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792A -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connectors are fastened in automobile manufacturing li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connectors are fastened in automobile manufacturing l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792A
KR20220076792A KR1020200165636A KR20200165636A KR20220076792A KR 20220076792 A KR20220076792 A KR 20220076792A KR 1020200165636 A KR1020200165636 A KR 1020200165636A KR 20200165636 A KR20200165636 A KR 20200165636A KR 20220076792 A KR20220076792 A KR 20220076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astening
process line
fastened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6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병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5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6792A/en
Publication of KR20220076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79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01R31/68Testing of releasable connections, e.g. of terminal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16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생산라인의 커넥터 체결 여부 판단 및 피드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조립 중인 조립 대상 차량의 커넥터 정상 체결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비정상 체결 커넥터를 검출하고 작업자에게 인지시킴으로써 상기 비정상 체결 커넥터의 재체결 작업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커넥터 체결 여부 판단 및 피드백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connector is fastened in an automobile production line and a feedback method, and by determining in real time whether a connector is normally fastened to an assembly target vehicle being assembled in an automobile production line, detects an abnormal fastening connector, and recognizes the abnormal fastening by an operato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a connector is fastened in an automobile production line and providing a feedback method to induce a connector re-tightening operation.

Figure P1020200165636
Figure P1020200165636

Description

자동차 생산라인의 커넥터 체결 여부 판단 및 피드백 방법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connectors are fastened in automobile manufacturing line}{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connectors are fastened in automobile manufacturing line}

본 발명은 자동차 생산라인의 커넥터 체결 여부 판단 및 피드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커넥터의 완전 체결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고 작업자에게 피드백하여 인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connector is fastened in an automobile production line and to a feedback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determining in real time whether a connector is completely fastened in an automobile production line and giving feedback to a worker to recognize it.

자동차는 수많은 제어기(ECU; Electric Control Unit)와 센서(Sensor) 및 액츄에이터(Actuator) 등의 부품이 탑재되며, 이러한 부품들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부품들 간에 협조제어가 이루어진다. A car is equipped with a number of parts such as an electric control unit (ECU), a sensor, and an actuator, and cooperative control is performed between the parts in order to safely and effectively implement various functions using these parts.

상기의 협조제어를 위하여 각 부품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그러한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와이어링하네스가 사용된다. For the above cooperative control, each part mus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wiring harness is used for such electrical connection.

와이어링하네스의 양끝단과 부품측에는 기계적 체결 및 전기적 접속을 위한 커넥터(Connector)가 부착되며, 이러한 커넥터는 보통 상호 체결되는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로 적용된다.Connectors for mechanical fastening and electrical connection are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wiring harness and to the parts side, and these connectors are usually applied as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that are fastened to each other.

자동차의 전장화로 인하여 종래 대비 더 다양한 종류의 많은 부품이 차량에 장착되면서 와이어링하네스 및 커넥터의 사용도 증가하고 있다.Due to the electrification of automobiles, the use of wiring harnesses and connectors is also increasing as more various types of parts are mounted on the vehicle compared to the prior art.

한편, 생산기술의 발달로 자동차 생산 과정에서 자동화할 수 있는 영역이 많아지고 있지만, 와이어링하네스의 특징을 고려할 때 자동화된 로봇이 와이어링하네스를 정렬하고 커넥터를 체결하는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불가하기 때문에 와이어링하네스 및 커넥터의 경우 여전히 수작업을 하고 있다.Meanwhile, with the development of production technology, there are more areas that can be automated in the automobile production process, b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ring harness, it is impossible for an automated robot to align the wiring harness and fasten the connector. For this reason, wiring harnesses and connectors are still being done manually.

일반적으로 자동차 생산이 완료된 후 품질관리부서에서 각 기능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며, 이때 문제가 발생하면 원인을 파악하는 과정 중에 커넥터 미체결을 인지하게 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커넥터의 재체결을 위해 부품을 탈거하는 시간을 소요하게 되며, 부품 탈거/재장착 과정에서 부품 파손 등으로 인한 생산 비용 증가까지 발생할 수 있다.In general, after automobile production is completed, the quality control department checks whether each function operates normally. In this case, the operator takes time to remove the parts to refasten the connector, and production costs may increase due to damage to parts in the process of removing/reinstalling the parts.

또한 일부 차량의 경우 생산공장에서 커넥터 미체결을 미처 인지하지 못하고 고객에게 차량이 인도되기도 하며, 이후 고객에 의해 커넥터 미체결이 발견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러한 커넥터가 중요한 안전 부품의 커넥터인 경우 고객의 생명과 직결되는 큰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some vehicles, the vehicle is delivered to the customer without recognizing that the connector is not fastened at the production plan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nector is found by the customer afterwards. And if such a connector is a connector of an important safety part, a big problem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life of the customer occu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조립 중인 조립 대상 차량의 커넥터 정상 체결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비정상 체결 커넥터를 검출하고 작업자에게 인지시킴으로써 상기 비정상 체결 커넥터의 재체결 작업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커넥터 체결 여부 판단 및 피드백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by determining in real time whether the connector of the vehicle to be assembled is normally fastened in a vehicle production line, detects the abnormal fastening connector, and recognizes the abnormal fastening connector by the operator, so that the abnormal fastening connector is refasten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a connector is fastened in an automobile production line and providing a feedback method to induce work.

이에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자동차 생산라인의 공정라인 중 제n공정라인에 진입한 조립 대상 차량의 커넥터를 체결할 때 발생하는 실시간 커넥터 체결음을 작업자가 착용한 제n공정라인용 피드백 유닛의 소리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받는 제1단계; 상기 제n공정라인용 피드백 유닛을 통해 입력받은 실시간 커넥터 체결음을 사운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제n공정라인의 정상 커넥터 체결음과 비교하는 제2단계; 상기 제n공정라인의 실시간 커넥터 체결음이 상기 제n공정라인의 정상 커넥터 체결음과 상이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n공정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체결정보 출력부를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비정상 체결 커넥터가 있음을 인지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커넥터 체결 여부 판단 및 피드백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ound of the feedback unit for the n-th process line worn by the operator, the real-time connector fastening sound generated when the operator fastens the connector of the vehicle to be assembled that has entered the n-th process line among the process lines of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A first step of receiving an input through an input device; a second step of comparing the real-time connector fastening sound received through the feedback unit for the nth process line with a normal connector fastening sound of the nth process line stored in a sound databas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al-time connector fastening sound of the n-th process line is different from the normal connector fastening sound of the n-th process line, the fastening information output unit installed in the n-th process line is operated to notify the operator that there is an abnormal fastening connector A third step of recognizing; provides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connector is fastened in an automobile production line, including a feedback method.

상기 제3단계에서는, 제n공정라인의 실시간 커넥터 체결음이 상기 제n공정라인의 정상 커넥터 체결음과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n공정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체결정보 출력부를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커넥터 체결이 정상적으로 수행됨을 인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hird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al-time connector fastening sound of the n-th process line is the same as the normal connector fastening sound of the n-th process line, the fastening information output unit installed in the n-th process line is operated to provide a connector to the operat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cognizes that the fastening is normally performed.

또한, 상기 제n공정라인의 실시간 커넥터 체결음이 상기 제n공정라인의 정상 커넥터 체결음과 상이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n공정라인용 피드백 유닛에 구비되어 있는 경고 출력부를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비정상 체결 커넥터가 있음을 재인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al-time connector fastening sound of the n-th process line is different from the normal connector fastening sound of the n-th process line, a warning output unit provided in the feedback unit for the n-th process line is operated to inform the operator of abnormal fastening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recognizing that there is a connector.

또한, 상기 제n공정라인용 피드백 유닛은 상기 제n공정라인에서 작업해야 할 체결 대상 커넥터와 커넥터 체결 작업이 가능한 일정 거리 이내에 있을 때 소리 입력 장치가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eedback unit for the n-th process li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input device is activated when the connector to be fastened to work in the n-th process line and the connector to be fastened ar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그리고, 상기 제3단계에서는 제n공정라인의 체결정보 출력부 중 표시장치에 커넥터 정상 체결 여부 정보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n the third step, information on whether the connector is normally fastened is outputted to a display device among the fastening information output units of the nth process line and displayed.

