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5702A - 정수 필터 장치 - Google Patents

정수 필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5702A
KR20220075702A KR1020200164079A KR20200164079A KR20220075702A KR 20220075702 A KR20220075702 A KR 20220075702A KR 1020200164079 A KR1020200164079 A KR 1020200164079A KR 20200164079 A KR20200164079 A KR 20200164079A KR 20220075702 A KR20220075702 A KR 20220075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hape
filter housing
filt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6849B1 (ko
Inventor
정휘동
조대연
윤석정
이현우
김동현
엄지용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Priority to KR1020200164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849B1/ko
Publication of KR20220075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이 유동하는 관로상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커버와, 상기 커버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여과하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에 접촉하며 상기 여과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상기 물의 유출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잔수유출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잔수유출방지부는 단부에 마련되는 압입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잔수유출방지부는 홀 및 슬릿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홀 및 슬릿은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필터하우징의 착탈 시, 표면장력, 점성을 포함한 다양한 물리적 현상들에 의해 잔수유출을 방지하여 정수필터를 교체할 때 필터하우징 내부에 잔류되어 있는 소량의 물이 예상치 못하게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정수 필터 장치{WATER FILTER DEVICE}
본 발명은 정수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달로 인한 수질오염으로 인해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정수기로 정화된 물을 식수로 사용하거나, 아니면 시중에서 판매되는 생수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정수기는 수돗물 속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중금속과 같은 유해 요소를 여과하는 장치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정수기로 유입되는 수돗물을 정수하기 위하여 정수필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정수필터는 상측 또는 하측 중 하나 이상의 급수부 또는 출수부가 구비된 커버와, 상기 커버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여과하는 여과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게 일반적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6-0034904(2007. 10. 23. 공개일)(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는 '정수필터, 정수필터 어셈블리 연결구 및 이들이 설치된 정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을 살펴보면,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추며 원수가 공급될 때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 및 유해물질을 걸러주는 정수필터에 있어서, 정수 필터는 정수기에 제공된 필터의 교체를 간단하고 빠르게 하기 위하여 정수장치에 설치된 필터 연결구에 착탈식으로 설치될 수 있었다.
이러한 정수필터로 일정량 이상의 원수를 여과할 경우 내구성과 필터링 효율이 떨어지므로 주기적으로 교체해 주어야 하는데, 이와 같이 필터를 교체하기 위하여 연결 관로의 접촉을 분리하여 정수필터를 교체할 때, 필터 내부에 남아 있는 원수 및 정수가 의도치 않게 외부로 유출되어 잔수가 흐르게 되어, 적하된 잔수로 인해 정수필터와 착탈되는 기기의 오염이나 세균 번식의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장치가 적용된 필터하우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종래기술의 필터하우징(10)은 커버(14)와, 커버 내측에 마련된 바디부(12)와, 상기 바디부(12)의 측부에 마련된 여과부(11)와, 상기 바디부(12) 및 여과부(11)를 지지하며 연장되는 지지부재(13)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착탈식의 필터하우징은 일반적으로 헤드가 일측에, 필터하우징이 타측에 각각 마련되어,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하우징을 교체할 때, 필터 내부에 남아있는 원수 및 정수가 필터하우징 하부에 위치한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어, 헤드에 잔수가 적하되거나, 잔수가 흐를수 있고, 적하되거나 흐르는 잔수로 인해 헤드의 오염이나 세균 번식으로 기기의 수명 단축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흐르는 잔수로 인하여 필터하우징 교체시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06-0034904(2006.04.18)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물을 사용하는 다양한 기기에 착탈가능한 정수 필터에 있어서, 정수 필터 내부에 남아있는 잔수의 흐름을 개선하기 위하여 정수 필터 내부에 물이 유동하는 공간에 잔수유출방지부를 마련함으로서, 정수 필터 착탈시, 표면장력에 의해 정수 필터 내부에 남아있던 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 필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잔수유출방지부 하단부에 압입돌출부가 마련되어, 정수 필터 내부 단턱부에 잔수유출방지부재를 압입함으로서, 정수필터와 잔수유출방지부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하여 잔수의 흐름을 방지함으로써, 정수필터와 착탈될 수 있는 다양한 기기의 오염 및 세균 번식을 예방하여 기기 품질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수 필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 