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383A - 카드번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카드번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383A
KR20220077383A KR1020200166281A KR20200166281A KR20220077383A KR 20220077383 A KR20220077383 A KR 20220077383A KR 1020200166281 A KR1020200166281 A KR 1020200166281A KR 20200166281 A KR20200166281 A KR 20200166281A KR 20220077383 A KR20220077383 A KR 20220077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server
information
terminal
card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수
Original Assignee
박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수 filed Critical 박경수
Priority to KR1020200166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7383A/ko
Publication of KR20220077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6Aspects of software for card payments
    • G06Q20/3567Software being in the read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9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에서 카드번호가 저장되면, 분산서버에 연동코드와 연동되어 분산되어 상기 카드번호가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카드번호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카드번호 사용방법{how to use a card number}
본 발명은, 카드번호 분산저장 및 이를 통한 결제방법에 대한 기술이다.
소상공인 가맹점 단말기 또는 적은 규모의 회사를 운영하는 가맹점 단말에서 결제 할 때 신용카드 번호가 저장될 경우, 가맹점 단말기가 해킹되는등 보안에 취약하다.
이러한 이유로 가맹점 단말기(특히 POS)와 같은 단말기에는 카드번호를 저장할 수가 없도록 법으로 규제가 되어 있다.
스마트 폰과 같은 무선단말기에서 온라인 가맹점의 결제를 하기 위해서는 PG로 결제를 한다.
그러나 스마트 폰으로 오프라인 결제를 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폰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는 결제장치, 즉 입력장치가 필요하다.
대부분 스마트 폰의 결제는 실제적으로 PG로 매출을 발생하고 있다.
결제대행사인 PG사로 매출이 발생한다.
주유소와 같은 경우, 또는 어떤 회계적인 부분에서 부가세 환급 또는 보조금을 받을 경우에는 PG사로 결제가 되면, 혜택을 받기 못하거나, 이러한 환급 및 보조금 등을 받기 위해서 가맹점마다 별도의 프로세서를 다시 개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로 주유소에서 화물복지 카드의 경우,
경유로 주유소의 사업자로 매출이 발생하여야 하나, 스마트 폰에서 결제할 경우 주유소 사업자가 아닌 PG사업자로 결제가 될 경우, 이를 증명하거나 또는 이를 근거로 환급을 받을 방법이 어렵거나 불가능하게 될 수도 있다.
행여나 가능하더라도 어떤 소명의 자료 등이 필요할 수도 있다.
주유소와 같은 가맹점에는 5만원 승인 후, 실제 3만원이 주유가 되면, 5만원 취소 후 3만원을 재결제해야하나, 5만원 승인 후 신용카드를 고객이 수거하면, 카드번호를 가맹점에서 저장할 수 없기기 때문에(보안을 위해서 저장을 못하도록 할 경우) 5만원 취소와 3만원 승인에 대한 결제를 실행할 수 없어,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고객이 에러난 이후 이것을 이지 못하고 귀가하면, 다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유소로 방문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그렇다고 위의 결제와 취소와 재승인과 주유하는 과정 동안 IC신용카드를 상기 가맹점의 입력장치에 삽입하고 있을 경우, 주유하는 시간이 길어지면., 이를 잊고서 주유를 종료하고 귀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것은 IC신용카드가 분실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분실되거나 잊어먹고 찾아가지 않는 고객들로 인해서 신용카드가 주유소에 쌓이고 이것을 누군가 사용할 경우, 법적인 이슈가 발생할 수도 있다.
대부분 분실로 다시 발급받는 경우가 많음으로, 이것은 새로이 발급하는 카드사들에게 지나친 비용의 전가로 발생하게 된다.
도8와 도9을 보면,
오프라인 가맹점에서(3-2~3-4)에서는 표준화된 IC카드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장치인 IC신용카드 리더기가 존재하고, 표준화되어 있다.
이러한 IC신용카드로 사용된 오프라인 가맹점에서는 VAN서버(결제서버)를 통하여 카드사 서버(8-2)로 결제 승인을 하고, 정산을 오프라인 가맹점 단말기(3)에 해당하는 가맹점으로 정산을 한다.
도9을 보면, 무선단말기(1-5)에서는 고객의 성향에 따라서 다양한 결제방법을 탑재할 수 있다.
이유는 무선단말기에서 APP를 설치하여, 고객이 원하는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의 니즈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의 결제가 가능하다.
문제는 무선단말기(1-5)는 무선으로 되어 있고, 온라인 가맹점(24-1)은 무선으로 결제의 정보를 받아서 처리해야 한다. 즉 무선단말기(1-5)와 온라인 가맹점(24-1)간에는 별도의 무선 입력장치를 구성하거나, 무선 입력장치를 기지국을 사용하더라도, 결제할 수 있는 툴이 필요하고, 각각의 온라인 가맹점(24)들이 이러한 시스템을 모두 구현이 어렵기 때문에, 대표 가맹점(PG)를 두고서, 무선 입력장치인 결제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부분을 해결하였다.
그리나 이때 대표가맹점은 하나의 가맹점일 뿐, 다시 VAN서버를 통하여, 카드사로부터 정산을 받는 구조이다.
도9에서 보면 정산이 2번 거치게 되고, 도8에서 보면 정산을 1번 거치면서 가맹점들은 더 많은 회수를 거칠수록, 더 많은 수수료를 내야 하는 구조가 되는 것이다.
실제적으로 오프라인 가맹점 단말기를 사용할 때보다, 온라인 결제를 할 때에는 수수료가 높은 구조가 이러한 원인 때문이다.
그렇다고 수수료를 아끼자고, 소상공에 해당하는 오프라인 가맹점이 스마트 폰과 가맹점 단말기간에 별도의 결제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는 입력장치를 개발하거나, 구축하는 것에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특히 도7을 예로 들면,
고객의 무선단말기(1-6)에서 오프라인 가맹점 단말기(3)에 결제정보를 전달할 경우, 그 거리가 짧을 경우에는 결제정보 또는 주문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는 무선 입력장치(24)로 해결할 수도 있으나,
서로 거리가 먼 경우에는 무선 입력장치(24)의 송수신거리의 임계점이 존재하고, 멀어지면 멀어질 수도록 보완에 취약함과 신뢰성에도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그리고 무선단말기(1-6)에 저장된 결제정보인 신용카드번호를 오프라인 가맹점 단말기(3-2)에 직접 전달하고서, 이후에 오프라인 가맹점 단말기(3)에서 추가적으로 재승인 및 취소와 같은 일련의 후속과정을 갖는 프로세스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가맹점 단말기(3)에 카드번호를 저장하고 있지 않으면, 취소 또는 재승인할때마다 카드번호를 오프라인 가맹점 단말기(3)에 그때마다 전송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고, 그렇다고 주문 및 상품에 대한 지급이 종료되기 전까지 신용카드 번호를 오프라인 가맹점 단말기가 저장되는 것은, 법의 위반소지 또는 가맹점 단말기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서 해킹되어 카드번호가 불법으로 노출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리고 도9에서 무선단말기(1)의 매출이 가맹점(24-1)이 아닌, 대표 가맹점(23)으로 매출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유소의 유류 중 세금계산서로 비용정산이 가능한 상품에 대해서, 건건이 소명하거나, 또는 주유소의 가맹점 정보가 아닌 대표가맹점으로 매출의 발생은 다양한 비용처리의 이슈가 존재한다.
예로 화물복지카드로 1리터당 350원의 보조금을 받는 신용카드의 경우,
해당 주유소로 된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매출이 발생해야 받을 수 있지만, 대표 가맹점으로 매출이 발생하면, 이러한 보조금을 받을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이슈로, 주유소에서 할인받는 카드, 주유소에서 발생하는 매출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포인트 지급 또는 할인혜택등이 반영되지 못하거나, 또는 이를 반영하기 위해서 주유소 마다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해야하는 비용적 시간적인 이슈들이 존재할 수 있다.
셀프주유소는 처음 5만원 승인 후 주유하다가, 실제 3만원만 주유가되면, 5만원 취소후 3만원을 결제하는 3단계가 존재한다.
만약 이때 5만원만 승인하고, 신용카드를 수거하면, 나머지 5만원 취소화, 3만원 승인에 에러가 발생하여, 누군가가 피해를 보게 될 수도 있다.
