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5824A - 항 바이러스 물질 흡착 소성패각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 바이러스 물질 흡착 소성패각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5824A
KR20220075824A KR1020200164340A KR20200164340A KR20220075824A KR 20220075824 A KR20220075824 A KR 20220075824A KR 1020200164340 A KR1020200164340 A KR 1020200164340A KR 20200164340 A KR20200164340 A KR 20200164340A KR 20220075824 A KR20220075824 A KR 20220075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viral
shell
extract
finely pulverized
calc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자
황목찬
Original Assignee
(주)디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마인 filed Critical (주)디마인
Priority to KR1020200164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5824A/ko
Publication of KR20220075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82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6Aluminium; Calcium; Magnesium; Compound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이나 환경에 좋고 무해한 것이며, 폐기물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일환으로서 풍부하게 얻을 수 있는 항바이러스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패각 또는 패각을 거칠게 부순 소성 및 분쇄해 얻을 수 있는 미세소성분쇄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제이며, 특히 상기 미세소성분쇄물의 체적 평균 입경이 15㎛이하이며, 특히 상기 패각이 굴 패각인 항바이러스제에 의해 과제를 해결했다.
또한 본 발명은 패각을 소성시킬 경우 다공질구조를 갖게 되고 그 표면에 양전하, 음전하를 띤다는 것을 알게 되어, 소성 패각에 항바이러스 물질 또는 이온화된 항바이러스 물질을 흡착시켜 고농도의 항바이러스 유효물질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을 제공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항 바이러스 물질 흡착 소성패각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Disinfectant composition containing a calcined shell adsorbing antiviral substances}
본 발명은, 패각을 원료로 하는 항바이러스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패각 또는 패각을 거칠게 부순 것을 소성 및 분쇄해 얻을 수 있는 미세소성분쇄물을 함유 하는 항바이러스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해안을 중심으로 다양한 종류의 패류(貝類)가 생산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굴, 바지락, 꼬막, 대합, 홍합 등이 있으며, 이는 다양한 방법으로 채취 및 가공 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패류는 실제로 소비되는 육질에 비해 껍질인 패각(貝殼)의 부피가 큰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폐기물이 대량으로 발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굴을 제외한 나머지 패각류의 폐기물들은 일반쓰레기로 분류되어 폐기되며 대부분 육질 채취 작업이 진행되는 수산시장, 마트 및 가정에서 주로 발생되고 있다. 그러나 굴의 경우에는 전국 생산량의 80 %가 통영과 고성 지역에 집중되어 있고, 대부분 껍질이 제거된 상태로 출하되어 판매된다. 굴은 채취됨과 동시에 양식장 주변에 위치한 박신장(굴의 껍데기를 제거하는 작업장)에서 육질과 패각을 분류하기 때문에 패각 생산지에서 굴 패각 폐기물이 집중적으로 발생된다.
최근 이 폐기물의 유효 이용의 관점으로부터, 굴 패각의 소성분말의 수현탁액의 항균 작용이 주목받고 있다. 예컨대, 굴 패각의 소성분말 수현탁액이, 대장균, 황색 포도상구균 및 고초균에 항균성을 나타내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상기 현탁액이 진균류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MRSA), 비브리오속 세균 등에도 항균성이 있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한편, 2019년 부터 유행이 시작된 SARS-CoV-2(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는 2019년에 처음 알려진 급성 중증 호흡기 질환 코로나바이러스 2로써 양성 방향의 단일 사슬 RNA 바이러스(positive-sense single-stranded RNA virus)로 분류된다. 이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된 질환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ronavirus disease 2019)로 명명하였으며, 줄여서 COVID-19라고 부르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Coronavirus pandemic)을 공식 발표하였다.
소성 패각에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다는 것은 알려져 있었으나, COVID-19의 대유행으로 항바이러스 효과가 개선된 소독제, 소독용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0001)한국 등록특허 제10-1839523호 0002)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016009호 0003)한국 등록특허 제10-1734353호 0004)한국 공개특허 제10-2020-0121707호
본 발명은 상기 배경 기술을 감안한 것으로, 그 과제는 사람이나 환경에 좋고 무해한 것이며, 게다가 폐기물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일환으로서 풍부하게 얻을 수 있는 항바이러스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각을 소성시킬 경우 다공질구조를 갖게 되고 그 표면에 양전하, 음전하를 띤다는 것을 알게 되어, 소성 패각에 항바이러스 물질 또는 이온화된 항바이러스 물질을 흡착시켜 고농도의 항바이러스 유효물질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을 제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패각 또는 패각을 거칠게 부순 것을 소성 및 분쇄해 얻을 수 있는 미세소성분쇄물을 함유하고, 여기에 에키나시아(ECHINACEA) 추출물, 금은화(Lonicera japonica) 추출물, 포비돈-요오드, 고삼(Sophora flavescens) 추출물, 제충국(Phrethrum flower)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물질 또는 이들을 이온화 시킨 항바이러스 물질을 흡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 효능을 갖는 소독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사람이나 환경에 좋고 무해한 것이며, 게다가 폐기물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일환으로서 풍부하게 얻을 수 있는 항바이러스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소성 패각에 항바이러스 물질 또는 이온화된 항바이러스 물질을 흡착시켜 고농도의 항바이러스 유효물질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소성패각에는 표면에 전하를 띠는 다공성구조가 형성되어, 표면에 전하를 띠는 다공성 구조에 항바이러스 물질, 이온화된 항바이러스 물질을 흡착시킬 경우 높은 농도의 항바이러스 유효물질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자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검토를 거듭한 결과, 패각에 특정 처리를 가할 경우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기에 이온화된 항바이러스 물질을 흡착시킬 경우 항바이러스 효과가 극대화된 다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패각 또는 패각을 거칠게 부순 소성 및 분쇄해 얻을 수 있는 미세소성분쇄물에 항바이러스 물질 또는 이온화된 항바이러스 물질을 흡착시킨 조성물을 함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항바이러스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제는, 패각을 소성 및 분쇄해 얻을 수 있는 미세소성분쇄물을 함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패각은, 다판류, 단판류, 복족류, 굴족류, 이매패류, 두족류 등 가운데 어느 한 쪽의 조개류의 패각이면 제한이 없으나, 인체에 안전하고, 탄산칼슘을 함유하며, 대량으로 입수가 가능한 가라비, 굴 또는 함박조개의 패각이 바람직하고, 한국 내에서 가장 많이 발생되는 굴 패각이 가장 적합하다.