또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커버; 상기 커버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여과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 접촉하며 상기 여과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상기 물의 유출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잔수유출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잔수유출방지부는 홀 및 슬릿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홀 및 슬릿은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필터하우징의 착탈 시, 표면장력, 점성을 포함한 다양한 물리적 현상들에 의해 잔수유출을 방지하고, 상기 홀은, 단면의 형상이 원형, 다각형 및 초승달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잔수유출방지부는, 원통형 및 다각기둥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잔수유출방지부는 평단면의 형상이 나사산의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나사산의 형상은 다각형 또는 호형의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잔수유출방지부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커버 내측 단턱부;에 접촉되어 압입되는 압입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하우징은,
상기 커버 일측에 마련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며 외부로부터 원수를 유입하는 원수유입구; 상기 원수유입구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되는 원수유로; 상기 원수유로부터 이동한 원수를 여과하는 복수 개의 상이한 필터로 이루어진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서 정화된 정수를 저장하는 바디부; 및 상기 원수유로를 관통하며 마련되는 정수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가운데 부분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원수유로 및 상기 정수유로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관통된 원수유로 및 정수유로가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잔수유출방지부는 별도의 부재로 상기 커버 내부 공간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정수 필터의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압입돌출부 및 미세 홀 등을 적용하여 표면장력을 이용함으로서, 정수필터를 교체하기 위하여 관로상에서 정수필터를 탈거할 때 정수 필터 내부에 잔류되어 있는 소량의 물이 예상치 못하게 필터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정수 필터 내부에 잔류되어 있는 소량의 물이 필터 외부로 떨어지게 될 경우, 헤드 부분에 잔수가 적하되어 이물질 및 유해물질로 인한 오염으로, 정수 필터의 교체 후에도 정수된 물에 섞여 사용자가 오염 및 세균 번식된 물을 음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정수 필터 교체시, 잔수의 흐름으로 헤드에 적하된 잔수로 인해 헤드 및 정수 필터와 연결될 수 있는 기기의 부식으로 인해 기기의 수명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하우징은 정수 필터의 탈착되는 물을 사용하는 다양한 기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잔수유출방지부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표면장력 원리를 활용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함으로서 부품구성을 줄이고 그에 따른 제조비용 및 제조공정의 최소화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종래기술에 따른 장치가 적용된 필터하우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하우징의 착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가 적용된 필터하우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정수 필터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정수 필터는 세탁기나 정수기 또는 비데 등과 같이 물을 필요로 하거나 물을 소비하는 다양한 기기에 적용되어 깨끗하게 정화된 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버(14)와, 상기 커버(14) 내부에 마련되는 바디부(12)와, 물을 여과하는 여과부(11)와, 원수유입구(18)와, 정수유출구(16)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14)의 일측에는 개구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정수필터와 물을 소비하는 기기의 착탈시, 내부와 외부를 연결을 매개하기 위함일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할 정수 필터는,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정수 필터의 내부와 외부의 연결을 매개하기 위해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 내측에는 정수유로(15) 및 원수유로(17)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관통하여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든 타입의 정수필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하우징(100)의 착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따르면, 필터하우징(100)은 커버(140)와 헤드(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140)는 하부에 개구부(143)를 포함하는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공간을 갖추며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외형을 이루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버(140) 및 상기 헤드(200)는 간단하게 조립고정이 가능하면서도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헤드(200)는 상기 개구부(143)와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관통된 결합홈(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43)와 상기 결합홈(210)은 서로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100)이 일정량 이상의 원수를 여과할 경우, 내구성과 