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4733A - Posture control method for conveying objects and conveying system - Google Patents

Posture control method for conveying objects and convey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733A
KR20220074733A KR1020210148251A KR20210148251A KR20220074733A KR 20220074733 A KR20220074733 A KR 20220074733A KR 1020210148251 A KR1020210148251 A KR 1020210148251A KR 20210148251 A KR20210148251 A KR 20210148251A KR 20220074733 A KR20220074733 A KR 20220074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ed
airflow
conveying
conveyed object
convey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82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코토 아카이와
아츠시 야마모토
유지 고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다이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144824A external-priority patent/JP7323213B2/en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다이신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다이신
Publication of KR20220074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73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them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at least the whol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21Vibratory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1/00Conveying articles through pipes or tubes by fluid flow or pressure; Conveying articles over a flat surface, e.g. the base of a trough, by jets located in the surface
    • B65G51/02Directly conveying the articles, e.g. slips, sheets, stockings, containers or workpieces, by flowing gases
    • B65G51/03Directly conveying the articles, e.g. slips, sheets, stockings, containers or workpieces, by flowing gases over a flat surface or in troug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종래보다도 반송물의 자세제어의 확실성을 높일 수 있는 반송물의 자세제어방법 및 이것을 사용한 반송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계된 자세제어방법은, 반송물이 반송로를 따라 반송방향으로 반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반송로상의 상기 반송물에 기류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반송물의 반송자세를 제어하는 방향으로서, 상기 반송물을 상기 반송로상에서 제1의 기류에 의해 부상시키는 것과 함께, 상기 반송로상에서 부상한 상기 반송물을 제2의 기류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반송물의 자세를 변경한다.
Provided are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ttitude of a transported object and a transport system using the same, which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of attitude control of a transported object compared to the prior art.
The attitud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rection for controlling the conveying attitude of the conveyed object by spraying an airflow to the conveyed object on the conveying path in the process in which the conveyed material is conveyed along the conveying path in the conveying direction, wherein the conveyed object is conveyed The attitude of the conveyed object is changed by making the conveyed object float on the furnace by the first airflow and by rotating the conveyed object floating on the conveying path by the second airflow.

Description

반송물의 자세제어방법 및 반송시스템{POSTURE CONTROL METHOD FOR CONVEYING OBJECTS AND CONVEYING SYSTEM}A method of controlling the attitude of a conveyed object and a conveying system

본 발명은 반송물의 자세제어방법 및 반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ttitude of a conveyed object and a conveying system.

종래부터, 파츠 피더 등의 반송장치로서는, 전자부품 등의 반송물을 반송하면서 기정의 자세로 정렬시키도록 구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반송장치에서는, 반송로상에 있어서의 반송물의 자세를 외관 측정에 의해 판별하고, 그 판별결과에 따라서 반송물에 대해 기류를 분사하는 것 등에 의해, 부적격한 자세의 반송물을 반송로상으로부터 배제하거나 반송물을 회전시켜서 그 자세를 변경하거나 함으로써, 반송물의 자세를 갖추도록 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as a transport device such as a parts feeder, one configured to align transported objects such as electronic components in a predetermined posture while transporting them has been known. In this type of conveying apparatus, the attitude of the conveyed object on the conveying path is determined by external measurement, and the conveyed object having an unsuitable posture is removed from the conveying path by, for example, blowing an airflow to the conveyed materi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By removing or rotating the conveyed object and changing its posture, the attitude of the conveyed object is provided.

그런데, 반송물의 자세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반송로상을 부적절한 자세로 반송되어오는 반송물을 기류에 의해 반전시킨 자세로 하고, 이것을 반전시킬 필요가 없었던 반송물로 이루어지는 원래의 반송열에 합류시킴으로써, 반송물의 자세를 갖추도록 하는 반송물의 자세제어방법이 알려져 있다(아래의 특허문헌 1 참조). 이 경우에는, 반송물을 확실하게 반전시키기 위해 반송로상에 단차(段差)를 형성하고, 기류를 받은 반송물이 단차에 계지(係止)된 상태로 확실하게 회전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 많다. 또 반송물의 자세변경방법으로서는, 반송물의 저부(底部)에 기류를 닿게 함으로써 횡활(橫滑) 모양으로 자세를 변경하는 방법(아래의 특허문헌 2를 참조)이나, 좌우 2방향의 기류에 의해 반송물을 회전시키는 방법(아래의 특허문헌 3을 참조) 등이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By the way, in order to change the attitude of the conveyed object, the attitude of the conveyed object on the conveyance path is set to a position in which the conveyed material being conveyed in an inappropriate attitude is inverted by the airflow, and this is merged with the original conveying train composed of conveyed material which did not need to be reversed. There is known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ttitude of a conveyed object to have a (see Patent Document 1 below). In this case, in many cases, a step is formed on the conveying path to reliably reverse the conveyed material, and the conveyed material subjected to an airflow is reliably rotated while being caught by the step. Also, as a method of changing the attitude of a transported object, a method of changing the attitude in a lateral bow shape by applying an airflow to the bottom of the transported object (refer to Patent Document 2 below), A method of rotating the (see Patent Document 3 below) and the like have been proposed in various ways.

일본국 특개 2000-264430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264430 일본국 특개 평7-228332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7-228332 일본국 특개 평10-053320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053320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반송물의 자세변경에 있어서는, 반송로상에 배치된 반송물을 기류에 의해 반전시킬 필요가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반송물의 저면과 반송로의 반송면과의 대향면적이 넓기 때문에, 반송물을 반전시키기 위해서는 큰 기류압이 필요해지므로, 기류압의 부족에 의해 반전이 일어나지 않거나, 기류압의 과잉에 의해 과회전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행하는 기류압의 조정이 어렵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수법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반전방향으로 단차를 마련해 반송물을 반전시키기 쉽게 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으나, 반송물의 반전 당초의 회전동작의 개시시에 큰 기류압이 필요하게 되는 점은 바뀌지 않으므로, 기류압의 조정의 곤란성도 그다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반송물의 자세변경의 확실성을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changing the attitude of the conveyed object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invert the conveyed material disposed on the conveying path by the airflow. Since a large airflow pressure is required to reverse the conveyed material,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airflow pressure to prevent reversal from occurring due to insufficient airflow pressure or over-rotation due to excessive airflow pressure. As a method for solving this problem, as described above, a step is provided in the reversing direction to make it easier to reverse the conveyed material. However, this does not change the point that a large airflow pressure is required at the start of the initial rotational operation of the conveyed material. Since the difficulty of adjusting the pressure does not change muc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ertainty of changing the posture of the conveyed object cannot be obtained.

또 종래의 방법에서는, 반송물이 반전할 즈음에 원래의 반송로 부분에서 폭방향으로 빗겨난 측방으로 이동하므로, 반전된 반송물을 반전시킬 필요가 없었던 반송물로 이루어지는 원래의 반송열에 합류시킬 필요가 있으며, 그 때에 원래의 반송열 전후의 반송물에 의해 반전된 반송물의 자세가 바뀌어 버리거나, 원래의 반송열 전후의 자세가 바뀌어 버렸다고 하는, 반송자세의 흐트러짐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의 반송장치에서는, 미세한 반송물을 대량으로 반송하는 것이 요구되므로, 고속, 고밀도로 반송되어 오는 원래의 반송열에 반전된 반송물을 합류시키는 것 자체가 어려워져지고 있어, 상기의 문제도 심각해지고 있다. 더욱이, 반전시킨 반송물을 둥근홈 모양의 반송로에서 원래의 반송열에 합류시키는 경우에는, 반송열의 반송자세를 갖추기 위해 어느 정도의 반송거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반송물의 반송자세를 억제하기 위한 반송방향에 어느 정도의 반송로 길이가 필요하게 되므로, 반송장치의 컴팩트화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method, when the conveyed material is reversed, it moves to the side deviating from the original conveying path in the width direction, so it is necessary to merge the reversed conveyed material with the original conveying row made up of conveyed products that did not need to be reversed, In that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veyance posture is disturbed, that the attitude of the conveyed object reversed by the conveyed object before and after the original conveyance train is changed, or that the attitude before and after the original conveyance train is changed. In particular, in recent conveying apparatuses, since it is required to convey a large amount of fine conveyed materials, it is becoming difficult to merge the reversed conveyed material with the original conveying train conveyed at high speed and high density. have. Furthermore, when the reversed conveyed material is merged into the original conveying row on the round groove-shaped conveying path, a certain conveying distance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conveying posture of the conveying train. Since a certain length of the conveying path is require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compaction of the conveying apparatus is difficult.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그 과제는 종래보다도 반송물의 자세제어의 확실성을 높일 수 있는 반송물의 자세제어방법 및 이것을 사용한 반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ttitude of a conveyed object and a conveying system using the same, which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of attitude control of the conveyed object compared to the prior ar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계된 반송물의 자세제어방법은, 반송물이 반송로를 따라 반송방향으로 반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반송로상의 상기 반송물에 기류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반송물의 반송자세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반송물을 상기 반송로상에서 제1의 기류에 의해 부상(浮上)시키는 것과 함께, 상기 반송로상에서 부상한 상기 반송물을 제2의 기류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반송물의 자세를 변경한다. 이것에 의하면, 반송로상에서 제1의 기류에 의해 반송물을 부상시키고, 이 부상한 반송물을 제2의 기류에 의해 회전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반송물의 자세변경 시에 반송로의 반송면에 의한 간섭이 생기기 어려워지므로, 보다 확실하게 반송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attitude of a conveyed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ying attitude of the conveyed object is controlled by spraying an air stream to the conveyed object on the conveying path while the conveyed object is conveyed along the conveying path in the conveying direction. As a method, the attitude of the conveyed object is changed by levitating the conveyed object on the conveying path by a first airflow and rotating the conveyed material floating on the conveying path by a second airflow. . According to this, since the conveyed object is levitated by the first airflow on the conveyance path and the floated conveyed material is rotated by the second airflow, interference by the conveying surface of the conveying path when the attitude of the conveyed object is changed is prevented. Since it becomes difficult to generate|occur|produce, the conveyance attitude|position can be changed more reliabl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송물은, 상기 제1의 기류에 의한 부상위치에서 상기 제2의 기류에 의해 회전해 자세가 변경된 후에, 상기 제1의 기류를 받지 않게 되었을 때에 상기 반송로상으로 돌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1의 기류를 받지 않게 되었을 때에, 상기 반송로상의 부상 전의 반송위치에 대응하는 폭방향의 위치로 돌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반송물을 폭방향으로 반전시켜서 측방으로 이동시킨 후에, 원래의 반송열에 합류시킬 필요가 없어지므로, 전후의 반송물에 의한 자세의 흐트러짐이나 전후의 반송물의 자세의 흐트러짐을 회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속, 고밀도로 반송되어 오는 반송물의 반송자세를 지장없이 제어할 수 있다. 또 반송자세를 갖추기 위한 반송방향의 길이도 저감할 수 있으므로 반송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onveyed object is rotated by the second airflow from the floating position by the first airflow and the attitude is changed, it is returned to the conveying path when the first airflow is no longer received. desirable.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return to the position of the width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veyance position before floating on the said conveyance path when it stops receiving the said 1st airflow. According to this, there is no need to merge the conveyed material into the original conveying row after inverting the conveyed material in the width direction and moving it laterally as in the prior art. can For this reason, the conveyance attitude|position of the conveyed object conveyed at high speed and high density can be controlled without difficulty. Moreover, since the length in the conveyance direction for providing a conveyance attitude|position can also be reduced, a conveyance apparatus can be comprised compactl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상의 반송방향의 소정의 영역에 반송물 판별부가 설정되고, 상기 반송물 판별부에서 판정된 상기 반송물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상기 반송물의 반송자세의 유무 혹은 제어 태양(態樣)의 선택이 행해지는 반송자세 제어부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반송물 판별부에 있어서, 상기 반송물의 화상이 취득되고, 당해 화상의 처리에 의해 상기 반송물이 판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기류 및 상기 제2의 기류의 유무는, 상기 판별결과에 따라서 상기 반송물마다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의 기류는 상기 반송자세 제어부에 있어서 연속해 발생하고, 상기 제2의 기류의 유무는 상기 반송자세 제어부에 도달한 상기 반송물마다 상기 판별결과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제1의 기류는 반송자세 제어부에 있어서 연속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반송물을 반송자세 제어부에 있어서 부상시킬 수 있으므로 반송자세의 제어 준비에 필요한 시간을 저감할 수 있고, 반송물마다의 자세제어의 필요여부에 따라서 신속하게 반송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 또 제1의 기류가 연속해 발생함으로써, 제1의 기류를 간헐적으로 발생시키는 경우의 개시타이밍이나 종료타이밍의 어긋남에 의한 반송물의 부상자세(수평에 대한 경사각)의 편차 등의 불안정성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yed object discrimination unit is set in a predetermined area in the conveying direction on the conveying path,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r control mode of the conveying posture of the conveyed materi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onveyed material determined by the conveyed material determination unit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veyance attitude control part in which the selection of is performed is set.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n image of the conveyed object is acquired in the conveyed object discrimination unit, and the conveyed object is discriminated by processing the imag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irst airflow and the second airflow is determined for each conveyed object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tion result. Further,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first airflow is continuously generated in the conveyance attitude control unit,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econd airflow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for each conveyed object that has reached the conveyance attitud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is, since the first airflow is continuously generated in the conveyance attitude control unit, all conveyed objects can be floated in the conveyance posture control unit, so that the time required for preparation for control of the conveying posture can be reduced, and the It is possible to quickly control the conveyance posture according to the need for posture control. In addition, by continuously generating the first air flow, instability such as variation in the floating postur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of the conveyed object due to a shift in the start or end timing when the first air flow is generated intermittently can be suppressed. have.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의 기류와 상기 제2의 기류를 발생하는 반송자세 제어부가 설정되고, 상기 반송자세 제어부에 있어서, 촬상(撮像) 수단에 의해 상기 반송물의 부상자세 혹은 회전자세를 나타내는 화상을 촬영하고, 상기 화상을 처리함으로써 검출한 상기 부상자세 혹은 상기 회전자세에 따라서, 상기 제1의 기류와 상기 제2의 기류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강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반송물의 부상자세 혹은 회전자세를 나타내는 화상에 근거하여 기류의 강도를 제어함으로써, 반송물의 반송자세의 제어를 확실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yance posture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first airflow and a second airflow is set, and in the conveyance posture control unit, an image representing a floating posture or a rotational posture of the conveyed object by an imaging means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intensity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irflow and the second airflow according to the floating posture or the rotational posture detected by photographing the image and processing the image. According to this, it becomes possible to reliably control the conveyance attitude of the conveyed object by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airflow based on the image indicating the floating posture or rotational posture of the conveyed object.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계된 반송시스템은, 반송물이 반송되는 반송로와, 상기 반송로상에 있어서 상기 반송물에 제1의 기류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반송물을 부상시키는 제1의 기류분사수단과, 상기 제1의 기류에 의해 부상한 상기 반송물에 제2의 기류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반송물을 회전시키는 제2의 기류분사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의 기류분사수단 및 제2의 기류분사수단은, 상술한 반송물의 자세제어방법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반송물을 상기 반송로상으로부터 배제하거나 분배하거나 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Next, the conve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veying path through which conveyed material is conveyed; and second airflow spraying means for rotating the conveyed object by injecting a second airflow to the conveyed object floating by the airflow of No. 1 .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irflow injection means and the second airflow injection mean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ttitude of the conveyed object, even when the conveyed material is excluded from or distributed on the conveying path. can be us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는, 제1의 반송면과, 상기 제1의 반송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의 반송면과의 사이에 상기 반송물을 배치 가능한 제2의 반송면을 가지고, 상기 제2의 반송면은 상기 제1의 반송면으로부터 떨어져나감에 따라서 상승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반송물은, 상기 제1의 기류에 의해, 상기 제1의 반송면으로부터 떨어져나가 부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반송물은, 상기 제1의 기류에 의해 상기 제2의 반송면을 따라 부상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반송물이 제1의 반송면으로부터 떨어져나가 제2의 반송면을 따라 부상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의 기류에 의해 반송물이 제1의 반송면으로부터 떨어져나감으로써 제1의 반송면에 의한 간섭을 받기 어렵게 되어 회전하기 쉬워지는 것과 함께, 제2의 반송면을 따라 부상함으로써 반송물의 부상시의 안정성이나 부상위치의 재현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반송물의 반송자세를 보다 확실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반송면이 경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의 반송면의 경사각도는 20도~70도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30도~60도의 범위내 인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는 45도~50도의 범위내가 가장 바람직하다. 반송면의 각도를 상기의 범위내로 함으로써, 반송물의 부상상태의 안정성이나 재현성과, 부상상태에 있어서의 반송물의 반송면에 의한 간섭의 회피성이나 반송물의 회전 용이성을 양립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ying path includes a first conveyance surface and a second conveyance capable of disposing the conveyed material between the first conveying surface and the first conveying surface by provid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veying surface. Preferably, it has a surface, and the second carrying surface is configured to rise as it moves away from the first carrying surfac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veyed object is detached from the first conveyed surface by the first airflow and floats. Moreover,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aid conveyed material floats along the said 2nd conveyance surface by the said 1st airflow. According to this, by configuring so that the conveyed material is detached from the first conveying surface and floats along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the conveyed object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nveying surface by the first airflow, so that the In addition to being less susceptible to interference and easier to rotate, by floating along the second transport surface, the stability at the time of levitation and the reproducibility of the position of the levitation can be improved, so that the transport posture of the transported substance can be controlled more reliably. will do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2nd conveyance surface is an inclined surface. Here,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is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20 degrees to 70 degrees, and more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30 degrees to 60 degrees. Typically, the range of 45 to 50 degrees is most preferred. By setting the angle of the conveying surface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achieve both st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the floating state of the conveyed object, the avoidance of interference by the conveying surface of the conveyed object in the floating state and the ease of rotation of the conveyed objec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기류분사수단은, 상기 제1의 반송면에 개구하는 제1의 분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2의 기류분사수단은, 상기 제2의 반송면에 개구하는 제2의 분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제2의 분기구는, 상기 제1의 기류에 의한 상기 제2의 반송면을 따른 반송물의 부상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의 분기구는, 상기 제2의 분기구로부터 반송방향의 긴 범위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제1의 분기구는, 상기 제2의 분기구보다도 상기 반송로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부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ir flow jetting means includes a first branch opening to the first conveying surfac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air flow jetting means includes a second branch opening to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In this cas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econd branch port is formed at a position (height) corresponding to a position (height) of the conveyed object floating along the second conveyance surface by the first airflow.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1st branch port is formed over the long range of the conveyance direction from the said 2nd branch port.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1st branch port has a part arrange|positioned at the upstream side of the said conveyance path rather than the said 2nd branch por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 상의 반송방향의 소정의 영역에 설정된 반송자세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의 기류분사수단은, 상기 제1의 기류가 상기 반송자세 제어부에 있어서 연속해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의 기류분사수단은, 상기 제2의 기류가 상기 반송자세 제어부에 도달한 상기 반송물마다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의 기류분사수단은, 상기 반송자세 제어부에 있어서 상기 반송물마다 제1의 기류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comprises a conveyance attitude control unit set in a predetermined area in the conveyance direction on the conveyance path, wherein the first airflow spraying means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airflow is continuously generated in the conveyance attitude control unit. Preferably, the second airflow spraying means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airflow is generated for each conveyed object that has reached the conveying posture control unit. On the other hand, the first airflow injection means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first airflow for each of the conveyed objects in the conveying posture control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기류와 상기 제2의 기류를 발생하도록 설정된 반송자세 제어부에 있어서 제어해야 할 상기 반송물을 판별하는 반송물 판별수단과, 상기 반송물 판별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반송물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상기 반송자세 제어부에 있어서의 반송자세의 제어의 유무 혹은 제어태양의 선택을 행하는 상기 반송자세 제어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반송물 판별수단은, 상기 반송자세 제어부의 상류측에 설정된 반송물 판별부에 있어서 상기 반송물의 화상을 취득하고, 당해 화상의 처리에 의해 상기 반송물을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veying attitude control unit set to generate the first airflow and the second airflow, conveyed object discrimination means for discriminating the conveyed object to be controlled, and the conveyed object determination result in the conveyed object discrimination means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the transport attitude control means for sel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trol of the transport posture in the transport posture control unit or the control mod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veyed object discrimination means acquires an image of the conveyed object in a conveyed material determination unit set upstream of the conveyed attitude control unit, and discriminates the conveyed material by processing the imag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기류와 상기 제2의 기류를 발생하도록 설정된 반송자세 제어부에 있어서, 촬상수단에 의해 상기 반송물의 부상자세 혹은 회전자세를 나타내는 화상을 촬영하고, 상기 화상을 처리함으로써 검출한 상기 부상자세 혹은 상기 회전자세에 따라, 상기 제1의 기류와 상기 제2의 기류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강도를 제어하는 기류제어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veyance posture control unit set to generate the first airflow and the second airflow, an image representing the floating or rotational posture of the conveyed object is photographed by an imaging means, and the image is processed by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irflow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irflow and the second airflow according to the detected floating posture or the rotational postur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기류분사수단은, 기류를 공급하기 위한 제1의 급기로와, 상기 제1의 급기로에 연통하고, 상기 제1의 분기구를 향하는 제1의 분사로와, 상기 제1의 급기로 및 상기 제1의 분사로에 연통하고, 상기 제1의 분사로와는 다른 기류배출경로를 구성하는 제1의 발기부(拔氣部)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의 급기로의 급기방향과 상기 제1의 분사로의 분사방향과의 각도차는, 상기 급기방향과 상기 제1의 발기부의 발기방향과의 각도차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의 분사로의 통기단면적은, 상기 제1의 발기부의 통기단면적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제1의 급기로, 제1의 분사로 및 제1의 발기부는, 기반(基盤) 블록과 제1블록과의 대향면상에서(적어도 한쪽 면상의 홈구조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ir flow injection means includes a first air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an air flow, a first injec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ir supply passage and facing the first branch port; ,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first erection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ir supply passage and the first injection passage, and configuring an air flow discharge passage different from the first injection passage.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difference between the air supply direction to the first air supply passage and the injection direction to the first injection passage is smaller than the angle difference between the air supply direction and the erection direction of the first erection unit.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ventilation of the first injection passage is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ventilation of the first erection part.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ir supply air, the first injection passage, and the first erection part are configured on a surface facing the base block and the first block (by a groove structure on at least one surface, etc.) .

