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4652A -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652A
KR20220074652A KR1020200163387A KR20200163387A KR20220074652A KR 20220074652 A KR20220074652 A KR 20220074652A KR 1020200163387 A KR1020200163387 A KR 1020200163387A KR 20200163387 A KR20200163387 A KR 20200163387A KR 20220074652 A KR20220074652 A KR 20220074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antenna
slim
complex multi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홍수
신호동
김경진
최민석
Original Assignee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3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4652A/ko
Priority to PCT/KR2020/017212 priority patent/WO2022114309A1/ko
Publication of KR20220074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9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monitoring data relating to the user, e.g. head-tracking, eye-trac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73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informative content of the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Abstract

본 발명은 XR 디바이스에 복합 멀티 안테나를 결합하여 XR 디바이스의 경량화를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로서, XR 디바이스에 채용되는 블루투스 안테나, NFC 안테나, 와이파이 안테나, 충전 부재에 대응하는 각각의 모듈을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함에 따라 XR 디바이스의 경량화와 소형화를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특히, 얇은 막 형태의 PCB 부재를 통해 슬림화된 XR 디바이스에 대해 복수의 안테나도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함에 따라 무선통신과 충전의 멀티 기능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더 경량화된 XR 디바이스를 구현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XR 디바이스의 선단부를 전체적으로 슬림하게 구현함에 따라 그 XR 디바이스를 착용한 유저의 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slim type XR device by use of complex multi-antena,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XR 디바이스에 복합 멀티 안테나를 결합하여 XR 디바이스의 경량화를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XR 디바이스에 채용되는 블루투스 안테나, NFC 안테나, 와이파이 안테나, 충전 부재에 대응하는 각각의 모듈을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함에 따라 XR 디바이스의 경량화와 소형화를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특히, 얇은 막 형태의 PCB 부재를 통해 슬림화된 XR 디바이스에 대해 복수의 안테나도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함에 따라 무선통신과 충전의 멀티 기능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더 경량화된 XR 디바이스를 구현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기술은 화면이나 렌즈를 통해 구현되는 객체나 배경 등을 가상으로 만들어진 컴퓨터그래픽(CG; Computer Graphic) 영상으로만 제공한다.
그리고,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기술은 실제 영상에 대해 가상으로 만들어진 컴퓨터그래픽 영상을 더하여 함께 제공한다.
또한, 혼합현실(MR; Mixed Reality) 기술은 현실 세계에 대해 가상으로 만들어진 컴퓨터그랙픽 영상을 독립적으로 결합시키거나 믹싱하여 제공하는 컴퓨터그래픽 기술이다.
여기서, 위에 언급한 VR, AR, MR 등을 모두 간단히 확장현실(XR; extended reality) 기술로 지칭하기도 한다.
AR 기술은 실제 영상에 대해 가상의 디지털 이미지를 입히는 방식이다. 또한, MR 기술은 현실 세계에 대해 가상의 디지털 이미지를 입히는 방식으로서 유저의 눈으로 현실 세계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눈을 가린 채 가상의 컴퓨터그래픽 영상만 보여주는 VR 기술과는 다르다.
또한, 실내에서만 쓸 수 있는 VR 기기 및 AR 기기와 달리 MR 기기는 안경처럼 착용한 상태로 현실 세계를 걸어다니면서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그 쓰임새(예: 대테러 진압작전, 화재 진압작전 등)가 훨씬 다양하다.
그런데, VR 기기, AR 기기, MR 기기를 통칭하는 XR 디바이스는 사용 목적에 따라 기본적으로 복수의 제어칩들이 탑재된 쪽 보드(예: PCB)를 구비하여야만 한다.
그 결과, 기존의 XR 디바이스는 복수의 제어칩들이 탑재된 쪽 보드를 구비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유저의 안면에 착용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의 디바이스 두께와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넓은 디바이스 규격을 줄이는 데에 한계가 있음은 물론 디바이스의 유려한 디자인을 고려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었다.
