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5491A - Energy saving suction type dust collector with ozone reduction filter - Google Patents

Energy saving suction type dust collector with ozone reduction fil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5491A
KR20220075491A KR1020200163607A KR20200163607A KR20220075491A KR 20220075491 A KR20220075491 A KR 20220075491A KR 1020200163607 A KR1020200163607 A KR 1020200163607A KR 20200163607 A KR20200163607 A KR 20200163607A KR 20220075491 A KR20220075491 A KR 20220075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uction filter
ozone reduction
frame
ozone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6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훈
이병준
박진철
이민호
설동규
Original Assignee
(주)선재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재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선재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200163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5491A/en
Priority to CN202111087568.8A priority patent/CN114570527A/en
Priority to PCT/KR2021/015195 priority patent/WO2022114549A1/en
Publication of KR20220075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4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6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51Catch- space electrodes, e.g. slotted-box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10Single element gases other than halogens
    • B01D2257/106Oz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면에 복수의 팬 삽입공이 형성되는 커버 하우징, 상기 팬 삽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후방으로 유도하는 흡입 팬을 포함하는 석션 어셈블리, 상기 석션 어셈블리 후방에 형성되며 내부 공간을 갖는 틀인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 내부에 일렬로 배치된 다수개의 홀이 타공된 판상 전극을 포함하는 컬렉터 전극부와, 상기 제1 프레임과 대응되는 형상인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내부를 가로질러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되, 상기 홀의 중심점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와이어 전극을 포함하는 에미터 전극부를 구비한 셀 어셈블리, 상기 판상 전극과 상기 와이어 전극에 상호 상반되는 극성의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흡입 팬 전방에 형성되며 오존을 제거가 가능한 오존 환원 필터를 포함한다.An energy-saving suction typ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n ozone reduction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housing in which a space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fan insertion holes are formed on one surface, and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n insertion hole to allow air flow A suction assembly including a suction fan for guiding a rear side, a first frame formed behind the suction assembly and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a plate-shaped electrod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rranged in a line inside the first frame a collector electrode part, a second fram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ame, and a plurality of wire electro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ross the inside of the second frame to correspond to the center point of the hole It includes a cell assembly having an emitter electrode, a power supply for applying power of opposite polarities to the plate-shaped electrode and the wire electrode, and an ozone reduction filter formed in front of the suction fan and capable of removing ozone.

Description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 {Energy saving suction type dust collector with ozone reduction filter}Energy saving suction type dust collector with ozone reduction filter

본 발명은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정상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포집할 수 있을뿐더러,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하여 집진 과정에서 발생 될 수 있는 오존을 제거할 수 있는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ergy-saving suction typ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n ozone reduction filter, and more particularly, it can collect fine dust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and includes an ozone reduction filter to be generated during the dust collection process. It relates to an energy-saving suction typ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n ozone reduction filter capable of removing ozone.

반도체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se) 등의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을 위한 클린룸 내의 아주 미세한 입자의 분진 등의 부유물 포집하는 방식으로 전기 집진기가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상기 전기 집진기의 원리는 전극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켜 그 공간에 분진을 함유한 가스를 흐르게 하고 이를 이온화하여 이온화된 분진을 각 전극에 모아서 포착 집진시키는 것이다.Electrostatic precipitators are actively used as a method of collecting suspended matter such as very fine particles of dust in a clean room for a display manufacturing process such as a semiconductor or 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principle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to generate a corona discharge from an electrode, flow a gas containing dust in the space, and ionize it to collect and collect the ionized dust at each electrode.

최근 국내 반도체 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게서 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림프조혈기계 암 등의 질병이 발생함에 따라 반도체 제조환경이 입자, 온도, 습도, 차압, 산, 염기, 유기물 등의 오염인자를 극도로 제어한 초청정 클린룸 임에도 불구하고, 작업환경에 대한 보건관점에서의 안전성 또는 유해성여부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작업환경에서의 가스·화학 물질과 같은 화학적 인자 및 비전리방사선 등과 같은 물리적 인자 등에 대한 노출평가 및 역학 조사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Recently, as diseases such as leukemia, aplastic anemia, and cancer of the lymph and hematopoietic system occur among workers in the domestic semiconductor industry,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nvironment is extremely sensitive to contaminants such as particles, temperature, humidity, differential pressure, acids, bases, and organic matter. Despite being a controlled ultra-clean room, interest in safety or harmfulness in the working environment from a health point of view is rising, and chemical factors such as gases and chemicals i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physical factors such as non-ionizing radiation Studies on exposure assessment and epidemiologic investigations are being reported.