그렇다고 주유하는 동안 IC신용카드를 삽입한 상태로 두면, 대략 5분정보의 주유하는 동안에 IC신용카드를 깜박 잊어버리고 주유소에나 차를 타고 귀가하는 일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서 셀프주유소에서는 고객이 분실한 IC신용카드들이 많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는 IC신용카드 번호를 상기 3단계동안 미리 상기 셀프주유기에서 신용카드 번호를 저장한 후 알아서 처리하면 상관없는 일이지만, 보안 또는 법률적인 문제에 의해서 상기 신용카드 번호는 셀프주유기에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배달을 하기 위해서, 배달 기사라는 중간 업체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매출이 발생하지 않고, 배달기사가 보유하고 있는 온라인 결제로 결제가 이루어진다. 이때 배달기사가 해당 결제금액을 잘못 선택하여 결제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실수로 제3자의 장소에 방문하여, 제3자에게 결제를 하는 실수도 존재한다.
이유는 해당 배달기사는 다수의 각각의 다른 가맹점의 주문을 한꺼번에 받아서 배달하고 결제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이다.
또한 배달기사의 소속에 따라서, 또는 배달기사가 소유하고 있는 결제단말기에 카드번호 저장하는 불법 소프트웨어가 존재할 경우, 배달 후 고객이 전달하는 신용카드 결제시 카드번호의 누출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도출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를 해결하기 위해서,
무선단말기로 오프라인 단말기로 결제하는 효과와 같은 결제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스마트 폰으로 결제시 오프라인 가맹점 단말기의 가맹점의 사업자로 매출이 발생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셀프주유기에서 이미 결제된 내역을 재승인 및 취소하는 동안에 IC신용카드를 넣고 있지 않아도 되는 방법이 필요하다.
무선단말기로 간편하게 주유하는 방법 및 결제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IC신용카드로 셀프주유기에서 신용카드를 주유하는 도중에 수거하는 문제에 의한 에러, 및 IC신용카드를 빨리 수거하여 고객이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카드의 분실을 줄이는 방법이 필요하다.
신용카드를 가맹점 단말기에 저장하지 않고서도 결제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무선단말기와 오프라인 가맹점 단말기가 멀리 떨어져 있어도 신용카드의 누출없이 안전하게 결제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배달과 같은 경우, 배달기사가 가진 결제용 단말기에 의해서 고객의 카드번호의 불법노출을 막을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어쩌면, 배달시가가 가지고 다니는 결제용 단말기 자체가 필요없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고,
배달기사가 가지고 다니는 결제용 단말기의 결제방법이 온라인의 결제가 아닌, 배달을 제공해주는 가맹점의 정보로 매출이 발생하는 방법의 제공이 필요하다.
카드를 분산하여 저장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카드는 각각의 서버에 분산되어 저장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해당 카드는 이후에 다시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이때 결합 가능한 정보인 연동코드와 연동되어 분산서버에 저장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분산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제서버 또는 가맹점 단말기에서 연동코드를 근거로 결합된 카드번호를 추출하도록 구성한 후, 초기 주문에 대해서 재승인 또는 취소와 같은 결제를 상기 결합되어 추출되는 카드번호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무선단말기에서 오프라인 가맹점 단말기에 해당하는 오프라인 가맹점 정보로 연동코드를 전송하여, 주문 또는 상품(또는 서비스 상품)에 대해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고객의 무선단말기에서 고객의 전화번호 또는 고객정보를 근거로 연동된 연동코드가 존재할 경우, 가맹점의 제2 무선단말기에서 요청한 결제요청이 표시되고, 무선단말기에서 이를 확인하는 소정의 메뉴를 통하여, 결제가 오프라인 가맹점 단말기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할 수있다.
결제서버 또는 가맹점 단말기는 무선단말기에서 무선으로 전송되어 전달되는 연동코드와 가맹점 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신용카드로부터 연동코드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판단 후, 존재할 경우 연동코드를 근거로 재승인 또는 취소가 되는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이때 연동코드가 없다면, 거래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거래정보를 근거로 연동코드로 사용하도록 구성하고, 이후 해당 연동코드가 특정 프로세스에 의해서 블로킹되도록 구성한다.
신용카드 번호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방법을 제공하다,
온라인으로 결제할 수 있는 무선단말기에서 오프라인의 가맹점 단말기의 가맹점 정보로 매출을 발생시킴으로서,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결제하면서 발생하는 수수료를 절감할 수 있고, 고객입장에서 오프라인에서 사용해야만 적용 받을 수 있는 혜택(주유시 할인, 주유시 세금계산서 발급, 환급금, 주유시 적립금, 화물복지카드의 환급금, 보조금과 같은 혜택들)을 적용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각기 다른 오프라인을 전문적으로 배달하는 배달기사가 소유하는 온라인용 대표가맹점의 단말기가 필요하지 않고, 고객이 직접적으로 집에서도 오프라인 가맹점에 있는 단말기 또는 오프라인 가맹점의 가맹점 정보에 해당하는 사업자로 매출이 발생할 수 있어, 중간에 카드번호의 누출이 없어 카드번호에 대한 누출에 대한 위험성이 없게되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일 실시도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2은 본 발명에서 카드번호를 근거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일 실시도에 따른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서 카드번호의 저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일 실시도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4은 본 발명에서 무선단말기와 제2 무선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일 실시도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5은 본 발명에서 무선단말기와 가맹점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일 실시도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서 카드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일 실시도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서 결제서버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일 실시도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8,9은 본 발명에서 결제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일 실시도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서 가맹점 정보를 근거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일 실시도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서 무선단말기와 상품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일 실시도에 따른 블록도이다.
개인용 무선단말기에서 결제정보를 입력 받도록 소정의 메뉴가 제공되고, 상기 결제정보가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제정보는 신용카드번호 16자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신용카드 번호16자리 중 일부를 저장하고, 상기 일부를 저장하더라도 이를 통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 상품에 대해서 결제를 할 수 있다면, 이것은 신용카드 번호를 저장하였다고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신용카드 번호가 16자리라고 하더라도, 해당 신용카드 번호에 근거하여 결제된다면, 이것은 숫자의 자리 에 상관없이 결제정보라고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용카드 번호 중 일부만이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신용카드의 일부만을 추출할수 있는 다른 식별코드를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것은 사익 신용카드 번호 중 일부가 이미 다른 서버에 저장되고, 해당 다른 서버에 저장된 일부의 카드번호와 결합이 가능한 다른 신용카드 번호를 추출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신용카드 번호가 적어도 2개 이상 분할되어 저장되고, 상기 분할된 하나의 신용카드 번호의 일부를 적어도 하나의 식별코드와 연동하여 저장되도록 구성한 후, 해당 식별코드를 상기 무선단말기(1)에 입력하여, 결합이 가능한 상기 일부의 신용카드 번호를 추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결제정보는 외상카드, 마일리지 카드, 신용카드, 쿠폰정보, 상품권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결제할 수 있는 정보, 또는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코드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코드들에 대해서 모두 해석하는 것은 지면의 한계가 있어서, 예시로는 신용카드 번호를 하나의 예로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이것은 본 발명에서 신용카드 번호라고 하는 부분의 내용을, 상기 결제정보 중 하나의 코드로 대체하여 설명하거나, 또는 치환하여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16자리의 번호가 아닌, 쿠폰코드에 해당하는 9자리, 외상카드에 적용되는 10자리등, 그 자리는 1에서부터 999999999999999 자리 등의 숫자 중 어느 숫자의 개수를 예로 들어 대응(또는 치환)해서 설명하더라도 본 발명의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본 발명에서 신용카드 번호라고 해서, 다른 결제정보가 배제되는 것이 아니고, 단순히 해당 신용카드 번호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고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신용카드 번호를 추출하거나 또는 입력하는 소정의 메뉴에 의해서, 카드번호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무선단말기(1)는 무선중계기(또는 기지국)를 통하여, 분산서버(5)에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분산서버(5)는 서로 다른 회사의 소유에 대한 서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분산서버(5)는 다른 로그인 정보를 갖는 관리자를 갖는 2개 이상의 서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분산서버(5)에서는 상기 전송된 카드번호를 적어도 2개로 분리하여 저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적어도 2개의 분리된 정보를 근거로 결합하여, 상기 카드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개이상으로 분리된, 상기 카드번호 중 일부는 제1 서버에 저장되고, 나머지(또는 나머지들)는 제2서버(또는 제N서버)에 저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서버는 결제서버(6)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무선단말기(1)는 제2서버가 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적어도 하나의 분리된 카드번호를 저장하고, 나머지 분리된 카드번호를 결제사 서버(6)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분산되는 카드번호들을 상기 제1 서버에서 결합하여 카드번호를 추출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정보로 이다.
상기 카드번호로 결합하는데 근거가 되는 정보로는 상기 상기 분산된 코드와 연동된 다른 코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설명에서의 코드들 설명의 혼선을 줄이기 위해서 연동코드라고 하겠다.