또한, 상기 제2단계에서 실시간 커넥터 체결음과 정상 커넥터 체결음을 비교할 때마다 커넥터 정상 체결 여부 정보를 서버 기억장치에 저장하고, 조립 대상 차량이 상기 제n공정라인에서 사전에 정해진 기준지점을 통과하면, 상기 서버 기억장치에 저장한 커넥터 정상 체결 여부 정보를 기초로 제n공정라인의 체결 대상 커넥터 중 비정상 체결 커넥터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비정상 체결 커넥터가 있으면 상기 체결정보 출력부 중 소리 생성 장치와 조명장치를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비정상 체결 커넥터가 있음을 인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econd step, whenever the real-time connector fastening sound and the normal connector fastening sound are compared, information on whether the connector is normally fastened is stored in the server memory, and the vehicle to be assembled passes a predetermined reference point in the n-th process line.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 abnormally fastened connector among the fastening target connectors of the nth process lin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whether the connector is properly fastened or not stored in the server memory device, and if there is an abnormally fastened connector, a sound generating device and a sound generating device of the fastening information output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by operating the lighting device, the operator recognizes that there is an abnormal fastening connector.

또한, 상기 비정상 체결 커넥터 중 체결 작업조차 진행하지 않은 미작업 커넥터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미작업 커넥터가 있으면 상기 체결정보 출력부의 표시장치에 미작업 커넥터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 unworked connector that has not even been fastened among the abnormal fastening connectors, and if there is an unworked connector,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nworked connector is output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fastening information output unit. do.

또한, 상기 제1단계에서 입력받은 실시간 커넥터 체결음에 사전에 정한 기준주파수 이상의 노이즈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기준주파수 이상의 주파수 영역에 대한 필터링을 진행한 다음 제2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f the real-time connector tightening sound input in the first step includes noise high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frequency, the second step is performed after filtering the frequency region higher than the reference frequency.

아울러, 상기 제n공정라인용 피드백 유닛은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사용되는 공정라인별 피드백 유닛 중 상기 제n공정라인의 고유식별번호와 매칭되는 고유식별번호를 가지는 피드백 유닛이고, 상기 제n공정라인은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커넥터 체결 작업이 필요한 공정라인이다. In addition, the feedback unit for the n-th process line is a feedback unit having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match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n-th process line among the feedback units for each process line used in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and the n-th process line is This is a process line that requires connector fastening in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주된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main effects.

첫째, 자동차 생산을 완료한 이후에 커넥터 체결 여부를 점검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커넥터의 정상 체결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작업자에게 인지시킴으로써 비정상 체결 커넥터가 존재하는 경우 커넥터 재체결 작업을 유도할 수 있다. First, instead of checking whether the connector is fastened after completing automobile production, it is determined in real time whether the connector is normally fastened in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and re-tightened the connector if there is an abnormal fastening connector by notifying the operator of the judgment result. can induce work.

둘째, 자동차 생산을 완료한 이후에 커넥터 체결을 위한 재조립 작업 및 재조립 작업으로 인한 비용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재조립 작업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부품 탈거 및 재장착으로 인한 부품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Second, it is possible to prevent cost loss due to reassembly work and reassembly work for connector fastening after completion of automobile production, and to prevent damage to parts due to unnecessary part removal and re-installation occurring in reassembly work. have.

셋째, 커넥터 체결 불량에 따른 자동차 품질 문제 및 그로 인해 초래되는 소비자 불만 및 안전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Third, it is possible to prevent automobile quality problems caused by poor connector connection, and consumer complaints and safety accidents caused by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생산라인의 커넥터 체결 여부 판단 및 피드백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생산라인 내 체결여부 출력부의 표시장치에 출력된 내용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생산라인의 공정라인별 기준지점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생산라인의 커넥터 체결 여부 판단 및 피드백 과정을 일례로 나타낸 순서도
1 is a view showing a system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connector is fastened in an automobile production line and a feedback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tents outputted to the display device of the fastening or not output unit in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reference point for each process line of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connector is fastened in an automobile production line and a feedback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Matters expres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different from the forms actually implemented in the drawings schematically for easy explan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자동차 생산라인은 통상 수많은 공정라인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공정라인에 지정되어 있는 공정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작업자들은 조립 대상 차량이 해당 공정으로 진입하면 자신이 작업해야 할 부품을 조립한다. An automobile production line is usually composed of numerous process lines, and workers to execute the process work designated for each process line assemble the parts they need to work on when the vehicle to be assembled enters the process.

또한 자동차 생산라인에는 조립 대상 차량이 현재 어느 공정라인에서 조립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으며, 그러한 시스템을 RTLS(Real Time Locating System)라고 한다. In addition,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is equipped with a system that can determine which process line the vehicle to be assembled is currently being assembled, and such a system is called RTLS (Real Time Locating System).

구체적으로 상기 조립 대상 차량은 통신 단말기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 단말기를 통해 자동차 생산라인의 여러 곳에 장착된 통신부와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즉, 자동차 생산라인에서는 실시간 통신을 통해 조립 대상 차량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RTLS를 위해 각각의 조립 대상 차량에 부착되어 있다. Specifically, the assembly target vehicle has a communication terminal attached thereto, and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while exchanging signals with communication units installed in various places on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in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o be assembled through real-time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attached to each assembly target vehicle for the RTLS.

자동차 생산라인의 조립 공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 공정에 커넥터를 체결하는 작업 단계가 포함되어 있으며, 커넥터 체결 작업은 자동차 생산라인의 사전에 정해진 위치(즉, 소정의 공정라인)에서 정해진 작업자에 의해 진행된다. At least one assembly process of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includes a work step of fastening the connector, and the connector fasten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a predetermined operator at a predetermined location (ie, a predetermined process line) of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do.

본 발명은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조립 중인 조립 대상 차량의 커넥터 정상 체결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비정상 체결 커넥터를 검출하고 상기 비정상 체결 커넥터의 재체결 작업을 유도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cting an abnormally fastening connector by determining in real time whether a connector of an assembly target vehicle being assembled in an automobile production line is normally fastened, and inducing a re-tightening operation of the abnormally fastened connector.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생산라인의 커넥터 체결 여부 판단 및 피드백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생산라인의 공정라인 중 커넥터 체결 작업이 필요한 소정의 공정라인에서 커넥터 체결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피드백 유닛(100)과, 사전에 저장해둔 각종 데이터를 기반으로 커넥터 정상 체결 여부 등을 판단하는 서버(200), 및 자동차 생산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체결정보 출력부(31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a system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connector is fastened in an automobile production line and a feedback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fastening operation in a predetermined process line requiring a connector fastening operation among the process lines of an automobile production line The feedback unit 100 worn by the worker performing ) and the like.

여기서 자동차 생산라인의 공정라인 중 커넥터 체결 작업이 필요한 소정의 공정라인을 제n공정라인이라고 하기로 한다. 상기 n은 1,2,3.... 등의 정수일 수 있으며, 상기 제n공정라인 이전에 커넥터 체결 작업이 필요한 공정라인을 제n-1공정라인이라고 하고 상기 제n공정라인 이후에 체결 작업이 필요한 공정라인을 제n+1공정라인이라고 한다. Here, among the process lines of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a predetermined process line requiring a connector fastening operation will be referred to as an n-th process line. The n may be an integer such as 1,2,3.... A process line requiring a connector fastening operation before the nth process line is referred to as an n-1 process line, and a fastening operation after the nth process line This necessary process line is called an n+1th process line.

상기 피드백 유닛(100)은, 작업자가 커넥터 체결 작업을 수행할 때 발생하는 커넥터 체결음을 입력받아 제공함으로써 커넥터 체결 작업에 대한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며, 작업자의 손가락이나 손바닥 또는 손등이나 손목 등과 같은 손 부위에 착용 및 부착 가능한 소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eedback unit 100 is to enable the feedback on the connector fastening work by receiving and providing a connector fastening sound generated when the operator performs the connector fastening work, such as the operator's fingers, palms, backs of hands or wrists, etc. It may be of a small size that can be worn and attached to the hand.