또한, HMD(head mounted display) 타입의 XR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자신의 안면에 웨어러블 형태로 착용하고 이동하여야 하므로 대부분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근거리 무선통신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등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그에 대응하는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여야 한다.
그 결과,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하여야 하는 XR 디바이스의 무게가 무거워지는 문제가 있고 그러한 복수의 안테나를 쪽 보드 타입의 회로기판에 연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은 규격의 XR 디바이스에서 다양한 패턴의 디자인을 구현하는데에 한계를 나타내는 문제가 있었다.
그에 따라, XR 디바이스의 경량화와 소형화를 위해 블루투스 안테나, NFC 안테나, 와이파이 안테나, 충전 부재에 대응하는 각각의 모듈을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함에 따라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 구현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유닛을 통해 다양한 방식의 무선 통신모듈에 대응할 수 있는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눈 쪽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시야를 가이드하는 하나이상의 렌즈 부재(110); 렌즈 부재에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하나이상의 렌즈 부재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렌즈 부재를 고정하는 프레임전방 부재(130); 프레임전방 부재의 양측에 고정된 상태로 후방으로 연장됨에 따라 프레임전방 부재와 협동으로 렌즈 부재를 사용자의 안면에 거치시키는 하나이상의 프레임측방 부재(140); 프레임전방 부재의 전면에 얇은 막 형태로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부재와 접속되어 디스플레이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PCB 부재(150); PCB 부재에 접속된 상태로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과 무선충전을 담당하는 복합 멀티 안테나 유닛(1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합 멀티 안테나 유닛(160)은 PCB 부재와 프레임전방 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이때, 프레임전방 부재(130)는 복합 멀티 안테나 유닛에 대응하는 자신의 전면에 후방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어 복합 멀티 안테나 유닛을 수용하는 안테나 수용부재(131);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복합 멀티 안테나 유닛(160)은, 자신의 외곽테두리 부분에 와이파이 모듈(161), NFC 모듈(162), 블루투스 모듈(163)을 구비할 수 있고, 자신의 중앙부에 복수 회 권선된 패턴의 무선충전 모듈(164)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렌즈 부재(110)는 사용자의 육안으로 투시가 가능한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디스플레이 부재는 MR 표시 부재로서 외부의 제어로 동작하여 렌즈 부재의 일부 영역에 MR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MR (Mixed Reality) 모드 및 VR (Virtual Reality) 모드를 제공하는 5G 통신 기능을 가지는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으로서, (a) MR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b) MR 모드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c) MR 모드 실행 중 기설정된 트리거(trigger) 조건이 만족된 경우 메모리에 액세스하여 VR 모드 관련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d) 추출된 VR 모드 관련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MR 모드의 스크린내에 VR 모드의 스크린내 특정 위치의 가상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MR 모드의 스크린은, XR 디바이스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오브젝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VR 모드의 스크린은, 각 위치별로 맵핑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오브젝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VR 모드의 스크린내 각 위치별로 맵핑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오브젝트는, XR 디바이스에 의해 인식된 유저별로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XR 디바이스의 유저의 시선 또는 특정 디바이스를 트래킹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트리거 조건은, 트래킹된 유저의 시선 또는 특정 디바이스가 MR 모드의 스크린내 특정 영역 내에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인식된 경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트리거 조건은, XR 디바이스 또는 대응하는 리모컨의 특정 물리키 버튼이 푸쉬된 제1조건과, XR 디바이스 또는 대응하는 리모컨의 특정 모션이 감지된 제2조건과, XR 디바이스의 카메라에 의해 특정 제스처가 감지된 제3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트리거 조건이 제3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특정 제스처가 형성하는 영역의 사이즈 또는 위치에 따라 MR 모드의 스크린내에서 디스플레이된 VR 모드의 스크린내 특정 위치의 가상 오브젝트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d)는, MR 모드를 실행 중 VR 모드의 스크린내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오브젝트를 가이드 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는, VR 모드의 스크린내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오브젝트의 타입을 표시하는 제1 그래픽 데이터와, VR 모드의 스크린내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오브젝트의 위치를 표시하는 제2 그래픽 데이터와, VR 모드의 스크린내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오브젝트의 개수를 표시하는 제3 그래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이상과 같은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것이다.