상기 연동코드는 상기 분리되는 각각의 카드 일부(또는 조각난 카드번호)와 연동되고, 나중에 상기 연동코드를 상기 결제서버(6)에서 추출할 경우, 상기 연동코드에 해당하는 상기 분리(또는 조각)된 카드번호를 각각의 서버 또는 상기 무선단말기(1)과 송수신하여 상기 분리된 각각의 카드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상기 연동코드에 의해서, 상기 결제서버에서 카드번호를 모두 결합할 수 있는 정보의 추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연동코드에 의해서 분리된 카드번호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카드번호의 분리 및 결합에 대해서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카드번호는 1~ 16자리수까지, 1234-5678-9012-3456으로 표시하였다.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카드번호가 저장되면, 상기 앞 8자리인 제2번호(10)은 제1 서버(12)에 저장되고, 뒤의 8자리인 제1번호(10)은 제2 서버(13)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카드번호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각각의 분산서버(5)에 저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1번호와 상기 제2번호는 서로 일부 교집합이 될 수도 있는 번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분리되는 숫자의 개수가 8자리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제1번호가 16-n개의 자릿수로 되어 있다면, 다른 제2 번호는 n개의 자릿수이거나, 또는 제 2호가 16보다는 작으면서, n개보다는 많은 개수의 숫자로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상기 카드번호가 다수의 제n번호로 분리되고, 상기 n개의 제n번호는 상기 연동코드를 근거로 분리되거나 또는 결합되어, 결제할 수 있는 결제정보로 추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결합은 상기 결제서버에서 추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결제서버(6)에서 상기 다른 서버(또는 분리서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기(1)로부터 상기 결합하는데 적용이 가능한 제1 번호(또는 제2번호, 또는 제n번호)을 전달받고, 결제할 상품 또는 서비스 상품에 대해서 카드사 서버(8)로 승인요청을 보내어,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 상품에 대해서 결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제서버는 POS(또는 가맹점 단말기이나 편의상 이하 POS라고 설명하겠으나, 그렇다고 가맹점 단말기가 배제되는 것이 아니다.)로부터 연동코드(14)를 전달받으면, 상기 연동코드(14)에 해당하는 분리된 카드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POS(3)에서 분리코드와 연동되어 전송된 나머지 분리된 카드번호와 결합하여, 상기 카드번호가 추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분리된 카드번호가 상기 POS(3)에서도 전송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이것은 상기 POS(3)에 상기 분리되면서, 상기 결제서버에서 결합되는 분리된 카드번호의 일부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맹점 단말기(3)에서 또는 가맹점의 보조단말기(11) 또는 주유소 가맹점에 설치된 셀프주유기의 결제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ODT(11, 또는 아웃도어 단말기)로부터 IC신용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된 IC신용카드는 상기 주유소 가맹점 단말기(3)에서 주유할 금액에 대해서 결제를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유할 금액에 대해서 결제하기 위해서, 상기 결제서버(6, 또는 VAN사 결제서버, 또는 PG사 결제서버, 또는 신용카드사 결제서버)에 상기 IC신용카드 번호와, 상기 주유할 금액에 대해서 결제를 승인하는 요청을 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상기 주유소 가맹점 단말기(3)에서는 연동코드와 분리된 카드번호(제1 번호)의 일부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결제서버(6)은 상기 카드사서버(8)로부터, 또는 자체적으로 결제를 승인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기(3)에 전송하여, 결제를 완료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결제서버(6)에서는 연동코드와 제2번호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가맹점 단말기(3)에서 상기 연동코드와 상기 분리된 제1 카드번호와, 상기 다시 결제를 승인 하기 위한 금액 또는 이미 승인된 결제금액을 취소 해야 하는 금액정보를, 상기 결제서버(6)에 전송하면 상기 결제서버(6)에 저장된 상기 연동코드와 연동된 제2 번호와 결합하여, 상기 다시 결제해야하는 금액 또는 상기 취소해야하는 금액에 대해서 상기 결합된 카드번호로 결제를 승인하는 구성을 구성할수 있게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번호는 상기 결제서버와 연동된 제2서버에 저장되고, 상기 결제서버(6)에서 상기 제2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번호와 결합이 가능한 제2번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이때도 상기 연동코드를 그거로 상기 제2번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ic신용카드에서 카드번호가 추출되면, 상기 카드번호는 가맹점 단말기(3)과 연동된 제1서버(12) 또는 제2서버(13) 또는 결제서버(6)에 분리되어 상기 연동코드와 연동되어 저장되고, 상기 연동코드를 근거로, 상기 결제서버(6)이 상기 카드번호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가맹점 단말기(3)으로부터 입력되거나, 또는 추출되는 카드번호는 상기 제1서버 또는 제2서버에 분리되어 저장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분리된 카드번호들에 대해서 제1서버 다른 제2서버 교집합 또는 합집합되는 정보가 존재할 경우, 해당 교집합 또는 합집합되는 정보와 일치하는 연동코드를 추출할 수가 있다.
이것은 상기 무선단말기(1)로부터 상기 카드번호를 분리하여 저장될때, 추출이 가능항 상기 연동코드의 추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연동코드가 상기 가맹점 단말기(3)에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가맹점 단말기(3)에서 상기 연동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연동코드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3)에 저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동코드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3)서 결제하고자 하는 상품(또는 서비스 상품)에 대해서 1차적으로 상기 가맹점 단말기(3)에서 사용된 IC신용카드로부터 추출된 카드번호를 근거로 결제하고, 이후에 고객이 IC신용카드를 분리하더라도, 상기 가맹점 단말기(3)에서 지급되는 상품이 초기 결제한 상품보다 적은 경우에, 상기 초기 결제한 상품을 취소하고, 다시 적은 상품에 대한 금액만큼 결제하기 위해서, 상기 결제서버로 상기 연동코드를 전송하여, 상기 상품의 취소 또는 다시 재 결제시 적용되는 적은 금액에 대해서 결제할 수 있는 카드번호를 상기 결제서버(6)에서 상기 연동코드를 근거로 카드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추출된 카드번호를 근거로 상기 상품이 취소 또는 재결제시 적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맹점 단말기(3)으로부터 입력된 IC신용카드의 카드번호에 해당하는 연동코드(14)를 상기 분산서버(5)에서 추출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연동코드(4)에 해당하는 무선단말기(1)에 상기 가맹점 단말기(3)을 관리하는 관리시스템 또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3)의 정보의 속성을 갖는 제2 무선단말기(17)에서, 상기 무선단말기(1)로 결제를 요청하는 정보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무선단말기(17) 또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3)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가맹점 단말기(3) 또는 상기 제2 무선단말기(17)에서 상기 고객의 무선단말기(1)로 상품의 추가 구매에 대한 요청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상기 추가적인 상품의 구매에 대해서 확인을 하게 되면, 상기 연동코드에 해당하는 상기 결합되는 카드번호를 적용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기(3) 또는 상기 결제서버(6)에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가맹점 단말기(3)에서 상기 IC신용카드로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 상품에 대해서 결제를 한 이후에, 상기 가맹점 단말기(3)이 아닌, 고객의 무선단말기(1)를 상기 연동코드와 연동된 계정(또는 고객번호 또는 전화번호)를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기(1)에 상품 또는 서비스 상품에 대해서 구매할 수 있는 소정의 메뉴가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있고, 이때 무선단말기(1)에서 선택되는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 상품에 대해서, 상기 결제서버(6)에게 상기 연동된 연동코드에 해당하는 결합되는 카드번호로 결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가맹점 단말기(3)에서 결제가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품이 이루어지기 시작하는 시점과, 상기 결제가 완료되거나 또는 상기 상품에 대해서 지급이 완료되는 시점의 사이에, 상기 추출되는 연동코드에 해당하는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여 상기 연동된 연동코드로 상기 소정의 메뉴에 의해서 선택된 메뉴에 대한 상품(또는 서비스 상품)에 대해서 결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가맹점 단말기(3)에서 상품의 지급 또는 결제가 완료가 되더라도, 상기 일정한 지연정보(19)에 대한 조건을 구성하여, 상기 지연정보(19)의 조건일 때까지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연동코드로부터 추출이 가능한 상기 카드번호로 상기 선택된 소정의 메뉴에 해당하는 상품(또는 서비스 상품)을 자동으로 결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2 서버는 제N서버로 해석되는 것이 바림직하다.
이것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 서버로 구성된 제N서버가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본 발명에서 제2 서버라는 단어는 제N서버로 교체 또는 변환되어 설명하더라도 바람직한 해석일 수 있도.