상기 피드백 유닛(100)은, 커넥터 체결 작업에 대한 커넥터 체결음을 입력받으면서 그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소리 입력 장치(110), 소리 생성 장치(121), 조명장치(122), 진동 생성 장치(123), 피드백 유닛 통신부(130), 피드백 유닛 전원부(140), 및 피드백 유닛 기억장치(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feedback unit 100 is configured to receive a feedback on the connector fastening sound for the connector fastening operation, and specifically, the sound input device 110 , the sound generating device 121 , and the lighting device 122 . ,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123 , the feedback unit communication unit 130 , the feedback unit power supply unit 140 , and the feedback unit storage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서버(200)는 차량 부품별 위치 좌표 데이터베이스(210), 공정라인별 커넥터 체결 작업 지시서 데이터베이스(220), 사운드 데이터베이스(230), 생산라인 데이터베이스(240), 피드백 유닛별 고유식별번호 데이터베이스(250), 및 판단제어부(260)를 포함하며, 그 외에 커넥터 정상 체결 여부 등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서버 기억장치(270), 통신을 위한 서버 통신부(280), 전력 공급을 위한 서버 전원부(290) 등을 포함한다. The server 200 includes a location coordinate database 210 for each vehicle part, a connector fastening work instruction database 220 for each process line, a sound database 230, a production line database 240, and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database 250 for each feedback unit. ), and a determination control unit 260 , in addition to a server storage device 270 for storing data generated in real time, such as whether the connector is normally connected, a server communication unit 280 for communication, and a server power supply unit for power supply (290) and the like.

상기 차량 부품별 위치 좌표 데이터베이스(210)는 차량 개발 선행단계에서 사용되었던 디지털 3차원 모델링 데이터를 바탕으로 차량내 각 커넥터의 절대 좌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The location coordinate database 210 for each vehicle part stores absolute coordinate information of each connector in the vehicle based on digital 3D modeling data used in the preceding stage of vehicle development.

상기 공정라인별 커넥터 체결 작업 지시서 데이터베이스(220)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각 공정라인별로 작업자가 진행해야 할 작업(커넥터 체결 작업 포함)에 대한 작업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The connector fastening work instruction database 220 for each process line stores work information on work (including connector fastening work) to be performed by the operator for each process line of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상기 사운드 데이터베이스(230)는 차량 내 각 커넥터의 정상 체결음과 비정상 체결음(불완전 체결 시의 체결음) 및 노이즈가 일부 포함되도록 생성된 커넥터 체결음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The sound database 230 stores information such as a normal fastening sound of each connector in the vehicle, an abnormal fastening sound (a fastening sound when incompletely fastening), and a connector fastening sound generated to include some noise.

상기 생산라인 데이터베이스(240)는 자동차 생산라인 내 각 공정 작업이 진행되는 공정라인별 위치와 조립 대상 차량의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의 속도 및 상기 컨베이어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한 각 공정라인별 길이 등과 같이 생산라인의 운영 및 관리에 필요한 각종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The production line database 240 includes the location of each process line in which each process operation in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is performed, the speed of the conveyor for transporting the vehicle to be assembled, and the length of each process line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nveyor.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production line is stored.

상기 피드백 유닛별 고유식별번호 데이터베이스(250)는 자동차 생산라인 내에서 커넥터 체결 작업이 진행되는 각 공정라인(즉, 제n공정라인)과 일대일로 매칭되어 있는 피드백 유닛(100)에 대한 원 핫 인코딩(One Hot Encoding)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database 250 for each feedback unit is one-hot encoding for the feedback unit 100 that is matched one-to-one with each process line (ie, the n-th process line) in which the connector fastening operation is performed within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One Hot Encoding) information is stored.

그리고 자동차 생산라인에는 커넥터의 미체결 및 불완전 체결을 검출 시 이를 작업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해 소리 생성 장치(311), 조명장치(312), 표시장치(313) 등을 포함하는 체결정보 출력부(310)가 구비되고, 그 외에 통신을 위한 공정라인별 통신부(320)와 실시간 데이터 저장을 위한 생산라인 기억장치(330) 및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생산라인 전원부(340)가 구비된다. In addition, in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a fastening information output unit 310 including a sound generating device 311 , a lighting device 312 , a display device 313 , etc. in order to notify the operator when non-tightening or incomplete coupling of the connector is detected. is provided, and in addition, a communication unit 320 for each process line for communication, a production line storage device 330 for real-time data storage, and a production line power supply unit 340 for providing driving power are provided.

상기 피드백 유닛(100)의 소리 입력 장치(110)는,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커넥터의 체결 시 발생하는 소리(즉, 커넥터 체결음)을 입력받는 장치이며, 구체적으로 커넥터 체결 작업시 발생하는 소리만 선택적으로 녹취하기 위한 지향성 마이크일 수 있다. The sound input device 110 of the feedback unit 100 is a device that receives a sound (ie, a connector tightening sound) generated when a connector is fastened in an automobile production line, and specifically, only the sound generated during a connector fastening operation is selected It may be a directional microphone for recording.

좀더 말하면, 상기 지향성 마이크로는, 설정된 소정 방향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리에 크게 반응하고 그 방향축을 벗어날수록 소리에 대한 반응성이 작아지는 단방향 지향성 마이크가 사용되며, 예를 들어 마이크 정면의 소리만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 the directional microphone, a unidirectional directional microphone that responds greatly to a sound generated from a set predetermined direction and becomes less responsive to the sound as it goes away from the direction axis is used.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only the sound in front of the microphone. can

자동차 생산라인에는 다양한 공구 소리,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각종 경고음 등이 상시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 체결음을 최대한 정확하게 입력받아야 한다. Since various tool sounds and various warning sounds for worker safety are constantly generated in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the connector tightening sound must be input as accurately as possible.

따라서 상기 소리 입력 장치(110)는 작업자가 커넥터를 체결할 때 발생하는 커넥터 체결음을 더 정확하게 입력받기 위하여 지향성 마이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노이즈 필터링 기술력이 뒷받침된다면 비지향성 마이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커넥터 체결 작업의 주변 상황에 따라 비지향성 마이크가 소리 입력 장치(110)로 사용될 수도 있다. 비지향성 마이크는 일반적으로 사방에서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이다. Therefore, the sound input device 110 preferably uses a directional microphone to more accurately receive the connector tightening sound generated when the operator tightens the connector,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non-directional microphone if noise filtering technology is supported. do. That is, the non-directional microphone may be used as the sound input device 110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conditions of the connector fastening operation. A non-directional microphone is a microphone that generally receives sound from all directions.

상기 피드백 유닛 통신부(130)는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조립 중인 조립 대상 차량의 통신 단말기와 통신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피드백 유닛 통신부(130)를 통해 생산라인에서 조립 중인 조립 대상 차량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 유닛 통신부(130)는 자동차 서버(200)와도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RTLS를 위해 각각의 조립 대상 차량에 부착되어 있는 단말기일 수 있다. The feedback unit communication unit 13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assembly target vehicle being assembled in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and can grasp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ssembly target vehicle being assembled in the production line through the feedback unit communication unit 130 . have. Also, the feedback unit communication unit 130 ma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the vehicle server 200 . Th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a terminal attached to each assembly target vehicle for the RTLS.

피드백 유닛(100)의 경고 출력부(120)는 작업자에게 커넥터 정상 체결 여부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경고 출력부(120)는 상기 소리 생성 장치(121), 조명장치(122), 진동 생성 장치(1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warning output unit 120 of the feedback unit 100 is for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on whether the connector is normally fastened to the operator. The warning output unit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ound generating device 121 , the lighting device 122 , and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123 .

상기 소리 생성 장치(121)는 작업자의 청각을 자극하는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조명장치(122)는 작업자의 시각을 자극하는 조명을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진동 생성 장치(123)는 작업자의 촉각을 자극하는 진동을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sound generating device 121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warning sound to stimulate the operator's hearing, the lighting device 122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lighting to stimulate the operator's vision, and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 123)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vibrations that stimulate the operator's tactile sense.

작업자가 체결하지 못한 커넥터(즉, 미작업 커넥터)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소리 생성 장치(121), 조명장치(122), 진동 생성 장치(123)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킴으로써 작업자에게 커넥터 재체결 작업을 유도할 수 있다. When a connector that the operator has not fastened (that is, an unworked connector) is detected, at least one of the sound generating device 121 , the lighting device 122 , and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123 is operated to provide the operator with a connector re-tightening operation can induce

상기 피드백 유닛 전원부(140)는 소리 입력 장치(110)와 경고 출력부(120)와 피드백 유닛 통신부(130) 및 피드백 유닛 기억장치(15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The feedback unit power supply unit 140 is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sound input unit 110 , the warning output unit 120 , the feedback unit communication unit 130 , and the feedback unit storage unit 150 .