패각으로부터 미세소성분쇄물을 얻기 위한 처리 방법에 대해서는, 적어도 소성 및 분쇄의 양 공정이 필수이다. 미세소성분쇄물은, 적어도 소성 및 분쇄를 해 얻을 수 있는 것이면, 그 외의 처리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더욱 소성과 분쇄의 순서도 상관없다. 다만, 미세하게 분쇄하기 위해서, 소성 후에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각은, 그대로 소성 또는 분쇄를 실시해도 괜찮지만, 그러한 공정의 전에, 패각에 대해 직접「거친분쇄」를 하는 것이, 그 후의 소성 및 분쇄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거친분쇄 후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체적 평균 입경으로 0.1 mm~20 mm가 바람직하고, 0.5 mm~14 mm가 보다 바람직하고, 2 mm~10 mm가 특히 바람직하다.
거친분쇄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인력으로 부수거나 분쇄기, 해머 밀 등을 이용해 행하거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성하는 것이 필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소성」이란, 가열에 의해 패각의 성분인 탄산칼슘의 적어도 일부를 산화칼슘으로 하는 처리이다. 덧붙여 소성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을, 이하, 「소성물」이라고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소성방법이나 소성조건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소성온도에 대해서는, 바람직하게는 600℃~1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 1400℃, 특히 바람직하게는 800℃~1300℃, 가장 바람직한 것은 1000℃~1100℃이다.
소성시간은 소성조건에도 의존해 특히 한정은 없지만, 바람직한 것은 30분 ~15시간, 보다 바람직한 것은 1시간~10시간, 특히 바람직한 것은 1.5시간~6시간, 가장 바람직한 것은 2시간~4시간이다.
소성온도가 너무 높거나 소성시간이 너무 길거나 하면, 글래스화하는 경우가 있어, 또한 그 필요성이 없고 가격적으로 불리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한편, 소성온도가 너무 낮거나 소성시간이 너무 짧거나 하면, 패각의 성분인 탄산칼슘으로부터 산화칼슘이 충분히 생성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효과를 발휘할 수 없기도 하고, 또한, 그 후에 분쇄를 하는 경우, 분쇄가 충분히 되지 않아 소정의 평균 입경인 것을 얻기 어려워지게 하는 경우가 있다.
패각을 소성시키므로 패각의 주성분인 탄산칼슘(CaCO3)이 소성가공에 의하여 생석회(CaO)로 변화면서 이산화탄소(CO2)가 증발하면서 보다 다공성으로 개질시키게 되고, 또한 많은 수의 전하가 분포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다공조직과 분자표면의 전하분포에 의하여 흡착성능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 즉, 소성가공에 의해 각 성분들이 보다 활성화되어 전하를 많이 뛰게 되므로 화학적으로 양이온성인 물질의 흡착성능과 음이온성인 물질의 흡착성능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패각의 소성가공시 보다 다공성이 되어 활성탄과 더불어 물리적인 흡착성능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소성된 패각의 표면에 많은 수의 전하를 포함하는 다공조직이 생성된다는 점을 발견하고, 소성 패각에 이온화되어 전하를 띠고 있는 항바이러스 물질을 흡착시켜 고농도의 항바이러스 물질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을 발명하게 되었다.
소성시의 분위기는 공기 중 질소 등의 불활성 기체 중, 진공 중 등 어느 쪽에서도 자주 특히 한정은 없지만, 공기 중에서 소성하는 것이 패각 중의 탄산칼슘이 산화칼슘으로 변환하기 쉬운 점이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분쇄하는 것이 필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분쇄」란, 평균 입경을 작게 하는 것을 말하며, 분쇄는 1회만으로도 또 2회 이상이라도 좋다.
2회 이상 분쇄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각각 다른 분쇄 방법으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분쇄를 2회 이상 실시하는 경우, 마지막 분쇄를 미분쇄라고 하고, 미분쇄의 전에 실시하는 분쇄를 조분쇄라고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소성을 하고 나서 1회 또는 2회 이상의 분쇄를 해도 좋고, 조분쇄를 한 후에 소성을 행하고, 그 후에 미분쇄를 해도 좋다. 분쇄의 용이성, 균일한 미세 입자를 얻을 수 있는 점에서, 소성을 하고 나서 조분쇄를 해, 그 후에 미분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분쇄를 하는 경우, 조분쇄 후의 체적 평균 입경은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바람직한 것은 10㎛~300㎛, 보다 바람직한 것은 12㎛~200㎛, 특히 바람직한 것은 15㎛~100㎛이다.
