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608A - A ventil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A ventila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608A
KR20220076608A KR1020200165272A KR20200165272A KR20220076608A KR 20220076608 A KR20220076608 A KR 20220076608A KR 1020200165272 A KR1020200165272 A KR 1020200165272A KR 20200165272 A KR20200165272 A KR 20200165272A KR 20220076608 A KR20220076608 A KR 20220076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disposed
rim
open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2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준식
황준호
권영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5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6608A/en
Publication of KR20220076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6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4Heat exchanger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68Rotary wheel comprising one r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제1 흡기구와, 흡입된 실내공기가 토출되는 제1 개구부와,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제2 흡기구와, 흡입된 실외공기가 토출되는 제2 개구부가 각각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제1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하여 유입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토출시키는 제1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덕트와;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싱을 상기 제1 흡기구와 제1 개구부가 포함된 제1 챔버와, 상기 제2 흡기구와 상기 제2 개구부가 포함된 제2 챔버로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제1,2 챔버 내에 회전가능토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챔버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와 상기 제2 챔버를 통과하는 실외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소자가 측벽에 배치되는 휠; 및 상기 휠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device, comprising a space portion formed therein, a first intake port through which indoor air is sucked, a first opening through which the suctioned indoor air is discharged, a second intake port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sucked, and a casing each having a second opening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discharged; a discharge duct coupled to the casing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opening and having a first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opening to the outside; a partition wall disposed in the casing to partition the casing into a first chamber including the first intake port and the first opening and a second chamber including the second intake port and the second opening; a wheel rotatably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and having a heat exchange element disposed on a side wall of the heat exchange element for heat-exchanging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chamber and outdoor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chamber;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wheel.

Description

환기장치 {A VENTILATION APPARATUS}Ventilation system {A VENTIL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 형상의 휠을 포함하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ntilation device including a cylindrical wheel.

현대의 생활은 외기로부터 차단된 실내 생활이 필연적으로 동반되며 이에 따라 실내 공기를 실외 공기와 교환하기 위한 환기장치는 필수적이다.Modern life is inevitably accompanied by indoor life blocked from outside air, and accordingly, a ventilation device for exchanging indoor air with outdoor air is essential.

일반적인 실내의 환기장치는 송풍기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밖으로 배출시키는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다.A general indoor ventilation device is used in a way to exhaust indoor air to the outside using a blower.

하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실내 공기를 배출시킬 경우, 실내의 냉기 또는 열기가 여과없이 외부로 배출되고, 또한 실외 공기가 창문이나 문의 틈새를 통해 유입됨으로써 실내 공기의 냉낭반된 열을 잃게 됨으로써 냉방 및 난방비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in this way, the cold or hot air in the room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out filtration, and also the outdoor air flows in through the gaps in the window or door, thereby losing the cool and half heat of the indoor air. will result in wastage of

따라서, 종래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폐열회수 환기장치가 제안되었으며, 폐열회수 환기장치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키고 동시에 실외의 공기를 여과, 정화 및 열교환을 거쳐 실내로 공급하는 양방향 환기 시스템을 말한다. Therefore, in the prior art, a waste heat recovery ventilator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waste heat recovery ventilator exhausts indoor polluted air and at the same time supplies outdoor air to the room through filtration, purification and heat exchange. say the system

폐열회수 환기장치는 열교환소자를 포함하며, 열교환소자는 실내 냉난방 중 환기가 필요한 경우,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 공기의 열에너지를 보전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실외 공기에 그 열에너지를 전달한다. The waste heat recovery ventilator includes a heat exchange element, and when ventilation is required during indoor heating and cooling, the heat exchange element preserves the thermal energy of the indoor air discharged to the outdoors and transfers the heat energy to the outdoor air supplied to the room.

즉, 열교환소자는 환기되는 실내 공기에 포함된 열에너지(현열 및 잠열)을 흡수하여 급기되는 실외 공기에 흡수된 열에너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heat exchange element absorbs thermal energy (sensible heat and latent heat) contained in the ventilated indoor air and transfers the absorbed thermal energy to the supplied outdoor air.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종류로는 고정식 전열교환기와, 회전식 전열교환기가 있다. There are two types of waste heat recovery ventilation devices: a fixed total heat exchanger and a rotary total heat exchanger.

종래의 회전식 전열교환기는 열교환소자가 배치되는 회전가능한 휠과, 휠이 수용되는 케이싱을 포함하였다. 휠은 일반적으로 원판 형상으로 제작되었고, 이에 따라, 휠이 케이싱에 배치되는 경우, 케이싱의 모서리 부분에 해당하는 면적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 conventional rotary total heat exchanger includes a rotatable wheel on which a heat exchange element is disposed, and a casing in which the wheel is accommodated. The wheel is generally manufactured in the shape of a disk, and thus, when the wheel is disposed in the cas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casing is wasted.