상기 피드백 유닛 기억장치(150)는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피드백 유닛 기억장치(150)에는 피드백 유닛(100)에 정해진 고유식별번호(ID)가 저장된다. The feedback unit storage device 150 is a memory for storing necessary information. The feedback unit storage device 150 stores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D) determined in the feedback unit 100 .

자동차 생산라인에서는 각각의 공정라인별로 고유식별번호(ID)가 부여되고, 상기 피드백 유닛(100)은 생산라인의 각 공정라인별 고유식별번호(ID)와 원 핫 인코딩(One Hot Encoding)함으로써 생산라인의 다른 공정 및 다른 피드백 유닛과의 혼선을 피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D) is given to each process line, and the feedback unit 100 is produced by one-hot encoding with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D) for each process line of the production line. Avoid cross-talk with other processes on the line and with other feedback units.

피드백 유닛(100)별 고유식별번호(ID) 정보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각 공정라인별 고유식별번호(ID) 정보와 일대일(1:1)로 매칭되어 서버(200)의 피드백 유닛별 고유식별번호 데이터베이스(250)로 구축될 수 있다.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D) information for each feedback unit 100 is matched one-to-one (1:1) with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D) information for each process line of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to uniquely identify each feedback unit of the server 200 It can be built into the number database 250 .

피드백 유닛(100)별 고유식별번호(ID)는 사전에 정해진 각 공정라인의 고유식별번호(ID)와 일대일로 매칭되어 원 핫 인코딩되고 피드백 유닛(100)별 원 핫 인코딩 정보가 상기 피드백 유닛별 고유식별번호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됨으로써 상기 피드백 유닛별 고유식별번호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각 피드백 유닛(100)과 매칭된 공정라인(즉, 커넥터 체결 작업이 포함되어 있는 제n공정라인)을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D) for each feedback unit 100 is one-hot encoded by matching one-to-one with a predetermined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D) of each process line, and one-hot encoding information for each feedback unit 100 is provided for each feedback unit By being stored in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database 250,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database 250 for each feedback unit, the process line matched with each feedback unit 100 (that is, the n-th where the connector fastening operation is included) process line) can be judged in real time.

상기 서버(200)의 판단제어부(260)는 피드백 유닛 통신부(130)와 자동차 생산라인의 각 공정라인별로 설치되어 있는 공정라인별 통신부(320) 및 서버 통신부(280)가 서로 신호를 주고 받는 과정을 통해 상기 피드백 유닛(100)이 고유식별번호(ID)의 매칭을 통해 사전에 정해진 공정이 아니라 다른 공정에서 사용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판단제어부(260)는 사전에 설정한 시간 주기로 판단을 한다. 또한 이때 고유식별번호(ID)의 원 핫 인코딩이 언매칭될 경우, 상기 판단제어부(260)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관리자에게 조치 메시지를 전달한다. The decision control unit 260 of the server 200 is a process in which the feedback unit communication unit 130 and the communication unit 320 for each process line installed for each process line of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and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80 exchange signals with each other.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feedback unit 100 is being used in a process other than a predetermined process by match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D). At this time,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260 makes a determination with a preset time period. In addition, if the one-hot encoding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D) is mismatched at this time,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260 transmits an action message to the manager of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상기 피드백 유닛 통신부(130)와 생산라인의 공정라인별 통신부(320)는 서로 신호를 주고 받는다. 상기 공정라인별 통신부(320)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각 공정라인별로 설치되며 각각 정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공정라인별 통신부(320)는 안테나 및 중계기 등의 통신부 중 하나일 수 있다. The feedback unit communication unit 130 and the communication unit 320 for each process line of the production line exchange signals with each other. The communication unit 320 for each process line is installed for each process line of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and may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respectively. The communication unit 320 for each process line may be one of communication units such as an antenna and a repeater.

자동차 생산라인에 고정되어 있는 공정라인별 통신부(320)와 작업자의 움직임에 따라 상시 이동하는 피드백 유닛(100)은 관리자가 사전에 설정한 주기로 실시간 통신을 지속하며, 이러한 실시간 통신을 통해 피드백 유닛(100)의 위치 좌표와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320 for each process line fixed to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and the feedback unit 100 that always mov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perator continue real-time communication at a cycle preset by the manager, and through this real-time communication, the feedback unit ( 100) of the location coordinates and distance can be calculated.

상기 피드백 유닛(100)의 위치 좌표와 거리를 산출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자동차 생산라인에 설치되는 공정라인별 통신부(320)의 개수는 상이해진다. 예를 들어, 삼각측량 방식 등의 위치 파악 알고리즘을 활용한다면, 자동차 생산라인에 고정되어 있는 최소 2개 이상의 공정라인별 통신부(320)가 필요하며, 이때 반드시 제n공정라인(즉, 커넥터 체결 작업이 포함되어 있는 공정라인)에 2개 이상의 공정라인별 통신부(320)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구체적으로, 제n공정라인에 1개의 공정라인별 통신부를 설치하고 제n-1공정라인 또는 제n+1공정라인에 1개의 공정라인별 통신부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number of communication units 320 for each process line installed in an automobile production line is different according to an algorithm for calculating the position coordinates and distance of the feedback unit 100 . For example, if a positioning algorithm such as a triangulation method is used, at least two or more communication units 320 for each process line fixed to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are required, and at this time, the n-th process line (that is, connector fastening work)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two or more communication units 320 for each process line in the process line). Specifically, one communication unit for each process line may be installed in the n-th process line, and one communication unit for each process line may be installed and used in the n-1 th process line or the n+1 process line.

작업자의 손에 장착된 피드백 유닛(100)의 위치 좌표를 파악한다는 것은, 작업자가 커넥터 체결 공정에서 체결해야 할 체결 대상 커넥터에 접근하였는지, 혹은 커넥터에 접근하지 않고 작업을 누락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근거 데이터가 된다. Identifying the coordinates of the location of the feedback unit 100 mounted on the hand of the operator means that the operator approaches the connector to be fastened in the connector fastening process, or the basis data for determining whether the operation is omitted without approaching the connector do.

차량 개발 선행단계에 디지털 3D(Dimensional) 검증을 진행하기 때문에 차량의 3D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차량의 각 커넥터 위치의 절대 좌표를 취득할 수 있으며, 이렇게 취득한 정보들을 서버(200)에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Since digital 3D (Dimensional) verification is performed in the preceding stage of vehicle development, absolute coordinates of each connector position of the vehicle can be obtained from 3D modeling data of the vehicle, and the obtaine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erver 200 and converted into a database.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200)에는 차량 부품별 위치 좌표 데이터베이스(2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차량 부품별 위치 좌표 데이터베이스(210)는 차량내 각 커넥터의 절대 좌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절대 좌표는 차량의 소정 기준점을 기준으로 한 좌표값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rver 200 is provided with a location coordinate database 210 for each vehicle part, and the location coordinate database 210 for each vehicle part stores absolute coordinate information of each connector in the vehicle. The absolute coordinates may be coordinate values based on a predetermined reference point of the vehicle.

차량 내 각 커넥터의 절대 좌표와 커넥터 체결 공정을 위하여 피드백 유닛(100)이 위치하였던 위치 좌표를 매칭시킴으로써 커넥터 체결 작업의 누락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By matching the absolute coordinates of each connector in the vehicle with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where the feedback unit 100 was located for the connector fastening proces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nector fastening operation is omitted.

상기와 같이 피드백 유닛(100)의 위치 좌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커넥터 체결 공정에서 체결해야 할 차량 내 체결 대상 커넥터들의 위치 좌표와 각각 비교하여, 체결 대상 커넥터의 실시간 위치 좌표가 피드백 유닛(100)의 실시간 위치 좌표로부터 사전에 설정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할 경우 소리 입력 장치(110)를 활성화하여 커넥터 체결음을 입력받을 준비를 한다. 상기 일정 거리는 작업자의 커넥터 체결 작업이 가능한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feedback unit 100 are identified in real time, and the real-tim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connector to be fastened are obtained by comparing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connectors to be fastened in the vehicle to be fastened in the connector fastening process. When it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al-time location coordinates of , the sound input device 110 is activated to prepare to receive a connector tightening sound. 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set as a distance at which a connector fastening operation of an operator is possible.