오존은 특히 확산공정에서 웨이퍼 표면에 자연산화막을 성장시켜 제품의 수율, 품질과 신뢰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외기 오존 농도가 높아지는 하절기에 특별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Ozone has a great effect on product yield, quality and reliability by growing a natural oxide film on the wafer surface, especially in the diffusion process.

상기 전기 집진기는 집진 과정에서 오존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오존은 제품의 불량으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문제점이 있었다.The electric dust collector may generate ozone during the dust collection process, and such ozone not only leads to product defects, but also has a problem that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3228호 (2012.09.10.)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183228 (2012.09.10.)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집진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존을 환원시키는 필터를 구비하여 인체 유해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equipped with a filter for reducing ozone that may be generated during the dust collection process, and an energy-saving suction type fine dust equipped with an ozone reduction filter that can minimize harmfulness to the human body. To provide a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면에 복수의 팬 삽입공이 형성되는 커버 하우징, 상기 팬 삽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후방으로 유도하는 흡입 팬을 포함하는 석션 어셈블리, 상기 석션 어셈블리 후방에 형성되며 내부 공간을 갖는 틀인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 내부에 일렬로 배치된 다수개의 홀이 타공된 판상 전극을 포함하는 컬렉터 전극부와, 상기 제1 프레임과 대응되는 형상인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내부를 가로질러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되 상기 홀의 중심점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와이어 전극을 포함하는 에미터 전극부를 구비한 셀 어셈블리, 상기 판상 전극과 상기 와이어 전극에 상호 상반되는 극성의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흡입 팬 전방에 형성되며 오존을 제거가 가능한 오존 환원 필터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nergy-saving suction typ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n ozone reduction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housing in which a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fan insertion holes are formed on one surface, and corresponding to the fan insertion hole. A suction assembly including a suction fan formed at a position to guide the flow of air rearward, a first frame that is formed behind the suction assembly and is a frame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a plurality of holes arranged in a line inside the first frame A collector electrode part including the perforated plate-shaped electrode, a second fram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ame, and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nd parallel to each other across the inside of the second frame ar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center point of the hole A cell assembly having an emitter electrode part including a wire electrode of Includes filters.

또한, 상기 에미터 전극부 후방에 형성되며,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절연 재질의 보호 패널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protective panel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formed behind the emitter electrode portion,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 guiding the air flow is formed.

또한, 상기 오존 환원 필터는 상기 흡입 팬을 매개로 유입되는 공기를 이송하는 파이프를 포함하여, 상기 파이프를 통해 유입된 오존을 환원시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zone reduction filter includes a pipe for transferr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fan, and reduces and removes the ozone introduced through the pipe.

또한, 상기 팬 삽입공이 형성되는 커버 하우징 외면에 결합되는 오존 환원 필터 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오존 환원 필터 커버는 상기 팬 삽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 공기유입공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오존 환원 필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 브라켓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 브라켓은 상기 팬 삽입공과 상기 제1 공기유입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공기유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further comprising an ozone reduction filter cover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in which the fan insertion hole is formed, wherein the ozone reduction filter cover has a first air inlet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n insertion hole, and the ozone reduction filter cover is formed inside An accommodating space bracket for accommodating the filter is formed, and the accommodating space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air inlet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n insertion hole and the first air inlet hole.

본 발명에 따른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는 전기 집진 과정에서 발생 될 수 있는 오존을 제거할 수 있는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전기 집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존이 공기중으로 무작위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오존에 의한 인체 유해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energy-saving suction typ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n ozone reduction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zone reduction filter capable of removing ozone that may be generated dur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on process, so that ozone generated dur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on process is released into the air. Random emission can be prevented, and this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harm to the human body due to oz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를 나타낸 후측면도(a)와 상측면도(b)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를 커버 하우징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를 구성하는 셀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를 구성하는 오존 환원 필터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를 구성하는 오존 환원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ergy-saving suction typ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n ozone reduction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side view (a) and an upper side view (b) showing an energy-saving suction typ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equipped with an ozone reduction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over housing of the energy-saving suction typ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n ozone reduction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cell assembly constituting an energy-saving suction typ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n ozone reduction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zone reduction filter cover constituting the energy-saving suction typ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the ozone reduction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ozone reduction filter constituting an energy-saving suction typ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n ozone reduction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rrespective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item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defined in particula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를 나타낸 후측면도(a)와 상측면도(b)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를 커버 하우징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ergy saving suction typ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n ozone reduction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nergy saving suction typ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n ozone reducing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a) and an upper side view (b),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over housing of the energy-saving suction typ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equipped with the ozone reduction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1 to 3, an energy-saving suction typ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n ozone reduction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는 크게, 커버 하우징(100), 석션 어셈블리(200), 셀 어셈블리(300), 전원공급부(400), 오존 환원 필터(500)를 포함한다.The energy-saving suction typ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n ozone reduction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a cover housing 100 , a suction assembly 200 , a cell assembly 300 , a power supply unit 400 , and an ozone reduction filter 500 . ) is included.