상기 분산서버(5)는 결제서버(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결제서버(6)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서버 또는 제2 서버를 상기 결제서버(6)과 포함하는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서버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분산서버(6)를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이것은 상기 서버(6)에 각기 다른 로그인이 가능한 프로그램들이 모듈로 상기 제1 서버 또는 제N서버로 구성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산서버(6)은 무선단말기(1)와 가맹점 단말기(3)으로부터 각각의 카드번호의 전송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전송된 카드번호는 연동코드와 연동화여, 분산서버(6)를 구성하는 제1 서버와 제2서버로 분산하여 저장하고, 상기 무선단말기(1)와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코드와 상기 연동코드가 연동되어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연동코드가 상기 무선단말기(1) 또는 상기 무선단말기(1)로부터 추출이 가능한 코드와 연동되어, 서버 또는 상기 제1 서버, 제2서버, 제N서버, 결제서버, 카드사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 저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동코드가 상기 결제서버에서 상기 분산된 카드번호를 추출하기 위한 각각의 분산된 카드번호에 대한 결합을 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정보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동코드는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추출이 가능하지만, 서버 또는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코드생성기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동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각각 분리되는 카드번호들과 연동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연동코드는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입력이 가능한, 또는 추출이 가능한 코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연동코드가 고정코드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것은 상기 연동코드가 고객의 식별정보, 계정정보, 마일리지 정보, 외상을 하기 위한 외상을 분류하기 위한 코등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가변되는 코드와 연동된 고정된 상기 연동코드를 구성하여, 상기 가변되는 코드가 전달되더라도, 상기 연동코드를 추출하고, 이를 근거로 상기 카드번호를 추출할 수가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분산서버(5)에서는 상기 무선단말기(1)로부터 분산 저장되는 분산된 카드번호를 각각 분리하여, 저장할 수도 있으면서, 가맹점 단말기(3)로부터 입력되는 신용카드 번호(또는 결제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된 신용카드 번호를 근거로, 상기 분산서버(5)에서 분산되어 저장된 카드번호의 일부들이 교집합 또는 합집합으로 검색되어 추출이 가능한 공통된 연동코드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추출된 연동코드는 상기 결제서버(6)에 저장되면서, 상기 가맹점 단말기(3)에서 전송된 다른 전송코드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가맹점 단말기(3)에서 결제가 가능한 카드번호의 전송 없이, 결제의 취소 또는 재결제의 요청이 전송되면, 상기 전송코드와 연동되어 저장된 상기 연동코드를 통하여, 상기 분산서버에 저장된 상기 연동코드에 해당하는 카드번호를 결합하여 추출한 후, 상기 가맹점 단말기(3)으로부터 전송된 결제의 취소 또는 결제의 재결제를 상기 결합된 카드번호로 승인을 내는 구성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승인된 정보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1) 또는 상기 연동코드를 저장한 상기 무선단말기(1)에 저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가맹점 단말기(3)에서 입력되는 IC신용카드의 카드번호로 상기 가맹점 단말기(3)에서 결제하고자 하는 금액에 대해서 선결제를 완료하고, 다시 선결제에 대한 완료된 금액을 취소하거나 또는 재결제할 때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3)에서부터 전송된 상기 카드번호가 아닌, 상기 전송코드를 근거로 상기 연동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연동코드를 근거로 상기 결제서버에서 상기 카드번호를 결합하여 추출하고, 이를 근거로 상기 결제의 취소 또는 재결제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IC신용카드로 상기 카드번호를 저장하여, 적어도1회 이상 결제를 완료하고, 상기 IC신용카드가 상기 가맹점 단말기(3)로부터 결속이 차단(또는 제거)하게되면, 더 이상 카드번호를 상기 IC카드로부터 추출할 수 없지만, 상기 가맹점 단말기(3)에서 재 승인을 위한 취소 후 결제에 대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취소, 결제의 승인을 상기 추출되어 저장된 연동코드(14)를 근거로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가 있게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는 거래에 해당하는 정보(이하 거래정보)와 해당 거래로 결제된 카드번호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드번호의 일부가 마스킹(또는 암호화 또는 삭제되어 또는 추출할 수 없도록되는 것)되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킹이라는 뜻은, 상기 일부에 대한 카드정보를 상기 POS에서 재사용할 수없거나, 이를 읽을 수 없도록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거래정보와 상기 마스킹된 카드번호를 포함하는 번호가, 상기 결제서버(6) 또는 상기 제1 서버, 또는 제2 서버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거래정보와 상기 마스킹되지 않은 카드번호들을 서버에 전송하면, 상기 거래정보에 해당하는 마스킹되는 카드번호와 결합하여, 상기 온전한 카드번호을 추출하고, 상기 거래정보에 해당하는 금액을 취소하고, 상기 새로운 금액에 대해서 결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거래번호(14-1)는 연동코드라고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연동코드가 일시적으로 생성되는 코드이거나, 또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3)에 저장되는 또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3)가 거래하면서 생성되는 일련번호와 같은 정보를 가지고, 상기 연동코드로 사용할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거래번호(14-1)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3)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맹점의 점포코드가 213580이고, 거래번호(14-1)가 2530이고, 도2의 마스킹되지 안은 카드번호인 123456(10-1)과 345(10-2)로 구성된 제2 번호가, 상기 결제서버(6)에 전송되면,
상기 결제서버(6)에 저장된 상기 점포코드 213580이고 거래번호(14-1)2530에 해당하면서, 저장된 상기 마스킹된 7890123(9-1)과 결합하여, 온전한 카드번호(7)를 추출하고, 이를 근거로 2530이라는 거래번호(14-1)로, 상기 213580이라는 가맹점에서 결제된 특정금액에 대해서, 결제를 취소하고, 상기 새로운 특정금액보다 적은 특정금액에 대해서, 상기 결합되어 추출된 카드번호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IC카드의 신용카드번호는 상기 무선단말기(1)에 저장된 카드번호와 동일한 카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적어도 하나의 카드번호로부터 다른 카드번호의 추출이 가능하다면 이것은 동일한 카드번호라고 해석되는 것도 바람직한 해석이다.
상기 가맹점 단말기(3)의 모니터 또는 ODT의 모니터에 상기 카드번호를 분산하여 저장할 것인가에 대한 소정의 메뉴를 제공하여, 고객으로 하여금 선택을 요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만약 “예”를 선택한 경우, 상기 카드번호는 분산되어 상기 가맹점단말기, 제1서버, 제2서버, 결제서버, 신용카드사 서버, 서버 중 적어도 2개이상의 곳에 상기 카드번호가 물리적으로 분산되어 저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니터(21)에 표시된 터치모니터 또는 별도의 키패드를 통하여, 고객의 식별정보(20)인 무선단말기(1)의 번호를 입력하도록 요구하는 소정의 메뉴가 제공되고, 상기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번호에 해당하는무선단말기(1)에 문자메세지 또는 상기 무선단말기(1)에 해당하는 계정으로 상기 결합되는 정보에 대해서 다시 확인하는 인증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무선단말기(1)에서 카드번호(7)를 선택메뉴(16-1)에 의해서, 분산서버(6)에 카드번호가 각각 분산되어 연동코드(14)와 연동되어 저장되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이후 상기 무선단말기(1)에 상기 무선단말기(1)의 사용자가 주문한 주문내역이 표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주문내역에 대해서 확인하는 선택메뉴(16-2)가 선택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선택메뉴(16-2)을 선택하게되면, 상기 선택메뉴(16-2)에 해당하는 주문된 상품(또는서비스 상품)에 대해서 결제를 요청하는 정보와 상기 연동코드가 상기 제2서버(12-1 또는 12-2)로 전송되어, 상기 상품(또는 서비스 상품)에 대해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미리 분산되어 저장된 각각의 제1번호와 제2번호(또는 적어도 1개 의상의 제n 번호라고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제2번호라 해석할 수도 있음)을 결합하여, 상기 상품(서비스 상품)을 결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여기서 가맹점 단말기(3-1)
상기 결합되는 카드정보를 사용하면, 다양한 서비스의 구현이가능하다.
이를 도4을 들어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무선단말기(17)에서 무선단말기(1) 또는 무선단말기(1)의 사용자가 주문한 상품(또는 서비스 상품)을 요청받을 수 있다.
이때 요청 받은 상품에 대해서 배달을 완료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배달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주문하는데 사용된 무선단말기(1)의 번호를 검색하는 선택메뉴(16-3)를 선택하게되면, 상기 전화번호(18)에 해당하는 무선단말기(1)가 상기 분산된 카드정보로 저장되어 있다는 것을 인지(또는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품정보(19-1)에 대한 내용(또는 금액 또는 값)을 입력하고, 결제를 요청하는 선택메뉴(16-4)를 선택할 경우, 상기 전화번호(18-1)에 해당하는 무선단말기(1-3)에 상기 상품에 대한 배송내용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고, 이에 대한 결제를 확인하는 선택메뉴(16-5)가 선택되면, 상기 무선단말기(1-3)에서 상기 연동코드(14)가 상기 가맹점 단말기(3)과 연동된 서버(12-1) 또는 상기 결제서버(6)로 전송되고, 상기 서버(12-1) 또는 상기 결제서버(6)에서 연동코드(14)에해당하는 결합되는 카드번호를 추출한 후, 상기 상품정보(19-1)에 대해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이것은 상기 무선단말기를 적용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기(3)와 연동된 결제서버(6)에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상기 가맹점 단말기(3)가 van사 서버로 구성된 결제서버(6)로 구성된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선택되는 메뉴에 의해서, 상기 van사 서버로 상기 상품에 대해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가 있게되는 것이다.