조분쇄에 이용되는 분쇄기에서는 이것보다 작은 체적 평균 입경으로 하려면 효율이 너무 나쁘거나 분쇄 전체의 분쇄 효율을 생각하면 이것보다 작게 할 필요성이 없는 경우가 있고, 한편 너무 큰 경우는, 그 후의 미분쇄의 효율이 떨어지거나 충분히 미분쇄 할 수 없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조분쇄 후의 체적 평균 입경은, 마이크로트랙(Microtrac) 입도분포측정장치를 이용해, 통상의 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체적 평균 입경으로서 정의된다.
조분쇄에 이용되는 분쇄기로서는 특히 한정은 없지만, 건식 볼밀(ball mill), 건식 비즈 밀(beads mill), 크래셔(crasher) 등을 이용해 실시하는 것이, 상기의 체적 평균 입경의 범위 내에 효율적으로 분쇄할 수 있어, 분쇄공정 전체의 분쇄효율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소성 후 또는 소성에 이은 조분쇄 후에 미분쇄를 하여,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제에 함유된 미세소성분쇄물을 얻는다.
미분쇄 후의 체적 평균 입경, 즉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제에 함유 되는 미세소성분쇄물의 체적 평균 입경은, 바람직한 것은 15㎛이하, 보다 바람직한 것은 0.1㎛~10㎛, 특히 바람직한 것은 0.3㎛~7㎛, 가장 바람직한 것은 1㎛~5㎛이다.
미세소성분쇄물의 체적 평균 입경이 너무 큰 경우는, 사용 시에 미세소성분쇄물을 현탁할 때에 얼룩이 생기거나 현탁에 시간이 걸리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바이러스와의 접촉이 나빠지는 등 , 항바이러스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너무 작은 경우는, 거기까지 충분히 미분쇄 할 수 없기도 하고, 분쇄의 효율이 나빠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제에 함유되는 미세소성분쇄물의 개수 평균 입경은, 바람직한 것은 7.5㎛미만, 보다 바람직한 것은 0.01㎛~6㎛, 특히 바람직한 것은 0.1㎛~5㎛, 가장 바람직한 것은 0.5㎛~3㎛이다.
미세소성분쇄물의 개수 평균 입경이 너무 큰 경우나 너무 작은 경우는, 상기한 체적 평균 입경의 경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미세소성분쇄물의 체적 평균 입경과 개수 평균 입경은, 마이크로트랙 입도 분포측정장치에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다, 각각 체적 평균 입경, 개수 평균 입경으로서 정의된다.
미세소성분쇄물의 비표면적(比表面積)은, 0.4㎡/㎤ 이상이 바람직하고, 0.6~1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것은 0.8~30㎡/㎤, 특히 바람직한 것은 1~10㎡/㎤이다.
미세소성분쇄물의 비표면적이 너무 작은 경우는, 바이러스와의 접촉이 나빠지는 등, 항바이러스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한편, 너무 큰 경우는, 거기까지 충분히 미분쇄할 수 없기도 하고, 분쇄의 효율이 나빠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미세소성분쇄물의 비표면적은, 마이크로트랙 입도분포측정장치(닛키소社 제품)를 이용해 측정되어 얻을 수 있던 것으로서 정의된다.
미분쇄방법으로서는 특히 한정은 없지만, 미분쇄에 이용되는 분쇄장치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건식 볼 밀, 습식 볼 밀, 건식 비즈 밀, 습식 비즈 밀, 페인트 쉐이커 등의 미디어 밀(media mill);제트식 밀, 고속 로터 회전식 밀 등의 건식 분쇄 장치;3 개 롤, 플라네타리 믹서(planetary mixer) 등의 다른 매체와 함께 분쇄하는 장치를 들 수 있다.
이 중, 분쇄 효율, 코스트 등의 점으로 미디어 밀이 바람직하고, 항바이러스 효과를 발휘하는 체적 평균 입경까지 효율적으로 분쇄할 수 있는 점, 얻을 수 있는 항바이러스제의 용도 등을 고려해, 습식 볼 밀, 습식 비즈 밀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습식 볼 밀이나 습식 비즈 밀로서는, 회전식이든 진탕식이든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예컨대, 습식 비즈 밀을 이용할 때의 예를 이하에 든다. 즉, 소성물 또는 소성물을 조분쇄한 것을, 바람직한 것은 1~50 질량%, 보다 바람직한 것은 2~30 질량%, 특히 바람직한 것은 5~20 질량%가 되도록 분산매에 현탁한 후, 습식 비즈 밀을 이용해, 바람직한 것은 30분 ~3시간, 보다 바람직한 것은 1.5시간~2시간 분쇄한다.