소리 입력 장치(110)를 상기와 같은 일정 조건에서만 활성화하는 이유는, 소리 입력 장치(110)가 지속적인 입력을 받을 경우 피드백 유닛 전원부(140)의 전력 소비가 크고, 상기 조건을 벗어난 상황에서 입력을 받더라도 입력 데이터의 실효성이 없기 때문이다. The reason for activating the sound input device 110 only under certain conditions as described above is that, when the sound input device 110 receives continuous inpu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eedback unit power supply unit 140 is large, and the input is This is because the input data is not valid even if it is received.

상기 소리 입력 장치(110)의 활성화 이후 커넥터 체결 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소리 입력 장치(110)가 입력받은 사운드는 서버(200)로 전송된다. After the sound input device 110 is activated, as the connector fasten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sound input by the sound input device 110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

상기 서버(200)에 구비되어 있는 판단제어부(260)에서는 피드백 유닛(100)의 소리 입력 장치(110)에서 입력받은 사운드에 커넥터 체결음 외에 불필요한 노이즈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260 provided in the server 200 determines whether unnecessary noise is included in the sound input from the sound input device 110 of the feedback unit 100 other than the connector tightening sound.

상기 판단제어부(260)는, 사운드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의 주파수 영역이 사전에 설정한 기준주파수 이상이면 정상 커넥터 체결음의 정해진 주파수 영역 이외의 주파수 영역에 대한 필터링을 진행하며, 이때 상기 소리 입력 장치(110)에서 입력받은 사운드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기준주파수 이상의 주파수 영역에 대한 노이즈 필터링도 이루어진다.If the frequency range of the noise included in the soun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frequency,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260 performs filtering on a frequency range other than the predetermined frequency range of the normal connector tightening sound, and in this case, the sound input device Noise filtering is also performed for a frequency region higher than the reference frequency included in the sound input at 110 .

여기서 상기 노이즈는 각종 안내음과 경고음 및 공구 동작음과 기계 동작음 등과 같이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소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노이즈 사운드들은 사전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다. Here, the noise means various noises that may be generated in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such as various guide sounds and warning sounds, tool operation sounds and machine operation sounds, and these noise sounds are stored in a database in advance and stored in the server 200 .

또한, 자동차 생산라인에서는 차량 부품별로 다양한 사양의 커넥터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각 커넥터 사양별로 체결음이 일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전에 차량에 적용되는 각 커넥터 사양별 체결음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서버(200)에 저장한다.In addition, connectors of various specifications are used for each vehicle part in an automobile production line, and a fastening sound may be partially different for each connector specification. Therefore, in advance, the connection sound for each connector specification applied to the vehicle is converted into a database and stored in the server 200 .

이때 정상적인 커넥터 체결음과 일부 노이즈 소음을 의도적으로 합성한 사운드도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커넥터의 정상 체결 여부를 판단 시 그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ound obtained by intentionally synthesizing the normal connector fastening sound and some noise noise is also converted into a database, so that the accuracy of the connector can be improved when determining whether the connector is properly fastened.

상기 판단제어부(260)는, 노이즈 필터링이 완료된 사운드를 기초로 커넥터가 정상적으로 완전 체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서버 기억장치(270)에 각 공정라인별로 각 커넥터들이 정상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저장한다.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260 determines whether the connectors are normally fully fastened on the basis of the noise filtering completed sound, and stores in the server memory device 270 whether each connector is normally fastened for each process line.

상기 판단제어부(260)는, 각 공정라인별로 각 커넥터들의 정상 체결 여부가 판단될 때마다 서버 통신부(280)를 통해 생산라인의 공정라인별 통신부(320)로 해당 정보(즉, 커넥터 정상 체결 여부 정보)를 전송하고, 생산라인 기억장치(330)에 해당 정보를 저장한 후 생산라인의 체결정보 출력부(310) 중 표시장치(313)에 커넥터 정상 체결 여부를 출력하여 표시함으로써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260 send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e, whether the connector is normally fastened) to the communication unit 320 for each process line of the production line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80 whenev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nectors are normally fastened for each process line. information), and after storing the information in the production line storage device 330, output and display whether the connector is normally fastened on the display device 313 amo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output unit 310 of the production line to display the operator visually make it recognizable.

판단제어부(260)는, 제n공정라인의 실시간 커넥터 체결음이 사운드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되어 있는 제n공정라인의 정상 커넥터 체결음과 비교하여 상이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체결정보 출력부(310) 중 적어도 표시장치(313)를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비정상 체결 커넥터가 있음을 인지시키며, 이때 상기 표시장치(313)에 제공된 정보를 작업자가 인지하고 재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재작업된 커넥터 체결 여부에 대한 정보가 업데이트되어 상기 표시장치(313)에 출력될 수 있다. When determining that the real-time connector fastening sound of the n-th process line is different from the normal connector fastening sound of the n-th process line stored in the sound database 230 ,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260 determines that the fastening information output unit 310 is different. ) of at least the display device 313 to let the operator know that there is an abnormally fastened connector, and at this time, when the operator recognizes th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display device 313 and proceeds with rework, the reworked connector is not fastened. Information about the information may be updated and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313 .

또한 판단제어부(260)는, 제n공정라인의 실시간 커넥터 체결음이 상기 제n공정라인의 정상 커넥터 체결음과 동일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n공정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체결정보 출력부(310) 중 적어도 표시장치(313)를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커넥터 체결 작업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인지시킨다.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260, when determining that the real-time connector fastening sound of the n-th process line is the same as the normal connector fastening sound of the n-th process line, the fastening information output unit 310 installed in the n-th process line At least during the operation, the display device 313 is operated to notify the operator that the connector fastening operation has been normally performed.

상기 표시장치(313)에 출력되는 정보의 예시는 도 2와 같으며, 도 2에서 OK는 커넥터가 정상 체결된 작업 상황을 의미하고 NG는 커넥터가 정상 체결되지 않은 작업 상황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NG는 최소 2가지 이상의 상황을 고려하여 출력된다. An example of the information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313 is as shown in FIG. 2 . In FIG. 2 , OK means a working situation in which the connector is normally fastened, and NG means a working situation in which the connector is not normally fastened. Specifically, NG is output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two or more situations.

먼저, 제1 상황은 작업자가 커넥터 체결 작업을 수행했지만 그 체결음이 정상적인 커넥터 체결음과 일정 수준 이상 차이가 있는 불완전 체결이 발생한 경우이다. 그리고, 제2 상황은 작업자의 손이 조립해야 할 체결 대상 커넥터의 주변으로 이동조차 하지 않은 커넥터 체결 미작업이 발생한 경우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불완전 체결된 커넥터 및 미작업 커넥터는 모두 비정상 체결 커넥터라고 통칭할 수 있다. First, the first situation is a case in which the worker performs the connector fastening operation, but incomplete fastening in which the fastening sound is different from the normal connector fastening sound by a certain level or more occurs. And, the second situation is a case in which the connector fastening non-work occurs, in which the operator's hand does not even move to the periphery of the fastening target connector to be assembled. In this case, both the incompletely fastened connector and the unworked connector as described above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n abnormally fastened connector.

자동차 생산라인의 제n공정라인에서 조립 중인 조립 대상 차량은, 그 다음 공정인 제n+1공정라인으로 이동할 때 생산라인의 컨베이어를 통해 정해진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조립 대상 차량의 이동속도는 컨베이어의 진행 속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The vehicle to be assembled under assembly in the n-th process line of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moves to the next process, the n+1 process line, through the conveyor of the production line in a predetermined moving direction and moving speed. In this case, the moving speed of the vehicle to be assemble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oving speed of the conveyor.

