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4519A - 개선된 ToF 센서 장치 - Google Patents

개선된 ToF 센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519A
KR20220074519A KR1020200163115A KR20200163115A KR20220074519A KR 20220074519 A KR20220074519 A KR 20220074519A KR 1020200163115 A KR1020200163115 A KR 1020200163115A KR 20200163115 A KR20200163115 A KR 20200163115A KR 20220074519 A KR20220074519 A KR 20220074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guide
hoe
light
display
sens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7076B1 (ko
Inventor
심영보
문연국
김민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63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076B1/ko
Priority to PCT/KR2020/019281 priority patent/WO2022114376A1/ko
Publication of KR20220074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7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relating to scan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10Construction or shape of the optical resonator, e.g. extended or external cavity, coupled cavities, bent-guide, varying width, thickness or composition of the active region
    • H01S5/18Surface-emitting [SE] lasers, e.g. having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cavities
    • H01S5/183Surface-emitting [SE] lasers, e.g. having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cavities having only vertical cavities, e.g. vertical cavity surface-emitting lasers [VCS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oF 센서 장치는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제공되며, 레이저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 수광신호를 검출하는 수광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 사이에 제공되는 HOE(Holographic Optical Elements) 도파관을 포함하고, 상기 HOE 도파관은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상기 레이저 광을 상기 수광부 쪽으로 도파시켜 상기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선된 ToF 센서 장치{An improved ToF Sensor Device}
본 발명은 ToF 센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HOE(Holographic Optical Elements) 도파관(waveguide)을 사용하여 발광부에서 발광된 레이저 광을 수광부 쪽으로 도파시켜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또는 개구부가 없이도 외부로 발광시킴으로써, 기존의 ToF 센서 장치를 구성하는 발광부가 점유하던 면적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ToF 센서 장치의 제조에 필요한 부품의 수와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발수광부가 통합된 동축 ToF 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로봇, 자동차, 드론 등의 지능형 디바이스는 4차 산업 혁명 인공지능 기술의 주요 이슈가 되며, 이러한 서비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주위 환경의 실시간 3차원 인식 기술이 핵심이 된다. 이에 의해 고해상도의 전방위 스캐닝이 가능한 ToF센서 및 LIDAR 기술이 최근 주목 받고 있다.
종래 모바일용 ToF센서 또는 라이다 시스템은 레이저 출력부 및 레이저 수신부로 구성된다. 레이저 출력부는 발광용 레이저 및 LED 광원이고, 광분산소자, 렌즈 등의 광학계로 구성되고, 레이저 수신부는 SPAD, CMOS 센서를 통해 이미지 센서와 유사한 2차원 픽셀 어레이로 구성하여 픽셀의 개수만큼의 해상도로 수광한다. 또한, 종래 모바일용 ToF센서 또는 라이다 시스템은 발광부 및 수광부를 각각 1개 이상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외관상 2개 이상의 외부 광학계 개구부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모바일용 ToF센서 또는 라이다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1. 외관상 2개 이상의 렌즈 등 광학계가 존재하므로, 이러한 광학계가 차지하는 표면적이 커진다. ToF 센서 장치가, 예를 들어, 휴대폰 전면부에 위치할 경우, 휴대폰의 디스플레이 면적을 가리는 펀치홀 및 트렌치 구조에 의해 디스플레이 일부가 가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2, 또한, 발광된 레이저를 FoV(Field of View) 영역에 확산시키기 위해 디퓨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렌즈를 사용하며, 이들 구성 요쇼들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경통 기구물이 사용되어야 하므로, 제조 비용이 고비용이다.
