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141A - Automatic live food feeder - Google Patents

Automatic live food fee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141A
KR20220076141A KR1020200164990A KR20200164990A KR20220076141A KR 20220076141 A KR20220076141 A KR 20220076141A KR 1020200164990 A KR1020200164990 A KR 1020200164990A KR 20200164990 A KR20200164990 A KR 20200164990A KR 20220076141 A KR20220076141 A KR 20220076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ole
bar
liv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9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지안
Original Assignee
정지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안 filed Critical 정지안
Priority to KR1020200164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6141A/en
Publication of KR20220076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14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생먹이 자동급여기(9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생먹이(F)가 수납되는 쟁반(100)과, 상기 쟁반(100)에 고정되어 세워지는 폴(200, pole)과, 상기 폴(20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생먹이(F)가 수용되는 수용부(300)와, 상기 폴(200)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부(300)에 수납된 생먹이(F)를 배출시키는 배출부(4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신선하고 정량인 생먹이(F)를 자동으로 원활하게 반려동물에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automatic feed feeder 9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A tray 100 in which the raw food F is accommodated, a pole 200 fixed to the tray 100 and erected, and a receiving part in which the raw food F is accommodated as being mounted on the pole 200 ( 300) and a discharge unit 400 mounted on the pole 200 to discharge the raw food F stored in the receiving unit 300.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automatically and smoothly supplying fresh and quantitative raw food (F) to companion animals.

Description

생먹이 자동급여기{Automatic live food feeder}Automatic live food feeder

본 발명은 생먹이 자동급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반려동물에게 생먹이를 손상되지 않고 살아 있는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먹이 자동급여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eeder for live fo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feeder for live fe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supply raw food to companion animals in a live state.

최근들어 실내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이 새로운 문화로 자리잡으면서 개나 고양이에 국한되지 않고, 뱀, 도마뱀, 거북이 등의 파충류에까지 반려동물의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keeping companion animals indoors has become a new culture, the scope of companion animals is not limited to dogs and cats, but also reptiles such as snakes, lizards, and turtles.

이러한 반려동물들을 건강하게 제수명대로 살도록 하기 위해서는 먹이를 제때 정량으로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선행기술문헌에서는 자동으로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공급장치가 제시되고 있는데,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order to keep these companion animals healthy and living their life span, it is necessary to supply them with the right amount of food at the right time. To this end, in the prior art literature, a feed supplying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feed has been proposed.

사료를 수납하는 호퍼가 구성되고, 사료가 배출되는 호퍼의 하부에는 수평으로 배출관이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에는 스크류관이 내장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크류관에는 모터가 연결되어 구성된다.A hopper for accommodating the feed is configured, a discharge pipe is horizontally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opper from which the feed is discharged, a screw pipe is embedded in the discharge pipe to rotate, and a motor is connected to the screw pipe to be configured.

따라서, 상기 모터에 의해서 상기 스크류관이 회전하게 되면 사료가 배출관을 통해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출관에 충전된 사료가 비워질적마다 상기 호퍼에 충전된 사료는 중력에 의해서 배출관으로 집중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screw tube is rotated by the motor, the feed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tube. At this time, whenever the feed filled in the discharge pipe is emptied, the feed filled in the hopper is concentrated into the discharge pipe by gravity.

그런데, 이러한 사료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feed supply device had the following problems.

파충류 등의 반려동물은 가축화가 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벌레 등의 생먹이(live food)을 주로 사료로 먹는다. 즉, 습성상 살아서 꿈틀대는 먹이를 좋아한다. 따라서, 이러한 생먹이를 상기 사료공급장치에 채우고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회전수로 모터가 회전하도록 하면 정량의 생먹이를 제시간에 공급할 수는 있다. 그러나, 상기 생먹이는 살아있는 생명체이기 때문에 상기 호퍼 내부 채울 경우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하고 산소 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아서 죽는 경우가 비일미재하다. 또한, 다수의 생먹이가 상기 배출관에 채워진 상태에서 스크류가 회전하게 되면 생먹이끼리 비벼지고 배출관의 내측면에 마찰되면서 손상되어 쉽게 죽게 된다. 따라서, 파충류 등의 반려동물에게 제대로 살아있는 신선한 생먹이를 공급할 수 없게 되고, 사료공급장치 내부에서는 죽은 생먹이가 부패하게 되어 악취가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Since companion animals such as reptiles are not domesticated, they mainly eat live food such as insects as feed. In other words, it likes live and wriggling prey by its habit. Therefore, if such raw food is filled in the feed supply device and the motor rotates at a predetermined number of rotations at a predetermined time, it is possible to supply a fixed amount of live food in a timely manner. However, since the live food is a living organism, when the hopper is filled, the movable space is narrow and the case of death due to insufficient oxygen supply is rare. In addition, when the screw rotates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live feed is filled in the discharge pipe, the live feed rubs against each other and rubs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to be damaged and die easily.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properly supply fresh live food to companion animals such as reptiles, and there is a serious problem in that the dead live food decays inside the feed supply device and a bad odor is generated.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41309호(2001년 07월 24일)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41309 (July 24, 2001)

