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4708A - Protection relay device - Google Patents

Protection re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708A
KR20220074708A KR1020210114159A KR20210114159A KR20220074708A KR 20220074708 A KR20220074708 A KR 20220074708A KR 1020210114159 A KR1020210114159 A KR 1020210114159A KR 20210114159 A KR20210114159 A KR 20210114159A KR 20220074708 A KR20220074708 A KR 20220074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setting data
relay device
tim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1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키 하나후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74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7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06Calibration or setting of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92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he data processing means, e.g. expert systems, neural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2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using protection elements, arrangement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전력 계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계전 장치는, 전기량 데이터와 세팅 데이터에 기초하여 릴레이 연산을 행하는 릴레이 연산부와, 세팅 데이터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구비한다. 설정부는 보호 계전 장치의 동작 시험이 개시된 경우, 동작 시험시의 제1 세팅 데이터를, 릴레이 연산에 이용되는 세팅 데이터로서 설정한다. 설정부는 동작 시험이 종료된 것에 기초하여, 릴레이 연산에 이용되는 세팅 데이터를, 제1 세팅 데이터로부터, 전력 계통의 감시를 행하기 위한 운용시의 제2 세팅 데이터로 변경한다. The protection relay device for protecting an electric power system is provided with the relay calculating part which performs relay calculation based on electricity quantity data and setting data, and the setting part which sets setting data. When the operation test of a protective relay device is started, a setting part sets the 1st setting data at the time of an operation test as setting data used for relay calculation. Based on the completion of the operation test, the setting unit changes the setting data used for the relay calculation from the first setting data to the second setting data at the time of operation for monitoring the electric power system.

Description

보호 계전 장치{PROTECTION RELAY DEVICE}Protective relay {PROTECTION RELAY DEVICE}

본 개시는 보호 계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protective relay device.

종래, 전력 계통의 운용을 안정시키기 위해, 전력 계통에서 발생한 사고를 검출하는 보호 계전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보호 계전 장치는 전력 계통으로부터 수집한 전류 및 전압 등의 전기량과 세팅(setting)값을 비교함으로써 사고의 발생을 검출하여, 차단기로 트립 신호를 출력한다. 전형적으로는, 계통 사고의 판정에 이용되는 세팅값은, 전력 계통의 설비에 기초하여, 유저(예를 들면, 계통 운용자)에 의해서 설정된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4-3820호는 세팅값의 일군(一群)으로 구성되는 그룹 세팅값을 유연하게 편집하기 위한 디지털 보호 제어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stabilize the operation of the power system, a protection relay device for detecting an accident occurring in the power system is used. The protective relay device detects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by comparing a setting value with an amount of electricity such as current and voltage collected from the power system, and outputs a trip signal to the circuit breaker. Typically, the setting value used for determination of a system accident is set by a user (for example, a system operator) based on facilities of an electric power system.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4-3820 discloses a digital protection control device for flexibly editing group setting values composed of a group of setting values.

보호 계전 장치에서는, 그 기능의 건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동작 시험이 행해진다. 동작 시험에서는, 보호 계전 장치를 운용시의 전력 계통으로부터 분리시키고, 계통 사고시의 전압, 전류를 모의하는 입력을 전용의 시험 장치로부터 보호 계전 장치에 주어, 보호 계전 장치가 원하는 응동(應動)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한다. 동작 시험시에 있어서의 보호 계전 장치의 세팅값은, 통상의 운용시의 세팅값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도 많다. In a protective relay device, in order to confirm the soundness of the function, an operation test is performed regularly. In the operation test, the protective relay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power system during operation, and an input simulating the voltage and current at the time of a grid accident is applied to the protective relay device from the dedicated test device, so that the protective relay device responds desired. check what is shown. The setting value of the protective relay device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test is not the same as the setting value at the time of normal operation in many cases.

그 때문에, 동작 시험전에 운용시의 세팅값을 전자 데이터 등으로서 저장해 두고, 보호 계전 장치에 적용하는 세팅값을 시험용의 세팅값으로 변경하여 동작 시험이 행해진다. 그리고, 동작 시험 종료 후에, 보호 계전 장치에 적용하는 세팅값을, 저장하고 있던 운용시의 세팅값으로 되돌린다. 복합 요소의 보호 계전 장치의 경우에는 세팅 항목이 다수 존재하고, 각 세팅 항목에 대한 세팅값의 변경 조작은 일반적으로 인간에 의해서 행해진다. 그 때문에, 동작 시험 종료 후에, 보호 계전 장치에 적용하는 세팅값을, 운용시의 세팅값으로 되돌리는 것을 잊는 등의 인간의 실수가 발생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Therefore, before the operation test, the operation setting value is stored as electronic data or the like, the setting value applied to the protective relay device is changed to the test setting value, and the operation test is performed. And the setting value applied to the protective relay device is returned to the stored setting value at the time of operation after completion|finish of an operation test. In the case of a protective relay device of a composite element, a plurality of setting items exist, and a change operation of the setting value for each setting item is generally performed by a human.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human error such as forgetting to return the setting value applied to the protective relay device to the setting value at the time of operation may occur after the operation test is completed.

본 개시의 어느 국면에 있어서의 목적은, 동작 시험 종료 후에, 보호 계전 장치에 적용하는 세팅값으로서, 운용시의 세팅값을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보호 계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protective relay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setting a setting value during operation as a setting value applied to the protective relay device after completion of the operation test.

어느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력 계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계전 장치가 제공된다. 보호 계전 장치는 전기량 데이터와 세팅 데이터에 기초하여 릴레이 연산을 행하는 릴레이 연산부와, 세팅 데이터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구비한다. 설정부는 보호 계전 장치의 동작 시험이 개시된 경우, 동작 시험시의 제1 세팅 데이터를, 릴레이 연산에 이용되는 세팅 데이터로서 설정한다. 설정부는 동작 시험이 종료된 것에 기초하여, 릴레이 연산에 이용되는 세팅 데이터를, 제1 세팅 데이터로부터, 전력 계통의 감시를 행하기 위한 운용시의 제2 세팅 데이터로 변경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protection relay device for protecting a power system is provided. A protection relay device is provided with the relay calculating part which performs relay calculation based on electric quantity data and setting data, and the setting part which sets setting data. When the operation test of a protective relay device is started, a setting part sets the 1st setting data at the time of an operation test as setting data used for relay calculation. Based on the completion of the operation test, the setting unit changes the setting data used for the relay calculation from the first setting data to the second setting data at the time of operation for monitoring the electric power system.

이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이해되는 이 발명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Thes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spects and advantages of this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inven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보호 계전 장치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운용시 및 동작 시험시의 세팅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세팅값의 설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세팅 데이터의 변경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세팅값을 복원하기 위한 화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세팅값을 복원하기 위한 다른 화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보호 계전 장치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whole structure of a protection relay device.
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setting data at the time of operation|use and an operation test.
It is a flowchart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setting process of a setting value.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flow of the change of setting data.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for restoring a setting value.
6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creen for restoring a setting valu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protective relay device.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그러한 명칭 및 기능도 같다. 따라서, 그것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referr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code|symbol is attached|subjected to the same component. Such names and functions are also the same. Accordingly,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not repeated.

<전체 구성><Overall composition>

도 1은 보호 계전 장치(100)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보호 계전 장치(100)는 디지털형 보호 계전 장치이며, 예를 들면, 전기소(electric power station)의 내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호 계전 장치(100)는, 예를 들면, 전력 계통을 구성하는 송전선(L)에 관련되는 전기량(예를 들면, 전류, 전압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해당 전기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력 계통(예를 들면, 송전선(L))을 보호한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 Referring to FIG. 1 ,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is a digital type protection relay device, and is, for example, installed inside an electric power st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collects, for example, data on the amount of electricity (eg, current, voltage, etc.) rela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line L constituting the power system, and adds the data to the amount of electricity. Based on the power system (eg, the transmission line (L)) is protected.

