 입력을 통해 인가되는 소프트웨어 입력 방식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사용자 입력 수신을 위한 베젤 영역(130)은 디스플레이 모듈(111)의 외측을 둘러싸되 물리적으로 베젤 영역(130)을 회전시키는 정도를 인식하여 사용자 입력 수신 여부를 결정하도록 시계형 단말(100)에 대하여 설치되는 것이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110)에 의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내부에 터치 입력 인가가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의 일부로써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ezel rotation input refers to a physical input method (hardware input method) applied by rotating a bezel part provided in a structur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display module 111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and within the display module 111. It may be understood to include a software input method applied through a touch input for rotating a bezel-shaped image formed and provided to rotate based on a touch input. In other words, the bezel area 130 for receiving a user input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display module 111 and recognizes the degree of physically rotating the bezel area 130 to determine whether to receive a user input. ) Or formed as a part of the display so that the touch input can be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display area displayed by the display module 1110.

또한, 시계형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카테고리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상징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등)의 수신 내역을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시계형 단말(100)은 누적된 사용자 입력의 수신 내역에 기초하여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상징 아이콘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시계형 단말(100)은 사용자가 소정의 상징 아이콘을 선택한 횟수를 누적하여 카운트하고 선택된 횟수가 높은 상징 아이콘이 우선적으로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계형 단말(100)은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아이콘을 미리 학습하여 학습 결과에 따라 개인화된 상징 아이콘의 표시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watch-type terminal 100 may accumulate and store the reception details of a user input (a user input to select one of the category icons, a user input to select one of the symbol icons, etc.). In addition, the watch-type terminal 100 may determine the type of a symbol ic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based on the accumulated user input reception details. In other words, the watch-type terminal 100 may accumulate and count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symbol icon, and operate to preferentially display a symbol icon having a high selected number on the scree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watch-type terminal 100 may learn in advance an icon mainly used by a user and display a personalized symbol icon according to a learning result.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계형 단말(100)은, 누적된 사용자 입력의 수신 내역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간대 별 상징 선택 패턴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시계형 단말(100)은 도출된 시간대 별 상징 선택 패턴 및 현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상징 아이콘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시계형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의 수신 내역을 시간대 별로 분류 및 분석하여 특정 시간대에 자주 선택된 상징 아이콘이 해당 시간대에서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watch-type terminal 100 may derive a symbol selection pattern for each time zone of the user based on the received details of the accumulated user input. In addition, the watch-type terminal 100 may determine a type of a symbol ic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based on the derived symbol selection pattern for each time zone and current time information. In other words, the watch-type terminal 100 may classify and analyze the reception details of the user input by time zone, and operate so that a symbol icon frequently selected in a specific time zon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in the corresponding time zone.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하면, 시계형 단말(100)은 누적된 사용자 입력의 수신 내역에 기초하여 특징 시간대가 식사 시간인 것으로 파악하여 해당 시간대에서는 음식, 식사 등과 관련된 상징 아이콘이 우선적으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시계형 단말(100)은 누적된 사용자 입력의 수신 내역에 기초하여 특정 시간대가 수업 시간인 것으로 파악하여 해당 시간대 에서는 수업 내용, 교구 등과 관련된 상징 아이콘이 우선적으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Illustratively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watch-type terminal 100 determines that the characteristic time zone is meal time based on the received details of the accumulated user input, so that symbol icons related to food and meals are preferentially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corresponding time zone. It can work. As another example, the clock-type terminal 100 may determine that a specific time zone is a class time based on the accumulated user input reception history, and operate to preferentially display a symbol icon related to class content and teaching aids in the corresponding time zone. hav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계형 단말(100)은 시계형 단말(100)에 구비되는 생체 신호 획득 센서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생체 신호 획득 센서는 예를 들어, 심박수 센서, 가속도 센서, 혈압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생체 신호를 획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watch-type terminal 100 may monitor the user's body condition based on the user's bio-signal measured from a bio-signal acquisition sensor provided in the watch-type terminal 100. The biosignal acquisition sensor may include, for example, a heart rate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blood pressure sensor,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to acquire various types of biosignals as needed.