여과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교체시기가 도래하면, 상기 커버(140)를 상기헤드(200)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필터의 종류에 따라,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수명시간은 6개월 내지 24개월의 수명시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정수장치에 설치된 각각의 필터하우징(100)은 사용수명에 맞추어 정기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필터가 교체될 때, 상기 커버(140)와 상기 헤드(200)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커버(140)와 상기 헤드(200)가 분리될 때, 상기 커버(140)의 내부공간에 남아있던 물이 상기 결합홈(210)에 떨어져 적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이러한 잔수의 흐름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가 적용된 필터하우징(10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하우징(100)은 커버(140)와, 커버 내측에 마련된 바디부(120)와, 상기 바디부(120)의 측부에 마련된 여과부(110)와, 상기 바디부(120) 및 여과부(110)를 지지하며 연장되는 지지부재(130)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버(140)는 하부에 개구부(143)를 포함하는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다른 형상의 커버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40)는 내부공간을 갖추며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외형을 이루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43)는 가운데 부분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커버(140)의 외부와 내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관통될 수 있다. 상기 링 형태로 마련될 수 있는 개구부(143)의 내측에는 원수유로(122) 및 정수유로(141)가 마련될 수 있다. 정수유로(122)는 상기 원수유로(141)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정수유로(122) 및 상기 원수유로(141)의 위치가 교환되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원수유입구(142)는 상기 원수유로(14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143)의 내부공간에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커버(140)의 외부로부터 상기 커버(140) 내부공간으로 원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을 매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정수유출구(121)는 상기 정수유로(122)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정수유출구(121)를 통해 상기 커버(140) 내부로부터 상기 필터하우징(100) 외부로 정수가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정수는 상기 커버(140)의 내부 공간에 마련될 수 있는 여과부(110)에서 여과과정을 거쳐 정화된 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40)에 마련되는 개구부(143)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로 구비되었을 경우, 상기 원수유입구(142) 또는 정수유출구(121)는 각각 상기 커버(140)의 일측에 마련된 개구부(143)와, 상기 커버(140)의 타측에 마련된 개구부(143)에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원수유입구(142) 또는 정수유출구(121)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복수 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정수유출구(121)는 정수유로(122)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단부에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정수유로(122)는 바디부(12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정수유출구(121)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20)는 상기 여과부(110)로부터 여과되어 정화된 정수를 저장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바디부(120)에 저장된 정수는 냉각 혹은 가열되어 상기 커버(14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부(120)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여과부(11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110)는 상기 원수유입구(142)로부터 유입된 원수 중에 포함될 수 있는 배관녹, 각종 찌꺼기, 잔류 염소, 유기화합물 및 세균 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부(110)에 사용되는 여과부재는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부(110)가 복수 개로 구비될 경우, 복수 개의 기능이 상이한 필터 군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여과부(110)에서 여과과정을 거친 정수는 상기 바디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20)에 저장된 정수는 상기 정수유로(122)를 따라 상기 정수유출구(121)를 통해 상기 커버(14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정수유로(122) 또는 상기 원수유로(141)는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수유로(122) 또는 상기 정수유로(141)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관통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 서로 교환되어 마련되는 것 또한 무관하다. 또한, 상기 정수유로(122) 및 상기 원수유로(141)는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으며, 각각 이격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필터하우징(100)의 지지부재(130)는 상기 여과부(110)와, 바디부(120)와, 정수유로(122)에 접촉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정수유로(122) 및 원수유로(141) 사이에 잔수유출개선을 위해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잔수유출개선을 위한 원통형의 연장된 지지부재는 잔수유출방지부(131)일 수 있다.