전기소의 내부에는, 보호 계전 장치(100), 계기용 변류기(2), 계기용 변압기(4) 및 차단기(6) 등이 설치된다. 계기용 변류기(2)는 송전선(L)을 흐르는 전류를 계측한다. 계기용 변압기(4)는 송전선(L)에 생기는 전압을 계측한다. 계기용 변류기(2)가 계측한 전류 데이터, 및 계기용 변압기(4)가 계측한 전압 데이터는, 보호 계전 장치(100)에 입력된다. A protective relay device 100 , an instrument current transformer 2 , an instrument transformer 4 , and a circuit breaker 6 are installed inside the electric station. The instrument current transformer 2 measure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line L. The instrument transformer (4) measures the voltage generated in the transmission line (L). The current data measured by the instrument current transformer 2 and the voltage data measured by the instrument transformer 4 are input to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

보호 계전 장치(100)는 수집한 전기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 계통을 보호하기 위해서 필요한 릴레이 연산을 실행하여, 계통 사고의 발생 유무를 판정한다. 보호 계전 장치(100)는 송전선(L)에 있어서 사고를 검출하면, 차단기(6)에 대해서 개방 지령(예를 들면, 트립 신호)을 출력한다. 덧붙여, 전류 및 전압 중 어느 한쪽밖에 릴레이 연산에 사용되지 않는 경우는, 보호 계전 장치(100)는 릴레이 연산에 필요한 전류 또는 전압을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a system accident has occurred by executing a relay operation necessary to protect the power system using the collected electricity quantity data. When the protective relay device 100 detects an accident in the power transmission line L, it outputs an open command (for example, a trip signal) to the circuit breaker 6 . In addition, when only either one of a current and a voltage is used for a relay calculation, the protective relay device 100 may be comprised so that the current or voltage required for a relay calculation may be acquired.

구체적으로는, 보호 계전 장치(100)는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보조 변성기(10)와, AD(Analog to Digital) 변환부(20)와, 연산 처리부(30)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includes, as a hardware configuration, an auxiliary transformer 10 , an analog to digital (AD) conversion unit 20 , and an arithmetic processing unit 30 .

보조 변성기(10)는 계기용 변류기(2) 및 계기용 변압기(4)로부터의 전기량을 취득하여, 내부 회로에서의 신호 처리에 적절한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덧붙여, 동작 시험시에 있어서는, 계기용 변류기(2) 및 계기용 변압기(4)와, 보호 계전 장치(100)의 접속은 차단되고, 그 대신에, 보호 계전 장치(100)와 시험 장치(110)가 접속된다. 이 경우, 보조 변성기(10)는 시험 장치(110)로부터 입력되는 전기량(예를 들면, 전류 및 전압)을 취득하여,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The auxiliary transformer 10 acquires the electric quantity from the instrument current transformer 2 and the instrument transformer 4, converts it into a voltage signal suitable for signal processing in an internal circuit, and outputs it. Incidentally,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test,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strument current transformer 2 and the instrument transformer 4 and the protective relay device 100 is cut off, and instead the protective relay device 100 and the test device 110 are disconnected. ) is connected. In this case, the auxiliary transformer 10 acquires the amount of electricity (eg, current and voltage) input from the test device 110 , converts it into a voltage signal, and outputs it.

AD 변환부(20)는 보조 변성기(1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량(즉, 아날로그 전기량)을 취득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는, AD 변환부(20)는 필터(21, 23)와, 샘플 홀드 회로(도면 중의 SH 회로에 대응)(24, 25)와, 멀티플렉서(26)와, AD 변환기(27)를 포함한다. The AD converter 20 acquires an electric quantity (ie, an analog electric quantity) output from the auxiliary transformer 10 and converts it into digital data. Specifically, the AD converter 20 includes filters 21 and 23 , sample and hold circuits (corresponding to the SH circuit in the drawing) 24 and 25 , a multiplexer 26 , and an AD converter 27 . do.

필터(21, 23)는 아날로그 필터이며, 보조 변성기(1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및 전압의 파형 신호로부터 고주파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다. 필터(21, 23)의 출력은 샘플 홀드 회로(24, 25)에 각각 입력된다. The filters 21 and 23 are analog filters, and remove high-frequency noise components from the waveform signals of current and voltage output from the auxiliary transformer 10 . The outputs of the filters 21 and 23 are input to the sample and hold circuits 24 and 25, respectively.

샘플 홀드 회로(24, 25)는 각각 필터(21, 23)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및 전압의 파형 신호를 미리 정해진 샘플링 주기로 샘플링한다. 멀티플렉서(26)는 연산 처리부(30)로부터 입력되는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샘플 홀드 회로(24, 25)로부터 입력되는 파형 신호를 시계열로 차례로 전환하여 AD 변환기(27)에 입력한다. The sample-and-hold circuits 24 and 25 sample the waveform signals of current and voltage output from the filters 21 and 23, respectively, at a predetermined sampling period. Based on the timing signal input from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30, the multiplexer 26 sequentially converts the waveform signals input from the sample and hold circuits 24 and 25 in time series and inputs them to the AD converter 27 .

AD 변환기(27)는 멀티플렉서(26)로부터 입력되는 파형 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AD 변환기(27)는 디지털 변환한 파형 신호를 연산 처리부(30)로 출력한다. The AD converter 27 converts the waveform signal input from the multiplexer 26 from analog data to digital data. The AD converter 27 outputs the digitally converted waveform signal to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30 .

연산 처리부(30)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체로 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연산 처리부(3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32)와, ROM(Read Only Memory)(33)과, RAM(34)과, 보조 기억 장치(35)와, DO(Digital output) 회로(36)와, DI(Digital input) 회로(37)와, 디스플레이(38)와, 입력 인터페이스(IF)(39)를 포함한다. 이것들은 버스(31)로 결합되어 있다.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30 is constituted mainly by a microcomputer. Specifically,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30 include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32 , a ROM (Read Only Memory) 33 , a RAM 34 , an auxiliary storage device 35 , and a DO (Digital Output). ) circuit 36 , a digital input (DI) circuit 37 , a display 38 , and an input interface (IF) 39 . These are coupled by a bus 31 .

CPU(32)는 미리 ROM(33)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보호 계전 장치(100)를 제어한다. 휘발성 메모리로서의 RAM(34) 및 불휘발성 메모리로서의 ROM(33)은, CPU(32)의 주기억으로서 이용된다. ROM(33)은 프로그램 및 신호 처리용의 설정값 등을 수납한다. The CPU 32 controls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by reading and executing the program previously stored in the ROM 33 . The RAM 34 as a volatile memory and the ROM 33 as a nonvolatile memory are used as main memory of the CPU 32 . The ROM 33 stores program and set values for signal processing, and the like.

구체적으로는, CPU(32)는 버스(31)를 통해서, AD 변환부(20)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취득한다. CPU(32)는 ROM(33)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취득한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릴레이 연산을 실행한다. CPU(32)는 릴레이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보호 구간(즉, 보호해야 할 영역)의 사고의 유무를 판정한다. Specifically, the CPU 32 acquires digital data from the AD converter 20 via the bus 31 . The CPU 32 executes a relay operation using the acquired digital data in accordance with the program stored in the ROM 33 . The CPU 32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ccident in the protection section (that is, the area to be protected) based on the relay operation result.

CPU(32)는 사고를 검출했을 경우(예를 들면, 전류값이 세팅값을 상회하고 있는 경우)에는, DO 회로(36)를 통해서, 해당 사고 구간을 전력 계통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 전력 계통에 설치된 차단기(6)에 대해서 개방 지령을 출력한다. When the CPU 32 detects an accident (eg, when the current value exceeds a set value), the CPU 32 is installed in the power system to separate the fault section from the power system through the DO circuit 36 . An open command is output to the circuit breaker (6).

보조 기억 장치(35)는 ROM(33)에 비해 대용량의 기억 장치이며, 프로그램, 전기량 검출값, 세팅값 등의 데이터 등을 격납한다. 보조 기억 장치(35)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면, 보조 기억 장치(35)는 전력 계통의 감시를 행하는 운용시(이하, 간단하게 「운용시」라고도 칭함.)의 각종 데이터와, 보호 계전 장치(100)의 동작 시험시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The auxiliary storage device 35 is a storage device having a larger capacity than the ROM 33 , and stores data such as a program, an electric quantity detection value, a setting value, and the like. The auxiliary storage device 35 is constituted by, for example, a hard disk, a flash memory, or the like. For example, the auxiliary storage device 35 includes various data at the time of operation (hereinafter also simply referred to as “operation”) for monitoring the power system, and various data at the time of testing the operation of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 remember

DI 회로(37)는, 예를 들면, 차단기(6)의 개폐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인 디지털 입력 신호를 받는다. DI 회로(37)에는 차단기(6)로부터의 디지털 입력 신호 외, 도시하지 않은 단로기(斷路器)의 개폐 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 입력 신호가 입력되어도 된다. The DI circuit 37 receives, for example, a digital input signal that is a signal indicating the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the circuit breaker 6 . In addition to the digital input signal from the circuit breaker 6, a digital input signal indicating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a disconnector (not shown) may be input to the DI circuit 37 .

디스플레이(38)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이다. 입력 인터페이스(39)는, 전형적으로는, 각종 버튼 등이며, 유저(예를 들면, 계통 운용자)로부터의 각종 조작을 접수한다. The display 38 is,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or the like. The input interface 39 is typically various buttons or the like, and receives various operations from a user (eg, a system operator).