이것은 고객의 무선단말기(1)에서 van사의 결제서버(6)를 적용하여, van결제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연동코드(14-1)이 상기 결제서버(6)에 연동되어 저장되고, 상기 전화번호가 상기 연동코드(14-1)로 사용될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상기 전화번호(18)로 상기 연동코드(14-1)을 추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특정한 app를 다운로드 받고, 상기 app(또는 이미 설치된 app) 에서 전화번호를 근거로하여, 상기 분리된 후 다시 결합이 가능한 각각의 카드번호들을 연동코드와 연동하여, 서버에 분산하여 저장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는 다양한 각기 다른 가맹점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가맹점 정보에서 거래하거나, 또는 예약할 수 있는 상품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될 수있다.
상기 무선단말기(1)는 주유기를 자동세팅할 수 있는 주유정보와, 결제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결제정보가 상기 연동코드(14)와 연동되어 결합이 가능하도록 분산되어, 각각의 서버들에게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는 상기 연료주입소 정보는 갖으면서, 상기 주유기 정보의 속성을 갖는 가맹점 정보이외에, 상기 연료주입소 정보와 제휴가되는 다른 가맹점 상품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온라인 쇼핑몰이 될 수도 있고, 오프라인 가맹점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때 적어도 오프라인 가맹점 중 하나가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오프라인 가맹점에 해당하는 상품의 결제는, 상기 무선단말기(1)와 연동된 연동코드(14-1)에 의해서, 사익 가맹점 단말기(3)과 연동된 결제서버(6)에서, 상기 결합되는 카드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카드번호로 상기 상품에 대해서, van으로 결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선택되는 상품이 오프라인 가맹점을 포함하는 경우, 또는 온라인 결제인 pg로 결제하는 것인가를 구분하여, 적어도 하나는 오프라인 가맹점과 연동된 van사의 결제서버에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되는 카드번호로 상품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가맹점 단말기(3) 또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3)와 연동된 프린터에서, 적어도 상기 상품이 결제가 되었다는 확인이 가능한 내용을 포함하는 내용이 인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것은 단순히, 전화번호와 상기 결제한 금액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도 가능하고, 승인번호 또는 취소를 위한 다른 정보가 인쇄되도록 구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때 상기 프린터에서 영수증이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분산서버(5)는 무선단말기(1-4)로 부터 전송된 카드번호를 분산하여 저장되고, 이때 결합하는 근거가 되는 연동코드(14)가 전송되면, 상기 연동코드(14)을 근거로 상기 결합되는 카드번호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고객의 무선단말기(1-4)에서 연동되어 저장된 연동코드(14)를 적용하여, 가맹점 단말기(3-1)에서 판매하는 오프라인 상품에 대해서, 상기 무선단말기(1-4)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단말기(1-4)에서 선택되는 선택메뉴(16-1, 16-2, 16-3, 16-4)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상기 연동코드(14)가 상기 가맹점 단말기(3-1)에 전송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기(3-1)에서 상기 결제서버(6)에 상기 연동코드(14)를 전송하면, 상기 연동코드(14)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번호와 제2번호를 추출하여, 서로 결합한 후, 상기 무선단말기(1-4)에서 선택한 상품(또는 서비스 상품)을 상기 결제서버(6)에서 결제의 승인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제의 승인에 대한 승인정보가 상기 가맹점 단말기(3-1)의 모니터 또는 프린터의 인쇄되는 용지에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승인정보는 상기 결제되는 승인된 승인번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주문한 상품에 대한 승인정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로 짜장면 곱째기 결제 완료”라는 메시지만 출력되거나, 또는 표시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단말기(1-4)에서는 상기 app를 설치 또는 이용하면서 소정의 고객동의를 받아 상기 카드번호를 분산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기(3-1)로부터 전송되는 카드번호 또한 분산하여 저장된 이후, 상기 가맹점 단말기(3-1)에서 거래가 종료되면, 상기 가맹점 단말기(3-1)에 전송되는 상기 연동코드(14)에 의해서,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셀프주유기(셀프주유기는 IC신용카드의 사용이가능한 입력장치가 장착 또는 연동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본 발명에서 주유기 또는 셀프주유기 또는 주유시스템 또는 셀프주유시스템이라고 할때, 상기 입력장치가 설치되었거나 연동되어 있다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력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가맹점 단말기라고 해석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POS는가맹점 단말기라고 할 수있고 상기 가맹점 단말기는 상기 주유기 또는 주유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에서 특정 금액으로 상기 IC신용카드의 카드번호로 결제한 후, 상기 셀프주유기에서 주유가 완료된 이후, 더 이상 결제를 보정할 이유가 없다는 신호를 상기 결제서버(6)에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셀프주유기로부터 상기 카드번호에 대한 거래의 정보가 특정 시간동안 재결제등에 대한 요청이 없을 경우, 해당 특정 시간이후에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3)에서 전송이 가능한 연동코드(14)에 의해서, 결합되는 신용카드로 결제가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무선단말기(1-4) 또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3-1)에서 전송되는 정보, 또는 특정 기능에 동작하는 프로세스에 의해서, 상기 셀프주유로부터 주유가 완료된 이후에, 일정 지연정보(19)를 갖도록 구성하고, 상기 지연정보(19)의 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상품(또는 서비스상품)에 대한 신규결제 또는 취소 또는 재결제와 같은 결제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동코드는 무선단말기(1-4)에서 분산하기 위해서 저장되는 카드번화와 연동되는 경우에는, 기 프로세스에 의해서 지속 저장이 가능하지만,
상기 가맹점 단말기(3)로부터 전송되어 분산저장되는 카드번호와 연동된 경우에는, 상기 연동코드(14)는 자동으로 삭제 또는 사용이 안되도록 블록 처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블록은, 상기 연동코드로 상기 결합된 신용카드를 추출후, 결제가 안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한편, 결제서버(6)을 기반으로 설명하면,
상기 결제서버(6)에서는 상기 무선단말기(1)에 의해서 저장되는 (가)카드번호의 결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연동코드(6)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있다.
그리고 상기 결제서버(6)은 상기 무선단말기(1)로부터 전송되는 (가)카드번호를 추출한 후, 상기 (가)카드번호를 분산한 후, 제1번호와 제2번호에 저장하면서, 상기 제1 서버와 제2 서버에 (가)연동코드(4)와 연동하여 제1 번호는 제1서버에 제2번호는 제2 서버에 저장되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이것은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미리 저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연동코드와 상기 (나)연동코드는 동일할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연동코드(6)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제서버(6)은 상기 가맹점 단말기(3)으로부터 전송된 (나)카드번호를 전송받을수 있다.
이때 상기 (나)카드번호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3)에서 사용되는 IC신용카드의 번호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카드번호가 전송되면 상기 결제서버(6)은,
상기 제1 서버에 (나)카드번호을 포함하는 제1 번호가 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제2 서버에서 (나)카드번호를 포함하는 제2 번호가 있는지 판단하다.
이때 (나)카드번호를 포함하는 제1 번호와 제2번호와 연동되어 있는 연동코드(6)이 동일한 코드일 경우, 상기 동일한 코드는 (가)연동코드가 되는 것이다.
이것은 가맹점 단말기(3)으로부터 추출되어 전달되는 (나)카드번호에 해당하는 (가)연동코드가 존재하는지 상기 결제서버(14)가 추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상기 결제서버(6)에서 상기 (나)카드번호에 대한 (가)연동코드를 추출할 경우, 상기 (가)연동코드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 상기 무선단말기(1)에, 상기 결제서버(6) 또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3) 또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3)이 속성을 갖는 제2 무선단말기에서, 상기 무선단말기(1)에 상품 또는 서비스 상품에 대해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가 있다.
도1로 예를 들어 연료주입소를 근거로 상세히 설명하면,
무선단말기(1)에서 카드번호는 분산되어 분산서버에 저장되고, (가)연동코드가 추출된다.
이후 연료주입소 시스템의 입력장치에 (나)카드번호가 입력 또는 전달되면, 상기 (나)카드번호를 상기 결제서버(6)에 전송한다.