또 상기 제2의 기류분사수단은, 기류를 공급하기 위한 제2의 급기로와, 상기 제2의 급기로에 연통하고, 상기 제2의 분기구를 향하는 제2의 분사로와, 상기 제2의 급기로 및 상기 제2의 분사로에 연통하고, 상기 제2의 분사로와는 다른 기류배출경로를 구성하는 제2의 발기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의 급기로의 급기방향과 상기 제2의 분사로의 분사방향과의 각도차는, 상기 급기방향과 상기 제2의 발기부의 발기방향과의 각도차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2의 분사로의 통기단면적은, 상기 제2의 발기부의 통기단면적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제2의 급기로, 제2의 분사로 및 제2의 발기부는, 기반블록과 제2블록과의 대향면상에서(적어도 한쪽 면상의 홈구조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air flow injection means includes a second air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an air flow, a second injec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supply passage and facing the second branch port, and the second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a second erec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air supply passage and the second injection passage and constitutes an air flow discharge passage different from the second injection passage. Here, the angle difference between the air supply direction to the second air supply passage and the injection direction to the second injection passage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angle difference between the air supply direction and the erection direction of the second erection unit.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ventilation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injection passage is smaller than the ventilation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erection part.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air supply air, the second injection passage, and the second erection section are configured on the surface opposite the base block and the second block (by a groove structure on at least one surface, etc.).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보다도 반송물의 자세제어에 필요한 기류압을 저감함으로써, 반송물의 자세제어의 확실성을 높일 수 있는 반송물의 자세제어방법 및 이것을 사용한 반송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반송로상에서 반송물을 그대로 자세제어할 수 있는 경우에는, 반송물을 반송열로부터 떼어내는 일 없이 반송자세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원래의 반송열에 합류시킬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반송자세의 흐트러짐을 회피할 수 있다. 또 고속, 고밀도로 반송되어 오는 반송물의 반송자세를 지장없이 제어할 수 있다. 더욱이, 반송자세를 갖추기 위한 반송방향의 길이도 저감할 수 있으므로, 반송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ADVANTAG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attitude control method of a conveyed object which can increase the certainty of the attitude|position control of a conveyed object by reducing the airflow pressure required for attitude|position control of a conveyed object compared with the prior art, and a conveyance system using the same can be provided. In particular, when the attitude of the conveyed object can be controlled as it is on the conveyance path, the conveyance attitude can be changed without removing the conveyed material from the conveyance train,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join the original conveyance train, thereby avoiding disturbance of the conveying posture can do.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nveying posture of conveyed materials conveyed at high speed and high density without any hindrance. Furthermore, since the length in the conveying direction for providing the conveying posture can also be reduced, the conveying apparatus can be configured compactly.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된 반송물의 정렬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반송물 정렬시스템의 실시형태를 구성한 진동식 반송장치의 일례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동 진동식 반송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동 실시형태의 반송물의 정면도(a) 및 측면도(b)이다.
도 4는 동 실시형태의 반송자세 제어부에 있어서의 반송물(CA)의 자세의 제어태양의 예를 보여주는 설명도(a)~(d)이다.
도 5는 동 실시형태의 반송자세 제어부의 다른 구성예를 보여주는 설명도(a)~(d)이다.
도 6은 동 실시형태의 반송자세 제어부에 있어서의 반송시의 자세제어태양의 순서의 예를 보여주는 설명도(a)~(d)이다.
도 7은 동 실시형태의 반송자세 제어부에 있어서의 반송시의 자세제어태양의 순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설명도(a)~(f)이다.
도 8은 동 실시형태의 복수의 반송자세 제어부에 있어서의 반송시의 자세제어태양의 조합예의 순서를 보여주는 설명도(a)~(d)이다.
도 9는 동 실시형태의 복수의 반송자세 제어부의 배치예를 보여주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10은 동 실시형태의 제어계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구성블록도이다.
도 11은 동 실시형태의 동작프로그램의 전체의 개략 제어순서를 보여주는 개략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의 기류공급경로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반송물이 제2의 반송면에 대해 간격을 둔 상태에서 반송되어 오는 경우(a-1)와, 반송물이 제2의 반송면에 접근 혹은 맞닿은 상태에서 반송되어 오는 경우(b-1)에 대해, 기류안정화 구조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종래 구조에 있어서의 반송물의 부상위치를 보여주는 도면(a-2) 및 (b-2)과, 다른 실시형태의 기류안정화 구조를 사용하였을 때의 반송물의 부상위치를 보여주는 도면(a-3) 및 (b-3)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lan view of an example of a vibrating conveying apparatu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a conveyed material alignment system for realizing a conveyed material align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the vibrating type conveying apparatus.
3 : is a front view (a) and a side view (b) of the conveyed object of the same embodiment.
4 is an explanatory view (a) to (d) showing an example of the attitude control mode of the conveyed object CA in the conveyance attitude control part of the same embodiment.
5 is an explanatory view (a) to (d)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conveyance posture control unit of the embodiment.
6 is an explanatory view (a) to (d) showing an example of the procedure of the attitude control mode at the time of conveyance in the conveyance attitude control part of the same embodiment.
7 is an explanatory view (a) to (f)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rocedure of the attitude control mode at the time of conveyance in the conveyance attitude control part of the same embodiment.
Fig. 8 is an explanatory view (a) to (d) showing a sequence of examples of combinations of posture control aspects at the time of conveyance in a plurality of conveyance posture control uni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9 is a schematic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example of a plurality of conveyance posture control uni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10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system of the embodiment.
Fig. 11 is a schematic flowchart showing the overall schematic control procedure of the operation program of the embodiment.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flow supply pat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3 shows a case in which a conveyed object is conveyed whil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a-1) and a case in which a conveyed material is conveyed while approaching or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b-1) , the drawings (a-2) and (b-2) showing the floating position of the conveyed object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not provided with the airflow stabilizing structure, and the conveyed object when the airflow stabilizing structure of the other embodiment is used It is a drawing (a-3) and (b-3) showing the floating position.

다음으로, 첨부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최초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해 본 발명에 관계된 반송시스템을 구성하는 진동식 반송장치를 설명한다. 이 진동식 반송장치(100)는, 설치대(101) 상에 설치된 반송물 공급부(110)와, 이 반송물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된 반송물을 반송하는 제1반송부(120)와, 이 제1반송부(120)로부터 공급된 반송물을 반송하는 제2반송부(130)를 구비한다. 제1반송부(120)와 제2반송부(130)는 가진기를 구비하기 때문에, 상기 설치대(101) 상에 방진용의 흡진재(코일 스프링 등)를 개재해 설치된 지지대(102) 상에 부착된다. 반송물 공급부(110)는, 구동부(111)와, 이 구동부(111) 상에 부착된 호퍼(112)를 구비하고, 호퍼(112)상의 반송물을 제1반송부(120)로 방출한다.Nex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 vibration-type conveying apparatus constituting the conve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vibrating conveying apparatus 100 includes a conveyed material supply unit 110 installed on a mounting table 101 , a first conveying unit 120 conveying conveyed material supplied from the conveyed material supply unit 110 , and the first conveying unit A second conveying unit 130 for conveying the conveyed material supplied from the 120 is provided. Since the first conveying unit 120 and the second conveying unit 130 are provided with a vibrator, they are attached to the support unit 102 installed on the mounting unit 101 via a vibration damping material (coil spring, etc.) do. The conveyed material supply unit 110 includes a driving unit 111 and a hopper 112 attached to the driving unit 111 , and discharges the conveyed material on the hopper 112 to the first conveying unit 120 .

제1반송부(120)는, 회전가진기(121)와, 이 회전가진기(121)에 탑재된 보울형의 진동체(122)를 구비하고 있는, 이른바 보울형 파츠 피더이다. 진동체(122)는 내저부로부터 나선모양으로 상승하는 반송로(122t)를 구비하고, 회전가진기(121)에 의해 부여된 회전진동에 의해, 그 내저부에 공급된 반송물을 반송로(122t)를 따라 서서히 상승시키면서 정렬시킨다.The first carrying unit 120 is a so-called bowl-type parts feeder, which includes a rotary vibrator 121 and a bowl-type vibrating body 122 mounted on the rotary vibrator 121 . The vibrating body 122 has a conveying path 122t that rises spirally from the inner bottom, and by the rotational vibration applied by the rotary vibrator 121, the conveyed material supplied to the inner bottom is transferred to the conveying path 122t. ) and align it while ascending gradually.

제2반송부(130)는, 직선가진기(131)와, 이 직선가진기(131)에 탑재된 직선모양의 진동체(132, 133)를 구비하고 있는, 이른바 리니어 피더이다. 여기서, 진동체(132)는 상기 반송로(122t)의 출구단에 접속된 직선모양의 공급용의 반송로(132t)를 구비한다. 또 진동체(133)는, 반송로(132t)와 병행해 연재하는 반송로(133t)를 구비하고, 이 반송로(133t)는, 반송로(132t)로부터 배제된 반송물을 받아들여서 반송로(132t)와는 반대방향으로 반송물을 반송하고, 당해 반송물을 상기 진동체(122) 내로 되돌리기 위한 회수용의 반송로이다.The second conveying unit 130 is a so-called linear feeder including a linear vibrator 131 and linear vibrating bodies 132 and 133 mounted on the linear vibrator 131 . Here, the vibrating body 132 is provided with the linear conveying path 132t for supply connected to the exit end of the said conveyance path 122t. Moreover, the vibrating body 133 is provided with the conveyance path 133t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conveyance path 132t, this conveyance path 133t receives the conveyed material removed from the conveyance path 132t, and the conveyance path ( 132t), it is a conveyance path for collection|recovery for conveying the conveyed object and returning the said conveyed material to the inside of the said vibrating body (122).

상기 반송로(132t)에는, 반송자세 제어부(132S1~132S4)가 마련된다. 이들의 반송자세 제어부(132S1~132S4)는, 후술하는 반송물 판별부에 있어서의 반송물(CA)에 대한 판별결과에 따라서 반송물(CA)의 반송자세를 제어하는 개소이다. 구체적으로는, 반송자세 제어부(132S1~132S4)는, 반송로(132t)상에 있어서의 반송물(CA)의 어느 반송자세를, 반송로(132t)상에서 가능한 복수의 다른 반송자세 중에서 선택된 다른 반송자세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된다.The conveyance path 132t is provided with conveyance posture control units 132S1 to 132S4. These conveying posture control units 132S1 to 132S4 are points for controlling the conveying attitude of the conveyed material CA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onveyed material CA in the conveyed material discrimination unit to be described later. Specifically, the conveying posture control units 132S1 to 132S4 select a specific conveying posture of the conveyed material CA on the conveying path 132t from among a plurality of different conveying postures possible on the conveying path 132t. It is configured so that it is possible to change to .

본 실시형태에 관계된 반송물(CA)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방체 모양으로 구성된다. 도시예의 반송물(CA)은, 양단 외부에 외부전극(OE1, OE1)을 구비하고, 외부전극(OE1, OE2)의 사이에 본체부(CAB)가 마련된다. 이 본체부(CAB)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절한 자세판별마크가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도시예에서는, 반송물(CA)의 정렬방향(도시예에서는 길이방향과 일치함) 축(CAx)의 방향은, 정규의 반송자세에 있어서, 반송로(132t)의 반송방향(F)을 향하게 되는 정렬방향이다. 단, 반송물(CA)의 정규의 반송자세가 정렬방향 축(CAx)의 방향이 반송방향(F)을 향하고 있으면 좋다는 것일 뿐이라면, 특히 상기 자세판별마크는 불필요하지만, 반송물(CA)의 정렬방향 축(CAx) 주위의 4개의 회전자세나, 정렬방향 축(CAx) 전후의 방향에 대응하는 2개의 전후자세에 구별이 있어, 어느 하나의 회전자세나 전후자세가 아니면 정규의 반송자세에는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들을 구별하기 위해 본체부(CAB)에 자세판별마크가 부여된다.The conveyed product C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shown in FIG. 3 . The conveyed object CA of the illustrated example is provided with external electrodes OE1 and OE1 at both ends, and the body portion CAB is provided between the external electrodes OE1 and OE2. An appropriate posture identification mark may be displayed on this body portion CAB as described later.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conveyed material CA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xample) axis CAx is directed to the conveying direction F of the conveying path 132t in the normal conveying posture sort direction. However, if the normal conveying attitude of the conveyed object CA only needs to be that the direction of the alignment direction axis CAx faces the conveying direction F, the above attitude discrimination mark is particularly unnecessary, but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conveyed product CA There is a distinction between the four rotational postures around the axis (CAx) and the two forward and backward postures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alignment direction axis (CAx). If not, a posture discrimination mark is given to the body portion CAB to distinguish them.