상기 잔수유출방지부(131)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일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기둥형일수도 있다. 또한, 잔수유출개선을 위해 상기 정수유로(122) 및 원수유로(141)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130)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되는 형태이거나, 상기 지지부재(130)에 접촉되어 마련되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별도의 부재로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잔수유출방지부(131)는 상기 커버(140) 내부공간에 물이 접촉될 수 있는 부분에 마련된다면, 그 위치는 무관할 수 있고, 상기 잔수유출방지부(131)의 재질은 원수 및 정수에 의하여 손상되거나 오염되지 않는 재질이라면 그 재질 또한 무관할 수 있다.
상기 잔수유출방지부(131)는 평단면의 형상이 나사산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나사산의 형상은 호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산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는 상기 잔수유출방지부(131)의 평단면 형상은, 당업자의 입장에서 잔수 개선을 위해 표면장력을 이용하면서 필터의 여과기능에 방해되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잔수유출방지부(131)는 기 결정된 크기의 홀(133)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 결정된 크기는,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착탈시에 잔수의 흐름을 개선할 정도로 당업자의 입장에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홀(133)의 개수 또한 당업자의 입장에서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착탈시에 잔수의 흐름을 개선할 정도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홀(133)은 상기 필터하우징(100) 내부로부터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잔수를 개선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홀(133)은 기 결정된 압력 이상이 가해질 경우, 표면장력이 작용하지 않을 수 있고, 기 결정된 압력 이하에서 표면장력이 작용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기 결정된 압력은, 상기 필터하우징(100)으로 유입된 원수가 상기 여과부(110)에서 여과되어, 여과된 정수가 상기 필터하우징(100) 외부로 유출되어지는 압력보다 작은 범위에서 상기 홀(133)의 크기와 함께 당업자의 입장에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홀(133)의 단면 형상은 원형, 다각형, 초승달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단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133)의 단면 형상은 당업자의 입장에서 잔수 개선을 위해 표면장력을 이용하면서 필터의 여과기능에 방해되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된다면, 그 형상은 무관할 수 있다.
상기 잔수유출방지부(131)에 마련될 수 있는 상기 홀(133)은, 슬릿(134)으로 대체될 수도 있으며, 상기 홀(133)과 상기 슬릿(134)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릿(134)의 구체적인 형상, 크기 및 개수 또한 기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슬릿(134)의 기 결정된 구체적인 형상, 크기 및 개수 또한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착탈시에 잔수의 흐름을 개선하면서도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여과 과정에 방해되지 않을 정도로 당업자의 입장에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잔수유출방지부(131)의 하부에는 압입돌출부(13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압입돌출부(132)는 상기 커버(140) 내측에 마련될 수 있는 단턱부(144)에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된 압입돌출부(132)와 단턱부(144)는, 상기 필터하우징(100) 착탈시, 상기 잔수유출방지부(131)의 유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단턱부(144) 및 상기 잔수유출방지부(131)의 최소화된 유격은 상기 필터하우징(100) 착탈시, 잔수의 흐름을 개선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압입돌출부(132)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압입돌출부(132)는 상기 커버(140)의 내부공간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단턱부(144)의 일측으로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압입은, 긴밀하게 삽입됨을 뜻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140)와 상기 잔수유출방지부(131)의 유격을 최소화하여 상기 필터하우징(100) 착탈시 잔수의 흐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입돌출부(132)는 상기 잔수유출방지부(131)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하단부의 측단면도 상의 가로폭이 상단부의 측단면도 상단부의 가로폭보다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상기 압입돌출부(132) 하단부의 측단면도 가로폭은 기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기 결정된 가로폭은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정수 필터의 여과과정에 방해되지 않으며 상기 필터하우징(100)과 상기 잔수유출방지부(131)와의 유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당업자의 입장에서 결정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잔수유출방지부(131)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서 도시된 잔수유출방지부(131)에 마련될 수 있는 홀(133)이다. 상기 홀(133)은 기 결정된 크기로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 결정된 크기의 상기 홀(133)은, 상기 필터하우징(100) 착탈시, 상기 필터하우징(100) 내부의 남아있던 잔수가 상기 필터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표면장력이 작용하는 범위에 한하고,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필터링 동작이 방해받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의 입장에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100)에 착탈될 수 있는 물을 사용하는 기기의 압력으로 상기 필터하우징(100) 내부로 물이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물을 사용하는 기기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물을 사용하는 기기는 미도시된 헤드(200)와 착탈될 수 있는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연결에 의하여 상기 