또한, 시계형 단말(100)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파악된 사용자의 신체 상태가 비정상 상황으로 판단되면 시계형 단말(100)과 기 연동된 사용자 단말(200)에 통신 모듈(116)을 통해 경고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계형 단말(100)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파악된 사용자의 신체 상태가 비정상 상황으로 판단되면 시계형 단말(100)과 기 연동된 사용자 단말(200)(예를 들면, 보호자 단말(210) 등)에 해당 상황을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body condition identified based on the user's bio-signal is an abnormal condition, the watch-type terminal 100 transmits the communication module 116 to the user terminal 200 previously linked with the watch-type terminal 100. A warning notification signal can be transmitted through. In other words, the watch-typ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determines that the user's body condition, which is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bio-signal, is an abnormal situation, and the user terminal 200 previously linked with the watch-type terminal 100 ) (For example, the guardian terminal 210, etc.), the situation can be transmitted.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계형 단말(100)은 시계형 단말(100)에 구비되는 GPS 센서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watch-type terminal 100 may monitor the user's location based on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a GPS sensor provided in the watch-type terminal 100.

또한, 시계형 단말(100)은 GPS 센서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기 설정된 위치 범위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음향 출력 모듈(112)을 통해 경고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시계형 단말(100)은 GPS 센서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기 설정된 위치 범위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시계형 단말(100)과 기 연동된 사용자 단말(200)에 통신 모듈(116)을 통해 파악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시계형 단말은 GPS 센서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기 설정된 위치 범위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위치 범위 이탈과 연계된 기 설정된 상징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모듈(111)을 통해 표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deviated from a preset location rang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cquired from the GPS sensor, the watch type terminal 100 may output a warning alarm through the sound output module 112. In addition, the watch-type terminal 100 communicates to the user terminal 200 previously linked with the watch-type terminal 1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out of the preset location range based on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GPS sensor.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dentified through the module 116 may be transmitted. In addition, if the watch-typ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deviated from the preset location range based on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GPS sensor, the watch-type terminal displays a preset symbol icon associated with the location range departure through the display module 111. It can work.

여기서, 위치 범위 이탈과 연계된 기 설정된 상징 아이콘은 예를 들어, '길을 잃었어요' 등과 같은 내용의 음성과 대응되는 상징 아이콘 등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기 설정된 위치 범위는 사용자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는 학교의 위치, 사용자의 주거지의 위치 등의 특정 위치로부터 소정의 허용 반경을 기초로 확장된 위치 범위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 설정된 위치 범위는 보호자 단말(210), 교수자 단말(220) 등 시계형 단말(100)과 연동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로부터의 이격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Here, the preset symbol icon associated with the departure from the location range may be, for example, a symbol icon corresponding to a voice of content such as'I'm lost',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et location range may be determined as a location range extended based on a predetermined allowable radius from a specific location, such as a location of a school where education for a user is performed, or a location of a user's residence. As another example, the preset location range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linked to the watch-type terminal 100 such as the guardian terminal 210 or the instructor terminal 220.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계형 단말(100)은 시계형 단말(100)과 기 연동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학습 정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시계형 단말(100)은 수신된 학습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상징 아이콘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 정보 데이터는 예를 들어 시계형 단말(100)의 사용자가 참여하는 수업, 교육 프로그램 등과 연계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정보 데이터는 학급 등에서 진행되는 수업 과목, 수업 교구, 수업 내용 등과 연계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watch-type terminal 100 may receive learning information data from the user terminal 200 previously linked with the watch-type terminal 100. Also, the watch-type terminal 100 may determine a type of a symbol ic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based on the received learning information data. Here, the learning information data may include, for example, information related to a class, an education program, etc., in which the user of the watch type terminal 100 participates. For example, the learning information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class subjects, teaching aids, and class contents conducted in a class.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하면, 사용자에 대한 교육, 수업을 제공하는 교수자(예를 들면, 특수 학급 담당 선생님 등)는 당일 수업 내용이 '화폐를 이용한 상품 구매 수업'에 해당하는 경우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화폐 카드에 대응하는 상징 아이콘이 학생들의 시계형 단말(100)에 표시되도록 학생들의 시계형 단말(100)에 교수자 단말(220)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학습 정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For better understanding, for example, a teacher who provides education and classes for users (for example, a teacher in charge of a special class) is a currency that can be used in the class if the content of the class on the day corresponds to a'product purchase class using money'. The corresponding learning information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student's watch type terminal 100 by using the instructor terminal 220 so that the symbolic icon corresponding to the card is displayed on the student's watch type terminal 100.