도 4에는, 상기 반송자세 제어부(132S1~132S4)(이하, 간단하게 "132S"로 함)에 있어서의 반송물(CA)의 자세제어의 방법 혹은 태양을 나타낸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로(132t)는, 제1의 반송면(132ta)과, 제2의 반송면(132tb)을 가지고, 제1의 반송면(132ta)과 제2의 반송면(132tb)과의 사이에는, 반송물(CA)에 대응하는 소정의 각도가 마련되고, 당해 각도에 의해 제1의 반송면(132ta)과 제2의 반송면(132tb)과의 사이에 반송물(CA)이 배치 가능하게 된다. 도시예에서는, 제1의 반송면(132ta)과 제2의 반송면(132tb)과는 모두 평면이고, 상기 소정의 각도는 90도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제1의 반송면(132ta)과 제2의 반송면(132tb)은 모두 수평면과의 사이에 경사각 θ와 φ를 구비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예에서는, θ=φ=45도로 되어 있으나, 가장 적합하게는 θ 및 φ는, 20도~70도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30도~60도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θ=30도, φ=60도이다. 무엇보다 40도~50도의 범위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의 각도범위는, 경사각 φ가 작아질수록 안정된, 반송물(CA)의 부상상태의 안정성과, 경사각 φ가 커질수록 회피하기 쉬워져서 회전하기 쉬워지는, 부상높이의 확보에 따른 반송물(CA)의 회전동작에 대한 제1의 반송면(132ta)에 의한 간섭의 회피성 및 반송물(CA)의 회전용이성과의 양립을 도모하기 위해 설정된다. 또 같은 관점에서 제1의 반송면(132ta)의 경사각 θ는, 제2의 반송면(132tb)의 경사각 φ와 같거나 그것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4, the method or aspect of the attitude|position control of the conveyed object CA in the said conveyance attitude|position control part 132S1-132S4 (hereafter simply referred to as "132S") is shown. As shown to Fig.4 (a), the conveyance path 132t has the 1st conveyance surface 132ta and the 2nd conveyance surface 132tb, The 1st conveyance surface 132ta, and the 2nd A predetermined angle corresponding to the conveyed object CA is provided between the conveying surface 132tb and the conveyed object between the first conveying surface 132ta and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132tb by the angle. (CA) becomes deployable.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both the 1st conveyance surface 132ta and the 2nd conveyance surface 132tb are planar, and the said predetermined angle is 90 degrees. Generally, it is preferable that both the 1st conveyance surface 132ta and the 2nd conveyance surface 132tb be inclined surfaces provided with the inclination angles θ and phi between the horizontal plane. In the illustrated example, θ = φ = 45 degrees, but most suitably θ and φ are in the range of 20 degrees to 70 degrees, and preferably in the range of 30 degrees to 60 degrees. For example, θ = 30 degrees and φ = 60 degrees. Above all, it is more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40 to 50 degrees. These angular ranges are stable as the inclination angle φ decreases, the stability of the floating state of the transported object CA, and the transported object CA according to the securing of the floating height, which becomes easier to avoid and rotate as the inclination angle φ increases. It is set in order to achieve coexistence with the avoidance of interference by the 1st conveyance surface 132ta with respect to a rotation operation, and the rotatability of the conveyed object CA. In addition, from the same viewpoint,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angle θ of the first carrying surface 132ta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phi of the second carrying surface 132tb.

제1의 반송면(132ta)에는 제1의 분기구(OP1)가 마련되고, 이 제1의 분기구(OP1)는, 기류공급수단을 구성하는, 도시하지 않은 봄베나 컴프레서 등의 기류원(氣流源)에 대해 전자밸브 등의 절환밸브를 개재해 접속되는 통기관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2의 반송면(132tb)에는 제2의 분기구(OP2)가 마련되고, 이 제2의 분기구(OP2)도 기류공급수단을 구성하는, 도시하지 않은 봄베나 컴프레서 등의 기류원에 대해 전자밸브 등의 절환밸브를 개재해 접속되는 통기관에 접속되어 있다. 반송물(CA)은, 도 4(a)에 나타내는 태양으로, 반송로(132t)의 상류측에서 반송되어 온다. 그리고 제1의 분기구(OP1) 및 제2의 분기구(OP2)가 마련된 반송자세 제어부(132S)에 도달하면, 이 반송물(CA)의 반송자세가 변경되어야 하는 것이라면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분기구(OP1)로부터 주어지는 기류(J1)에 의해 반송로(132t)상에서 부상하게 된다. 이 경우, 반송물(CA)의 부상 방향은, 결과적으로 반송물(CA)의 높이가 증대하는 방향이라면 어떤 방향이라도 무방하다. 단, 반송물(CA)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시예와 같이 제2의 반송면(132tb)을 따라 부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예에서는, 상기 기류(J1)의 방향도 제2의 반송면(132tb)을 따른 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 제1의 분기구(OP1)는, 제1의 반송면(132ta)에 개구하고 있으나, 특히 도시예와 같이, 제1의 반송면(132ta)의 최저 위치에 개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반송물(CA)의 부상상태를 확실하게 얻기 위해서는, 반송물(CA)이 부상상태가 되는 범위를 반송방향으로 신장시키기 위해, 제1의 분기구(OP1)를 반송방향(도 4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first branch port OP1 is provided on the first conveying surface 132ta, and the first branch port OP1 is an airflow source (not shown) such as a cylinder or a compressor constituting an airflow supply means (not shown). It is connected to a vent pipe which is connected to the air through a switching valve such as a solenoid valve. In addition, a second branch port OP2 is provided on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132tb, and the second branch port OP2 is also connected to an airflow source such as a cylinder or a compressor (not shown) constituting the airflow supply means. It is connected to a vent pipe connected via a switching valve such as a solenoid valve. The conveyed material CA is conveyed from the upstream of the conveyance path 132t in the aspect shown to Fig.4 (a). And when the conveyance attitude control part 132S provided with the 1st branch OP1 and the 2nd branch OP2 is provided, if the conveyance attitude|position of this conveyed object CA needs to be changed, it is shown in FIG. 4(b) As shown, it floats on the conveyance path 132t by the airflow J1 given from the 1st branch OP1. In this case, the floating direction of the conveyed object CA may be any direction as long as the height of the conveyed material CA increases as a result. 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conveyed object CA, it is preferable to float along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132tb as in the illustrated example.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direction of the airflow J1 is also a direction along the second conveyance surface 132tb. Moreover, although the 1st branch OP1 is opened in the 1st conveyance surface 132ta, like the example of illustration especially, it is preferable to open in the lowest position of the 1st conveyance surface 132ta. In particular, in order to reliably obtain the floating state of the conveyed object CA, the first branch OP1 is mov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with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e shape extend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이 반송물(CA)이 도 4(b)에 나타내는 부상상태에 있을 때에,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분기구(OP2)로부터 발생하는기류(J2)에 의해, 반송물(CA)의 상부가 기류압을 받기 때문에, 반송물(CA)은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한다. 기류(J2)의 위치는, 반송물(CA)을 용이하며 또한 확실하게 회전시키기 위해 부상 상태에 있는 반송물(CA)의 상부에 닿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제2의 분기구(OP2)의 위치도, 도 4(a)에 나타내는 통상의 반송위치에 있는 반송물(CA)에는 대응하지 않은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류(J2)의 위치는, 반송물(CA)을 용이하며 또한 확실하게 회전시키기 위해, 부상 상태에 있는 반송물(CA)의 하부에 닿도록 설정되어도 좋으며, 반송물(CA)의 전부(前部)나 후부(後部)에 닿도록 설정되어도 무방하다. 이들의 경우에는, 제2의 분기구(OP2)도 각각의 설치위치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된다.When this conveyed object CA is in the floating state shown in FIG.4(b), as shown in FIG.4(c), by the airflow J2 generated from the 2nd branch OP2, the conveyed object CA ), because the upper portion of the airflow pressure is applied, the conveyed object CA rotates as shown. The position of the airflow J2 is preferably set so as to touch the upper part of the conveyed object CA in a floating state in order to rotate the conveyed object CA easily and reliably.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of the 2nd branch port OP2 is also provided in the high position which does not correspond to the conveyed object CA in the normal conveyance position shown to Fig.4 (a). 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of the airflow J2 may be set so as to touch the lower part of the conveyed object CA in a floating state in order to rotate the conveyed material CA easily and reliably, and the front part of the conveyed material CA. ) or the rear part may be set. In these cases, the second branch OP2 is also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installation position.

이때,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물(CA)은, 도 4(b)에 나타내는 부상 위치에서 그대로 자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예에서는, 반송물(CA)은, 정렬방향 축(CAx)의 주위로 90도 회전한다. 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류(J1)를 받지 않게 되면 반송물(CA)은, 상기의 정렬방향 축(CAx)의 주위로 90도 회전한 자세로 다시 반송로(132t) 상에 배치되고, 하류측으로 반송되어 간다. 또한, 제1의 분기구(OP2)의 개구 위치는, 제1의 분기구(OP1)의 개구 범위와 반송방향(F)이 겹치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의 분기구(OP1)의 개구 범위는, 제2의 분기구(OP2)의 개구 위치보다도 상류측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각 분기구(OP1, OP2)는, 모두 각 반송면(132ta, 132tb)에 개구하고 있는 경우에는, 반송방향(F)의 전방측의 개구연(開口緣)이 도 6~도 8에 나타내는 OP2와 같이, 모따기 처리 혹은 둥글게 처리가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4(c), it is preferable that conveyed object CA rotates as it is at the floating position shown in FIG.4(b).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conveyed object CA rotates 90 degrees about the alignment direction axis CAx. As shown in Fig. 4(d), when the airflow J1 is not received, the conveyed material CA is again placed on the conveying path 132t in a posture rotated by 90 degrees around the alignment direction axis CAx. and is conveyed to the downstream side.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position of 1st branch OP2 is a position where the opening range of 1st branch OP1 and the conveyance direction F overlap.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range of 1st branch OP1 is formed from the upstream rather than the opening position of 2nd branch OP2. Furthermore, when both of the branch ports OP1 and OP2 are opened on the respective conveying surfaces 132ta and 132tb, the opening edge on the front side of the conveying direction F is shown in Figs. It is preferable that a chamfering process or a round process is made like OP2 shown.

도 5에는, 도 4에 나타내는 상기의 예 이외의 다른 반송자세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먼저, 도 5(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예와는 달리, 제1의 분기구(OP1)가, 제1의 반송면(132ta)의 최저 위치가 아니라 그것보다도 약간 상방에서 개구하고 있다. 단, 제1의 분기구(OP1)의 개구 위치는, 반송물(CA)이 반송로(132t)상에서 반송시에 대향해 배치되는 범위 내에 설정된다. 또한, 제2의 분기구(OP2)의 위치는 도 4와 같으며,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물(CA)의 회전 방향도 도 4와 같다.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conveyance posture other than the example shown in Fig. 4 above. First, in the example shown to Fig.5 (a), unlike the example shown in FIG. 4, 1st branch port OP1 is not opened at the lowest position of the 1st conveyance surface 132ta, but slightly above it. are doing However, the opening position of the 1st branch port OP1 is set in the range in which the conveyed material CA is arrange|positioned at the time of conveyance on the conveyance path 132t opposingly.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2nd branch OP2 is the same as that of FIG. 4,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nveyed object CA is also the same as that shown by the dotted line.

도 5(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같은 반송방향에 대해 제1의 반송면(132ta)과 제2의 반송면(132tb)을 좌우 바꿔넣음으로써, 도시 점선으로 나타내는 반송물(CA)의 회전 방향을 역방향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반송로(132t)의 좌우 위치나 구조가 반전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제1의 분기구(OP1)와 제2의 분기구(OP2)의 위치는 도 4에 나타내는 경우와 동등하다. 또 도 5(c)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 좌우의 위치나 구조가 반전하고 있는 예에 있어서, 도 5(a)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로, 제1의 분기구(OP1)의 개구 위치를 최저 위치가 아니라 약간 상방으로 이동시킨 위치에 설정하고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5(b), the 1st conveyance surface 132ta and the 2nd conveyance surface 132tb are swapped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same conveyance directi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nveyed object CA shown by the illustrated dotted line is changed. is set in the reverse direction. In this example, the position of the 1st branch OP1 and the 2nd branch OP2 is equivalent to the case shown in FIG. 4 except the point which the left-right 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conveyance path 132t are inverted. do. Moreover, in the example shown to FIG.5(c), in the example in which this left-right position and structure are inverted, similarly to the example shown to FIG.5(a), the opening position of the 1st branch port OP1 is set to the lowest position. Instead, it is set at a slightly upwardly shifted position.

도 5(d)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1의 분기구(OP1)를 제1의 반송면(132ta)이 아니라, 제1의 반송면(132t)과 제2의 반송면(132tb) 사이의 저부에 개구시킨 경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1의 분기구(OP1)는, 그곳에서 주어지는 기류(J1)가 반송로(132t) 상의 반송물(CA)을 부상시킬 수 있는 위치라면, 어떠한 위치라도 무방하다. 또 이 예에서는, 제2의 분기구(OP21)를 제1의 반송면(132ta)에 마련하고, 제2의 분기구(OP22)를 제2의 반송면(132tb)에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2의 분기구(OP21)와 (OP22)중 어느 쪽에서 기류(J2)를 분사하는지에 따라 반송물(CA)의 회전 방향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example shown to FIG.5(d), the 1st branch OP1 is not the 1st conveyance surface 132ta, but the bottom part between the 1st conveyance surface 132t and the 2nd conveyance surface 132tb. It shows the case of opening in .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branch OP1 may be at any position as long as the airflow J1 provided there is a position at which the conveyed material CA on the conveyance path 132t can float. Moreover, in this example, the 2nd branch OP21 is provided in the 1st conveyance surface 132ta, and the 2nd branch OP22 is provided in the 2nd conveyance surface 132tb. In this way, it becomes possible to selec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nveyed object CA according to which of the 2nd branch OP21 and OP22 injects the airflow J2.

도 6(a)~(d)에는, 본 실시형태의 제1실시예에 의한 반송로(132t)상의 반송물(CA)의 반송도중에 있어서의 반송자세 제어부(132S)에서의 반송자세의 변경 태양을 나타낸다. 전술한 것과 같이 구성된 반송자세 제어부(132S)에 대응해, 그 상류측에 반송물 판별부(ME1)가 설정되고, 그 하류측에 반송물 통과 검출부(CA)의 화상을 처리함으로써 반송물(CA)의 반송자세를 검출하여, 이 반송자세가 정규의 반송자세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예를 들면,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물(CA)의 본체부(CAB)에 마련된 자세판별마크(MK)가 도면상에서 우측 아래에 배치되는 반송물(CA0)이 정규의 반송자세라고 하면, 반송물(CA0)에는 기류는 분사되지 않는다. 한편, 자세판별마크(MK)의 우측 위에 배치되는 반송물(CA1)은, 정규의 반송자세가 아닌 것이 되기 때문에,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분기구(OP1)로부터 기류(J1)가 분출되어 그 반송물(CA1)이 부상한다. 그 후,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상상태에 있는 반송물(CA1)에 제2의 분기구(OP2)로부터 기류(J2)가 분사됨으로써, 반송물(CA1)은 정렬방향 축(CAx) 주위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도 6(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류(J1)가 정지하면, 반송물(CA1)은, 정규의 반송자세가 되어 반송로(132t) 상에 강하(降下)하여 그대로 하류측으로 반송되어 간다.6(a) to 6(d) show the change of the conveying attitude in the conveying attitude control unit 132S during conveyance of the conveyed material CA on the conveying path 132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indicates. Corresponding to the conveying attitude control unit 132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onveyed object discrimination unit ME1 is set on the upstream side thereof, and the conveyed material CA is conveyed by processing the image of the conveyed material passing detection unit CA on the downstream side thereof. The posture is detect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is carrier posture is a normal carrier postu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a), the conveyed object CA0, in which the attitude identification mark MK provided on the main body CAB of the conveyed object CA is arranged in the lower right corner in the drawing, is the normal conveying posture. In this case, no airflow is injected into the conveyed object CA0.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nveyed object CA1 disposed on the upper right of the attitude identification mark MK is not in the normal conveying attitude, as shown in Fig. 6(b), the airflow ( J1) is ejected and the conveyed object CA1 floats. Thereafter, as shown in Fig. 6(c) , the airflow J2 is injected from the second branch OP2 to the conveyed material CA1 in the floating state, so that the conveyed material CA1 is aligned with the axis CAx in the alignment direction. will rotate around And as shown in FIG.6(d), when the airflow J1 stops, the conveyance material CA1 will become a normal conveyance attitude|position, and will descend|fall on the conveyance path 132t, and will be conveyed downstream as it is.

이 실시예에서는, 반송물 판별부(ME1)의 화상에 근거한 판별결과가 정규의 반송자세를 나타내는 OK판정과는 다른 경우(NG판정)에는, 제1의 분기구(OP1)과 제2의 분기구(OP2)로부터의 기류(J1, J2)를 분사하지만, 판별결과가 정규의 반송자세를 나타내는 OK판정이면, 기류(J1, J2)의 분사는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술한 반송자세를 변경한 앞의 반송물(CA)에 대한 기류(J1)과 (J2)의 분사에 의해, 당해 앞의 반송물(CA)의 반송자세가 변경된 후에, 다음의 반송물(CA)이 정규의 반송자세로 판별된 경우(OK판정)에는 기류(J1)과 (J2)를 정지할 필요가 있다. 이때 반송물 통과 검출부(ME2)의 화상에 의해 앞의 반송물(CA)이 검출되면, 그 자세변경이 완료되어 앞의 반송물(CA)이 반송자세 제어부(132S)를 탈출한 것을 알 수 있으므로, 기류(J1, J2)를 정지할 수 있다. 또한, 다음의 반송물(CA)도 정규의 반송자세가 아니라고 판별된 경우(NG판정)에는, 그대로 기류(J1, J2)를 계속해서 흘리도록 하여도 좋다. 이때 제1의 기류(J1)를 계속 흘리는 한편, 제2의 기류(J2)를 반송물(CA)의 도달 타이밍에 맞춰서 발생하게 하여도 무방하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based on the image of the conveyed object discrimination unit ME1 is different from the OK determination indicating the normal conveying posture (NG determination), the first branch OP1 and the second branch Airflows J1 and J2 from OP2 are jetted, but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an OK determination indicating a normal conveying attitude, jetting of airflows J1 and J2 is not performed. Therefore, after the conveyance attitude of the previous conveyed object CA is changed by the jet of airflows J1 and J2 to the previous conveyed object CA whose conveyance posture has been changed, the next conveyed object CA When it is discriminated by this normal conveyance attitude|position (OK judgment), it is necessary to stop the airflows J1 and J2. At this time, when the forward conveyed object CA is detected by the image of the conveyed material passage detecting unit ME2, it can be seen that the posture change is completed and the front conveyed object CA has escaped the conveying attitude control unit 132S, so the airflow ( J1, J2) can be stopped.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ext conveyed object CA is also not in the normal conveying posture (NG determination), you may make it continue to flow the airflows J1 and J2 as it is. At this time, while the 1st airflow J1 continues to flow, you may make it generate|occur|produce the 2nd airflow J2 according to the arrival timing of the conveyed object CA.