본 발명에 의한 생먹이 자동급여기를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The problems to be solved through the automatic feeding machine for live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생먹이가 장시간 신선하게 보존될 수 있도록, 각각의 생먹이가 활동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 및 산소 공급이 가능하며, 손상되지 않고 살아있는 상태의 생먹이를 파충류와 같은 반려동물에게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To ensure that live food can be kept fresh for a long time, it is possible to provide sufficient space and oxygen supply for each live food, and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can smoothly provide live food without damage to companion animals such as reptiles. do.

본 발명에 의한 생먹이 자동급여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utomatic feeding machine for live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생먹이가 수납되는 쟁반과, 상기 쟁반에 고정되어 세워지는 폴(pole)과, 상기 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생먹이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폴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납된 생먹이를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한다.A tray for accommodating live food, a pole fixed to the tray and erected, a receiving part mounted on the pole to receive live food, and a discharge for discharging the raw food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art by being mounted on the pole includes wealth.

상기 수용부는, 하방으로 개방되고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 직방형의 박스와, 상기 박스의 하단 좌우측에 형성되고 상호 대향하는 ㄱ형의 앵글과, 양측의 상기 앵글에 삽입되어 상기 박스의 하부를 가리는 판상으로서 상기 폴에 장착되는 덮개를 포함한다. The accommodating part includes a rectangular box that is opened downward and formed long in the front and rear, a L-shaped angl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box and facing each other, and inserted into the angles on both sides to cover the lower part of the box. Includes a cover that mounts to the pole.

또한, 상기 박스는 내부에 전후방으로 배열된 칸막이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박스를 전방으로 밀어내므로 상기 박스 내부를 하방으로 개방시키는 구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ox includes partitions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inside, and the discharge unit pushes the box forward so as to open the inside of the box downward.

상기 배출부는, 상기 폴에서 상기 박스에 대응되는 부분에 전후방으로 개방된 안내홀과, 상기 안내홀에 끼워지므로 상기 박스에 대응되는 바(bar)와, 상기 폴에 장착되어 상기 바를 밀어내는 구동부를 포함한다.The discharge unit includes a guide hole that is opened front and rear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ox in the pole, a bar corresponding to the box because it is fitted into the guide hole, and a driving unit mounted on the pole to push the bar include

상기 구동부는, 상기 폴에서 상기 박스의 반대면에 연결되고 상기 안내홀의 측방에 배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회전축이 상기 바의 상부에 대층되는 서보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바의 상면에 밀착되는 롤(roll)을 포함한다.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support plate connected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box in the pole and disposed on the side of the guide hole, a servomotor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having a rotation shaft stacked on top of the bar, and fixed to the rotation shaft and a roll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r.

본 발명에 의한 생먹이 자동급여기는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The automatic feeding machine for live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 solution.

상기 박스 내부의 구획된 공간에 적정량의 생먹이를 수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생먹이(F)들은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산소가 원활하게 공급되므로 신선하게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정해진 시간에 박스가 한 칸씩 개방되므로 신선하고 정량인 생먹이를 자동으로 원활하게 반려동물에게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배경기술처럼 다량의 생먹이가 죽어서 부패하는 심각한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ince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an appropriate amount of live food in the compartmentalized space inside the box, the live food F can be stored fresh for a long time because a space is secured and oxygen is smoothly supplied. In this state, the boxes are opened one by one at a set time, so fresh and quantitative raw food can be automatically and smoothly supplied to companion animals.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liminate the serious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live food dies and decays as in the background ar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생먹이 자동급여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생먹이 자동급여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생먹이 자동급여기에 장착되는 수용부를 하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하여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feeding machine for live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feeding machine for live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ceiving unit mounted on the automatic feeding machine for raw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lower portion facing the upper portion.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ology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or alternatives of th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are included.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like components.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used in this document may modify various elements regardless of order and/or importance, and in order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It is used only and does not limit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For example, 'first part' and 'second part' may represent different parts regardless of order or importance.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named as a first component.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In addition, terms used in this document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not be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other embodiments. The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s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described in this document. Among 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terms defined in a general dictionary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or similar meaning as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document,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is not interpreted as In some cases, even terms defined in this document cannot be construed to exclu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생먹이 자동급여기(90)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tomatic feeder for live feed 90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will be describe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생먹이 자동급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생먹이 자동급여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생먹이 자동급여기에 장착되는 수용부를 하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feeder for live fe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utomatic feeder for live fe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n facing upward.