본원의 시계형 단말(100)은 사용자에 대한 교육, 수업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200)(예를 들어, 교수자 단말(220))로부터 현재 수업 시간에 진행될 학습 수업 과목, 수업 교구, 수업 내용 등과 연계된 학습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학습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에서 표시되는 상징 아이콘의 유형을 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수업에서의 학습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이렇듯 본원의 시계형 단말(100)을 활용하여 발달 장애 아동 등 일반적인 의사소통이 어려운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수업에서 교수자-학생 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효율적인 수업 진행을 가능케할 수 있다.The clock-typ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user terminal 200 (e.g., a teacher terminal 220) that provides education for a user and a class. By receiving the associated learning information data and determining the type of the symbolic ic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based on the learning information data, it is possible to assist the user to easily learn in the corresponding class. .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watch-typ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effective instruction by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instructor-students in education and instruction for users having difficulty in general communication such as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통합 관리 서버(300)는 시계형 단말(100)의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시계형 단말(100) 또는 시계형 단말(100)과 연동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거주지 등을 포함하는 인적 사항 정보 및 사용자의 장애 등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관리 서버(300)는 시계형 단말(100)에 대하여 부여된 식별 정보(고유 번호, RFID 태그 등)를 사용자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300 may receive and store user information of a user of the watch type terminal 100 from the watch type terminal 100 or the user terminal 200 interlocked with the watch type terminal 100. Here,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gender, age, and place of residence, and the user's disability leve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300 may match an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 number, RFID tag, etc.) assigned to the watch-type terminal 100 with user information.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관리 서버(300)는 시계형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200)의 최초 연동시 시계형 단말(100) 또는 시계형 단말(100)과 연동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300 is intended to interlock with the watch-type terminal 100 or the watch-type terminal 100 when the watch-type terminal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are initially linked. It may be obtaining user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관리 서버(300)는 스토리지 모듈(113)에 저장된 시계형 단말(100)에 인가된 사용자 입력의 수신 내역을 시계형 단말(100)로부터 획득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통합 관리 서버(300)는 시계형 단말(100)에 인가된 커스터마이징 입력 수신 내역을 시계형 단말(100)로부터 획득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통합 관리 서버(300)는 특정 사용자가 시계형 단말(100)을 교체하는 경우, 기 저장하고 있던 사용자 입력의 수신 내역 및 커스터마이징 입력 수신 내역을 교체된 시계형 단말(100)로 제공하여, 교체 전의 시계형 단말(100)에서 적용되었던 개인화 설정이 교체된 시계형 단말(100)에서도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300 acquires and stores the received details of the user input applied to the watch type terminal 100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13 from the watch type terminal 100 Can be managed. In addi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300 may acquire, store and manage the customized input received details applied to the watch type terminal 100 from the watch type terminal 100. In this regard, when a specific user replaces the watch type terminal 100,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300 provides the previously stored user input reception details and the customized input reception details to the replaced watch type terminal 100 Thus, the personalization setting applied in the watch-type terminal 100 before replacement can be maintained in the replaced watch-type terminal 100 as well.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을 위한 시계형 단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을 위한 시계형 단말의 본체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watch-type terminal for providing sup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FIG.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of a watch-type terminal for providing sup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특히, 도 4의 (A)는 시계형 단말(100)의 전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의 (B)는 시계형 단말(100)의 배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In particular, FIG. 4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ront part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and FIG. 4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ear part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도 4를 참조하면, 시계형 단말(100)은 본체부(110) 및 스트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watch-type terminal 100 may include a main body 110 and a strap 120.