3. 나아가, 상술한 문제점으로 인해 상용화를 위한 디바이스의 디자인, 설계의 제약과 함께 대량 생산에 불리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HOE 도파관을 활용하여 레이저 광을 수광부와 동일 선상으로 도파시켜 발광함으로써 기존에 발광부가 점유하던 면적을 필요로 하지 않고, 통합된 발수광부에 소형 디스플레이를 함께 동축에 중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인 디스플레이 아래에 배치하더라도 펀치홀 및 트렌치 등의 면적 손실이 없는, 모바일 디바이스용의 발수광부가 통합된 동축 ToF 센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는 ToF 센서 장치는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제공되며, 레이저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 수광신호를 검출하는 수광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 사이에 제공되는 HOE(Holographic Optical Elements) 도파관을 포함하고, 상기 HOE 도파관은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상기 레이저 광을 상기 수광부 쪽으로 도파시켜 상기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ToF 센서 장치는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제공되고, 풀스크린 구현을 위해 소정 영역에 출력될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 2 광을 방출하는 부분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제공되며, 레이저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 수광신호를 검출하는 수광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 사이에 제공되는 HOE(Holographic Optical Elements) 도파관;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부분 디스플레이 사이에 제 2 HOE 도파관을 포함하고, 상기 HOE 도파관은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상기 레이저 광을 상기 수광부 쪽으로 도파시켜 상기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발광시키고, 상기 제 2 HOE 도파관은 상기 부분 디스플레이에서 방출되는 상기 제 2 광을 도파시켜 상기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ToF 센서 장치는 레이저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상기 레이저광을 수신하는 HOE 도파관을 포함하고, 상기 HOE 도파관은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상기 레이저광을 상기 HOE 도파관의 내부로 반사하여 삽입시키는 인-커플링(in-coupling) HOE; 상기 인-커플링 HOE에 의해 삽입된 레이저 광을 상기 HOE 도파관의 길이 방향으로 전반사에 의해 도파시키는 도파로; 및 상기 도파로를 통해 도파된 상기 삽입된 레이저 광을 상기 도파로의 바깥쪽으로 발광시키도록 반사하는 아웃-커플링(out-coupling) HO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oF 센서 장치는 HOE 도파관을 사용하여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레이저 광을 수광부 쪽으로 도파시켜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또는 개부가 없이도 외부로 발광시킴으로써 기존의 ToF를 구성하는 발광부가 점유하던 면적을 필요로 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기존의 레이저 발광부의 광학계 구성인 렌즈, 디퓨저, 렌즈 어레이, 경통부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ToF 센서 장치의 제조에 필요한 부품의 수와 제조 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도 1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종래 기술의 ToF 센서 장치를 구성하는 발광부 및 수광부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ToF 센서 장치의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종래 기술의 ToF 센서 장치가 디스플레이 하부에 배치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HOE(Holographic Optical Elements) 도파관을 포함하는 ToF 센서 장치가 디스플레이 하부에 배치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HOE 도파관을 포함하는 ToF 센서 장치가 디스플레이 하부에 배치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HOE 도파관을 통해 레이저 광이 도파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일층 HOE 도파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종래 기술의 ToF 센서 장치를 구성하는 발광부 및 수광부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ToF 센서 장치의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종래 기술의 ToF 센서 장치가 디스플레이 하부에 배치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종래 기술의 ToF 센서 장치를 구성하는 발광부는 레이저 광을 생성하는 VCSEL로 구현되고, 및 ToF 센서 장치를 구성하는 수광부는 센서인 SPAD로 구현되되, 이러한 발광부 및 수광부가 분리된 형태인 2축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외관상 2개 이상의 렌즈 등의 광학계가 있어야 하므로 차지하는 표면적이 커진다. 또한, ToF 센서 장치가 휴대폰 전면부에 위치할 경우, 도 2와 같이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를 가리는 펀치홀(도 2 하단의 중간 도면), 노치(도 2 하단의 좌측 도면) 등의 구조에 의해 디스플레이 일부가 가려지는 문제가 발생하며, 그에 따라 상용화를 위한 디바이스의 디자인, 설계 상의 제약(도 2 하단의 우측 도면)을 받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종래 기술의 ToF 센서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에서 2개의 개구부를 포함해야만 하며,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발광부(즉, 광원인 VCSEL)에서 생성된 레이저 광이 방출되며, 다른 개구부를 통해서는 수광부(즉, SPAD 센서)에서 수신된 광이 센싱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ToF 센서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개구부를 포함해야만 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HOE(Holographic Optical Elements) 도파관을 포함하는 ToF 센서 장치가 디스플레이 하부에 배치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oF 센서 장치는 발광부와 수광부(이하 “발수광부”라 함)가 통합된 동축 ToF 센서 장치로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oF 센서 장치는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제공되며, 레이저광을 발광하는 발광부(예를 들어, VCSEL); 수광신호를 검출하는 수광부(예를 들어, SPAD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 사이에 제공되는 HOE(Holographic Optical Elements) 도파관을 포함하고, 상기 HOE 도파관은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상기 레이저 광을 상기 수광부 쪽으로 도파시켜 상기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발광부에서 발광되는 레이저광은 근적외선일 수 있고, 그 외의 다른 파장 및 이들의 조합도 가능하다.