습식 비즈 밀 분쇄기를 사용할 때의 분산매로서는, 특히 한정은 없지만, 물, 에탄올, 이소프로파놀 또는 그들의 혼합 분산매가, 그 후에 취급하여 얻을 수 있는 미세소성분쇄물 함유 항바이러스제의 용도 등을 고려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무균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분산 미디어도 특히 한정은 없지만, 실리카, 산화 지르코늄 등의 금속 산화물;유리;세라믹스;스텐레스, 강철 등의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산화 지르코늄(ZrO2)이 상기한 바람직한 평균 입경에 효율적으로 분쇄할 수 있고 또한 산화 지르코늄 자체가 마모하기 어려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분산 미디어의 직경도 특히 한정은 없지만, 0.03㎜~10㎜가 바람직하고, 0.05 ㎜~5㎜가 보다 바람직하고, 0.1㎜~0.5㎜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제는, 상기 미세소성분쇄물을 함유 하지만, 그 이외에, 물, 에탄올, 프로파놀 등의 분산매;전분 등의 분산 촉진제, 항바이러스 효과를 높여주는 항바이러스 물질을 함유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그 외 물질」은, 미세소성분쇄물의 효과를 줄이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그 외 물질」은,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제 전체에 대해서, 0 질량%(항바이러스제가 미세소성분쇄물만으로부터 되는 경우)~70 질량%가 바람직하고, 0.1 질량%~50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 질량%~30 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항바이러스 물질」은 바이러스 불활성화 또는 바이러스가 기주세포에 바인딩(binding)하는 작용을 억제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는 물질을 말하며, 대표적으로 에키나시아(ECHINACEA) 추출물, 금은화(Lonicera japonica) 추출물, 포비돈-요오드, 고삼(Sophora flavescens) 추출물, 제충국(Phrethrum flower)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에키네시아 추출물은 에키네시아의 꽃, 잎, 줄기, 뿌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한다.
에키네시아는 국화과의 다년생 화초로 굵고 길쭉한 줄기를 가지고 있으며, 그 줄기 꼭대기에 다양한 색상의 꽃이 핀다. 에키네시아라는 이름은 꽃 중앙의 꽃술 부분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언뜻 보면 가시가 비죽 비죽 돋은 성게 같아 그리스어로 성게를 의마하는 enhinos에 유래한 echinacea라는 이름이 붙었다. 뽀족한 원추형의 꽃술 덕분에 영어로는 콘플라워(cornflower)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며, 북미가 원산지로 북미 원주민들이 많이 이용하여 '인더언의 허브'라는 이름이 붙기도 하였다. 고고학자들에 의하면 북미 원주민들은 에키네시아를 400년 이상 만병통치나 다름없는 허브로 귀하게 여겨 사용해 왔다고 한다.
에키네시아의 면역촉진기능은 알카마이드(alkamides), 카페인산 유도체들, 당단백, 다당류를 포함하는 추출물의 친지질성과 극성 분획 때문이라는 보고가 있으며, 알카마이드와 같은 친지질성 분획이 에키네시아 알콜 추출물의 면역촉진 작용에 주로 기여하며, 알카마이드 분획이 생체 내와 시험관내에서 식세포 작용을 촉진시키다는 보고도 있다. 에키네시아의 알카마이드는 주로 올리핀 결합 또는 아세틸렌 결합을 가진 고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이소뷰틸아마이드로 항염증제로서 사이클로옥시게네이즈와 5-리폭시게네이즈를 억제시킨다는 보고가 있으며, 뿌리에서 얻은 배당체인 에키나코사이드(echinacoside)와 다당류인 에키나킨(echinacin)은 항균활성과 항곰팡이 활성을 가지는 등 많은 연구에서 면역체계의 조절 기능이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E. purpurea 추출물의 상등액 부분의 항 바이러스 성분은 폴리 페놀이거나 이를 포함 할 수 있어, 상기 폴리 페놀 성분들이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에키네시아 추출물은 아래와 같은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포함한다.
Figure pat00001
상기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은 에키네시아 잎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키네시아 줄기 추출물 40 내지 7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치 법위 내에서의 사용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 간의 혼합 사용에 따른 복합 작용으로 인해, 항바이러스 활성이 상승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천연물을 물, C1 내지 C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들을 순차적으로 시료에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며, 추출용매는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추출하며, 추출용매로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상기 환류 추출법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 또는 물 100mL 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 것이다.
상기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로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을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는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얻은 후에는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 추출법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천연물을 분쇄하는 단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물을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시료응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재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물을 이용하여 침출시키는 단계; 및 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천연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포비돈-요오드는 다음의 화학 구조를 가진다: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 이용되는 용매로는, 포비돈-요오드(povidone-iodine)가 용매에 완전히 용해되는 한 어떠한 용매도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정제수(purified water), 또는 증류수(distilled water) 등이 용매로 이용될 수 있다. 용해 온도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10℃ 내지 30℃ 범위의 온도 내에서 용해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상기 금은화는 인동과의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Thunberg) 또는 그 변종의 꽃봉오리를 일컫는 약초로서, 냄새가 특이하고, 단 맛이 난다. 상기 금은화는 항균, 항염증, 해열, 백혈구 탐식, 중추신경 흥분, 혈청 콜레스테롤 강하, 궤양 예방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금은화를 이산화탄소와 물을 용매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초임계 추출하여 금은화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금은화를 에탄올 및 메탄올 등의 극성용매 또는 그들과 정제수의 혼합용액에서 가열 추출할 수도 있으며, 감압 농축 등 다양한 방법으로 금은화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열수, 메탄올 등을 사용하여 금은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금은화 추출물은 물, 탄소 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금은화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기대하는 항바이러스 효과를 유효하게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1 내지 5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삼 (Sophora flavescens: 도둑놈의 지팡이)은 콩과의 다년생 초본으로서 한국과 일본, 중국, 시베리아 등지에 주로 분포하는 식물이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말린 것을 고삼이라 하여 맛이 쓰고 소화불량, 신경통, 간염, 황달, 치질 등에 처방하며, 민간에서는 줄기나 잎을 달여서 해열과 진통제로 쓰기도 하였다. 고삼은 주로 1957년부터 일본에서 성분연구가 시작되어 주성분으로 알카로이드 (Saito, K. et al., Planta Med., 56: 487, 1990; Atta. R. et al., J. Nat. Prod., 54: 929, 1991)와 플라보노이드 (Iinuma, M. et al., Phytochemistry, 29, 2667, 1990; Shirataki, Y. et al., Chem. Pharm. Bull., 38, 1712, 1990)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고삼에서는 콩과(Legume)에서 많이 분리 보고되어진 테로카판계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기본구조에 탄소 5개의 이소프레닐(isoprenyl)기와 탄소 10 개의 라벤둘릴(lavendulyl)기를 가지는 프레닐(prenyl)기들이 치환된 플라보노이드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Kim, S. J. et al., Biol. Pharm. Bull., 26, 1348, 2003).