또한, 종래의 회전식 전열교환기는 열교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상기 휠의 직경 또는 두께가 증가되었고, 이에 따라, 환기장치의 크기와 설치면적 또한 증가하여 좁은 공간에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otary total heat exchanger has a problem in that the diameter or thickness of the wheel is increased to increase heat exchange performance, and accordingly, the size and installation area of the ventilation device are also increased, making it difficult to install in a narrow spa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통 형상의 휠을 포함하는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ntilation device including a wheel having a cylindrical shape.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능한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ntilation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even in a narrow spac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제1 흡기구와, 흡입된 실내공기가 토출되는 제1 개구부와,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제2 흡기구와, 흡입된 실외공기가 토출되는 제2 개구부가 각각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제1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하여 유입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토출시키는 제1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덕트와;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싱을 상기 제1 흡기구와 제1 개구부가 포함된 제1 챔버와, 상기 제2 흡기구와 상기 제2 개구부가 포함된 제2 챔버로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제1,2 챔버 내에 회전가능토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챔버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와 상기 제2 챔버를 통과하는 실외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소자가 측벽에 배치되는 휠; 및상기 휠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A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 first intake port through which indoor air is sucked, a first opening through which the suctioned indoor air is discharged, a second intake port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sucked, and a second opening through which the suctioned outdoor air is discharged. each formed casing; a discharge duct coupled to the casing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opening and having a first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opening to the outside; a partition wall disposed in the casing to partition the casing into a first chamber including the first intake port and the first opening and a second chamber including the second intake port and the second opening; a wheel rotatably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and having a heat exchange element disposed on a side wall of the heat exchange element for heat-exchanging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chamber and outdoor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chamber; and a motor rotating the wheel.

상기 제2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개구부coupled to the casing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를 통하여 유입된 실외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제2 토출구가 형성된 급기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n air supply duct formed with a second outlet for discharging the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door.

상기 급기덕트는, 상기 케이싱의 제2 개구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 사이에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supply duct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second opening of the casing;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extension; and a bent part form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또한, 상기 절곡부에 배치되는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blower disposed in the bent portion.

또한, 상기 휠과 연결되고, 상기 모터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각각 연결되는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belt connected to the wheel, including a rotation shaft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otor, and each connected to the motor and the rotation shaft.

상기 휠은, 상기 측벽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림과, 상기 측벽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림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은, 상기 제1 림 및 제2 림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The wheel may include a first rim disposed above the sidewall and a second rim disposed below the sidewall, wherein the sidewall may exten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rim and the second rim. have.

상기 제1 림은, 상기 측벽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이너림과 상기 제1 이너림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제1 아우터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림은, 상기 측벽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이너림과 상기 제2 이너림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제2 아우터림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rim includes a first inner rim disposed above the side wall and a first outer rim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inner rim, and the second rim is disposed below the side wall. It may include a second inner rim and a second outer rim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inner rim.

상기 휠과 연결되고, 상기 모터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축홀이 형성되고, 상기 축홀로부터 상기 제1 림을 향하여 연장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support frame connected to the wheel, including a rotation shaft spaced apart from the motor, having a shaft hole into which the rotation shaft is inserted, and extending from the shaft hole toward the first rim.

상기 제2 아우터림과, 상기 제2 이너림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connection block coupled to the second outer rim and the second inner rim, respectively.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림과, 상기 제2 림과 각각 결합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connection fram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first rim and the second rim, respectively.

상기 열교환소자는, 상기 측벽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서로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평판부와; 상기 복수의 평판부 사이에 배치되는 주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평판부와 상기 복수의 주름부 사이에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heat exchange ele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lat plate portions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sidewall and disposed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wrinkle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lat plate portions may be included, and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flat plate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wrinkle portions.

상기 격벽은, 상부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는 어퍼 리세스; 상기 어퍼 리세스의 사이에 형성되는 미들 리세스; 및 하부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는 로어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may include upper recesses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portion; a middle recess formed between the upper recesses; And it may include a lower recess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respectively.

상기 케이싱의 제2 흡기구에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filter disposed at the second intake port of the casing.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환기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venti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원통 형상의 휠을 구비하여 휠과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열교환면적이 늘어나 환기장치의 열교환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Firs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of the ventilation device is improved by increasing the heat exchange area between the wheel and the indoor air and outdoor air by having a cylindrical wheel.