먼저, 커버 하우징(100)은 내부에 공간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일면에 복수의 팬 삽입공(121)이 형성된다.First, the cover housing 100 has a space (not shown)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fan insertion holes 121 are formed on one surface.

상기 커버 하우징(100)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복수의 팬 삽입공(121)이 형성되는 후면 커버부(120)와, 상기 후면 커버부와 이격 배치되는 전면 커버부(미도시)와, 상기 후면 커버부(120)와 상기 전면 커버부의 하부와 측부 모서리를 각각 연결하는 하측 커버부(미도시)와 측면 커버부(130) 및 상기 후면 커버부(120)와 상기 전면 커버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측 커버부(110)를 포함한다.To describe the cover housing 100 in more detail, the rear cover part 120 in which the plurality of fan insertion holes 121 are formed, and the front cover part (not shown) spaced apart from the rear cover part and a lower cover part (not shown) and a side cover part 130 and an upper part of the rear cover part 120 and the front cover part connecting the rear cover part 120 and the lower part and the side edges of the front cover part, respectively. and an upper cover part 110 formed on the .

상기 전면 커버부는 외부 공기가 후술할 셀 어셈블리(3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중공부(미도시)가 형성되는 액자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ront cover part may have a frame-like shape in which a hollow part (not shown) is formed so that external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cell assembly 30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상측 커버부(110) 또는 하측 커버부(미도시)는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커버 하우징(100) 내 형성되는 각 구성요소를 수리 및 교체를 포함하는 유지보수를 용이하기 위한 어떠한 결합구조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upper cover part 110 or the lower cover part (not shown) may b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cludes repair and replacement of each component formed in the cover housing 100 . Of course, it can be made of any combination structure for easy maintenance.

또한, 상기 커버 하우징(100) 내부에는 각 구성요소를 고정 또는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부, 지지부 등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upling part, a support part, etc. may be formed inside the cover housing 100 to fix or couple each component.

또한, 상기 측면 커버부(130)의 일측에는 후술할 컬렉터 전극부(310)와 에미터 전극부(320) 각각에 고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고전압 입력 단자(131)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high voltage input terminal 131 capable of supplying a high voltage to each of a collector electrode part 310 and an emitter electrode part 32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cover part 130 .

상기 고전압 입력 단자(131)는 컬렉터 전극부(310) 및 에미터 전극부(320) 및 와 각각 연결되어 후술할 전원공급부로부터 고전압의 전원을 입력받아 셀 어셈블리(300)로 전달할 수 있는 매개가 된다.The high voltage input terminal 131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electrode part 310 and the emitter electrode part 320 and respectively to receive high voltage power from a power suppl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a medium capable of delivering it to the cell assembly 300 . .

다음, 석션 어셈블리(200)는 소정의 기류를 형성하여 후술할 셀 어셈블리(300)의 집진 과정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Next, the suction assembly 200 is based on forming a predetermined air flow so that the dust collection process of the cell assembly 30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상기 석션 어셈블리(200)는 상기 커버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후면 커버부(120) 후면에 형성된다.The suction assembly 200 is formed inside the cover housing 100 , and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over part 120 .

상기 석션 어셈블리(200)는 상기 팬 삽입공(12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후방으로 유도하는 흡입 팬(210)을 포함한다.The suction assembly 200 includes a suction fan 210 that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n insertion hole 121 to guide the flow of air rearward.

또한, 상기 석션 어셈블리(200)는 상기 후면 커버부(120)와 상기 흡입 팬(210) 사이에 상기 팬 삽입공(121)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팬 커버(32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uction assembly 200 further includes a fan cover 320 formed to cover the fan insertion hole 121 between the rear cover part 120 and the suction fan 210 .

상기 팬 커버(320)는 상기 팬 삽입공(121)을 커버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입 팬(310)의 노출을 커버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또한, 이물질의 외부 배출을 일정 수준 차단할 수 있는 필터 성능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다.The fan cover 320 is formed to cover the fan insertion hole 121 to cover the exposure of the suction fan 310, and also has a filter performance that can block the external discharge of foreign substances to a certain level. formed to hav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를 구성하는 셀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cell assembly constituting an energy-saving suction typ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n ozone reduction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더 참조하여 셀 어셈블리(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cell assembly 300 will be described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 4 .