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과 무선충전을 담당하는 복합 멀티 안테나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XR 디바이스의 경량화와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얇은 막 형태의 PCB 부재를 통해 슬림화된 XR 디바이스에 대해 복수의 안테나도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함에 따라 무선통신과 충전의 멀티 기능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더 경량화된 XR 디바이스를 구현하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XR 디바이스의 선단부를 전체적으로 슬림하게 구현함에 따라 그 XR 디바이스를 착용한 유저의 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구성을 분리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복합 멀티 안테나 유닛 부분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도 5]의 구성을 분리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가 MR/VR 서비스 제공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저장한 메모리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을 분리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복합 멀티 안테나 유닛 부분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는 렌즈 부재(110), 디스플레이 부재(미도시), 프레임전방 부재(130), 프레임측방 부재(140), PCB 부재(150), 복합 멀티 안테나 유닛(1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렌즈 부재(110)는 사용자의 얼굴 눈 쪽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시야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렌즈 부재(110)는 사용자의 두 눈 위치에 대응하여 [도 2]에서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렌즈 부재(110)가 좌우로 길게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부재(미도시)는 렌즈 부재(110)의 안쪽 면에 MR 정보, AR 정보, VR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의 MR 정보, AR 정보, VR 정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MR 정보는 사용자가 렌즈 부재(110)를 통해 현실 세계를 실제로 보고 있는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그 렌즈 부재(110)의 내측면에 가상으로 만들어진 컴퓨터그래픽(CG) 영상을 표시하는 소위 MR (Mixed Reality) 모드를 의미한다.
그리고, AR 정보는 사용자가 렌즈 부재(110)를 통해 현실 세계가 아닌 촬영된 실제 영상(예: 프로야구 중계)을 보고 있는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그 렌즈 부재(110)의 내측면에 가상으로 만들어진 컴퓨터그래픽(CG) 영상을 표시하는 소위 AR (Augmented Reality) 모드를 의미한다.
또한, VR 정보는 사용자가 렌즈 부재(110)를 통해 가상으로 미리 만들어진 컴퓨터그래픽(CG) 영상이 표시되는 소위 VR(Virtual Reality) 모드를 의미한다.
프레임전방 부재(13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하나이상의 렌즈 부재(110)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렌즈 부재(110)를 고정한다.
프레임측방 부재(14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프레임전방 부재(130)의 양측에 고정된 상태로 후방으로 연장됨에 따라 프레임전방 부재(130)와 협동으로 렌즈 부재(110)를 사용자의 안면에 거치시킨다.
여기서, 프레임측방 부재(14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양측 귀에 대응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프레임전방 부재(130)의 양단에 고리 형태로 연결될 수도 있다.
PCB 부재(150)는 [도 2]에서와 같이 프레임전방 부재(130)의 전면에 얇은 막 형태로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부재(미도시)와 접속되어 디스플레이 부재(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PCB 부재(150)는 바람직하게는 [도 2]에서와 같이 낭창낭창하고 얇은 FPCB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복합 멀티 안테나 유닛(160)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PCB 부재(150)에 접속된 상태로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과 무선충전을 담당한다.
여기서, 복합 멀티 안테나 유닛(160)은 [도 4]에서와 같이 자신의 외곽테두리 부분에 와이파이 모듈(161), NFC 모듈(162), 블루투스 모듈(163)을 구비할 수 있고, 자신의 중앙부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복수 회 권선된 패턴의 무선충전 모듈(164)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복합 멀티 안테나 유닛(160)은 고유주파수로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해당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스위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주파수는 다음과 같다. 즉, 와이파이는 2.4GHz와 5GHz의 대역폭을 나타내고, 블루투스는 2.4GHz의 대역폭을 나타내며, NFC는 13.56MHz의 대역폭을 나타내고, 무선충전은 100~200MHz의 대역폭을 나타낸다.