둘째, 원통 형상의 휠을 구비하여 종래 회전식 전열교환기 대비 설치면적이 감소되어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능한 장점이 있다.Second, by having a cylindrical wheel, the installation area is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rotary total heat exchanger, so that it can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을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을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급기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토출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벽의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one sid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other sid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supply duc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charge 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of a partition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환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좌표계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 내지 그 구성요소에 대한 방향에 대하여 정의한다.Hereinafter, on the basis of the coordinate system shown in Figs. 1 to 8, th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direction for its components is defined.

x축이 향하는 방향을 전후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원점으로부터 +x축이 향하는 방향을 전방방향, -x축이 향하는 방향을 후방방향이라 할 수 있다. y축이 향하는 방향을 좌우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원점으로부터 +y축이 향하는 방향을 우측방향, -y축이 향하는 방향을 좌측방향이라 할 수 있다. z축이 향하는 방향을 상하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z축이 향하는 방향을 상측방향, -z축이 향하는 방향을 하측방향이라 할 수 있다.The direction in which the x-axis is directed can be defined as the front-back direction. The direction from the origin to the +x axis may be referred to as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direction to the -x axis may be referred to as the rearward direc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y-axis is directed can be defined as the left-right direction. A direction in which the +y axis is directed from the origin may be referred to as a right direction,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y axis is directed may be referred to as a left direction. A direction in which the z-axis is directed may be defined as an up-down direc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z-axis is directed may be referred to as an upper direct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z-axis is directed may be referred to as a lower direction.

이하,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는 실외공기를 실내공간으로 공급하는 급기덕트(10),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케이싱(20), 실내공기를 실외공간으로 토출시키는 토출덕트(30), 케이싱(20) 내에서 회전하며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와 열교환하는 휠(40) 및 휠(4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50)를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1 , th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ly duct 10 for supplying outdoor air to an indoor space, a casing 20 in which a space in which indoor air and outdoor air flow are formed, and an indoor space. A discharge duct 30 for discharging air to the outdoor space, a wheel 40 rotating within the casing 20 and exchanging heat with indoor air and outdoor air, and a motor 50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the wheel 40. can

급기덕트(10)는 케이싱(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급기덕트(10)는 케이싱의 상부와 연통될 수 있다. 급기덕트(10)의 전면은 개방될 수 있다. 급기덕트(10)의 개방된 전면은 제2 토출구(12)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싱(20)으로부터 급기덕트(10)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제2 토출구(12)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The air supply duct 1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ing (20). The air supply duct 10 may communicate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The front of the air supply duct 10 may be opened. The open front side of the air supply duct 10 may form a second discharge port 12 . Accordingly, 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air supply duct 10 from the casing 20 may be supplied 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second outlet 12 .

토출덕트(30)는 케이싱(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덕트(30)는 케이싱(20)의 하부와 연통될 수 있다. 토출덕트(30)의 후면은 개방될 수 있다. 토출덕트(30)의 개방된 후면은 제1 토출구(32)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싱(20)으로부터 토출덕트(30)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제1 토출구(32)를 통해 실외 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도 6 참조)The discharge duct 30 may be disposed below the casing 20 . The discharge duct 30 may communicate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casing 20 . A rear surface of the discharge duct 30 may be opened. The open rear surface of the discharge duct 30 may form a first discharge port 32 . Accordingly,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duct 30 from the casing 2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door space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32 . (See Fig. 6)

케이싱(20)은 급기덕트(10)와 토출덕트(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20)은 내부는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casing 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air supply duct 10 and the discharge duct 30 . The casing 20 may be formed with a space in which indoor air and outdoor air flow.

케이싱(20)의 전면과 후면은 개방될 수 있다.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asing 20 may be opened.

케이싱(20)의 개방된 전면은 제1 흡기구(21)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공기가 제1 흡기구(21)를 통해 케이싱(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casing 20 may form a first intake port 21 . Accordingly, indoor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casing 20 through the first intake port 21 .

케이싱(20)의 개방된 후면은 제2 흡기구(23)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실외공기가 제2 흡기구(23)를 통해 케이싱(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3 참조)The opened rear surface of the casing 20 may form a second intake port 23 . Accordingly, outdoor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casing 20 through the second intake port 23 . (See Fig. 3)

휠(40)은 케이싱(20)의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배치될 수 있다. 휠(40)은 회전하며 케이싱(20) 내부를 유동하는 실내 공기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실외 공기로 열을 다시 전달하거나, 실외 공기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실내 공기로 열을 다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는 휠(40)을 통해 서로 열교환될 수 있다.The wheel 40 may be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casing 20 . The wheel 40 rotates and may receive heat from the indoor air flowing inside the casing 20 and transfer heat back to the outdoor air, or may receive heat from the outdoor air and transfer the heat back to the indoor air. Accordingly,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may exchange heat with each other through the wheel 40 .

모터(50)는 케이싱(2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모터(50)와, 휠(40)과 연결되고 모터(50)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회전축(46)은, 각각 벨트(51)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휠(40)은 모터(5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The motor 5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20 . The motor 50 and the rotation shaft 46 connected to the wheel 40 and spaced apart from the motor 5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elt 51 . Accordingly, the wheel 40 may rotate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motor 50 .