덧붙여, 보호 계전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를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및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의 회로를 이용하여 구성해도 된다. 덧붙여, 보호 계전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는, 아날로그 회로에 의해서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t least a part of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using circuits such as an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nd an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In addition, at least a part of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by an analog circuit.

또, 보호 계전 장치(100)가 퍼스널 컴퓨터와 접속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퍼스널 컴퓨터의 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38)로서 기능하고, 퍼스널 컴퓨터의 키보드, 마우스 등이 입력 인터페이스(39)로서 기능한다. 해당 구성의 경우, 전형적으로는, 보호 계전 장치(100)는 간이적인 표시 장치(예를 들면, 형광 표시관, 7 세그먼트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 등의 표시등)를 가진다. Moreover, the structure in which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is connected with a personal computer may be sufficient. In this case, the display of the personal computer functions as the display 38 , and the keyboard, mouse, and the like of the personal computer function as the input interface 39 . In the case of the configuration, typically, the protective relay device 100 has a simple display device (eg, a fluorescent display tube, a 7-segment light emitting diode (LED), an indicator light such as a lamp).

시험 장치(110)는 보호 계전 장치(100)의 동작 시험시에 이용되는 장치이며, 계통 사고시의 전기량(예를 들면, 전류, 전압)을 모의하는 입력을 보호 계전 장치(100)에 준다. 보호 계전 장치(100)의 동작 시험시에 있어서는, 전력 계통으로부터 보호 계전 장치(100)를 분리시키기 위해서, 작업자는 차단기(6)를 개방한다. 이것에 의해, 전원 측으로부터 부하 측으로의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기 때문에, 보호 계전 장치(100)의 보호 대상인 전력 계통(예를 들면, 송전선(L))은 정전 상태가 된다. The test device 110 is a device used for an operation test of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 and provides an input simulating an amount of electricity (eg, current, voltage) at the time of a system accident to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 In the operation test of the protective relay device 100 , the operator opens the circuit breaker 6 in order to isolate the protective relay device 100 from the power system. Thereby, since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from the power supply side to the load side is interrupted|blocked, the electric power system (for example, the power transmission line L) which is the protection object of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will be in a blackout state.

전력 계통을 정전 상태로 한 후, 보호 계전 장치(100)에 마련된 단자(예를 들면, 계기용 변류기(2) 및 계기용 변압기(4)로부터 전기량을 취득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단자)에 외부의 시험 장치(110)가 접속되어, 시험 장치(110)로부터 보호 계전 장치(100)에 대해서 시험용의 전기량(예를 들면, 전압 또는 전류)이 입력된다. 덧붙여, 보호 계전 장치(100)가 패널에 탑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널 정면에 탑재되어 있는 시험용의 단자에 외부의 시험 장치(110)가 접속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시험용의 전기량은, 보조 변성기(10)에 대해서 입력된다. After putting the power system into a blackout state, an external test is performed on a terminal provided in the protective relay device 100 (eg, a terminal used to obtain an amount of electricity from the instrument current transformer 2 and the instrument transformer 4 ). The device 110 is connected, and the electric quantity (for example, a voltage or a current) for a test is input with respect to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from the test device 110 . In addition, when the protective relay device 100 is mounted on a panel, the external test device 110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for a test mounted on the panel front side. For example, the amount of electricity for a test is input to the auxiliary transformer 10 .

전원 장치(120)는 보호 계전 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전형적으로는, 운용시에 있어서는 전력 계통(예를 들면, 송전선(L))으로부터의 전력이, 변압기를 통해서 강압(降壓)되어 전원 장치(120)에 주어짐으로써, 보호 계전 장치(100)에 전력이 공급된다. 덧붙여, 일시적인 정전의 대책으로서, 변압기와 전원 장치(120)의 사이에 배터리가 마련되는 경우도 있다. 한편, 동작 시험시에 있어서는 전력 계통이 완전하게 정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외부 전원(130)(예를 들면, 발전기)으로부터 전원 장치(120)에 전력이 주어짐으로써, 보호 계전 장치(100)에 전력이 공급된다. The power supply device 120 is a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 Typically, at the time of operation, the power from the power system (eg, the power transmission line L) is step-down through a transformer and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120, so that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Power is supplied. In addition, as a countermeasure against temporary power failure, a battery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ransformer and the power supply device 120 .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ower system is completely in a blackout state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test,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120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130 (eg, a generator), thereby providing power to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 this is supplied

<세팅 데이터><Setting data>

도 2는 운용시 및 동작 시험시의 세팅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운용시의 세팅 데이터(210)를 나타내고 있고, 도 2의 (b)는 동작 시험시의 세팅 데이터(220)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세팅 데이터(210)는 보조 기억 장치(35)의 운용시 데이터 기억 영역에 기억되고, 세팅 데이터(220)는 보조 기억 장치(35)의 시험시 데이터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다. It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setting data at the time of operation|use and an operation test. Fig. 2(a) shows the setting data 210 at the time of operation, and Fig. 2(b) shows the setting data 220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test. For example, the setting data 210 is stored in the operation data storage area of the auxiliary storage device 35 , and the setting data 220 is stored in the test data storage area of the auxiliary storage device 35 .

세팅 데이터(210, 220)는 복수의 세팅 항목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세팅값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세팅 데이터(210, 220)는 세팅 항목으로서, 과전류 릴레이 요소(도면 중의 「과전류 요소」에 대응)의 동작값 및 동작 시간과, 과전압 릴레이 요소(도면 중의 「과전압 요소」에 대응)의 동작값 및 동작 시간과, 부족 전압 릴레이 요소(도면 중의 「부족 전압 요소」에 대응)의 동작값 및 동작 시간을 포함한다. 각 세팅 항목에는 대응하는 세팅값이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운용시의 세팅 데이터(210)에 포함되는 과전류 릴레이 요소의 동작값 및 동작 시간의 세팅값은 각각 "10.0A" 및 "0.10s"이다. 한편, 동작 시험시의 세팅 데이터(220)에 포함되는 과전류 릴레이 요소의 동작값 및 동작 시간의 세팅값은, 각각 "0.5A" 및 "0.01s"이다. 이와 같이, 동작 시험시의 세팅값은, 운용시의 세팅값보다도 작은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가 많다. The setting data 210 and 220 include a plurality of setting value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etting items. Specifically, the setting data 210 and 220 are the setting items, the operation value and operation time of the overcurrent relay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overcurrent element" in the drawing), and the overvoltage relay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overvoltage element" in the drawing). includes the operating value and operating time of , and the operating value and operating time of the undervoltage relay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undervoltage element" in the drawing). A corresponding setting value is set for each setting item. For example, the operating value of the overcurrent relay element and the setting value of the operating time included in the operating setting data 210 are "10.0A" and "0.10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setting values of the operating value and operating time of the overcurrent relay element included in the setting data 220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test are "0.5A" and "0.01s", respectively. Thus, the setting value at the time of an operation test is set to the value smaller than the setting value at the time of operation in many cases.

그 이유는 주로 2가지인데, 첫번째의 이유는 시험 장치의 출력 성능에 의한 제약이다. 구체적으로는, 시험 장치는 동작 시험시에만 사용되기 때문에, 가반성(可搬性) 및 경제성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전형적으로는 시험 장치는 소형이고 또한 저출력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계통 사고시의 입력 전기량과 동등한 전압, 전류를 출력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세팅값을 작은 값으로 변경하여 동작 시험을 행할 필요가 있다. The reasons are mainly two. The first reason is the limitation by the output performance of the test apparatus. Specifically, since the test apparatus is used only at the time of an operation test, port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are calculated|required. Therefore, since a test apparatus is typically small and designed with low output, it may not be able to output the voltage and current equivalent to the amount of input electricity at the time of a system fault.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setting value to a small value and perform an operation test.