셀 어셈블리(300)는 상기 석션 어셈블리(200) 후방에 형성되는 컬렉터 전극부(310)와 상기 컬렉터 전극부(310) 후방에 형성되는 에미터 전극부(320)를 포함한다.The cell assembly 300 includes a collector electrode part 310 formed behind the suction assembly 200 and an emitter electrode part 320 formed behind the collector electrode part 310 .

상기 컬렉터 전극부(310)는 내부에 내부 공간을 갖도록 액자 형상으로 형성된 틀인 제1 프레임(311)과, 상기 제1 프레임(311)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판상 전극(312)을 포함한다.The collector electrode part 310 includes a first frame 311 which is a frame formed in a frame shape to have an internal space therein, and a plate-shaped electrode 312 form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frame 311 .

상기 판상 전극(312)은 일렬로 배치된 다수개의 홀(313)이 타공형성된다.In the plate-shaped electrode 312 , a plurality of holes 313 arranged in a line are perforated.

상기 홀(313)에 의해 주변 공기의 이온풍을 형성하고 공기 중의 부유물을 포집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대전이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상기 판상 전극(312)은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도전성 고분자 물질 등과 같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홀(313)의 형상은 직경 10mm 내외의 원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다른 형상으로 변경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hole 313 can form an ion wind in the surrounding air and collect suspended matter in the air, and in order to enable efficient charging, the plate-shaped electrode 312 is electrically conductive such as a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or a conductive polymer material. It is made of a material, and the shape of the hole 313 is preferably a circular shape with a diameter of about 10 mm, but may be changed to another shape.

상기 판상 전극(312)에는 외부에 구비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에 형성된 고전압 변압기(미도시)를 경유하여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전극으로 대전되는바, 특히 상기 로드 전극에는 -5 kV, 상기 판상 전극(312)에는 +5 kV를 인가시켜 10kV의 전위차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 power is applied to the plate-shaped electrode 312 via a high voltage transformer (not shown) formed in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provided externally, thereby being charged as a + electrode. In particular, the load electrode has -5 kV , it is preferable to apply +5 kV to the plate-shaped electrode 312 to have a potential difference of 10 kV.

상기 에미터 전극부(320)는 상기 판상 전극(312)과 소정 간격 이격된 후방 지점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 프레임(311)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2 프레임(321)과, 상기 제2 프레임(321)의 내부를 가로질러 서로 평행하게 이격배치되는 와이어 전극(322)을 포함한다.The emitter electrode part 320 is formed at a rear point spaced apart from the plate-shaped electrode 3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cludes a second frame 32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first frame 311 , and the second It crosses the inside of the frame 321 and includes wire electrodes 32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이때, 상기 와이어 전극(32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홀(313)의 중심점(313-1)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In this case, the wire electrode 322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center point 313 - 1 of the hole 313 when viewed from the front as shown in FIG. 4 .

상기 와이어 전극(322)은 각각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도전성 고분자 물질 등과 같은 도전성 재질로, 특히 두께가 미세하여 전계를 집중시키는 데 용이한 직경 0.15mm의 SUS 와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에 형성된 고전압 변압기(미도시)를 경유하여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전극으로 대전된다.Each of the wire electrodes 322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or a conductive polymer material, and is preferably a SUS wire having a diameter of 0.15 mm which is easy to concentrate an electric field due to its fine thickness, and a high voltage formed outside. (-) power is applied via a transformer (not shown), so that it is charged with the (-) electrode.

이를 통하여, 상기 와이어 전극(322)의 방전은 전계집중 포인트인 도 4 상의 P 지점에 집중되며, 판상 전극(312) 내 홀(313)의 첨두 부분으로 전하의 이동이 이루어지며 쿨롱력에 의하여 와이어 전극(322) 주변의 공기가 판상 전극(312)의 홀(313) 측으로 향하는 이온풍이 형성된다.Through this, the discharge of the wire electrode 322 is concentrated at the point P in FIG. 4 which is the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point, and the electric charge moves to the peak of the hole 313 in the plate-shaped electrode 312, and the wire by the Coulomb force An ion wind is formed in which air around the electrode 322 is directed toward the hole 313 of the plate-shaped electrode 312 .