이하,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내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는 케이싱(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격벽(60), 케이싱(2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차단하는 필터(70) 및 실외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급기하는 송풍기(80)를 포함할 수 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2, the interior of th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a partition wall 60 installed inside the casing 20, a filter 70 that blocks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flowing into the casing 20, and outdoor air into the indoor space. It may include a blower 80 that does.

격벽(60)은 휠(4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격벽(60)은 케이싱(20)의 공간부를 실내공기가 유동하는 제1 챔버(C1) 및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제2 챔버(C2)로 구획할 수 있다. The partition wall 6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wheel 40 . The partition wall 60 may divide the space of the casing 20 into a first chamber C1 through which indoor air flows and a second chamber C2 through which outdoor air flows.

제1 챔버(C1)는 격벽(60)의 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챔버(C1)는 케이싱(20)의 제1 흡기구(21) 및 제1 개구부(22,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참조)The first chamber C1 may be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60 . The first chamber C1 may include a first intake port 21 and a first opening 22 (refer to FIG. 4 ) of the casing 20 . (See Fig. 4)

제2 챔버(C2)는 격벽(60)의 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챔버(C2)는 제2 흡기구(23) 및 제2 개구부(24, 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hamber C2 may be form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60 . The second chamber C2 may include a second intake port 23 and a second opening 24 (refer to FIG. 3 ).

필터(70)는 케이싱(20)의 제2 흡기구(23)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70)는 케이싱의 제2 흡기구(23) 뿐만 아니라, 제1 흡기구(21)에도 배치될 수 있다. 필터(70)는 케이싱(20) 내부로 유입되는 실내공기 및/또는 실외공기의 이물질을 차단하는 프리필터 일 수 있다.The filter 70 may be disposed at the second intake port 23 of the casing 20 . The filter 7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intake port 21 as well as the second intake port 23 of the casing. The filter 70 may be a pre-filter that blocks foreign substances from the indoor air and/or outdoor air flowing into the casing 20 .

송풍기(80)는 급기덕트(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송풍기(80)는 후술하는 급기덕트(10)의 절곡부(15, 도 5 참조)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급기덕트(10) 내부로 유입된 실외공기를 실내공간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blower 80 may be disposed inside the air supply duct 10 . Preferably, the blower 80 may be disposed in the bent portion 15 (refer to FIG. 5) of the air supply duct 10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air supply duct 10 can be supplied to the indoor space.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케이싱(20) 내의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의 유동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low of indoor air and outdoor air in the casing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실내공기는 케이싱(20)의 제1 흡기구(21)를 통해 제1 챔버(C1)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챔버(C1)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회전하는 휠(40)을 통과하며 휠(40)의 측벽(47)에 배치되는 열교환소자(48, 도 7 참조)와 열교환할 수 있다. 휠(40)을 통과한 실내공기는 케이싱(20)의 제1 개구부(22, 도 4 참조)를 통해 제1 챔버(C1)에서 토출덕트(30)로 유입될 수 있다. 토출덕트(30)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제1 토출구(32)를 통해 실외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Indoor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chamber C1 through the first intake port 21 of the casing 20 .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chamber C1 may pass through the rotating wheel 40 and exchange heat with the heat exchange element 48 (refer to FIG. 7 ) disposed on the side wall 47 of the wheel 40 . The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wheel 40 may be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duct 30 from the first chamber C1 through the first opening 22 (refer to FIG. 4 ) of the casing 20 .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duct 3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door space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32 .

실외공기는 케이싱(20)의 제2 흡기구(23)를 통해 제2 챔버(C2)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챔버(C2)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회전하는 휠(40)을 통과하며 휠(40)의 측벽(47)에 배치되는 열교환소자(48, 도 7 참조)와 열교환할 수 있다. 휠(40)을 통과한 실외공기는 케이싱(20)의 제2 개구부(24, 도 3 참조)를 통해 제2 챔버(C2)에서 급기덕트(10)로 유입될 수 있다. 급기덕트(10)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제2 토출구(12)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Outdoor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chamber C2 through the second intake port 23 of the casing 20 . 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chamber C2 may pass through the rotating wheel 40 and exchange heat with the heat exchange element 48 (refer to FIG. 7 ) disposed on the side wall 47 of the wheel 40 . The outdoor air passing through the wheel 40 may be introduced into the air supply duct 10 from the second chamber C2 through the second opening 24 of the casing 20 (refer to FIG. 3 ). 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air supply duct 10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second outlet 12 .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케이싱(20)의 구조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casing 20 of th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케이싱(20)은 휠(40) 및 격벽(60)이 수용되는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케이싱(20)의 상면은 분리되어 휠(40) 및 격벽(60)이 공간부에 배치된 후 공간부의 상측을 덮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20)은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될 수 있다. 개방된 전면은 실내공기가 케이싱(20) 내부로 흡입되는 제1 흡기구(21)를 형성하고, 개방된 후면은 실외공기가 케이싱(20) 내부로 흡입되는 제2 흡기구(23)를 형성할 수 있다. The casing 20 may form a space in which the wheel 40 and the partition wall 60 are accommodated.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20 may be separated to have a structure that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space after the wheel 40 and the partition wall 60 are disposed in the space. The casing 20 may have open front and rear surfaces. The open front may form a first intake port 21 through which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casing 20 , and the open rear may form a second intake port 23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sucked into the casing 20 . have.