본체부(110)는, 복수의 상징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는 상징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선택된 상징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may display a plurality of symbol icons. In addition, the main body unit 11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symbol icons and output a preset voi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ymbol icon.

또한, 스트랩부(120)는, 본체부(110)를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본체부(110)의 양측과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ap unit 120 may b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main unit 110 in order to fix the main unit 110 to the user's body.

또한, 도 4 및 도5를 참조하면, 시계형 단말(100)의 본체부(110)는, 디스플레이 모듈(111), 음향 출력 모듈(112), 스토리지 모듈(113), 제어 모듈(114), 센서 모듈(115) 및 통신 모듈(116)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main body 110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includes a display module 111, an audio output module 112, a storage module 113, a control module 114, A sensor module 115 and a communication module 116 may be included.

디스플레이 모듈(111)은 복수의 상징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11)은 적어도 일부가 휨 변형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일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11 may display a plurality of symbol icon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isplay module 111 may be a flexible display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display module is bent and deformable.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11)은 상징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 모듈(111)의 화면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 및 시계형 단말(100)의 베젤 영역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인가되는 베젤 회전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module 111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symbolic icons. Here, the user inpu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ouch input applied to the screen of the display module 111 and a bezel rotation input applied in a manner of rotating the bezel area of the watch type terminal 100.

음향 출력 모듈(112)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징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112 may output a preset voice corresponding to a symbol icon selected based on a user input.

스토리지 모듈(113)은, 사용자 입력의 수신 내역을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module 113 may accumulate and store the received details of the user input.

제어 모듈(114)은, 스토리지 모듈(113)에 누적된 사용자 입력의 수신 내역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11)에서 표시되는 상징 아이콘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14 may determine the type of the symbol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11 based on the received details of the user input accumulated in the storage module 113.

또한, 제어 모듈(114)은, 스토리지 모듈(113)에 누적된 사용자 입력의 수신 내역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간대 별 상징 선택 패턴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14)은, 도출된 시간대 별 상징 선택 패턴 및 현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11)에서 표시되는 상징 아이콘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14 may derive a symbol selection pattern for each time zone of the user based on the received details of the user input accumulated in the storage module 113. Also, the control module 114 may determine the type of the symbol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11 based on the derived symbol selection pattern for each time zone and current time information.

또한, 제어 모듈(114)은 GPS 센서(115b)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기 설정된 위치 범위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모듈(111)에서 표시되는 상징 아이콘이 위치 범위 이탈과 연계된 기 설정된 상징 아이콘을 포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control module 114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deviated from the preset location rang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cquired through the GPS sensor 115b, the symbol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11 is the location range. It can be controlled to include a preset symbol icon associated with departure.

또한, 제어 모듈(114)은 통신 모듈(116)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학습 정보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학습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11)에서 표시되는 상징 아이콘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earning information data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16, the control module 114 determines the type of the symbol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11 based on the received learning information data. I can.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114)은 통합 관리 서버(300)로부터 획득된 시계형 단말(100)의 사용자의 장애 등급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11)에서 표시되는 상징 아이콘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14)은 시계형 단말(100)의 사용자의 장애 등급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장애 심각도가 높을수록 비교적 단순한 의사 소통을 지원하기 위한 상징 아이콘이 우선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11)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반대로 사용자의 장애 심각도가 낮을수록 사용자의 장애 심각도가 높은 경우에 비하여 고도화된 의사 소통을 지원하기 위한 상징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ntrol module 114 is a symbol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11 based on the user's disability level informatio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obtained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300 You can decide the type of 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114 prefers a symbol icon for supporting relatively simple communication as the user's failure severity is higher based on the user's disability level informatio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On the contrary, the lower the user's failure severity is, the higher the user's failure severity is, the more advanced communication is supported.