두번째의 이유는 보호 계전 장치의 정밀도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서 설명한 것처럼, 보호 계전 장치에 입력된 전압, 전류는 AD 변환기에 의해 이산적인 값(즉, 디지털 데이터)으로 변환된다. 이산값의 분해능은, 풀 스케일(즉, 보호 계전 장치가 인식 가능한 최대의 전압, 전류)을 AD 변환기의 비트수로 나눈 값에 비례한다. 전형적으로는 분해능은 무입력으로부터 풀 스케일에 걸친 전체 영역에서 균일하기 때문에, 전압, 전류의 입력이 작은 영역일수록, 분해능에 의한 AD 변환시의 오차가 상대적으로 커진다. 그 때문에, 동작 시험시에 있어서는 보호 계전 장치의 오차가 가장 커지는 케이스를 상정하여, 세팅값을 설정 가능 범위의 최소값 부근으로 설정하여, 그 세팅값에 있어서의 동작 정밀도를 확인한다. 이것에 의해, 가장 엄격한 조건에 의해 동작 시험이 행해진다. The second reason is to check the precision of the protective relay device. Specifically, as described in FIG. 1 , the voltage and current input to the protection relay device are converted into discrete values (ie, digital data) by the AD converter. The resolution of the discrete value is proportional to the full scale (ie, the maximum voltage and current that the protective relay device can recognize) divided by the number of bits of the AD converter. Typically, since the resolution is uniform over the entire region from no input to full scale, the smaller the voltage and current input is, the larger the error in AD conversion due to the resolution becomes. Therefore, at the time of an operation test, assuming the case where the error of a protective relay device becomes largest, a setting value is set to the vicinity of the minimum value of a settable range, and the operation precision in the setting value is confirmed. Thereby, the operation test is performed under the strictest conditions.

덧붙여, 수치(즉, 세팅값) 이외의 세팅에 있어서도, 운용시와 다른 세팅 조건으로 동작 시험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운용시에 2개의 보호 릴레이 요소의 AND 조건으로 보호 계전 장치의 접점 출력을 행하고 있는 경우, 동작 시험시에서는 2개의 보호 릴레이 요소를 나누어 시험을 하기 위해서, 로직부의 AND 조건을 해제하는 경우가 있다. In addition, also in settings other than a numerical value (that is, a setting value), an operation test may be performed under the setting conditions different from the time of operation. For example, when the contact output of the protection relay device is performed under the AND condition of the two protection relay elements during operation, in order to test the two protection relay elements separately during the operation test, the AND condition of the logic part is canceled. There are cases.

<세팅값의 설정 처리><Setting process of setting value>

상술한 것처럼, 동작 시험시의 세팅값과, 운용시의 세팅값은 다른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동작 시험 종료 후에는, 보호 계전 장치에 적용하는 세팅값을, 시험시의 세팅값으로부터 운용시의 세팅값으로 되돌려 두는 것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보호 계전 장치에 적용하는 세팅값으로서 동작 시험시의 세팅값이 설정된 채로 운용이 재개되면, 입력 전기량의 상태에 따라서는, 전력 계통에서 사고가 발생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보호 계전 장치가 동작해 버려 전력 계통이 정전될 가능성이 있다. 혹은, 전력 계통에서 사고가 발생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호 계전 장치가 동작하지 않아, 전력 계통상의 기기의 소실 및 사고의 확대를 일으킬 가능성도 있다. As mentioned above, the setting value at the time of an operation test and the setting value at the time of operation are different in many cases. Therefore, after completion of an operation test, it is necessary to return the setting value applied to a protective relay device to the setting value at the time of operation from the setting value at the time of a test. This is because, when operation is resumed with the setting value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test set as the setting value applied to the protection relay device, the protection relay device i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ower system may be blacked out due to operation. Alternatively, even though an accident has occurred in the electric power system, the protective relay device does not operate,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equipment on the electric power system is lost and the accident is spread.

이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작 시험 종료 후에 운용시의 세팅값을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세팅값의 설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which automatically sets the setting value at the time of operation|use after completion|finish of an operation test is demonstrated. It is a flowchart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setting process of a setting value.

도 3을 참조하여, CPU(32)는 보호 계전 장치(100)의 동작 시험을 개시할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 구체적으로는, CPU(32)는 입력 인터페이스(39)를 통해서 유저로부터 동작 시험의 개시 지시를 접수했을 경우에, 동작 시험을 개시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CPU 32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start the operation test of the protective relay device 100 (step S10). Specifically, when the CPU 32 receives an instruction to start the operation test from the user via the input interface 39 , the CPU 32 starts the operation test.

동작 시험이 개시되지 않은 경우(스텝 S10에 있어서 NO), CPU(32)는 스텝 S10의 처리를 실행한다. 동작 시험이 개시되는 경우(스텝 S10에 있어서 YES), CPU(32)는 릴레이 연산에 이용되는(즉, 보호 계전 장치(100)에 적용되는) 세팅 데이터로서, 동작 시험시의 세팅 데이터를 설정한다(스텝 S12). 구체적으로는, CPU(32)는 내부 메모리(예를 들면, 보조 기억 장치(35))로부터 동작 시험시의 세팅 데이터(예를 들면, 세팅 데이터(220))를 읽어내어, 동작 시험시의 세팅 데이터를, 릴레이 연산에 이용되는 각 세팅값을 포함하는 세팅 데이터로서 설정한다. 덧붙여, CPU(32)는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세팅 데이터(220) 대신에 동작 시험시의 세팅 데이터를 새롭게 생성해도 된다. 이 경우, CPU(32)는 해당 생성한 세팅 데이터를, 동작 시험시의 새로운 세팅 데이터(220)로서 보조 기억 장치(35)의 시험시 데이터 기억 영역에 저장해도 된다. When the operation test is not started (NO in step S10), the CPU 32 executes the processing of step S10. When the operation test is started (YES in step S10), the CPU 32 sets the setting data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test as the setting data used for the relay operation (that is, applied to the protective relay device 100). (Step S12). Specifically, the CPU 32 reads setting data (eg, setting data 220)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test from the internal memory (eg, the auxiliary storage device 35), and sets the setting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test. Data is set as setting data including each setting value used for relay calculation. In addition, the CPU 32 may generate|generate the setting data at the time of an operation test newly instead of the setting data 220 according to the instruction|indication from a user. In this case, the CPU 32 may store the generated setting data in the test data storage area of the auxiliary storage device 35 as new setting data 220 during the operation test.

CPU(32)는 동작 시험을 종료할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4). 구체적으로는, CPU(32)는 동작 시험의 종료 플래그가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작 시험을 종료하고, 동작 시험의 종료 플래그가 "오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작 시험을 계속한다(즉, 동작 시험을 종료하지 않는다). 동작 시험을 계속하는 경우(스텝 S14에 있어서 NO), CPU(32)는 동작 시험이 개시되고 나서 기준 시간(예를 들면, 12시간) 이상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6). 기준 시간은 유저에 의해 임의로 설정 가능해도 되고, 미리 정해진 고정값이어도 된다. The CPU 32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end the operation test (step S14). Specifically, the CPU 32 terminates the operation test when the end flag of the operation test is set to "on", and starts the operation test when the end flag of the operation test is set to "off". Continue (i.e., do not end the motion test). When the operation test is continued (NO in step S14), the CPU 32 determines whether or not a reference period of time (for example, 12 hours) or more has elapsed since the operation test was started (step S16). The reference time may be set arbitrarily by the user or may be a predetermined fixed value.

기준 시간 이상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6에 있어서 NO), CPU(32)는 스텝 S14의 처리를 실행한다. 기준 시간 이상 경과된 경우(스텝 S16에 있어서 YES), CPU(32)는 동작 시험의 종료 플래그를 "온"으로 설정하고(스텝 S18), 스텝 S14의 처리를 실행한다. When more than the reference time has not elapsed (NO in step S16), the CPU 32 executes the processing of step S14. When more than the reference time has elapsed (YES in step S16), the CPU 32 sets the end flag of the operation test to "ON" (step S18), and executes the process of step S14.

스텝 S18에 있어서 동작 시험의 종료 플래그가 "온"으로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CPU(32)는 스텝 S14에 있어서 동작 시험을 종료한다고 판단한다(스텝 S14에 있어서 YES). 이 경우, CPU(32)는 릴레이 연산에 이용되는 세팅 데이터로서, 운용시의 세팅 데이터를 설정한다(스텝 S20). 구체적으로는, CPU(32)는 내부 메모리로부터 운용시의 세팅 데이터(예를 들면, 세팅 데이터(210))를 읽어내고, 해당 운용시의 세팅 데이터를, 릴레이 연산에 이용되는 각 세팅값을 포함하는 세팅 데이터로서 설정한다. When the end flag of the operation test is set to "ON" in step S18, the CPU 32 determines to end the operation test in step S14 (YES in step S14). In this case, the CPU 32 sets the setting data at the time of operation as the setting data used for the relay calculation (step S20). Specifically, the CPU 32 reads the setting data at the time of operation (eg, setting data 210) from the internal memory, and the setting data at the time of operation includes each setting value used for the relay operation. It is set as setting data to

상기에 의하면, 동작 시험이 개시된 경우에는 릴레이 연산용의 세팅 데이터로서 세팅 데이터(220)가 설정되고, 동작 시험이 종료됐을 경우에는 릴레이 연산용의 세팅 데이터로서, 운용시의 세팅 데이터(210)가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그 때문에, 동작 시험이 종료됐음에도 불구하고, 동작 시험시의 세팅 데이터(220)가 보호 계전 장치(100)에 적용되고 있는 것과 같은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when the operation test is started, the setting data 220 is set as the setting data for the relay operation, and when the operation test is finished, the setting data 210 at the time of operation is the setting data for the relay operation. It is set automatical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void a situation in which the setting data 220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test is being applied to the protective relay device 100 despite the operation test being completed.