케이싱(20)의 하면에는 제1 흡기구(21)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토출덕트(30)로 토출하는 제1 개구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부(22)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부(22)는 휠(40)의 단면의 절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opening 22 for discharging indoor air sucked in through the first intake port 21 to the discharge duct 3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sing 20 . The first opening 22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The first opening 22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half of a cross-section of the wheel 40 .

케이싱(20)의 상면에는 제2 흡기구(23)를 통해 흡입된 실외공기를 급기덕트(10)로 토출하는 제2 개구부(24)와, 회전축(46)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부(24)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부(24)는 휠(40)의 단면의 절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 second opening 24 for discharging outdoor air sucked in through the second intake port 23 to the air supply duct 10 and a hole into which the rotating shaft 46 is insert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20 . The second opening 24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The second opening 24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half of the cross-section of the wheel 40 .

제1 개구부(22)와 제2 개구부(24)는 격벽(60)을 기준으로 제1 개구부(22)는 격벽(60)의 전방, 제2 개구부(24)는 격벽(6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22 and the second opening 24 are formed at the front of the barrier rib 60 with respect to the barrier rib 60 , and the second opening 24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barrier 60 . can be

이하, 도 5 및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기덕트(10) 및 토출덕트(30)의 구조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air supply duct 10 and the discharge duc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급기덕트(10)는 케이싱(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케이싱(20)의 제2 개구부(24)와 연통되도록 케이싱(20)과 결합될 수 있다. 급기덕트(10)의 하면은 개방되어 케이싱(20)의 제2 개구부(24)와 연통되는 제2 연통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통구(11)는 제2 개구부(2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ir supply duct 1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ing 20 and coupled to the casing 2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opening 24 of the casing 20 .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supply duct 10 may be opened to form a second communication port 11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opening 24 of the casing 20 .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pening 24 .

급기덕트(10)의 전면은 개방되어 제2 토출구(12)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토출구(12)는 케이싱(20)의 제2 개구부(24)를 통하여 유입된 실외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싱(20)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는 제2 연통구(11)를 통해 급기덕트(10)로 유입되고, 급기덕트(10)로 유입된 실외 공기는 제2 토출구(12)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The front surface of the air supply duct 10 may be opened to form the second discharge port 12 . The second outlet 12 may supply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24 of the casing 20 to the indoor space. Therefore, 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casing 20 flows into the air supply duct 1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11 , and 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air supply duct 10 passes through the second outlet 12 . It can be supplied to the indoor space.

급기덕트(10)는 케이싱(20)의 제2 개구부(24)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13), 제1 연장부(13)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14) 및 제1 연장부(13)와 제2 연장부(14) 사이에 형성되는 절곡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덕트(10)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The air supply duct 10 includes a first extension part 13 extending upwardly from the second opening 24 of the casing 20 , and a second extension part 14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extension part 13 . ) and a bent part 15 form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13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4 may be included. The air supply duct 10 may be bent in a "L" shape.

급기덕트(10)의 절곡부(15)는 제1 연장부(13)와 제2 연장부(14)가 만나 형성되는 모서리에 해당하거나, 제1 연장부(13)와 제2 연장부(14) 사이에 형성되는 면에 해당할 수 있다. The bent part 15 of the air supply duct 10 corresponds to a corner formed by meeting the first extension part 13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4, or the first extension part 13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4 ) may correspond to the surface formed between

토출덕트(30)는 케이싱(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케이싱(20)의 제1 개구부(22)와 연통되도록 케이싱(20)과 결합될 수 있다. 토출덕트(30)의 상면 일부는 개방되어 케이싱(20)의 제1 개구부(22)와 연통되는 제1 연통구(3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통구(31)는 제1 개구부(2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duct 30 may be disposed under the casing 20 and coupled to the casing 2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opening 22 of the casing 20 .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duct 30 may be opened to form a first communication hole 31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opening 22 of the casing 20 .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3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22 .