종래의 고삼 추출물에 관련하여 등록된 특허기술을 살펴보면,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갖는 고삼 추출물(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80864호), 고삼추출물을 이용한 은행의 저장성 향상방법(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95055호), 방부제로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및 고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22673호), 고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성기능 장애 개선용 조성물(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75647호), 항염증 작용을 하는 프레닐화된 프라보노이드 유도체들 및이들을 함유하는 고삼 추출물(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84661호) 등이 있다.
상기 고삼 추출물은 고삼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고삼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삼 건조물을 물, C1~C3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C1~C3의 알코올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일례로 고삼 뿌리 건조물을 세절한 후 추출용기에 넣고 C1~C3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넣고 일정기간 상온에서 방치한 다음, 여과하여 알코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추출은 상온에서 1주 동안 방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후에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삼 추출물은 물, C1 ~ 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이때, 추출용매는 고삼의 건중량의 2 ~ 20 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방법은 통상적으로 행하는 모든 추출방법이 가능하며, 물, C1 ~ 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추출용매로 사용할 경우, 상온에서 2일 ~ 20일 동안 방치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으로 얻어진 추출액은 여과지 등을 이용한 여과, 정제, 농축 등의 단계를 더 거쳐 고삼 추출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항바이러스 물질들을 단순히 소성 패각에 물리적으로 흡착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항바이러스 물질들을 이온화 하여 소성패각의 표면에 양전하, 음전하를 띠는 성질을 이용하여 흡착성능을 개선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패각을 소성시켰을 때 탄산칼슘이 생석회로 전환되면서 이산화탄소가 빠져나오면서 패각이 다공성으로 개질될 뿐만 아니라, 소성 패각의 표면에 많은 수의 전하가 분포하게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항바이러스 물질들에 이미 이온화된 항바이러스 유효 물질이 포함되어있거나, 상기 항바이러스 물질을 이온화 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를 이용하여 전하를 띠고 있는 항바이러스 물질을 소성 패각에 흡착시켜 고농도의 항바이러스 물질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을 발명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항바이러스 물질들 중, 에키나시아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고삼 추출물에는 방향족 알코올 화합물의 일종으로 폴리 페놀(polyphenol)계열의 화합물들이 포함되어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폴리페놀계 화합물은 페놀의 하이드 록 실기가 생리학적 조건에서 해리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폴리페놀은 음전하 (및 기타 공명 구조)로 페놀 레이트 이온을 형성한다. 플라보노이드, 로즈마린산 및 탄닌과 같은 폴리 페놀은 이러한 페놀 성 OH 그룹을 여러 개 가지고 있다. 이러한 OH 그룹은 양전하를 띤 아미노 그룹과 같은 단백질의 외부 그룹과 수소 및 이온 결합을 형성 할 수 있다. 탄닌과 단백질이 함께 배양되면 폴리페놀은 여러 수소와 이온 결합을 형성하여 단백질의 3D 구조에 영향을 미치거나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한다 . 결과적으로 타닌과 같은 폴리페놀은 매우 강력한 단백질 비활성화 제로 알려져 있으며 항바이러스 성이기도 하다. 이 활성은 탄닌 등 폴리페놀이 바이러스와 함께 배양 될 때도 나타난다. 폴리 페놀은 외피의 바이러스 단백질에 결합하여 종종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에 도킹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많은 폴리 페놀은 바이러스 입자가 손상되지 않고 숙주 세포에 흡수되지 않는 한 항바이러스 성을 갖는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성질을 갖는 식물 추출물 추출하고,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유효물질의 pH를 조절하여 항바이러스 효과를 극대화 시킬 뿐만 아니라, 표면에 양전하를 갖는 소성 패각과의 흡착 능 또한 높이도록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에 포함된 폴리페놀류를 이온화 시키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pH를 조절하는 방법이 가능하며, 소성패각을 물에 용해시킬 경우 알칼리성을 \띠는 것으로 알려져, 소성패각에 의하여 pH를 조절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염기성 물질을 첨가하여 항바이러스 효과를 극대화하고, 소성 패각에 흡착능이 증가하면서도 인체에 유해하지 않도록 pH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바이러스 물질 중 포비돈-요오드는 보통 9~10%의 자유 아이오딘 이온(free iodine ion)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자유 아이오딘 이온이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소성 패각에 포비돈-요오드를 흡착시킬 경우 소성 패각의 표면에 양전하를 띠는 다공질구조와 자유 아이오딘 음이온이 결합하여 고농도의 항바이러스 물질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을 개발할 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제가 적용되는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모든 바이러스가 대상으로 된다.