덧붙여, 도 3의 순서도에서는, 동작 시험이 개시되고 나서 기준 경과 후에 동작 시험이 종료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해당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동작 시험 중에, 외부 전원(130)으로부터 보호 계전 장치(100)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는, 동작 시험은 종료된다. In addition, in the flowchart of FIG. 3, although the structure in which the motion test is terminated after reference elapses after the motion test is started, it is not limited to this structure. For example, when there is an operation to cut off the power supply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130 to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during the operation test, the operation test is finished.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통상의 운용시, 보호 계전 장치(100)는 패널 내에 설치되고, 계기용 변류기(2), 계기용 변압기(4) 등의 입력 측 기기, 및 차단기(6) 등의 출력 측 기기와 접속되어 있다. 보호 계전 장치(100)의 동작 시험시에는 입력 측 기기의 영향을 배제하여, 출력 측 기기의 오동작의 발생 및 활선 작업에 의한 작업원의 감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패널 내 회로를 정전시키고 입력 측 기기 및 출력 측 기기를 보호 계전 장치로부터 분리시킨다. 이 때, 전력 계통으로부터 보호 계전 장치(100)에 공급되고 있는 전력도 정전되기 때문에, 동작 시험 중은 별도 준비된 외부 전원(130)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동작 시험 종료 후에는 전원 공급 회로를 동작 시험 전의 상태로 되돌리기 때문에, 재차, 외부 전원(130)의 전원을 끌(즉, 외부 전원(130)으로부터의 전력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동작 시험 중에, 외부 전원(130)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경우는, 동작 시험이 종료됐다고 간주한다. The reason for this is as follows. During normal operation, the protective relay device 100 is installed in the panel, and is connected to an input-side device such as an instrument current transformer 2 and an instrument transformer 4, and an output-side device such as a circuit breaker 6 . During the operation test of the protective relay device 100, the circuit inside the panel is turned off to exclude the influence of the input-side device, and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output-side device and the occurrence of an electric shock accident of the worker due to live wire work. Separate the input-side and output-side devices from the protective relay. At this time, since the power supplied to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from the power system is also blackout, power is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130 prepared separately during the operation test. After the operation test is over, the power supply circuit is returned to the state before the operation test, so it is necessary to turn off the external power supply 130 again (that is, cut off the power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130). Therefore, if the power supply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130 is cut off during the operation test, it is considered that the operation test has been completed.

그리고, 보호 계전 장치(100)로의 전력 공급이 재개되어, 보호 계전 장치(100)가 재기동된 후에, CPU(32)는 스텝 S20의 처리를 실행(즉, 운용시의 세팅 데이터를, 릴레이 연산에 이용되는 세팅 데이터로서 설정)한다. Then, after the power supply to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is resumed and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is restarted, the CPU 32 executes the processing of step S20 (that is, the setting data at the time of operation is transferred to the relay calculation). set as the setting data to be used).

또, CPU(32)는 입력 인터페이스(39)를 통해서, 동작 시험 중에 유저로부터 동작 시험을 종료시키는 지시를 접수했을 경우, 동작 시험이 종료됐다고 판단하여, 스텝 S20의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In addition, when receiving an instruction to end the motion tes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interface 39 during the motion test, the CPU 32 may determine that the motion test has ended and execute the processing of step S20 .

<운용시의 세팅값의 변경><Change of setting value during operation>

운용시의 세팅 데이터에 포함되는 세팅값을 유저가 변경한 후에 어떠한 사정이 생겨 변경 전의 세팅값으로 되돌리고 싶은 경우에는, 과거의 세팅값이 기록된 자료 등이 남아있지 않은 경우, 원래대로 되돌리는 것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운용시의 세팅 데이터를 시간 정보와 관련지어 기억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In the event that the user changes the setting value included in the setting data during operation and wants to return the setting value before the change due to some circumstances, if there is no data recorded with the past setting value, it is recommended to return it to the original state. It is likely to become difficult.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which stores the setting data at the time of operation in association with time information is demonstrated.

도 4는 세팅 데이터의 변경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운용시의 세팅 데이터(310)는 2020년 1월 1일의 12:00에서 2020년 2월 1일의 11:59까지의 기간(이하, 「적용 기간 P1」라고도 칭한다.)에 있어서, 보호 계전 장치(100)에 적용된 세팅 데이터이다. 운용시의 세팅 데이터(320)는, 2020년 2월 1일의 12:00에서 2020년 3월 1일의 11:59까지의 기간(이하, 「적용 기간 P2」라고도 칭한다.)에 있어서, 보호 계전 장치(100)에 적용된 세팅 데이터이다. 운용시의 세팅 데이터(330)는 2020년 3월 1일의 12:00에서 현재까지의 기간(이하, 「적용 기간 P3」라고도 칭한다.)에 있어서, 보호 계전 장치(100)에 적용되고 있는 세팅 데이터이다.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flow of the change of setting data. With reference to Fig. 4, the setting data 310 at the time of operation is a period from 12:00 on January 1, 2020 to 11:59 on February 1, 2020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pplication period P1"). ) in the setting data applied to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 The setting data 320 at the time of operation is protected during the period from 12:00 on February 1, 2020 to 11:59 on March 1, 2020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pplication period P2"). It is setting data applied to the relay device 100 . The setting data 330 at the time of operation is the setting applied to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in the period from 12:00 of March 1, 2020 to the present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pplication period P3"). It is data.

세팅 데이터(310~330)가 기억되는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세팅 데이터(310)가 내부 메모리(예를 들면, 보조 기억 장치(35))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상태부터 설명한다. 전력 계통에 새로운 설비(예를 들면, 벨트 컨베이어용 모터)가 추가 도입되어 소비 전력(전류)이 증대됐기 때문에, 유저는 2020년 2월 1일의 12:00에 세팅 데이터(310)의 과전류 릴레이 요소의 동작값 "10.0A"를 동작값 "20.0A"로 증대하는 변경 조작을 행했다. 해당 변경에 따라서, 변경 전의 세팅 데이터(310)는 적용 기간 P1과 관련지어 기억되고, 세팅 데이터(320)는 2020년 2월 1일의 12:00 이후의 새로운 세팅 데이터로서 기억된다.A flow in which the setting data 310 to 330 is stored will be described. Here, the setting data 310 will be described from the state in which it is stored in advance in the internal memory (for example, the auxiliary storage device 35). Since the power consumption (current) has increased due to the addition of new equipment (for example, a motor for belt conveyors) to the power system, the user can read the overcurrent relay of the setting data 310 at 12:00 on February 1, 2020. A change operation was performed to increase the operating value "10.0A" of the element to the operating value "20.0A". According to the change, the setting data 310 before the change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application period P1, and the setting data 320 is stored as new setting data after 12:00 on February 1, 2020.

이어서, 추가된 설비의 소비 전류가 상정된 것 이상으로 크기 때문에, 유저는 2020년 3월 1일의 12:00에 세팅 데이터(320)의 과전류 릴레이 요소의 동작값 "20.0A"를 동작값 "25.0A"로 증대하는 변경 조작을 행했다. 또, 대전류에 의해 단위 시간당 발열량이 커지기 때문에, 세팅 데이터(320)의 과전류 릴레이 요소의 동작 시간 "0.10s"를 "0.05s"로 짧게 하는 변경 조작을 행하여, 사고시의 설비의 소실을 방지하도록 했다. 해당 변경에 따라서, 변경 전의 세팅 데이터(320)는 적용 기간 P2와 관련지어 기억되고, 세팅 데이터(330)는 2020년 3월 1일의 12:00 이후의 새로운 세팅 데이터로서 기억된다. Subsequently, since the consumption current of the added equipment is larger than expected, the user sets the operating value "20.0A" of the overcurrent relay element in the setting data 320 at 12:00 on March 1, 2020 to the operating value " A change operation was performed to increase to 25.0 A". 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per unit time increases due to the large current, a change operation was performed to shorten the operation time “0.10s” of the overcurrent relay element of the setting data 320 to “0.05s” to prevent the loss of equipment in an accident. . According to the change, the setting data 320 before the change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application period P2, and the setting data 330 is stored as new setting data after 12:00 on March 1, 2020.