이때, 에미터(emitter)로 기능하는 와이어 전극(322)과 컬렉터(collector)로 기능하는 판상 전극(312) 간의 전위차(10 kV)에 의하여 코로나 방전이 이루어지고, 기본적으로 중성인 부유물을 대전시킴으로써, 쿨롱력에 의하여 (-)극성의 와이어 전극(322)은 (+)극성의 부유물을, (+)극성의 판상 전극(122)은 (-)극성의 부유물을 끌어당겨 공기 중의 먼지 등과 같은 부유물을 포집하게 된다.At this time, corona discharge is made by the potential difference (10 kV) between the wire electrode 322 functioning as an emitter and the plate-shaped electrode 312 functioning as a collector, and by charging a basically neutral floating object. , by the Coulomb force, the (-) polarity wire electrode 322 attracts the (+) polarity float, and the (+) polarity plate-shaped electrode 122 attracts the (-) polarity float, and the suspended matter such as dust in the air will collect

이러한 컬렉터 전극부(310)와 에미터 전극부(320)는 상기 제1 프레임(311)의 후면과 상기 제2 프레임(321)의 전면이 서로 맞닿도록 결합되어 하나의 구조체로서 일체로 조립될 수 있으며, 그 자체로 상기 커버 하우징(100)에서 탈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이 때 상기 와이어 전극(322)과 상기 판상 전극(312)은 서로 소폭 이격된 간격을 보장받아야 할 것인바, 전후방으로 일정 두께를 갖도록 상기 제1,2 프레임(311,321)을 형성한 상태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판상 전극(312)은 제1 프레임(311)의 내부 둘레에서 최후방 측으로 배치되고, 와이어 전극(322)은 제2 프레임(321)의 내부 둘레에서 최전방 측에 배치시켜 상기 제 1,2 프레임의 두께를 최대한 활용하여 전극 간 이격 간격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collector electrode part 310 and the emitter electrode part 320 are combined so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frame 311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frame 32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be integrally assembled as one structure. And, it is possible to be detached from the cover housing 100 by itself. In particular, at this time, the wire electrode 322 and the plate-shaped electrode 312 should be guaranteed to be spaced apart slightly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plate-shaped electrode 312 is disposed in the rearmost side in the inner periphery of the first frame 311, the wire electrode 322 is disposed in the frontmost side in the inner periphery of the second frame 321, the first, 2 It would be desirable to make the most of the thickness of the frame to ensure the spacing between the electrodes.

다음, 전원 공급부(미도시)는 기본적으로 상기 판상 전극(312)과 상기 와이어 전극(322)에 상호 상반되는 극성의 전원을 인가시키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에는 입력단자가 구비되며, 입력된 전원은 과부하를 차단하는 퓨즈 및 메인 전원스위치를 경유하여 직류변환기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입력단자의 일측에는 출력단자가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Next, 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basically applies power of opposite polarities to the plate-shaped electrode 312 and the wire electrode 322, and for this purpose, the power supply unit is provided with an input terminal, Power is supplied to the DC converter via a fuse that blocks overload and the main power switch. In addition, an output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put terminal.

다음, 오존 환원 필터(500)는 상기 흡입 팬(210)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셀 어셈블리(300)의 집진 과정에서 발생한 오존을 제거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Next, the ozone reduction filter 500 is formed in front of the suction fan 210 , and is based on removing ozone generated in the dust collecting process of the cell assembly 300 .

상기 오존 환원 필터(500)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ozone reduction filter 5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상기 오존 환원 필터(500)는 상기 석션 어셈블리(20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팬 삽입공(121)이 형성되는 커버 하우징(100) 외면, 즉, 후면 커버부(120)에 결합되는 오존 환원 필터 커버(700)가 더형성되어, 상기 오존 환원 필터 커버(700) 내측에 형성된다.The ozone reduction filter 500 may be configured to be included in the suction assembly 200, but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100 in which the fan insertion hole 121 is formed, that is, the rear cover part 120. An ozone reduction filter cover 700 is further formed, and is formed inside the ozone reduction filter cover 700 .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를 구성하는 오존 환원 필터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zone reduction filter cover constituting the energy-saving suction typ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the ozone reduction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더 참조하여, 오존 환원 필터 커버(7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With further reference to FIG. 5 , the ozone reduction filter cover 700 will be described.

상기 오존 환원 필터 커버(700)는 상기 팬 삽입공(12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 공기유입공(711)이 형성되는 필터 커버 상부면(710)이 상기 후면 커버부(120)와 이격배치된다.The ozone reduction filter cover 700 has a filter cover upper surface 710 having a first air inlet hole 711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n insertion hole 121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cover part 120 do.