발광부 (또는 광원부)는 메인보드 상에 장착되며, 레이저 광원을 생성하는 VCSEL 또는 LD(EEL)로 구성될 수 있으며, 메인보드로부터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펄스/CW(연속파) 모듈레이션으로 작동하여, 예를 들어, 905nm, 940nm, 1550nm 등의 근적외선을 발광할 수 있다.
수광부는 일반적인 ToF 센서 장치에서 사용하는 구성과 동일하게 SPAD 센서 또는 CMOS 이미지 센서, 렌즈부, 경통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HOE 도파관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별다른 추가 기술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oF 센서 장치를 구성하는 수광부는 ToF 센서 장치에서 사용되는 종래 수광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HOE 도파관은 발광부의 레이저 광을 수광부 쪽으로 도파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되는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발광 가능하도록 한다. HOE 도파관은,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 하부에 제공되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및 발수광부 사이에 제공된다. 그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에서 발광된 레이저 광이 HOE 도파관을 따라 수광부 쪽으로 도파된 후 수광부 상부에 위치된 개구부를 통해 발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HOE 도파관은 발광부에서 발광된 레이저 광을 HOE 도파관의 내부로 반사시키는 인-커플링(in-coupling) HOE, 상기 인-커플링 HOE에 의해 반사된 커플링된 광(여기서, 커플링이란 도파로 안쪽으로 삽입되었음을 의미함)을 상기 HOE 도파관의 길이 방향(도 4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전반사에 의해 도파시키는 도파로, 및 상기 도파로를 통해 도파된 커플링된 레이저 광을 개구부 바깥쪽으로 발광시키도록 반사하는 아웃-커플링(out-coupling) HOE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HOE 도파관은 IR HOE 도파관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 경우, 아웃-커플링 HOE는 레이저 광의 수렴, 발산, 패턴 형성 등을 필요에 맞추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종래 ToF 센서 장치의 발광부에서 요구되는 별도의 렌즈, 디퓨저 등의 광학 부품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HOE 도파관은 발광부에서 발광된 레이저 광이 도파로 내부에서 전반사되므로 별도의 경통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신호광을 차단할 수 있는(즉, 발광부와 수광부를 인접하여 배치하면 발광부의 산란광이 수광부로 유입되어 노이즈의 원인이 되며, 본 발명의 도파로를 통해서 이를 차단 가능함) 추가적인 이점을 가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oF 센서 장치의 구성을 통해,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의 전면 디스플레이 또는 배면의 개구부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HOE 도파관을 포함하는 ToF 센서가 디스플레이 하부에 배치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HOE 도파관을 포함하는 ToF 센서 장치는,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용의 발수광부가 통합된 동축 ToF 센서 장치로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oF 센서 장치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제공되고, 풀스크린 구현을 위해 소정 영역에 출력될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 2 광을 방출하는 부분 디스플레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도 4에 도시된 HOE 도파관 이외에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부분 디스플레이 사이에 제 2 HOE 도파관이 제공되어, 상기 부분 디스플레이에서 방출되는 상기 제 2 광을 제 2 HOE 도파관 내에서 도파시켜 수광부의 상부에 제공되는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발광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HOE 도파관은 상기 부분 디스플레이에서 발광된 상기 제 2 광을 상기 제 2 HOE 도파관의 내부로 반사시키는 제 2 인-커플링(in-coupling) HOE, 상기 제 2 인-커플링 HOE에 의해 반사된 커플링된 상기 제 2 광을 상기 제 2 HOE 도파관의 길이 방향으로 전반사에 의해 도파시키는 제 2 도파로, 및 상기 제 2 도파로를 통해 도파된 상기 커플링된 제 2 광을 상기 하나의 개구부 바깥쪽으로 발광시키도록 반사하는 제 2 아웃-커플링(out-coupling) HOE로 구성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ToF 센서 장치는,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센서의 면적만큼 디스플레이를 가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ToF 센서 장치를 사용하면, 부분 디스플레이는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풀스크린 구현을 위해 가려지는 영역에 출력될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ToF 