상기의 반송물 판별부(ME1)의 화상의 취득, 당해 화상의 처리와 판별, 반송물 통과 검출부(ME2)의 통과검출처리, 그것들의 판별결과나 통과검출결과에 따른 반송자세 제어부(132S)의 제어 등은, 상기 반송장치(100)를 포함하는 도 10에 나타내는 반송시스템(10)에서 취득된 화상을 검사처리유닛(DTU)에 의해 처리함으로써, 도 11에 나타내는 동작프로그램에 따라서 실행된다. 이하에는 반송시스템(10)의 일례에 대해 설명을 한다.Acquisition of the image of the conveyed object discrimination unit ME1, processing and discrimination of the image, the passage detection processing of the conveyed material passage detection unit ME2, control of the conveyance posture control unit 132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the passage detection result, etc. is execu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program shown in FIG. 11 by processing the image acquired in the transport system 10 shown in FIG. 10 including the transport apparatus 100 by the inspection processing unit DTU. 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transport system 10 will be described.

반송시스템(10)은, 반송장치(100)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파츠 피더인 제1반송부(120)와 리니어 피더인 제2반송부(130)를 구비하는 진동식 반송장치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의 반송시스템(10)에서는, 제2반송부(130)의 반송로(132t)상의 반송물(CA)을 촬영화상(GPX)에 근거하여 검출하고, 그 검출된 화상부분을 대상으로 하여 검사, 판정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반송시스템(10)은, 본 발명에 관계된 구성을 구비하는 반송시스템에 있어서의 반송물의 자세제어방법의 대응부분 뿐만 아니라, 당해 대응부분 이외에 반송물에 대한 여러 검사부, 판별부, 선별부, 반전부, 배제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진동식 반송장치에 한정되지 않는 구성에 대해서는, 반송물(CA)이 반송로를 따라 반송되는 각종의 반송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또 진동식 반송장치라도, 상기 파츠 피더(120)와 리니어 피더(130)의 조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순환식 파츠 피더 등의 다른 형식의 반송장치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의 조합에 있어서도 리니어 피더(130)의 반송로(132t)상의 반송물(CA)을 검사, 판별, 반전, 배제 등을 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파츠 피더(120)의 반송로(122t)상의 반송물(CA)을 검사 등 하는 것이라도 무방하다.The conveying system 10 has, as the conveying apparatus 100, a vibrating type convey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1st conveying part 120 which is a parts feeder, and the 2nd conveying part 130 which is a linear feeder, as mentioned above. In the conveyance system 10 of this embodiment, the conveyed object CA on the conveyance path 132t of the 2nd conveyance part 130 is detected based on the picked-up image GPX, and the detected image part is taken as a target, inspect, judge Here, the conveying system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not only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attitude control method of the conveyed object in the conveying system hav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also various inspection units, judging unit, It may include a selection unit, an inversion unit, an exclusion unit, and the like. Moreover, in this invention, about the structure which is not limited to a vibrating type conveying apparatus, it can be used for the various conveying apparatuses in which the conveyed material CA is conveyed along a conveyance path. In addition, even if it is a vibration type conveying apparatus, it is not limited to the combination of the said parts feeder 120 and the linear feeder 130, It is possible to use for other types of conveying apparatuses, such as a circulation type part feeder. Moreover, even in the above combination, the conveyed material CA on the conveying path 132t of the linear feeder 130 is not limited to inspection, discrimination, inversion, exclusion, etc., and the conveying path 122t of the parts feeder 120 It is okay to inspect the conveyed material (CA) of the upper body.

파츠 피더(120)는 컨트롤러(CL12)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또 리니어 피더(130)는 컨트롤러(CL13)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이것들의 컨트롤러(CL12, CL13)는 파츠 피더(120)나 리니어 피더(130)의 가진수단(전자구동체나 압전구동체 등을 포함)을 교류구동하고, 반송체(122, 132)를 반송로(122t, 132t) 상의 반송물(CA)이 소정의 반송방향(F)으로 이동하는 태양이 되도록 진동시킨다. 또 컨트롤러(CL12, CL13)는, 반송제어시스템의 주체가 되는 화상처리기능을 가지는 검사처리유닛(DTU)에 입출력회로(I/O)를 개재해 접속되어 있다.The parts feeder 120 is driven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CL12. In addition, the linear feeder 130 is driven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CL13. These controllers (CL12, CL13) AC drive the excitation means (includ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piezoelectric actuators, etc.) of the parts feeder 120 or the linear feeder 130, It vibrates so that the conveyance object CA on 122t, 132t may become an aspect which moves in the predetermined conveyance direction F. Further, the controllers CL12 and CL13 are connected via an input/output circuit I/O to an inspection processing unit DTU having an image processing function as the main body of the transport control system.

또 컨트롤러(CL12, CL13)는, 하기의 동작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후술하는 연산처리장치(MPU)에 대해 마우스 등의 후술하는 조작입력장치(SP1, SP2) 등을 개재해 소정의 조작입력(디버깅조작)이 행해지면, 상기의 동작프로그램에 따라 반송장치(100)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때 상기의 동작프로그램에 따라서, 예를 들면, 검사처리유닛(DTU)에 있어서의 화상계측처리도 정지된다. 이 디버깅조작 및 당해 조작에 따른 각 개소의 동작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s CL12 and CL13 provide a predetermined operation input (debugging operation) via operation input apparatuses SP1 and SP2 described later such as a mouse to an arithmetic processing unit (MPU),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ich executes the operation program described below. ), the driving of the conveying apparatus 100 is stopped according to the above operation program.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above operation program, for example, the image measurement processing in the inspection processing unit DTU is also stopped. This debugging operation and the operation of each loc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검사처리유닛(DTU)은, 퍼스널 컴퓨터 등의 연산처리장치(MPU)(마이크로 프로세싱 유닛)를 중핵 구성으로 하고, 도시예에서는, 상기 연산처리장치(MPU)는, 중앙처리유닛(CPU1, CPU2), 캐시 메모리(CCM), 메모리 컨트롤러(MCL), 칩 세트(CHS) 등으로 구성된다. 또 이 검사처리유닛(DTU)에는, 촬상수단(CM)인 카메라(CM1, CM2)에 각각 접속된 화상처리를 행하기 위한 화상처리회로(GP1, GP2)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의 화상처리회로(GP1, GP2)의 출력은 각각 화상처리메모리(GM1 GM2)에 접속되어 있다. 화상처리회로(GP1, GP2)의 출력은 상기 연산처리장치(MPU)에도 접속되고, 카메라(CM1, CM2)로부터 옮긴 촬영화상(GPX)의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적절한 처리화상(예를 들면 후술하는 화상영역(GPY) 내의 화상 데이터)을 연산처리장치(MPU)에 전송한다. 주 기억장치(MM)에는 미리 반송제어시스템의 동작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검사처리유닛(DTU)이 기동되면, 연산처리장치(MPU)에 의해 상기 동작프로그램이 판독되어 실행된다. 또 이 주 기억장치(MM)에는, 연산처리장치(MPU)에 의해 후술하는 화상계측처리를 실행한 대상이 되는 촬영화상(GPX) 혹은 화상영역(GPY)의 화상 데이터가 보존된다.The inspection processing unit DTU has an arithmetic processing unit (MPU) (microprocessing unit)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s a core configuration, and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MPU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1, CPU2). , a cache memory (CCM), a memory controller (MCL), and a chip set (CHS). In addition, the inspection processing unit DTU is provided with image processing circuits GP1 and GP2 for performing image processing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ameras CM1 and CM2 serving as the imaging means CM. Outputs of these image processing circuits GP1 and GP2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image processing memories GM1 GM2. Outputs of the image processing circuits GP1 and GP2 are also connected to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MPU, and the image data of the captured image GPX transferred from the cameras CM1 and CM2 is processed and an appropriate processed image (for example, to be described later) image data in the image area GPY) is transferred to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MPU. In the main memory MM, the operation program of the transport control system is stored in advance. When the inspection processing unit DTU is started up, the operation program is read and executed by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MPU. In addition, in this main storage device MM, image data of a captured image GPX or an image area GPY to be subjected to an image measurement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by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MPU is stored.

또 검사처리유닛(DTU)은, 입출력회로(I/O)를 개재해 액정모니터 등의 표시장치(DP1, DP2)나 조작입력장치(SP1, SP2)에 접속된다. 표시장치(DP1, DP2)는, 상기 연산처리장치(MPU)에 의해 처리된 촬영화상(GPX) 혹은 화상영역(GPY)의 화상 데이터, 화상계측처리의 결과, 즉, 상기의 반송물 판별부(ME1)의 화상에 대한 반송물 판별처리 외에, 상기의 반송물 통과 검출부(ME2)의 화상에 대한 반송물 통과 검출처리 등의 각 장소에서의 반송물 검출처리나 반송물 판별처리의 결과 등이, 소정의 표시태양으로 표시된다. 또한, 이 표시기능은, 실제로 반송물이 반송되고 있는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과거의 데이터를 판독해 재생하고 있는 경우에도 기능한다. 또 표시장치(DP1, DP2)의 화면을 보면서 조작입력장치(SP1, SP2)를 조작함으로써, 각종의 조작지령, 설정값 등의 처리조건을 상기 연산처리장치(MPU)에 입력할 수 있다.Further, the inspection processing unit DTU is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s DP1 and DP2 such as a liquid crystal monitor and the operation input devices SP1 and SP2 via the input/output circuit I/O. The display devices DP1 and DP2 are configured to include the image data of the captured image GPX or the image area GPY processed by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MPU, the result of the image measurement processing, that is, the conveyed object discrimination unit ME1. ), the results of conveyed material detection processing and conveyed material discrimination processing at each location, such as conveyed material passing detection processing for the image of the conveyed material passing detection unit ME2, are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display mode. do. In addition, this display function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conveyed object is actually conveyed, but also functions when the past data is read and reproduced|reproduc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by operating the operation input devices SP1 and SP2 while viewing the screens of the display devices DP1 and DP2, processing conditions such as various operation commands and set values can be input to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MPU.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의 카메라(CM1, CM2), 2 개의 화상처리회로(GP1, GP2), 2 개의 표시장치(DP1, DP2), 2 개의 조작입력(SP1, SP2) 등을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2 개의 구성을 구비하는 것은 일례이고, 단일의 각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으며, 3 개 이상의 각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 10, two cameras CM1, CM2, two image processing circuits GP1, GP2, two display devices DP1, DP2, two operation inputs ( Although SP1, SP2) etc. are provided, providing these two structures is an example, and each single structure may be provided, and three or more each structure may be provided.

다음으로, 전술한 도 6에 나타내는 실시예나 후술하는 도 7~도 9에 나타내는 실시예를 구성하기 위한 전제로서, 검사처리유닛(DTU)의 처리내용, 및, 반송물 판별부(ME1)나 반송물 통과 검출부(ME2)의 화상을 처리하는 반송물 판별수단이나 반송물 통과 검출수단의 설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취득된 화상(GPX)이나 (GPY)에 대해, 반송물 판별부(ME1) 내의 화상처리에 의해 반송물 판별처리를 행하는 것과 함께, 반송물 통과 검출부(ME2) 내의 화상처리에 의해 반송물 통과 검출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반송물 판별부(ME1)나 반송물 통과 검출부(ME2) 내의 화상데이터에 의해, 반송로상에 있어서의 반송물(CA)이 검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반송로(121) 상을 통과하는 모든 반송물(CA)이 상기 화상(GPX, GPY)중 어느 하나의 상기 각 계측영역(ME1, ME2) 내에 촬영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이것에 의해, 각 계측영역(ME1, ME2)은, 반송물(CA)의 반송속도(Vs)와 촬영간격(Ts)에 관계된 제약으로서, 적어도 아래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어야 한다.Next, as a premise for configur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or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7 to 9 to be described later, the processing contents of the inspection processing unit DTU, and the conveyed material discrimination unit ME1 or conveyed material passing The setting of conveyed object discrimination means and conveyed object passing detection means which process the image of detection part ME2 is demonstra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the images (GPX) and (GPY) acquired as described above, conveyed material discrimin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by image processing in conveyed material discrimination unit ME1, and image processing in conveyed material passing detection unit ME2 is performed. Since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conveyed material passing detection process by the , the conveyed material CA on the conveying path must be detected by the image data in the conveyed material discrimination unit ME1 or the conveyed material passing detection unit ME2.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all the conveyed objects CA passing on the conveyance path 121 are imaged within the respective measurement areas ME1 and ME2 in any one of the above images GPX and GPY. Accordingly, each of the measurement areas ME1 and ME2 must satisfy at least the following conditions as constraints related to the conveying speed Vs of the conveyed object CA and the imaging interval Ts.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CM1, CM2)가 미리 설정된 기정의 촬영주기로 연속해 촬영을 실행하고, 당해 촬영주기마다 촬영화상(GPX) 혹은 상기 화상영역(GPY) 내의 화상데이터가 화상처리장치(GP1, GP2)를 개재해 상기 연산처리장치(MPU)에 전송된다. 연산처리장치(MPU)에서는, 전송된 상기 화상데이터중, 연산처리용 메모리(RMA)를 사용해 계측영역(ME) 내의 화상데이터를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하고, 반송물 점유범위 판별처리를 행한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별도 트리거 센서를 마련하거나, 반송물(CA)의 화상데이터중에서 반송물(CA)의 소정의 형상패턴을 소정의 영역 내에서 서치하고, 당해 형상패턴이 검출되었을 때에 내부 트리거를 발생시키거나 하는 것이 아니라, 기정의 촬영주기를 나타내는 외부 트리거를 도입하거나 연산처리장치(MPU)로부터 일정 주기의 트리거신호를 카메라(CM1, CM2)에 출력하거나 하는 등의 방법으로 기정의 촬영주기로 연속해 촬영을 실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반송로(132t) 상을 반송되어 오는 모든 반송물(CA)을 빠짐없이 판정하려고 하면 모든 반송물(CA)이 어느 하나의 촬영화상(GPX) 또는 화상영역(GPY)에 있어서, 각 계측영역(ME1, ME2) 내에 포함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meras CM1 and CM2 continuously perform shooting at a preset shooting cycle, and the captured image GPX or image data in the image area GPY is stored in the image processing device GP1 at each shooting cycle. , is transmitted to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MPU) via GP2). In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MPU, the image data in the measurement area ME is processed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arithmetic processing memory RMA among the transferred image data, and the conveyed article occupancy range discrimin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However, in this embodiment, a separate trigger sensor is provided, or a predetermined shape pattern of the conveyed object CA is searched for within a predetermined area from the image data of the conveyed object CA, and an internal trigger is activated when the shape pattern is detected. It is not generated, but continuous with a preset shooting cycle by introducing an external trigger indicating a preset shooting cycle or outputting a trigger signal of a certain cycle from the processing unit (MPU) to the cameras (CM1, CM2) The year is shooting. For this reason, if it is attempted to judge all the conveyed objects CA conveyed along the conveyance path 132t without exception, all conveyed objects CA will be in each measurement area (GPX) or image area (GPY) ME1, ME2) need to be included.

그래서 촬영주기를 Ts[sec], 반송물(CA)의 반송방향(F)의 길이를 L[mm], 반송물(CA)의 반송속도를 Vs[mm/sec]로 한 경우, 모든 반송물(CA)의 화상이 반드시 어느 하나의 화상데이터의 상기 계측영역(ME) 내에 포함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계측영역(ME1, ME2)의 반송방향(F)의 범위(LD)를 아래의 식(1)과 같이 설정한다.So, if the shooting period is Ts[sec], the length of the conveying direction F of the conveyed object CA is L[mm], and the conveying speed of the conveyed object CA is Vs[mm/sec], all conveyed objects CA In order to ensure that the image of is necessarily included in the measurement area ME of any one image data, the range LD of the conveyance direction F of the measurement areas ME1 and ME2 is set as in Equation (1) below. do.

LD≥L+β=L+Ts·Vs…(1)LD≥L+β=L+Ts Vs… (One)

예를 들면, 반송물(CA)의 반송방향(F)의 길이 L이 0.6 [mm], 반송속도 Vs가 50 [mm/sec], 촬영주기 Ts가 1 [msec]라고 하면, L=0.6 [mm], β=0.05 [mm]이고, LD≥0.65 [mm]가 된다. 또, 촬영주기 Ts를 0.5 [msec]라고 하면, L=0.6 [mm], β=0.025로 함으로써, LD≥0.625 [mm]가 된다.For example, if the length L of the conveying direction F of the conveyed object CA is 0.6 [mm], the conveying speed Vs is 50 [mm/sec], and the shooting period Ts is 1 [msec], L=0.6 [mm] ], β=0.05 [mm], and LD≥0.65 [mm]. In addition, assuming that the photographing period Ts is 0.5 [msec], L = 0.6 [mm] and β = 0.025, LD ≥ 0.625 [mm].