이와 같이, 변경 전 및 변경 후의 세팅 데이터의 각각은, 해당 세팅 데이터가 보호 계전 장치(100)에 적용되는 기간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예를 들면, 적용 기간 P1~P3)와 관련지어 기억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세팅값의 변경 후에, 변경 전의 세팅값으로 되돌리고 싶은(즉, 복원하고 싶은) 경우에는, 과거의 세팅값을 참조할 수 있다. In this way, each of the setting data before and after the change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ime information (eg, application periods P1 to P3 ) indicating the period in which the setting data is applied to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 Thereby, when a user wants to return to the setting value before a change after a change of a setting value (that is, it wants to restore|restore), a past setting value can be referred.

도 5는 세팅값을 복원하기 위한 화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CPU(32)는 입력 인터페이스(39)를 통해서 세팅값의 복원 지시를 접수하면, 화면(510)을 디스플레이(38)에 표시한다. 화면(510)은 각 적용 기간 P1~P3에 있어서의 세팅 데이터의 선택 영역(512)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유저가 적용 기간 P2를 선택하면, CPU(32)는 화면(520)을 디스플레이(38)에 표시한다. 화면(520)은 적용 기간 P2에 있어서의 세팅 데이터(320)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514)과, 복원 버튼(516)과, 되돌리기 버튼(518)을 포함한다.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for restoring a setting value. Referring to FIG. 5 , the CPU 32 displays a screen 510 on the display 38 upon receiving an instruction to restore the setting value through the input interface 39 . The screen 510 includes a selection area 512 for setting data in each of the application periods P1 to P3.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application period P2 , the CPU 32 displays the screen 520 on the display 38 . The screen 520 includes a display area 514 containing the setting data 320 in the application period P2 , a restore button 516 , and a return button 518 .

유저는 복원하고 싶은 세팅 항목으로서 "과전류 릴레이 요소의 동작값"과 "과전류 릴레이 요소의 동작 시간"을 선택하고, 복원 버튼(516)을 누른다. 이 경우, 현재의 세팅 데이터(330)의 세팅 항목 「과전류 릴레이 요소의 동작값」의 세팅값이 20.0A로 변경되고, 세팅 데이터(330)의 세팅 항목 「과전류 릴레이 요소의 동작 시간」의 세팅값이 0.10s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유저는 복원 대상으로 하는 세팅 항목(예를 들면, 과전류 릴레이 요소의 동작값)을 선택함으로써, 현재 운용 중인 해당 세팅 항목에 대응하는 세팅값(예를 들면, 25.0A)을, 과거의 기간(예를 들면, 적용 기간 P2)에 있어서의 해당 세팅 항목에 대응하는 세팅값(예를 들면, 20.0A)으로 복원할 수 있다. 덧붙여, 변경 전의 세팅 데이터(330)와, 해당 변경 후의 새로운 세팅 데이터는, 변경시의 시간 정보와 관련지어 기억된다.The user selects "operation value of overcurrent relay element" and "operation time of overcurrent relay element" as setting items to restore, and presses the restore button 516 . In this case, the setting value of the setting item "operation value of the overcurrent relay element" of the current setting data 330 is changed to 20.0A, and the setting value of the setting item "operation time of the overcurrent relay element" of the setting data 330 This is changed to 0.10s. In this way, by selecting a setting item to be restored (eg, the operation value of an overcurrent relay element), the user selects a setting value (eg, 25.0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ly operated setting item, It can be restored to a setting value (eg, 20.0A)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etting item in the period (eg, application period P2). In addition, the setting data 330 before the change and the new setting data after the change ar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time information at the time of the change.

도 6은 세팅값을 복원하기 위한 다른 화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내는 화면(530)은, 유저가 도 5의 화면(510)에 있어서 적용 기간 P2를 선택했을 경우에, 화면(520) 대신에 표시된다. 화면(530)은 표시 영역(532)에 있어서 "현재의 세팅값"이 더 표시되고 있는 점에 있어서 화면(520)과 다르다. 화면(530)의 경우에는, 유저는 적용 기간 P2의 세팅 데이터(320)의 세팅값과, 현재의 세팅값의 차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복원 작업을 보다 신속히 행할 수 있다.6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creen for restoring a setting value. The screen 530 shown in FIG. 6 is displayed instead of the screen 520 when the user selects the application period P2 on the screen 510 of FIG. 5 . The screen 530 is different from the screen 520 in that the "current setting value" is further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532 . In the case of the screen 530 , since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tting value of the setting data 320 of the application period P2 and the current setting value, the restora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상기에서는, 세팅 데이터에 관련지어지는 시간 정보로서 적용 기간을 예시하여 설명했지만, 해당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세팅 데이터의 보호 계전 장치(100)로의 적용 개시 시각을 시간 정보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세팅 데이터(310)는 적용 개시 시각 "2020년 1월 1일의 12:00"와 관련지어지고, 세팅 데이터(320)는 적용 개시 시각 "2020년 2월 1일의 12:00"와 관련지어지고, 세팅 데이터(330)는 적용 개시 시각 "2020년 3월 1일의 12:00"와 관련지어진다. In the above, although the application period was illustrated and demonstrated as tim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setting data, it is not limited to the said structure. For example, it is good also considering the application start time to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of setting data as time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setting data 310 is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start time "12:00 on January 1, 2020", and the setting data 320 is the application start time "12: 00 on February 1, 2020" , and the setting data 330 is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start time “12:00 on March 1, 2020”.

또, 세팅 데이터의 보호 계전 장치(100)로의 적용 종료 시각을 시간 정보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세팅 데이터(310)는 적용 종료 시각 "2020년 2월 1일의 11:59"와 관련지어지고, 세팅 데이터(320)는 적용 종료 시각 "2020년 3월 1일의 11:59"와 관련지어진다. 세팅 데이터(330)는 현재 적용 중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관련지어진다. Moreover, it is good also considering the application end time to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of setting data as time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setting data 310 is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end time "11:59 on February 1, 2020", and the setting data 320 is the application end time "11:59 on March 1, 2020" is associated with Setting data 330 is associated with information indicating what is currently being applied.

<기능 구성><Function Configuration>

도 7은 보호 계전 장치(100)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보호 계전 장치(100)는 전기량 입력부(402)와, 릴레이 연산부(404)와, 시험 실행부(406)와, 세팅 데이터 설정부(408)와, 세팅 데이터 변경부(410)와, 표시 제어부(412)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는, 이들 기능은, 처리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처리 회로는 전용의 하드웨어여도 되고, 도 3의 연산 처리부(30)의 ROM(33)에 격납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32)여도 된다. 처리 회로가 전용의 하드웨어인 경우, 처리 회로는, 예를 들면, FPGA, ASIC, 또는 이것들을 조합한 것 등으로 구성된다. 보호 계전 장치(100)는, 예를 들면, 보조 기억 장치(35)에 의해 실현되는 기억부(414)를 더 포함한다.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 Referring to FIG. 7 ,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includes an electric quantity input unit 402 , a relay calculation unit 404 , a test execution unit 406 , a setting data setting unit 408 , and a setting data changing unit 410 . ) and a display control unit 412 . Typically, these functions are realized by processing circuitry. The processing circuit may be dedicated hardware or a CPU 32 that executes a program stored in the ROM 33 of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30 of FIG. 3 . When the processing circuit is dedicated hardware, the processing circuit is constituted by, for example, an FPGA, an ASIC,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protective relay device 100 further includes, for example, a storage unit 414 realized by the auxiliary storage device 35 .

전기량 입력부(402)는 AD 변환기(27)를 통해서, 전류 및 전압 데이터(즉, 전기량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한다. 통상의 운용시에 있어서는, 전기량 데이터는 전력 계통(예를 들면, 송전선(L))에 마련된 계기용 변류기(2), 계기용 변압기(4)에 의해 입력된다. 동작 시험시에 있어서는, 전기량 데이터는 시험 장치(110)로부터 입력된다. The electric quantity input unit 402 receives input of current and voltage data (ie, electric quantity data) through the AD converter 27 . At the time of normal operation, electricity quantity data is input by the instrument current transformer 2 and the instrument transformer 4 provided in the electric power system (for example, the power transmission line L).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test, electric quantity data is input from the test apparatus 110 .