여기서, 2.4GHz의 대역폭에서 와이파이와 블루투스의 구별에 따른 스위칭 선택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다른 정보(예: 데이터 패킷)를 통해 구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복합 멀티 안테나 유닛(160)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PCB 부재(150)와 프레임전방 부재(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레임전방 부재(130)는 안테나 수용부재(131)를 구비할 수 있는데, 안테나 수용부재(131)는 [도 2]에서와 같이 복합 멀티 안테나 유닛(160)에 대응하는 자신의 전면에 후방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어 복합 멀티 안테나 유닛(160)을 수용할 수 있다.
한편, 렌즈 부재(110)는 사용자의 육안으로 투시가 가능한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부재(미도시)는 MR 표시 부재(미도시)로서 외부의 제어로 동작하여 렌즈 부재(110)의 일부 영역에 MR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구성을 분리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보강필름 부재(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서와 같이 프레임전방 부재(130)의 전면에 얇은 막 형태의 PCB 부재(150)가 접합된 상태에서 보강필름 부재(160)는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그 PCB 부재(150)의 전면에 접합됨에 따라 렌즈 부재(110)가 끼워지는 프레임전방 부재(130)와 PCB 부재(150) 간의 경계 부분을 [도 5]에서와 같이 마감 처리함은 물론 외력으로부터 PCB 부재(150)의 전면을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XR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S110) :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XR 디바이스는 MR (Mixed Reality) 모드 및 VR (Virtual Reality) 모드를 제공하기 위해 먼저, MR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단계 (S120, S130) : 나아가, MR 모드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고, MR 모드 실행 중 기설정된 트리거(trigger) 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40, S150) : 트리거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메모리에 액세스하여 VR 모드 관련 부가 정보를 추출한다.
이어서, 그 추출된 VR 모드 관련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MR 모드의 스크린 내에 VR 모드의 스크린 내에서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한다.
MR 모드의 스크린은 예컨대 슬림형 XR 디바이스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VR 모드의 스크린은 각 위치별로 맵핑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오브젝트를 포함한다.
VR 모드의 스크린 내 각 위치별로 맵핑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오브젝트는, 예컨대 슬림형 XR 디바이스에 의해 인식된 유저별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슬림형 XR 디바이스의 유저의 시선 또는 특정 디바이스를 트래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트리거 조건은 예컨대 트래킹된 유저의 시선 또는 특정 디바이스가 MR 모드의 스크린 내 특정 영역 내에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인식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 조건은, 예를 들어, 슬림형 XR 디바이스 또는 이에 대응하는 리모컨의 특정 물리키 버튼이 푸쉬된 제1조건, 슬림형 XR 디바이스 또는 이에 대응하는 리모컨의 특정 모션이 감지된 제2조건 또는 슬림형 XR 디바이스의 카메라에 의해 특정 제스쳐가 감지된 제3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 조건이 제3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특정 제스쳐가 형성하는 영역의 사이즈 또는 위치에 따라, MR 모드의 스크린내에서 디스플레이된 VR 모드의 스크린내 특정 위치의 가상 오브젝트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S150)은 MR 모드를 실행 중, VR 모드의 스크린내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오브젝트를 가이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인디케이터는 예컨대 VR 모드의 스크린내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오브젝트의 타입을 표시하는 제1 그래픽 데이터, VR 모드의 스크린내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오브젝트의 위치를 표시하는 제2 그래픽 데이터, VR 모드의 스크린내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오브젝트의 개수를 표시하는 제3 그래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 방법과 유사하게, 장치 관점에서 살펴하면 XR (extended reality) 관련 복수 개의 모드를 제공하는 슬림형 XR 디바이스는, 메모리와, 적어도 하나의 모드 중 제1 모드를 실행하는 컨트롤러와, 그리고 제1 모드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의 특징은 이하 [도 8]에서 살펴 본다.