살아있는 벌레 등의 생먹이(F)가 수납되는 쟁반(100)이 구성되고, 상기 쟁반(100)에 고정되어 세워지는 폴(200, pole)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폴(20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생먹이(F)가 수용되는 수용부(300)가 구성되며, 상기 폴(200)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부(300)에 수납된 생먹이(F)를 배출시키는 배출부(400)가 구성된다.A tray 100 in which live food F such as live insects is accommodated is configured, and a pole 200 fixed to the tray 100 and erected is configured. In addition, as being mounted on the pole 200 , the receiving part 300 for accommodating the raw food F is configured, and it is mounted on the pole 200 to discharge the raw food F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300 . The discharge unit 400 is configured.

상기 폴(200)은 도 2에서처럼 전면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호 대향하며 내측으로 개방된 ㄱ 형상의 앵글(21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앵글(210)은 위에서 봤을 때 상호 내측을 향하여 ㄱ 형상으로 절곡된 것이다. The pole 200 is disposed on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2 , opposite to each other, and an A-shaped angle 210 open to the inside is formed. That is, when viewed from above, the angle 210 is bent in an A-shape toward each other.

상기 수용부(300)의 구성을 도 3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configuration of the accommodating part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s follows.

하방으로 개방되고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 직방형의 박스(310)가 구성되고, 상기 박스(310)의 하단 좌우측에 형성되고 상호 대향하는 ㄱ형의 앵글(311)이 구성된다. 상기 앵글(311)은 내측으로 절곡된 ㄱ형이다. A rectangular box 310 that is opened downward and formed long in the front and rear is configured, and is formed in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x 310 and is formed with a mutually opposing L-shaped angle 311 is configured. The angle 311 is bent inwardly in the shape of a.

또한, 양측의 상기 앵글(311)에 삽입되어 상기 박스(310)의 하부를 가리는 판상으로서 상기 폴(200)에 장착되는 덮개(340)가 구성된다. 폴(200)에 장착되기 위해서, 즉 상기 앵글(210)에 삽입되기 위해서, 하방으로 절곡된 삽입부(345)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cover 340 that is inserted into the angle 311 on both sides to cover the lower portion of the box 310 and is mounted on the pole 200 is configured. In order to be mounted on the pole 200 , that is, to be inserted into the angle 210 , an insertion part 345 bent downward is formed.

또한, 상기 박스(310)는 내부에 전후방으로 배열된 칸막이(313)가 형성되므로 구획된 공간이 전후방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생먹이(F)의 수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box 310 has partitions 313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rein, so that the partitioned space is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the raw food (F).

또한, 상기 박스(310)에는 공기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생먹이(F)에게 원활한 산소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In addition, an air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box 310 to enable smooth oxygen supply to the live food F accommodated therein.

상기 배출부(400)의 구성을 도 1 및 도 2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configuration of the discharge unit 4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상기 배출부(400)는 상기 박스(310)를 전방으로 밀어내므로 상기 박스(310) 내부를 하방으로 개방시키도록 구성된다. The discharge unit 400 is configured to open the inside of the box 310 downward since it pushes the box 310 forward.

이를 위해서 상기 폴(200)에서 상기 박스(310)에 대응되는 부분에 전후방으로 개방된 안내홀(410)이 구성되고, 상기 안내홀(410)에 끼워지므로 상기 박스(310)에 대응되는 바(420, bar)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폴(200)에 장착되어 상기 바(420)를 밀어내는 구동부(430)가 구성된다. 상기 바(420)는 안내홀(4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앵글(210)에 장착된 덮개(34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구성하므로 바(420)가 이송할 때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으로 안정되게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o this end, a guide hole 410 that is open front and rear is configur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ox 310 in the pole 200, and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410, so that the bar corresponding to the box 310 ( 420, bar) is configured. In addition, a driving unit 430 mounted on the pole 200 to push the bar 420 is configured. Since the bar 420 is configured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340 mounted on the angle 21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410 , the bar 420 is horizontally stably transported without being inclined when transported. configured to do so.