센서 모듈(115)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 신호 획득 센서(115a)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센서(115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생체 신호 획득 센서(115a) 및 GPS 센서(115b)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 가능하도록 본체부(110)의 배면부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sensor module 115 may include a biosignal acquisition sensor 115a for measuring a user's biosignal and a GPS sensor 115b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4, at least one of the biosignal acquisition sensor 115a and the GPS sensor 115b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o allow contact with the user's body.

통신 모듈(116)은 시계형 단말(100)과 기 연동된 사용자 단말(20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마련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16 may be provided for data transmission/recep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200 previously linked with the watch type terminal 100.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16)은 생체 신호 획득 센서(115a)를 통해 획득된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태가 비정상 상황으로 판단되면 시계형 단말(100)과 연동된 사용자 단말(200)에 경고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116 is a user linked to the watch-type terminal 1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body condition is an abnormal condition based on the biosignal acquired through the biosignal acquisition sensor 115a. A warning notific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0.

또한, 통신 모듈(116)은 GPS 센서(115b)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기 설정된 위치 범위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시계형 단말(100)과 연동된 사용자 단말(200)에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communication module 116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deviated from a preset location range based on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GPS sensor 115b, the user terminal 200 linked with the watch-type terminal 100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또한, 통신 모듈(116)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학습 정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116 may receive learning information data from the user terminal 200.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시계형 단말(100)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모듈(11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충전 모듈(117)은 본체부(110)의 측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마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4, the main body 110 may include a charging module 117 for charging power for driving the watch-type terminal 100.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the charging module 117 may be provided in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음성 인식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듈(미도시)은 시계형 단말(100)의 사용자와 대화하는 대화자가 발화하는 음성 언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언어를 해석하여 문자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 모듈(114)은 변환된 문자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대화자가 발화한 음성 언어의 의도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14)은 파악된 대화자의 의도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11)에서 표시되는 상징 아이콘이 대화자와의 대화 흐름에 부합하는 상징 아이콘을 포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렇듯 본원의 시계형 단말(100)은 대화자의 발화로부터 STT(Speech to Text) 기법 등에 기초하여 대화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대화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상징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모듈(111)에 표시함으로써 시계형 단말(100)의 사용자가 대화자와 자연스러운 대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body unit 11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voice recognition module (not shown).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not shown) may receive a voice language spoken by a talker who communicates with the user of the watch type terminal 100, interprets the received voice language, and converts the received voice language into text data. In this regard, the control module 114 may determine intention information of the spoken language spoken by the speaker through analysis of the converted text data.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14 may control the symbol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11 to include a symbol icon corresponding to the flow of conversation with the speaker based on the determined intention information of the speaker. As described above, the clock-typ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application recognizes the intention of the speaker based on the STT (Speech to Text) technique from the speech of the speaker, and displays a symbol icon corresponding to the intention of the speaker on the display module 111 It is possible to support a user of the terminal 100 to perform a natural conversation with a talker.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based on the detail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flow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계형 단말을 이용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a watch-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6에 도시된 시계형 단말을 이용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된 시계형 단말(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시계형 단말(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시계형 단말을 이용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the watch type terminal shown in FIG. 6 may be performed by the watch type terminal 100 described above. Therefore, even if omitted below, the descriptio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a method of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a watch-type terminal.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10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11)은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에 복수의 상징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n step S610, the display module 111 may display a plurality of symbol icons on the scree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다음으로, 단계 S620에서 시계형 단말(100)은 상징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Next, in step S620, the watch type terminal 10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symbolic icons.

다음으로, 단계 S630에서 음향 출력 모듈(112)은 선택된 상징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Next, in step S630, the sound output module 112 may output a preset voi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ymbol icon.

또한, 단계 S641에서 스토리지 모듈(113)은 사용자 입력의 수신 내역을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S641, the storage module 113 may accumulate and store the received details of the user input.