릴레이 연산부(404)는 전기량 데이터와 세팅 데이터에 기초하여 릴레이 연산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릴레이 연산부(404)는 외부 기기(예를 들면, 계기용 변류기(2), 계기용 변압기(4), 시험 장치(110))로부터 입력되는 전기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릴레이 연산을 행한다. 상세하게는, 릴레이 연산부(404)는 전기량 데이터에 디지털 필터 처리 및 실효값의 계산 등의 연산을 실시하여, 해당 연산 결과와 세팅 데이터를 비교해서, 보호 계전 장치(100)를 동작시킬지 여부를 판정한다. 릴레이 연산부(404)는 해당 보호 계전 장치(100)를 동작시킨다고 판정했을 경우, 해당 동작 판정 결과를 DO 회로(36)에 주어, DO 회로(36)로부터 차단기(6)로 개방 신호(예를 들면, 트립 신호)를 출력시킨다. The relay calculation unit 404 performs a relay calculation based on the amount of electricity data and the setting data. Specifically, the relay calculation unit 404 performs relay calculation using electric quantity data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eg, the instrument current transformer 2 , the instrument transformer 4 , and the test device 110 ). In detail, the relay calculation unit 404 performs calculations such as digital filter processing and calculation of the effective value on the electric quantity data, compares the calculation result with the setting data, and determines whether to operate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 do. When the relay operation unit 404 determines that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is operated, the relay operation unit 404 gives the operation determination result to the DO circuit 36, and sends an open signal from the DO circuit 36 to the circuit breaker 6 (for example, , trip signal).

시험 실행부(406)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기초하여, 보호 계전 장치(100)의 동작 시험을 개시 또는 종료한다. 전형적으로는, 시험 실행부(406)는 유저로부터의 동작 시험 개시의 지시 입력을 접수하면, 보호 계전 장치(100)의 동작 시험을 개시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보호 계전 장치(100)의 제어 모드는, 운용 모드로부터 시험 모드로 이행한다. 덧붙여, 시험 실행부(406)는 동작 시험 개시의 통지를 세팅 데이터 설정부(408)에 출력해도 된다. The test execution unit 406 starts or ends the operation test of the protective relay device 100 based on a predetermined condition. Typically, when the test execution part 406 receives the instruction|indication input of the operation test start from a user, the operation test of the protective relay device 100 is started.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control mode of the protective relay device 100 shifts from the operation mode to the test mode. In addition, the test execution unit 406 may output a notification of the start of the operation test to the setting data setting unit 408 .

어느 국면에서는, 시험 실행부(406)는 동작 시험이 개시되고 나서 기준 시간 이상 경과된 경우, 해당 동작 시험을 종료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보호 계전 장치(100)의 제어 모드는 시험 모드로부터 운용 모드로 이행한다. 다른 국면에서는, 시험 실행부(406)는 유저로부터의 동작 시험 종료의 지시 입력을 접수하면, 보호 계전 장치(100)의 동작 시험을 종료한다. 덧붙여, 시험 실행부(406)는 동작 시험 종료의 통지를 세팅 데이터 설정부(408)에 출력해도 된다. In a certain situation, the test execution unit 406 ends the motion test when more than a reference time has elapsed since the motion test was started.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control mode of the protective relay device 100 shifts from the test mode to the operation mode. On another situation, when the test execution part 406 receives the instruction|indication input of the operation test completion|finish from a user, the operation test of the protective relay device 100 is complete|finished. In addition, the test execution unit 406 may output a notification of the end of the operation test to the setting data setting unit 408 .

또 다른 국면에서는, 동작 시험 중에 보호 계전 장치(100)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경우, 시험 모드는 종료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 때문에, 보호 계전 장치(100)로의 전력 공급이 재개되어, 보호 계전 장치(100)가 재기동됐을 경우, 보호 계전 장치(100)의 제어 모드는 운용 모드가 된다. In another aspect,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protective relay device 100 is cut off during the operation test, the test mode is considered to be ended. Therefore,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is restarted and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is restarted, the control mode of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becomes the operation mode.

세팅 데이터 설정부(408)는 보호 계전 장치(100)에 적용되는(즉, 릴레이 연산에 이용되는) 세팅 데이터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세팅 데이터 설정부(408)는 보호 계전 장치(100)의 동작 시험이 개시된 경우(예를 들면, 시험 실행부(406)로부터의 동작 시험 개시의 통지를 받았을 경우), 동작 시험시의 세팅 데이터(예를 들면, 세팅 데이터(220))를, 릴레이 연산부(404)에서의 릴레이 연산에 이용되는 세팅 데이터로서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릴레이 연산부(404)는 동작 시험시에 있어서는, 시험용의 세팅 데이터(220)를 이용하여 릴레이 연산을 실행한다. The setting data setting unit 408 sets setting data applied to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ie, used for relay operation). Specifically, when the operation test of the protective relay device 100 is started (for example, when a notification of the operation test start is received from the test execution unit 406 ), the setting data setting unit 408 performs an operation test. The setting data (for example, setting data 220) of is set as setting data used for the relay calculation in the relay calculation part 404. Thereby, the relay calculation part 404 performs relay calculation using the setting data 220 for a test at the time of an operation test.

한편, 세팅 데이터 설정부(408)는 동작 시험이 종료된 것에 기초하여(예를 들면, 시험 실행부(406)로부터의 동작 시험 종료의 통지를 받았을 경우, 보호 계전 장치(100)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경우), 릴레이 연산에 이용되는 세팅 데이터를, 동작 시험시의 세팅 데이터로부터, 운용시의 세팅 데이터(예를 들면, 세팅 데이터(210))로 변경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etting data setting unit 408 is based on the completion of the operation test (eg, when receiving a notice of the operation test end from the test execution unit 406 , the power supply to the protection relay device 100 is block), the setting data used for the relay operation is changed from the setting data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test to the setting data at the time of operation (for example, the setting data 210).

기억부(414)는 운용시 데이터 기억 영역(451)과, 시험시 데이터 기억 영역(452)을 포함한다. 운용시 데이터 기억 영역(451)에는 운용시에 이용되는 각종 데이터(예를 들면, 세팅 데이터(210) 등)가 기억된다. 시험시 데이터 기억 영역(452)에는, 동작 시험시에 이용되는 각종 데이터(예를 들면, 세팅 데이터(220) 등)가 기억된다. The storage unit 414 includes an operating data storage area 451 and a test data storage area 452 . In the operation data storage area 451, various data used during operation (eg, setting data 210, etc.) are stored. In the test data storage area 452, various data (for example, setting data 220 and the like) used in the operation test are stored.

세팅 데이터 변경부(410)는 유저로부터의 조작 지시에 따라서, 세팅 데이터(예를 들면, 운용시의 세팅 데이터(210))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세팅 데이터 변경부(410)는 현재 운용 중의 세팅 데이터(예를 들면, 세팅 데이터(210))에 포함되는 각 세팅값 중 적어도 1개(예를 들면, 과전류 릴레이 요소의 동작값의 세팅값)를 변경했을 경우, 해당 변경 후의 세팅 데이터를, 해당 변경시의 시간 정보와 관련지어 기억부(414)의 운용시 데이터 기억 영역(451)에 기억한다. The setting data changing part 410 changes setting data (for example, setting data 210 at the time of operation) according to an operation instruction from a user. Specifically, the setting data change unit 410 is at least one of each setting value included in the setting data (eg, the setting data 210) currently in operation (eg, the operation value of the overcurrent relay element) setting value) is changed, setting data after the change is stored in the operation data storage area 451 of the storage unit 414 in association with the time information at the time of the change.

이것에 의해, 운용시 데이터 기억 영역(451)에는, 변경시의 시간 정보와 관련지어진 세팅 데이터가 차례로 기억된다. 예를 들면, 도 4의 세팅 데이터(310)는 변경시의 시간 정보(예를 들면, 2020년 1월 1일의 12:00)와 관련지어 기억되고, 세팅 데이터(320)는 변경시의 시간 정보(예를 들면, 2020년 2월 1일의 12:00)와 관련지어 기억되고, 세팅 데이터(330)는 변경시의 시간 정보(예를 들면, 2020년 3월 1일의 12:00)와 관련지어 기억된다. 따라서, CPU(32)는 각 세팅 데이터가, 릴레이 연산에 적용된 기간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Thereby, in the operation data storage area 451, the setting data associated with the time information at the time of change is sequentially stored. For example, the setting data 310 of FIG. 4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ime information at the time of change (for example, 12:00 on January 1, 2020), and the setting data 320 is the time at the time of change It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information (for example, 12:00 on February 1, 2020), and the setting data 330 is time information at the time of change (for example, 12:00 on March 1, 2020) remembered in connection with Accordingly, the CPU 32 can easily determine the period in which each setting data is applied to the relay operation.