토출덕트(30)의 후면은 개방되어 제1 토출구(32)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토출구(32)는 케이싱(20)의 제1 개구부(22)를 통하여 유입된 실내 공기를 실외 공간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케이싱(20) 내부로 유입된 실내 공기는 제1 개구부(22)를 통해 토출덕트(30)로 유입되고, 토출덕트(30)로 유입된 실내 공기는 제1 토출구(32)를 통해 실외 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The rear surface of the discharge duct 30 may be opened to form the first discharge port 32 . The first discharge port 32 may discharge the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opening 22 of the casing 20 to the outdoor space. Accordingly,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casing 20 is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duct 30 through the first opening 22 , and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duct 30 is outdoors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32 . can be discharged into space.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40)의 구조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wheel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휠(40)은 케이싱(20)의 제1,2 챔버(C1,C2) 내에 회전가능토록 배치될 수 있다. 휠(40)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회전식 전열교환기의 원판 형상의 휠과 비교하여, 케이싱의 모서리 부분을 낭비하지 않고 전부 사용할 수 있어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열교환면적이 늘어나 환기장치의 열교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The wheel 40 may be rotatably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C1 and C2 of the casing 20 . The wheel 40 has a hollow portion therein, and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refore, compared to the disk-shaped wheel of the conventional rotary total heat exchanger, the entire edge of the casing can be used without wasting, so that the heat exchange area between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is increased, and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of the ventilation device can be improved.

또한, 종래 회전식 전열교환기 대비 설치면적이 감소되어 창문과 같이 좁은 공간에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stallation area is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rotary total heat exchanger, it can be easily installed even in a narrow space such as a window.

휠(40)은 제1 림(41), 지지 프레임(42), 제2 림(43), 연결블록(44), 연결 프레임(45) 및 측벽(47)을 포함할 수 있다.The wheel 40 may include a first rim 41 , a support frame 42 , a second rim 43 , a connection block 44 , a connection frame 45 , and a side wall 47 .

휠(40)은 측벽(47)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림(41)과, 측벽(47)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림(43)을 포함할 수 있다.The wheel 40 may include a first rim 41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sidewall 47 and a second rim 43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sidewall 47 .

제1 림(41)은 제1 아우터림(41a) 및 제1 이너림(4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너림(41b)은 측벽(47)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 아우터림(41a)은 제1 이너림(41b)의 외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아우터림(41a)과 제1 이너림(41b)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공간에 측벽(47)이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rim 41 may include a first outer rim 41a and a first inner rim 41b. The first inner rim 41b may be disposed above the sidewall 47 , and the first outer rim 41a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inner rim 41b. Accordingly, a separation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outer rim 41a and the first inner rim 41b, and the sidewall 47 may be disposed in the separation space.

지지 프레임(42)은 회전축(46)이 삽입되는 축홀(42h)이 형성되고, 축홀(42h)에 회전축(46)의 일부가 삽입되어 지지 프레임(42)과 회전축(46)이 결합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42)은 축홀(42h)로부터 제1 림(41)을 향하여 연장되고, 제1 림(41)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46)과 휠(40)이 연결되어 모터(50)로부터 회전축(46)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휠(40)이 회전될 수 있다. The support frame 42 has a shaft hole 42h into which the rotation shaft 46 is inserted, and a part of the rotation shaft 46 is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42h so that the support frame 42 and the rotation shaft 46 can be coupled. . The support frame 42 may extend from the shaft hole 42h toward the first rim 41 and be connected to the first rim 41 . Accordingly, the rotation shaft 46 and the wheel 40 are connected, and the wheel 40 may be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motor 50 to the rotation shaft 46 .

제2 림(43)은 제2 아우터림(43a) 및 제2 이너림(4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너림(43b)은 측벽(47)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2 아우터림(43a)은 제2 이너림(43b)의 외측에 이격되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아우터림(43a)과 제2 이너림(43b)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이격공간에 측벽(47)이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rim 43 may include a second outer rim 43a and a second inner rim 43b. The second inner rim 43b may be disposed below the sidewall 47 , and the second outer rim 43a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inner rim 43b. Accordingly, a separation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outer rim 43a and the second inner rim 43b, and the side wall 47 may be disposed in the separation space.

연결블록(44)은 제2 아우터림(43a)과 제2 이너림(43b)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휠(40)의 회전 시, 제2 아우터림(43a)과 제2 이너림(43b)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nnection block 44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outer rim 43a and the second inner rim 43b, respectivel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 outer rim 43a and the second inner rim 43b from being separated when the wheel 40 is rotated.

연결 프레임(45)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측벽(47)의 외측에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45)은 제1 림(41)과 제2 림(43)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휠(40)의 회전 시, 제1 림(41)과 제2 림(43)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frame 45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arranged in plurality on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47 . The connection frame 45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rim 41 and the second rim 43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rim 41 and the second rim 43 from being separated when the wheel 40 is rotated.