컨트롤러는, 제1 모드 실행 중 기설정된 트리거(trigger) 조건이 만족된 경우, 메모리에 액세스하여 제2 모드 관련 부가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2 모드 관련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모드의 스크린내에 제2 모드의 스크린내 특정 위치의 가상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부재를 제어한다.
제1 모드는 예컨대 이전에 설명한 MR 모드에 해당하고, 제2 모드는 예를 들어 이전에 설명한 VR 모드에 해당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XR 디바이스가 MR/VR 서비스 제공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저장한 메모리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살펴 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림형 XR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MR/VR 서비스를 위한 특정 파라미터들을 미리 정의할 수 있다.
종래에는 MR 모드를 실행하였다가, 개인화된 VR 모드의 정보를 불러오 기 위해서는 MR 모드가 VR 모드로 전체 전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원 발명에 의하면, MR 모드 실행 중 VR 모드의 가상 오브젝트들 중 일부만 불러오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와 관계 없이 MR 모드에서는 동일한 화면이 제공된다. 그러나, MR 모드 실행 중 트리거 조건 만족시 VR 모드의 스크린내 특정 가상 오브젝트만 불러 오기 위하여, ID 별로 임의의 가상 오브젝트 및 위치가 다르게 정의된다.
한편, 사용자를 구별하기 위한 ID는, 사용자가 임의로 입력할 수도 있고 또는 카메라 등을 통해 자동 구별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Mr Kim이 XR 디바이스의 MR 모드 실행 중, 트리거 조건 만족시 [도 8]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 하여, VR 모드의 스크린내 A 부가 정보(가상 오브젝트)의 위치 및 B 부가 정보(가상 오브젝트)의 위치 확인 후, 이를 인디케이팅 하는 GUI를 표시할 수도 있다.
반면, Ms Lee 가 슬림형 XR 디바이스의 MR 모드 실행 중, 트리거 조건 만족시 [도 8]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여, VR 모드의 스크린내 A 부가 정보(가상 오브젝트)의 위치 및 C 부가 정보(가상 오브젝트)의 위치 확인 후, 이를 인디케이팅 하는 GUI를 표시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Ms Park 이 슬림형 XR 디바이스의 MR 모드 실행 중, 트리거 조건 만족시 [도 8]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 하여, VR 모드의 스크린내 D 부가 정보(가상 오브젝트)의 위치, E 부가 정보(가상 오브젝트) 및 F 부가 정보(가상 오브젝트)의 위치 확인 후, 이를 인디케이팅 하는 GUI를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여기서의 VR 모드의 스크린은 개인화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별로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비휘발성 기록매체로는 다양한 형태의 스토리지 장치가 존재하는데 예컨대 하드디스크, SSD, CD-ROM, NAS, 자기테이프, 웹디스크, 클라우드 디스크 등이 있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스토리지 장치에 코드가 분산 저장되고 실행되는 형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특정의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10 : 렌즈 부재
130 : 프레임전방 부재
131 : 안테나 수용부재
140 : 프레임측방 부재
150 : PCB 부재
160 : 복합 멀티 안테나 유닛
161 : 와이파이 모듈
162 : NFC 모듈
163 : 블루투스 모듈
164 : 무선충전 모듈
200 : 보강필름 부재

Claims (10)

  1. 사용자의 눈 쪽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시야를 가이드하는 하나이상의 렌즈 부재(110);
    상기 렌즈 부재에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상기 하나이상의 렌즈 부재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렌즈 부재를 고정하는 프레임전방 부재(130);
    상기 프레임전방 부재의 양측에 고정된 상태로 후방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전방 부재와 협동으로 상기 렌즈 부재를 사용자의 안면에 거치시키는 하나이상의 프레임측방 부재(140);
    상기 프레임전방 부재의 전면에 얇은 막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와 접속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PCB 부재(150);
    상기 PCB 부재에 접속된 상태로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과 무선충전을 담당하는 복합 멀티 안테나 유닛(16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 멀티 안테나 유닛(160)은 상기 PCB 부재와 상기 프레임전방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전방 부재(130)는,
    상기 복합 멀티 안테나 유닛에 대응하는 자신의 전면에 후방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어 상기 복합 멀티 안테나 유닛을 수용하는 안테나 수용부재(131);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합 멀티 안테나 유닛(160)은,
    자신의 외곽테두리 부분에 와이파이 모듈(161), NFC 모듈(162), 블루투스 모듈(163)을 구비하고,
    자신의 중앙부에 복수 회 권선된 패턴의 무선충전 모듈(16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렌즈 부재(110)는 사용자의 육안으로 투시가 가능한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는 MR 표시 부재로서 외부의 제어로 동작하여 상기 렌즈 부재의 일부 영역에 MR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
  5. MR (Mixed Reality) 모드 및 VR (Virtual Reality) 모드를 제공하는 슬림형 XR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으로서,
    (a) 상기 MR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b) 상기 MR 모드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c) 상기 MR 모드 실행 중 기설정된 트리거(trigger) 조건이 만족된 경우 메모리에 액세스하여 상기 VR 모드 관련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추출된 VR 모드 관련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MR 모드의 스크린내에 상기 VR 모드의 스크린내 특정 위치의 가상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MR 모드의 스크린은,