그리고, 상기 제n공정라인과 제n+1공정라인 사이에는 조립 대상 차량의 이동방향의 한 지점으로 소정의 기준지점(P)이 정해질 수 있다. 상기 기준지점(P)은, 관리자에 의해 사전 설정될 수 있으며, 그 위치 정보가 생산라인 기억장치(330)에 저장될 수 있다. 서버(200)의 판단제어부(260)는 상기 생산라인 기억장치(330)로부터 공정라인별 기준지점(P)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And, between the nth process line and the n+1th process line, a predetermined reference point P may be determined as a point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o be assembled. The reference point (P) may be preset by an administrato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production line storage device (330).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260 of the server 20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reference point P for each process line from the production line memory device 330 .

도 3을 참조하면,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제n-1공정라인과 제n+1공정라인 사이에 진행되는 제n공정라인의 길이가 L 이라고 할 때, 조립 대상 차량이 제n+1공정라인에 도달하기 전에 작업자에게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경고성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제n공정라인에서의 커넥터 체결 작업이 완료된 시점에 경고성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기준지점(P)은 2/L < 기준지점(P) < L 로 정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when the length of the n-th process line running between the n-1 th process line and the n+1 th process line in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is L, the vehicle to be assembled is moved to the n+1 th process line. In order to provide warning information visually and aurally to the operator before arrival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warning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 connector fastening operation in the nth process line is completed, the reference point P is 2/L < standar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point P < L.

즉, 상기 기준지점(P)은 제n공정라인의 한 지점으로 정해지며 상기 제n공정라인 구간의 1/2 지점을 초과한 지점으로 정해질 수 있다.That is, the reference point P is determined as a point of the n-th process line and may be determined as a point exceeding 1/2 of the section of the n-th process line.

조립 대상 차량이 상기 기준지점(P)을 지나는 시점은, 조립 대상 차량이 제n공정라인에 진입한 시점과 컨베이어의 속도 등을 기준으로 산출할 수 있다. The time at which the assembly target vehicle passes the reference point P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time when the assembly target vehicle enters the n-th process line and the speed of the conveyor.

조립 대상 차량이 상기 기준지점(P)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n공정라인에서 체결해야 하는 체결 대상 커넥터들이 모두 정상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to be assembled has passed the reference point P, it is determined whether all connectors to be fastened to be fastened in the n-th process line are normally fastened.

상기 제n공정라인에서 체결되어야 하는 커넥터들이 모두 정상 체결되었으면 상기 조립 대상 차량은 바로 제n+1공정라인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n공정라인에서 체결되어야 하는 커넥터들 중 하나라도 비정상 체결 커넥터가 남아있으면 상기 조립 대상 차량은 생산라인의 체결정보 출력부(310) 중 소리 생성 장치(311)와 조명장치(312)를 작동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담당한 체결 대상 커넥터에 문제가 있음을 인지하고 커넥터 점검 및 재체결 작업을 진행하도록 유도한다. When all connectors to be fastened in the n-th process line are normally fastened, the vehicle to be assembled is immediately moved to the n+1 process line, and even one of the connectors to be fastened in the n-th process line has an abnormally fastened connector. If there is, the assembly target vehicle recognizes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e fastening target connector in charge of the operator by operating the sound generating device 311 and the lighting device 312 among the fastening information output unit 310 of the production line, and inspects and re-checks the connector. Encourage them to proceed with the fastening work.

이때 차량의 이동을 위한 컨베이어의 작동이 일시 정지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소리 생성 장치(311)는 소정 경고음을 발생하고, 상기 조명장치(312)는 2가지 이상의 색상을 가진 신호등 램프 등을 통해 조명을 발생한다.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conveyor for moving the vehicle may be temporarily stopped. Also, at this time, the sound generating device 311 generates a predetermined warning sound, and the lighting device 312 generates illumination through a traffic light lamp having two or more colors.

비정상 체결 커넥터의 점검 및 재체결 작업을 유도할 때, 체결 작업을 시도조차 하지 않은 미작업 커넥터의 경우 생산라인의 표시장치(313)에 상기 미작업 커넥터의 위치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작업자가 미작업 커넥터를 찾는 시간을 단축하여 최소화하도록 한다. When inducing inspection and re-tightening of an abnormally fastened connector, in the case of an unworked connector that has not even attempted a fastening work, by output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nworked connector to the display device 313 of the production line, the operator can use the unworked connector shorten the search time to minimize it.

또한 작업자가 생산라인의 체결정보 출력부(310)의 작동을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미작업 커넥터를 포함한 비정상 체결 커넥터가 있으면 생산라인의 공정라인별 통신부(320)를 통하여 피드백 유닛 통신부(130)로 미작업 커넥터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소정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의 소정 신호를 통해 피드백 유닛(100)의 경고 출력부(120)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킴으로써 작업자에게 비정상 체결 커넥터가 남아있음을 재인지시켜 작업자의 커넥터 점검 및 재체결 작업을 유도하도록 한다. In addition, if the operator does not visually and aurally recognize the operation of the fastening information output unit 310 of the production line, if there is an abnormal fastening connector including an unworked connector, the feedback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20 for each process line of the production line By sending a predetermined signal indicating that there is an unworked connector to the communication unit 130 and operating at least one of the warning output unit 120 components of the feedback unit 100 through the predetermined signal, an abnormal fastening connector is provided to the operator Recognize that it remains and induce the operator to check and re-tighten the connector.

이와 같이 구성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커넥터의 정상 체결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고 작업자에게 피드백하여 인지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The process of determining in real time whether the connector is normally fastened in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using the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giving feedback to the operator to recognize it may proceed as follows.

첨부된 도 4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커넥터 체결 여부 판단 및 피드백 방법을 일례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a connector is fastened in an automobile production line and a feedback metho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조립 대상 차량의 조립 작업이 시작되면, 각 피드백 유닛(100)의 고유식별번호(ID)가 생산라인의 공정 중 제n공정라인의 고유식별번호(ID)와 매칭되는지를 판단한다(S100). 4, when the assembly operation of the vehicle to be assembled in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is started,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D) of each feedback unit 100 is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D) of the n-th process line during the process of the production line ( ID) and it is determined (S100).

이때 서버(200)의 피드백 유닛별 고유식별번호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기초로 고유식별번호(ID) 매칭 여부를 판단하며, 피드백 유닛(100)의 고유식별번호(ID)와 제n공정라인의 고유식별번호(ID)가 매칭되지 않으면 시스템 관리자에게 경고 메시지 및 조치 메시지를 전송한다(S110). At this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D) matches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database 250 for each feedback unit of the server 200,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D) of the feedback unit 100 and the second If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D) of the n process line does not match, a warning message and an action message are transmitted to the system manager (S110).

피드백 유닛(100)의 고유식별번호(ID)와 제n공정라인의 고유식별번호(ID)가 매칭되면, 조립 대상 차량을 제n공정라인에 진입시킨다(S120).When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D) of the feedback unit 100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D) of the n-th process line match, the vehicle to be assembled enters the n-th process line (S120).

작업자가 손에 착용한 피드백 유닛(100)의 통신부(130)와 생산라인의 공정라인별 통신부(320)가 통신을 하면서 상기 피드백 유닛(100)이 조립 대상 차량의 어느 곳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동시에 생산라인의 컨베이어 이동속도 및 조립 대상 차량의 커넥터 위치 좌표를 서버(200)의 생산라인 데이터베이스(240)와 차량 부품별 위치 좌표 데이터베이스(210) 등으로부터 취득한다(S130). While the communication unit 130 of the feedback unit 100 worn by the operator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unit 320 for each process line of the production line, it is recognized in real time where the feedback unit 100 is located in the assembly target vehicle. At the same time, the conveyor movement speed of the production line and the connector location coordinates of the assembly target vehicle are acquired from the production line database 240 of the server 200 and the location coordinate database 210 for each vehicle part (S130).

다음, 작업자의 손이 제n공정라인에서 작업해야 할 체결 대상 커넥터와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지를 판단하고(S140), 상기 S130 단계에서 파악한 피드백 유닛(100)의 위치 좌표 정보를 서버 기억장치(270)에 전송하여 저장하고 판단제어부(260)를 통해 작업자의 손이 접근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 체결 대상 커넥터의 위치 좌표 정보를 서버 기억장치(270)에 저장한다(S150). 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perator's hand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connector to be fastened to be worked in the n-th process line (S140), and the location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feedback unit 100 identified in step S130 is stored in the server storage device 270 is transmitted and stored, and th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connector to be fastened, which is determined to be not approached by the operator's hand through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260, is stored in the server memory device 270 (S150).