측벽(47)은 제1 림(41)과 제2 림(4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측벽(47)은 제1 림(41) 및 제2 림(43)의 둘레방향으로 따라 연장되고, 휠(40)의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측벽(47)에는 제1 챔버(C1)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와 제2 챔버(C2)를 통과하는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소자(48)가 배치될 수 있다.The sidewall 47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rim 41 and the second rim 43 . The sidewall 47 may exten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rim 41 and the second rim 43 , and may form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40 . A heat exchange element 48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outdoor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chamber C1 and the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chamber C2 may be disposed on the side wall 47 .

열교환소자(48)는 실내 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실외 공기에게 전달하거나, 이와 반대로, 실외 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실외 공기에게 전달할 수 있다. 열교환소자(48)는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eat exchange element 48 may absorb heat from the indoor air and transfer it to the outdoor air or, conversely, absorb heat from the outdoor air and transfer it to the outdoor air. The heat exchange element 48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열교환소자(48)는 측벽(47)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환형상의 복수의 평판부(48a)와, 측벽(47)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절곡된 복수의 주름부(48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 exchange element 48 may include a plurality of annular flat plate portions 48a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idewall 47 and a plurality of wrinkle portions 48b continuously ben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idewall 47 . have.

복수의 평판부(48a)는 측벽(47)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서로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주름부(48b)는 복수의 평판부(48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평판부(48a)와 복수의 주름부(48b)는 교대로 적층되어 벌집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평판부(48a)와 복수의 주름부(48b) 사이에는 통공(48h)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는 통공(48h)을 통해 휠(40)을 통과하며 휠(40)과 열교환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lat plate portions 48a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idewall 47 and may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pleats 48b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lat portions 48a. The plurality of flat plate portions 48a and the plurality of corrugated portions 48b may be alternately stacked to form a honeycomb structure, and a through hole 48h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flat plate portions 48a and the plurality of corrugated portions 48b. can be formed. Accordingly, outdoor air and indoor air may pass through the wheel 40 through the through hole 48h and exchange heat with the wheel 40 .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벽(60)의 구조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partition wall 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

격벽(60)은 케이싱(20) 내에 배치되고, 휠(4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6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격벽(60)의 하단부는 케이싱(20)의 바닥면과 연결될 수 있다. The partition wall 60 may be disposed within the casing 20 and disposed inside the wheel 40 . The partition wall 60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wall 60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ing 20 .

격벽(60)은 어퍼 리세스(62), 미들 리세스(61) 및 로어 리세스(63)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60 may include an upper recess 62 , a middle recess 61 , and a lower recess 63 .

어퍼 리세스(62)는 격벽(60)의 상부 양측단 각각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어퍼 리세스(62)는 제1 이너림(41b)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The upper recess 62 may be recessed inward from each of the upper both ends of the partition wall 60 to form a step difference. Accordingly, the upper recess 62 may receive a portion of the first inner rim 41b.

미들 리세스(61)는 격벽(60)의 상부 중앙부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미들 리세스(61)는 어퍼 리세스(6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미들 리세스(61)는 회전축(46)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The middle recess 61 may be formed by being depressed downward from the upper central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60 . The middle recess 61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recess 62 . Accordingly, the middle recess 61 may receive a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46 .

로어 리세스(63)는 격벽(60)의 하부 양측단 각각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로어 리세스(63)는 제2 이너림(43b)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The lower recess 63 may be recessed inward from each of the lower both ends of the partition wall 60 to form a step difference. Accordingly, the lower recess 63 may receive a portion of the second inner rim 43b.

이에 따라, 격벽(60)은 휠(4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케이싱(20)의 내부공간을 실내공기가 유동하는 제1 챔버(C1)와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제2 챔버(C2)로 구획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artition wall 60 is form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wheel 40 ,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chamber C1 through which indoor air flows and the second chamber through which outdoor air flows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casing 20 . (C2) can be partition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급기덕트
20 : 케이싱
30 : 토출덕트
40 : 휠
50 : 모터
60 : 격벽
70 : 필터
80 : 송풍기
10: supply air duct
20: casing
30: discharge duct
40 : wheel
50: motor
60: bulkhead
70: filter
80: blower