상기 구동부(430)의 구성을 도 1 및 도 2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unit 4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상기 구동부(430)는 상기 폴(200)에서 상기 박스(310)의 반대면에 연결되고 상기 안내홀(410)의 측방에 배치되는 지지판(431)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431)의 외측면(432)에 고정되어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이 상기 바(420)의 상부에 대층되는 서보모터(433)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바(420)의 상면에 밀착되는 롤(435, roll)이 구성된다.The driving unit 430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box 310 in the pole 200 and includes a support plate 431 disposed on the side of the guide hole 410 . In addition, a servomotor 433 fixed to the outer surface 432 of the support plate 431 and having a rotating shaft (not shown) stacked on top of the bar 420 is configured, and fixed to the rotating shaft, the bar ( A roll 435 (roll)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420 is configured.

또한, 상기 서보모터(433)가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횟수만큼만 회전하도록 하므로 정해진 시간에 상기 박스(310)가 한 칸씩만 이동하도록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시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타이머(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에 작동시간을 입력하는 입력부(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된다. 따라서, 입력부에 알람처럼 시간을 설정해 두면 제어부가 데이터로부터 시간 데이터를 전송받으면서 시간을 체크하다가 설정 시간이 되면 상기 서보모터(433)에 전원을 인가하여 정해진 횟수만큼 회전하도록 한다. 이렇게 해서 매번 서보모터(433)가 작동할 때마다 박스(310)는 한 칸씩 이동하도록 하므로 한 칸씩 개방되도록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servomotor 433 rotates onl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t a predetermined time, 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controls power so that the box 310 moves only one space at a predetermined time is configured. In addition, a timer (not shown) for transmitting time data to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and an input unit (not shown) for inputting an operation time to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herefore, if a time is set in the input unit like an alarm, the control unit checks the time while receiving time data from the data. When the set time comes, power is applied to the servo motor 433 to rotate the servo motor 433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this way, each time the servomotor 433 operates, the box 310 moves one by one, so that it is opened one by one.

이상,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한 생먹이 자동급여기(90)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automatic feed feeder 9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as follows.

먼저, 도 3에서처럼 상기 덮개(340)를 후방으로 당겨서 상기 박스(310)의 내부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칸막이(313)로 구획된 공간에 생먹이(F)를 수용시킨다. 이때, 생먹이(F)의 활동 공간이 충분하도록 투입 수량을 감안한다. 따라서, 생먹이(F)들의 움직임이 가능하고 상기 공기구멍(도시하지 않음)으로 산소가 원활하게 공급되므로 생먹이(F)들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3 , the inside of the box 310 is opened by pulling the cover 340 backward. Then, the live feed (F)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313). At this time, the input quantity is taken into account so that the active space of the live food F is sufficient.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live prey (F) is possible and oxygen is smoothly supplied to the air hole (not shown), so that the live prey (F) can be kept fresh.

이렇게 생먹이(F)를 수용시킨 후 상기 덮개(340)를 전방으로 밀어서 각각의 공간이 커버되도록 한다.After accommodating the raw food F in this way, the cover 340 is pushed forward so that each space is covered.

다음으로, 상기 수용부(300)를 뒤집어서 덮개(340)가 하방을 향하도록 한 후, 상기 삽입부(345)가 상기 폴(200)의 앵글(210)에 상방에서 하방으로 끼워지도록 한다. Next, after turning over the accommodating part 300 so that the cover 340 faces downward, the insertion part 345 is inserted into the angle 210 of the pole 200 from the top to the bottom.

다음으로, 상기 바(420, bar)가 상기 구동부(430) 쪽에서 상기 안내홀(410)로 끼워지도록 하여 박스(310)에 대응되도록 한다.Next, the bar 420 (bar)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410 from the driving unit 430 side to correspond to the box 310 .