다음으로, 단계 S642에서 제어 모듈(114)은 누적된 사용자 입력의 수신 내역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간대 별 상징 선택 패턴을 도출할 수 있다.Next, in step S642, the control module 114 may derive a symbol selection pattern for each time zone of the user based on the accumulated user input reception details.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시계형 단말(100)의 화면에 복수의 상징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S610에 선행하여 제어 모듈(114)은 누적된 사용자 입력의 수신 내역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11)에서 표시되는 상징 아이콘의 유형을 결정하거나 누적된 사용자 입력의 수신 내역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간대 별 상징 선택 패턴을 도출하고, 시간대 별 상징 선택 패턴 및 현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11)에서 표시되는 상징 아이콘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Furth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prior to step S610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symbolic icons on the screen of the watch-type terminal 100, the control module 114 performs the display module 111 based on the received details of the accumulated user input. Determining the type of symbol icon displayed in or derive a symbol selection pattern for each time zone of the user based on the received details of accumulated user input,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11 based on the symbol selection pattern for each time zone and current time information You can determine the type of symbolic icon to be used.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10 내지 S642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610 to S642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may be combined into fewer step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addition, some steps may be omitted as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steps may be changed.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계형 단말을 이용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of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a watch-typ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above-described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전술한 시계형 단말을 이용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a watch typ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or application executed by a computer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transform it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시스템
100: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을 위한 시계형 단말
110: 본체부
111: 디스플레이 모듈
112: 음향 출력 모듈
113: 스토리지 모듈
114: 제어 모듈
115: 센서 모듈
116: 통신 모듈
120: 스트랩부
20: 네트워크
200: 사용자 단말
300: 통합 관리 서버
10: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provision system
100: Watch-type terminal for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110: main body
111: display module
112: sound output module
113: storage module
114: control module
115: sensor module
116: communication module
120: strap portion
20: network
200: user terminal
300: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Claims (14)