이때 결제서버(6)은, (나)카드번호와 일치하는 (가)카드번호가 분산되어 저장되어 있는지를 상기 분산서버(5)로부터 추출하고, 만약 일치하는 (가)카드번호가 존재할 경우, (가)카드번호에 해당하는 (가)연동코드를 추출할 수있다.
이때 상기 (가)연동코드와 연동된 전화번호(18) 또는 (가)연동코드와 연동된 고객정보를 근거로, 무선단말기(1)에 결제를 요청하는 정보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가 있다.
이것은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저장된 상기 (가)카드번호에 해당하는 도구(예, IC신용카드)가 상기 연료주입소 시스템(3)에 사용되었다는 것을, 상기 무선단말기(1)은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는 상기 연료주입소 시스템(3) 또는 연료주입소 시스템과 연동된 서버(3, 이때 서버는 연료주입소 시스템에 의해서 동작됨으로 연료주입소 싯템 또는 가맹점 단말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에서,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선택가능한 상품(또는 서비스 상품)을 제공하고,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상기 상품(또는 서비스 상품)을 선택하게되면, 상기 상품(또는 서비스 상품)에 대해서, 상기 상품(또는 서비스 상품)을 지급하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3)에 해당하는 가맹점 정보로 결제가 이루지도록 구성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가맹점 단말기(3) 또는 상기 결제서버(6)에서는 상기 선택된 상품(또는 서비스상품)을 상기 (가)연동코드를 근거로 제1서버와 제2 서버에 저장된 분산된 제1 번호와 제2 번호를 결합하여, 결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제서버는 VAN서버로 결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맹점 단말기(3) 또는 상기 가맹점 정보가, 상기 연료주입소 시스템(3)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치하지 않더라도 구성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연료주입소 시스템(3)에서 연료를 주입하는 동안, 상기 (가)연동코드를 추출하고, (가)연동코드에 해당하는 무선 단말기(1)에 이종의 상품(또는 서비스 상품)을 선택하여 결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가 있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가맹점 정보 또는 가맹점 단말기(3)은 이종의 상품(또는 서비스 상품)를 제공하는 가맹점으로서, 상기 무선단말기에서 APP를 설치하면서, 상기 연료주입소 정보에서 연료를 주입한다는 정보를 상기 연료주입소 시스템(3)으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근거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되는 연료주입소 시스템(3)의 가맹점과 연동된 이종의 가맹점에서 판매가 가능한 상품(서비스 상품)의 판매를, 상기 (가)연동코드로 추출이 가능한 무선단말기(1)에서 할 수있도록 구성하면서,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선택한 상기 이종의 상품(서비스 상품)에 대해서, 이종의 가맹점 정보 또는 이종의 가맹점 단말기(3)에서 상기 (가)연동코드를 이용하여, 결합된 카드번호를 조합하여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서버는 제1 서버, 제2 서버, 결제서버, 카드사 서버등으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분리가 고정된 개념으로 해석해서는 안될 것이고,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분리하기 위한 용어일 뿐일 수도 있다.
이것은 서버에 구성되는 어떤 프로세스 또는 구성이, 상기 제1 서버, 제2 서버, 결제서버, 카드사 서버, 가맹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모두 또는 서로 분산하여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서버, 제2 서버, 결제서버, 카드사 서버, 가맹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하나를 서로 바꾸어서 설명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버, 제2 서버, 결제서버, 카드사 서버, 가맹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1 서버, 제2 서버, 결제서버, 카드사 서버, 가맹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세스로 구성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한편 가맹점 단말기(3)로 구성할 수 있는 셀프주유기를 근거로 설명하면,
상기 셀프주유기(4)를 제어할 수 있는 근거를 설정할 수 있는 상기 셀프주유기(4)와 연동된 ODT(11)에서 ic신용카드가 사용되어 입력된다.
이때 상기 IC신용카드의 카드번호는 연동코드(14)와 연동되어 상기 서버(14 또는 5)에 분산되어 기 저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IC신용카드로부터 추출된 카드번호를 분산서버와 송수신하여,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카드번호를 저장하면서 추출이 가능한 연동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연동코드(4)는 상기 셀프주유기을 제어할 수 있는 주유시스템에 저장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연동코드(4)를 주유시스템과 연동된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설정된 주유정보(유종정보, 금액정보, 단가정보, 할인정보, 쿠폰정보, 상품권 정보, 마일리지 사용이 가능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추출된 주유정보를 근거로 상기 연동코드(4)와 연동된 결합되는 카드번호를 추출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있다.
이후 상기 셀프주유기에서는 상기 주유정보를 근거로 자동 셋팅되어 주유가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유정보는 상기 ODT(11)에서 자연인이 선택되는 정보일 수도 있다.
이때는 상기 주유정보와 상기 IC신용카드로부터 추출된 카드번호(7)를 결제서버(6)로 전송하여, 상기 주유정보를 상기 카드번호(7)로 결제가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동코드(4)를 상기 주유시스템(3)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가 있다.
이것은 상기 초기에 셋팅되기 위해서 결제되는 카드번호는, 상기 IC신용카드 또는 상기 연동코드(4)와 연동된 카드번호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해당 주유정보를 근거로 셀프주유기가 주유가 가능하도록 설정된 이후, 실제 주유된 금액은 초기에 상기 셋팅되는 금액보다 적은 금액으로 주유가 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초기 셋팅된 주유정보로 추출되는 주유금액을 취소하기 위해서, 상기 주유시스템(3)에 저장된 연동코드(14)를 상기 결제서버(6)로 전송하여, 상기 초기 주유금액에 대해서 취소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게 주유된 금액 또한 상기 결제서버(6)에 전송되는 연동코드(4)로부터 추출이 가능한 카드번호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IC신용카드를 예로 들었으나, 해당 IC신용카드가 아닌 마그네틱 프로토콜로, 마그네틱 센서로 카드번호를 무선전송이 가능한 무선단말기에 의해서, 신용카드 번호가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 전송 또는 입력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연동코드는 마일리지 카드번호, 쿠폰번호, 1회성 OTP번호, 생체정보, 계정정보, 랜덤으로 생성되는 코드 정보, 상기 무선단말기에서 생성되거나 추출이 가능한 정보, 상기 서버에서 추출이 가능한 코드, 코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것은 도구가 가지는 고유한 정보이면서, 신용카드 번호가 아닌 정보를 가진 식별정보가 연동코드로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무선단말기는 무선으로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예로, 스마트 폰, 차량에 탑재된 단말기, 네비게이션, PDA장치, 스마트왓치, 블루투스 통신프로토콜로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장치, IT장치, 휴대용RF무선장치 등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 상품으로는 세차서비스, 무료세차 서비스, 유외상품, 전자제품, 대리운전 서비스, 유리막코딩 서비스, 손세차 서비스, 자동차 정비서비스, 자동차 교환부품 교체 서비스등등 그 상품 또는 서비스 상품에는 한정이 없다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발명에서 상기 결제서버(6)에서 결제되는 결제사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3) 또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3)의 속성에 해당하는 가맹점 정보의 사업자로 매출이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다른 PG사로도 결제가 되어도 무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은 카드를 분산하여 저장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카드는 각각의 서버에 분산되어 저장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해당 카드는 이후에 다시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이때 결합 가능한 정보인 연동코드와 연동되어 분산서버에 저장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분산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제서버 또는 가맹점 단말기에서 연동코드를 근거로 결합된 카드번호를 추출하도록 구성한 후, 초기 주문에 대해서 재승인 또는 취소와 같은 결제를 상기 결합되어 추출되는 카드번호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무선단말기에서 오프라인 가맹점 단말기에 해당하는 오프라인 가맹점 정보로 연동코드를 전송하여, 주문 또는 상품(또는 서비스 상품)에 대해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고객의 무선단말기에서 고객의 전화번호 또는 고객정보를 근거로 연동된 연동코드가 존재할 경우, 가맹점의 제2 무선단말기에서 요청한 결제요청이 표시되고, 무선단말기에서 이를 확인하는 소정의 메뉴를 통하여, 결제가 오프라인 가맹점 단말기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할 수있다.
결제서버 또는 가맹점 단말기는 무선단말기에서 무선으로 전송되어 전달되는 연동코드와 가맹점 단말기의 입력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신용카드로부터 연동코드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판단 후, 존재할 경우 연동코드를 근거로 재승인 또는 취소가 되는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이때 연동코드가 없다면, 거래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거래정보를 근거로 연동코드로 사용하도록 구성하고, 이후 해당 연동코드가 특정 프로세스에 의해서 블로킹되도록 구성한다.