표시 제어부(412)는, 도 5에 나타내는 화면(510, 520), 도 6에 나타내는 화면(530) 등을 디스플레이(38)에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부(412)는 제1 기간(예를 들면, 적용 기간 P1)에 있어서의 운용시의 세팅 데이터(예를 들면, 세팅 데이터(310))를 나타내는 제1 영역(예를 들면, 선택 영역(512)의 적용 기간 P1의 영역)과, 제2 기간(예를 들면, 적용 기간 P2)에 있어서의 운용시의 세팅 데이터(예를 들면, 세팅 데이터(320))를 나타내는 제2 영역(예를 들면, 선택 영역(512)의 적용 기간 P2의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화면(예를 들면, 화면(510))을 표시한다. 또, 제2 영역이 유저에 의해서 선택된 경우, 표시 제어부(412)는 제2 기간에 있어서의 운용시의 세팅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세팅값을 디스플레이(38)에 표시(예를 들면, 화면(520) 또는 화면(530)을 표시)한다. The display control unit 412 displays the screens 510 and 520 shown in FIG. 5 , the screen 530 shown in FIG. 6 , and the like on the display 38 . Specifically, the display control unit 412 is a first area (eg, setting data 310 ) indicating setting data (eg, setting data 310 ) at the time of operation in the first period (eg, application period P1 ). , an area in the application period P1 of the selection area 512), and a second indicating setting data (eg, setting data 320) at the time of operation in the second period (eg, application period P2) A display screen (eg, screen 510 ) including a region (eg, region of application period P2 of selection region 512 ) is displayed. Moreover, when the 2nd area|region is selected by the user, the display control part 412 displays each setting value contained in the setting data at the time of operation in the 2nd period on the display 38 (for example, the screen 520) ) or the screen 530 is displayed).

디스플레이(38)에 표시된, 제2 기간에 있어서의 운용시의 세팅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세팅값 중 세팅값 X(예를 들면, 20.0A)에 대응하는 세팅 항목(예를 들면, 과전류 릴레이 요소의 동작값)이 복원 대상으로서 유저에 의해 선택되었을 경우, 세팅 데이터 변경부(410)는 현재 운용 중인 해당 세팅 항목에 대응하는 세팅값(예를 들면, 25.0A)을, 제2 기간에 있어서의 세팅값 X로 복원한다. A setting item (for example, of the overcurrent relay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setting value X (for example, 20.0A) among the respective set values included in the setting data at the time of operation in the second period displayed on the display 38 operation value) is selected by the user as the restoration target, the setting data changing unit 410 sets the setting value (for example, 25.0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ly operated setting item, the setting in the second period Restore to the value X.

<이점><Advantage>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동작 시험 종료 후에, 보호 계전 장치(100)에 적용되는 세팅 데이터는, 동작 시험시의 세팅 데이터로부터 운용시의 세팅 데이터로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그 때문에, 유저에 의한 동작 시험용의 세팅값이, 운용 중에 이용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운용시의 세팅 데이터는 그 변경시에 시간 정보와 관련지어 내부 메모리에 기억된다. 그 때문에, 유저는 변경 전의 세팅 데이터를 기억해 둘 필요가 없고, 또 외부의 기록 매체 등에 별도 기록해 둘 필요도 없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fter the operation test is finished, the setting data applied to the protective relay device 100 is automatically set from the setting data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test to the setting data at the time of oper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void a situation in which the setting value for the operation test by the user is used during operation. In addition, the setting data at the time of operation is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in association with time information at the time of the change. Therefore, the user does not need to memorize the setting data before the change, nor does it need to separately record the setting data on an external recording medium or the like.

그 외의 실시 형태.other embodiments.

상술한 실시 형태로서 예시한 구성은,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의 일례이며, 다른 공지의 기술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개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일부를 생략하는 등, 변경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onfiguration exemplified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combined with other known techniques, and is configured by changing such as omitting a p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also possible to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번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지고, 청구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it should be thought that embodiment disclosed this time is an illustration in every point and is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and it is intended that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meaning and scope equivalent to the claims are included.

Claims (6)

전력 계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계전 장치로서,
전기량 데이터와 세팅 데이터에 기초하여 릴레이 연산을 행하는 릴레이 연산부와,
상기 세팅 데이터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설정부는
상기 보호 계전 장치의 동작 시험이 개시된 경우, 상기 동작 시험시의 제1 세팅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연산에 이용되는 상기 세팅 데이터로서 설정하고,
상기 동작 시험이 종료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연산에 이용되는 상기 세팅 데이터를, 상기 제1 세팅 데이터로부터, 상기 전력 계통의 감시를 행하기 위한 운용시의 제2 세팅 데이터로 변경하는, 보호 계전 장치.
A protective relay device for protecting a power system, comprising:
A relay operation unit that performs a relay operation based on the electric quantity data and the setting data;
and a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setting data,
the setting unit
When the operation test of the protection relay device is started, first setting data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test is set as the setting data used for the relay operation;
Protection relay which changes the said setting data used for the said relay calculation to the 2nd setting data at the time of operation for monitoring the said electric power system from the said 1st setting data based on the completion of the said operation test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험이 개시되고 나서 기준 시간 이상 경과된 경우, 상기 동작 시험은 종료되는, 보호 계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more than a reference time has elapsed since the operation test was started, the operation test is terminated.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험 중에 상기 보호 계전 장치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경우, 상기 동작 시험은 종료되는, 보호 계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protective relay device is cut off during the operation test, the operation test is terminated, the protective relay devic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세팅 데이터는 복수의 세팅 항목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세팅값을 포함하고,
유저로부터의 조작 지시에 따라서, 상기 세팅 데이터를 변경하는 변경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변경부는 현재 운용 중인 상기 제2 세팅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세팅값 중 적어도 1개를 변경했을 경우, 해당 변경 후의 상기 제2 세팅 데이터를, 해당 변경시의 시간 정보와 관련지어 메모리에 기억하는, 보호 계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etting data includes a plurality of setting value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etting items,
Further comprising a change unit for changing the setting data according to an operation instruction from a user,
When the change unit changes at least one of the respective setting values included in the second setting data currently being operated, the second setting data after the change is related to time information at the time of the change and stored in a memory, protective relay.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세팅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1 영역과, 제2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세팅 데이터를 나타내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영역이 유저에 의해서 선택된 경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2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세팅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세팅값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보호 계전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display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control unit configured to display a display screen including a first region indicating the second setting data in the first period and a second region indicating the second setting data in the second period, ,
The protection relay device in which the said display control part displays each setting value contained in the said 2nd setting data in the said 2nd period on the said display, when the said 2nd area|region is selected by a us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세팅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세팅값 중 제1 세팅값에 대응하는 세팅 항목이 복원 대상으로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경우, 상기 변경부는 현재 운용 중의 상기 세팅 항목에 대응하는 세팅값을, 상기 제2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세팅값으로 복원하는, 보호 계전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a setting item corresponding to a first setting value among respective setting values included in the second setting data in the second period is selected as a restoration object by the user, the change unit corresponds to the setting item currently in operation. The protective relay device which restore|restores a setting value to the said 1st setting value in the said 2nd period.
KR1020210114159A 2020-11-27 2021-08-27 Protection relay device KR2022007470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97130 2020-11-27
JP2020197130A JP2022085442A (en) 2020-11-27 2020-11-27 Protective re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708A true KR20220074708A (en) 2022-06-03

Family

ID=81892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159A KR20220074708A (en) 2020-11-27 2021-08-27 Protection relay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2085442A (en)
KR (1) KR20220074708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85442A (en)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3418A (en) Battery control and fault detection method
MX2011002464A (en) Protective device with metering and oscillography.
JP5036148B2 (en) Secondary battery pack
KR101697641B1 (en) Electric power distributing board equipped with self diagnosis
KR20220074708A (en) Protection relay device
JP4208617B2 (en) Electricity meter
JP2006238511A (en) Power supply monitoring recorder
KR100861583B1 (en) Automation System for Evaluation of Digital Relay Performance
KR101308297B1 (en) Printed circuit card for a nuclear reactor protection system
JPS626268Y2 (en)
JP2010220302A (en) Protective relay
CN111801865B (en) Digital protective re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771222B2 (en) Inverter device with fault trace
KR101697632B1 (en) Electric power distributing board equipped with self diagnosis
KR100586104B1 (en) Digital Motor Control Center
KR920009650B1 (en) Breaker
KR101697642B1 (en) Electric power distributing board equipped with self diagnosis
JP4372079B2 (en) Protection control device and automatic monitoring method thereof
JP2019180151A (en) Protective relay device
JP5197489B2 (en) Digital type protective relay
US20040117533A1 (en) Simplified user interface for UPS monitoring
JP2000004538A (en) Monitoring controller of electric power system
JPH0956051A (en) Automatic monitoring system for digital protective relay device
JP2013005468A (en) Protection relay device
JPH11133094A (en) Leak monito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