시계형 단말을 이용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계형 단말의 사용자의 보호자 또는 교수자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과 상기 시계형 단말을 연동하는 단계;
상기 시계형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커스터마이징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시계형 단말의 화면의 초기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복수의 상징 아이콘 및 상기 복수의 상징 아이콘의 표시 순서를 결정하는 커스터마이징을 수행하는 단계;
커스터마이징 입력의 수신 내역을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시계형 단말의 화면에 복수의 상징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상징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상징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상징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시계형 단말에 구비되는 GPS 센서로부터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계형 단말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범위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위치 범위 이탈과 연계된 상징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커스터마이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시계형 단말이 교체되는 경우,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커스터마이징 입력의 수신 내역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상징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는,
커스터마이징된 복수의 상징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방법.
In the method of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a watch-type terminal,
Interlocking the watch-type terminal with a user terminal held by a guardian or instructor of the user of the watch-type terminal;
Receiving a customizing input through the watch-type terminal or the user terminal, and determining a plurality of symbol icons displayed on an initial interface of the screen of the watch-type terminal and a display order of the plurality of symbol icons;
Transmitting the received details of the customizing input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Displaying a plurality of symbol icons on the screen of the watch-type terminal;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symbolic icons; And
Outputting a preset voi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ymbol icon,
Including,
Displaying the symbolic ic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of the watch-type terminal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out of a preset rang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GPS sensor provided in the watch-type terminal, a symbol associated with the departure of the location range The steps to display the icon,
Including,
The step of performing the customization,
When the watch-type terminal is replaced, comprising receiving a reception detail of the customizing input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Displaying the symbolic icon,
A method for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displaying a plurality of customized symbolic ic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시계형 단말의 베젤 영역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인가되는 베젤 회전 입력을 포함하는 것인,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input,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bezel rotation input applied in a manner of rotating the bezel region of the watch-type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내역을 누적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징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는,
누적된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내역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상기 상징 아이콘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After receiving the user input,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received details of the user input,
Including more,
Displaying the symbolic icon,
And determining the type of the symbolic icon displayed based on the accumulated user input received detail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하여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누적된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내역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간대 별 상징 선택 패턴을 도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징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대 별 상징 선택 패턴 및 현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상기 상징 아이콘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fter the accumulating and storing step,
Deriving a symbol selection pattern for each time zone of the user based on the accumulated user input received details,
Including more,
Displaying the symbolic icon,
And determining a type of the symbol icon displayed based on the symbol selection pattern for each time zone and current tim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징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시계형 단말에 구비되는 생체 신호 획득 센서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가 비정상 상황으로 판단되면, 경고 알람을 출력하고 상기 시계형 단말과 기 연동된 사용자 단말에 경고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fter the step of displaying the symbolic icon,
When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is determined to be an abnormal condition based on the user's biosignal measured from the biosignal acquisition sensor provided in the watch-type terminal, a warning alarm is output and a warning to the user terminal previously linked with the watch-type terminal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The method of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범위 이탈과 연계된 상징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시계형 단말과 기 연동된 사용자 단말에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경고 알람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fter the step of displaying the symbol icon associated with the departure from the location range,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previously linked with the watch-type terminal to output a warning alarm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method of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further compris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스터마이징을 수행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상징 아이콘을 포괄하는 카테고리 아이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징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 아이콘을 상기 시계형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카테고리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카테고리 아이콘에 포함된 복수의 상기 상징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performing the customization,
Including the step of setting a category icon encompassing the plurality of symbol icons,
Displaying the symbolic icon,
Displaying the category icon on the screen of the watch type terminal; And
When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category icon is received, displaying a plurality of the symbol icons included in the category icon,
That includes, a method of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징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시계형 단말과 기 연동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학습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징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상기 상징 아이콘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Prior to the step of displaying the symbolic ic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learning information data from a user terminal previously linked with the watch type terminal,
Displaying the symbolic icon,
And determining the type of the symbolic icon displayed based on the learning information data.
보완 대체 의사소통 제공을 위한 시계형 단말에 있어서,
복수의 상징 아이콘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상징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선택된 상기 상징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음성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의 양측과 연결된 스트랩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표시되는 상기 상징 아이콘의 유형을 결정하는 제어 모듈;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시계형 단말의 사용자의 보호자 또는 교수자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과 상기 시계형 단말을 연동하는 통신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시계형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된 커스터마이징 입력을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초기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복수의 상징 아이콘 및 상기 복수의 상징 아이콘의 표시 순서를 결정하는 커스터마이징을 수행하고, 상기 커스터마이징 입력의 수신 내역이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GPS 센서로부터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범위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표시되는 상기 상징 아이콘이 위치 범위 이탈과 연계된 상징 아이콘을 포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시계형 단말이 교체되는 경우,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커스터마이징 입력의 수신 내역을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커스터마이징된 복수의 상징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형 단말.
In a watch-type terminal for provid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 main body including a display module displaying a plurality of symbol icons and a sound output module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symbol icons and outputting a preset voi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ymbol icon; And
Strap portion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to fix the main body to the user's body,
Including,
The body part,
A control module that determines a type of the symbolic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A sensor module including a GPS sensor that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linking the watch-type terminal with a user terminal held by a guardian or instructor of the user of the watch-type terminal,
Including more,
The control module,
Performing customization to determine a display order of a plurality of symbol icons and the plurality of symbol icons displayed on the initial interface of the display module based on the customizing input received through the watch-type terminal or the user terminal, and the customization input Control so that the received details of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out of a preset rang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GPS sensor, the symbol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is associated with the departure of the location range. Control to include the symbolic icon,
The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watch-type terminal is replaced, receiving details of reception of the customizing input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The display module,
A clock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displaying a plurality of customized symbol icon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내역을 누적하여 저장하는 스토리지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누적된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표시되는 상기 상징 아이콘의 유형을 결정하거나 누적된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내역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간대 별 상징 선택 패턴을 도출하여 상기 시간대 별 상징 선택 패턴 및 현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표시되는 상기 상징 아이콘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인, 시계형 단말.
The method of claim 10,
The body part,
A storage module that accumulates and stores the received details of the user input,
Including more,
The control module,
The symbol for each time zone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type of the symbol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based on the accumulated user input reception history or by deriving a symbol selection pattern for each time zone of the user based on the accumulated user input reception history To determine the type of the symbol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based on the selection pattern and current time information.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 신호 획득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가 비정상 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경고 알림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기 설정된 위치 범위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인, 시계형 단말.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nsor module,
Further comprising a bio-signal acquisi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bio-signal of the user,
The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is determined to be an abnormal condition based on the bio-signal, a warning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set location range is deviated, the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학습 정보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학습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표시되는 상기 상징 아이콘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인, 시계형 단말.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trol module,
When learning information data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type of the symbol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is determined based on the learning information data.
KR1020190172616A 2019-12-23 2019-12-23 Watch type device for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it KR1021757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616A KR102175751B1 (en) 2019-12-23 2019-12-23 Watch type device for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616A KR102175751B1 (en) 2019-12-23 2019-12-23 Watch type device for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751B1 true KR102175751B1 (en) 2020-11-06