    상기 XR 디바이스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오브젝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VR 모드의 스크린은,
    각 위치별로 맵핑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오브젝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VR 모드의 스크린내 각 위치별로 맵핑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오브젝트는, 상기 XR 디바이스에 의해 인식된 유저별로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XR 디바이스의 유저의 시선 또는 특정 디바이스를 트래킹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조건은,
    상기 트래킹된 유저의 시선 또는 특정 디바이스가 상기 MR 모드의 스크린내 특정 영역 내에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인식된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0.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청구항 5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200163387A 2020-11-27 2020-11-27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74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387A KR20220074652A (ko) 2020-11-27 2020-11-27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0/017212 WO2022114309A1 (ko) 2020-11-27 2020-11-28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387A KR20220074652A (ko) 2020-11-27 2020-11-27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652A true KR20220074652A (ko) 2022-06-03

Family

ID=81755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387A KR20220074652A (ko) 2020-11-27 2020-11-27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74652A (ko)
WO (1) WO202211430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430U (ko) * 2011-03-09 2012-09-19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일반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한 3d시청용 액티브 안경조립체
KR20130040379A (ko) * 2011-10-14 2013-04-24 주식회사 플렉스엘시디 단일화된 부품이 케이스의 중앙부에 내장된 입체영상 안경
US10534203B2 (en) * 2017-07-31 2020-01-14 Snap Inc. Near-field antenna for eyewear
KR20190089627A (ko) * 2018-01-23 2019-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Ar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KR102592653B1 (ko) * 2019-07-01 2023-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Ar 모드 및 vr 모드를 제공하는 xr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4309A1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52757B (zh) 基于虚拟现实应用录制视频的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8205197B (zh) 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控制方法
US10356398B2 (en) Method for capturing virtual spa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EP3789966A1 (en) Method for realizing virtual scene conversion and related device
EP290724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309601B1 (en) A head mounted dipslay and method of outputting a content using the same
CN111492298A (zh) 可配置用于各种移动装置尺寸的hmd的系统和方法
KR20180028796A (ko) 이미지 표시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US10866820B2 (en) Transitioning between 2D and stereoscopic 3D webpage presentation
KR20150026336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컨텐트 출력 방법
US10567730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8142168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CN111566596A (zh) 用于虚拟现实显示器的真实世界门户
US11845007B2 (en) Perspective rotation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0257500B2 (en) Stereoscopic 3D webpage overlay
US20220326764A1 (en) Video trimming method and head-mounted device
JP2017182228A (ja) 入力装置、入力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US20240082697A1 (en) Context-sensitive remote eyewear controller
KR20220074652A (ko) 복합 멀티 안테나 기반의 슬림형 xr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315246A1 (en) Computer program, method, and server device
CN204166478U (zh) 头戴式智能设备
JP2020201575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6932917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102562420B1 (ko) 5g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슬림형 xr 디바이스
JP2017134630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