상기 필터 커버 상부면(710)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이격배치되는 만큼의 높이를 가지는 제1 필터 커버 측면부(720)가 형성된다.A first filter cover side portion 720 having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spaced apart arrangement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lter cover upper surface 710 .

이때, 상기 제1 필터 커버 측면부(7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 커버부(120)와 결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first filter cover side portion 72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coupled to the rear cover portion 120 as shown in FIG. 5 ,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필터 커버 상부면(710) 내측에는 상기 오존 환원 필터(5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 브라켓(750)이 형성된다.An accommodation space bracket 750 for accommodating the ozone reduction filter 500 is formed inside the filter cover upper surface 710 .

상기 수용공간 브라켓(750)은 상기 팬 삽입공(121)과 상기 제1 공기유입공(7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공기유입공(751)이 형성된다.In the accommodation space bracket 750 , a second air inlet 75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n insertion hole 121 and the first air inlet 711 .

상기 수용공간 브라켓(750)은 상기 팬 삽입공(121)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ccommodation space bracket 750 is preferably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fan insertion hole 121 .

상기 오존 환원 필터 커버(700)는 상기 수용공간 브라켓(750) 내부에 상기 오존 환원 필터(500)가 수용되고, 상기 오존 환원 필터(5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2 필터 커버 측면부(730)가 형성된다.The ozone reduction filter cover 700 accommodates the ozone reduction filter 500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bracket 750 , and a second filter cover side part 730 for preventing the ozone reduction filter 500 from being separated. is form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를 구성하는 오존 환원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6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ozone reduction filter constituting an energy-saving suction typ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n ozone reduction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오존 환원 필터(500)에 대해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6 , the ozone reduction filter 5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gain.

상기 오존 환원 필터(500)는 상기 수용공간 브라켓(750)을 매개로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존을 제거하는 것으로, 자연적인 환원 소멸을 위해 일정 수준의 고온 및 고압 조건을 제공하는 공간이거나, 또는 전이금속 산화물의 촉매작용으로 오존을 산소로 분해시키는 촉매필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존 환원 필터(500)와 상기 흡입 팬(310) 사이에는 내부 공기가 유출없이 상기 오존 환원 필터(500)로 포집될 수 있도록 파이프(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ozone reduction filter 500 is to remove ozone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bracket 750, and is a space that provides a certain level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nditions for natural reduction and extinction, or It may be a catalytic filter that decomposes ozone into oxygen by catalysis of transition metal oxides. In addition, a pipe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ozone reduction filter 500 and the suction fan 310 so that internal air can be collected by the ozone reduction filter 500 without outflow.

상기 셀 어셈블리(300)의 와이어 전극(322)에서 흘러나온 전자들이 대기 중의 산소에 적용되면 산소는 충격으로 분리되어 다른 산소와 결합해 오존을 발생시킬 개연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과정으로 발생된 오존이 공기 중으로 무작위 방출되어 공기 중 오존 농도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이게 되면 건강에 유해한 작용을 할 수 있다. When electrons flowing out from the wire electrode 322 of the cell assembly 300 are applied to oxygen in the atmosphere, the oxygen is separated by impact and is highly likely to generate ozone by combining with other oxygen. Ozone generated through this process is randomly released into the air and raises the ozone concentration in the air above a certain level, which can have a harmful effect on health.

상기 오존 환원 필터 커버(700) 및 오존 환원 필터(340)를 구비함에 따라 본 발명의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는 신체 유해성을 최소화할 수 있어 산업용뿐만 아니라 가정용으로도 안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As the ozone reduction filter cover 700 and the ozone reduction filter 340 are provided, the energy-saving suction typ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equipped with the ozone reduction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harmfulness to the body, so it can be used not only for industrial purposes but also for home use. It can be applied stably.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고전압이 인가되는 셀 어셈블리(300)가 외부 접촉으로부터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보호 패널(600)을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energy-saving suction typ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n ozone reduction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tective panel ( 600) is further included.

상기 보호 패널(600)은 공기의 흐름을 보장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610)이 형성된 절연 재질의 패널로, 상기 에미터 전극부(320) 후방에 형성된다.The protection panel 600 is an insulating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610 are formed to ensure air flow, and is formed behind the emitter electrode part 320 .