필터하우징(100)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10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는 상기 원수유입구(142)를 통해 유입된 원수는 상기 필터하우징(100) 외부에 연결된 기기의 압력에 의하여 원수유로(141)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여과부(110)를 거쳐 여과된 정수는, 상기 바디부(120)에 저장되었다가, 정수 유출 시, 상기 정수유로(122)를 따라 이동하여 정수유출구(121)를 통하여 상기 필터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필터하우징(100)의 필터링 동작시 내부 압력은 상기 필터하우징(100) 착탈시의 내부 압력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잔수유출방지부(131)은,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필터링 동작시의 내부 압력보다 작을 경우, 표면장력이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잔수유출방지부(131)에 마련될 수 있는 홀(133)은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필터링 동작시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고, 상기 ??터하우징(100)의 착탈 시에 발생하는 표면장력을 이용해 잔수를 흐름을 개선할 수 있다.
도 6는 도 3에서 도시된 잔수유출방지부(131)에 마련될 수 있는 슬릿(134)이다. 상기 슬릿(134)은 기 결정된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 결정된 크기의 상기 슬릿(134)은, 상기 필터하우징(100) 착탈시, 상기 필터하우징(100) 내부의 남아있던 잔수가 상기 필터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표면장력이 작용하는 범위에 한하고,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필터링 동작이 방해받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의 입장에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100)에 착탈될 수 있는 물을 사용하는 기기의 압력으로 상기 필터하우징(100) 내부로 물이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물을 사용하는 기기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물을 사용하는 기기는 미도시된 헤드(200)와 착탈될 수 있는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연결에 의하여 상기 필터하우징(100)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10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는 상기 원수유입구(142)를 통해 유입된 원수는 상기 필터하우징(100) 외부에 연결된 기기의 압력에 의하여 원수유로(141)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여과부(110)를 거쳐 여과된 정수는, 상기 정수유로(122)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필터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필터하우징(100)의 필터링 동작시 내부 압력은 상기 필터하우징(100) 착탈시의 내부 압력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잔수유출방지부(131)는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필터링 동작시의 내부 압력보다 작을 경우, 표면장력이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잔수유출방지부(131)에 마련될 수 있는 슬릿(134)은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필터링 동작시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잇고,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착탈시에 발생하는 표면장력을 이용해 잔수의 흐름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필터하우징 110: 여과부
120: 바디부 121: 정수유출구
122: 정수유로 130: 지지부재
131: 잔수유출방지부 132: 압입돌출부
133: 홀 134: 슬릿
135: 돌기 140: 커버
141: 원수유로 142: 원수유입구
200: 헤드 210: 결합홈

Claims (12)

  1. 커버;
    상기 커버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여과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 접촉하며 상기 여과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상기 물의 유출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잔수유출방지부;를 포함하는 정수 필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유출방지부는 홀 및 슬릿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홀 및 슬릿은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필터하우징의 착탈 시, 표면장력, 점성을 포함한 다양한 물리적 현상들에 의해 잔수유출을 방지하는 정수 필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단면의 형상이 원형, 다각형 및 초승달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정수 필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유출방지부는, 원통형 및 다각기둥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정수 필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유출방지부는 평단면의 형상이 나사산의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나사산의 형상은 다각형 또는 호형의 형태로 마련되는 정수 필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유출방지부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커버 내측 단턱부;에 접촉되어 압입되는 압입돌출부;를 포함하는 정수 필터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은,
    상기 커버 일측에 마련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며 외부로부터 원수를 유입하는 원수유입구;
    상기 원수유입구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되는 원수유로;
    상기 원수유로부터 이동한 원수를 여과하는 복수 개의 상이한 필터로 이루어진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서 정화된 정수를 저장하는 바디부; 및
    상기 원수유로를 관통하며 마련되는 정수유로;를 포함하는 정수 필터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정수 필터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가운데 부분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원수유로 및 상기 정수유로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정수 필터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된 원수유로 및 정수유로가 복수 개로 마련되는 정수 필터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유출방지부는 별도의 부재로 상기 커버 내부 공간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정수 필터 장치.