실제로는, 반송물(CM)의 반송속도에는, 개체마다, 장소에 따라, 혹은 경시적으로, 편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반송물(CA)의 전체 혹은 일부가 2 회 이상, 바람직하게는 3 회 이상의 화상데이터에 촬영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n(n은 자연수) 회 이상의 화상데이터에 촬영되도록 하기 위해서는,In reality, the conveyance speed of the conveyed product CM varies from individual to individual, depending on the location, or over time, so that all or part of the conveyed product CA is imaged two or more times, preferably three or more times. It is desirable to set it to be photographed in the data. In general, in order to capture image data more than n times (n is a natural number),

LD≥L+n·β=L+n·Ts·Vs…(2)LD≥L+n·β=L+n·Ts·Vs… (2)

가 성립하도록 LD를 설정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n을 3-7의 범위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것은 n이 작아지면 반송속도의 편차에 의한 반송물(CA)의 촬영누락이 발생할 우려가 높아지고, 반대로 n이 커지면 화상처리의 부하가 증대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는, 자연수 n은 1-10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처리시간은 일반적으로 150~300 μsec 정도이다. 또 촬영간격 Ts는 500-840 [μsec] 정도이다.LD is set so that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n is set to be in the range of 3-7. This is because, when n is small, the risk of omission of photographing of the conveyed object CA due to variations in conveying speed increases, and conversely, when n is large, the load of image processing increases. In general, the natural number n is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1-10.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image processing time is generally about 150-300 microseconds. Also, the shooting interval Ts is about 500-840 [μsec].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해 본 실시형태 전체의 동작프로그램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상기 검사처리유닛(DTU)의 연산처리장치(MPU)에 의해, 동작프로그램에 따라 실행되는 처리의 개략 플로차트이다. 이 동작프로그램을 기동하면, 먼저, 상기의 화상촬영 및 화상계측처리가 개시되는 것과 함께, 컨트롤러(CL12, CL13)에 의해 진동식 반송장치(100)(파츠 피더(120) 및 리니어 피더(130))의 구동이 개시된다. 그리고 전술한 디버깅조작에 따른 디버깅설정이 OFF이면, 촬영화상(GPX) 또는 화상영역(GPY)에 대해 화상계측처리가 실행되고, 반송물 판별부(ME1)의 화상에 근거한 반송물 판별처리의 판별결과가 OK판정이면, 디버깅조작이 행해지지 않는 한, 그대로 다음의 촬영화상(GPX) 또는 화상영역(GPY)의 화상계측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카메라(CM1, CM2) 등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근거하여 부정자세로 판정된 반송물(CA)에 대해서는, 반송자세 제어부(132S)에 있어서 제1의 분기구(OP1)의 기류(J1) 및 제2의 분기구(OP2)의 기류(J2)에 의해 반송자세를 제어하고, 반송로(132t)상에서 자세를 반전시킨다. 또한, 반송물 통과 검출부(ME2)에 있어서의 화상처리에 의해 반송물(CA)이 반송자세 제어부(132S)를 통과한 것을 검지하는 경우나, 반송물 배제부에 있어서, 반송물(CA)을 반송로(132t) 상에서 기류 등을 분사함으로써 배제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반송물(CA)의 불량이나 부정자세의 판별처리도,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반송로(132t)상에서 반송물(CA)의 반송자세가 제어됨으로써, 하류측으로는, 변경후의 반송자세의 것만이 정렬한 상태에서 공급되어 간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11, the flow of the operation program of this embodiment as a whole is demonstrated. Fig. 11 is a schematic flowchart of processing executed according to an operation program by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MPU) of the inspection processing unit (DTU). When this operation program is started, first, the above image shooting and image measurement processing is started, and the vibrating conveying device 100 (parts feeder 120 and linear feeder 13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s CL12 and CL13. driving is started. And when the debugging setting according to the debugging operation described above is OFF, the image measurement processing is executed for the captured image GPX or the image area GPY,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onveyed material discrimination processing based on the image of the conveyed material discrimination unit ME1 is If the determination is OK, the image measurement processing of the next captured image GPX or image area GPY is executed as it is, unless a debugg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other hand, for the conveyed object CA determined to be in an inappropriate posture based on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s CM1, CM2, etc., the airflow J1 of the first branch OP1 in the conveying posture control unit 132S and The conveyance attitude is controlled by the airflow J2 of the 2nd branch OP2, and an attitude|position is reversed on the conveyance path 132t. In addition, when detecting that the conveyed object CA has passed the conveyance attitude control part 132S by image processing in conveyed material passage detection part ME2, or conveyed object exclusion part WHEREIN: ), the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onveyed object CA is rejected by jetting an air stream or the like is also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In this way, by controlling the conveyance attitude of the conveyed material CA on the conveyance path 132t, only the conveyance attitude|position after a change is supplied in the aligned state to the downstream.

상기의 도중에서 디버깅조작이 행해지고, 디버깅설정이 ON이 되면, 상기 루틴으로부터 빠져나와, 반송장치(100)의 구동이 정지되고, 화상계측처리도 정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적절한 조작을 행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파일을 선택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선택표시된 화상파일은, 직전의 운전모드에서 기록하고 있었던 복수의 촬영화상(GPX) 또는 화상영역(GPY)을 포함한 화상파일이다. 이것을 그대로 선택해 적절한 조작을 하면 재실행모드로 이행한다. 이 모드에서는, 이미 실행된 제어동작을 기록한 화상파일에 근거하여, 화상의 표시나 검출 및 판정을 재실행시킬 수 있다. 즉, 반송장치(100)의 반송물(CA)의 검사, 판정, 제어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먼저 과거의 화상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계측처리를 재실행함으로써, 화상계측처리의 문제 개소를 찾는다. 당해 문제 개소가 판명되면, 그것에 따라서 검출이나 판정의 설정내용(설정값)을 변경, 조정하고, 다시 과거의 화상데이터에 대해 화상계측처리를 재실행함으로써 조정, 개선작업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적절한 복귀조작을 행하면, 디버깅설정이 OFF로 돌아가 화상계측처리가 재개되는 것과 함께, 반송장치(100)의 구동이 재개된다. 또 표시장치의 화면은 운전모드의 표시화면으로 돌아간다.In the middle of the above, when a debugg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the debugging setting is turned on, the routine is exited, the driving of the conveying apparatus 100 is stopped, and the image measurement processing is also stopped. Then, if an appropriate operation is performed in this state, the image file can be selected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selected and displayed image file is an image file including a plurality of captured images (GPX) or image areas (GPY) recorded in the immediately preceding operation mode. If you select this as it is and perform an appropriate operation, it will shift to the re-execution mode. In this mode, it is possible to re-execute the display, detection and judgment of an image based on an image file in which an already executed control operation is recorded. That is,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inspection, determination, and control of the conveyed material CA of the conveying apparatus 100,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first, the image measurement processing is re-executed based on the past image data. Find the problem point. When the problem location is identified, the result of the adjustment and improvement work can be confirmed by changing and adjusting the setting contents (setting values) of detection and judgment accordingly, and then re-executing the image measurement processing for the past image data. After that, when an appropriate recovery operation is performed, the debugging setting is returned to OFF, the image measurement processing is resumed, and the driving of the conveying apparatus 100 is resumed. In additi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returns to the display screen of the operation mod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각 계측영역인 반송물 판별부(ME1)와 반송물 통과 검출부(ME2)를 사용한 트리거리스의 화상취득수법에 근거한 화상의 처리에 따른 판별이나 검출을 행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반송물 판별처리 등에 한정하지 않고, 간단한 통과센서 등을 사용한 트리거신호에 대응하는 타이밍에서 취득된 화상의 처리에 의한 반송물 판별처리 등에 따라도 무방하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discrimination and detection are performed according to image processing based on a triggerless image acquisition method using the conveyed object discrimination unit ME1 and the conveyed material passing detection unit ME2, which are the respective measurement area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veyed object discrimination processing, etc., and may follow the conveyed object identification processing by processing an image acquired at a timing corresponding to a trigger signal using a simple pass sensor or the like.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해 본 실시형태의 제2실시예에 의한 반송로(132t) 상의 반송물(CA)의 반송 도중에 있어서의 반송자세 제어부(132S)에서의 반송자세의 변경의 태양을 나타낸다. 이 제2실시예에서는, 반송물 판별부(ME2)의 화상처리에 의한 반송물(CA)의 판별결과에 따르지 않고, 제1의 분기구(OP1)로부터 기류(J1)를 연속해(상시) 분사하고, 반송로(132t) 상을 반송되어 오는 모든 반송물(CA)을 부상시키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모든 반송물(CA)을 반송자세 제어부(132S)에서 부상상태로 하기 때문에, 판별결과에 따른 반송자세의 변경 유무는, 제2의 분기구(OP2)로부터 기류(J2)를 발생시키게 하는지 여부에 의해 결정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7, the aspect of the change of the conveyance attitude|position by the conveyance attitude control part 132S in the middle of conveyance of the conveyed material CA on the conveyance path 132t by 2nd Example of this embodiment is shown. In this second embodiment, the airflow J1 is continuously (always) jetted from the first branch OP1, irrespective of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onveyed material CA by the image processing of the conveyed object discrimination unit ME2. , all the conveyed materials CA conveyed on the conveyance path 132t are made to float. In this way, since all the conveyed objects CA are placed in the floating state by the conveying attitude control unit 132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hange in the conveying postur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causes an airflow J2 to be generated from the second branch OP2. It is determined by whether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물(CA2)은, 기류(J1)에 의해 일단은 부상상태가 되지만, 정규의 반송자세이기 때문에 기류(J2)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그대로의 반송자세로 반송자세 제어부(132S)를 통과하면 강하(降下)하여 하류측으로 반송되어 간다. 한편,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물(CA3)은, 기류(J1)에 의해 일단 부상상태가 되면 정규의 반송자세가 아니므로,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분기구(OP2)로부터 발생하는 기류(J2)에 의해 회전하고, 도 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규의 반송자세로 변경된 후에, 반송자세 제어부(132S)를 통과하면 강하하여 하류측으로 반송되어 간다. 더욱이, 도 7(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물(CA4)은, 반송자세 제어부(132S)에서 기류(J1)에 의해 부상상태가 되지만, 정규의 반송자세라고 판정되기 때문에, 그대로의 자세로 반송자세 제어부(132S)를 통과하면 강하하여 하류측으로 반송되어 간다.As shown in Fig. 7(a) , the conveyed material CA2 is in a floating state at one end by the airflow J1, but since the airflow J2 is not generated due to the normal conveying posture, it is conveyed in the conveying posture as it is. When it passes through the attitude|position control part 132S, it descends and is conveyed downstream.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b), the conveyed material CA3 is not in a normal conveying posture once it is in a floating state by the airflow J1, so as shown in Fig. 7(c), the second After being rotated by the airflow J2 generated from the branch OP2 and changed to the normal conveying posture as shown in Fig. 7(d), if it passes through the conveying attitude control unit 132S, it descends and is conveyed downstream. . Furthermore, as shown in Fig. 7(e), the conveyed object CA4 is floated by the airflow J1 in the conveying posture control unit 132S, but since it is determined to be a normal conveying posture, it is conveyed in the same posture If it passes through the attitude|position control part 132S, it descends and is conveyed downstream.

이 제2실시예에서는, 기류(J1)를 연속해(상시) 발생시키고, 모든 반송물(CA)을 반송자세 제어부(132S)에서 부상상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기류(J1)의 유무의 절환에 의한 반송물(CA)의 위치나 자세의 불안정성을 회피할 수 있다. 또 기류(J1)(의 강도나 분포)를 정상화할 수 있으므로, 반송물(CA)의 부상이나 강하의 위치나 자세를 제어하는 것도 용이화된다. 반송물(CA)의 부상상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1의 분기구(OP1)는, 제2의 분기구(OP2)보다도 반송방향(F)으로 긴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통상, 제2의 분기구(OP2)보다도 상류측에서 제2의 분기구(OP2) 위치의 전후까지 연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기류(J1)의 강도(기류압)가 반송방향(F)을 따라 서서히 증대하여 일정화되고, 그 후 서서히 감소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반송물(CA)의 부상상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기류(J2)에 의한 반송물(CA)의 반송자세의 변경(회전)의 안정성, 변경정밀도나 재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second embodiment, since the airflow J1 is continuously (always) generated and all conveyed objects CA are placed in a floating state by the conveyance attitude control unit 132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irflow J1 is switched by switching Instability of the position or attitude|position of the conveyed object CA can be avoided. Moreover, since the airflow J1 (intensity|strength and distribution of) can be normalized, it also becomes easy to control the position and attitude|position of the levitation and descent|fall of the conveyed object CA. In order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floating state of the conveyed object CA, it is preferable that the 1st branch OP1 has a longer range in the conveyance direction F than the 2nd branch OP2. Moreover, it is preferable to extend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2nd branch opening OP2 position before and behind normally rather than 2nd branch opening OP2. At this tim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intensity (airflow pressure) of the airflow J1 gradually increases along the conveyance direction F to become constant, and then decreases gradually. Moreover, since the stability of the floating state of the conveyed object CA can be improved as described above, the stability, change precision and reproducibility of the change (rotation) of the conveying posture of the conveyed object CA due to the airflow J2 can be further improved. have.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류(J1)의 공급압은, 기류(J2)의 공급압의 0.01배~1.0배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5~0.5배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기류(J1)는 반송물(CA)을 부상시키는 것이 목적이며, 반송자세의 변경 등의 적극적인 작동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지 않는 것과, 기류(J1)가 너무 강해지면 반송물(CA)의 부상상태가 불안정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 기류(J1)의 공급압은, 반송물(CA)의 부상위치(높이)를 정하기 때문에, 제2의 분기구(OP2)의 부상위치와의 관계가 정합하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즉, 기류(J1)에 의해 부상한 반송물(CA)의 부상위치가, 제2의 분기구(OP2)로부터 발생하는 기류(J2)에 의해 회전하기 쉬운 위치로 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또한, 반송물(CA)의 반송자세의 변경시에는, 기류(J1)과 기류(J2)가 병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반송물(CA)의 회전이, 기류(J2)뿐만 아니라 기류(J1)에 의해서도 촉진되도록, 기류(J1)에 의해 반송물(CA)에 부여되는 회전토오크가, 기류(J1)에 의해 반송물(CA)에 부여되는 회전토오크와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기류(J1)과 (J2)는 모두, 반송물(CA)을 정렬방향 축(CAx) 주위로 같은 회전의 방향(도시예에서는 시계 회전방향)으로 작용한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ly pressure of the air stream J1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01 to 1.0 times the supply pressure of the air flow J2, and particularly preferably in the range of 0.05 to 0.5 times. In this case, the purpose of the airflow J1 is to levitate the conveyed object CA, and the main purpose is not to actively operate the conveyance posture, such as a change of the conveyance posture. because it becomes unstable. Moreover, since the supply pressure of the airflow J1 determines the floating position (height) of the conveyed object CA, it is necessary to adjust so that the relationship with the floating position of the 2nd branch port OP2 may match. That is, it is necessary that the floating position of the conveyed object CA floated by the airflow J1 is a position which is easy to rotate by the airflow J2 which generate|occur|produces from the 2nd branch OP2.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flow J1 and the airflow J2 coexist at the time of the change of the conveyance attitude|position of the conveyed object CA. At this time, so that the rotation of the conveyed object CA is promoted not only by the airflow J2 but also by the airflow J1, the rotational torque imparted to the conveyed object CA by the airflow J1 is applied by the airflow J1 to the conveyed object CA ), it is desirable to ac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al torque applied to it. For example, the airflows J1 and J2 shown in Fig. 4 both act in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clockwise in the illustrated example) for the conveyed object CA around the alignment direction axis CAx.

또한, 제1의 분기구(OP1)의 개구 범위에 대해서는, 반송물(CA)의 부상상태의 안정성이나 재현성을 높이기 위해, 당해 개구 범위의 폭방향(반송방향(F)과 직교하는 방향)에는, 반송물(CA)의 반송시의 폭(W)의 범위내에서 어느 정도 넓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2의 분기구(OP2)의 개구 범위에 대해서는 반송물(CA)의 자세변경태양(회전동작)의 안정성이나 재현성을 고려해 설정된다.In addition, about the opening range of the 1st branch port OP1, in order to improve the st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the floating state of the conveyed object CA, in the width direction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veyance direction F) of the said opening range, It is preferable to set to a certain extent within the range of the width W at the time of conveyance of the conveyed object CA. In addition, the opening range of the second branch port OP2 is set in consideration of st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the attitude change mode (rotation operation) of the conveyed object CA.

도 8에는, 본 실시형태의 제3실시예에 의한 반송로(132t)상의 반송물(CA)의 반송도중에 있어서의 반송자세 제어부(13S, 132S')에서의 반송자세의 변경 태양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반송방향(F)을 따라 복수의 반송자세 제어부가 설정되어 있다. 반송자세 제어부(132S)와 (132S')는, 상기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류(J1)를 상시 발생시키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반송물 판별부(ME1, ME1')에 근거한 판별결과에 따라 반송자세를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만 기류(J1)를 발생시키게 하여도 좋다.Fig. 8 shows a mode of change of the conveying posture in the conveying attitude control units 13S and 132S' during conveyance of the conveyed material CA on the conveying path 132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conveyance posture control units are set along the conveyance direction F. As shown in FIG. The conveyance posture control unit 132S and 132S' shows an example of constantly generating the airflow J1 as in the second embodiment, but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the conveyed object determining units ME1 and ME1 '), the airflow J1 may be generated only whe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onveying postur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based on the ').

이 실시예에서는, 상류측의 반송자세 제어부(132S')에서는, 하류측의 반송자세 제어부(132S)의 기류(J2)와는 반대의, 반송물(CA)을 역회전시키는 기류(J2')를 발생시킴으로써 반송물(CA)을 역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반송자세 제어부(132S)와 (132S') 모두가 상류측,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하면, 반송물(CA)의 정렬방향 축(CAx) 주위의 4 개의 회전자세(A~D) 중의, 정규의 반송자세(A)에 대해 순회전으로 변경 가능한 반송자세(B)와, 역회전으로 변경 가능한 반송자세(D)의 모두에 대해서도, 1층의 자세변경(90도의 회전)으로 바로 정규의 반송자세(A)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upstream conveying attitude control unit 132S' generates an airflow J2' that reversely rotates the conveyed object CA, opposite to the airflow J2 of the downstream conveying attitude control unit 132S. It is configured to reversely rotate the conveyed material CA. In addition, both the conveyance attitude control part 132S and 132S' may be arrange|positioned on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In this way, among the four rotation postures A to D around the alignment direction axis CAx of the conveyed object CA, the conveyance posture B, which can be changed to forward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normal conveyance posture A, and the reverse rotation For all of the transfer postures D that can be changed to , it becomes possible to immediately change to the normal transfer posture A by changing the posture on the first floor (rotation of 90 degrees).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해, 본 실시형태의 제4실시예에 의한 반송로(132t) 상의 반송물(CA)의 반송 도중에 있어서의 반송자세 제어부(132S1~132S4)에서의 반송자세의 변경의 태양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류측의 반송로 부분(132tp)에서는 저면부(132tpb)가 폭 넓게 구성되기 때문에, 정렬방향 축(CAx)이 반송로 부분(132tp)의 폭방향을 향한 가로자세의 반송물(CA)도 포함된 상태로 반송되어 간다. 그 후, 저면부(132tsb)의 폭이 저하된 반송로 부분(132t)이 마련된다. 이 반송로 부분(132ts)에서는, 상기 가로 자세의 반송물(CA)이 자중(自重)에 의해 낙하함으로써 반송로(132t)가 배제된다. 그 결과, 반송로 부분(132ts)에서는, 정렬방향 축(CAx)이 반송방향(F)을 향한 반송물(CA)만이 반송되어 간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9, the aspect of the change of the conveyance attitude|position in the conveyance attitude|position control part 132S1-132S4 in the middle of conveyance of the conveyed material CA on the conveyance path 132t by 4th Example of this embodiment indicates In this embodiment, in the upstream conveying path portion 132tp, since the bottom surface portion 132tpb is configured to be wide, the alignment direction axis CAx is direc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veying path portion 132tp. CA) is also included and sent back. Then, the conveyance path part 132t in which the width|variety of the bottom surface part 132tsb was reduced is provided. In this conveyance path part 132ts, the conveyance path 132t is excluded because the conveyed object CA of the said horizontal orientation falls by its own weight. As a result, in the conveyance path portion 132ts, only the conveyed material CA in which the alignment direction axis CAx faces the conveyance direction F is conveyed.