센서 장치의 구성을 통해, 예를 들어, 부분 디스플레이에서 생성된 제 2 광(예를 들어, RGB 가시광)을 수평 방향으로 전달하여 펀치홀 부위에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ToF센서를 통해 개구부로 출력되는 레이저 광은 근적외선으로, 부분 디스플레이에서 생성된 제 2 광(RGB 가시 광)과는 서로 파장 대역이 상이하여 광신호(레이저 광)과 제 2 광(RGB 가시 광)은 상호 간섭하지 않으므로, 도 5에 도시된, IR HOE도파관과 RGB HOE도파관을 중첩 제작하여 단일 HOE 도파관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에 따라,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풀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HOE 도파관을 통해 레이저 광이 도파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HOE 도파관은 발광부(micro-display)에서 발광된 레이저광을 HOE 도파관의 내부로 반사시키는 인-커플링(in-coupling) HOE, 상기 인-커플링 HOE에 의해 반사된 커플링된 레이저 광을 상기 HOE 도파관의 길이 방향(도 6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전반사에 의해 도파시키는 도파로, 및 상기 도파로를 통해 도파된 커플링된 레이저 광을 상기 도파로의 바깥쪽으로 발광시키도록 반사하는 아웃-커플링(out-coupling) HOE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커플링 HOE와 아웃-커플링 HOE는 도 4에 도시된 HOE 도파관과는 달리 도파로 상에서 서로 동일한 위치(도 6의 경우 도파로의 상부)에 제공된다. 그에 따라, 발광부(micro-display)에서 발광된 레이저광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되는 개구부가 없어도 외부로 방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람의 눈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술한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HOE 도파관을 포함하는 ToF 센서 장치는, 예를 들어, AR용 디스플레이에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일층 HOE 도파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수광부가 통합된 동축 ToF 센서 장치의 도파관은 단일층(single-layer) 도파관 일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수광부가 통합된 동축 ToF 센서 장치의 도파관이 도 7에 도시된 단일층 도파관이 상하로 복수개 제공되는 다중층(Multi-layer) 도파관(미도시)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ToF 센서 장치에 사용되는 HOE 도파관은 결맞음성이 있는(coherent) 레이저 광만을 반사시키고, 결맞음성이 없는(in-coherent) 수신광(예를 들어, 물체에 반사되어 들어온 광)은 HOE 도파관의 도파관을 통과하여 진행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ToF 센서 장치는 HOE 도파관을 포함하여, 발수광부가 통합된 동축 ToF 센서 장치로 구현되어, 발광부에서 발광된 레이저 광이 수광부 쪽으로 도파되어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또는 개구부가 없이도 외부로 발광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ToF 센서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기존의 ToF 센서 장치를 구성하는 발광부가 점유하던 면적이 불필요하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다양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예시된 구성 및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 범위 및 그 균등물에 따라서만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ToF 센서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제공되며, 레이저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
    수광신호를 검출하는 수광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 사이에 제공되는 HOE(Holographic Optical Elements) 도파관
    을 포함하고,
    상기 HOE 도파관은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상기 레이저 광을 상기 수광부 쪽으로 도파시켜 상기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OE 도파관은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상기 레이저 광을 상기 HOE 도파관의 내부로 반사시키는 인-커플링(in-coupling) HOE;
    상기 인-커플링 HOE에 의해 반사된 커플링된 레이저 광(커플링된 레이저 광의 정확한 의미 설명 요망)을 상기 HOE 도파관의 길이 방향으로 전반사에 의해 도파시키는 도파로; 및
    상기 도파로를 통해 도파된 상기 커플링된 레이저 광을 상기 하나의 개구부 바깥쪽으로 발광시키도록 반사하는 아웃-커플링(out-coupling) HOE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광은 근적외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HOE 도파관은 단일층(single-layer) 도파관 또는 다중층(Multi-layer) 도파관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5. ToF 센서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제공되고, 풀스크린 구현을 위해 소정 영역에 출력될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 2 광을 방출하는 부분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제공되며, 레이저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