다음으로, 상기 입력부(도시하지 않음)에 시간을 설정하고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전원을 인가한다. 그러면, 제어부가 타이머(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시간 데이터를 전송받으면서 시간을 체크하다가 설정 시간이 되면 상기 서보모터(433)에 전원을 인가하여 설정된 횟수만큼만 회전하도록 한 후 전원을 오프(off)시킨다. 그러면, 상기 롤(435)이 정해진 횟수만큼 회전하게 되어 상기 바(420)는 설정된 만큼 이송하게 되므로 상기 박스(310)는 한 칸만 이송하게 된다. 이때, 바(420)는 상기 덮개(340)의 상면에 안착되어 이송하게 되므로 기울어지지 안고 안정되게 이송할 수 있다. Next, a time is set in the input unit (not shown) and power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Then, the control unit checks the time while receiving time data from a timer (not shown). When the set time comes, the control unit applies power to the servomotor 433 to rotate only a set number of times, and then turns off the power. Then, the roll 435 is rota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the bar 420 is transferred as much as the set amount, so that only one box 310 is transferred. At this time, since the bar 420 is transported by being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340, it can be stably transported without being inclined.

그러면 상기 덮개(340)가 폴(200)에 장착된 상태이므로 박스(310)의 내부가 한 칸만 개방되고, 내부에 들었던 생먹이(F)가 하방으로 떨어져서 상기 쟁반(100)에 수납된다. 이런 식으로 설정된 시간이 되면 박스(310)가 한 칸씩 이송하므로 정해진 시간에 정량의 생먹이(F)가 쟁반(100)에 수납된다. 이후에 파충류 등의 반려동물이 상기 쟁반(100)으로 와서 생먹이(F)를 먹는다.Then, since the cover 340 is mounted on the pole 200 , only one compartment is opened inside the box 310 , and the raw food F contained therein falls downward and is accommodated in the tray 100 . When the time set in this way comes, the box 310 is transported one by one, so that a fixed amount of raw food F is accommodated in the tray 100 at a predetermined time. Afterwards, companion animals such as reptiles come to the tray 100 and eat raw food F.

이상,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하면, 박스(310) 내부의 구획된 공간에 적정량의 생먹이(F)를 수용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생먹이(F)들은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산소가 원활하게 공급되므로 신선하게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정해진 시간에 박스(310)가 한 칸씩 개방되므로 신선하고 정량인 생먹이(F)를 자동으로 원활하게 반려동물에게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배경기술처럼 다량의 생먹이가 죽어서 부패하는 심각한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an appropriate amount of raw food (F) in the partitioned space inside the box (310). In this state, live food (F) can be stored fresh for a long time because a space for activity is secured and oxygen is smoothly supplied. In this state, since the box 310 is opened one by one at a predetermined time, fresh and quantitative raw food F can be automatically and smoothly supplied to the companion animal.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liminate the serious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live food dies and decays as in the background art.

90: 생먹이 자동급여기 100: 쟁반
200: 폴(pole) 210: 앵글
300: 수용부 310: 박스
311: 앵글 313: 칸막이
340: 덮개 345: 삽입부
400: 배출부 410: 안내홀
420: 바(bar) 430: 구동부
431: 지지판 432: 외측면
433: 서보모터 435: 롤
90: live feed automatic feeding machine 100: tray
200: pole 210: angle
300: receiving unit 310: box
311: angle 313: partition
340: cover 345: insert
400: discharge unit 410: guide hole
420: bar (bar) 430: driving unit
431: support plate 432: outer surface
433: servomotor 435: roll

Claims (4)