상기 반송로 부분(132ts)은, 반송물(CA)의 선별용의 반송부분이고, 반송물 판별부(ME11~ME14)에 대응하는 반송자세 제어부(132S1~132S4)가 마련된다. 반송물 판별부(ME11, ME12, ME13, ME14)는,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반송물(CA)의 정렬방향 축(CAx) 주위의 반송자세(A~D)를 검출하고, 그것이 정규의 반송자세(A)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반송자세 제어부(132S1, 132S2, 132S3)에서는, 각각 정규의 반송자세(A) 이외의 반송자세(B~D)의 반송물(CA)을 90도씩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의 방향은 전술한 순회전이라도 역회전이라도 무방하지만, 3 개의 반송자세 제어부(132S1~132S3)에 의해 반송자세(B~D)의 모든 반송물(CA)에서도, 최종적으로 모든 정규의 반송자세(A)로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The conveyance path part 132ts is a conveyance part for selection of the conveyed material CA, and conveyance attitude|position control part 132S1 - 132S4 corresponding to conveyed object determination parts ME11 - ME14 are provided. The conveyed object discrimination units ME11, ME12, ME13, and ME14 detect the conveying postures A to D around the alignment direction axis CAx of the conveyed material CA as described above, and determine the normal conveying posture A Determine whether or not you are aware In the conveyance attitude control part 132S1, 132S2, 132S3, respectively, it can rotate the conveyed object CA of conveyance attitude|positions B to D other than the normal conveyance posture A by 90 degree|times. In this case, although the direction of rotation may be the above-mentioned forward rotation or reverse rotation, by the three conveyance attitude control parts 132S1-132S3, even in all the conveyed objects CA in the conveyance attitude|position B-D, finally all normal conveyanc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be comprised so that it can change to posture (A).

최후의 반송자세 제어부(132S4)에서는, 정규의 반송자세(A)가 아닌 반송물(CA)을 모두 반송로 부분(132ts)상에서 배제한다. 배제처는 회수용의 반송로(133t)이다. 이 반송자세 제어부(132S4)에서는, 상류측의 반송자세 제어부(132S1~132S3)에 있어서 어떠한 자세변경 실수로 인해 정규의 반송자세(A)가 되지 않았던 반송물(CA), 일단은 정규의 반송자세(A)가 되기는 하였으나, 그 후, 반송로 부분(132ts)에서 반송되는 과정에서 자세가 변경되어 버렸던 반송물(CA), 혹은 상기의 가로 자세의 반송물(CA)을 모두 배제함으로써, 하류측을 향해 정규의 반송자세(A)의 반송물(CA)만을 반송시킨다.In the final conveyance attitude control part 132S4, all conveyed objects CA which are not the normal conveyance attitude|position A are excluded on the conveyance path part 132ts. The exclusion destination is the return path 133t for recovery. In this conveyance attitude control part 132S4, the conveyed object CA which did not become the normal conveyance attitude A due to some attitude change mistake in the upstream conveyance attitude control part 132S1 - 132S3, once the normal conveyance attitude ( A), but after that, by excluding all the conveyed objects CA whose posture has changed in the process of being conveyed in the conveying path portion 132ts or the conveyed objects CA in the above-mentioned transverse posture, normalization toward the downstream side Only the conveyed object CA is conveyed in the conveying posture A of

이 반송로 부분(132ts)에서는, 복수의 반송물 판정부(ME11~ME14)를 개별로 카메라(CM)에 의해 촬영하고, 각 화상을 개별로 화상처리함으로써 반송물(CA)의 판별을 행하여도 좋지만, 복수의 반송물 판정부(ME11~ME14)의 전체를 하나의 카메라(CM)로 촬영하여, 일체의 화상의 각 개소를 각각 처리함으로써 반송물(CA)의 판별을 행하여도 좋다.In this conveyance path portion 132ts, the conveyed material CA may be determined by separately photographing the plurality of conveyed material determination units ME11 to ME14 with the camera CM and processing each image individually. You may discriminate|determine the conveyed material CA by image|photographing the whole of some conveyed object determination parts ME11-ME14 with one camera CM, and process each location of a single image, respectively.

또 본 실시형태의 화상취득방법에 의해, 반송물(CA)의 부상상태나 회전상태를 취득한 화상에 근거하여, 상기 기류(J1)나 기류(J2)의 공급압, 공급타이밍, 공급시간 등을 조정하고, 최적인 부상상태나 회전상태가 얻어지도록 제어하는 기류제어수단을 마련하여도 좋다. 이 기류제어수단은, 기류(J1)과 (J2)의 어느 한쪽만을 조정하는 것이라도 좋으며, 혹은 기류(J1)과 (J2)의 쌍방을 각각 조정할 수 있는 것이라도 좋다. 특히, 기류(J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보다도 상당히 약한 값으로 조정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 것과 함께, 반송물(CA)의 부상상태를 안정시키기 위해 미묘하고 세밀한 조정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기류의 공급경로 상에 마련한 유량조정밸브를 정밀하게 제어 가능한 조정수단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mage acquisition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ly pressure, supply timing, supply time, etc. of the airflow J1 or J2 are adjusted based on the acquired image of the floating state and rotational state of the conveyed object CA. In addition, an airflow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o obtain an optimal floating state or rotational state may be provided. The airflow control means may adjust only either one of the airflows J1 and J2, or may adjust both of the airflows J1 and J2,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airflow J1 may need to be adjusted to a value considerably weaker than that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subtle and fine adjustment may be necessary to stabilize the floating state of the conveyed object CA, It is preferable to constitute an adjustment means capable of precisely controlling the flow rate adjustment valve provided on the air flow supply path.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로(132t) 상에서 제1의 기류(J1)에 의해 반송물(CA)을 제1의 반송면(132ta)으로부터 떨어져나가도록 부상시키고, 이 부상한 반송물(CA)을 제2의 기류(J2)에 의해 회전시키게 하였으므로, 반송물(CA)의 자세변경시에 반송로(132t)의 제1의 반송면(132ta)에 의한 간섭이 생기기 어려워지므로, 보다 확실하게 반송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특히, 반송물(CA)을 제2의 반송면(132tb)을 따라 부상시킴으로써, 반송물(CA)의 부상상태를 안졍시킬 수 있으며, 특히 제2의 반송면(132tb)이 경사면인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In this embodiment, on the conveyance path 132t, the conveyed object CA is levitated so that it may separate from the 1st conveyance surface 132ta by the 1st airflow J1, and this floated conveyed material CA is levitated by the 2nd Since it is rotated by the airflow J2 of have. In particular, by floating the conveyed object CA along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132tb, the floating state of the conveyed material CA can be stabilized, especially when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132tb is an inclined surface. .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의 기류에 의해 부상한 상태의 반송물(CA)에 제2의 기류를 닿게함으로써, 종래보다도 약한 기류압이라도 반송물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반송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물의 자세변경의 실패를 방지하기 위해 기류의 강도의 조정범위를 높은 레벨로 조절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과잉인 기류의 강도에 의한 장해를 일으킬 가능성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조정범위를 넓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기류의 강도의 조정작업도 용이화된다. 또 반송물의 적절한 자세제어가 가능한 기류의 강도의 조정범위가 넓어짐으로써, 반송물의 자세제어의 확실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기류의 강도 조정이라 함은, 예를 들면, 기류압의 조정이나 기류량의 조정, 혹은, 기류의 분사시간의 조정을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y making the second airflow hit the conveyed object CA in a state of being floated by the first airflow,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conveyed object even with a weaker airflow pressure than before, and the conveying posture can be changed. . Therefore, it is unnecessary to adjust the adjustment range of the intensity of the airflow to a high level in order to prevent the failure of the posture change of the conveyed object. This makes it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intensity of the airflow. In addition, since the adjustment range of the intensity of the airflow in which proper attitude control of the conveyed object is possible is widened, it becomes possibl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attitude control of the conveyed object. Here, the intensity|strength adjustment of an airflow includes, for example, adjustment of an airflow pressure, adjustment of an airflow amount, or adjustment of an airflow injection time.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물(CA)은, 제1의 기류(J1)에 의한 부상위치에서 제2의 기류(J2)에 의해 회전해 자세가 변경된 후에, 제1의 기류(J1)를 받지 않게 되었을 때에 반송로(132t) 상으로 돌아가고, 바람직하게는, 제1의 기류(J1)를 받지 않게 되었을 때에, 반송로(132t)상의 부상 전의 반송위치에 대응하는 폭방향의 위치로 돌아간다. 이것에 의해, 종래와 같이, 반송물을 폭방향으로 반전시켜서 측방으로 이동시킨 후에 원래의 반송열에 합류시킬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전후의 반송물(CA)에 의한 자세의 흐트러짐이나 전후의 반송물의 자세의 흐트러짐을 회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속, 고밀도로 반송되어 오는 반송물(CA)의 반송자세를 지장없이 제어할 수 있다. 또 반송자세를 갖추기 위한 반송방향(F)의 길이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반송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is embodiment, the conveyed object CA is rotated by the second air flow J2 from the floating position by the first air flow J1 to change its posture, and then does not receive the first air flow J1. It returns to the conveyance path 132t top when it ceases to exist, Preferably, when it stops receiving the 1st airflow J1, it returns to the position of the width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veyance position before floating on the conveyance path 132t. This eliminates the need to merge the conveyed material into the original conveying row after inverting the conveyed material in the width direction and moving it laterally as in the prior art. Distraction can be avoided. For this reason, the conveyance attitude|position of the conveyed material CA conveyed at high speed and high density can be controlled without difficulty. Moreover, since the length of the conveyance direction F for providing a conveyance attitude|position can also be reduced, a conveyance apparatus can be comprised compactly.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반송로(132t)의 구조는, 상기의 다른 실시형태의 반송로(132t)로 적절하게 치환해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의미로 같은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Next,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and 13 .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conveyance path 132t of this embodiment is using the same code|symbol in the meaning that it can substitute suitably for the conveyance path 132t of said other embodiment, and can use it.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채용된 기류안정화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진동식 반송장치의 진동 기대(基臺)(트로프(trough)) 상에, 일방측과 타방측에 각각 경사자세로, 뒷면을 맞댄 모양으로 배치된 지지면(132Ba1) 및 (132Ba2)을 구비한 기반블록(132Ba)과, 이 기반블록(132Ba)의 일방측의 지지면(132Ba1) 상에 고정된 제1블록(132Bb)과, 기반블록(132Ba)의 타방측의 지지면(132Ba2) 상에 고정된 제2블록(132Bc)이 마련된다. 제1블록(132Bb)에는 반송로(132t)의 제1의 반송면(132ta)이 마련된다. 또 제2블록(132Bc)에는 반송로(132t)의 제2의 반송면(132tb)의 일부가 마련된다. 단, 제2의 반송면(132tb)은, 후술하는 제2의 분기구(OP2)의 하방에 있는 부분이 기반블록(132Ba)의 지지면(132Ba1)의 상부에 의해 구성된다. 제1의 반송면(132ta)과 제2의 반송면(132tb)은 인접해 서로 각도차(도시예에서는 90도)를 가짐으로써, 반송로(132t)를 구성한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flow stabilization structure employed in another embodim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on the vibrating base (trough) of the vibrating conveying apparatus, the supporting surfaces 132Ba1 and (132Ba2) are arranged in an inclined posture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in a back-to-back shape. ) having a base block 132Ba, the first block 132Bb fixed on the support surface 132Ba1 of one side of the base block 132Ba, and the support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base block 132Ba ( A second block 132Bc fixed on 132Ba2 is provided. A first transport surface 132ta of the transport path 132t is provided in the first block 132Bb. Moreover, a part of the 2nd conveyance surface 132tb of the conveyance path 132t is provided in the 2nd block 132Bc. However, in the second conveyance surface 132tb, a portion below the second branch OP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nstituted by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surface 132Ba1 of the base block 132Ba. The 1st conveyance surface 132ta and the 2nd conveyance surface 132tb are adjacent and have mutually angular difference (90 degree|times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Comprising: The conveyance path 132t is comprised.

더욱이, 제1의 반송면(132ta)의 일부인 하부에는, 지지면(132Ba1)의 상단에 인접하고, 전체적으로 오목모양으로 구성되며, 지지면(132Ba1)에서 떨어져나가는 측이 오목곡면 모양으로 구성된 반송 유지면(132tc)이 마련된다. 이 반송 유지면(132tc)의 하단 위치(지지면(132Ba1)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제1의 분기구(OP1)가 개구하고 있다. 또 지지면(132Ba1)과 제2의 반송면(132tb)의 사이에는 제2의 분기구(OP2)가 개구하고 있다. 상기 반송 유지면(132tc)은, 제1의 분기구(OP1)로부터 분사되는 기류로 부상한 반송물(CA)이 제2의 분기구(OP2)로부터 분사되는 기류에 의해 회전(반전)하여 다른 자세기 된 후에, 상기 오목곡면을 따라 부드럽게 원래의 반송위치로 돌아가도록 반송물(CA)을 안내한다.Furthermore, in the lower part, which is a part of the first carrying surface 132ta,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surface 132Ba1, it is configured in a concave shape as a whole, and the side away from the support surface 132Ba1 is configured to have a concave curved shape. A surface 132tc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position (position adjacent to the support surface 132Ba1) of this conveyance holding surface 132tc, the 1st branch port OP1 is opening. Moreover, the 2nd branch OP2 is opened between the support surface 132Ba1 and the 2nd conveyance surface 132tb. The conveyance holding surface 132tc is rotated (inverted) by the airflow sprayed from the second branch port OP2 in which the conveyed material CA floated by the airflow sprayed from the first branch port OP1 is rotated (reversed) by another person. After counting, the conveyed material CA is guided to smoothly return to the original conveying position along the concave curved surface.

이 실시형태에서는, 기반블록(132Ba)에 마련된 제1의 급기로(PAs1)가 지지면(132Ba1) 상에 개구하고, 상기 지지면(132Ba1)과, 이것에 대향하는 제1블록(132Bb)의 대향면에 형성된 홈에 의해, 상기 제1의 급기로(PAs1)에 연통하는 제1의 분사로(PAc1)와, 상기 제1의 급기로(PAs1)에 연통하는 제1의 발기로(拔氣路)(PAe1)가 구성되어 있다. 제1의 분사로(PAc1)는, 상기 제1의 분기구(OP1)에서 개구하고, 제1의 급기로(PAs1)로부터 공급된 기류의 일부를 반송로(132t) 상으로 분출한다. 제1의 발기로(PAe1)는, 상기 제1의 급기로(PAs1)로부터 공급된 기류의 잔부(殘部)를 배출한다. 또한, 제1의 발기로(PAe1)는 도시예에서는 통기로 모양으로 구성되는데, 기류를 배출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단순한 극간이라도 무방하다. 여기서 제1의 급기로(PAs1)의 급기방향과, 제1의 분사로(PAc1)의 분사방향은 서로 경사지고, 도시예에서는 시계방향으로 약 45도 각도차를 구비한다. 또 제1의 급기로(PAs1)의 급기방향과, 제1의 발기로(PAe1)의 발기방향은 서로 경사지고, 도시예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약 135도의 각도차를 구비한다. 더욱이, 제1의 분사로(PAc1)의 분사방향과, 제1의 발기로(PAe1)의 발기방향은, 반대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 제1의 분사로(PAc1)는, 제1의 급기로(PAs1)보다도 작은 통기단면적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의 급기로(PAs1)의 통기단면적은, 제1의 분사로(PAc1) 및 제1의 발기로(PAe1)의 모든 통기단면적보다도 크다. 여기서, 3 개의 통기로는 1 개의 위치에서 합류(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의 급기로(PAs1)는, 제1의 분사로(PAc1)보다도 통기단면적이 큰 제1의 발기로(PAe1)의 측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ir supply passage PAs1 provided in the base block 132Ba is opened on the support surface 132Ba1, and the support surface 132Ba1 and the first block 132Bb opposing it are formed. A first injection passage PAc1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ir supply passage PAs1 and a first erec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ir supply passage PAs1 are provided by grooves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s. road) (PAe1) is configured. 1st injection path PAc1 opens in the said 1st branch port OP1, and blows out a part of the airflow supplied from 1st air supply path PAs1 onto the conveyance path 132t. The first erection passage PAe1 discharges the remainder of the airflow supplied from the first air supply passage PAs1. In addition, although the first erection path PAe1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ventilation path in the illustrated example, a simple gap may be sufficient as long as it has a structure capable of discharging airflow. Here, the air supply direction of the first air supply passage PAs1 and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first injection passage PAc1 are inclined to each other, and have an angle difference of about 45 degrees clockwise in the illustrated example. In addition, the air supply direction of the first air supply passage PAs1 and the erection direction of the first erection passage PAe1 are inclined to each other, and in the illustrated example, an angle difference of about 135 degrees is provid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Further,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first injection passage PAc1 and the erection direction of the first erection passage PAe1 are opposite to each other. Moreover, 1st injection path PAc1 is provided with the ventilation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1st air supply path PAs1. Here, the ventilation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air supply passage PAs1 is larger than all the ventilation cross-sectional areas of the first injection passage PAc1 and the first erection passage PAe1.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ee air passages merge (connect) at one position. In this case, the first air supply passage PAs1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first erection passage PAe1 having a larger ventilation cross-sectional area than that of the first injection passage PAc1.