    수광신호를 검출하는 수광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 사이에 제공되는 HOE(Holographic Optical Elements) 도파관;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부분 디스플레이 사이에 제공되는 제 2 HOE 도파관
    을 포함하고,
    상기 HOE 도파관은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상기 레이저 광을 상기 수광부 쪽으로 도파시켜 상기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발광시키고,
    상기 제 2 HOE 도파관은 상기 부분 디스플레이에서 방출되는 상기 제 2 광을 도파시켜 상기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HOE 도파관은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상기 레이저 광을 상기 HOE 도파관의 내부로 반사시키는 인-커플링(in-coupling) HOE;
    상기 인-커플링 HOE에 의해 반사된 커플링된 레이저 광을 상기 HOE 도파관의 길이 방향으로 전반사에 의해 도파시키는 도파로; 및
    상기 도파로를 통해 도파된 상기 커플링된 레이저 광을 상기 하나의 개구부 바깥쪽으로 발광시키도록 반사하는 아웃-커플링(out-coupling) HOE
    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HOE 도파관은
    상기 부분 디스플레이에서 발광된 상기 제 2 광을 상기 제 2 HOE 도파관의 내부로 반사시키는 제 2 인-커플링(in-coupling) HOE;
    상기 제 2 인-커플링 HOE에 의해 반사된 커플링된 상기 제 2 광을 상기 제 2 HOE 도파관의 길이 방향으로 전반사에 의해 도파시키는 제 2 도파로; 및
    상기 제 2 도파로를 통해 도파된 상기 커플링된 제 2 광을 상기 하나의 개구부 바깥쪽으로 발광시키도록 반사하는 제 2 아웃-커플링(out-coupling) HOE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광은 근적외선이고,
    상기 제 2 광은 가시 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HOE 도파관 및 상기 HOE 도파관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는 단일층(single-layer) 도파관 또는 다중층(Multi-layer) 도파관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9. ToF 센서 장치에 있어서,
    레이저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상기 레이저광을 수신하는 HOE 도파관
    을 포함하고,
    상기 HOE 도파관은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상기 레이저광을 상기 HOE 도파관의 내부로 반사시키는 인-커플링(in-coupling) HOE;
    상기 인-커플링 HOE에 의해 반사된 커플링된 레이저 광을 상기 HOE 도파관의 길이 방향으로 전반사에 의해 도파시키는 도파로; 및
    상기 도파로를 통해 도파된 상기 커플링된 레이저 광을 상기 도파로의 바깥쪽으로 발광시키도록 반사하는 아웃-커플링(out-coupling) HOE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R용 디스플레이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KR1020200163115A 2020-11-27 2020-11-27 개선된 ToF 센서 장치 KR102537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115A KR102537076B1 (ko) 2020-11-27 2020-11-27 개선된 ToF 센서 장치
PCT/KR2020/019281 WO2022114376A1 (ko) 2020-11-27 2020-12-29 개선된 tof 센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115A KR102537076B1 (ko) 2020-11-27 2020-11-27 개선된 ToF 센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519A true KR20220074519A (ko) 2022-06-03
KR102537076B1 KR102537076B1 (ko) 2023-05-30

Family

ID=81755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115A KR102537076B1 (ko) 2020-11-27 2020-11-27 개선된 ToF 센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7076B1 (ko)
WO (1) WO20221143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3546A (ko) 2022-09-27 2024-04-03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누설광으로 인한 광간섭을 최소화한 ToF 센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34868A (ja) * 2014-10-20 2017-11-24 クアナジー・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Quanergy Systems, Inc. 1次元光学エミッタの2次元走査に基づいた3次元ライダセンサ
KR20180136386A (ko) * 2017-06-14 2018-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와 인접하여 배치된 발광 모듈 및 수광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90057153A (ko) * 2016-10-17 2019-05-27 웨이모 엘엘씨 다수의 수신기를 갖는 라이다(lidar) 디바이스