상기 보호 패널(600)은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 커버부에 별도의 브라켓이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세정을 위하여 셀 어셈블리(300)를 커버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보호 패널(600)이 상기 전면 커버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보호 패널(600)에 별도의 조작을 가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 유지 보수 과정이 간편해진다.In order to facilitate maintenance, the protection panel 6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separate bracket is provided on the front cover part to be coupled to the bracket. In this case,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cell assembly 300 from the cover housing 100 for cleaning, the protection panel 600 is coupled to the front cover part, so that no separate operation is applied to the protection panel 600 . This simplifies the maintenance process.

상기 브라켓은 와이어 전극(322)과 보호 패널(600) 간 거리가 상기 브라켓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공기의 흐름에도 제약없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bracket is design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wire electrode 322 and the protection panel 600 is spaced apart by the thickness of the bracket so that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flow of ai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는 상술한 셀 어셈블리(300)를 이용한 중성의 일반 유기 물질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금속 부유 물질을 집진하는데 활용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지 않고서도 안정된 자기장을 발생, 유지하는 영구 자석(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ergy-saving suction typ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n ozone reduction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collect not only neutral general organic substances using the above-described cell assembly 300 but also metal suspended substances from the outside. It may further include a permanent magnet (not shown) for generating and maintaining a stable magnetic field without receiving electrical energy.

상기 영구 자석은 상기 전면 커버부에 외측 둘레 부위를 따라 복수 개 부착 형성되어 상기 흡입 팬(210)에 의한 기류를 따라 유입되는 금속 부유 물질이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cover part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and the floating metal material introduced along the airflow by the suction fan 210 may be attached to the permanent magnets.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커버 하우징
110: 상측 커버부
120: 후면 커버부
121: 팬 삽입공
130: 측면 커버부
200: 석션 어셈블리
210: 흡입 팬
220: 팬 커버
300: 셀 어셈블리
310: 컬렉터 전극부
311: 제1 프레임
312: 판상 전극
313: 홀
320: 에미터 전극부
321: 제2 프레임
322: 와이어 전극
400: 전원 공급부
500: 오존 환원 필터
600: 보호 패널
610: 통공
700: 오존 환원 필터 커버
710: 필터 커버 상부면
711: 제1 공기 유입공
720: 제1 필터 커버 측면부
730: 제2 필터 커버 측면부
750: 수용공간 브라켓
751: 제2 공기 유입공
100: cover housing
110: upper cover part
120: rear cover part
121: fan insert hole
130: side cover part
200: suction assembly
210: suction fan
220: fan cover
300: cell assembly
310: collector electrode unit
311: first frame
312: plate electrode
313: Hall
320: emitter electrode part
321: second frame
322: wire electrode
400: power supply
500: ozone reduction filter
600: protection panel
610: through hole
700: ozone reduction filter cover
710: filter cover upper surface
711: first air inlet hole
720: first filter cover side part
730: second filter cover side part
750: accommodating space bracket
751: second air inlet hole

Claims (4)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면에 복수의 팬 삽입공이 형성되는 커버 하우징;
상기 팬 삽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후방으로 유도하는 흡입 팬을 포함하는 석션 어셈블리;
상기 석션 어셈블리 후방에 형성되며 내부 공간을 갖는 틀인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 내부에 일렬로 배치된 다수개의 홀이 타공된 판상 전극을 포함하는 컬렉터 전극부와, 상기 제1 프레임과 대응되는 형상인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내부를 가로질러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되, 상기 홀의 중심점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와이어 전극을 포함하는 에미터 전극부를 구비한 셀 어셈블리;
상기 판상 전극과 상기 와이어 전극에 상호 상반되는 극성의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흡입 팬 전방에 형성되며, 오존을 제거가 가능한 오존 환원 필터;를 포함하는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
a cover housing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 plurality of fan insertion holes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 suction assembly including a suction fa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n insertion hole to guide a flow of air rearward;
A collector electrode unit including a first frame formed at the rear of the suction assembly, which is a frame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a plate-shaped electrod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perforated in a line in the first frame,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ame a cell assembly including a second frame having a shape and an emitter electrod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wire electro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ross the inside of the second frame and disposed to correspond to a center point of the hole;
a power supply for applying power having opposite polarities to the plate-shaped electrode and the wire electrode; and
An energy-saving suction typ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n ozone reduction filter comprising; an ozone reduction filter that is formed in front of the suction fan and capable of removing oz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터 전극부 후방에 형성되며,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절연 재질의 보호 패널을 더 포함하는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energy-saving suction-typ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n ozone reduction filter that is formed behind the emitter electrode and further includes a protective panel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 guiding the flow of 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 환원 필터는,
상기 흡입 팬을 매개로 유입되는 공기를 이송하는 파이프를 포함하여,
상기 파이프를 통해 유입된 오존을 환원시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zone reduction filter,
Including a pipe for transporting the air flowing in through the suction fan,
An energy-saving suction typ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n ozone reduction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zone introduced through the pipe is reduced and remo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 삽입공이 형성되는 커버 하우징 외면에 결합되는 오존 환원 필터 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오존 환원 필터 커버는,
상기 팬 삽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 공기유입공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오존 환원 필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 브라켓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 브라켓은 상기 팬 삽입공과 상기 제1 공기유입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공기유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환원 필터를 구비한 에너지절감형 흡입식 미세먼지포집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zone reduction filter cover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housing in which the fan insertion hole is formed,
The ozone reduction filter cover,
A first air inlet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n insertion hole, and an accommodation space bracket for accommodating the ozone reduction filter is formed inside, and the accommodation space bracket corresponds to the fan insertion hole and the first air inlet hole An energy-saving suction-typ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n ozone reduction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air inlet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it is used.
KR1020200163607A 2020-11-30 2020-11-30 Energy saving suction type dust collector with ozone reduction filter KR20220075491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607A KR20220075491A (en) 2020-11-30 2020-11-30 Energy saving suction type dust collector with ozone reduction filter
CN202111087568.8A CN114570527A (en) 2020-11-30 2021-09-16 Energy-saving suction type dust collection device with ozone reduction filter
PCT/KR2021/015195 WO2022114549A1 (en) 2020-11-30 2021-10-27 Energy-saving suction type f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with ozone reduction fil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607A KR20220075491A (en) 2020-11-30 2020-11-30 Energy saving suction type dust collector with ozone reduction fil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491A true KR20220075491A (en) 2022-06-08