또 제2블록(132Bc)에 마련된 제2의 급기로(PAs2)가 기반블록(132Ba)의 지지면(132Ba2) 상에 개구하고, 상기 지지면(132Ba2)과, 이것에 대향하는 제2블록(132Bc)의 대향면에 형성된 홈에 의해, 상기 제2의 급기로(PAs2)에 연통하는 제2의 분사로(PAc2)와, 상기 제2의 급기로(PAs2)에 연통하는 제2의 발기로(PAe2)가 구성되어 있다. 제2의 분사로(PAc2)는, 상기 제2의 분기로(OP2)에서 개구하고, 제2의 급기로(PAs2)로부터 공급된 기류의 일부를 반송로(132t) 상에 분출한다. 제2의 발기로(PAe2)는, 상기 제2의 급기로(PAe2)로부터 공급된 기류의 잔부를 배출한다. 또한, 제2의 발기로(PAe2)는 도시예에서는 통기로 모양으로 구성되는데, 기류를 배출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단순한 극간이라도 무방하다. 여기서, 제2의 급기로(PAs2)의 급기방향과, 제2의 분사로(PAc2)의 분사방향은 서로 경사지고, 도시예에서는 시계방향으로 약 45도의 각도차를 구비한다. 또 제2의 급기로(PAs2)의 급기방향과, 제2의 발기로(PAe2)의 발기방향은 서로 경사지고, 도시예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약 135도의 각도차를 구비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도차"라 함은, 기류의 방향이 변화하는 각도(절대값)를 말한다. 더욱이, 제2의 분사로(PAc2)의 분사방향과, 제2의 발기로(PAe2)의 발기방향은, 반대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 제2의 분사로(PAc2)는, 제2의 발기로(PAe2)보다도 작은 통기단면적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2의 급기로(PAs2)의 통기단면적은, 제2의 분사로(PAc2) 및 제2의 발기로(PAe2)의 모든 통기단면적보다도 크다. 여기서 3 개의 통기로는 1 개의 위치에서 합류(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의 급기로(PAs2)는, 제2의 분사로(PAc2)보다도 통기단면적이 큰 제2의 발기로(PAe2)의 측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air supply passage PAs2 provided in the second block 132Bc is opened on the support surface 132Ba2 of the base block 132Ba, and the support surface 132Ba2 and the second block ( 132Bc), a second injection passage PAc2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air supply passage PAs2, and a second erec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air supply passage PAs2, by a groove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132Bc) (PAe2) is constructed. The 2nd injection path PAc2 opens in the said 2nd branch path OP2, and blows out a part of the airflow supplied from the 2nd air supply path PAs2 on the conveyance path 132t. The second erection passage PAe2 discharges the remainder of the airflow supplied from the second air supply passage PAe2. In addition, although the second erection path PAe2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ventilation path in the illustrated example, a simple gap may be sufficient as long as it has a structure capable of discharging airflow. Here, the air supply direction of the second air supply passage PAs2 and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second injection passage PAc2 are inclined to each other, and have an angle difference of about 45 degre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xample. In addition, the air supply direction of the second air supply passage PAs2 and the erection direction of the second erection passage PAe2 are inclined to each other, and in the illustrated example, an angle difference of about 135 degrees is provid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ngular difference" means the angle (absolute value) at which the direction of an airflow changes. Moreover,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second injection passage PAc2 and the erection direction of the second erection passage PAe2 are opposite to each other. Further, the second injection path PAc2 has a smaller ventilation cross-sectional area than that of the second erection path PAe2. Here, the ventilation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air supply passage PAs2 is larger than all the ventilation cross-sectional areas of the second injection passage PAc2 and the second erection passage PAe2.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ee air passages merge (connect) at one position. In this case, the second air supply passage PAs2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second erection passage PAe2 having a larger ventilation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second injection passage PAc2.

도 13은, 반송로(132t)에 있어서의 반송물(CA)의 배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진동식 반송장치에 의한 가진기구에 의해, 반송로(132t)는 반송방향 대각선 상방을 따라 왕복진동을 반복함으로써, 반송물(CA)은 반송로(132t)를 따라 이동한다. 이때 반송물(CA)은, 도 13(a-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반송면(132tb)으로부터 이간한 상태에서 반송자세 제어부에 도달하는 경우와, 도 13(b-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반송면(132tb)에 접근 혹은 맞닿은 상태에서 반송자세 제어부에 도달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진동식 반송장치에서는, 반송물(CA)이 반송로(132t)의 제1의 반송면(132ta) 또는 제2의 반송면(132tb)에 맞닿음으로써 반송물(CA)이 대각선 전방으로 밀려나 공중을 비상(飛翔)한다고 한 사이클을 반복하면서 반송되어 가기 때문에, 반송중의 반송물(C)의 위치가 반송로(132t) 내에서 흐트러지기 때문이다.13 :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ypically arrangement|positioning of the conveyed material CA in the conveyance path 132t. In this embodiment, the conveyance path 132t repeats reciprocating vibration along the upper direction diagonally in a conveyance direction by the vibrating mechanism by the vibrating conveyance apparatus, and the conveyed object CA moves along the conveyance path 132t.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3(a-1), the conveyed material CA arrives at the conveying posture control unit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132tb, and as shown in Fig. 13(b-1).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conveyance posture control unit is reached while approaching or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veyance surface 132tb. In this case, in the vibrating conveying apparatus, the conveyed material CA is pushed diagonally forward when the conveyed material CA abuts against the first conveying surface 132ta or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132tb of the conveying path 132t, and thus the conveyed material CA is pushed forward in the air. This is because the conveying is carried out while repeating one cycle of flying,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onveyed object C during conveying is disturbed in the conveying path 132t.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기류안정화 구조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반송물(CA)이 도 13(a-1)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을 때에는, 제1의 분기구(OP1)로부터 분사되는 기류(J1)에 의해, 반송물(CA)은, 도 13(a-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분기구(OP2)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부상한다. 한편, 반송물(CA)이 도 13(b-1)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을 때에는, 제1의 분기구(OP1)로부터 분사되는 기류(J1)에 의해, 반송물(CA)은, 도 13(b-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분기구(OP2)에 대응하는 위치보다도 더욱 높은 위치까지 부상한다. 이것은 도 13(b-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물(CA)과 제2의 반송면(132tb)과의 사이의 극간이 작아지고 있거나, 혹은, 당해 극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기류(J1)가 상기 극간을 통과해 빠져나가는 것이 적어지고, 그 결과, 도 13(a-2)의 경우에 비하면, 반송물(CA)이 받는 기류압이 증대하기 때문이다.By the way, in the absence of the airflow stabilization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when the conveyed material CA is in the state shown in Fig. 13(a-1) as described above, the airflow J1 injected from the first branch OP1 ), the conveyed object CA floats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2nd branch port OP2, as shown to Fig.13 (a-2).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veyed material CA is in the state shown in Fig. 13(b-1), the conveyed material CA is changed to the conveyed material CA by the airflow J1 injected from the first branch port OP1 in Fig. 13(b-). As shown in 2), it floats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2nd branch OP2. As shown in FIG.13(b-1), since the clearance gap between the conveyed object CA and the 2nd conveyance surface 132tb is small, or the said clearance gap does not exist, the airflow J1 is This is because, as a result, the airflow pressure received by the conveyed object CA increases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FIG.

상기와 같은 기류(J1)에 의한 반송물(CA)의 부상 높이의 편차는, 반송물(CA)의 제1의 분기구(OP1)에 대한 반송방향의 위치의 변화나, 반송물(CA)의 제1의 반송면(132ta)에 대한 간격, 반송물(CA)의 반송자세(경사자세 등)의 변화에 의해서도 발생한다.The deviation of the height of the floating of the conveyed object CA by the airflow J1 as described above is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nveyed object CA in the convey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branch OP1, or the first of the conveyed material CA. It also occurs due to a change in the spacing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surface 132ta and the conveying posture (inclination posture, etc.) of the conveyed object CA.

그러나 기류안정화구조를 구비하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의 기류분사수단에 있어서, 제1의 발기로(PAe1)에 의해 구성되는 기류배출경로가 존재함으로써, 상기 반송로(132t)에 있어서의 반송물(CA)의 위치나 자세의 변화에 기인하는 기류(J1)과 반송물(CA)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기류압의 변화가 제1의 분사로(PAc1)의 내압(內壓)의 변화를 발생시키고, 이것에 의해 제1의 분사로(PAc1)의 통기저항이 변화하므로, 제1의 급기로(PAs1)로부터 제1의 분사로(PAc1)로 흐르는 기류의 증감과, 제1의 발기로(PAe1)로 흐르는 기류의 증감이, 서로 반대의 상관(相關)을 가지는 태양으로 각각 변화한다. 이 때문에, 제1의 분기구(OP1)로부터 분사되는 기류(J1)에 의해 반송물(CA)이 받는 기류압의 변화는, 상기 기류배출경로에 의해 흡수되어 완화된다. 이것에 의해, 도 13(a-3) 및 (b-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의 도 13(a-1)과 (b-1) 모두의 경우에도, 거의 마찬가지의 반송물(CA)의 부상 높이를 얻을 수 있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having the airflow stabilization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airflow injection means, there is an airflow discharge path constituted by the first erection path PAe1, so that the conveying path 132t ), the change in airflow pressure generated between the airflow J1 and the conveyed object CA resulting from a change in the position or attitude of the conveyed object CA in ), and thereby the ventilation resistance of the first injection path PAc1 changes,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airflow flowing from the first air supply path PAs1 to the first injection path PAc1; The increase/decrease of the airflow flowing to the erection path PAe1 of 1 respectively changes to the aspect which has mutually opposite correlation. For this reason, the change in the airflow pressure received by the conveyed object CA by the airflow J1 injected from the 1st branch OP1 is absorbed by the said airflow discharge path, and is relieved. As a result, as shown in Figs. 13 (a-3) and (b-3), even in both cases of Figs. 13 (a-1) and (b-1), almost the same conveyed material CA is Injury height can be obtained.

또 통상, 제1의 급기로(PAs1)의 상류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개폐밸브나 유량조정밸브 등의 기류조정수단이 마련된다. 이 경우, 기류조정수단에 대한 조정조작량에 의해 제1의 분사로(PAc1)의 기압이나 유량이 증감되므로, 최종적으로 제1의 분기구(OP1)로부터 분사되는 기류(J1)의 압력이나 유량이 증감한다. 이때, 상기 조정조작량은, 제1의 분사로(PAc1)의 기압이나 유량뿐만 아니라, 제1의 발기로(PAe1)의 기압이나 유량을 증감시킨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래 구조와 비교하면, 상기 조정조작량에 대한 제1의 분기구(OP1)로부터 분사되는 기류(J1)의 기압이나 유량의 변화율이 작아진다. 즉, 기류조정수단에 의한 제1의 분기구(OP1)의 기류(J1)의 제조감도가 낮아지므로, 조정조작이 용이해지는 것과 함께, 종래보다도 고정밀도로 또한 안정적으로 기류(J1)의 기압이나 유량을 조정 가능하게 된다. 특히, 기류(J1)는, 반송물(CA)을 제2의 분기구(OP2)에 대응하는 위치(높이)로 부상시키기 위해 정밀하게 조정, 설정될 필요가 있으므로, 조정조작이 곤란한 것과 함께, 상기 위치(높이)의 안정성은 외인(外因)(예를 들면, 압축공기원이나 유량조정밸브의 압력변동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에, 기류배출경로의 존재는 중요하고 효과적이다. 여기서 기류(J1)가 상시(연속해)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한 점은, 앞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 경우에는, 기류(J1)의 과도(過渡) 특성보다도, 반송물(CA)의 위치나 자세에 대한 대응성이나 안정성이 중요하다.Moreover, normally, airflow adjustment means, such as an on-off valve and a flow rate adjustment valve, not shown are provided in the upstream of the 1st air supply path PAs1. In this case, since the air pressure or flow rate of the first injection path PAc1 is increased or decreased by the adjustment operation amount for the air flow adjusting means, the pressure or flow rate of the air flow J1 finally injected from the first branch port OP1 is increase or decrease At this time, the adjustment operation amount increases/decreases not only the air pressure and flow rate of the first injection path PAc1 but also the air pressure and flow rate of the first erection path PAe1. For this reason, in this embodiment,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ructure, the change rate of the air pressure and flow volume of the airflow J1 injected from the 1st branch OP1 with respect to the said adjustment operation amount becomes small. That is, since the manufacturing sensitivity of the airflow J1 of the first branch port OP1 by the airflow adjusting means becomes low, the adjustment operation becomes easy and the air pressure and flow rate of the airflow J1 more accurately and stably than before. becomes adjustable. In particular, since the airflow J1 needs to be precisely adjusted and set in order to float the conveyed object CA to a position (heigh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ranch OP2, the adjustment operation is difficult and the above Since the stability of the position (height) is also easily affected by external factors (e.g., pressure fluctuations of a compressed air source or a flow control valve), the existence of an airflow discharge path is important and effective. Here, the airflow (J1) It is the same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at it is preferable to always (continuously) spraying. In this case, rather than the transient characteristics of the airflow J1, the responsiveness to the position and attitude of the conveyed object CA is Stability is important.

또한, 급기로(PAs1)의 급기방향에 대한 제1의 분사로(PAc1)의 분사방향의 각도차가, 급기방향에 대한 제1의 발기로(PAe1)의 발기방향의 각도차보다도 작음으로써 기류를 제1의 분사로(PAc1)에 우선해 공급할 수 있으므로, 기류(J1)의 공급압을 더욱 확보하기 쉬워져 안정시킬 수 있다. 또 제1의 분사로(PAc1)의 통기단면적이, 제1의 발기로(PAe1)의 통기단면적보다도 작음으로써 제1의 분사로(PAc1)의 기압변화를 제1의 급기로(PAs1) 측에 신속하게 전달하기 쉬워지는 것과 함께, 제1의 발기로(PAe1)의 기류배출작용을 높일 수 있으므로, 기류(J1)의 기압이나 유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과 함께 반송물(CA)에 대한 기류작용의 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소정의 조정조작량에 대한 기류(J1)의 기압이나 유량의 변화량을 더욱 저감할 수 있으므로, 기류(J1)의 조정을 더욱 용이화할 수 있어 기압이나 유량의 고정밀도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gular difference of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first injection passage PAc1 with respect to the air supply direction of the supply passage PAs1 is smaller than the angle difference of the erection direction of the first erection passage PAe1 with respect to the air supply direction. Since it can give priority to the 1st injection path PAc1 and can supply, it becomes easy to ensure the supply pressure of the airflow J1 further, and can be stabilized. In addition, since the ventilation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injection passage PAc1 is smaller than the ventilation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erection passage PAe1, the change in air pressure in the first injection passage PAc1 is reduced to the first supply passage PAs1 side. Since it becomes easy to transmit quickly and the airflow discharge action of the first erection path PAe1 can be increased, the stability of the air pressure and flow rate of the airflow J1 can be improved, and the airflow to the conveyed material CA The stability of action can also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ir pressure or flow rate of the air flow J1 with respect to the predetermined adjustment operation amount can be further reduced, the adjustment of the air flow J1 can be further facilitated, and high precision of the air pressure and flow rate can be achieved.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의 분기구(OP2)로부터 기류(J2)를 분사하는 제2의 기류분사수단에 있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2의 급기로(PAs2), 제2의 분사로(PAc2), 제2의 발기로(PAe2)를 가지는 기류안정화구조를 가진다. 이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반송물(CA)을 회전(반전)시키기 위한 기류(J2)에 대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반송물(CA)이 받는 기류압이 안정되어 편차도 감소하고, 더욱이, 기류조정수단에 의한 기압이나 유량의 조정에 대해서도 조정작업의 용이화나 조정의 고정밀도화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단, 이 제2의 분기구(OP2)로부터 분사되는 기류(J2)에 관해서는, 상기 기류(J1)과는 달리 상시 계속 흘려보낼 수 없으며, 상기 제2의 급기로(PAs2)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개폐밸브 등에 의해 온오프 제어된다. 이 때문에, 온오프 제어되는 과도 응답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2의 발기로(PAe2)에 의한 기류배출경로를 마련함으로써, 제2의 급기로(PAs2)에 공급되는 기류가 정지되었을 때에, 제2의 분사로(PAc2) 내의 기압이 빠져나가기 쉬워지므로, 기류(J2)의 압력을 신속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기류(J2)의 작용에 의해 회전(반전)시킨 반송물(CA)의 다음에 반송되어 오는 정상자세의 반송물에도 실수로 기류(J2)를 분사해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2의 급기로(PAs2)의 급기방향에 대한 제2의 분사로(PAc1)의 분사방향의 각도차가, 급기방향에 대한 제2의 발기로(PAe2)의 발기방향의 각도차보다도 작은 것에 의한 작용효과와, 제2의 분사로(PAc2)의 통기단면적이, 제2의 발기로(APe2)의 통기단면적보다도 작은 것에 의한 작용효과는, 제1의 기류분사수단과 마찬가지이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also in the 2nd airflow injection means which injects the airflow J2 from the 2nd branch port OP2, similarly to the above, the 2nd air supply path PAs2, the 2nd injection path (PAc2) and has an airflow stabilization structure having a second erection path (PAe2). For this reason, basically, also with respect to the airflow J2 for rotating (reversing) the conveyed object CA, similarly to the above, the airflow pressure received by the conveyed object CA is stabilized and dispersion|variation is also reduced, Furthermore, the airflow adjustment means With regard to the adjustment of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flow rate by using the However, with respect to the airflow J2 injected from the second branch port OP2, unlike the airflow J1, it is not possible to continuously flow it, and it is on the upstream side of the second air supply passage PAs2. On/off is controlled by an on/off valve installed. For this reason, for the transient responsiveness controlled on/off, by providing an airflow discharge path by the second erection path PAe2, when the airflow supplied to the second air supply path PAs2 is stopped, the second Since the atmospheric pressure in the injection path PAc2 escapes easily, the pressure of the airflow J2 can be reduced quickly. For this reason, the possibility that the airflow J2 will be injected by mistake can be reduced also to the conveyed object in a normal posture conveyed next to the conveyed object CA rotated (reversed) by the action of the airflow J2. In addition, the angle difference of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second injection passage PAc1 with respect to the air supply direction of the second air supply passage PAs2 is smaller than the angle difference of the erection direction of the second erection passage PAe2 with respect to the air supply direction. The action and effect due to this and the effect that the ventilation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injection passage PAc2 is smaller than the ventilation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erection passage APe2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air flow injection means.