Family

ID=73572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616A KR102175751B1 (en) 2019-12-23 2019-12-23 Watch type device for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75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403A (en) * 2020-12-02 2022-06-09 성신여자대학교 연구 산학협력단 Location-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KR102526772B1 (en) 2021-11-26 2023-04-2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of context-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5924A (en) * 2014-07-08 2016-01-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ementia Pati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60123949A (en) * 2015-04-16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recommanding a reply message and apparatus thereof
KR101669202B1 (en) * 2015-08-13 2016-11-09 박정은 Communication suppor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021700B1 (en) * 2018-05-30 2019-09-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rehabilitate language disorder custermized patient based on internet of thing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5924A (en) * 2014-07-08 2016-01-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ementia Pati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60123949A (en) * 2015-04-16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recommanding a reply message and apparatus thereof
KR101669202B1 (en) * 2015-08-13 2016-11-09 박정은 Communication suppor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021700B1 (en) * 2018-05-30 2019-09-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rehabilitate language disorder custermized patient based on internet of things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05924호(2016.1.18. 공개) 1부.*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3949호(2016.10.26. 공개) 1부.*
등록특허공보 제10-1669202호(2016.11.9. 공고) 1부.*
등록특허공보 제10-2021700호(2019.9.16. 공고) 1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403A (en) * 2020-12-02 2022-06-09 성신여자대학교 연구 산학협력단 Location-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KR102435629B1 (en) 2020-12-02 2022-08-23 성신여자대학교 연구 산학협력단 Location-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KR102526772B1 (en) 2021-11-26 2023-04-2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of context-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521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images
Shane et al. Using AAC technology to access the world
US20230267299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assisted wearable
US20110126119A1 (en) Context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KR102175751B1 (en) Watch type device for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it
KR20160141595A (en) Electronic device which ouputus mess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EP3228101B1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transmitting message from the same
EP35750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bration in electronic device
KR20170110919A (e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5938392B (en) Electronic device with wearable por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A30660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tailoring an electronic digital assistant inquiry response as a function of previously detected user ingestion of related video information
Fernandes et al. ISABELA–a socially-aware human-in-the-loop advisor system
KR101669202B1 (en) Communication suppor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Hersh Mobility technologies for blind, partially sighted and deafblind people: Design issues
Roberts et al. Help! Someone is beeping...
Ivanov Blind-environment interaction through voice augmented objects
Kbar et al. Utilizing sensors networks to develop a smart and context-aware solu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t the workplace (design and implementation)
Moutinho A mobile phone navigator for older adults and persons with dementia
Erickson et al. Designing public safety mobile applications for disconnected, interrupted, and low bandwidth communication environments
KR101743999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verification content
CN116762055A (en) Synchronizing virtual reality notifications
CN108475176A (en) The equipment and its screen picture configuration method of user interface are provided by using pressure sensor
KR20180115490A (en) Device for learning letter, body unit for th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Doush et al. Non-visual navigation interface for completing tasks with a predefined order using mobile phone: a case study of pilgrimage
KR2022014115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prothrombin ti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