Family

ID=8175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607A KR20220075491A (en) 2020-11-30 2020-11-30 Energy saving suction type dust collector with ozone reduction filt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20075491A (en)
CN (1) CN114570527A (en)
WO (1) WO2022114549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228B1 (en) 2010-07-08 2012-09-14 주식회사 맥스텍 Electrostatic precipitato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5628A (en) * 1998-06-24 2000-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ir cleaner and air conditioner
KR101119078B1 (en) * 2009-04-14 2012-03-20 (주)선재하이테크 apparatus for collecting suspended particle
US20130047858A1 (en) * 2011-08-31 2013-02-28 John R. Bohl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with collection charge plates divided into electrically isolated banks
TWM436140U (en) * 2012-04-03 2012-08-21 Wei Sun
KR102130743B1 (en) * 2013-11-01 2020-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Filter Module
CN205048592U (en) * 2015-10-23 2016-02-24 苏州瓷气时代净化设备有限公司 Take electrostatic air purification device of arm -tie
KR101849916B1 (en) * 2016-03-18 2018-04-18 (주)선재하이테크 Suction Type Dust Coll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228B1 (en) 2010-07-08 2012-09-14 주식회사 맥스텍 Electrostatic precipit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570527A (en) 2022-06-03
WO2022114549A1 (en)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14178B1 (en) Air cleaning apparatus
JP3852429B2 (en) Air cleaner
KR100859840B1 (en) Air cleaning device
KR100724556B1 (en) Inductio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20180054881A (en) High-speed ion-air-sucking low-temperature plasma air purifier
KR101849916B1 (en) Suction Type Dust Collector
KR102209304B1 (en) Plasma sterilizing module and air purifier including for the same
KR101957095B1 (en) Small-sized air purifier with electrostatic precipitation function
WO2015163659A1 (en) Dust-collection type air purifier
CA2823669A1 (en)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air from non-desired components and for eliminating such components
KR101993644B1 (en) Air Purifying Module
KR101042141B1 (en) odor removal electronic occurrence system of high frequency pulsed
CN212309283U (en) Air purifier
KR20220075491A (en) Energy saving suction type dust collector with ozone reduction filter
KR20160101408A (en) 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WO2006024220A1 (en) A detachable air cleaning machine
JP2018008045A (en) Plasma purification module
KR101843489B1 (en) Air purifying ion generator for removal of airborne particulate matter and microbial-contaminants
KR20200070567A (en) Plasma sterilizing module and air purifier including for the same
US20220314235A1 (en) Method and Device for Ozone-free Separation of Components in the Corona Discharge Zone
KR101574998B1 (en) Electric dust collecting filter reducing quantity of ozone
KR200410985Y1 (en) Inductio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1569629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air
KR200401018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the dust by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JP2007196199A (en) Discharge device, air cleaning apparatus and air-flow generating device equipped with the discharge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