다른 한편 도10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무선단말기(1-6)에서 오프라인 가맹점 단말기(3)에 설치된 무선 입력장치(24)를 사용하지 않고, 온라인에서 오프라인 가맹점 단말기(3-2)에서 판매가 가능한 상품에 대해서 결제에 대한 확인을 할 수 있는 선택메뉴를 선택하게되면, 상기 무선단말기(1-6)은 상기 무선 입력장치(24)로 상기 연동코드(14) 또는 상기 연동코드(14)을 추출이 가능한 다른 코드를 상기 중간서버(27)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서버(27)은 상기 연동코드(14)와 상기 무선단말기(1-6)에서 선택한 가맹점정보(26-2, 26-3, 26-4)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정보(26)를 상기 결제서버(6-2)에서 추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결제서버(6-2)는 상기 추출된 가맹점 정보(26)에 해당하는 사업자로 매출이 발생하도록 카드사로 결제요청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있다.
물론 이대 상기 결제버서(6) 또는상기 중간서버(27)은 상기 연동코드(14)로부터 상기 결합되는 카드번호의 추출을 할 수 있고,이때 추출한 카드번호를 근거로 결제의 승인이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중간서버(27)은 상기 결제서버(6-2)을 통하거나, 또는 상기 중간서버(27)에서 직접 상기 오프라인 가맹점 단말기(3-2, 3-3, 3-4)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무선단말기(1-6)에서 선택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기(3-2, 3-3, 3-4)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결제서버로 상기 상품에 대한 결제를 승인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무선 입력장치(24)를 상기 중간서버(27)이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상기 무선단말기(1-6)에서는 상기 결제서버(6-2)과 오프라인 결제가 가능한 정보에 대해서, 화면에 표시가 가능하고, 상기 화면에 표시된 상기 가맹점 정보(26. 26-2, 26-3, 26-4)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해서 선택할 경우, 상기 중간 서버(27)가 각각의 가맹점 정보(26)에 해당하는 가맹점 단말기(3)에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기(3)에서는 상기 무선단말기(1-6)에서 선택한 상품에 대해서 결제서버(6-2)로 결제에 대한 요청을 승인하기 위한 프로세스로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여기서 상기 중간서버(27)에서 상기 각각의 오프라인 가맹점 단말기(3)들에 대한 가맹점 정보(26)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무선단말기(1-6)에서 상기선택메뉴에 의해서 상품의 결제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상기 가맹점정보(26, 26-2 ~ 26-4)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결제서버(6-2)로 결제를 요청하여, 결제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오프라인 가맹점 단말기(3)에 해당하는 다른 가상의 오프라인 단말기를 상기 중간서버(27)에 구성하고, 상기 무선단말기(1-6)으로부터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중간서버(27)에서 상기 가맹점 단말기(3)의 가맹점 정보의 사업자로 매출을 승인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가상의 가맹점 정보(26-2)를 갖는 가상의 오프라인 가맹점 단말기(3-2)는 동일한 단말기의 터미널ID를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중간서버(27)에서 새로운 터미널ID만을 생성하고, 상기 터미널ID를 근거로 결제를 승인하는 절차가 진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터미널ID는 결제의 요청이 가능한 단말기(터미널)의 고유번호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카드단말기에서 결제를 할 때, 어떤 카드단말기에서 상기 결제가 이루어졌는지를 구분할 수 있는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는 터미널ID라고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미널ID는 결제서버와 연동될 때, 또는 상기 가맹점 정보에 대해서 저장하고 있는 서버, POS, 결제서버, 가맹점 정보로 매출의 발생한 단말기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라고 해석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하나의 결제단말기와 다른 결제단말기 사이를 구분할 수 있는 ID는 터미널ID라고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중간서버(27)에 의해서 상품의 결제가 이루어질 경우, 상기 중간서버(27) 또는 상기 결제서버(6-2)에서는 상기 결제가 이루어지기 전, 또는 이루어진 후의 내용에 대해서 상기 오프라인 가맹점 단말기(3)과 연동된 모니터 또는 프린터에 상기 상품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중간서버(27) 또는 상기 결제서버(6-2)에서 상기 가맹점 단말기(3)으로 상기 상품에 대한 정보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중간서버(27)는 상기 결제서버(6). 상기 본 발명에서 기재된 서버, 카드사 서버, 제1 서버, 제2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의 (가)서버로 구성하거나, (가)서버에 포함되거나, (가)서버와 연동되거나, (가)서버에 일부를 구성하면서 (가)서버와 연동되거나, (가)서버의 물리적인 저장공간이 같이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상품은, 서비스 상품을 포함한다.
다른 한편 상기 무선단말기(1-7)은 셀프주유기(또는 주유기)를 자동 설정할 수 있는 주유유종(29-4)와 금액정보(29-5)인 주유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소정의 메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해당 소정의 메뉴는 상기 특정 가맹점 정보(26-8)에 해당하는 주유소라는 가맹점 정보일 수 있고, 상기 주유정보는 상기 가맹점 정보에 해당하는 주유기에서 자동으로 주유가 가능하도록 셋팅되는 근거가 되는 정보를 주유시스템 또는 주유시스템과 연동된 주유기에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유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소정의 메뉴를 제공하는 app(또는 무선단말기에서 동작하는 모듈)에 다른 소정의 메뉴가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소정의 메뉴는 다른 가맹점 정보(26-5, 26-6, 26-7) 중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정보에 해당하는 상품(29-1,29-2, 29-3)에 대해서, 선택할 수 있는 선택메뉴(16-10 ~ 16-12)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품(29)은 상기 주유정보를 결제하는데 사용되는 카드번호(7-3)으로 상기 결제서버(6) 또는 상기가맹점 단말기(3)에 의해서 결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카드번호(7-3)이 상기 연동코드(14)와 연동되어 상기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서버들 중 적어도 하나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메뉴(16-18)에 의해서 상품(29)들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카드번호(7-3)을 추출할 수 있는 연동코드(14) 또는 연동코드(14)를 추출할 수 있는 다른 코드가 상기 무선 단말기(1-8)에서 무선으로 전송되어, 이동통신사 기지국을 통하여 상기 결제서버에서 상기 카드번호가 결합되어 추출되도록 구성할 수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무선단말기(17-5)에서 가맹점 정보(26-8)로 로그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주유소와 관련된 가맹점 정보(26-9)를 선택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가맹점 정보(26-9)가 선택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맹점 정보(26-9)를 선택한 상기 무선단말기(1-7, 1-8)에서 선택이 가능한 상품(29)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단말기(17-5)에서 선택되는 상품(29)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무선단말기(1-7)에서 주유정보에 해당하는 가맹점정보(26-8)으로 선택되거나, 상기 주유정보로 주유가 완료된 정보를 근거로 표시되는 가맹점 정보(26-8)의 추출이 가능한 무선단말기(1-7)에서 표시가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무선단말기(1-7)에서 추출이 가능한 주유소와 관련된 가맹점 정보의 선택 또는 추출된 이력을 근거로 상기 상품(291 ~ 29-3)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 수 있도록, 상기 제2 무선단말기(17-5)에서 선택(16-13 ~ 16-15)하여, 저장하는 선택메뉴(16-16)으로 저장하여, 상기 무선단말기(1-7)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무선단말기(1-7)에서 주유정보를 자동 셋팅되는 기능을 제공하는 APP과 연동된 이종의 상품(29)를 선택하여 요청하게되면, 상기 이종의 상품에 대해서 상기 주유정보를 셋팅하기 위해서 연동코드(14)와 연동되어 있는 카드번호로 상기 이종의 상품을 상기 이종의 상품을 판매하는 이종의 가맹점 정보를 갖는 사업자로 상기 이종의 매출이 발생할 수있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이종의 상품은 상기 이종의 상품에 해당하는 가맹점 단말기(3) 또는 상기 이종의 가맹점 단말기의 정보가 저장된 상기 중간서버(27)에서 상기 이종의 결제는 상기 결합된 카드번호를 결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상기 결합되는 카드번호에 대해서 사용의 여부를 락인할 수있는 소정의 메뉴를 제공할 수있다.