  12. 제 1항 내지 11항의 정수 필터 장치가 적용된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200164079A 2020-11-30 2020-11-30 정수 필터 장치 KR102526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079A KR102526849B1 (ko) 2020-11-30 2020-11-30 정수 필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079A KR102526849B1 (ko) 2020-11-30 2020-11-30 정수 필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702A true KR20220075702A (ko) 2022-06-08
KR102526849B1 KR102526849B1 (ko) 2023-05-02

Family

ID=81980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079A KR102526849B1 (ko) 2020-11-30 2020-11-30 정수 필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84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3316A (ja) * 1986-01-30 1986-12-13 Kitamura Gokin Seisakusho:Kk 水栓類の蛇口に於けるしずく止め装置
KR20060034904A (ko) 2004-10-20 2006-04-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20028618A (ko) * 2010-09-15 2012-03-2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잔수의 배출방지가 가능한 출수구조
KR101964770B1 (ko) * 2017-10-12 2019-04-03 최태국 잔수유출이 방지되는 정수필터
KR102042637B1 (ko) * 2017-11-24 2019-11-08 주식회사 알카메디 잔류수 배출방지 및 필터 인식기능을 구비한 복합필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3316A (ja) * 1986-01-30 1986-12-13 Kitamura Gokin Seisakusho:Kk 水栓類の蛇口に於けるしずく止め装置
KR20060034904A (ko) 2004-10-20 2006-04-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20028618A (ko) * 2010-09-15 2012-03-2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잔수의 배출방지가 가능한 출수구조
KR101964770B1 (ko) * 2017-10-12 2019-04-03 최태국 잔수유출이 방지되는 정수필터
KR102042637B1 (ko) * 2017-11-24 2019-11-08 주식회사 알카메디 잔류수 배출방지 및 필터 인식기능을 구비한 복합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6849B1 (ko) 202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83269B (zh) 过滤器组件
US9139452B2 (en) Water filter assembly
US20120261355A1 (en) Filter-in-filter with funnel shaped passageway
KR200390280Y1 (ko) 정수기용 필터 카트리지
US20140158590A1 (en) Apparatus for a parallel flow manifold system for water filtration
KR101148053B1 (ko) 정수기 필터 조립체
WO2005107919A2 (en) Cartridge filter system
KR101282133B1 (ko) 정수장치의 필터간 유량 균등분배 구조
KR102526849B1 (ko) 정수 필터 장치
RU2436617C2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воды и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такой системы
KR100982699B1 (ko) 정수용 필터와 이를 위한 필터 카트리지
KR100476096B1 (ko) 정수기용 필터
KR100888647B1 (ko) 정수기용 필터 장치
US11167228B2 (en) Point of entry water filter assembly
KR101206645B1 (ko) 외부밸브 승강식 오토 셧오프밸브가 구비된 필터 조립체
KR101336753B1 (ko) 정수 필터
US20040238428A1 (en) Wet sump filter adapter
KR102064984B1 (ko)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의 커넥팅구조
KR20100137638A (ko) 정수필터장치
KR20110001058U (ko) 수처리용 필터장치
RU2580732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регенерируемый фильтр
KR200171639Y1 (ko) 와이어 컷팅 머신의 필터 하우징 구조
CN112675593B (zh) 过滤组件、原水箱、水箱组件和净水设备
KR200337362Y1 (ko) 스트레이너
KR200317263Y1 (ko) 정수기용 필터 카트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