그 바이러스의 과에 관해서는, 예컨대 구체적으로는, 마이오 바이러스과(Myoviridae), 사이포 바이러스과(Siphovirida), 포도 바이러스과(Podoviridae), 아데노 바이러스과(Adenoviridae), 헤르페스 바이러스과(Herpesviridae), 파포바 바이러스과(Papovaviridae), 폭스 바이러스과(Poxviridae), 이노 바이러스과(Inoviridae), 미크로 바이러스과(Microviridae), 파르보바이러스과(Parvoviridae), 레오 바이러스과(Reoviridae), 코로나 바이러스과(Coronaviridae), 후라비 바이러스과(Flaviviridae), 피코루나 바이러스과(Picornaviridae), 토가 바이러스과(Togaviridae), 칼리시 바이러스과(Caliciviridae), 헤페 바이러스과(Hepeviridae), 필로 바이러스과(Filoviridae), 라브도 바이러스과(Rhabdoviridae), 파라믹소 바이러스과(Paramyxoviridae), 오르쏘믹소 바이러스과(Orthomyxoviridae), 브냐 바이러스과(Bunyaviridae), 아리나 바이러스과(Arenaviridae), 렌티 바이러스과(Lentivirinae), 헤파드나 바이러스과(Hepadnaviridae), 카리모 바이러스과(Caulimoviridae) 등을 들수 있다. 또한 2019년에 처음 알려진 급성 중증 호흡기 질환 코로나바이러스 2로써 양성 방향의 단일 사슬 RNA 바이러스(positive-sense single-stranded RNA virus)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제가 적용되는 바이러스는, 상기 어느 쪽의 바이러스라도 좋지만, 오르쏘믹소 바이러스과, 코로나 바이러스과, 파라믹소 바이러스과가, 신흥 감염증, 인축 공통 감염증, 신형 바이러스 감염증을 예방 등 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고, 특히 오르쏘믹소 바이러스과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만연을 저지할 수 있는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예컨대 구체적으로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PR/8/34(소련형),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R/K5/01 (H9N2),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이치/2/68(H3N2)(사람 분리주),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호박나비/시마네/499/83(H5N3)(조류 분리주) 등의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나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Singapore/222등의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의 오르쏘믹소 바이러스과, 닭전염성 기관지염 바이러스 보데트(Baudette)주(株) 42 나 중증 호흡기 감염증(SARS) 바이러스 등의 코로나 바이러스과 뉴캐슬병 바이러스 라소다주(株) 및 KrKJW/49주 등의 파라믹소 바이러스과의 바이러스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항바이러스제로서는, 손을 포함한 신체의 소독제; 돼지, 소, 양 등의 가축류의 사료;닭, 거위, 집오리 등의 가축류의 사료;에어컨디셔너, 공기 청정기, 청소기 등의 필터;가정용, 의료용, 작업용 등의 마스크;접착제;마루닦이재료, 벽닦이재료 등의 닦이재료;소취재;키친용 부재;무좀 치료약, 구강 청정약, 욕창 감염 예방제 등의 약제;부직포, 실, 직포, 벽재 등의 부재 등이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미세소성분쇄물이 너무 적으면, 항바이러스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어, 너무 많으면, 세포 독성이 생기거나 환경을 오염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항바이러스제를 함유 하는 액체로 이용하는 경우에서는, 마루닦이제 등의 닦이재료 등에 이용하는 것만이 아니고, 바이러스에 감염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동물에 섭취시키는 일도 가능하다. 애완동물이나, 돼지, 소, 닭, 양 등의 가축에 계속해서 먹이는 것으로 , 유익한 균을 죽이지 않으면서 유해한 바이러스를 불활성화시켜, 애완동물이나 가축은 물론, 사람의 건강도 지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패각의 미세소성분쇄물을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제가 뛰어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작용·원리는 이하와 같이 생각된다. 즉, 패각의 주성분인 탄산칼슘이 소성되어 생성하는 산화칼슘, 그것과 물과의 반응물(수산화 칼슘), 및/또는, 패각에 함유 된 그 외의 화합물이, 더욱이 형상이 미세화되는 것에 의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의 바이러스에 대해서 즉효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넘지 않는 한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실시예 1
(1) 미세소성분쇄물 A의 제조 방법
굴 패각을, 입경 5 mm정도로 건식 볼 밀을 이용해 거친분쇄를 하고 나서, 공기 중에서 1050℃~1100℃으로 3시간 소성했다. 이 소성물을, 건식 비즈 밀 분쇄기로 약 2시간 처리해, 소성분쇄물 a를 얻었다.
이 「소성분쇄물 a」의 체적 입경 분포를 도 1, 개수 입경 분포를 도 2에 나타낸다. 소성분쇄물 a의 10%(체적) 입경은 8.5㎛, 50%(체적) 입경은 18.4㎛, 90%(체적) 입경은 43.7㎛, 체적 평균 입경은 18.4㎛이며, 10%(개수) 입경은 3.3㎛, 50%(개수) 입경은 6.1㎛, 90%(개수) 입경은 13.2㎛, 개수 평균 입경은 6.1㎛였다. 또한 비표면적은 0.39㎡/㎤였다.