Claims (13)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제1 흡기구와, 흡입된 실내공기가 토출되는 제1 개구부와,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제2 흡기구와, 흡입된 실외공기가 토출되는 제2 개구부가 각각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제1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하여 유입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토출시키는 제1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덕트와;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싱을 상기 제1 흡기구와 제1 개구부가 포함된 제1 챔버와, 상기 제2 흡기구와 상기 제2 개구부가 포함된 제2 챔버로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제1,2 챔버 내에 회전가능토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챔버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와 상기 제2 챔버를 통과하는 실외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소자가 측벽에 배치되는 휠; 및
상기 휠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A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 first intake port through which indoor air is sucked, a first opening through which the suctioned indoor air is discharged, a second intake port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sucked, and a second opening through which the suctioned outdoor air is discharged. each formed casing;
a discharge duct coupled to the casing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opening and having a first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opening to the outside;
a partition wall disposed in the casing to partition the casing into a first chamber including the first intake port and the first opening and a second chamber including the second intake port and the second opening;
a wheel rotatably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and having a heat exchange element disposed on a sidewall for exchanging heat between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chamber and outdoor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chamber; and
Ventilation device including a motor for rotating the whe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하여 유입된 실외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제2 토출구가 형성된 급기덕트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ir supply duct coupled to the casing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opening and having a second outlet for discharging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into a roo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덕트는,
상기 케이싱의 제2 개구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 사이에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ir supply duct is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second opening of the casing;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extension; and
Ventilation including a bent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and the second extension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에 배치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Ventilation device including a blower disposed in the ben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과 연결되고, 상기 모터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각각 연결되는 벨트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ventilator comprising a belt connected to the wheel, including a rotating shaft spaced apart from the motor, and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motor and the rotating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상기 측벽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림과, 상기 측벽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림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은,
상기 제1 림 및 제2 림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환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heel is
a first rim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sidewall, and a second rim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sidewall,
The side wall is
A ventilation device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rim and the second ri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림은,
상기 측벽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이너림과 상기 제1 이너림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제1 아우터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림은,
상기 측벽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이너림과 상기 제2 이너림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제2 아우터림을 포함하는 환기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rim is
a first inner rim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wall and a first outer rim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ner rim,
The second rim is
A ventilation device comprising a second inner rim disposed below the side wall and a second outer rim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inner ri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휠과 연결되고, 상기 모터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축홀이 형성되고, 상기 축홀로부터 상기 제1 림을 향하여 연장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환기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A ventilator comprising a support frame connected to the wheel, including a rotation shaft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otor, a shaft hole into which the rotation shaft is inserted, and a support frame extending from the shaft hole toward the first ri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우터림과, 상기 제2 이너림에 각각 연결되는 고정블록을 포함하는 환기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outer rim and the ventilation device comprising a fixing block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inner rim.
제7항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림과, 상기 제2 림과 각각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환기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Ventilation device including a connecting fram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first rim and the second rim,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소자는,
상기 측벽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서로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평판부와;
상기 복수의 평판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주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평판부와 상기 복수의 주름부 사이에 통공이 형성되는 환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 exchange element,
a plurality of flat plates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sidewall and disposed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ncludes a plurality of wrinkle portion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lat portions,
A ventilation device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flat parts and the plurality of wrinkle par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부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는 어퍼 리세스;
상기 어퍼 리세스의 사이에 형성되는 미들 리세스; 및
하부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는 로어 리세스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artition wall is
Upper recesses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portion;
a middle recess formed between the upper recesses; and
Ventilation device including lower recesses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제2 흡기구에 설치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According to claim 1,
Ventilation device including a filter installed in the second intake port of the casing.
KR1020200165272A 2020-12-01 2020-12-01 A ventilation apparatus KR2022007660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272A KR20220076608A (en) 2020-12-01 2020-12-01 A ventil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272A KR20220076608A (en) 2020-12-01 2020-12-01 A ventilation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608A true KR20220076608A (en) 2022-06-08

Family

ID=81981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272A KR20220076608A (en) 2020-12-01 2020-12-01 A ventila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660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954B1 (en) Ventilating system having a multi-function heat exchanger and method thereof
US20050269057A1 (en) Ventilator
KR20170094982A (en) Purification type heat exchanger having the part for preventing dew condensation
KR101416726B1 (en) Rotary Type Heat Exchanger
CN100374791C (en) Heat exchanging system of ventilating equipment
KR101207947B1 (en) Apparatus for dehumidifying and cooling air
KR20220076608A (en) A ventilation apparatus
KR20180051139A (en) Total heat exchanger
CN215892599U (en) Humidity regulator
KR102189251B1 (en) Rotary heat exchanger
KR100503674B1 (en) Drum type heat exchanger
CN114484596A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KR200354000Y1 (en) Heat transfer type heat exchanger
KR200184583Y1 (en) A dry type dehumidfying air-conditioner of a larger capacity
CN213747012U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CN213747013U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KR200349142Y1 (en) Heat exchanger
EP2116781B1 (en) Dehumidifier
KR200260523Y1 (en) Ventilation equipment
CN213747011U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KR101155253B1 (en) Ventilation device
KR200274979Y1 (en) Fixed heat exchanging ventilation device unioned with window
KR200306514Y1 (en) Ventilation equipment
WO2023042626A1 (en) Air conditioner
KR100620029B1 (en) Heat exchanging system of ventil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