또한, 본 발명의 반송자세의 제어방법 및 반송시스템은, 상술한 도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반송로(132t)의 제1의 반송면(132ta)과 제2의 반송면(132tb)은 모두 평탄한 면을 구비하지만, 반송로(132t)로서는, 오목곡면 모양이나 볼록곡면 모양의 반송면을 구비하는 것이라도 좋고, 또 복수의 반송면이 아니라 일체의 오목모양의 홈구조 등을 갖는 것이라도 좋다.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nveyance posture and the convey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both the 1st conveyance surface 132ta and the 2nd conveyance surface 132tb of the conveyance path 132t are provided with flat surfaces, as the conveyance path 132t, concave curved shape However, it may be provided with a conveying surface in the form of a convex curved surface, or may have a concave groove structure or the like instead of a plurality of conveying surfaces.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반송로(132t)의 반송면에 개구한 분기구(OP1, OP2)로부터 기류(J1, J2)를 발생시키고 있으나, 반송면 이외의 개소, 예를 들면 기류관으로부터 기류를 발생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더욱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반송물(CA)의 정렬방향 축(CAx) 주위의 회전자세를 변경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반송물(CA)의 전후자세를 변경하는 등, 다른 반송자세의 변경태양을 실현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Moreover,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airflows J1 and J2 are generated from the branch openings OP1, OP2 opened to the conveyance surface of the conveyance path 132t, airflow from a location other than the conveyance surface, for example, an airflow pipe, You may configure it so that it may generate|occur|produce. Furthermor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of changing the rotational posture around the alignment direction axis CAx of the conveyed object CA has been described. It can also be applied to the case of realizing a change mode of posture.

더욱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반송자세 제어부에 있어서 반송자세를 일정한 태양으로 변경하는 경우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반송자세의 복수의 제어태양으로부터 선택해 실시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반송물(CA)의 회전각도를 90도, 180도, 270도와 같이 복수의 각도 모두에 할 수 있도록 기류의 강도나 시간을 설정해 두고, 판별결과에 따라서 선택한 회전각도로 반송자세가 변경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Moreover, in the above embodiment, only the case where the conveyance posture is changed to a certain aspect in the conveyance attitude control unit is shown, but it may be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control aspects of the conveyance posture. For example, the intensity and time of the airflow are set so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veyed object CA can be made at all of a plurality of angles such as 90 degrees, 180 degrees, and 270 degrees, and the conveying posture is changed to the selected rotation angl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You may configure it as much as possible.

또 상기 기류안정화구조에서는, 급기로(PAs1, PAs2) 및 분사로(PAc1, PAc2)로 이루어지는 기류도입경로의 도중에 발기로(PAe1, PAe2)로 이루어지는 기류배출경로를 마련함으로써, 제1의 분기로(OP1)나 제2의 분기구(OP2)상에서의 반송물의 유무나, 반송물(CA)의 위치나 자세에 기인하는 기류의 압력 변동이 억제된다. 즉, 제1의 분기구(OP1)나 제2의 분기구(OP2)상의 반송물의 유무나 위치나 자세에 따라서 기류의 유출저항이 변화하여도, 당해 변화에 의한 분사로(PAc1, PAc2)의 압력변화(통기저항의 변화)는, 급기로(PAs1, PAs2)로부터 분사로(PAc1, PAc2)에 공급되는 기류의 양과, 발기로(PAe1, PAe2)로 배출되는 기류의 양과의 상대적 변화에 의해 흡수, 완화된다. 이 때문에 기류에 의해 반송물(CA)이 받는 기류압이 안정된다. 또 급기로(PAs1, PAs2)의 상류측에 개폐밸브나 유량조절밸브 등의 기류조정수단이 마련되지만, 이들의 기류조정수단에 의해 급기로(PAs1, PAs2)의 유량을 조정하는 경우, 상기 발기로(PAe1, PAe2)에 의한 기류배출경로가 마련됨으로써, 소정의 조정조작량에 대한 기류의 압력이나 양의 변화정도가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유량조정이 용이화된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나아가서는, 급기로(PAs1, PAs2)의 기류의 공급이 정지하였을 때에는, 분사로(PAc1, PAc2) 내의 기압이 상기 기류배출경로에 의해 신속하게 저하되므로, 기류(J1, J2)의 정지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후속의 정상인 반송물(CA)을 실수로 자세변경해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이상의 기류안정화구조의 채용에 의해, 기류에 의한 반송물(CA)의 자세제어실수를 대폭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In addition, in the above airflow stabilization structure, by providing an airflow discharge path composed of the erection path (PAe1, PAe2) in the middle of the airflow introduction path composed of the supply path (PAs1, PAs2) and the injection path (PAc1, PAc2), the first branch path The pressure fluctuation of the airflow resulting from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nveyed object on OP1 or the 2nd branch OP2, and the position and attitude|position of the conveyed object CA is suppressed. That is, even if the outflow resistance of the airflow changes depending on the presence, location, or posture of the conveyed object on the first branch OP1 or the second branch OP2, The pressure change (change in ventilation resistance) is caused by the relative change between the amount of airflow supplied from the supply passages PAs1 and PAs2 to the injection passages PAc1 and PAc2 and the amount of airflow discharged to the erection passages PAe1 and PAe2. absorbed and relieved. For this reason, the airflow pressure which the conveyed object CA receives by the airflow is stabilized. In addition, air flow adjustment means such as an on/off valve or a flow control valve are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air supply passages PAs1 and PAs2, but when the flow rate of the air supply passages PAs1 and PAs2 is adjusted by these air flow adjustment means, the erection By providing the airflow discharge path by the furnaces PAe1 and PAe2, the degree of change in the pressure or amount of the airflow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adjustment operation amount is relatively small, so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the flow rate adjustment is facilitated. Furthermore, when the supply of the airflow to the supply passages PAs1 and PAs2 is stopped, the air pressure in the injection passages PAc1 and PAc2 is rapidly lowered by the airflow discharge path, so that the stop of the airflows J1 and J2 is quickly stopped. Since it can be carried out quick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of accidentally changing the posture of the subsequent normal conveyed object CA. By adopting the above airflow stabilization structure, it has become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error in attitude control of the conveyed object CA due to the airflow.

10: 반송시스템
100: 진동식 반송장치
101: 설치대
102: 지지대
110: 반송물 공급부
112: 호퍼
120: 제1반송부 (파츠 피더)
130: 제2반송부 (리니어 피더)
132: 진동체
132t: 반송로
132S(132S1~132S4), 132S': 반송자세 제어부
132ta: 제1의 반송면
132tb: 제2의 반송면
OP1: 제1의 분기구
OP2: 제2의 분기구
132tp: 상류측의 반송로 부분
132ts: 선별용의 반송로 부분
CA: 반송물
CAx: 정렬방향 축
L: 길이
W: 폭
H: 높이
J1, J2, J2': 기류
132tc: 반송유지면
132Ba: 기반블록
132Ba1, 132Ba2: 지지면
132Bb: 제1블록
132Bc: 제2블록
PAs1, PAs2: 급기로
PAc1, PAc2: 분사로
PAe1, PAe2: 발기로
10: transport system
100: vibrating conveying device
101: mounting stand
102: support
110: conveyance supply unit
112: Hopper
120: first transfer unit (parts feeder)
130: second transfer unit (linear feeder)
132: vibrating body
132t: return path
132S (132S1~132S4), 132S': conveyance posture control unit
132ta: first carrying surface
132 tb: second carrying surface
OP1: 1st branch
OP2: 2nd vent
132tp: upstream part of the conveying path
132ts: part of the return path for sorting
CA: Return
CAx: Alignment direction axis
L: length
W: width
H: height
J1, J2, J2': Airflow
132tc: return maintenance surface
132Ba: base block
132Ba1, 132Ba2: support surface
132Bb: first block
132Bc: second block
PAs1, PAs2: supply air
PAc1, PAc2: spray furnace
PAe1, PAe2: with erection

Claims (18)

반송물이 반송로를 따라 반송방향으로 반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반송로상의 상기 반송물에 기류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반송물의 반송자세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반송물을 상기 반송로상에서 제1의 기류에 의해 부상(浮上)시키는 것과 함께, 상기 반송로상에서 부상한 상기 반송물을 제2의 기류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반송물의 자세를 변경하는 반송물의 자세제어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conveying posture of the conveyed object by injecting an air stream to the conveyed material on the conveying path in the process in which the conveyed material is conveyed along the conveying path in the conveying direction,
Posture control of a conveyed object to change the attitude of the conveyed object by causing the conveyed object to float on the conveying path by a first airflow and by rotating the conveyed material floating on the conveying path by a second airflow W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물은, 상기 제1의 기류에 의한 부상위치에서 제2의 기류에 의해 회전하여 자세가 변경된 후에, 상기 제1의 기류를 받을 수 없게 되었을 때에 상기 반송로상으로 되돌아가는 반송물의 자세제어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After the conveyed object is rotated by a second airflow from the floating position by the first airflow to change its attitude, the conveyed object returns to the conveying path when it cannot receive the first airflow.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물은, 상기 제1의 기류를 받지 않았을 때에 상기 반송로상의 부상 전의 반송위치에 대응하는 폭방향의 위치로 되돌아가는 반송물의 자세제어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ethod for controlling an attitude of a conveyed object in which the conveyed material returns to a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veyed position before floating on the conveyance path when the conveyed material does not receive the first airflow.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상의 반송방향의 소정의 영역에 반송물 판별부가 설정되고,
상기 반송물 판별부에 있어서 판정된 상기 반송물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상기 반송물의 반송자세를 변경하는 반송자세 제어부가 설정되는 반송물의 자세제어방법.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conveyed object discrimination unit is set in a predetermined area in the conveying direction on the conveying path,
and a conveyance attitude control unit configured to change a conveyance posture of the conveyed object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conveyed object determined by the conveyed object determination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기류 및 상기 제2의 기류의 유무는, 상기 판별결과에 따라서 상기 반송물마다 결정되는 반송물의 자세제어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irst airflow and the second airflow is determined for each conveyed objec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기류는 상기 반송자세 제어부에 있어서 연속해 발생하고,
상기 제2의 기류의 유무는 상기 반송자세 제어부에 도달한 상기 반송물마다 결정되는 반송물의 자세제어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air flow is continuously generated in the conveying posture control uni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econd airflow is determined for each conveyed product that has reached the conveying posture control unit.
반송물이 반송되는 반송로와,
상기 반송로상에 있어서 상기 반송물에 제1의 기류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반송물을 부상시키는 제1의 기류분사수단과,
상기 제1의 기류에 의해 부상한 상기 반송물에 제2의 기류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반송물을 회전시키는 제2의 기류분사수단을 구비하는 반송시스템.
a conveying path through which conveyed goods are conveyed;
first air flow jetting means for levitating the conveyed object by jetting a first air stream to the conveyed material on the conveying path;
and second airflow spraying means for rotating the conveyed object by injecting a second airflow to the conveyed object floated by the first airflow.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는, 제1의 반송면과, 상기 제1의 반송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의 반송면과의 사이에 상기 반송물을 배치 가능한 제2의 반송면을 가지고,
상기 제2의 반송면은 상기 제1의 반송면으로부터 떨어져나감에 따라 상승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반송물은, 상기 제1의 기류에 의해, 상기 제1의 반송면으로부터 떨어져 나가 부상하는 반송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veying path has a first conveying surface and a second conveying surface capable of arranging the conveyed object between the first conveying surface by provid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veying surface;
the second carrying surface is configured to rise as it moves away from the first carrying surface;
The conveying system separates the conveyed material from the first conveying surface and floats by the first airflow.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물은, 상기 제1의 기류에 의해 상기 제2의 반송물을 따라 부상하는 반송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veying system wherein the conveyed material floats along the second conveyed material by the first airflow.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반송면은, 경사면인 반송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is an inclined surface.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기류분사수단은, 상기 제1의 반송면에 개구하는 제1의 분기구를 구비하는 반송시스템.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0,
and the first airflow jetting means includes a first branch opening that is opened on the first conveyance surface.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기류분사수단은, 상기 제2의 반송면에 개구하는 제2의 분기구를 구비하는 반송시스템.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0,
and the second airflow jetting means includes a second branch opening to the second conveying surface.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기류와 상기 제2의 기류를 발생하도록 설정된 반송자세 제어부에 있어서 제어해야 할 상기 반송물을 판별하는 반송물 판별수단과,
상기 반송물 판별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반송물의 판별결과에 따라서, 상기 반송자세 제어부에 있어서의 반송자세의 제어의 유무 혹은 제어태양의 선택을 행하는 반송자세 제어수단을 더 구비하는 반송시스템.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0,
conveyed material discrimination means for discriminating the conveyed material to be controlled in the conveying attitude control unit set to generate the first airflow and the second airflow;
and conveyance attitude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ether or not the conveyance attitude control is present or a control mode in the conveyance attitud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onveyed object by the conveyed object discrimination mean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물 판별수단은, 상기 반송자세 제어부의 상류측에 설정된 반송물 판별부에 있어서 상기 반송물의 화상을 취득하고, 당해 화상의 처리에 의해 상기 반송물을 판별하는 반송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veyed object discrimination means acquires an image of the conveyed object in a conveyed material determination unit set upstream of the conveyed attitude control unit, and discriminates the conveyed material by processing the image.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기류분사수단은, 기류를 공급하기 위한 제1의 급기로와, 상기 제1의 급기로에 연통하고, 상기 제1의 분기구를 향하는 제1의 분사로와, 상기 제1의 급기로 및 상기 제1의 분사로에 연통하며, 상기 제1의 분사로와는 다른 기류배출경로를 구성하는 제1의 발기부를 구비하는 반송시스템.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0,
The first air flow injection means includes a first air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an air flow, a first injec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ir supply passage and facing the first branch port, and the first A transport system comprising: a first erection unit communicating with an air supply passage and the first injection passage, and constituting an airflow discharge passage different from the first injection passag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급기로의 급기방향과 상기 제1의 분사로의 분사방향과의 각도차는, 상기 급기방향과 상기 제1의 발기부의 발기방향과의 각도차보다도 작은 반송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An angle difference between an air supply direction to the first air supply passage and an injection direction to the first injection passage is smaller than an angle difference between the air supply direction and an erection direction of the first erection uni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분사로의 통기단면적은, 상기 제1의 발기부의 통기단면적보다도 작은 반송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ventilation cross-sectional area of the said first injection path is smaller than the ventilation cross-sectional area of the said 1st erection part.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기류분사수단은, 기류를 공급하기 위한 제2의 급기로와, 상기 제2의 급기로에 연통하고, 상기 제2의 분기구를 향하는 제2의 분사로와, 상기 제2의 급기로 및 상기 제2의 분사로에 연통하며, 상기 제2의 분사로와는 다른 기류배출경로를 구성하는 제2의 발기부를 구비하는 반송시스템.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0,
The second air flow injection means includes a second air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an air flow, a second injec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air supply passage and facing the second branch port, and the second and a second erec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supply air passage and the second injection passage and configuring an air flow discharge passage different from the second injection passage.
KR1020210148251A 2020-11-27 2021-11-01 Posture control method for conveying objects and conveying system KR2022007473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96709 2020-11-27
JPJP-P-2020-196709 2020-11-27
JP2021144824A JP7323213B2 (en) 2020-11-27 2021-09-06 Conveyor system
JPJP-P-2021-144824 2021-09-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733A true KR20220074733A (en) 2022-06-03

Family

ID=81712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251A KR20220074733A (en) 2020-11-27 2021-11-01 Posture control method for conveying objects and conveying system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481046B2 (en)
KR (1) KR20220074733A (en)
CN (1) CN114560272A (en)
TW (1) TW202220916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8332A (en) 1993-12-24 1995-08-29 Ntn Corp Part obverse-reverse arranging device in vibratory part feeder
JPH1053320A (en) 1996-08-09 1998-02-24 Shinko Electric Co Ltd Parts alignment and feeding device
JP2000264430A (en) 1999-03-18 2000-09-26 Ntn Corp Vibration type component feed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5159B2 (en) 2005-05-31 2010-09-29 株式会社ダイシン Vibrating parts conveyor
JP7244823B2 (en) 2019-01-15 2023-03-23 株式会社ダイシン Transport management system and transport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8332A (en) 1993-12-24 1995-08-29 Ntn Corp Part obverse-reverse arranging device in vibratory part feeder
JPH1053320A (en) 1996-08-09 1998-02-24 Shinko Electric Co Ltd Parts alignment and feeding device
JP2000264430A (en) 1999-03-18 2000-09-26 Ntn Corp Vibration type component fee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20916A (en) 2022-06-01
JP2023063408A (en) 2023-05-09
JP7481046B2 (en) 2024-05-10
CN114560272A (en)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905B1 (en) Discrimination control system for conveying objects and conveying apparatus
JP3671789B2 (en) Parts handling equipment and handling method
KR102633645B1 (en) Conveying control system and conveying apparatus
US10486440B2 (en) Tablet printing apparatus
JP2019051461A (en) Sorting device of greengrocery
JP6693779B2 (en) Tablet transport device and tablet printing device
KR20220074733A (en) Posture control method for conveying objects and conveying system
JP7323213B2 (en) Conveyor system
JP2017036104A (en) Part feeder
JP7302881B2 (en) Conveyor system
JPH0134895B2 (en)
US10293597B2 (en) Tablet printing apparatus
KR102271147B1 (en) Powder conveying system
JP7343186B2 (en) Conveyed object detection processing system and conveyance device
JP7398709B2 (en) Conveyance control system and conveyance device
JPH09156755A (en) Parts attitude discriminating device
JP7140967B2 (en) Vibration transfer device
JP3995955B2 (en) Parts selection device and parts supply device
JP2017218318A (en) Part feeder
KR20230098025A (en) Tablet printing device and tablet printing method
JP2007039201A (en) Part suppl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