상기 S14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작업자의 손과 커넥터 간에 거리가 사전에 정해진 일정 거리 이내에 있으면, 피드백 유닛(100)의 소리 입력 장치(110)를 활성화시킨다(S16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40, if the distance between the operator's hand and the connector is within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distance, the sound input device 110 of the feedback unit 100 is activated (S160).

다음, 작업자가 제n공정라인에서 작업해야 하는 체결 대상 커넥터를 하나씩 체결시키면, 작업자의 손에 착용된 피드백 유닛(100)의 소리 입력 장치(110)가 커넥터 체결음을 입력받고 피드백 유닛 통신부(130)가 커넥터 체결음 정보를 서버(200)의 판단제어부(260)로 전송한다(S170).Next, when the operator fastens the connector to be fastened one by one in the n-th process line, the sound input device 110 of the feedback unit 100 worn on the worker's hand receives the connector fastening sound and the feedback unit communication unit 130 ) transmits the connector engagement sound information to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260 of the server 200 (S170).

상기 판단제어부(260)는, 전송받은 커넥터 체결음 정보에 노이즈가 섞여 있는지를 판단하고, 커넥터 체결음에 섞인 노이즈의 주파수 영역이 사전에 정해진 기준주파수 이상이면 상기 기준주파수 이상의 주파수 영역에 대한 필터링을 진행한다(S180).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260 determines whether noise is mixed in the received connector tightening sound information, and if the frequency range of the noise mixed in the connector tightening sound is high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frequency, filtering of the frequency range higher than the reference frequency is performed Proceed (S180).

상기 판단제어부(260)는, 노이즈 필터링이 완료된 커넥터 체결음을 기초로 커넥터가 정상적으로 완전 체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서버 기억장치(270)에 커넥터의 완전 체결 여부 정보를 저장한다(S190). 판단제어부(260)는 상기 서버 기억장치(270)에 자동차 생산라인의 공정라인별 커넥터마다 정상 체결되었는지 여부의 정보를 저장한다.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260 determines whether the connector is normally fully fastened based on the connector fastening sound on which noise filtering has been completed, and stor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connector is fully fastened in the server memory device 270 ( S190 ).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260 stores in the server memory device 270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each connector for each process line of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is normally fastened.

상기 판단제어부(260)는, 각 커넥터에 대한 완전 체결 여부 정보를 상기 서버 기억장치(270)에 저장할 때마다 서버 통신부(280)를 통해 생산라인의 공정라인별 통신부(320)로 해당 정보(즉, 커넥터 완전 체결 여부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공정라인별 통신부(320)가 수신한 정보는 생산라인 기억장치(330)에 저장된 후 생산라인의 체결정보 출력부(310)의 구성 중 표시장치(313)에 출력된다(S200).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260, each time th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connector is completely fastened to the server storage device 270 is stored in the server memory device 270, the information (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320 for each process line of the production line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80) , information on whether the connector is fully fastened), and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320 for each process line is stored in the production line storage device 330, and then the display device ( 313) (S200).

다음, 상기 판단제어부(260)는, 조립 대상 차량이 사전에 설정한 제n공정라인의 기준지점(P)을 통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S210). Next,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260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to be assembled has passed a preset reference point P of the n-th process line (S210).

상기 S21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조립 대상 차량이 상기 기준지점(P)을 통과하였으면 상기 제n공정라인에서 체결해야 할 커넥터들을 모두 정상 체결하였는지를 판단하고(S220), 조립 대상 차량이 상기 기준지점(P)을 통과하지 않았으면 다시 상기 S130 단계를 진행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10, if the assembly target vehicle has passed the reference point P, it is determined whether all connectors to be fastened in the n-th process line are normally fastened (S220), and the assembly target vehicle is the reference point P ),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30 again.

상기 S200 단계에서 생산라인 기억장치(330)에 저장한 커넥터 정상 체결 여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S220 단계에서 커넥터들이 모두 정상 체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조립 대상 차량을 제n+1공정라인에 진입시킨다(S230). When it is determined that all connectors are normally fastened in step S220 based on the information on whether the connectors are properly fastened or not stored in the production line storage device 330 in step S200, the vehicle to be assembled enters the n+1 process line make it (S230).

상기 S200 단계에서 생산라인 기억장치(330)에 저장한 커넥터 완전 체결 여부 정보를 기초로, 상기 S220 단계에서 커넥터들 중 하나 이상이 비정상 체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생산라인의 체결정보 출력부(310) 중 소리 생성 장치(311)와 조명장치(312)를 작동시킴으로써 작업자에게 체결 작업이 누락된 커넥터 또는 불완전 체결된 커넥터가 있음을 인지시켜 커넥터 재체결 작업을 유도한다(S240). When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one of the connectors is abnormally fastened in the step S220 based on the information on whether the connector is completely fastened or not stored in the production line memory device 330 in the step S200, the fastening information output unit 310 of the production line By operating the middle sound generating device 311 and the lighting device 312, the operator recognizes that there is a connector with a missing fastening operation or an incompletely fastening connector to induce a connector re-tightening operation (S240).

아울러, 상기 S240 단계에서 작업자가 체결정보 출력부(310)의 작동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그로 인해 커넥터 재체결 작업이 진행되지 못하면, 생산라인의 공정라인별 통신부(320)를 통해 피드백 유닛 통신부(130)로 피드백 유닛(100)의 경고 출력부(120)를 작동시키기 위한 소정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체결 작업이 누락된 커넥터 또는 불완전 체결된 커넥터가 있음을 재인지시켜 커넥터 재체결 작업을 재유도한다(S250). 이때 상기 커넥터 재체결 작업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조립 대상 차량을 제n+1공정라인에 진입시킨다(S230). In addition, if the operator does not recognize the operation of the fastening information output unit 310 in the step S240, if the connector re-tightening operation does not proceed due to this, the feedback unit communication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20 for each process line of the production line ( 130), by sending a predetermined signal for operating the warning output unit 120 of the feedback unit 100, re-inducing the connector re-tightening operation by re-recognizing that there is a connector with missing or incompletely fastened connectors. do (S250). At this time, when the connector refastening operation is normally completed, the vehicle to be assembled enters the n+1th process line (S230).

한편, 상기 S150 단계에서 파악한 누락 커넥터(즉, 작업자의 손이 접근조차 하지 않은 미작업 커넥터)의 위치 좌표 정보를 생산라인의 체결정보 출력부(310) 중 표시장치(313)에 출력하여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지시키고(S155), 이어서 상기 S240 단계를 진행하여 체결정보 출력부(310) 중 소리 생성 장치(311)와 조명장치(312)를 작동시킴으로써 작업자에게 체결 작업이 누락된 커넥터 또는 불완전 체결된 커넥터가 있음을 인지시켜 커넥터 재체결 작업을 유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missing connector (that is, the unworked connector to which the operator's hand has not even approached) identified in step S150 is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313 of the fastening information output unit 310 of the production line to the operator By visually recognizing (S155), and then proceeding to step S240 to operate the sound generating device 311 and the lighting device 312 of the fastening information output unit 310, a connector whose fastening work is omitted or incompletely fastened to the operator Recognizes that there is a connector and induces connector re-tightening.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A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also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ince the illustrated configuration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피드백 유닛 110 : 소리 입력 장치
120 : 경고 출력부 121 : 소리 생성 장치
122 : 조명장치 123 : 진동 생성 장치
130 : 피드백 유닛 통신부 140 : 피드백 유닛 전원부
150 : 피드백 유닛 기억장치 200 : 서버
210 : 차량 부품별 위치 좌표 데이터베이스
220 : 공정라인별 커넥터 체결 작업 지시서 데이터베이스
230 : 사운드 데이터베이스
240 : 생산라인 데이터베이스
250 : 피드백 유닛별 고유식별번호 데이터베이스
260 : 판단제어부 270 : 서버 기억장치
280 : 서버 통신부 290 : 서버 전원부
310 : 체결정보 출력부 311 : 소리 생성 장치
312 : 조명장치 313 : 표시장치
320 : 공정라인별 통신부 330 : 생산라인 기억장치
340 : 생산라인 전원부
100: feedback unit 110: sound input device
120: warning output unit 121: sound generating device
122: lighting device 123: vibration generating device
130: feedback unit communication unit 140: feedback unit power supply unit
150: feedback unit memory 200: server
210: location coordinate database for each vehicle part
220: Connector fastening work instruction database for each process line
230: sound database
240: production line database
250: database of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for each feedback unit
260: judgment control unit 270: server storage device
280: server communication unit 290: server power unit
310: fastening information output unit 311: sound generating device
312: lighting device 313: display device
320: communication unit for each process line 330: production line memory device
340: production line power supply