KR20190112173A (ko) * 2017-02-22 2019-10-02 엘화 엘엘씨 라이다 스캐닝 시스템
KR20190117415A (ko) * 2019-08-30 2019-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Ar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38318A (ko) * 2017-09-05 2020-04-10 웨이모 엘엘씨 공동 정렬된 전송 및 수신 경로들을 갖는 lidar
WO2020106340A2 (en) * 2018-08-15 2020-05-28 Marsupial Holdings , Inc. Direct enhanced view optic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04130B (zh) * 2015-06-18 2020-08-28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屏幕上指纹感应的屏幕下光学传感器模块
KR102413113B1 (ko) * 2018-01-08 2022-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입사된 빛을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34868A (ja) * 2014-10-20 2017-11-24 クアナジー・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Quanergy Systems, Inc. 1次元光学エミッタの2次元走査に基づいた3次元ライダセンサ
KR20190057153A (ko) * 2016-10-17 2019-05-27 웨이모 엘엘씨 다수의 수신기를 갖는 라이다(lidar) 디바이스
KR20190112173A (ko) * 2017-02-22 2019-10-02 엘화 엘엘씨 라이다 스캐닝 시스템
KR20180136386A (ko) * 2017-06-14 2018-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와 인접하여 배치된 발광 모듈 및 수광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00038318A (ko) * 2017-09-05 2020-04-10 웨이모 엘엘씨 공동 정렬된 전송 및 수신 경로들을 갖는 lidar
WO2020106340A2 (en) * 2018-08-15 2020-05-28 Marsupial Holdings , Inc. Direct enhanced view optic
KR20190117415A (ko) * 2019-08-30 2019-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Ar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rdenebat, Munkh-Uchral, et al. Waveguide-type head-mounted display system for AR application. State of the art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knowhow. 2018.*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3546A (ko) 2022-09-27 2024-04-03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누설광으로 인한 광간섭을 최소화한 ToF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076B1 (ko) 2023-05-30
WO2022114376A1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L308961A (en) Exposure and spread of light with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hs aligned together
KR20200041365A (ko) 커버 요소로 커버된 스캐닝 미러를 갖고 있는 lidar 스캐너용 송신 장치
JP6610099B2 (ja) ミラーユニット及び表示装置
JP3781026B2 (ja) 光モジュール、光送受信器及び光ジョイントスリーブ
US11543492B2 (en) Detec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attached part and motor vehicle
CN208907957U (zh) 投影模组、成像模组和电子装置
WO2023040376A1 (zh) 激光雷达
US11754767B1 (en) Display with overlaid waveguide
US9905998B2 (en) Light emission module
KR102537076B1 (ko) 개선된 ToF 센서 장치
EP2787731A2 (en) Image projection device and input object detection method
EP4187436A1 (en) Display assembly and display device
EP4187437A1 (en) Display assembly and display device
JP5276513B2 (ja) 反射型光電センサ
US10698086B1 (en) Photonic integrated circuit illuminator
US20080317471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
JP2022518940A (ja) 光学センサ組立体
EP3820132B1 (en) Lighting device and image reading device
US7092597B2 (en) Bidirectio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KR102634094B1 (ko) 3차원 이미지 획득 장치
TWI772871B (zh) 光學鏡頭、成像模組及電子裝置
US20230408835A1 (en) Structured light generation
US20230251354A1 (en) Compact beam steering mechanism and system
WO2021125027A1 (ja) センサ装置及び筐体
US20210373337A1 (en)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expanded viewing wind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