소성분쇄물 a의 주성분은 산화칼슘(CaO)이었다. 이 산화칼슘은 굴 패각의 주성분인 탄산칼슘(CaCO3)이 소성에 의해 탈탄산해 생성한 것이다.
그 후, 소성분쇄물 a를 10 질량%가 되도록 물에 현탁하여, 습식 비즈 밀 분쇄기로 약 2시간 처리해, 10%(체적) 입경 2.1㎛, 50%(체적) 입경 3.5㎛, 90%(체적) 입경 5.7㎛, 체적 평균 입경 3.5㎛이며, 10%(개수) 입경 1.3㎛, 50%(개수) 입경 2.2㎛, 90%(개수) 입경 3.7㎛, 개수 평균 입경 2.2㎛, 비표면적 1.85㎡/㎤의 미세소성분쇄물 A를 얻었다.
(2) 항바이러스 활성의 평가방법
(a) 시험 용액의 조제
패각의 미세소성분쇄물 A를, 0.15 질량%가 되도록, 감균 생리 식염수(0.9 질량% 염화나트륨(NaCl) 수용액)에 분산해, 교반자를 넣어, 20℃으로 1시간 교반해, 항바이러스 활성의 시험에 이용하는 「시험용액 원액」이라고 했다.
(b) 항바이러스 활성의 시험
성분(중량%)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시험용액 원액 1 1 1 0
에키나시아 추출물 0.5 0.5 0 0.5
금은화 추출물 0.5 0.5 0 0.5
포비돈-요오드 0.5 0.5 0 0.5
고삼 추출물 0.5 0 0 0.5
제충국 추출물 0.5 0 0 0.5
정제수 96.5 95.5 99 97.5
합계 100 100 100 100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H1N1) 및 계절 독감 바이러스 A형(H3N2)을 MDCK(Mardin Darby Canine Kidney) 세포주에 감염시킨 후,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2 조성물 각각을 2μg-10 mg/ml의 농도 범위로 처리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MDCK 세포주는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FBS), Hyclone Thermo Scientific)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용액(Gibco)이 포함된 Eagle’s minimum essential medium (MEM)에서 정기적으로 배양함으로써 준비해 두었다.
1 ml 당 1 × 104개의 MDCK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37℃에서 16시간 동안 5% CO2 배양기를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단일층의 MDCK 세포를 PBS로 두 번 씻어낸 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H1N1) 및 계절 독감 바이러스 A형 (H3N2)을 100 TCID50로 37℃에서 2시간 동안 감염시킨 후, 감염되지 않은 바이러스들을 씻어내었다.
감염된 세포들은 순차적으로 희석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이 포함된 바이러스 배양액(0.3% Bovine serum albumin, 1% Penicillin-Streptomycin solution) 및 1μg/ml 의 L-1-토실아미도-2-페닐에틸 클로로메틸 케톤으로 처리된 트립신(Trypsin-TPCK)이 포함된 MEM 배양액에서 바이러스성 CPE(cytophatic effect)가 나타날 때까지 48시간 37℃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조성물들의 항바이러스성 CPE 저하 능력은 바이러스성 저해 유효농도 50% 값 (EC50)으로 나타내었고, 세포독성 농도의 50% 값(CC50)은 세포의 형태학적 변형을 기초로 결정하였다. 상기 조성물들의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능력은 CC50 값을 EC50 값으로 나눈 선택도 인덱스(SI: selectivity index)로 나타내었다. SI(selectivity index, 선택지수)는 CC50/EC50로서 SI 값이 클수록 바이러스 증식억제 효과가 크다. 표 2는 MDCK 세포에서 상기 조성물들의 H1N1 및 H3N2에 대한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활성을 비교한 결과를 보여준다.
구분 CC50(μg/ml) EC50(μg/ml) SI
H1N1 H3N2 H1N1 H3N2 H1N1 H3N2
실시예 1 7233 7241 75 107 98 66
실시예 2 7202 7155 77 110 95 64
비교예 1 7352 7407 310 355 25 20
비교예 2 7677 7652 282 322 24 21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H1N1에 대한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활성과 관련하여, 비교예 1의 SI 값은 25, 비교예 2는 24인 반면, 실시예 1은 98, 실시예 2는 95로 현저히 상승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Claims (10)

  1. 패각을 소성 및 분쇄하여 생성되는 다공성의 미세소성분쇄물; 및
    상기 미세소성분쇄물에 흡착되는 항바이러스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항바이러스 물질은 에키나시아(ECHINACEA) 추출물, 금은화(Lonicera japonica) 추출물, 포비돈-요오드, 고삼(Sophora flavescens) 추출물 및 제충국(Phrethrum flower)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바이러스 물질 흡착 소성패각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소성분쇄물은 굴 패각을 체적 평균 입경이 2 mm~10 mm가 되도록 1차 분쇄한 뒤에, 1000℃ 내지 1100℃의 온도에서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소성을 진행한 다음에, 2차 분쇄를 수행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바이러스 물질 흡착 소성패각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소성분쇄물의 체적 평균 입경은 0.1㎛~10㎛이며, 개수 평균 입경은 0.0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바이러스 물질 흡착 소성패각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물, 에탄올 및 이소프로파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분산매; 및
    전분을 포함하는 분산 촉진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바이러스 물질 흡착 소성패각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상기 미세소성분쇄물은 70 내지 99 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분산매, 분산 촉진제 및 항바이러스 물질은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바이러스 물질 흡착 소성패각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바이러스 물질은 pH 조절을 통해 이온화시켜 전하를 가지는 항바이러스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바이러스 물질 흡착 소성패각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
  7. 패각을 소성 및 분쇄하여 다공성의 미세소성분쇄물을 생성하는 제1단계;