Claims (10)

작업자가 자동차 생산라인의 공정라인 중 제n공정라인에 진입한 조립 대상 차량의 커넥터를 체결할 때 발생하는 실시간 커넥터 체결음을 작업자가 착용한 제n공정라인용 피드백 유닛의 소리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받는 제1단계;
상기 제n공정라인용 피드백 유닛을 통해 입력받은 실시간 커넥터 체결음을 사운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제n공정라인의 정상 커넥터 체결음과 비교하는 제2단계;
상기 제n공정라인의 실시간 커넥터 체결음이 상기 제n공정라인의 정상 커넥터 체결음과 상이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n공정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체결정보 출력부를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비정상 체결 커넥터가 있음을 인지시키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커넥터 체결 여부 판단 및 피드백 방법.
Input the real-time connector tightening sound generated when the operator fastens the connector of the vehicle to be assembled that has entered the n-th process line among the process lines of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through the sound input device of the feedback unit for the n-th process line worn by the operator the first step of receiving;
a second step of comparing the real-time connector fastening sound received through the feedback unit for the nth process line with a normal connector fastening sound of the nth process line stored in a sound databas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al-time connector fastening sound of the n-th process line is different from the normal connector fastening sound of the n-th process line, the fastening information output unit installed in the n-th process line is operated to notify the operator that there is an abnormal fastening connector A third step of recognizing;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connector is fastened on an automobile production line, including a feedback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는, 제n공정라인의 실시간 커넥터 체결음이 상기 제n공정라인의 정상 커넥터 체결음과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n공정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체결정보 출력부를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커넥터 체결이 정상적으로 수행됨을 인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커넥터 체결 여부 판단 및 피드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third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al-time connector fastening sound of the n-th process line is the same as the normal connector fastening sound of the n-th process line, the fastening information output unit installed in the n-th process line is operated to provide a connector to the operator.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a connector is fastened in an automobile production line and feedback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recognizes that the fastening is normally perform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n공정라인의 실시간 커넥터 체결음이 상기 제n공정라인의 정상 커넥터 체결음과 상이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n공정라인용 피드백 유닛에 구비되어 있는 경고 출력부를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비정상 체결 커넥터가 있음을 재인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커넥터 체결 여부 판단 및 피드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al-time connector fastening sound of the n-th process line is different from the normal connector fastening sound of the n-th process line, a warning output unit provided in the feedback unit for the n-th process line is operated to provide an abnormal fastening connector to the operator. Determination and feedback method of whether the connector of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is fastene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recognizing that there i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n공정라인용 피드백 유닛은 상기 제n공정라인에서 작업해야 할 체결 대상 커넥터와 커넥터 체결 작업이 가능한 일정 거리 이내에 있을 때 소리 입력 장치가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커넥터 체결 여부 판단 및 피드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eedback unit for the n-th process line determines whether the connector is fastened in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input device is activated when the connector to be fastened and the connector fastening work to be worked in the n-th process line ar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eedback method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는 제n공정라인의 체결정보 출력부 중 표시장치에 커넥터 정상 체결 여부 정보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커넥터 체결 여부 판단 및 피드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third step, the connector connection determination and feedback method of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and display information on whether the connector is normally fastened to a display device among the fastening information output unit of the n-th process li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실시간 커넥터 체결음과 정상 커넥터 체결음을 비교할 때마다 커넥터 정상 체결 여부 정보를 서버 기억장치에 저장하고,
조립 대상 차량이 상기 제n공정라인에서 사전에 정해진 기준지점을 통과하면, 상기 서버 기억장치에 저장한 커넥터 정상 체결 여부 정보를 기초로 제n공정라인의 체결 대상 커넥터 중 비정상 체결 커넥터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비정상 체결 커넥터가 있으면 상기 체결정보 출력부 중 소리 생성 장치와 조명장치를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비정상 체결 커넥터가 있음을 인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커넥터 체결 여부 판단 및 피드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econd step, whenever the real-time connector fastening sound and the normal connector fastening sound are compared, information on whether the connector is normally fastened is stored in the server memory,
When the assembly target vehicle passes a predetermined reference point in the nth process lin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 abnormally fastened connector among the fastening target connectors of the nth process lin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whether the connector is normally fastened or not stored in the server memory device do,
If there is an abnormal fastening connector, a sound generating device and a lighting device are operated among the fastening information output unit to notify the operator that there is an abnormal fastening connecto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체결 커넥터 중 체결 작업조차 진행하지 않은 미작업 커넥터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미작업 커넥터가 있으면 상기 체결정보 출력부의 표시장치에 미작업 커넥터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커넥터 체결 여부 판단 및 피드백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 unworked connector that has not even been fastened among the abnormal fastening connectors, and if there is an unworked connector,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nworked connector is output and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of the fastening information output unit How to judge whether the connector is fastened on the production line and give feedbac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n공정라인용 피드백 유닛은,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사용되는 공정라인별 피드백 유닛 중 상기 제n공정라인의 고유식별번호와 매칭되는 고유식별번호를 가지는 피드백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커넥터 체결 여부 판단 및 피드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eedback unit for the n-th process line is a feedback unit having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match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n-th process line among the feedback units for each process line used in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How to judge whether a connector is fastened and give feedbac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입력받은 실시간 커넥터 체결음에 사전에 정한 기준주파수 이상의 노이즈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기준주파수 이상의 주파수 영역에 대한 필터링을 진행한 다음 제2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커넥터 체결 여부 판단 및 피드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the real-time connector fastening sound input in the first step contains noise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frequency, filtering is performed in the frequency region above the reference frequency, and then the second step is performed. How to judge whether a connector is fastened and give feedbac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n공정라인은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커넥터 체결 작업이 필요한 공정라인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커넥터 체결 여부 판단 및 피드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th process line is a process line that requires connector fastening in the car production line.
KR1020200165636A 2020-12-01 2020-12-01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connectors are fastened in automobile manufacturing line KR202200767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636A KR20220076792A (en) 2020-12-01 2020-12-01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connectors are fastened in automobile manufacturing 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636A KR20220076792A (en) 2020-12-01 2020-12-01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connectors are fastened in automobile manufacturing l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792A true KR20220076792A (en) 2022-06-08

Family

ID=81981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636A KR20220076792A (en) 2020-12-01 2020-12-01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connectors are fastened in automobile manufacturing l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679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973B1 (en) Joint guarantee system for vehicle assembly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EP1237385A2 (en) Vehicle diagnostic system
EP1186477A2 (en) Diagnostics, protection and isolation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on a vehicle data communication bus
KR101490936B1 (en) Inspection system control method for vehicle
JPWO201903921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programs
CN110087209A (en) Electronic control unit and for connect certification method
KR20220076792A (en)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connectors are fastened in automobile manufacturing line
US10611303B2 (en) Portable device and vehicle
CN110738332A (en) Accident vehicle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and storage medium
KR20150099061A (en) A vehicle specification checking method and the apparatus thereof
JP4284962B2 (en) Electrical component insp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11208161B2 (en) Vehicle system
CN114829167A (en) Method for configuring a trailer inspection system
US20040181325A1 (en) Method for updating an electronic service tool
US6768314B2 (en) Method for detecting improper connection of connector
US20240087370A1 (en) Method for detecting the state of a vehicle component
CN112153578B (en) Vehicle configuration code self-checking method and vehicle
KR10224222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ehicle diagnosis information using vehicle gateway device
JP2004020461A (en) Trouble diagnostic device for vehicle
CN103248564A (en) Automobile-used gateway system
JP2021076949A (en) Vehicle control device
CN109153386B (en) Vehicle speed calculation method and device, and driver state monitoring system with vehicle speed calculation device
US11948410B1 (en) Automated vehicle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JP2010038783A (en) Method and device for inspecting onboard electronic control device
KR202200817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virtual fault code of vehicle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