이것은 상기 연동코드가 노출되고, 상기 연동코드에 의해서 상기 서버에서 카드번호가 결합되어, 결제를 요청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하더라도, 상기 결합된 카드번호로 결제가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상기 연동코드로 추출이 가능한 분산저장된 상기 조각난 카드번호의 일부분에 대해서 상기 결제서버(6)에 제공되지 못하도록 상기 조각난 카드번호의 일부를 갖는 서버에서 제어할 수 있거나. 또는 락인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이상의 무선 입력장치에 카드번호를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APP이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입력장치로는 NFC 입력장치, 바코드 입력장치, 카메라 촬영으로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는 입력장치, 마그네틱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받는 입력장치, 적외선 입력장치, 지문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 생체의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장치에 카드번호의 전송이 가능한 APP에서, 상기 입력장치로 입력이 가능한 카드번호에 해당하는 카드번호를 분산하여, 상기 분산서버에 저장되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이것은 상기 입력장치로 상기 카드번호가 전송된 이후, 상기 카드번호에 해당하는 고객의 무선단말기를 추출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카드번호가 입력장치를 통하여 결제시 사용될 때, 상기 카드번호에 해당하는 연동코드를 상기 분산서버로부터 추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분산서버을 관리하는 프로세스에 의해서, 상기 연동코드에 해당하는 무선단말기(1) 또는 무선단말기(1)의 계정정보, 핸드폰번호, 번호정보, 고객정보 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의 추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상기 분산서버가 상기 입력장치에 카드번호를 전송하는 APP과 별도의 APP에 의해서 관리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상기 카드번호를 사용하는 입력장치에 카드번호를 전송할 수 있는 어떠한 APP를 사용하더라도, 상기 APP의 기능 또는 프로세스와 상관없이, 상기 분산서버와 연동된 다른 APP에서 상기 무선단말기(1)의 정보가 추출되고, 상기 분산서버와 연동된 다른 서버, 또는상기 분산서버에서 상기 무선단말기(1)에 상품(29)에 대해서 결제할 수 있는 소정의 메뉴를 더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상품(29)는 상기 입력장치에 입력이 가능한 APP에서 제공되지 않는 이종의 상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IC신용카드로 어떤 가맹점에서 어떤 상품을 구매하였고, 상기 IC신용카드의 카드번호가 상기 분산서버에 분리되어 상기 연동코드와 연동되어저장되었다면,
상기 어떤 가맹점에서 판매되지는 않지만, 상기 어떤 가맹점을 지정한 다른 제2 무선단말기(17-5)에서 이종의 가맹점 정보(26-8)로 로그인한 후, 상기 어떤 가맹점 정보(26-9)을 선택한 후, 상기 이종의 가맹점 정보(26-8)에서 제공이 가능한 상품(29-1~ 29-3)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게되면, 상기 이종의 가맹점 정보(26-8)의 가맹점 단말기(3)에서 상기 연동코드로부터 추출이가능한 카드번호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발명에서 어떤 기호들이 상품(29-1~ 29-3)이 3개라고 예을 들어 설명한다고 해서, 3개라고 한정하고 있는 것이 아니고, 상품들이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제2 무선단말기는 유선 단말기 또는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IT기기 또는 컴퓨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제2 무선단말기는 가맹점의 유선단말기, 또는 가맹점에서 로그인 가능한 IT기기로 대체하여, 본 발명을 구성하여도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한편 상기 제2 무선단말기에서 주문요청된 무선단말기(1)의 정보를 추출하거나 또는 입력할 수 있다.
이것은 어떠한 방식으로든, 상기 무선단말기(1) 또는 상기 무선단말기(1)의 사용자가 주문에 대한 정보와 고객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2무선단말기에 입력되거나 또는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적어도 상기 제2 무선단말기에서 상기 주문 또는 고객정보에대해서, 자연인이 입력할 수 있는 소정의 메뉴가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제2 무선단말기가 상기 무선단말기(1) 또는 상기 무선단말기(1)와연동된 서버로부터 상기 주문 또는 고객정보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제2 무선단말기에서 상기 고객정보를 근거로 추출된 무선단말기(1)로 상기 주문내역과 결제를 요청하는 소정의 메시지(또는 문자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상기 문자를 선택하거나, 상기 문자의 내용에 링크된 정보를 선택하게되면, 상기 무선단말기(1)와 연동된 상기 연동코드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연동코드가 있다면, 상기 연동코드에 해당하는 카드번호로 결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결제에 대해서 상기 무선단말기(1)가 결제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선택메뉴가 제공될 수있다.
그러나 상기 연동코드가 추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연동코드에 해당하는 카드번호를 입력하는 소정의 메뉴가 상기 무선단말기(1)에 표시되고, 상기 카드번호가 저장되면, 상기 카드번호에 해당하는 연동코드와 함께 상기 카드번호는 조각난 번호들로 상기 분산서버에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 무선단말기에 해당하는 가맹점 정보로 상기 주문에 대한 결제요청에 대한 정보가 상기 무선단말기(1)에 전달되면,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는 자동으로 상기 연동코드와 연동된 카드번호로 결제가 이루어지고, 상기 다른 제2 무선단말기에서 상기 다른 주문에 대한 결제요청이 오면, 이전의 제2 무선단말기와 다른 인증절차를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제공하여, 안전된 주문에 대한 결제에 대해서 제차 확인하는 소정의 메뉴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자동으로 결제할 가맹점 정보인지, 또는 새로운 가맹점 정보라서 어떤 인증절차를 거칠것인가에 대한 소정의 설정메뉴에 의해서, 자동결제와 다시 확인하는 인증을 거칠 것인지에 대해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무선단말기(1)의 선택에 따라서, 또는 상기 제2 무선단말기(17)에서 전송되는 정보을 상기 무선단말기(1)가 선택함으로서, 다른 제2 무선단말기보다는 더 간편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차별화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서 하나의 명칭을 유사한 다른 명칭으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상기 설명을 용이하기 위한 설명이고, 해당 명칭이 서로 분리된 개념이 아닐 수도 있다.
그예로, 서버가 그러하다. 본 발명에서 어떤 서버와 다른 서버의 명칭으로 설명하더라도, 모두같은 하나의 서버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고 각각의 명칭이 모두 하나의 명칭이라고만 해석해도 안된다.
이것의 예로도 상기 서버가 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서버가 서로 다른 위치 또는 다른 영역으로 존재하는 각각 분리된 서버로 해석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유사한 명칭에 대해서 각각 분리하거나 또는 같은 의미로 설명하여, 치환, 변형,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1)무선단말기 2)코드추출부 3)POS
4)주유기 5)분산서버 6)결제서버
7)카드번호 8)카드사 서버 9)제1번호
10)제2번호 11)ODT 12)제1서버
13)제2서버 14)코드 14)코드전송부
15)팝업창 16)선택메뉴 17)제2 무선단말기
18)고객정보 19)지연정보 20)입력란
21)모니터 22)신용카드 23)PG서버
24)무선 입력장치 25)온라인 가맹점 26)가맹점 정보
27)중간서버 28)고객정보 29)상품(또는 서비스 상품)

Claims (1)

  1. 무선단말기에서 카드번호가 저장되면, 분산서버에 연동코드와 연동되어 분산되어 상기 카드번호가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카드번호 사용방법.
KR1020200166281A 2020-12-02 2020-12-02 카드번호 사용방법 KR202200773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281A KR20220077383A (ko) 2020-12-02 2020-12-02 카드번호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281A KR20220077383A (ko) 2020-12-02 2020-12-02 카드번호 사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383A true KR20220077383A (ko) 2022-06-09

Family

ID=81986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281A KR20220077383A (ko) 2020-12-02 2020-12-02 카드번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73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7917B2 (ja) 無線周波数(rf)支払いデバイス
CN104395919B (zh) 输送产品的设备
US20180121912A1 (en) S&M to locate vending machines, select on-screen, and click to buy
US200600853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ales and service reconciliation
US20170243410A1 (en) Transaction management method by recognition of the registration number of a vehicle
CA25188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ales and inventory reconciliation
KR100869966B1 (ko) 혼합승인전문을 이용한 이중 결제승인 처리방법
KR20060090846A (ko) 주유소에서의 주유 요금 결재시스템 및 결재처리 방법
KR20220077383A (ko) 카드번호 사용방법
KR20150112130A (ko) 포인트를 이용한 자동 판매기 상품 구매 시스템 및 방법
US20210174326A1 (en) Payment and charging system using a medium and internet sites
KR20090076316A (ko) 모바일 가상머신 상품권 유통관리시스템 및 가상머신상품권을 이용한 결제방법
KR20180106446A (ko)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WO2016157137A1 (en) Digital receip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EP3543947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utomatically obtaining and managing electronic tax documents connected to mobile payments
JP2009301578A (ja) 接触および非接触取引における無線周波数識別を用いて支払を動機付け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10114061A (ko) 조건부예치에 의한 원격지상거래 대금결제방법 및 시스템
KR100733410B1 (ko) 부가가치통신망을 이용한 가맹점에서의 대행 판매 상품유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가맹점에서의 대행 판매상품 유통관리장치,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200048916A (ko) 콘텐츠 제공방법
JP5857331B2 (ja) 取引情報登録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347713B1 (ko) 무선단말기에서 연료주입기를 설정하는 방법
JP5877398B2 (ja) 取引情報登録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80090946A (ko) 연료의 외상거래 시스템
KR20200009216A (ko) 연료의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방법
KR20130100858A (ko) 쿠폰사용 처리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