생먹이(F)가 수납되는 쟁반(100)과,
상기 쟁반(100)에 고정되어 세워지는 폴(200, pole)과,
상기 폴(20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생먹이(F)가 수용되는 수용부(300)와,
상기 폴(200)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부(300)에 수납된 생먹이(F)를 배출시키는 배출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먹이 자동급여기.
A tray 100 in which raw food (F) is stored, and
A pole (200, pole) fixed to the tray (100) and erected;
A receiving part 300 in which raw food (F) is accommodated as being mounted on the pole 200;
The automatic feeding machine for live feed, which is mounted on the pole (200) and includes a discharge unit (400) for discharging the live feed (F) stored in the receiving unit (3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300)는,
하방으로 개방되고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 직방형의 박스(310)와,
상기 박스(310)의 하단 좌우측에 형성되고 상호 대향하는 ㄱ형의 앵글(311)과,
양측의 상기 앵글(311)에 삽입되어 상기 박스(310)의 하부를 가리는 판상으로서 상기 폴(200)에 장착되는 덮개(340)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310)는 내부에 전후방으로 배열된 칸막이(313)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400)는 상기 박스(310)를 전방으로 밀어내므로 상기 박스(310) 내부를 하방으로 개방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먹이 자동급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accommodating part 300,
A rectangular box 310 that is opened downward and formed long in the front and rear, and
A-shaped angles 311 formed on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x 310 and facing each other,
It is inserted into the angle 311 on both sides to cover the lower portion of the box 310 and includes a cover 340 mounted on the pole 200,
The box 310 includes a partition 313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inside,
The discharge unit 400 pushes the box 310 forward, so that the inside of the box 310 is opened downwar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400)는,
상기 폴(200)에서 상기 박스(310)에 대응되는 부분에 전후방으로 개방된 안내홀(410)과,
상기 안내홀(410)에 끼워지므로 상기 박스(310)에 대응되는 바(420, bar)와,
상기 폴(200)에 장착되어 상기 바(420)를 밀어내는 구동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먹이 자동급여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ischarge unit 400,
In the pole 200, a guide hole 410 opened forward and backwar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ox 310,
Since it is fitted into the guide hole 410, a bar 420, bar corresponding to the box 310, and
Automatic feeding machine for live fo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unted on the pole (200) and comprises a driving unit (430) for pushing the bar (42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30)는,
상기 폴(200)에서 상기 박스(310)의 반대면에 연결되고 상기 안내홀(410)의 측방에 배치되는 지지판(431)과,
상기 지지판(431)의 외측면(432)에 고정되어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이 상기 바(420)의 상부에 대층되는 서보모터(433)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바(420)의 상면에 밀착되는 롤(435, rol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먹이 자동급여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riving unit 430 is
a support plate 431 connected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box 310 in the pole 200 and disposed on the side of the guide hole 410;
A servo motor 433 fixed to the outer surface 432 of the support plate 431 and having a rotating shaft (not shown) stacked on top of the bar 420,
The automatic feeding machine for live fo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ll (435, roll) fixed to the rotation shaft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r (420).
KR1020200164990A 2020-11-30 2020-11-30 Automatic live food feeder KR2022007614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990A KR20220076141A (en) 2020-11-30 2020-11-30 Automatic live food fee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990A KR20220076141A (en) 2020-11-30 2020-11-30 Automatic live food fee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141A true KR20220076141A (en) 2022-06-08

Family

ID=81980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990A KR20220076141A (en) 2020-11-30 2020-11-30 Automatic live food fee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614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309Y1 (en) 2001-02-22 2001-10-06 (주)거화테크 Pet automatic feed suppli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309Y1 (en) 2001-02-22 2001-10-06 (주)거화테크 Pet automatic feed suppl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95437B1 (en) Breeding system for crawling insects
EP2345324B1 (en) Feeder
RU2737148C2 (en) Method for hatching chicken feeding in climatic chamber
EP1704776A1 (en) A feeder and a feeding method protecting feedstuff from moisture
KR20220076141A (en) Automatic live food feeder
KR100349088B1 (en) A automatic supplier of feedstuff
DE60212287T2 (en) Arrangement for automatically feeding a quantity of feed to a dairy animal in a given period of time
CA1323255C (en) Breeding cage for small animal and breeding of small animal using the same
KR102624008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mount of feed
KR20170075217A (en) Provender provision construct for domestic animals
CN206150157U (en) Automatic feed and eat novel chicken coop of feeding water
JPH0588253U (en) Automatic feeding machine for small animals
KR20230169617A (en) automatic live food feeding apparatus
KR100351117B1 (en) Provender prdvision construct for domestic animals
KR200379554Y1 (en) A pet feedbox
KR101626815B1 (en) Balancer meal feeder of cage apartment type
KR200198808Y1 (en) Provender provision construct for domestic animals
KR20230155265A (en)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mount of feed possibly supplying fresh feed
KR200461529Y1 (en) Farm of domestic fowls
CN212184651U (en) Automatic pig house feed and drinking water supply system
CN217790931U (en) Trunk type automatic feeding tank for large-scale pig farm
CN215224038U (en) Novel comprehensive rice and fish culture box
KR200226959Y1 (en) A forage auto-discharge apparatus
KR20100020058A (en) A weaning diet automatic supply machin
CN211091249U (en) Poultry is with automatic device of eating of fee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