    에키나시아(ECHINACEA) 추출물, 금은화(Lonicera japonica) 추출물, 포비돈-요오드, 고삼(Sophora flavescens) 추출물 및 제충국(Phrethrum flower)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부터 항바이러스 물질을 추출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미세소성분쇄물에 상기 항바이러스 물질을 흡착시키고, 분산매 및 분산 촉진제를 혼합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바이러스 물질 흡착 소성패각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는 굴 패각을 체적 평균 입경이 2 mm~10 mm가 되도록 1차 분쇄한 뒤에, 1000℃ 내지 1100℃의 온도에서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소성을 진행한 다음에, 2차 분쇄를 수행하여 체적 평균 입경이 0.1㎛~10㎛인 미세소성분쇄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바이러스 물질 흡착 소성패각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매는 물, 에탄올 및 이소프로파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이며, 상기 분산 촉진제는 전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바이러스 물질 흡착 소성패각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는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상기 미세소성분쇄물 70 내지 99 중량%에 상기 분산매, 분산 촉진제 및 항바이러스 물질 1 내지 30 중량%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바이러스 물질 흡착 소성패각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00164340A 2020-11-30 2020-11-30 항 바이러스 물질 흡착 소성패각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 KR202200758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340A KR20220075824A (ko) 2020-11-30 2020-11-30 항 바이러스 물질 흡착 소성패각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340A KR20220075824A (ko) 2020-11-30 2020-11-30 항 바이러스 물질 흡착 소성패각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824A true KR20220075824A (ko) 2022-06-08

Family

ID=81980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340A KR20220075824A (ko) 2020-11-30 2020-11-30 항 바이러스 물질 흡착 소성패각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58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505B1 (ko) * 2022-07-08 2022-10-06 유광호 무화과 효소 및 아연 혼합물을 포함하는 친환경 비건 남성 청결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353B1 (ko) 2017-01-12 2017-05-12 주식회사 메디앤코즈 패각류를 이용한 천연 미네랄 이온 칼슘수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미네랄 이온 칼슘수
KR20180016009A (ko) 2016-08-05 2018-02-14 민상필 굴 패각을 이용한 수용성 산화칼슘의 제조방법
KR101839523B1 (ko) 2017-12-20 2018-03-16 박승옥 식용 가능한 패각분말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패각분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21707A (ko) 2019-04-16 2020-10-26 주식회사 파미니티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6009A (ko) 2016-08-05 2018-02-14 민상필 굴 패각을 이용한 수용성 산화칼슘의 제조방법
KR101734353B1 (ko) 2017-01-12 2017-05-12 주식회사 메디앤코즈 패각류를 이용한 천연 미네랄 이온 칼슘수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미네랄 이온 칼슘수
KR101839523B1 (ko) 2017-12-20 2018-03-16 박승옥 식용 가능한 패각분말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패각분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21707A (ko) 2019-04-16 2020-10-26 주식회사 파미니티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505B1 (ko) * 2022-07-08 2022-10-06 유광호 무화과 효소 및 아연 혼합물을 포함하는 친환경 비건 남성 청결제
KR20220139838A (ko) * 2022-07-08 2022-10-17 유광호 천연 원료 기반의 남성 청결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ibnev et al. Antiviral activity of Inonotus obliquus fungus extract towards infection caused by hepatitis C virus in cell cultures
Hsuan et al. The cytotoxicity to leukemia cells and antiviral effects of Isatis indigotica extracts on pseudorabies virus
Das et al. Antimicrobial potential of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a green tea polyphenol
CN1121232C (zh) 治疗疱疹的药物组合物
CN101530112A (zh) 空气消毒清新剂、其制备方法及使用方法
EP2314303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f influenza viral infection comprising sumac extract, air filter comprising the same and air cleaning device comprising the filter
JP5628639B2 (ja) センダンエキスの製造方法
CN101283688B (zh) 纯中药抗禽流感空气消毒剂及其制备方法
KR102232733B1 (ko)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Hudson The multiple actions of the phytomedicine Echinacea in the treatment of colds and flu
KR20220075824A (ko) 항 바이러스 물질 흡착 소성패각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
KR101118230B1 (ko) 항-인플루엔자바이러스 조성물
Ruffa et al. Inhibitory effect of medicinal herbs against RNA and DNA viruses
WO2022068977A2 (zh) 抗微生物精油组合物、包含其的制品及制品的制备方法
Jamunkar et al. Application of silver nanoparticles as a new alternative antiviral agent for SARS-CoV-2: a review
KR20160090495A (ko)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KR102049179B1 (ko) 토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Sainhi et al. A Review Article on Phytochemicals New Line of Treatment of Sars Covid-19
CA2622508C (en) Medicament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uenza
JP2011079817A (ja) 植物抽出物からなるウイルス感染症の予防及び/又は治療用組成物、それらを有効成分とするウイルス感染症の予防及び/又は治療剤、並びにウイルスの細胞への吸着阻害剤
CN107344056A (zh) 一种纯天然植物除甲醛制剂的制备方法
CN102362603A (zh) 方便消毒液
CN114288224B (zh) 一种除螨、消毒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US20080274214A1 (en) Medicament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uenza
KR102049673B1 (ko) 토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